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4435A - 의치용 치과 임플란트 시스템 - Google Patents

의치용 치과 임플란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4435A
KR20230124435A KR1020220021785A KR20220021785A KR20230124435A KR 20230124435 A KR20230124435 A KR 20230124435A KR 1020220021785 A KR1020220021785 A KR 1020220021785A KR 20220021785 A KR20220021785 A KR 20220021785A KR 20230124435 A KR20230124435 A KR 202301244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utment structure
crown
implant system
inclined surface
dental im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1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영구
김진태
박정호
조영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Priority to KR1020220021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4435A/ko
Priority to PCT/IB2023/051410 priority patent/WO2023156929A1/ko
Publication of KR20230124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44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8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70Tooth crowns; Making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6Tooth repli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6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diverging in the apical direction of the implant or abu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7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elas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2Catch or snap type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tapered or conical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74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external threa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의치용 치과 임플란트 시스템은 상부가 개방된 내부 공간을 제공하는 어버트먼트 구조를 포함하는 식립된 몸체 및 어버트먼트 구조와 보철물 사이에 개재되어 보철물을 어버트먼트 구조에 고정하는 크라운 매개체를 포함하며, 크라운 매개체는 어버트먼트 구조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 및 수용 공간의 천장에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어버트먼트 구조의 내부 공간으로 진입하며 어버트먼트 구조에 고정 단부가 1차 고정되는 거리 고정부를 포함하고, 크라운 매개체는 어버트먼트 구조에 대해서 1차 고정된 상태에서 2차로 접근 및 자동 복귀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의치용 치과 임플란트 시스템{DENTAL IMPLANT SYSTEM FOR DENTURE}
본 발명은 의치용 치과 임플란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의치(denture), 치과 보철물 등을 구강에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의치용 치과 임플란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치과 임플란트 시스템은 치조골에 식립되는 픽스츄어, 픽스츄어에 고정되는 어버트먼트 및 어버트먼트 구조에 접합되는 보철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보철물은 인공치아로서 치과용 시멘트 등의 접착제에 의해서 어버트먼트 구조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의치(denture)는 이러한 임플란트 시스템 상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보철물로서, 사용자는 음식을 섭취하거나 일상생활을 유지하면서 잇몸에 착용하였다가 수면을 하거나 세척을 하기 위해서 잇몸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러한 의치는 잇몸에 정확히 장착되지 않으면 잇몸의 통증을 일으킬 수 있으며, 보관 또는 사용 중에도 의치의 형태나 결합이 변형되면서 그 기능이 저하되거나 사용자에게 손상 또는 불편함을 제공할 수가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관하기 위해 다양한 의치용 보철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가장 일반적인 구조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2107991호, 한국등록특허 제10-1386560호, 일본등록특허 제5127834호와 같이 볼타입 조인트를 이용한 보철 구조가 있다. 볼타입 조인트를 이용한 보철 구조는 구 형태의 헤드를 포함하며, 헤드 수용부가 헤드를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볼타입 조인트는 보철물과 연결된 크라운이 픽스츄어나 어버트먼트의 축과 일치하지 않아도 크라운이 기울어진 상태에서 결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크라운은 픽스츄어나 어버트먼트에 고정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결합된 이후로는 크라운을 통과한 충격이 완충 없이 픽스츄어나 어버트먼트에 바로 전달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크라운과 볼타입 조인트의 결합 부분이 외부로 가깝게 노출되어 그 사이로 이물질 유입이 용이하다는 단점도 있다.
이와 유사하게,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71489호와 같이 볼타입 조인트를 양측으로 구현한 보철 구조도 있다. 상기 보철 구조는 각도 조절 및 위치 조절이 자유로워 의치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고 한다. 하지만, 크라운이 픽스츄어 등에 고정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볼 조인트가 보철물의 충격을 그대로 픽스츄어에 전달하여 사용에 따른 변형이나 손상을 제공할 수 있다.
