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5702A - Device for recovering empty core for electrode assembly - Google Patents

Device for recovering empty core for electrode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5702A
KR20230145702A KR1020220044392A KR20220044392A KR20230145702A KR 20230145702 A KR20230145702 A KR 20230145702A KR 1020220044392 A KR1020220044392 A KR 1020220044392A KR 20220044392 A KR20220044392 A KR 20220044392A KR 20230145702 A KR20230145702 A KR 202301457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pty core
support member
loaded
empty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43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련호
권기선
김민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220044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5702A/en
Publication of KR20230145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570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04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 H01M10/0409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for cells with wound 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65H19/10Changing the web roll in un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unwinding operations
    • B65H19/12Lifting, transporting, or inserting the web roll; Removing empty c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전극 조립체용 빈 코어 회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극 조립체용 빈 코어 회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의 전극 조립체용 빈 코어 회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극 조립체용 빈 코어 회수 방법에 의하면 전극 조립체로부터 사용이 완료된 빈 코어를 자동으로 회수할 수 있어 작업자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고, 전극 조립체의 교체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This application relates to an empty core recovery device for an electrode assembly and a method for recovering an empty core for an electrode assembly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empty core recovery device for an electrode assembly and the empty core recovery method for an electrode assembly using the sa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empty core that has been used can be automatically recovered from the electrode assembly, thereby reducing the worker's load and replacing the electrode assembly. Time can be shortened.

Description

전극 조립체용 빈 코어 회수 장치{DEVICE FOR RECOVERING EMPTY CORE FOR ELECTRODE ASSEMBLY}Empty core recovery device for electrode assembly {DEVICE FOR RECOVERING EMPTY CORE FOR ELECTRODE ASSEMBLY}

본 출원은 전극 조립체용 빈 코어 회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극 조립체용 빈 코어 회수 방법에 관한 것이다.This application relates to an empty core recovery device for an electrode assembly and a method for recovering an empty core for an electrode assembly using the same.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전지는 일반적으로 일차 전지와 이차 전지로 구분될 수 있다. 일차 전지는 일회용 소모성 전지인 반면에, 이차 전지는 전류와 물질 사이의 산화 및 환원 과정이 반복 가능한 소재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충전식 전지이다. 즉, 전류에 의해 소재에 대한 환원 반응이 수행되면 전원이 충전되고, 소재에 대한 산화 반응이 수행되면 전원이 방전되는데, 이와 같은 충전-방전이 반복적으로 수행 가능하다.Batteries that store electrical energy can generally be divided into primary batteries and secondary batteries. Primary batteries are disposable consumable batteries, while secondary batteries are rechargeable batteries manufactured using materials in which oxidation and reduction processes between current and materials can be repeated. That is, when a reduction reaction is performed on the material by current, the power is charged, and when an oxidation reaction is performed on the material, the power is discharged. This charging and discharging can be performed repeatedly.

여러 종류의 이차전지 중, 리튬 이차 전지는 일반적으로 양극(Cathode), 분리막(Separator) 및 음극(Anode)이 적층된 전극 조립체가 케이스에 장착되어 제조되며, 리튬 이온이 양극의 리튬 금속 산화물로부터 음극으로 삽입(Intercalation) 및 탈리(Deintercalation)되는 과정이 반복되면서, 리튬 이차 전지의 충방전이 진행된다.Among various types of secondary batteries, lithium secondary batteries are generally manufactured by mounting an electrode assembly in which a cathode, separator, and anode are stacked in a case, and lithium ions are transferred from the lithium metal oxide of the anode to the cathode. As the process of intercalation and deintercalation is repeated, charging and discharging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progresses.

한편, 상기 전극 조립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분리막을 적층한 후 코어에 감아서 제조하는 권취형, 요구되는 폭과 길이를 갖도록 재단하여 양극과 음극을 절단한 후, 상기 양극, 분리막 및 음극이 반복되도록 적층하여 제조하는 적층형, 및 폴딩분리막 위에 단위셀들을 나란히 올려놓은 후 일측부터 폴딩하여 제조하는 스택 앤 폴딩형 등이 있다.On the other h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electrode assembly is the winding type, which is manufactured by laminating a separator between the anode and the cathode and then wrapping it around the core. After cutting the anode and the cathode to have the required width and length, , a laminated type manufactured by repeatedly stacking separators and cathodes, and a stack-and-fold type manufactured by placing unit cells side by side on a folding separator and then folding them starting from one side.

이 중, 권취형 전극 조립체는 코어에 양극, 분리막, 음극의 권취가 함께 이뤄지도록 제조된다. 이렇게 제조된 권취형 전극 조립체는 전극 조립체의 권출 장비에서, 작업자의 부하를 감소시키고, 전극 조립체의 교체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코어로부터 양극, 분리막 및 음극이 자동으로 권출되어 공급되도록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양극, 분리막 및 음극의 자동 공급 후 빈 코어를 자동으로 회수하는 장치가 개발되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빈 코어를 자동으로 회수하는 전극 조립체용 빈 코어 회수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Among these, the wound electrode assembly is manufactured so that the anode, separator, and cathode are wound around the core. The wound electrode assembly manufactured in this way is being developed so that the anode, separator, and cathode are automatically unwound and supplied from the core in order to reduce the load on the operator and shorten the replacement time of the electrode assembly in the electrode assembly unwinding equipment. However, a device for automatically recovering the empty core after automatically supplying the anode, separator, and cathode has not been developed.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n empty core recovery device for an electrode assembly that automatically recovers empty cores.

본 출원의 과제는 전극 조립체로부터 사용이 완료된 빈 코어를 자동으로 회수하여 작업자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고, 전극 조립체의 교체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전극 조립체용 빈 코어 회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극 조립체용 빈 코어 회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subject of this application is an empty core recovery device for an electrode assembly that can automatically recover used empty cores from the electrode assembly to reduce the load on the operator and shorten the replacement time of the electrode assembly, and an empty core recovery device for electrode assemblies using the same. It provides a method of recovering empty cores.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의 전극 조립체용 빈 코어 회수 장치는 전극 조립체에서 전극 및 분리막이 권출되어 사용이 완료된 빈 코어가 적재되어 배출되는 배출부; 상기 배출부에서 배출된 빈 코어를 이송시키는 이송부; 및 상기 이송부에서 이송되는 빈 코어가 회수되는 회수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empty core recovery device for the electrode assembly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a discharge part where the electrode and the separator are unwound from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used empty core is loaded and discharged; A transfer unit that transfers the empty core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unit; and a recovery unit where the empty core transferred from the transfer unit is recovered.

