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1476A - 리클라이너 기능을 갖는 의자구조 - Google Patents

리클라이너 기능을 갖는 의자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1476A
KR20230121476A KR1020220018424A KR20220018424A KR20230121476A KR 20230121476 A KR20230121476 A KR 20230121476A KR 1020220018424 A KR1020220018424 A KR 1020220018424A KR 20220018424 A KR20220018424 A KR 20220018424A KR 20230121476 A KR20230121476 A KR 202301214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liner
rotation
plate
chair structure
upper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8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철
Original Assignee
혜성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혜성산업(주) filed Critical 혜성산업(주)
Priority to KR1020220018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1476A/ko
Publication of KR20230121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14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47C1/03205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02Chair or stool b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75Lighting
    • A47B2220/0077Lighting for furniture, e.g. cupboards and rac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파 등의 형태를 갖는 의자에 구비된 리클라이너수단을 실행시에 소음방지는 물론, 그로 인한 소파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는 리클라이너 기능을 갖는 의자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받침판, 등받이부, 하체받침부 및 지지부를 포함하는 의자구조에 있어서, 상기 의자구조는 상기 하체받침부 하면과 연결되되 상기 지지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등받이부와 함께 상기 하체받침부의 각도를 가변시키는 리클라이너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리클라이너수단은 상기 지지부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브라켓, 회전축에 의해 상기 하부브라켓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되 상기 하체받침부 하면에 고정되는 상부브라켓, 상부가 상기 상부브라켓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되 하부는 상기 하부브라켓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컨트롤러의 제어를 통해 서로 다른 길이를 갖도록 단계별로 로드가 인장 및 수축하여 상기 상부브라켓이 회전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재, 상기 하체받침부에 반원의 형상을 갖도록 한 쌍이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어 상기 리클라이너수단을 외부 영향으로부터 보호하는 차단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리클라이너 기능을 갖는 의자구조{Chair structure with recliner function}
본 발명은 소파 등의 형태를 갖는 의자에 구비된 리클라이너수단을 실행시에 소음방지는 물론, 그로 인한 소파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는 리클라이너 기능을 갖는 의자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 환경 또는 주거 환경의 형태가 점점 서구화되면서 전통적으로 실내에서 방석에 앉아서 이야기를 나누던 것과는 달리, 의자 형태의 소파에 앉아서 담소를 나누거나 휴식을 취하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디자인 및 구조의 소파가 개발되고 있다.
최근에는 좀 더 편안함을 제공하기 위해 리클라이너 소파가 개발되고 있다. 리클라이너 소파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소파의 등받이 및 다리받침대의 각도가 자동으로 조절되는 것으로, 등받이를 뒤로 눕히고 다리받침대를 들어올리면 사용자가 누워 있는 상태로 편안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게 된다.
