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6522A - 고분자 히알루론산의 구조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점안 조성물 - Google Patents

고분자 히알루론산의 구조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점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6522A
KR20230126522A KR1020220023811A KR20220023811A KR20230126522A KR 20230126522 A KR20230126522 A KR 20230126522A KR 1020220023811 A KR1020220023811 A KR 1020220023811A KR 20220023811 A KR20220023811 A KR 20220023811A KR 20230126522 A KR20230126522 A KR 202301265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aluronic acid
viscosity
eye drop
drop composition
polyme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3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환
김경희
조대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카이테라퓨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카이테라퓨틱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카이테라퓨틱스
Priority to KR1020220023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6522A/ko
Priority to PCT/KR2023/002353 priority patent/WO2023163462A1/ko
Publication of KR20230126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6522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Preparation of polysacchar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B1/00 - C08B35/00;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6Heter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more than one sugar residue in the main chain in either alternating or less regular sequence; Gellans; Succinoglycans; Arabinogalactans; Tragacanth or gum tragacanth or traganth from Astragalus; Gum Karaya from Sterculia urens; Gum Ghatti from Anogeissus latifolia;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63Glycosaminoglycans or mucopolysaccharides, e.g. keratan sulfate; Derivatives thereof, e.g. fucoidan
    • C08B37/0072Hyaluronic acid, i.e. HA or hyaluronan; Derivatives thereof, e.g. crosslinked hyaluronic acid (hylan) or hyaluron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48Eye, e.g. artificial te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8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61P27/04Artificial tears; Irrigation solu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고분자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용액에 전단응력을 가한 고분자 히알루론산의 구조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점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분자 히알루론산의 구조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점안 조성물 {A STRUCTURE OF POLYMER HYALURONIC ACI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EYE DROP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고분자 히알루론산의 구조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점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분자 히알루론산에 전단응력을 가하여 점도가 낮아진 고분자 히알루론산의 구조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점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안구 건조증은 눈물샘의 기능 이상으로 눈물 자체의 생성량이 적거나, 눈물의 증발이 많아 안구가 건조한 증상을 말한다. 이는 눈물막의 건조 현상으로 삼투압 증가 및 안구 표면의 염증을 동반하여 일상 생활의 불편함과 심하게는 실명까지 이르는 질병 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안구 건조증을 완화 및 치료하기 위해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이 점안제이고, 시판되고 있는 점안제는 주로 눈물의 중간층인 수성층의 보충을 통한 수분 보강에 초점을 맞추어 개발되었으며, 고분자 물질을 통해 수분 증발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고분자 물질에는 히알루론산,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MC), 하이드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HPMC), 폴리비닐알코올(PVA)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들 고분자 물질 중 히알루론산은 인체내에 존재하는 생체 고분자로서, 피부, 눈의 초자체, 관절액, 근육, 탯줄, 닭벼슬 등에 많이 분포되어 있고, 신체의 각 부위에서 여러 가지 기능을 발휘한다. 또한, 히알루론산은 물에 매우 잘 녹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점안제로 개발하기 용이하므로, 인공눈물 시장의 약 70%를 히알루론산 점안제가 차지하고 있다.
히알루론산을 주성분으로 시판되는 점안제는 상기 히알루론산의 농도가 0.1%, 0.15%, 0.18%, 0.3% 농도로 함유된 것으로, 대체로 저농도 제품이 시판되고 있다.
히알루론산은 동일한 농도라고 하더라도 분자량에 따라 점도가 상이한데, 고 분자량의 히알루론산을 포함할수록 높은 점도를 가진다. 그러나, 기존의 히알루론산이 첨가된 점안제의 경우, 점안제의 점도가 높으면 증상 완화 효과가 큰 반면, 안구건조증 환자의 안구에 자극을 주거나, 눈을 깜빡일 때 끈적거리거나 뻑뻑한 느낌을 주고, 시야가 흐려지는 문제가 있다.
히알루론산이 고농도로 첨가되거나 동일한 농도라도 고 분자량의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면서, 점도가 조절되는 점안제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1-0015377호 (2021.02.10), 저점도 히알루론산 제조방법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고분자 히알루론산의 구조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점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 고분자 히알루론산에 전단응력을 가하여 분자량을 감소시키지 않고, 점도가 낮아진 고분자 히알루론산의 구조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점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고분자 히알루론산의 구조체를 포함하는 용액의 점도가 1 내지 60 cP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히알루론산의 분자량이 5.0 x 105 내지 2.0 x 106 g/mol의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를 포함하는 용액이 0.01 %(w/v) 내지 0.5 %(w/v)의 히알루론산의 함량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와, 상기 구조체의 전구체인 히알루론산의 분자량 및 농도가 동일한 경우, 상기 구조체를 포함하는 용액의 점도 (a) 및 상기 구조체의 전구체인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용액의 점도 (b)의 비인 a/b가 0.001 내지 0.3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를 포함하는 용액의 고유 점도가 0.1 내지 2.5 m3/kg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고분자 히알루론산의 구조체를 포함하는 점안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점안 조성물의 점도가 1.0 내지 30.0 cP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점안 조성물은 부형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부형제는 완충제, 방부제, 장성(tonicity) 조절제 및 pH 조절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점안 조성물을 포함하는 안구 건조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점안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점안 조성물을 함유하는 용기를 포함하는 키트로서, 상기 용기는 점안 조성물의 국소 투여에 적합한 분배 수단을 포함하는 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배 수단은 0.01 내지 0.10 ml의 용적의 액적(drop)이 드롭 방식(dropwise)으로 상기 점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고 분자량을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수소 결합 등 이온 결합과 같은 분자 내 상호 작용 및/또는 이온 클러스터 등의 상호 작용을 활용한 새로운 구조의 히알루론산의 구조체를 제조하여, 점도가 현저히 낮아지고, 사용감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고분자 히알루론산의 구조체를 포함하는 점안 조성물은 점안 조성물 내의 히알루론산의 양이 많아 수분유지능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체의 전구체인 히알루론산의 고분자 사슬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체의 전구체인 히알루론산의 단일 고분자 사슬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체를 포함한 수용액의 주사 전자 현미경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촬영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체를 포함한 수용액의 주사 전자 현미경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촬영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체의 전구체인 히알루론산의 투과 전자 현미경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 촬영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PLC 측정 결과를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분자는 저분자량을 지닌 분자의 구조와는 달리 단량체 분자들의 화학반응을 통하여 규칙적인 반복단위를 가진 긴 사슬 구조를 지니고 있다. 사슬의 길이가 긴 고분자의 구조는 고체 상태로 존재하거나 액체 상태일 경우, 사슬이 꼬여 있는 구조를 지니고 있다.
