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4283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4283A
KR20230124283A KR1020220021395A KR20220021395A KR20230124283A KR 20230124283 A KR20230124283 A KR 20230124283A KR 1020220021395 A KR1020220021395 A KR 1020220021395A KR 20220021395 A KR20220021395 A KR 20220021395A KR 20230124283 A KR20230124283 A KR 202301242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unit
mounting
coupling
external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1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윤
류병조
김동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21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4283A/ko
Priority to PCT/KR2023/002177 priority patent/WO2023158202A1/ko
Publication of KR20230124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4283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06F58/08Driv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6Heat pump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2Lint collec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63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를 건조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에서 순환하는 공기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가 복수개로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복수개의 필터가 동시에 또는 모두 결합되는 것을 물리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A 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필터 카트리지를 갖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자에는 의류의 수분을 제거할 수 있는 건조행정을 수행하는 의류처리장치가 등장하였다.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에 열풍을 공급하여 의류를 건조하여 의류의 건조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뿐만 아니라, 의류의 살균 및 소독을 수행할 수 있었다.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드럼에 열풍을 공급하기 위해, 전기 히터를 사용할 수 있었다. 상기 드럼과 연통된 덕트에 히터를 설치하여 상기 드럼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함으로써 열풍을 생성할 수 있었다.
근자에는 상기 드럼에 유입되는 공기를 히트펌프 시스템으로 가열하는 의류처리장치가 등장하였다. 이러한 의류처리장치는 증발기를 통해 의류에서 토출된 공기를 냉각하여 수분을 응축시키고, 응축기를 통해 상기 공기를 재가열하여 고온 건조한 열풍을 생성할 수 있었다.
상기 히트 펌프 시스템을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는 전기 히터를 사용하는 의류처리장치보다 에너지 효율이 높고, 설치편의성이 단순하며, 수리 및 교체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증발기로 의류에서 토출된 공기가 직접 충돌하여 상기 증발기에 린트 등의 이물질이 부착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 증발기에 부착된 이물질은 상기 증발기를 흐르는 차가운 냉매와 상기 드럼에서 토출된 공기가 열교환 하는 것을 방해하여 건조효율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상기 증발기에 잔류하는 이물질이 세균 등에 의해 부패하게 되면 상기 드럼에 수용된 의류까지 오염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증발기에 유입될 수 있는 린트 또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부가 장착되는 의류처리장치가 등장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09657호 참조)
이러한 의류처리장치는 필터부가 의류처리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고, 사용자는 상기 필터를 분리하여 채집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었다.
상기 필터부는 이물질의 제거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서로 다른 크기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2중 필터로 구비될 수 있었다. 상기 2중 필터는 크기가 다른 린트 또는 먼지를 여과할 수 있었다.
상기 2중 필터의 필터부의 경우 외부 필터의 장착 후 내부 필터를 장착하여야 한다. 그러나,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사용자의 부주의로 외부필터 또는 내부필터만을 장착하여 의류처리장치를 사용할 가능성이 높았다.
특히, 상기 외부필터는 상기 투입구에 단차지게 형성되는 상기 장착부에서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장착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내부필터만 상기 장착부에 장착하여 상기 의류처리장치를 사용하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이에 따라, 상기 외부필터가 내부필터를 통과한 미세 린트와 먼지를 제대로 여과하지 못하고, 의류에서 발생하는 린트 또는 먼지가 다시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 내부로 유입되거나, 열교환기 자체에 적체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외부필터와 내부필터가 모두 장착되었을 때만 의류처리장치를 작동시키는 의류처리장치가 등장하였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21-0128702호)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필터부에 자석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장착부에 상기 자석을 감지하는 홀센서 등의 감지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로써, 상기 감지부가 상기 필터부의 자석을 감지할 경우에만 상기 의류처리장치를 작동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상기 필터부를 상기 장착부에 결합시키는 것을 유도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내부필터와 상기 외부필터에 각각 자석을 구비하고, 상기 감지부가 상기 두개의 자석을 모두 감지해야 하거나 두개의 자석이 중첩된 것을 감지해야 하므로 상기 내부필터와 상기 외부필터의 장착여부를 정확히 감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상기 내부필터만 장착되었을 때나 상기 외부필터만 장착되었을 때 어느 하나의 자석이 상기 감지부와 같은 높이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감지부가 상기 내부필터와 상기 외부필터에 배치된 자석들이 모두 배치된 것으로 오해하여 의류처리장치를 작동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상기 내부필터에 구비된 자석과 상기 외부필터에 구비된 자석이 설치 공차로 인해 정확히 중첩되지 못하는 경우, 상기 내부필터와 상기 외부필터가 모두 설치되어도 상기 감지부가 충분한 자력을 감지하지 못하여 의류처리장치를 작동시키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즉, 종래의류처리장치와 같이 복수의 자석을 이용하는 경우 상기 감지부의 해상도가 떨어져 상기 감지부의 신뢰성을 제대로 보장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외부필터 내부에 컨틸레버 형식으로 자석을 구비하고, 상기 내부필터가 상기 컨틸레버 를 밀어내는 방식으로 구비하여 상기 감지부가 하나의 자석만을 감지함을 통해 두개의 필터의 장착을 감지하는 방식도 개시하였다.
그러나, 상기 내부필터가 상기 외부필터에 장착되지 않아도 상기 컨틸레버가 상기 자석의 하중에 의해 휘어지거나 일시적인 진동에 의해 상기 감지부를 향하여 일정각도 휘어지는 경우에 상기 감지부가 이를 감지하여 상기 내부필터가 장착된 것으로 오해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컨틸레버가 상기 내부필터의 진입과 인출을 방해하거나 손상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결과적으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물리적으로 내부필터와 외부필터가 장착되었는지를 감지하지 못하고, 감지부와 자석을 통한 전기제어 방식으로 내부필터와 외부필터가 장착되었는지를 감지하므로 신뢰성을 보장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물리적인 방식으로 외부필터와 내부필터가 모두 결합되었는지를 인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물리적이 방식으로 외부필터 또는 내부필터가 장착되지 않았는지 여부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외부필터 또는 내부필터 자체만으로 장착되는 것이 불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외부필터 또는 내부필터에 자석이 설치되더라도 상기 자석이나 상기 자석을 지지하는 구성이 상기 외부필터 또는 상기 내부필터의 이동을 방해하거나 자중에 의해 상기 감지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2 중으로 구비된 필터부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2 중으로 구비된 필터부는 어느 하나가 장착되기전에는 다른 하나의 장착이 완료되지 못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시말해, 모든 필터부가 배치되어야, 모든 필터부의 장착이 완료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필터부는 상기 장착부에 안착되어 상기 순환덕트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여과하는 외부필터와, 상기 외부필터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장착부에 장착되는 내부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필터는 상기 내부필터가 상기 장착부에 장착되기 전에는 상기 장착부에서 적어도 일부가 이탈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필터가 장착이 완료되지 않으면 의류처리장치가 작동이 차단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필터부에 결합되어 외부에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부와, 상기 장착부에 구비되어 상기 신호발생부를 감지하도록 구비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가 상기 신호발생부를 감지하면, 상기 열공급부와 상기 구동부 중 하나 이상의 구동을 허용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신호발생부는 상기 외부필터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외부필터는 독자적으로 장착될 경우 상기 외부필터를 이탈시키는 탄성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로써, 내부필터가 장착되지 않으면 상기 외부필터의 장착이 완료될 수 없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부필터는 상기 장착부에 안착되는 안착바디와, 상기 안착바디에서 연장되어 이물질을 여과하는 메쉬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장착부 내부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삽입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바디에 상기 탄성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는 상기 안착바디를 상기 장착부에서 인출하여 상기 도어가 상기 개구부를 닫는 것을 방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안착바디는 상기 탄성부에 의해 상기 투입구 내부까지 돌출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착바디는 상기 삽입바디에서 외부로 더 연장되어 상기 장착부의 상부면에 안착되는 안착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안착대의 하면에 결합되어 상기 장착부의 상부면에 접촉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내부필터는 상기 외부필터를 장착부에 고정시켜 이탈을 방지하는 결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내부필터는 상기 안착바디에 안착되어 상기 탄성부를 가압하는 지지바디와, 상기 지지바디에서 연장되어 이물질을 여과하는 메쉬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외부필터 내부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수용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지지바디를 상기 장착부에 고정시켜 상기 탄성부를 가압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부는 상기 투입구의 내주면을 관통하여 상기 필터부가 지지되는 장착홈과, 상기 장착홈에서 상기 순환덕트까지 연장되어 상기 필터부를 수용하며 외주면에 상기 감지부가 설치되는 장착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지지바디의 측면에 돌출되어 상기 장착홈의 내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지지바디에서 상기 장착홈의 내면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결합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후크는 상기 결합리브의 말단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지지바디의 양측면에서 상기 장착홈의 내면을 향하여 왕복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의 결합리브와, 상기 복수의 결합리브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결합리브를 상기 지지바디의 양측면을 향하여 밀어내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후크는 상기 복수의 결합리브의 말단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결합리브는 상기 탄성부재가 결합되는 푸시단과, 상기 푸시단의 하부에서 상기 지지리브의 양측면을 향하여 연장되며 말단에 상기 결합후크가 구비되는 연장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바디는 상부면에 상기 탄성부재를 수용하며 양측에 상기 푸시단을 노출시키는 안내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결합리브는 상기 안내케이스에서 상기 결합후크가 상기 장착홈에서 분리되는 길이 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디는 너비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복수의 결합리브를 안내하는 이동레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결합부가 상기 지지바디를 상기 장착부에 고정할 때 상기 신호발생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외부필터와 상기 내부필터 중 어느 하나는 나머지 하나가 필터가 설치되는 상기 장착부에 장착되어야 상기 장착부에 장착이 완료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내부필터가 단독으로 상기 장착부에 장착되면, 상기 내부필터가 상기 흔들리도록 장착되어 고정이 불가능할 수 있다.
상기 내부필터는 상기 외부필터의 상부면에 안착되는 지지바디와, 상기 지지바디에서 연장되어 상기 외부필터 또는 상기 장착부에 적어도 일부 삽입 가능하게 구비되는 수용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바디는 상기 장착부에 장착되면 상기 장착부의 상부면에서 흔들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외부필터는 상기 내부필터를 고정하며 수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외부필터는 상기 장착부에 흔들리지 않고 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안착바디와, 상기 안착바디에서 연장되어 상기 장착부에 안착되며 상기 수용바디를 수용하는 삽입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바디의 내면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수용바디의 외면을 접촉하여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외부필터는 상기 내부필터가 상기 장착부에 장착되지 않으면 상기 장착부에서 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내부필터는 상기 외부필터를 가압하며 상기 장착부에 고정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신호발생부를 상기 장착부, 상기 외부필터, 상기 내부필터 중 어느 하나의 일면을 따라 왕복이동하도록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신호발생부는 상기 외부필터 또는 상기 내부필터가 상기 장착부에 안착될 때 상기 감지부를 향하여 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신호발생부는 상기 장착부의 내주면에 구비되고, 상기 외부필터에 의해 상기 감지부를 향하여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신호발생부는 상기 내부필터에 의해 하부로 이동하도록 상기 외부필터의 내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내부필터는 외면에 상기 신호발생부를 하부로 밀어내도록 돌출되는 상부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호발생부는 상기 외부필터에 의해 상부로 이동하도록 상기 내부필터의 외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외부필터는 내면에 상기 신호발생부를 상부로 밀어내도록 돌출되는 하부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호발생부는 상기 감지부를 반응시키는 마그넷과, 상기 마그넷을 상하로 이동하도록 상기 장착부의 내면, 상기 외부필터, 상기 내부필터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안내레일과, 상기 안내레일에 설치되어 상기 마그넷을 상부 또는 하부로 밀어내는 복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외부필터와 내부필터가 모두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확실하게 감지하거나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물리적인 방식으로 외부필터와 내부필터가 모두 결합되었는지를 인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물리적이 방식으로 외부필터 또는 내부필터가 장착되지 않았는지 여부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외부필터와 내부필터를 모두 장착하도록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자석의 이동과 이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활용하더라도 신뢰성이나 내구성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것이다.