일 예로, 종래기술인 국내등록특허 제10-1238414호(공고일:2013.02.28.)인 "전자동 리클라이너 소파"의 구성을 살펴보면, 일정간격 두고 형성된 다리프레임(102)(104)(106)(108)과, 상기 다리프레임(102)(104)(106)(108)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팔거치프레임(118)(120)(122)(126)과, 상기 다리프레임(102)(106)의 일측에 각각 설치되는 슬라이드공(110)(112)을 갖는 전자동 리클라이너용 본체프레임(128)과, 상기 전자동 리클라이너용 본체프레임(128)의 다리프레임(102)(104)(106)(108)에 설치 고정되어 상기 전자동 리클라이너용 본체프레임(128)을 지지해 주는 사각형상의 바닥지지프레임(130) 등을 포함하여 구성으로 이루어져 이러한 구성들의 조합을 통해 사용자의 체형 또는 몸 상태에 따라 소파의 등받이 및 종아리받침대의 각도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바, 사용자에게 안락함을 주는 장점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의 경우, 제어부의 조작을 통해 등받이(204)의 구성과, 종아리받침대(208)을 각각 지지하는 프레임이 슬라이딩 이동시에 소음발생이 심하고, 이러한 소음은 마찰에 의한 것으로 소파 자체의 내구성을 감쇠시키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국내등록특허 제10-1238414호(공고일:2013.02.28.) 국내등록특허 제10-2303786호(공고일:2021.09.17.)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의자의 형태를 갖는 소파에 구비된 리클라이너 장치를 실행시에 소음방지는 물론, 그로 인한 소파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는 의자의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리클라이너 기능을 갖는 의자구조는 받침판(11), 등받이부(13), 하체받침부(15) 및 지지부(17)를 포함하는 의자구조(1)에 있어서, 상기 의자구조(1)는 상기 하체받침부(15) 하면과 연결되되 상기 지지부(17)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등받이부(13)와 함께 상기 하체받침부(15)의 각도를 가변시키는 리클라이너수단(100)을 포함하되, 상기 리클라이너수단(100)은 상기 지지부(17)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브라켓(110), 회전축(111)에 의해 상기 하부브라켓(110)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되 상기 하체받침부(15) 하면에 고정되는 상부브라켓(120), 상부가 상기 상부브라켓(120)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되 하부는 상기 하부브라켓(110)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컨트롤러(C)의 제어를 통해 서로 다른 길이를 갖도록 단계별로 로드(131)가 인장 및 수축하여 상기 상부브라켓(120)이 회전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재(130), 상기 하체받침부(15)에 반원의 형상을 갖도록 한 쌍이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어 상기 리클라이너수단(100)을 외부 영향으로부터 보호하는 차단판(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클라이너수단(100)은 상기 회전축(111)이 관통되게 상기 상부브라켓(120)에 구비되되 둘레면에는 제1톱니(123)가 형성된 고정기어(121) 및 둘레면에 형성된 제2톱니(127)가 상기 제1톱니(123)와 서로 치(齒) 결합할 수 있게 상기 상부브라켓(120)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브라켓(120)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구비되는 이동기어(125)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기어(125)는 상기 상부브라켓(120)이 회전시에 상기 고정기어(121) 둘레면을 따라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리클라이너수단(100) 양측에는 상기 하체받침부(15) 하부에 고정설치된 차단판(140)에 의해 외부의 영향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의자구조(1)는 비말방지수단(200)을 더 구비하되, 상기 비말방지수단(200)은 판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등받이부(13) 측면에 배치되는 가림판(210), 일측이 상기 가림판(210)과 결합하되 타측은 상기 등받이부(13) 하방측으로 연장되는 회전바(220), 상기 회전바(220) 타측과 결합하는 회전판(230) 및 상기 회전판(230)과 회전가능하게 상기 등받이부(13)와 고정되게 매립 설치되되 상기 회전판(230)의 회전각도를 제어하는 회전가이드(24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가이드(240)는 상기 등받이부(13)에 매립되는 매립체(241) 및 상기 매립체(241) 외면과 이어지게 상기 등받이부(13)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되 외면에는 상기 회전판(230)이 삽입되어 상기 회전판(230)의 회전각도를 제어하는 스토퍼(245)가 돌출 형성된 가이드판(243)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판(230)은 외면에 호(弧)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스토퍼(245)가 삽입되는 회전홈(231)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홈(231)은 상기 회전판(230)의 회전반경이 180도가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비말방지수단(200)은 상기 회전가이드(240)에 안내되어 회전하는 상기 회전판(230)이 단계별로 회전할 수 있게 각도제어부(250)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각도제어부(250)는 상기 회전판(230)과 서로 마주보는 상기 회전가이드(240) 외면에 탄성 복원이 가능하도록 돌출 형성된 록킹돌기(251) 및 상기 록킹돌기(251)와 대향되게 상기 회전판(230) 외면에 호(弧) 형상을 갖도록 다수 형성되어 어느 하나가 상기 록킹돌기(251)와 끼움 결합하는 회전제어공(253)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비말방지수단(200)은 조명부재(26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조명부재(260)는 상기 가림판(210) 외면에 구비되되 인가된 전원에 의해 조명을 조사하는 엘이디이며, 상기 조명부재(260)는 컨트롤러(C)에 의해 점멸이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의자에 구비된 리클라이너수단을 통해 사용자가 해당 의자에 앉는 것은 물론, 누워있는 자세의 회전이 가능하되 회전시에 고정기어와 이동기어에 의해 기계적 부하의 감소와 함께 소음이 없이 동작할 수 있는 효과를 구현하게 된다.
