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9020B1 - 각도 조절이 가능한 의자 용 팔 받침대. - Google Patents

각도 조절이 가능한 의자 용 팔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9020B1
KR101019020B1 KR1020070118930A KR20070118930A KR101019020B1 KR 101019020 B1 KR101019020 B1 KR 101019020B1 KR 1020070118930 A KR1020070118930 A KR 1020070118930A KR 20070118930 A KR20070118930 A KR 20070118930A KR 101019020 B1 KR101019020 B1 KR 101019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le
cam
arm
latch
back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8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2434A (ko
Inventor
배기성
Original Assignee
배기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기성 filed Critical 배기성
Priority to KR1020070118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9020B1/ko
Publication of KR20090052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24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9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9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4Supports for the ar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arm-res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도 조절이 가능한 의자 용 팔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도가 조절되는 등받이부의 양측면에 팔 받침대를 결합하되,
상기 팔 받침대는 팔 받침대 케이스가 외부에 씌워지면서 일측단에 결합판이 구비된 받침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판의 일측면에 한 쌍의 차단 돌기부와 다수의 캠홈이 형성된 캠부를 결합판에 고정결합하며, 상기 캠홈에 끼워지면서 팔 받침대의 각도가 조절되게 걸림쇠를 결합부의 일측에 설치하고, 상기 결합판과 캠부 및 결합부를 관통 볼트로서 관통시켜 조립한 후 그 관통 볼트를 등받이부의 양측으로 결합구성하므로서,
상기 등받이부의 각도에 따라 사용자가 편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받침 프레임을 상,하부로 회전시키면 캠부가 받침 프레임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팔 받침대의 각도를 조절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등받이의 각도에 따라 상기 팔 받침대의 각도를 조절시켜 편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조절된 등받이부를 처음 상태로 조절할 때 팔 받침대를 먼저 조절한 후에 상기 팔 받침대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등받이부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 각도 조절이 가능한 의자 용 팔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받침 프레임, 차단 돌기부, 캠부, 캠홈, 조절홈, 리턴 스프링, 결합 볼트, 매립 너트, 걸림쇠, 의자, 등받이부, 시트부, 관통 볼트,

Description

각도 조절이 가능한 의자 용 팔 받침대.{A Support Arm for chair}
본 발명은 각도 조절이 가능한 의자 용 팔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도가 조절되는 등받이부의 내측에 매립 너트를 장착하고, 상기 매립 너트에 각도 조절이 가능한 팔 받침대를 결합하여 상기 등받이부의 각도에 따라 팔 받침대의 각도 조절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편하게 팔 받침대의 상부에 팔을 올려놓을 수 있으며, 각도가 조절된 등받이부의 각도를 조절하거나 또는 처음 상태를 유지할 때는 미리 팔 받침대를 조절한 상태에서 팔 받침대를 손으로 잡고 등받이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 각도 조절이 가능한 의자 용 팔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시트부의 일측단에 등받이부가 형성되며, 상기 시트부에 팔 받침대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의자에 앉아서 책상에서 업무 또는 공부를 하는 것이다.
그리고 근래에는 별도의 작동 수단에 의해 등받이부가 시트부와 나란해지도록 펴지는 기능성 운동 의자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기능성 운동의자는 사용자가 업무를 보거나 공부 도중 등받이부를 젖혀 놓은 상태에서 편안히 누워 잠시 휴식을 취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어 점차 그 제품의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문제점은 팔 받침대가 시트부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등받이부가 시트부와 나란하게 펼쳐졌을 때 사용자가 등받이부의 각도에 맞게 팔을 편안하게 팔 받침대에 올려놓을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각도 조절이 가능한 의자 용 팔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등받이부의 각도에 따라 사용자가 편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받침 프레임을 상,하부로 회전시키면 캠부가 받침 프레임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팔 받침대의 각도를 조절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등받이의 각도에 따라 상기 팔 받침대의 각도를 조절시켜 편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조절된 등받이부를 처음 상태로 조절할 때 팔 받침대를 먼저 조절한 후에 상기 팔 받침대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등받이부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 각도 조절이 가능한 의자 용 팔 받침대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공지의 등받이부(33)와 시트부(32)를 구비한 의자에 사용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의자용 팔 받침대에 있어서,
팔 받침대는 팔 받침대 케이스가 외부에 씌워지면서 그 일측단에 결합판이 구비된 받침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판의 일측면에 다수의 캠홈이 둘레를 따라 형성된 캠부를 고정결합하며, 상기 캠홈에 끼워지면서 받침 프레임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걸림쇠를 상기 캠부의 일면에 밀착되게 설치하고, 상기 결합판과 캠부 및 결합부를 관통 볼트로서 관통시켜 조립한 후 그 관통 볼트를 등받이부의 양 측으로 끼워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각도 조절이 가능한 의자 용 팔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도가 조절되는 등받이부의 내측에 매립 너트를 결합하고, 상기 매립 너트에 각도 조절이 가능한 팔 받침대를 결합하여 상기 등받이부의 각도에 따라 팔 받침대의 각도 조절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등받이의 각도에 따라 상기 팔 받침대의 각도를 조절시켜 편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조절된 등받이부를 처음 상태로 조절할 때 팔 받침대를 먼저 조절한 후에 상기 팔 받침대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등받이부를 쉽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7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시트부(32)와 등받이부(33)가 직교하는 부분에 조절부(34)를 결합시켜 상기 조절부(34)의 작동에 따라 등받이부(33)가 상,하로 회전되는 등받이부(33)의 양 측면에 각도 조절이 가능한 팔 받침대(4)를 결합한 것이다.
