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6870A - 리프팅 실 - Google Patents

리프팅 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6870A
KR20230126870A KR1020220024232A KR20220024232A KR20230126870A KR 20230126870 A KR20230126870 A KR 20230126870A KR 1020220024232 A KR1020220024232 A KR 1020220024232A KR 20220024232 A KR20220024232 A KR 20220024232A KR 20230126870 A KR20230126870 A KR 202301268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thread
fixing part
skin
rear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4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길현
Original Assignee
한길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길현 filed Critical 한길현
Priority to KR1020220024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6870A/ko
Publication of KR20230126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687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68Trocars; Puncturing needles for implanting or removing devices, e.g. prostheses, implants, seeds,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59Cosmetic or alloplastic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77Special surfaces of prostheses, e.g. for improving in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47Dermatolog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92Plastic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969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used for transpla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61B2017/06176Sutures with protrusions, e.g. bar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20/00Fixations or connections for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20/0008Fixation appliances for connecting prostheses to the body
    • A61F2220/0016Fixation appliances for connecting prostheses to the body with sharp anchoring protrusions, e.g. barbs, pins, spikes

Abstract

본 발명은 리프팅 실에 관한 것으로서, 피부조직에 고정되어 인장강도를 높이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부보다 굵기가 작은 후단부; 상기 고정부의 다른 일측으로 연장되는 전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리프팅 실{Thread for lifting}
본 발명은 리프팅 실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리프팅 실을 피하에 삽입하고 피부를 당겨 지탱하도록 하여 주름을 제거하는 실 리프팅 시술 후에 피부를 당겨 지탱하는 지속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는 리프팅 실을 제공하는 것이다.
노화가 진행되면 피하 지방층이 줄어들고 이동하면서 주름이 깊어지며 콜라겐과 엘라스틴 성분이 줄어들어 피부의 탄력이 줄어들고, 얼굴의 근막층이 늘어지면서 피부가 처지게 된다.
실 리프팅 시술은 근막층에 리프팅 실을 삽입하고 당겨 지탱하도록 하여 늘어진 근막층의 탄력을 되돌리게 되는데, 리프팅 실은 체내에 흡수되는 성분으로 만들어진 생체 흡수성 실이 주로 사용되고 있는데, 특히 수술용 소재인 폴리다이옥사논(PDO: polydioxanone) 성분의 리프팅 실이 대표적이고, 이와 함께 폴리락트산, 폴리글리콜산, 폴리카프로락톤 및 이들의 공중합체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성분으로 제조할 수 있다.
리프팅 실은 돌기가 없는 일자형과 다양한 형태의 돌기를 갖는 실이 사용되고 있는데, 최근에는 주로 다양한 형태의 돌기를 갖는 실이 사용되고 있다.