볼타입 조인트를 이용한 것 외에도, 한국등록특허 제10-1111176호, 한국등록특허 제10-1829911호와 같이 연질의 실리콘 부재를 이용한 보철 구조도 있다. 보철물과 연결되는 크라운과 픽스츄어 사이에 연질의 중간부재를 사이에 개재하고, 중간부재의 탄성 변형을 이용하여 픽스츄어와 보철물 간의 상호 움직임을 완충할 수 있다. 실리콘, 고무, 수지 등의 중간부재를 이용하기 때문에 보철물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나 분산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볼타입 조인트와 다르지만,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저작에 의해서 중간부재가 손상될 수 있으며, 중간부재가 외부로 가깝게 노출되어 그 사이로 이물질 유입이 용이하다는 단점은 아직 해결되지 않았다. 또한, 보철물의 결합을 탄성 재질의 변형에 의지하기 때문에 그 자체만으로는 결합력이 떨어진다는 단점도 있다.
본 발명은 픽스츄어나 어버트먼트의 중심축과 크라운의 중심축이 어느 정도 일치하지 않아도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결합된 이후에는 픽스츄어나 어버트먼트에 대한 크라운의 상하 움직임을 제한적으로 허용하지만 자유로운 회전은 억제하는 의치용 치과 임플란트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보철물의 충격이 픽스츄어나 어버트먼트에 그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크라운과 어버트먼트 등이 결합된 부위가 외부로 바로 노출되지 않거나 어버트먼트 구조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의치용 치과 임플란트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수명이 짧고 일정 기간이 경과하면 부스러기가 발생하는 실리콘이나 고무재질의 실링 또는 패킹의 사용을 최소로 하고, 수명이 길고 관리가 용이한 금속재질의 의치용 치과 임플란트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여 초소형으로 제작이 가능한 의치용 치과 임플란트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의치용 치과 임플란트 시스템은 상부가 개방된 내부 공간을 제공하는 어버트먼트 구조를 포함하는 식립된 몸체 및 어버트먼트 구조와 보철물 사이에 개재되어 보철물을 어버트먼트 구조에 고정하는 크라운 매개체를 포함하며, 크라운 매개체는 어버트먼트 구조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 및 수용 공간의 천장에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어버트먼트 구조의 내부 공간으로 진입하며 어버트먼트 구조에 고정 단부가 1차 고정되는 거리 고정부를 포함하고, 크라운 매개체는 어버트먼트 구조에 대해서 1차 고정된 상태에서 2차로 접근 및 자동 복귀가 가능하다.
거리 고정부를 이용하여 어버트먼트 구조와 크라운 매개체 사이에 이격된 거리를 형성하고, 거리 고정부의 탄성을 이용하여 크라운 매개체와 보철물이 1차 고정 위치에서 2차 접근 및 자동 복귀의 왕복 운동을 가능하게 하여 완충 및 충격 분산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거리 고정부의 고정 단부는 1차 고정된 상태에서 어버트먼트 구조와 정점(peak point)에 접하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정점을 중심으로 고정 단부에 상부 경사면 및 하부 경사면을 형성하여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일시적으로 상대적 접근 및 자동 복귀가 가능할 수 있다.
거리 고정부의 고정 단부는 1차 고정된 상태에서 어버트먼트 구조와 정점에서 접하며, 1차 고정 상태에서 정점에서부터 어버트먼트 구조의 상면까지의 제1 거리(d1)는 같은 정점에서부터 수용 공간의 천장까지의 제2 거리(d2)보다 짧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제1 거리(d1)와 제2 거리(d2)의 차이는 약 0.05~0.2mm를 형성할 수 있다.