상기 팔 받침대(4)는 팔 받침대 케이스(4a)가 외부에 씌워지면서 그 일측단에 결합판(2)이 구비된 'ㄱ' 형태의 받침 프레임(1)을 구비한다.
상기 결합판(2)의 일측면에 다수의 캠홈(12)이 둘레를 따라 형성된 캠부(11)를 고정 볼트(17)와 고정 너트(18)로 결합판(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한다.
상기 캠부(11)는 한 쌍의 차단 돌기부(15a,15b)를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존재하도록 캠부(11)의 외주연에 돌출되게 형성하고, 상기 차단 돌기부(15a,15b)의 사이에 다수의 캠홈(12)을 형성하며, 차단 돌기부(15a,15b)의 일면에는 걸림쇠(21)와 접촉되는 접속부(16)가 형성된다.
상기 캠홈(12)에 끼워져 받침 프레임(1)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걸림쇠고정부(22)를 이용하여 걸림쇠(21)를 결합부(21)의 일측에 설치한다.
상기 캠홈(12)은 내측 하부에 차단부(13)를 형성하여 이 차단부(13)에 걸림쇠(21)가 밀착되면서 각도가 조절된 받침 프레임(1)의 각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캠홈(12)과 캠홈(12)이 연결되는 끝단부에 톱니형의 만곡부(14)를 돌출 형성하여 받침 프레임(1)이 하부로 회전할 때 만곡부(14) 일측단과 걸림쇠(21)의 일측단이 접촉되면서 받침 프레임(1)이 하부로 회전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결합판(2)과 캠부(11) 및 결합부(24)를 관통 볼트(3)로 관통 결합하여 등받이부(33)의 내측에 장착된 매립 너트(35)에 팔 받침대(4)를 고정결합한다.
이렇게 상기 관통 볼트(3)가 결합판(2)과 캠부(11) 및 결합부(2)를 관통 결합하므로서, 상기 결합판(2)과 캠부(11)는 관통 볼트(3)를 중심으로 상,하로 회전되는 것이다
상기 걸림쇠(21)와 결합부(24)의 사이에 걸림쇠(21)가 수평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을 가하는 리턴 스프링(23)을 결합형성하며 상기 리턴 스프링(23)에 의해 걸림쇠(21)는 항상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캠홈(12)에 걸림쇠(21)가 끼워져 받침 프레임(1)의 설치각도를 조절 및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도면 부호 19는 조절홈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조절홈(19)은 한 쌍의 차단 돌기부(15a,15b)와 캠홈(12)의 사이에 캠홈(12)의 반경보다 더 깊게 형성되어 걸림쇠(21)가 조절홈(19)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걸림쇠(21)의 유동, 즉 경사각의 변경이 가능해져서 받침 프레임(1)이 상부 또는 하부로 회전방향을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받침프레임(1)이 상승하거나 하강하여 걸림쇠(21)가 조절홈(19)에 도달한 상태에서 받침프레임(1)을 더 회전시키게되면 걸림쇠(21)가 차단 돌기부(15a,15b)의 접속부에 접촉되면서 받침프레임(1)은 더이상 회전하지 않게되고, 이상태에서 받침프레임(1)의 회전방향을 반대로 전환시켜주게되면 걸림쇠(21)는 조절홈(19) 내에서 자연스럽게 경사각도가 바뀌어지는 것이다.