상기 배출부는 상기 빈 코어가 적재되는 제 1 지지부재; 및 상기 제 1 지지부재의 외부의 일부 영역을 둘러싸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1 배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charge unit includes a first support member on which the empty core is loaded; And it may include a first discharge member movably disposed surrounding a partial area outside the first support member.

또한, 상기 제 1 배출부재는 상기 제 1 지지부재에 빈 코어 적재 시 빈 코어가 적재되는 방향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제 1 지지부재에 적재된 빈 코어를 상기 제 1 지지부재로부터 배출 시 빈 코어가 배출되는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discharge member moves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empty cores are loaded when empty cores are loaded on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when the empty cores loaded on the first support member are discharged from the first support member, the first discharge member moves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empty cores are loaded. It can move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it is discharged.

또한, 상기 이송부는 상기 빈 코어가 적재되는 제 2 지지부재; 상기 제 2 지지부재의 외부의 일부 영역을 둘러싸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2 배출부재; 및 빈 코어가 적재되는 방향을 따른 상기 제 2 지지부재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높이 방향을 축으로 한 회전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위치조절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ransfer unit includes a second support member on which the empty core is loaded; a second discharge member surrounding a partial area outside the second support member and movably disposed;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is movably connected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empty core is loaded, and may include a position adjustment member capable of rotation and height adjustment about the height direction.

또한, 상기 제 2 배출부재는 상기 제 2 지지부재에 빈 코어 적재 시 상기 배출부에 적재된 빈 코어와 접촉된 후 상기 빈 코어가 적재되는 방향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제 2 지지부재에 적재된 빈 코어를 상기 제 2 지지부재로부터 배출 시 상기 빈 코어가 배출되는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empty core is loaded on the second support member, the second discharge member is moved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empty core is loaded after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empty core loaded on the discharge portion, and the second discharge member loaded on the second support member When the empty core is discharged from the second support member, the empty core may be moved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empty core is discharged.

또한, 상기 회수부는 상기 회수된 빈 코어의 적재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회수된 빈 코어가 적재되며, 높이 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되는 제 3 지지부재; 몸통, 및 상기 몸통의 하부에 구비된 바퀴를 포함하고, 상기 적재된 빈 코어를 운반하는 운반부; 및 빈 코어가 적재되는 방향을 따른 상기 제 3 지지부재의 말단과 상기 운반부의 몸통을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covery unit includes a third support member extending in a loading direction of the recovered empty core, on which the recovered empty core is loaded, and having a plurality of third support members arranged in the height direction; a transport unit including a body and wheel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ody and transporting the loaded empty core; And it may include a connection part that connects and secures the end of the third support member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empty core is loaded and the body of the carrying unit.

또한, 상기 위치조절부재는 상기 제 2 지지부재에 적재된 빈 코어를 상기 회수부로 이송 시, 높이 방향을 축으로 하여 적재 가능한 제 3 지지부재에 대응되는 위치로 회전되고, 적재 가능한 제 3 지지부재에 대응되는 위치로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ransferring the empty core loaded on the second support member to the recovery unit, the position adjustment member is rotat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adable third support member with the height direction as the axis, and the loadable third support member The height can be adjust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

또한, 상기 빈 코어는 중공의 원통형일 수 있다.Additionally, the empty core may be hollow and cylindrical.

본 출원은 또한, 상기 전극 조립체용 빈 코어 회수 장치를 이용한 전극 조립체용 빈 코어 회수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극 조립체에서 전극 및 분리막이 권출되어 사용이 완료된 빈 코어가 적재되어 배출되는 배출단계; 상기 배출단계에서 배출된 빈 코어를 이송시키는 이송단계; 및 상기 이송단계에서 이송되는 빈 코어가 회수되는 회수단계를 포함한다.The present application also relates to a method of recovering an empty core for an electrode assembly using the empty core recovery device for an electrode assembly, which includes a discharging step in which the electrode and the separator are unwound from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used empty core is loaded and discharged; A transfer step of transferring the empty core discharged in the discharge step; and a recovery step in which the empty core transferred in the transfer step is recovered.

상기 배출단계는 제 1 지지부재에 사용이 완료된 빈 코어가 적재되고, 상기 빈 코어가 적재되는 방향을 따라 제 1 배출부재가 이동되며, 상기 제 1 배출부재를 반대 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상기 빈 코어가 배출되어 수행될 수 있다.In the discharging step, a used empty core is loaded on a first support member, the first discharging member is moved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empty core is loaded, and the first discharging member is moved along the opposite direction to remove the empty core. can be discharged and performed.

또한, 상기 이송단계는 제 2 지지부재를 상기 배출부에 적재된 빈 코어가 적재 가능한 위치로 배치한 후, 상기 제 2 지지부재 및 제 2 배출부재를 상기 배출부 방향으로 밀어 상기 제 2 배출부재가 상기 배출부에 적재된 빈 코어와 접촉되도록 하고, 상기 제 1 배출부재를 이송부 방향으로 밀어 상기 빈 코어가 상기 제 2 지지부재에 적재한 후, 위치조절부재에 의해 상기 이송부가 제 3 지지부재에 대응되는 위치로 회전되고, 빈 코어가 적재 가능한 제 3 지지부재의 위치로 높이가 조절되어 수행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transfer step, the second support member is placed in a position where the empty core loaded in the discharge unit can be loaded, and then the second support member and the second discharge member are pushed in the direction of the discharge unit to move the second discharge member.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empty core loaded on the discharge unit, and the first discharge member is pushed in the direction of the transfer unit so that the empty core is loaded on the second support member, and then the transfer unit is moved to the third support member by the positioning member. It can be performed by rotating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nd adjusting the height to the position of the third support member where the empty core can be loaded.

