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6544A - 살균 장치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살균 장치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6544A
KR20230126544A KR1020220023849A KR20220023849A KR20230126544A KR 20230126544 A KR20230126544 A KR 20230126544A KR 1020220023849 A KR1020220023849 A KR 1020220023849A KR 20220023849 A KR20220023849 A KR 20220023849A KR 20230126544 A KR20230126544 A KR 202301265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rce
ultraviolet
sterilization device
modules
sens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3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현희
임재원
이승돈
유현선
이윤경
박세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23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6544A/ko
Publication of KR20230126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65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005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 A61L2/0011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using physical methods
    • A61L2/0029Radiation
    • A61L2/0047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5Rooms in buildings, passenger compart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61L2209/111Sensor means, e.g. motion, brightness, scent, contaminant sens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살균 장치의 제어 방법은, 일정 공간을 형성하는 다수의 평면 중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다수의 평면 중 저면을 향해 원 자외선을 조사하는 제1원 자외선 모듈과, 상기 다수의 평면 중 측면을 향해 원 자외선을 조사하는 다수의 제2원 자외선 모듈과, 상기 일정 공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살균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설정된 작동 시간으로 상기 제1 및 제2원 자외선 모듈을 작동하는 것; 상기 센서부로 감지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원 자외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작동을 일시 중지하는 것; 및 상기 설정된 작동 시간까지 상기 제1 및 제2원 자외선 모듈로 살균을 진행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로 감지되는 정보는, 적어도 사람의 얼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살균 장치의 제어 방법 {Method for Controlling A Sterilizing Apparatus}
본 발명은 살균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다양한 전염병과 바이러스에 의한 보건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그로 인해 방역 소독에 의한 예방의 중요성이 대두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주변 환경의 소독에 대해 기술 개발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살균 장치는 UV 광을 이용하는 방식과, 살균제를 분사하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중,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UV 살균 장치의 경우에, UV 광원으로 UV 광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UV 광을 바이러스에 일정시간 조사하여 바이러스의 세포를 파괴하는 방식으로 살균 및 소독을 수행한다. 다만, UV 살균 장치에서 발생되는 UV 광을 장시간 조사하면, UV 광이 조사되는 영역 내에서 바이러스 이외에도 영역 내에 존재하는 다양한 세포들도 함께 파괴되므로 이용에 주의가 필요하다.
따라서, 바이러스에 대한 살균력을 가지면서도 사용자에게 안전한 UV 광의 기술 개발이 요구된다.
한편, 살균 장치는 주변 환경의 살균 및 소독 목적으로 다양한 위치에 설치되는데 실내, 엘리베이터 등과 같이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는 곳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공개특허번호 제10-2019-0061183호에는 “자외선과 플라즈마를 이용한 공기살균기가 적용된 엘리베이터”가 개시된다.
종래 기술에 의하면, 엘리베이터에 설치된 공기 살균기에 의해 엘리베이터 내의 공기를 살균하여 공기질을 개선한다.
다만, 공기 살균기를 통해서 공기에 포함된 바이러스를 살균할 수 있으나, 피부나 의류 등의 표면에 존재하는 바이러스와, 살균이 요구되는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는 곳의 표면에 존재하는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는 곳과 상기 일정한 공간 내에 위치하는 이용자에게 존재할 수 있는 바이러스를 살균하기 위한 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에 따른 살균 장치의 제어 방법은, 일정 공간을 형성하는 장소를 살균할 수 있는 살균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살균 장치의 제어 방법은, 일정 공간 내에 위치하는 사람을 살균할 수 있는 살균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살균 장치의 제어 방법은, 사람의 얼굴을 보호할 수 있는 살균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살균 장치의 제어 방법은, 일정 공간을 살균하는 제1원 자외선 모듈과 제2원 자외선 모듈을 포함하도록 살균 장치를 구성하여, 일정 공간 및 상기 일정 공간에 위치하는 사람에 대한 살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살균 장치의 제어 방법은, 일정 공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도록 살균 장치를 구성하여, 일정 공간에 위치하는 사람의 유무 정보, 사람의 위치 정보, 사람의 얼굴 정보에 기초하여 살균 장치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살균 장치의 제어 방법은, 원 자외선 모듈의 작동 여부를 표시하는 LED 모듈을 포함하도록 살균 장치를 구성하여, 살균 장치의 작동을 알릴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살균 장치의 제어 방법은, 사람의 유무 정보에 따라 제1 및 제2원 자외선 모듈의 작동 유무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살균 장치의 제어 방법은, 사람의 위치 정보에 따라 제1 및 제2원 자외선 모듈의 작동 유무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살균 장치의 제어 방법은, 사람의 얼굴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원 자외선 모듈의 작동을 일시 정지하는 제어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살균 장치의 제어 방법은, 사람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원 자외선 모듈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일정 공간을 형성하는 장소를 살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일정 공간에 위치하는 사람을 살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람의 얼굴을 향해 조사되는 원 자외선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살균 장치의 에너지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일정 공간 및 사람에 대한 최소한의 살균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람의 위치 변화에 대응한 살균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살균 장치의 작동 여부를 사람에게 직관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살균 장치가 설치된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살균 장치를 설치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살균 장치의 작동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살균 장치의 제1작동 모드를 나타내는 제어 방법.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살균 장치의 제2작동 모드를 나타내는 제어 방법.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살균 장치가 설치된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살균 장치(100)는 살균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살균 장치(100)는 공간을 형성하는 장소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공간을 형성하는 장소는 건물의 실내, 엘리베이터(10)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살균 장치(100)가 상기 엘리베이터(10)에 설치된 것을 예시로 설명한다.