도3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5는 상기 필터부가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6은 상기 필터부(10)의 구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7은 상기 외부필터(200)와 상기 내부필터(100)가 모두 상기 장착부(178)에 장착될 수 있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8은 상기 외부필터(200)의 구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9는 상기 탄성부(260)가 압축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0은 상기 내부필터(100)와 상기 외부필터(200)의 안착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11은 상기 결합부(160)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2는 상기 결합리브의 작동방식을 도시한 것이다.
도13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신호발생부와 감지부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4는 도13의 신호발생부와 감지부의 작동방식을 도시한 것이다.
도15는 상기 신호발생부와 감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6은 도15의 내부필터(100)가 상기 마그넷(320)을 하부로 이동시키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17은 상기 신호발생부와 감지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8은 도17의 외부필터(200)가 상기 마그넷(320)을 하부로 이동시키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1),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2), 드럼(2)에서 배출된 공기를 드럼(2)으로 재공급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순환순환덕트(3), 순환순환덕트(3)로 유입된 공기를 제습하고 가열한 뒤 드럼(2)으로 재공급하는 열교환부(4)를 포함한다.
캐비닛(1)은 의류처리장치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전방패널(11)을 포함하는데, 전방패널(11)에는 드럼(2)에 연통하도록 구비된 개구부(111) 및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개구부(111)를 개폐하는 도어(112)가 구비될 수 있다.
전방패널(11)에는 컨트롤패널(117)이 구비되는데, 컨트롤패널(117)에는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118),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제어명령 등의 정보가 출력되는 표시부(11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117)은 제어부를 더 포함하거나, 상기 제어부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118)와 상기 표시부(119)를 제어하거나, 후술하는 구동부와 열교환부, 세척부(6), 감지부(400) 등 모든 전자제품 들을 제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의류처리장치를 작동시키는 명령을 발생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제어부는 의류처리장치가 의류의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행정을 수행하도록 상기 구동부와 상기 열교환부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할 수 있다.
입력부(118)는 의류 건조기(100)에 전력공급을 요청하는 전력공급 요청부, 다수의 코스 중 사용자가 원하는 코스를 선택 가능하게 하는 코스 입력부, 사용자가 선택한 코스의 개시를 요청하는 실행요청부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18)를 통해 의류처리장치를 작동시키는 명령이 입력될 수 있고, 상기 명령은 제어부로 전달되고, 상기 제어부는 이와 상응하도록 의류처리장치의 각 전자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표시부(119)는 텍스트(text) 및 도형의 출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음성신호 및 음향의 출력이 가능한 스피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캐비닛(1),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2), 상기 드럼(2)에서 배출된 공기를 상기 드럼(2)으로 재공급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순환덕트(3), 상기 순환덕트(3)로 유입된 공기를 제습하고 가열한 뒤 상기 드럼(2)으로 재공급하는 열교환부(4)를 포함한다.
상기 드럼(2)이 전방면과 후방면이 각각 개방된 원통형상의 드럼 바디(21)로 구비될 경우, 상기 캐비닛(1) 내부에는 상기 드럼(2)의 전방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지지부(17), 및 상기 드럼(2)의 후방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지지부(1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17)는 상기 캐비닛(1) 내부에 고정된 제1고정바디(171), 상기 제1고정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개구부(111)와 상기 드럼 바디(21) 내부를 연통시키는 투입구(17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17)는 상기 제1고정바디(171)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 바디(21)의 전방에 삽입되는 제1지지바디(175)를 더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바디(171)는 상기 투입구(173) 및 상기 제1지지바디(175)가 구비될 수 있는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바디(175)는 상기 제1고정바디(171)에서 상기 드럼 바디(21)를 향해 돌출된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제1지지바디(175)의 지름은 상기 투입구(173)의 지름보다 크고, 상기 드럼 바디(21)의 전방면 지름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투입구(173)는 상기 제1지지바디(175)가 형성하는 공간 내부에 위치하게 될 것이다.
상기 제1지지부(17)는 상기 개구부(111)와 상기 투입구(173)를 연결하는 연결바디(177)를 더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바디(177)는 상기 투입구(173)에서 상기 개구부(111)를 향해 연장된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바디(177)에는 상기 순환덕트(3)에 연통하는 장착부(17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178)는 상기 드럼 바디(21) 내부의 공기가 상기 순환덕트(3)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통로이며, 상기 연결바디(177)를 관통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178)는 상기 투입구(173)과 상기 순환덕트(3)를 연통하도록 구비되며, 덕트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일단이 상기 투입구(173)에서 함몰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178)는 상기 드럼(2)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유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유입된 공기는 상기 장착부(178)를 통과하여 상기 순환덕트(3)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19)는 상기 캐비닛(1) 내부에 고정된 제2고정바디(191), 상기 제2고정바디(191)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 바디(21)의 후방면(제2개방면)에 삽입되는 제2지지바디(19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19)에는 상기 제2고정바디(19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드럼 바디(21) 내부를 상기 캐비닛(1) 내부와 연통시키는 공기 유입구(198)가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순환덕트(3)는 상기 장착부(178) 및 상기 공기 유입구(198)를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의 드럼 바디(21)는 다양한 형태의 구동부를 통해 회전할 수 있는데, 도 3는 상기 구동부(28)가 캐비닛(1) 내부에 고정된 모터(23),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풀리(25), 상기 풀리(25)의 원주면과 상기 드럼 바디(21)의 원주면을 연결하는 벨트(27)를 포함하도록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1지지부(17)에는 상기 드럼 바디(21)의 원주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롤러(179)가 구비되고, 상기 제2지지부(19)에는 상기 드럼 바디의 원주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롤러(19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순환덕트(3)는 상기 장착부(178)에 연결된 배기덕트(31), 상기 공기 유입구(198)에 연결된 공급덕트(33), 상기 배기덕트와 공급덕트를 연결하는 연결덕트(3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부(4)는 상기 순환덕트(3)로 유입된 공기의 제습과 가열을 순차적으로 진행 가능한 한 다양한 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열교환부(4)는 히트펌프 시스템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부(4)는 상기 순환덕트(3)를 따라 공기를 이동시키는 팬(49), 상기 순환덕트(3)로 유입된 공기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제1열교환기(흡열부, 41), 및 상기 순환덕트(3)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열교환기(41)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제2열교환기(발열부, 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49)은 상기 순환덕트(3) 내부에 구비된 임펠러(491), 상기 임펠러(491)를 회전시키는 임펠러 모터(49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4 참조) 상기 임펠러(491)는 상기 배기덕트(31), 연결덕트(35), 및 공급덕트(33) 중 어디에나 구비될 수 있는데, 도 3은 상기 임펠러(491)가 상기 공급덕트(33)에 구비된 경우(발열부의 후방에 위치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증발기(41)는 상기 연결덕트(35)의 너비 방향(Y축 방향) 또는 상기 연결덕트의 높이 방향(Z축 방향)을 따라 배치된 다수의 금속판으로 구비되고, 상기 응축기(43)는 상기 연결덕트의 너비 방향 또는 상기 연결덕트의 높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 다수의 금속판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41)와 상기 응축기(43)는 상기 연결덕트(35) 내부에 상기 배기덕트(31)에서 상기 공급덕트(33)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냉매의 순환유로를 형성하는 냉매관(48)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냉매는 상기 순환덕트(3)의 외부에 위치된 압축기(45)에 의해 상기 냉매관(48)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냉매관(48)에는 상기 응축기(43)를 통과한 냉매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기(47)가 구비된다.
상기 증발기(41)는 상기 배기덕트(31)로 유입된 공기의 열을 냉매로 전달함으로써 공기는 냉각시키고, 냉매는 증발시키는 수단이다. 상기 응축기(43)는 상기 압축기(45)를 통과한 냉매가 가진 열을 공기에 전달함으로써, 공기는 가열하고, 냉매는 응축시키는 수단이다. 이 경우, 공기에 포함된 수분은 상기 증발기(41)를 통과할 때 상기 증발기(41)의 표면을 따라 상기 연결덕트(35)의 바닥면에 모이게 될 것이다.
상기 증발기(41)를 통과하는 공기에서 제거된 물을 수집하기 위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는 집수부가 구비된다.
상기 집수부에 수집되는 물은 상기 저수부(7)에 수집되어 추후에 일괄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수부(7)는 상기 캐비닛(1)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저장바디(72), 상기 저장바디(72)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저수부 공급관(633)에서 배출되는 물을 상기 저장바디(72) 내부로 유입시키는 유입구(722)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장바디(72)는 상기 캐비닛(1)에서 인출되는 드로워 형태의 탱크로 구비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캐비닛의 전방패널(11)에는 상기 저장바디(72)가 삽입되는 저수부 장착홀이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저장바디(72)의 전방면에는 패널(71)이 고정되는데, 상기 패널(71)은 상기 저수부 장착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전방패널(11)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패널(71)에는 사용자의 손이 삽입되는 홈(71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패널(71)은 상기 저장바디(72)를 캐비닛에서 인출하거나 캐비닛으로 삽입하는 핸들의 기능도 수행하게 될 것이다.
상기 유입구(722)는 상기 캐비닛(1)에 고정된 노즐(722a)에서 배출되는 물을 공급받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노즐(722a)은 상기 저장바디(72)가 캐비닛(1)에 삽입된 때 상기 유입구(722)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캐비닛의 상부패널(13)에 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저수부(7)는 사용자가 상기 저장바디(72)를 상기 캐비닛(1)에서 인출한 뒤 상기 저장바디(72)를 상기 유입구(722)가 위치된 방향을 향해 뒤집거나 기울임으로써 상기 저장바디(72) 내부의 물을 버릴 수 있다. 상기 저장바디(72) 내부의 물이 상기 유입구(722)를 통해 쉽게 배출되도록, 상기 저장바디(72)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연통홀(72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열교환부(4)는 상기 증발기(41)에서 순환하는 공기의 수분을 응축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공기는 상기 드럼(2)을 순환하더라도 상기 증발기(41)에서 수분이 제거됨으로써, 상기 드럼(2) 내부의 의류를 지속적으로 건조할 수 있다.
상기 증발기(41)에서 응축된 수분은 집수부(37)에 1차 수집된 후 상기 저수부(7)로 2차 수집될 수 있다. 상기 집수부(37)는 상기 연결덕트(35) 내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덕트(35)와 이격된 공간에 별도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드럼 바디(21)에서 배출되는 이물질(린트 등)이 상기 증발기(41) 및 응축기(43)에 적층되는 것을 최소화 하기 위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는 공기를 여과하는 여과부와 필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10)는 상기 드럼 바디(21)에서 상기 배기덕트(31)로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수단으로 구비되고, 상기 여과부(5)는 상기 필터부(100)와 상기 증발기(41)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2여과부를 통과한 공기를 여과하는 수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여과부(5)에 구비된 여과홀의 직경은 상기 필터부(10)에 구비된 여과홀의 직경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10)는 상기 장착부(178)를 통해 상기 배기덕트(31)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여과부(5)는 상기 연결덕트(35)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캐비닛의 전방패널(11)에는 상기 여과부(5)가 인출되는 인출홀(113, 도 1참고) 및 상기 인출홀을 개폐하는 인출홀 도어(114)가 구비되고, 상기 순환덕트(3)에는 상기 여과부(5)가 삽입되는 덕트 관통홀(34, 도 3 참고)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상기 여과부(5)를 의류처리장치에서 분리한 뒤 여과부(5)에 잔류하는 이물질의 제거 및 제1여과부의 세척이 가능하다.
