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1268A - 냉동창고용 에어커튼장치 - Google Patents

냉동창고용 에어커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1268A
KR20230121268A KR1020220017907A KR20220017907A KR20230121268A KR 20230121268 A KR20230121268 A KR 20230121268A KR 1020220017907 A KR1020220017907 A KR 1020220017907A KR 20220017907 A KR20220017907 A KR 20220017907A KR 20230121268 A KR20230121268 A KR 202301212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main body
air curtain
door
discharg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7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규
김애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어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어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어월
Priority to KR1020220017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1268A/ko
Publication of KR20230121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12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3Air curtain clo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3/00Stationary devices, e.g. cold-roo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05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in cold roo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supply
    • F25D2317/0664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supply from the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supply
    • F25D2317/0665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supply from the t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동창고용 에어커튼장치에 관한 것으로, 냉동창고 도어의 적어도 일측에 제공되고 전면에 형성된 흡입구와 측면에 제공된 토출구를 구비한 본체와, 도어 개구부에 에어 커튼을 형성하도록 상기 본체의 흡입구로 부터 에어를 흡입하여 토출구를 통해 에어를 공급하는 송풍팬을 구비하는 냉동창고용 에어커튼장치에 있어서, 본체(10) 내부에서 유입구(31)가 그 하우징의 측부에서 상하로 형성되어 그릴(5)을 향하고, 배출구(32)는 송풍팬 하우징의 일측 하부에서 도어의 폭방향을 향하여 제공된 토출구(20)에 연통되도록 복수개의 복수개의 송풍팬(30)들이 본체(10) 내에서 상하로 배치되어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됨으로써, 냉동창고의 도어용 개구부에 균일한 에어커튼을 형성하여 냉기를 유지하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흡기에 포함된 이물질이나 벌레가 그릴(5)에 의해 걸려지게 되므로 종래 이물질이나 벌레가 포함된 급기에 의한 송풍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개구부를 통과하는 작업자들에 분사되는 에어에 포함된 이물질이 부딪힘에 따른 불쾌감 발생 또한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냉동창고용 에어커튼장치{An Air Curtain Apparatus For Cold Storage Warehouse}
본 발명은 냉동창고용 에어커튼장치에 관한 것으로, 냉동창고의 도어에 설치하여 에어커튼을 형성함으로써 냉방효율을 향상시키고 밀폐된 냉동창고내의 이물질, 날벌레, 먼지 등의 유입을 효율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그릴을 구비하여 개선한 에어커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동 창고에서는 물품의 잦은 입고와 출하를 위해 도어가 개방된 상태로 사용하고 있으며, 이 경우 창고내의 냉기가 외부로 누출되고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외기의 유입에 따른 열손실을 최소화하고 실내의 냉기를 유지하기 위하여 에어커튼장치를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에어커튼장치는 다른 종류의 송풍기에 비해 낮은 속도에서 운전되며 낮은 압력에서 많은 공기량이 요구될 때 사용되는 일명 시로코송풍기라고도 하는 다익송풍기를 사용하여 개방된 도어를 향해 공기를 송풍하여 에어커튼을 형성함으로써 상대적으로 고온의 외기 유입을 차단하고 실내 냉기를 유지하기 위하여 또는 반대로 실내온도 유지를 위하여 외부의 찬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고 실내의 온기를 유지하도록 사람들의 출입이 자유로운 공공건물이나 백화점, 창고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에어커튼장치의 예로는, 출입구의 양측에서 출입구의 내측으로 동시에 에어를 분사하여 이격된 상태로 중첩되는 이중의 에어커튼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중의 에어커튼의 사이에 오염된 공기를 격리시킬 수 있는 수직형 에어 커튼 장치가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4937호(2013년01월28일 공고)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에어커튼장치는 중첩되는 에어커튼을 형성하기 위하여 도어의 양측에서 개구부를 향해 내외측에서 각각 에어를 송풍함에 따라 반대방향으로 송풍되는 에어에 의해 에어 속도가 감소되어 커튼 형성에 비효율적인 면이 잇었다.