상기 엘리베이터(10)는 바닥을 정의하는 저면(16), 천장을 정의하는 상면(15), 도어(20)가 설치되는 전면(11), 상기 전면(11)을 마주하는 후면, 상기 전면(11)과 후면을 연결하며 서로 마주하는 좌측면과 우측면(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엘리베이터(10)의 측면은 상기 전면(11), 상기 후면, 상기 좌측면, 상기 우측면(14)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도어(20)는 상기 후면에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엘리베이터(10)는 조작을 위한 조작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30)는 상기 엘리베이터(10)의 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30)는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을 위해 상기 저면(16)에서 일정한 높이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30)에는 작동 버튼과, 작동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살균 장치(100)는 상기 엘리베이터(10)의 상면(15)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살균 장치(100)는 상기 상면(15)의 중앙에 위치하여 상기 엘리베이터(10)의 측면과 상기 조작부(30)를 살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살균 장치(100)는 설치되는 장소에 의해 이름이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살균 장치(100)가 상기 엘리베이터(10)에 설치 시 엘리베이터 살균 장치라 칭하거나, 상기 살균 장치(100)가 실내 공간의 천정에 설치 시 천정 살균 장치라 칭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100)는 아우터 브라켓(1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브라켓(110)은 상기 엘리베이터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브라켓(110)은 판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브라켓(110)은 일부가 함몰되며 함몰된 함몰부에 후술할 베이스 플레이트(120)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함몰된 일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브라켓(110)은 브라켓 설치홀(1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설치홀(113)은 체결 수단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설치홀(113)은 다수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브라켓 설치홀(113)은 판 형상의 아우터 브라켓(110)의 꼭지점에 인접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살균 장치(100)는 베이스 플레이트(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0)는 상기 아우터 브라켓(11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브라켓(110)에 형성된 함몰부에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0)가 안착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0)가 상기 아우터 브라켓(11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0)에는 후술할 제어부(130), 인버터(135) 등 다수의 제어 부품이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0)는 플레이트 설치홀(1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설치홀(123)은 상기 브라켓 설치홀(113)에 대응되는 위치, 개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설치홀(123)과 상기 브라켓 설치홀(113)은 서로 연통되며, 상기 플레이트 설치홀(123)에도 상기 체결 수단이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살균 장치(100)는 제어부(130), 인버터(135) 등 다수의 제어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어 부품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0)에 안착될 수 있다. 본 설명에서는 다수의 제어 부품 중 제어부(130)와 인버터(135)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살균 장치(100)의 작동을 위한 다양한 제어 부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살균 장치(1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에 의해 후술할 원 자외선 모듈, LED 모듈 등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인버터(135)는 상기 살균 장치(100)로 공급되는 전원을 변환할 수 있다. 상기 인버터(135)를 통해서 상기 원 자외선 모듈, LED 모듈 등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조절하여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살균 장치(100)는 인너 브라켓(1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너 브라켓(140)은 상기 제어부(130)의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인너 브라켓(140)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0)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인너 브라켓(140)은 후술할 제1원 자외선 모듈(250)과 제1센서부(350)와 제2센서부(40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인너 브라켓(140)은 상기 제1원 자외선 모듈(250)과 상기 제1센서부(350)와 제2센서부(400)가 안착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0)에 안착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너 브라켓(140)은 제1원 자외선 장착부(143)와 센서 장착부(14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원 자외선 장착부(143)에는 상기 제1원 자외선 장착부(143)가 안착되고, 상기 센서 장착부(145)에는 상기 제1센서부(350)와 제2센서부(400)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제1원 자외선 장착부(143)와 상기 센서 장착부(145)는 상기 인너 브라켓(140)의 몸체 상면이 하방으로 함몰되거나,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원 자외선 모듈(250)과 상기 제1센서부(350)와 제2센서부(400)는 상기 제어부(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살균 장치(100)는 제1커버(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150)는 상기 아우터 브라켓(110)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150)와 상기 아우터 브라켓(110)을 결합 시 사이에 내부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 공간에는 상기 제어부(130), 상기 인버터(135) 등 다수의 제어 부품과, 상기 제1원 자외선 모듈(250)과 상기 제1센서부(350)와 상기 제2센서부(400)가 안착된 인너 브라켓(140)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0)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150)는 상기 아우터 브라켓(110)을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150)는 측면부(151)와 경사부(153)와 평면부(15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브라켓(110)은 상기 엘리베이터의 상면에 고정되며, 상기 제1커버(150)는 상기 아우터 브라켓(110)의 하방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150)는 상방에서 하방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경사부(153)는 상기 측면부(151)의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평면부(155)는 상기 경사부(153)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측면부(151)는 상기 아우터 브라켓(110)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측면부(151)는 상기 아우터 브라켓(1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측면부(151)는 후크홈(1511)을 포함하고, 상기 아우터 브라켓(110)은 후크부(1101)를 포함하여 상기 측면부(151)와 상기 아우터 브라켓(110)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후크부(1101)와 상기 후크홈(1511)이 설치되는 위치는 서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경사부(153)는 상기 측면부(151)와 상기 평면부(155)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경사부(153)는 상기 측면부(151)에서 상기 평면부(155)를 향해 하방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부(151)는 상기 평면부(155)에 대해 일정한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평면부(155)에서 연장되는 가상선과 상기 경사부(153)에서 연장되는 가상선은 일정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일정 각도는 후술할 제2원 자외선 모듈(300)에서 조사되는 광의 조사 각도를 고려하여 5도 내지 45도 각도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일정 각도는 22도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일정 각도가 작아지면, 상기 엘리베이터의 측면을 향해 조사되는 상기 제2원 자외선 모듈(300)의 조사 면적이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일정 각도가 커지면, 상기 엘리베이터의 측면 중 측면 상부를 향해 조사되는 제2원 자외선 모듈(300)의 조사 면적은 증가하지만 상기 엘리베이터의 측면 중 측면 하부를 향해 조사되는 제2원 자외선 모듈(300)의 조사 면적이 감소될 수 있다. 즉, 상기 경사부(153)가 이루는 일정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의 측면 상부와 측면 하부로 조사되는 제2원 자외선 모듈(300)의 조사 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경사부(153)는 제2원 자외선 개구부(15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원 자외선 개구부(1531)는 다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원 자외선 개구부(1531)에는 상기 제2원 자외선 모듈(300)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원 자외선 모듈(300)에서 조사되는 광은 상기 제2원 자외선 개구부(1531)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제2원 자외선 개구부(1531)는 상기 엘리베이터의 측면(전면, 후면, 좌측면, 우측면)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평면부(155)는 상기 아우터 브라켓(110)과 평행한 평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평면부(155)는 상기 경사부(153)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평면부(155)는 제1원 자외선 개구부(1551)와 제1센서 개구부(1553)와 제2센서 개구부(155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원 자외선 개구부(1551)에는 상기 제1원 자외선 모듈(250)이 위치하고, 상기 제1센서 개구부(1553)에는 상기 제1센서부(350)가 위치하고, 제2센서 개구부(1555)에는 상기 제2센서부(400)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원 자외선 개구부(1551)를 통해 상기 제1원 자외선 모듈(250)에서 조사되는 광이 통과하고, 상기 제1센서 개구부(1553)를 통해 상기 제1센서부(350)로 정보가 수집되고, 상기 제2센서 개구부(1555)를 통해 상기 제2센서부(400)로 정보가 수집될 수 있다.