어버트먼트 구조는 뿔대 형상의 외부 경사면을 제공할 수 있으며, 크라운 매개체의 수용 공간은 외부 경사면으로부터 이격된 제1 이격 경사면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이격 경사면 역시 뿔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대략 외부 경사면과 약 0.05~0.2mm 정도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뿔대는 원뿔대(truncated cone) 또는 각뿔대(truncated pyramid) 형상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어버트먼트 구조의 내부 공간에도 역뿔대 형상의 내부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거리 고정부는 탄성 레그가 형성된 중공 형상으로 제공되며, 고정 단부는 탄성 레그의 외면에 형성되고, 크라운 매개체와 보철물이 어버트먼트 구조에 접근하면서 탄성 레그는 내부 경사면을 따라 부분적으로 변형하면서 진입할 수 있다. 여기서 탄성 레그의 고정 단부는 돌기 또는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식립된 몸체는 하나의 몸체 또는 2개 이상의 몸체를 결합하여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픽스츄어 및 픽스츄어의 상부에 고정되어 어버트먼트 구조를 제공하는 덴처 캡을 포함할 수 있으며, 덴처 캡은 주변의 티슈가 임플란트 시스템으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기존의 임플란트와 호환되어 의치용 크라운 매개체가 장착되도록 어댑터 기능을 할 수도 있다.
어버트먼트 구조는 뿔대 형상의 외부 경사면, 외부 경사면의 상단에 제공되는 크라운 지지면 및 크라운 지지면의 내측에서 역뿔대 형상의 내부 경사면을 제공할 수 있으며, 거리 고정부의 고정 단부는 어버트먼트 구조의 내부 공간의 하부에서 1차 고정되며, 어버트먼트 구조와 고정 단부가 결합되는 부분은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외부에서부터 외부 경사면의 크라운 지지면 간의 제1 경계 및 크라운 지지면과 내부 경사면 간의 제2 경계를 포함한 2개 이상의 절곡된 경계에 의해서 보호될 수 있다.
2개 이상의 식립된 몸체에 대응하는 2개 이상의 크라운 매개체가 하나의 보철물에 고정될 수 있다.
어버트먼트 구조의 중심축에 대한 외부 경사면의 각도 및 내부 경사면의 각도는 약 4도 이상 형성할 수 있다. 외부 및 내부 경사면의 각도는 방향이 반대이지만 양수로 이해될 수 있으며, 그 각도가 4도보다 작으면 보철물과 어버트먼트가 거의 축방향으로만 결합되어야 하기 때문에 시스템의 난이도가 과도하게 증가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경사면의 각도는 어버트먼트 구조의 중심축을 통과하는 단면을 기준으로 하며, 상하 무관하게 중심축에 대한 예각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치용 치과 임플란트 시스템은 픽스츄어나 어버트먼트의 중심축과 크라운의 중심축이 어느 정도 일치하지 않아도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결합된 이후에는 픽스츄어나 어버트먼트 구조에 대한 크라운의 상하 움직임을 제한적으로 허용하지만 자유로운 회전은 억제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본 발명의 의치용 치과 임플란트 시스템은 어버트먼트 구조와 크라운 매개체가 1차 고정 상태에서 바로 접하지 않고, 약 0.05~0.2mm 정도 이격되어 있으며, 보철물의 충격이 픽스츄어나 어버트먼트에 그대로 전달되지 않고 2차 로 접근 및 자동 복귀하여 완충 및 분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치용 치과 임플란트 시스템은 크라운 매개체와 어버트먼트 구조의 결합된 부위가 외부로 바로 노출되지 않고 내부 공간의 하부에 위치하여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치용 치과 임플란트 시스템은 수명이 짧고 일정 기간이 경과하면 부스러기가 발생하는 실리콘이나 고무재질의 실링 또는 패킹의 사용을 최소로 하고, 수명이 길고 관리가 용이한 금속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임플란트 시스템의 구조가 간단하여 초소형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치용 치과 임플란트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의치용 치과 임플란트 시스템의 단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의치용 치과 임플란트 시스템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거리 고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의치용 치과 임플란트 시스템의 1차 고정 상태, 2차 접근 및 자동 복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의치용 치과 임플란트 시스템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치용 치과 임플란트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이러한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치용 치과 임플란트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의치용 치과 임플란트 시스템의 단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의치용 치과 임플란트 시스템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거리 고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의치용 치과 임플란트 시스템의 1차 고정 상태, 2차 접근 및 자동 복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의치용 치과 임플란트 시스템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치용 치과 임플란트 시스템은 치조골 등에 식립되는 식립된 몸체(110) 및 식립된 몸체(11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크라운 매개체(140)를 포함할 수 있다. 크라운 매개체(140)에는 보철물(20)이 결합될 수 있으며, 보철물(20)은 크라운 매개체(140)를 이용하여 식립된 몸체(110)에 고정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도면에는 보철물(20)에 하나의 임플란트 시스템이 결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보철물(20)의 다른 위치에 동일 또는 유사한 임플란트 시스템이 결합될 수 있다.
