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7439A - Big-data constructing and using system and method for road conditions applying black-box or special mounted camera in vehicles - Google Patents

Big-data constructing and using system and method for road conditions applying black-box or special mounted camera in vehic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7439A
KR20230127439A KR1020220024627A KR20220024627A KR20230127439A KR 20230127439 A KR20230127439 A KR 20230127439A KR 1020220024627 A KR1020220024627 A KR 1020220024627A KR 20220024627 A KR20220024627 A KR 20220024627A KR 20230127439 A KR20230127439 A KR 202301274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g data
road
vehicle
service
vision recogn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46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원창연
정우성
변상철
Original Assignee
오큐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큐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큐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24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7439A/en
Publication of KR20230127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7439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6/7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6/75Clustering; Class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6/7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787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geographical or spatial information, e.g.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7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 G06V10/764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using classification, e.g. of video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6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exterior to a vehicle by using sensors mounted on the vehicle
    • G06V20/58Recognition of moving objects or obstacles, e.g. vehicles or pedestrians; Recognition of traffic objects, e.g. traffic signs, traffic lights or ro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6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exterior to a vehicle by using sensors mounted on the vehicle
    • G06V20/588Recognition of the road, e.g. of lane markings; Recognition of the vehicle driving pattern in relation to the r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국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이 내장하고 있는 블랙박스에 구비된 내장 카메라나 별도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주행 중 도로상에서 많은 종류의 데이터를 획득하고 축적하며, 축적된 데이터를 분석하고 빅데이터화시켜 다양하게 활용하도록 구현한 차량 내 블랙박스나 별도 장착된 카메라를 활용한 도로 상황에 대한 빅데이터 구축 및 활용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AI비전인식부가 차량에 내장된 블랙박스의 내장 카메라 또는 별도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주행 중 도로 상황에 대한 AI 비전 인식을 통하여 도로 상황 영상을 분류해서 수집하며; 빅데이터구축부가 AI비전인식부에서 분류 수집한 도로 상황 영상에서 도로 상황 데이터를 추출하여 축적시켜 빅데이터를 구축해 주며; 및 빅데이터활용부가 빅데이터구축부에서 구축한 빅데이터를 판독하여 서비스 종류별로 이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해 준다.The present invention acquires and accumulates many types of data on the road while driving using a built-in camera or a separately mounted camera provided in a black box installed in a vehicle traveling on national roads, analyzes the accumulated data, and converts it into big data. It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building and utilizing big data on road conditions using a black box in a vehicle or a separately installed camera, which is implemented to be used in various ways by using AI vision recognition. Classify and collect road situation images through AI vision recognition of road conditions while driving using a camera mounted thereon; 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extracts and accumulates road situation data from the road situation images classified and collected by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and builds big data; And the big data utilization unit reads the big data built by 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and provides corresponding services for each service type.

Description

차량 내 블랙박스나 별도 장착된 카메라를 활용한 도로 상황에 대한 빅데이터 구축 및 활용 시스템 및 방법{Big-data constructing and using system and method for road conditions applying black-box or special mounted camera in vehicles}Big-data constructing and using system and method for road conditions applying black-box or special mounted camera in vehicles}

본 발명의 기술 분야는 차량 내 블랙박스나 별도 장착된 카메라를 활용한 도로 상황에 대한 빅데이터 구축 및 활용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국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이 내장하고 있는 블랙박스에 구비된 내장 카메라나 별도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주행 중 도로상에서 많은 종류의 데이터를 획득하고 축적하며, 축적된 데이터를 분석하고 빅데이터화시켜 다양하게 활용하도록 구현한 차량 내 블랙박스나 별도 장착된 카메라를 활용한 도로 상황에 대한 빅데이터 구축 및 활용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nd utilizing big data on road conditions using a black box in a vehicle or a separately mounted camera. Acquiring and accumulating many types of data on the road while driving using a built-in camera or a separately installed camera, analyzing the accumulated data and converting it into big data to utilize an in-vehicle black box or a separately installed camera for various uses It is about a system and method for building and utilizing big data on road conditions.

GPS 기술 발전과 휴대용 무선기기의 보급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이를 응용한 도로 관리 시스템의 기술도 함께 발전하고 있다. 도로 관리 시스템은, 도로 관리자의 차량 혹은 휴대용 무선기기의 GPS 정보를 이용하여 각 도로별 상황을 수집한 후에,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도로 정보로 가공하여 도로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형태를 지닌다.As GPS technology develops and the spread of portable wireless devices rapidly increases, the technology of the road management system that applies it is also developing. The road management system collects conditions for each road using GPS information of a road manager's vehicle or portable wireless device, analyzes the collected data, processes the collected data into road information, and provides it to the road manager.

예를 들어, 길 안내 관리 시스템은, 내비게이션 장치에 저장된 경로와 고정된 주행 시간을 바탕으로 최단 거리를 운전자에게 제공하고 있으며, 또한 보다 진화된 길 안내 관리 시스템의 경우에, 실제 교통 정보를 반영하는 최단 거리를 운전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간 길 안내 관리 시스템은, 주행 경로에 따른 주행 시간과 관련된 정보만을 제공할 뿐인데, 즉 특정 도로에서 정체가 발생할 때, 단순 교통량 증가로 인한 정체인지, 사고로 인한 정체인지, 도로 공사로 인한 정체인지 등으로, 도로 정체에 대한 원인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없다. 그리고 이러한 실시간 길 안내 관리 시스템은, 정체 결과가 발생한 시점에 정보를 갱신하기 때문에, 돌발적인 사고에 따른 정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기가 어렵다는 단점도 있다. 이에 따라, 각 도로별 상황을 보다 즉각적으로 분석하여 도로 정보를 갱신하고 이를 도로 관리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차량의 외부를 촬영한 영상 빅데이터를 이용한 도로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이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For example, a road guidance management system provides the driver with the shortest distance based on a route stored in a navigation device and a fixed driving time. The shortest distance is provided to the driver. However, this real-time road guidance management system only provides information related to the driving time along the driving route, that is, when congestion occurs on a specific road, whether it is congestion due to a simple increase in traffic volume, an accident, or road construction. It is not possible to accurately determine the cause of road congestion due to traffic congestion or the like. In addition, since the real-time road guidance management system updates information at the time when congestion occurs, it is difficult to provide real-time traffic congestion due to an unexpected accident. Accordingly, it will be said that a roa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image big data taken from the outside of a vehicle are needed in order to more immediately analyze the situation for each road, update the road information, and provide it to the road manager.

한국등록특허 제10-1833359호(2018.02.22. 등록)는 차량의 외부 영상 빅데이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방법 및 장치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는데, 차량의 외부 상황을 촬영한 영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한 위치, 종류 및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객체분류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객체분류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의 외부 상황을 분석한 정보인 상황분석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황분석정보가 차량의 통행을 방해하는 사건인 통행방해이벤트에 해당하는지에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상황분석정보를 서버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황분석정보를 생성하는 단계가 외부 상황으로 인해 차량의 통행을 방해받는 차선 수 및 전체 차선 수 간의 비율인 차선방해비율과 외부 상황이 정리되기까지의 예상지속시간을 상황분석정보에 포함하고, 상황분석정보를 서버에게 전송하는 단계는 상황분석정보에 포함된 차선방해비율 및 예상지속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황분석정보가 통행방해이벤트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차량의 외부를 촬영한 영상의 빅데이터를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그 분석결과를 이용하여 도로의 외부 상황을 해석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별도 입력 없이도, 도로의 외부 상황으로부터 자동적으로 교통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833359 (registered on February 22, 2018) discloses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llecting traffic information using big data of external images of a vehicle, including at least one generating object classification information representing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a location, type, and state of an object; Based on the object classification information, generating situation analysis information that is information obtained by analyzing an external situation of the vehicle; and selectively transmitting the situation analysis information to the server based on whether the situation analysis information corresponds to a traffic obstruction event, which is an event that obstructs the passage of a vehicle. The step of including the lane obstruction ratio, which is the ratio between the number of lanes obstructed from traffic and the total number of lanes, and the expected duration until the external situation is cleared up in the situation analysis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situation analysis information to the server is the situation analysis informa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ituation analysis information corresponds to a traffic obstruction event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lane obstruction ratio and the expected duration included in the traffic obstruction event. According to the disclosed technology, it is possible to analyze big data of images taken from the outside of the vehicle using a deep learning algorithm, and use the analysis result to interpret the external situation of the road, and without a separate user input, the outside of the road Traffic information can be automatically collected from the situation.

한국등록특허 제10-2192420호(2020.12.11. 등록)는 비용 효율적인 블랙아이스 빅데이터 수집, 빅데이터 기반의 보다 정확한 블랙아이스 예측 분석, 블랙아이스 정보 공유 및 블랙아이스 제거를 위한 통제 등을 포함하는 블랙아이스 관련 통합 시스템을 구축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약 70km 간격으로 위치한, 도로 공사의 각각의 지사가 보유한 순찰차량들에 센서들을 장착하여, 도로 순찰 중에 블랙아이스 분석 데이터를 수집함으로써, 비용 효율적으로 블랙아이스 분석을 위한 빅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으며, 순찰차량의 순찰자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노면의 블랙아이스 유무 데이터를 함께 수집함으로써, 블랙아이스 판단 기준값을 정확하고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향후 보다 정확한 블랙아이스 예측이 가능하며, 수집한 빅데이터 기반으로 운전자 및 도로 관리자에게 실시간으로 블랙아이스 위험구간에 대한 알림 차량용 블랙박스를 활용한 빅데이터 기반의 도로 관리가 가능하며, 빅데이터 중 운전자가 관심이 있는 데이터 종류를 선택하여 볼 수 있으며, 블랙아이스 위험구간을 색상을 구분하여 출력하고, 등록된 위험지역의 상세 데이터를 출력하는 등 지도상에 다양한 UI(User Interface)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높일 수 있으며, 알림 차량용 블랙박스를 활용한 빅데이터 기반의 도로 관리를 통해 도로 관리자가 블랙아이스 예측 지역에 염화칼슘 등을 사전에 살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겨울철 교통안전을 선제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블랙아이스 위험지역 관리 시스템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도로상을 주행하면서 GPS 위치와 연동하여 블랙아이스 분석 데이터를 수집하는 블랙아이스 데이터 수집 장치; 및 네트워크를 통해 블랙아이스 데이터 수집 장치로부터 GPS 위치에 대한 블랙아이스 분석 데이터를 수신하고, 블랙아이스 분석 데이터를 분석하고, GPS 위치에 대한 블랙아이스 예측 정보를 설정하는 블랙아이스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블랙아이스 분석 데이터는 블랙아이스 데이터 수집 장치 ID, 온습도 센서부 ID, 데이터 수집 시간, GPS 정보, 대기온도, 노면온도 및 습도를 포함하고; 블랙아이스 분석 데이터는 GPS 위치에 블랙아이스 유무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태 정보는 블랙아이스 데이터 수집 장치에서 외부입력에 기초하여 획득하고; 블랙아이스 관리 서버는 블랙아이스 분석 데이터를 블랙아이스 데이터 수집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블랙아이스 분석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블랙아이스 분석 데이터에 기초하여 GPS 위치에 대한 블랙아이스 판단 기준값을 설정하거나, 블랙아이스 예측 정보를 설정하는 분석부를 포함하고; GPS 위치에 대한 블랙아이스 판단 기준값은 소정의 습도값, 소정의 노면온도값, 소정의 대기온도값 및 대기온도와 노면온도의 소정의 차이값 중 적어도 하나이고; GPS 위치에 대한 블랙아이스 판단 기준값은 블랙아이스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상태 정보에 해당하는 블랙아이스 분석 데이터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192420 (registered on December 11, 2020) is a cost-effective black ice big data collection, more accurate black ice prediction analysis based on big data, black ice information sharing, and control for black ice removal. It is possible to build and provide an integrated system related to black ice, and collect black ice analysis data during road patrol by installing sensors on patrol vehicles owned by each branch of the road construction, located at intervals of about 70 km, in a cost-effective way. It is possible to collect big data for black ice analysis, and by collecting black ice presence data on the road through the patrol vehicle application,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and variously set the black ice judgment standard value, thereby making it more accurate in the future. It is possible to predict black ice, and notify drivers and road managers of black ice danger zones in real time based on the collected big data. User convenience can be enhanced by providing various user interfaces (UIs) on the map, such as outputting black ice danger zones by color and outputting detailed data of registered danger zones. and through big data-based road management using black boxes for notification vehicles, road managers can pre-spray calcium chloride in areas where black ice is predicted, thereby preemptively securing winter traffic safety. A hazardous area management system is disclosed. According to the disclosed technology, a black ice data collection device that collects black ice analysis data in conjunction with a GPS location while driving on a road; and a black ice management server that receives black ice analysis data for the GPS location from the black ice data collection device through the network, analyzes the black ice analysis data, and sets black ice prediction information for the GPS location; The black ice analysis data includes black ice data collection device ID,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ID, data collection time, GPS information, air temperature, road surface temperature and humidity; The black ice analysis data further includes state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or not there is black ice at the GPS location; State information is acquired based on an external input in the black ice data collection device; The black ice management server includes a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black ice analysis data from a black ice data collection device; a storage unit for storing black ice analysis data; and an analyzer configured to set black ice determination reference values for GPS locations or black ice predic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black ice analysis data; The black ice determination reference value for the GPS location is at least one of a predetermined humidity value, a predetermined road surface temperature value, a predetermined air temperature value, and a predetermined difference between the air temperature and the road surface temperature; The black ice determination criterion for the GPS loca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et based on black ice analysis data corresponding to state information indicating the existence of black ice.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차량의 외부 영상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교통 정보를 수집하거나, 차량용 블랙박스를 활용하여 겨울철 교통안전을 선제적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블랙아이스 위험지역을 관리하는 등과 같이, 한 가지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에 불과하여, 범죄, 도난이나 체납 차량 추적, 고장이나 사고 차량 확인, 교통사고, 로드 킬이나 도로 파손 확인, 견인이나 정비 서비스 연계, 유고나 대체 경로 제공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하지 못하는 단점을 여전히 가지고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서는, 차량용 블랙박스를 통해 획득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제공자에 대한 혜택도 없을 뿐만 아니라, 데이터 전송을 위한 유료 통신망을 사용해야 하는 등으로 실질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In the conventional technology as described above, traffic information is collected using external image big data of the vehicle, or a black box for a vehicle is used to preemptively secure traffic safety in winter, such as managing a black ice risk area. , It performs only one function, but it is diverse, such as tracking crime, stolen or delinquent vehicles, checking vehicles that have broken down or accidents, checking traffic accidents, road kills or road damage, linking towing or maintenance services, and providing accident or alternative routes. It still has some downsides that I can't use. In addition, in the prior art, not only is there no benefit to a provider that provides data obtained through a vehicle black box, but it is difficult to actually collect data, such as using a paid communication network for data transmission.