또한, 상기 회수단계는 상기 제 3 지지부재와 대응되도록 위치가 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지지부재 및 제 2 배출부재를 밀어 상기 제 2 지지부재가 상기 제 3 지지부재에 접촉되도록 하고, 상기 제 2 배출부재를 회수부 방향으로 밀어 상기 빈 코어가 상기 제 3 지지부재에 적재되어 수행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recovery step, the second support member and the second discharge member are pushed in a state in which the position is adjusted to correspond to the third support member so that the second support member contacts the third support member,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is in contact with the third support member. 2 The empty core can be loaded onto the third support member by pushing the discharge member toward the recovery unit.

본 출원의 전극 조립체용 빈 코어 회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극 조립체용 빈 코어 회수 방법은 전극 조립체로부터 사용이 완료된 빈 코어를 자동으로 회수할 수 있어 작업자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고, 전극 조립체의 교체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The empty core recovery device for an electrode assembly and the empty core recovery method for an electrode assembly using the sa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can automatically recover used empty cores from the electrode assembly, thereby reducing the worker's load and the replacement time of the electrode assembly. can be shortened.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용 빈 코어 회수 장치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배출부에서 배출되는 빈 코어를 이송부로 이송시키는 제 1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배출부에서 배출되는 빈 코어를 이송부로 이송시키는 제 2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배출부에서 배출되는 빈 코어를 이송부로 이송시키는 제 3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에 적재된 빈 코어의 위치를 조절하는 제 1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에 적재된 빈 코어의 위치를 조절하는 제 2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수부에 빈코어가 회수되는 제 1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수부에 빈코어가 회수되는 제 2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pty core recovery device for an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FIG. 2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operation of transferring an empty core discharged from a discharge unit to a transf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Figure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cond operation of transferring the empty core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unit to the transf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Figure 4 is a diagram illustratively illustrating a third operation of transferring the empty core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unit to the transf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vely illustrating a first operation of adjusting the position of an empty core loaded on a transf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FIG. 6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second operation of adjusting the position of an empty core loaded on a transf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FIG. 7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operation in which an empty core is recovered from a recover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FIG. 8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second operation in which an empty core is recovered from a recover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출원의 전극 조립체용 빈 코어 회수 장치를 설명하며, 첨부된 도면은 예시적인 것으로, 본 출원의 전극 조립체용 빈 코어 회수 장치가 첨부된 도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empty core recovery device for an electrode assembly of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e attached drawings are illustrative, and the empty core recovery device for an electrode assembly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용 빈 코어 회수 장치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전극 조립체용 빈 코어 회수 장치는 배출부(100), 이송부(200) 및 회수부(300)를 순차로 포함한다. 본 출원의 전극 조립체용 빈 코어 회수 장치에 의하면 전극 조립체로부터 사용이 완료된 빈 코어를 자동으로 회수할 수 있어 작업자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고, 전극 조립체의 교체 시간을 단축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배출」은 상기 배출부에 적재된 빈 코어가 상기 배출부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빈 코어」는 전극 및 분리막이 권취된 코어를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로부터 전극 및 분리막의 공급이 완료되어 상기 전극 및 분리막이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이송」은 빈 코어를 다른 부분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의미하고, 본 명세서에서 용어 「회수」는 다른 부분에 적재된 빈 코어를 다시 거두는 동작을 의미한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pty core recovery device for an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s shown in FIG. 1, the empty core recovery device for an electrode assembly of the present application sequentially includes a discharge unit 100, a transfer unit 200, and a recovery unit 300. According to the empty core recovery device for an electrode assembly of the present application, a used empty core can be automatically recovered from the electrode assembly, thereby reducing the load on the operator and shortening the replacement time of the electrode assembly.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discharge” means that the empty core loaded in the discharge unit i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unit.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empty core” refers to a state in which the supply of electrodes and separators has been completed from an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a core on which electrodes and separators are wound, so that there are no electrodes and separators.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transfer” means an operation of moving an empty core to another part, and the term “recovery” in this specification means an operation of recollecting an empty core loaded in another part.

상기 배출부는 전극 조립체에서 전극 및 분리막이 권출되어 사용이 완료된 빈 코어를 배출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상기 빈 코어가 적재되어 배출된다. 이때, 상기 전극 조립체는 권출 장비에서 권출이 수행될 수 있다.The discharge unit is a part for discharging empty cores that have been used by unwinding electrodes and separators from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empty cores are loaded and discharged. At this time, the electrode assembly may be unwound using unwinding equipment.

상기 빈 코어는 중공의 원통형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빈 코어는 내부에 홀을 가지는 원통형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빈 코어는 전술한 형상을 가짐으로써, 내부에 후술하는 지지부재가 삽입될 수 있다.The hollow core may be hollow and cylindrical. Specifically, the empty core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with a hole inside. Since the empty core has the above-described shape, a support member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inserted therein.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배출부는 제 1 지지부재(110) 및 제 1 배출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discharge unit may include a first support member 110 and a first discharge member 120.

상기 제 1 지지부재는 상기 빈 코어를 적재하기 위한 부재로서, 봉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제 1 지지부재의 길이는 상기 빈 코어의 두께 및 개수에 따라 조절 가능하므로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first support member is a member for loading the empty core and may be in the form of a rod. The length of the first support memb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ecause it can be adjusted depending on the thickness and number of empty cores.

상기 제 1 배출부재는 상기 제 1 지지부재에 적재된 빈 코어를 상기 제 1 지지부재로부터 배출하기 위한 부재로서, 상기 제 1 지지부재의 외부의 일부 영역을 둘러싸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이 완료된 빈 코어를 상기 제 1 지지부재에 적재 및 배출이 용이할 수 있다.The first discharge member is a member for discharging the empty core loaded on the first support member from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may be movably disposed surrounding a partial area outside the first support member. Through this, it can be easy to load and discharge the empty core that has been used into the first support member.

