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0880A - 숯불 착화장치 - Google Patents

숯불 착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0880A
KR20230120880A KR1020220017665A KR20220017665A KR20230120880A KR 20230120880 A KR20230120880 A KR 20230120880A KR 1020220017665 A KR1020220017665 A KR 1020220017665A KR 20220017665 A KR20220017665 A KR 20220017665A KR 20230120880 A KR20230120880 A KR 202301208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coal
body portion
ignition
horizontal plat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7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3021B1 (ko
Inventor
이동호
Original Assignee
이동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호 filed Critical 이동호
Priority to KR1020220017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3021B1/ko
Publication of KR20230120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0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3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3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13/00Ignit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3Q13/02Ignit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gas burners, e.g. gas pok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00Removing ash, clinker, or slag from combustion chambers
    • F23J1/02Apparatus for removing ash, clinker, or slag from ash-pits, e.g. by employing trucks or conveyors, by employing suction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1/00Devices for conducting smoke or fumes, e.g. f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24Preventing development of abnormal or undesired conditions, i.e. safety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13/00Ignit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3Q13/04Ignit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portable burners, e.g. torches, fire po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부 본체부와 상부 본체부를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상부 본체부에 배치되는 덮개구와, 상기 하부 본체부에 배치되는 착화구를 포함하는 숯불 점화부; 상기 하부 본체부의 하측에 형성된 삽입공간부에 삽입되고 후단에 개구가 형성된 재수집통; 상기 하부 본체부 내에서 형성되고 배기가스의 배출 경로가 되는 배기통로; 상기 배기 통로 내에서 흡입압을 제공하여 배기가스의 흐름은 유도하는 배출팬; 상기 가스버너모듈 및 상기 배출팬을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숯불 착화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숯불 착화장치{Ignition device for charcoal fire}
본 발명은 숯불 착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숯불 직화 음식 조리 시 등에 사용되는 숯을 착화 발화시키기 위한 숯불 착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삼겹살이나 갈비 등의 고기를 판매하는 식당에서 고기를 구울 때 숯불을 사용하여 굽는 경우가 많이 있다. 이는 숯불에서 발생하는 연기가 고기에 스며들어 고기를 마르지 않게 할 뿐만 아니라 숯 특유의 향이 고기의 맛과 어우러져, 고기 맛을 높이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숯은 착화된 상태로 숯통에 담겨진다. 일반적으로 식당 테이블에 구비된 화로부에 착화된 숯 즉, 숯불을 담은 숯통이 배치되는 방식으로 제공된다.
그러나, 숯불은 그 준비 과정이 어려워 식당을 운영하는 운영자들에게 상당한 불편을 주고 있다. 숯을 착화시키기 위해 숯을 화로에 담아 장시간에 걸쳐 가열시키는 작업 과정이 번거로우며, 다량의 숯불을 필요로 하는 대형 업소에서는 많은 양의 숯불을 신속하게 착화 발화시켜 낼 수 없어 손님들을 기다리게 하는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숯을 착화 발화하는 작업 과정에서 그을음, 재가 대기 중으로 방출되어 주변에 불편함을 주는 문제점이 있으며, 숯의 착화 발화 과정에서 불티가 외부로 날아가 화재를 일으킬 수 있는 위험을 상시 지니고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09608호(2003.03.24)
본 발명은 숯을 착화 발화시켜 숯불을 만드는 과정이 수행되는 숯불 착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숯불의 제조시에 발생하는 재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숯불 착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숯불 제조시에 사용자가 숯불 착화부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화상 등의 안전사고가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숯불 착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숯의 착화시켜 숯불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발행하는 열기, 재를 포함하는 배기가스의 이동 경로를 연장시켜 배기가스 중의 재의 회수에 유리한 배기 통로를 갖는 숯불 착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부 본체부와 상기 하부 본체부에 대해 열림 및 닫힘 가능하게 결합된 상부 본체부를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상부 본체부에 배치되고 화염을 분출하는 가스버너모듈의 화염배출구가 배치된 덮개구와, 상기 하부 본체부에 배치되고 상기 덮개구에 의해 덮이며 착화를 위해 숯이 삽입되는 착화구를 