다른 예로서, 냉동창고 출입구에 설치되는 에어 커튼장치는 상기 출입구의 일측에 수직하게 설치되고 제1면에 상기 출입구의 타측을 향해 차단에어를 토출하는 토출구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수직덕트; 상기 출입구의 타측에 상기 제1수직덕트와 대향되도록 수직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면과 마주보는 제2면에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차단에어가 흡기되는 흡기구가 형성된 제2수직덕트; 상기 제1수직덕트의 상단과 상기 제2수직덕트의 상단을 연결하도록 상기 출입구의 상측에 수평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수직덕트 내의 공기를 상기 제1수직덕트로 제공하는 송풍유닛이 설치된 수평 덕트; 및 상기 제1면에 설치되어 상기 토출구를 통해 분사되는 차단에어의 방향 조절이 가능한 기류 안내부를 포함하는 냉동창고용 에어 커튼 장치가 한국 등록특허 제10-2243233호(2021년04월23일 공고)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에어커튼장치는 도어의 일측에서 에어를 송풍하여 타측에서 흡기하도록 된 구조로 에어 속도가 흡기측에서 저하되어 충분한 에어커튼 형성이 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보다 강력하게 에어를 송풍해야 하므로 송풍팬을 대용량의 것을 사용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에어커튼장치에서는 흡기구를 통해 유입된 에어를 송풍기를 통해 다시 송풍하게 되는데, 이때 흡기구를 통해 이물질이나 벌레 등이 유입되어 송풍기에 장애를 일으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어의 개구부쪽으로의 에어 송풍시 이용자에 부딪혀 불쾌감을 주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4937호(2013년01월28일 공고) 한국 등록특허 제 10-2243233호(2021년04월23일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에어커튼 형성장치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관형의 본체의 전면 중앙부에 흡입구가 형성되고, 그 양측의 적어도 일측에 상기한 흡입구와 다른 유로로 된 토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흡입구에는 이물질이나 벌레의 유입 방지용 그릴이 제공되어 개선된 냉동창고용 에어커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냉동창고용 에어커튼장치는, 냉동창고 도어의 적어도 일측에 제공되고 전면에 형성된 흡입구와 측면에 제공된 토출구를 구비한 본체와, 도어 개구부에 에어 커튼을 형성하도록 상기 본체의 흡입구로 부터 에어를 흡입하여 토출구를 통해 에어를 공급하는 송풍팬을 구비하는 냉동창고용 에어커튼장치에 있어서, 본체 내부에서 유입구가 송풍팬 하우징의 측부에서 상하로 형성되어 그릴을 향하고, 배출구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 하부에서 도어의 폭방향을 향하여 제공된 토출구에 연통되도록 복수개의 복수개의 송풍팬들이 본체 내에서 상하로 배치되어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상기 토출구는 상하로 길다란 육면체 형상으로 일측이 개방된 토출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며, 본체의 측부에 형성된 개구부에서 본체 내부에 배치되고 송풍팬으로 부터 공급되는 에어가 도어의 폭방향으로 토출되어 에어커튼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균일한 에어커튼 형성을 위하여 본체에서 양측 그릴을 통해 유입된 에어가 일측의 송풍팬 유입구로 몰리지 않도록 본체내에서 폭방향으로 나란히 좌우로 배치된 송풍팬들 사이에 격벽이 본체 내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그릴을 통하여 흡입구로 에어가 흡기될 때, 이물질이나 벌레의 유입을 저지하도록, 중앙부에 대하여 양측 단부가 하방으로 절곡된 다수의 절곡판부재들이 상하로 이격되어 적어도 하나의 수직의 지지부재에 조립되며, 상기 절곡판부재들에는 상기 지지부재가 수직의 지지부재가 억지끼워맞춤되는 폭의 슬리트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냉동창고용 에어커튼장치는, 냉동창고의 도어용 개구부 양측단부에 본체(10)가 설치되고, 내부에 좌우로 2개의 송풍기가 배치되어 본체의 양측부에 제공된 토출부(30)를 통해 개구부의 폭방향으로 양측에서 서로를 향해 에어를 분사하여 도어의 각각의 개구부에 균일한 에어커튼이 형성되어서 내측의 냉가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게 