예를 들어, 상기 제 1 배출부재는 상기 제 1 지지부재에 빈 코어 적재 시 빈 코어가 적재되는 방향(←)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제 1 지지부재의 말단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배출부재는 상기 제 1 지지부재에 적재된 빈 코어를 상기 제 1 지지부재로부터 배출 시 빈 코어가 배출되는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전극 조립체용 빈 코어 회수 장치는 전술한 배출부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이 완료된 빈 코어를 상기 제 1 지지부재에 적재 및 배출이 용이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empty cores are loaded on the first support member, the first discharge member may be moved along the direction (←) in which the empty cores are loaded and moved to the end of the first support member. Additionally, the first discharge member may be moved along a direction (→) in which the empty core loaded on the first support member is discharged from the first support member. The empty core recovery device for an electrode assembly includes the above-mentioned discharge unit, so that it is easy to load and discharge the used empty core into the first support member.

상기 배출부는 전술한 제 1 배출부재를 통해 빈 코어를 자동으로 적재하거나 배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극 조립체로부터 사용이 완료된 빈 코어를 자동으로 회수할 수 있어 작업자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고, 전극 조립체의 교체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The discharge unit can automatically load or discharge empty cores through the above-described first discharge member. Through this, empty cores that have been used can be automatically recovered from the electrode assembly, thereby reducing the load on the operator and shortening the replacement time of the electrode assembly.

상기 이송부는 상기 배출부에서 배출되는 빈 코어를 회수하여 상기 회수부에 적재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상기 배출부에 적재된 빈 코어를 이송시킨다.The transfer unit is a part for recovering empty core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unit and loading them on the recovery unit, and transports the empty cores loaded on the discharge unit.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이송부는 제 2 지지부재(210), 제 2 배출부재(220) 및 위치조절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transfer unit may include a second support member 210, a second discharge member 220, and a position adjustment member 230.

상기 제 2 지지부재는 상기 빈 코어를 적재하기 위한 부재로서, 봉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제 2 지지부재의 길이는 상기 빈 코어의 두께 및 개수에 따라 조절 가능하므로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second support member is a member for loading the empty core and may be in the form of a rod. The length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ecause it can be adjusted depending on the thickness and number of empty cores.

상기 제 2 배출부재는 상기 제 2 지지부재에 적재된 빈 코어를 상기 제 2 지지부재로부터 배출하기 위한 부재로서, 상기 제 2 지지부재의 외부의 일부 영역을 둘러싸고 상기 배출부 또는 위치조절부재를 향하는 방향(a)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배출부에서 회수된 빈 코어를 상기 제 2 지지부재에 적재 및 배출이 용이할 수 있다.The second discharge member is a member for discharging the empty core loaded on the second support member from the second support member, and surrounds a partial area outside the second support member and is directed toward the discharge portion or the position adjustment member. It can be arranged to be movable in direction (a). Through this, it can be easy to load and discharge the empty core recovered from the discharge unit into the second support member.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제 2 배출부재는 상기 제 2 지지부재에 빈 코어 적재 시 상기 배출부에 적재된 빈 코어와 접촉된 후 상기 빈 코어가 적재되는 방향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제 2 지지부재에 적재된 빈 코어를 상기 제 2 지지부재로부터 배출 시 상기 빈 코어가 배출되는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second discharge member is moved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empty core is loaded after contacting the empty core loaded in the discharge portion when the empty core is loaded on the second support member,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When the empty core loaded on is discharged from the second support member, the empty core may be moved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empty core is discharged.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배출부에서 배출되는 빈 코어를 이송부로 이송시키는 제 1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배출부에서 배출되는 빈 코어를 이송부로 이송시키는 제 2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배출부에서 배출되는 빈 코어를 이송부로 이송시키는 제 3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상기 이송부(200), 구체적으로, 제 2 지지부재(210)에 상기 배출부(100),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지지부재(110)에 적재된 빈 코어(1)를 적재 가능한 위치로 배치한 후, 상기 제 2 지지부재(210) 및 제 2 배출부재(220)를 상기 배출부(100)를 향하는 방향(d)으로 민다. 이를 통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 2 배출부재(220)가 상기 배출부(100)에 적재된 빈 코어(1)와 접촉된 후, 상기 제 1 배출부재(120)를 이송부 방향(e)으로 민다. 이후,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빈 코어(1)가 상기 제 2 지지부재(210)에 적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배출부재(220)는 상기 빈 코어가 적재되는 방향(f)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배출부에서 배출되는 빈 코어를 상기 이송부의 제 2 지지부재에 적재하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FIG. 2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operation of transferring an empty core discharged from a discharge unit to a transf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Figure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cond operation of transferring the empty core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unit to the transf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Figure 4 is a diagram illustratively illustrating a third operation of transferring the empty core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unit to the transf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s shown in FIG. 2, first, an empty core ( After placing 1) in a position where it can be loaded, the second support member 210 and the second discharge member 220 are pushed in the direction d toward the discharge unit 100. Through this, as shown in FIG. 3, after the second discharge member 22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empty core 1 loaded on the discharge unit 100, the first discharge member 120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transfer unit ( Push to e). Thereafter, as shown in FIG. 4, the empty core 1 may be loaded on the second support member 210. At this time, the second discharge member 220 may be moved along the direction (f) in which the empty core is loaded. Through this, it can be easy to load the empty core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unit onto the second support member of the transfer unit.

상기 위치조절부재는 상기 제 2 지지부재에 적재된 빈 코어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부재로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빈 코어가 적재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제 2 지지부재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높이 방향을 축으로 한 회전 방향(c)을 따라 회전이 가능하며, 높이 방향(b)을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전극 조립체용 빈 코어 회수 장치는 전술한 위치조절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전극 조립체로부터 사용이 완료된 빈 코어를 자동으로 회수할 수 있어 작업자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고, 전극 조립체의 교체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The position adjustment member is a member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empty core loaded on the second support member, and as shown in FIG. 1, the second support member is connected to be movable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empty core is loaded. It can be rotated along the rotation direction (c) centered on the height direction, and the height can be adjust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b). The empty core recovery device for the electrode assembly includes the above-described positioning member, thereby automatically recovering the used empty core from the electrode assembly, thereby reducing the operator's load and shortening the replacement time of the electrode assembly. You can.

