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2511A - 배낭형 자세 교정기 및 이를 이용한 자세 교정 방법 - Google Patents

배낭형 자세 교정기 및 이를 이용한 자세 교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2511A
KR20230122511A KR1020220088254A KR20220088254A KR20230122511A KR 20230122511 A KR20230122511 A KR 20230122511A KR 1020220088254 A KR1020220088254 A KR 1020220088254A KR 20220088254 A KR20220088254 A KR 20220088254A KR 20230122511 A KR20230122511 A KR 202301225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houlder
correction
pulling
str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8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재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앤오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앤오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앤오코퍼레이션
Priority to PCT/KR2023/001871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153814A1/ko
Publication of KR20230122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251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6Back straightening devices with shoulder braces to force back the shoulder to obtain a correct curvature of the spi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23Arrangement of fasteners with elongated profiles fastened by sliders
    • A45C13/103Arrangement of zip-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0Straps;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를 교정하는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의 등에 접하는 배낭 타입의 교정부와, 상기 교정부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어깨가 걸림되며 사용자의 양 팔로 당길 수 있는 스트랩부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교정부를 사용자의 등에 착용한 상태에서 스트랩부를 당기면 사용자의 등이 교정부에 밀착되게 하여 사용자의 등이 펴지게 하고 이러한 작용에 의해 굽은 등 교정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배낭형 자세 교정기 및 이를 이용한 교정 방법이다.

Description

배낭형 자세 교정기 및 이를 이용한 자세 교정 방법{POSTURE CORRECTOR OF BACKPACK TYPE AND POSTURE CORRECTING METHOD BY THE SAME}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를 교정하는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의 등에 접하는 배낭 타입의 교정부와, 상기 교정부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어깨가 걸림되며 사용자의 양 팔로 당길 수 있는 스트랩부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교정부를 사용자의 등에 착용한 상태에서 스트랩부를 당기면 사용자의 등이 교정부에 밀착되게 하여 사용자의 등이 펴지게 하고 이러한 작용에 의해 굽은 등 교정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배낭형 자세 교정기 및 이를 이용한 교정 방법이다.
최근 휴대 전화나 컴퓨터의 사용 시간 증가에 따라 등이 굽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이는 컴퓨터를 이용한 작업 시간이 증가하고 휴대 전화를 보는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이러한 현상이 더욱 증가하고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은 굽은 등을 교정하기 위해 여러가지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일 예로 가방 등과 같은 운반 부재를 등에 멜 때 어깨 끈의 위치를 조정하여 자세 교정 효과를 얻도록 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경우 어깨 끝의 위치 조정 만으로는 굽은 등을 교정하기에는 한계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술한 교정 장치 자체는 널리 알려진 것으로서 특히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는 바, 이에 대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한국 등록 특허 제10-1945802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등에 접하는 배낭 타입의 교정부와, 상기 교정부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어깨가 걸림되며 사용자의 양 팔로 당길 수 있는 스트랩부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교정부를 사용자의 등에 착용한 상태에서 스트랩부를 당기면 사용자의 등이 교정부에 밀착되게 하여 사용자의 등이 펴지게 하고 이러한 작용에 의해 굽은 등 교정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배낭형 자세 교정기 및 이를 이용한 교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의 등에 접하는 배낭 타입의 교정부(100)와, 상기 교정부(100)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어깨가 걸림되며 사용자의 양 팔로 당길 수 있는 스트랩부(ST)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교정부(100)를 사용자의 등에 착용한 상태에서 스트랩부(ST)를 당기면 사용자의 등이 교정부(100)에 밀착되게 하여 사용자의 등이 펴지게 하는 배낭형 자세 