이렇게 결합된 팔 받침대(4)를 등받이부(33)의 양측에 결합하기 때문에 등받이부(33)의 각도에 따라 팔 받침대(4)를 사용자가 편한 각도로 조절할 수 있으며, 또한 팔 받침대(4)가 등받이부(33)의 각도에 맞게 조절되므르서, 사용자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결합 상태 및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시트부(32)와 등받이부(33)가 직교하는 부분에 조절부(34)를 결합시켜 등받이부(33)가 상,하로 회전할 있게 한다.
상기 등받이부(33)의 내측에 매립 너트(35)를 장착하여 팔 받침대(4)를 도 3에서 도시된 것처럼 등받이부(33)의 양측에 장착한다.
상기 팔 받침대(3)는 팔 받침대 케이스(4a)가 받침 프레임(1)의 외측으로 씌워지며 상기 받침 프레임(1)의 일측단에 구비된 결합판(2)에 도 1에서 도시된 것처럼 캠부(11)를 고정 볼트(17)와 고정 너트(18)를 이용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한다.
상기 캠부(11)는 도 3에서 도시된 것처럼 둘레에 한 쌍의 차단 돌기부(15a,15b)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차단 돌기부(15a,15b)의 사이에 다수의 캠홈(12)이 톱니형으로 형성된 다수의 만곡부(14)사이에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캠홈(12)의 내측에 끼워져 받침 프레임(1)이 각도를 조절하거나 또는 유지할 수 있게 걸림쇠(2)를 도 1에서 도시된 것처럼 걸림쇠고정부(22)를 이용하여 결합부(24) 일측면에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캠홈(12)은 도 1 내지 도 6에서 도시된 것처럼 캠홈(12)의 내측에 차단부(13)를 형성하여 걸림쇠(21)에 의해 각도가 조절된 받침 프레임(1)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즉, 캠홈(12)에 걸림쇠(21)가 끼워지게되면, 걸림쇠(21)가 차단부(13)에 밀착되면서 받침프레임(1)이 상승은 가능하지만 하강하는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잡아주게되며, 이때, 사용자가 팔을 받침프레임(1)에 올려놓거나 또는 받침프레임(1)의 하중에 의해 자연적으로 받침프레임(1)이 하강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게 되므로 이 힘을 차단부(13)에 밀착된 걸림쇠(21)가 받쳐주게되므로서 받침프레임(1)의 각도가 유지되는 것이다.
한편, 한 쌍의 차단 돌기부(15a,15b)와 캠홈(12)의 사이에 상기 캠홈(12)보다 깊게 파여진 조절홈(19)을 형성하여 도 5 의 (b)에서 도시된 것처럼 걸림쇠(21)의 각도를 변경할 수 있게 한다.
상기 고정 결합 된 결합판(2)과 캠부(11)의 중앙 부를 관통 볼트(3)로 관통시키고, 상기 관통 볼트(3)의 끝단에 걸림쇠(21)가 결합된 결합부(24)를 고정 결합한다.
상기 결합부(24)와 걸림쇠(21)의 사이에 걸림쇠(21)가 항상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방향으로 탄성을 가하는 리턴 스프링(23)을 결합시켜 캠홈(12)의 내측에 걸림쇠(21)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결합 된 본 발명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의자(31)에 앉은 상태에서 조절부(34)를 작동시켜 도 7과 같이 시트부(32)와 등받이부(33)가 수평해지도록 등받이부(33)를 하부로 회전시킨다.
상기 등받이부(33)가 하부로 회전함에 따라서 등받이부(33)의 양 측면에 결합된 팔 받침대(4)는 도 7의 점선도시 부분과 같이 수평상태로 눕혀진 등받이부(33)에 대해 직각을 이룬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직각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팔 받침대(4)를 도 4의 (b)와 같이 하부로 회전시켜 도 7의 실선도시부분과 같이 등받이부(33)와 수평이되도록 하는 것이다.
앞에서의 설명은 등받이부(33)가 수평하게 젖혀진 상태에서 팔 받침대(4)의 회전 각도를 설명한 것으로, 본 발명은 등받이부(33)의 각도와 상관 없이 조절이 가능하며 또한 등받이부(33)의 각도가 수평상태가 아닌 다른 각도를 유지하더라도 등받이부(33)의 각도에 따라 사용자가 편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팔 받침대(4)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음을 밝히는 바이다.
여기서 팔받침대(4)의 각도 조절과정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도 5a와 같이 받침프레임(1)이 수평상태를 유지하고 있고, 걸림쇠(21)가 하향 경사진 각도로 존재하면서 최상단의 캠홈(12)에 걸려져 있는 상태에서 받침프레임(1)의 각도 변경을 위해 받침프레임(1)을 상향 회전시키면 도 5b와 같이 걸림쇠(21)가 상측의 조절홈(19)에 끼워진 후 상측 차단돌기부(15a)의 접속부(16)에 밀착되면서 더이상 받침프레임(1)이 상향회전하지 못하게되고, 이때 사용자가 다시 받침프레임(1)의 회전방향을 아래쪽으로 변경시키면 캠부(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도 5c와 같이 캠홈(12)보다 깊게 파여진 조절홈(19) 내에서 걸림쇠(21)의 각도가 상향 경사지게 변경된다.