미늘 또는 코그라고 불리는 다양한 형태의 돌기를 갖는 실은 컷팅, 매듭, 다이 컷팅, 가압, 사출 성형 등 다양한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실 리프팅 시술에 의하여 리프팅 실이 피하에 삽입되어 당겨지면 리프팅 실이 피부조직에 고정되어 주름을 제거하게 되지만, 시간에 경과함에 따라 리프팅 실이 고정되는 지지력이 약화되고, 돌기를 갖는 실을 사용하여 실 리프팅 시술을 하면 주름 제거의 지속시간을 어느 정도는 증가시킬 수 있으나, 여전히 지속시간을 크게 증가시키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1455683호는 양방향 가시 봉합사에 관한 것으로서, 피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피부를 탄력적으로 당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 1 미늘부의 걸림가지와 제 2 미늘부의 걸림 가지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절개되도록 하고 있으나, 걸림 가지의 지지력만으로 주름 제거의 지속시간을 크게 증가시키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581873호는 의료용 봉합사 가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배향성과 유연성을 가지는 미늘 형태의 돌기를 갖는 의료용 봉합사 제조에 유용하게 사용되는 봉합사 가압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제 1 가압롤러부, 제 2 가압롤러부, 제 3 가압롤러부에 의하여 봉합사 원재료를 점진적으로 가늘게 가공하고 있으나, 미늘 형태의 돌기의 지지력만으로 주름 제거의 지속시간을 크게 증가시키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2237586호는 피부 리프팅 실 삽입기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의 삽입바늘에 연결된 하나의 코그실을 이용하여 리프팅 효과를 증대시키고 있으나, 제 1 삽입바늘을 사용하여 전체길이의 반 정도의 실을 삽입하고 제 2 삽입바늘을 사용하여 나머지 반 정도의 실을 삽입하는 과정에서 실과 피부의 마찰로 실과 피부 모두 쉽게 손상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185583호는 매듭짓는 작업이 필요없는 봉합사에 관한 것으로서, 매듭짓는 작업이 필요없이 시술부위에서 보다 견고하게 유지 및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봉합사 지지체를 구비하고 있으나, 봉합사 지지체를 삽입하는 시술이 어렵고 봉합사 지지체를 더 부가함에 따라 제조비용도 상승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695339호는 굵기를 달리하는 성형수술용 실에 관한 것으로서, 전단부, 리프팅부, 변환부, 픽싱부, 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팅부 및 상기 픽싱부는 일체로 사출성형되며, 상기 리프팅부의 길이는 상기 픽싱부의 길이에 비해 짧은 길이로 형성하고, 상기 리프팅부의 두께는 상기 픽싱부의 두께보다 굵게 형성하여 강성을 확보하고 있으나, 상기 전단부와 상기 파지부의 두께는 상기 픽싱부의 두께와 동일하므로 상기 전단부와 상기 파지부는 유연성이 없어서 묶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455683호 등록특허공보 제10-1581873호 등록특허공보 제10-2237586호 등록특허공보 제10-1185583호 등록특허공보 제10-1695339호
본 발명은 실 리프팅 시술에 의하여 리프팅 실이 피하에 삽입되어 당겨지면 리프팅 실이 피부조직에 고정되고 리프팅 실의 적어도 어느 일측을 고정하여 리프팅 실이 피부조직에 고정되는 지속시간을 크게 증가시키지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리프팅 실의 일측에 바늘을 연결하고 실의 굵기를 얇게 형성하여 꿰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리프팅 실의 일측의 굵기를 얇게 형성하여 묶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리프팅 실의 적어도 어느 일측을 손쉽고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실 리프팅 시술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리프팅 실의 적어도 어느 일측을 손쉽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리프팅 실의 제조비용을 저감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목적으로만 제한하지 아니하고, 위에서 명시적으로 나타내지 아니한 다른 기술적 과제는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통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하의 구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리프팅 실에 관한 것으로서, 피부조직에 고정되어 인장강도를 높이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부보다 굵기가 작은 후단부; 상기 고정부의 다른 일측으로 연장되는 전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고정부에는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피부조직에 고정되는 인장강도를 더욱 더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후단부에는 바늘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고정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는 한쪽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고정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는 서로 방향이 다른 복수의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고정부는 캐뉼라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후단부는 손잡이 부분에서 노출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전단부는 캐뉼라의 손잡이와 반대 부분에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후단부에 연결되는 바늘은 상기 캐뉼라 내부를 관통할 수 있도록 굵기가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전단부는 상기 고정부보다 굵기가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전단부는 상기 고정부와 굵기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실 리프팅 시술에 의하여 리프팅 실이 피하에 삽입되어 당겨지면 리프팅 실이 피부조직에 고정되고 리프팅 실의 적어도 어느 일측을 고정하여 리프팅 실이 피부조직에 고정되는 지속시간을 크게 증가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리프팅 실의 일측에 바늘을 연결하고 실의 굵기를 얇게 형성하여 꿰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리프팅 실의 일측의 굵기를 얇게 형성하여 묶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리프팅 실의 적어도 어느 일측을 손쉽고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실 리프팅 시술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리프팅 실의 적어도 어느 일측을 손쉽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리프팅 실의 제조비용을 저감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효과는 상기 효과로만 제한하지 아니하고, 위에서 명시적으로 나타내지 아니한 다른 효과는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통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리프팅 실이 캐뉼라에 장착되어 보호캡과 결합된 구성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인 리프팅 실이 캐뉼라에 장착되어 보호캡과 분리된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인 리프팅 실의 일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인 리프팅 실의 다른 일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인 리프팅 실의 또 다른 일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인 리프팅 실의 또 다른 일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인 실 리프팅 시술이 얼굴에 시행되는 하나의 상황을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인 실 리프팅 시술이 얼굴에 시행되는 또 다른 하나의 상황을 도시한다.