상기 제1센서부(350)는 감시 범위 내에 위치하는 사람의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1센서부(350)는 적외선을 통해 사람을 판단하는 PIR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고, 감시 범위 내에 존재하는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다양한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센서부(400)는 감시 범위 내에 이미지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제2센서부(400)는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이미지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정보를 인식하는 이미지 센서 또는 카메라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제2센서부(400)로 감지되는 이미지 정보에 기초하여, 감시 범위 내에 위치하는 사람의 얼굴을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제2센서부(400)를 통해 인식된 이미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원 자외선 모듈(250) 및 상기 제2원 자외선 모듈(3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할 수 있다.
본 설명에서는 상기 제1센서부(350)와 상기 제2센서부(400)를 분리하여 별도의 구성으로 구비하였으나, 하나의 센서부로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센서부(350)와 상기 제2센서부(400)를 분리하여 별도의 구성으로 구비한 것은, 상기 제1센서부(350)와 상기 제2센서부(400) 각각의 정보 처리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제1커버(150)는 LED 장착부(15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LED 장착부(157)에는 후술할 LED 커버(17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LED 장착부(157)는 상기 평면부(155)와 상기 경사부(153)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LED 장착부(157)는 상기 평면부(155)와 단차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LED 장착부(157)는 상기 평면부(155)와 평행한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평면 형상으로 형성된 LED 장착부(157)의 일부가 함몰되어 상기 LED 커버(170)의 일부가 함몰된 일부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살균 장치(100)는 LED 커버(170)와, LED 지지부(180)와, LED 모듈(19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LED 커버(170)와 상기 LED 지지부(180)와 상기 LED 모듈(190)을 통칭하여 LED 어셈블리라 칭할 수 있다.
상기 LED 커버(170)는 상기 LED 장착부(157)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LED 커버(170)는 상기 LED 장착부(157)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LED 커버(170)는 내측에 상기 평면부(155)가 수용되는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LED 커버(170)가 상기 LED 장착부(157)에 장착되면, 상기 LED 커버(170)의 개구 내측에는 상기 평면부(155)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LED 커버(170)는 내측에서 외측을 향해 하방 경사지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LED 커버(170)는 LED 모듈(190)에서 발생된 광을 확산하기 위한 확산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LED 커버(170)를 통해서 무드등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LED 지지부(180)에는 상기 LED 모듈(190)이 안착될 수 있다. 상기 LED 지지부(180)는 상기 LED 장착부(157)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LED 지지부(180)는 내측에 상기 평면부(155)가 수용될 수 있는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LED 지지부(180)를 상기 LED 커버(170)에 장착 시 상기 LED 지지부(180)의 내측 개구에 상기 평면부(155)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LED 커버(170)의 내측에 상기 LED 지지부(180)가 장착되면, 상기 LED 커버(170)의 일면과 상기 LED 지지부(180)의 일면 사이에는 상기 LED 모듈(190)이 위치하는 LED 설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LED 모듈(190)은 광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LED 모듈(190)에서 발생되는 광은 상기 엘리베이터의 내부 공간을 밝힐 수 있다. 상기 LED 모듈(190)은 상기 엘리베이터의 내부 공간을 밝히기 위해 다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LED 모듈(190)은 상기 LED 지지부(180)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LED 모듈(190)은 상기 LED 설치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LED 설치 공간은 상기 LED 커버(170) 및 상기 LED 지지부(180)와 후술할 제2커버(200)에 의해 형성되는 수밀한 공간이므로, 상기 LED 모듈(190)의 방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살균 장치(100)는 제2커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커버(200)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커버(200)는 상기 LED 커버(170)와 상기 평면부(155)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제2커버(200)는 제1원 자외선 개구부(201)와 제1센서 개구부(203)와 제2센서 개구부(20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원 자외선 개구부(201)는 상기 제1원 자외선 모듈(250)에서 조사되는 광이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제1센서 개구부(203)는 상기 제1센서부(350)로 정보가 수집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센서 개구부(205)는 상기 제2센서부(400)로 정보가 수집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커버(200)의 제1원 자외선 개구부(201)는 상기 제1커버(150)의 제1원 자외선 개구부(1551)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2커버(200)의 제1센서 개구부(203)는 상기 제1커버(150)의 제1센서 개구부(1553)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2커버(200)의 제2센서 개구부(205)는 상기 제1커버(150)의 제2센서 개구부(1555)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살균 장치(100)는 제1원 자외선 모듈(250)과 제2원 자외선 모듈(3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원 자외선 모듈(250)과 상기 제2원 자외선 모듈(300)은 상기 제1커버(15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원 자외선 모듈(250) 및 상기 제2원 자외선 모듈(300)은 탈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원 자외선 모듈(250) 및 상기 제2원 자외선 모듈(300)은 상기 제1커버(150)를 상기 아우터 브라켓(110)로부터 분리 시 교체할 수 있다. 