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0233A - Un-loading device for Slitters - Google Patents

Un-loading device for Slitte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0233A
KR20230120233A KR1020220016572A KR20220016572A KR20230120233A KR 20230120233 A KR20230120233 A KR 20230120233A KR 1020220016572 A KR1020220016572 A KR 1020220016572A KR 20220016572 A KR20220016572 A KR 20220016572A KR 20230120233 A KR20230120233 A KR 202301202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tter
unloading
electrode
take
rew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65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태형
유기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220016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0233A/en
Publication of KR20230120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023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65H19/22Changing the web roll in 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winding operations
    • B65H19/30Lifting, transporting, or removing the web roll; Inserting c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2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longitudinal slitters or perfo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7Handling or changing web rolls
    • B65H2301/4171Handling web roll
    • B65H2301/41745Handling web roll by axial movement of ro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7Handling or changing web rolls
    • B65H2301/4171Handling web roll
    • B65H2301/4175Handling web roll involving c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1Cells with wound or folded electr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언-로딩된 전극 롤의 자동 취출 가능한 취출부가 마련됨에 따라,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취출하는 기존 수동 취출 대비 취출 시간이 단축되고, 작업자의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슬리터용 언 로딩 장비를 제공한다.In this application, as the take-out part capable of automatically taking out the unloaded electrode roll is provided, the take-out time is shortened compared to the existing manual take-out, which is manually taken out by the operator, and unloading equipment for slitters that can prevent workers' safety accidents. to provide.

Description

슬리터용 언-로딩 장비 {Un-loading device for Slitters}Un-loading device for slitters}

본 발명은 슬리터용 언-로딩 장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unloading equipment for slitters.

일반적으로, 이차 전지의 종류로는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리튬 이온 전지 및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 등이 있다. 이러한 이차 전지는 디지털 카메라, P-DVD, MP3P, 휴대폰, PDA, Portable Game Device, Power Tool 및 E-bike 등의 소형 제품뿐만 아니라, 전기 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같은 고출력이 요구되는 대형 제품과 잉여 발전 전력이나 신재생 에너지를 저장하는 전력 저장 장치와 백업용 전력 저장 장치에도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types of secondary batteries include nickel cadmium batteries, nickel hydrogen batteries, lithium ion batteries, and lithium ion polymer batteries. These secondary batteries are used not only for small products such as digital cameras, P-DVDs, MP3Ps, mobile phones, PDAs, portable game devices, power tools, and E-bikes, but also for large products that require high power, such as electric vehicles and hybrid vehicles, and surplus power generation. It is applied and used to a power storage device for storing power or renewable energy and a power storage device for backup.

전극 조립체를 제조하기 위해, 양극(Cathode), 분리막(Separator) 및 음극(Anode)을 제조하고, 이들을 적층한다. 구체적으로, 양극(Cathode)과 음극(Anode)을 제조하고, 상기 제조된 양극 및 음극의 사이에 분리막(Separator)이 개재되어 적층되면 단위 셀(Unit Cell)들이 형성되고, 단위 셀들이 서로 적층됨으로써, 전극 조립체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전극 조립체가 특정 케이스에 수용되고 전해액을 주입하면 이차 전지가 제조된다.In order to manufacture an electrode assembly, a cathode, a separator, and an anode are prepared and stacked. Specifically, when a cathode and an anode are manufactured, and a separator is interposed between the manufactured anode and cathode and stacked, unit cells are formed, and the unit cells are stacked on each other. , an electrode assembly is formed. In addition, when the electrode assembly is accommodated in a specific case and an electrolyte solution is injected, a secondary battery is manufactured.

이러한 양극 및 음극 등의 전극을 제조하기 위해, 양극 활물질 슬러리를 양극 집전체에 도포하고, 음극 활물질 슬러리를 음극 집전체에 도포하는 코팅 공정을 먼저 수행한다. 그리고, 이러한 전극 판을 예열한 후 고온 가열된 한 쌍의 압연롤 사이로 상기 전극 판을 통과시키는 압연 공정을 수행한다. 그럼으로써, 전극의 용량 밀도를 향상시키고 전극 집전체와 슬러리 간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압연 공정이 완료되면, 슬리터 장비를 이용하여 전극 판을 일정한 폭으로 절단하는 슬리팅 공정을 수행한다. In order to manufacture electrodes such as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a coating process of applying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slurry to 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nd then applying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slurry to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is first performed. Then, after preheating the electrode plate, a rolling process of passing the electrode plate between a pair of rolling rolls heated to a high temperature is performed.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apacity density of the electrode and improve the adhesion between th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nd the slurry. After the rolling process is completed, a slitting process of cutting the electrode plate into a predetermined width using a slitter equipment is performed.