교정기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기 스트랩부(ST)는 사용자의 양 팔로 각각 당기는 제1스트랩부(200) 및 제2스트랩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제1스트랩부(200)는 상기 교정부(100)에 고정되고 사용자의 어깨에 걸림되는 제1어깨 걸림부(210)와, 상기 제1어깨 걸림부(210)에 연결되고 교정부(100)의 일 측을 경유한 후 연장되어 사용자가 당김하는 제1당김부(220)를 포함하고, 상기 제2스트랩부(300)는 상기 교정부(100)에 고정되고 사용자의 어깨에 걸림되는 제2어깨 걸림부(310)와, 상기 제2어깨 걸림부(310)에 연결되고 교정부(100)의 일 측을 경유한 후 연장되어 사용자가 당김하는 제2당김부(320)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상기 제1어깨 걸림부(210)는 교정부(100)의 상단 일 측에 고정되고 사용자의 어깨 중 일 측 어깨의 앞측에 배치된 후 겨드랑이를 통해 교정부(100)측으로 하향 연장되어 일 측 어깨에 걸림되며, 상기 제1당김부(220)는 상기 제1어깨 걸림부(210)의 하단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등 방향으로 연장되어 교정부(100)의 일 부분을 경유한 후 상기 일 측 어깨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사용자의 한 팔에 의해 파지되고, 상기 제2어깨 걸림부(310)는 교정부(100)의 상단 타 측에 고정되고 사용자의 어깨 중 타 측 어깨의 앞측에 배치된 후 겨드랑이를 통해 교정부(100)측으로 하향 연장되어 타 측 어깨에 걸림되며, 상기 제2당김부(320)는 상기 제2어깨 걸림부(310)의 하단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등 방향으로 연장되어 교정부(100)의 일 부분을 경유한 후 상기 타 측 어깨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사용자의 다른 한 팔에 의해 파지되며, 상기 제1당김부(220)와 제2당김부(320)는 교정부(100)의 일 부분을 경유하되 x자 형상으로 교차된다.
상기에서, 상기 제1스트랩부(200)는 상기 제1어깨 걸림부(210)와 교정부(100) 하부 일측을 연결하는 제1보조 당김부(2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스트랩부(300)는 상기 제2어깨 걸림부(210)와 교정부(100) 하부 타측을 연결하는 제2보조 당김부(3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보조 당김부(230)는 상기 제1어깨 걸림부(210)에 구비되는 제1조절부(233)와, 상기 제1조절부(233)를 경유하는 제1인출부(232)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인출부(232)의 일 측은 상기 교정부(100) 하단에 고정되고, 상기 제1인출부(232)의 타 측은 상기 제1조절부(233)를 경유한 후 일정 길이 연장되어 사용자가 파지하고, 상기 제2보조 당김부(330)는 상기 제2어깨 걸림부(310)에 구비되는 제2조절부(333)와, 상기 제2조절부(333)를 경유하는 제2인출부(332)를 포함하고, 상기 제2인출부(332)의 일 측은 상기 교정부(100) 하단에 고정되고, 상기 제2인출부(332)의 타 측은 상기 제2조절부(333)를 경유한 후 일정 길이 연장되어 사용자가 파지한다.
상기에서, 상기 교정부(100)는 배낭 형상의 교정부 본체(110)와, 상기 교정부 본체(110) 일측에 구비되는 커버(120)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120)의 일 측은 교정부 본체(110)에 고정되고, 타 측은 상기 교정부 본체(1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교정부 본체(110)와 커버(120) 사이 공간에 상기 제1당김부(220)와 제2당김부(320)가 교차하면서 경유한다.
상기에서, 상기 교정부 본체(110)는 중공 형상을 가지며 지퍼부(130)에 의해 개방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교정부 본체(110) 내부에는 보형물이 삽입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자세 교정기를 이용하여 자세를 교정하는 방법으로서, 사용자가 교정부(100)를 사용자의 등에 착용한 상태에서 스트랩부(ST)를 당기면 사용자의 등이 교정부(100)에 밀착되게 하여 사용자의 등이 펴지게 하는 배낭형 자세 교정기를 이용한 자세 교정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사용자는 제1보조 당김부(230)와 제2보조 당김부(330)의 인출부(232)를 당겨서 교정부(100)의 하측이 사용자의 등에 밀착되게 하여 사용자의 등이 1차적으로 펴지게 하고, 사용자가 제1당김부(220)와 제2당김부(320)를 당겨 교정부(100)가 사용자의 견갑골 사이에 밀착되게 하여 사용자의 등을 최종적으로 펴지게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해 사용자의 굽은 등을 교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기의 일부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기의 보조 당김부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기를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기를 착용한 상태의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기에서 커버를 분리한 것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기의 교정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낭형 자세 교정기(10)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등에 접하는 배낭 타입의 교정부(100)와, 상기 교정부(100)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어깨가 걸림되며 사용자의 양 팔로 당길 수 있는 스트랩부(ST)를 포함한다. 즉, 상기 교정부(100)를 배낭처럼 등에 배치한 후 사용자의 어깨에는 스트랩부(ST)가 걸림된다. 이때, 상기 스트랩부(ST)는 사용자가 당길 수 있도록 구비된다. 사용자가 상기 스트랩부(ST)를 당기면 사용자의 등이 교정부(100)에 밀착되게 하여 사용자의 등이 펴지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해 굽은 등을 펼칠 수 있는 교정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러한 스트랩부(ST)는 사용자의 양 팔로 각각 당기는 제1스트랩부(200) 및 제2스트랩부(30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좌측 팔로 제1스트랩부(200)를 당기로 사용자의 우측 팔로 제2스트랩부(300)를 당길 수 있다.