상기 여과부(5)는 상기 인출홀(113) 및 덕트 관통홀(34)에 삽입되어 상기 필터부(10)와 상기 증발기(41) 사이에 위치하는 여과부 바디(51, 53, 57, 58), 및 상기 여과부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증발기(41) 및 집수바디(371)로 이동하는 유체(공기 및 물)를 여과하는 여과부재(531, 551, 571)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여과부 바디는 상기 연결덕트(35)의 단면(Y-Z 평면, 및 X-Z 평면)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여과부 바디는 상기 덕트 관통홀(34)을 폐쇄 가능한 형상으로 구비된 전방면(51), 상기 전방면과 상기 증발기(41) 사이에 위치하는 후방면(53), 상기 전방면과 후방면을 연결하도록 구비된 바닥면(55), 상기 여과부 바디의 좌측면과 우측면을 형성하는 제1측면(57) 및 제2측면(58)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면(51)에는 캐비닛에 구비된 락 체결부(16)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락(513, lock)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락(513)은 상기 여과부 바디의 전방면(5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바(bar)로 구비되고, 상기 락 체결부(16)는 상기 바의 자유단이 수용되는 홈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락(513)은 상기 전방면(51)의 마주보는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락 체결부(16)는 상기 필터장착혹(113)의 마주보는 양측에 각각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여과부 바디를 상기 연결덕트(35)에 삽입하거나, 상기 연결덕트(35)에서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상기 전방면(51)에는 핸들(51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방면(53)과 상기 바닥면(55)에는 상기 여과부 바디 내부로 유입된 유체(공기 및 물)을 여과하는 제1 여과부재 (531) 및 제2 여과부재 (551)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방면(53)에는 상기 여과부 바디 내부를 상기 순환덕트(3) 내부 공간과 연통시키는 후방면 관통홀이 구비되는데, 상기 1 여과부재 (531)는 상기 후방면 관통홀에 구비된다. 상기 바닥면(55)에는 상기 여과부 바디 내부를 순환덕트(3) 내부 공간과 연통시키는 바닥면 관통홀이 구비되는데, 상기 제2 여과부재 (551)는 상기 바닥면 관통홀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여과부재 (531)는 상기 증발기(41)로 공급되는 유체(공기 및 물)를 여과하는 수단이되고, 상기 제2 여과부재 (551)는 상기 집수바디(371)로 공급되는 유체를 여과하는 수단이 된다.
상기 제1측면(57)과 제2측면(58)은 상기 전방면(51), 후방면(53) 및 바닥면(55)을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여과부(5)는 상기 여과부 바디의 상부면 또는 제2측면(58)을 통해 상기 배기덕트(31)와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여과부(5)가 여과부 바디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상부면 관통홀 및 제2측면(58)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측면 관통홀을 통해 상기 배기덕트(3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여과부재(531)는 상기 여과부 바디의 바닥면(55)을 기준으로 상기 증발기(41)의 전방면을 향해 90도 내지 100도로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후술할 이동부(6)를 통해 상기 제1 여과부재 (531)에 물이 분사될 경우, 제1 여과부재 에 잔류하는 이물질이 상기 바닥면(55)으로 쉽게 이동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2 여과부재 (551)는 상기 전방면(51)에서 상기 제1 여과부재 (531)를 향해 10도 내지 20도 하향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제2 여과부재 는 제1 여과부재 의 하단에서 인출홀이 위치된 방향을 향해 10 내지 20도 상향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여과부재 (551)가 제1 여과부재 (531)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면, 상기 제1여과부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제1 여과부재 (531)와 제2 여과부재 (551)의 연결점이 가장 낮은 지점이 될 것이므로, 제1여과부(5)의 이물질은 상기 제1 여과부재 (531)와 제2 여과부재 (551)의 연결점에 집중될 수 있다. 이물질이 상기 제1 여과부재 (531)와 제2 여과부재 (551)의 연결점에 집중되면, 사용자는 상기 여과부(5) 내부의 이물을 보다 쉽게 제거 가능할 것이다.
다만, 상기 제1 여과부재 (531)와 제2 여과부재 (551)의 연결점에 이물질이 집중되면, 상기 이동부(6)를 통해 분사된 물이 집수바디(371)로 배출되는데 긴 시간이 요구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제1측면(57)에는 상기 여과부(5) 내부를 상기 집부바디(371)에 연통시키는 바이패스홀 및 상기 바이패스홀에 구비된 제3 여과부재 (57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이패스홀 및 제3 여과부재 (571)는 상기 상기 제2 여과부재 (551)의 최상단보다 높고 상기 제1 여과부재 (531)의 최상단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여과부(5)에 잔류하는 이물질에 의해 상기 여과부(5)에 분사된 물이 상기 집수바디(371)로 회수되지 못하는 현상을 최소화 가능하다.
한편,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집수바디(371)에 저장된 물을 이용하는 이동부(6)와, 상기 이동부(6)에 결합되어 상기 물을 공급받아 상기 증발기(41) 또는 상기 제1여과부(5)를 세척하는 배출부(9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집수바디(371)에 저장된 물을 상기 저수부(7)로 따로 수집될 수도 있고, 상기 이동부(6)로 선택적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상기 이동부(6)는 상기 집수바디(371)에 저장된 물을 상기 제1여과부(5)에 분사함으로써 여과부(5) 및 증발기(4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세척하는 물을 이동하는 수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6)는 상기 순환덕트(3)에 구비되어 상기 여과부(5) 또는 증발기(41)로 물을 공급하는 배출부(900)에 물을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6)는 상기 집수바디(371)에 저장된 물을 상기 배출부(900)로 이동시키는 세척펌프(61)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척펌프(61)는 제1연결관(611)을 통해 상기 집수바디(371)에 연결되고, 제2연결관(613)을 통해 상기 배출부(65)에 연결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가 하나의 세척펌프(61)만으로 상기 배출부(65) 및 상기 저수부(7)로 상기 집수바디(371)의 물을 이동시키도록 구비된다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는 유로전환부(6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유로전환부(63)는 상기 제2연결관(613)을 통해 상기 세척펌프(61)에 연결되고, 상기 배출부(65)는 분사부 공급관(631)을 통해 상기 유로전환부(63)에 연결되며, 상기 저수부(7)는 저수부 공급관(633)을 통해 상기 유로전환부(63)에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저수부 공급관(633)은 상기 노즐(722a)과 상기 유로전환부(63)를 연결하도록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유로전환부(63)에는 상기 분사부 공급관(631)의 개폐 및 상기 저수부 공급관(633)의 개폐를 제어하는 밸브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유로전환부(63)에 구비된 밸브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집수바디(371)에 저장된 물을 상기 배출부(65)로 공급할 수도 있고, 상기 저수부(7)로 공급할 수도 있다.
상기 분사부 공급관(631)은 상기 연결덕트(35)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증발기(41)의 상면과 대응되는 일면에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분사부공급관(631)에 공급되는 물을 상기 증발기(41) 또는 제1여과부(5)로 배출되어 상기 증발기(41) 또는 상기 여과부(5)에 부착된 이물질은 제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부(6)는 상기 증발기(41)에서 응축된 물 뿐만 아니라, 상기 물공급부(300)에서 직접 신선한 물도 공급받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물공급부(300)와 상기 이동부(6)를 직접 연결하는 파이프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스팀부(200)와 상기 이동부(6)를 연결하는 별도의 파이프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의류의 건조도를 판단함으로써 열교환부(4)의 작동 중단 시점을 판단할 수 있도록,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는 건조도 감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건조도 감지부는 의류에 접촉하도록 구비되어 의류에 함유된 수분의 양을 측정하는 전극센서, 및 상기 드럼(2)에서 상기 순환덕트(3)로 유입되는 공기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극센서는 의류를 통해 연결되었을 때 측정되는 전기적 저항을 관찰함으로써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의류의 건조도를 판단 가능하다. 한편, 의류의 건조도가 높아질수록 순환덕트(3)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수분의 양은 줄어들 것이기 때문에,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습도센서를 통해 상기 순환덕트(3)로 유입된 공기의 습도를 관찰함으로써 의류의 건조도를 판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드럼바디(21)는 배면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바디(21)의 배면을 폐쇄하는 드럼배면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구동부는 상기 드럼배면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바디(21)를 직접 회전시키도록 구비될 수 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2지지부(19)에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구동부가 캐비닛(1) 내부에 고정된 모터(23),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풀리(25)와, 풀리(25)의 원주면과 드럼 바디(21)의 원주면을 연결하는 벨트(27)를 포함하도록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설명한다.
한편, 제 1지지부(17)에는 드럼 바디(21)의 원주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롤러(179)가 구비되고, 제 2지지부(19)에는 드럼 바디의 원주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2롤러(199)가 구비될 수 있다.
베이스(12)의 집수부(126)는 연결덕트(35)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연결덕트(35)의 내부와 연통하는 집수챔버(127)를 구비될 수 있다. 흡열부(41)와 발열부(43)가 집수챔버(127)에 저장된 물(응축수)에 접촉하지 않도록, 집수챔버(127) 내부에는 열교환기 지지부(128)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열교환기 지지부(128)는 흡열부(41) 및 발열부(43)와 집수챔버(127)의 바닥면 사이의 간격을 유지한다.
흡열부(41)와 발열부(43)를 지지하는 열교환기 지지부(128)에는 흡열부의 위치에 대응되어 다수의 지지판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판 관통홀은 흡열부(41)에서 발생되는 물 또는/및 흡열부(41)를 세척한 물을 집수챔버(127)로 안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의류 건조기(100)의 경우 집수챔버(127)에 저장된 물을 이용하여 흡열부(41)를 세척하는 세척부(6) 및 집수챔버(127) 내부의 물을 집수챔버(127)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부(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세척부(6)는 집수챔버(127)에 저장된 물을 흡열부(41)에 분사함으로써 흡열부(41)를 세척하는 수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세척부(6)는 순환순환덕트(3)에 구비되어 흡열부(41)로 물을 공급하는 분사부(65), 집수챔버(127)에 저장된 물을 분사부(65)로 이동시키는 펌프(61)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펌프(61)는 집수챔버(127)에서 배출되는 물을 제 2연결관(613)을 통해 분사부(65)에 연결될 수 있다. 펌프(61)와 집수챔버(127)는 인접하여 위치하여 집수챔버(127)의 물이 이동되거나 별도의 제 1연결관(611)을 통해 연겯될 수 있다.
한편, 의류 건조기(100)가 하나의 펌프(61)만으로 분사부(65) 및 배수부(7)로 집수챔버(127)의 물을 이동시키도록 구비된다면, 의류 건조기(100)에는 유로전환부(6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유로전환부(63)는 제 2연결관(613)을 통해 펌프(61)에 연결되고, 분사부(65)는 분사부 공급관(631)을 통해 유로전환부(63)에 연결되며, 배수부(7)는 배수부 공급관(633)을 통해 유로전환부(63)에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유로전환부(63)에는 분사부 공급관(631)의 개폐 및 배수부 공급관(633)의 개폐를 제어하는 밸브(이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의류 건조기(100)는 유로전환부(63)에 구비된 밸브를 제어함으로써 집수챔버(127)에 저장된 물을 분사부(65)로 공급할 수도 있고, 배수부(7)로 공급할 수도 있다.