또한, 부가적으로 등받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비말방지수단에 의해 사용자 주변에 존재하는 옆 사람에게서 파생되는 침의 비말을 미리 차단하여 바이러스 등에 의한 감염방지는 물론, 프라이버시의 침해를 방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아울러, 종래와 차별되게 부가적으로 가림판에 구비된 조명부재에 의해 특히 야간이나 실내 조명이 어두운 상태에서 사용자가 휴식중에도 비말방지와 함께 독서 등을 즐길 수 있는 효과를 구현하게 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클라이너 기능을 갖는 의자구조의 측면도와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클라이너 기능을 갖는 의자구조에 대한 리클라이너수단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에 대한 실제 사진.
도 5 및 도 6은 도 3에 대한 리클라이너 작동 이전의 의자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 및 도 8은 도 3에 대한 리클라이너 작동 이후의 의자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리클라이너 기능을 갖는 의자구조에 대한 비말방지수단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도 9에 대한 회전판의 확대도면.
도 11은 도 9에 대한 비말방지수단의 작용관계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리클라이너 기능을 갖는 의자구조에 대한 비말방지수단의 다른 실시예.
도 13은 도 12에 대한 각도제어부의 확대도.
도 14 및 도 15는 도 12에 대한 각도제어부의 작용관계도.
도 16은 도 9에 대한 가림판의 다른 실시예.
도 17은 도 16에 대한 작용관계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리클라이너 기능을 갖는 의자구조(이하 간략하게 '의자구조'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에 앞서, 하기에 설명되는 의자(10)는 테이블의 용도로 사용되는 받침판(11), 사용자의 신체 중 등 부분이 지지되는 등받이부(13), 하체가 지지되는 하체받침부(15) 및 상기 받침판(11), 등받이부(13), 하체지지부(17)를 지면에 지지하는 지지부(17)를 포함하는 소파를 포함하는 통상의 의자[椅子;chair] 형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르지 않도록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자구조(1)는 크게 의자(10)에 구비되는 리클라이너수단(100) 및 비말방지수단(200)을 포함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리클라이너수단(10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비말방지수단(200)이 구비된 의자(10)의 각도를 제어하여 휴식을 취하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으로 하부브라켓(110), 상부브라켓(120), 동력부재(130) 및 차단판(140)을 포함한다.
예컨대 하부브라켓(110)은 체결수단을 통해 하부가 지지부(17)에 고정 설치되되 상부는 한 쌍의 회전축(111)을 이용하여 후에 설명하는 상부브라켓(120)와 회전가능하게 축 결합하는 구조를 갖는다.
하부브라켓(110)은 도시한 바와 같이, 동력부재(130) 하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해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제1연결편(113)이 형성된다.
또한, 상부브라켓(120)은 하부 양측이 하부브라켓(110) 양측에 구비된 회전축(111)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되 그 상부에는 하체받침부(15) 하면과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 결합하여 상기 상부브라켓(1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하체받침부(15)도 함께 회전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각각의 회전축(111)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둘레면에 제1톱니(123)가 형성된 고정기어(121)가 서로 마주보도록 상부브라켓(120) 내측으로 상호 대칭되게 구비되되 상기 고정기어(121)는 둘레면에 제2톱니(127)가 형성된 이동기어(125)와 상기 제1톱니(123)와 서로 치(齒) 결합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동력부재(130)는 컨트롤러(C)에서 인가된 전원에 의해 로드(131)의 길이가 가변되는 실린더나 모터를 사용하되 상기 로드(131)의 길이가변을 통해 상부브라켓(120)이 회전축(11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동력이 전달된다.
