KR20230128327A - 전자기기 및 그의 촬영 모듈 - Google Patents

전자기기 및 그의 촬영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8327A
KR20230128327A KR1020237025949A KR20237025949A KR20230128327A KR 20230128327 A KR20230128327 A KR 20230128327A KR 1020237025949 A KR1020237025949 A KR 1020237025949A KR 20237025949 A KR20237025949 A KR 20237025949A KR 20230128327 A KR20230128327 A KR 202301283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ing
layer
sublayer
lens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5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페이데 리
샤오징 마
Original Assignee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128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832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1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for transforming different wavelengths into image signals
    • H04N25/11Arrangement of colour filter arrays [CFA]; Filter mosaics
    • H04N25/13Arrangement of colour filter arrays [CFA]; Filter mosaics characterised by the spectral characteristics of the filter elements
    • H04N25/134Arrangement of colour filter arrays [CFA]; Filter mosaics characterised by the spectral characteristics of the filter elements based on three different wavelength filter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1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different wavelengths
    • H04N23/125Colour sequential image capture, e.g. using a colour wheel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1Filters in the form of arr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01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01L27/1462Coatings
    • H01L27/14621Colour filte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01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01L27/14625Optical elements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the device
    • H01L27/14627Microlen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1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different wavelength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1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different wavelengths
    • H04N23/12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different wavelengths with one sensor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45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two or more image sensors being of different type or operating in different modes, e.g. with a CMOS sensor for moving images in combination with a charge-coupled device [CCD] for still im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95Computational photography systems, e.g. light-field imaging systems
    • H04N23/951Computational photography systems, e.g. light-field imaging systems by using two or more images to influence resolution, frame rate or aspect rati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95Computational photography systems, e.g. light-field imaging systems
    • H04N23/958Computational photography systems, e.g. light-field imaging systems for extended depth of field imag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1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for transforming different wavelengths into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1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for transforming different wavelengths into image signals
    • H04N25/11Arrangement of colour filter arrays [CFA]; Filter mosa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2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for transforming only infrared radiation into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48Increasing resolution by shifting the sensor relative to the sce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locking Light For Camera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통신기기 분야에 속하는 전자기기 및 그의 촬영 모듈을 개시하고, 촬영 모듈은 렌즈, 구동부재, 감광성 칩을 포함하고, 감광성 칩은 베이어 어레이 센서이고, 감광성 칩은 다수의 서브 픽셀 영역을 포함하고, 각 서브 픽셀 영역은 모두 필터링 서브 계층 및 감광성 서브 계층을 포함하고, 감광성 칩은 감광성 계층 및 필터링 어레이 계층을 포함하고, 구동부재는 필터링 어레이 계층을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전환되도록 구동할 수 있고, 필터링 어레이 계층이 제1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렌즈로부터 입사되고 또한 제1 필터링 서브 계층을 통과하는 광선은 제1 이미지를 형성하고, 필터링 어레이 계층이 제2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렌즈로부터 입사되고 또한 제2 필터링 서브 계층을 통과하는 광선은 제2 이미지를 형성하고,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의 내용은 동일하고, 제1 필터링 서브 계층 및 제2 필터링 서브 계층의 동일 픽셀 영역 내에서의 등가 필터링 서브 계층은 이 픽셀 영역에서의 임의의 두 개의 필터링 서브 계층이다.

Description

전자기기 및 그의 촬영 모듈
관련 출원에 대한 참조
본 출원은 2020년 12월 31일자로 중국 특허청에 제출한 출원번호가 202011639273.2이고, 발명 명칭이 “전자기기 및 그의 촬영 모듈”인 중국 특허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 출원의 전체 내용은 인용을 통해 본 출원에 결부된다.
본 출원은 통신기기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기기 및 그의 촬영 모듈에 관한 것이다.
과학기술의 발달로 휴대폰과 같은 전자기기는 사람들의 생산과 생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전자기기는 통상적으로 모두 촬영 모듈이 구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촬영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편리하다. 시장 경쟁이 점점 치열해짐에 따라, 전자기기는 통상적으로 기타 전자기기와의 차이점을 형성하고 시장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더 뛰어난 성능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전자기기는 더 높은 리프레쉬 레이트를 가지고 있어 그가 더 높은 표시 성능을 가지고, 또는, 전자기기는 이중 스피커를 가지고 있어 시청 효과가 더 좋으며, 또 예를 들면, 전자기기의 촬영 성능이 더 강하다. 여기서, 전자기기의 촬영 성능에 대해 말하자면, 다양한 경로를 통해 촬영 모듈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미징 선명도를 예를 들면, 감광성 칩의 치수가 고정되어 있을 때, 픽셀 수를 증가하면 촬영 모듈의 감광 능력이 저하되고, 이미징 결과에 대해 불리한 영향을 미치므로, 업계에서는 통상적으로 단일 프레임 보간 및 다중 프레임 합성을 채용하는 방식으로 선명도를 향상시킨다. 그러나, 단일 프레임 보간의 방식을 채용하여 이미지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실제 감광성 픽셀이 증가되지 않기 때문에 선명도의 향상 효과는 제한되고, 또한 일부 장면에서 보간 오류가 발생되기 쉽고, 다중 프레임 합성의 방식으로 이미지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픽셀의 변위를 제어하는 것이 매우 어렵고 합성된 이미지의 효과도 더 좋지 않다.
본 출원은 전자기기 및 그의 촬영 모듈을 개시하고 이미징의 선명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구현된다.
제1 양상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촬영 모듈을 개시함에 있어서, 그는 렌즈, 구동부재, 감광성 칩을 포함하고, 상기 감광성 칩은 베이어 어레이 센서이고, 상기 감광성 칩은 다수의 행렬로 배포된 픽셀 영역을 포함하고, 각 상기 픽셀 영역은 모두 4개의 서브 픽셀 영역을 포함하고, 각 상기 서브 픽셀 영역은 모두 필터링 서브 계층 및 감광성 서브 계층을 포함하고,
상기 감광성 칩은 감광성 계층 및 필터링 어레이 계층을 포함하고, 상기 감광성 계층은 상기 렌즈에 대해 고정 설치되고, 상기 필터링 어레이 계층과 상기 구동부재는 연결되고,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필터링 어레이 계층을 상기 렌즈에 대해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전환되도록 구동할 수 있고,
상기 필터링 어레이 계층이 제1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렌즈로부터 입사되고 또한 상기 제1 필터링 서브 계층을 통과하는 광선은 상기 감광성 계층을 통해 상기 제1 이미지를 형성하고, 상기 필터링 어레이 계층이 제2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렌즈로부터 입사되고 또한 상기 제2 필터링 서브 계층을 통과하는 광선은 상기 감광성 계층을 통해 상기 제2 이미지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의 내용은 동일하고, 상기 제1 필터링 서브 계층 및 상기 제2 필터링 서브 계층의 동일 상기 픽셀 영역 내에서의 등가 필터링 서브 계층은 이 픽셀 영역에서의 임의의 두 개의 상기 필터링 서브 계층이다.