식립된 몸체(110)는 어버트먼트 구조(120)와 일체로 결합될 수 있으며, 어버트먼트 구조(120)의 상부로 뿔대 형상의 외부 경사면(122)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식립된 몸체(110)는 픽스츄어 및 인터널 방식의 어버트먼트가 결합된 구조로 제공되지만, 이 외에도 픽스츄어와 어버트먼트가 일체로 제공될 수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덴처 캡(220)이나 기타 어댑터 등을 더 포함하여 제공될 수도 있다.
식립된 몸체(110), 어버트먼트 구조(120), 크라운 매개체(140) 등은 티타늄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보철물(20)은 복합 레진이나 세라믹 등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어버트먼트 구조(120)는 인터널 방식으로 식립된 몸체(110)와 결합될 수 있으며, 아래를 향해 테이퍼진 몸체를 중심으로 상부로는 크라운 매개체(140)가 결합될 수 있고, 하부로는 수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식립된 몸체(110)는 치조골에 식립되기 때문에 환자의 신체 조건이나 수술 조건에 따라 다양한 변수에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식립된 이후에도 안정화되는 과정에서도 그 식립된 위치나 각도 등이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합력에 의해 픽스츄어의 골유착의 조건이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어버트먼트 구조(120)가 별도로 제공될 수 있으며, 식립된 몸체(110)가 식립된 이후에 어버트먼트 구조(120)가 식립된 몸체(110)에 나사 결합으로 고정될 수 있다. 환자의 구강 구조, 픽스츄어의 식립된 조건 등을 다양하게 고려하여, 시술자는 어버트먼트 구조(120)의 종류나 치수 등을 추후에 결정할 수 있으며, 최초의 설계가 그대로 유지될 수도 있지만 최초 설계와 다르게 변경될 수 있다.
어버트먼트 구조(120)의 상부는 뿔때 형상의 외부 경사면(122) 및 상부가 개방된 내부 공간(130)을 제공할 수 있다. 거리 고정부(160)는 4개의 탄성 레그(162)를 포함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수용 공간(145)의 천장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거리 고정부(160)는 탄성 레그(162)의 개수, 두께, 길이 또는 고정 단부(164)의 돌출 높이 등을 이용하여 결합력 또는 텐션을 조절할 수 있으며, 종래 기술에 비해 임플란트 시스템의 전체 치수 증가 없이 간단하게 텐션 조절이 가능하다.
크라운 매개체(140)는 캡과 같이 하부로 개방된 수용 공간(145)을 형성할 수 있으며, 그 외면은 보철물(20)과 접합될 수 있다. 보철물(20)과의 접합을 강화하기 위해서 크라운 매개체(140)의 외면에는 다수의 요철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를 보면, 크라운 매개체(140)는 어버트먼트 구조(120)의 상부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145)을 제공할 수 있다. 수용 공간(145)은 어버트먼트 구조(120)의 외부 경사면(122)에 대응하여 뿔대 형상으로 형성되지만 약 0.1mm 정도 이격된 제1 이격 경사면(142)을 형성할 수 있으며, 수용 공간의 천장 중앙에는 하방으로 연장된 거리 고정부(16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이격 경사면(142)은 외부 경사면(122)과 닮을 필요는 없으나, 치과 임플란트 시스템의 크기를 최적화하기 위해서 유사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거리 고정부(160)에서 4개로 분기된 탄성 레그(162)는 높은 탄성력을 갖는 니켈티타늄(Nickel Titanium, Ni-Ti)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탄성 변형이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탄성 레그(162)의 단부에는 외측으로 돌기 형상의 고정 단부(164)가 형성될 수 있으며, 탄성 레그(162)의 돌기(164)에 대응하여 내부 공간(130)의 내벽 하부에는 환형의 홈(134)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보면, 거리 고정부(160)의 탄성 레그(162)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고정 단부(164)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 단부(164)는 정점(p1)을 기준으로 상부 경사면(166) 및 하부 경사면(168)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둥글게 형성될 수 있다.