이때, 로드(131)는 제1연결편(113)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되 동력부재(130)를 구성하는 몸체는 상부브라켓(120)에 구비된 제2연결편(129)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로드(131)의 인장 및 수축에 대한 용이성을 제공하여 상기 상부브라켓(120)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5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연결편(113)과 연결된 로드(131)의 길이가 늘어나 제2연결편(129)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한 동력부재(130)의 전체 길이가 늘어나면 그 늘어난 길이에 부합되게 상부브라켓(120)이 한 쌍의 회전축(111)을 중심으로 하부브라켓(110) 상부에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어 등받이부(13)와 일체인 하체받침부(15)가 함께 회전하여 사용자가 누울 수 있는 각도가 유지되어 휴식의 편의성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상부브라켓(120)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각각의 회전축(111)에 고정 구비된 고정기어(121)의 둘레면에는 이동기어(125)가 치 결합하여 상기 고정기어(121)의 외경을 따라 회전하게 함으로써, 상기 상부브라켓(120)이 회전시에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의 저하는 물론, 기게적인 부하를 최소한으로 하여 회전하게 되어 리클라이너수단(100)의 내구성이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되는 것이다.
또한, 차단판(140)은 도시한 바와 같이, 합성수지재 등을 통해 전체적으로 반원의 판 형상으로 성형되되 상부브라켓(120) 또는 하체받침부(15) 하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상부브라켓(120)과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외부에서 가해지는 영향에 의해 본 발명에서의 리클라이너수단(100)이 파손되지 않도록 한 쌍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비말방지수단(200)은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양측에 존재하는 주변인(예를 들어, 옆자리 의자를 사용하는 자)의 기침이나 재채기 등을 통해 비말되는 침이 사용자에게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가림판(210), 회전바(220), 회전판(230) 및 회전가이드(240)를 포함한다.
예컨대 가림판(210)은 도시한 바와 같이, 투명 또는 불투명의 아크릴 등과 같은 합성수지재로 판의 형상을 갖도록 성형되되 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을 통해 회전바(220) 일측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한다.
가림판(210)의 면적은 한정하고 있지 않으나, 적어도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한 이후에 주변인의 신체가 육안으로 식별되지 않을 정도의 면적을 갖도록 성형되어 비말되는 침이 최대한 사용자 방향으로 넘어오지 못하게 차단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다.
한편, 가림판(210)은 받침판(11)에 구비된 컨트롤러(C)의 제어를 통해 다수의 엘이디 조명이 조사될 수 있게 조명부재(260)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조명부재(260)를 통해 의자(10)에서 휴식을 취하는 사용자를 기준으로 그 양측은 물론, 상부에서 조명이 조사되어 독서 등을 즐길 수 있도록 한다(도 16 및 도 17 참조).
이때,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컨트롤러(C)는 조명부재(260)에 인가하는 전원의 세기를 조절하여 엘이디의 밝기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전바(220)는 소정길이를 갖되 일측에는 가림판(210)이 결합하며, 타측은 회전판(230)과 고정 결합하여 상기 회전판(230)의 회전에 의해 의자(10) 양측으로 선택적 회전이 가능하게 한다.
회전바(22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의자(10)를 구성하는 등받이부(13)의 형상이나 크기 등에 따라 길이가 결정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소정각도로 절곡되세 성형되는 것도 가능하다.