배수부(7)는 캐비닛(1)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저장바디(72), 저장바디(72)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배수부 공급관(633)에서 배출되는 물을 저장바디(72) 내부로 유입시키는 유입구(722)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저장바디(72)는 캐비닛(1)에서 인출되는 드로워 형태의 탱크로 구비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캐비닛의 전방패널(11)에는 저장바디(72)가 삽입되는 배수부 장착홀이 구비되어야 한다. 저장바디(72)의 전방면에는 패널(71)이 고정되는데, 패널(71)은 배수부 장착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전방패널(11)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패널(71)에는 사용자의 손이 삽입되는 홈(71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패널(71)은 저장바디(72)를 캐비닛에서 인출하거나 캐비닛으로 삽입하는 핸들의 기능도 수행하게 될 것이다.
유입구(722)는 캐비닛(1)에 고정된 노즐(722a)에서 배출되는 물을 공급받도록 구비될 수 있다. 노즐(722a)은 저장바디(72)가 캐비닛(1)에 삽입된 때 유입구(722)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캐비닛의 상부패널(13)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배수부 공급관(633)은 노즐(722a)과 유로전환부(63)를 연결하도록 구비되어야 한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배수부(7)는 사용자가 저장바디(72)를 캐비닛(1)에서 인출한 뒤 저장바디(72)를 유입구(722)가 위치된 방향을 향해 뒤집거나 기울임으로써 저장바디(72) 내부의 물을 버릴 수 있다.
여기서, 저장바디(72) 내부의 물이 유입구(722)를 통해 쉽게 배출되도록, 저장바디(72)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연통홀(72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의류 건조기(100)는 집수챔버(127)의 수위를 측정하는 집수부 수위감지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집수부 수위감지부는 집수챔버(127)에 저장된 물을 저장바디(72)로 이동시키는 시점을 판단하여 집수챔버(127)의 물이 연결덕트(35)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의류 건조기(100)는 의류의 건조도를 판단하는 건조도 감지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건조도 감지부는 의류에 접촉하도록 구비되어 의류에 함유된 수분의 양을 측정하는 전극센서(미도시) 및 드럼(2)에서 순환순환덕트(3)로 유입되는 공기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미도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의류 건조기(100)는 순환순환덕트(3)로 유입된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감지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드럼(2), 순환순환덕트(3), 열교환부(4), 세척부(6). 배수부(7) 등은 캐비닛(1)의 하부에 위치하는 베이스(12)에 지지 및 설치되며, 베이스(12)에는 열교환부(4)에서 생성되는 응축수, 세척부(6)에서 흡열부(41)를 세척하는 세척수 등은 집수부(126)의 집수챔버(127)에서 집수되어 펌프(61)에 의해 분사부(65) 또는 배수부(7)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드럼 바디(21)에서 배출되는 이물질(린트 등)이 흡열부(41) 및 발열부(43)에 적층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필터부(1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필터부(10)는 상기 드럼(2)에서 토출되는 이물질을 여과하고 상기 투입구(173)에 쉽게 노출되어 사용자가 수시로 적층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10)는 상기 장착부(178)를 통해 배기덕트(31)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장착부 (178)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린트를 여과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여과부(5)를 교체하거나 상기 여과부(5)를 인출하는 횟수를 크게 절감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장착부(178) 및 필터부(10)의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제1지지부(17)의 연결바디(177) 하부에는 필터부(10)가 설치되는 장착부(178)가 형성된다.
상기 장착부(178)는 상기 연결바디(177)를 관통하여 상기 순환덕트(3)에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178)는 상기 투입구(173)와 상기 순환덕트(3)를 연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드럼(2)에서 배출된 공기가 처음으로 통과하는 유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장착부(178)는 상기 제1지지부(17)에서 덕트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필터부(10)가 수용되어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10)는 상기 장착부(178)에 장착되어 상기 공기는 통과시키되, 상기 공기에 함유된 린트와 이물질을 여과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10)는 상기 장착부(178)에 장착되어 상기 드럼(2)에서 토출된 공기에서 이물질을 여과하는 내부필터(1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필터(100)는 상기 장착부(178)에 장착되어 상기 투입구(173)의 내주면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투입구(173)의 내주면에서 상기 투입구(173)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필터(100)는 상기 장착부(178)의 입구 형상과 대응되는 면적 또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내부필터(100)와 상기 장착부(178)의 사이의 간극을 최소화하여 상기 내부필터(100)와 상기 장착부(178) 사이에 이물질 또는 의류의 일부가 투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10)는 상기 내부필터(100)의 하부에서 상기 장착부(178)에 장착되어 이물질을 여과하는 외부필터(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필터(200)는 상기 내부필터(100) 보다 유로상 하류에 배치되어 상기 내부필터(100)가 여과하지 못한 린트 및 이물질을 추가로 여과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필터부(10)는 상기 드럼(2)에서 토출된 공기에서 린트 등의 이물질을 더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외부필터(200)는 상기 장착부(178)에 장착되면 상기 투입구(173)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도5는 상기 필터부가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필터부(10)는 상기 장착부(178)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10)는 상기 장착부(178)에 장착되어 이물질을 여과하고, 상기 장착부(178)에서 인출되어 여과된 이물질을 배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178)는 상기 연결바디(177) 또는 상기 투입구(173)의 하부면을 관통하여 상기 드럼(2)의 공기가 유입되묘 상기 장착부(178)의 입구를 형성하는 장착홀(1781)과, 상기 장착부(178)의 내주면을 형성하는 장착바디(178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착홀(1781)은 상기 장착바디(1782)의 면적보다 더 크게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장착바디(1782)는 상기 장착홀(1781)에서 단차를 형성하며 상기 순환덕트(3)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장착바디(1782)의 입구 면적은 상기 장착홀(1781)의 면적 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장착바디(1782)의 상부면은 상기 필터부(10)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10)는 상기 장착바디(1782)에 지지되어 상기 순환덕트(3)로 이탈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내부필터(100)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외부필터(200)에 수용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내부필터(100)와 상기 외부필터(200)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대한 축소하여 상기 필터부(10)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내부필터(100)와 상기 외부필터(200)를 일체로 인출하거나 동시에 상기 장착부(178)에 장착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6은 상기 필터부(10)의 구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내부필터(100)는 상기 장착부(178)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지지바디(110)와 상기 지지바디(110)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외부필터(200) 또는 상기 장착부(178)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수용바디(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바디(110)는 상기 장착홀(1781)의 형상 및 면적과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투입구(173)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디(110)는 상부면에 공기와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는 개방면(112)과, 상기 개방면(112)의 적어도 일부를 차폐하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차단리브(1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리브(111)는 상기 개방면(112)에 공기 또는 린트 등의 크기가 작은 이물질 외에 의류와 같이 부피가 큰 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단리브(111)는 상기 개방면(112)에 그물망처럼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바디(110)의 상부면에는 상기 지지바디(110)를 상기 장착부(178)에 결합시키거나, 상기 내부필터(100)의 설치 및 인출방향을 안내하는 결합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바디(110)의 면적은 상기 수용바디(120)의 면적보다 더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디(110)는 하부에 상기 수용바디(120)의 상면에서 외부로 더 연장되는 안착면(1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면(113)은 상기 장착홀(1781)의 상부에 지지되어 상기 내부필터(100)가 상기 장착홀(1781) 내부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수용바디(120)는 박스형으로 구비되어 상기 지지바디(110)의 하부에서 연장되며 내부에 이물질이 적체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수용바디(120)는 대부분의 면적이 관통홀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홀에 결합되어 표면에 상기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는 메쉬부(14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메쉬부(140)는 상기 수용바디(120)를 관통하는 관통홀을 매우는 그물망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쉬부(140)는 상기 수용바디(120)의 표면의 대부분의 면적을 차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메쉬부(140)로 인해 상기 수용바디(120)는 상기 메쉬부(140)를 지지하는 프레임의 형상으로 보일 수 있다.
상기 수용바디(120)는 상기 지지바디(110)의 하부에서 연장되어 이물질을 여과하는 제1수용바디(121)와 상기 제1수용바디(121)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1수용바디(121)와 함께 이물질을 적체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2수용바디(122)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제1수용바디(121)와 상기 제2수용바디(122)가 서로 분리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수용바디(120)는 내부가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수용바디(121)와 상기 제2수용바디(122)에 여과되어 상기 수용바디(120)에 적체된 이물질을 사용자가 제거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수용바디(120) 뿐만 아니라, 상기 지지바디(110)도 서로 분리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바디(110)는 상기 제1수용바디(121)가 결합된 부분과 상기 제2수용바디(122)가 결합된 부분이 서로 착탈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내부필터(100)는 상기 제1수용바디(121)와 상기 제2수용바디(122)의 강성을 보강하는 강화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화부(150)는 상기 제1수용바디(121)와 상기 제2수용바디(122)가 상기 장착부(178)에 삽입될 때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강화부(150)는 상기 지지바디(110)의 너비방향과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리브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강화부(150)는 상기 제1수용바디(121)와 상기 제2수용바디(122)를 회전하는 힌지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상기 제1수용바디(121)와 상기 제2수용바디(122)가 쐐기형상으로 상기 지지바디(110)의 하부에서 연장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상기 제1수용바디(121)와 상기 제2수용바디(122)는 내부에 이물질 적체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외부필터(200)는 상기 장착부(178)에 장착되는 안착바디(210)와, 상기 안착바디(210)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장착부(178)에 적어도 일부 삽입되거나 상기 내부필터(100)를 수용하는 삽입바디(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바디(210)는 상부에 상기 공기와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는 개방면(211)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장착바디(1782)의 상부에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는 안착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방면(211)은 상기 내부필터(100)의 수용바디(120)가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는 면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착대(250)는 상기 장착바디(1782)의 면적보다는 크게 구비되고, 상기 장착홀(1781)의 면적보다는 작게 구비되어 상기 장착홀(1781)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장착바디(1782)의 상부면에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삽입바디(220)는 상기 안착대(250)의 내주면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장착바디(1782)에 삽입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삽입바디(220)는 내부에 이물질이 적체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스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삽입바디(220)는 대부분의 면적이 관통홀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홀에 결합되어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는 그물망(24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그물망(240)은 메쉬부재 등으로 구비되어 공기는 통과하되 이물질은 여과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그물망(240)의 그물크기는 상기 메쉬부(140)의 그물크기 보다 더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내부필터(100)는 상대적으로 큰 이물질이 여과되고, 상기 외부필터(200)는 상대적으로 작은 이물질이 여과될 수 있어 필터부(100)가 이물질을 여과하는 성능이 극대화될 수 있다.
상기 삽입바디(220)는 상기 안착바디(210)의 하부에서 연장되어 이물질을 여과하는 제1삽입바디(221)와 상기 제1삽입바디(221)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1삽입바디(221)와 함께 이물질을 적체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2삽입바디(222)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삽입바디(220)는 상기 제1삽입바디(221)와 상기 제2삽입바디(222)가 서로 분리되도록 구비되어 내부가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삽입바디(221)와 상기 제2삽입바디(222)에 여과된 이물질을 사용자가 제거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삽입바디(220) 뿐만 아니라, 상기 안착바디(210)도 서로 분리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안착바디(210)는 상기 제1삽입바디(221)가 결합된 부분과 상기 제2삽입바디(222)가 결합된 부분이 서로 착탈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외부필터(200)는 상기 제1삽입바디(221)와 상기 제2삽입바디(222)의 강성을 보강하며 상기 제1삽입바디(221)와 상기 제2삽입바디(222)가 상기 장착부(178)에 삽입될 때 형상을 유지시키는 강성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성부(250)는 상기 안착바디(210)의 너비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상기 내부필터(100)와 상기 외부필터(200)는 여과하는 이물질의 크기 등이 다르기 때문에 상기 내부필터(100)와 상기 외부필터(200)는 동시에 상기 장착부(178)에 장착되어야 한다.