고정 단부(164)에 대응하여 어버트먼트 구조(120)의 내부 공간(130)에 형성된 환형 홈(134) 역시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환형 홈(134)은 고정 단부(164)의 단면과 같거나 큰 치수로 형성되어 2차 접근 및 자동 복귀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5를 보면, (a)는 1차 고정 상태이고, (b)는 2차 접근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외력이 없는 상태에서 (a)의 1차 고정 상태를 유지하고, 저작 등으로 외력이 형성되면 보철물은 크라운 매개체(140)는 어버트먼트 구조(120)에 접근하는 (b)의 2차 접근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그리고 외력이 제거되면 보철물과 크라운 매개체(140)는 다시 (a)의 1차 고정 상태로 자동 복귀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단부(164)의 상부 경사면(166)과 하부 경사면(168)이 환형 홈(134)을 따라 이동하면서 2차 접근 및 자동 복귀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5의 (a)를 보면, 고정 단부(164)의 정점(p1)을 기준으로 1차 고정된 상태에서 어버트먼트 구조(120)의 상면까지 제1 거리(d1)를 유지할 수 있으며, 수용 공간의 천장까지 제2 거리(d2)를 유지할 수 있다. 어버트먼트 구조(120)와 크라운 매개체(140) 간에 약 0.05~0.2mm, 바람직하게는 약 0.1mm 정도의 이격된 거리를 유지하기 위해서, 제1 거리(d1)와 제2 거리(d2)의 차이를 약 0.05~0.2mm로 설계할 수 있다.
도 5의 (b)를 보면, 보철물이 외력을 받으면서 크라운 매개체(140)는 어버트먼트 구조(120)를 향해 2차 접근할 수 있다. 고정 단부(164)의 하부 경사면(168)이 환형 홈(134)의 하부 경사를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탄성 레그(162)는 부분적으로 변형할 수 있다. 여기서 환형 홈(134)의 정점(p2)은 고정 단부(164)의 정점과 어긋날 수 있다.
그러다가 외력이 제거되면, 도 5의 (a)와 같이, 크라운 매개체(140)는 1차 고정 상태로 자동 복귀할 수 있으며, 고정 단부(164)의 정점과 환형 홈(134)의 정점(p2)은 다시 일치 또는 근접할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 외부 경사면(122)과 제1 이격 경사면(142)은 원뿔대(truncated cone) 형상으로 형성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각뿔대(truncated pyramid)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외부 경사면(122)은 어버트먼트 구조(120)의 중심축에 대해 약 15도 정도 기울어진 경사를 형성할 수 있으며, 어버트먼트 구조(120)에 대해서 크라운 매개체(140)가 약 15도 이내의 편차를 가지고 접근하여도 결합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하지만, 바람직하게는 4도 이상 정도 형성하는 바람직하며, 그 각도가 4도보다 작으면 보철물(20)과 어버트먼트 구조(120)가 거의 축방향으로만 결합되어야 하기 때문에 시스템의 난이도가 과도하게 증가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거리 고정부(160)의 고정 단부(164)는 내부 공간(130)의 하부에 형성된 환형 홈(134)에서 어버트먼트 구조(120)에 결속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에서 이물질이 결합되는 부위까지 진입하기 위해서는 외부 경사면(122)과 어버트먼트 구조(120)의 상면 간의 제1 경계에서 한번 절곡되어야 하며, 어버트먼트 구조(120)의 상면과 내부 공간(130) 간의 제2 경계에서 한 번 더 절곡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 시스템에서 실질적으로 결합력을 형성하는 결합부위, 즉 거리 고정부(160)와 환형 홈(134) 간의 결합 위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절곡된 경계에 의해서 보호될 수 있다.