구체적으로, 도 5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에 적재된 빈 코어의 위치를 조절하는 제 1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에 적재된 빈 코어의 위치를 조절하는 제 2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이송부(200)는 빈 코어(1)가 적재된 상태에서 상기 위치조절부재(230)에 의해 회수부(미도시)에 대응되는 위치로 회전 방향(g)을 따라 회전된다. 이후,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이송부(200)는 상기 제 2 지지부재(210)가 적재 가능한 상기 회수부의 제 3 지지부재(미도시)에 대응되는 위치로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이송부는 적재 가능한 상기 회수부의 제 3 지지부재에 대응되는 위치로 높이가 하강(h)하거나, 상승(미도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송부의 위치 조절은 상기 전극 조립체용 빈 코어 회수 장치의 설계 시 회수부의 위치에 맞게 설정된 범위 내에서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전극 조립체용 빈 코어 회수 장치는 이송부에 전술한 위치조절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전극 조립체로부터 사용이 완료된 빈 코어를 자동으로 회수할 수 있어 작업자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고, 전극 조립체의 교체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Specifically, FIG. 5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operation of adjusting the position of an empty core loaded on a transf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FIG. 6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second operation of adjusting the position of an empty core loaded on a transf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s shown in FIG. 5, the transfer unit 200 is moved along the rotation direction g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ecovery unit (not shown) by the position adjustment member 230 in a state in which the empty core 1 is loaded. It is rotated. Thereafter, as shown in FIG. 6, the height of the transfer unit 200 may be adjust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hird support member (not shown) of the recovery unit where the second support member 210 can be loaded. In one example, the transfer unit may descend (h) or rise (not shown) in height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hird support member of the loadable recovery unit. At this time, the position adjustment of the transfer unit may be automatically performed within a range set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recovery unit when designing the empty core recovery device for the electrode assembly. The empty core recovery device for the electrode assembly includes the above-described positioning member in the transfer part, thereby automatically recovering the used empty core from the electrode assembly, thereby reducing the load on the operator and reducing the replacement time of the electrode assembly. It can be shortened.

상기 회수부는 사용이 완료된 빈 코어를 제거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상기 이송부에서 이송되는 빈 코어를 회수한다. 이때, 회수된 빈 코어는 재사용이 가능한 경우, 재활용될 수 있다.The recovery unit is a part for removing empty cores that have been used, and recovers the empty cores transferred from the transfer unit. At this time, if the recovered empty core can be reused, it can be recycled.

상기 이송부는 상기 배출부에 적재된 빈 코어를 회수하여 상기 회수부에 적재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상기 배출부에 적재된 빈 코어를 이송시킨다.The transfer unit is a part for recovering the empty cores loaded in the discharge unit and loading them on the recovery unit, and transports the empty cores loaded in the discharge unit.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회수부는 제 3 지지부재(310), 운반부(320) 및 연결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recovery unit may include a third support member 310, a transport unit 320, and a connection unit 330.

상기 제 3 지지부재는 상기 이송부로부터 회수된 빈 코어를 적재하기 위한 부재로서, 봉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제 3 지지부재의 길이는 상기 빈 코어의 두께 및 개수에 따라 조절 가능하므로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third support member is a member for loading the empty core recovered from the transfer unit, and may be in the form of a rod. The length of the third support memb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ecause it can be adjusted depending on the thickness and number of empty cores.

상기 운반부는 상기 제 3 지지부재에 적재된 빈 코어를 운반하는 부분으로서, 몸통(321) 및 상기 몸통의 하부에 구비된 바퀴(32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에에서, 상기 운반부로 봉대차를 이용할 수 있다.The transport part is a part that transports the empty core loaded on the third support member, and may include a body 321 and a wheel 322 provided on a lower part of the body. In one implementation, a cart can be used as the transport unit.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 3 지지부재를 상기 운반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부분으로서, 상기 빈 코어가 적재되는 방향을 따른 상기 제 3 지지부재의 말단과 상기 운반부의 몸통을 연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회수부에 회수된 빈 코어의 운반이 가능할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is a part for fixing the third support member to the transport unit, and can connect the end of the third support member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empty core is loaded and the body of the transport unit. Through this, it may be possible to transport the empty core recovered in the recovery unit.

구체적으로, 도 7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수부에 빈코어가 회수되는 제 1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수부에 빈코어가 회수되는 제 2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이송부(200)에 적재된 빈 코어(1)는 상기 회수부(300), 구체적으로, 제 3 지지부재(310)와 대응되도록 위치가 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지지부재(210) 및 제 2 배출부재(220)를 상기 회수부의 제 3 지지부재를 향하는 방향(i)으로 밀어 상기 제 2 지지부재(210)가 상기 제 3 지지부재(310)에 접촉되도록 한다. 이후,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 2 배출부재(220)를 회수부의 제 3 지지부재(310)를 향하는 방향(j)으로 밀어 상기 빈 코어(1)가 상기 제 3 지지부재(310)에 적재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배출부재는 상기 빈 코어가 적재되는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송부의 빈 코어 배출은 전술한 제 2 배출부재를 통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전극 조립체용 빈 코어 회수 장치는 이송부에 전술한 위치조절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전극 조립체로부터 사용이 완료된 빈 코어를 자동으로 회수할 수 있어 작업자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고, 전극 조립체의 교체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Specifically, FIG. 7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operation in which an empty core is recovered from a recover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FIG. 8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second operation in which an empty core is recovered from a recover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s shown in FIG. 7, the empty core 1 loaded on the transfer unit 200 is adjusted in position to correspond to the recovery unit 300, specifically, the third support member 310, and is moved to the second support member 310. Push the support member 210 and the second discharge member 220 in the direction (i) toward the third support member of the recovery unit so that the second support member 210 is in contact with the third support member 310. . Thereafter, as shown in FIG. 8, the second discharge member 220 is pushed in the direction j toward the third support member 310 of the recovery unit so that the empty core 1 is connected to the third support member 310. can be loaded on. That is, the second discharge member can be moved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empty core is loaded. At this time, the empty core discharge of the transfer unit can be automatically perform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second discharge member. The empty core recovery device for the electrode assembly includes the above-described positioning member in the transfer part, thereby automatically recovering the used empty core from the electrode assembly, thereby reducing the load on the operator and reducing the replacement time of the electrode assembly. It can be shortened.