한국등록특허 제10-1833359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833359 한국등록특허 제10-2192420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192420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필요성 내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국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이 내장하고 있는 블랙박스에 구비된 내장 카메라나 별도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주행 중 도로상에서 많은 종류의 데이터를 획득하고 축적하며, 축적된 데이터를 분석하고 빅데이터화시켜 다양하게 활용하도록 구현한 차량 내 블랙박스나 별도 장착된 카메라를 활용한 도로 상황에 대한 빅데이터 구축 및 활용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necessity or disadvantage, using a built-in camera provided in a black box built into a vehicle traveling on national roads or a separately mounted camera to drive a road while driving A syste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nd utilizing big data for road conditions using a black box in a vehicle or a separately installed camera that acquires and accumulates many types of data from the vehicle, analyzes and transforms the accumulated data into big data, and uses it in various ways. is to provide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차량에 내장된 블랙박스의 내장 카메라 또는 별도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주행 중 도로 상황에 대한 AI 비전 인식을 통하여 도로 상황 영상을 분류해서 수집하기 위한 AI비전인식부; 상기 AI비전인식부에서 분류 수집한 도로 상황 영상에서 도로 상황 데이터를 추출하여 축적시켜 빅데이터를 구축해 주기 위한 빅데이터구축부; 및 상기 빅데이터구축부에서 구축한 빅데이터를 판독하여 서비스 종류별로 이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해 주기 위한 빅데이터활용부를 포함하는 차량 내 블랙박스나 별도 장착된 카메라를 활용한 도로 상황에 대한 빅데이터 구축 및 활용 시스템을 제공한다.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ccording to one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 road situation image is generated through AI vision recognition of the road situation while driving using a built-in camera of a black box built into a vehicle or a separately mounted camera. AI vision recognition unit for classification and collection; A big data construction unit for constructing big data by extracting and accumulating road situation data from road situation images classified and collected by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And a big data utilization unit for reading the big data built in 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and providing corresponding services for each service type, building big data for road conditions using a black box in the vehicle or a separately installed camera. and a utilization system.

일 실시 예에서, 상기 AI비전인식부는, 주행 중 도로 상황으로, 도로나 차량 상태, 도로 주변 상황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recognizes road conditions, vehicle conditions, and road surrounding conditions as road conditions during driving.

일 실시 예에서, 상기 AI비전인식부는, 차량용 블랙박스의 내장 카메라 또는 별도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한 도로 상황 영상에 GPS모듈을 이용한 위치 정보를 포함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using a GPS module in a road condition image obtained using a built-in camera of a vehicle black box or a separately mounted camera.

일 실시 예에서, 상기 AI비전인식부는, 상기 빅데이터구축부로부터 전달되는 분류영상정보를 도로 관리 서비스의 종류 및 서비스 종류에 해당하는 서비스 코드 별로 내부메모리에 저장해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lassification imag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is stored in an internal memory for each type of road management service and service code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service.

일 실시 예에서, 상기 AI비전인식부는, 내부메모리에 저장해 둔 분류영상정보를 바탕으로 차량용 블랙박스의 내장 카메라 또는 별도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한 도로 상황 영상이 어떤 도로 관리 서비스에 해당하는 영상인지를 확인하여, 도로 상황 영상을 서비스 종류 별로 분류하여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based on the classified image information stored in the internal memory, obtains a road condition image using a built-in camera of a vehicle black box or a separately mounted camera, which corresponds to a certain road management service. recognition, and collects road condition images by classifying them according to service types.

일 실시 예에서, 상기 AI비전인식부는, 차량용 블랙박스의 내장 카메라 또는 별도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한 도로 상황 영상의 서비스 종류를 확인하며, 확인한 서비스 종류에 해당하는 서비스 코드를 도로 상황 영상에 포함시켜 상기 빅데이터구축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checks the service type of the road condition image acquired using the built-in camera of the vehicle black box or a separately installed camera, and sends a service code corresponding to the checked service type to the road condition imag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cluded and transmitted to the big data building unit.

일 실시 예에서, 상기 AI비전인식부는, 차량용 블랙박스에 구비되어 주행 중 도로 주변 상황에 대한 AI 비전 인식 및 도로상 유고 상태 인식을 수행하며, 근거리 통신의 무료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차량 운전자의 모바일 단말기 또는 차량에 내장된 통신 모듈과 근거리 통신 접속을 수행해서, 모바일 단말기 또는 차량에 내장된 통신 모듈을 통해 도로 상황 영상(예를 들어, 서비스 분류, 위치의 정보, 입력 영상 중 서비스와 연관된 이미지 등을 포함함)을 상기 빅데이터구축부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is provided in a black box for a vehicle to perform AI vision recognition of a situation around the road while driving and recognition of an accident state on the road, and is provided with a free communication module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to enable the vehicle driver's mobile By performing a short-range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a terminal or a communication module built into a vehicle, a road situation image (eg, service classification, location information, an image related to a service among input images, etc. Including)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to the big data building unit.

일 실시 예에서, 상기 AI비전인식부는, 근거리 통신의 무료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무료 통신망에 근거리 통신 접속을 수행해서, 무료 통신망을 통해 도로 상황 영상을 상기 빅데이터구축부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is provided with a free communication module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to perform a short-range communication connection to a free communication network, and transmits a road condition image to 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through a free communication network.

일 실시 예에서, 상기 AI비전인식부는, 차량용 블랙박스에 구비되되, 원거리 통신의 유료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유료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빅데이터구축부와 원거리 통신 접속을 수행해서 도로 상황 영상을 상기 빅데이터구축부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is provided in a black box for a vehicle, and includes a paid communication module for remote communication, and performs a remote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through the paid communication module to display an image of a road situ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transmitted to 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일 실시 예에서, 상기 AI비전인식부는, 별도의 도로 관리 서버에 구비되어, 차량용 블랙박스의 내장 카메라 또는 별도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한 도로 상황 영상을 전송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is provided in a separate road management server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receives a road condition image obtained using a built-in camera of a vehicle black box or a separately mounted camera.

일 실시 예에서, 상기 AI비전인식부는, 도로 상황 영상의 서비스 종류 확인 시 고장이나 사고 차량 확인 서비스의 경우나, 교통사고의 경우에, 사고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AI비전인식부이 정상 동작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정상확인메시지를 생성시켜 사고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AI비전인식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checks whether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installed in the accident vehicle is operating normally in the case of a breakdown or accident vehicle confirmation service or a traffic accident when checking the service type of the road condition image. It is characterized by generating a normal confirmation message for confirmation and transmitting it to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installed in the accident vehicle.

일 실시 예에서, 상기 AI비전인식부는, 타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AI비전인식부로부터 정상확인메시지를 수신받는 경우에, 정상 구동되고 있음을 알려 주기 위한 정상알림메시지를 생성시켜 타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AI비전인식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when receiving a normal confirmation message from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installed in another vehicle, generates a normal notification message to inform that it is normally driven and is installed in another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transmitted to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일 실시 예에서, 상기 AI비전인식부는, 정상확인메시지를 전송한 후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정상알림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경미한 상태로 인식하고, 사고를 주변에 알리기 위한 사고알림명령을 생성시켜 사고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AI비전인식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when receiving a normal notification message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fter transmitting the normal confirmation message, recognizes it as a minor state and generates an accident notification command to notify the surroundings of the accident to the accident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transmitted to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installed in

일 실시 예에서, 상기 AI비전인식부는, 타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AI비전인식부로부터 전송되는 사고알림명령을 수신받는 경우에, 수신받은 사고알림명령에 따라 차량 ECU에 전달하여 차량 경고등을 온시켜 주거나, 차량 경적을 울려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when receiving an accident notification command transmitted from an AI vision recognition unit installed in another vehicle, transmits it to the vehicle ECU according to the received accident notification command to turn on the vehicle warning light It is characterized by giving or sounding a vehicle horn.

일 실시 예에서, 상기 AI비전인식부는, 정상확인메시지를 전송한 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여도 정상알림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심각한 상태로 인식하고, 운전자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생성시켜 출력수단을 통해 출력시켜 주거나, 심각한 상태를 알리기 위한 사고알림메시지를 생성시켜 유관 기관이나 관계자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if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does not receive a normal notification message even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ransmitting the normal confirmation message, it recognizes it as a serious condition and generates a message requesting help to the driv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outputs through an output means or generates an accident notification message to notify a serious state and transmits it to a related institution or person concerned.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빅데이터구축부는, 차량용 블랙박스의 내장 카메라 또는 별도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한 도로 상황 영상이 어떤 도로 관리 서비스에 해당하는 영상인지를 확인하도록 하기 위해서, 서비스 종류 및 서비스 종류에 해당하는 서비스 코드 별로 이에 대응하는 분류영상정보를 설정하여 등록해 두며, 설정 등록된 분류영상정보를 상기 AI비전인식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determines which road management service corresponds to a road condition image acquired using a built-in camera of a black box for a vehicle or a separately installed camera, service type and service Classification imag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service code corresponding to the type is set and registered, and the set-registered classification imag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빅데이터구축부는, 주행 중 도로상에서 획득할 수 있는 서비스 종류의 도로 상황 데이터를 서비스 종류 별로 분류해서 추출하도록 하기 위해서, 서비스 종류 및 서비스 종류에 해당하는 서비스 코드 별로 이에 대응하여 도로 상황 영상으로부터 추출해야 할 표준추출데이터를 설정하여 등록해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responds to each service type and service code corresponding to the service type in order to classify and extract road condition data of service types that can be obtained on the road while driving by service typ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standard extraction data to be extracted from the road condition image is set and registered.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빅데이터구축부는, 상기 AI비전인식부로부터 전달되는 도로 상황 영상에 포함된 서비스 코드를 확인하며, 확인한 서비스 코드에 해당하는 표준추출데이터를 확인하며, 확인된 표준추출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AI비전인식부로부터 전달되는 도로 상황 영상에서 확인한 서비스 코드에 해당하는 도로 상황 데이터를 추출하며, 추출한 도로 상황 데이터를 분석하고 빅데이터화시켜 저장하여 AI 비전 인식 주행 빅데이터를 구축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checks the service code included in the road condition image transmitted from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checks standard extrac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checked service code, and checks the checked standard extraction data Based on this, the road condi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service code identified in the road condition image transmitted from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is extracted, and the extracted road condition data is analyzed, converted into big data, and stored to build AI vision recognition driving big data. to be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빅데이터구축부는, 데이터 학습을 통한 인식 정확도를 개선해 주되; 상기 AI비전인식부로부터 전달되는 도로 상황 영상과 도로 상황 영상에서 추출한 도로 상황 데이터를 계속적으로 학습하도록 하여, 서비스 종류 및 서비스 종류에 해당하는 서비스 코드 별로 이에 대응하는 분류영상정보와 서비스 종류 및 서비스 종류에 해당하는 서비스 코드 별로 이에 대응하여 도로 상황 영상으로부터 추출해야 할 표준추출데이터를 업그레이시켜 등록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improves recognition accuracy through data learning; By continuously learning the road condition image transmitted from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and the road condition data extracted from the road condition image, classification imag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rvice type and service code corresponding to the service type and service type and service typ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andard extraction data to be extracted from the road condition image is upgraded and registered for each service code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service code.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빅데이터구축부는, 범죄, 도난이나 체납 차량 추적 서비스의 경우에, 상기 AI비전인식부로부터 전달되는 도로 상황 영상에서 도로 상황 데이터로 차량색상, 차량종류, 차량번호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extracts vehicle color, vehicle type, and license plate number as road situation data from the road situation image transmitted from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in case of crime, theft or delinquent vehicle tracking service. characterized by