도 9은 본 발명인 실 리프팅 시술이 목에 시행되는 다른 하나의 상황을 도시한다.
도 10(a), 도 10(b), 도 10(c), 도 10(d), 도 10(e)는 리프팅 실에 형성되는 돌기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체적인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제한하지는 아니하고, 실시예에서 명시적으로 나타내지 아니한 다른 구성 및 작용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경우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리프팅 실이 캐뉼라에 장착되어 보호캡과 결합된 구성을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인 리프팅 실(400)은 보호캡(100), 캐뉼라(200)와 함께 사용되는데, 상기 보호캡(100)은 상기 캐뉼라(200)를 보호하고 투명한 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캐뉼라(200)와 상기 리프팅 실(400)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캐뉼라(200)는 1 회용으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캐뉼라(200)의 일단에는 손잡이(300)가 부착되고, 상기 캐뉼라(200)의 다른 일단으로부터 상기 손잡이(300)까지 그 내부를 통하여 상기 리프팅 실(400)이 장착된다.
도 2는 본 발명인 리프팅 실이 캐뉼라에 장착되어 보호캡과 분리된 구성을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실 리프팅 시술을 위하여 보호캡(100)이 분리되고, 내부가 비어 있는 캐뉼라(200)에는 그 내부를 관통하여 리프팅 실(400)이 장착되어 보호되고 있으며, 상기 캐뉼라(200)의 일단에는 손잡이(300)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캐뉴라(200)의 일단에 부착되는 상기 손잡이(300)와 상기 캐뉼라(200)의 다른 일단에는 상기 리프팅 실(400)의 일부가 노출되는데, 상기 캐뉼라(200)의 다른 일단에서 노출되는 상기 리프팅 실(400)의 일부는 구부러진 다음 홀딩부재(500)에 끼워지게 되어 상기 홀딩부재(500)는 상기 리프팅 실(400)이 상기 캐뉼라(200)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사용자인 의사가 상기 손잡이(300)를 손에 쥐고 상기 캐뉼라(200)의 다른 일단부터 피부 내로 삽입하는 경우 상기 홀딩부재(500)에 끼워진 상기 리프팅 실(400)의 일부는 안정적으로 지지되며 상기 캐뉼라(200)와 함께 피부 내로 삽입될 수 있고, 상기 홀딩부재(500)는 상기 캐뉼라(200)가 삽입되는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캐뉼라(200)의 손잡이(300) 쪽으로 밀려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인 리프팅 실의 일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인 리프팅 실(400)은 피부 내에 삽입되는 경우 피부조직에 고정되어 인장강도를 높이는 고정부(410), 상기 고정부(410)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부(410)보다 굵기가 작은 후단부(420), 상기 고정부(410)의 다른 일측으로 연장되는 전단부(430)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인 리프팅 실(400)은 체내에 흡수되는 성분으로 만들어진 생체 흡수성 실로서, 특히 수술용 소재인 폴리다이옥사논(PDO: polydioxanone) 성분으로 제조될 수 있고, 이와 함께 폴리락트산, 폴리글리콜산, 폴리카프로락톤 및 이들의 공중합체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성분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생체 흡수성 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피부조직에 흡수되면서 콜라겐 생성에 도움을 주어 피부의 탄력을 개선하게 된다.