본 출원은 또한, 전극 조립체용 빈 코어 회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시적인 전극 조립체용 빈 코어 회수 방법은 전술한 전극 조립체용 빈 코어 회수 장치를 이용한 회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후술하는 전극 조립체용 빈 코어 회수 방법에 관한 구체적인 사항은 상기 전극 조립체용 빈 코어 회수 장치에서 기술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를 생략하기로 한다.This application also relates to a method for recovering empty cores for electrode assemblies. An exemplary empty core recovery method for an electrode assembly relates to a recovery method using the above-described empty core recovery device for an electrode assembly. Therefor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method of recovering an empty core for an electrode assembly,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ill be omitted since the information described in the empty core recovery device for an electrode assembly can be applied in the same way.

본 출원의 전극 조립체용 빈 코어 회수 방법은 배출단계, 이송단계 및 회수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전극 조립체용 빈 코어 회수 방법에 의하면, 전극 조립체로부터 사용이 완료된 빈 코어를 자동으로 회수할 수 있어 작업자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고, 전극 조립체의 교체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The method of recovering an empty core for an electrode assembly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a discharge step, a transfer step, and a recovery step. According to the empty core recovery method for an electrode assembly of the present application, a used empty core can be automatically recovered from the electrode assembly, thereby reducing the load on the operator and shortening the replacement time of the electrode assembly.

상기 배출단계는 전극 조립체에서 전극 및 분리막이 권출되어 사용이 완료된 빈 코어를 배출하기 위한 단계로서, 상기 빈 코어가 배출부에 적재되어 배출된다. 상기 배출단계는 상기 배출부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출단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 배출부에서 기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를 생략하기로 한다.The discharge step is a step for discharging the used empty core by unwinding the electrode and separator from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empty core is loaded into the discharge unit and discharged. The discharge step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discharge unit. Therefore, since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discharge step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in the discharge section, it will be omitted.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배출단계는 제 1 지지부재에 사용이 완료된 빈 코어가 적재되고, 상기 빈 코어가 적재되는 방향을 따라 제 1 배출부재가 이동되며, 상기 제 1 배출부재를 반대 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상기 빈 코어가 배출되어 수행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사용이 완료된 빈 코어를 상기 제 1 지지부재에 적재한 후, 상기 배출부로부터 배출하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In one example, in the discharging step, a used empty core is loaded on a first support member, the first discharging member is moved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empty core is loaded, and the first discharging member is mov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his can be performed by moving the empty core to be discharged. Through this, it can be easy to load the used empty core onto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then discharge it from the discharge unit.

상기 이송단계는 상기 배출부에서 배출되는 빈 코어를 회수하여 상기 회수부에 적재하기 위한 단계로서, 상기 배출단계에서 배출되는 빈 코어를 상기 회수부를 향하여 이송시킨다. 상기 이송단계는 상기 이송부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송단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 이송부에서 기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를 생략하기로 한다.The transfer step is a step for recovering the empty core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unit and loading them on the recovery unit, and transporting the empty core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step toward the recovery unit. The transfer step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transfer unit. Therefore, since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transfer step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in the transfer section, it will be omitted.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이송단계는 제 2 지지부재를 상기 배출부에 적재된 빈 코어가 적재 가능한 위치로 배치된 후, 상기 제 2 지지부재 및 제 2 배출부재를 상기 배출부 방향으로 밀어 상기 제 2 배출부재가 상기 배출부에 적재된 빈 코어와 접촉되도록 하고, 상기 제 1 배출부재를 이송부 방향으로 밀어 상기 빈 코어가 상기 제 2 지지부재에 적재된 후, 위치조절부재에 의해 상기 이송부가 제 3 지지부재에 대응되는 위치로 회전되고, 빈 코어가 적재 가능한 제 3 지지부재의 위치로 높이가 조절되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전극 조립체용 빈 코어 회수 방법은 상기 이송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전극 조립체로부터 사용이 완료된 빈 코어를 자동으로 회수할 수 있어 작업자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고, 전극 조립체의 교체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transfer step is performed by placing the second support member in a position where the empty core loaded on the discharge unit can be loaded, and then pushing the second support member and the second discharge member in the direction of the discharge unit. 2 The discharge member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empty core loaded on the discharge unit, and the first discharge member is pushed in the direction of the transfer unit so that the empty core is loaded on the second support member, and then the transfer unit is moved by the positioning member. This can be performed by rotating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hird support member and adjusting the height to the position of the third support member where the empty core can be loaded. The method of recovering empty cores for electrode assemblies includes the transport step, thereby automatically recovering empty cores that have been used from the electrode assembly, thereby reducing the load on workers and shortening the replacement time of the electrode assembly. .

상기 회수단계는 사용이 완료된 빈 코어를 제거하기 위한 단계로서, 상기 이송부에서 이송되는 빈 코어를 회수한다. 상기 회수단계는 상기 회수부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수단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 회수부에서 기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를 생략하기로 한다. The recovery step is a step for removing empty cores that have been used, and the empty cores transferred from the transfer unit are recovered. The recovery step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recovery unit. Therefore, since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covery step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in the recovery section, it will be omitted.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회수단계는 상기 제 3 지지부재와 대응되도록 위치가 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지지부재 및 제 2 배출부재를 밀어 상기 제 2 지지부재가 상기 제 3 지지부재에 접촉되도록 하고, 상기 제 2 배출부재를 회수부 방향으로 밀어 상기 빈 코어가 상기 제 3 지지부재에 적재되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전극 조립체용 빈 코어 회수 방법은 상기 회수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전극 조립체로부터 사용이 완료된 빈 코어를 자동으로 회수할 수 있어 작업자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고, 전극 조립체의 교체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recovery step is performed by pushing the second support member and the second discharge member in a state in which the position is adjusted to correspond to the third support member so that the second support member contacts the third support member. , the empty core can be loaded onto the third support member by pushing the second discharge member toward the recovery unit. The method of recovering an empty core for an electrode assembly includes the recovery step, so that the empty core that has been used can be automatically recovered from the electrode assembly, thereby reducing the load on the operator and shortening the replacement time of the electrode assembly. .

