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3931B1 - 주름 개선이 용이한 의료용 실의 가공 방법 - Google Patents

주름 개선이 용이한 의료용 실의 가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3931B1
KR102653931B1 KR1020230094238A KR20230094238A KR102653931B1 KR 102653931 B1 KR102653931 B1 KR 102653931B1 KR 1020230094238 A KR1020230094238 A KR 1020230094238A KR 20230094238 A KR20230094238 A KR 20230094238A KR 102653931 B1 KR102653931 B1 KR 102653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medical thread
medical
indentation hole
th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4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진호
김종근
Original Assignee
(주)시지바이오
주식회사 엠베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시지바이오, 주식회사 엠베이스 filed Critical (주)시지바이오
Priority to KR1020230094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39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3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3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68Trocars; Puncturing needles for implanting or removing devices, e.g. prostheses, implants, seeds,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004Means for attaching suture to nee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44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D02G3/448Yarns or threads for use in medical appl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JFINISHING OR DRESSING OF FILAMENTS, YARNS, THREADS, CORDS, ROPES OR THE LIKE
    • D02J3/00Modifying the surface
    • D02J3/10Modifying the surface by inden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526Methods of manufact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526Methods of manufacturing
    • A61B2017/0053Loading magazines or sutures into apply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47Dermatolog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004Means for attaching suture to needle
    • A61B2017/06033Means for attaching suture to needle using adhes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61B2017/06185Sutures hollow or tubula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ath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주름 개선이 용이한 의료용 실 어셈블리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본체의 밑면 중앙 부위에서 일정 깊이로 함입된 함입공;을 포함하는 의료용 실; 상기 함입공에 끼움 결합된 니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의료용 실의 가공 방법은, 원사가 권취된 롤러를 회전하여 상기 원사를 바이스로 이송하는 이송 단계; 원사의 형상에 대응하는 홈을 가진 1쌍의 바이스의 이동을 통해 상기 원사의 측면을 눌러 상기 홈에 상기 원사를 고정 압박하는 고정 단계; 상기 원사의 밑면에 함입공을 천공하는 천공 단계; 상기 함입공이 형성된 원사를 일정 길이로 잘라 의료용 실을 완성하는 커팅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름 개선이 용이한 의료용 실 어셈블리 및 이의 의료용 실의 가공 방법에 의하면, 팔자주름과 같이 비교적 국소 부위에 해당하는 신체 조직에 작은 직경의 니들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이를 통해 이 신체 조직으로의 삽입의 용이성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주름 개선이 용이한 의료용 실의 가공 방법{Process method of the medical thread for easy wrinkle improvement and}
본 발명은 주름 개선이 용이한 의료용 실 어셈블리 및 이의 의료용 실의 가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원기둥 형상의 원사의 밑면에 함입공을 일정 깊이로 함입 형성한 다음 이러한 함입공에 니들을 끼움 결합한 의료용 실 어셈블리를 통하여 특히 팔자주름과 같은 국소 부위의 탁월한 주름 개선 및 삽입의 편의성을 제공함과 아울러, 의료용 실 어셈블리의 일 구성인 의료용 실에 함입공을 형성하는 가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료용 실은 외과용 봉합사라고도 명명되는 것으로서, 상처 관리 및 수술 절차 등 여러 의료 분야에서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의료용 실이 피부 미용을 위한 용도, 즉 리프팅 시술 용도로 특화되어 출시되고 있는바, 의료용 실을 이용한 리프팅 시술은 일정 기간이 경과되면 분해되어 체내에 흡수되도록 특수 제작된 녹는 실(예를 들어, Polydioxanone, PDO)을 바늘을 사용하여 피부 조직에 삽입함으로써 주름을 제거하고 피부를 팽팽하게 되살려 주는 방법이다.
이와 같은 의료용 실을 이용한 리프팅 시술은 안면거상과 같이 피부를 절개하는 시술보다 흉터를 최소화하면서 저비용으로 만족할만한 리프팅 효과를 가질 수 있어 현재 널리 활용되고 있는 시술이라 할 수 있다.
