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7302A - 전자기기 및 이의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전자기기 및 이의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7302A
KR20230127302A KR1020237025914A KR20237025914A KR20230127302A KR 20230127302 A KR20230127302 A KR 20230127302A KR 1020237025914 A KR1020237025914 A KR 1020237025914A KR 20237025914 A KR20237025914 A KR 20237025914A KR 20230127302 A KR20230127302 A KR 202301273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ition limiting
lens assembly
limiting member
deformable member
deform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5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얄레이 송
Original Assignee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127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730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5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 H04N23/687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by shifting the lens or sensor posi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8Means for changing the camera field of view without moving the camera body, e.g. nutating or panning of optics or image sens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 G03B2205/0023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by tilting or inclining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84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other types of actu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5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 H04N23/651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by affecting camera operations, e.g. sleep mode, hibernation mode or power off of selective parts of the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Lens Barrels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전자기기 및 이의 카메라 모듈을 개시하며, 통신기기 분야에 속한다. 카메라 모듈은 렌즈 조립체, 모듈 브라켓, 제1 위치제한 부재, 제1 가변형 부재 및 제2 가변형 부재를 포함하며, 렌즈 조립체와 모듈 브라켓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 위치제한 부재는 렌즈 조립체 또는 모듈 브라켓에 고정되며, 제1 가변형 부재와 제2 가변형 부재는 모두 전기변형 부재이고, 제1 가변형 부재와 제2 가변형 부재는 제1 위치제한 부재의 서로 등진 양측에 설치되며, 렌즈 조립체가 모듈 브라켓에 대하여 제1 방향을 따라 회전하는 경우 제1 가변형 부재는 렌즈 조립체의 제1 회전각도를 검출하도록 변형되고, 렌즈 조립체가 모듈 브라켓에 대하여 제2 방향을 따라 회전하는 경우 제2 가변형 부재는 렌즈 조립체의 제2 회전각도를 검출하도록 변형되며, 제2 방향은 제1 방향과 반대이다.

Description

전자기기 및 이의 카메라 모듈
관련 출원에 대한 참조
본 출원은 2020년 12월 30일 중국에 제출된 출원명칭이 "전자기기 및 이의 카메라 모듈"인, 특허 출원 제202011622455.9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을 본 출원에 원용한다.
본 개시는 통신 기기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기기 및 이의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과학 기술의 진보에 따라, 휴대폰과 같은 전자기기는 사람들의 생산과 생활에서 중요한 작용을 하고 있으며, 전자기기에는 사용자가 쉽게 촬영할 수 있도록 일반적으로 카메라가 장착되어 있다. 사용자가 핸드헬드 방식으로 촬영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떨림으로 인해 촬영된 이미지나 동영상에 흐림 또는 이중상 현상이 발생하기 쉽다. 종래 기술에서, 카메라 모듈에는 일반적으로 촬영된 이미지 및 동영상의 선명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광학식 손떨림 보정 조립체가 장착되어 있으나, 종래 기술에서의 광학식 손떨림 보정 조립체는 일반적으로 카메라의 XYZ의 3차원 방향으로의 이동으로 인한 이미지 흐림만 보정할 수 있을 뿐 카메라가 자체의 광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발생하는 이미지 스미어 현상을 해결할 수 없다.
본 출원은 카메라가 자체의 광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발생하는 이미지 스미어 현상을 해결할 수 있는 전자기기 및 이의 카메라 모듈을 개시한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는 아래와 같이 구현된다.
제1 양상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카메라 모듈을 개시함에 있어서, 렌즈 조립체, 모듈 브라켓, 제1 위치제한 부재, 제1 가변형 부재 및 제2 가변형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 조립체와 상기 모듈 브라켓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위치제한 부재는 상기 렌즈 조립체 또는 상기 모듈 브라켓에 고정되며, 상기 제1 가변형 부재와 상기 제2 가변형 부재는 모두 전기변형 부재이며, 상기 제1 가변형 부재는 상기 제1 위치제한 부재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2 가변형 부재는 상기 제1 위치제한 부재의 타측에 설치된다.
상기 렌즈 조립체가 상기 모듈 브라켓에 대하여 제1 방향을 따라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1 가변형 부재는 상기 모듈 브라켓에 대한 상기 렌즈 조립체의 제1 회전각도를 검출하도록 변형될 수 있고, 상기 렌즈 조립체가 상기 모듈 브라켓에 대하여 제2 방향을 따라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2 가변형 부재는 상기 모듈 브라켓에 대한 상기 렌즈 조립체의 제2 회전각도를 검출하도록 변형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의 역방향이다.
제2 양상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전자기기를 개시함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을 포함한다.
본 출원은 렌즈 조립체, 모듈 브라켓, 제1 위치제한 부재, 제1 가변형 부재 및 제2 가변형 부재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개시하며, 제1 위치제한 부재와 렌즈 조립체 또는 모듈 브라켓은 상대 고정되며, 제1 가변형 부재와 제2 가변형 부재는 모두 전기변형 부재이고, 양자는 제1 위치제한 부재의 서로 등진 양측에 각각 설치된다. 카메라 모듈이 떨려 자체의 광축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렌즈 조립체와 모듈 브라켓은 렌즈 조립체의 광축 방향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하게 되고, 나아가 제1 위치제한 부재가 제1 가변형 부재(또는 제2 가변형 부재)를 압착하게 하여 제1 가변형 부재(또는 제2 가변형 부재)를 변형시키며, 제1 가변형 부재(또는 제2 가변형 부재)의 변형량에 따라 렌즈 조립체와 모듈 브라켓이 상대 회전하는 각도의 크기를 획득할 수 있고, 상기 상대 회전각도의 크기에 따라 제1 가변형 부재(또는 제2 가변형 부재)에 미리 설정된 크기의 전압을 인가하면 제1 가변형 부재(또는 제2 가변형 부재)가 렌즈 조립체와 모듈 브라켓을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하여 렌즈 조립체와 모듈 브라켓을 위치복원시킬 수 있다.