상기 제1스트랩부(200)는 상기 교정부(100)에 고정되고 사용자의 어깨에 걸림되는 제1어깨 걸림부(210)와, 상기 제1어깨 걸림부(210)에 연결되고 교정부(100)의 일 측을 경유한 후 연장되어 사용자가 당김하는 제1당김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배낭과 같은 교정부(100)에 제1어깨 걸림부(210)가 형성되어 사용자의 어깨에 걸림되고, 이러한 제1어깨 걸림부(210)에 제1당김부(220)가 연장되어 있어 사용자가 당기면 제1어깨 걸림부(210)가 교정부(100)에 밀착되어 사용자의 등이 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제1당김부(220)는 교정부(100)를 경유하게 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따로이 설명한다.
제1스트랩부(200)와 유사하게 제2스트랩부(300)도 교정부(100)에 고정되고 사용자의 어깨에 걸림되는 제2어깨 걸림부(310)와, 상기 제2어깨 걸림부(310)에 연결되고 교정부(100)의 일 측을 경유한 후 연장되어 사용자가 당김하는 제2당김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당김부(220)와 제2당김부(220) 끝단에는 사용자의 손에 걸림될 수 있는 제1그립부(240) 및 제2그립부(34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1그립부(240)와 제2그립부(250)는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제1그림부(240)와 제2그립부(340)의 일 예에 불과하며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형상이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모두 본 발명에 속함은 당연하다.
상기 제1어깨 걸림부(210)는 교정부(100)의 상단 일 측에 고정된다. 상기 교정부(100)의 상단에 고정된 후 사용자의 어깨 중 일 측 어깨의 앞측에 배치되고 나서 겨드랑이를 통해 교정부(100)측으로 하향 연장되어 일 측 어깨에 걸림된다. 이때, 상기 제1당김부(220)는 상기 제1어깨 걸림부(210)의 하단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등 방향으로 연장되어 교정부(100)의 일 부분을 경유한 후 상기 일 측 어깨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사용자의 한 팔에 의해 파지된다.
유사하게, 상기 제2어깨 걸림부(310)는 교정부(100)의 상단 타 측에 고정되고 사용자의 어깨 중 타 측 어깨의 앞측에 배치된 후 겨드랑이를 통해 교정부(100)측으로 하향 연장되어 타 측 어깨에 걸림되며, 상기 제2당김부(320)는 상기 제2어깨 걸림부(310)의 하단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등 방향으로 연장되어 교정부(100)의 일 부분을 경유한 후 상기 타 측 어깨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사용자의 다른 한 팔에 의해 파지된다. 즉, 상기 제1당김부(220)와 제2당김부(320)는 교정부(100)의 일 부분을 경유하되 상호 x자 형상으로 교차된다.
예를 들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어깨 걸림부(210)는 사용자의 좌측 어깨에 걸림되고, 제2어깨 걸림부(310)는 사용자의 우측 어깨에 걸림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어깨 걸림부(210)의 상단(211)은 교정부(100) 상면 좌측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어깨 걸림부(210)는 좌측 어깨의 앞측에 배치된 후 하향 연장되고 겨드랑이를 통해 교정부(100) 측 방향(사용자의 등 방향)으로 하향 연장되어 전체적으로 고리 형상을 형성하여 좌측 어깨가 걸림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당김부(220)는 상기 제1어깨 걸림부(210)의 하단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등 방향으로 연장되어 교정부(100)의 일 부분을 경유한 후 좌측 어깨의 반대 방향 즉, 우측 어깨 방향으로 연장되어 사용자의 우측 팔에 의해 파지되어 당길 수 있다.