상기 슬리터 장비는 절단된 전극 판을 보빈에 감아 복수 개의 전극 롤을 형성하는 리와인더와 리와인더로부터 복수 개의 전극 롤이 언-로딩되는 언-로딩 장비가 구비된다. 상기 「언-로딩」은 전극 롤을 적재하는 것을 말한다. The slitter equipment includes a rewinder for winding the cut electrode plates around a bobbin to form a plurality of electrode rolls, and an unloading device for unloading the plurality of electrode rolls from the rewinder. The above "unloading" refers to loading the electrode roll.

한편, 상기 언-로딩 장비로 언-로딩된 복수 개의 전극 롤은 포장 등의 후 공정을 수행하기 위해 이동 수단에 다시 언-로딩되어야 한다. Meanwhile, the plurality of electrode rolls unloaded by the unloading equipment must be unloaded again to a moving means to perform a post-process such as packaging.

기존에는, 언-로딩 장비에 언-로딩된 복수 개의 전극 롤을 작업자가 직접 취출하여 이동 수단에 언-로딩한 후 후 공정 장소로 이동하였다. 그러나,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취출하는 경우, 작업자의 피로도가 높고, 또한 전극 롤과 전극 롤 사이에 작업자의 손이 끼는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Conventionally, an operator directly takes out a plurality of electrode rolls unloaded in unloading equipment, unloads them in a moving means, and then moves to a post-processing site. However, when the operator manually takes out the electrode, the operator's fatigue is high, and there is a concern that a safety accident in which the operator's hand is caught between the electrode rolls may occur.

본 발명은 언-로딩된 복수 개의 전극 롤의 자동 취출 가능한 취출부가 마련됨에 따라, 기존 수동 취출 작업 대비 취출 시간이 단축되고, 작업자의 피로도 개선 및 작업자의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슬리터용 언 로딩 장비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take-out unit capable of automatically taking out a plurality of unloaded electrode rolls is provided, the take-out time is shortened compared to the existing manual take-out work, and unloading for slitters can improve worker fatigue and prevent worker safety accidents. Make the provision of equipment the task you are trying to solv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슬리팅 공정을 거친 전극 판을 보빈에 감아 복수 개의 전극 롤을 형성하는 슬리터용 리와인더로부터 복수 개의 전극 롤이 언-로딩되는 슬리터용 언-로딩 장비로서, 상기 슬리터용 리와인더와 인접하게 위치하는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에 연결되고, 상기 슬리터용 리와인더로부터 복수 개의 전극 롤이 언-로딩되는 언-로딩부; 및 언-로딩된 복수 개의 전극 롤을 취출하는 취출부를 포함하는, 슬리터용 언-로딩 장비가 제공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electrode rolls are unloaded from a slitter rewinder for winding an electrode plate that has undergone a slitting process around a bobbin to form a plurality of electrode rolls. A loading device comprising: a body housing positioned adjacent to the rewinder for the slitter; an unloading unit connected to the body housing and unloading a plurality of electrode rolls from the rewinder for the slitter; and a take-out unit for taking out the plurality of unloaded electrode rolls.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언-로딩 장비는 언-로딩된 전극 롤의 자동 취출 가능한 취출부가 마련됨에 따라,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취출하는 기존 수동 취출 대비 취출 시간이 단축되고, 작업자의 안전 사고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s the unloading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take-out unit capable of automatically taking out the unloaded electrode roll, the take-out time is reduc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anual take-out performed by the operator manually, and the safety of the operator It is effective in preventing accidents.

