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0124A - 대역-통과 필터 회로 및 멀티플렉서 - Google Patents

대역-통과 필터 회로 및 멀티플렉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0124A
KR20230120124A KR1020237020699A KR20237020699A KR20230120124A KR 20230120124 A KR20230120124 A KR 20230120124A KR 1020237020699 A KR1020237020699 A KR 1020237020699A KR 20237020699 A KR20237020699 A KR 20237020699A KR 20230120124 A KR20230120124 A KR 202301201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circuit
band
terminal
pass filter
acou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0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씨아오동 왕
청공 허
청지에 주오
준 허
Original Assignee
안후이 아누키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후이 아누키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안후이 아누키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120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012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46Filters
    • H03H9/64Filters using surface acoustic waves
    • H03H9/6423Means for obtaining a particular transfer characteristic
    • H03H9/6433Coupled resonator filt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46Filters
    • H03H9/54Filters comprising resonators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
    • H03H9/542Filters comprising resonators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 including pass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01Frequency selective two-port networks
    • H03H7/0115Frequency selective two-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inductors and capacito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01Frequency selective two-port networks
    • H03H7/0153Electrical filters; Controlling thereof
    • H03H7/0161Bandpass filt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02Details
    • H03H9/05Holders; Supports
    • H03H9/0538Constructional combinations of supports or holders with electromechanical or other electronic elements
    • H03H9/0542Constructional combinations of supports or holders with electromechanical or other electronic elements consisting of a lateral arrangemen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02Details
    • H03H9/05Holders; Supports
    • H03H9/0538Constructional combinations of supports or holders with electromechanical or other electronic elements
    • H03H9/0547Constructional combinations of supports or holders with electromechanical or other electronic elements consisting of a vertical arrangement
    • H03H9/0557Constructional combinations of supports or holders with electromechanical or other electronic elements consisting of a vertical arrangement the other elements being buried in the substrat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46Filters
    • H03H9/54Filters comprising resonators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46Filters
    • H03H9/54Filters comprising resonators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
    • H03H9/58Multiple crystal filters
    • H03H9/581Multiple crystal filters comprising ceramic piezoelectric lay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46Filters
    • H03H9/54Filters comprising resonators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
    • H03H9/58Multiple crystal filters
    • H03H9/60Electric coupling means therefor
    • H03H9/605Electric coupling means therefor consisting of a ladder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46Filters
    • H03H9/64Filters using surface acoustic waves
    • H03H9/6423Means for obtaining a particular transfer characteristic
    • H03H9/6433Coupled resonator filters
    • H03H9/6483Ladder SAW filt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70Multiple-port networks for connecting several sources or loads, working on different frequencies or frequency bands, to a common load or source
    • H03H9/703Networks using bulk acoustic wave devic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70Multiple-port networks for connecting several sources or loads, working on different frequencies or frequency bands, to a common load or source
    • H03H9/72Networks using surface acoustic wav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ilters And Equalizers (AREA)
  • Surface Acoustic Wave Elements And Circuit Networks Thereof (AREA)
  • Piezo-Electric Or Mechanical Vibrators, Or Delay Or Filter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역-통과 필터 회로 및 멀티플렉서에 관한 것이다.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는 전자기 LC 필터 회로 및 적어도 두 개의 음향 공진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음향 공진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음향 공진 유닛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제1 음향 공진기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음향 공진기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음향 공진기는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제1 단자와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의 제1 단자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음향 공진기는 각각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음향 공진기의 단자에 연결된다.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음향 공진 유닛들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의 입력 측면 상에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음향 공진 유닛들 중 나머지 하나 이상은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의 출력 측면 상에 연결된다.

Description

대역-통과 필터 회로 및 멀티플렉서
본 출원은 중국 국가 지적 재산권 관리청에 의해 2022년 2월 7일자로 출원된 "대역-통과 필터 회로 및 멀티플렉서(BAND-PASS FILTER CIRCUIT AND MULTIPLEXER)"라는 명칭의 중국 특허 출원 번호 202210115860.4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는 그 전체가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본 발명은 필터링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역-통과 필터 회로 및 멀티플렉서에 관한 것이다.
