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5615A - 단층 촬영 기능을 가지는 구강 스캐너 및 이를 이용한 구강 구조물의 마모 또는 충전 검사 방법 - Google Patents

단층 촬영 기능을 가지는 구강 스캐너 및 이를 이용한 구강 구조물의 마모 또는 충전 검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5615A
KR20230125615A KR1020220022434A KR20220022434A KR20230125615A KR 20230125615 A KR20230125615 A KR 20230125615A KR 1020220022434 A KR1020220022434 A KR 1020220022434A KR 20220022434 A KR20220022434 A KR 20220022434A KR 20230125615 A KR20230125615 A KR 202301256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al
oral structure
cross
sectional
tomograph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2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효상
한수민
김지현
이규복
조호성
이원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비츠
주식회사 오스비스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비츠, 주식회사 오스비스,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비츠
Priority to KR1020220022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5615A/ko
Priority to EP23156572.2A priority patent/EP4230120A1/en
Priority to US18/172,035 priority patent/US20230263395A1/en
Priority to CN202310147013.0A priority patent/CN116616703A/zh
Publication of KR20230125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561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82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 A61B5/0088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for oral or dental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62Arrangements for scanning
    • A61B5/0066Optical coherence ima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3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by tomography, i.e. reconstruction of 3D images from 2D proj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5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by spectroscopy, i.e. measuring spectra, e.g. Raman spectroscopy, infrared absorption spectrosco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42Evaluating the mouth, e.g. the jaw
    • A61B5/4547Evaluating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42Evaluating the mouth, e.g. the jaw
    • A61B5/4552Evaluating soft tissue within the mouth, e.g. gums or tong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42Evaluating the mouth, e.g. the jaw
    • A61B5/4557Evaluating brux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46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 A61B5/684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mounted on an invasive device