도 1 및 2는 슬리터용 리와인더 및 전극 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4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언-로딩 장비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and 2 are views for explaining a rewinder for a slitter and an electrode roll.
3 and 4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state of exemplary unloading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and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히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elected from general terms that are currently widely used as much as possible while considering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se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or precedent,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and the like. In addition, in a specific case, there is also a term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 mean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and the overall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simply the name of the term.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또는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직접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In the entire specification, when a certain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no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In addi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upled” with another par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is i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upled”, but also “there are other components in between” It also includes the case where it is connected.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2는 슬리터용 리와인더 및 전극 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 및 4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언-로딩 장비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and 2 are views for explaining a rewinder for a slitter and an electrode roll, and FIGS. 3 and 4 are views for explaining an operating state of exemplary unloading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도 1 (a)는 전극 롤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b)는 슬리터용 리와인더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슬리터용 리와인더로부터 언-로딩 장비로 전극 롤이 언-로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는 언-로딩 장비로부터 이송 수단으로 전극 롤이 언-로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Specifically, FIG. 1 (a)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n electrode roll, and FIG. 1 (b)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ng state of a slitter rewinder.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unloading the electrode roll from the rewinder for the slitter to the unloading equipment, and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unloading the electrode roll from the unloading equipment to the transfer means. it is a drawing

본 발명은 슬리터 장비에 설치되는 언-로딩 장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슬리팅 공정을 거친 전극 판을 보빈에 감아 복수 개의 전극 롤을 형성하는 슬리터용 리와인더로부터 복수 개의 전극 롤을 언-로딩하는 슬리터용 언-로딩 장비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unloading equipment installed in slitter equipment, and more particularly, to un-load a plurality of electrode rolls from a slitter rewinder that forms a plurality of electrode rolls by winding an electrode plate that has undergone a slitting process around a bobbin. It relates to unloading equipment for loading slitters.

도 1을 참조하면, 슬리팅 공정을 거친 전극 판은 얇은 폭을 갖는 복수 개의 전극 판(E)을 형성하고, 슬리터용 리와인더(20)는 보빈(21)을 일 방향을 회전시켜 상기 복수 개의 전극 판(E)을 감아 전극 롤(10)을 형성하게 된다. 최종적으로, 슬리터용 리와인더(20)에서, 복수 개의 전극 롤(10)은 보빈(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된다. 상기 보빈(21)은 일정한 길이를 갖는 봉 형상이며, 복수 개의 전극 롤(10)은 보빈에 감김에 따라, 중심에 보빈의 외경에 상응하는 크기를 갖는 중심 홀(11)이 형성된다. 복수 개의 전극 롤(10)은 상기 중심 홀(11)에 보빈(21)이 관통되어 보빈(21)에 배치(또는 거치)되어 있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electrode plate that has undergone the slitting process forms a plurality of electrode plates E having a thin width, and the slitter rewinder 20 rotates the bobbin 21 in one direction to The electrode roll 10 is formed by winding the plate E. Finally, in the rewinder 20 for the slitter, the plurality of electrode rolls 10 are arranged side by s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bbin 21 . The bobbin 21 has a rod shape having a certain length, and as the plurality of electrode rolls 10 are wound around the bobbin, a central hole 11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bobbin is formed at the center. The plurality of electrode rolls 10 may be arranged (or mounted) on the bobbin 21 by passing the bobbin 21 through the center hole 11 .

본 발명에서, 언-로딩(un-loading)은 전극 롤이 적재되는 과정을 말하며, 언-로딩 시, 슬리터용 리와인더(20)로부터 복수 개의 전극 롤(10)이 언-로딩 장비로 적재된다. 슬리터용 리와인더(20)의 보빈(21)은 일 단이 개방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슬리터용 리와인더(20)는 보빈(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보빈(21)에 배치된 복수 개의 전극 롤(10)을 개방된 일 단으로 이동시키는 리와인더용 이동 수단(22)이 탑재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리와인더용 이동 수단(22)은 보빈(21)의 다른 일단에 위치한 전극 롤(10)을 개방된 일 단 측으로 밀게 되고, 일 단에 인접한 전극 롤(10)부터 순차적으로 언-로딩 장비로 언-로딩될 수 있다. 또한, 언-로딩 과정에서 전극 롤의 이탈 방지를 위해, 슬리터용 리와인더(20)의 보빈(21)의 개방된 일 단은 후술하는 언-로딩부(200)과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un-loading refers to a process in which electrode rolls are loaded, and during unloading, a plurality of electrode rolls 10 are loaded from the slitter rewinder 20 to the unloading equipment. One end of the bobbin 21 of the slitter rewinder 20 is open, and the slitter rewinder 20 moves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bobbin 21 while moving a plurality of electrodes disposed on the bobbin 21. A rewinder moving means 22 for moving the roll 10 to one open end may be mounted. The moving means 22 for the rewinder pushes the electrode roll 10 located on the other end of the bobbin 21 to one open end side, and sequentially unloads the electrode roll 10 adjacent to one end to the unloading equipment. -Can be loaded. 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electrode roll during the unloading process, an open end of the bobbin 21 of the slitter rewinder 20 may be connected to an unloading unit 200 to be described later.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언-로딩 장비는 본체 하우징(100), 언-로딩부(200), 취출부(300)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unloading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housing 100, an unloading unit 200, and a take-out unit 300.