공지의 의료용 실 어셈블리(실 삽입 장치 또는 캐뉼라로 명명되기도 함)는 중공이 형성된 바늘에 실을 삽입한 다음 피부 조직에 니들을 삽입한 이후 니들을 빼는 과정에서 실의 코그가 신체 조직을 견인하면서 결과적으로 해당 신체 조직을 리프팅 처리한 다음 코그 중 일부가 일종의 앵커 포인트로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신체 조직에 고정된다.
이러한 리프팅 과정에서 의료용 실은 볼이나 뺨, 턱에서 관자놀이에 이르기까지의 짧지 않은 길이로 이루어져 있어 앞서 언급한 리프팅 과정을 수행하는데 특화되었는데, 만일 팔자주름과 같이 안면 조직보다 비교적 짧은 신체 조직에 공지의 실 어셈블리를 적용하면 관자놀이와 달리 니들이 삽입되는 입구가 팔자주름 주변에 관통되므로 미관상 보기 좋지 않을 뿐 아니라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입구의 직경을 줄일 수 있는 작은 직경의 니들을 적용하면 시술 공정이나 실의 삽입 자체가 어려워지는 문제가 따를 수 있다.
더불어, 팔자주름에 상응하는 길이로 니들이 짧아지면서 이 내부에 삽입된 실 역시 짧아져 견인과 앵커 포인트의 역할을 겸비하기에 부족하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국내 특허 제 2223778호인 시술의 편의성을 강화한 의료용 실 삽입 장치는, 중공과, 상기 중공의 선단이 개방된 개방부를 구비한 바늘; 상기 중공에 삽입 연장되다가 상기 개방부로 노출된 다음 상기 바늘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절곡되어 상기 바늘의 외주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 1 실; 상기 제 1 실의 절곡 부위 사이로 삽입시킨 다음 접어 발생된 양 가닥을 모아 상기 바늘의 외주면 및 이에 위치한 상기 제 1 실을 나선형으로 감싼 제 2 실;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실의 절곡 부위의 내측 면에는, 결합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실은, 상기 결합 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양 갈래를 모아서 시술의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다고 공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기술 역시 뺨이나 볼과 같은 넓은 피부 조직에 상응하도록 바늘과 실이 제작되어 있어 팔자주름 등의 비교적 국소 부위에 적용하기에는 부족함이 따를 수 있다.
따라서, 공지의 실 삽입 장치에 비해 니들과 의료용 실의 길이 자체가 팔자주름 부위와 같이 비교적 소형/국소 피부 부위에 해당될 정도로 짧아지되 내부에 실을 삽입할 공간이 확보될 필요 없이 의료용 실이 니들을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작은 직경의 니들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이를 통해 삽입의 용이성을 강화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할 수 있는 신규하고 진보한 의료용 실 어셈블리를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국내 특허 제 2223778호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니들과 의료용 실의 길이 자체가 팔자주름 부위와 같이 비교적 소형/국소 피부 부위에 해당될 정도로 짧아지되 내부에 실을 삽입할 공간이 확보될 필요 없이 의료용 실이 니들을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작은 직경의 니들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이를 통해 삽입의 용이성을 강화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할 수 있는 의료용 실 삽입 장치, 즉 의료용 실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함입공을 포함한 의료용 실을 효율적으로 가공하기 위한 공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의료용 실에 함입공을 더욱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는 추가적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주름 개선이 용이한 의료용 실 어셈블리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본체의 밑면 중앙 부위에서 일정 깊이로 함입된 함입공;을 포함하는 의료용 실; 상기 함입공에 끼움 결합된 니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의료용 실의 가공 방법은, 원사가 권취된 롤러를 회전하여 상기 원사를 바이스로 이송하는 이송 단계; 원사의 형상에 대응하는 홈을 가진 1쌍의 바이스의 이동을 통해 상기 원사의 측면을 눌러 상기 홈에 상기 원사를 고정 압박하는 고정 단계; 상기 원사의 밑면에 함입공을 천공하는 천공 단계; 상기 함입공이 형성된 원사를 일정 길이로 잘라 의료용 실을 완성하는 커팅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가공 방법은, 상기 원사의 경도를 측정하는 경도 측정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단계는, 상기 원사의 경도에 따라 상기 1쌍의 바이스가 상기 원사를 고정 압박하는 압박력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름 개선이 용이한 의료용 실 어셈블리 및 이의 의료용 실의 가공 방법에 의하면,