포함하는 숯불 점화부; 상기 하부 본체부의 하측에 형성된 삽입공간부에 삽입되고 후단에 개구가 형성된 서랍 형태의 재수집통; 상기 하부 본체부 내에서 형성되고 배기가스의 배출 경로가 되는 배기통로; 상기 배기 통로 내에서 흡입압을 제공하여 배기가스의 흐름은 유도하는 배출팬; 상기 가스버너모듈 및 상기 배출팬을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착화구와 상기 삽입 공간부를 연결하여 배기가스를 상기 삽입공간부로 안내하는 연통관이 구비되며, 상기 배기 통로는, 상기 삽입공간부에서 상기 재수집통의 측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재수집통의 후단 개구를 통해 배출된 배기가스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측면 통로와, 상기 측면 통로의 상부로 형성되고 상기 측면 통로와 연결되고 배기가스 유동경로가 반대되는 리버스 흐름 통로와, 상기 리버스 흐름 통로와 연결되고 상기 배출팬의 흡입구가 연결되는 흡입 공간부를 포함하는 숯불 착화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상부 본체부는, 상기 덮개구가 설치되는 상부 메인 본체부와, 상기 상부 메인 본체부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화염배출구를 갖는 가스버너모듈을 덮는 커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덮개구는, 내측 덮개와 외측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덮개와 상기 외측 덮개 사이에 공기층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삽입공간부는, 베이스면과 상기 베이스면의 상측으로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재수집통의 상면 개구를 덮도록 형성되는 루프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베이스면에는 상기 재수집통의 삽입을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재수집통이 상기 삽입공간부 내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재수집통의 측면을 경계로 상기 재수집통 내부의 재수집챔버와, 상기 재수집챔버 외측의 상기 측면 통로가 분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하부 본체부는, 상기 루프면과 상측으로 이격하여 설치되고, 상기 루프면과의 사이에 리버스 흐름 통로를 형성하는 제1 수평판과, 상기 제1 수평판과 상측으로 이격하여 설치되고, 상기 제1 수평판과의 사이에 이격 공간을 형성하는 제2 수평판과, 상기 제1 수평판과 상기 제2 수평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팬이 설치되는 배출팬 설치 공간과 상기 흡입 공간부를 분리하는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수평판은 상기 하부 본체부 내부에서 상기 착화구가 설치된 공간과 상기 흡입 공간부를 분리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재수집통은, 측면의 후측에 하향 경사진 경사면부와, 상기 경사면부 사이에 결합하는 후면을 구비하고, 상기 경사면부 및 상기 후면과 상기 루프면 사이의 갭이 상기 배기가스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개구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하부 본체부에는 상기 상부 본체부가 열림과 닫힘을 감지할 수 있는 안전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안전 스위치는 상기 상부 본체부가 상기 하부 본체부로부터 이격된 상태에 상기 화염배출구를 통해 가스를 분출하는 가스버너모듈의 가스흐름을 차단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운영 모드로서 불티 저감 모드를 구비하고, 상기 불티 저감 모드는 상기 가스공급모듈을 통한 가스 공급을 축소하여 저화염을 제공하는 저화염 모드 구간을 설정시간 동안 먼저 수행하고 가스 공급을 증대시켜 고화염을 제공하는 고화염 모드를 수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숯불 착화장치에 의하면, 숯을 착화 발화시켜 숯불을 만드는 과정이 안전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숯불의 제조시에 발생하는 재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숯불 제조시에 사용자가 숯불 착화부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화상 등의 안전사고가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숯의 착화시켜 숯불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발행하는 열기, 재를 포함하는 배기가스의 이동 경로를 연장시켜 배기가스 중의 재의 회수에 유리한 배기 통로를 갖는 숯불 착화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가스버너 관련 구성을 모듈 형태로 상부 본체부에 배치함으로써, 구성을 더욱 단순화하고 소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숯불 착화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숯불 착화장치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숯불 착화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숯불 착화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숯불 착화장치에서 배기가스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절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숯불 착화장치의 배기가스의 이동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숯불 착화장치는, 본체부(10), 가스공급모듈(20), 숯불 착화부(30), 재수집통(40) 및 배기 통로(50)를 포함한다.
본체부(10)는 숯불 착화 장치의 외형을 이루는 것으로, 상부 본체부(100)와 하부 본체부(150)를 포함한다.
상부 본체부(100)는 가스버너모듈(20)을 덮는 커버(110)와, 숯불 착화부(30)의 덮개구(310)를 수용하는 상부 메인 본체부(120)를 포함한다.
커버(110)는 상부 메인 본체부(120)의 상부면에 배치된 가스버너모듈(20)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구조로 형성된다. 커버(110)는 가스버너모듈(20)을 지지하며, 상부 메인 본체부(120)의 상부면에 고정된다.
상부 메인 본체부(120)는 하부 본체부(150)에 힌지에 의해 회전식으로 여닫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부 본체부(100)와 하부 본체부(150)의 사이에는 댐퍼 실린더 기구(121)가 설치된다. 댐퍼 실린더 기구(121)는 일단이 상부 메인 본체부(120)의 외측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하부 본체부(150)의 외측면에 결합된다.