상기 제1원 자외선 모듈(250) 및 상기 제2원 자외선 모듈(300)은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원 자외선 모듈(250)와 상기 제2원 자외선 모듈(300)이 상기 제1커버(150)에 설치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제어부(130) 또는 베이스 플레이트(120)에 설치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제1원 자외선 모듈(250) 및 상기 제2원 자외선 모듈(300)의 크기가 일부 변경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원 자외선 모듈(250) 및 제2원 자외선 모듈(300)을 원 자외선 모듈(250,300)로 통칭하여 설명하지만, 제1 및 제2로 각각의 구성을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원 자외선 모듈(250,300)은 몸체를 형성하는 램프 하우징(251,301)과, 상기 램프 하우징(251,301)의 내측에 수용되는 램프 홀더(255,305)와, 상기 램프 홀더(255,305)에 장착되는 원 자외선 램프(253,30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램프 하우징(251,301)은 일면이 개구되며, 내측에 상기 램프 홀더(255,305)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램프 하우징(251,301)의 개구된 일면은 상기 제1원 자외선 개구부(1551) 또는 상기 제2원 자외선 개구부(1531)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램프 하우징(251,301)은 일면이 개구된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램프 홀더(255,305)는 상기 램프 하우징(251,301)의 수용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램프 홀더(255,305)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 자외선 램프(253,303)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원 자외선 램프(253,303)는 상기 램프 홀더(255,305)에 지지된 상태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원 자외선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램프 홀더(255,305)의 표면은 상기 원 자외선 램프(253,303)에서 발생된 광을 반사하기 위한 반사 물질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램프 홀더(255,305)에 의해 상기 원 자외선 램프(253,303)에서 발생된 원 자외선이 상기 램프 하우징(251,301)의 개구된 일면 측으로 조사될 수 있다. 본 설명에서는 상기 램프 홀더(255,305)가 상기 원 자외선 램프(253,303)를 지지하는 기능과 원 자외선을 반사하는 기능을 함께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램프 홀더(255,305)가 상기 원 자외선 램프(253,303)를 지지하고, 상기 원 자외선 램프(253,303)에서 발생된 원 자외선을 반사하기 위한 반사판이 추가로 더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원 자외선 램프(253,303)는 원 자외선을 발생시킬 수 있는 자외선 램프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원 자외선 램프(253,303)는 222nm 파장을 가지는 원 자외선을 발생시키며, 상기 원 자외선은 파장이 짧아 높은 살균력을 가지만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적은 이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원 자외선 램프(253,303)를 이용하여 다수의 사용자가 유동하는 공간을 효율적으로 살균할 수 있다.
상기 제1원 자외선 모듈(250)에 포함되는 램프 하우징을 제1램프 하우징(251), 원 자외선 램프를 제1원 자외선 램프(253), 램프 홀더를 제1램프 홀더(255)라 칭할 수 있다. 상기 제2원 자외선 모듈(300)에 포함되는 램프 하우징을 제2램프 하우징(301), 원 자외선 램프를 제2원 자외선 램프(303), 램프 홀더를 제2램프 홀더(305)라 칭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150)에 설치되는 제2원 자외선 모듈(300)의 개수는 제2커버(200)에 설치되는 제1원 자외선 모듈(250)의 개수보다 많을 수 있다. 상기 제1커버(150)에 설치되는 제2원 자외선 모듈(300)은 상기 엘리베이터의 측면을 살균하기 위해 다수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살균 장치(100)는 제2원 자외선 지지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원 자외선 지지부(310)는 상기 제1커버(150)의 경사부(153)에 설치되는 제2원 자외선 모듈(300)이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2원 자외선 모듈(300)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2원 자외선 지지부(310)는 상기 아우터 브라켓(110) 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원 자외선 지지부(310)는 상기 경사부(153)와 평행하는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경사면에 상기 제2원 자외선 모듈(300)이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제2원 자외선 지지부(310)는 상기 제2원 자외선 모듈(300)과 대응하는 위치 및 개수로 제공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살균 장치를 설치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살균 장치(100)는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는 장소의 천장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살균 장치(100)를 상기 천장에 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천장에는 체결 수단(19)이 고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체결 수단(19)에 상기 살균 장치(100)를 장착할 수 있다. (도 5의 A 참조)
상기 체결 수단(19)에는 상기 살균 장치(100)의 아우터 브라켓(110)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브라켓(110)의 브라켓 설치홀(113)에 상기 체결 수단(19)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설치홀(113)은 상기 체결 수단(19)의 헤드가 삽입되는 헤드 삽입홀(1131)과 상기 헤드 삽입홀(1131)에서 연장되는 삽입 가이드부(11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 가이드부(1133)의 직경은 상기 헤드 삽입홀(1131)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삽입 가이드부(1133)는 상기 체결 수단(19)의 몸체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체결 수단(19)의 몸체는 상기 체결 수단(19)의 헤드보다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체결 수단(19)은 상기 헤드 삽입홀(1131)로 삽입되어 상기 삽입 가이드부(1133)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체결 수단(19)에 상기 아우터 브라켓(110)이 지지될 수 있다. (도 5의 B 참조)
상기 체결 수단(19)에 의해 상기 천장에 고정된 아우터 브라켓(110)으로부터 상기 제1커버(150)를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150)와 상기 아우터 브라켓(110)은 상기 후크부(1101)와 상기 후크홈(1511)에 의해 분리되고, 상기 후크부(1101)와 상기 후크홈(1511)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150)가 분리 시 사용자는 상기 살균 장치(100)에 대한 유지 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원 자외선 모듈(250,300) 또는 LED 모듈(190)의 교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의 C 참조)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살균 장치의 작동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엘리베이터의 천장에 설치된 살균 장치(100)가 작동 시 원 자외선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원 자외선은 상기 엘리베이터에 탑승하는 사용자와, 상기 엘리베이터의 내면에 부착된 세균, 바이러스 등을 살균할 수 있다.
