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2336A - 포세식 변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포세식 변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2336A
KR20230122336A KR1020220018866A KR20220018866A KR20230122336A KR 20230122336 A KR20230122336 A KR 20230122336A KR 1020220018866 A KR1020220018866 A KR 1020220018866A KR 20220018866 A KR20220018866 A KR 20220018866A KR 20230122336 A KR20230122336 A KR 202301223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
water level
amount
bubbles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8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2470B1 (ko
Inventor
송기풍
Original Assignee
송기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기풍 filed Critical 송기풍
Priority to KR1020220018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2470B1/ko
Publication of KR20230122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23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2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2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03D9/03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consisting of a separate container with an outlet through which the agent is introduced into the flushing water, e.g. by suction ; Devices for agents in direct contact with flushing wate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7/00Control of flow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거품을 공급받는 내조를 가진 변기 본체와, 세정액에 공기를 공급하여 거품을 발생시키는 기포발생펌프와, 기포발생펌프에 의해 발생된 거품을 내조로 공급하는 거품 공급부와, 내조에서 오물통으로 배출되는 오물을 안내하고, 내조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거품이 소멸되어 생긴 물을 수용하는 배출관과, 배출관 내의 수위를 검출하는 수위센서 및 수위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기포발생펌프를 작동시켜 내조에 거품을 공급하고, 수위센서를 통해 검출된 수위에 따라 거품 공급량을 결정하고, 기포발생펌프를 제어하여 결정된 거품 공급량을 내조에 추가 공급한다.

Description

포세식 변기 및 그 제어방법{FOAM WASHABLE TOILET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세정수로 발생시킨 거품을 이용하여 오물을 씻어버리고 냄새를 차단할 수 있는 포세식 변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세식 변기는 기포발생펌프를 이용하여 물에 세정액이 혼합된 세정수에 공기를 공급하여 거품을 발생시키고 일정한 수준의 거품량이 변기 내에 지속적으로 잔류되도록 거품 공급을 조절함으로써 변기의 상태를 청결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악취를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포세식 변기는 물의 공급이 용이하지 않은 공사장, 공원 등의 이동식 화장실에서 이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기존의 포세식 변기는 변기 내부로 일정량의 거품을 지속적으로 잔류시키기 위하여 거품을 주기적으로 공급한다. 기존의 포세식 변기는 설치된 장소의 사용 패턴에 맞게 메모리에 저장된 거품공급주기에 따라 기포발생펌프를 온 시키거나 오프시킨다. 거품공급주기의 온 시간 동안에는 기포발생펌프를 온시키고, 오프 시간 동안에는 기포발생펌프를 오프시킨다.
포세식 변기의 내부에 공급된 거품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자연 소멸한다. 예를 들면, 거품은 공급된 후 5분이 경과하면 자연 소멸하여 물로 변해 배출구 방향으로 내려간다.
하지만, 기존에는 거품을 주기적으로 공급하다 보니 먼저 공급된 거품이 시간이 지나 물로 변하기도 전에 새로 공급된 거품에 의해 배출구 측으로 강제로 밀려 내려간다.
이로 인해, 불필요한 거품 낭비가 발생하기 때문에 물과 세정액이 많이 소모된다.
