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153814A1 - 배낭형 자세 교정기 및 이를 이용한 자세 교정 방법 - Google Patents

배낭형 자세 교정기 및 이를 이용한 자세 교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153814A1
WO2023153814A1 PCT/KR2023/001871 KR2023001871W WO2023153814A1 WO 2023153814 A1 WO2023153814 A1 WO 2023153814A1 KR 2023001871 W KR2023001871 W KR 2023001871W WO 2023153814 A1 WO2023153814 A1 WO 202315381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user
shoulder
strap
correction
backp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3/00187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조재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앤오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20088254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30122511A/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앤오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앤오코퍼레이션
Publication of WO202315381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15381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0Straps;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rrect a user's body, and in particular, includes a backpack-type correction unit that comes in contact with the user's back and a strap portion that is provided in the correction unit, hangs on the user's shoulder, and can be pulled with both arms of the user.
  • a backpack-type correction unit that comes in contact with the user's back
  • a strap portion that is provided in the correction unit, hangs on the user's shoulder, and can be pulled with both arms of the user.
  •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includes a backpack-type correction unit that comes in contact with the user's back, and a strap portion provided in the correction unit, hung on the user's shoulder, and capable of being pulled with both arms of the user, so that the user can correct the correction.
  • a backpack-type correction unit that comes in contact with the user's back
  • a strap portion provided in the correction unit, hung on the user's shoulder, and capable of being pulled with both arms of the user, so that the user can correct the correction.
  •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ckpack-type correction unit that comes in contact with the user's back, and a strap portion provided in the correction unit, hung on the user's shoulder, and capable of being pulled by both arms of the user,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correction unit.
  • a backpack-type posture corrector that allows a user's back to be straightened by bringing the user's back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orrection unit when the strap unit is pulled while worn on the back.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sture corr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a posture corr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n auxiliary pulling part of a posture corr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osture corrector is wo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a state in which a posture corrector is wo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ver removed from the posture corr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rrection unit of the posture corr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backpack-type posture corrector 10 includes a backpack-type correction unit 100 that comes in contact with the user's back, and is provided in the correction unit 100 and provides a user's It includes a strap part (ST) that can be hung on the shoulder and pulled by both arms of the user. That is, after the correction unit 100 is placed on the back like a backpack, the strap unit ST is hung on the user's shoulder. At this time, the strap part ST is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pull it. When the user pulls the strap part ST, the user's back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orrection unit 100 and the user's back is straighten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chieve a corrective effect of spreading a bent back.
  • ST strap part
  • the strap part ST includes a first strap part 200 and a second strap part 300 that are pulled by the user's both arms, respectively.
  • the second strap part 300 may be pulled with the user's right arm.
  • the first strap part 200 is connected to a first shoulder hanging part 210 fixed to the correction part 100 and hung on the user's shoulder, and connected to the first shoulder hanging part 210, and the correction part 100 ) It may include a first pulling part 220 that is extended after passing through one side and pulled by the user. That is, the first shoulder hooking part 210 is formed on the correction unit 100 such as a backpack to be hung on the user's shoulder, and the first pulling part 220 is extended to the first shoulder hooking part 210. When the user pulls, the first shoulder hanging part 21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orrecting part 100 and the user's back is straightened. At this time, the first pulling unit 220 passes through the calibration unit 100, which will be separately described.
  • the second strap part 300 also includes a second shoulder hanging part 310 fixed to the correction unit 100 and hooked on the user's shoulder, and the second shoulder hanging part 310. ) and extends after passing through one side of the calibration unit 100 to include a second pulling unit 320 that the user pulls.
  • a first gripping part 240 and a second gripping part 340 that can be caught by a user's hand may be provided at the ends of the first pulling part 220 and the second pulling part 220 .
  • the first grip part 240 and the second grip part 250 may have a ring shape. However, these are only examples of the first drawing portion 240 and the second gripping portion 34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y shape that can be easily gripped by a user is naturally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 the first shoulder hanging part 210 is fixed to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correcting part 100 . After being fixed to the top of the correction unit 100, it is placed on the front side of one shoulder of the user's shoulders, and then extends downward through the armpit to the correction unit 100 side and is caught on one shoulder. At this time, the first pulling part 220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shoulder hanging part 210 and extends in the direction of the user's back, passes through a part of the correction unit 100, and then the opposite side of the shoulder on one side. It extends in the direction and is gripped by one arm of the user.
  • the second shoulder hanging part 310 is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top of the correction unit 100 and is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other shoulder of the user's shoulder, and then extends downward toward the correction unit 100 through the armpit It is hooked on the other shoulder, and the second pulling part 320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second shoulder hooking part 310 and extends in the direction of the user's back, passing through a part of the correction unit 100, It extend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other shoulder and is gripped by the user's other arm. That is, the first pulling part 220 and the second pulling part 320 pass through a part of the correction part 100 but cross each other in an x shape.
  • the first shoulder hanging portion 210 may be hung on the user's left shoulder, and the second shoulder hanging portion 310 may be hung on the user's right shoulder.
  • the upper end 211 of the first shoulder hanging part 210 may be fixed to the upper left side of the correction part 100 .
  • the first shoulder hanging part 210 extends downward after being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left shoulder, and extends downward through the armpit in the direction toward the correction unit 100 (the user's back direction) to form a ring shape as a whole, so that the left shoulder is can get caught
  • the first pulling part 220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shoulder holding part 210 and extends in the direction of the user's back, passes through a portion of the correction unit 100, and then goes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left shoulder, i.e. , It extends in the right shoulder direction and can be gripped and pulled by the user's right arm.
  • the upper end 311 of the second shoulder hanging part 310 may be fixed to the upper right side of the correction part 100 .