회전바(220) 타측에는 회전판(230)와 고정결합하기 위한 체결공(221)이 천공 형성되되 상기 체결공(221)에는 고정핀(223)이 상기 회전판(230)에 형성된 고정공(233)과 나사 결합 등에 의해 고정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회전판(230)은 원판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전면은 고정핀(223)에 의해 회전바(220)와 고정 결합하며, 후면은 회전가이드(240) 전면과 서로 회전가능하게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회전판(230) 외면에는 전면에서 후면까지 이어지되 호(弧) 형상을 갖는 회전홈(231)이 천공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홈(231) 내측으로는 회전가이드(240) 전면에 돌출 형성된 스토퍼(245)가 삽입되어 상기 회전판(230)의 회전각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회전홈(231)의 형상은 회전판(230)의 회전반경이 최대 180도 이내에서 회전할 수 있을 정도의 형상으로 성형되어 등받이부(13) 일측이나 타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가림판(210)이 배치되어 침의 비말이 차단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소정지름을 갖는 회전판(230)의 중심측에는 회전바(220)에 관통 삽입된 고정핀(223)이 상기 회전판(230)과 결합할 수 있게 관통하여 회전가이드(240) 내측으로도 관통 삽입되게 고정공(233)이 형성된다.
또한, 회전가이드(240)는 상술한 회전판(230)의 회전각도를 제어하되 상기 회전판(230)이 등받이부(13)에서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매립체(241) 및 가이드판(243)을 포함한다.
매립체(241)는 도시한 바와 같이,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져 등받이부(13) 후면 측에 매립되게 고정 설치되며, 내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베어링(미도시)이 구비되어 회전가이드(240) 내부로 삽입된 고정핀(223)이 회전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가이드판(243)은 매립체(241) 외면 즉, 회전판(230) 후면과 서로 마주보는 전면과 서로 이어지되 상기 매립체(241)의 외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갖는 원판의 형상으로 성형되어 등받이부(13)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가이드판(243) 외면에는 회전홈(231) 내측으로 삽입되기 위한 스토퍼(245)가 돌출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판(243) 중심측에는 회전바(220) 및 회전판(230)을 관통하는 고정핀(223)이 매립체(241) 내측까지 인입될 수 있게 관통공(247)이 천공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회전가이드(240)는 도 12 내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판(230)이 회전시에 서로 다른 각도를 갖도록 단계별 회전이 가능하게 각도제어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각도제어부(250)는 록킹돌기(251) 및 회전제어공(253)을 포함한다.
록킹돌기(251)는 도시한 바와 같이, 플라스틱 등과 같은 재질로 성형된 가이드판(243) 전면을 일부 절개하되 그 재질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록킹돌기(251)가 전후진 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록킹돌기(251)는 반구의 형상을 갖도록 성형되어 회전판(230)이 회전시에 회전제어공(253)에 용이하게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판(230) 후면에 의해 후방으로 밀린 상태에서 상기 회전판(230)이 용이하게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여, 록킹돌기(251)의 전후진을 통해 회전판(230) 후면에 다수 형성된 회전제어공(253)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상기 회전판(230)의 회전각도가 단계별로 이루어져 가림판(210)이 등받이부(13)를 중심으로 양측은 물론, 수직 및 사선의 형태로 배치되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비말방지는 물론, 가림판(210)에 조명부재(260)가 구비시에 엘이디에서 조사되는 조명의 각도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회전제어공(253)은 고정공(233)을 중심으로 록킹돌기(251)와 대향되는 회전판(230) 후면에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되어 상기 회전판(230)이 회전시에 어느 하나의 상기 회전제어공(253) 중 하나가 상기 록킹돌기(251)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자구조(1)는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의자(10)에 구비된 리클라이너수단(100)을 통해 사용자가 해당 의자(10)에 앉는 것은 물론, 누워있는 자세의 회전이 가능하되 회전시에 고정기어(121)와 이동기어(125)에 의해 기계적 부하의 감소와 함께 소음이 없이 동작할 수 있는 효과를 구현하게 된다.