1) 팔자주름과 같이 비교적 국소 부위에 해당하는 신체 조직에 작은 직경의 니들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이를 통해 이 신체 조직으로의 삽입의 용이성을 강화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2) 자동 공정에 의하여 의료용 실에 함입공을 더욱 편리하고 오차 없이 정확하게 함입 형성할 수 있으며,
3)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진 의료용 실에서 더욱 오차를 줄이면서 함입공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의료용 실과 니들이 결합한 의료용 실 어셈블리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의료용 실에 경사부가 형성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의료용 실을 가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의료용 실 가공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코팅봉에 생체 접착제가 코팅된 상태에서 함입공으로 진입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원사의 밑면에 경화제가 도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의료용 실과 니들이 결합한 의료용 실 어셈블리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의료용 실(10) 어셈블리는 의료용 실(10)과 니들(20)을 포함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먼저, 의료용 실(10)은 공지의 봉합사 또는 리프팅 실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특히 피부 조직에 삽입되어 노화된 피부를 리프팅 처리함으로써 주름 및 처짐을 방지함과 아울러 탄력을 향상하는 피부 미용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의료용 실(10)은 일정 시간이 지났을 때 피부 조직에서 녹아 부작용과 알레르기 반응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재질, 예를 들어 PDO(polydioxanone)로 이루어지거나 더 나아가 콜라겐 형성 촉진 물질로 알려진 PLLA(Poly L Lactic Acid) 또는 PCL(Polycaprolacton)로 이루어지거나 적어도 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의료용 실(10)의 재질/재료는 공지된 리프팅 실과 같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의료용 실(10)은 얇고 가늘게 연장된 구조에서 착안하여 통상적으로 '실'이라고 명명하고 있는데, 이 구조를 자세히 살펴보면 원기둥과 같이 원형 또는 이에 유사한 형상의 윗면/밑면과 이들 사이에 곡률지게 연장된 측면을 포함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실의 표면, 즉 측면에 복수 개의 코그가 형성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의료용 실(10)은 이러한 원기둥 구조 기반에서 밑면의 중앙 부위에서 일정 직경과 깊이로 함입된 함입공(11)을 포함하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이때, 함입공(11)이 형성되는 위치는 반드시 밑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윗면에 형성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의 의료용 실(10)이 윗면과 밑면의 형상이 동일하여 X축 대칭 구조를 띠고 있으므로, 함입공(11)은 윗면이나 밑면 중 어느 하나의 부위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이러한 함입공(11)은 밑면의 직경의 25 내지 50%의 직경을 가질 수 있고, 함입공(11)의 깊이는 의료용 실(10)의 전체 길이에 따라 가변될 수 있으나, 후술하겠지만 본 발명의 의료용 실(10)이 안면 리프팅용이 아니라 이보다 짧은 국소 부위, 예를 들어 팔자주름에 특화되어 리프팅을 수행하므로 이에 상응하게 의료용 실(10)과 함입공의 길이(11)를 결정할 수 있고 함입공(11)은 의료용 실(10)의 전체 길이 대비 약 70 내지 90%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니들(20)은 리프팅 의료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바늘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니들(20) 자체로 일정 길이로 길게 연장되거나 아니면 니들(20)의 하단에 허브가 장착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니들(20)의 길이 역시 팔자주름에 특화된 길이로 결정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니들(20)의 일부 부위가 함입공(11)에 끼움 결합된 구조를 취한다. 이때, 합입공(11)에 끼움 결합되는 니들(20)의 길이는 니들(20) 전체 길이 대비 약 80 내지 95%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취한 본 발명의 실 어셈블리의 기능 및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지의 의료용 실 어셈블리(실 삽입 장치 또는 캐뉼라로 명명되기도 함)는 중공이 형성된 바늘에 실을 삽입한 다음 피부 조직에 니들을 삽입한 이후 니들을 빼는 과정에서 실의 코그가 신체 조직을 견인하면서 결과적으로 해당 신체 조직을 리프팅 처리한 다음 코그 중 일부가 일종의 앵커 포인트로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신체 조직에 고정된다.