매우 묽은 고분자 용액에서 점도는 부피와 관련이 있다. 이는 아인쉬타인의 수식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하기 식 1로 나타낼 수 있다:
[식 1]
(여기서, 은 용액의 점도, 은 용매의 점도, 은 상대 점도를 의미하고, Φ는 부피 비율을 나타냄).
고분자 용액의 부피는 분자량이 클수록, 용매와 고분자의 친화도가 클수록, 단위 사슬 구조 간의 척력이 클수록, 단위 질량당 부피가 크다.
또한, 고분자의 용액은 농도가 진해지면 사슬끼리 서로 침투하여 매우 큰 연속체의 구조를 형성하고, 고분자의 농도가 묽어지면 각 사슬 간의 상호 작용이 줄어들게 된다.
이온성 고분자들은 각각의 사슬이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과 달리, 수용액에서 히알루론산의 고분자는 2개의 사슬이 뭉쳐 있는 한 쌍의 나선 (twin helix) 구조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한 쌍의 나선 (twin helix) 또는 macromolecular crowding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도 1은 히알루론산의 고분자의 2개의 사슬이 서로 얽혀 한 쌍의 나선 (twin helix) 구조체를 형성하고 있는 모식도를 도시하였다.
일반적으로, 고 분자량의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점안 조성물은 저 분자량의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점안액에 비하여 콜라겐의 합성을 촉진하고, 안구 내에서 잔류 시간이 길어 우수한 수분유지 효과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고 분자량의 히알루론산을 안구에 적용한 후 눈을 깜빡일 때, 끈적임이 높고, 사용감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고분자 용액의 점도를 조절하는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점도 조절을 위한 방법들은 pH 조절, 촉매 첨가 등을 통해 히알루론산의 고분자 사슬의 가수 분해 반응을 야기시켜 분자량을 감소시킴으로써 고분자 용액의 점도를 낮추는 방법 등 히알루론산의 고분자의 특징을 유지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자들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점도가 매우 높은 고분자 히알루론산의 한 쌍의 고분자 사슬에 높은 전단 응력을 가하여 단일 나선 (single helix) 구조로 전환하고, 상기 단일 고분자 사슬 간 분자 내 상호 작용 및/또는 이온 클러스터 등의 상호작용에 의해 이온 회합체가 형성됨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하여, 고분자 히알루론산의 사슬의 부피가 감소되어, 고분자 히알루론산의 용액 내 부피가 줄어들기 때문에, 점도가 현저히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하에서는,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분자 히알루론산의 구조체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기술하고, 다음으로 고분자 히알루론산의 구조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기술한다.
고분자 히알루론산의 구조체의 제조방법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고분자 히알루론산의 구조체"는 한 쌍의 고분자 사슬 구조를 갖는 고분자 히알루론산에 전단 응력을 가하여 형성된 단일 고분자 사슬 구조를 갖는 구조체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전구체"는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히알루론산의 구조체를 생성하는 데 사용되는 전구물질 또는 선구물질을 의미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히알루론산의 구조체의 전구체는 전단 응력이 가해지지 않은 한 쌍의 고분자 사슬 구조를 갖는 히알루론산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분자 히알루론산의 구조체는, 상기 구조체의 전구체인 히알루론산이 포함된 용액에 전단 응력을 가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구조체의 전구체인 히알루론산이 포함된 용액에 가해지는 전단응력은 기계적 전단응력 또는 초음파 인가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기계적 전단응력은 상기 구조체의 전구체인 히알루론산이 포함된 용액을 고압분산기의 주입구에 장착하여 고압분산시켜 가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조체의 전구체인 히알루론산이 포함된 용액을 볼밀, 핀밀, 롤밀 등의 밀(mill) 등의 장치에 주입하여 기계적 전단응력을 가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 기계적 전단응력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전구체인 히알루론산이 포함된 용액이 빠른 속도로 고압분산기의 노즐을 통과하면 물리적으로 좁은 영역을 통과함으로써 상기 구조체의 전구체인 히알루론산이 매우 높은 전단응력을 받게 된다.
상기 전단응력은 초음파를 이용하여 가하는 것일 수 있다. 이하에서 초음파 인가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단응력은 상기 히알루론산이 포함된 용액에 초음파를 인가시켜 가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초음파를 상기 히알루론산이 포함된 용액에 가하면, 압력파가 발생하고, 상기 압력파에 의해 상기 구조체의 전구체인 히알루론산에 전단응력이 가해질 수 있다.
상기 인가되는 초음파의 세기는 200 J/sec 내지 800 J/sec 또는 400 J/sec 내지 600 J/sec일 수 있다.