    • A61B5/6848Need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 Endoscope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치아, 치아 충전재 등 구강 구조물의 마모 또는 충전 상태를 검사할 수 있는 단층 촬영 기능을 가지는 구강 스캐너 및 이를 이용한 구강 구조물의 마모 또는 충전 검사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단층 촬영 기능을 가지는 구강 스캐너는, 구강 구조물(T)로 단층 측정광을 투과시키고, 구강 구조물(T)의 표면 및 내부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을 검출하여, 구강 구조물(T)의 내부 단면 이미지를 얻는 OCT 본체(6); 상기 OCT 본체(6)에서 방출된 단층 측정광을 구강 구조물(T)로 조사하고, 구강 구조물(T)에서 반사된 반사광을 상기 OCT 본체(6)로 전달하는 OCT 스캔 프로브(8); 및 상기 OCT 본체(6)를 제어하여, 구강 구조물(T)의 표면을 따라 소정의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둘 이상의 위치에서 구강 구조물(T)을 단층 촬영하여, 둘 이상의 구강 구조물(T)의 2차원 단면 이미지를 얻고, 얻어진 각각의 2차원 단면 이미지에 대하여, 마모 또는 충전 영역을 추출하여, 마모 또는 충전 영역의 단면 위치 정보를 산출한 다음, 각각의 2차원 단면 이미지에서 얻은 마모 또는 충전 영역의 위치 정보를 각각의 2차원 단면 이미지가 얻어진 위치에 배치하여, 마모 또는 충전 영역의 3차원 형상 정보를 얻는 제어/처리부(48)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단층 촬영 기능을 가지는 구강 스캐너 및 이를 이용한 구강 구조물의 마모 또는 충전 검사 방법 {Intraoral scanner having tomographic imaging function and method for detecting abrasion or filling of oral structure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단층 촬영 기능을 가지는 구강 스캐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치아, 치아 충전재 등 구강 구조물의 마모 또는 충전 상태를 검사할 수 있는 단층 촬영 기능을 가지는 구강 스캐너 및 이를 이용한 구강 구조물의 마모 또는 충전 검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 병원 등에서는, 환자 구강 내부의 치아 또는 조직의 형상 및 구조를 검사하고, 이를 기초로 환자의 구강 상태를 진단한 다음, 보철물을 제작하거나, 치과 질환을 치료한다. 구강 내부의 치아, 조직 등의 구강 구조물을 검사하기 위하여, 구강 구조물로 측정광을 조사하고, 구강 구조물에서 반사되어 생성되는 반사광을 이미지 센서로 검출하여, 구강 구조물의 표면 형상 정보를 얻는 광학식 구강 스캐너가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강 스캐너의 경우, 구강 구조물의 표면 형상 정보를 얻을 수 있으나, 구강 구조물의 내부 상태를 검사할 수 없다. 한편, 구강 외부에서 구강 내부로 방사선을 조사하여, 구강 구조물의 2차원 또는 3차원 형상을 얻는 엑스레이(X-ray) 촬영, 컴퓨터 단층촬영(Computed Tomography: CT) 등의 방법도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이들 방법으로는 구강 구조물의 고해상도 3차원 형상 및 내부 구조 정보를 얻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치아의 에나멜(enamel), 상아질(dentine), 잇몸(gingiva) 등의 구강 구조물에 마모가 발생하거나, 이들에 발생한 균열부의 충전(filling)이 불충분할 경우, 이러한 마모 또는 불충분한 충전에 인해 구강 구조물의 손상이 가속화될 수 있으나, 종래의 방법으로는 이러한 마모 또는 불충분한 충전을 조기 발견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광학 스캐너와 광간섭 단층 촬영(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장치를 통합한 복합 장치를 이용하여 구강 구조물의 외부 형상 및 내부 단층 이미지를 얻는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20-0175365호 및 10-2021-0171392호 참조). 광간섭 단층 촬영(OCT)은 검사 대상물로 근적외선 영역의 파장을 가지는 측정광을 투과시키고, 검사 대상물의 표면 및 내부의 각 단층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을 빛의 가간섭 성질을 이용하여 검출하여, 검사 대상물의 표면 형상 및 내부 단층 이미지를 얻는 장치이다. 광간섭 단층 촬영(OCT)을 사용하면, 검사 대상물로 조사되는 측정광의 파장 정도, 예를 들면, 수 ㎛ 대의 고해상도로 검사 대상물의 표면 및 내부 단층 영상을 비침습적으로 얻을 수 있다.
[선행기술문헌]
1. 대한민국 특허등록 10-2088951호
2.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20-0175365호
3.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21-0171392호