1: 빈 코어
100: 배출부
110: 제 1 지지부재
120: 제 1 배출부재
200: 이송부
210: 제 2 지지부재
220: 제 2 배출부재
230: 위치조절부재
300: 회수부
310: 제 3 지지부재
320: 운반부
321: 몸통
322: 바퀴
330: 연결부
←: 제 1 지지부재에 빈 코어가 적재되는 방향
→: 제 1 지지부재로부터 빈 코어가 배출되는 방향
a: 제 2 배출부재가 배출부 또는 위치조절부재로 향하는 방향
b: 위치조절부재의 높이 방향
c: 위치조절부재의 회전 방향
d: 제 2 지지부재 및 제 2 배출부재가 배출구를 향하는 방향
e: 제 1 배출부재가 이송부를 향하는 방향
f: 제 2 배출부재에 빈 코어가 적재되는 방향
g: 이송부의 회전 방향
h: 이송부의 하강 방향
i: 제 2 지지부재 및 제 2 배출부재가 회수부의 제 3 지지부재를 향하는 방향
j: 제 2 배출부재가 회수부의 제 3 지지부재를 향하는 방향
1: Empty core
100: discharge part
110: first support member
120: first discharge member
200: transfer unit
210: second support member
220: Second discharge member
230: Position adjustment member
300: recovery unit
310: Third support member
320: transport unit
321: torso
322: wheel
330: connection part
←: Direction in which the empty core is loaded on the first support member
→: Direction in which the empty core is discharged from the first support member
a: Direction of the second discharge member toward the discharge unit or position control member
b: Height direction of the positioning member
c: Rotation direction of the positioning member
d: Direction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and the second discharge member toward the discharge port
e: Direction of the first discharge member toward the transfer unit
f: Direction in which the empty core is loaded on the second discharge member
g: Rotation direction of conveying part
h: downward direction of conveying part
i: Direction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and the second discharge member toward the third support member of the recovery unit
j: Direction of the second discharge member toward the third support member of the recovery unit

Claims (12)