상기 본체 하우징(100)은 상기 슬리터용 리와인더(20)와 인접하게 위치한다. 상기 본체 하우징(100)의 하단과 회전 연결되어 본체 하우징(100)을 지지하는 회전 지지부(11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 하우징(100)은 언-로딩 시 언-로딩부와 슬리터용 리와인더의 보빈(21) 또는 후술하는 이송 수단(400)의 언로딩부(420)와 정렬되게 소정의 각도로 제자리 회전할 수 있다. The body housing 100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rewinder 20 for the slitter. It includes a rotational support 110 that is rotationally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main housing 100 and supports the main housing 100 . During unloading, the body housing 100 may rotate in place at a predetermined angle so as to be aligned with the unloading unit and the bobbin 21 of the slitter rewinder or with the unloading unit 420 of the conveying means 400 to be described later. there is.

상기 언-로딩부(200)는 상기 본체 하우징(100)에 연결되고, 상기 슬리터용 리와인더(20)로부터 복수 개의 전극 롤(10)이 언-로딩된다. 상기 언-로딩부(200)는 복수 개의 전극 롤(10)이 적재(또는 거치)되는 부분이다. The unloading unit 200 is connected to the body housing 100, and the plurality of electrode rolls 10 are unloaded from the slitter rewinder 20. The unloading part 200 is a part where a plurality of electrode rolls 10 are loaded (or mounted).

상기 취출부(300)는 언-로딩된 복수 개의 전극 롤(10)을 취출한다. 상기 취출부(300)는 언-로딩된 복수 개의 전극 롤(10)을 외부로 내보내는 부분이다. 상기 취출부(300)는 복수 개의 전극 롤(10)을 자동 취출한다. 본 명세서에서 자동 취출은 작업자의 수작업이 아닌 기계 작업으로 취출되는 것을 의미한다. The take-out part 300 takes out the plurality of unloaded electrode rolls 10 . The take-out part 300 is a part that exports the plurality of unloaded electrode rolls 10 to the outside. The take-out part 300 automatically takes out the plurality of electrode rolls 10 . In this specification, automatic take-out means take-out by machine work rather than manual work of an operator.

본 발명에 따른, 언-로딩 장비는 자동 취출 가능한 취출부(300)가 마련됨에 따라,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취출하는 기존 수동 취출 대비 취출 시간이 단축되고, 작업자의 안전 사고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As the unloading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the take-out unit 300 that can be taken out automatically, the take-out time is shorten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anual take-out performed by the operator manually, and safety accidents of the operator are prevented.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언-로딩부(20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본체 프레임(210), 본체 프레임(210)의 일 단과 본체 하우징(100)을 연결하는 연결부(220) 및 언-로딩 시 본체 프레임(210)의 다른 일단과 상기 슬리터용 리와인더(20)의 보빈을 연결하는 제2 연결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언-로딩 완료 상태에서, 상기 본체 프레임(210)은 복수 개의 전극 롤(10)의 중심 홀(11)을 관통하도록 마련되며, 복수 개의 전극 롤(10)은 본체 프레임(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밀착되어 배치되는 형태로 거치된다. 상기 본체 프레임(210)은 봉 형상의 거치대일 수 있다. 상기 본체 프레임(210)의 일 단은 막혀있고, 본체 프레임(210)의 다른 일단은 개방되어 있을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unloading unit 200 includes a body frame 210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 connection unit 220 connecting one end of the body frame 210 and the body housing 100, and unloading A second connection part 230 connecting the other end of the body frame 210 and the bobbin of the rewinder 20 for the slitter may be included. In the unloading completed state, the body frame 210 is provided to pass through the central hole 11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 rolls 10, and the plurality of electrode rolls 10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frame 210. It is mounted in a form that is closely arranged side by side along the line. The body frame 210 may be a rod-shaped cradle. One end of the body frame 210 may be blocked, and the other end of the body frame 210 may be open.