등록특허공보 제10-1590158호(2016.01.25. 등록)
일 측면은 먼저 공급된 거품이 시간이 지나 자연 소멸하여 물로 변하기도 전에 새로 공급된 거품에 의해 배출구 측으로 강제로 밀려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여 불필요한 거품 낭비를 예방할 수 있는 포세식 변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르면, 거품을 공급받는 내조를 가진 변기 본체; 세정액에 공기를 공급하여 거품을 발생시키는 기포발생펌프; 상기 기포발생펌프에 의해 발생된 거품을 상기 내조로 공급하는 거품 공급부; 상기 내조에서 오물통으로 배출되는 오물을 안내하고, 상기 내조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거품이 소멸되어 생긴 물을 수용하는 배출관; 상기 배출관 내의 수위를 검출하는 수위센서; 및 상기 수위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포발생펌프를 작동시켜 상기 내조에 거품을 공급하고, 상기 수위센서를 통해 검출된 수위에 따라 거품 공급량을 결정하고, 상기 기포발생펌프를 제어하여 상기 결정된 거품 공급량을 상기 내조에 추가 공급하는 포세식 변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위센서를 통해 검출된 수위에 대응하는 거품량을 상기 거품 공급량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위센서를 통해 검출된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결정된 거품 공급량을 상기 내조에 추가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내조 내의 거품의 높이를 검출하는 거품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조에 거품을 추가 공급하고 상기 거품감지센서를 통해 검출된 거품 높이가 미리 설정된 높이에 도달하면 상기 거품의 추가 공급을 정지시킬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세정액에 공기를 공급하여 거품을 발생시키는 기포발생펌프를 작동시켜 변기 본체의 내조에 거품을 공급하고, 상기 내조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거품이 소멸되어 생긴 물을 수용하는 배출관 내의 수위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수위에 따라 거품 공급량을 결정하고, 상기 기포발생펌프를 제어하여 상기 결정된 거품 공급량을 상기 내조에 추가 공급하는 것을 포함하는 포세식 변기의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거품 공급량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검출된 수위에 대응하는 거품량을 상기 거품 공급량으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정된 거품 공급량을 상기 내조에 추가 공급하는 것은, 상기 검출된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결정된 거품 공급량을 상기 내조에 추가 공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정된 거품 공급량을 상기 내조에 추가 공급하는 것은, 상기 내조 내의 거품의 높이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거품 높이가 미리 설정된 높이에 도달하면 상기 거품의 추가 공급을 정지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먼저 공급된 거품이 시간이 지나 소멸하여 물로 변하기도 전에 새로 공급된 거품에 의해 배출구 측으로 강제로 밀려 내려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불필요한 거품 낭비를 예방할 수 있어 물과 세정액의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포세식 변기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포세식 변기의 제어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포세식 변기의 수위센서를 도시한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포세식 변기에서 소멸된 거품이 물로 변해 배수관을 채운 수위가 수위센서가 장착된 높이에 도달한 경우를 도시한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포세식 변기의 제어방법에 대한 제어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세식 변기에 수위센서와 거품감지센서가 장착된 것을 도시한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세식 변기의 제어방법에 대한 제어흐름도를 도시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개시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포세식 변기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포세식 변기는 변기 본체(10), 변기 본체(10)에 연결된 본체 수조(20) 및 전장부품이 마련된 컨트롤 유닛(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 수조(20) 내에는 물이 저장되어 있다. 본체 수조(20) 내에는 저장된 물에 세정액을 공급하도록 세정액이 저장된 세정액 탱크(21)가 마련될 수 있다.
본체 수조(20)에는 변기 본체(10)와 연통되어 본체 수조(20)에서 발생된 거품을 변기 본체(10)의 내부로 공급하는 거품 공급부(22)가 마련되어 있다.
컨트롤 유닛(30)은 포세식 변기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31)와 이 제어부(31)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기포발생펌프(32)를 포함할 수 있다.
기포발생펌프(32)는 공기 공급관(33)에 의해 본체 수조(20)의 하부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기포발생펌프(32)가 공기 공급관(33)을 통해 본체 수조(20)로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본체 수조(20)의 상부에서 거품이 발생한다. 발생된 거품은 거품 공급부(22)를 따라 변기 본체(10)의 외조(11)와 내조(12) 사이로 안내된 후 내조면을 따라 흘러내린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포세식 변기는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변기 내부로 일정량의 거품을 지속적으로 잔류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용변을 보는 경우, 용변은 내조(12)에 체류하는 거품(B)에 의해 내조(12)에 닿지 않으면서 배출관(13)으로 이동한다. 배출관(13)으로 이동된 변은 자중 혹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배출관(13)을 개방하여 하측의 오물통으로 낙하한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포세식 변기의 제어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포세식 변기는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31)를 포함한다.
제어부(31)의 입력측에는 수위센서(4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어부(31)의 출력측에는 기포발생펌프(32)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어부(31)는 프로세서(31a)와 메모리(31b)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31b)는 프로세서(31a)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과, 포세식 변기의 작동을 위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31b)는 S램(S-RAM), D램(D-RAM) 등의 휘발성 메모리뿐만 아니라 플래시 메모리, 롬(Read Only Memory, ROM), 이피롬(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PROM)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1a)는 포세식 변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수위센서(40)는 변기 본체(10)의 배출관(13)에 마련되어 배출관(13) 내의 수위를 검출한다. 수위센서(40)는 배출관(13) 내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높이에 도달할 때 수위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수위센서(40)에 의해 출력된 수위감지신호는 제어부(31)에 전달된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포세식 변기의 수위센서를 도시하고,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포세식 변기에서 소멸된 거품이 물로 변해 배수관을 채운 수위가 수위센서가 장착된 높이에 도달한 경우를 도시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수위센서(40)는 변기 본체(10)의 배출관(13)의 하단부에 내장되며, 배출관(13) 내에 수용된 물과 직접 접촉 가능하도록 일단이 배출관(13)을 관통하여 배출관(13) 내에 위치한다.