요약하면, 상기 카메라 모듈의 작동 과정에서, 카메라 모듈의 떨림으로 인해 렌즈 조립체가 뷰 영역에 대하여 회전하는 경우 카메라 모듈은 회전각도를 검출하고 해당 값의 전압을 인가하여 렌즈 조립체를 역방향으로 운동하도록 구동하여 카메라 모듈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스미어 현상을 보상하고, 렌즈 조립체와 뷰 영역의 상대 위치(또는 상대 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카메라 모듈의 회전으로 인한 이미지 스미어를 방지하고, 카메라의 영상 품질을 향상시킨다.
여기서 설명되는 도면은 본 출원에 대한 추가적인 이해를 제공하고, 본 출원의 일부를 구성하는 데 사용되며, 본 출원의 예시적인 실시예 및 이에 대한 설명은 본 출원에 대한 부당한 제한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본 출원을 해석하기 위함이다. 도면에 대해 다음과 같이 소개한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개시된 카메라 모듈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개시된 카메라 모듈의 부분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개시된 카메라 모듈의 제1 가변형 부재와 제2 가변형 부재의 회로 연결 개략도이다.
본 출원의 목적, 기술적 솔루션 및 장점을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 아래는 본 출원의 특정 실시예 및 해당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기술적 솔루션에 대해 명확하고 온전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출원의 전부 실시예가 아니라 일부 실시예에 불과함이 분명하다. 본 분야의 일반 기술자가 본 출원의 실시예를 기반으로 창의적인 노력 없이 얻는 다른 모든 실시예는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각 실시예에서 개시된 기술적 솔루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은 렌즈 조립체(110), 모듈 브라켓(도에 도시되지 않음), 제1 위치제한 부재(210), 제1 가변형 부재(410) 및 제2 가변형 부재(420)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개시한다. 물론, 카메라 모듈에는 감광칩(120)과 같은 다른 부품이 설치될 수 있으며, 감광칩(120)은 렌즈 조립체(110)의 입광측을 등지는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렌즈 조립체(110)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으며, 카메라 모듈 외부의 광선은 렌즈 조립체(110)를 통해 카메라 모듈 내로 입사된다. 모듈 브라켓은 렌즈 조립체(110)의 장착 토대이고, 모듈 브라켓은 렌즈 조립체(110)에 대해 어느 정도의 보호 작용을 제공할 수 있다. 모듈 브라켓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 등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그 형상과 구체적인 구조 형태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 예를 들어, 모듈 브라켓은 원통형 구조일 수 있으며, 모듈 브라켓은 렌즈 조립체(110)를 둘러싸서 설치되고, 렌즈 조립체(110)의 저부와 적어도 일부의 측부가 모듈 브라켓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어 카메라 모듈의 수명을 향상시킨다.
렌즈 조립체(110)와 모듈 브라켓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구체적으로, 렌즈 조립체(110)와 모듈 브라켓 사이에는 회전축이 설치될 수 있으며, 회전축은 렌즈 조립체(110)의 광축을 따라 연장되며, 이로써 렌즈 조립체(110)가 모듈 브라켓에 대하여 렌즈 조립체(110)의 광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물론, 렌즈 조립체(110)와 모듈 브라켓은 렌즈 조립체(110)와 모듈 브라켓 사이에 회전 연결 관계가 형성될 수 있도록 다른 연결 부재를 통해 연결될 수도 있으며, 설명의 간결함을 고려하여 여기서는 일일이 예시하지 않는다.
제1 위치제한 부재(210)는 판형 구조 또는 블록형 구조일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물론, 제1 위치제한 부재(210)가 제1 가변형 부재(410)와 제2 가변형 부재(420)에 대한 위치제한 작용을 제공할 수 있도록 보장하기 위해 제1 위치제한 부재(210)는 요구사항을 충족하는 구조 강도를 가져야 한다. 구체적으로, 제1 위치제한 부재(210)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 등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위치제한 부재(210)는 삽입 연결, 접착 연결 또는 연결 부재에 의한 연결 등 방식을 통해 렌즈 조립체(110) 또는 모듈 브라켓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위치제한 부재(210)가 정상적으로 위치제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보장하기 위해 제1 위치제한 부재(210)는 렌즈 조립체(110)와 모듈 브라켓 사이에 설치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위치제한 부재(210)는 렌즈 조립체(110)에 고정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위치제한 부재(210)는 렌즈 조립체(110)의 입광측을 등지는 일측, 즉 렌즈 조립체(110)의 저부와 모듈 브라켓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또는, 제1 위치제한 부재(210)는 또한 렌즈 조립체(110)의 측벽 외부에 고정될 수 있고, 모듈 브라켓이 렌즈 조립체(110)의 측벽 외부를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제1 위치제한 부재(210)가 렌즈 조립체(110)와 모듈 브라켓 사이에 위치하도록 보장할 수 있다.
제1 가변형 부재(410)와 제2 가변형 부재(420)의 구조는 같거나 다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양자는 스트립형 구조일 수 있거나 호형 구조일 수 있다. 제1 가변형 부재(410)와 제2 가변형 부재(420)는 모두 전기변형 부재이며, 즉, 제1 가변형 부재(410)와 제2 가변형 부재(420)는 모두 전기변형 재료로 만들어지며, 전기변형 재료는 구체적으로 압전 재료 또는 이온 교환 고분자 금속 재료 등 일 수 있으며, 이러한 재료는 통전 상태에서 변형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전기변형 재료의 형상이 변하는 경우 전압이 발생할 수 있으며, 본 출원은 이러한 재료의 상기 원리를 이용하여 렌즈 조립체(110)와 모듈 브라켓 사이의 상대 회전 상태를 검출하고, 상기 재료를 이용하여 렌즈 조립체(110)와 모듈 브라켓의 상대 운동을 구동하여 렌즈 조립체(110)와 모듈 브라켓을 초기 상태로 복원시켜 손떨림 보정 목적을 달성한다.