상기 본체 프레임(210)의 개방된 다른 일단은 복수 개의 전극 롤(10)이 인입 또는 인출되는 부분이다. 상기에서 본체 프레임(210)의 다른 일단을 통해 복수 개의 전극 롤(10)은 언-로딩되거나 취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언-로딩 과정에서 복수 개의 전극 롤(10)은 본체 프레임(210)의 개방된 다른 일단을 통해 인입되며, 취출 과정에서 복수 개의 전극 롤(10)은 본체 프레임(210)의 개방된 다른 일단을 통해 외부로 인출된다.The other open end of the body frame 210 is a portion through which a plurality of electrode rolls 10 are drawn in or taken out. In the above, the plurality of electrode rolls 10 may be unloaded or taken out through the other end of the body frame 210 . For example, in the unloading process, the plurality of electrode rolls 10 are drawn in through the open other end of the body frame 210, and in the taking-out process, the plurality of electrode rolls 10 are opened in the body frame 210. It is withdrawn to the outside through the other end.

예를 들어, 슬리터용 리와인더(20)의 복수 개의 전극 롤(10)은 상기 다른 일단을 통해 언-로딩되거나, 언-로딩부(200)의 복수 개의 전극 롤(10)은 상기 다른 일단을 통해 취출될 수 있다. 한편, 취출 시, 상기 제2 연결부(230)는 후술하는 이동 수단의 언-로딩부(420)와 본체 프레임(210)의 다른 일단을 연결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electrode rolls 10 of the rewinder 20 for the slitter are unloaded through the other end, or the plurality of electrode rolls 10 of the unloading unit 200 pass through the other end. can be extracted. Meanwhile, when taken out, the second connection part 230 may connect the unloading part 420 of the moving means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other end of the body frame 210 .

하나의 예로서, 상기 취출부(300)는 본체 프레임(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전극 롤(10)을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취출부(300)는 적어도 일부가 전극 롤(10)과 접촉 또는 결합된 상태로 이동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take-out part 300 may move the electrode roll 10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moving direction while mov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frame 210 . At least a part of the take-out part 300 may move while being in contact with or coupled to the electrode roll 10 .

구체적으로, 상기 취출부(300)는, 본체 프레임(210)의 일 단에서 다른 일단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복수 개의 전극 롤(10)을 취출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본체 프레임(210)에 거치되는 복수 개의 전극 롤(10)은 언-로딩 시, 본체 프레임(210)의 다른 일 단에서 일 단 방향으로 이동하고, 취출 시 본체 프레임(210)의 일 단에서 다른 일 단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take-out unit 300 may take out the plurality of electrode rolls 10 while moving from one end of the body frame 210 to the other end. In detail, the plurality of electrode rolls 10 mounted on the body frame 210 move in one direction from the other end of the body frame 210 during unloading, and when taking out the body frame 210. You can move from one end to the other.

상기 취출부(300)는, 본체 프레임(210)의 일 단에 인접하게 위치한 전극 롤(10)을 다른 일 단 방향으로 밀어 다른 일 단에 인접하게 위치한 전극 롤(10)부터 순차적으로 취출되게 할 수 있다. The take-out unit 300 pushes the electrode roll 10 positioned adjacent to one end of the body frame 210 in the other direction so that the electrode roll 10 positioned adjacent to the other end is sequentially taken out. can

일 구체예에서, 상기 취출부(300)는 실린더 또는 서버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취출부(300)는 이외에도 전극 롤(10)을 이동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동 장치를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취출부(300)의 이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트롤러는 본체 하우징에 마련되고, 버튼 방식으로 작동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원격 가능한 무선 콘트롤러 등 다양한 제어 방식 및 장치를 적용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take-out part 300 may include a cylinder or a servo motor. In addition to the take-out part 300, various driving devices capable of moving the electrode roll 10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In addition,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take-out unit 300 may be included. The controller is provided in the body housing and can be operated in a button mann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control methods and devices such as a remote wireless controller may be applied.

본 출원은 또한 슬리터 장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is application also relates to a slitter equipment system.