배출관(13)에는 내조(12)에 공급된 거품 중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연 소멸된 거품이 물로 변하는 데 이 물이 배출관(13) 내에 수용된다.
소멸된 거품량이 많을수록 수용된 물의 양도 늘어난다.
수위센서(40)는 배출관(13) 내의 물과 접촉할 때와 접촉하지 않을 때의 저항 변화로 인해 서로 다른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수위센서(40)는 부유식의 리밋 스위치 등 다른 형태로도 가능하다.
제어부(31)는 수위센서(40)로부터 출력된 수위감지신호에 따라 배출관(13)의 수위를 인식할 수 있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포세식 변기의 제어방법에 대한 제어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포세식 변기의 제어방법은 변기 본체(10)의 배출관(13)의 수위를 검출하고(100), 검출된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Wref)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고(102), 검출된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Wref)에 도달하면, 내조(12)에 공급할 거품공급량을 결정하고(104), 기포발생펌프(32)를 작동시켜 결정된 거품공급량을 발생시켜 내조(12)에 공급하는 것(106)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어부(31)는 변기 본체(10) 내의 내조(12)에 거품을 공급하도록 기포발생펌프(32)를 일정시간 동안 주기적으로 작동시킨다. 예를 들면, 2초 ON/ 30초 OFF 식으로 기포발생펌프(32)를 일정시간 동안 주기적으로 작동시킨다.
예를 들면, 거품 공급 후 5분이 경과하면 내조(12)의 공급된 거품 중 먼저 공급된 거품인 아랫 거품은 자연 소멸하여 물로 변하기 시작하고, 이 물은 배출관(13)에 수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어부(31)는 수위센서(40)를 통해 배출관(13)의 수위를 검출한다.
배출관(13)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Wref)에 도달하면 그만큼 자연 소멸된 거품량이 증가한 것이므로, 거품 소멸분을 보충할 필요가 있다.
제어부(31)는 배출관(13)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Wref)에 도달하면 내조(12)에 추가 공급할 거품공급량을 결정한다. 이때, 거품 공급량은 배출관(13)의 수위에 대응되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1/10의 거품이 소멸되었다면, 1/10의 거품이 공급될 수 있도록 거품 공급량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31)는 결정된 거품 공급량에 따라 기포발생펌프(32)를 작동시켜 거품을 발생시킴으로써 변기 본체(10)의 내조(12)에 거품 소멸분에 대응하는 추가 거품량을 공급한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세식 변기에 수위센서와 거품감지센서가 장착된 것을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포세식 변기는 수위센서(40)와 거품감지센서(50)를 포함할 수 있다.
거품감지센서(50)는 제어부(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거품감지센서(50)는 변기 본체(10)의 내조(12)의 미리 설정된 위치(예를 들면, 내조 상단부)에 마련된다.
거품감지센서(50)는 내조(12)의 상단부에 내장되며 내조(12) 내의 거품과 직접 접촉 가능하도록 일단이 내조(12)를 관통하여 내조(12) 내에 위치한다.
거품감지센서(41)는 내조(12) 내의 거품과 접촉할 때와 접촉하지 않을 때의 저항 변화로 인해 서로 다른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거품의 높이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거품감지센서(41)는 접지 전극과 감지 전극 등 두 개의 전극을 포함하는 형태이거나, 정전용량식 레벨센서 혹은 프리즘 타입의 광학식 레벨센서일 수 있다.