  • the second shoulder hanging part 310 extends downward after being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right shoulder, and extends downward through the armpit in the direction toward the correction unit 100 (the user's back direction) to form a ring shape as a whole, so that the right shoulder is can get caught
  • the second pulling part 320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second shoulder hooking part 310 and extends in the direction of the user's back, passes through a portion of the correction unit 100, and then goe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right shoulder, i.e. , It extends in the left shoulder direction and can be gripped and pulled by the user's left arm.
  • first pulling part 220 extends in the right shoulder direction and the second pulling part 320 extends in the left shoulder direction, they cross each other in an x shape. At this time, the first pulling part 220 and the second pulling part 320 may cross each other on one side of the correction part 100, and this will be separately described.
  • the first strap part 20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auxiliary pulling part 230 connecting the first shoulder hanging part 210 and one lower side of the correction part 100.
  • the second strap part 300 may also include a second auxiliary pulling part 330 connecting the second shoulder holding part 210 and the other lower side of the correction part 100.
  • the first auxiliary pulling part 230 is shown, and the second auxiliary pulling part 330 is the same, so it is not shown separately.
  • the first auxiliary pulling part 230 includes a first adjusting part 233 provided in the first shoulder holding part 210 and a first pull-out part 232 passing through the first adjusting part 233.
  • a first pull-out part 232 passing through the first adjusting part 233.
  • one side of the first pull-out portion 232 is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calibration unit 100, an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pull-out portion 232 is exten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after passing through the first adjusting portion 233.
  • the user can hold it.
  • the first lead-out part 232 may include a correction part connecting part 232-1 and a gripping part 232-2.
  • the lower end of the calibration unit connection part 232-1 is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calibration unit 100, and the upper end of the calibration unit connection unit 232-1 passes through the first control unit 233.
  • the gripping part 232-2 extends downward after passing through the first adjusting part 233 so that the user can grip it.
  • the first control unit 233 can adjust the length of the first draw-out unit 232, and since this is a well-known configuration (for example,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186805), detailed illustration an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do.
  • the second auxiliary pulling part 330 includes a second adjusting part 333 provided in the second shoulder holding part 310 and a second drawing part (via the second adjusting part 333). 332), one side of the second lead-out portion 332 is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calibration unit 100,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lead-out portion 332 passes through the second adjusting portion 333. After that, it is extended to a certain length so that the user can grip it.
  • the calibration unit 100 includes a backpack-shaped calibration unit body 110 and a cover 12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alibration unit body 110 .
  • one side of the cover 120 is fixed to the calibration unit body 110, and the other side is detachably fixed to the calibration unit body 110, so that the calibration unit body 110 and the cover
  • the first pulling part 220 and the second pulling part 320 may intersect in the space between 120 .
  • the upper end 121 of the cover 120 may be sewn to and fixed to the correction unit body 110 .
  • the remaining part 122 of the cover 120 may be detachably fixed to the correction unit body 110, and for this purpose, the Velcro 130 provided in the correction unit body 110 may be used. That is,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end 121 of the cover 120 is fixed, the remaining part 122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Velcro 130 .
  • the first pulling part 220 and the second pulling part 320 may intersect in a space between the cover 120 and the correcting unit body 110 .
  • the correction unit body 110 may have a hollow shape and be openable by the zipper unit 140 .
  • An implant (not shown) is inserted into the corrector body 110 opened by the zipper 140 in this way.
  • the prosthesis may have a predetermined strength so that the user's back can be unfolded in close contact. As long as these implants can stretch the user's back with a predetermined strength, it is natural that any material or shape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user pulls the strap part ST while wearing the correcting part 100 on the user's back the user's back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orrecting part 100 and the user's back is straightened.
  • the bent user's back can be extended.
  • the user pulls the lead-out parts 232 of the first auxiliary pulling part 230 and the second auxiliary pulling part 330 so that the lower side of the correction part 1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back, so that the user's back is primarily let it unfold Thereafter, the user pulls the first pulling part 220 and the second pulling part 320 so that the correcting part 100 comes into close contact between the user's shoulder blades, and finally straightens the user's back.
  • the user's back can be spread more effectively than befor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ckpack-type back support 440 in contact with the user's back, and a shoulder hook 420 provided on the back support 440 and in contact with the user's shoulder, , It is provided on the shoulder hanging portion 420, and includes a strap portion 410 that can be pulled by the user.
  • the back support 440 can come into contact with the user's back, such as a backpack or a backpack, it is natural that all of them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houlder hook part 420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back support part 440 so that the user's back is moved to the back support part ( 440) to straighten the user's back.
  • the user pulls the strap part 410 the user's body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ack support part 440 and is stretched. With this configuration, the calibration performance is superior to that of the prior art.
  • the strap part 410 includes a first strap 411 that can be pulled by a user, and a second strap 412 that is interlocked with the first strap 411 and pulls the shoulder hanging part 420 .
  • the first strap 411 is disposed inside the back support part 440 and both side ends ar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ack support part 440 .
  • a handle H that can be gripped by a user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exposed first strap 411 .
  • the second strap 412 is disposed inside the back support part 440 and interlocks with the first strap 411, and both side ends ar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ack support part 440 and are disposed on the shoulder hook part 420.
  • the first strap 411 is pulled.
  • the second strap 412 is pulled and the shoulder hook 420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back support 440 .
  • the user's back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ack support 440 and the user's back is straightened.
  • first strap 411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main strap 4113 disposed inside the back support part 440 and the first main strap 4113, respectively, and outside the back support part 440. It includes a pair of first external straps (4111, 4112) disposed on. That is, first external straps 4111 and 4112 are disposed on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ck support part 140, respectively.
  • the second strap 412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main strap 4123 disposed inside the back support part 440 and the second main strap 4123, respectively, and the back support part 440 It includes a pair of second external straps 4121 and 4122 disposed outside. That is, second external straps 4121 and 4122 are disposed on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ck support part 140, respectively.