상기 시스템은 슬리팅 공정을 거친 전극 판을 보빈에 감아 복수 개의 전극 롤을 형성하는 슬리터용 리와인더를 포함하는 슬리터 장비; 상기 슬리터용 리와인더로부터 복수 개의 전극 롤이 언-로딩되는 전술한 슬리터용 언-로딩 장비; 및 상기 슬리터용 언-로딩 장비로부터 복수 개의 전극 롤이 언-로딩되는 이동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슬리터 장비는 슬리팅 공정을 수행하는 공지된 장치이며, 본 출원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슬리터용 언-로딩 장비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전술한 내용과 중복되므로 이하에서 생략하기로 한다.The system includes a slitter equipment including a rewinder for a slitter that forms a plurality of electrode rolls by winding an electrode plate that has undergone a slitting process around a bobbin; The aforementioned slitter unloading equipment for unloading a plurality of electrode rolls from the slitter rewinder; and a moving means for unloading the plurality of electrode rolls from the unloading equipment for the slitter. The slitter equipment is a known device for performing a slitting proces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is application. In addi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unloading equipment for the slitter will be omitted below because it overlaps with the above description.

상기 이동 수단(400)은 상기 이동 수단은 주행 가능하게 복수 개의 바퀴(411)가 장착된 이동 수단 본체 하우징(410); 및 상기 이동 수단 본체 하우징(410)에 연결되고, 상기 슬리터용 언-로딩 장비로부터 복수 개의 전극 롤이 언-로딩되는 이동 수단용 언-로딩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수단(400)은 전극 롤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 대차일 수 있다. 상기 이동 수단용 언-로딩부(420)는 전술한 슬리터용 언-로딩 장비의 언-로딩부(200)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 수단용 언-로딩부(420)는 봉 형상의 거치대일 수 있다. The moving means 400 includes a moving means body housing 410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wheels 411 so as to be able to drive; and an unloading unit 420 connected to the moving means body housing 410 and unloading a plurality of electrode rolls from the unloading equipment for the slitter. The moving means 400 may be a transfer cart for transferring the electrode roll. The unloading unit 420 for the moving means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unloading unit 200 of the aforementioned slitter unloading equipment. For example, the unloading unit 420 for the moving means may be a rod-shaped cradle.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ve been disclosed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having ordinary knowledg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addi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and changes and additions should be view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100: 본체 하우징
200: 언-로딩부
300: 취출부
100: body housing
200: unloading unit
300: take-out

Claims (9)