본 발명의 목적은, 치아의 에나멜(enamel), 상아질(dentine), 잇몸(gingiva) 등 구강 구조물의 마모 또는 충전 상태를 검사할 수 있는 단층 촬영 기능을 가지는 구강 스캐너 및 구강 구조물의 마모 또는 충전 검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강 구조물을 3차원 스캔하여, 구강 구조물에 대한 다수의 2차원 단면 정보를 얻고, 이를 이용하여 구강 구조물의 마모 또는 충전 상태를 검사할 수 있는 단층 촬영 기능을 가지는 구강 스캐너 및 구강 구조물의 마모 또는 충전 검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강 구조물(T)로 단층 측정광을 투과시키고, 구강 구조물(T)의 표면 및 내부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을 검출하여, 구강 구조물(T)의 내부 단면 이미지를 얻는 OCT 본체(6); 상기 OCT 본체(6)에서 방출된 단층 측정광을 구강 구조물(T)로 조사하고, 구강 구조물(T)에서 반사된 반사광을 상기 OCT 본체(6)로 전달하는 OCT 스캔 프로브(8); 및 상기 OCT 본체(6)를 제어하여, 구강 구조물(T)의 표면을 따라 소정의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둘 이상의 위치에서 구강 구조물(T)을 단층 촬영하여, 둘 이상의 구강 구조물(T)의 2차원 단면 이미지를 얻고, 얻어진 각각의 2차원 단면 이미지에 대하여, 마모 또는 충전 영역을 추출하여, 마모 또는 충전 영역의 단면 위치 정보를 산출한 다음, 각각의 2차원 단면 이미지에서 얻은 마모 또는 충전 영역의 위치 정보를 각각의 2차원 단면 이미지가 얻어진 위치에 배치하여, 마모 또는 충전 영역의 3차원 형상 정보를 얻는 제어/처리부(48)를 포함하는 단층 촬영 기능을 가지는 구강 스캐너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강 구조물(T)의 표면을 따라 소정의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둘 이상의 위치에서 구강 구조물(T)을 단층 촬영하여, 둘 이상의 구강 구조물(T)의 2차원 단면 이미지(60a, 60b, 60c, 60d)를 얻는 단계; 얻어진 각각의 2차원 단면 이미지(60a, 60b, 60c, 60d)에 대하여, 각각의 마모(57) 또는 충전 영역을 추출하여, 마모(57) 또는 충전 영역의 단면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및 각각의 2차원 단면 이미지(60a, 60b, 60c, 60d)에서 얻은 마모(57) 또는 충전 영역의 위치 정보를 각각의 2차원 단면 이미지(60a, 60b, 60c, 60d)가 얻어진 위치(x1, x2, x3, x4)에 배치하여, 마모(57) 또는 충전 영역의 3차원 형상 정보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층 촬영 기능을 가지는 구강 스캐너를 이용한 구강 구조물의 마모 또는 충전 검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층 촬영 기능을 가지는 구강 스캐너 및 구강 구조물의 마모 또는 충전 검사 방법에 의하면, 치아의 에나멜(enamel), 상아질(dentine), 잇몸(gingiva) 등 구강 구조물을 3차원 스캔하여, 구강 구조물에 대한 다수의 2차원 단면 정보를 얻고, 이를 이용하여 구강 구조물의 마모 또는 충전 상태를 검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층 촬영 기능을 가지는 구강 스캐너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구강 스캐너에 적용될 수 있는 광간섭 단층 촬영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층 촬영 기능을 가지는 구강 스캐너를 이용하여 얻은 치아의 3차원 이미지(A) 및 단면(B) 사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층 촬영 기능을 가지는 구강 스캐너를 이용하여 얻은 치아의 단면 이미지의 일 예.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층 촬영 기능을 가지는 구강 스캐너를 이용하여 구강 구조물의 마모 또는 충전 상태를 검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층 촬영 기능을 가지는 구강 스캐너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층 촬영 기능을 가지는 구강 스캐너는 OCT(Optical Coherence Tomography) 본체(6), OCT 스캔 프로브(8, OCT scan probe) 및 제어/처리부(48, control/processing unit)을 포함하고, 필요에 따라, 형상 측정광 프로젝터(2), 형상 측정 카메라(14), 빔 스플리터(5, beam splitter)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OCT 본체(6)는 구강 구조물(T)로 단층 측정광(예를 들면, 근적외선광)을 투과시키고, 구강 구조물(T)의 표면 및 내부, 구체적으로는 각 단층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산란광)을 검출하여, 구강 구조물(T)의 내부 단면 이미지를 얻는 장치로서, 단층 측정광의 가간섭 성질을 이용하여 물체 내부의 단층 정보를 얻는다. 상기 단층 측정광은 짧은 가간섭 거리를 가지는 광대역 광(broadband low-coherence light)일 수 있고, 예를 들면 근적외선광, 구체적으로는, 파장 750 내지 1500 nm의 근적외선광일 수 있다. 상기 OCT 스캔 프로브(8)는 상기 OCT 본체(6)에서 방출된 단층 측정광을 구강 구조물(T)의 원하는 위치로 조사하고, 구강 구조물(T)에서 반사된 반사광을 상기 OCT 본체(6)로 전달하는 장치이다.