이러한 리프팅 과정에서 공지의 의료용 실은 볼이나 뺨, 턱에서 관자놀이에 이르기까지의 짧지 않은 길이로 이루어져 있어 앞서 언급한 리프팅 과정을 수행하는데 특화되었는데, 만일 팔자주름과 같이 안면 조직보다 비교적 짧은 신체 조직에 공지의 실 어셈블리를 적용하면 관자놀이와 달리 니들이 삽입되는 입구가 팔자주름 주변에 관통되므로 미관상 보기 좋지 않을 뿐 아니라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입구의 직경을 줄일 수 있는 작은 직경의 니들을 적용하면 시술 공정이나 실의 삽입 자체가 어려워지는 문제가 따를 수 있다.
더불어, 팔자주름에 상응하는 길이로 니들이 짧아지면서 이 내부에 삽입된 실 역시 짧아져 견인과 앵커 포인트의 역할을 겸비하기에 부족하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실 어셈블리는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지의 실 삽입 장치에 비해 니들(20)과 의료용 실(10)의 길이 자체가 팔자주름 부위에 해당될 정도로 짧아지되 내부에 실을 삽입할 공간이 확보될 필요 없이 의료용 실(10)이 니들(20)을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작은 직경의 니들(20)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이를 통해 삽입의 용이성을 강화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
더불어, 니들(20)을 해당 신체 조직에 삽입한 다음 한 손으로 주변 조직을 잡으면서 니들(20)만을 빼어내면 실이 해당 신체 조직 내에 남으면서 코그에 의하여 팔자주름을 견인하면서 고정이 되므로 더욱 직관적인 리프팅 시술을 수행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는 의료용 실에 경사부가 형성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의료용 실(10)의 윗면은 일정 각도(즉, 윗면의 연장 방향을 기준으로 발생하는 경사각)로 커팅(cutting) 처리된 경사부(12)를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경사부(12)는 의료용 실(10)의 윗면 전체를 커팅 처리하여 발생하거나 아니면 윗면의 일부 부위만을 커팅 처리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의료용 실(10)의 윗면은 신체 조직에 제일 먼저 접촉하는 부위에 해당하는데, 도 1을 보아 알 수 있듯이 의료용 실(10)이 니들(20)을 감싸고 있으므로 니들(20)이 아닌 의료용 실(10)이 먼저 신체 조직에 진입하게 된다.
따라서 신체 조직에 가장 먼저 진입하는 부분인 의료용 실(10)의 윗면을 경사 처리함으로써 일종의 니들(20)과 같이 날카로운 면이 형성되도록 하여 의료용 실(10)이 신체 조직에 더욱 원활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을 부여할 수 있다.
상술한 의료용 실(10) 어셈블리의 일 구성인 의료용 실(10)의 함입공(11)은 특정 장치와 가공 방법을 통하여 형성되는 것이 가능한바, 이하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의료용 실을 가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의료용 실 가공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의료용 실(10)의 가공 방법은 이송 단계, 고정 단계, 천공 단계, 커팅 단계를 통하여 완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세부 공정을 도 4의 의료용 실(10) 가공 장치(100)와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의료용 실(10) 가공 장치(100)(이하, '가공 장치'라 함)는 롤러(110)와 이송부 및 바이스(120) 및 천공기(130)와 절단기(140)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롤러(110)는 의료용 실(10)의 원재료인 원사(1)를 권취한 것으로서, 회전 방향에 따라 원사(1)를 와인딩/리와인딩할 수 있고 이송부와 연동되어 원사(1)가 리와인딩되어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송부는 도 4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보조 롤러(110)와 같이 원사(1)를 바이스(120) 방향으로 가이드할 수 있는 기계적 수단을 포함한다.
바이스(120)는 상판에 안착되어 원사(1)를 중심으로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1쌍의 구조체로서, 이송부에 의해 상판 표면으로 이송된 원사(1)를 수직 방향으로 고정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1쌍의 바이스(120)는 원사(1)를 눌러 찌그러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홈(121)이 형성되어 있다.
천공기(130)는 상판 상에서 상하 방향으로 승강되는 것으로서 바이스(120)에 의하여 수직 방향으로 고정된 원사(1)의 상면, 즉 밑면으로 진입하여 함입공(11)을 천공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천공기(130)는 다양한 기계적 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도 4에서는 드릴을 예시하였다.