상기 고정부(410)의 굵기(d1)는 0.4 ~ 0.5 m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고정부(410)는 돌기가 없는 일자형과 다양한 형태의 돌기를 갖는 실이 사용될 수 있는데, 상기 고정부(410)는 피부 내에 삽입되어 피부조직에 고정되는 지지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복수의 돌기(411)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복수의 돌기(411)는 다양한 형태로 다양한 방향으로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단부(420)의 일부 또는 전부는 피부 밖으로 노출되어 인접하여 피부 내에 삽입되는 다른 리프팅 실과 묶을 수 있도록 굵기(d2)가 0.2 mm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mm 인 것이 더욱 더 바람직하다.
종래기술에서는 상기 고정부(410)의 굵기와 상기 후단부(420)의 굵기가 동일하여 그 굵기가 0.5 mm 정도이므로 유연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어 서로 묶는 것이 어려운데 반하여, 본 발명의 상기 후단부(420)의 굵기(d2)는 상기 고정부(410)의 굵기(d1)와 비교하여 작게 형성하여 유연성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 리프팅 시술 과정에 상기 후단부(420)를 묶을 수 있게 된다.
특히, 리프팅 실(410)이 피부조직에 고정되는 지지력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약해질 수밖에 없는데, 상기 후단부(420)를 피부 내에 삽입되어 인접하는 다른 리프팅 실의 후단부와 묶게 되면 리프팅 실(410)이 피부조직에 고정되는 지속시간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리프팅 실(410)은 상기 후단부(420)의 굵기(d2)를 상기 고정부(410)의 굵기(d1)와 비교하여 작게 형성하는 것만으로 피부조직에 고정되는 지속시간을 크게 증가시키는 리프팅 실(410)을 제조할 수 있다는 점에서 리프팅 실(410)의 제조과정을 단순화하여 제조비용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실 리프팅 시술 과정에 상기 후단부(420)를 묶는 동작을 쉽게 할 수 있도록 상기 후단부(420)의 길이(y2)를 적어도 5 cm 이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고정부(410)의 길이(y1)는 적용되는 시술 부위에 따라 7 cm, 10 cm 등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단부(430)도 역시 상기 고정부(410)의 굵기(d1)와 비교하여 작게 형성하여 유연성을 가질 수 있도록 형성하게 되면, 실 리프팅 시술 과정에 캐뉼라(200)와 함께 피부 내로 삽입되어 반대편에서 피부 밖으로 빠져나오도록 하여 상기 전단부(430)도 역시 묶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전단부(430)의 일부 또는 전부는 피부 밖으로 노출되어 인접하여 피부 내에 삽입되는 다른 리프팅 실과 묶을 수 있도록 굵기(d2)가 0.2 mm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mm 인 것이 더욱 더 바람직하다.
또한 실 리프팅 시술 과정에서 상기 전단부(430)를 묶는 동작을 쉽게 할 수 있도록 상기 전단부(430)의 길이를 적어도 5 cm 이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인 리프팅 실의 다른 일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인 리프팅 실(400)은 피부 내에 삽입되는 경우 피부조직에 고정되어 인장강도를 높이는 고정부(410), 상기 고정부(410)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부(410)보다 굵기가 작은 후단부(420), 상기 고정부(410)의 다른 일측으로 연장되는 전단부(430)를 포함하고, 상기 후단부(420)에 바늘(600)을 연결한다.