댐퍼 실린더 기구(121)는 설정된 열림 기준 각도를 기준으로 상부 본체부(100)가 열림 기준 각도 이상으로 열린 상태에서는 상부 본체부(100)가 작은 힘으로도 부드럽게 열림 위치로 이동하도록 보조하고, 열림 기준 각도 이하로 닫힌 상태에서는 부드럽게 닫힘 위치로 이동하도록 보조한다. 댐퍼 실린더 기구(121)에 의해 상대적으로 작은 힘으로도 상부 본체부(100)의 여닫이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며, 닫힘 위치로 이동할 때 하중에 의한 급속한 닫힘을 방지하여 충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부 본체부(100)를 열림 위치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숯불 착화부(30)의 착화구(330)에 숯을 담은 숯통이 넣어지고, 상부 본체부(100)를 닫힘 위치로 회전시킨 상태 즉, 닫힌 상태에서 화염이 제공되어 숯의 착화가 수행된다.
상부 메인 본체부(120)의 전면에는 손으로 파지하여 상부 본체부(100)를 열고 닫을 수 있는 손잡이(122)가 설치되어 있다.
하부 본체부(150)에는 숯불 착화부(30)의 착화구(330)와, 숯불 착화 시 발생하는 열기, 재 등의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흡입압을 제공하는 배출팬(500)과, 숯불 착화시 발생하는 재를 수거하기 위한 재수집통(40)과, 숯불 착화부(30) 내부의 배기가스의 배출을 위한 이동 경로가 되는 배기 통로(50)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스버너모듈(20)은 숯불 착화장치의 외부에 배치된 가스 용기로부터 제공된 가스를 공기와 혼합하여 숯불 착화부(30)에 제공된다. 가스버너모듈(20)은 상부 메인 본체부(120)의 상면에 모듈 형태로 설치된다.
가스버너모듈(20)은 외부의 가스용기로 가스배관을 통해 공급된 가스를 공기와 혼합하여 혼합 가스를 만들어 화염배출구(220)로 공급한다. 화염배출구(220)는 가스분출공이 형성된 원통 형상을 구비하며, 가스분출공의 전측에 배치된 점화구(250)에 의해 가스가 점화되어 화염을 숯불 착화부(30) 내로 공급한다. 가스버너모듈(20)은 동작은 제어부(160)에 의해 제어된다.
상부 본체부(100)가 열린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도 2 및 도 3 를 참조하면, 숯불 착화부(30)는 덮개구(310)와 착화구(330)를 포함한다.
덮개구(310)는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상부 메인 본체부(120)에 배치되며, 착화구(330)를 덮도록 형성된다. 덮개구(310)의 상면 중앙을 통해 가스버너모듈(20)의 화염배출구(220)가 연장되어 화염을 분출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덮개구(310)는 2중 덮개 구조로 형성된다. 덮개구(310)는 내측 덮개(311)와 외측 덮개(312)를 구비하며, 내측 덮개(311)와 외측 덮개(312) 사이에는 공기층(313)이 형성된다. 공기층(313)이 구비되어 있는 2중 덮개 구조의 덮개구(310)에 의해 화염의 열기를 차단하게 되므로 덮개구(310)의 외측으로 열기가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덮개구(310)를 단일의 덮개 구조로 형성되는 경우, 화염으로 인해 상당히 높은 온도로 빨갛게 달궈질 수 있고 이로 인해 사용자의 화상 위험성이 증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덮개구(310)는 이러한 화상 위험성을 감소시킨다.
더욱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덮개구(310)는 육면체 형상의 상부 메인 본체부(120) 내에 수용된다. 덮개구(310)가 상부 메인 본체부(120)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됨으로, 사용자가 화상의 위험으로부터 안전하게 신체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상부 메인 본체부(120)의 측면에는 덮개구(310)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냉각하기 위해 외기 유입을 가능하게 하는 통기공들(123)이 형성된다.
숯불 착화부(30)의 착화구(330)는 하부 본체부(150)의 상부측에 배치된다. 착화구(330)는 덮개구(310)에 대응되게 배치되어, 덮개구(310)에 의해 덮일 수 있다. 하부 본체부(150)에는 착화구(330)의 외측으로의 공기 유입이 가능하게 통기공(123)들이 형성된다.
착화구(330)는 덮개구(310)에 대응하는 역반구형으로 형성되고, 하단으로 관통홀(332)이 뚫린 형태로 형성된다. 관통홀(332)에는 연통관(333)이 연결된다. 연통관(333)은 화염배출구(220)와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어, 화염배출구(220)로부터 제공되는 화염과, 숯불의 착화에 따른 화염, 열기 및 재 등의 배기가스가 하방으로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한다.
착화구(330) 내측에는 링 형상의 거치부(341)를 가지는 숯통 안착부(340)가 배치될 수 있다. 숯통 안착부(340)는 착화구(330) 다양한 형태의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교체가 용이하게 배치된다. 또한 사용자가 사용하는 숯통의 형태에 따라 숯통 안착부(340)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덮개구(310)가 착화구(330)를 덮은 상태에서, 화염배출구(220)는 화염을 착화구(330) 방향으로 제공하게 된다. 숯통 안착부(340)에 숯을 담은 숯통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화염배출구(220)에서 분출되는 화염에 의해 숯에 착화가 일어난다.