일 실시 예에서, 도난, 범죄, 체납의 차량 번호는, 상기 빅데이터구축부로부터 상기 AI비전인식부에 주기적으로 전달되며, 상기 AI비전인식부가 입력 영상에서 차량 번호를 인식하고 해당 인식한 차량 번호와 해당 전달받은 차량 번호가 일치하는 경우에 그 정보가 상기 빅데이터구축부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vehicle number of theft, crime, or arrears is periodically transmitted from 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to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and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recognizes the vehicle number from the input image and the recognized vehicle numb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when the received license plate number coincides with the received vehicle number.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빅데이터구축부는, 고장이나 사고 차량 확인 서비스의 경우에, 상기 AI비전인식부로부터 전달되는 도로 상황 영상에서 도로 상황 데이터로 차량 본넷 열림, 차량 비상등 점등, 연기, 불꽃, 낙하물의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in the case of a breakdown or accident vehicle confirmation service, vehicle bonnet opening, vehicle emergency light lighting, smoke, flame, falling objects as road situation data from the road situation image transmitted from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It is characterized by extracting information of.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빅데이터구축부는, 교통사고, 로드 킬이나 도로 파손 확인 서비스의 경우에, 상기 AI비전인식부로부터 전달되는 도로 상황 영상에서 도로 상황 데이터로 차량 충돌, 동물 사체, 도로 파손의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in the case of a traffic accident, road kill or road damage confirmation service, uses road situation data from the road situation image transmitted from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to determine vehicle crashes, dead animals, and road damage. It is characterized by extracting information.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빅데이터구축부는, 상기 AI비전인식부로부터 전달되는 도로 상황 영상에서 추출한 도로 상황 데이터를 분류 및 관리하는 솔루션에 따라 대용량 정보 관리를 위한 클라우드 관리를 수행하며, 대용량 트래픽 분산 기술을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부하 밸런싱을 수행하며, 도로 상황 데이터에 대한 중복 정보 제거, 오인식 정보 필터링의 유효 정보 판단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performs cloud management for large-capacity information management according to a solution for classifying and managing road situation data extracted from road situation images transmitted from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and large-capacity traffic distribution technolog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pplication load balancing is performed using , and valid information determination algorithms for removing redundant information and filtering misrecognized information for road condition data are performed.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빅데이터활용부는, 도로 관리 서비스로, 범죄, 도난이나 체납 차량 추적 서비스, 고장이나 사고 차량 확인 서비스, 교통사고, 로드 킬이나 도로 파손 확인 서비스, 견인이나 정비 서비스 연계 서비스, 유고나 대체 경로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big data utilization unit is a road management service, crime, theft or delinquent vehicle tracking service, breakdown or accident vehicle confirmation service, traffic accident, road kill or road damage confirmation service, towing or maintenance service linkage service, It is characterized by providing a retention or alternative route providing service.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빅데이터활용부는, 상기 빅데이터구축부에서 구축한 빅데이터를 도로 관리 서비스의 종류 및 서비스 종류에 해당하는 서비스 코드 별로 이에 맞게 가공하여 도로 관리 서비스로 제공하도록 하기 위해서, 빅데이터를 서비스 종류 및 서비스 종류에 해당하는 서비스 코드 별로 이에 대응하는 도로 관리 데이터로 가공해서 제공해야 할 제공데이터폼을 설정하여 등록해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big data utilization unit processes the big data built in 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according to the type of road management service and each service code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service, so that it is provided as a road management servic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data is processed into road management data corresponding to each service type and service code corresponding to the service type, and a provision data form to be provided is set and registered.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빅데이터활용부는, 서비스 종류 및 서비스 종류에 해당하는 서비스 코드 별로 이에 대응하는 유관 기관이나 관계자와 연동하기 위한 연동정보를 설정하여 등록해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big data utilization unit is characterized by setting and registering interlocking information for linking with a related institution or person concerned for each type of service and service code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service.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빅데이터활용부는, 도로 관리 서비스의 종류 및 서비스 종류에 해당하는 서비스 코드 별로 이에 대응하는 제공데이터폼을 확인할하며, 확인한 제공데이터폼을 바탕으로 상기 빅데이터구축부로부터 판독한 빅데이터를 서비스 종류 및 서비스 종류에 해당하는 서비스 코드 별로 이에 대응하는 도로 관리 데이터로 가공하여 제공하며, 서비스 종류 및 서비스 종류에 해당하는 서비스 코드 별로 이에 대응하는 연동정보를 이용하여 유관 기관이나 관계자와 연동하고, 가공된 도로 관리 데이터를 연동된 유관 기관이나 관계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big data utilization unit checks the provided data form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road management service and service code corresponding to the service type, and reads from 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based on the checked provided data form. Big data is processed into road management data corresponding to each service type and service code corresponding to the service type and provided, and the corresponding interlocking information is used for each service type and service code corresponding to the service type to communicate with related organizations or related partie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terlocks and provides processed road management data to interlocked organizations or related parties.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빅데이터활용부는, 상기 빅데이터구축부에서 구축한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차량 사고 다발 지역을 분석하고 계절 및 지역별 도로 상황을 분석하여 유관 기관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big data utilization unit analyzes vehicle accident-prone areas using the big data built by 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analyzes road conditions by season and region, and provides the data to related organizations.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빅데이터활용부는, 경찰이나 국세청으로부터 범죄, 도난이나 체납 차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AI비전인식부에서의 번호판 인식을 통한 범죄, 도난이나 체납 차량 검출과 유고 상황 인식을 통한 AI 비전 상황 검출에 의해서 상기 빅데이터구축부에서 구축한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범죄, 도난이나 체납 차량 추적 서비스를 경찰이나 국세청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big data utilization unit receives information on a crime, theft or arrears vehicle from the police or the National Tax Service, detects a crime, theft or arrears vehicle, and recognizes an accident situation through license plate recognition in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It is characterized by providing a crime, theft or delinquent vehicle tracking service to the police or the National Tax Service by using the big data built by 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by AI vision situation detection through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빅데이터활용부는, 상기 AI비전인식부에서의 공사와 주행 방해 상황의 주행 방해 인식 및 교통사고 상황의 교통사고 인식에 의해서 상기 빅데이터구축부에서 구축한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유고나 대체 경로 제공 서비스를 내비게이션 제공 업체나 한국도로공사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big data utilization unit uses the big data built by 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by recognizing driving obstruction in construction and driving obstruction situations and traffic accident recognition in traffic accident situations in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It is characterized by providing a navigation service or an alternative route providing service to a navigation provider or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빅데이터활용부는, 차량용 블랙박스의 내장 카메라 또는 별도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한 도로 상황 영상을 제공하는 제공자에게, 공유 차량 품질 보증, 사고 예방 서비스 품질 향상, 차량 구매 혜택, 보험료 할인의 혜택을 제공해 줄 수 있는 포인트를 영상 제공 건과 활용 건에 대비하여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big data utilization unit, to a provider that provides a road condition image obtained using a built-in camera of a vehicle black box or a separately installed camera, provides shared vehicle quality assurance, accident prevention service quality improvement, and vehicle purchase benefits. In addition, it is characterized by granting points that can provide benefits of insurance premium discounts in preparation for video provision and utilization.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빅데이터활용부는, 상기 빅데이터구축부로 제공한 도로 상황 영상 건수 당 1포인트씩과 실질적으로 활용한 건수 당 2포인트씩을 제공자에게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big data utilization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grants 1 point for each number of road situation images provided to 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and 2 points for each number of actually used images to the provider.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본 발명의 다른 한 특징에 따르면, AI비전인식부가 차량에 내장된 블랙박스의 내장 카메라 또는 별도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주행 중 도로 상황에 대한 AI 비전 인식을 통하여 도로 상황 영상을 분류해서 수집하는 단계; 빅데이터구축부가 상기 AI비전인식부에서 분류 수집한 도로 상황 영상에서 도로 상황 데이터를 추출하여 축적시켜 빅데이터를 구축해 주는 단계; 및 빅데이터활용부가 상기 빅데이터구축부에서 구축한 빅데이터를 판독하여 서비스 종류별로 이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해 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내 블랙박스나 별도 장착된 카메라를 활용한 도로 상황에 대한 빅데이터 구축 및 활용 방법을 제공한다.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performs AI vision recognition for road conditions while driving using a built-in camera of a black box built into a vehicle or a separately mounted camera. Classifying and collecting road situation images through the; Building big data by extracting and accumulating road situation data from the road situation images classified and collected by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by 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and big data utilization unit reading the big data built by 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and providing corresponding services for each type of service. It provides construction and utilization methods.

본 발명의 효과로는, 전국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이 내장하고 있는 블랙박스에 구비된 내장 카메라나 별도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주행 중 도로상에서 많은 종류의 데이터를 획득하고 축적하며, 축적된 데이터를 분석하고 빅데이터화시켜 다양하게 활용하도록 구현한 차량 내 블랙박스나 별도 장착된 카메라를 활용한 도로 상황에 대한 빅데이터 구축 및 활용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범죄, 도난이나 체납 차량 추적, 고장이나 사고 차량 확인, 교통사고, 로드 킬이나 도로 파손 확인, 견인이나 정비 서비스 연계, 유고나 대체 경로 제공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 또한 차량용 블랙박스를 통해 획득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제공자에 대한 혜택을 제공하고 차량 내장 통신 모듈 또는 근거리 통신망을 통한 무선 단말기 연결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여 데이터를 수집하는데 편리함으로 제공해 줄 수 있다는 것이다.As an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ny types of data are acquired and accumulated on the road while driving using a built-in camera or a separately mounted camera provided in a black box built into a vehicle traveling on national roads, and the accumulated data By providing a syste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nd utilizing big data on road conditions using a black box in a vehicle or a separately installed camera, which is implemented to be used in various ways by analyzing and converting big data, crime, theft or delinquent vehicle tracking, breakdown or accident It can be used in a variety of ways, such as vehicle identification, traffic accident, road kill or road damage confirmation, towing or maintenance service connection, accident or alternative route provision, etc. Also, benefits are provided to providers who provide data acquired through vehicle black boxes.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convenience in collecting data by transmitting data using a vehicle built-in communication module or wireless terminal connection through a local area network.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내 블랙박스나 별도 장착된 카메라를 활용한 도로 상황에 대한 빅데이터 구축 및 활용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AI비전인식부를 제1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AI비전인식부를 제2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빅데이터활용부를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내 블랙박스나 별도 장착된 카메라를 활용한 도로 상황에 대한 빅데이터 구축 및 활용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내 블랙박스나 별도 장착된 카메라를 활용한 도로 상황에 대한 빅데이터 구축 및 활용 방법을 공공기관과 정보 공유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내 블랙박스나 별도 장착된 카메라를 활용한 도로 상황에 대한 빅데이터 구축 및 활용 방법을 유고/주의 운전 정보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for constructing and utilizing big data for road conditions using a black box in a vehicle or a separately mounted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in FIG. 1 as a first example.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in FIG. 1 as a second example.
4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big data utilization unit in FIG. 1 as an example.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constructing and utilizing big data for road conditions using a black box in a vehicle or a separately mounted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diagrams illustrating a method of constructing and utilizing big data on road conditions using a black box in a vehicle or a separately mounted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example of information sharing with public institutions.
8 and 9 are diagrams illustrating a method of constructing and utilizing big data on road conditions using a black box in a vehicle or a separately mounted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example of caution/caution driving informa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an embodiment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since the embodiment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and can have various form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In addition, since the object or effec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m or only such effect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hereto.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The meaning of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a first element may be termed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termed a first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the middle.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intervening elements exist. Meanwhile,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adjacent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gular expressions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ing” refer to a describ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is intended to indicate that a combination exists, and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defined otherwise.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consistent with meanings in the context of related art, and cannot be interpreted as having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내 블랙박스나 별도 장착된 카메라를 활용한 도로 상황에 대한 빅데이터 구축 및 활용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Now, a syste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nd utilizing big data for road conditions using a black box in a vehicle or a separately mounted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내 블랙박스나 별도 장착된 카메라를 활용한 도로 상황에 대한 빅데이터 구축 및 활용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2는 도 1에 있는 AI비전인식부를 제1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있는 AI비전인식부를 제2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4는 도 1에 있는 빅데이터활용부를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for constructing and utilizing big data for road conditions using a black box in a vehicle or a separately mounted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I vision recognition unit in FIG. 1 It is a diagram for explaining one example, FIG.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in FIG. 1 as a second example, and FIG.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big data utilization unit in FIG. 1 as an example.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차량 내 블랙박스나 별도 장착된 카메라를 활용한 도로 상황에 대한 빅데이터 구축 및 활용 시스템(100)은, AI(artificial intelligence)비전(vision)인식부(110), 빅데이터구축부(120), 빅데이터활용부(130)를 포함한다.1 to 4, the big data construction and utilization system 100 for road conditions using a black box in a vehicle or a separately mounted camera includes an AI (artificial intelligence) vision recognition unit 110, It includes a big data construction unit 120 and a big data utilization unit 130.