거품감지센서(50)는 변기 본체(10)의 내조(12)에 마련되어 내조(12)의 공급된 거품의 높이를 검출한다. 거품감지센서(50)는 내조(12)의 거품 높이가 미리 설정된 높이에 도달할 때 거품감지신호를 출력한다. 거품감지센서(50)에 의해 출력된 거품감지신호는 제어부(31)에 전달된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세식 변기의 제어방법에 대한 제어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세식 변기의 제어방법은 변기 본체(10)의 배출관(13)의 수위를 검출하고(200), 검출된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Wref)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고(202), 검출된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Wref)에 도달하면, 기포발생펌프(32)를 작동시켜 내조(12)에 거품을 공급하고(204), 내조(12)의 거품 높이를 검출하고(206), 검출된 거품 높이가 미리 설정된 높이(Bref)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고(208), 검출된 거품 높이가 미리 설정된 높이(Bref)에 도달하면, 기포발생펌프(32)를 정지시켜 거품 공급을 정지시키는 것(21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어부(31)는 변기 본체(10) 내의 내조(12)에 거품을 공급하도록 기포발생펌프(32)를 일정시간 동안 주기적으로 작동시킨다. 예를 들면, 거품 공급 후 5분이 경과하면 내조(12)의 공급된 거품 중 먼저 공급된 거품인 아랫 거품은 자연 소멸하여 물로 변하기 시작하고, 이 물은 배출관(13)에 수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어부(31)는 수위센서(40)를 통해 배출관(13)의 수위를 검출한다. 배출관(13)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Wref)에 도달하면 그만큼 자연 소멸된 거품량이 증가한 것이므로, 거품 소멸분을 보충할 필요가 있다.
제어부(31)는 배출관(13)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Wref)에 도달하면 기포발생펌프(32)를 작동시켜 내조(12)에 거품을 공급한다. 이에 따라, 거품 소멸분에 대응하는 추가 거품량이 공급된다.
제어부(31)는 거품감지센서(50)를 통해 내조(12)의 거품 높이를 검출하고, 검출된 거품 높이가 미리 설정된 높이(Bref)에 도달하면, 기포발생펌프(32)를 정지시켜 거품 공급을 정지시킨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1/10의 거품이 소멸되더라도 1/10의 거품을 추가 공급할 수 있어 변기 본체(10)의 내조(12)에 거품 소멸분에 대응하는 추가 거품량만을 공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먼저 공급된 거품이 시간이 지나 소멸하여 물로 변하기도 전에 새로 공급된 거품에 의해 배출구 측으로 강제로 밀려 내려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불필요한 거품 낭비를 예방할 수 있어 물과 세정액의 소모를 줄일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제어부 및/또는 그 구성요소는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알고리즘/소프트웨어를 저장하는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와 결합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마이크로프로세서(들)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마이크로프로세서(들)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알고리즘/소프트웨어를 실행하여 전술한 기능, 동작, 단계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제어부 및/또는 그 구성요소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비 일시적 기록 매체 또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일시적인 기록 매체로 구현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전술한 제어부 및/또는 그 구성요소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전술한 제어부 및/또는 그 구성요소에 전달되거나 그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되거나 전술한 제어부 및/또는 그 구성요소에 의해 처리되거나 처리될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는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알고리즘/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프로세서/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 저장 장치와 같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비 일시적 기록 매체 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로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실리콘 디스크 드라이브(SDD), 읽기 전용 메모리 (RO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학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10: 변기 본체 12: 내조
13: 배출관 20: 수조
30: 컨트롤 유닛 31: 제어부
32: 기포발생펌프 40: 수위센서
50: 거품감지센서

Claims (8)

  1. 거품을 공급받는 내조를 가진 변기 본체;
    세정액에 공기를 공급하여 거품을 발생시키는 기포발생펌프;
    상기 기포발생펌프에 의해 발생된 거품을 상기 내조로 공급하는 거품 공급부;
    상기 내조에서 오물통으로 배출되는 오물을 안내하고, 상기 내조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거품이 소멸되어 생긴 물을 수용하는 배출관;
    상기 배출관 내의 수위를 검출하는 수위센서; 및
    상기 수위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포발생펌프를 작동시켜 상기 내조에 거품을 공급하고, 상기 수위센서를 통해 검출된 수위에 따라 거품 공급량을 결정하고, 상기 기포발생펌프를 제어하여 상기 결정된 거품 공급량을 상기 내조에 추가 공급하는 포세식 변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위센서를 통해 검출된 수위에 대응하는 거품량을 상기 거품 공급량으로 결정하는 포세식 변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위센서를 통해 검출된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결정된 거품 공급량을 상기 내조에 추가 공급하는 포세식 변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조 내의 거품의 높이를 검출하는 거품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조에 거품을 추가 공급하고 상기 거품감지센서를 통해 검출된 거품 높이가 미리 설정된 높이에 도달하면 상기 거품의 추가 공급을 정지시키는 포세식 변기.