제2 양상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전자기기를 개시함에 있어서, 전자기기는 전술한 촬영 모듈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촬영 모듈을 제공함에 있어서, 그의 렌즈는 감광성 칩과 협력하고, 감광성 칩의 필터링 어레이 계층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어, 필터링 어레이 계층의 위치가 변화될 경우에, 렌즈로부터 입사되는 광선은 각각 제1 필터링 서브 계층 및 제2 필터링 서브 계층을 통과할 수 있고, 또한 감광성 칩의 감광성 계층을 통해 각각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를 형성하고,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의 내용은 동일하다. 또한, 제1 필터링 서브 계층 및 제2 필터링 서브 계층의 동일 픽셀 영역 내에서의 등가 필터링 서브 계층은 이 픽셀 영역에서의 임의의 두 개이므로, 두 번의 이미징 과정에서, 필터링 어레이 계층이 입사 광선에 대한 필터링 처리 결과는 서로 다르고, 나아가,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의해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의 합성을 수행함으로써, 형성된 합성 이미지에 각 필터링 통로의 실제 감광성 픽셀을 증가시킬 수 있어, 이미지의 해상도를 향상시키고 사진의 표현 효과를 더 좋게 하고 최종 이미지 화질 수준 및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된 첨부도면은 본 출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사용되고, 본 출원의 일부를 구성하며, 본 출원의 예시적인 실시예 및 그 설명은 본 출원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고, 본 출원에 대한 부당한 제한을 구성하지 않는다. 도면에 대해 다음과 같이 간단히 소개한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개시된 촬영 모듈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개시된 촬영 모듈에서 필터링 어레이 계층과 위치제한부재 사이의 조립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개시된 촬영 모듈에서 위치제한부재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개시된 촬영 모듈에서 필터링 어레이 계층의 픽셀 영역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개시된 촬영 모듈에서 제1 필터링 서브 계층이 위치하는 픽셀 영역 및 제2 필터링 서브 계층이 위치하는 픽셀 영역의 일 상대적 위치 비교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개시된 촬영 모듈에서 제1 필터링 서브 계층이 위치하는 픽셀 영역 및 제2 필터링 서브 계층이 위치하는 픽셀 영역의 다른 일 상대적 위치 비교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개시된 촬영 모듈에서 제1 필터링 서브 계층이 위치하는 픽셀 영역 및 제2 필터링 서브 계층이 위치하는 픽셀 영역의 또 다른 일 상대적 위치 비교도이다.
본 출원의 목적, 기술적 솔루션 및 장점을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 아래는 본 출원의 특정 실시예 및 대응하는 도면을 결부하여 본 출원의 기술적 솔루션에 대해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출원의 전부 실시예가 아니라 일부 실시예에 불과함이 분명하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창의적인 노력 없이 당업자에 의해 획득된 기타 모든 실시예는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속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결부하여 본 출원의 각 실시예에서 개시된 기술적 솔루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은 촬영 모듈을 개시하고, 촬영 모듈은 렌즈(200), 구동부재 및 감광성 칩(400)을 포함한다. 또한, 촬영 모듈은 하우징(100)을 더 포함하고, 전술한 부품은 모두 하우징(100)에 장착될 수 있고, 하우징(100)은 플라스틱 또는 금속 등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고, 물론, 촬영 모듈에는 기타 구조가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텍스트의 간결함을 고려하여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감광성 칩(400)은 이미징센서이고, 감광성 칩(400)은 베이어 어레이 센서이고, 즉, 감광성 칩(400)에서의 감광성 픽셀은 모두 베이어 어레이 방식으로 배포된다. 감광성 칩(400)은 다수의 행렬로 배포된 픽셀 영역을 포함하고, 각 픽셀 영역은 4개의 서브 픽셀 영역을 포함하고, 4개의 서브 픽셀 영역은 2×2의 행렬로 배포된다. 4개의 서브 픽셀 영역은 두 개의 녹색 픽셀, 하나의 청색 픽셀 및 하나의 적색 픽셀을 포함하고, 또한 두 개의 녹색 픽셀은 대각선으로 설치된다. 여기서, 각 픽셀 영역에서의 4개의 서브 픽셀 영역은 각각 제1 서브 픽셀 영역, 제2 서브 픽셀 영역, 제3 서브 픽셀 영역 및 제4 서브 픽셀 영역일 수 있다.
통상적으로, 감광성 칩(400)은 감광성 계층(410) 및 필터링 어레이 계층(420)을 포함할 수 있고, 광선은 필터링 어레이 계층(420)을 통과하여 감광성 계층(410)에 조사되고, 필터링 어레이 계층(420)은 상이한 색상의 광선을 필터링할 수 있어 필터링 어레이 계층(420)을 통과하는 광선에서 적색, 청색 또는 녹색과 같은 하나의 색상 성분만 보류할 수 있다. 감광성 계층(410)은 감광성을 가질 수 있어, 감광성 계층(410)으로 향하는 광선은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감광성 칩(400)은 다수의 픽셀 영역을 포함하고, 각 픽셀 영역은 모두 4개의 서브 픽셀 영역을 포함하고, 구체적으로, 각 서브 픽셀 영역은 모두 감광성 칩(400)의 일부이고, 즉, 각 서브 픽셀 영역은 모두 필터링 서브 계층 및 감광성 서브 계층을 포함하고, 서브 픽셀 영역의 수는 다수이고, 나아가, 모든 필터링 서브 계층은 공동으로 필터링 어레이 계층(420)을 구성하고, 모든 감광성 서브 계층은 공동으로 감광성 계층(410)을 구성한다.