예를들어, 상기 내부필터(100)만 상기 장착부(178)에 장착되면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이물질은 전부 내부필터(100)를 통과하여 필터부(10)의 기능을 보장할 수 없다. 또한, 상기 외부필터(100)만 상기 장착부(178)에 장착되면 상기 외부필터(200)에 이물질이 집중적으로 적체되어 상기 외부필터(200)로 드럼(2)에서 토출된 공기가 순환덕트(3)로 유입되는 것이 방해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내부필터(100)와 상기 외부필터(200)가 모두 상기 장착부(178)에 장착된 상태에서, 의류처리장치가 작동될 필요가 있다.
도7은 상기 외부필터(200)와 상기 내부필터(100)가 모두 상기 장착부(178)에 장착될 수 있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내부필터(100)와 외부필터(200)가 모두 장착되어야 작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내부필터(100)와 외부필터(200) 중 어느 하나는 나머지 하나가 상기 장착부(178)에 장착되어야 장착이 완료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내부필터(100) 만으로는 상기 장착부(178)에 장착이 완료되지 않을 수 있고, 상기 외부필터(200) 만으로는 상기 장착부(178)에 장착이 완료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내부필터(100)는 상기 외부필터(200)가 없으면 물리적으로 상기 장착부(178)에 장착이 완료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필터(200)는 상기 내부필터(100)가 없으면 물리적으로 상기 장착부(178)에 장착이 완료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내부필터(100)와 상기 외부필터(200)가 상기 장착부(178)에 장착이 완료되지 않았다는 의미는 상기 내부필터(100)와 상기 외부필터(200)가 상기 장착부(178)에 안착시 흔들리거나 진동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필터(100)와 상기 외부필터(200)가 상기 장착부(178)에 장착이 완료되지 않았다는 의미는 상기 내부필터(100)와 상기 외부필터(200)가 상기 장착부(178)에 완전히 장착되지 못하고 상기 투입구(173)를 향하여 인출되는 상태라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상기 내부필터(100)와 상기 외부필터(200) 중 하나만 상기 장착부(178)에 장착한 경우에, 상기 필터부(10)이 장착이 완료되지 않았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사용자에게 상기 내부필터(100)와 상기 외부필터(200) 중 나머지 하나를 상기 장착부(178)에 장착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감지부 또는 신호발생부 등으로 전기적인 제어방식으로 상기 필터부(10)의 장착유무를 감지하기전에 물리적으로 상기 내부필터(100) 또는 상기 외부필터(200)의 단독 장착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의류처리장치에 전기가 공급되지 않는 상태라도 상기 내부필터(100) 또는 상기 외부필터(200)의 단독 장착여부가 확인될 수 있다.
도7을 참조하면, 상기 외부필터(200)는 상기 내부필터(100)가 상기 장착부(178)에 장착되지 않으면 상기 장착부(178)에서 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외부필터(200)는 상기 장착부(178)에서 상기 투입구(173)을 향하여 인출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외부필터(200)는 상기 내부필터(100)가 상기 장착부(178)에 장착되기 전에는 상기 장착부(178)에서 적어도 일부가 이탈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외부필터(200)는 상기 도어(112)가 상기 개구부(111)를 닫는 것을 방해할 정도로 상기 장착부(178)에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외부필터(200)만 상기 장착부(178)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상기 도어(112)가 상기 외부필터(200)에 방해되어 상기 개구부(111)를 닫지 못하기 때문에, 의류처리장치 자체가 작동이 불가능해 질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상기 외부필터(200)만 상기 장착부(178)에 장착하면, 상기 외부필터(200)가 상기 장착부(178)에 장착이 완료되지 않는 것을 발견하고, 상기 내부필터(100)의 장착이 필요하다고 인지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외부필터(200)의 장착유무나, 상기 내부필터(100)까지의 장착유무를 고려하지 않아도, 도어(112) 자체가 닫히는 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외부필터(100)의 장착 완료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외부필터(200)는 상기 장착부(178)에 지지되어 상기 외부필터(200)를 상기 장착부(178)에서 이탈시키는 탄성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260)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재질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외부필터(200)를 상기 장착부(178)에서 인출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8은 상기 외부필터(200)의 구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외부필터(200)는 상기 장착부(178)에 안착되는 안착바디(210)와, 상기 안착바디에서 연장되어 이물질을 여과하는 메쉬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장착부 내부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삽입바디(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260)은 상기 안착바디(210)에 결합되어 상기 안착바디를 상기 장착부(178)에서 이탈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탄성부(260)는 상기 장착부(178)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안착바디(210)를 밀어내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안착바디(210)는 상기 삽입바디(220)에서 외부로 더 연장되어 상기 장착부의 상부면에 안착되는 안착대(25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안착대(250)는 상기 장착바디(1782)의 상부면에 안착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삽입바디(220)는 상기 장착바디(1782) 내부에 수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착대(250)는 상기 장착바디(1782)의 상부면과 나란한 형상으로 구비되어 정합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260)는 상기 안착대(250)의 하면과 상기 장착부(178)의 상부면을 서로 밀어내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260)는 상기 안착대(250)의 하면과 상기 장착바디(1782)의 상부면에 지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178)는 상기 장착바디(1782)의 상부면에서 상기 장착홀(1781)의 내주면을 향해 연장되는 지지면(178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260)는 상기 지지면(1783)과 상기 안착대(250)의 하부면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나머지 하나에 접촉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착대(250)의 하부면에 상기 탄성부(260)가 결합되는 경우에는, 상기 안착대(250)의 양측면 하부면에 상기 탄성부(26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안착바디(210)가 일측으로 기울어져서 상기 장착부(178)에서 인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260)는 상기 안착바디(210)를 상기 장착홀(1781) 보다 상부에 위치시킬 수 있을 만큼 충분한 길이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부필터(200)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부(300)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장착부(178)는 상기 신호발생부(300)를 감지하는 감지부(4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400)는 홀센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신호발생부(300)는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호발생부(300)는 상기 삽입바디(220)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삽입바디(220)의 측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감지부(400)는 상기 장착바디(1782)이 외면에 배치되어 상기 외부필터(200)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외부필터(200)가 상기 장착부(178)에 장착이 완료되었을 때, 상기 감지부(400)와 상기 신호발생부(300)는 서로 같은 높이에 배치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400)가 상기 신호발생부(300)를 감지하였을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의류처리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260)가 상기 안착대(250)를 밀어올려 상기 외부필터(200)가 상기 장착부(178)에서 인출되는 경우, 상기 신호발생부(300)가 상기 감지부(400)에서 이격되어 상기 의류처리장치가 작동 자체를 수행할 수 없는 상태가 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112)가 상기 개구부(111)를 개방한 상태이면, 상기 의류처리장치를 작동시키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외부필터(200)가 상기 내부필터(100) 없이 상기 장착부(178)에 삽입되면, 상기 장착부(178)에 장착 자체도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기 의류처리장치 자체가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내부필터(100)에 상기 신호발생부(300)가 설치되지 않는 경우, 상기 내부필터(100)가 상기 외부필터(200) 없이 상기 장착부(178)에 장착될 때 의류처리장치 자체가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내부필터(100)와 상기 외부필터(200)가 모두 상기 장착부(178)에 장착되었을 때만 작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내부필터(100)와 상기 외부필터(200)가 함께 상기 장착부(178)에 장착되도록 강제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도9는 상기 탄성부(260)가 압축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안착바디(210)가 하부로 가압되면 상기 탄성부(260)는 가압될 수 있다. 상기 안착바디(210)는 사용자 등의 외력에 의해 상기 장착부(178)를 향하여 가압될 수도 있고, 상기 내부필터(100)가 상단에 안착되어 상기 장착부(178)를 향하여 가압될 수도 있다.
상기 안착바디(210)가 가압되면 상기 삽입바디(220)는 상기 장착바디(1782)에 더 깊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삽입바디(220)에 결합된 신호발생부(300)는 상기 삽입바디(220)와 함께 하부로 이동하여 상기 감지부(400)와 중첩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의류처리장치가 작동 가능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안착바디(210)의 외력이 사라지면 상기 탄성부(260)의 탄성력으로 인해 상기 안착바디(210)가 다시 상기 장착부(178)에서 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부(400)와 상기 신호발생부(300)가 이격되어 상기 감지부(400)가 상기 신호발생부(300)를 감지하지 못하므로, 의류처리장치가 작동 불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부필터(100)는 상기 탄성부(260)의 복원력을 극복하며 상기 외부필터(200)를 상기 장착부(178)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10은 상기 내부필터(100)와 상기 외부필터(200)의 안착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10(a)는 상기 내부필터(100)가 상기 외부필터(200)에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10(b)는 상기 내부필터(100)와 상기 외부필터(200)가 상기 장착부(178)에 장착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내부필터(100)는 상기 지지바디(110)를 상기 장착부(178)에 고정하여 상기 탄성부(260)가 가압된 상태를 유지하는 결합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필터(100)가 상기 외부필터(200)에 수용 및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내부필터(100)가 상기 외부필터(200)를 가압하면 상기 탄성부(260)는 압축되고, 상기 외부필터(200)의 안착바디(210)는 상기 장착바디(1782)에 안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부(160)는 상기 내부필터(100)를 상기 장착부(178)에 결합시켜 상기 내부필터(100)와 상기 외부필터(20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외부필터(200)는 상기 장착부(178)에 장착이 완료되고, 상기 내부필터(100)도 상기 결합부(160)에 의해 상기 장착부(178)에 장착이 완료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60)는 상기 장착부(178)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내부필터(100)를 상기 장착부(178)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결합부(160)는 상기 장착바디(1782) 보다 상부에 위치한 상기 장착홀(1781)의 내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60)는 상기 지지바디(110)에서 돌출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바디(110)의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돌출되는 결합후크(16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필터(100)는 상기 장착홀(1781)에 안착되는 안착면(1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면(113)의 양측면은 상기 투입구(173)의 내주면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착면(113)은 안착면(113)은 상기 장착부(178)의 입구를 차폐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연결바디(177)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내부필터(100)가 상기 장착부(178)에 장착이 완료되면 상기 내부필터(100)는 상기 연결바디(177)의 내주면과 상기 지지바디(110)의 상부면이 연속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바디(110)의 상부면이 상기 투입구(173)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도어(112)에 구비되어 상기 투입구(173)에 삽입되는 도어 가스켓 등의 도어 구성은 상기 지지바디(110)에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도어(112)는 상기 지지바디(110)에 간섭되지 않고 상기 개구부(111)를 닫을 수 있다. 한편, 상기 내부필터(100)가 상기 결합부(160)에 의해 상기 장착부(178)에 장착이 완료되면 상기 탄성부(260)를 가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260)는 상기 내부필터(100)가 상기 장착부(178)에 고정되므로 상기 외부필터(200)를 밀어내지 못하고, 상기 외부필터(200)에 가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외부필터(200)는 상기 투입구(173)를 향하여 인출되지 못하고 상기 장착부(178)에 장착이 완료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바디(110)는 상기 안착바디(210)에 안착되어 상기 탄성부(260)를 가압하는 외력을 전달할 수 있고, 상기 결합부(160)는 상기 지지바디(110)의 양측면에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디(110)에서 연장되어 이물질을 여과하는 메쉬부재가 설치되는 수용바디(120)는 상기 지지바디(110)가 상기 안착바디(210)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외부필터(200)에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내부필터(100)는 상기 장착홀(1781)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내부필터(100)는 상기 내부필터가 단독으로 상기 장착부에 장착되면, 상기 내부필터가 상기 장착부에 정합되지 않거나 흔들리게 장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내부필터(100) 중 상기 내부필터의 외면은 상기 장착홀(178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지만, 상기 내부필터(100)의 하부면과 상기 장착홀(1781)의 입구는 흔들리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용바디(120)의 단면적은 상기 장착덕트(1782)의 단면적 보다 훨씬 작게 구비되어, 상기 수용바디(120) 만 상기 장착덕트(1782)에 수용되면 상기 수용바디(120)는 전방 또는 후방으로 흔들릴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내부필터(100)는 상기 결합부(160)를 기준으로 진자운동을 할 수 있다.