재수집통(40)은 하부 본체부(150)에 하단에 형성된 삽입공간부(151)에 서랍식으로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배기가스 이동 경로의 일부를 이룬다. 재수집통(40)은 상부가 개방된 서랍식 구조물로 형성되며, 연통관(333)을 통해 숯불 착화부(30)로부터 이동하는 배기가스 중의 이물질, 즉, 숯불 착화시 발생하는 숯 재 등을 수집할 수 있게 형성된다.
재수집통(40)의 후측으로 재수집통(40)으로 유입된 배기가스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개구가 형성된다. 재수집통(40)은 양쪽 측면(41)의 후측에 하향으로 경사지게 절개된 경사면부(42)를 구비하고 양쪽 경사면부(42)의 단부를 연결하는 후면(43)이 형성된다. 따라서 재수집통(40)은 삽입공간부(151) 내에 수납된 상태에서 재수집통(40)의 내측 공간으로 정의되는 재수집 공간부(410)로부터 배기가스가 후측으로 배출되는 경사 개구(420)를 형성한다. 경사 개구(420)는 재수집챔버(410)에 재의 포집을 가능하게 하면서도 배기가스의 이동을 허용할 수 있다.
하부 본체부(150)의 하측에 형성되는 삽입공간부(151)는 바닥면을 이루는 베이스면(152)과 베이스면(152)으로부터 이격된 상측에 위치하는 루프면(154)이 구비되며, 베이스면(152)에는 재수집통(40)의 삽입을 안내하는 양측 가이드부(153)가 형성된다. 재수집통(40)은 삽입공간부(151) 내측으로 삽입될 때 재수집통(40)의 개방된 상면이 루프면(154)에 의해 덮여진다.
양측 가이드부(153)는 베이스면(152)으로부터 소정 높이 돌출되고 루프면(154)과 이격된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삽입공간부(151)는 개방된 하나의 공간을 형성한다. 그러나, 양측 가이드부(153)를 따라 재수집통(40)이 삽입되는 경우 삽입공간부(151)는, 재수집통(40)의 내부로 정의되는 재수집챔버(410)와, 재수집챔버(410) 외측의 측면 통로(51, 52)로 구획된다.
따라서, 재수집통(40)의 후단으로 형성되는 경사 개구(420) 형태의 개구로부터 측면 통로(51, 52)로 배기가스 이동 경로가 형성된다. 측면 통로(51, 52)는 삽입공간부(151)의 일부이기 때문에, 재수집통(40)을 분리하는 경우 측면 통로(51, 52)에 쌓이는 재를 손쉽게 수거, 청소할 수 있다.
숯불 착화부(30)의 연통관(333)은 착화부(330)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루프면(154)을 관통하여 삽입공간부(151) 내측과 연통되는 데, 삽입공간부(151)의 단부는 재수집통(40)의 내부 즉, 재수집챔버(410)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숯불 착화부(30)로부터 이동한 배기가스는 재수집챔버(410)를 먼저 거치면서 재가 1차적으로 분리된 후, 경사 개구(420)를 통해 측면 통로(51, 52)로 유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하부 본체부(150)에는 재수집챔버(410)를 경유한 배기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 통로(50)를 포함한다.
배기 통로(50)는 배기가스는 배기 통로(50)를 따라 이동하면서 재수집챔버(410) 내에 포집되지 않은 상태로 부유하여 이동한 숯 재 등이 낙하되어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배기 통로(50)는 삽입공간부(151) 내부에서 재수집통(40)의 측면 외측으로 형성되는 측면 통로(51, 52)를 포함한다. 측면 통로(51, 52)는 하부 본체부(150)의 내측면과, 베이스면(152)과, 루프면(154), 재수집통(40)의 측면(41)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하부 본체부(150)의 내측면에는 배기가스의 열기에 의해 외부로 노출된 하부 본체부(150)의 측면이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내벽, 단열재 등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측면 통로(51, 52)는 재수집통(40)의 후방으로부터 하부 본체부(150)의 전면 방향으로 이어지는 배기 가스의 이동 경로를 형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재수집통(40)은 후단에 경사 개구(420)를 구비한다. 재수집통(40)이 삽입공간부(151) 내측으로 삽입되는 경우 재수집통(40)은 루프면(154)에 의해 상면 개구가 덮여지는 데, 재수집통(40) 내측의 재수집챔버(410)로 도입된 배기가스는 재수집챔버(410)에 재를 탈락한 후, 후단의 형성된 경사 개구(420)를 통해 재수집통(40)의 후방으로 이동한다. 경사 개구(420)를 통해 재수집통(40)의 후방으로 위치하는 이동한 배기가스는 측면 통로(51, 52)를 통해 전방 방향으로 이동한다.