상기 제어/처리부(48)는 상기 OCT 본체(6)를 제어하고, 상기 OCT 본체(6)에서 얻어진 구강 구조물(T)의 내부 단면 이미지로부터 구강 구조물(T)의 마모 또는 충전 상태를 검출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처리부(48)는, 상기 OCT 본체(6)를 제어하여, 구강 구조물(T)의 표면을 따라 소정의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둘 이상의 위치에서 구강 구조물(T)을 단층 촬영하여, 둘 이상의 구강 구조물(T)의 2차원 단면 이미지를 얻고, 얻어진 각각의 2차원 단면 이미지에 대하여, 마모 또는 충전 영역을 추출하여, 마모 또는 충전 영역의 단면 위치 정보를 산출한 다음, 각각의 2차원 단면 이미지에서 얻은 마모 또는 충전 영역의 위치 정보를 각각의 2차원 단면 이미지가 얻어진 위치에 배치하여, 마모 또는 충전 영역의 3차원 형상 정보를 얻는다.
상기 형상 측정광 프로젝터(2)는 치아 등의 구강 구조물(T)의 형상 이미지를 얻기 위한 형상 측정광을 조사한다. 상기 형상 측정광으로는 구강 구조물(T)의 형상 이미지를 얻을 수 있는 측정광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가시광, 예를 들면 파장이 400 내지 700 nm인 가시광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형상 측정 카메라(4)는 상기 형상 측정광이 구강 구조물(T)의 표면에서 반사되어 형성된 반사광을 검출하여 구강 구조물(T)의 표면 형상 이미지를 얻는 장치로서, 통상의 이미지 센서를 포함한다. 동작에 있어서, 상기 형상 측정광 프로젝터(2)에서 형상 측정광이 출력되고, 출력된 형상 측정광은 빔 스플리터(5)을 통과한 후, 구강 구조물(T)을 조사하며, 구강 구조물(T)에서 반사된 반사광을 형상 측정 카메라(4)로 검출하여, 구강 구조물(T)의 표면 형상 이미지를 얻는다. 이때, 형상 측정 카메라(4)로 획득한 구강 구조물(T)의 2차원 이미지는 삼각 측량법 등을 이용하여 3차원의 이미지로 변환될 수 있다.
상기 빔 스플리터(5)는 상기 형상 측정광 프로젝터(2)에서 조사되는 형상 측정광과 상기 OCT 스캔 프로브(8)에서 조사되는 단층 측정광의 광 경로를 분리하는 장치로서, 상기 형상 측정광 프로젝터(2) 및 형상 측정 카메라(4)에 의해 형성되는 형상 획득 광학계와 상기 OCT 본체(6) 및 OCT 스캔 프로브(8)에 의해 형성되는 단층 획득 광학계를 분리한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빔 스플리터(5)는 상기 형상 측정광 프로젝터(2)에서 조사되는 형상 측정광은 투과시키고, 상기 OCT 스캔 프로브(6)에서 조사되는 단층 측정광은 반사시켜, 형상 측정광과 단층 측정광을 구강 구조물(T)로 조사하고, 각각의 반사광을 형상 획득 광학계, 구체적으로 형상 측정 카메라(4)와 단층 획득 광학계, 구체적으로 OCT 본체(6)로 분리하여 전달하는 색선별 미러(dichroic mirror)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강 스캐너에 적용될 수 있는 광간섭 단층 촬영 장치(OCT)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광간섭 단층 촬영 장치(OCT)는 광원(10, light source), 빔 스플리터(12, beam splitter), 기준 거울(20, reference mirror), 스캔부(30) 및 광검출기(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광원(10), 빔 스플리터(12), 기준 거울(20) 및 광검출기(40)는 도 1의 OCT 본체(6)를 형성하고, 상기 스캔부(30)는 도 1의 OCT 스캔 프로브(8)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광원(10)은 구강 구조물(T)로 조사되는 단층 측정광(L)을 발생시킨다. 상기 빔 스플리터(12)는 단층 측정광(L)을 기준광(R) 및 샘플 측정광(L1)으로 분할하여, 기준광(R)을 기준 거울(20)로 조사하고, 샘플 측정광(L1)을 구강 구조물(T)로 조사한다. 상기 빔 스플리터(12)는 예를 들면 측정광(L)을 50: 50의 강도를 가지는 기준광(R) 및 샘플 측정광(L1)으로 분할할 수 있다. 