전극 조립체에서 전극 및 분리막이 권출되어 사용이 완료된 빈 코어가 적재되어 배출되는 배출부;
상기 배출부에서 배출된 빈 코어를 이송시키는 이송부; 및
상기 이송부에서 이송되는 빈 코어가 회수되는 회수부를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용 빈 코어 회수 장치.
A discharge section where the electrodes and separators are unwound from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empty cores that have been used are loaded and discharged;
A transfer unit that transfers the empty core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unit; and
An empty core recovery device for an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a recovery unit where the empty core transferred from the transfer unit is recover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빈 코어가 적재되는 제 1 지지부재; 및
상기 제 1 지지부재의 외부의 일부 영역을 둘러싸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1 배출부재를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용 빈 코어 회수 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discharge unit comprises: a first support member on which the empty core is loaded; and
An empty core recovery device for an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a first discharge member movably disposed surrounding a portion of an external area of the first support memb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출부재는 상기 제 1 지지부재에 빈 코어 적재 시 빈 코어가 적재되는 방향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제 1 지지부재에 적재된 빈 코어를 상기 제 1 지지부재로부터 배출 시 빈 코어가 배출되는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전극 조립체용 빈 코어 회수 장치.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discharge member moves along a direction in which the empty cores are loaded when the empty cores are loaded on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discharges the empty cores loaded on the first support member from the first support member. An empty core recovery device for an electrode assembly in which the empty core is moved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it is discharged when discharg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빈 코어가 적재되는 제 2 지지부재;
상기 제 2 지지부재의 외부의 일부 영역을 둘러싸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2 배출부재; 및
빈 코어가 적재되는 방향을 따른 상기 제 2 지지부재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높이 방향을 축으로 한 회전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위치조절부재를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용 빈 코어 회수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ransfer unit includes a second support member on which the empty core is loaded;
a second discharge member surrounding a partial area outside the second support member and movably disposed; and
An empty core recovery device for an electrode assembly, wherein the second support member is movably connected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empty core is loaded, and includes a position adjustment member capable of rotation and height adjustment about the height directio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배출부재는 상기 제 2 지지부재에 빈 코어 적재 시 상기 배출부에 적재된 빈 코어와 접촉된 후 상기 빈 코어가 적재되는 방향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제 2 지지부재에 적재된 빈 코어를 상기 제 2 지지부재로부터 배출 시 상기 빈 코어가 배출되는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전극 조립체용 빈 코어 회수 장치.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econd discharge member is moved along a direction in which the empty core is loaded after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empty core loaded on the discharge portion when the empty core is loaded on the second support member,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An empty core recovery device for an electrode assembly that moves along a direction in which the empty core loaded on a member is discharged from the second support membe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부는 상기 회수된 빈 코어의 적재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회수된 빈 코어가 적재되며, 높이 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되는 제 3 지지부재;
몸통, 및 상기 몸통의 하부에 구비된 바퀴를 포함하고, 상기 적재된 빈 코어를 운반하는 운반부; 및
빈 코어가 적재되는 방향을 따른 상기 제 3 지지부재의 말단과 상기 운반부의 몸통을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용 빈 코어 회수 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4, wherein the recovery unit extends in a loading direction of the recovered empty cores, and includes a plurality of third support members arranged in a height direction on which the recovered empty cores are loaded.
a transport unit including a body and wheel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ody and transporting the loaded empty core; and
An empty core recovery device for an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a connection part that connects and secures the end of the third support member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empty core is loaded and the body of the carrying uni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부재는 상기 제 2 지지부재에 적재된 빈 코어를 상기 회수부로 이송 시, 높이 방향을 축으로 하여 적재 가능한 제 3 지지부재에 대응되는 위치로 회전되고, 적재 가능한 제 3 지지부재에 대응되는 위치로 높이가 조절되는 전극 조립체용 빈 코어 회수 장치.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when the empty core loaded on the second support member is transferred to the recovery unit, the position adjusting member is rotated around the height direction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adable third support member, and the position adjusting member is rotat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adable third support member. An empty core recovery device for an electrode assembly whose height is adjust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hird support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빈 코어는 중공의 원통형인 전극 조립체용 빈 코어 회수 장치.The empty core recovery device for an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mpty core has a hollow cylindrical shape.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극 조립체용 빈 코어 회수 장치를 이용한 전극 조립체용 빈 코어 회수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극 조립체에서 전극 및 분리막이 권출되어 사용이 완료된 빈 코어가 적재되어 배출되는 배출단계;
상기 배출단계에서 배출된 빈 코어를 이송시키는 이송단계; 및
상기 이송단계에서 이송되는 빈 코어가 회수되는 회수단계를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용 빈 코어 회수 방법.
It relates to a method of recovering an empty core for an electrode assembly using the empty core recovery device for an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A discharge step in which the electrode and separator are unwound from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empty cores that have been used are loaded and discharged;
A transfer step of transferring the empty core discharged in the discharge step; and
An empty core recovery method for an electrode assembly comprising a recovery step of recovering the empty core transferred in the transfer step.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단계는 제 1 지지부재에 사용이 완료된 빈 코어가 적재되고, 상기 빈 코어가 적재되는 방향을 따라 제 1 배출부재가 이동되며, 상기 제 1 배출부재를 반대 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상기 빈 코어가 배출되어 수행되는 전극 조립체용 빈 코어 회수 방법.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in the discharging step, the used empty core is loaded on the first support member, the first discharging member is moved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empty core is loaded, and the first discharging member is moved in the opposite direction. A method of recovering an empty core for an electrode assembly, which is performed by discharging the empty core by moving it along.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단계는 제 2 지지부재를 상기 배출부에 적재된 빈 코어가 적재 가능한 위치로 배치한 후, 상기 제 2 지지부재 및 제 2 배출부재를 상기 배출부 방향으로 밀어 상기 제 2 배출부재가 상기 배출부에 적재된 빈 코어와 접촉되도록 하고, 상기 제 1 배출부재를 이송부 방향으로 밀어 상기 빈 코어가 상기 제 2 지지부재에 적재한 후, 위치조절부재에 의해 상기 이송부가 제 3 지지부재에 대응되는 위치로 회전되고, 빈 코어가 적재 가능한 제 3 지지부재의 위치로 높이가 조절되어 수행되는 전극 조립체용 빈 코어 회수 방법.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transfer step is performed by placing the second support member in a position where the empty core loaded in the discharge unit can be loaded, and then pushing the second support member and the second discharge member in the direction of the discharge unit. The second discharge member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empty core loaded on the discharge unit, and the first discharge member is pushed in the direction of the transfer unit so that the empty core is loaded on the second support member, and then the transfer unit is moved by the positioning member. A method of recovering an empty core for an electrode assembly, which is performed by rotating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hird support member and adjusting the height to the position of the third support member where the empty core can be loaded.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단계는 상기 제 3 지지부재와 대응되도록 위치가 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지지부재 및 제 2 배출부재를 밀어 상기 제 2 지지부재가 상기 제 3 지지부재에 접촉되도록 하고, 상기 제 2 배출부재를 회수부 방향으로 밀어 상기 빈 코어가 상기 제 3 지지부재에 적재되어 수행되는 전극 조립체용 빈 코어 회수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recovery step is performed by pushing the second support member and the second discharge member in a state where the position is adjusted to correspond to the third support member so that the second support member contacts the third support member. and pushing the second discharge member toward the recovery unit to load the empty core onto the third support member.
KR1020220044392A 2022-04-11 2022-04-11 Device for recovering empty core for electrode assembly KR2023014570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4392A KR20230145702A (en) 2022-04-11 2022-04-11 Device for recovering empty core for electrode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4392A KR20230145702A (en) 2022-04-11 2022-04-11 Device for recovering empty core for electrode assemb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5702A true KR20230145702A (en) 2023-10-18

Family

ID=88508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4392A KR20230145702A (en) 2022-04-11 2022-04-11 Device for recovering empty core for electrode assemb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5702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3909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de assembly, and electrode assembly manufactured using same
KR101873197B1 (en) Apparatus For Connecting Meterial Of Rechargeable Battery
KR101410036B1 (en) Automated folding system for manufacturing electrode assembly of secondary battery
KR101604052B1 (en) Removal equipment for a electric conduction plate of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s battery for electric vehicle
KR102197531B1 (en) System for producing electrodes of battery
WO2023101254A1 (en) Automatic transfer supply equipment for roll-type material
KR20220084517A (en) Transfer system for manufacturing secondary battery
KR102336427B1 (en) electrode assembly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230145702A (en) Device for recovering empty core for electrode assembly
KR101873198B1 (en) Apparatus For Connecting Meterial Of Rechargeable Battery
KR102504610B1 (en) reel clamping module
EP4159653A1 (en) Apparatus for loading and unloading roll
US20130157142A1 (en) Battery co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800485B1 (en) Method of improving stacker crane's work efficiency in rechargeable battery activation process
US11018395B2 (en) Electrode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230120233A (en) Un-loading device for Slitters
KR102588808B1 (en) Electrode assembly producing system for secondary battery having the same
KR20230171897A (en) System for changing pouch roll
KR20220040286A (en) Transfer vehicle and transfer vehicle system having the same
JP2018137066A (en) Electrode assembly, power storage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electrode assembly
KR20230167912A (en) electric carriage for electrode
KR20230046489A (en) Tape supplying appparatus
KR20230165625A (en) electric carriage for electrode
KR20230131618A (en) Device for packaging of cell
KR20230083249A (en) Separator automatic fee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