참고로, 종래기술에서 실질적인 결합을 형성하는 부위가 어버트먼트 구조의 외면에 제공되어 이물질의 유입이 실질적으로 용이하며, 이에 따른 오염, 작동 불능, 착탈 기능 저하, 안정적인 고정 방해 등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
내부 공간(130)에서 환형 홈(134)의 아래로 암나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암나사부는 힐링 캡이나 임프레션 코핑 등을 이용할 때, 거리 고정부가 아닌 나사 형태의 결합을 이용하여 해당 부속을 임시로 고정하는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치용 치과 임플란트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식립된 몸체(210)는 크라운 매개체(140)와의 용이한 결합을 위해 덴처 캡(220)을 포함할 수 있다. 덴처 캡(220)은 상부로 크라운 매개체(140)와 결합될 수 있는 어버트먼트 구조를 제공하며, 하부로는 픽스츄어와 결합될 수 있는 나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덴처 캡(220)을 이용함으로써, 의치용 이외의 다른 용도의 임플란트 시스템을 의치용으로 사용되도록 어댑터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덴처 캡(220)은 크라운 매개체(140)와 픽스츄어 간의 높이를 약 2mm 정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외부 경사면의 각도를 의치에 맞게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덴처 캡(220)에 의해서 증가한 높이만큼 주변의 티슈(T)가 임플란트 시스템으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 식립된 몸체 120 : 어버트먼트
122 : 외부 경사면 130 : 내부 공간
140 : 크라운 매개체 142 : 제1 이격 경사면
160 : 거리 고정부

Claims (10)

  1. 의치용 치과 임플란트 시스템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된 내부 공간을 제공하는 어버트먼트 구조를 포함하는 식립된 몸체; 및 상기 어버트먼트 구조와 보철물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보철물을 상기 어버트먼트 구조에 고정하는 크라운 매개체;를 포함하며,
    상기 크라운 매개체는 상기 어버트먼트 구조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 및 상기 수용 공간의 천장에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어버트먼트 구조의 상기 내부 공간으로 진입하며 상기 어버트먼트 구조에 고정 단부가 1차 고정되는 거리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크라운 매개체는 상기 어버트먼트 구조에 대해서 상기 1차 고정된 상태에서 2차로 접근 및 자동 복귀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고정부의 상기 고정 단부는 상기 1차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어버트먼트 구조와 정점(peak point)에 접하며, 상기 정점을 중심으로 상부 경사면 및 하부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고정부의 상기 고정 단부는 상기 1차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어버트먼트 구조와 정점에서 접하며, 상기 정점에서부터 상기 어버트먼트 구조의 상면까지의 제1 거리(d1)는 상기 정점에서부터 상기 수용 공간의 상기 천장까지의 제2 거리(d2)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거리(d1)와 상기 제2 거리(d2)의 차이는 0.05~0.2mm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버트먼트 구조는 뿔대 형상의 외부 경사면을 제공하며, 상기 크라운 매개체의 상기 수용 공간은 상기 외부 경사면으로부터 이격된 제1 이격 경사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버트먼트 구조의 상기 내부 공간에는 역뿔대 형상의 내부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거리 고정부는 탄성 레그가 형성된 중공 형상으로 제공되며, 상기 고정 단부는 상기 탄성 레그의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탄성 레그는 상기 내부 경사면을 따라 진입하면서 부분적으로 변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레그의 상기 고정 단부는 돌기 또는 홈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립된 몸체는 픽스츄어 및 상기 픽스츄어의 상부에 고정되어 상기 어버트먼트 구조를 제공하는 덴처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버트먼트 구조는 뿔대 형상의 외부 경사면, 상기 외부 경사면의 상단에 제공되는 크라운 지지면 및 상기 크라운 지지면의 내측에서 역뿔대 형상의 내부 경사면을 제공하며,