상기 인가되는 초음파의 부피당 가해지는 에너지는 초음파의 세기 (J/sec) x 가해진 시간 (sec) / 측정 부피 (ml)로 구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히알루론산이 포함된 용액에 인가되는 초음파의 부피당 가해지는 에너지는 100 J/ml 내지 90 kJ/ml일 수 있다. 상기 초음파의 에너지가 100 J/ml 미만일 경우, 상기 히알루론산이 포함된 용액에 충분한 전단응력이 가해지지 않아 구조체의 형성이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초음파의 에너지가 90 kJ/ml 초과일 경우, 상기 히알루론산이 포함된 용액에 과도한 열이 가해져서 구조체의 형성이 어려울 수 있다.
상기 초음파는 10 ℃ 내지 80 ℃에서 10 초 내지 500분 간 인가될 수 있다. 상기 초음파가 10 ℃ 미만인 온도에서 인가될 경우, 상기 히알루론산이 포함된 용액에 변화가 없고, 80 ℃ 초과인 온도에서 인가될 경우, 상기 히알루론산이 포함된 용액에 상 변화가 일어나서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히알루론산의 구조체의 형성이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초음파가 10 초 미만에서 인가될 경우, 상기 히알루론산이 포함된 용액에 변화가 없고, 500 분 초과인 시간 동안 인가될 경우, 상기 히알루론산이 포함된 용액에 구조체가 변형되어,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히알루론산의 구조체를 형성할 수 없다.
고분자 히알루론산의 구조체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히알루론산의 구조체는, 상기 기재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분자 히알루론산의 구조체는 상기 구조체의 전구체인 히알루론산에 전단응력을 가하여 단일 고분자 사슬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단일 고분자 사슬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히알루론산의 화학 구조를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히알루론산의 화학 구조는 두 개의 고리형 육탄당마다 하나의 카복실 음이온 (-COO-)기를 지니는 단일 고분자 사슬일 수 있다.
상기 단일 고분자 사슬은 단일 사슬 간의 거리가 가까워져 분자 내 상호 작용 및/또는 이온 클러스터 등의 상호 작용으로 인해 이온 회합체 (ionic aggregate)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분자 내 상호 작용은 분자 내 수소 결합, 이온 결합 등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이온 클러스터 등의 상호 작용은 히알루론산 소듐염에서, 카복실 음이온(-COOδ-)과 소듐 양이온(Naδ+)의 부분 전하들 간의 상호 작용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이온 회합체는 도 3 및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형인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온 회합체는 상기 분자 내 상호 작용 또는 이온 클로스터 등의 상호 작용에 의해 직경 1 내지 20 nm, 2 내지 18 nm 또는 3 내지 16 nm인 구형의 구조일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구조체의 전구체인 히알루론산은 일반적인 고분자 사슬 구조로, 상기 구형인 구조를 갖는 이온 회합체를 포함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체의 전구체인 히알루론산의 TEM 촬영 사진이고, 상기 히알루론산의 TEM 촬영을 위해 얼리는 과정에서 생긴 자국으로 선들이 관찰될 뿐, 구형인 구조를 갖는 이온 회합체의 형상은 관찰되지 않는다.
고분자 히알루론산 구조체의 분자량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히알루론산 구조체의 분자량은 5.0 x 105 내지 2.0 x 106 g/mol, 5.5 x 105 내지 1.95 x 106 g/mol 또는 6.0 x 105 내지 1.90 x 106 g/mol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히알루론산의 구조체는 상기 구조체의 전구체인 히알루론산의 분자량과 동일하다. 즉, 상기 구조체의 전구체인 히알루론산이 포함된 용액에 전단응력을 가하여 고분자 히알루론산의 구조체를 제조하더라도, 전단응력을 가하기 전인 상기 구조체의 전구체인 히알루론산과 동일한 분자량을 유지하고, 점도가 낮아지는 구조체를 제조할 수 있다.
도 6에서, (a)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체의 전구체인 히알루론산 소듐염의 분자량 측정곡선을 나타낸 것이고, (b)는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히알루론산 구조체의 분자량 측정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조체의 전구체인 히알루론산의 분자량 측정곡선과,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히알루론산의 구조체의 분자량 측정곡선은 거의 변화없이 동일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히알루론산의 구조체는 상기 구조체의 전구체인 히알루론산에 전단응력을 가하더라도 분자량을 감소시키지 않고, 점도가 낮아진 고분자 히알루론산의 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히알루론산 구조체는 고 분자량의 히알루론산의 특징인 수분유지력, 상피 재생능 우수 등의 효과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점도를 낮춰 안구에 적용시 끈적임을 해소하고 사용감을 향상시켜 수분 보유를 향상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고분자 히알루론산 구조체의 점도 (viscosit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5.0 x 105 내지 2.0 x 106 g/mol의 분자량 및 0.1 내지 0.5 %의 농도를 갖는 고분자 히알루론산의 구조체를 포함하는 용액의 점도는 1 내지 60 cP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분자 히알루론산의 구조체의 전구체인 고분자 히알루론산이 포함된 용액에 전단 응력 가하면, 히알루론산의 물리적 구조를 한 쌍의 나선 (twin helix) 구조에서 단일 고분자 사슬로 변형되어 점도를 낮추면서, 히알루론산의 고 분자량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히알루론산의 구조체를 포함하는 용액의 점도가 현저히 낮아진 이유는 상기 구조체의 전구체인 히알루론산이 포함된 용액에 전단 응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단일 고분자 사슬이 형성되고, 상기 단일 고분자 사슬 내에서 이온 회합체가 형성됨으로써, 고분자 사슬의 부피를 줄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고분자 히알루론산의 용액 내 부피가 감소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분자 히알루론산의 구조체와 상기 구조체의 전구체인 히알루론산의 분자량 및 농도가 동일한 경우, 상기 구조체를 포함하는 용액의 점도 (a) 및 상기 구조체의 전구체인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용액의 점도 (b)의 비인 a/b가 0.001 내지 0.30일 수 있다.