필터 회로는 집적 회로에 널리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필터 회로의 일 예는 집적 회로에 사용되는 멀티플렉서다. 근래의 통신에서 넓은 통과 대역 및 높은 억제 기능을 가지는 필터 회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전자기 LC 필터, 듀플렉서 및 멀티플렉서는 넓은 통과 대역 안에서 낮은 삽입 손실을 달성할 수 있지만, 가파른 롤-오프(steep roll-off) 와 넓은 인접 대역의 강력한 억제(strong suppression)를 실현하기 어렵다. 상기 인접 대역의 상기 억제 특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은 상기 필터 회로의 스테이지들의 수량을 증가시키는 것인데, 이는 상기 장치의 크기 증가 및 삽입 손실의 증가를 초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역-통과 필터 회로 및 멀티플렉서는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롤-오프 기울기를 개선하고, 인접 대역의 억제 특성을 향상시키며, 간섭 신호를 필터링하기 위해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는 대역-통과 필터 회로를 제공한다.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는 전자기 LC 필터 회로 및 음향 공진 유닛들을 포함한다. 상기 음향 공진 유닛들 중 적어도 하나의 음향 공진 유닛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제1 음향 공진기와 적어도 하나의 제2 음향 공진기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음향 공진기는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제1 단자와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의 제1 단자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음향 공진기 각각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음향 공진기의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입력 단자 또는 출력 단자로서 기능하고; 상기 음향 공진 유닛들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의 입력 측면 상에 연결되고; 그리고 상기 음향 공진 유닛들 중 나머지 하나 이상은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의 출력 측면 상에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 공진 유닛 이외의 음향 공진 유닛 각각은 하나의 음향 공진기만을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 공진 유닛 이외의 음향 공진 유닛 내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음향 공진기들은 모두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제2 단자와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의 제2 단자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고,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 공진 유닛 이외의 음향 공진 유닛 내에 포함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음향 공진기들은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제2 단자와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의 상기 제2 단자 사이에 병렬로 연결된다.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입력 단자로서 기능하고,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의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의 입력 단자로서 기능하거나;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출력 단자로서 기능하고,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의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의 출력 단자로서 기능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 공진 유닛은 각각 제1 포트, 제2 포트, 및 3개의 음향 공진기들을 포함한다. 상기 3개의 음향 공진기들은 2개의 제1 음향 공진기들 및 하나의 제2 음향 공진기를 포함한다. 상기 2개의 제1 음향 공진기들은 상기 제1 포트와 상기 제2 포트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음향 공진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음향 공진기의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 공진 유닛은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의 상기 제1 단자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다.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입력 단자로서 기능하고,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의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의 입력 단자로서 기능하거나;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출력 단자로서 기능하고,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의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의 출력 단자로서 기능한다.
일 실시예에서, 대역-통과 필터 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회로 소자 - 상기 제1 회로 소자 각각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 공진 유닛 중 하나의 음향 공진 유닛의 상기 제1 포트에 연결되는 제1 단자 및 상기 음향 공진 유닛의 상기 제2 포트에 연결되는 제2 단자를 포함함 -; 및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의 상기 제1 단자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회로 소자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를 추가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 공진 유닛 이외의 적어도 하나의 음향 공진 유닛 각각은 하나의 제1 포트, 하나의 제2 포트, 및 적어도 3개의 음향 공진기들을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3개의 음향 공진기들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음향 공진기 및 적어도 2개의 제2 음향 공진기들을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음향 공진기는 상기 제1 포트와 상기 제2 포트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제2 음향 공진기들 각각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음향 공진기의 단자에 연결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 공진 유닛은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제2 단자와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의 상기 제2 단자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다.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출력 단자로서 기능하고,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의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의 출력 단자로서 기능하고,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입력 단자로서 기능하고,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의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의 입력 단자로서 기능하거나;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입력 단자로서 기능하고,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의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의 입력 단자로서 기능하고,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출력 단자로서 기능하고,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의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의 출력 단자로서 기능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 공진 유닛 이외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 공진 유닛은 각각 제2 회로 소자를 추가 포함한다. 상기 제2 회로 소자는 상기 제1 포트와 상기 제2 포트 사이에 병렬로 연결된다. 상기 제2 회로 소자는 인덕터 또는 커패시터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제2 단자와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의 상기 제2 단자 사이에 연결되는 음향 공진 유닛들의 개수는 2개 이상이고, 그리고 상기 음향 공진 유닛들 중 인접한 음향 공진 유닛들은 상기 적어도 2개의 제2 음향 공진기들 중 하나를 공유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는 기판 및 하나의 칩을 추가 포함한다.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인덕터 및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를 포함한다. 상기 칩은 상기 기판의 측면 상에 배치된다. 상기 음향 공진 유닛들 내의 모든 음향 공진기들은 상기 칩 상에 배치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는 상기 칩 상에 배치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덕터는 상기 기판 내에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는 기판 및 적어도 2개의 칩들을 추가 포함한다.