여기서, 각 픽셀 영역 내에는 모두 제1 필터링 서브 계층, 제2 필터링 서브 계층, 제3 필터링 서브 계층 및 제4 필터링 서브 계층이 포함되고, 베이어 어레이 센서의 필터링 어레이 계층(420)에서 각 픽셀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모두 4개의 필터가 설치되어 있고, 4개의 필터는 하나의 픽셀 영역에서의 4개의 필터링 서브 계층과 일대일 대응되고, 또한, 전술한 4개의 필터는 일반적으로 하나의 적색광 필터, 하나의 청색광 필터 및 두 개의 녹색광 필터를 포함하고, 약칭 RGGB라고 한다. 감광성 계층(410)에서 서로 다른 필터링 서브 계층에 설치된 필터의 종류가 서로 다른 경우에, 감광성 계층(410)의 서로 다른 필터링 서브 계층에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된 이미지의 색상도 서로 다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 모듈에서, 필터링 어레이 계층(420)은 구동부재와 연결되고, 구동부재는 필터링 어레이 계층(420)을 렌즈(200)에 대해 이동하도록 구동할 수 있어, 렌즈(200) 및 감광성 계층(410)은 모두 고정을 유지하고, 필터링 어레이 계층(420)만 운동하도록 제어하여, 제어 정밀도를 향상시키고 또한 제어 난이도를 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렌즈(200) 및 감광성 계층(410)은 모두 하우징(100)에 고정되어 연결될 수 있고, 필터링 어레이 계층(420)은 구동부재를 통해 하우징(100)과 활동 가능한 연결 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렌즈(200) 및 감광성 계층(410)은 접착 연결 등 방식을 통해 하우징(100)에 고정될 수 있고, 구동부재는 마이크로 리니어 모터 등이 될 수 있고, 구동부재는 나사 등의 연결부재를 통해 하우징(100)에 장착될 수 있고, 또한 필터링 어레이 계층(420)은 구동부재의 구동 해드와 연결되어 구동부재가 필터링 어레이 계층(420)을 하우징(100)에 대해 운동하도록 구동할 수 있고, 즉, 필터링 어레이 계층(420) 및 렌즈(200)의 상대적 운동이 발생된다.
더 구체적으로, 구동부재는 필터링 어레이 계층(420)을 렌즈(200)에 대해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전환되도록 구동할 수 있고, 전술한 경우에, 필터링 어레이 계층(420)이 위치하는 위치에 대한 조절을 통해, 필터링 어레이 계층(420)과 렌즈(200) 사이의 상대적 위치에 변화가 발생될 수 있고, 나아가 렌즈(200)로부터 동일 위치에 입사되는 광선이 필터링 어레이 계층(420) 상의 서로 다른 위치를 통과하여 감광성 계층(410)에 투사되어 감광성 계층(410)에 내용이 동일한 이미지가 형성될 수 있다.
필터링 어레이 계층(420)이 제1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렌즈(200)로부터 입사되고 또한 제1 필터링 계층을 통과하는 광선이 감광성 계층(410)에 제1 이미지를 형성하고, 필터링 어레이 계층(420)이 제2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렌즈(200)로부터 입사되고 또한 제1 필터링 계층을 통과하는 광선이 감광성 계층(410)에 제2 이미지를 형성한다.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 중의 하나가 형성된 후에, 구동부재는 작업하고, 필터링 어레이 계층(420)을 구동하여 위치가 변경된 후에야 다른 하나가 형성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필터링 어레이 계층(420)은 광선의 색상에 대해서만 필터링을 수행하므로, 기본적으로 광선의 전파 방향 등 파라미터에 대해 영향을 미치지 않고, 따라서, 촬영 모듈이 전체적으로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 전후 두 번의 이미징 과정에서 형성된 이미지의 내용은 일치하다고 볼 수 있고, 나아가,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의 내용이 동일하도록 보장할 수 있다.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렌즈(200)와 필터링 어레이 계층(420)의 상대적 위치에 변화가 발생되므로, 광선이 렌즈(200)로부터 필터링 어레이 계층(420)에서의 서로 다른 위치를 통과하여 감광성 칩(400) 상에 투사되는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의 색상은 서로 다르고, 즉, 제1 이미지를 형성하는 광선의 색상은 제1 필터링 서브 계층을 통해 필터링되고, 제2 이미지를 형성하는 광선의 색상은 제2 필터링 서브 계층을 통해 필터링된다.
필터링 어레이 계층(420)의 변위량이 서로 다른 경우에, 광선이 두 번 통과하는 제1 필터링 서브 계층와 제2 필터링 서브 계층 사이의 간격도 서로 다르므로, 제1 필터링 서브 계층 및 제2 필터링 서브 계층이 동일 픽셀 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가 출현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필터링 서브 계층 및 제2 필터링 서브 계층이 각각 두 개의 픽셀 영역 내에 위치하더라도, 제1 필터링 서브 계층 및 제2 필터링 서브 계층은 모두 대응하는 필터가 있고 또한 감광성 칩(400) 상의 다수의 픽셀 영역의 구조가 모두 동일하므로, 제1 필터링 서브 계층이 위치하는 픽셀 영역에는 반드시 하나의 제2 필터링 서브 계층에 대응하는 필터와 동일한 필터링 서브 계층이 포함되고, 이에 대응하여, 제2 필터링 서브 계층이 위치하는 픽셀 영역에도 반드시 하나의 제1 필터링 서브 계층에 대응하는 필터와 동일한 필터링 서브 계층이 포함되고, 이로써, 제1 필터링 서브 계층을 제2 필터링 서브 계층이 위치하는 픽셀 영역에서의 기타 하나의 필터링 서브 계층으로 등가시킬 수 있다. 제1 필터링 서브 계층 및 제2 필터링 서브 계층의 동일 픽셀 영역 내에서의 등가 필터링 서브 계층은 이 픽셀 영역에서의 임의의 두 개의 필터링 서브 계층이고, 다시 말하면, 제1 필터링 서브 계층 등가가 제2 필터링 서브 계층이 위치하는 픽셀 영역에 있는 경우, 제1 필터링 서브 계층의 등가물은 반드시 제2 필터링 서브 계층이 아니고, 이에 대응하여, 제2 필터링 서브 계층 등가가 제1 필터링 서브 계층이 위치하는 픽셀 영역에 있는 경우, 제2 필터링 서브 계층의 등가물은 반드시 제1 필터링 서브 계층이 아니다.