더불어, 이러한 드릴의 표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함입공(11)의 내주면에도 이에 대응하는 나사 홈을 형성하여 이 함입공(11)에 니들(20)이 끼움 결합한 상태에서 신체 조직에 진입한 다음 니들(20)을 빼낼 때 나사 홈의 여유 공간을 통해 니들(20)과 의료용 실(10)이 불필요하게 유착되지 않고 원활하게 분리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
절단기(140)는 함입공(11)이 형성된 원사(1)를 일정 길이로 자르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블레이드나 커터를 포함하여 이송부의 추가 가이드 구동으로 상판의 바깥 방향으로 이동한 원사(1)를 절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는 가공 공정 전반의 순차적인 작동을 위하여 각 구성의 구동을 순차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가공 장치(100)를 기반으로, 본 발명의 의료용 실(10)의 가공 방법을 다시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송 단계는 원사(1)가 권취된 롤러(110)를 회전하여 이송부의 구동으로 바이스(120) 방향으로 이송하는 단계이다.
고정 단계는 상판에서 초기에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놓인 1쌍의 바이스(120)를 서로 근접하도록 이동하여 상판의 상측으로 노출된 원사(1)를 고정 압박하는 단계를 의미한다.
이때, 바이스(120)에는 원사(1)의 형상에 대응하는 홈(12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다시 말해 고정 단계는 1쌍의 바이스(120)의 이동을 통해 원사(1)의 측면을 눌러 홈(121)에 상기 원사(1)를 고정 압박하는 공정이라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1쌍의 바이스(120) 사이에서 원사(1)가 찌그러지지 않는 범위에서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천공 단계는 천공기(130)를 구동하여 실의 밑면 방향으로 이동한 다음 진입시켜 기설정된 깊이만큼 함입공(11)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마지막으로, 커팅 단계는 함입공(11)이 형성된 원사(1)를 일정 길이로 잘라 최종적으로 의료용 실(10)을 완성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공정에 의하면, 작은 직경에 단단하지 않고 무른 재질로 이루어진 원사(1)의 밑면에 함입공(11)을 형성할 때 원사(1)의 밑면 중앙 부위에 정확히 천공하지 못하고 해당 부위가 뭉개지거나 찌그러지면서 함입공(11)의 형상이 제대로 나오지 않거나 밑면의 중앙 부위에서 벗어난 부위에서 함입공(11)이 형성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자동 공정으로 구현 가능함으로써 신속하고 오차 없이 의료용 실(10)의 가공을 진행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가공 방법은 의료용 실(10)의 경도를 측정하는 경도 측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의료용 실(10)은 다양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고 재질마다 경도가 서로 다르므로 경도 측정 단계를 통하여 원사(1)의 경도를 측정하거나 아니면 미리 원사(1) 자체의 경도를 측정하여 저장한 원사(1) 경도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원사(1)와 동일 재질의 데이터를 불러와 해당 원사(1)의 경도를 파악할 수도 있다.
이에 대응하여, 고정 단계는 원사(1)의 경도에 따라 1쌍의 바이스(120)가 원사(1)를 고정 압박하는 압박력을 조절하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술한 고정 단계는 1쌍의 바이스(120)가 서로 인접하는 이동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는 의미로서, 경도가 상대적으로 큰, 다시 말해 단단한 원사(1)의 경우에는 제어부에서 1쌍의 바이스(120)의 인접 거리를 줄이도록 바이스(120)의 이동 제어를 수행하여 해당 원사(1)를 더 압박하고 경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원사(1)의 경우에는 1쌍의 바이스(120)의 인접 거리를 늘리도록 바이스(120)를 이동 제어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이로써, 원사(1)를 너무 누르거나 압박하지 않으면서 함입공(11)을 형성하기 위한 고정력을 원사(1)의 경도에 따라 탄력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코팅봉에 생체 접착제가 코팅된 상태에서 함입공으로 진입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가공 방법에서 천공 단계와 커팅 단계 사이에는, 함입공(11)의 내주면에 생체 접착제(160)를 코팅하는 코팅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생체 접착제(160)라 함은 생체 조직(피부 조직) 내에서 접착력을 제공할 수 있는 물질로서, 바이오 접착제라고도 명명된다.
이러한 생체 접착제(160)는 치과용 접착제, 피브린 글루, 시나오아크릴레이트 등으로 특히 치과 의료 분야에서 사용되는 종류가 많고, 홍합 족사 기반 단백질로 이루어진 접착제도 존재한다.