유사하게, 제2어깨 걸림부(310)의 상단(311)은 교정부(100) 상면 우측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어깨 걸림부(310)는 우측 어깨의 앞측에 배치된 후 하향 연장되고 겨드랑이를 통해 교정부(100) 측 방향(사용자의 등 방향)으로 하향 연장되어 전체적으로 고리 형상을 형성하여 우측 어깨가 걸림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당김부(320)는 상기 제2어깨 걸림부(310)의 하단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등 방향으로 연장되어 교정부(100)의 일 부분을 경유한 후 우측 어깨의 반대 방향 즉, 좌측 어깨 방향으로 연장되어 사용자의 좌측 팔에 의해 파지되어 당길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당김부(220)는 우측 어깨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당김부(320)는 좌측 어깨 방향으로 연장되므로 상호 x자 형상으로 교차된다. 이때, 상기 제1당김부(220)와 제2당김부(320)는 교정부(100) 일 측에서 상호 교차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따로이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스트랩부(200)는 상기 제1어깨 걸림부(210)와 교정부(100) 하부 일측을 연결하는 제1보조 당김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스트랩부(300) 역시 제2어깨 걸림부(210)와 교정부(100) 하부 타측을 연결하는 제2보조 당김부(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제1보조 당김부(230)를 도시하였고, 제2보조 당김부(330)는 동일하므로 별도로 나타내지는 않았다.
이러한 제1보조 당김부(230)는 상기 제1어깨 걸림부(210)에 구비되는 제1조절부(233)와, 상기 제1조절부(233)를 경유하는 제1인출부(232)를 포함한다. 이때, 제1인출부(232)의 일 측은 상기 교정부(100) 하단에 고정되고, 상기 제1인출부(232)의 타 측은 상기 제1조절부(233)를 경유한 후 일정 길이 연장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인출부(232)는 교정부 연결부(232-1)와 파지부(23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정부 연결부(232-1)의 하단은 교정부(100) 하단에 고정되고, 교정부 연결부(232-1)의 상단은 제1조절부(233)를 경유한다. 파지부(232-2)는 상기 제1조절부(233)를 경유한 후 하향 연장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조절부(233)는 제1인출부(232)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는 널리 알려진 구성(예를 들어 한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186805호)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도시와 설명은 생략한다.
동일하게, 상기 제2보조 당김부(330)는 상기 제2어깨 걸림부(310)에 구비되는 제2조절부(333)와, 상기 제2조절부(333)를 경유하는 제2인출부(332)를 포함하고, 상기 제2인출부(332)의 일 측은 상기 교정부(100) 하단에 고정되고, 상기 제2인출부(332)의 타 측은 상기 제2조절부(333)를 경유한 후 일정 길이 연장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등이 교정부(100)에 밀착되어 사용자의 등이 펴지게 된다. 이러한 교정부(100)는 배낭 형상의 교정부 본체(110)와, 상기 교정부 본체(110) 일측에 구비되는 커버(120)를 포함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120)의 일 측은 교정부 본체(110)에 고정되고, 타 측은 상기 교정부 본체(1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교정부 본체(110)와 커버(120) 사이 공간에 상기 제1당김부(220)와 제2당김부(320)가 교차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커버(120)의 상단부(121)가 교정부 본체(110)에 봉제되어 고정될 수 있다. 커버(120)의 나머지부(122)는 교정부 본체(1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교정부 본체(110)에 구비된 벨크로(130)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커버(120)의 상단부(121)가 고정된 상태에서 나머지부(122)가 벨크로(130)에 탈부착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120)와 교정부 본체(110)사이 공간에 상기 제1당김부(220)와 제2당김부(320)가 교차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교정부 본체(110)는 중공 형상을 가지며 지퍼부(140)에 의해 개방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렇게 지퍼부(140)에 의해 개방되는 교정부 본체(110) 내부에는 보형물(도시되지 않음)이 삽입된다. 상기 보형물은 사용자의 등이 밀착되어 펼쳐질 수 있도록 소정의 강도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보형물은 소정의 강도로 사용자의 등을 펼수 있으면 어떠한 소재나 형상도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함은 당연하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자세 교정기(10)를 이용하여 자세를 교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교정부(100)를 사용자의 등에 착용한 상태에서 스트랩부(ST)를 당기면 사용자의 등이 교정부(100)에 밀착되게 하여 사용자의 등이 펴지게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해 굽어있는 사용자의 등을 펼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제1보조 당김부(230)와 제2보조 당김부(330)의 인출부(232)를 당겨서 교정부(100)의 하측이 사용자의 등에 밀착되게 하여 사용자의 등이 1차적으로 펴지게 한다. 이후, 사용자가 제1당김부(220)와 제2당김부(320)를 당겨 교정부(100)가 사용자의 견갑골 사이에 밀착되게 하여 사용자의 등을 최종적으로 펴지게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해 종래보다 효과적으로 사용자의 등을 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교정부 110 : 교정부 본체