전술한 기술적 솔루션을 채용하는 경우에, 렌즈(200)의 중심으로부터 입사되는 전술한 광선을 예를 들면, 이 광선은 렌즈(200)를 통해 제1 필터링 서브 계층을 통과하고 또한 감광성 계층(410)에 투사되어, 제1 이미지를 형성한다. 다음, 필터링 어레이 계층(420)을 운동하도록 구동하여, 렌즈(200)의 중심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선은 제2 필터링 서브 계층을 통과하고 또한 다시 감광성 계층(410)에 투사되어, 제2 이미지를 형성한다.
필터링 어레이 계층(420)의 변위량 및 변위 방향에 대한 설계를 통해, 전술한 광선은 렌즈(200)를 통해 제1 위치에 위치하는 필터링 어레이 계층(420)에서 적색 필터와 대응하는 제1 필터링 서브 계층으로 투사될 수 있고, 전술한 광선은 렌즈(200)를 통해 제2 위치에 위치하는 필터링 어레이 계층(420)에서 녹색 필터와 대응하는 제2 필터링 서브 계층으로 투사될 수 있다. 또는, 전술한 광선은 필터링 어레이 계층(420)에서 청색 필터와 대응하는 제1 필터링 서브 계층으로 우선 투사되고, 전술한 광선은 필터링 어레이 계층(420)에서 녹색 필터와 대응하는 제2 필터링 서브 계층으로 다시 투사될 수 있다. 또는, 전술한 광선은 필터링 어레이 계층(420)에서 제1 녹색 필터와 대응하는 제1 필터링 서브 계층으로 우선 투사되고, 전술한 광선은 필터링 어레이 계층(420)에서 제2 녹색 필터와 대응하는 제2 필터링 서브 계층으로 다시 투사될 수 있고, 여기서, 제1 녹색 필터의 아래쪽에 인접한 것은 적색 필터이고, 오른쪽에 인접한 것은 청색 필터이고, 또한 제2 녹색 필터의 위쪽에 인접한 것은 적색 필터이고, 왼쪽에 인접한 것은 청색 필터이고, 즉, 제1 녹색 필터 및 제2 녹색 필터가 하나의 픽셀 영역 내에서의 위치는 서로 다르다.
요약하면, 필터링 어레이 계층(420)에서 제1 필터링 서브 계층에 대응하는 필터의 전술한 광선에 대한 필터링 처리 결과는 필터링 어레이 계층(420)에서 제2 필터링 서브 계층에 대응하는 필터의 전술한 광선에 대한 필터링 처리 결과와 서로 다르므로, 동일한 광선이 두 종류의 필터에 의해 각각 처리될 수 있고 두 폭의 내용이 동일하지만 색상이 서로 다른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고,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를 기반으로,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을 통해 합성을 수행하고, 합성된 이미지에 각 필터링 통로의 실제 감광성 픽셀을 증가시킬 수 있어, 이미지의 해상도를 향상시키고 사진의 표현 효과를 더 좋게 하고 최종 이미지 화질 수준 및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기술적 솔루션에서, 구동부재에 의해 구동되는 필터링 어레이 계층(420)의 중량이 상대적으로 더 작아 구동부재의 구동 난이도를 줄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필터링 어레이 계층(420)의 변위량 및 변위 방향에 대한 설계를 통해, 형성된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의 내용은 동일하고 색상이 서로 다르다는 목적에 달성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필터링 어레이 계층(420)의 변위량을 서브 픽셀 영역의 변의 길이로 할 수 있고, 필터링 어레이 계층(420)의 변위 방향을 서브 픽셀 영역의 가장자리의 연장 방향으로 할 수 있고, 또는, 필터링 어레이 계층(420)의 변위량을 서브 픽셀 영역의 변의 길이 및 n개의 픽셀 영역의 변의 길이의 합으로 할 수 있고, n은 정수이고, n≥0이다.
또한, 필터링 어레이 계층(420)의 이동 방향에 대해서는 실제 상황에 근거하여 결정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필터링 어레이 계층(420)은 자체 광축에 수직인 평면 내에서 왼쪽으로 하나의 서브 픽셀 영역의 변의 길이 만큼 변위량을 발생시킬 수 있고, 또는, 필터링 어레이 계층(420)은 자체 광축에 수직인 평면 내에서 아래쪽으로 하나의 서브 픽셀 영역의 변의 길이 만큼 변위량을 발생시킬 수 있고, 또는, 필터링 어레이 계층(420)은 자체 광축에 수직인 평면 내에서 왼쪽 아래로 하나의 서브 픽셀 영역의 대각선의 치수와 같은 변위량을 발생시킬 수 있고, 이에 여기서는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필터링 어레이 계층(420)의 이동 방향이 서로 다른 경우에, 전술한 제1 필터링 서브 계층 및 제2 필터링 서브 계층에 대응하는 필터의 종류도 서로 다르다.
더 직관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는 필터링 어레이 계층(420)에서 각 픽셀 영역에서 4개의 필터링 서브 계층의 분포를 도시하고, 각각 제1 필터링 서브 계층(401), 제2 필터링 서브 계층(402), 제3 필터링 서브 계층(403) 및 제4 필터링 서브 계층(404)이고, 여기서, 제1 위치에 위치하는 필터링 어레이 계층(420)의 제1 필터링 서브 계층(401)을 렌즈(200)의 중심으로 향하게 하고, 즉, 필터링 어레이 계층(420)이 제1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렌즈(200)의 중심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선은 제1 필터링 서브 계층(401)을 통과하여 감광성 계층(410)으로 투사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필터링 어레이 계층(420)의 위치가 변화된 후, 렌즈(200)와 필터링 어레이 계층(420) 간의 대응 관계도 변화되고, 구체적으로, 필터링 어레이 계층(420)이 제2 위치로 이동된 후, 렌즈(200)의 중심을 향하는 것은 제2 필터링 서브 계층(402’)이고, 즉, 필터링 어레이 계층(420)이 제2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렌즈(200)의 중심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선은 제2 필터링 서브 계층(402’)을 통과하여 감광성 계층(410)으로 투사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필터링 서브 계층(402’) 및 제2 필터링 서브 계층(402)은 동일한 종류의 필터에 대응할 수 있지만 둘은 각각 두 개의 픽셀 영역 내에 위치할 수도 있고, 제2 필터링 서브 계층(402’)이 위치하는 픽셀 영역은 또한 제1 필터링 서브 계층(401’), 제3 필터링 서브 계층(403’) 및 제4 필터링 서브 계층(404’)을 포함한다.