  • the first main strap 4113 and the second main strap 4123 interlock with each other.
  • the first main strap 4113 descends.
  • the second main strap 4123 is interlocked to descend.
  • the second external straps 4121 and 4122 enter the back support part 440 and the shoulder hanging part 420 moves toward the back support part 440 .
  • the user's back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ack support 440 and the user's back is straightened.
  • the first external straps 4111 and 4112 and the second external straps 4121 and 4122 pass through the ring 470 fixed to one side of the back support 440, the first external straps 4111 and 4112 is stably descended so that the first main strap 4113 descends.
  • the second external straps 4121 and 4122 are branched from both side ends of the second main strap 4123 and provided as a pair, and then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houlder hook 420, respectively.
  • the second external straps 4121 and 4122 and the shoulder hanging part 420 interlock with each other. That is,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econd main strap 4123 descends, the second external straps 4121 and 4122 enter the back support part 440 . At this time, since the second external straps 4121 and 4122 are interlocked with the shoulder hanging part 420, the shoulder hanging part 420 also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back support part 440. As a result, the user's back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ack support 440 and the user's back is straightened.
  • the posture corrector includes a correction unit 500 and a strap unit ST.
  • the user's shoulder is hooked on the strap part ST and can be pulled by both arms of the user.
  • a backpack-type posture corrector that straightens the user's back by bringing the user's back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orrector 500 when the user pulls the strap part ST while wearing the corrector 500 on the user's back by such a posture corrector provides
  • the strap part ST includes a first strap part 600 and a second strap part 700 that are pulled by both arms of the user.
  • the first strap part 600 includes a first shoulder hooking part 610 hooked on the user's shoulder and a first pulling part 620 formed on the first shoulder hooking part 610 .
  • the second strap part 700 includes a second shoulder hooking part 710 hooked on the user's shoulder and a second pulling part 720 formed on the second shoulder hooking part 710 .
  • first strap part 600 may be provided on the user's left shoulder as shown, and the second strap part 700 may be provided on the user's right shoulder.
  • the first shoulder hook 610 is hooked on the user's left shoulder.
  • the first pulling part 620 extends from the lower side of the first shoulder holding part 610 toward the correcting part 500 (ie, the user's back direction), passes through the correcting part 500, and then adjusts the user's It extends in one arm direction (ie, the left arm direction).
  • the second pulling part 720 extends from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shoulder holding part 710 toward the correction part 500 (ie, the user's back direction), passes through the correction part 500, and It extends in the direction of the user's other arm (ie, the right arm direction).
  • the correction unit 500 includes a backpack-shaped correction unit body 510 in contact with the user's back, and a first locking ring 520 and a second locking ring 530 provided on the correction unit body 510. .
  • the first locking ring 520 is located at the rear of the correction unit body 510 and is provided on a side of the user's arm in one direction. In the case of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first locking ring 520 is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correction unit body 510 in the drawing. Accordingly, the first pulling part 620 extends from the lower side of the first shoulder locking part 610 and extends to the left side through the first locking ring 620 .
  • the second locking ring 530 is located at the rear of the correction unit body 510 and is provided on a side surface in the direction of the user's other arm. In the case of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second locking ring 530 is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correction unit body 510 in the drawing. Accordingly, the second pulling part 720 extends from the lower side of the first shoulder locking part 710 and extends to the right through the second locking ring 530 .
  • a passage cover 540 is attached to the rear of the calibration unit body 510 so that the first pulling part 620 and the second pulling part 720 are between the calibration unit body 510 and the passage cover 540. can pass
  •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houlder hanging portion 810 and a grip portion 820 as shown in FIGS. 12 to 14 .
  • the shoulder hanging part 810 and the grip part 820 may be made of a string.
  • the shoulder hanging part 810 may include a left shoulder hanging part 810A provided on the user's left shoulder and a right shoulder hanging part 810B hanging on the user's right shoulder.
  • the grip part 820 is for the user to hold by hand and includes a left grip part 820A gripped by the user's left hand and a right grip part 820B gripped by the user's right hand.
  • the shoulder hanging part 810 and the grip part 820 are formed in a ring shape, so that the shoulder and hand can be inserted.
  • the shoulder hanging part 810 and the grip part 82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crossing each other in the shape of an X by the connecting strap 840 . That is, the connecting strap 840 connects the first connecting strap 841 connecting the right shoulder hanging part 810B and the left gripping part 820A, the left shoulder hanging part 810A, and the right gripping part 820B. It includes a second connecting string 842 to do.
  • the crossing first connection string 841 and the second connection string 842 may be stably provided by the cover 830 .
  • the cover 830 may be made of a fabric such as a fiber and may be configured to cover the intersection of the first connection strap 841 and the second connection strap 842 .
  • the cover 830 and the connection string 840 the user can use it more conveniently. That is, as shown in FIG. 14 , when the user pulls the grip part 820 and the shoulder hanging part 810 is bent backwards, the back is straightened. With this configuration, the user can correct the body more convenient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를 교정하는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의 등에 접하는 배낭 타입의 교정부와, 상기 교정부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어깨가 걸림되며 사용자의 양 팔로 당길 수 있는 스트랩부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교정부를 사용자의 등에 착용한 상태에서 스트랩부를 당기면 사용자의 등이 교정부에 밀착되게 하여 사용자의 등이 펴지게 하고 이러한 작용에 의해 굽은 등 교정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배낭형 자세 교정기 및 이를 이용한 교정 방법이다.

Description

배낭형 자세 교정기 및 이를 이용한 자세 교정 방법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를 교정하는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의 등에 접하는 배낭 타입의 교정부와, 상기 교정부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어깨가 걸림되며 사용자의 양 팔로 당길 수 있는 스트랩부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교정부를 사용자의 등에 착용한 상태에서 스트랩부를 당기면 사용자의 등이 교정부에 밀착되게 하여 사용자의 등이 펴지게 하고 이러한 작용에 의해 굽은 등 교정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배낭형 자세 교정기 및 이를 이용한 교정 방법이다.