상기 지지바디(110)의 표면은 상기 연결바디(177)와 일체감을 줄수있도록 구비될 수 있으나, 상기 지지바디(110)의 안착면(113)과 상기 장착홀(1781)의 외주면은 정확히 정합되도록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안착면(113)은 상기 장착홀(1781)을 차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지만, 상기 수용바디(120)가 흔들리면 상기 장착홀(1781)의 외주면에서 흔들릴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착면(113)의 하부면은 두께방향 또는 투입구(111)의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곡면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장착홀(1781)이 둘레도 상기 안착면(113)이 흔들릴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용바디(120)가 상기 장착덕트(1782) 내부에서 흔들리면 상기 지지바디(110)도 상기 장착홀(1781)에서 흔들릴 수 있다.
이로써, 내부필터(100)가 상기 장착홀(1781)에 고정되지 못하므로 사용자는 상기 외부필터(200)가 필요하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고, 상기 내부필터(100)를 상기 외부필터(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외부필터(200)는 상기 내부필터(100)가 흔들리지 않도록 내부필터(100)를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필터(200)는 상기 장착부(178)에 안착되면 상기 장착부(178)에 흔들리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외부필터(200)의 안착바디(210)의 상부면은 상기 내부필터(100)의 지지바디(110)의 하부면 또는 상기 지지바디(110)의 안착면(113)의 하부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안착바디(210)는 상기 지지바디(110) 또는 상기 안착면(113)과 면접촉하여 상기 지지바디(110)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바디(210)의 하부면은 상기 장착덕트(1782)의 상부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장착덕트(1782)에 면접촉되어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안착바디(210)는 상기 장착부(178)에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삽입바디(220)의 외주면 단면은 상기 장착바디(1782)의 내부 단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삽입바디(220)는 상기 장착바디(1782)에 접촉되어 지지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삽입바디(220)는 상기 장착바디(1782)에 수용되면 상기 장착바디(1782)에서 흔들리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바디(220)는 내면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용바디(120)의 외면을 면접촉하여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삽입바디(220)의 내면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수용바디(120)의 양면(또는 전후면)을 면접촉하여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용바디(120)은 상기 삽입바디(220)에 수용되면 흔들리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삽입바디(220)의 내주면 단면은 상기 수용바디(120)의 외주면 단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고 면적도 대응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수용바디(120)가 상기 삽입바디(220) 내부에서 독립적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외부필터(200)는 상기 내부필터(100)를 상기 장착부(178)에 고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내부필터(100)는 상기 외부필터(200)가 상기 장착부(178)에 장착되어야만 물리적으로 상기 장착부(178)에 장착 및 고정이 완료될 수 있고, 상기 외부필터(200)는 상기 내부필터(100)가 상기 장착부(178)에 장착되어야만 물리적으로 상기 장착부(178)에 장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내부필터(100)에 상기 신호발생부(300)가 설치되지 않고, 상기 외부필터(200)에만 상기 신호발생부(300)가 설치된 경우에는, 내부필터(100)만으로는 상기 의류처리장치가 작동되는 상태를 만들수 없으므로, 상기 외부필터(200)가 반드시 상기 장착부(178)에 장착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내부필터(100)의 결합부(160)는 A영역과 같이 상기 결합후크(1613)가 상기 장착부(178)에 장착되거나 탈착되도록 조절하는 안내케이스(115)를 포함하고, B영역과 같이 상기 장착부(178)와 상기 결합후크(1613)를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는 구성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도11은 상기 결합부(160)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결합부(160)는 상기 지지바디(110)에서 상기 장착홈(1781)의 내면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결합리브(16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후크(1613)은 상기 결합리브(161)의 말단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디(110)는 내부 또는 내면에 상기 결합리브(161)가 왕복이동하도록 지지하는 이동레일(1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레일(114)는 상기 지지바디(110)의 너비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리브(161)는 상기 지지바디의 양측면에서 상기 장착홈의 내면을 향하여 왕복이동 가능하도록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후크(1613)는 상기 복수의 결합리브(161)의 말단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결합리브(161)는 상기 안내케이스(115)를 기준으로 각각 상기 지지바디(110)의 측면을 향하여 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안내케이스(115)의 일측에 배치되는 결합리브(161)는 상기 지지바디(110)의 일측면을 향하여 왕복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안내케이스(115)의 타측에 배치되는 결합리브(161)는 상기 지지바디(110)의 타측면을 향하여 왕복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178)는 상기 장착홀(1781)의 내면에 상기 결합리브(161)의 말단에 배치된 결합후크(1613)가 수용되어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홀(178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리브(161)는 상기 결합홀(1785)로 이동하여, 상기 결합후크(1631)가 상기 결합홀(1785)에 충분한 길이로 삽입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결합후크(1631)에 상기 드럼(2) 등에서 발생한 진동이나 일시적인 충격이 가해지게 되더라도 상기 결합후크(1631)가 상기 결합홀(1785)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필터부(10)가 상기 장착부(178)에 안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고,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이 의도치 않게 중단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리브(161)는 상기 안내케이스(115)로 이동하여 상기 결합후크(1631)를 상기 결합홀(1785)에서 완전히 인출할 수도 있다. 이로써, 상기 내부필터(100)를 상기 장착부(178)에서 분리할 때 상기 장착부(178)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60)는 상기 복수의 결합리브(161)를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결합리브를 상기 지지바디의 양측면을 향하여 밀어내는 탄성부재(1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162)는 상기 결합후크(1613)가 상기 결합홀(1785)에 삽입되도록 상기 결합리브(161)를 밀어낼 수 있으며, 상기 안내케이스(115)에 상기 결합리브(161)를 밀어내는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162)는 상기 결합리브(161)가 상기 결합홀(1785)에서 인출될 때 상기 복수의 결합리브(161) 사이에서 압축되어 다시 상기 결합리브(161)를 밀어내는 힘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결합리브(161)는 사용자에 의해 외력이 전달되면 상기 탄성부재(162)를 가압하면서 상기 장착부(178)에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결합리브(161)는 상기 탄성부재(162)에 의해 다시 상기 지지바디(110)의 외부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의 결합리브(161)는 상기 탄성부재(162)가 결합되는 푸시단(1611)과, 상기 푸시단(1611)의 하부에서 상기 지지바디(110)의 양측면을 향하여 연장되며 말단에 상기 결합후크(1613)가 말단에 구비되는 연장리브(16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푸쉬부(1611)은 상기 안내케이스(115)에 노출되어 사용자가 가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푸쉬부(1611)은 상기 안내케이스(115)에서 왕복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안내케이스(115)의 양측면에 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장리브(1612)는 상기 푸시단(1611)의 하부에서 상기 지지바디(110)의 측면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장리브(1612)는 푸쉬부(1611)과 일체로 움직일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162)는 상기 안내케이스(115)에 수용되어 복수의 상기 푸쉬부(161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레일(114)은 상기 연장리브(1612)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연장리브(1612)가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결합리브(161)는 상기 안내케이스(115)와 상기 이동레일(114)에 의해 왕복이동하도록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안내케이스(115)는 상기 푸쉬부(1611)의 상부와 전면 또는 후면을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푸쉬부(1611)의 측면이 노출되도록 양측면이 개방된 덕트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푸쉬부(1611)의 측면은 상기 개구부(112)에 의해 노출될 수 있고, 상기 차단리브(111)는 상기 안내케이스(115)에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푸쉬부(1611)의 측면을 사용자가 가압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결합리브(161)는 같은 길이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안내케이스(115)는 상기 지지바디(110)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같은 힘을 가하여 복수의 결합리브(161)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결합리브(161)가 상기 결합홀(1785)에 안착되면, 상기 필터부(10)에 배치된 신호발생부(300)는 상기 장착부(178)에 결합된 감지부(400)와 나란한 높이에 배치되어 서로 중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리브(161)가 상기 결합홀(1785)에서 분리되면, 상기 탄성부(26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필터부(10)는 상기 장착부(178)에서 인출되어 상기 신호발생부(300)는 상기 감지부(400) 보다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푸쉬부(1611)과 상기 연장단(1612), 상기 결합후크(1613)는 일체로 구비될 수 있으며, 수지계열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안내케이스(115)는 상기 탄성부재(162)를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결합리브(161)는 상기 안내케이스(115)에서 상기 결합후크(1613)가 상기 장착홈에서 완전히 인출 또는 분리되는 인출길이 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162)는 상기 인출길이 보다 더 길게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안내케이스(115)의 너비도 상기 인출길이보다는 더 길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리브(161)는 상기 결합후크(1613)가 상기 결합홀(1785)에 삽입되면, 상기 탄성부(260)를 가압하는 힘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결합리브(161)의 강성은 상기 탄성부(260)가 제공하는 탄성력보다 더 크기 때문에 충분히 상기 탄성부(260)를 가압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결합부(160)는 상기 외부필터(200)를 상기 장착부(178)에 장착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도12는 상기 결합리브의 작동방식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결합리브(161)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안내케이스(115)와 이동레일(114)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안내케이스(115)에는 상기 결합리브(161)의 푸쉬부(1611)가 너비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복수의 결합리브(161)는 인출길이 이상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결합리브(161)에 각각 구비되는 푸쉬부(1611)도 상기 안내케이스(115)에서 인출길이만큼 왕복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12(a)를 참조하면, 상기 푸쉬부(1611)는 상기 탄성부재(162)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일면이 개방된 케이스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푸쉬부(1611)는 상기 탄성부재(162)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돌기(1611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푸쉬부(1611)은 상기 연장리브(1612)에서 연장되거나 결합되는 연결면(1611c)와, 상기 연결면(1611c)에서 연장되어 사용자에게 가압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고정돌기(1611d)가 설치되는 가압면(1611b), 상기 가압면(1611b)에서 상기 안내케이스(115)에 지지되도록 연장되는 연장면(1611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면(1611b)에 맞은편에 구비되어 상기 탄성부재(162)가 수용되는 개방면은 복수의 푸쉬부(1611)에서 서로 마주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장리브(1612)와 상기 푸쉬부(1611)의 내면은 인출길이 보다 두배의 길이 이상 만큼 더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상기 하나의 연장리브(1612)도 인출길이 이상으로 움직여야 상기 결합홀(1785)에서 분리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왼쪽에 있는 연장리브(1612)도 인출길이 이상으로 오른쪽으로 이동하고, 오른쪽에 있는 연장리브(1612)도 인출길이 이상으로 왼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12(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상기 안내케이스(115)의 양측면에 노출된 상기 가압면(1611b)를 가압하면 왼쪽에 있는 푸쉬부(1611)와 오른쪽에 있는 푸쉬부(1611)는 서로 가까워진다. 이로써, 복수의 연장리브(1612)도 가까워질 수 있고, 상기 결합후크(1613)는 상기 결합홀(1785)에서 인출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1612)는 상기 푸쉬부(1611)들이 가까워지면서 압축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1612)는 상기 가압면(1611b)이 가압되는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탄성부(1612)는 상기 푸쉬부(1611)를 밀어내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결합부(160)는 별도의 전자제어 없이도 작동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푸쉬부(1611) 중 상기 안내케이스(115)의 양측에 노출된 가압면(1611b)을 선택적으로 누르는 것을 통해, 상기 내부필터(100)를 상기 장착부(178)에 장착하거나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필터(100)는 상기 결합부(160)를 통해 상기 외부필터(200)가 상기 장착부(178)에 장착을 완료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전술한 물리적인 방식 외에도, 전자제어적인 방식으로 상기 내부필터(100)와 상기 외부필터(200)가 동시에 결합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예를들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내부필터(100) 및 상기 외부필터(200)가 동시에 상기 장착부(178)에 장착되지 않으면 작동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상기 내부필터(100) 또는 상기 외부필터(200), 상기 장착부(178) 중 어느 하나에는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발생부(300)가 설치되고, 상기 장착부(178)는 상기 신호발생부(300)를 감지하여 상기 필터부(10)의 장착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호발생부(300)는 상기 장착부, 상기 외부필터, 상기 내부필터 중 어느 하나의 일면을 따라 왕복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신호발생부(300)는 슬라이드 이동방식으로 위치가 가변되어 상기 감지부(400)와 중첩되거나 완전히 이격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감지부(400)가 상기 신호발생부(300)의 위치변화를 보다 확실하게 감지하여 상기 필터부(10)의 장착여부를 더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발생부(300)가 높이방향 또는 상기 필터부(10)의 삽입 및 인출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 상기 필터부(10)의 삽입이나 인출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상기 필터부(10)와 접촉하며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신호발생부(300)는 상기 외부필터(100) 또는 상기 내부필터(200)가 상기 장착부(178)에 안착될 때 상기 감지부(400)를 향하여 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발생부(300)는 상기 외부필터(100) 또는 상기 내부필터(200)가 상기 장착부(178)에 인출될 때 상기 감지부(400)에서 중첩되지 않도록 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신호발생부(300)의 신뢰성 및 응답성이 확보될 수 있다.