하부 본체부(150)는 루프면(154) 상부에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1 수평판(156)을 포함한다. 제1 수평판(156)은 하부 본체부(150) 내부에서 제1 수평판(156)을 경계로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을 분리하다.
루프면(154)과 제1 수평판(156)은 루프면(154)의 상부에 수평으로 연장되며, 측면 통로(51, 52)와 대비하여 배기가스의 흐름이 반대되는 리버스 흐름 통로(53)를 형성한다. 리버스 흐름 통로(53)는 배기 통로(50)의 일부를 형성한다.
재1 수평판(156)의 전측에는 측면 통로(51, 52)와 리버스 흐름 통로(53)를 소통 가능하게 연결하는 관통공(154a)이 형성된다. 따라서, 측면 통로(51, 52)를 따라 전방으로 이동한 배기가스는 관통공(154a)을 통해 상방으로 안내되어 리버스 흐름 통로(53)를 따라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수평판(156)은 후단에서 하부 본체부(150)의 내측면과 이격되게 설치된다. 제1 수평판(156)의 후단과 하부 본체부(150)의 내측면 사이의 이격 공간이 배기가스의 상방 이동 통로가 된다.
하부 본체부(150) 내부에는 제1 수평판(156)의 상측으로 이격하여 제2 수평판(157)이 설치된다. 제2 수평판(157)은 제2 수평판(157)의 상부 공간과 제2 수평판(157)의 하부 공간을 분리하다. 제2 수평판(157)은 제2 수평판(157)의 상부 공간과 제2 수평판(157)의 하부 공간 사이의 이동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2 수평판(157)의 상부 공간에는 착화구(330)가 위치한다.
제1 수평판(156)과 제2 수평판(157) 사이에는 배출팬(500)이 설치되는 팬 설치 공간(510)과 리버스 흐름 통로(53)와 연결된 흡입 공간부(54)를 분리하는 격벽(159)이 설치된다. 흡입 공간부(54)는 제1 수평판(156)과 제2 수평판(157) 사이에서 격벽(159)과 하부 본체부의 내측면에 의해 정의되며, 배기 통로(50)의 일부를 형성한다.
연통관(333)은 제2 수평판(157), 제1 수평판(156), 루프면(154)을 관통하여 지나고 삽입공간부(151)와 연결된다.
배출팬(500)은 제2 수평판(157)의 상측에서 격벽(159)에 의해 분리된 배출팬 설치 공간(510)에 설치된다. 배출팬(500)은 흡입구(530)를 통해 흡입 공간부(54)와 연결되고, 하부 본체부(150)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배출관(520)과 연결된다. 하부 본체부(150)에는 배출팬 설치 공간(510)으로 공기 유입이 가능하게 통기공들(123)이 형성되어 형성된다. 제2 수평판(157)에는 배출팬 설치 공간(510)과 리버스 흐름 통로(53)를 연결하는 공기 유입공이 형성될 수 있다. 공기 유입공은 배출팬(500)에 흡입압에 의해 배기 통로 내부에 과도한 부압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며, 흡입압에 의해 공기가 유입되어 리버스 흐름 통로(53)를 따라 이동하는 배기가스와 혼합될 수 있게 한다.
배출팬(500)은 배기 통로(50)에 흡입압을 제공하여, 착화부(135)로부터 연통관(333)을 통해 배출된 배기가스가 배기 통로(50)를 따라 이동하여 흡입구(530)로 흡입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배기 통로(50) 설계에서 측면 통로(51, 52), 리버스 흐름 통로(53), 흡입 공간부(54) 순으로 공간의 볼륨 크기가 증가하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공간의 볼륨 설계는 배기가스가 이동하면서 유속이 저감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배기가스 중에 부유하는 재가 낙하하여 분리되도록 하는 데 유리하다. 따라서 배출관(520)을 통해 재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유리하다.
더욱이, 측면 통로(51, 52)와 리버스 흐름 통로(53)가 서로 나란하되 배기가스 흐름이 반대로 되며, 리버스 흐름 통로(53)가 측면 통로(51, 52)와 비교하여 공간의 볼륨이 확대되는 공간 설계는, 배기가스 중에 부유하는 숯 재가 측면 통로(51, 52)에서 낙하하고 리버스 흐름 통로(53)로 이동하는 것을 방해하는 데 유리하다. 즉, 배기가스의 이동 중에 재가 신속하게 탈락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숯불 착화장치의 배기 통로(50)의 설계는 배기가스의 이동 거리를 최대한 확장시키는 데 유리하다.