상기 빔 스플리터(12)는 후술하는 기준 반사광(R1) 및 신호 반사광(S)을 중첩시키는 역할도 수행하므로 광 커플러(coupler)라고도 한다. 상기 스캔부(30)는 샘플 측정광(L1)을 반사하여 대물 렌즈(32)를 통해 구강 구조물(T)로 샘플 측정광(L1)을 유도한다. 상기 스캔부(30)로는 샘플 측정광(L1)의 반사 각도를 조절하여 구강 구조물(T)의 촬영 위치를 순차적으로 스캔할 수 있는 MEMS 미러(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mirror)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MEMS 미러는 2개의 축(예를 들면, 직교 관계에 있는 x축 및 y축, 도 3 참조)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구강 구조물(T)이 위치하는 평면(x-y 평면)을 순차적으로 스캔하도록 한다. 샘플 측정광(L1)은 상기 평면에 수직 방향(z축 방향, x축 및 y축에 직교함, 도 3 참조)으로 구강 구조물(T)의 내부로 조사되어, 구강 구조물(T)의 3차원 단층 영상이 얻어진다.
상기 샘플 측정광(L1)이 구강 구조물(T)로 조사되면, 구강 구조물(T)의 표면 및 내부에서 샘플 측정광(L1)이 반사 및 산란되어, 신호 반사광(S)이 생성된다. 한편, 상기 기준광(R)은 기준 거울(20)에서 반사되어 기준 반사광(R1)을 생성한다. 생성된 신호 반사광(S)은 대물 렌즈(32)를 통해 스캔부(30)로 유도되며, 스캔부(30)는 신호 반사광(S)을 빔 스플리터(12)로 유도한다. 상기 신호 반사광(S) 및 기준 반사광(R1)은 빔 스플리터(12)에서 중첩되어 간섭광(interference light, I)을 생성한다. 상기 광검출기(40)는 간섭광(I)을 검출하여, 구강 구조물(T)의 표면 및 내부 영상 신호를 얻는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광간섭 단층 촬영 장치는, 필요에 따라, 샘플 측정광(L1), 기준광(R), 간섭광(I) 등의 다양한 광을 집속, 반사, 전달 또는 검출하기 위하여, 콜리메이터(22, 34, 42, collimator), 렌즈(24, 32, 44), 그래팅(46, grating), 측정광(L1)을 구강 구조물(T)의 원하는 촬영 위치로 전달하고, 구강 구조물(T)에서 반사된 반사광(S)을 스캔부(30)로 전달하는 프로브 팁(38, probe tip) 등의 광학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MEMS 스캐너(30)로 소형화된 프로브(38)를 이용하면, 구강 내 치아를 용이하게 3차원 스캔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층 촬영 기능을 가지는 구강 스캐너를 이용하여 얻은 치아의 3차원 이미지(A) 및 단면(B) 사진이다. 도 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층 촬영 기능을 가지는 구강 스캐너를 사용하면, 구강 구조물(T), 즉, 치아(50)가 위치하는 평면(x-y 평면)에서, 일정 방향, 예를 들면 x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치아(50)가 위치하는 평면(x-y 평면) 전체를 스캔할 수 있다. 또한, 단층 촬영 기능을 이용하여, 도 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x 위치에서, 치아(50)의 단면 이미지(y-z 평면 이미지, 도 3의 A의 a-a선 단면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도 3의 B에 도시된 2차원 단면 이미지로부터, 치아(50)의 에나멜(52, enamel), 상아질(54, dentine), 및 잇몸(56, gingiva)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에나멜(52) 등에 발생한 균열부에 충전재로서 측정광을 투과시키는 레진(resin)이 충전된 경우, 충전재가 채워진 폭과 깊이도 확인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층 촬영 기능을 가지는 구강 스캐너를 이용하여 얻은 치아의 단면 이미지의 일 예로서, 치아(50)에 마모 영역(57)이 형성된 치아 단면 이미지(도 4의 A, y-z 평면 이미지) 및 치아(50)에 마모 영역(57)에 레진(58)이 충전된 치아 단면 이미지(도 4의 B, y-z 평면 