상기 바늘(600)은 그 내부가 비어 있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 내부로 상기 후단부(420)를 삽입하여 압착을 하여 고정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통상의 방법을 사용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
상기 바늘(600)의 굵기는 상기 후단부(420)의 굵기보다 크게 형성되어야 하지만, 캐뉼라(200)의 내부를 통과할 만큼 작게 형성되어야 하며, 사용자인 의사가 실 리프팅 시술을 하면서 구부려서 사용하기 쉽도록 상기 바늘(600)의 굵기는 0.3 mm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바늘(600)의 길이는 11 mm 이상 15 mm 이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인 리프팅 실의 또 다른 일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인 리프팅 실(400)은 피부 내에 삽입되는 경우 피부조직에 고정되어 인장강도를 높이는 고정부(410), 상기 고정부(410)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부(410)보다 굵기가 작은 후단부(420), 상기 고정부(410)의 다른 일측으로 연장되는 전단부(430)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인 리프팅 실(400)은 체내에 흡수되는 성분으로 만들어진 생체 흡수성 실로서, 특히 수술용 소재인 폴리다이옥사논(PDO: polydioxanone) 성분으로 제조될 수 있고, 이와 함께 폴리락트산, 폴리글리콜산, 폴리카프로락톤 및 이들의 공중합체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성분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생체 흡수성 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피부조직에 흡수되면서 콜라겐 생성에 도움을 주어 피부의 탄력을 개선하게 된다.
상기 고정부(410)의 굵기(d1)는 0.4 ~ 0.5 m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고정부(410)는 돌기가 없는 일자형과 다양한 형태의 돌기를 갖는 실이 사용될 수 있는데, 상기 고정부(410)는 피부 내에 삽입되어 피부조직에 고정되는 지지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복수의 돌기(411)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복수의 돌기(411)는 다양한 형태로 다양한 방향으로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단부(420)의 일부 또는 전부는 피부 밖으로 노출되어 인접하여 피부 내에 삽입되는 다른 리프팅 실과 묶을 수 있도록 굵기(d2)가 0.2 mm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mm 인 것이 더욱 더 바람직하다.
종래기술에서는 상기 고정부(410)의 굵기와 상기 후단부(420)의 굵기가 동일하여 그 굵기가 0.5 mm 정도이므로 유연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어 서로 묶는 것이 어려운데 반하여, 본 발명의 상기 후단부(420)의 굵기(d2)는 상기 고정부(410)의 굵기(d1)와 비교하여 작게 형성하여 유연성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 리프팅 시술 과정에 상기 후단부(420)를 묶을 수 있게 된다.
특히, 리프팅 실(410)이 피부조직에 고정되는 지지력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약해질 수밖에 없는데, 상기 후단부(420)를 피부 내에 삽입되어 인접하는 다른 리프팅 실의 후단부와 묶게 되면 리프팅 실(410)이 피부조직에 고정되는 지속시간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리프팅 실(410)은 상기 후단부(420)의 굵기(d2)를 상기 고정부(410)의 굵기(d1)와 비교하여 작게 형성하는 것만으로 피부조직에 고정되는 지속시간을 크게 증가시키는 리프팅 실(410)을 제조할 수 있다는 점에서 리프팅 실(410)의 제조과정을 단순화하여 제조비용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실 리프팅 시술 과정에 상기 후단부(420)를 묶는 동작을 쉽게 할 수 있도록 상기 후단부(420)의 길이(y2)를 적어도 5 cm 이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고정부(410)의 길이(y1)는 적용되는 시술 부위에 따라 7 cm, 10 cm 등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앞선 일실시예와 달리, 전단부(430)는 상기 고정부(410)의 굵기(d1)와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고, 실 리프팅 시술 과정에 캐뉼라(200)와 함께 피부 내로 삽입되어 반대편에서 피부 밖으로 빠져나오도록 하여 상기 전단부(430)를 잘라내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인 리프팅 실의 또 다른 일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인 리프팅 실(400)은 피부 내에 삽입되는 경우 피부조직에 고정되어 인장강도를 높이는 고정부(410), 상기 고정부(410)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부(410)보다 굵기가 작은 후단부(420), 상기 고정부(410)의 다른 일측으로 연장되는 전단부(430)를 포함하고, 상기 후단부(420)에 바늘(600)을 연결한다.