AI비전인식부(110)는, 차량에 내장된 블랙박스의 내장 카메라 또는 별도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주행 중 도로 상황(즉, 도로나 차량 상태, 도로 주변 상황 등을 모두 포함함)에 대한 AI 비전 인식을 통하여 도로 상황 영상을 분류해서 수집하고 해당 분류 수집된 도로 상황 영상(예를 들어, 서비스 분류, 위치의 정보, 입력 영상 중 서비스와 연관된 이미지 등을 포함함)을 빅데이터구축부(120)로 전달해 준다.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110 uses the built-in camera of the black box built into the vehicle or a separately installed camera to measure the AI for road conditions (ie, road or vehicle conditions, including all conditions around the road, etc.) while driving. Through vision recognition, road situation images are classified and collected, and the classified and collected road situation images (eg, including service classification, location information, and service-related images among input images) are stored in 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120 ) is passed on.

일 실시 예에서, AI비전인식부(110)는, 빅데이터구축부(120)로부터 전달되는 분류영상정보를 도로 관리 서비스의 종류 및 서비스 종류에 해당하는 서비스 코드 별로 내부메모리에 저장해 둘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110 may store the classification imag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120 in internal memory for each type of road management service and service code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service.

일 실시 예에서, AI비전인식부(110)는, 내부메모리에 저장해 둔 분류영상정보를 바탕으로 차량용 블랙박스의 내장 카메라 또는 별도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한 도로 상황 영상이 어떤 도로 관리 서비스(즉, 서비스 종류)에 해당하는 영상인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차량용 블랙박스의 내장 카메라 또는 별도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한 도로 상황 영상을 서비스 종류 별로 분류하여 수집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110 determines which road management service ( That is,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 image corresponds to the type of service), and thus road condition images obtained using a built-in camera of a vehicle black box or a separately installed camera can be classified and collected according to the type of service.

일 실시 예에서, AI비전인식부(110)는, 차량용 블랙박스의 내장 카메라 또는 별도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한 도로 상황 영상의 서비스 종류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해당 확인한 서비스 종류에 해당하는 서비스 코드를 해당 분류 수집된 도로 상황 영상에 포함시켜 빅데이터구축부(120)로 전달해 줄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110 may check the service type of the road condition image acquired using the built-in camera of the vehicle black box or a separately installed camera, and the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checked service type. The code may be included in the classified and collected road condition image and transmitted to 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120 .

일 실시 예에서, AI비전인식부(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블랙박스에 구비되어 주행 중 도로 주변 상황에 대한 AI 비전 인식 및 도로상 유고 상태 인식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에 근거리 통신의 무료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차량 운전자의 모바일 단말기 또는 차량에 내장된 통신 모듈과 근거리 통신 접속을 수행해서, 해당 모바일 단말기 또는 차량에 내장된 통신 모듈을 통해 해당 분류 수집된 도로 상황 영상을 빅데이터구축부(120)로 송신해 줄 수 있으며, 다르게는 해당 무료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wifi 등과 같은 무료 통신망에 근거리 통신 접속을 수행해서, 해당 무료 통신망을 통해 해당 분류 수집된 도로 상황 영상을 빅데이터구축부(120)로 송신해 줄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as shown in FIG. 2,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110 is provided in a black box for a vehicle and can perform AI vision recognition of a situation around the road while driving and recognition of an accident state on the road, etc. , In this case, by providing a free communication module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and performing a short-range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a mobile terminal of the vehicle driver or a communication module built in the vehicle, the road classified and collected through the mobile terminal or the communication module built in the vehicle The situation image can be transmitted to 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120, and otherwise, the free communication module is used to perform a short-range communication connection to a fre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wifi, and the road conditions collected in the classification through the free communication network The image may be transmitted to 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120.

일 실시 예에서, AI비전인식부(110)는, 차량용 블랙박스에 구비되되, 원거리 통신의 유료 통신 모듈도 구비된 경우에, 해당 유료 통신 모듈을 통해 빅데이터구축부(120)와 원거리 통신 접속을 수행해서 해당 분류 수집된 도로 상황 영상을 빅데이터구축부(120)로 송신해 줄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110 is provided in the vehicle black box, but when a paid communication module for remote communication is also provided, it is connected to 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120 and remote communication through the corresponding paid communication module. may be performed to transmit the classified and collected road condition image to 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120 .

일 실시 예에서, AI비전인식부(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빅데이터구축부(120)와 함께 별도의 도로 관리 서버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런 경우에 차량용 블랙박스의 내장 카메라 또는 별도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한 도로 상황 영상(GPS모듈 등을 이용한 위치 정보도 포함할 수 있음)을, 상술한 방법 등을 이용하여 전송받을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110, as shown in FIG. 3, may be provided in a separate road management server together with 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120, in which case a black box for a vehicle is built in. A road condition image (which may include location information using a GPS module, etc.) obtained using a camera or a separately mounted camera may be transmitted using the above-described method or the like.

일 실시 예에서, AI비전인식부(110)는, 획득한 도로 상황 영상의 서비스 종류 확인 시 고장이나 사고 차량 확인 서비스의 경우나, 교통사고의 경우에, 해당 사고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AI비전인식부(110)이 정상 동작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정상확인메시지를 생성시켜 해당 사고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AI비전인식부(110)로 전송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110 recognizes the AI vision recognition installed in the accident vehicle in the case of a breakdown or accident vehicle confirmation service or a traffic accident when checking the service type of the acquired road condition image. A normal confirmation message for confirming whether the unit 110 is operating normally can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110 installed in the accident vehicle.

일 실시 예에서, AI비전인식부(110)는, 타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AI비전인식부(110)로부터 전송되는 정상확인메시지를 수신받는 경우에, 이에 대해서 정상 구동되고 있음을 알려 주기 위한 정상알림메시지를 생성시켜 타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AI비전인식부(110)로 전송해 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110 receives a normal confirmation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110 installed in another vehicle, it is normal to inform that it is normally driven. A notification message can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110 installed in another vehicle.

일 실시 예에서, AI비전인식부(110)는, 정상확인메시지를 전송한 후 기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5초) 내에 정상알림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경미한 상태로 인식하고, 사고를 주변에 알리기 위한 사고알림명령을 생성시켜 사고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AI비전인식부(110)로 전송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110, when receiving a normal notification message within a predetermined time (eg, 5 seconds) after transmitting the normal confirmation message, recognizes the accident as a minor state, and the surroundings It is possible to generate an accident notification command for notifying the accident and transmit it to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110 installed in the accident vehicle.

일 실시 예에서, AI비전인식부(110)는, 타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AI비전인식부(110)로부터 전송되는 사고알림명령을 수신받는 경우에, 해당 수신받은 사고알림명령에 따라 차량 ECU에 전달하여 차량 경고등을 온시켜 주거나, 차량 경적을 울려 주는 등으로 사고 알림을 수행해 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110 receives an accident notification command transmitted from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110 installed in another vehicle, the vehicle ECU according to the received accident notification command. Accident notification may be performed by turning on a vehicle warning light or sounding a vehicle horn.

일 실시 예에서, AI비전인식부(110)는, 정상확인메시지를 전송한 후 기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5초)이 경과하여도 정상알림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심각한 상태로 인식하고, 운전자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생성시켜 LCD, 스피커 등과 같은 출력수단을 통해 출력시켜 주거나, 심각한 상태를 알리기 위한 사고알림메시지를 생성시켜 유관 기관이나 관계자에게 전송해 줄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110 does not receive the normal notification message even after a predetermined time (eg, 5 seconds) has elapsed after sending the normal confirmation message, it recognizes it as a serious state and , A message requesting help may be generated and output through an output means such as an LCD or a speaker, or an accident notification message may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related organizations or persons concerned.

빅데이터구축부(120)는, AI비전인식부(110)로부터 전달되는 도로 상황 영상(예를 들어, 서비스 분류, 위치의 정보, 입력 영상 중 서비스와 연관된 이미지 등을 포함함)에서 도로 상황 데이터를 추출하여 축적시켜 빅데이터를 구축해 준다.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120 includes road situation data from the road situation image transmitted from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110 (eg, including service classification, location information, and service-related images among input images). is extracted and accumulated to construct big data.

일 실시 예에서, 빅데이터구축부(120)는, 차량용 블랙박스의 내장 카메라 또는 별도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한 도로 상황 영상이 어떤 도로 관리 서비스(즉, 서비스 종류)(예를 들어, 범죄, 도난이나 체납 차량 추적 서비스, 고장이나 사고 차량 확인 서비스, 교통사고, 로드 킬이나 도로 파손 확인 서비스, 견인이나 정비 서비스 연계 서비스, 유고나 대체 경로 제공 서비스 등)에 해당하는 영상인지를 확인하도록 하기 위해서, 서비스 종류 및 서비스 종류에 해당하는 서비스 코드 별로 이에 대응하는 분류영상정보를 설정하여 등록해 둘 수 있으며, 해당 설정 등록된 분류영상정보를 AI비전인식부(110)로 전달해 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120 determines which road management service (ie, service type) (eg, crime , stolen or delinquent vehicle tracking service, breakdown or accident vehicle confirmation service, traffic accident, road kill or road damage confirmation service, towing or maintenance service linkage service, accident or alternative route provision service, etc.) For this purpose, classification imag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rvice type and service code corresponding to the service type may be set and registered, and the setting-registered classification image information may be delivered to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110.

일 실시 예에서, 빅데이터구축부(120)는, 주행 중 도로상에서 획득할 수 있는 많은 서비스 종류의 도로 상황 데이터를 서비스 종류 별로 분류해서 추출하도록 하기 위해서, 서비스 종류 및 서비스 종류에 해당하는 서비스 코드 별로 이에 대응하여 도로 상황 영상으로부터 추출해야 할 표준추출데이터를 설정하여 등록해 둘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120 classifies and extracts road condition data of many service types that can be obtained on the road while driving by service type, and the service type and service code corresponding to the service type. Correspondingly, standard extraction data to be extracted from the road condition image may be set and registered.

일 실시 예에서, 빅데이터구축부(120)는, AI비전인식부(110)로부터 전달되는 도로 상황 영상에 포함된 서비스 코드를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해당 확인한 서비스 코드에 해당하는 표준추출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해당 확인된 표준추출데이터를 바탕으로 AI비전인식부(110)로부터 전달되는 도로 상황 영상에서 해당 확인한 서비스 코드에 해당하는 도로 상황 데이터를 추출해 줄 수 있으며, 해당 추출한 도로 상황 데이터를 분석하고 빅데이터화시켜 저장하여 AI 비전 인식 주행 빅데이터를 구축해 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120 may check the service code included in the road condition image transmitted from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110, and also check the standard extrac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checked service code. Therefore, based on the identified standard extraction data, road condi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service code may be extracted from the road condition image transmitted from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110, and the extracted road condition data may be analyzed. It can be converted into big data and stored to build AI vision recognition driving big data.

일 실시 예에서, 빅데이터구축부(120)는, 데이터 학습을 통한 인식 정확도를 개선해 주되; AI비전인식부(110)로부터 전달되는 도로 상황 영상과 AI비전인식부(110)로부터 전달되는 도로 상황 영상에서 추출한 도로 상황 데이터를 계속적으로 학습하도록 하여, 서비스 종류 및 서비스 종류에 해당하는 서비스 코드 별로 이에 대응하는 분류영상정보와 서비스 종류 및 서비스 종류에 해당하는 서비스 코드 별로 이에 대응하여 도로 상황 영상으로부터 추출해야 할 표준추출데이터를 업그레이시켜 등록해 줄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보다 신뢰 있는 빅데이터화로 빅데이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120 improves recognition accuracy through data learning; By continuously learning the road situation image transmitted from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110 and the road situation data extracted from the road situation image transmitted from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110, each service type and service code corresponding to the service type Corresponding classification image information, service type, and standard extraction data to be extracted from road condition images can be upgraded and registered in response to each service code corresponding to the service type. reliability can be improved.

일 실시 예에서, 빅데이터구축부(120)는, 범죄, 도난이나 체납 차량 추적 서비스의 경우에, AI비전인식부(110)로부터 전달되는 도로 상황 영상에서 도로 상황 데이터로 차량색상, 차량종류, 차량번호 등을 추출해 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in the case of a crime, theft or delinquent vehicle tracking service, 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120 converts vehicle color, vehicle type, You can extract the license plate number, etc.