홍합 족사 단백질은 족사(byssus)라는 가느다란 섬유(thread) 끝에 납작한 패드가 달린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12 종류 이상의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홍합 족사 단백질 내에는 Mfp-1 (Mytilus foot protein-1)과 Mfp-3, Mfp-5이라 명명된 단백질이 높은 비율로 존재하며 이러한 단백질 내에는 3,4-dihydroxyphenyl-L-alanine (DOPA) 라는 변형된 아미노산이 매우 풍부하다.
이러한 홍합 족사 단백질은 강한 코팅 능력과 부착성을 가지며 특히 수중에서 우수한 접착성을 가진다는 특징이 있으며, 단백질의 성분이기 때문에 점막 접착제 및 지혈제로 높은 기능성을 가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생체 접착제(160)는 콜라겐 기반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것이 의료용 실의 신체 조직 내 고정력 향상을 위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콜라겐 기반 접착제는 생체 적합성, 생분해성 및 세포 부착 및 성장 촉진 능력을 가질 뿐 아니라 피부 재생 효과에도 유리한 기능을 보조할 수 있어 본 발명의 의료용 실(10)의 함입공에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예를 들어 동물성 원료에서 추출한 콜라겐으로 제작한 콜라겐-피브린 기반 접착제, 피브린 글루의 일 성분인 트롬빈을 포함한 콜라겐-트롬빈 복합제와 같은 접착제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생체 접착제(160)는 의료용 실(10)이 녹는 과정에서 함입공(11)에서 신체 조직으로 유출되면서 의료용 실(10)의 고정력을 보조하는 것은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이 콜라겐 성분을 포함한 생체 접착제(160)를 적용한 경우에는 피부 재생력을 강화할 수 있는 특성을 겸비할 수 있다.
더불어, 초기 제작 시에 니들(20)이 불필요하게 함입공(11)에서 이탈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생체 접착제(160)를 매개로 접착된 니들(20)과 의료용 실(10)의 조합체가 신체 조직 내에 삽입된 다음 니들(20)만을 빼낼 때 의료용 실(10)이 함께 빠질 우려가 있다고 지적할 수 있으나, 의사와 같은 시술자가 신체 조직을 누르면서 니들(20)을 빼내기 때문에 의료용 실(10)이 니들(20)과 함께 빠져나오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볼 수 있다.
더 나아가, 상술한 코팅 단계는 제 1,2,3 단계를 통하여 구현되는 것이 코팅의 편의성과 자동 공정 추진을 위해 바람직하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코팅봉(150)에 생체 접착제(160)가 도포된 것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가공 장치(100)는 천공기(130) 주변에 설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승강하는 코팅봉(150)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코팅봉(150)은 함입공(11)의 직경에 상응하거나 약간 작은 직경을 가진 상태에서 천공기(130)가 함입공(11)을 형성한 후에 합입공(11) 내부로 삽입되어 함입공(11)의 내주면에 생체 접착제(160)를 도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단계는 함입공(11)보다 작은 직경의 코팅봉(150)의 표면에 상기 생체 접착제(160)를 도포하고 도포된 상기 생체 접착제(160)의 두께를 측정하는 단계를 의미한다.
여기서, 생체 접착제(160)의 코팅 두께는 공지의 두께 측정기를 통하여 측정할 수 있다.
제 2 단계는 생체 접착제(160)가 도포된 상기 코팅봉(150)을 상기 함입공(11)에 진입하는 단계이고, 제 3 단계는 생체 접착제(160)의 두께에 따라 코팅봉(150)을 차등 속도로 회전하는 단계이다.
즉, 생체 접착제(160)가 코팅된 코팅봉(150)을 함입공(11)에 삽입하였을 때 함입공(11)의 내주면에 바로 생체 접착제(160)가 코팅될 수도 있으나 생체 접착제(160)의 코팅 두께 차이에 따라 코팅되는 두께 역시 달라질 수 있으므로 코팅봉(150)을 회전시켜 생체 접착제(160)가 함입공(11)에 코팅되는 코팅 두께를 조절하는 것은 물론 이러한 코팅봉(150)의 회전을 통하여 함입공(11)의 내주면에 균일하게 코팅될 수 있는 기반을 갖출 수 있다.