상기 바늘(600)은 그 내부가 비어 있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 내부로 상기 후단부(420)를 삽입하여 압착을 하여 고정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통상의 방법을 사용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
상기 바늘(600)의 굵기는 상기 후단부(420)의 굵기보다 크게 형성되어야 하지만, 캐뉼라(200)의 내부를 통과할 만큼 작게 형성되어야 하며, 사용자인 의사가 실 리프팅 시술을 하면서 구부려서 사용하기 쉽도록 상기 바늘(600)의 굵기는 0.3 mm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바늘(600)의 길이는 11 mm 이상 15 mm 이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단부(430)는 상기 고정부(410)의 굵기(d1)와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고, 실 리프팅 시술 과정에 캐뉼라(200)와 함께 피부 내로 삽입되어 반대편에서 피부 밖으로 빠져나오도록 하여 상기 전단부(430)를 잘라내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인 실 리프팅 시술이 시행되는 하나의 상황을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귀 부위에서 피부 속으로 캐뉼라(200)를 삽입하여 입 주변의 주름 부위로 관통하여 리프팅 실(400)이 주입되고 상기 캐뉼라(200)는 상기 귀 부위로 빠져나간 상태에서 상기 리프팅 실(400)의 고정부(410)는 점선으로 표시된 피부 속에 주입되어 있고 전단부(430)는 입 주변의 주름 부위로 관통하여 노출되어 있으며 후단부(420)는 귀 부위에 남아 노출되어 있다.
상기 후단부(420)는 상기 고정부(410)의 굵기(d1)와 비교하여 작게 형성하여 유연성을 가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 서로 인접하는 상기 후단부(420)들을 서로 묶을 수 있게 된다.
상기 후단부(420)에 바늘(600)이 연결되는 경우에는 상기 바늘(600)을 약간 구부려서 골막과 같은 부위에 꿰매어 고정하거나, 피부 내에 삽입되어 인접하는 다른 리프팅 실의 후단부(420)와 꿰매어 고정할 수도 있다.
상기 전단부(430)는 상기 고정부(410)의 굵기(d1)와 비교하여 작게 형성하여 유연성을 가질 수 있도록 형성하게 되면,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전단부(430)들을 서로 묶을 수 있게 된다.
상기 후단부(420) 또는 상기 전단부(430)의 일부 또는 전부는 피부 밖으로 노출되어 인접하여 피부 내에 삽입되는 다른 리프팅 실과 묶을 수 있도록 굵기(d2)가 0.2 mm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mm 인 것이 더욱 더 바람직하다.
또한 실 리프팅 시술 과정에서 상기 후단부(420) 또는 상기 전단부(430)를 묶는 동작을 쉽게 할 수 있도록 그 길이를 적어도 5 cm 이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인 실 리프팅 시술이 얼굴에 시행되는 또 다른 하나의 상황을 도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전단부(430)는 상기 고정부(410)의 굵기(d1)와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는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전단부(430)들을 서로 묶는 것은 어렵고, 피부 밖으로 빠져나온 상기 전단부(430)를 잘라내게 된다.
도 9은 본 발명인 실 리프팅 시술이 목에 시행되는 다른 하나의 상황을 도시한다.
도 9를 참조하면, 귀 아래 부위에서 피부 속으로 캐뉼라(200)를 삽입하여 목의 주름 부위로 관통하여 리프팅 실(400)이 주입되고 상기 캐뉼라(200)는 상기 목의 가운데 피부 밖으로 빠져나간 상태에서 상기 리프팅 실(400)의 고정부(410)는 점선으로 표시된 피부 속에 주입되어 있고 전단부(430)는 목의 가운데 피부 밖으로 관통하여 노출되어 있으며 후단부(420)는 귀 부위에 남아 노출되어 있다.