걸림쇠(21)의 각도가 상향 경사지게 변경된 상태에서 받침프레임(1)을 아래쪽으로 회전시키면 도 5d와 같이 걸림쇠(21)가 만곡부(14)에 접촉되면서 걸림쇠(21)의 상향경사상태가 그대로 유지되면서 캠부(1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받침프레임(1)을 더욱 아래쪽으로 회전시켜 걸림쇠(21)가 아래쪽 차단돌기부(15b)에 접촉되면 도 5e와 같이 더이상 받침프레임(1)이 아래쪽으로 회전하지 않게된다.
삭제
이러한 상태에서 받침프레임(1)을 다시 상향 회전시켜 캠부(1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면, 도 5f와 같이 걸림쇠(21)가 아래쪽 조절홈(19) 내에서 하향 경사진 상태로 각도가 변경된다.
걸림쇠(21)가 하향 경사지게 각도가 변경된 상태에서 받침프레임(1)을 소정각도 상승시켜 캠부(1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도 5g와 같이 걸림쇠(21)가 캠홈(12)에 끼워지면서 걸리게되고, 이상태에서는 걸림쇠(21)의 끝부분이 캠홈(12)의 차단부(13)에 밀착되면서 받침프레임(1)의 상승은 가능하지만 하강은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가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는 받침프레임(1)의 하중이 아래쪽으로 작용하므로 자연적으로 받침프레임(1)이 상승하는 현상은 발생하지 않게된다.
그리고, 도 5h와 같이 지속적으로 받침프레임(1)을 상승시킴에 따라 걸림쇠(21)는 딸각 딸각 소리를 내면서 다음의 캠홈(12)에 끼워지면서 받침프레임(1)의 설치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도 8 또는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 중복되는 도면 부호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팔 받침대(43)의 일측단에 작동 스위치(41)를 결합하며, 상기 자동 스위치(41)의 끝단에 와이어(42)를 결합한다.
상기 와이어(42)의 일측 끝단은 걸림쇠(22)와 연결되어 작동 스위치(41)를 작동시키면 도 9 에서 도시된 것처럼 와이어(42)가 하부로 당겨지면서 캠홈(14)과 밀착 결합 된 걸림쇠(22)를 상기 캠홈(12)으로부터 이격시켜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팔 받침대(43)를 조절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의자 용 팔 받침대의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의자 용 팔 받침대의 측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의자 용 팔 받침대와 등받이와 결합도를 도시한 정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의자 용 팔 받침대의 조절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5 는 본 발명의 각도 조절 수단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 상태도.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의자 용 팔 받침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결합 상태도.
도 8 은 본 발명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의자 용 팔 받침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9 는 본 발명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의자 용 팔 받침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도면 부호의 설명>
1: 받침 프레임, 2: 결합판,
3: 관통 볼트, 4: 팔 받침대,
4a: 팔 받침대 케이스, 11: 캠부,
12: 캠홈, 13: 차단부,
14: 만곡부, 15: 차단 돌기부,
16: 접속부, 17: 고정 볼트,
18: 고정 너트, 19: 조절홈,
21: 걸림쇠, 22: 걸림쇠고정부,
23: 리턴 스프링, 24: 결합부,
25: 결합 볼트, 31: 의자,
32: 시트부, 33: 등받이부,
34: 조절부, 35: 매립 너트,
41: 작동 스위치, 42: 와이어,

Claims (6)

  1. 공지의 등받이부(33)와 시트부(32)를 구비한 의자에 사용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의자용 팔 받침대에 있어서,
    팔 받침대(4)는 팔 받침대 케이스(4a)가 외부에 씌워지면서 그 일측단에 결합판(2)이 구비된 받침 프레임(1)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판(2)의 일측면에 다수의 캠홈(12)이 둘레를 따라 형성된 캠부(11)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캠홈(12)에 끼워지면서 받침 프레임(1)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걸림쇠(21)를 상기 캠부(11)의 일면에 밀착되게 설치하고, 상기 결합판(2)과 캠부(21) 및 결합부(24)를 관통 볼트(3)로서 관통시켜 조립한 후 그 관통 볼트(3)를 등받이부(33)의 양측으로 끼워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의자 용 팔 받침대.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캠홈(12)들의 양측 끝단에 걸림쇠(21)와의 접촉에 의해 캠부(11)의 회전 반경을 제한하는 한 쌍의 차단 돌기부(15a,15b)를 돌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의자용 팔 받침대.