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인덕터 또는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2개의 칩들은 상기 기판의 측면 상에 배치된다. 상기 음향 공진 유닛들 내의 모든 음향 공진기들은 상기 적어도 2개의 칩들 중 하나의 칩 상에 배치되고,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덕터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칩들 중 다른 하나의 칩 상에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는 기판 및 적어도 하나의 칩을 추가 포함한다.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인덕터 또는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칩은 상기 기판의 측면 상에 배치된다. 상기 음향 공진 유닛들 내의 모든 음향 공진기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칩 상에 배치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덕터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는 상기 기판 내에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는 캡슐화 층, 도전 층 및 적어도 두 개의 칩들을 추가 포함한다.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인덕터 및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를 포함한다. 상기 도전 층은 적어도 하나의 인덕터 및 커넥터로 형성된다. 상기 음향 공진 유닛들 내의 모든 음향 공진기들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칩들 중 하나의 칩 상에 배치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칩들 중 다른 하나의 칩 상에 배치된다. 상기 캡슐화 층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칩들 및 상기 도전 층을 커버하고, 상기 커넥터를 노출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플렉서가 추가 제공된다. 상기 멀티플렉서는 상기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대역-통과 필터 회로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개략적인 구조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개략적인 구조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개략적인 구조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개략적인 구조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개략적인 구조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개략적인 구조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개략적인 구조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개략적인 구조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개략적인 구조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성능을 도시하는 개략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개략적인 구조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개략적인 구조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개략적인 구조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개략적인 구조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개략적인 구조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플렉서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 및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특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은 도면에 도시된 구성 이외에도 다른 구성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역-통과 필터 회로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을 참조한다.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는 전자기 LC 필터 회로(00) 및 적어도 2개의 음향 공진 유닛들(10)을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2개의 음향 공진 유닛들(10)의 적어도 하나의 음향 공진 유닛(10)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제1 음향 공진기(111)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음향 공진기(11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음향 공진기(111)는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제1 단자와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00)의 제1 단자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다. 상기 제2 음향 공진기(112)는 제1 음향 공진기(111)의 단자에 연결된다.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제1 단자는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입력 단자 또는 출력 단자로서 기능한다. 상기 음향 공진 유닛들(10)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00)의 입력 측면 상에 연결되고, 상기 음향 공진 유닛(10)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00)의 출력 측면 상에 연결된다.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00)는 인덕터 및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00)는 인덕터 및 커패시터의 특정 구성 하에서 통과 대역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00)는 넓은 통과 대역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00)를 통과할 때 입력 신호는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00)에 의해 필터링될 수 있다.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00)의 상기 입력 측면 상에 적어도 하나의 음향 공진 유닛(10)이 연결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음향 공진 유닛(10)은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입력 단자와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00)의 입력 단자 사이에 직렬로 연결될 수 있고,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 공진 유닛(10)은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입력 단자와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00)의 상기 입력 단자 사이에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00)의 상기 출력 측면 상에 적어도 하나의 음향 공진 유닛(10)이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 공진 유닛(10)은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출력 단자와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00)의 출력 단자 사이에 직렬로 연결될 수 있고,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 공진 유닛(10)은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출력 단자와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00)의 상기 출력 단자 사이에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음향 공진 유닛(10)의 상기 음향 공진기는 고품질 계수를 가지므로 상기 음향 공진 유닛(10)의 주파수 선택도(frequency selectivity)가 좋다. 즉, 상기 음향 공진 유닛(10)은 통과 대역과 정지 대역 사이의 주파수 천이 영역 내의 큰 롤-오프 기울기를 가진다. 즉,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 내의 통과 대역과 저지 대역 사이의 천이는 고속 및 고효율을 가진다.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00)의 입력 측면 상에 연결되는 상기 음향 공진 유닛(10) 및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00)의 출력 측면 상에 연결되는 상기 음향 공진 유닛(10)이 있으므로, 상기 음향 공진 유닛들은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00)의 상기 통과 대역의 양쪽 측면들 상에 상기 롤-오프 기울기를 증가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는 넓은 통과-대역 및 가파른 롤-오프 기울기를 모두 가지므로,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필터링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통과 대역의 양쪽 측면들 상의 상기 롤-오프 기울기는 상기 통과 대역 안의 최소 주파수와 상기 통과 대역의 왼쪽 인접 대역(상기 왼쪽 인접 대역의 주파수는 상기 통과 대역 내의 주파수보다 작음) 사이의 롤-오프 기울기, 및 상기 통과 대역 안의 최대 주파수와 상기 통과 대역의 오른쪽 인접 대역(오른쪽 인접 대역 내의 주파수는 상기 통과 대역 내의 주파수보다 큼) 사이의 롤-오프 기울기를 포함한다. 인접 대역은 상기 통과 대역의 위 또는 아래의 주파수 대역을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인접 대역과 상기 통과 대역 사이의 천이 대역은 0 MHz 내지 수십 MHz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인접 대역의 대역폭은 상기 통과 대역의 중심 주파수의 10% 이상의 주파수 대역 범위를 나타낸다.