120 : 커버 130 : 벨크로
200 : 제1스트랩부 210 : 제1어깨 걸림부
220 : 제1당김부 230 : 제1보조 당김부
300 : 제2스트랩부 310 : 제2어깨 걸림부
320 : 제2당김부 330 : 제2보조 당김부

Claims (8)

  1. 사용자의 등에 접하는 배낭 타입의 교정부(100)와, 상기 교정부(100)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어깨가 걸림되며 사용자의 양 팔로 당길 수 있는 스트랩부(ST)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교정부(100)를 사용자의 등에 착용한 상태에서 스트랩부(ST)를 당기면 사용자의 등이 교정부(100)에 밀착되게 하여 사용자의 등이 펴지게 하는 배낭형 자세 교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부(ST)는 사용자의 양 팔로 각각 당기는 제1스트랩부(200) 및 제2스트랩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제1스트랩부(200)는 상기 교정부(100)에 고정되고 사용자의 어깨에 걸림되는 제1어깨 걸림부(210)와, 상기 제1어깨 걸림부(210)에 연결되고 교정부(100)의 일 측을 경유한 후 연장되어 사용자가 당김하는 제1당김부(220)를 포함하고,
    상기 제2스트랩부(300)는 상기 교정부(100)에 고정되고 사용자의 어깨에 걸림되는 제2어깨 걸림부(310)와, 상기 제2어깨 걸림부(310)에 연결되고 교정부(100)의 일 측을 경유한 후 연장되어 사용자가 당김하는 제2당김부(320)를 포함하는 배낭형 자세 교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어깨 걸림부(210)는 교정부(100)의 상단 일 측에 고정되고 사용자의 어깨 중 일 측 어깨의 앞측에 배치된 후 겨드랑이를 통해 교정부(100)측으로 하향 연장되어 일 측 어깨에 걸림되며, 상기 제1당김부(220)는 상기 제1어깨 걸림부(210)의 하단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등 방향으로 연장되어 교정부(100)의 일 부분을 경유한 후 상기 일 측 어깨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사용자의 한 팔에 의해 파지되고,
    상기 제2어깨 걸림부(310)는 교정부(100)의 상단 타 측에 고정되고 사용자의 어깨 중 타 측 어깨의 앞측에 배치된 후 겨드랑이를 통해 교정부(100)측으로 하향 연장되어 타 측 어깨에 걸림되며, 상기 제2당김부(320)는 상기 제2어깨 걸림부(310)의 하단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등 방향으로 연장되어 교정부(100)의 일 부분을 경유한 후 상기 타 측 어깨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사용자의 다른 한 팔에 의해 파지되며,
    상기 제1당김부(220)와 제2당김부(320)는 교정부(100)의 일 부분을 경유하되 x자 형상으로 교차되는 배낭형 자세 교정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트랩부(200)는 상기 제1어깨 걸림부(210)와 교정부(100) 하부 일측을 연결하는 제1보조 당김부(2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스트랩부(300)는 상기 제2어깨 걸림부(210)와 교정부(100) 하부 타측을 연결하는 제2보조 당김부(3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보조 당김부(230)는 상기 제1어깨 걸림부(210)에 구비되는 제1조절부(233)와, 상기 제1조절부(233)를 경유하는 제1인출부(232)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인출부(232)의 일 측은 상기 교정부(100) 하단에 고정되고, 상기 제1인출부(232)의 타 측은 상기 제1조절부(233)를 경유한 후 일정 길이 연장되어 사용자가 파지하고,
    상기 제2보조 당김부(330)는 상기 제2어깨 걸림부(310)에 구비되는 제2조절부(333)와, 상기 제2조절부(333)를 경유하는 제2인출부(332)를 포함하고,
    상기 제2인출부(332)의 일 측은 상기 교정부(100) 하단에 고정되고, 상기 제2인출부(332)의 타 측은 상기 제2조절부(333)를 경유한 후 일정 길이 연장되어 사용자가 파지하는 배낭형 자세 교정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부(100)는 배낭 형상의 교정부 본체(110)와, 상기 교정부 본체(110) 일측에 구비되는 커버(120)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120)의 일 측은 교정부 본체(110)에 고정되고, 타 측은 상기 교정부 본체(1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교정부 본체(110)와 커버(120) 사이 공간에 상기 제1당김부(220)와 제2당김부(320)가 교차하면서 경유하는 배낭형 자세 교정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부 본체(110)는 중공 형상을 가지며 지퍼부(130)에 의해 개방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교정부 본체(110) 내부에는 보형물이 삽입되는 배낭형 자세 교정기.