일 실시 예에서, 빅데이터구축부(120)는, 고장이나 사고 차량 확인 서비스의 경우에, AI비전인식부(110)로부터 전달되는 도로 상황 영상에서 도로 상황 데이터로 차량 본넷 열림, 차량 비상등 점등, 연기, 불꽃, 낙하물 등의 정보를 추출해 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120, in the case of a breakdown or accident vehicle confirmation service, the vehicle bonnet is opened, the vehicle emergency light is turned on, Information on smoke, flames, and falling objects can be extracted.

일 실시 예에서, 빅데이터구축부(120)는, 교통사고, 로드 킬이나 도로 파손 확인 서비스의 경우에, AI비전인식부(110)로부터 전달되는 도로 상황 영상에서 도로 상황 데이터로 차량 충돌, 동물 사체, 도로 파손 등의 정보를 추출해 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in the case of a traffic accident, road kill or road damage confirmation service, 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120 converts road situation data from the road situation image transmitted from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110 to vehicle collision, animal It can extract information such as dead bodies and road damage.

일 실시 예에서, 빅데이터구축부(120)는, AI비전인식부(110)로부터 전달되는 도로 상황 영상에서 추출한 도로 상황 데이터를 분류 및 관리하는 솔루션에 따라 대용량 정보 관리를 위한 클라우드 관리(cloud management)를 수행할 수 있으며, 대용량 트래픽(traffic) 분산 기술을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부하 밸런싱(application load balancing)을 수행할 수 있으며, 도로 상황 데이터에 대한 중복 정보 제거, 오인식 정보 필터링 등의 유효 정보 판단 알고리즘을 수행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120 is cloud management for large-capacity information management according to a solution for classifying and managing road situation data extracted from road situation images transmitted from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110. ), can perform application load balancing using a large-capacity traffic distribution technology, and can perform valid information determination algorithms such as removal of redundant information on road condition data and filtering of misrecognized information. can do.

빅데이터활용부(130)는, 빅데이터구축부(120)에서 구축한 빅데이터를 판독하여 서비스 종류별로 이에 대응하는 서비스(예를 들어, 범죄, 도난이나 체납 차량 추적 서비스, 고장이나 사고 차량 확인 서비스, 교통사고, 로드 킬이나 도로 파손 확인 서비스, 견인이나 정비 서비스 연계 서비스, 유고나 대체 경로 제공 서비스 등)로 제공해 준다.The big data utilization unit 130 reads the big data built by 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120 and provides services corresponding to each type of service (e.g., crime, theft or delinquent vehicle tracking service, breakdown or accident vehicle identification). service, traffic accident, road kill or road damage confirmation service, towing or maintenance service connection service, accident or alternative route provision service, etc.).

일 실시 예에서, 빅데이터활용부(130)는, 빅데이터구축부(120)에서 구축한 빅데이터를 도로 관리 서비스의 종류 및 서비스 종류에 해당하는 서비스 코드 별로 이에 맞게 가공하여 도로 관리 서비스로 제공하도록 하기 위해서, 빅데이터를 서비스 종류 및 서비스 종류에 해당하는 서비스 코드 별로 이에 대응하는 도로 관리 데이터로 가공해서 제공해야 할 제공데이터폼을 설정하여 등록해 둘 수 있으며, 또한 서비스 종류 및 서비스 종류에 해당하는 서비스 코드 별로 이에 대응하는 유관 기관이나 관계자(예를 들어, 경찰이나 국세청, 한국도로공사, 견인 업체나 정비 업체, 내비게이션 제공 업체 등)와 연동하기 위한 연동정보를 설정하여 등록해 둘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big data utilization unit 130 processes the big data built in 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120 according to the type of road management service and the service code corresponding to the service type, and provides it as a road management service. In order to do this, big data can be processed into road management data corresponding to the service type and service code corresponding to the service type, and the provided data form to be provided can be set and registered, and also corresponding to the service type and service type. For each service code to be used, interlocking information for linking with related organizations or related persons (eg, police, National Tax Service,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towing company, maintenance company, navigation provider, etc.) may be set and registered.

일 실시 예에서, 빅데이터활용부(130)는, 도로 관리 서비스의 종류 및 서비스 종류에 해당하는 서비스 코드 별로 이에 대응하는 제공데이터폼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해당 확인한 제공데이터폼을 바탕으로 빅데이터구축부(120)로부터 판독한 빅데이터를 서비스 종류 및 서비스 종류에 해당하는 서비스 코드 별로 이에 대응하는 도로 관리 데이터로 가공하여 제공해 줄 수 있으며,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종류 및 서비스 종류에 해당하는 서비스 코드 별로 이에 대응하는 연동정보를 이용하여 유관 기관이나 관계자와 연동하고, 해당 가공된 도로 관리 데이터를 해당 연동된 유관 기관이나 관계자에게 제공해 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big data utilization unit 130 may check the type of road management service and the provided data form corresponding to each service code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service, and based on the identified provided data form, the big data The big data read from the construction unit 120 may be processed into road management data corresponding to the service type and service code corresponding to the service type, and provided.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4, the service type and the service type may be provided. For each service code corresponding to, it is possible to link with a related agency or related person using corresponding interlocking information, and to provide the processed road management data to the related related institution or related person.

일 실시 예에서, 빅데이터활용부(130)는, 빅데이터구축부(120)에서 구축한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차량 사고 다발 지역을 분석하고 계절 및 지역별 도로 상황을 분석하여 유관 기관(예를 들어, 한국도로공사 등)에 제공해 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big data utilization unit 130 analyzes vehicle accident-prone areas using the big data built by 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120 and analyzes the road conditions by season and region to the related institutions (for example, ,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etc.)

일 실시 예에서, 빅데이터활용부(130)는, 경찰이나 국세청으로부터 범죄, 도난이나 체납 차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받아, AI비전인식부(110)에서의 번호판 인식을 통한 범죄, 도난이나 체납 차량 검출과 유고 상황 인식을 통한 AI 비전 상황 검출에 의해서 빅데이터구축부(120)에서 구축한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범죄, 도난이나 체납 차량 추적 서비스를 경찰이나 국세청에 제공해 줌으로써, 실시간 정보 공유 및 지능형 데이터로 송출하여 실시간 이동 경로 파악 등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big data utilization unit 130 receives information on crime, theft or delinquent vehicles from the police or the National Tax Service, and recognizes the license plate in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110 for crime, theft or delinquent vehicles. Real-time information sharing and intelligent data by providing a crime, theft or delinquent vehicle tracking service to the police or the National Tax Service using the big data built by 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120 by AI vision situation detection through detection and accident situation recognition. It can be transmitted to make it easy to grasp the real-time movement route.

일 실시 예에서, 빅데이터활용부(130)는, AI비전인식부(110)에서의 공사와 주행 방해 상황 등과 같은 주행 방해 인식 및 교통사고 상황 등과 같은 교통사고 인식에 의해서 빅데이터구축부(120)에서 구축한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유고나 대체 경로 제공 서비스를 내비게이션 제공 업체나 한국도로공사에 제공해 줌으로써, 지능형 안전 운전 정보, 유고 정보, 대체 경로 정보 등을 용이하게 제공해 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big data utilization unit 130, 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120 by recognizing traffic accidents such as traffic accident situations and driving obstruction recognition such as construction and driving obstruction situations in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110 ), it is possible to easily provide intelligent safe driving information, accident information, alternative route information, etc. by providing an accident or alternative route service to a navigation provider or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using big data built in ).

일 실시 예에서, 빅데이터활용부(130)는, 차량용 블랙박스의 내장 카메라 또는 별도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한 도로 상황 영상을 제공하는 제공자에게, 공유 차량 품질 보증, 사고 예방 서비스 품질 향상, 차량 구매 혜택, 보험료 할인 등과 같은 혜택을 제공해 줄 수 있는 포인트를 영상 제공 건과 활용 건에 대비하여 부여해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빅데이터구축부(120)로 제공한 도로 상황 영상 건수 당 1포인트씩과 빅데이터활용부(130)에서 실질적으로 활용한 건수 당 2포인트씩을 제공해 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big data utilization unit 130 provides a provider that provides a road condition image obtained using a built-in camera of a vehicle black box or a separately mounted camera, quality assurance of shared vehicles, improvement of accident prevention service quality, Points that can provide benefits such as vehicle purchase benefits and insurance premium discounts may be given in preparation for video provision and utilization. For example, 1 point for each number of road condition images provided to 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120 and 2 points for each number of actually utilized by the big data utilization unit 130 may be provided.

일 실시 예에서, 빅데이터활용부(130)는, 수요 기업이나 기관의 요구 정보를 분석하고 이에 대응한 정보로 가공하고 이종 서버 간 통신 인터페이스를 관리하는 등의 데이터 관제 및 통지 운영 알고리즘을 수행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big data utilization unit 130 may perform data control and notification operation algorithms, such as analyzing demand information of a demand company or institution, processing it into corresponding information, and managing communication interfaces between heterogeneous servers. can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차량 내 블랙박스나 별도 장착된 카메라를 활용한 도로 상황에 대한 빅데이터 구축 및 활용 시스템(100)은, 예를 들어 국세청에서 체납 차량 정보를 빅데이터구축부(120)로 전달해 주거나, 경찰청에서 도난 차량 정보를 빅데이터구축부(120)로 전달해 주게 되면, 빅데이터구축부(120)에서 해당 체납 차량 정보 또는 해당 도난 차량 정보를 전달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 줌과 동시에 AI비전인식부(110)에 전송해 주게 되며, 이에 AI비전인식부(110)에서 해당 체납 차량 정보 또는 해당 도난 차량 정보를 수신받아 이를 바탕으로 AI 비전 인식을 통해 타깃(target)을 인식하여 빅데이터구축부(120)에 통보해 주며, 이에 따라 빅데이터구축부(120)에서 해당 타깃 인식 통보를 확인하고 위치 및 영상에 대한 요청을 AI비전인식부(110)에 전송해 주게 되며, 그러면 AI비전인식부(110)에서 해당 요청을 수신받아 타깃의 위치 및 영상(즉, 체납 또는 도난 차량 정보)을 빅데이터구축부(120)에 통보해 주며, 이에 따라 빅데이터구축부(120)에서 해당 타깃의 위치 및 영상(즉, 체납 차량 정보)을 전달받아 해당 전달받은 인식 정보에 대한 검증(다수 정보를 종합 및 분석 과정을 통한 인식 정보 검증)을 수행한 후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 줌과 동시에 빅데이터활용부(130)에 전달하며, 이에 빅데이터활용부(130)에서 보고하기 위한 차량 정보(위치 및 영상 정보를 포함함)를 생성시켜 국세청 또는 경찰청으로 전송해 줄 수 있다.Big data construction and utilization system 100 for road conditions using a black box in a vehicle or a separately mounted camera having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for example, in the National Tax Service, 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120 or when the National Police Agency delivers the stolen vehicle information to 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120, 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120 receives the delinquent vehicle information or the stolen vehicle information and stores it in the database, and at the same time AI vision It is transmitted to the recognition unit 110, and accordingly,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110 receives the information of the delinquent vehicle or the stolen vehicle information, and based on this, recognizes the target through AI vision recognition and builds big data The unit 120 is notified, and accordingly, 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120 confirms the target recognition notification and transmits a request for location and image to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110, and AI vision recognition The unit 110 receives the request and notifies the location and image of the target (ie, delinquent or stolen vehicle information) to 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120, and accordingly, 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120 After receiving the location and image (i.e., delinquent vehicle information) and verifying the received recognition information (recognition information verification through synthesis and analysis of multiple information), it is stored in the database and at the same time, the big data utilization unit ( 130), and thus, vehicle information (including location and image information) to be reported by the big data utilization unit 130 can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National Tax Service or the National Police Agency.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차량 내 블랙박스나 별도 장착된 카메라를 활용한 도로 상황에 대한 빅데이터 구축 및 활용 시스템(100)은, 도난, 범죄, 체납의 차량 번호의 경우에, 빅데이터구축부(120)로부터 AI비전인식부(110)에 주기적으로 전달되며, AI비전인식부(110)가 입력 영상에서 차량 번호를 인식하고 해당 인식한 차량 번호와 해당 전달받은 차량 번호가 일치하는 경우에 그 정보가 빅데이터구축부(120)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Big data construction and utilization system 100 for road conditions using a black box in a vehicle or a separately mounted camera having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theft, crime, and vehicle number of arrears, 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120 to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110 periodically, and when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110 recognizes the vehicle number in the input image and the recognized vehicle number matches the received vehicle number, that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big data building unit 120.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차량 내 블랙박스나 별도 장착된 카메라를 활용한 도로 상황에 대한 빅데이터 구축 및 활용 시스템(100)은, 예를 들어 AI비전인식부(110)에서 AI 비전 인식을 통해 사고, 정체, 도로 파손 등의 도로 상황을 인식하여 이를 빅데이터구축부(120)에 통보해 주며, 이에 따라 빅데이터구축부(120)에서 해당 도로 상황 인식 통보를 확인하고 위치 및 영상에 대한 요청을 AI비전인식부(110)에 전송해 주게 되며, 그러면 AI비전인식부(110)에서 해당 요청을 수신받아 타깃의 위치 및 영상을 빅데이터구축부(120)에 통보해 주며, 이에 따라 빅데이터구축부(120)에서 해당 타깃의 위치 및 영상을 전달받아 해당 전달받은 인식 정보에 대한 검증(다수 정보를 종합 및 분석 과정을 통한 인식 정보 검증)을 수행한 후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 줌과 동시에 빅데이터활용부(130)에 전달하며, 이에 빅데이터활용부(130)에서 보고하기 위한 도로 상황 정보(위치 및 영상 정보를 포함함)를 생성시켜 도로 공사로 전송해 줄 수 있으며, 또한 해당 위치의 주변 차량에게 알려 주기 위한 운전 정보로서 유고 또는 주의 운전 정보로 생성시켜 해당 위치의 주변 차량에 구비된 장치(예를 들어, 내비게이션)(또는, AI비전인식부(110))로 전송해 줄 수도 있다.The big data construction and utilization system 100 for road conditions using a black box in a vehicle or a separately mounted camera having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is, for example, through AI vision recognition in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110. It recognizes road conditions such as accidents, congestion, and road damage and notifies them to 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120, and accordingly, 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120 checks the road situation recognition notification and requests for location and video. is transmitted to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110, and then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110 receives the request and informs 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120 of the location and image of the target, and accordingly, the big data After receiving the location and image of the target from the construction unit 120 and verifying the received recognition information (recognition information verification through synthesis and analysis of multiple information), store it in the database and use big data at the same time It is transmitted to the unit 130, and thus, the road condition information (including location and image information) to be reported by the big data utilization unit 130 can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road construction, and also vehicles around the location As driving information for informing, it may be generated as warning or caution driving information and transmitted to a device (eg, navigation) (or AI vision recognition unit 110) provided in vehicles around the corresponding location.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차량 내 블랙박스나 별도 장착된 카메라를 활용한 도로 상황에 대한 빅데이터 구축 및 활용 시스템(100)은, 전국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이 내장하고 있는 블랙박스에 구비된 내장 카메라나 별도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주행 중 도로상에서 많은 종류의 데이터를 획득하고 축적하며, 축적된 데이터를 분석하고 빅데이터화시켜 다양하게 활용하도록 구현함으로써, 범죄, 도난이나 체납 차량 추적, 고장이나 사고 차량 확인, 교통사고, 로드 킬이나 도로 파손 확인, 견인이나 정비 서비스 연계, 유고나 대체 경로 제공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 또한 차량용 블랙박스를 통해 획득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제공자에 대한 혜택을 제공하고 차량 내장 통신 모듈 또는 근거리 통신망을 통한 무선 단말기 연결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여 데이터를 수집하는데 편리함으로 제공해 줄 수 있다.The big data construction and utilization system 100 for road conditions using a black box in a vehicle or a separately mounted camera having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is a built-in black box installed in a vehicle driving on national roads. By acquiring and accumulating many types of data on the road while driving using a camera or a separately installed camera, analyzing the accumulated data and converting it into big data for various uses, crime, theft or delinquent vehicle tracking, breakdown or accident It can be used in a variety of ways, such as vehicle identification, traffic accident, road kill or road damage confirmation, towing or maintenance service connection, accident or alternative route provision, etc. Also, benefits are provided to providers who provide data acquired through vehicle black boxes. and transmits data using a built-in vehicle communication module or a wireless terminal connection through a local area network,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in collecting data.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내 블랙박스나 별도 장착된 카메라를 활용한 도로 상황에 대한 빅데이터 구축 및 활용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내 블랙박스나 별도 장착된 카메라를 활용한 도로 상황에 대한 빅데이터 구축 및 활용 방법을 공공기관과 정보 공유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내 블랙박스나 별도 장착된 카메라를 활용한 도로 상황에 대한 빅데이터 구축 및 활용 방법을 유고/주의 운전 정보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constructing and utilizing big data on road conditions using a black box in a vehicle or a separately mounted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6 and 7 are fo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are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constructing and utilizing big data on road conditions using a black box or a separately mounted camera in a vehicle according to an example of information sharing with public institutions, and FIGS. It is a diagram explaining how to build and utilize big data on road conditions using a black box or a separately installed camera as an example of caution/caution driving information.