상기 제1원 자외선 모듈(250)은 상기 살균 장치(100)의 제2커버(200)에 설치되어, 상기 제1원 자외선 모듈(250)에서 발생되는 원 자외선은 상기 엘리베이터의 내면을 향해 조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원 자외선 모듈(250)은 상기 제2커버(200)의 중앙에 위치하며, 상기 제2커버(200)의 중앙은 상기 살균 장치(100)의 중앙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제1원 자외선 모듈(250)에서 발생되는 원 자외선은 엘리베이터의 저면을 향해 집중적으로 조사될 수 있다.
상기 제1원 자외선 모듈(250)에서 엘리베이터의 저면을 향해 조사되는 원 자외선의 조사 각도는 상기 엘리베이터의 저면을 향할 수 있는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커버(200)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가상선과, 상기 제2커버(200)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가상선 사이에는 제1각도()와 제2각도()가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1각도와 상기 제2각도는 제2가상선을 기준으로 대칭할 수 있다. 상기 제1각도와 상기 제2각도를 합산한 각도가 상기 제1원 자외선 모듈(250)에서 발생된 원 자외선의 조사 각도로 정의될 수 있다.
한편, 본 설명에서는 상기 제2커버(200)를 기준으로 제1각도와 제2각도를 설명하였으나, 상기 제1각도와 상기 제2각도를 이루는 제1가상선과 제2가상선을 상기 제1원 자외선 모듈(250)의 개구된 일면 또는 제1커버(150)에 적용하여 상기 제1원 자외선 모듈(250)에서 발생된 원 자외선의 조사 각도를 정의할 수도 있다. 상기 제1각도와 상기 제2각도는 상기 살균 장치(100)가 설치되는 엘리베이터의 가로, 세로, 높이에 기초하여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각도와 상기 제2각도를 합한 각도는 180도 이하로 제공 가능하고, 상기 제1각도와 상기 제2각도 각각은 90도 이하로 제공 가능하다. 상기 살균 장치(100)가 설치되는 엘리베이터의 공간에서 상기 원 자외선의 살균 범위를 고려하여 상기 제1각도와 상기 제2각도 각각은 10도 이상 60도 이하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본 설명에서는 상기 제1각도와 상기 제2각도 각각이 30도로 구성될 수 있다.
설정된 조사 각도로 조사되는 제1원 자외선 모듈(250)에서 발생된 원 자외선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의 저면 및 상기 엘리베이터에 탑승한 사용자의 외면을 살균할 수 있다. 상기 원 자외선은 상기 원 자외선이 도달하기 까지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살균 성능이 증가하여 살균 시간이 감소하고, 상기 원 자외선이 도달하기 까지의 거리가 멀수록 살균 성능이 감소하여 살균 시간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원 자외선 모듈(250)의 작동 시간 및 상기 제1원 자외선 모듈(250)에서 발생되는 원 자외선의 출력을 조절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에 탑승하는 사용자 및 상기 엘리베이터의 내면에 대한 살균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2원 자외선 모듈(300)은 상기 살균 장치(100)의 제1커버(150)에 설치되어, 상기 제2원 자외선 모듈(300)에서 발생되는 원 자외선은 상기 엘리베이터의 내면을 향해 조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원 자외선 모듈(300)은 상기 제1커버(150)의 경사부(153)에 위치하며, 상기 제1커버(150)에 다수로 제공될 수 있다. 다수로 제공되는 제2원 자외선 모듈(300)은 상기 엘리베이터의 측면(전면, 후면, 양측면)을 향해 원 자외선을 집중적으로 조사할 수 있다. 상기 제2원 자외선 모듈(300)은 상기 엘리베이터의 측면을 살균하기 위해 상기 살균 장치(100)에 적어도 4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원 자외선 모듈(300)에서 발생되는 원 자외선의 조사 각도는 상기 엘리베이터의 측면을 향할 수 있도록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150)의 경사부(153)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가상선과, 상기 제1가상선에 대해서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가상선 사이에는 제3각도()와 제4각도()가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3각도와 상기 제4각도는 제2가상선을 기준으로 대칭할 수 있다. 상기 제3각도와 상기 제4각도를 합산한 각도가 상기 제2원 자외선 모듈(300)에서 발생된 원 자외선의 조사 각도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경사부(153)는 상기 살균 장치(100)의 아우터 브라켓(110)에 대해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상기 제2원 자외선 모듈(300)은 상기 엘리베이터의 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다.