슬리팅 공정을 거친 전극 판을 보빈에 감아 복수 개의 전극 롤을 형성하는 슬리터용 리와인더로부터 복수 개의 전극 롤이 언-로딩되는 슬리터용 언-로딩 장비로서,
상기 슬리터용 리와인더와 인접하게 위치하는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에 연결되고, 상기 슬리터용 리와인더로부터 복수 개의 전극 롤이 언-로딩되는 언-로딩부; 및
언-로딩된 복수 개의 전극 롤을 취출하는 취출부를 포함하는, 슬리터용 언-로딩 장비.
As an unloading equipment for a slitter in which a plurality of electrode rolls are unloaded from a rewinder for a slitter that forms a plurality of electrode rolls by winding the electrode plate that has undergone the slitting process on a bobbin,
a body housing positioned adjacent to the rewinder for the slitter;
an unloading unit connected to the body housing and unloading a plurality of electrode rolls from the rewinder for the slitter; and
Unloading equipment for a slitter, comprising a take-out unit for taking out a plurality of unloaded electrode roll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언-로딩부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본체 프레임;
본체 프레임의 일 단과 본체 하우징을 연결하는 제1 연결부; 및
언-로딩 시, 본체 프레임의 다른 일 단과 상기 슬리터용 리와인더의 보빈을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슬리터용 언-로딩 장비.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unloading unit,
a body fram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 first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one end of the body frame and the body housing; and
A slitter unloading device comprising a second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other end of the body frame and the bobbin of the rewinder for the slitter during unloading.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부는 상기 본체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전극 롤을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슬리터용 언-로딩 장비.The unloading equipment for slitters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take-out unit moves the electrode roll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moving direction while mov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fram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부는, 본체 프레임의 일 단에서 다른 일단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복수 개의 전극 롤을 취출하는, 슬리터용 언-로딩 장비.The unloading equipment for slitters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take-out unit takes out a plurality of electrode rolls while moving from one end of the body frame to the other en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부는, 본체 프레임의 일 단에 인접하게 위치한 전극 롤을 다른 일 단 방향으로 밀어 다른 일 단에 인접하게 위치한 전극 롤부터 순차적으로 취출하는, 슬리터용 언-로딩 장비.3. The unloading equipment for a slitter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take-out unit pushes the electrode roll positioned adjacent to one end of the body frame in the other direction and sequentially takes out the electrode roll positioned adjacent to the other en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부는 실린더 또는 서버 모터를 포함하는, 슬리터용 언-로딩 장비.3. The unloading equipment for the slitter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take-out comprises a cylinder or a servo motor. 제 2 항에 있어서, 취출부의 이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슬리터용 언-로딩 장비.3. The unloading equipment for the slitter according to claim 2, comprising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take-out unit. 슬리팅 공정을 거친 전극 판을 보빈에 감아 복수 개의 전극 롤을 형성하는 슬리터용 리와인더를 포함하는 슬리터 장비;
상기 슬리터용 리와인더로부터 복수 개의 전극 롤이 언-로딩되는 제 1 항에 따른 슬리터용 언-로딩 장비; 및
상기 슬리터용 언-로딩 장비로부터 복수 개의 전극 롤이 언-로딩되는 이동 수단을 포함하는, 슬리터 장비 시스템.
Slitter equipment including a rewinder for a slitter that forms a plurality of electrode rolls by winding the electrode plate that has undergone the slitting process around a bobbin;
The slitter unloading equipmen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electrode rolls are unloaded from the slitter rewinder; and
A slitter equipment system comprising a moving means for unloading a plurality of electrode rolls from the unloading equipment for the slitter.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은 주행 가능하게 복수 개의 바퀴가 장착된 이동 수단 본체 하우징; 및
상기 이동 수단 본체 하우징에 연결되고, 상기 슬리터용 언-로딩 장비로부터 복수 개의 전극 롤이 언-로딩되는 이동 수단용 언-로딩부를 포함하는, 슬리터 장비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moving unit includes a moving means body housing on which a plurality of wheels are mounted so as to be able to drive; and
and an unloading unit for the moving unit connected to the housing of the moving unit body and unloading a plurality of electrode rolls from the unloading unit for the slitter.
KR1020220016572A 2022-02-09 2022-02-09 Un-loading device for Slitters KR2023012023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6572A KR20230120233A (en) 2022-02-09 2022-02-09 Un-loading device for Slitt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6572A KR20230120233A (en) 2022-02-09 2022-02-09 Un-loading device for Slitte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0233A true KR20230120233A (en) 2023-08-17

Family

ID=87800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6572A KR20230120233A (en) 2022-02-09 2022-02-09 Un-loading device for Slitte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0233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0149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de assembly and electrode assembly manufactured using the same
KR101604052B1 (en) Removal equipment for a electric conduction plate of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s battery for electric vehicle
KR20090110822A (en) Electrode plate for battery, polar plate group for battery, lithium secondary battery,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de plate for battery,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electrode plate for battery
KR101410036B1 (en) Automated folding system for manufacturing electrode assembly of secondary battery
KR102414044B1 (en) Tapping device and taping method for adhesive tape that can be attached to battery cells
KR102333754B1 (en) swing module of electrode assembly manufacturing apparatus
KR20160028900A (en) Rolling device for secondary battery and 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102416147B1 (en) Metal cutting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lead tab
KR20230120233A (en) Un-loading device for Slitters
KR20220089333A (en) Battery cell manufacturing apparatus
KR101873198B1 (en) Apparatus For Connecting Meterial Of Rechargeable Battery
KR101956935B1 (en) Electrode plate rolling device and method using the same
EP4049955A1 (en) Automatic replac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feed material
KR102504610B1 (en) reel clamping module
KR101800485B1 (en) Method of improving stacker crane's work efficiency in rechargeable battery activation process
WO2015162746A1 (en) Rolled sheet-material holding device and battery laminate body manufacturing method
KR102433652B1 (en) Material roll supply device for replacement of secondary battery jelly roll manufacturing facility
KR102530928B1 (en) Electrode fabric slitting device for secondary batteries.
EP4321463A1 (en) Transferring apparatus for material for electrode
KR20230145702A (en) Device for recovering empty core for electrode assembly
KR100502324B1 (en) Electrode making device used in secondary battery
KR20230082176A (en) Key type auto chucking system and chucking method thereof
KR2018006167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de of lithium ion capacitor
KR20230046489A (en) Tape supplying appparatus
KR20230083249A (en) Separator automatic fee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