더 나아가, 코팅봉(150)에 초기 코팅된 생체 접착제(160)의 코팅 두께의 차이에 따라 함입공(11)에 진입한 코팅봉(150)의 회전 속도와 회전수를 차등 조절하여 결과적으로 코팅봉(150)에 코팅된 생체 접착제(160)의 코팅 두께에 관계 없이 함입공(11) 내주면에 최대한 균일하게 생체 접착제(160)의 코팅 두께를 보장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
도 6은 원사의 밑면에 경화제가 도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가공 방법은 고정 단계와 천공 단계 사이에 경화제 도포 단계와 건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원사(1)는 단단한 재질이 아니라 무르거나 유연한 재질로 제작되므로 천공기(130)가 원사(1)의 밑면에 접촉하여 진입할 때 원사(1)가 찌그러지거나 일 측으로 휘어져 제대로 함입공(11)을 형성하기 어려운 문제가 따를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6을 보아 알 수 있듯이 함입공(11)이 형성되는 부위인 원사(1)의 밑면에 경화제(170)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고정 단계와 천공 단계 사이에는, 원사(1)의 밑면에 경화제(170)를 도포하는 경화제(170) 도포 단계와, 경화제(170)가 도포된 상기 밑면을 건조하는 건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경화제(170)를 밑면 부위에 도포하여 밑면의 경도를 충분히 확보함으로써, 원사(1)가 찌그러지거나 일 측으로 휘어지는 문제 없이 상대적으로 수월하게 천공기(130)가 밑면으로 진입하여 함입공(11)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형성할 수 있다.
더불어, 곧바로 천공을 하지 않고 밑면에 도포된 경화제(170)가 마를 수 있도록 섭씨 40 내지 70도의 온풍을 가하면서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경화제(170)는 신체 적합성 경화제로서 예를 들어 비스페놀 A-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Bis-GMA), 우레탄 디메타크릴레이트(UDMA) 또는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TEGDMA)와 같은 액체 모노머 타입의 메타크릴레이트 기반의 수지 계열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 외에 신체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생체 적합성 경화제가 적용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상술한 바와 같이 경화제(170)가 도포된 경우에, 상술한 커팅 단계는 경화제(170)가 도포된 밑면 주변 부위를 일정 길이만큼 절개하는 절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원사(1)의 밑면에 해당하는 끝단 일부에 경화제(170)가 도포되어 있으므로 이를 절개하여 버린 다음 나머지 원사(1)만을 신체 조직에 삽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시 말해, 신체 적합성 경화제가 안전하다 하여도 행여 신체 내에서 염증 반응 등을 일으키는 문제를 발생할 수 있으므로, 경화제(170)는 함입공(11)을 형성하는 것만 보조하는 역할만을 제공하도록 한 다음 원사(1)의 밑면 주변 부위를 일정 길이 절개하여 해당 경화제(170)를 함께 제거하여 신체 내에 삽입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처리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통하여, 경화제(170)를 매개로 함입공(11)을 더욱 수월하게 형성할 수 있으면서도 경화제(170)의 잔여 성분 없이 순수한 원사(1)만이 신체 조직에 삽입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름 개선이 용이한 의료용 실 어셈블리 및 이의 의료용 실(10)의 가공 방법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원사 10: 의료용 실
11: 함입공 12: 경사부
20: 니들 100: 가공 장치
110: 롤러 120: 바이스
121: 홈 130: 천공기
140: 절단기 150: 코팅봉
160: 생체 접착제 170: 경화제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본체의 밑면 중앙 부위에서 일정 깊이로 함입된 함입공을 포함하는 의료용 실의 가공 방법으로서,
    원사가 권취된 롤러를 회전하여 상기 원사를 바이스로 이송하는 이송 단계;
    원사의 형상에 대응하는 홈을 가진 1쌍의 바이스의 이동을 통해 상기 원사의 측면을 눌러 상기 홈에 상기 원사를 고정 압박하는 고정 단계;
    상기 원사의 밑면에 함입공을 천공하는 천공 단계;
    상기 함입공이 형성된 원사를 일정 길이로 잘라 의료용 실을 완성하는 커팅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실의 가공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 방법은,
    상기 원사의 경도를 측정하는 경도 측정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단계는,
    상기 원사의 경도에 따라 상기 1쌍의 바이스가 상기 원사를 고정 압박하는 압박력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실의 가공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 단계와 상기 커팅 단계 사이에는,
    상기 함입공의 내주면에 생체 접착제를 코팅하는 코팅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실의 가공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단계는,
    상기 함입공보다 작은 직경의 코팅봉의 표면에 상기 생체 접착제를 도포하고 도포된 상기 생체 접착제의 두께를 측정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생체 접착제가 도포된 상기 코팅봉을 상기 함입공에 진입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생체 접착제의 두께에 따라 상기 코팅봉의 회전수와 회전 속도를 차등 조절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실의 가공 방법.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단계와 천공 단계 사이에는,
    상기 원사의 밑면에 경화제를 도포하는 경화제 도포 단계;
    상기 경화제가 도포된 상기 밑면을 건조하는 건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실의 가공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 단계는,
    상기 경화제가 도포된 밑면 주변 부위를 일정 길이만큼 절개하는 절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실의 가공 방법.