또한, 부가적으로 등받이부(1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비말방지수단(200)에 의해 사용자 주변에 존재하는 옆사람에게서 파생되는 침의 비말을 미연에 차단하여 바이러스 등에 의한 감염방지는 물론, 프라이버시의 침해를 방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아울러, 종래와 차별되게 부가적으로 가림판(210)에 구비된 조명부재(260)에 의해 특히 야간이나 실내 조명이 어두운 상태에서 사용자가 휴식중에도 비말방지와 함께 독서 등을 즐길 수 있는 효과를 구현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본 발명에 따른 리클라이너 기능을 갖는 의자구조
100: 리클라이너수단
110: 하부브라켓 111: 회전축
113: 제1연결편 120: 상부브라켓
121: 고정기어 123: 제1톱니
125: 이동기어 127: 제2톱니
129: 제2연결편 130: 동력부재
131: 로드 140: 차단판
200: 비말방지수단
210: 가림판 220: 회전바
221: 체결공 223: 고정핀
230: 회전판 231: 회전홈
233: 고정공 240: 회전가이드
241: 매립체 243: 가이드판
245: 스토퍼 247: 관통공
250: 각도제어부 251: 록킹돌기
253: 회전제어공 260: 조명부재
C: 컨트롤러

Claims (8)

  1. 받침판(11), 등받이부(13), 하체받침부(15) 및 지지부(17)를 포함하는 의자구조(1)에 있어서,
    상기 의자구조(1)는
    상기 하체받침부(15) 하면과 연결되되 상기 지지부(17)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등받이부(13)와 함께 상기 하체받침부(15)의 각도를 가변시키는 리클라이너수단(100);을 포함하되,
    상기 리클라이너수단(100)은
    상기 지지부(17)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브라켓(110), 회전축(111)에 의해 상기 하부브라켓(110)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되 상기 하체받침부(15) 하면에 고정되는 상부브라켓(120), 상부가 상기 상부브라켓(120)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되 하부는 상기 하부브라켓(110)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컨트롤러(C)의 제어를 통해 서로 다른 길이를 갖도록 단계별로 로드(131)가 인장 및 수축하여 상기 상부브라켓(120)이 회전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재(130), 상기 하체받침부(15)에 반원의 형상을 갖도록 한 쌍이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어 상기 리클라이너수단(100)을 외부 영향으로부터 보호하는 차단판(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너 기능을 갖는 의자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클라이너수단(100)은
    상기 회전축(111)이 관통되게 상기 상부브라켓(120)에 구비되되 둘레면에는 제1톱니(123)가 형성된 고정기어(121); 및
    둘레면에 형성된 제2톱니(127)가 상기 제1톱니(123)와 서로 치(齒) 결합할 수 있게 상기 상부브라켓(120)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브라켓(120)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구비되는 이동기어(125);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기어(125)는 상기 상부브라켓(120)이 회전시에 상기 고정기어(121) 둘레면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너 기능을 갖는 의자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클라이너수단(100) 양측에는
    상기 하체받침부(15) 하부에 고정설치된 차단판(140)에 의해 외부의 영향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너 기능을 갖는 의자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구조(1)는 비말방지수단(200);을 더 구비하되
    상기 비말방지수단(200)은
    판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등받이부(13) 측면에 배치되는 가림판(210), 일측이 상기 가림판(210)과 결합하되 타측은 상기 등받이부(13) 하방측으로 연장되는 회전바(220), 상기 회전바(220) 타측과 결합하는 회전판(230) 및 상기 회전판(230)과 회전가능하게 상기 등받이부(13)와 고정되게 매립 설치되되 상기 회전판(230)의 회전각도를 제어하는 회전가이드(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너 기능을 갖는 의자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가이드(240)는
    상기 등받이부(13)에 매립되는 매립체(241); 및
    상기 매립체(241) 외면과 이어지게 상기 등받이부(13)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되 외면에는 상기 회전판(230)이 삽입되어 상기 회전판(230)의 회전각도를 제어하는 스토퍼(245)가 돌출 형성된 가이드판(24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너 기능을 갖는 의자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230)은