제1 가변형 부재(410)는 제1 위치제한 부재(210)의 일측에 설치되고, 제2 가변형 부재(420)는 제1 위치제한 부재(210)의 타측에 설치되며, 즉, 제1 가변형 부재(410)와 제2 가변형 부재(420)는 제1 위치제한 부재(210)의 서로 등진 양측에 각각 설치된다. 또한, 렌즈 조립체(110)와 모듈 브라켓이 상대 회전하는 과정에서, 제1 위치제한 부재(210)는 모듈 브라켓(또는 렌즈 조립체(110))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으므로 제1 위치제한 부재(210)는 제1 가변형 부재(410) 또는 제2 가변형 부재(420)에 접촉하고 이를 압착할 수 있다.
렌즈 조립체(110)가 모듈 브라켓에 대하여 제1 방향을 따라 회전하는 경우, 제1 가변형 부재(410)는 모듈 브라켓에 대한 렌즈 조립체(110)의 제1 회전각도를 검출하도록 변형될 수 있고, 렌즈 조립체(110)가 모듈 브라켓에 대하여 제2 방향을 따라 회전하는 경우, 제2 가변형 부재(420)는 모듈 브라켓에 대한 렌즈 조립체(110)의 제2 회전각도를 검출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방향은 제1 방향의 역방향이며, 즉, 제1 가변형 부재(410)와 제2 가변형 부재(420)는 렌즈 조립체(110)가 모듈 브라켓에 대하여 서로 다른 방향을 따라 회전하는 각도를 각각 검출할 수 있고, 전압의 출처에 따라 렌즈 조립체(110)와 모듈 브라켓의 상대 회전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위치제한 부재(210)는 렌즈 조립체(110) 또는 모듈 브라켓에 고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 위치제한 부재(210)는 렌즈 조립체(110)에 고정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제1 가변형 부재(410)와 제2 가변형 부재(420)는 모두 모듈 브라켓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렌즈 조립체(110)와 모듈 브라켓이 제1 방향을 따라 상대 회전하는 과정에서 제1 위치제한 부재(210)와 제1 가변형 부재(410)도 상대 운동할 수 있으며, 제1 위치제한 부재(210)가 제1 가변형 부재(410)에 접촉된 후 계속 회전하는 과정에서 제1 위치제한 부재(210)는 제1 가변형 부재(410)에 압력을 가하여 제1 가변형 부재(410)의 형상을 변화시킬 수 있고, 나아가 제1 가변형 부재(410)에 전압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제1 가변형 부재(410)에서 발생하는 전압의 크기에 따라 제1 가변형 부재(410)의 변형량을 획득할 수 있고, 나아가 제1 위치제한 부재(210)와 제1 가변형 부재(410) 사이의 상대 운동 각도, 즉 렌즈 조립체(110)와 모듈 브라켓 사이의 제1 방향을 따른 상대 회전각도를 획들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렌즈 조립체(110)와 모듈 브라켓이 제2 방향을 따라 상대 회전하는 경우, 제1 위치제한 부재(210)는 제2 가변형 부재(420)에 접촉하고 이를 압착할 수 있으며, 제2 가변형 부재(420)에서 발생하는 전압의 크기에 따라 렌즈 조립체(110)와 모듈 브라켓이 제2 방향으로 상대 회전하는 각도값을 획득할 수 있다. 제1 가변형 부재(410)(또는 제2 가변형 부재(420))의 형상 및 재질 등과 같은 파라미터에 따르고 제1 가변형 부재(410)(또는 제2 가변형 부재(420))에서 발생하는 구체적인 전압값에 기초하여 제1 가변형 부재(410)(또는 제2 가변형 부재(420))의 변형량을 획득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변형량에 따르고 제1 위치제한 부재(210)와 제1 가변형 부재(410)(또는 제2 가변형 부재(420)) 사이의 초기 위치에 결부하여 제1 위치제한 부재(210)와 제1 가변형 부재(410)(또는 제2 가변형 부재(420)) 사이의 상대 회전각도를 획득할 수 있고, 나아가 렌즈 조립체(110)와 모듈 브라켓의 제1 방향(또는 제2 방향)을 따른 상대 회전각도를 획득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상기 검출된 렌즈 조립체(110)와 모듈 브라켓이 제1 방향(또는 제2 방향)을 따라 상대 회전하는 각도에 따라 제1 가변형 부재(410)(또는 제2 가변형 부재(420))에 미리 설정된 전압을 인가하여 제1 가변형 부재(410)(또는 제2 가변형 부재(420))가 전압의 작용하에 상응하는 변형량을 발생시키도록 하고, 나아가 제1 가변형 부재(410)의 자율 변형을 통해, 제1 위치제한 부재(210)가 회전하면서 렌즈 조립체(110)와 모듈 브라켓을 제2 방향(또는 제1 방향)을 따라 회전시키도록 구동하여 렌즈 조립체(110)와 모듈 브라켓 사이를 초기 상태로 복원시켜 손떨림 보정 목적을 달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카메라 모듈 또는 상기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기기에는 전압 처리 모듈(300)이 설치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압 처리 모듈(300)은 전원과 연결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제어기, 전압 검출기 및 전압 출력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변형 부재(410)와 제2 가변형 부재(420)의 서로 등진 양단은 모두 도선과 같은 연결 구조를 통해 전압 처리 모듈(3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가변형 부재(410)(또는 제2 가변형 부재(420))가 압착될 때 발생하는 전압은 도선을 통해 전압 처리 모듈(300)로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전압 검출기는 발생된 전압을 검출할 수 있고,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제1 가변형 부재(410)(또는 제2 가변형 부재(420))의 변형량을 결정할 수 있으며, 제어기는 상기 변형량에 따라 렌즈 조립체(110)와 모듈 브라켓 사이의 상대 회전각도를 결정할 수 있고, 상기 회전각도에 따라 전압 출력기를 해당 크기의 전압을 출력하도록 제어하여 제1 가변형 부재(410)(또는 제2 가변형 부재(420))가 능동적으로 변형되도록 하고, 렌즈 조립체(110)와 모듈 브라켓을 상대 회전하도록 구동하여 위치복원을 구현한다.