KR1020230094238A 2023-07-20 2023-07-20 주름 개선이 용이한 의료용 실의 가공 방법 KR102653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4238A KR102653931B1 (ko) 2023-07-20 2023-07-20 주름 개선이 용이한 의료용 실의 가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4238A KR102653931B1 (ko) 2023-07-20 2023-07-20 주름 개선이 용이한 의료용 실의 가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3931B1 true KR102653931B1 (ko) 2024-04-02

Family

ID=90714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4238A KR102653931B1 (ko) 2023-07-20 2023-07-20 주름 개선이 용이한 의료용 실의 가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393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48216A1 (en) * 2009-08-27 2011-03-03 Ethicon, Inc. Automated systems and methods for making braided barbed sutures
KR20150145392A (ko) * 2014-06-19 2015-12-30 신미향 의료용 봉합사
KR101825736B1 (ko) * 2017-06-15 2018-02-05 심재완 조직 수복용 메쉬 어셈블리
KR20190108970A (ko) * 2018-03-16 2019-09-25 주식회사 동방메디컬 리프팅 실, 리프팅 실 제조 장치 및 리프팅 실 제조 방법
KR102223778B1 (ko) 2020-10-28 2021-03-05 주식회사 엠베이스 시술의 편의성을 강화한 의료용 실 삽입장치
KR20230126870A (ko) * 2022-02-24 2023-08-31 한길현 리프팅 실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48216A1 (en) * 2009-08-27 2011-03-03 Ethicon, Inc. Automated systems and methods for making braided barbed sutures
KR20150145392A (ko) * 2014-06-19 2015-12-30 신미향 의료용 봉합사
KR101825736B1 (ko) * 2017-06-15 2018-02-05 심재완 조직 수복용 메쉬 어셈블리
KR20190108970A (ko) * 2018-03-16 2019-09-25 주식회사 동방메디컬 리프팅 실, 리프팅 실 제조 장치 및 리프팅 실 제조 방법
KR102223778B1 (ko) 2020-10-28 2021-03-05 주식회사 엠베이스 시술의 편의성을 강화한 의료용 실 삽입장치
KR20230126870A (ko) * 2022-02-24 2023-08-31 한길현 리프팅 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10222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skin tightening
KR102370581B1 (ko) 피부과 치료를 위한 방법 및 장치
US5759194A (en) Vascular patch applicator
US5665106A (en) Vascular patch applicator
US7766891B2 (en) Lung device with sealing features
JP5981349B2 (ja) 組織修復用インプラント及び投入デバイス及び方法
JP5551395B2 (ja) カニューレ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542345A (ja) 組織固定具ならびに関連する挿入デバイス、機構、および方法
CA3212041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eating the skin
US20230131041A1 (en) Method of applying hemostatic or tissue healing agent to wet surfaces
KR102653931B1 (ko) 주름 개선이 용이한 의료용 실의 가공 방법
CA2573148A1 (en) Lung device with sealing features
US20210204933A1 (en) Reinforcing incision drapes having stitching zones bounded by reinforcing zones for closing incisions formed in fragile tissue
US20180317912A1 (en) Dual Action Surgical Thread
WO2023238040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eating cellul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