최근 휴대 전화나 컴퓨터의 사용 시간 증가에 따라 등이 굽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이는 컴퓨터를 이용한 작업 시간이 증가하고 휴대 전화를 보는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이러한 현상이 더욱 증가하고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은 굽은 등을 교정하기 위해 여러가지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일 예로 가방 등과 같은 운반 부재를 등에 멜 때 어깨 끈의 위치를 조정하여 자세 교정 효과를 얻도록 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경우 어깨 끝의 위치 조정 만으로는 굽은 등을 교정하기에는 한계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등에 접하는 배낭 타입의 교정부와, 상기 교정부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어깨가 걸림되며 사용자의 양 팔로 당길 수 있는 스트랩부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교정부를 사용자의 등에 착용한 상태에서 스트랩부를 당기면 사용자의 등이 교정부에 밀착되게 하여 사용자의 등이 펴지게 하고 이러한 작용에 의해 굽은 등 교정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배낭형 자세 교정기 및 이를 이용한 교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의 등에 접하는 배낭 타입의 교정부와, 상기 교정부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어깨가 걸림되며 사용자의 양 팔로 당길 수 있는 스트랩부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교정부를 사용자의 등에 착용한 상태에서 스트랩부를 당기면 사용자의 등이 교정부에 밀착되게 하여 사용자의 등이 펴지게 하는 배낭형 자세 교정기를 제공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해 사용자의 굽은 등을 교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기의 일부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기의 보조 당김부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기를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기를 착용한 상태의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기에서 커버를 분리한 것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기의 교정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낭형 자세 교정기(10)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등에 접하는 배낭 타입의 교정부(100)와, 상기 교정부(100)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어깨가 걸림되며 사용자의 양 팔로 당길 수 있는 스트랩부(ST)를 포함한다. 즉, 상기 교정부(100)를 배낭처럼 등에 배치한 후 사용자의 어깨에는 스트랩부(ST)가 걸림된다. 이때, 상기 스트랩부(ST)는 사용자가 당길 수 있도록 구비된다. 사용자가 상기 스트랩부(ST)를 당기면 사용자의 등이 교정부(100)에 밀착되게 하여 사용자의 등이 펴지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해 굽은 등을 펼칠 수 있는 교정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러한 스트랩부(ST)는 사용자의 양 팔로 각각 당기는 제1스트랩부(200) 및 제2스트랩부(30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좌측 팔로 제1스트랩부(200)를 당기로 사용자의 우측 팔로 제2스트랩부(300)를 당길 수 있다.
상기 제1스트랩부(200)는 상기 교정부(100)에 고정되고 사용자의 어깨에 걸림되는 제1어깨 걸림부(210)와, 상기 제1어깨 걸림부(210)에 연결되고 교정부(100)의 일 측을 경유한 후 연장되어 사용자가 당김하는 제1당김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배낭과 같은 교정부(100)에 제1어깨 걸림부(210)가 형성되어 사용자의 어깨에 걸림되고, 이러한 제1어깨 걸림부(210)에 제1당김부(220)가 연장되어 있어 사용자가 당기면 제1어깨 걸림부(210)가 교정부(100)에 밀착되어 사용자의 등이 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제1당김부(220)는 교정부(100)를 경유하게 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따로이 설명한다.
제1스트랩부(200)와 유사하게 제2스트랩부(300)도 교정부(100)에 고정되고 사용자의 어깨에 걸림되는 제2어깨 걸림부(310)와, 상기 제2어깨 걸림부(310)에 연결되고 교정부(100)의 일 측을 경유한 후 연장되어 사용자가 당김하는 제2당김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당김부(220)와 제2당김부(220) 끝단에는 사용자의 손에 걸림될 수 있는 제1그립부(240) 및 제2그립부(34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1그립부(240)와 제2그립부(250)는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제1그림부(240)와 제2그립부(340)의 일 예에 불과하며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형상이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모두 본 발명에 속함은 당연하다.
상기 제1어깨 걸림부(210)는 교정부(100)의 상단 일 측에 고정된다. 상기 교정부(100)의 상단에 고정된 후 사용자의 어깨 중 일 측 어깨의 앞측에 배치되고 나서 겨드랑이를 통해 교정부(100)측으로 하향 연장되어 일 측 어깨에 걸림된다. 이때, 상기 제1당김부(220)는 상기 제1어깨 걸림부(210)의 하단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등 방향으로 연장되어 교정부(100)의 일 부분을 경유한 후 상기 일 측 어깨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사용자의 한 팔에 의해 파지된다.
유사하게, 상기 제2어깨 걸림부(310)는 교정부(100)의 상단 타 측에 고정되고 사용자의 어깨 중 타 측 어깨의 앞측에 배치된 후 겨드랑이를 통해 교정부(100)측으로 하향 연장되어 타 측 어깨에 걸림되며, 상기 제2당김부(320)는 상기 제2어깨 걸림부(310)의 하단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등 방향으로 연장되어 교정부(100)의 일 부분을 경유한 후 상기 타 측 어깨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사용자의 다른 한 팔에 의해 파지된다. 즉, 상기 제1당김부(220)와 제2당김부(320)는 교정부(100)의 일 부분을 경유하되 상호 x자 형상으로 교차된다.