필터링 어레이 계층(420)을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과정에서, 필터링 어레이 계층(420)을 자체 광축에 수직인 평면 내에서 왼쪽 또는 아래쪽으로 하나의 서브 픽셀 영역의 변의 길이 만큼 변위량을 발생시키고, 또는, 왼쪽 아래로 하나의 서브 픽셀 영역의 대각선의 길이 만큼 변위량을 발생시킴으로써, 제1 필터링 서브 계층(401)이 위치하는 픽셀 영역과 제2 필터링 서브 계층(402’)이 위치하는 픽셀 영역 간의 상대적 위치는 각각 도 5 내지 도 7에 대응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촬영 모듈을 제공함에 있어서, 그의 렌즈는 감광성 칩과 협력하고, 감광성 칩(400)의 필터링 어레이 계층(420)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어, 필터링 어레이 계층(420)의 위치가 변화될 경우에, 렌즈(200)로부터 입사되는 광선은 각각 제1 필터링 서브 계층 및 제2 필터링 서브 계층을 통과할 수 있고, 또한 감광성 칩의 감광성 계층을 통해 각각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를 형성하고,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의 내용은 동일하다. 또한, 제1 필터링 서브 계층 및 제2 필터링 서브 계층의 동일 픽셀 영역 내에서의 등가 필터링 서브 계층은 이 픽셀 영역에서의 임의의 두 개이므로, 두 번의 이미징 과정에서, 필터링 어레이 계층(420)이 입사 광선에 대한 필터링 처리 결과는 서로 다르고, 나아가,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의해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의 합성을 수행함으로써, 형성된 합성 이미지에 각 필터링 통로의 실제 감광성 픽셀을 증가시킬 수 있어, 이미지의 해상도를 향상시키고 사진의 표현 효과를 더 좋게 하고 최종 이미지 화질 수준 및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 모듈에서, 구동부재는 또한 필터링 어레이 계층(420)을 제3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동할 수 있고, 즉, 구동부재는 필터링 어레이 계층(420)을 렌즈(200)에 대해 제1 위치, 제2 위치 및 제3 위치 사이에서 서로 전환되도록 구동하고, 구체적으로, 구동부재의 수는 다수 개일 수 있고, 또는, 구동부재는 다방향의 구동 작용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필터링 어레이 계층(420)이 제3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렌즈(200)로부터 입사되는 광선은 필터링 어레이 계층(420)의 제3 필터링 서브 계층을 통과하여 감광성 계층(410)에 제3 이미지를 형성하고, 제3 이미지 및 제1 이미지의 내용은 동일하고, 제1 필터링 서브 계층, 제2 필터링 서브 계층 및 제3 필터링 서브 계층의 동일 픽셀 영역 내에서의 등가 필터링 서브 계층은 이 픽셀 영역에서의 임의의 3개의 필터링 서브 계층이다.
전술한 기술적 솔루션을 채용함으로써, 동일 광선에 대한 필터링 처리 결과의 형식을 더욱 증가할 수 있고,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을 통해 제1 이미지, 제2 이미지 및 제3 이미지에 대해 합성을 수행한 후, 합성 이미지에 각 필터링 통로의 실제 감광성 픽셀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어, 이미지의 해상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필터링 어레이 계층(420)이 이동하는 방향을 제어함으로써, 필터링 어레이 계층(420)과 렌즈(200) 간의 상대적 위치 관계를 변경할 수 있고, 나아가 렌즈(200)로부터 입사되는 광선에 대응하는 필터링 서브 계층을 변경하고, 즉, 렌즈(200)로부터 입사되는 광선이 통과하는 필터의 종류를 변경하여 동일 광선에 대한 필터링 처리 결과를 증가시키는 목적에 도달한다. 선택적으로, 제1 필터링 서브 계층, 제2 필터링 서브 계층 및 제3 필터링 서브 계층은 각각 녹색 필터, 적색 필터 및 청색 필터에 대응할 수 있고, 이는 이미지에서 RGB에 대응하는 감광성 픽셀의 해상도를 모두 향상시킬 수 있고, 형성된 이미지의 효과가 더 좋게 한다.
더 나아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 모듈에서, 구동부재는 또한 필터링 어레이 계층(420)을 제4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동할 수 있고, 즉, 구동부재는 필터링 어레이 계층(420)을 렌즈(200)에 대해 제1 위치, 제2 위치, 제3 위치 및 제4 위치 사이에서 서로 전환되도록 구동한다. 필터링 어레이 계층(420)이 제4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렌즈(200)로부터 입사되는 광선은 필터링 어레이 계층(420)의 제4 필터링 서브 계층을 통과하여 감광성 계층(410)에 제4 이미지를 형성하고, 제4 이미지 및 제1 이미지의 내용은 동일하고, 제1 필터링 서브 계층, 제2 필터링 서브 계층, 제3 필터링 서브 계층 및 제4 필터링 서브 계층의 동일 픽셀 영역 내에서의 등가 필터링 서브 계층은 이 픽셀 영역에서의 4개의 필터링 서브 계층이다.
전술한 기술적 솔루션을 채용함으로써, 동일 광선에 대한 필터링 처리 결과의 형식을 더욱 증가할 수 있고,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을 통해 제1 이미지, 제2 이미지, 제3 이미지 및 제4 이미지에 대해 합성을 수행한 후, 합성 이미지에 각 필터링 통로의 실제 감광성 픽셀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어, 이미지의 해상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기술적 솔루션을 채용할 때, 광선을 직접 감광성 칩에 입사하는 솔루션에 비해, R 통로 및 B 통로의 이미지의 해상도는 3배 향상되고, G 통로의 이미지의 해상도는 2배 향상되어 이미지의 선명도를 크게 향상시킨다.
구동부재가 필터링 어레이 계층(420)을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과정에서, 구동부재의 구동량을 정확하게 제어함으로써, 필터링 어레이 계층(420)이 이동할 때 미리 설정된 변위량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미리 설정된 변위량은 하나의 서브 픽셀 영역의 변의 길이일 수 있다. 촬영 모듈의 제어 난이도를 줄이기 위해, 본 출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촬영 모듈은 위치제한부재(600)를 더 포함하고, 필터링 어레이 계층(420)은 위치제한부재를 통해 렌즈과 활동 가능하게 협력한다.