한편, 하부 본체부(150)의 상부면에는 상부 본체부(100)의 하면이 접촉하는 위치에 안전 스위치(167)를 구비한다. 안전 스위치(167)는 제어부(160)에 신호를 제공하여, 상부 본체부(100)가 열린 상태에서의 가스 공급이 차단되도록 한다. 상부 본체부(100)가 닫힘 위치로 이동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작동 버튼(161)이 눌리더라도 가스버너모듈(20)을 통해 가스 및 화염이 공급되지 않는다. 또한, 상부 본체부(100)가 닫힘 상태에서 숯불 점화가 수행되는 중에 부주의, 착오 등으로 상부 본체부(100)가 열리더라도, 그 즉시 가스 공급이 차단된다. 이를 통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컨트롤 박스 형태로 하부 본체부(150)에 결합된다. 제어부(160)는 숯불 착화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하드웨어 부품, 소프트웨어 등을 내장하며, 사용자가 숯불 착화장치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작동 버튼(161)과 타이머(162)등과 같은 조작부와 모드 선택를 위한 입력부(163)를 제공한다.
작동 버튼(161)은 사용자가 숯 착화를 위한 준비를 마친 상태에서 숯불 착화동작을 시작시킬 수 있도록 제공된다. 타이머(162)는 숯의 종류에 따라 사용자가 적합한 화염 제공 시간을 설정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부(160)는 운영 모드로서 불티 저감 모드를 가지며, 사용자가 입력부(163)를 통해 선택할 수 있게 구성된다.
숯은 재료인 나무를 완전연소하여 재로 만들지 않고 불완전연소시켜 탄화시켜 만드는 것으로서, 재료의 종류 및 생산방식에 따라 백탁, 흑탄, 열탄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숯을 착화할 때 숯가루가 튀면서 불이 붙는 현상 즉, 불티가 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데, 이와 같이 불티가 튀는 현상은 숯을 만들 때 재료인 나무 안의 가스가 충분히 빠지지 않아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재료의 종류 및 생산 방식에 따라 불티가 튀는 정도가 달라진다.
숯이 탈 때 불티가 튀는 현상을 저감하기 위하여, 시장에서는 두 번 구운 숯 즉, 한 번 구운 숯을 다시 구운 숯을, 판매하고 있는 데, 상대적으로 고가로 판매되고 있다.
숯에서 불티가 많이 튀는 경우 숯불 착화장치 및 숯불 착화장치 사용자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다. 불티는 폭발적인 형태로 숯에서 튀는 데 상부 본체부가 닫힌 상태에서도 덮개구와 착화구 사이로 배출되기도 한다. 또한, 불티가 많이 튀는 현상이 유지되는 상태로 숯이 착화되어 식당 이용자에게 제공되는 경우, 식당 이용자의 화상 및 불편감을 유발할 수 있다. 한편, 숯에서 불티가 튀는 현상은 숯의 연소가 많이 진행되는 경우 줄어들게 되는 데, 불티가 많이 튀는 숯을 사용하면서 통상의 운전 모도로 착화를 진행하여 불티가 튀지 않는 상태로 숯을 연소시키는 경우, 숯의 낭비 원인이 되며 숯의 에너지 이용률이 현저히 떨이지게 된다.
숯에서 이와 같이 불티가 튀는 현상은, 숯의 착화 시에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로 먼저 가열하는 저화염 착화를 일정 시간 수행한 후에 고화염으로 숯을 착화하는 경우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숯불 착화장치에서 불티 저감 모드는 불티 저감을 위한 저화염 착화를 수행 한 후에 고화염 착화가 진행되도록 프로그램밍된다.
따라서 불티 저감 모드가 선택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작동 버튼(161)을 누르면, 가스 공급량이 통상적인 동작 모드의 가스 공급량의 1/3~ 1/2로 줄면서 저화염 착화모드가 일정시간 먼저 수행된 후, 통상적인 동작 모드의 고화염이 제공되어 숯불 착화가 진행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저화염 착화모드의 가스공급량 및 지속시간은 숯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를 위해 제어부(160)에는 숯의 종류에 따른 저화염 착화 구간의 가스 공급량 및 지속 기간이 프로그래밍되고, 입력부(163)에 사용자가 숯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게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숯불 착화장치는 저화염 착화 구간을 먼저 수행한 후 고화염 착화를 진행하는 불티 저감 모드를 가짐으로써, 상대적으로 고가인 두번 구운 숯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불티가 튀는 현상을 개선한 숯불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숯불 착화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부 본체부(100)가 열린 상태에서 숯불 착화부(30)의 착화구(330) 내에 숯을 투입한 숯통을 장착시키게 된다. 숯통은 숯통 안착부(340)에 놓여질 수 있다.
상부 본체부(100)를 하부 본체부(150)에 대해 닫아, 숯불 착화부(30)의 착화구(330)를 덮개구(310)로 덮은 상태에서, 작동 버튼(161)을 누르면, 제어부(160)에 의해 가스버너모듈(20)이 동작하여 화염이 숯통에 투입된 숯을 가열하여 착화 발화시키게 된다.