    상기 거리 고정부의 상기 고정 단부는 상기 어버트먼트 구조의 상기 내부 공간에서 상기 1차 고정되며, 상기 어버트먼트 구조와 상기 고정 단부가 결합되는 부분은 상기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외부에서부터 상기 외부 경사면의 크라운 지지면 간의 제1 경계 및 상기 크라운 지지면과 상기 내부 경사면 간의 제2 경계를 포함한 2개 이상의 절곡된 경계에 의해서 보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2개 이상의 식립된 몸체에 대응하는 2개 이상의 크라운 매개체가 하나의 보철물에 고정된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KR1020220021785A 2022-02-18 2022-02-18 의치용 치과 임플란트 시스템 KR2023012443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1785A KR20230124435A (ko) 2022-02-18 2022-02-18 의치용 치과 임플란트 시스템
PCT/IB2023/051410 WO2023156929A1 (ko) 2022-02-18 2023-02-16 의치용 치과 임플란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1785A KR20230124435A (ko) 2022-02-18 2022-02-18 의치용 치과 임플란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4435A true KR20230124435A (ko) 2023-08-25

Family

ID=87577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1785A KR20230124435A (ko) 2022-02-18 2022-02-18 의치용 치과 임플란트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24435A (ko)
WO (1) WO2023156929A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9519B1 (ko) * 2013-10-10 2014-08-13 (주)교보테크 임플란트 어셈블리
WO2015093673A1 (ko) * 2013-12-19 2015-06-25 김형우 치과용 임플란트
KR101633259B1 (ko) * 2016-02-25 2016-06-24 채희진 착탈이 가능한 임플란트 결합보철물
KR101842179B1 (ko) * 2016-03-02 2018-03-26 (주)애크로덴트 코니칼 실링과 탄성 체결 방식을 채택한 임플란트-어버트먼트 결합 구조
KR102316320B1 (ko) * 2018-12-31 2021-10-25 주식회사 피엔유에드 크라운 착탈이 용이한 치과용 임플란트
KR102421810B1 (ko) * 2021-11-24 2022-07-18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KR102418760B1 (ko) * 2021-11-24 2022-07-08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56929A1 (ko) 2023-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30554B2 (ja) 歯科用インプラント及び歯科用要素連結
KR100484395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구조
KR101419519B1 (ko) 임플란트 어셈블리
BR112012033581B1 (pt) dispositivo de conexão para conectar uma estrutura de prótese a uma estrutura de implante ou um dente capeado, e inserção de retenção do mesmo
KR102173435B1 (ko) 치과 보철 시스템
EP0592412A1 (en) DEVICE AND METHOD FOR PLACING A REPLACEMENT ELEMENT FOR A PART OF A TEETH.
WO2004002359A1 (en) Organic shaped interface for dental implant devices
JPH0341174B2 (ko)
KR101669893B1 (ko) 임플란트의 2중 구조 어버트먼트
KR20080049378A (ko) 충격흡수 임플란트 유닛
KR101090203B1 (ko)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및 그 제조방법
US11730571B2 (en) Dental technology kit
WO2021233145A1 (zh) 带有弹簧阻尼器伸缩基台的种植义齿
EP3125818B1 (en) Fastening system for dental implants
KR20230124435A (ko) 의치용 치과 임플란트 시스템
KR100333231B1 (ko) 인공치아이식물장치
US9700388B2 (en) One-part or multi-part implant system comprising a mounting element having one or more outer rings
US20090263762A1 (en) Denture abutment & retention system
JP2002000625A (ja) 緩衝機構を備えたチタン・マグネット・クラウンシステム用インプラント
KR20110064402A (ko) 치과용 임플란트 조립체
KR102356447B1 (ko) 어버트먼트 조립체 및 그 조립 방법
KR100372093B1 (ko) 루우트 스크류를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
US20210100640A1 (en) Prosthesis subassembly
KR200231270Y1 (ko) 인공치근
KR200286847Y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