도13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신호발생부(300)는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마그넷(320)와, 상기 마그넷(320)이 왕복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안내레일(310)과, 상기 안내레일(310)에 설치되어 상기 마그넷(320)를 지지하는 복원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내레일(310)은 상기 감지부(400)와 중첩되는 위치에서 상기 감지부(400)와 중첩되지 않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안내레일(310)을 일단이 상기 감지부(400)와 중첩되어 위치하고 타단이 상기 감지부(400)와 중첩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넷(320)은 상기 안내레일(310)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왕복이동하도록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넷(320)은 상기 안내레일(310)에서 상기 감지부(400)와 중첩되지 않는 곳에 위치하다가 상기 필터부(10)에 의해 상기 감지부(400)와 중첩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복원부(330)는 상기 안내레일(310)에 수용되어 상기 마그넷(320)를 상기 감지부(400)와 중첩되지 않는 위치로 밀어낼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원부(330)는 스프링과 같이 탄성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400)는 상기 장착덕트(1782)의 외면에서 상기 안내레일(310)의 특정 영역과 중첩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감지부(400)가 상기 필터부(10)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다면 상기 감지부(400)는 상기 장착덕트(1782)의 내면에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도13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신호발생부와 감지부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신호발생부(300)와 상기 감지부(400)는 모두 장착부(178)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신호발생부(300)는 상기 장착부(178)의 내주면에 구비되고, 상기 외부필터(200)에 의해 상기 감지부(400)를 향하여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신호발생부(300) 중 상기 안내레일(310)은 상기 장착덕트(1782)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장착덕트(1782)의 내부에 노출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장착덕트(1782)의 외부를 향하여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내레일(310)은 상기 장착덕트(1782)의 상부면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안착바디(210)가 상기 장착덕트(1782)에 지지될 때 상기 안착바디(210) 보다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넷(320)은 상기 외부필터(200)가 결합될 때 상기 외부필터(200)에 접촉되어 상기 안내레일(310)의 하부로 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장착부(178)에 신호발생부와 감지부가 모두 설치됨으로써, 상기 필터부(10)를 비교적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고, 상기 필터부(10)를 용이하게 수리 및 교체할 수도 있다.
도14는 도13의 신호발생부와 감지부의 작동방식을 도시한 것이다.
도14(a)는 외부필터(200)가 상기 장착부(178)에 장착되기 시작하는 단면을 사시도로 표시한 것이며, 도14(b)는 상기 단면을 정면에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안내레일(310)은 상기 장착덕트(1782) 내부에 상기 마그넷(320)이 노출될 수 있는 덕트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내레일(310)은 상기 지지면(1783) 보다 하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넷(320)은 일부는 상기 안내레일(310)에 수용되도록 구비되고 일부는 상기 안내레일(310)에서 상기 장착덕트(1782)의 내부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안착바디(210) 또는 상기 삽입바디(220) 중 어느하나에 접촉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원부(330)은 상기 안내레일(310)의 내부 하면에 지지되어 상기 마그넷(320)을 상부로 밀어올리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400)는 상기 안내레일(310)의 외부에서 상기 안내레일(310)과 중첩되도록 배치되되 상기 안내레일(310)의 하부에 치우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400)는 상기 외부필터(200)가 장착되어 상기 외부필터(200)가 상기 마그넷(320)을 가압하였을 때 상기 마그넷(320)과 마주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400)는 상기 장착덕트(1782)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외부필터(200)는 상기 장착덕트(1782)에 삽입될 때 상기 마그넷(320)을 가압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드렁, 상기 안착바디(210)의 하부면이 상기 마그넷(320)을 가압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삽입바디(220) 등 외부필터(200)의 다른 구성이 마그넷(320)을 가압하여도 무방하다.
이로써, 상기 안착대(250)가 상기 장착덕트(1782)의 상부면에 안착될 때까지 상기 외부필터(200)가 상기 장착덕트(1782)에 삽입되면, 상기 안착바디(210)의 하부면은 상기 마그넷(320)을 상기 감지부(400)와 중첩될 수 있도록 하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감지부(400)는 상기 마그넷(320)을 감지함을 통해 상기 외부필터(200)가 상기 장착부(178)에 장착이 완료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부필터(200)에 탄성부(260)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탄성부(260)가 상기 외부필터(200)를 상부로 밀어올리게 되면, 상기 외부필터(200)는 상기 마그넷(320)을 더 이상 가압하지 못하므로, 상기 마그넷(320)은 상기 복원부(330)에 의해 상부로 상승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감지부(400)는 상기 마그넷(320)을 감지하지 못하고, 제어부는 상기 외부필터(200)가 상기 장착부(178)에 장착이 완료되지 않았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필터(100)가 상기 장착부(178)에 장착이 완료되어야 상기 외부필터(200)가 장착이 완료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400)가 하나의 신호발생부(300)를 통해 상기 내부필터(100)오 상기 외부필터(200)가 동시에 장착되었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400)가 상기 마그넷(320)을 감지하지 못하는 것만으로 상기 내부필터(100)와 상기 외부필터(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장착부(178)에 장착되지 못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고,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을 허용하지 않을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는 상기 내부필터(100)와 상기 외부필터(200)를 모두 상기 장착부(178)에 장착하도록 유도될 수 있다.
도15는 상기 신호발생부와 감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신호발생부(300)는 상기 외부필터(20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신호발생부(300)는 상기 내부필터(100)에 의해 하부로 이동하도록 상기 외부필터(200)의 내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400)는 상기 장착부(178)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400)는 상기 외부필터(200)가 상기 장착부(178)에 장착이 완료되고, 상기 내부필터(100)가 상기 외부필터(200)에 장착되면 상기 신호발생부(300)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신호발생부(300)는 상기 외부필터(20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안내레일(310)은 상기 삽입바디(220)의 내면에 구비되어 상기 마그넷(320)이 상기 삽입바디(220)의 내부에 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내레일(310)은 상기 삽입바디(220)의 내면에서 상하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구비될수 있다.
상기 삽입바디(220)가 두개로 분리될 수 있는 경우에는, 상기 안내레일(310)는 어느 하나의 삽입바디(220)에만 결합되어 상기 삽입바디(220)가 분리되고 다시 결합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마그넷(320)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안내레일(310)에 수용되어 상기 안내레일(310)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원부(330)은 상기 안내레일(310)의 내부 하면에 ?첫姆퓸? 상기 마그넷(320)을 상부로 밀어내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넷(320)은 상기 내부필터(100)와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안내레일(310)에서 적어도 일부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내레일(310)은 상기 마그넷(320)의 양면을 지지하는 슬릿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마그넷(320)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단턱을 추가로 구비할 수도 있다.
이로써, 상기 내부필터(100)가 상기 외부필터(200)에 수용되면 상기 내부필터(100)는 상기 마그넷(320)을 상기 안내레일(310)의 하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외부필터(200)가 상기 내부필터(100)를 수용한 체로 상기 장착부(178)에 장착되면 상기 마그넷(320)이 상기 감지부(400)와 중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감지부는 상기 마그넷(320)을 감지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부필터(100)와 상기 외부필터(200)가 동시에 상기 장착부(178)에 결합되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외부필터(200)가 상기 내부필터(100)를 수용하지 않고 상기 장착부(178)에 장착되면 상기 마그넷(320)은 상기 안내레일(310)이 상부로 이동하여 상기 감지부(400)와 중첩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내부필터(100)만 상기 장착부(178)에 장착되면 상기 감지부(400)는 상기 마그넷(320)을 감지할 수 없다.
따라서,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400)가 상기 마그넷(320)을 감지하지 못하는 것만으로 상기 내부필터(100)와 상기 외부필터(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장착부(178)에 장착되지 못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고,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을 허용하지 않을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는 상기 내부필터(100)와 상기 외부필터(200)를 모두 상기 장착부(178)에 장착하도록 유도될 수 있다.
도16은 도15의 내부필터(100)가 상기 마그넷(320)을 하부로 이동시키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내부필터(100)는 상기 외부필터(200)에 수용되는 과정에서 상기 마그넷(320)을 가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내부필터(100)는 외면에 상기 신호발생부(300) 중 마그넷(320)을 하부로 밀어내도록 돌출되는 상부돌기(125)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수용바디(120)는 상기 마그넷(320)을 가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돌기(125)는 상기 수용바디(120)는 외면에 상기 마그넷(320)과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돌기(125)는 상기 내부필터(100)가 상기 외부필터(200)로 삽입되는 과정 중 적어도 일부에서 상기 마그넷(310)과 접촉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외부필터(200)에 상기 내부필터(100)가 수용이 완료되면, 상기 마그넷(310)을 최대로 하강시킬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돌기(125)는 상기 수용바디(120)의 측면에서 외부를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수용바디(120)가 상기 외부필터(200)에 수용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상부돌기(125)가 상기 마그넷(320)을 가압하면 상기 복원부(330)는 압축될 수 있다.
이상태에서 상기 외부필터(200)가 상기 장착부(178)에 장착되면 상기 마그넷(320)은 상기 감지부(400)와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17은 상기 신호발생부와 감지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신호발생부(300)는 상기 내부필터(10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신호발생부(300)는 상기 외부필터(200)에 의해 상부로 이동하도록 상기 내부필터(100)의 외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400)는 상기 장착부(178)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400)는 상기 외부필터(200)가 상기 장착부(178)에 장착이 완료되고, 상기 내부필터(100)가 상기 외부필터(200)에 장착되면 상기 신호발생부(300)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신호발생부(300)는 상기 내부필터(100)의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안내레일(310)은 상기 수용바디(120)의 외면에 구비되어 상기 마그넷(320)이 상기 수용바디(120)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내레일(310)은 상기 수용바디(120)의 외면에서 상하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용바디(120)가 두개로 분리될 수 있는 경우에는, 상기 안내레일(310)는 어느 하나의 수용바디(120)에만 결합되어 상기 수용바디(120)가 분리되고 다시 결합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마그넷(320)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안내레일(310)에 수용되어 상기 안내레일(310)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원부(330)은 상기 안내레일(310)의 내부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마그넷(320)을 하부로 밀어내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넷(320)은 상기 외부필터(200)와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안내레일(310)에서 적어도 일부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내레일(310)은 상기 마그넷(320)의 양면을 지지하는 슬릿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마그넷(320)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단턱을 추가로 구비할 수도 있다.