도 5 내지 9를 참조하면, AI비전인식부(110)에서는, 차량에 내장된 블랙박스의 내장 카메라 또는 별도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주행 중 도로 상황(즉, 도로나 차량 상태, 도로 주변 상황 등을 모두 포함함)에 대한 AI 비전 인식을 통하여 도로 상황 영상을 분류해서 수집하고 해당 분류 수집된 도로 상황 영상(예를 들어, 서비스 분류, 위치의 정보, 입력 영상 중 서비스와 연관된 이미지 등을 포함함)을 빅데이터구축부(120)로 전달해 주게 된다(S501).5 to 9,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110 uses a built-in camera of a black box built into a vehicle or a separately installed camera to drive on road conditions (ie, road or vehicle conditions, road surrounding conditions, etc.) (including all), classify and collect road situation images through AI vision recognition, and include the classified and collected road situation images (eg, service classification, location information, images related to services among input images, etc.) ) is delivered to the big data building unit 120 (S501).

상술한 단계 S501에서 도로 상황 영상을 전달함에 있어서, 빅데이터구축부(120)에서는, 차량용 블랙박스의 내장 카메라 또는 별도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한 도로 상황 영상이 어떤 도로 관리 서비스(즉, 서비스 종류)(예를 들어, 범죄, 도난이나 체납 차량 추적 서비스, 고장이나 사고 차량 확인 서비스, 교통사고, 로드 킬이나 도로 파손 확인 서비스, 견인이나 정비 서비스 연계 서비스, 유고나 대체 경로 제공 서비스 등)에 해당하는 영상인지를 확인하도록 하기 위해서, 서비스 종류 및 서비스 종류에 해당하는 서비스 코드 별로 이에 대응하는 분류영상정보를 설정하여 등록해 둘 수 있으며, 해당 설정 등록된 분류영상정보를 AI비전인식부(110)로 전달해 줄 수 있다. 이에, AI비전인식부(110)에서는, 빅데이터구축부(120)로부터 전달되는 분류영상정보를 도로 관리 서비스의 종류 및 서비스 종류에 해당하는 서비스 코드 별로 내부메모리에 저장해 둘 수 있다.In transmitting the road condition image in step S501 described above, in 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120, the road condition image acquired using the built-in camera of the vehicle black box or a separately installed camera is used to provide a certain road management service (i.e., service type) (e.g., crime, stolen or delinquent vehicle tracking service, breakdown or accident vehicle checking service, traffic accident, road kill or road damage checking service, towing or maintenance service linkage service, accident or alternative route provision service, etc.) In order to confirm whether it is a corresponding image, classification imag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rvice type and service code corresponding to the service type may be set and registered, and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110 ) can be transmitted. Accordingly, in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110, the classification imag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120 may be stored in the internal memory for each type of road management service and service code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service.

상술한 단계 S501에서 도로 상황 영상을 전달함에 있어서, AI비전인식부(110)에서는, 내부메모리에 저장해 둔 분류영상정보를 바탕으로 차량용 블랙박스의 내장 카메라 또는 별도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한 도로 상황 영상이 어떤 도로 관리 서비스(즉, 서비스 종류)에 해당하는 영상인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차량용 블랙박스의 내장 카메라 또는 별도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한 도로 상황 영상을 서비스 종류 별로 분류하여 수집할 수 있다.In transmitting the road condition image in step S501 described above, in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110, the road obtained using the built-in camera of the vehicle black box or a separately mounted camera based on the classification image information stored in the internal memory It is possible to check which road management service (i.e., service type) the situation image corresponds to, and collect road situation images acquired using the built-in camera of the vehicle black box or a separately installed camera by service type. can do.

상술한 단계 S501에서 도로 상황 영상을 전달함에 있어서, AI비전인식부(110)에서는, 차량용 블랙박스의 내장 카메라 또는 별도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한 도로 상황 영상의 서비스 종류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해당 확인한 서비스 종류에 해당하는 서비스 코드를 해당 분류 수집된 도로 상황 영상에 포함시켜 빅데이터구축부(120)로 전달해 줄 수도 있다.In transmitting the road situation image in the above-described step S501,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110 can check the service type of the road situation image obtained using the built-in camera of the vehicle black box or a separately installed camera. A service code corresponding to the confirmed service type may be included in the classified and collected road condition image and transmitted to 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120 .

상술한 단계 S501에서 도로 상황 영상을 전달함에 있어서, 차량용 블랙박스에 구비되어 근거리 통신의 무료 통신 모듈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 AI비전인식부(110)에서는, 주행 중 도로 주변 상황에 대한 AI 비전 인식 및 도로상 유고 상태 인식 등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때 해당 무료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차량 운전자의 모바일 단말기 또는 차량에 내장된 통신 모듈과 근거리 통신 접속을 수행해서, 해당 모바일 단말기 또는 차량에 내장된 통신 모듈을 통해 해당 분류 수집된 도로 상황 영상을 빅데이터구축부(120)로 송신해 줄 수 있다.In transmitting the road situation image in the above-described step S501, when the vehicle black box has a free communication module for short-distance communication,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110 recognizes the AI vision for the situation around the road while driving. and recognizing an accident state on the road. In this case, a short-range communication connection is performed with a mobile terminal of the vehicle driver or a communication module built into the vehicle using the corresponding free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mobile terminal or built-in communication in the vehicle is performed. Through the module, the classified and collected road condition image may be transmitted to 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120 .

상술한 단계 S501에서 도로 상황 영상을 전달함에 있어서, 근거리 통신의 무료 통신 모듈을 구비하는 경우, AI비전인식부(110)에서는, 해당 무료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wifi 등과 같은 무료 통신망에 근거리 통신 접속을 수행해서, 해당 무료 통신망을 통해 해당 분류 수집된 도로 상황 영상을 빅데이터구축부(120)로 송신해 줄 수도 있다.In transmitting the road condition image in the above-described step S501, when a free communication module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is provided,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110 connects to a fre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wifi by using the free communication module. By doing so, the classified and collected road condition image may be transmitted to 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120 through the corresponding free communication network.

상술한 단계 S501에서 도로 상황 영상을 전달함에 있어서, 차량용 블랙박스에 구비되되, 원거리 통신의 유료 통신 모듈도 구비된 경우에, AI비전인식부(110)에서는, 해당 유료 통신 모듈을 통해 빅데이터구축부(120)와 원거리 통신 접속을 수행해서 해당 분류 수집된 도로 상황 영상을 빅데이터구축부(120)로 송신해 줄 수도 있다.In transmitting the road condition image in the above-described step S501, if it is provided in the vehicle black box and a paid communication module for long-distance communication is also provided,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110 builds big data through the corresponding paid communication module. By performing a remote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unit 120, the classified and collected road condition image may be transmitted to 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120.

상술한 단계 S501에서 도로 상황 영상을 전달함에 있어서, 차량용 블랙박스에 구비되되, 빅데이터구축부(120)와 함께 별도의 도로 관리 서버에 구비된 경우에, AI비전인식부(110)에서는, 차량용 블랙박스의 내장 카메라 또는 별도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한 도로 상황 영상(GPS모듈 등을 이용한 위치 정보도 포함할 수 있음)을, 상술한 방법 등을 이용하여 전송받을 수도 있다.In delivering the road condition image in the above-described step S501, if it is provided in the vehicle black box and is provided in a separate road management server together with 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120,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110 for the vehicle A road condition image (which may include location information using a GPS module, etc.) obtained using a built-in camera of a black box or a separately installed camera may be transmitted using the above-described method or the like.