  5. 세정액에 공기를 공급하여 거품을 발생시키는 기포발생펌프를 작동시켜 변기 본체의 내조에 거품을 공급하고,
    상기 내조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거품이 소멸되어 생긴 물을 수용하는 배출관 내의 수위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수위에 따라 거품 공급량을 결정하고,
    상기 기포발생펌프를 제어하여 상기 결정된 거품 공급량을 상기 내조에 추가 공급하는 것을 포함하는 포세식 변기의 제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거품 공급량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검출된 수위에 대응하는 거품량을 상기 거품 공급량으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포세식 변기의 제어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거품 공급량을 상기 내조에 추가 공급하는 것은,
    상기 검출된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결정된 거품 공급량을 상기 내조에 추가 공급하는 것을 포함하는 포세식 변기의 제어방법.
  8. 상기 결정된 거품 공급량을 상기 내조에 추가 공급하는 것은,
    상기 내조 내의 거품의 높이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거품 높이가 미리 설정된 높이에 도달하면 상기 거품의 추가 공급을 정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포세식 변기의 제어방법.
KR1020220018866A 2022-02-14 2022-02-14 포세식 변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642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8866A KR102642470B1 (ko) 2022-02-14 2022-02-14 포세식 변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8866A KR102642470B1 (ko) 2022-02-14 2022-02-14 포세식 변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2336A true KR20230122336A (ko) 2023-08-22
KR102642470B1 KR102642470B1 (ko) 2024-02-29

Family

ID=87799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8866A KR102642470B1 (ko) 2022-02-14 2022-02-14 포세식 변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247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3727A (ja) * 2002-03-06 2003-09-10 Takanobu Deguchi 防臭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水洗便器
KR20100011360U (ko) * 2009-05-13 2010-11-23 조성현 절수형 전자변기
KR20130007855A (ko) * 2011-07-11 2013-01-21 송기풍 포세식 변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55802A (ko) * 2012-11-01 2014-05-09 주식회사 코네코 화장실 변기의 제어장치
KR101590158B1 (ko) 2015-08-21 2016-01-29 김성화 거품 세정식 양변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3727A (ja) * 2002-03-06 2003-09-10 Takanobu Deguchi 防臭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水洗便器
KR20100011360U (ko) * 2009-05-13 2010-11-23 조성현 절수형 전자변기
KR20130007855A (ko) * 2011-07-11 2013-01-21 송기풍 포세식 변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55802A (ko) * 2012-11-01 2014-05-09 주식회사 코네코 화장실 변기의 제어장치
KR101590158B1 (ko) 2015-08-21 2016-01-29 김성화 거품 세정식 양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2470B1 (ko) 2024-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TE534776T1 (de) Pumpenbetriebene toilettenspülung mit überlaufschutz
KR102011379B1 (ko) 오배수펌프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JP5313078B2 (ja) 水洗式便器
JP2013155523A (ja) 手洗い器付き小便器
KR20230122336A (ko) 포세식 변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050247B1 (ko) 포세식변기용 거품발생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0337181B2 (en) Toilet usage sensing system
KR101027852B1 (ko) 물 절약형 좌변기
KR20050015001A (ko) 비데와 연계된 변기 절수장치 및 방법
JP5441008B2 (ja) 洗浄水タンク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水洗大便器
CN112431273B (zh) 厕所装置及厕所系统
KR101318410B1 (ko) 포세식 변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00109802A (ko) 포세식 변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식 화장실
KR102413457B1 (ko) 포세식 변기 및 그 제어방법
JP4094361B2 (ja) 排水ポンプの制御装置および方法ならびに排水システム
KR100685125B1 (ko) 비데용 절수기능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424660B1 (ko) 포세식 변기 및 그 제어방법
JP7346904B2 (ja) 水洗大便器装置
JP6921377B2 (ja) 便器装置
JP3634829B2 (ja) 水の供給装置
JP7270897B2 (ja) 水洗大便器装置
KR102475264B1 (ko) 공기 정화 처리 장치
KR101897568B1 (ko) 자동물내림장치 및 자동물내림방법
JP7366343B2 (ja) 水洗大便器装置
KR19990032244U (ko) 좌변기의 악취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