한편, 본 설명에서는 상기 경사부(153)를 기준으로 제3각도와 제4각도를 설명하였으나, 상기 제3각도와 상기 제4각도를 이루는 제1가상선과 제2가상선을 상기 제2원 자외선 모듈(300)의 개구된 일면에 적용하여 상기 제2원 자외선 모듈(300)에서 발생된 원 자외선의 조사 각도를 정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각도와 상기 제4각도를 합한 각도는 180도 이하로 제공 가능하고, 상기 제3각도와 상기 제4각도 각각은 90도 이하로 제공 가능하다. 상기 살균 장치(100)가 설치되는 엘리베이터의 공간에서 상기 엘리베이터의 측면을 향하는 상기 원 자외선의 살균 범위를 고려하여 상기 제3각도와 상기 제4각도 각각은 10도 이상 60도 이하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본 설명에서는 상기 제3각도와 상기 제4각도 각각이 30도로 구성될 수 있다.
설정된 조사 각도로 조사되는 제2원 자외선 모듈(300)에서 발생된 원 자외선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의 측면을 살균할 수 있다. 상기 원 자외선은 상기 원 자외선이 도달하기 까지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살균 성능이 증가하여 살균 시간이 감소하고, 상기 원 자외선이 도달하기 까지의 거리가 멀수록 살균 성능이 감소하여 살균 시간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원 자외선 모듈(300)의 작동 시간 및 상기 제2원 자외선 모듈(300)에서 발생되는 원 자외선의 출력을 조절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의 측면에 대한 살균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원 자외선 모듈(30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의 측면에 위치하는 조작부(30)의 살균이 수행되어, 상기 조작부(30)에 의한 세균, 바이러스 등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의 (A)와 (B)을 참조하면, 상기 제1원 자외선 모듈(250)과 상기 제2원 자외선 모듈(300)을 함께 작동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의 내부를 살균할 수 있다. 상기 제1원 자외선 모듈(250)에서 조사되는 제1원 자외선의 조사 각도(A)는 상기 엘리베이터를 탑승하는 사용자와 상기 엘리베이터의 저면을 향할 수 있다. 상기 제2원 자외선 모듈(300)들에서 조사되는 제2원 자외선(B-1, B-2, B-3, B-4)의 조사 각도들은 상기 엘리베이터의 측면 각각을 향할 수 있다. 상기 제2원 자외선 모듈(300)들은 전면, 후면, 좌측면, 우측면 각각을 향할 수 있다. 상기 제2원 자외선들의 조사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제2원 자외선들이 겹치는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원 자외선들이 겹치는 영역은 단일의 제2원 자외선이 조사되었을 때보다 살균 성능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원 자외선의 조사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제2원 자외선들과 상기 제1원 자외선이 서로 겹치는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원 자외선과 상기 제2원 자외선들이 겹치는 영역은 살균 성능이 증가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살균 장치의 제1작동 모드를 나타내는 제어 방법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살균 장치(100)는 공간을 형성하는 장소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설명에서 상기 공간을 형성하는 장소는 엘리베이터로 정의한다.
상기 살균 장치(100)의 전원이 작동되면, 제1센서부(350)를 통해 상기 살균 장치(100)가 설치된 공간 내에 사람의 유무를 파악할 수 있다(S11). 상기 제1센서부(350)는 상기 살균 장치(100)가 외부에서 설치된 공간을 향해 진입하는 사람, 상기 공간에서 외부로 진출하는 사람을 파악하여, 상기 살균 장치(100)의 작동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사람이 인식되면, 상기 살균 장치(100)를 통해서 원 자외선을 발생시키기 전 작동의 시작을 알리기 위한 LED 모듈(190)을 작동할 수 있다(S12). 예를 들어, 사람이 인식 시 상기 LED 모듈(190)을 온 작동하여 상기 공간의 내부 공간을 밝힐 수 있다.
사람이 인식되지 않으면, 상기 살균 장치(100)의 작동을 대기할 수 있다. 또는, 이미 상기 살균 장치(100)가 작동 중이라면 상기 살균 장치(100)의 작동을 중단한 후 대기할 수 있다.
사람이 인식되면, 원 자외선 모듈(250,300)의 작동을 진행할 수 있다(S13). 상기 제1원 자외선 모듈(250)을 작동하여 공간의 저면과 공간에 위치하는 사람에게 원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제2원 자외선 모듈(300)을 작동하여 공간의 측면과 조작부(30)를 살균할 수 있다.
원 자외선 모듈(250,300)의 작동이 진행되면, 설정된 살균 시간으로 살균이 진행될 수 있다(S14). 설정된 살균 시간은 상기 원 자외선 모듈(250,300)에서 조사되는 원 자외선이 세균, 바이러스 등에 도달 후 살균이 이루어지기까지 요구되는 최소한의 시간일 수 있다.
원 자외선 모듈(250,300)이 설정된 살균 시간으로 작동이 진행되면, 제2센서부(400)를 통해 사람의 얼굴을 인식할 수 있다(S15). 상기 제2센서부(400)는 공간에 위치하는 사람이 상기 살균 장치(100)를 직접 바라보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사람이 상기 살균 장치(100)를 바라보는 경우에, 사람의 눈에 원 자외선이 직접 조사될 수 있다. 상기 원 자외선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미비하지만, 사람의 눈으로 원 자외선이 직접적으로 조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사람의 얼굴이 인식되면, 원 자외선 모듈(250,300)의 작동을 일시 정지할 수 있다(S16). 상기 원 자외선 모듈(250,300)의 작동을 일시 정지하여, 사용자의 눈으로 원 자외선이 조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원 자외선 모듈(250,300)의 작동이 일시 정지되는 시간을 미리 설정된 시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람이 일시적으로 상기 살균 장치(100)를 바라볼 경우에, 상기 원 자외선 모듈(250,300)이 일시 정지되는 시간은 10초 이내로 설정될 수 있다.