상술한 단계 S501에서 도로 상황 영상을 전달함에 있어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국세청에서 체납 차량 정보를 빅데이터구축부(120)로 전달해 주거나, 경찰청에서 도난 차량 정보를 빅데이터구축부(120)로 전달해 주게 되면, 빅데이터구축부(120)에서는, 해당 체납 차량 정보 또는 해당 도난 차량 정보를 전달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 줌과 동시에 AI비전인식부(110)에 전송해 줄 수 있다. 이에, AI비전인식부(110)에서는, 해당 체납 차량 정보 또는 해당 도난 차량 정보를 수신받아 이를 바탕으로 AI 비전 인식을 통해 타깃(target)을 인식하여 빅데이터구축부(120)에 통보해 줄 수 있다. 이에 따라, 빅데이터구축부(120)에서는, AI비전인식부(110)로부터의 타깃 인식 통보를 확인하고 위치 및 영상에 대한 요청을 AI비전인식부(110)에 전송해 줄 수 있다. 그러면, AI비전인식부(110)에서는, 빅데이터구축부(120)로부터의 요청을 수신받아 타깃의 위치 및 영상(즉, 체납 또는 도난 차량 정보)을 빅데이터구축부(120)에 통보해 줄 수 있다.In delivering the road condition image in the above-described step S501, as shown in FIGS. 6 and 7, the National Tax Service delivers delinquent vehicle information to 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120, or the National Police Agency builds big data for stolen vehicle information. When delivered to the unit 120, 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120 receives the corresponding delinquent vehicle information or the corresponding stolen vehicle information, stores it in the database, and transmits it to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110. Accordingly,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110 receives the corresponding delinquent vehicle information or the corresponding stolen vehicle information, recognizes the target through AI vision recognition based on this, and notifies 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120. there is. Accordingly, 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120 may check the target recognition notification from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110 and transmit a request for a location and an image to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110 . Then,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110 will receive a request from 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120 and notify 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120 of the target's location and image (ie, delinquent or stolen vehicle information). can

상술한 단계 S501에서 도로 상황 영상을 전달함에 있어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AI비전인식부(110)에서는, AI 비전 인식을 통해 사고, 정체, 도로 파손 등의 도로 상황을 인식하여 이를 빅데이터구축부(120)에 통보해 줄 수 있다. 이에, 빅데이터구축부(120)에서는, AI비전인식부(110)로부터의 도로 상황 인식 통보를 확인하고 위치 및 영상에 대한 요청을 AI비전인식부(110)에 전송해 줄 수 있다. 그러면, AI비전인식부(110)에서는, 빅데이터구축부(120)로부터의 요청을 수신받아 타깃의 위치 및 영상을 빅데이터구축부(120)에 통보해 줄 수 있다.In transmitting the road condition image in step S501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S. 8 and 9 ,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110 recognizes road conditions such as accidents, congestion, and road damage through AI vision recognition. This can be notified to 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120. Accordingly, 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120 may check the road situation recognition notification from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110 and transmit a request for a location and an image to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110. Then,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110 may receive a request from 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120 and notify 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120 of the location and image of the target.

상술한 단계 S501에서 도로 상황 영상을 전달하게 되면, 빅데이터구축부(120)에서는, AI비전인식부(110)로부터 전달되는 도로 상황 영상(예를 들어, 서비스 분류, 위치의 정보, 입력 영상 중 서비스와 연관된 이미지 등을 포함함)에서 도로 상황 데이터를 추출하여 축적시켜 빅데이터를 구축해 주게 된다(S502).When the road condition image is transmitted in the above-described step S501, 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120 transmits the road condition image (eg, service classification, location information, and input image) from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110. Including images related to the service, etc.), road condition data is extracted and accumulated to construct big data (S502).

상술한 단계 S502에서 빅데이터를 구축함에 있어서, 빅데이터구축부(120)에서는, 주행 중 도로상에서 획득할 수 있는 많은 서비스 종류의 도로 상황 데이터를 서비스 종류 별로 분류해서 추출하도록 하기 위해서, 서비스 종류 및 서비스 종류에 해당하는 서비스 코드 별로 이에 대응하여 도로 상황 영상으로부터 추출해야 할 표준추출데이터를 설정하여 등록해 둘 수 있다.In constructing the big data in step S502 described above, in 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120, in order to classify and extract the road condition data of many service types that can be obtained on the road while driving by service type, the service type and Standard extraction data to be extracted from the road condition image may be set and registered for each service code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service.

상술한 단계 S502에서 빅데이터를 구축함에 있어서, 빅데이터구축부(120)에서는, AI비전인식부(110)로부터 전달되는 도로 상황 영상에 포함된 서비스 코드를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해당 확인한 서비스 코드에 해당하는 표준추출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해당 확인된 표준추출데이터를 바탕으로 AI비전인식부(110)로부터 전달되는 도로 상황 영상에서 해당 확인한 서비스 코드에 해당하는 도로 상황 데이터를 추출해 줄 수 있으며, 해당 추출한 도로 상황 데이터를 분석하고 빅데이터화시켜 저장하여 AI 비전 인식 주행 빅데이터를 구축해 줄 수 있다.In constructing the big data in step S502 described above, in 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120, the service code included in the road condition image transmitted from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110 can be checked, and the checked service code Corresponding standard extraction data can be checked, and based on the confirmed standard extraction data, road condi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service code can be extracted from the road condition image transmitted from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110, The extracted road condition data can be analyzed, turned into big data, and stored to build AI vision recognition driving big data.

상술한 단계 S502에서 빅데이터를 구축함에 있어서, 빅데이터구축부(120)에서는, 데이터 학습을 통한 인식 정확도를 개선해 주되; AI비전인식부(110)로부터 전달되는 도로 상황 영상과 AI비전인식부(110)로부터 전달되는 도로 상황 영상에서 추출한 도로 상황 데이터를 계속적으로 학습하도록 하여, 서비스 종류 및 서비스 종류에 해당하는 서비스 코드 별로 이에 대응하는 분류영상정보와 서비스 종류 및 서비스 종류에 해당하는 서비스 코드 별로 이에 대응하여 도로 상황 영상으로부터 추출해야 할 표준추출데이터를 업그레이시켜 등록해 줄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보다 신뢰 있는 빅데이터화로 빅데이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constructing the big data in step S502 described above, 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120 improves recognition accuracy through data learning; By continuously learning the road situation image transmitted from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110 and the road situation data extracted from the road situation image transmitted from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110, each service type and service code corresponding to the service type Corresponding classification image information, service type, and standard extraction data to be extracted from road condition images can be upgraded and registered in response to each service code corresponding to the service type. reliability can be improved.

상술한 단계 S502에서 빅데이터를 구축함에 있어서, 범죄, 도난이나 체납 차량 추적 서비스의 경우에, 빅데이터구축부(120)에서는, AI비전인식부(110)로부터 전달되는 도로 상황 영상에서 도로 상황 데이터로 차량색상, 차량종류, 차량번호 등을 추출해 줄 수 있다.In constructing the big data in step S502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a crime, theft or delinquent vehicle tracking service, in 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120, the road situation data from the road situation image transmitted from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110 You can extract vehicle color, vehicle type, license plate number, etc.

상술한 단계 S502에서 빅데이터를 구축함에 있어서, 고장이나 사고 차량 확인 서비스의 경우에, 빅데이터구축부(120)에서는, AI비전인식부(110)로부터 전달되는 도로 상황 영상에서 도로 상황 데이터로 차량 본넷 열림, 차량 비상등 점등, 연기, 불꽃, 낙하물 등의 정보를 추출해 줄 수 있다.In constructing the big data in the above-described step S502, in the case of a breakdown or accident vehicle confirmation service, 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120 converts the road situation data from the road situation image transmitted from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110 to the vehicle It can extract information such as bonnet opening, vehicle emergency lights on, smoke, flames, and falling objects.

상술한 단계 S502에서 빅데이터를 구축함에 있어서, 교통사고, 로드 킬이나 도로 파손 확인 서비스의 경우에, 빅데이터구축부(120)에서는, AI비전인식부(110)로부터 전달되는 도로 상황 영상에서 도로 상황 데이터로 차량 충돌, 동물 사체, 도로 파손 등의 정보를 추출해 줄 수 있다.In constructing big data in the above-described step S502, in the case of a traffic accident, road kill or road damage confirmation service, in 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120, the road condition image transmitted from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110 is a road. As situational data, information such as vehicle collisions, dead animals, and road damages can be extracted.

상술한 단계 S502에서 빅데이터를 구축함에 있어서, 빅데이터구축부(120)에서는, AI비전인식부(110)로부터 전달되는 도로 상황 영상에서 추출한 도로 상황 데이터를 분류 및 관리하는 솔루션에 따라 대용량 정보 관리를 위한 클라우드 관리(cloud management)를 수행할 수 있으며, 대용량 트래픽(traffic) 분산 기술을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부하 밸런싱(application load balancing)을 수행할 수 있으며, 도로 상황 데이터에 대한 중복 정보 제거, 오인식 정보 필터링 등의 유효 정보 판단 알고리즘을 수행할 수 있다.In building the big data in step S502 described above, 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120 manages large-capacity information according to a solution for classifying and managing the road situation data extracted from the road situation image transmitted from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110. It is possible to perform cloud management for, application load balancing using high-capacity traffic distribution technology, removal of redundant information on road condition data, filtering of misrecognized information, etc.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valid information determination algorithm of.

상술한 단계 S502에서 빅데이터를 구축함에 있어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빅데이터구축부(120)에서는, AI비전인식부(110)로부터 통보되는 타깃의 위치 및 영상(즉, 체납 차량 정보)을 전달받아 해당 전달받은 인식 정보에 대한 검증(다수 정보를 종합 및 분석 과정을 통한 인식 정보 검증)을 수행한 후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 줌과 동시에 빅데이터활용부(130)에 알려 줄 수 있다.In constructing the big data in step S502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S. 6 and 7, in 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120, the location and image of the target notified from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110 (ie, delinquent vehicle information), verify the received recognition information (recognition information verification through synthesis and analysis of multiple information), store it in the database, and inform the big data utilization unit 130 at the same time. there is.

상술한 단계 S502에서 빅데이터를 구축함에 있어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빅데이터구축부(120)에서는, AI비전인식부(110)로부터 타깃의 위치 및 영상을 전달받아 해당 전달받은 인식 정보에 대한 검증(다수 정보를 종합 및 분석 과정을 통한 인식 정보 검증)을 수행한 후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 줌과 동시에 빅데이터활용부(130)에 통보해 줄 수 있다.In constructing the big data in step S502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S. 8 and 9 , 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120 receives the location and image of the target from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110 and transmits the corresponding data. After verification of the received recognition information (recognition information verification through synthesis and analysis of multiple information) is performed, the big data utilization unit 130 may be notified while storing the information in the database.

상술한 단계 S502에서 빅데이터를 구축한 후에, 빅데이터활용부(130)에서는, 빅데이터구축부(120)에서 구축한 빅데이터를 판독하여 서비스 종류별로 이에 대응하는 서비스(예를 들어, 범죄, 도난이나 체납 차량 추적 서비스, 고장이나 사고 차량 확인 서비스, 교통사고, 로드 킬이나 도로 파손 확인 서비스, 견인이나 정비 서비스 연계 서비스, 유고나 대체 경로 제공 서비스 등)로 제공해 주게 된다(S503).After constructing the big data in step S502 described above, the big data utilization unit 130 reads the big data constructed in the big data establishment unit 120 and provides a corresponding service for each type of service (e.g., crime, Stolen or delinquent vehicle tracking service, breakdown or accident vehicle confirmation service, traffic accident, road kill or road damage confirmation service, towing or maintenance service connection service, accident or alternative route provision service, etc.) are provided (S503).

상술한 단계 S503에서 도로 관리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빅데이터활용부(130)에서는, 빅데이터구축부(120)에서 구축한 빅데이터를 도로 관리 서비스의 종류 및 서비스 종류에 해당하는 서비스 코드 별로 이에 맞게 가공하여 도로 관리 서비스로 제공하도록 하기 위해서, 빅데이터를 서비스 종류 및 서비스 종류에 해당하는 서비스 코드 별로 이에 대응하는 도로 관리 데이터로 가공해서 제공해야 할 제공데이터폼을 설정하여 등록해 둘 수 있으며, 또한 서비스 종류 및 서비스 종류에 해당하는 서비스 코드 별로 이에 대응하는 유관 기관이나 관계자(예를 들어, 경찰이나 국세청, 한국도로공사, 견인 업체나 정비 업체, 내비게이션 제공 업체 등)와 연동하기 위한 연동정보를 설정하여 등록해 둘 수 있다.In providing the road management service in the above-described step S503, in the big data utilization unit 130, the big data built in 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120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ype of road management service and the service code corresponding to the service type. In order to process it appropriately and provide it as a road management service, big data can be processed into road management data corresponding to each service type and service code corresponding to the service type, and a provision data form to be provided can be set and registered, In addition, for each type of service and service code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service, interlocking information for linking with related organizations or related parties (eg, police, National Tax Service,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towing companies, maintenance companies, navigation providers, etc.) You can set up and register.

상술한 단계 S503에서 도로 관리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빅데이터활용부(130)에서는, 도로 관리 서비스의 종류 및 서비스 종류에 해당하는 서비스 코드 별로 이에 대응하는 제공데이터폼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해당 확인한 제공데이터폼을 바탕으로 빅데이터구축부(120)로부터 판독한 빅데이터를 서비스 종류 및 서비스 종류에 해당하는 서비스 코드 별로 이에 대응하는 도로 관리 데이터로 가공하여 제공해 줄 수 있다.In providing the road management service in the above-described step S503, the big data utilization unit 130 can check the type of road management service and the provided data form corresponding to each service code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service. Based on the provided data form, the big data read from 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120 may be processed into road management data corresponding to each service type and service code corresponding to the service type, and provided.

상술한 단계 S503에서 도로 관리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빅데이터활용부(130)에서는, 서비스 종류 및 서비스 종류에 해당하는 서비스 코드 별로 이에 대응하는 연동정보를 이용하여 유관 기관이나 관계자와 연동하고, 해당 가공된 도로 관리 데이터를 해당 연동된 유관 기관이나 관계자에게 제공해 줄 수 있다.In providing the road management service in the above-described step S503, the big data utilization unit 130 interworks with related institutions or related parties by using interlock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service type and service code corresponding to the service type, and The processed road management data can be provided to the relevant related organizations or related parties.