고분자 히알루론산 구조체의 접촉각 (contact ang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고분자 히알루론산의 구조체를 포함하는 용액의 접촉각은 친수성 유리 표면에서 20°내지 30°일 수 있고, 소수성 유리 표면에서 80°내지 100°일 수 있다.
상기 접촉각 측정 방법은 정적 접촉각을 측정하는 sessile drop 방법 및 동적 접촉각을 측정하는 tilting drop 방법, captive drop 방법, wilhelmy plate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sessile drop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친수성 유리 표면은 아무런 처리가 되지 않은 실리카 재질을 포함하는 유리 표면일 수 있다.
상기 소수성 유리 표면은 테플론 에멀전이 코팅된 재질을 포함하는 유리 표면일 수 있다.
고분자 히알루론산 구조체의 고유 점도 (intrinsic viscosity)
고유 점도는 고분자 용액의 점성 작용이 없는 경우의 고분자 단위 질량당의 부피를 의미한다.
상기 고유 점도의 측정 방법은 측정하고자 하는 수용액을 농도에 따라 측정하여 환원 점도를 계산하고, 이를 외삽하여 농도 0에서의 환원 점도를 읽으면, 고유 점도를 측정할 수 있다. 하기 식 4를 이용하여 고유 점도를 계산할 수 있다.
하기 식 2는 상대점도를 계산하기 위한 수식이고, 하기 식 3은 환원점도를 계산하기 위한 수식이다 (여기서, 은 용액의 점도, 은 용매의 점도, c는 용액의 농도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용액의 농도 (c)는 (w/v)의 단위를 사용하는데, 이는 ηred의 물리적 의미가 용액내에서 고분자의 단위 무게당의 부피가 되기 때문이다. 환원점도를 농도에 따라 그래프를 그리고,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이 농도가 0이 되는 점을 선형으로 외삽하여 얻은 절편이 고유 점도가 된다.
[식 2]
(여기서, 은 용액의 점도, 은 용매의 점도를 나타냄).
[식 3]
(여기서, 은 용액의 점도, 은 용매의 점도, c는 용액의 농도를 나타냄).
[식 4]
(여기서, re 는 상대점도, c는 용액의 농도를 나타냄).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히알루론산의 구조체가 포함된 용액의 고유 점도는 상기 식 2 내지 4에 근거하여 계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히알루론산의 구조체가 포함된 용액의 구체적인 고유 점도 측정값은 하기 실험예 8에 기재하였다.
고분자 히알루론산 구조체를 포함하는 점안 조성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분자 히알루론산의 구조체를 포함하는 점안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점안 조성물은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히알루론산의 구조체의 특징을 그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히알루론산의 구조체에 대한 설명은 상기 기재한 바와 동일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점안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완충제, 방부제, 장성(tonicity) 조절제, pH 조절제 등과 같은 다른 통상적인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점안 조성물의 pH는, 하한치로는 5.5가 바람직하고, 6이 보다 바람직하며, 6 초과가 더욱 바람직하고, 상한치로는 8이 바람직하며, 7.5가 보다 바람직하고, 7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pH의 범위이면, 점안 조성물에 있어서의 히알루론산 또는 그의 염을 안정화함과 더불어, 점안 조성물로서 저자극성으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점안 조성물은, 상기한 바람직한 pH 범위를 유지하기에 적합한 완충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완충제의 예로는, 중탄산염완충액, 아세트산염 완충액, 구연산염 완충액, 인산염 완충액, 붕산염 완충액 또는 트로메타민(TRIS, 2-아미노2-하이드록시메틸-1,3-프로페인다이올) 완충액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점안 조성물의 pH를 상기한 바람직한 범위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면, 완충제의 첨가량(농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점안 조성물은, 미생물 오염을 방지하기에 적합한 방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부제는 임의의 화합물 또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부제의 예로는, 과붕산염, 과탄산염 등과 같은 과염; 벤질 알코올, 클로로부탄올 등과 같은 알코올; 염화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브롬화 벤즈 알코늄, 폴리 쿼터늄과 같은 4차 암모늄염을 함유하는 방부제; 폴리헥사메틸렌 바이구아니딘(PHMB), 클로르헥시딘 등을 포함하는 구아니딘계 방부제; 티메로살, 아세트산 페닐제이수은 및 질산 페닐제이수은과 같은 수은 방부제;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 토금속 아염소산염과 같은 금속 아염화물; 소르브산 및 소르브산 칼륨 및 혼합물과 같은 안과용으로 허용가능한 염; 안정화된 옥시클로로 복합체(예를 들어, Purite® (Allergan, Inc.의 등록 상표))와 같은 산화 방부제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방부제의 양은 사용된 특정 방부제에 따라 상대적으로 넓은 범위로 변한다. 방부제가 점안 조성물에 첨가되지 않으면, 점안 조성물은 1회용 점안제로 사용될 수 있으며, 점안 조성물은 1회 투여로 소모된다. 