사람의 얼굴이 인식되지 않으면, 원 자외선 모듈(250,300)을 설정된 살균 시간까지 작동하고, 설정된 살균 시간에 충족되었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S17). 상기 원 자외선 모듈(250,300)이 설정된 살균 시간까지 작동하면, 상기 엘리베이터의 내부 및 상기 엘리베이터를 탑승한 사람에 부착된 세균, 바이러스 등이 원 자외선에 의해 살균될 수 있다.
설정된 살균 시간이 충족되면, 원 자외선 모듈(250,300)의 작동을 중단할 수 있다(S18). 설정된 살균 시간을 충족하지 않으면, 상기 원 자외선 모듈(250,300)로 살균을 계속하여 진행할 수 있다. 설정된 살균 시간이 충족되는 여부를 판단한 후 설정된 살균 시간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에는, 설정된 살균 시간과 작동된 살균 시간으로 계산된 잔여 살균 시간으로 살균이 진행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살균 장치의 제2작동 모드를 나타내는 제어 방법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살균 장치(100)는 공간을 형성하는 장소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설명에서 상기 공간을 형성하는 장소는 엘리베이터로 정의한다.
상기 살균 장치(100)의 전원이 작동되면, 제1센서부(350)를 통해 상기 살균 장치(100)가 설치된 공간 내에 사람의 유무를 파악할 수 있다(S21). 상기 제1센서부(350)는 상기 살균 장치(100)가 외부에서 설치된 공간을 향해 진입하는 사람, 상기 공간에서 외부로 진출하는 사람을 파악하여, 상기 살균 장치(100)의 작동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사람이 인식되지 않으면, 상기 살균 장치(100)의 작동을 대기할 수 있다. 또는, 이미 상기 살균 장치(100)가 작동 중이라면 상기 살균 장치(100)의 작동을 중단한 후 대기할 수 있다.
사람이 인식되면, 제2센서부(400)를 통해 살균 장치(100)가 설치된 공간 내에 위치하는 사람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S22). 또한, 상기 제2센서부(400)를 통해 사람의 얼굴을 파악할 수도 있다. 상기 제2센서부(400)는 이미지 정보를 이용하여 공간 내에 위치하는 사람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제1센서부(350)를 통해 인식되는 사람의 유무와, 상기 제2센서부(400)를 통해 인식되는 사람의 정보를 통칭하여 사람에 대한 정보로 칭할 수 있다.
사람에 대한 정보가 인식되면, 상기 살균 장치(100)를 통해서 원 자외선을 발생시키기 전 작동의 시작을 알리기 위한 LED 모듈(190)을 작동할 수 있다(S23). 예를 들어, 사람이 인식 시 상기 LED 모듈(190)을 온 작동하여 상기 공간의 내부 공간을 밝힐 수 있다.
사람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원 자외선 모듈(250,300)의 작동 개수 및 작동 광량을 조절할 수 있다(S24). 상기 원 자외선 모듈(250,300)은 제1원 자외선 모듈(250)과 다수의 제2원 자외선 모듈(300)을 포함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에 탑승한 사람은 엘리베이터의 내부에서 전면, 후면, 좌측면, 우측면, 중앙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센서부(350)를 통해 엘리베이터로 사람이 탑승하는 여부를 인식한 후, 탑승한 사람의 위치를 상기 제2센서부(400)를 통해 인식하고, 작동될 원 자외선 모듈(250,300)의 개수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탑승한 사람이 상기 전면에 인접하는 위치로 인식되는 경우에, 상기 제1원 자외선 모듈(250)과, 다수의 제2원 자외선 모듈(300) 중 엘리베이터의 전면, 좌측면, 우측면을 향하는 제2원 자외선 모듈(300)을 작동할 수 있다. 다수의 제2원 자외선 모듈(300) 중 엘리베이터의 후면을 향하는 제2원 자외선 모듈(300)은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센서부(350)를 통해 엘리베이터로 사람이 탑승하는 여부를 인식한 후, 탑승한 사람의 위치를 상기 제2센서부(400)를 통해 인식하고, 작동하는 원 자외선 모듈(250,300)의 작동 광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원 자외선 모듈(250,300)의 작동 광량을 조절하는 것은 원 자외선의 출력을 조절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탑승한 사람이 엘리베이터의 전면에 인접하는 위치로 인식되는 경우에, 상기 제1원 자외선 모듈(250)과 다수의 제2원 자외선 모듈(300)을 작동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2원 자외선 모듈(300) 중 사람이 위치하지 않는 후면, 좌측면, 우측면을 향하는 제2원 자외선 모듈(300)의 출력을 증가시켜서 엘리베이터의 내부에 대한 살균을 수행할 수 있다.
원 자외선 모듈(250,300)이 작동을 시작하면, 설정된 살균 시간으로 살균을 진행할 수 있다(S25). 설정된 살균 시간은 작동 상황에 따라 다른 살균 시간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원 자외선의 출력을 증가한 경우에 설정되는 살균 시간은, 원 자외선의 초기 출력으로 설정되는 살균 시간보다 짧을 수 있다.
살균이 진행되는 중 제2센서부(400)를 통해 사람의 위치 변화를 인식할 수 있다(S26). 엘리베이터에 탑승한 사람은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2센서부(400)는 상기 엘리베이터 내에서 이동한 사람의 위치를 재 파악하고, 상기 원 자외선 모듈(250,300)의 작동을 추가 조절할 수 있다.
제2센서부(400)를 통해 사람의 위치 변화가 인식되지 않으면, 설정된 살균 시간을 충족하였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S27). 설정된 살균 시간을 충족하는 경우에 엘리베이터의 내부 공간 및 탑승한 사람에 대한 살균이 원활히 수행된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설정된 살균 시간을 충족하지 않은 경우에, 사람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원 자외선 모듈(250,300)을 작동을 추가 진행할 수 있다.