예를 들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어깨 걸림부(210)는 사용자의 좌측 어깨에 걸림되고, 제2어깨 걸림부(310)는 사용자의 우측 어깨에 걸림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어깨 걸림부(210)의 상단(211)은 교정부(100) 상면 좌측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어깨 걸림부(210)는 좌측 어깨의 앞측에 배치된 후 하향 연장되고 겨드랑이를 통해 교정부(100) 측 방향(사용자의 등 방향)으로 하향 연장되어 전체적으로 고리 형상을 형성하여 좌측 어깨가 걸림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당김부(220)는 상기 제1어깨 걸림부(210)의 하단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등 방향으로 연장되어 교정부(100)의 일 부분을 경유한 후 좌측 어깨의 반대 방향 즉, 우측 어깨 방향으로 연장되어 사용자의 우측 팔에 의해 파지되어 당길 수 있다.
유사하게, 제2어깨 걸림부(310)의 상단(311)은 교정부(100) 상면 우측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어깨 걸림부(310)는 우측 어깨의 앞측에 배치된 후 하향 연장되고 겨드랑이를 통해 교정부(100) 측 방향(사용자의 등 방향)으로 하향 연장되어 전체적으로 고리 형상을 형성하여 우측 어깨가 걸림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당김부(320)는 상기 제2어깨 걸림부(310)의 하단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등 방향으로 연장되어 교정부(100)의 일 부분을 경유한 후 우측 어깨의 반대 방향 즉, 좌측 어깨 방향으로 연장되어 사용자의 좌측 팔에 의해 파지되어 당길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당김부(220)는 우측 어깨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당김부(320)는 좌측 어깨 방향으로 연장되므로 상호 x자 형상으로 교차된다. 이때, 상기 제1당김부(220)와 제2당김부(320)는 교정부(100) 일 측에서 상호 교차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따로이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스트랩부(200)는 상기 제1어깨 걸림부(210)와 교정부(100) 하부 일측을 연결하는 제1보조 당김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스트랩부(300) 역시 제2어깨 걸림부(210)와 교정부(100) 하부 타측을 연결하는 제2보조 당김부(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제1보조 당김부(230)를 도시하였고, 제2보조 당김부(330)는 동일하므로 별도로 나타내지는 않았다.
이러한 제1보조 당김부(230)는 상기 제1어깨 걸림부(210)에 구비되는 제1조절부(233)와, 상기 제1조절부(233)를 경유하는 제1인출부(232)를 포함한다. 이때, 제1인출부(232)의 일 측은 상기 교정부(100) 하단에 고정되고, 상기 제1인출부(232)의 타 측은 상기 제1조절부(233)를 경유한 후 일정 길이 연장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인출부(232)는 교정부 연결부(232-1)와 파지부(23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정부 연결부(232-1)의 하단은 교정부(100) 하단에 고정되고, 교정부 연결부(232-1)의 상단은 제1조절부(233)를 경유한다. 파지부(232-2)는 상기 제1조절부(233)를 경유한 후 하향 연장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조절부(233)는 제1인출부(232)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는 널리 알려진 구성(예를 들어 한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186805호)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도시와 설명은 생략한다.
동일하게, 상기 제2보조 당김부(330)는 상기 제2어깨 걸림부(310)에 구비되는 제2조절부(333)와, 상기 제2조절부(333)를 경유하는 제2인출부(332)를 포함하고, 상기 제2인출부(332)의 일 측은 상기 교정부(100) 하단에 고정되고, 상기 제2인출부(332)의 타 측은 상기 제2조절부(333)를 경유한 후 일정 길이 연장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등이 교정부(100)에 밀착되어 사용자의 등이 펴지게 된다. 이러한 교정부(100)는 배낭 형상의 교정부 본체(110)와, 상기 교정부 본체(110) 일측에 구비되는 커버(120)를 포함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120)의 일 측은 교정부 본체(110)에 고정되고, 타 측은 상기 교정부 본체(1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교정부 본체(110)와 커버(120) 사이 공간에 상기 제1당김부(220)와 제2당김부(320)가 교차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커버(120)의 상단부(121)가 교정부 본체(110)에 봉제되어 고정될 수 있다. 커버(120)의 나머지부(122)는 교정부 본체(1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교정부 본체(110)에 구비된 벨크로(130)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커버(120)의 상단부(121)가 고정된 상태에서 나머지부(122)가 벨크로(130)에 탈부착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120)와 교정부 본체(110)사이 공간에 상기 제1당김부(220)와 제2당김부(320)가 교차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교정부 본체(110)는 중공 형상을 가지며 지퍼부(140)에 의해 개방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렇게 지퍼부(140)에 의해 개방되는 교정부 본체(110) 내부에는 보형물(도시되지 않음)이 삽입된다. 상기 보형물은 사용자의 등이 밀착되어 펼쳐질 수 있도록 소정의 강도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보형물은 소정의 강도로 사용자의 등을 펼수 있으면 어떠한 소재나 형상도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함은 당연하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자세 교정기(10)를 이용하여 자세를 교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교정부(100)를 사용자의 등에 착용한 상태에서 스트랩부(ST)를 당기면 사용자의 등이 교정부(100)에 밀착되게 하여 사용자의 등이 펴지게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해 굽어있는 사용자의 등을 펼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제1보조 당김부(230)와 제2보조 당김부(330)의 인출부(232)를 당겨서 교정부(100)의 하측이 사용자의 등에 밀착되게 하여 사용자의 등이 1차적으로 펴지게 한다. 이후, 사용자가 제1당김부(220)와 제2당김부(320)를 당겨 교정부(100)가 사용자의 견갑골 사이에 밀착되게 하여 사용자의 등을 최종적으로 펴지게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해 종래보다 효과적으로 사용자의 등을 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등에 접하는 배낭 타입의 등 지지부(440)와, 상기 등 지지부(440)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어깨에 접하는 어깨 걸림부(420)와, 상기 어깨 걸림부(420)에 구비되고, 사용자가 당길 수 있는 스트랩부(41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등 지지부(440)는 배낭이나 백팩 등 사용자의 등에 접촉시킬 수 것이면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함은 당연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해 사용자가 등 지지부(440)를 사용자의 등에 착용한 상태에서 스트랩부(410)를 당기면 어깨 걸림부(420)가 등 지지부(440) 방향으로 이동하여 사용자의 등이 등 지지부(440)에 밀착되게 하여 사용자의 등이 펴지게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가 스트랩부(410)를 당기면 사용자의 신체가 등 지지부(440)에 밀착되면서 펴지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교정 성능이 종래보다 탁월하다.