상술한 단계 S503에서 도로 관리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빅데이터활용부(130)에서는, 빅데이터구축부(120)에서 구축한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차량 사고 다발 지역을 분석하고 계절 및 지역별 도로 상황을 분석하여 유관 기관(예를 들어, 한국도로공사 등)에 제공해 줄 수 있다.In providing the road management service in step S503 described above, the big data utilization unit 130 uses the big data built in 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120 to analyze vehicle accident-prone areas and determine seasonal and regional road conditions. It can be analyzed and provided to related organizations (eg,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etc.).

상술한 단계 S503에서 도로 관리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빅데이터활용부(130)에서는, 경찰이나 국세청으로부터 범죄, 도난이나 체납 차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받아, AI비전인식부(110)에서의 번호판 인식을 통한 범죄, 도난이나 체납 차량 검출과 유고 상황 인식을 통한 AI 비전 상황 검출에 의해서 빅데이터구축부(120)에서 구축한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범죄, 도난이나 체납 차량 추적 서비스를 경찰이나 국세청에 제공해 줌으로써, 실시간 정보 공유 및 지능형 데이터로 송출하여 실시간 이동 경로 파악 등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In providing the road management service in the above-described step S503, the big data utilization unit 130 receives information on crime, theft or delinquent vehicles from the police or the National Tax Service, and recognizes license plates in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110. Crime, theft or delinquent vehicle detection through AI vision situation detection through accident situation recognition, crime, theft or arrears vehicle tracking service using the big data built in 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120 Provided to the police or the National Tax Service By giving, it is possible to share real-time information and transmit it as intelligent data so that real-time movement route identification can be facilitated.

상술한 단계 S503에서 도로 관리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빅데이터활용부(130)에서는, AI비전인식부(110)에서의 공사와 주행 방해 상황 등과 같은 주행 방해 인식 및 교통사고 상황 등과 같은 교통사고 인식에 의해서 빅데이터구축부(120)에서 구축한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유고나 대체 경로 제공 서비스를 내비게이션 제공 업체나 한국도로공사에 제공해 줌으로써, 지능형 안전 운전 정보, 유고 정보, 대체 경로 정보 등을 용이하게 제공해 줄 수 있다.In providing the road management service in step S503 described above, in the big data utilization unit 130, traffic accident recognition such as construction and driving obstruction recognition in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110 and traffic accident situations By using the big data built by 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120 by providing a navigation or alternative route providing service to a navigation provider or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intelligent safe driving information, accident information, alternative route information, etc. are easily provided can provide

상술한 단계 S503에서 도로 관리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빅데이터활용부(130)에서는, 차량용 블랙박스의 내장 카메라 또는 별도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한 도로 상황 영상을 제공하는 제공자에게, 공유 차량 품질 보증, 사고 예방 서비스 품질 향상, 차량 구매 혜택, 보험료 할인 등과 같은 혜택을 제공해 줄 수 있는 포인트를 영상 제공 건과 활용 건에 대비하여 부여해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빅데이터구축부(120)로 제공한 도로 상황 영상 건수 당 1포인트씩과 빅데이터활용부(130)에서 실질적으로 활용한 건수 당 2포인트씩을 제공해 줄 수 있다.In providing the road management service in step S503 described above, in the big data utilization unit 130, the shared vehicle quality Points that can provide benefits such as warranty, accident prevention service quality improvement, vehicle purchase benefit, insurance premium discount, etc. can be given in preparation for video provision and utilization. For example, 1 point for each number of road condition images provided to 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120 and 2 points for each number of actually utilized by the big data utilization unit 130 may be provided.

상술한 단계 S503에서 도로 관리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빅데이터활용부(130)에서는, 수요 기업이나 기관의 요구 정보를 분석하고 이에 대응한 정보로 가공하고 이종 서버 간 통신 인터페이스를 관리하는 등의 데이터 관제 및 통지 운영 알고리즘을 수행할 수 있다.In providing the road management service in the above-described step S503, the big data utilization unit 130 analyzes the requested information of the demand company or institution, processes it into corresponding information, and manages the communication interface between heterogeneous servers. Control and notification operation algorithms can be performed.

상술한 단계 S503에서 도로 관리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빅데이터활용부(130)에서는, 빅데이터구축부(120)로부터의 알림을 수신받아, 보고하기 위한 차량 정보(위치 및 영상 정보를 포함함)를 생성시켜 국세청 또는 경찰청으로 전송해 줄 수 있다.In providing the road management service in the above-described step S503, as shown in FIGS. 6 and 7, the big data utilization unit 130 receives a notification from 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120 and reports it. Vehicle information (including location and image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National Tax Service or the National Police Agency.

상술한 단계 S503에서 도로 관리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빅데이터활용부(130)에서는, 빅데이터구축부(120)로부터의 알림을 수신받아, 보고하기 위한 도로 상황 정보(위치 및 영상 정보를 포함함)를 생성시켜 도로 공사로 전송해 줄 수 있으며, 또한 해당 위치의 주변 차량에게 알려 주기 위한 운전 정보로서 유고 또는 주의 운전 정보로 생성시켜 해당 위치의 주변 차량에 구비된 장치(예를 들어, 내비게이션)(또는, AI비전인식부(110))로 전송해 줄 수도 있다.In providing the road management service in the above-described step S503, as shown in FIGS. 8 and 9, the big data utilization unit 130 receives a notification from 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120 and reports it. Road condition information (including location and image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road construction, and as driving information to inform surrounding vehicles of the location, it is generated as warning or caution driving information to nearby vehicles at the location. It may be transmitted to a device (eg, navigation) (or AI vision recognition unit 110) provided in the.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mplemented only through the above-described device and/or operating method, but through a program for realizing functions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It may be implemented, and such an implementation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an expert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based on the descrip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right.

100: 차량 내 블랙박스나 별도 장착된 카메라를 활용한 도로 상황에 대한 빅데이터 구축 및 활용 시스템
110: AI비전인식부
120: 빅데이터구축부
130: 빅데이터활용부
100: Big data construction and utilization system for road conditions using a black box or a separately mounted camera in the vehicle
110: AI vision recognition unit
120: Big data construction unit
130: big data utilization unit

Claims (5)

차량에 내장된 블랙박스의 내장 카메라 또는 별도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주행 중 도로 상황에 대한 AI 비전 인식을 통하여 도로 상황 영상을 분류해서 수집하기 위한 AI비전인식부;
상기 AI비전인식부에서 분류 수집한 도로 상황 영상에서 도로 상황 데이터를 추출하여 축적시켜 빅데이터를 구축해 주기 위한 빅데이터구축부; 및
상기 빅데이터구축부에서 구축한 빅데이터를 판독하여 서비스 종류별로 이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해 주기 위한 빅데이터활용부를 포함하는 차량 내 블랙박스나 별도 장착된 카메라를 활용한 도로 상황에 대한 빅데이터 구축 및 활용 시스템.
An AI vision recognition unit for classifying and collecting road situation images through AI vision recognition for road conditions while driving using a built-in camera of a black box built into the vehicle or a separately mounted camera;
A big data construction unit for constructing big data by extracting and accumulating road situation data from road situation images classified and collected by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and
Building big data on road conditions using a black box in the vehicle or a separately installed camera including a big data utilization unit to read the big data built in 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and provide corresponding services for each service type, and utilization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I비전인식부는,
주행 중 도로 상황으로, 도로나 차량 상태, 도로 주변 상황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블랙박스나 별도 장착된 카메라를 활용한 도로 상황에 대한 빅데이터 구축 및 활용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A system for constructing and utilizing big data for road conditions using a black box in a vehicle or a separately mounted camera, characterized by recognizing road conditions, vehicle conditions, and road surrounding conditions as road conditions while driv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I비전인식부는,
차량용 블랙박스의 내장 카메라 또는 별도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한 도로 상황 영상에 GPS모듈을 이용한 위치 정보를 포함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블랙박스나 별도 장착된 카메라를 활용한 도로 상황에 대한 빅데이터 구축 및 활용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For road conditions using a black box in a vehicle or a separately mounted camera,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ation information using the GPS module is included in the road situation image acquired using the built-in camera of the vehicle black box or a separately mounted camera Big data construction and utilization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I비전인식부는,
상기 빅데이터구축부로부터 전달되는 분류영상정보를 도로 관리 서비스의 종류 및 서비스 종류에 해당하는 서비스 코드 별로 내부메모리에 저장해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블랙박스나 별도 장착된 카메라를 활용한 도로 상황에 대한 빅데이터 구축 및 활용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The classification imag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is stored in the internal memory for each type of road management service and service code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service. A system for building and utilizing big data.
AI비전인식부가 차량에 내장된 블랙박스의 내장 카메라 또는 별도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주행 중 도로 상황에 대한 AI 비전 인식을 통하여 도로 상황 영상을 분류해서 수집하는 단계;
빅데이터구축부가 상기 AI비전인식부에서 분류 수집한 도로 상황 영상에서 도로 상황 데이터를 추출하여 축적시켜 빅데이터를 구축해 주는 단계; 및
빅데이터활용부가 상기 빅데이터구축부에서 구축한 빅데이터를 판독하여 서비스 종류별로 이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해 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내 블랙박스나 별도 장착된 카메라를 활용한 도로 상황에 대한 빅데이터 구축 및 활용 방법.
AI vision recognition unit classifying and collecting road situation images through AI vision recognition for road conditions while driving using a built-in camera of a black box built into a vehicle or a separately mounted camera;
Building big data by extracting and accumulating road situation data from the road situation images classified and collected by the AI vision recognition unit by the big data construction unit; and
Building big data on road conditions using a black box in the vehicle or a separately installed camera, including the step of reading the big data built by the big data building unit by the big data utilization unit and providing corresponding services for each service type and how to use it.
KR1020220024627A 2022-02-24 2022-02-24 Big-data constructing and using system and method for road conditions applying black-box or special mounted camera in vehicles KR2023012743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4627A KR20230127439A (en) 2022-02-24 2022-02-24 Big-data constructing and using system and method for road conditions applying black-box or special mounted camera in vehic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4627A KR20230127439A (en) 2022-02-24 2022-02-24 Big-data constructing and using system and method for road conditions applying black-box or special mounted camera in vehicl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7439A true KR20230127439A (en) 2023-09-01

Family

ID=87975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4627A KR20230127439A (en) 2022-02-24 2022-02-24 Big-data constructing and using system and method for road conditions applying black-box or special mounted camera in vehicl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7439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3359B1 (en) 2016-03-22 2018-02-2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apparatus for collecting traffic information from bigdata of outside image of car
KR102192420B1 (en) 2020-04-16 2020-12-17 김원국 System for managing dangerous area having black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3359B1 (en) 2016-03-22 2018-02-2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apparatus for collecting traffic information from bigdata of outside image of car
KR102192420B1 (en) 2020-04-16 2020-12-17 김원국 System for managing dangerous area having black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62414B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nomous vehicle ride sharing using facial recognition
CA2704332C (en) Traffic monitoring system
CN113724416B (en) Vehicle-mounted video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based on vehicle-road cooperative system and storage medium
CN111540237A (en) Method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vehicle safety driving guarantee scheme based on multi-data fusion
KR101626377B1 (en) A system for detecting car being violated parking and stopping of based on big date using CCTV camera and black box vehicle
TWI649729B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proving traffic violation vehicles
CN102129728A (en) Automobile running record management system
CN114446056B (en) Vehicle information code generation and vehicle passing control method, device and equipment
KR101491020B1 (en) Intelligent real time traffic violation enforcement inform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CN112802344A (en) Vehicle-mounted intelligent networking real-time traffic violation monitoring device and system
KR101394201B1 (en) Traffic violation enforcement system using cctv camera mounted on bus
KR102159144B1 (en) Unmanned vehicle crackdown system around a walking signal
KR101192734B1 (en) Vehicle violation notif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2526194B1 (en) Police enfoforcement system of illegal intervention vehicle by moving vehicle tracking
KR102298191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illegal vehicle
KR101570485B1 (en) System for monitoring illegal parking of camera blind spot
KR101498582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raffic Accident Data
KR102436111B1 (en) AI based event detection system targeting unlawful vehicle by using mobility system
KR20230127439A (en) Big-data constructing and using system and method for road conditions applying black-box or special mounted camera in vehicles
KR20200006385A (en) Priority traffic signal management method
KR100400102B1 (en) Method for controling vehicle using a vin
KR101907504B1 (en) Combination Type Carriageway Controller for Delivering Hi-pass Carriageway Situation to Nearby Vehicles
KR102436142B1 (en) Method for providing probabilistic prediction service using violation factors photographed by intermittent camera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1804377B1 (en) Traffic management system
RU158079U1 (en) DEVICE FOR AUTOMATIC PHOTO AND VIDEO FIXATION OF VIOLATIONS DO NOT PROVIDE ADVANTAGEOUS ACCESS TO SPECIAL TRANSP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