    외면에 호(弧)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스토퍼(245)가 삽입되는 회전홈(231)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홈(231)은 상기 회전판(230)의 회전반경이 180도가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너 기능을 갖는 의자구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말방지수단(200)은
    상기 회전가이드(240)에 안내되어 회전하는 상기 회전판(230)이 단계별로 회전할 수 있게 각도제어부(250);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각도제어부(250)는
    상기 회전판(230)과 서로 마주보는 상기 회전가이드(240) 외면에 탄성 복원이 가능하도록 돌출 형성된 록킹돌기(251) 및 상기 록킹돌기(251)와 대향되게 상기 회전판(230) 외면에 호(弧) 형상을 갖도록 다수 형성되어 어느 하나가 상기 록킹돌기(251)와 끼움 결합하는 회전제어공(25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너 기능을 갖는 의자구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말방지수단(200)은 조명부재(26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조명부재(260)는
    상기 가림판(210) 외면에 구비되되 인가된 전원에 의해 조명을 조사하는 엘이디이며, 상기 조명부재(260)는 컨트롤러(C)에 의해 점멸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너 기능을 갖는 의자구조.
KR1020220018424A 2022-02-11 2022-02-11 리클라이너 기능을 갖는 의자구조 KR202301214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8424A KR20230121476A (ko) 2022-02-11 2022-02-11 리클라이너 기능을 갖는 의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8424A KR20230121476A (ko) 2022-02-11 2022-02-11 리클라이너 기능을 갖는 의자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1476A true KR20230121476A (ko) 2023-08-18

Family

ID=87801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8424A KR20230121476A (ko) 2022-02-11 2022-02-11 리클라이너 기능을 갖는 의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1476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8414B1 (ko) 2010-05-04 2013-02-28 김범진 전자동 리클라이너 소파
KR102303786B1 (ko) 2019-12-04 2021-09-17 (주)지원에프앤비 좌판이 젖혀지는 청소가 용이한 영화관용 소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8414B1 (ko) 2010-05-04 2013-02-28 김범진 전자동 리클라이너 소파
KR102303786B1 (ko) 2019-12-04 2021-09-17 (주)지원에프앤비 좌판이 젖혀지는 청소가 용이한 영화관용 소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09779T3 (es) Brazo de silla ergonomico.
ES2872254T3 (es) Herraje pivotante y mueble
WO2006138523A3 (en) Reversible lounge chair
DE60215709D1 (de) Bürostuhl
CA2234842A1 (en) Glider chair
KR20230121476A (ko) 리클라이너 기능을 갖는 의자구조
US20070152477A1 (en) Seating and/or reclining furniture for use outdoors or in wet areas, especially lounger or the like
KR20230121475A (ko) 비말방지의 기능을 갖는 의자구조
KR102521635B1 (ko) 각도와 높이조절 기능을 갖는 의자용 헤드레스트
KR102418220B1 (ko) 소파 겸용 회전식 안마의자
AU2006275207A1 (en) A chair or a bed having a seat, a backrest and an armrest as well as use thereof
KR101019020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의자 용 팔 받침대.
CN107280298A (zh) 一种多功能排椅
DE60222197D1 (de) Lehnstuhl mit Fussstütze, und Klemmvorrichtung
KR102549498B1 (ko) 시트용 암 레스트
CN212995573U (zh) 一种靠背可调节沙发
KR20200042096A (ko) 유니트 체어
KR200306819Y1 (ko) 작업용 등받이 의자
KR200395899Y1 (ko) 의자용 팔걸이 구조
JP5956134B2 (ja) 椅子の肘掛け装置
KR20080100061A (ko) 의자식 허리운동 기구
KR102317412B1 (ko) 컴팩트형 안마의자
CN214803637U (zh) 一种办公用的防打扰午休座椅
KR102341831B1 (ko) 의자용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의자
US1282164A (en) Opera-ch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