본 출원은 렌즈 조립체(110), 모듈 브라켓, 제1 위치제한 부재(210), 제1 가변형 부재(410) 및 제2 가변형 부재(420)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개시하며, 제1 위치제한 부재(210)와 렌즈 조립체(110) 또는 모듈 브라켓은 상대 고정되며, 제1 가변형 부재(410)와 제2 가변형 부재(420)는 모두 전기변형 부재이고, 양자는 제1 위치제한 부재(210)의 서로 등진 양측에 각각 설치된다. 카메라 모듈이 떨려 자체의 광축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렌즈 조립체(110)와 모듈 브라켓은 렌즈 조립체(110)의 광축 방향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하게 되고, 나아가 제1 위치제한 부재(210)가 제1 가변형 부재(410)(또는 제2 가변형 부재(420))를 압착하게 하여 제1 가변형 부재(410)(또는 제2 가변형 부재(420))를 변형시키며, 제1 가변형 부재(410)(또는 제2 가변형 부재(420))의 변형량에 따라 렌즈 조립체(110)와 모듈 브라켓이 상대 회전하는 각도의 크기를 획득할 수 있고, 상기 상대 회전각도의 크기에 따라 제1 가변형 부재(410)(또는 제2 가변형 부재(420))에 미리 설정된 크기의 전압을 인가하면 제1 가변형 부재(410)(또는 제2 가변형 부재(420))가 렌즈 조립체(110)와 모듈 브라켓을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하여 렌즈 조립체(110)와 모듈 브라켓을 위치복원시킬 수 있다.
요약하면, 상기 카메라 모듈의 작동 과정에서, 카메라 모듈의 떨림으로 인해 렌즈 조립체(110)가 뷰 영역에 대하여 회전하는 경우 카메라 모듈은 회전각도를 검출하고 해당 값의 전압을 인가하여 렌즈 조립체(110)를 역방향으로 운동하도록 구동하여 카메라 모듈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스미어 현상을 보상하고, 렌즈 조립체(110)와 뷰 영역의 상대 위치(또는 상대 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카메라 모듈의 회전으로 인한 이미지 스미어를 방지하고, 카메라의 영상 품질을 향상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위치제한 부재(210)가 렌즈 조립체(110)에 고정된 경우, 제1 가변형 부재(410)와 제2 가변형 부재(420)를 모두 모듈 브라켓에 고정시킬 수 있어 제1 가변형 부재(410)와 제2 가변형 부재(420)가 각도 검출 및 위치복원 구동 작용을 정상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카메라 모듈의 조정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제1 가변형 부재(410)의 제1 위치제한 부재(210)를 등지는 일단은 모듈 브라켓에 고정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제2 가변형 부재(420)의 제1 위치제한 부재(210)를 등지는 일단은 모듈 브라켓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가변형 부재(410)와 제2 가변형 부재(420)의 모든 구조가 변형될 수 있어 각도 검출을 구현하고, 양자의 모든 구조가 통전된 상태에서 변형될 수 있어 위치복원 구동을 구현하므로 제1 가변형 부재(410)와 제2 가변형 부재(420)의 활용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고, 렌즈 조립체(110)에 대한 검출 및 조정 정확도를 어느 정도 향상시켜 손떨림 보정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은 제2 위치제한 부재(220)와 제3 위치제한 부재(230)를 더 포함하며, 제2 위치제한 부재(220)는 제1 위치제한 부재(210)의 일측에 설치되고, 제3 위치제한 부재(230)는 제1 위치제한 부재(210)의 타측에 설치된다. 즉. 제2 위치제한 부재(220)와 제3 위치제한 부재(230)는 제1 위치제한 부재(210)의 서로 등진 양측에 각각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제2 위치제한 부재(220)와 제3 위치제한 부재(230)의 구조는 제1 위치제한 부재(210)와 유사할 수 있으며, 양자는 모두 판형 또는 블록형 등과 같은 위치제한 작용을 제공할 수 있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제2 위치제한 부재(220)와 제3 위치제한 부재(230)는 모두 플라스틱 또는 금속 등과 같은 경질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으므로 제2 위치제한 부재(220)와 제3 위치제한 부재(230)가 모두 안정적이고 신뢰성 있는 위치제한 작용을 제공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렌즈 조립체(110)와 모듈 브라켓 중의 하나는 제1 위치제한 부재(210)에 고정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제2 위치제한 부재(220)와 제3 위치제한 부재(230)에 연결되며, 제1 가변형 부재(410)는 제2 위치제한 부재(220)와 제1 위치제한 부재(210) 사이에 파지되고, 제2 가변형 부재(420)는 제3 위치제한 부재(230)와 제1 위치제한 부재(210) 사이에 파지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위치제한 부재(220), 제1 가변형 부재(410), 제1 위치제한 부재(210), 제2 가변형 부재(420), 제3 위치제한 부재(230)는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상기 기술적 솔루션에서, 렌즈 조립체(110)와 모듈 브라켓이 제1 방향을 따라 상대 회전하는 과정에서 제1 위치제한 부재(210)와 제2 위치제한 부재(220)는 상대 회전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서로 접근하여 양자 사이에 위치한 제1 가변형 부재(410)를 압착하고, 제1 가변형 부재(410)의 변형량에 따라 렌즈 조립체(110)와 모듈 브라켓 사이의 제1 방향을 따라 상대 회전하는 각도를 결정할 수 있으며, 그 다음 검출된 상기 각도에 따라 제1 가변형 부재(410)에 미리 설정된 크기의 전압을 인가하면 제1 가변형 부재(410)가 능동적으로 변형되어 제1 위치제한 부재(210)와 제2 위치제한 부재(220)의 상대 운동을 구동하여 렌즈 조립체(110)와 모듈 브라켓을 제2 방향을 따라 상대 회전하도록 하고, 나아가 렌즈 조립체(110)를 위치복원시키고 손떨림 보정 목적을 달성한다. 물론, 상기 과정에서, 제3 위치제한 부재(230)는 또한 제1 위치제한 부재(210)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으나 앞서 언급한 양자 사이의 상대 회전 과정이 상기 각도 검출 및 위치복원 구동 과정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설명의 간결함을 고려하여 여기서는 더 이상 소개하지 않는다.