설정된 살균 시간을 충족하면, 원 자외선 모듈(250,300)의 작동을 중단할 수 있다(S28). 설정된 살균 시간동안 엘리베이터의 내부와 탑승한 사람을 살균하여, 세균 및 바이러스 등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00 살균 장치 110 아우터 브라켓
120 베이스 플레이트 130 제어부
140 인너 브라켓 150 제1커버
170 LED 커버 180 LED 지지부
190 LED 모듈 200 제2커버
250 제1원 자외선 모듈 300 제2원 자외선 모듈
350 제1센서부 400 제2센서부

Claims (15)

  1. 일정 공간을 형성하는 다수의 평면 중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다수의 평면 중 저면을 향해 원 자외선을 조사하는 제1원 자외선 모듈과, 상기 다수의 평면 중 측면을 향해 원 자외선을 조사하는 다수의 제2원 자외선 모듈과, 상기 일정 공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살균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설정된 작동 시간으로 상기 제1 및 제2원 자외선 모듈을 작동하는 것;
    상기 센서부로 감지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원 자외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작동을 일시 중지하는 것; 및
    상기 설정된 작동 시간까지 상기 제1 및 제2원 자외선 모듈로 살균을 진행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로 감지되는 정보는, 적어도 사람의 얼굴 정보를 포함하는 살균 장치의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일정 공간 내에 위치하는 사람의 유무를 판단하는 제1센서부와,
    상기 일정 공간 내에 위치하는 사람의 얼굴을 인식하는 제2센서부를 포함하는 살균 장치의 제어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원 자외선 모듈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살균 장치의 제어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센서부로 사람의 얼굴 정보가 인식되면, 작동중인 상기 제1 및 제2원 자외선 모듈의 작동을 일시 중지하는 살균 장치의 제어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센서부로 사람이 인식되면, 상기 제1 및 제2원 자외선 모듈의 작동을 시작하는 살균 장치의 제어 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공간으로 광을 발생시키는 LED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설정된 작동 시간으로 상기 제1 및 제2원 자외선 모듈을 작동하기 전 상기 LED 모듈을 작동하는 살균 장치의 제어 방법.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센서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일정 공간 내에 위치하는 사람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살균 장치의 제어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람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원 자외선 모듈에서 발생되는 원 자외선의 출력을 조절하는 살균 장치의 제어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정 공간 내에 위치하는 사람을 향해 조사하는 원 자외선의 출력과, 상기 다수의 평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측면을 향해 조사하는 원 자외선의 출력이 상이하도록 조절하는 살균 장치의 제어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평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측면을 향해 조사하는 원 자외선의 출력은, 상기 사람을 향해 조사하는 원 자외선의 출력보다 큰 살균 장치의 제어 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람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다수의 제2원 자외선 모듈 중 작동하는 제2원 자외선 모듈의 개수를 조절하는 살균 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수의 평면 중 사람이 위치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측면을 향하는 제2원 자외선 모듈을 작동하는 살균 장치의 제어 방법.
  13.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원 자외선 모듈은, 일정 시간동안 작동을 중단한 후 상기 제1 및 제2원 자외선 모듈을 재 작동하여 상기 설정된 작동 시간에 충족되도록 하는 장치 살균 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공간 내에 위치하는 사람의 변화된 위치 정보를 더 수집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화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원 자외선 모듈에서 조사되는 원 자외선의 출력 및 상기 다수의 원 자외선 모듈 중 작동하는 제2원 자외선 모듈의 개수 중 하나 이상을 조절하는 살균 장치의 제어 방법.
  1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센서부는, PIR 센서이고,
    상기 제2센서부는, 이미지 센서인 살균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220023849A 2022-02-23 2022-02-23 살균 장치의 제어 방법 KR202301265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3849A KR20230126544A (ko) 2022-02-23 2022-02-23 살균 장치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3849A KR20230126544A (ko) 2022-02-23 2022-02-23 살균 장치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6544A true KR20230126544A (ko) 2023-08-30

Family

ID=87846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3849A KR20230126544A (ko) 2022-02-23 2022-02-23 살균 장치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654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2311B1 (ko) 점착형 포충기
KR102320696B1 (ko) 엘리베이터 버튼 살균 장치
BR102021009899A2 (pt) Sistema de desinfecção de ar e de superfície
KR102514375B1 (ko) 지능형 안티 바이러스 엘리베이터
JP2021029502A (ja) 殺菌装置および室内殺菌システム
KR20150000852U (ko) 도어 핸들용 손 살균장치
US20220096683A1 (en) Bimodal ultraviolet disinfection systems and related methods
KR20230126544A (ko) 살균 장치의 제어 방법
WO202119512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sterilizing spaces or surfaces from stand-off distances
JPH113616A (ja) 照明装置
KR20230126537A (ko) 살균 장치의 제어 방법
KR20230126538A (ko) 살균 장치
KR102510156B1 (ko) 자동 이동식 살균장치
JP3230753U (ja) 紫外線照射機能付きのデシケーター
KR20230035766A (ko) 공기살균기
KR20220078110A (ko) 자외선 살균 led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608450B1 (ko) Uv-led를 이용한 차량 내부 살균장치
US20220096693A1 (en) Enclosed space ultraviolet disinfection systems and related methods
WO2023095327A1 (ja) ダウンライト
KR20230097697A (ko) Uv램프를 이용한 살균장치
KR102521148B1 (ko) 천정형 바이러스 제거장치
CN215875607U (zh) 可显示紫外光杀菌范围之装置
JP7333630B2 (ja) 空気浄化装置
KR102611709B1 (ko) 광 또는 초음파 조사 기기
CN214208979U (zh) 一种杀菌装置及灯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