되므로 냉동창고의 냉기를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본체(10)의 전면에 제공된 그릴(5)이 중앙부에 대하여 전후측 단부들이 하방으로 절곡된 다수의 절곡판부재(51)들로 형성되어,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흡기에 포함된 이물질이나 벌레가 절곡판부재(51)들에 의해 걸려지게 되므로 종래 이물질이나 벌레가 포함된 급기에 의한 송풍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개구부를 통과하는 작업자들에 분사되는 에어에 포함된 이물질이 부딪힘에 따른 불쾌감 발생 또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냉동창고용 에어커튼장치에서 도어 개구부들의 단부측에 제공되는, 토출구가 일측부에만 형성된 본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본체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냉동창고용 에어커튼장치에서 도어 개구부들의 중간부에 제공되어 양측방으로 에어를 송풍하도록 양측부에 토출구가 각각 형성된 본체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본체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3의 상부에 대한 부분종단면도.
도 6은 도 3의 상부에 대한 횡단면도
도 7은 냉동창고 도어 개구부의 상단부에 장착되는 본체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냉동창고용 에어커튼장치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6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냉동창고용 에어커튼장치는 도어 개구부의 단부측에 제공되어 일측으로만 에어를 송풍하도록 된 본체(10)와, 상기 본체의 적어도 일측에 제공되어 에어를 공급하도록 된 토출구(2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에는 전면에 흡입구(1)가 형성되고 적어도 일측부가 개방되어 토출구(20)가 장착되며, 상기 흡입구(1)에는 이물질과 벌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이물질 유입방지용 그릴(5)이 제공된다.
상기 본체(10)는 길다란 육면체 형상으로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캡(40)으로 폐쇄되고, 내부에 복수개의 송풍팬(30)들이 수직으로 배치되어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의 흡입구(1)는 전면에 형성된 개구부(6)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구부(6)에는 이물질 유입방지용 그릴(5)이 설치된다.
상기 본체(10)의 적어도 일측에는 토출구(20) 설치를 위해 개구부(7)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토출구(20)의 적어도 일측에는 개방된 개구부(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는 도어 개구부의 단부에 설치될 때에는 전면의 흡기측에 그릴(5)이 하나 설치되지만, 도 3과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개구부의 중간에 설치될 때에는 두개의 그릴(5)이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토출구(20)는 상단이 개방되고 하단이 폐쇄되어 있으며, 개방된 토출부(21)가 돌출되어 형성되며, 본체(10)의 측부에 형성된 개구부(7)에서 본체 내부에 배치되고 토출부(21)가 개구부(7)에 배치되는 길다란 육면체 형상으로 송풍팬(30)으로 부터 공급된 에어가 토출된다.
상기 송풍팬(30)은 도 5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31)가 송풍팬 하우징의 측부에서 상하로 형성되어 그릴(5)을 향하여 배치되고, 배출구(32)는 송풍팬 하우징의 일측 하부에 형성되어서 상기 토출구(20)에 연통된다.
이로써, 상기 본체(10)의 전면 중앙의 개구부(6)에 장착된 그릴(5)을 통해 유입된 흡기는 본체 양측부에, 즉 도면에서 상하측에 각각 형성된 유입구(31)를 통해 유입된 다음 토출부(20)를 통해 도어 개구부의 폭방향으로 토출된다.
상기 본체(10)가 창고의 도어 개구부 내측에 배치될 때 에어 커튼을 본체 양측으로 형성하기 위하여 본체(10)에는 양측 각각에 토출구(20)가 제공되며, 이 경우에는 본체(10) 전면에 두개의 개구부들 각각에 그릴(5)이 배치되고, 각각의 그릴로 부터 유입된 에어를 흡입하기 위하여 두개의 송풍팬(30)이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송풍팬(30)들 각각의 상하측의 유입구(31)들이 그릴(5)을 향해 배치된다.