이로써, 상기 내부필터(100)가 상기 외부필터(200)에 수용되면 상기 외부필터(200)는 상기 마그넷(320)을 상기 안내레일(310)의 상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외부필터(200)가 상기 내부필터(100)를 수용한 체로 상기 장착부(178)에 장착되면 상기 마그넷(320)이 상기 감지부(400)와 중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감지부는 상기 마그넷(320)을 감지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부필터(100)와 상기 외부필터(200)가 동시에 상기 장착부(178)에 결합되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외부필터(200)가 상기 내부필터(100)를 수용하지 않고 상기 장착부(178)에 장착되면 상기 감지부(400)는 상기 마그넷(320)을 감지할 수 없다.
또한, 상기 내부필터(100)만 상기 장착부(178)에 장착되면, 상기 마그넷(320)이 상부로 이동하지 않아 상기 감지부(400)와 중첩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400)가 상기 마그넷(320)을 감지하지 못하는 것만으로 상기 내부필터(100)와 상기 외부필터(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장착부(178)에 장착되지 못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고,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을 허용하지 않을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는 상기 내부필터(100)와 상기 외부필터(200)를 모두 상기 장착부(178)에 장착하도록 유도될 수 있다.
도18은 도17의 외부필터(200)가 상기 마그넷(320)을 하부로 이동시키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외부필터(200)는 상기 내부필터(100)를 수용하는 과정에서 상기 마그넷(320)을 가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삽입바디(220)는 상기 마그넷(320)을 가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외부필터(200)는 내면에 상기 신호발생부(300)의 마그넷(320)을 상부로 밀어내도록 돌출되는 하부돌기(2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바디(220)는 내면에 상기 마그넷(320)과 접촉하도록 구비되는 하부돌기(2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돌기 225)는 상기 내부필터(100)가 상기 외부필터(200)로 삽입되는 과정 중 적어도 일부에서 상기 마그넷(310)과 접촉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외부필터(200)에 상기 내부필터(100)가 수용이 완료되면, 상기 마그넷(310)을 최대로 상승시킬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돌기(225)는 상기 삽입바디(220)의 측면에서 내부를 향하여 돌출되되, 상기 내부필터(100)에 접촉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내부필터(100)가 상기 외부필터(200)에 수용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하부돌기(225)가 상기 마그넷(320)을 가압하면 상기 복원부(330)는 압축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외부필터(200)가 상기 장착부(178)에 장착되면 상기 마그넷(320)은 상기 감지부(400)와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 캐비닛 2 드럼 3 순환덕트
4 열교환부 5 여과부
6 세척부 7 저수부
10 필터부
100 내부필터 110 지지바디 120 수용바디
160 결합부 161 결합리브 162 탄성부
200 외부필터 210 안착바디 220 삽입바디 260 탄성부
300 신호발생부
310 안내레일 320 마그넷 330 복원부
400 감지부

Claims (30)

  1. 전방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개구부와 연통하는 투입구를 구비하며 의류가 수용되는 드럼;
    상기 캐비닛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투입구에서 배출된 공기를 상기 드럼 외부에서 순환시켜 상기 드럼으로 재공급하는 순환덕트;
    상기 순환덕트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에서 수분을 응축하거나, 상기 공기를 가열하는 하나 이상의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열공급부;
    상기 투입구와 상기 순환덕트를 연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드럼 내부의 공기를 상기 순환덕트로 안내하는 장착부;
    상기 장착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공기에서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장착부에 안착되어 상기 순환덕트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여과하는 외부필터와,
    상기 외부필터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장착부에 장착되는 내부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필터는
    상기 내부필터가 상기 장착부에 장착되기 전에는 상기 장착부에서 적어도 일부가 이탈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에 결합되어 외부에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부;
    상기 장착부에 구비되어 상기 신호발생부를 감지하도록 구비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가 상기 신호발생부를 감지하면, 상기 열공급부와 상기 구동부 중 하나 이상의 구동을 허용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발생부는 상기 외부필터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필터는
    상기 장착부에 안착되는 안착바디와,
    상기 안착바디에서 연장되어 이물질을 여과하는 메쉬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장착부 내부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삽입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안착바디를 상기 장착부에서 이탈시키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안착바디를 상기 장착부에서 인출하여 상기 도어가 상기 개구부를 닫는 것을 방해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바디는 상기 탄성부에 의해 상기 투입구 내부까지 돌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바디는 상기 삽입바디에서 외부로 더 연장되어 상기 장착부의 상부면에 안착되는 안착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안착대의 하면에 결합되어 상기 장착부의 상부면에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필터는
    상기 안착바디에 안착되어 상기 탄성부를 가압하는 지지바디와,
    상기 지지바디에서 연장되어 이물질을 여과하는 메쉬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외부필터 내부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수용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바디를 상기 장착부에 고정시켜 상기 탄성부를 가압하는 상태를 유지시키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투입구의 내주면을 관통하여 상기 필터부가 지지되는 장착홈과,
    상기 장착홈에서 상기 순환덕트까지 연장되어 상기 필터부를 수용하며 외주면에 상기 감지부가 설치되는 장착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지지바디의 측면에 돌출되어 상기 장착홈의 내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지지바디에서 상기 장착홈의 내면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결합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후크는 상기 결합리브의 말단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지지바디의 양측면에서 상기 장착홈의 내면을 향하여 왕복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의 결합리브와,
    상기 복수의 결합리브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결합리브를 상기 지지바디의 양측면을 향하여 밀어내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후크는 상기 복수의 결합리브의 말단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결합리브는
    상기 탄성부재가 결합되는 푸시단과,
    상기 푸시단의 하부에서 상기 지지리브의 양측면을 향하여 연장되며 말단에 상기 결합후크가 구비되는 연장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바디는
    상부면에 상기 탄성부재를 수용하며 양측에 상기 푸시단을 노출시키는 안내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결합리브는 상기 안내케이스에서 상기 결합후크가 상기 장착홈에서 분리되는 길이 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디는
    너비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복수의 결합리브를 안내하는 이동레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결합부가 상기 지지바디를 상기 장착부에 고정할 때 상기 신호발생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전방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개구부와 연통하는 투입구를 구비하며 의류가 수용되는 드럼;
    상기 캐비닛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투입구에서 배출된 공기를 상기 드럼 외부에서 순환시켜 상기 드럼으로 재공급하는 순환덕트;
    상기 순환덕트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에서 수분을 응축하거나, 상기 공기를 가열하는 하나 이상의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열공급부;
    상기 투입구와 상기 순환덕트를 연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드럼 내부의 공기를 상기 순환덕트로 안내하는 장착부;
    상기 장착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공기에서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장착부에 안착되어 상기 순환덕트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여과하는 외부필터와,
    상기 외부필터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장착부에 장착되는 내부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필터와 상기 내부필터 중 어느 하나는 나머지 하나가 상기 장착부에 장착되어야 상기 장착부에 장착이 완료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필터가 단독으로 상기 장착부에 장착되면, 상기 내부필터가 상기 흔들리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필터는
    상기 외부필터의 상부면에 안착되는 지지바디와,
    상기 지지바디에서 연장되어 상기 외부필터 또는 상기 장착부에 적어도 일부 삽입 가능하게 구비되는 수용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바디는 상기 장착부에 장착되면 상기 장착부의 상부면에서 흔들리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필터는 상기 내부필터를 고정하며 수용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필터는 상기 장착부에 흔들리지 않고 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안착바디와,
    상기 안착바디에서 연장되어 상기 장착부에 안착되며 상기 수용바디를 수용하는 삽입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바디의 내면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수용바디의 외면을 접촉하여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필터는 상기 내부필터가 상기 장착부에 장착되지 않으면 상기 장착부에서 인출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필터는 상기 장착부에서 상기 투입구를 향하여 인출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필터는 상기 외부필터를 가압하며 상기 장착부에 고정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필터는 상기 도어가 상기 개구부를 닫는 것을 방해하도록 상기 장착부에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4. 전방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개구부와 연통하는 투입구를 구비하며 의류가 수용되는 드럼;
    상기 캐비닛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투입구에서 배출된 공기를 상기 드럼 외부에서 순환시켜 상기 드럼으로 재공급하는 순환덕트;
    상기 순환덕트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에서 수분을 응축하거나, 상기 공기를 가열하는 하나 이상의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열공급부;
    상기 투입구와 상기 순환덕트를 연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드럼 내부의 공기를 상기 순환덕트로 안내하는 장착부;
    상기 장착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공기에서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에 결합되어 외부에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부;
    상기 장착부에 구비되어 상기 신호발생부를 감지하도록 구비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가 상기 신호발생부를 감지해야 상기 열공급부와 상기 구동부 중 하나 이상의 구동을 허용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장착부에 안착되어 상기 순환덕트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여과하는 외부필터와,
    상기 외부필터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장착부에 장착되는 내부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발생부는
    상기 장착부, 상기 외부필터, 상기 내부필터 중 어느 하나의 일면을 따라 왕복이동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외부필터 또는 상기 내부필터가 상기 장착부에 안착될 때 상기 감지부를 향하여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발생부는 상기 장착부의 내주면에 구비되고, 상기 외부필터에 의해 상기 감지부를 향하여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발생부는 상기 내부필터에 의해 하부로 이동하도록 상기 외부필터의 내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필터는 외면에 상기 신호발생부를 하부로 밀어내도록 돌출되는 상부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발생부는 상기 외부필터에 의해 상부로 이동하도록 상기 내부필터의 외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필터는 내면에 상기 신호발생부를 상부로 밀어내도록 돌출되는 하부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0.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발생부는
    상기 감지부를 반응시키는 마그넷과,
    상기 마그넷을 상하로 이동하도록 상기 장착부의 내면, 상기 외부필터, 상기 내부필터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안내레일과,
    상기 안내레일에 설치되어 상기 마그넷을 상부 또는 하부로 밀어내는 복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220021395A 2022-02-18 2022-02-18 의류처리장치 KR2023012428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1395A KR20230124283A (ko) 2022-02-18 2022-02-18 의류처리장치
PCT/KR2023/002177 WO2023158202A1 (ko) 2022-02-18 2023-02-15 의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1395A KR20230124283A (ko) 2022-02-18 2022-02-18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4283A true KR20230124283A (ko) 2023-08-25

Family

ID=87578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1395A KR20230124283A (ko) 2022-02-18 2022-02-18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24283A (ko)
WO (1) WO2023158202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4464A (ko) * 2007-09-04 2009-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의 린트 필터 감지장치
JP6400406B2 (ja) * 2014-09-17 2018-10-03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衣類乾燥機
WO2019145041A1 (en) * 2018-01-26 2019-08-01 Electrolux Laundry Systems Sweden Ab Tumble dryer
KR20200046411A (ko) * 2018-10-24 2020-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210128703A (ko) * 2020-04-17 2021-10-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58202A1 (ko) 2023-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48583B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U2016384523B2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US8418509B2 (en) Laundry treating machine
KR101396971B1 (ko) 스팀건조기
US8230613B2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US20110005279A1 (en) Laundry treat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101993226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374853B1 (ko) 건조기
KR102361128B1 (ko) 건조기
WO2009020313A2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KR20100099445A (ko) 세탁 장치
CN101205680A (zh) 洗衣机
CN102099523B (zh) 衣物处理设备
KR20220014610A (ko) 의류처리장치
EP2213781B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KR20090105119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EP2799612B1 (en) Heat pump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20210077523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210128702A (ko) 의류 건조기
KR20230124283A (ko) 의류처리장치
CN114829698B (zh) 衣物处理设备和控制衣物处理设备的方法
KR20210103105A (ko) 의류 처리장치
KR20210077524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1430458B1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014623A (ko) 의류처리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