이에 대응하여, 렌즈 조립체(110)와 모듈 브라켓이 제2 방향을 따라 상대 회전하는 과정에서 제1 위치제한 부재(210)와 제3 위치제한 부재(230)는 상대 회전하며, 구체적으로 서로 접근하여 양자 사이에 위치한 제2 가변형 부재(420)를 압착하며, 제2 가변형 부재(420)의 검출 과정 및 구동 과정은 제1 가변형 부재(410)와 유사하며, 렌즈 조립체(110)와 모듈 브라켓을 제1 방향을 따라 위치복원 회전하도록 구동하여 렌즈 조립체(110)와 모듈 브라켓을 초기 위치로 복원시킬 수 있다.
제2 위치제한 부재(220)와 제3 위치제한 부재(230)에 의해 제1 가변형 부재(410)와 제2 가변형 부재(420)의 위치가 제한되는 경우, 제1 가변형 부재(410)와 제2 가변형 부재(420)는 모두 렌즈 조립체(110)와 모듈 브라켓에 연결되지 않고, 제1 위치제한 부재(210), 제2 위치제한 부재(220)와 제3 위치제한 부재(230)만으로 제1 가변형 부재(410)와 제2 가변형 부재(420)의 위치를 제한할 수 있으므로 제1 가변형 부재(410)와 제2 가변형 부재(420)가 연결관계의 제한을 받아 양자의 '변형-전기생산' 교체 과정에서 검출 정확도 및 변형 정확도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렌즈 조립체(110)의 회전각도에 대한 검출 정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렌즈 조립체(110)에 대한 구동 정확도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제1 가변형 부재(410)와 제2 가변형 부재(420)의 설치 난이도도 상대적으로 작다.
선택적으로, 제1 가변형 부재(410)와 제1 위치제한 부재(210)의 접점과 렌즈 조립체(110)의 광축 사이의 제1 간격은 제1 가변형 부재(410)와 상기 제2 위치제한 부재(220)의 접점과 상기 렌즈 조립체(110)의 광축 사이의 제2 간격과 동일하다. 즉, 제1 가변형 부재(410)와 제1 위치제한 부재(210)의 작용점과 렌즈 조립체(110)의 중심의 거리는 제1 가변형 부재(410)와 제2 위치제한 부재(220)의 작용점과 렌즈 조립체(110)의 중심의 거리와 동일하며, 나아가 제1 가변형 부재(410)가 압착되어 변형되거나 통전시 능동적으로 변형될 때 제1 위치제한 부재(210) 및 제2 위치제한 부재(220)와 제1 가변형 부재(410) 사이의 상호작용 효과를 동일하게 한다.
이에 대응하여, 제2 가변형 부재(420)와 상기 제1 위치제한 부재(210)의 접점과 상기 렌즈 조립체(110)의 광축 사이의 제3 간격을 상기 제2 가변형 부재(420)와 상기 제3 위치제한 부재(230)의 접점과 상기 렌즈 조립체(110)의 광축 사이의 제4 간격과 동일하게 할 수 있으므로 제1 위치제한 부재(210) 및 제3 위치제한 부재(230)와 제2 가변형 부재(420) 사이의 작용 효과도 거의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가변형 부재(410)는 스트립형 구조물 등일 수 있으며, 제1 가변형 부재(410)의 연장 방향을 제1 가변형 부재(410)의 중점과 렌즈 조립체(110)의 광축의 연결선에 수직시킴으로써 제1 가변형 부재(410)의 서로 등진 양단과 렌즈 조립체(110)의 광축 사이의 간격을 동일하게 하거나 거의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제1 위치제한 부재(210) 및 제2 위치제한 부재(220)는 모두 제1 가변형 부재(410)와 점접촉 또는 면접촉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위치제한 부재(210) 및 제2 위치제한 부재(220)가 모두 제1 가변형 부재(410)와 면접촉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접점은 서로 대응하는 접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로 대응하는 접점은 제1 가변형 부재(410)의 일단 단면의 중심과 제1 위치제한 부재(210)의 제1 접점, 그리고 제1 가변형 부재(410)의 타단 단면의 중심과 제2 위치제한 부재(220)의 제2 접점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가변형 부재(420)와 제1 가변형 부재(410)의 구조가 유사하기 때문에 양자의 설치 방식도 기본적으로 동일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진일보로, 상기 제1 위치제한 부재(210)와 상기 제2 위치제한 부재(220)가 모두 위치제한 평면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즉, 제1 위치제한 부재(210)와 제2 위치제한 부재(220)는 모두 평면 구조를 통해 제1 가변형 부재(410)와 서로 결합되며, 이러한 방식으로 제1 가변형 부재(410)에 대한 위치제한 효과를 어느 정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2개의 위치제한 평면의 교차선은 상기 렌즈 조립체(110)의 광축이 위치하는 직선이며, 즉, 제1 위치제한 부재(210)의 위치제한 평면과 제2 위치제한 부재(220)의 위치제한 평면이 교차하고, 모두 렌즈 조립체(110)의 광축을 지나며, 또는, 렌즈 조립체(110)의 광축이 위치하는 직선이 제1 위치제한 부재(210)와 제2 위치제한 부재(220)의 위치제한 평면에 동시에 위치한다고 말할 수 있다.