작동 버튼(161)을 누르기 전 타이머(162)로 숯불 착화 시간을 숯의 종류에 맞게 설정할 수 있다.
화염배출구(220)에서 발생한 화염은 숯을 향해 하방으로 분출되고, 화염, 열기, 숯 재를 포함하는 배기가스는 연통관(333)을 통해 하방 이동한다. 배기가스의 흐름은 배출팬(500)의 흡입압에 의해 유도된다.
연통관(333)를 통해 배기가스는 하부 본체부(150)의 하부로 이동하여 재수집통(40)의 재수집챔버(410)로 도입된다. 연통관(333)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재수집챔버(410) 내에서 확산되면서 유속이 저감되고 재수집통(40)의 바닥면에 부딪혀 방향이 전환되면서 재를 재수집챔버(410) 내에 탈락시키게 된다. 그러나 배기가스 중에는 부유하는 형태로 숯 재 등이 여전히 포함되어 있다.
송풍팬(500)의 흡입압에 의해, 재수집통(40) 내의 재수집챔버(410)로 도입된 배기가스는 재수집통(40)의 후측의 경사 개구(420)를 통해 재수집통(40)의 후방으로 이동하고, 재수집통(40)의 삽입에 의해 삽입공간부 내에서 재수집통(40)의 양측으로 형성된 측면 통로(51, 52)를 이동한다.
재수집통(40)의 경사 개구(420)로 배출된 배기가스는 방향이 전환된 후, 측면 통로(51, 52)를 통해 전방으로 이동하고, 관통공(154a)을 통해 상측의 리버스 흐름 통로(53)로 상승한 후, 측면 통로(51, 52)와는 반대되는 방향으로 후방으로 이동한다.
리버스 흐름 통로(53)를 따라 이동한 배기가스는 흡입 공간부(54)를 만나 확산되고 흡입구(530)를 통해 배출팬(500)으로 흡입되어 배출관(52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배기가스가 측면 통로(51, 52), 리버스 흐름 통로(53), 흡입 공간부(54)를 거치치면서 확산되어 유속이 저감되므로 배기 통로(50) 내에서 배기가스 중의 재가 탈락 분리되기 때문에, 재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기 통로(50)를 통해 이동하면서 확산되고, 공기 혼합을 통해 배기가스의 온도를 낮추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본체부 20 : 가스버너모듈
30 : 숯불 착화부 40 : 재수집통
50 : 배기 통로 51, 52 : 측면 통로
53 : 리버스 흐름 통로 54 : 흡입 공간부
100 : 상부 본체부 150 : 하부 본체부
151 : 삽입공간부 152 : 베이스면
153 : 가이드부 154 : 루프면
154a : 관통공 160: 제어부
161 : 작동 버튼 162 : 타이머
310 : 덮개구 330 : 착화구 333 : 연통관 410 : 재수집챔버
420 : 경사 개구 500 : 배출팬

Claims (9)

  1. 하부 본체부와, 상기 하부 본체부에 대해 열림 및 닫힘 가능하게 결합된 상부 본체부를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상부 본체부에 배치되고 화염을 분출하는 가스버너모듈의 화염배출구가 배치된 덮개구와, 상기 하부 본체부에 배치되고 상기 덮개구에 의해 덮이며 착화를 위해 숯이 삽입되는 착화구를 포함하는 숯불 점화부;
    상기 하부 본체부의 하측에 형성된 삽입공간부에 삽입되고 후단에 개구가 형성된 서랍 형태의 재수집통;
    상기 하부 본체부 내에서 형성되고 배기가스의 배출 경로가 되는 배기통로;
    상기 배기 통로 내에서 흡입압을 제공하여 배기가스의 흐름은 유도하는 배출팬;
    상기 가스버너모듈 및 상기 배출팬을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착화구와 상기 삽입 공간부를 연결하여 배기가스를 상기 삽입공간부로 안내하는 연통관이 구비되며,
    상기 배기 통로는, 상기 삽입공간부에서 상기 재수집통의 측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재수집통의 후단 개구를 통해 배출된 배기가스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측면 통로와, 상기 측면 통로의 상부로 형성되고 상기 측면 통로와 연결되고 배기가스 유동경로가 반대되는 리버스 흐름 통로와, 상기 리버스 흐름 통로와 연결되고 상기 배출팬의 흡입구가 연결되는 흡입 공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착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본체부는,
    상기 덮개구가 설치되는 상부 메인 본체부와,
    상기 상부 메인 본체부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화염배출구를 갖는 가스버너모듈을 덮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착화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구는, 내측 덮개와 외측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덮개와 상기 외측 덮개 사이에 공기층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착화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간부는,
    베이스면과 상기 베이스면의 상측으로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재수집통의 상면 개구를 덮도록 형성되는 루프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착화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면에는 상기 재수집통의 삽입을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재수집통이 상기 삽입공간부 내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재수집통의 측면을 경계로 상기 재수집통 내부의 재수집챔버와, 상기 재수집챔버 외측의 상기 측면 통로가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착화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본체부는,
    상기 루프면과 상측으로 이격하여 설치되고, 상기 루프면과의 사이에 리버스 흐름 통로를 형성하는 제1 수평판과,
    상기 제1 수평판과 상측으로 이격하여 설치되고, 상기 제1 수평판과의 사이에 이격 공간을 형성하는 제2 수평판과,