그렇지 않으면, 점안 조성물은 예를 들어, 점안제를 분배하기 위해 용기의 노즐에 부착된 필터를 구비한 용기에 포함되거나 공기가 없는 도포 시스템 장치에 포함된 수회 사용형 점안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점안 조성물은, 점안제의 삼투압을 안구 내 삼투압과 유사하게 조절하여 점안시 삼투압 차이로 인한 자극과 통증을 없애는 역할을 하는 장성(tonicity) 조절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성 조절제의 예로는, 이온성 및/또는 비이온성 형태일 수 있다. 이온성 장성 조절제는, 예를 들어 다음 중 하나 이상인 알칼리 금속 또는 토금속 할로겐화물이다: 염화칼슘, 염화칼륨, 염화나트륨, 염화리튬, 브롬화칼륨, 브롬화나트륨, 요오드화나트륨, 인산나트륨, 인산칼륨, 황산나트륨 및 칼륨, 중탄산나트륨 및 칼륨 및 붕산. 비이온성 장성 조절제는, 예를 들어, 우레아, 글리세롤, 소르비톨, 만니톨, 프로필렌 글리콜, 덱스트로스 또는 이들의 조합이다. 글리세린, 염화나트륨 및 만니톨이 가장 바람직한 장성 조절제이다. 장성 조절제의 양은 등장성, 고장성 또는 저장성 액체가 요구되는지의 여부에 따라 변할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150-1500mOsm/kg, 바람직하게는 150-500mOsm/kg, 가장 바람직하게는 180-250mOsm/kg 범위의 삼투압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점안 조성물은, 상기한 바람직한 범위의 pH로 조정하기 위해서, pH 조절제를 더 함유하는 것이어도 좋다. pH 조절제로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점안 조성물의 pH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구체예로는, 묽은 염산, 수산화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점안 조성물의 pH를 상기한 바람직한 범위로 조정할 수 있는 것이면, pH 조절제의 첨가량(농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점안 조성물은 성분들을 수성 매질에 용해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탈이온수는 글리콜 및/또는 폴리올과 같은 소량의 다른 친수성 용매를 포함할 수 있는 바람직한 수성 매질이다.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성분의 용액을 제조한 다음 나머지 하나 이상의 성분을 첨가하거나, 각각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 두 개 이상의 개별 용액을 제조한 다음 이런 용액을 모두 함께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점안 조성물은 안구 건조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점안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점안 조성물을 함유하는 용기를 포함하는 키트를 제공한다. 상기 점안 조성물을 함유하는 용기는 환자의 안구에 상기 점안 조성물을 국소 투여하기 위해 적합한 분배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분배수단은 0.01 내지 0.10 ml의 용적의 액적(drop)이 드롭 방식(dropwise)으로 상기 점안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으나, 상기 용적으로 한정되지 않고, 통상적으로 안구에 적용되는 1 액적 당 부피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고분자 히알루론산의 구조체의 제조
[실시예 1]
분자량이 9.0 x 105 g/mol인 히알루론산 소듐염(sodium hyaluronate, 일본 시세이도사 제품) (0.5 g)을 매스 실린더에 넣고, 전체 부피가 100 ml가 되도록 증류수를 넣었다. 25 ℃에서, 용액이 균일해질 때까지 교반하여, 농도가 0.5%(w/v)인 히알루론산 소듐염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히알루론산 소듐염 수용액을 고압분산기(일신오토클레이브사의 NLM 100)의 주입구에 넣어 고압분산시키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안정화시킨 후, 고분자 히알루론산의 구조체를 포함한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히알루론산 소듐염 수용액을 고압분산기를 통한 고압분산을 2회 및 3회 반복하여 제조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고분자 히알루론산의 구조체를 포함한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분자량이 1.2 x 106 g/mol인 히알루론산 소듐염(sodium hyaluronate, 일본 시세이도사 제품) (0.5 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고분자 히알루론산의 구조체를 포함한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된 히알루론산 소듐염 수용액을 고압분산기를 통한 고압분산을 2회, 3회 및 4회 반복하여 제조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2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고분자 히알루론산의 구조체를 포함한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분자량이 9.0 x 105 g/mol인 히알루론산 소듐염(sodium hyaluronate, 일본 시세이도사 제품) (0.3 g)을 매스 실린더에 넣고, 전체 부피가 100 ml가 되도록 증류수를 넣었다. 25 ℃에서, 용액이 균일해질 때까지 교반하여, 농도가 0.3%(w/v)인 히알루론산 소듐염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히알루론산 소듐염 수용액은 초음파 균질기 (ultrasonic homogenizer, BANDELIN사의 HD4200, 독일)를 사용하여, 25 ℃에서 약 20분간 초음파를 인가하여, 고분자 히알루론산의 구조체를 포함한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인가된 초음파의 총 에너지는 시간에 따라 달라지고, 분당 약 1.5 kJ 내지 2.5 kJ의 에너지가 가해졌다.