이러한 스트랩부(410)는 사용자가 당길 수 있는 제1스트랩(411)과, 상기 제1스트랩(411)에 연동되고 상기 어깨 걸림부(420)를 당기는 제2스트랩(412)을 포함한다. 상기 제1스트랩(411)은 상기 등 지지부(440) 내부에 배치되고 양 측단은 등 지지부(440)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노출된 제1스트랩(411)의 하단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핸들(H)이 구비된다. 상기 제2스트랩(412)은 상기 등 지지부(440) 내부에 배치되고 제1스트랩(411)과 연동되며 양 측단은 상기 등 지지부(440) 외부로 노출되고 어깨 걸림부(420)에 배치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핸들(H)을 잡아 당기면 제1스트랩(411)을 당겨진다. 이에 의해 제2스트랩(412)이 당김되어 어깨 걸림부(420)가 등 지지부(440)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등이 등 지지부(440)에 밀착되게 하여 사용자의 등이 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제1스트랩(411)은 상기 등 지지부(440) 내부에 배치되는 제1메인 스트랩(4113)과 상기 제1메인 스트랩(4113)의 양 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등 지지부(440) 외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1외부 스트랩(4111,4112)을 포함한다. 즉, 등 지지부(140)의 좌우측에 각각 제1외부 스트랩(4111,4112)이 배치된다.
유사하게, 상기 제2스트랩(412)은 상기 등 지지부(440) 내부에 배치되는 제2메인 스트랩(4123)과 상기 제2메인 스트랩(4123)의 양 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등 지지부(440) 외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2외부 스트랩(4121,4122)을 포함한다. 즉, 상기 등 지지부(140)의 좌우측에 각각 제2외부 스트랩(4121,4122)이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1메인 스트랩(4113)과 제2메인 스트랩(4123)은 상호 연동된다. 다시 말해서, 제1외부 스트랩(4111,4112)이 하강하면 상기 제1메인 스트랩(4113)이 하강한다. 이에 의해 제2메인 스트랩(4123)이 연동되어 하강한다. 제2메인 스트랩(4123)이 하강하면 제2외부 스트랩(4121,4122)이 등 지지부(440) 내부로 들어가면서 어깨 걸림부(420)가 등 지지부(440)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등이 등 지지부(440)에 밀착되게 하여 사용자의 등이 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제1외부 스트랩(4111,4112)과 제2외부 스트랩(4121,4122)은 등 지지부(440) 일 측에 고정되어 있는 링(470)을 통과하므로 제1외부 스트랩(4111,4112)은 안정적으로 하강하여 상기 제1메인 스트랩(4113)이 하강한다.
또한, 제2외부 스트랩(4121,4122)이 링(470)을 통과하면서 등 지지부(440) 내부로 들어가게 되어 안정적인 이동이 가능해 진다.
이때, 상기 제2외부 스트랩(4121,4122)은 상기 제2메인 스트랩(4123)의 양 측단에서 분기되어 한 쌍으로 구비된 후 상기 어깨 걸림부(42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2외부 스트랩(4121,4122)과 상기 어깨 걸림부(420)가 상호 연동된다. 즉, 상술된 바와 같이 제2메인 스트랩(4123)이 하강하면 제2외부 스트랩(4121,4122)이 등 지지부(440) 내부로 들어간다. 이때, 상기 제2외부 스트랩(4121,4122)이 어깨 걸림부(420)와 연동되므로 상기 어깨 걸림부(420) 역시 등 지지부(440)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등이 등 지지부(440)에 밀착되게 하여 사용자의 등이 펴지게 된다.
또한, 발명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기는 교정부(500)와, 스트랩부(ST)를 포함한다. 상기 스트랩부(ST)에는 사용자의 어깨가 걸림되며 사용자의 양 팔로 당길 수 있다. 이러한 자세 교정기에 의해 사용자가 교정부(500)를 사용자의 등에 착용한 상태에서 스트랩부(ST)를 당기면 사용자의 등이 교정부(500)에 밀착되게 하여 사용자의 등이 펴지게 하는 배낭형 자세 교정기를 제공한다.
상기 스트랩부(ST)는 사용자의 양 팔로 각각 당기게 되는 제1스트랩부(600)와 제2스트랩부(70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스트랩부(600)는 사용자의 어깨에 걸림되는 제1어깨 걸림부(610)와, 상기 제1어깨 걸림부(610)에 형성되는 제1당김부(620)를 포함한다. 상기 제2스트랩부(700)는 사용자의 어깨에 걸림되는 제2어깨 걸림부(710)와, 상기 제2어깨 걸림부(710)에 형성되는 제2당김부(720)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1스트랩부(6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좌측 어깨에 구비될 수 있고, 제2스트랩부(700)는 사용자의 우측 어깨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어깨 걸림부(610)는 사용자의 좌측 어깨에 걸림된다. 상기 제1당김부(620)는 제1어깨 걸림부(610)의 하측에서 교정부(500) 측 방향(즉, 사용자의 등 방향)으로 연장된 후 교정부(500)를 경유한 후 사용자의 일 측 팔 방향(즉, 좌측 팔 방향)으로 연장된다.
유사하게 상기 제2당김부(720)는 제2어깨 걸림부(710)의 하측에서 교정부(500) 측 방향(즉, 사용자의 등 방향)으로 연장된 후 교정부(500)를 경유한 후 사용자의 타 측 팔 방향(즉, 우측 팔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교정부(500)는 사용자의 등에 접하는 백팩 형상의 교정부 본체(510)와, 상기 교정부 본체(510)에 구비되는 제1걸림링(520)과 제2걸림링(530)을 포함한다.