위치제한부재(600)는 위치제한 베이스(601) 및 연결부(602)를 포함하고, 위치제한 베이스(601) 및 연결부(602)는 활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필터링 어레이 계층(420) 및 구동부재의 구동 해드는 모두 위치제한 베이스(601)와 연결될 수 있고, 또는 모두 연결부(602)와 연결될 수 있어, 위치제한 베이스(601)와 연결부(602) 간의 위치제한 협력 관계에 의해 필터링 어레이 계층(420)의 변위량에 대해 제어하고, 예를 들어, 위치제한 베이스(601)는 하우징(100)에 고정될 수 있고, 필터링 어레이 계층(420) 및 구동부재의 구동 해드는 모두 연결부(602)와 연결된다.
위치제한 베이스(601)는 제1 위치제한 그루브, 제2 위치제한 그루브, 제3 위치제한 그루브 및 제4 위치제한 그루브를 가지고 있고, 제1 위치제한 그루브, 제2 위치제한 그루브, 제3 위치제한 그루브 및 제4 위치제한 그루브는 서로 연통되어, 활동 공간(603)을 구성하여, 연결부(602)가 활동 공간 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보장하고, 각각 전술한 4자와 위치제한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602)가 상기 제1 위치제한 그루브 내에 위치제한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필터링 어레이 계층(420)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연결부(602)가 상기 제2 위치제한 그루브 내에 위치제한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필터링 어레이 계층(420)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연결부(602)가 상기 제3 위치제한 그루브 내에 위치제한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필터링 어레이 계층(420)은 상기 제3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연결부(602)가 상기 제4 위치제한 그루브 내에 위치제한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필터링 어레이 계층(420)은 상기 제4 위치에 위치한다.
통상적으로 전술한 기술적 솔루션을 채용함으로써, 위치제한부재(600)를 통해 필터링 어레이 계층(420)의 변위량에 대해 제한할 수 있고, 필터링 어레이 계층(420)의 이동이 필요할 때, 구동부재를 통해 연결부재를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동하고, 위치제한 베이스(601)는 신뢰할 수 있는 위치제한 작용을 제공하여 연결부재가 대응하는 방향으로 계속하여 이동을 할 수 없을 때, 필터링 어레이 계층(420)이 목표 위치까지 구동되었다고 볼 수 있어, 구동부재에 의한 자체 구동량의 제어 난이도를 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위치제한 그루브, 제2 위치제한 그루브, 제3 위치제한 그루브 및 제4 위치제한 그루브의 구체적 치수 및 구조는 연결부의 치수 및 형상 등의 실제 상황에 근거하여 결정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위치제한 그루브, 제2 위치제한 그루브, 제3 위치제한 그루브 및 제4 위치제한 그루브는 모두 정사각형 구조부재일 수 있고, 치수의 크기는 하나의 서브 픽셀 영역의 크기와 동일하다. 이에 대응하여, 연결부가 정상적으로 위치제한될 수 있도록 보장하기 위해, 연결부는 밑면이 정사각형인 기둥 모양의 구조일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전술한 4자 사이는 서로 연결되어 정사각형 구조를 형성할 수 있고, 즉, 4자는 각각 픽셀 영역에서의 4개의 서브 픽셀 영역에 대응하여, 2×2로 분포되고, 이러한 경우에, 연결부(602)가 4자와 각각 협력할 때, 필터링 어레이 계층(420)을 각각 제1 위치, 제2 위치, 제3 위치 및 제4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어, 감광성 계층(410)에 각각 제1 이미지, 제2 이미지, 제3 이미지 및 제4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2 위치제한 그루브 및 제3 위치제한 그루브는 연결되고, 제1 위치제한 그루브는 제2 위치제한 그루브 및 제3 위치제한 그루브의 분포 방향의 일측에 위치하고, 제4 위치제한 그루브는 전술한 분포 방향의 다른 일측에 위치하고, 제1 위치제한 그루브 및 제2 위치제한 그루브는 연결되고, 제4 위치제한 그루브 및 제3 위치제한 그루브는 연결되고, 통속적으로 말하면, 제2 위치제한 그루브는 제1 위치제한 그루브의 오른쪽에 연결되고, 제3 위치제한 그루브는 제2 위치제한 그루브의 아래쪽에 연결되고, 제4 위치제한 그루브는 제3 위치제한 그루브의 오른쪽에 연결되고, “Z”자형과 비슷한 구조를 형성한다고 볼 수 있다.
전술한 기술적 솔루션을 채용하는 경우에, 연결부(602)가 전술한 4자에서의 임의의 인접한 둘 사이에서 이동할 때, 모두 연결부(602)를 특정 방향에서 위치제한 베이스(601)에 의해 위치제한될 수 있고, 구동부재가 제공하는 구동력을 결부함으로써, 연결부(602)의 운동 방향을 유일하게 할 수 있어 구동 난이도를 더욱 줄이고, 운동 정밀도를 향상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위치제한 베이스의 제1 위치제한 그루브 등의 치수는 연결부의 구조 및 치수 등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결정될 수 있고, 선택적으로, 제1 위치제한 그루브 및 제2 위치제한 그루브의 분포 방향, 및 제2 위치제한 그루브와 제3 위치제한 그루브의 분포방향에서 연결부의 치수는 모두 서브 픽셀 영역의 치수와 같다. 이러한 경우에, 제1 위치제한 그루브, 제2 위치제한 그루브, 제3 위치제한 그루브 및 제4 위치제한 그루브의 밑면의 형상 및 치수는 각각 서브 픽셀 영역의 형상 및 치수와 대응되어 동일할 수 있어, 제1 위치제한 그루브 등의 설계 및 가공 난이도가 상대적으로 더 낮고, 연결부와 각 위치제한 그루브 사이에 더 신뢰할 수 있는 위치제한 관계를 갖도록 보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부는 밑면이 정사각형인 기둥 모양의 구조부재일 수 있고, 본 출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연결부(602)는 원기둥 모양의 구조부재일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 연결부(602)와 위치제한 베이스(601) 사이의 접촉 면적이 더 작아 둘의 상대적 운동의 난이도를 줄여 구동 난이도를 줄일 수 있다.