[비교예 1]
분자량이 9.0 x 105 g/mol인 히알루론산 소듐염(sodium hyaluronate, 일본 시세이도사 제품) (0.5 g)을 매스 실린더에 넣고, 전체 부피가 100 ml가 되도록 증류수를 넣었다. 25 ℃에서, 용액이 균일해질 때까지 교반하여, 농도가 0.5%(w/v)인 히알루론산 소듐염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분자량이 1.2 x 106 g/mol인 히알루론산 소듐염(sodium hyaluronate, 일본 시세이도사 제품) (0.5 g)을 매스 실린더에 넣고, 전체 부피가 100 ml가 되도록 증류수를 넣었다. 25 ℃에서, 용액이 균일해질 때까지 교반하여, 농도가 0.5%(w/v)인 히알루론산 소듐염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및 2의 점도 비교
점도계 (Brookfield사의 DV2T viscometer)를 이용하여 25 ℃에서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및 2의 수용액의 점도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점도는 하기 표 1 및 표 2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2에서 고압분산기를 통한 고압분산을 2회 및 3회 반복하여 제조된 수용액을 각각 실시예 2-1 및 실시예 2-2로 나타내었다. 또한, 실시예 4에서 고압분산기를 통한 고압분산을 2회, 3회 및 4회 반복하여 제조된 수용액을 각각 실시예 4-1, 4-2 및 4-3으로 나타내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 실시예 2-1 실시예 2-2
점도 (cP) 670±55 22±3 10±1 10±0.9
비교예 2 실시예 3 실시예 4-1 실시예 4-2 실시예 4-3
점도 (cP) 1,150±90 31±2 15±2 10±1 10±0.8
상기 표 1의 결과에서, 실시예 1 및 2에서 제조된 고분자 히알루론산의 구조체를 포함하는 수용액의 점도가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상기 구조체의 전구체인 히알루론산 소듐염 용액의 점도보다 확연히 낮아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고압분산을 수차례 반복하여 가할수록 점도가 약 10cP까지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표 2의 결과에서, 실시예 3 및 4에서 제조된 고분자 히알루론산의 구조체를 포함하는 수용액의 점도가 비교예 2에서 제조된 상기 구조체의 전구체인 히알루론산 소듐염 용액의 점도보다 확연히 낮아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고압분산을 수차례 반복하여 가할수록 점도가 약 10 cP까지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전구체인 히알루론산 소듐염에 특정한 전단 응력을 가하면 히알루론산의 한 쌍의 나선 (twin helix) 구조가 단일 나선 (single helix) 구조로 변환되고, 상기 단일 고분자 사슬 내에서 이온 회합체 (ionic aggregate)가 형성된 고분자 히알루론산의 구조체가 제조됨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히알루론산의 구조체가 포함된 용액의 점도가 현저히 낮아진 이유는 상기 단일 고분자 사슬 내에서 이온 회합체가 형성됨으로써, 고분자 사슬의 부피를 줄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고분자 히알루론산의 용액 내 부피가 감소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고 분자량의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더라도 분자량의 변화 없이 점도가 낮아진 용액을 제조할 수 있다.
실험예 2: 초음파 인가 시간에 따른 점도 변화
상기 실시예 5에서 제조된 고분자 히알루론산의 구조체를 포함하는 수용액의 점도를 측정하였다. 이는 수용액에 초음파 인가 시간에 따른 점도 변화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초음파 인가 시간 (분) 점도 (cP) 초음파 인가 전후의 비율
0 163.1 1 (163.1/163.1)
1 32.99 0.20
2 17.47 0.11
3 11.65 0.07
4 8.91 0.05
5 7.43 0.05
6 6.34 0.04
7 5.68 0.03
8 5.13 0.03
9 4.76 0.03
10 4.36 0.03
12 3.65 0.02
14 3.35 0.02
16 3.1 0.02
상기 표 3의 결과에서, 실시예 5에서 전구체인 고분자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수용액에 초음파를 인가할 경우, 상기 초음파를 인가하는 시간이 늘어날수록 점도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초음파가 인가되기 시작하는 초반 시간인 1~2초 내에 점도가 빠르게 감소하였고, 10분 이후부터 점도가 약 3 cP로 수렴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초음파 인가 전후의 분자량 변화 측정
분자량이 1.2 x 106 g/mol인 히알루론산 소듐염 (0.02 g)을 메스 실린더에 넣고, 전체 부피가 20 mL가 되도록 0.9%(w/v) NaCl을 넣고 용해하여 히알루론산 소듐염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수용액을 0.8 mL 취하고, 0.1 M Na2SO4을 넣은 후, 전체 부피가 10mL가 되도록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 후, 상기 용액에 증류수를 넣어 농도를 2배 희석하여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분석시료를 제조하였다.
초음파 발생장치에 상기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 용액을 장입하고, 초음파를 인가하여, 고분자 히알루론산의 구조체를 포함한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한 수용액을 이용하여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측정을 위한 시료를 준비하였다.
상기 HPLC 분석 시료 및 GPC 측정 시료의 농도 및 분자량 분석을 위해, HPLC(e2695, waters) 및 GPC 컬럼(OHPak SB-802.5 HQ 8.0 x 300mm, 6um, Shodex)을 사용하였다. 무수 황산 나트륨 (sodium sulfate anhydrous(DAEJUNG)) 14.2 g을 정제수 1L에 용해하여 제조한 0.1 M 황산 나트륨 (Na2SO4) 수용액을 이동상으로 사용하였다. 컬럼온도를 40℃, 오븐온도를 25℃로 유지하고, 100%의 0.1 M 황산 나트륨 (Na2SO4)을 넣고, 유속 1.0 mL/min으로 오븐에서 1시간 동안 상기 시료를 안정화하였다. 그 후, 상기 시료를 실린지필터(PVDF, 0.2 μm, Ф 13 mm)로 필터 한 후 20 μL을 상기 GPC 컬럼에 주입하고, 16분 동안 UV 210 nm파장에서 분석하였다.