제1 가변형 부재(410)가 통전되는 경우, 제1 가변형 부재(410)는 변형되고 자체를 통해 제1 위치제한 부재(210)와 제2 위치제한 부재(220)에 각각 제1 구동력과 제2 구동력을 가한다. 상기 기술적 솔루션을 채택함으로써, 제1 구동력의 방향이 제1 위치제한 부재(210)의 위치제한 평면에 거의 수직되고, 제2 구동력의 방향이 제2 위치제한 부재(220)의 위치제한 평면에 거의 수직되고, 제1 구동력과 제2 구동력이 다른 작용 효과가 거의 없이 제1 위치제한 부재(210)와 제2 위치제한 부재(220)에만 작용하여 제1 위치제한 부재(210)와 제2 위치제한 부재(220)를 상대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구동력의 낭비를 감소시키고, 구동효율을 향상시키며,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기술적 솔루션을 채택하는 경우, 제1 위치제한 부재(210)와 제2 위치제한 부재(220) 사이의 상대 회전량의 거의 전부가 제1 가변형 부재(410)에 작용하여 제1 가변형 부재(410)를 압착하여 변형시킬 수 있으므로, 제1 가변형 부재(410)에 의해 검출된 렌즈 조립체(110)와 모듈 브라켓 사이의 회전각도의 값이 보다 정확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위치제한 부재(210)와 상기 제3 위치제한 부재(230)가 모두 위치제한 평면을 가지도록 하고, 2개의 상기 위치제한 평면의 교차선을 상기 렌즈 조립체(110)의 광축이 위치하는 직선으로 함으로써 제2 가변형 부재(420)의 구동 효율을 향상시키고,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며, 렌즈 조립체(110)와 모듈 브라켓 사이의 상대 회전각도에 대한 제2 가변형 부재(420)의 검출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가변형 부재(410)와 제2 가변형 부재(420)는 모두 호형 구조물일 수 있으며, 이는 양자와 제1 위치제한 부재(210) 사이의 작용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1 가변형 부재(410)와 제2 가변형 부재(420)는 모두 구형 구조물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가변형 부재(410)와 제2 가변형 부재(420)는 전술한 실시예의 요구 사항을 만족시킬 수 있고, 제1 가변형 부재(410)와 제2 가변형 부재(420)의 가공 및 설치 난이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위치제한 부재(210)는 렌즈 모듈에 고정될 수 있고, 모듈 브라켓에 고정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제1 위치제한 부재(210)는 렌즈 조립체(110)에 고정되어 렌즈 조립체(110)에 연결된 부품의 개수를 줄이고 렌즈 조립체(110)의 회전 난이도를 감소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위치제한 부재(210)는 렌즈 조립체(110)의 저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위치제한 부재(210)는 렌즈 조립체(110)의 측벽 외부에 설치된다. 이 경우, 렌즈 조립체(110)는 작은 회전 동작을 생성하여 제1 위치제한 부재(210)가 렌즈 조립체(110)를 따라 운동하게 할 수 있어 제1 위치제한 부재(210)의 감지 감도가 더 높아지고 카메라 모듈의 손떨림 보정 성능이 향상된다. 여기서, 렌즈 조립체(110)의 측벽은 렌즈 조립체(110)의 광축을 둘러싸서 설치되며, 이에 대응하여, 렌즈 조립체(110)의 저부는 렌즈 조립체(110)의 광축에 수직되는 구조이다.
전술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카메라 모듈에 제2 위치제한 부재(220)와 제3 위치제한 부재(230)가 설치된 경우, 제2 위치제한 부재(220)와 제3 위치제한 부재(230)는 렌즈 조립체(110)의 측벽 외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제1 위치제한 부재(210)가 렌즈 조립체(110)에 연결되는 경우, 제2 위치제한 부재(220)와 제3 위치제한 부재(230)는 모두 모듈 브라켓에 고정 연결될 수 있다.
제1 가변형 부재(410)가 제1 위치제한 부재(210)와 제2 위치제한 부재(220) 사이에서 렌즈 조립체(1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운동하지 않도록 보장하기 위해, 즉, 제1 가변형 부재(410)가 렌즈 조립체(110)의 축방향을 따라 렌즈 조립체(110)에서 멀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위치제한 부재(210)와 제2 위치제한 부재(220)의 렌즈 조립체(110)를 등지는 일측이 서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하여 제1 가변형 부재(410)가 제1 위치제한 부재(210), 제2 위치제한 부재(220) 및 렌즈 조립체(110) 사이에 파지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1 위치제한 부재(210)와 제2 위치제한 부재(220)의 위치제한 평면이 모두 렌즈 조립체(110)의 광축이 위치하는 직선을 지나게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 위치제한 부재(210)와 제2 위치제한 부재(220) 사이의 간격은 렌즈 조립체(110) 위치에 가까울수록 작아지고, 양자 사이의 간격은 렌즈 조립체(110) 위치에서 멀어질수록 커지므로 제1 위치제한 부재(210)와 제2 위치제한 부재(220)가 나팔모양의 구조물을 형성하도록 하며, 이리하여 제1 위치제한 부재(210)와 제2 위치제한 부재(220)에 의존하여 제1 가변형 부재(410)에 대한 위치제한 작용을 제공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제2 가변형 부재(420)도 제1 위치제한 부재(210)와 제3 위치제한 부재(230)에 의해 위치가 제한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이로써, 선택적으로,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은 탄성 위치제한 부재(24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탄성 위치제한 부재(240)는 제2 위치제한 부재(220)와 제3 위치제한 부재(230)의 렌즈 조립체(110)를 등지는 일측에 연결되고, 제1 가변형 부재(410)와 제2 가변형 부재(420)는 모두 탄성 위치제한 부재(240)와 렌즈 조립체(110)의 측벽 사이에 위치제한적으로 설치된다. 이 경우, 탄성 위치제한 부재(240)를 통해 제1 가변형 부재(410)와 제2 가변형 부재(420)의 위치를 제한하여 제1 가변형 부재(410)와 제2 가변형 부재(420)가 렌즈 조립체(1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운동하여 각도 검출 및 위치복원 구동 작용을 정상적으로 제공할 없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탄성 위치제한 부재(240)는 구체적으로 어느 정도의 탄성 능력을 가지는 재료로 만들어져 제1 가변형 부재(410)가 제1 위치제한 부재(210)와 제2 위치제한 부재(220)의 압착 작용을 받을 때 탄성 위치제한 부재(240)가 탄성 변형을 발생함으로써 제1 가변형 부재(410)를 위해 대피 공간을 제공할 수 있어 제1 가변형 부재(410)가 압착될 때 정상적으로 변형될 수 있도록 보장한다. 이에 대응하여, 제2 가변형 부재(420)가 압착되어 변형되는 과정에서, 제2 가변형 부재(420)는 또한 탄성 위치제한 부재(240)를 압착함으로써 자체가 정상적으로 변형될 수 있도록 보장할 수 있다.