양쪽 귀 아래 부위에서 각각 2개씩 리프팅 실(400)이 목의 주름 부위로 관통하여 주입된 상태에서 서로 인접하는 리프팅 실(400)끼리 후단부(420) 또는 전단부(430)를 묶어 리프팅 실(410)이 피부조직에 고정되는 지속시간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후단부(420) 또는 상기 전단부(430)의 일부 또는 전부는 피부 밖으로 노출되어 인접하여 피부 내에 삽입되는 다른 리프팅 실과 묶을 수 있도록 굵기(d2)가 0.2 mm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mm 인 것이 더욱 더 바람직하다.
또한 실 리프팅 시술 과정에서 상기 후단부(420) 또는 상기 전단부(430)를 묶는 동작을 쉽게 할 수 있도록 그 길이를 적어도 5 cm 이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a), 도 10(b), 도 10(c), 도 10(d), 도 10(e)는 리프팅 실에 형성되는 돌기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0(a)를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하나의 리프팅 실의 고정부(410)에서 어느 한 방향으로 돌기(411)가 형성되는 부분과 그와 다른 방향으로 돌기(411)가 형성되는 부분을 포함하여 피부조직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돌기(411)만으로는 리프팅 실이 피부조직에 고정되는 지속시간을 증가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도 10(b)를 참조하면, 하나의 리프팅 실의 고정부(410)에서 어느 한 방향으로 돌기(411)가 형성되는 부분만을 포함하여 피부조직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의 리프팅 실은 고정부(410)의 길이가 7 cm인 경우가 바람직하다.
리프팅 실의 후단부(420) 또는 상기 전단부(430)의 일부 또는 전부는 피부 밖으로 노출되어 인접하여 피부 내에 삽입되는 다른 리프팅 실과 묶을 수 있도록 하여 손쉽고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리프팅 실이 피부조직에 고정되는 지속시간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0(c)를 참조하면, 하나의 리프팅 실의 고정부(410)의 길이가 10 cm인 경우에 8 cm 정도 길이(d1)는 어느 한 방향으로만 돌기가 형성되고 나머지 2 cm 정도 길이(d2)는 그 반대 방향으로 돌기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리프팅 실의 후단부(420) 또는 상기 전단부(430)의 일부 또는 전부는 피부 밖으로 노출되어 인접하여 피부 내에 삽입되는 다른 리프팅 실과 묶을 수 있도록 하여 손쉽고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리프팅 실이 피부조직에 고정되는 지속시간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0(d)를 참조하면, 리프팅 실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그 수직 단면을 확대하여 도시하고 있는데, 상기 리프팅 실의 고정부(410)에 돌기(411)가 상기 수직 단면 상의 3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리프팅 실이 피부조직에 고정되는 지지력이 더 증가될 수 있다.
도 10(e)를 참조하면, 리프팅 실에 형성되는 돌기는 요철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실 리프팅 시술 부위와 이에 필요한 고정력 또는 인장강도에 따라 상기 리프팅 실의 고정부(410)와 돌기(411)가 서로 지그재그로 형성되는 요철 형상을 갖는 돌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100: 보호캡
200: 캐뉼라
300: 손잡이
400: 리프팅 실
410: 고정부
411: 돌기
420: 후단부
430: 전단부
500: 홀딩부재
600: 바늘

Claims (9)

  1. 리프팅 실에 있어서,
    피부조직에 고정되어 인장강도를 높이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부보다 굵기가 작은 후단부;
    상기 고정부의 다른 일측으로 연장되는 전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는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피부조직에 고정되는 인장강도를 더욱 더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단부에는 바늘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실.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는 한쪽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실.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는 서로 방향이 다른 복수의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캐뉼라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후단부는 손잡이 부분에서 노출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전단부는 캐뉼라의 손잡이와 반대 부분에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후단부에 연결되는 바늘은 상기 캐뉼라 내부를 관통할 수 있도록 굵기가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부는 상기 고정부보다 굵기가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실.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부는 상기 고정부와 굵기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실.