또한, 두개의 송풍팬(30)이 본체(10)내에서 폭방향으로 나란히, 그리고 복수개의 송풍팬(30)들이 본체의 수직방향으로 상하로 배치된 상태로 송풍팬(30)들이 작동될 때, 과도한 소음 발생 및 양측 그릴(5)을 통해 유입된 에어가 일측의 송풍팬 유입구(31)로 몰려서 에어커튼이 균일하게 형성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체(10)의 폭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좌우의 송풍팬(30)들 사이에 격벽(60)을 본체 내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성하여 양측의 송풍팬(30)들로 유입되는 에어가 일정하도록 유도하여 에어커튼이 균일하게 형성되게 한다.
상기 그릴(5)은 도 1의 분해도에 잘 도시되어 있듯이, 중앙부에 대하여 양측 단부가 하방으로 절곡된, 즉 "V" 가 뒤집어진 형태로 절곡된 다수의 절곡판부재(51)들이 상하로 이격되어 적어도 하나,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두개의 수직의 지지부재(52)에 조립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절곡판부재(51)들은 절곡된 중앙부분에 길이방향으로 수직의 지지부재(52)가 억지끼워맞춤되는 폭의 슬리트가 형성되며,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두개의 슬리트가 폭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이로써, 흡입된 에어가 다수의 절곡판부재(51)들로 형성된 그릴(5)로 유입될 때 이물질이나 벌레의 유입이 저지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에어커튼장치는 냉동창고 도어의 개구부 상단에 본체(10)가 가로로 설치되고 하방으로 향한 토출구(50)가 형성되어 에어를 하방으로 분사하는 상부 토출부(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동창고에는 원활한 물품 입고 및 출하를 위하여 인접하여 형성되는 도어용 개구부(70)들이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들중에서 양측 단부의 개구부(70)의 외측 단부에는 본체(10)가 설치되어 그 측부에 제공된 토출구(20)를 통해 개구부의 폭방향으로 분사되는 에어에 의해 의해 에어커튼이 형성되어서 내측의 냉가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게 되므로 냉동창고의 냉기를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의 전면에 제공된 그릴(5)이 전후측 단부들이 중앙부에 대하여 하방으로 절곡된 역 "V" 자 형태의 다수의 절곡판부재(51)들로 형성되는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흡기에 포함된 이물질이나 벌레가 절곡판부재(51)들에 의해 걸려지게 되므로 종래 이물질이나 벌레가 포함된 급기에 의한 송풍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개구부를 통과하는 작업자들에 분사되는 에어에 포함된 이물질이 부딪힘에 따른 불쾌감 발생 또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본체(10)의 측면에 제공되는 길다란 관형체로 된 토출구(20)와 전면의 그릴(5)은 상단의 캡을 제거한 상태에서 간편하게 교체하거나 청소할 수 있어서 보수유지가 간편하다.
본 발명은 냉동창고의 냉기 유지를 위하여 도어의 개구부를 향해 에어를 토출하여 균일한 에어커튼을 형성하기 위한 에어커튼장치에 이용될 수 있다.