  7. 제1항 내지 제6항에 기재된 자세 교정기를 이용하여 자세를 교정하는 방법으로서,
    사용자가 교정부(100)를 사용자의 등에 착용한 상태에서 스트랩부(ST)를 당기면 사용자의 등이 교정부(100)에 밀착되게 하여 사용자의 등이 펴지게 하는 배낭형 자세 교정기를 이용한 자세 교정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사용자는 제1보조 당김부(230)와 제2보조 당김부(330)의 인출부(232)를 당겨서 교정부(100)의 하측이 사용자의 등에 밀착되게 하여 사용자의 등이 1차적으로 펴지게 하고,
    사용자가 제1당김부(220)와 제2당김부(320)를 당겨 교정부(100)가 사용자의 견갑골 사이에 밀착되게 하여 사용자의 등을 최종적으로 펴지게 하는 배낭형 자세 교정기를 이용한 자세 교정 방법.
KR1020220088254A 2022-02-14 2022-07-18 배낭형 자세 교정기 및 이를 이용한 자세 교정 방법 KR202301225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3/001871 WO2023153814A1 (ko) 2022-02-14 2023-02-09 배낭형 자세 교정기 및 이를 이용한 자세 교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18635 2022-02-14
KR1020220018635 2022-02-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2511A true KR20230122511A (ko) 2023-08-22

Family

ID=87799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8254A KR20230122511A (ko) 2022-02-14 2022-07-18 배낭형 자세 교정기 및 이를 이용한 자세 교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251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5802B1 (ko) 2018-09-12 2019-02-11 서경배 자세교정을 위한 어깨끈 가이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5802B1 (ko) 2018-09-12 2019-02-11 서경배 자세교정을 위한 어깨끈 가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35490B2 (ja) 姿勢の矯正および再訓練のための動的ストレッチ、強化、および安定化の器具
EP2621314B1 (en) System to assist in putting on and taking off clothing
EP3500123A1 (en) Stowable apparel item
EP3915415A1 (en) Clothing lengthening fabric usable as handbag or vest
KR20230122511A (ko) 배낭형 자세 교정기 및 이를 이용한 자세 교정 방법
JP6283783B1 (ja) 鞄の補助袋
CN209967650U (zh) 一种带弹性背带的减重背包
JP3215364U (ja) 携行用外衣
WO2023153814A1 (ko) 배낭형 자세 교정기 및 이를 이용한 자세 교정 방법
JP3155703U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のスライダー上げ下げ補助具
KR102332972B1 (ko) 서스펜더형 바지 고정장치
JP3231842U (ja) 目立たないひじ支持具
US20080229485A1 (en) Garter with pouch for auxiliary items
JP5776030B2 (ja) 下衣の装着自助具
JP4057633B1 (ja) 脇挟み具
JP2007244790A (ja) 下半身用衣類装着補助具
JP3904156B2 (ja) 袋付き上衣
CN206934236U (zh) 尿袋挎包
KR101369634B1 (ko) 골프 연습용 의류
CN218790688U (zh) 一种具有多种穿戴方式的可调节的快紧快拆式围裙
CN218898481U (zh) 一种外科手术病人服
JP2004052123A (ja) ブラジャーの肩紐
CN207125467U (zh) 一种工具包
US11654312B2 (en) Shoulder harness
CN206137424U (zh) 一种手提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