물론, 제1 가변형 부재(410)와 제2 가변형 부재(420)가 모두 렌즈 조립체(110)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보장하기 위해, 제1 위치제한 부재(210)의 렌즈 조립체(110)를 등지는 일측에 탄성 위치제한 부재(240)를 설치하는 것 외에,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위치제한 부재(210)의 다른 양측에 각각 위치제한 구조(250)를 설치하여 제1 가변형 부재(410)와 제2 가변형 부재(420)가 패키징되어 제2 위치제한 부재(220), 탄성 위치제한 부재(240), 제3 위치제한 부재(230), 렌즈 조립체(110) 및 상기 2개의 위치제한 구조(250) 사이에 위치제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위치제한 부재(210)의 개수는 여러 개이며, 각 제1 위치제한 부재(210)의 일측에는 모두 제1 가변형 부재(410)가 설치되고, 타측에는 모두 제2 가변형 부재(420)가 설치된다. 이 경우, 렌즈 조립체(110)가 모듈 브라켓에 대하여 제1 방향을 따라 회전할 때 여러 개의 제1 가변형 부재(410)를 통해 회전각도를 동시에 검출할 수 있어 각도 검출의 정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여러 개의 제1 가변형 부재(410)를 통해 렌즈 조립체(110)를 모듈 브라켓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구동하여 구동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렌즈 조립체(110)가 모듈 브라켓에 대하여 제2 방향을 따라 회전할 때 여러 개의 제2 가변형 부재(420)를 통해 회전각도를 검출하여 검출 및 조정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위치제한 부재(210), 제1 가변형 부재(410) 및 제2 가변형 부재(420)가 모두 여러 개 설치되는 경우, 카메라 모듈의 조정 정확도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여러 개의 제2 위치제한 부재(220) 및 여러 개의 제3 위치제한 부재(230)를 설치하고, 여러 개의 제2 위치제한 부재(220)와 여러 개의 제3 위치제한 부재(230)를 일대일 대응으로 여러 개의 제1 위치제한 부재(210)와 결합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여러 개의 제1 위치제한 부재(210)는 렌즈 조립체(110)의 광축을 중심으로 균일하게 간격을 두고 분포되며, 이 경우, 렌즈 조립체(110)의 각 부위가 모두 비교적 균일한 구동 작용력을 받을 수 있어 렌즈 조립체(110)가 모듈 브라켓에 대하여 회전하는 과정에서 비스듬하게 힘을 받아 정체되는 것을 방지하여, 카메라 모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위치제한 부재(210)의 개수는 구체적으로 3개, 4개 또는 그 이상이 될 수 있으며, 이로써 렌즈 조립체(110)와 모듈 브라켓 사이에 형성되는 결합 관계가 더 신뢰할 수 있음을 보장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 중 임의의 하나에서 개시된 카메라 모듈에 기초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는 또한 전자기기를 제공하며, 전자기기는 상기 실시예 중 임의의 하나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며, 물론, 전자기기는 표시 모듈, 하우징 본체 및 배터리와 같은 다른 소자를 더 포함하며, 설명의 간결함을 고려하여 여기서는 더 이상 일일이 소개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개시된 전자기기는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전자책 리더 또는 웨어러블 기기일 수 있다. 물론, 상기 전자기기는 다른 기기일 수도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는 않는다.
본 출원의 상기 실시예에서 중점적으로 각 실시예들 간의 차이를 설명하고, 각 실시예들의 서로 다른 최적화 특징이 모순되지 않는 한, 서로 조합되어 더 나은 실시예를 형성할 수 있으며, 설명의 간결함을 고려하여,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전술한 내용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출원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분야의 기술자는 본 출원에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주지와 원리 내에서 이루어진 임의의 수정, 균등의 대체, 개선 등은 모두 본 출원의 청구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110-렌즈 조립체, 120-감광칩,
210-제1 위치제한 부재, 220-제2 위치제한 부재, 230-제3 위치제한 부재, 240-탄성 위치제한 부재, 250-위치제한 구조,
300-전압 처리 모듈,
410-제1 가변형 부재, 420-제2 가변형 부재.

Claims (10)

  1.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 렌즈 조립체, 모듈 브라켓, 제1 위치제한 부재, 제1 가변형 부재 및 제2 가변형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 조립체와 상기 모듈 브라켓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위치제한 부재는 상기 렌즈 조립체 또는 상기 모듈 브라켓에 고정되며, 상기 제1 가변형 부재와 상기 제2 가변형 부재는 모두 전기변형 부재이며, 상기 제1 가변형 부재는 상기 제1 위치제한 부재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2 가변형 부재는 상기 제1 위치제한 부재의 타측에 설치되며,
    상기 렌즈 조립체가 상기 모듈 브라켓에 대하여 제1 방향을 따라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1 가변형 부재는 상기 모듈 브라켓에 대한 상기 렌즈 조립체의 제1 회전각도를 검출하도록 변형될 수 있고, 상기 렌즈 조립체가 상기 모듈 브라켓에 대하여 제2 방향을 따라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2 가변형 부재는 상기 모듈 브라켓에 대한 상기 렌즈 조립체의 제2 회전각도를 검출하도록 변형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방향과 상기 제1 방향은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제2 위치제한 부재와 제3 위치제한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위치제한 부재는 상기 제1 위치제한 부재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3 위치제한 부재는 상기 제1 위치제한 부재의 타측에 설치되며, 상기 렌즈 조립체와 상기 모듈 브라켓 중의 하나는 상기 제1 위치제한 부재에 고정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제2 위치제한 부재와 상기 제3 위치제한 부재에 모두 고정 연결되며, 상기 제1 가변형 부재는 상기 제2 위치제한 부재와 상기 제1 위치제한 부재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제2 가변형 부재는 상기 제3 위치제한 부재와 상기 제1 위치제한 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변형 부재와 상기 제1 위치제한 부재의 접점과 상기 렌즈 조립체의 광축 사이의 제1 간격은 상기 제1 가변형 부재와 상기 제2 위치제한 부재의 접점과 상기 렌즈 조립체의 광축 사이의 제2 간격과 동일하고,
    및/또는, 상기 제2 가변형 부재와 상기 제1 위치제한 부재의 접점과 상기 렌즈 조립체의 광축 사이의 제3 간격은 상기 제2 가변형 부재와 상기 제3 위치제한 부재의 접점과 상기 렌즈 조립체의 광축 사이의 제4 간격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제한 부재와 상기 제2 위치제한 부재는 모두 위치제한 평면을 가지며, 2개의 상기 위치제한 평면의 교차선은 상기 렌즈 조립체의 광축이 위치하는 직선이고,