이미지)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단층 촬영 기능을 가지는 구강 스캐너를 이용하여 얻은 구강 구조물(T)의 단면 이미지로부터, 구강 구조물(T)의 마모 또는 충전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구강 구조물(T)의 단면 이미지로부터, 육안으로 확인이 어려운 치아(50) 내부의 마모(57) 상태, 에나멜(52)의 마모에 의한 상아질(54, dentine)의 노출 여부, 충전재(58, 아말감, 레진 등)의 충전 상태(깊이, 범위, 내적 등)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강 구조물의 마모 또는 충전 상태 검사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라, 구강 구조물의 마모 또는 충전 상태를 검사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강 구조물(T, 예를 들면, 치아(50))의 표면을 따라 소정의 방향(예를 들면, 도 5의 x 방향, x1, x2, x3, x4)으로 진행하면서, 둘 이상의 위치에서 구강 구조물(T)을 단층 촬영하여, 둘 이상의 구강 구조물(T)의 2차원 단면 이미지(60a, 60b, 60c, 60d, y-z 평면 이미지)를 얻는다. 여기서, 얻어지는 2차원 단면 이미지(60a, 60b, 60c, 60d)의 개수가 너무 작으면, 마모 또는 충전 영역의 위치 정보가 적어지므로, 마모 또는 충전 영역의 3차원 형상 정보의 정확성이 저하되며, 얻어지는 2차원 단면 이미지(60a, 60b, 60c, 60d)의 개수가 많을수록, 마모 또는 충전 영역의 3차원 형상 정보의 정확성은 좋아지지만, 마모 또는 충전 영역의 3차원 형상 정보를 얻기 위한 연산 부담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얻어지는 2차원 단면 이미지(60a, 60b, 60c, 60d)의 개수는 필요한 3차원 형상 정보의 정확성을 확보하면서, 연산 부담을 감소시키도록 적절히 설정될 수 있고, 예를 들면, 4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0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0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100 개일 수 있다. 이와 같이, 2차원 단면 이미지를 처리하여, 3차원 형상 정보를 추출할 경우, 2차원 단면 이미지를 얻으면서 실시간으로 2차원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3차원 스캔이 끝났을 때, 3차원 형상 정보를 신속히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얻어진 각각의 2차원 단면 이미지(60a, 60b, 60c, 60d)에 대하여, 각각의 마모(57) 또는 충전 영역을 추출하여, 마모(57) 또는 충전 영역의 단면 위치 정보, 예를 들면, 마모(57) 또는 충전 영역의 깊이(depth), 범위(x-range), 폭(width) 등의 정보를 산출한다. 이와 같이 얻어진 마모(57) 또는 충전 영역의 위치 정보는 구강 구조물(T)의 각각의 단면 위치, 즉, 각각의 x 위치(x1, x2, x3, x4)에서 얻어진 마모(57) 또는 충전 영역의 단면, 즉, y-z 평면 상의 위치 정보에 해당한다. 다음으로,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2차원 단면 이미지(60a, 60b, 60c, 60d)에서 얻은 마모(57) 또는 충전 영역의 위치 정보를 각각의 x 위치(x1, x2, x3, x4)에 배치하여, 마모(57) 또는 충전 영역의 3차원 형상 정보(3D Volume data)를 얻는다. 