도 6에서, (a)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체의 전구체인 히알루론산 소듐염의 분자량을 나타낸 것이고, (b)는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히알루론산 구조체의 분자량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체의 전구체인 히알루론산의 분자량과,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히알루론산의 구조체의 분자량은 거의 변화없이 동일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점도 조절된 용액 제조
상기 실시예 5에서, 전구체인 히알루론산 소듐염 수용액을 초음파 균질기를 사용하여, 25 ℃에서 16분간 초음파를 인가하여 고분자 히알루론산의 구조체를 포함한 수용액 (a)를 제조하였다. 또한, 초음파를 인가 하지 않은 히알루론산 소듐염 수용액 (b)를 준비하여, 상기 수용액 (a)와 혼합한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수용액 (a) 및 수용액 (b)를 혼합한 용액의 점도를 비교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수용액 (a)의 비율 (%) 수용액 (b)의 비율 (%) 점도(cp)
100 0 2.5
99 1 3.2
96 4 3.7
90 10 5.3
0 100 165
상기 표 4의 결과에서,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히알루론산의 구조체를 포함한 수용액 (a)에 초음파 인가 처리가 되지 않은 수용액 (b)을 약 10% 내외로 혼합하면, 점도값이 3 내지 6 cP인 용액을 제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5: 점도 조절된 점안 조성물 제조
분자량이 1.0 x 106 g/mol인 히알루론산 소듐염(sodium hyaluronate, 일본 시세이도사 제품) (0.3 g)을 매스 실린더에 넣고, 전체 부피가 100 ml가 되도록 증류수를 넣었다. 25 ℃에서, 용액이 균일해질 때까지 교반하여, 농도가 0.3%(w/v)인 히알루론산 소듐염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농도가 0.3 (w/v)%인 히알루론산 소듐염 수용액은 상기 실시예 1 내지 5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여, 고분자 히알루론산의 구조체를 포함한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고분자 히알루론산의 구조체를 포함한 수용액에 첨가제를 추가하여, 하기 표 5와 같이 고분자 히알루론산의 구조체를 포함한 수용액을 함유하는 점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점안 조성물의 점도 및 삼투압을 측정하여 하기 표 5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실시예 11
주성분 분자량 (g/mol) 1.0 x 106 1.0 x 106 1.0 x 106 1.0 x 106 1.0 x 106 1.0 x 106
히알루론산 소듐염의 농도 0.3% 0.3% 0.3% 0.3% 0.3% 0.3%
고분자 HA의 구조체를 포함한 수용액의 점도 (cP) 59 54 50 43 8.3 8.6
부형제 PBS (1X) 10% - - - - -
NaCl - 0.80% 0.68% 0.70% - -
첨가제 - - - - 0.31% 0.29%
부형제 첨가 후 점도 24.1 27.3 22.0 24.7 2.5 2.7
삼투압 (mOsmol/kg) 319 268 275 300 276 284
상기 표 5에서, 부형제로는 인산완충생리식염수 (phosphate-buffered saline, PBS), 염화나트륨 (sodium chloride, NaCl) 및 첨가제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하였다. 상기 첨가제는 혼합물로서,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디나트륨염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disodium salt, EDTA-2Na) 0.01%, 아미노카프로산 (aminocaproic acid) 0.19%, 염화나트륨 (NaCl) 0.69%, 염화칼륨 (KCl) 0.15% 및 증류수를 포함하였다.
상기 표 5의 결과에서,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히알루론산의 구조체를 포함한 수용액에 다양한 부형제를 첨가함으로써, 1 내지 30 cP 범위의 점도를 갖는 점안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6: 실시예 1, 3, 5 및 비교예 1의 수용액의 수분 보유력 평가
실시예 1, 3, 5 및 비교예 1의 수용액의 수분 보유력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각 시료 1 g을 채취하여 10cc 바이알에 담아 놓고, 25 ℃에서 1시간 동안 방치하여 그 무게 변화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는 하기 표 6에 기재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 실시예 3 실시예 5
무게 감소 비율 (%) 8.85 7.8 7.6 7.5
상기 표 6의 결과에서, 고압분산기 또는 초음파 균질기를 이용하여 처리된 히알루론산 소듐염 수용액이 순수한 히알루론산 소듐염의 수용액 (비교예 1)과 대비하여 점도가 낮아졌음에도, 무게 변화가 적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히알루론산의 구조체를 포함하는 수용액이 점도가 낮고, 수분 보유력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수분 보유력을 증진하기 위하여 필요한 인공눈물 등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결과임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7: 실시예 1, 3, 5 및 비교예 1의 수용액의 접촉각 측정
상기 실시예 1, 3, 5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수용액에 대해서 접촉각을 측정해보았다. 접촉각은 친수성 유리 표면 및 소수성 유리 표면에서 각각 측정하였다. 측정된 접촉각은 하기 표 7에 기재되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 실시예 3 실시예 5
친수성 유리 표면에서의 접촉각 (°) 19 25 26 27
소수성 유리 표면에서의 접촉각 (°) 106 98 96 95
상기 표 7의 결과에서, 친수성 유리 표면에서는 실시예 1, 3 및 5에서 제조된 수용액의 접촉각이 비교예 1 보다 크고, 소수성 유리 표면에서는 실시예 1, 3 및 5에서 제조된 수용액의 접촉각이 비교예 1 보다 작으므로, 실시예 1, 3 및 5에서 제조된 수용액이 상대적으로 친유성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8: 고유 점도 실험
고유 점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측정하고자 하는 수용액을 농도에 따라서 측정하여 환원점도를 계산하고 이를 외삽하여 농도 0에서의 환원점도를 읽으면, 이것을 고유 점도라고 한다. 고유 점도의 의미는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용매 내에서 고분자 사슬끼리의 상호작용이 없는 경우에 고분자 단위 질량당 부피를 의미한다.
제조된 히알루론산 소듐염 수용액 0.5(w/v)%을 증류수를 이용하여 각각 0.3(w/v)%, 0.1(w/v)%, 0.05(w/v)%, 0.01(w/v)%, 0.005(w/v)%의 농도로 희석한다. Brookfield 점도계 DV2T viscometer를 이용하여 25 ℃에서의 점도를 측정하고, 이를 환원점도로 계산하고, 외삽하여 고유 점도를 구한다. 120만의 분자량을 지닌 히알루론산 소듐염의 경우에는 2.3 m3/kg의 고유 점도를 지니고, 90만의 분자량을 지닌 히알루론산 소듐염의 경우에는 1.8 m3/kg의 고유 점도를 가진다.