KR1020220024232A 2022-02-24 2022-02-24 리프팅 실 KR202301268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4232A KR20230126870A (ko) 2022-02-24 2022-02-24 리프팅 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4232A KR20230126870A (ko) 2022-02-24 2022-02-24 리프팅 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6870A true KR20230126870A (ko) 2023-08-31

Family

ID=87847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4232A KR20230126870A (ko) 2022-02-24 2022-02-24 리프팅 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687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3931B1 (ko) * 2023-07-20 2024-04-02 (주)시지바이오 주름 개선이 용이한 의료용 실의 가공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5583B1 (ko) 2011-12-27 2012-09-24 김영재 매듭짓는 작업이 필요 없는 봉합사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
KR101455683B1 (ko) 2013-06-28 2014-11-04 엔파인더스 주식회사 양방향 가시 봉합사
KR101581873B1 (ko) 2015-02-17 2015-12-31 (주)제이월드 의료용 봉합사 가압장치
KR101695339B1 (ko) 2015-11-02 2017-01-11 텐텍 주식회사 굵기를 달리하는 성형수술용 실
KR102237586B1 (ko) 2019-06-25 2021-04-07 주식회사 닥터바이오메드 피부 리프팅 실 삽입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5583B1 (ko) 2011-12-27 2012-09-24 김영재 매듭짓는 작업이 필요 없는 봉합사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
KR101455683B1 (ko) 2013-06-28 2014-11-04 엔파인더스 주식회사 양방향 가시 봉합사
KR101581873B1 (ko) 2015-02-17 2015-12-31 (주)제이월드 의료용 봉합사 가압장치
KR101695339B1 (ko) 2015-11-02 2017-01-11 텐텍 주식회사 굵기를 달리하는 성형수술용 실
KR102237586B1 (ko) 2019-06-25 2021-04-07 주식회사 닥터바이오메드 피부 리프팅 실 삽입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3931B1 (ko) * 2023-07-20 2024-04-02 (주)시지바이오 주름 개선이 용이한 의료용 실의 가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39734C1 (ru) Хирургическая нить для косметических операций
EP2020209B1 (en) Surgical suture material
RU2573804C2 (ru) Имплантат для подтяжки ткани
US20080046094A1 (en) Linear tension material for plastic surgery
RU2721650C1 (ru) Нить для лифтинга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KR101631763B1 (ko) 실 삽입기
US20130072971A1 (en) Medical suture having micro cogs on surfa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440224B1 (ko) 매선용 로프
KR101038073B1 (ko) 의료용 튜브형 바늘 유닛 및 다수의 의료용 봉합사를 튜브형 바늘 내에 장착하는 방법
KR101695339B1 (ko) 굵기를 달리하는 성형수술용 실
CN104080416A (zh) 压紧螺钉系统
KR101533074B1 (ko) 비대칭 구조를 가지는 리프팅용 실
CN111372527B (zh) 医疗用线插入器
KR101621759B1 (ko) 절곡형 미늘 봉합사
KR100745571B1 (ko) 성형수술용 선형인장재
KR101822640B1 (ko) 주름개선용 실
KR20180120621A (ko) 성형 시술용 실 및 이를 이용한 시술도구
KR20230126870A (ko) 리프팅 실
JP2022536821A (ja) 縫合糸、縫合デバイス及びその応用
KR101396642B1 (ko) 매선 시술용 로프
KR101043179B1 (ko) 수술용 봉합사
RU2400162C2 (ru) Хирургический шовный материал и способ его применения
CN212369015U (zh) 医用线
CN110123485A (zh) 一种单向提拉埋植线、提拉装置及使用其的整形方法
KR20140092096A (ko) 복합 공간 성형 리프팅 수술용 바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