이와 같이, 마모(57) 또는 충전 영역의 3차원 형상 정보(3D Volume data)를 얻으면, 마모(57) 또는 충전 영역의 최대 깊이, 폭, 범위(형성 위치) 등을 알 수 있으므로, 치아, 치아(50) 등의 구강 구조물에 형성된 마모(57) 또는 충전 영역을 검사하고 평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강 구조물(T)은 치아(50), 치아(50)의 에나멜(52, enamel), 상아질(54, dentine), 잇몸(56, gingiva)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 첨부된 도면과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도면에 도시된 내용 및 상술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 청구항에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 부호를 표기하였으나, 하기 청구항의 범위는 도면 부호 및 도면에 도시된 내용에 한정되지 않고, 예시적인 실시예의 변형들, 등가의 구성들 및 기능들을 모두 포괄하도록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구강 구조물(T)로 단층 측정광을 투과시키고, 구강 구조물(T)의 표면 및 내부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을 검출하여, 구강 구조물(T)의 내부 단면 이미지를 얻는 OCT 본체(6);
    상기 OCT 본체(6)에서 방출된 단층 측정광을 구강 구조물(T)로 조사하고, 구강 구조물(T)에서 반사된 반사광을 상기 OCT 본체(6)로 전달하는 OCT 스캔 프로브(8); 및
    상기 OCT 본체(6)를 제어하여, 구강 구조물(T)의 표면을 따라 소정의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둘 이상의 위치에서 구강 구조물(T)을 단층 촬영하여, 둘 이상의 구강 구조물(T)의 2차원 단면 이미지를 얻고, 얻어진 각각의 2차원 단면 이미지에 대하여, 마모 또는 충전 영역을 추출하여, 마모 또는 충전 영역의 단면 위치 정보를 산출한 다음, 각각의 2차원 단면 이미지에서 얻은 마모 또는 충전 영역의 위치 정보를 각각의 2차원 단면 이미지가 얻어진 위치에 배치하여, 마모 또는 충전 영역의 3차원 형상 정보를 얻는 제어/처리부(48)를 포함하는 단층 촬영 기능을 가지는 구강 스캐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구조물(T)의 형상 이미지를 얻기 위한 형상 측정광을 조사하는 형상 측정광 프로젝터(2); 및
    상기 형상 측정광이 구강 구조물(T)의 표면에서 반사되어 형성된 반사광을 검출하여 구강 구조물(T)의 표면 형상 이미지를 얻는 형상 측정 카메라(4)를 더욱 포함하는 것인, 단층 촬영 기능을 가지는 구강 스캐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 측정광 프로젝터(2)에서 조사되는 형상 측정광과 상기 OCT 스캔 프로브(8)에서 조사되는 단층 측정광의 광 경로를 분리하는 빔 스플리터(5)를 더욱 포함하는 것인, 단층 촬영 기능을 가지는 구강 스캐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구조물(T)은 치아(50), 치아(50)의 에나멜(52), 상아질(54) 및 잇몸(56)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단층 촬영 기능을 가지는 구강 스캐너.
  5. 구강 구조물(T)의 표면을 따라 소정의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둘 이상의 위치에서 구강 구조물(T)을 단층 촬영하여, 둘 이상의 구강 구조물(T)의 2차원 단면 이미지(60a, 60b, 60c, 60d)를 얻는 단계;
    얻어진 각각의 2차원 단면 이미지(60a, 60b, 60c, 60d)에 대하여, 각각의 마모(57) 또는 충전 영역을 추출하여, 마모(57) 또는 충전 영역의 단면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및
    각각의 2차원 단면 이미지(60a, 60b, 60c, 60d)에서 얻은 마모(57) 또는 충전 영역의 위치 정보를 각각의 2차원 단면 이미지(60a, 60b, 60c, 60d)가 얻어진 위치(x1, x2, x3, x4)에 배치하여, 마모(57) 또는 충전 영역의 3차원 형상 정보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층 촬영 기능을 가지는 구강 스캐너를 이용한 구강 구조물의 마모 또는 충전 검사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모 또는 충전 영역의 단면 위치 정보가 산출되는 구강 구조물(T)의 2차원 단면 이미지의 개수는 5 내지 200개인 것인, 구강 구조물의 마모 또는 충전 검사 방법.