    상기 제1 수평판과 상기 제2 수평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팬이 설치되는 배출팬 설치 공간과 상기 흡입 공간부를 분리하는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수평판은 상기 하부 본체부 내부에서 상기 착화구가 설치된 공간과 상기 흡입 공간부를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착화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재수집통은, 측면의 후측에 하향 경사진 경사면부와, 상기 경사면부 사이에 결합하는 후면을 구비하고,
    상기 경사면부 및 상기 후면과 상기 루프면 사이의 갭이 상기 배기가스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개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착화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본체부에는 상기 상부 본체부가 열림과 닫힘을 감지할 수 있는 안전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안전 스위치는 상기 상부 본체부가 상기 하부 본체부로부터 이격된 상태에 상기 화염배출구를 통해 가스를 분출하는 가스버너모듈의 가스흐름을 차단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착화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운영 모드로서 불티 저감 모드를 구비하고,
    상기 불티 저감 모드는 상기 가스공급모듈을 통한 가스 공급을 축소하여 저화염을 제공하는 저화염 모드 구간을 설정시간 동안 먼저 수행하고 가스 공급을 증대시켜 고화염을 제공하는 고화염 모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착화장치.
KR1020220017665A 2022-02-10 2022-02-10 숯불 착화장치 KR102633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7665A KR102633021B1 (ko) 2022-02-10 2022-02-10 숯불 착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7665A KR102633021B1 (ko) 2022-02-10 2022-02-10 숯불 착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0880A true KR20230120880A (ko) 2023-08-17
KR102633021B1 KR102633021B1 (ko) 2024-02-02

Family

ID=87800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7665A KR102633021B1 (ko) 2022-02-10 2022-02-10 숯불 착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302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9608B1 (ko) 1999-10-07 2001-09-26 진 정 대자리용 죽편의 제조방법
KR20160012486A (ko) * 2014-07-24 2016-02-03 김용선 가스 구이기
KR200482766Y1 (ko) * 2016-09-23 2017-03-03 나호균 나무 겸용 연탄 보일러
KR101760427B1 (ko) * 2016-09-12 2017-07-21 박종태 숯 착화장치
KR20190129688A (ko) * 2019-01-07 2019-11-20 김태봉 열교환 기능을 가지는 숯불 착화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9608B1 (ko) 1999-10-07 2001-09-26 진 정 대자리용 죽편의 제조방법
KR20160012486A (ko) * 2014-07-24 2016-02-03 김용선 가스 구이기
KR101760427B1 (ko) * 2016-09-12 2017-07-21 박종태 숯 착화장치
KR200482766Y1 (ko) * 2016-09-23 2017-03-03 나호균 나무 겸용 연탄 보일러
KR20190129688A (ko) * 2019-01-07 2019-11-20 김태봉 열교환 기능을 가지는 숯불 착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3021B1 (ko) 2024-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62067B2 (en) High speed solid cooking fuel igniter
US6913011B1 (en) Tapered grill, smoker and fireplace device
DK2085694T3 (en) Electronically controlled woodburning stove and control method therefore
US600986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ccelerating charcoal ignition
WO2013053107A1 (zh) 一种篝火炉
US5469836A (en) Solid fuel heating appliance
US4677965A (en) Wood or coal burning heater
RU2006138462A (ru) Стенной камин на твердом топливе, устанавливаемый у стены или встроенный в стену
US4347831A (en) Fuel burning stove
WO2005112550A2 (en) Roaster with a door on an upper portion
KR101852716B1 (ko) 사각 화구를 갖는 구이 화덕
KR101153703B1 (ko)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의 점화장치
KR20230120880A (ko) 숯불 착화장치
KR100828928B1 (ko) 장작구이용 화로
US5505190A (en) Barbecue grill
KR200169830Y1 (ko) 전기점화식 숯불구이기
US6116232A (en) Gas fireplace insert
US5226407A (en) Afterburner for grill
CN218495022U (zh) 一种火炉
KR102023110B1 (ko) 화목 펠릿 난로
CN215175237U (zh) 柴火炉
KR200257557Y1 (ko) 숯불 숙성기
CN215294999U (zh) 一种烤炉
KR102314605B1 (ko) 숯불 점화 장치
CN218379487U (zh) 一种无烟柴火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