1 : 흡입구 5 ; 그릴
6,7 ; 개구부 10 : 본체
20 : 토출구 21 : 토출부
30 ; 송풍팬 40 : 캡
51 : 절곡판부재 52 : 지지부재

Claims (4)

  1. 냉동창고 도어의 적어도 일측에 제공되고 전면에 형성된 흡입구와 측면에 제공된 토출구를 구비한 본체와, 도어 개구부에 에어 커튼을 형성하도록 상기 본체의 흡입구로 부터 에어를 흡입하여 토출구를 통해 에어를 공급하는 송풍팬을 구비하는 냉동창고용 에어커튼장치에 있어서,
    본체(10) 내부에서 유입구(31)가 그 하우징의 측부에서 상하로 형성되어 그릴(5)을 향하고, 배출구(32)는 송풍팬 하우징의 일측 하부에서 도어의 폭방향을 향하여 제공된 토출구(20)에 연통되도록 복수개의 복수개의 송풍팬(30)들이 본체(10) 내에서 상하로 배치되어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창고용 에어커튼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20)는 상하로 길다란 육면체 형상으로 일측이 개방된 토출부(21)가 돌출되어 형성되며, 본체(10)의 측부에 형성된 개구부(7)에서 본체 내부에 배치되고 송풍팬으로 부터 공급되는 에어가 도어의 폭방향으로 토출되어 에어커튼을 형성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창고용 에어커튼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균일한 에어커튼 형성을 위하여 본체(10)에서 양측 그릴(5)을 통해 유입된 에어가 일측의 송풍팬 유입구(31)로 몰리지 않도록 본체(10)내에서 폭방향으로 나란히 좌우로 배치된 송풍팬(30)들 사이에 격벽(60)이 본체(10) 내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창고용 에어커튼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5)을 통하여 흡입구로 에어가 흡기될 때, 이물질이나 벌레의 유입을 저지하도록, 중앙부에 대하여 양측 단부가 하방으로 절곡된 다수의 절곡판부재(51)들이 상하로 이격되어 적어도 하나의 수직의 지지부재(52)에 조립되며, 상기 절곡판부재(51)들에는 상기 지지부재(52)가 수직의 지지부재(52)가 억지끼워맞춤되는 폭의 슬리트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창고용 에어커튼장치.

KR1020220017907A 2022-02-11 2022-02-11 냉동창고용 에어커튼장치 KR202301212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7907A KR20230121268A (ko) 2022-02-11 2022-02-11 냉동창고용 에어커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7907A KR20230121268A (ko) 2022-02-11 2022-02-11 냉동창고용 에어커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1268A true KR20230121268A (ko) 2023-08-18

Family

ID=87801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7907A KR20230121268A (ko) 2022-02-11 2022-02-11 냉동창고용 에어커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1268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937Y1 (ko) 2010-11-23 2013-01-28 (주)한별시스템 수직형 에어 커튼 장치
KR102243233B1 (ko) 2019-08-20 2021-04-23 정한영 냉동창고용 에어 커튼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937Y1 (ko) 2010-11-23 2013-01-28 (주)한별시스템 수직형 에어 커튼 장치
KR102243233B1 (ko) 2019-08-20 2021-04-23 정한영 냉동창고용 에어 커튼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9729B2 (en) Air curtain doorway
KR20190027348A (ko)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JP2007010184A (ja) エアーカーテン
KR19990070390A (ko) 창문형 에어콘의 팬케이싱
KR101312070B1 (ko) 횡류형 에어커튼
KR20230121268A (ko) 냉동창고용 에어커튼장치
JPH0573436U (ja) エアーカーテン形成装置
JP4033576B2 (ja) 低温ショーケース
JP2008215724A (ja) エアカーテン装置およびその筐体
KR101270610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0218390B1 (ko) 오픈 쇼케이스의 냉기 순환 구조
KR102451313B1 (ko) 공기조화기
KR100730649B1 (ko) 국부 공조 시스템
JP6303035B2 (ja) エアーカーテン装置
KR20020002101A (ko) 삼면 토출형 공기조화기
KR102347445B1 (ko) 횡류형 에어커튼장치
KR100493792B1 (ko) 에어컨의 측면 토출 구조
JP4841072B2 (ja) 空気調和装置
KR101046513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풍향조절장치
KR100436143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20017471A (ko) 천정 카세트형 공기조화기
KR100564486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100600067B1 (ko) 공기조화기
JP4447722B2 (ja) 冷蔵オープンショーケース
KR100393588B1 (ko) 공기조화기용 흡입그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