  3. 청구항 2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돌기부(15)의 일측에 걸림쇠(21)의 경사각 변경이 가능하도록 캠홈(12)보다 깊게 파여진 조절홈(19)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의자용 팔 받침대.
  4.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쇠(21)와 결합부(24)의 사이에 걸림쇠(21)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리턴 스프링(23)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의자용 팔 받침대.
  5. 청구항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33)의 내측에 매립 너트(35)를 내장시켜 관통 볼트(3)의 끝단에 형성된 결합 볼트(25)를 매립 너트(35)에 결합시켜 팔 받침대(4)의 구조물을 등받이부(33)의 양측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의자용 팔 받침대.
  6. 삭제
KR1020070118930A 2007-11-21 2007-11-21 각도 조절이 가능한 의자 용 팔 받침대. KR101019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8930A KR101019020B1 (ko) 2007-11-21 2007-11-21 각도 조절이 가능한 의자 용 팔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8930A KR101019020B1 (ko) 2007-11-21 2007-11-21 각도 조절이 가능한 의자 용 팔 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2434A KR20090052434A (ko) 2009-05-26
KR101019020B1 true KR101019020B1 (ko) 2011-03-04

Family

ID=40860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8930A KR101019020B1 (ko) 2007-11-21 2007-11-21 각도 조절이 가능한 의자 용 팔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90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911Y1 (ko) * 2010-10-13 2012-06-13 한일내장(주) 시트 본체에 일체화 및 조립,분해가 용이한 차량용시트의 팔걸이부와 그의 체결구조
KR101878610B1 (ko) * 2017-11-15 2018-07-13 이상욱 컵홀더가 구비되는 의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5970Y1 (ko) * 1986-06-20 1990-06-30 이병기 의자용 각도 조절 팔걸이
JP2005042903A (ja) 2003-07-20 2005-02-17 Bizen Hatsujo Kk アーム回転支持装置
JP2005111116A (ja) 2003-10-10 2005-04-28 Richell Corp 肘掛け回動機構
JP2005192766A (ja) 2004-01-07 2005-07-21 Okamura Corp 椅子の肘掛け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5970Y1 (ko) * 1986-06-20 1990-06-30 이병기 의자용 각도 조절 팔걸이
JP2005042903A (ja) 2003-07-20 2005-02-17 Bizen Hatsujo Kk アーム回転支持装置
JP2005111116A (ja) 2003-10-10 2005-04-28 Richell Corp 肘掛け回動機構
JP2005192766A (ja) 2004-01-07 2005-07-21 Okamura Corp 椅子の肘掛け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2434A (ko) 2009-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4697B1 (en) Coupling mechanism interposed between a seat and a back of a chair to prevent a reclining motion of the back from tilting the seat
KR20190044580A (ko) 의자 구조 및 의자
KR950030930A (ko) 프리로딩된 기틀 조립체를 갖는 회전 안락의자/흔들의자
US20120098318A1 (en) Adjustable Armrest Support of Chair
KR20110098442A (ko) 등받이 회동 범위 조절이 가능한 접철식 좌의자
KR101052217B1 (ko) 의자의 등판 틸팅장치
JP2020508778A (ja) 椅子の背部傾動機構
KR101019020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의자 용 팔 받침대.
JP2011087902A (ja) 調整機構及び傾角調整可能な椅子
US6659554B2 (en) Adjustment device of a chair backrest
KR102136114B1 (ko) 다기능 조절장치를 구비한 의자
KR100953413B1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관람식 의자
US6935694B2 (en) Folding sand beach chair
KR20120002824U (ko) 좌우 회동 및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다기능 의자 팔걸이
CN208096482U (zh) 一种多功能排椅
KR200423605Y1 (ko) 의자 등받이 경사도 조절장치
KR101130506B1 (ko) 좌판의 높낮이가 조절 가능한 좌식의자
CN107348730A (zh) 一种舒适排椅
KR200253649Y1 (ko) 의자의등받이각도조절장치
JP2013031746A (ja) 椅子
CN217610233U (zh) 一种沙发靠背调节装置
KR100718738B1 (ko) 회전기능이 구비된 의자 팔걸이
KR20100008565U (ko) 의자용 팔걸이
JP3106431U (ja) ヘッドレスト及び腰当てクッションの調整機能付き椅子
KR200392972Y1 (ko) 등받이가 구비되는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