상기 제1걸림링(520)은 상기 교정부 본체(510)의 후방에 위치하고 사용자의 일 측 팔 방향 측면에 구비된다.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제1걸림링(520)은 교정부 본체(510)의 도면상 좌측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1당김부(620)는 제1어깨 걸림부(610)의 하측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걸림링(620)을 거쳐 좌측으로 연장된다.
유사하게, 상기 제2걸림링(530)은 상기 교정부 본체(510)의 후방에 위치하고 사용자의 타 측 팔 방향 측면에 구비된다.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제2걸림링(530)은 교정부 본체(510)의 도면상 우측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2당김부(720)는 제1어깨 걸림부(710)의 하측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2걸림링(530)을 거쳐 우측으로 연장된다.
다시 말해서 제1당김부(620)를 당기면 제1어깨 걸림부(610)가 당겨지고 제2당김부(630)를 당기면 제2어깨 걸림부(710)가 당겨진다.
상기 교정부 본체(510)의 후방에는 통로 커버(540)가 덧대어져서 교정부 본체(510)와 통로 커버(540) 사이에 상기 제1당김부(620)와 제2당김부(720)가 통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깨 걸이부(810)와 그립부(8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깨 걸이부(810)와 그립부(820)는 노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어깨 걸이부(810)는 사용자의 좌측 어깨에 구비되는 좌측 어깨 걸이부(810A)와, 사용자의 우측 어깨에 걸림되는 우측 어깨 걸이부(81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립부(820)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좌측 손이 파지하는 좌측 그립부(820A)와 사용자의 우측 손이 파지하는 우측 그립부(820B)를 포함한다. 이러한 어깨 걸이부(810)와 그립부(820)는 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어깨와 손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어깨 걸이부(810)와 그립부(820)는 연결 끈(840)에 의해 x자로 교차되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 끈(840)은 우측 어깨 걸이부(810B)와 좌측 그립부(820A)를 연결하는 제1연결끈(841)와, 좌측 어깨 걸이부(810A)와, 우측 그립부(820B)를 연결하는 제2연결끈(842)을 포함한다.
이러한 교차되는 제1연결끈(841)과 제2연결끈(842)은 커버(830)에 의해 안정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8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섬유와 같은 패브릭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제1연결끈(841)과 제2연결끈(842)의 교차된 지점을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830)와 연결끈(840)에 의해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즉,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그립부(820)를 잡아 당기면 어깨 걸이부(810)가 등 뒤쪽으로 젖혀지면 등이 펴지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게 신체를 교정할 수 있다.

Claims (8)

  1. 사용자의 등에 접하는 배낭 타입의 교정부(100)와, 상기 교정부(100)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어깨가 걸림되며 사용자의 양 팔로 당길 수 있는 스트랩부(ST)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교정부(100)를 사용자의 등에 착용한 상태에서 스트랩부(ST)를 당기면 사용자의 등이 교정부(100)에 밀착되게 하여 사용자의 등이 펴지게 하는 배낭형 자세 교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부(ST)는 사용자의 양 팔로 각각 당기는 제1스트랩부(200) 및 제2스트랩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제1스트랩부(200)는 상기 교정부(100)에 고정되고 사용자의 어깨에 걸림되는 제1어깨 걸림부(210)와, 상기 제1어깨 걸림부(210)에 연결되고 교정부(100)의 일 측을 경유한 후 연장되어 사용자가 당김하는 제1당김부(220)를 포함하고,
    상기 제2스트랩부(300)는 상기 교정부(100)에 고정되고 사용자의 어깨에 걸림되는 제2어깨 걸림부(310)와, 상기 제2어깨 걸림부(310)에 연결되고 교정부(100)의 일 측을 경유한 후 연장되어 사용자가 당김하는 제2당김부(320)를 포함하는 배낭형 자세 교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어깨 걸림부(210)는 교정부(100)의 상단 일 측에 고정되고 사용자의 어깨 중 일 측 어깨의 앞측에 배치된 후 겨드랑이를 통해 교정부(100)측으로 하향 연장되어 일 측 어깨에 걸림되며, 상기 제1당김부(220)는 상기 제1어깨 걸림부(210)의 하단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등 방향으로 연장되어 교정부(100)의 일 부분을 경유한 후 상기 일 측 어깨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사용자의 한 팔에 의해 파지되고,
    상기 제2어깨 걸림부(310)는 교정부(100)의 상단 타 측에 고정되고 사용자의 어깨 중 타 측 어깨의 앞측에 배치된 후 겨드랑이를 통해 교정부(100)측으로 하향 연장되어 타 측 어깨에 걸림되며, 상기 제2당김부(320)는 상기 제2어깨 걸림부(310)의 하단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등 방향으로 연장되어 교정부(100)의 일 부분을 경유한 후 상기 타 측 어깨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사용자의 다른 한 팔에 의해 파지되며,
    상기 제1당김부(220)와 제2당김부(320)는 교정부(100)의 일 부분을 경유하되 x자 형상으로 교차되는 배낭형 자세 교정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트랩부(200)는 상기 제1어깨 걸림부(210)와 교정부(100) 하부 일측을 연결하는 제1보조 당김부(2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스트랩부(300)는 상기 제2어깨 걸림부(210)와 교정부(100) 하부 타측을 연결하는 제2보조 당김부(3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보조 당김부(230)는 상기 제1어깨 걸림부(210)에 구비되는 제1조절부(233)와, 상기 제1조절부(233)를 경유하는 제1인출부(232)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인출부(232)의 일 측은 상기 교정부(100) 하단에 고정되고, 상기 제1인출부(232)의 타 측은 상기 제1조절부(233)를 경유한 후 일정 길이 연장되어 사용자가 파지하고,
    상기 제2보조 당김부(330)는 상기 제2어깨 걸림부(310)에 구비되는 제2조절부(333)와, 상기 제2조절부(333)를 경유하는 제2인출부(332)를 포함하고,
    상기 제2인출부(332)의 일 측은 상기 교정부(100) 하단에 고정되고, 상기 제2인출부(332)의 타 측은 상기 제2조절부(333)를 경유한 후 일정 길이 연장되어 사용자가 파지하는 배낭형 자세 교정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부(100)는 배낭 형상의 교정부 본체(110)와, 상기 교정부 본체(110) 일측에 구비되는 커버(120)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120)의 일 측은 교정부 본체(110)에 고정되고, 타 측은 상기 교정부 본체(1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교정부 본체(110)와 커버(120) 사이 공간에 상기 제1당김부(220)와 제2당김부(320)가 교차하면서 경유하는 배낭형 자세 교정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부 본체(110)는 중공 형상을 가지며 지퍼부(130)에 의해 개방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교정부 본체(110) 내부에는 보형물이 삽입되는 배낭형 자세 교정기.