렌즈의 광축은 감광성 칩(400)의 감광성 면에 수직되고, 즉, 감광성 칩은 렌즈를 향한다. 이러한 경우에, 렌즈 및 감광성 칩의 설계 및 장착 난이도는 모두 상대적으로 더 낮아, 감광성 칩(400)의 감광도를 향상시키고, 이미징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물론, 대응하는 수요가 존재하는 경우에, 감광성 칩(400)이 렌즈(200)와 대향하지 않을 수 있고, 예를 들어, 촬영 모듈을 잠망경 모듈로 설치할 수 있어, 촬영 모듈의 줌 배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 모듈은 적외선 필터(500)를 더 포함하고, 적외선 필터(500)는 렌즈(200)의 출광측, 즉 감광성 칩(400)의 입광측에 설치된다. 적외선 필터(500)의 도움으로 렌즈(200)를 통해 촬영 모듈 내로 입사되는 광선에 필터링 역할을 수행하여, 감광성 칩(400)으로 투사되는 불필요한 광선을 필터링하여 걸러내고, 감광성 칩(400)에 위색 및/또는 파문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감광성 칩(400)의 유효적인 해상도 및 색채 환원성을 향상시킨다.
선택적으로, 렌즈(200)는 확장된 피사계 심도 렌즈이고, 렌즈(200)의 R, G, B의 3개 필터링 통로의 통과 초점을 서로 다른 위치에 위치하도록 설계하고 3개의 통과 초점이 3개의 초점 거리를 커버함으로써, R, G, B의 3개 파장대의 세로 방향 색차를 넓혀, 원거리, 중거리, 근거리 3개의 거리를 커버하는 목적에 도달한다. 여기서, 원거리, 중거리, 근거리 3개의 거리는 상대적 개념이고, 즉, 원거리는 중간 거리에 대해 더 먼 위치이고, 근거리는 중간 거리에 비해 더 가까운 위치이다.
렌즈(200)가 전술한 기술적 솔루션을 채용함으로써, 각각 R, G 및 B에 대응하는 3장의 사진을 촬영할 수 있고, 이 3장의 사진은 각각 전술한 원거리, 중거리, 근거리 3개의 거리에 초첨을 맞출 수 있다. 다음, 복원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윈도우 검출 함수를 이용하여 전체 시야 영역에 대해 검출하고, 각 윈더우에서 R, G, B에 대응하는 3장의 사진에서 어느 것이 가장 선명한지 결정한 다음, 가장 선명한 사진에 기초하여 다른 두 장의 사진을 디컨볼루션 알고리즘에 의해 선명도를 변환하여 모든 거리에서 상대적으로 선명한 사진을 합성할 수 있다.
전술한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서 개시된 촬영 모듈을 기반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전자기기를 더 제공함에 있어서, 전자기기는 전술한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 모듈을 포함하고, 물론, 전자기기는 표시 모듈, 하우징 및 전지 등 기타 부품을 더 포함하고, 텍스트의 간결함을 고려하여 여기서는 일일이 소개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개시된 전자기기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전자책 리더 또는 웨어러블 기기일 수 있다. 물론, 이 전자기기는 기타 기기일 수도 있고,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제한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상기 실시예에서 중점적으로 각 실시예들 간의 차이를 설명하고, 각 실시예들의 서로 다른 최적화 특징이 모순되지 않는 한, 서로 조합되어 더 나은 실시예를 형성할 수 있으며, 문장의 간결함을 고려하여,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설명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출원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출원에 다양한 수정과 변화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출원의 취지와 원리 내에서 이루어진 모든 수정, 동등한 대체, 개선은 모두 본 출원의 청구 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100 - 하우징,
200 - 렌즈,
400 - 감광성 칩, 410 - 감광성 계층, 420 - 필터링 어레이 계층, 401 - 제1 필터링 서브 계층, 402 - 제2 필터링 서브 계층, 403 - 제3 필터링 서브 계층, 404 - 제4 필터링 서브 계층, 401’ - 제1 필터링 서브 계층, 402’ - 제2 필터링 서브 계층, 403’ - 제3 필터링 서브 계층, 404’ - 제4 필터링 서브 계층,
500 - 적외선 필터,
600 - 위치제한부재, 601 - 위치제한 베이스, 602 - 연결부, 603 - 활동 공간

Claims (10)

  1. 촬영 모듈에 있어서, 렌즈, 구동부재, 감광성 칩을 포함하되, 상기 감광성 칩은 베이어 어레이 센서이고, 상기 감광성 칩은 다수의 행렬로 배포된 픽셀 영역을 포함하고, 각 상기 픽셀 영역은 모두 4개의 서브 픽셀 영역을 포함하고, 각 상기 서브 픽셀 영역은 모두 필터링 서브 계층 및 감광성 서브 계층을 포함하고,
    상기 감광성 칩은 감광성 계층 및 필터링 어레이 계층을 포함하고, 상기 감광성 계층은 상기 렌즈에 대해 고정 설치되고, 상기 필터링 어레이 계층과 상기 구동부재는 연결되고,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필터링 어레이 계층을 상기 렌즈에 대해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전환되도록 구동할 수 있고,
    상기 필터링 어레이 계층이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렌즈로부터 입사되고 또한 제1 필터링 서브 계층을 통과하는 광선은 상기 감광성 계층을 통해 제1 이미지를 형성하고, 상기 필터링 어레이 계층이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렌즈로부터 입사되고 또한 제2 필터링 서브 계층을 통과하는 광선은 상기 감광성 계층을 통해 제2 이미지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의 내용은 동일하고, 상기 제1 필터링 서브 계층 및 상기 제2 필터링 서브 계층의 동일 상기 픽셀 영역 내에서의 등가 필터링 서브 계층은 이 픽셀 영역에서의 임의의 두 개의 상기 필터링 서브 계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필터링 어레이 계층을 상기 렌즈에 대해 상기 제1 위치, 상기 제2 위치 및 제3 위치 사이에서 전환되도록 구동할 수 있고,
    상기 필터링 어레이 계층이 상기 제3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렌즈로부터 입사되고 또한 제3 필터링 서브 계층 내를 통과하는 광선은 상기 감광성 계층을 통해 제3 이미지를 형성하고, 상기 제3 이미지 및 상기 제1 이미지의 내용은 동일하고, 상기 제1 필터링 서브 계층, 상기 제2 필터링 서브 계층 및 상기 제3 필터링 서브 계층이 동일 상기 픽셀 영역내에서의 등가 필터링 서브 계층은 이 픽셀 영역에서의 임의의 3개의 상기 필터링 서브 계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필터링 어레이 계층을 상기 렌즈에 대해 상기 제1 위치, 상기 제2 위치, 상기 제3 위치 및 제4 위치 사이에서 전환되도록 구동할 수 있고,
    상기 필터링 어레이 계층이 상기 제4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렌즈로부터 입사되고 또한 제4 필터링 서브 계층 내를 통과하는 광선은 상기 감광성 계층을 통해 제4 이미지를 형성하고, 상기 제4 이미지 및 상기 제1 이미지의 내용은 동일하고, 상기 제1 필터링 서브 계층, 상기 제2 필터링 서브 계층, 상기 제3 필터링 서브 계층 및 상기 제4 필터링 서브 계층의 동일 상기 픽셀 영역 내의 등가 필터링 서브 계층은 이 픽셀 영역에서의 4개의 상기 필터링 서브 계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모듈은 위치제한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링 어레이 계층은 상기 위치제한부재를 통해 상기 렌즈의 활동 가능하게 협력하고, 상기 위치제한부재는 위치제한 베이스 및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제한 베이스 또는 상기 연결부는 상기 구동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위치제한 베이스에는 서로 연통되는 제1 위치제한 그루브, 제2 위치제한 그루브, 제3 위치제한 그루브 및 제4 위치제한 그루브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가 상기 제1 