상기 실시예 5에서 제조된 90만의 분자량을 지닌 히알루론산 구조체를 포함하는 수용액은 약 0.8 m3/kg의 고유점도를 가지는 것으로 계산되었다.

Claims (12)

  1. 고분자 히알루론산 유래의 구조체로서,
    상기 구조체를 포함하는 용액의 점도가 1 내지 60 c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히알루론산의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알루론산의 분자량이 5.0 x 105 내지 2.0 x 106 g/mol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히알루론산의 구조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를 포함하는 용액이 0.01 %(w/v) 내지 0.5 %(w/v)의 히알루론산의 함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히알루론산의 구조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와, 상기 구조체의 전구체인 히알루론산의 분자량 및 농도가 동일한 경우,
    상기 구조체를 포함하는 용액의 점도 (a) 및 상기 구조체의 전구체인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용액의 점도 (b)의 비인 a/b가 0.001 내지 0.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히알루론산의 구조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를 포함하는 용액의 고유 점도가 0.1 내지 2.5 m3/k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히알루론산의 구조체.
  6. 제1항에 따른 고분자 히알루론산의 구조체를 포함하는, 점안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점안 조성물의 점도가 1.0 내지 30.0 c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안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점안 조성물은 부형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안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부형제는 완충제, 방부제, 장성(tonicity) 조절제 및 pH 조절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안 조성물.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안 조성물은 안구 건조증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것인, 점안 조성물.
  11.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점안 조성물을 함유하는 용기를 포함하는 키트로서,
    상기 용기는 점안 조성물의 국소 투여에 적합한 분배 수단을 포함하는, 키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수단은 0.01 내지 0.10 ml의 용적의 액적(drop)이 드롭 방식(dropwise)으로 상기 점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인, 키트.
KR1020220023811A 2022-02-23 2022-02-23 고분자 히알루론산의 구조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점안 조성물 KR2023012652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3811A KR20230126522A (ko) 2022-02-23 2022-02-23 고분자 히알루론산의 구조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점안 조성물
PCT/KR2023/002353 WO2023163462A1 (ko) 2022-02-23 2023-02-17 고분자 히알루론산의 구조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점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3811A KR20230126522A (ko) 2022-02-23 2022-02-23 고분자 히알루론산의 구조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점안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6522A true KR20230126522A (ko) 2023-08-30

Family

ID=87766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3811A KR20230126522A (ko) 2022-02-23 2022-02-23 고분자 히알루론산의 구조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점안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26522A (ko)
WO (1) WO2023163462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5377A (ko) 2019-08-02 2021-02-1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저점도 히알루론산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76865A1 (ja) * 2011-06-23 2012-12-27 参天製薬株式会社 ヒアルロン酸またはその塩およびプロピレングリコールを含有する点眼液
WO2016205068A1 (en) * 2015-06-18 2016-12-22 Presbyopia Therapies, LLC Storage stabl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refractive errors of the eye
JP6757464B2 (ja) * 2016-07-21 2020-09-16 ボストン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サイムド,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Boston Scientific Scimed,Inc. 注射用組成物
KR102268002B1 (ko) * 2018-12-26 2021-06-23 (주)휴온스 효과 지속성 점안제 조성물
KR102051356B1 (ko) * 2019-01-03 2019-12-03 (주)휴온스 고농도의 히알루론산 또는 그의 염을 함유하는 점안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5377A (ko) 2019-08-02 2021-02-1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저점도 히알루론산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63462A1 (ko) 2023-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83658A (en) Ophthalmic solution for treatment of dry-eye syndrome
CA2302232C (en) Ophthalmic composition including a cationic glycoside and an anionic therapeutic agent
US4744980A (en) Ophthalmic solution for treatment of dry eye syndrome
CA2403869C (en) Method for treating dry eye
Nanjawade et al. RETRACTED: In situ-forming hydrogels for sustained ophthalmic drug delivery
US8501822B2 (en) Ophthalmic composition containing alginic acid or salt thereof
JP2010065055A (ja) コンタクトレンズ装着または保存剤または寒天含有点眼剤
WO1993017664A1 (en) Combinations of cellulosic polymers and carboxy vinyl polymers and their use i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Rubenicia et al. Intraocular pressure reduction effect of 0.005% latanoprost eye drops in a hyaluronic acid-chitosan nanoparticle drug delivery system in albino rabbits
JP4850513B2 (ja) 点眼用組成物
JP2001501194A (ja) ゲル形成性医薬組成物
KR20230126522A (ko) 고분자 히알루론산의 구조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점안 조성물
CN1389213A (zh) 一种润眼液组合物及其应用
KR20080005825A (ko) 부작용이 경감된 점안용 조성물과 그의 제조 방법
JP2020063235A (ja) 点眼剤
KR20230140850A (ko) 저점도 점안 조성물의 제조방법
JP5250177B2 (ja) 点眼剤
JP4543887B2 (ja) 多糖類含有組成物および涙液層安定化点眼剤
KR20230031457A (ko) 저점도 점안 조성물
RU2340327C1 (ru) Офтальмологический гель и способ его приготовления
WO2000054747A2 (en) Method for treating dry eye
KR20230126461A (ko) 고분자 히알루론산의 구조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6687840A (zh) 一种用于治疗眼部病状的凝胶制剂及其制备方法
Ceulemans et al. Recent Advances on Bioadhesive Ocular Dosage Forms
JP2005247875A (ja) 点眼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