KR1020220022434A 2022-02-21 2022-02-21 단층 촬영 기능을 가지는 구강 스캐너 및 이를 이용한 구강 구조물의 마모 또는 충전 검사 방법 KR20230125615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2434A KR20230125615A (ko) 2022-02-21 2022-02-21 단층 촬영 기능을 가지는 구강 스캐너 및 이를 이용한 구강 구조물의 마모 또는 충전 검사 방법
EP23156572.2A EP4230120A1 (en) 2022-02-21 2023-02-14 Intraoral scanner having tomographic imaging function and method for detecting abrasion or filling of oral structures using the same
US18/172,035 US20230263395A1 (en) 2022-02-21 2023-02-21 Intraoral scanner having tomographic imaging function and method for detecting abrasion or filling of oral structures using the same
CN202310147013.0A CN116616703A (zh) 2022-02-21 2023-02-21 具有断层摄影功能的口腔扫描仪及利用其的口腔结构物的磨损或填充检查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2434A KR20230125615A (ko) 2022-02-21 2022-02-21 단층 촬영 기능을 가지는 구강 스캐너 및 이를 이용한 구강 구조물의 마모 또는 충전 검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5615A true KR20230125615A (ko) 2023-08-29

Family

ID=85239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2434A KR20230125615A (ko) 2022-02-21 2022-02-21 단층 촬영 기능을 가지는 구강 스캐너 및 이를 이용한 구강 구조물의 마모 또는 충전 검사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263395A1 (ko)
EP (1) EP4230120A1 (ko)
KR (1) KR20230125615A (ko)
CN (1) CN116616703A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2006003228B4 (de) * 2005-11-22 2019-01-17 Shofu Inc. Zahnmedizinischer optischer Kohärenztomograph
US8345257B2 (en) * 2009-04-20 2013-01-01 D4D Technologies, Llc Swept source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method and system
KR102088951B1 (ko) 2018-04-13 2020-04-23 탈렌티스 주식회사 치아 우식을 검사하기 위한 광 프로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616703A (zh) 2023-08-22
EP4230120A1 (en) 2023-08-23
US20230263395A1 (en) 2023-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60869B2 (en) Chromatic confocal system
JP6661221B2 (ja) 3d輪郭データ収集及びう蝕検出のシステム、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642114B2 (ja) 歯科用光計測装置及び歯科用光計測診断器具
JP5930531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JP2016534334A (ja) カラー画像を生成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JP2008504049A (ja) 光断層映像法による画像化
EP2866644A1 (en) 3d intraoral scanner measuring fluorescence
Park et al. Comparisons of the diagnostic accuracies of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micro-computed tomography, and histology in periodontal disease: an ex vivo study
KR101615370B1 (ko) 치아 법랑질의 부피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37544B1 (ko) 치과용 3차원 표면영상 생성 장치 및 방법
US20240081960A1 (en) Method for sub-gingival intraoral scanning
JP2009131313A (ja) 光断層画像表示方法
KR102458985B1 (ko) 단층 촬영 융합형 구강 스캐너
KR20230125615A (ko) 단층 촬영 기능을 가지는 구강 스캐너 및 이를 이용한 구강 구조물의 마모 또는 충전 검사 방법
EP4230119A1 (en) Intraoral scanner having tomographic imaging function and method for detecting cracks in oral structures using the same
US20230172454A1 (en) Intraoral scanner having tomographic imaging function and method for tomographic imaging of oral cavity using the same
KR102660179B1 (ko) 광간섭 단층 촬영 장치 및 카메라의 캘리브레이션 방법
WO2023276766A1 (ja) 光干渉断層画像生成装置および歯科用cadcam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