    및/또는, 상기 제1 위치제한 부재와 상기 제3 위치제한 부재는 모두 위치제한 평면을 가지며, 2개의 상기 위치제한 평면의 교차선은 상기 렌즈 조립체의 광축이 위치하는 직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변형 부재 및/또는 상기 제2 가변형 부재는 구형 구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제한 부재는 상기 렌즈 조립체의 측벽에 설치되고, 상기 측벽은 상기 렌즈 조립체의 광축을 둘러싸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탄성 위치제한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 위치제한 부재는 상기 제2 위치제한 부재와 상기 제3 위치제한 부재의 상기 렌즈 조립체를 등지는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1 가변형 부재와 상기 제2 가변형 부재는 모두 상기 탄성 위치제한 부재와 상기 렌즈 조립체의 측벽 사이에 위치제한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제한 부재의 개수는 여러 개이며, 상기 제1 위치제한 부재의 일측에는 모두 상기 제1 가변형 부재가 설치되고, 타측에는 모두 상기 제2 가변형 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여러 개의 상기 제1 위치제한 부재는 상기 렌즈 조립체의 광축을 중심으로 균일하게 간격을 두고 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0.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는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KR1020237025914A 2020-12-30 2021-12-28 전자기기 및 이의 카메라 모듈 KR2023012730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1622455.9 2020-12-30
CN202011622455.9A CN112615999B (zh) 2020-12-30 2020-12-30 电子设备及其摄像头模组
PCT/CN2021/141889 WO2022143605A1 (zh) 2020-12-30 2021-12-28 电子设备及其摄像头模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7302A true KR20230127302A (ko) 2023-08-31

Family

ID=75249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5914A KR20230127302A (ko) 2020-12-30 2021-12-28 전자기기 및 이의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333453A1 (ko)
EP (1) EP4274210A4 (ko)
JP (1) JP2024500987A (ko)
KR (1) KR20230127302A (ko)
CN (1) CN112615999B (ko)
WO (1) WO20221436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15999B (zh) * 2020-12-30 2022-04-0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摄像头模组
CN115567761B (zh) * 2022-12-07 2023-03-31 杭州视洞科技有限公司 一种无限旋转摄像机的复位方法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0997A (ja) * 2005-04-15 2006-11-02 Tamron Co Ltd 像振れ防止機能を有する撮像装置
US7773119B2 (en) * 2006-04-28 2010-08-10 Konica Minolta Opto, Inc. Drive apparatus, image pickup unit and image pickup apparatus
JP5152483B2 (ja) * 2007-10-05 2013-02-27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
CN107255899A (zh) * 2012-08-22 2017-10-17 柯尼卡美能达株式会社 透镜镜筒
JP6137879B2 (ja) * 2013-03-07 2017-05-31 キヤノン株式会社 像振れ補正装置、レンズ鏡筒、光学機器、および撮像装置
CN205507322U (zh) * 2016-01-22 2016-08-24 南昌欧菲光电技术有限公司 具有对焦及防抖功能的摄像头模组
CN110476413B (zh) * 2017-03-30 2021-02-12 富士胶片株式会社 摄像装置、摄像控制方法及存储介质
CN208707750U (zh) * 2018-08-02 2019-04-05 Oppo(重庆)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摄像头及具有该摄像头的电子装置
CN111294484B (zh) * 2018-12-07 2021-08-31 华为技术有限公司 摄像头组件和终端设备
CN112073600A (zh) * 2019-06-11 2020-12-11 南昌欧菲光电技术有限公司 摄像头模组、电子设备及其光学防抖方法
WO2020248444A1 (zh) * 2019-06-11 2020-12-17 南昌欧菲光电技术有限公司 摄像头模组、电子设备及其光学防抖方法
CN110784650B (zh) * 2019-11-12 2022-01-0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防抖摄像模组及电子设备
CN112615999B (zh) * 2020-12-30 2022-04-0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摄像头模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74210A1 (en) 2023-11-08
US20230333453A1 (en) 2023-10-19
CN112615999A (zh) 2021-04-06
WO2022143605A1 (zh) 2022-07-07
CN112615999B (zh) 2022-04-01
JP2024500987A (ja) 2024-01-10
EP4274210A4 (en) 2024-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127302A (ko) 전자기기 및 이의 카메라 모듈
TWI581029B (zh) 攝影模組以及包含該模組的可攜式電子裝置
US20200196447A1 (en) Circuit board having multiple degrees of freedom and anti-shaking miniature actuator
CN110967783B (zh) 驱动液态镜头的马达组件、摄像头模组和电子设备
KR102185056B1 (ko) 카메라 모듈
KR20230016053A (ko) 촬영 장치, 전자 장치 및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207901B1 (ko) 카메라 모듈
CN113489910B (zh) 光学防抖方法、系统、计算机可读存储介质及电子设备
JP2021525389A (ja) 電子機器
US9516233B2 (en)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device and apparatus for compensating tremble
JP2013200366A (ja) 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カメラ装置
CN112616000A (zh) 驱动装置、摄像模组及电子设备
KR20230124057A (ko) 카메라 모듈 및 전자기기
CN214011700U (zh) 相机模块
CN214228341U (zh) 光学防抖摄像头模组
KR20100109331A (ko) 흔들림 보정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JP2007147843A (ja) 撮像装置および携帯電子機器
CN113014769B (zh) 拍摄装置及电子设备
CN112788243B (zh) 摄像模组及电子设备
CN111629127B (zh) 摄像设备
CN113556450A (zh) 摄像头模组及电子设备
KR101521528B1 (ko) 카메라 흔들림 보정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WO2022000549A1 (zh) 镜头驱动装置
KR20200139484A (ko) 카메라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JP7516564B2 (ja) 撮影装置、電子機器及び撮影装置の制御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