  7. 제1항 내지 제6항에 기재된 자세 교정기를 이용하여 자세를 교정하는 방법으로서,
    사용자가 교정부(100)를 사용자의 등에 착용한 상태에서 스트랩부(ST)를 당기면 사용자의 등이 교정부(100)에 밀착되게 하여 사용자의 등이 펴지게 하는 배낭형 자세 교정기를 이용한 자세 교정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사용자는 제1보조 당김부(230)와 제2보조 당김부(330)의 인출부(232)를 당겨서 교정부(100)의 하측이 사용자의 등에 밀착되게 하여 사용자의 등이 1차적으로 펴지게 하고,
    사용자가 제1당김부(220)와 제2당김부(320)를 당겨 교정부(100)가 사용자의 견갑골 사이에 밀착되게 하여 사용자의 등을 최종적으로 펴지게 하는 배낭형 자세 교정기를 이용한 자세 교정 방법.
PCT/KR2023/001871 2022-02-14 2023-02-09 배낭형 자세 교정기 및 이를 이용한 자세 교정 방법 WO2023153814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18635 2022-02-14
KR10-2022-0018635 2022-02-14
KR1020220088254A KR20230122511A (ko) 2022-02-14 2022-07-18 배낭형 자세 교정기 및 이를 이용한 자세 교정 방법
KR10-2022-0088254 2022-07-18
KR10-2022-0144152 2022-11-02
KR20220144152 2022-11-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53814A1 true WO2023153814A1 (ko) 2023-08-17

Family

ID=87564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3/001871 WO2023153814A1 (ko) 2022-02-14 2023-02-09 배낭형 자세 교정기 및 이를 이용한 자세 교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3153814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8779A (ja) * 1999-11-30 2001-08-14 Kyoto Seni Kogyo:Kk 上半身用の姿勢矯正装着具
CN204427061U (zh) * 2015-02-16 2015-07-01 上海富乐梦新潮文化用品有限公司 双肩背包
US20200025523A1 (en) * 2018-07-18 2020-01-23 Damian Ross Carrier and Method for Providing Deployable Protection
WO2020152787A1 (ja) * 2019-01-22 2020-07-30 中山式産業株式会社 姿勢矯正サポーター
KR20210120903A (ko) * 2020-03-27 2021-10-07 고정현 자세 교정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8779A (ja) * 1999-11-30 2001-08-14 Kyoto Seni Kogyo:Kk 上半身用の姿勢矯正装着具
CN204427061U (zh) * 2015-02-16 2015-07-01 上海富乐梦新潮文化用品有限公司 双肩背包
US20200025523A1 (en) * 2018-07-18 2020-01-23 Damian Ross Carrier and Method for Providing Deployable Protection
WO2020152787A1 (ja) * 2019-01-22 2020-07-30 中山式産業株式会社 姿勢矯正サポーター
KR20210120903A (ko) * 2020-03-27 2021-10-07 고정현 자세 교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9711570U (zh) 一种长度可调的背包卫衣
WO2023153814A1 (ko) 배낭형 자세 교정기 및 이를 이용한 자세 교정 방법
CN109567291A (zh) 一种可用作提包或背心的服装加长片
CN209594799U (zh) 一种长度可调的背包外套
CN109892713A (zh) 一种长度可调的背包卫衣
CN109549266A (zh) 一种长度可调的背包外套
WO2021054575A1 (ko) 카메라 가방
WO2021010675A1 (ko) 앞 쳐짐을 방지하는 작업용 조끼
WO2021137566A1 (ko) 손잡이 교체형 가방 및 이에 사용되는 손잡이
KR20230122511A (ko) 배낭형 자세 교정기 및 이를 이용한 자세 교정 방법
WO2011055959A2 (ko) 옷걸이
WO2020246757A1 (ko)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앞치마
CN211379938U (zh) 一种可背式行李箱
CN214410812U (zh) 便于穿脱的减负防护服
CN220197700U (zh) 一种柔性外骨骼辅助服
CN212520848U (zh) 一种便携式呢大衣
WO2015050330A1 (ko) 골프 연습용 의류
JP3909477B2 (ja) 衣服
CN210542946U (zh) 一种消防战训服
CN217660589U (zh) 术中上肢约束防护套
CN213992564U (zh) 一种用于上肢骨折患者的多功能病员服
CN218790688U (zh) 一种具有多种穿戴方式的可调节的快紧快拆式围裙
CN218185337U (zh) 一种可变成背包的梭织外套
CN214048882U (zh) 一种多功能儿童ct防护服
WO2022092356A1 (ko) 가슴 보정 및 흉추 교정용 여성 상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375316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