위치제한 그루브에 위치제한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필터링 어레이 계층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연결부가 상기 제2 위치제한 그루브에 위치제한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필터링 어레이 계층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연결부가 상기 제3 위치제한 그루브에 위치제한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필터링 어레이 계층은 상기 제3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연결부가 상기 제4 위치제한 그루브에 위치제한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필터링 어레이 계층은 상기 제4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제한 그루브 및 상기 제3 위치제한 그루브는 연결되고, 상기 제1 위치제한 그루브는 상기 제2 위치제한 그루브 및 상기 제3 위치제한 그루브의 분포 방향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4 위치제한 그루브는 상기 분포 방향의 다른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위치제한 그루브 및 상기 제2 위치제한 그루브는 연결되고, 상기 제4 위치제한 그루브 및 상기 제3 위치제한 그루브는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모듈.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제한 그루브 및 상기 제2 위치제한 그루브의 분포 방향, 및 상기 제2 위치제한 그루브와 상기 제3 위치제한 그루브의 분포 방향에서 상기 연결부의 치수는 모두 상기 서브 픽셀 영역의 변의 길이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원기둥 모양의 구조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모듈은 적외선 필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외선 필터는 상기 렌즈의 출광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모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확장된 피사계 심도 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모듈.
  10. 전자기기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상기 촬영 모듈 그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KR1020237025949A 2020-12-31 2021-12-30 전자기기 및 그의 촬영 모듈 KR2023012832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1639273.2A CN112822366B (zh) 2020-12-31 2020-12-31 电子设备及其摄像模组
CN202011639273.2 2020-12-31
PCT/CN2021/142766 WO2022143850A1 (zh) 2020-12-31 2021-12-30 电子设备及其摄像模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8327A true KR20230128327A (ko) 2023-09-04

Family

ID=75857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5949A KR20230128327A (ko) 2020-12-31 2021-12-30 전자기기 및 그의 촬영 모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345104A1 (ko)
EP (1) EP4274212A4 (ko)
KR (1) KR20230128327A (ko)
CN (1) CN112822366B (ko)
WO (1) WO20221438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22366B (zh) * 2020-12-31 2022-07-0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摄像模组
CN115278000A (zh) * 2022-06-24 2022-11-0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图像传感器、图像生成方法、摄像头模组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79904A (zh) * 2014-07-17 2014-10-01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彩色图像生成方法及装置
CN106210677B (zh) * 2016-07-29 2018-02-06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图像色彩处理方法、装置及终端设备
CN207926763U (zh) * 2018-01-05 2018-09-28 深圳市众鑫创展科技有限公司 光信号ad转换电路、滤光片切换器
CN109067945A (zh) * 2018-09-10 2018-12-2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单摄像头实现夜景增强的方法及装置
JP2020123862A (ja) * 2019-01-31 2020-08-1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符号化装置
WO2020177123A1 (en) * 2019-03-07 2020-09-10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Color imaging system
CN110445969B (zh) * 2019-08-16 2021-01-12 维沃移动通信(杭州)有限公司 摄像模组及电子设备
CN211406096U (zh) * 2020-03-03 2020-09-01 深圳市海谱纳米光学科技有限公司 一种高光谱成像系统
CN112822366B (zh) * 2020-12-31 2022-07-0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摄像模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822366B (zh) 2022-07-01
WO2022143850A1 (zh) 2022-07-07
US20230345104A1 (en) 2023-10-26
EP4274212A1 (en) 2023-11-08
CN112822366A (zh) 2021-05-18
EP4274212A4 (en) 2024-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128327A (ko) 전자기기 및 그의 촬영 모듈
CN108351497B (zh) 具有多通道成像装置的装置以及用于制造其的方法
KR100598758B1 (ko) 입체 표시 장치
JP4714115B2 (ja) 立体映像表示装置および立体映像表示方法
JP2008067095A (ja) 立体映像表示装置および立体映像表示方法
US20230336859A1 (en) Electronic device, and camera module thereof
US20230345102A1 (en) Electronic device, and camera module thereof
US20230345105A1 (en) Electronic device and camera module thereof
US20120098827A1 (en)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apparatus
US20230345138A1 (en) Electronic device and camera module thereof
US11835813B2 (en) Display module, display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US11662572B1 (en) Display devices and methods for projecting light to a viewer
JP2024501107A (ja) 端末装置
JPH10253920A (ja) 光学装置
CN103913939A (zh) 光栅扫描式立体曝光机
US8233141B2 (en) Shutter pixel, shutter structure including the shutter pixel, and exposure apparatus including the shutter structure
CN112822367A (zh) 电子设备及其摄像模组
US9280040B2 (en) Projection screen and projection system using the s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