적어도 하나의 음향 공진 유닛(10)은 각각 제1 음향 공진기(111) 및 제2 음향 공진기(112)를 포함한다.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제1 단자가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입력 단자로 기능하는 경우, 상기 제1 공진기(111)는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입력 단자와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의 상기 입력 단자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다.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제1 단자가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출력 단자로 기능하는 경우, 상기 제1 음향 공진기(111)는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출력 단자와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의 상기 출력 단자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다. 도 1을 참조한다. 일 예로, 음향 공진 유닛(10)은 제1 음향 공진기(111) 및 제2 음향 공진기(112)를 포함한다. 제1 공진기(111)는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출력 단자와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의 상기 출력 단자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다. 제2 음향 공진기(112)는 상기 제1 공진기(111)의 단자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음향 공진기(112)는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입력 단자와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출력 단자 사이의 브랜치(branch)로 기능한다. 따라서, 상기 제1 음향 공진기(111)와 상기 제2 음향 공진기(112)는 상기 통과 내역의 상기 인접 대역 안에서 전송 제로(transmission zero)를 형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인접 대역 억제 효과가 향상된다. 상기 제2 음향 공진기(112)의 다른 단자는 상기 제1 공진기(111)에 연결되지 않고, 접지 또는 다른 회로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음향 공진기(112)의 직렬 공진 주파수는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통과 대역 밖으로 설정될 수도 있고, 상기 제2 음향 공진기(112)의 병렬 공진 주파수는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통과 대역 안에 설정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통과 대역 안의 신호가 상기 제2 음향 공진기(112)에서 다른 회로 또는 접지로 출력되는 것을 방지하여,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신호 손실을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음향 공진기(112)의 상기 직렬 공진 주파수가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통과대역 밖에 있는 경우, 상기 제2 음향 공진기(112)의 상기 직렬 공진 주파수는 상기 인접 대역 안에 있을 수 있으므로, 상기 인접 주파수 대역 안의 잡음 신호가 상기 제2 음향 공진기(112)에서 다른 회로 또는 접지로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에서 상기 인접 주파수 대역 안의 상기 잡음 신호가 효과적으로 억제되어,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필터링 효과가 향상된다. 상기 제1 음향 공진기(111)의 병렬 공진 주파수는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정지 대역 안에 있고, 제2 음향 공진기(112)의 상기 병렬 공진 주파수는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통과 대역 안에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통과대역의 양쪽 측면 상의 상기 롤-오프 기울기가 증가하고, 상기 대역-통과 필터의 상기 필터링 효율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수단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의 상기 입력 측면과 상기 출력 측면 모두에 상기 음향 공진 유닛이 구비된다. 상기 음향 공진 유닛들 내의 상기 음향 공진기는 고품질 계수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음향 공진 유닛들은 상기 주파수 천이 영역 내의 큰 롤-오프 기울기를 가지므로,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통과 대역의 양쪽 측면들 상에 대한 상기 롤-오프 기울기가 증가한다. 따라서,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는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의 광대역 통과 대역을 유지하면서 가파른 롤-오프 특성을 구현한다. 또한, 상기 음향 공진기는 상기 인접 대역 내의 전송 제로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상기 인접 대역의 상기 억제 효과가 향상되고,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필터링 효과가 향상된다.
또한, 도 1은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가 2개의 음향 공진 유닛들(10)을 포함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음향 공진 유닛(10) 중 하나는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00)의 상기 입력 측면에 직렬로 연결된다. 상기 음향 공진 유닛(10)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00)의 상기 출력 단말의 상기 출력 측면에 직렬로 연결된다.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는 복수의 음향 공진 유닛들(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음향 공진 유닛들(10)이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00)의 입력 측면 상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음향 공진 유닛들(10)은 서로 직렬로 연결되고, 이후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00)의 상기 입력 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복수의 음향 공진 유닛들(10)은 서로 병렬로 연결되고, 이후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00)의 상기 입력 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음향 공진 유닛들(10)이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00)의 출력 측면 상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음향 공진 유닛들(10)은 서로 직렬로 연결되고, 이후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00)의 상기 출력 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복수의 음향 공진 유닛들(10)은 서로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00)의 상기 출력 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2를 참조한다. 적어도 하나의 음향 공진 유닛(10)은 각각 하나의 음향 공진기(11)를 포함한다. 상기 음향 공진기(11)는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제2 단자와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00)의 제2 단자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다. 또는, 상기 음향 공진기(11)는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제2 단자와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00)의 상기 제2 단자 사이에 병렬로 연결된다.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제1 단자는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입력 단자로 기능하고,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00)의 제1 단자는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00)의 입력 단자로 기능하고;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출력 단자로 기능하고,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00)의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00)의 출력 단자로 기능한다. 또는,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제1 단자는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출력 단자로 기능하고, 전자기 LC 필터 회로(00)의 제1 단자는 전자기 LC 필터 회로(00)의 출력 단자로 기능하고;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제2 단자는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입력 단자로 기능하고, 전자기 LC 필터 회로(00)의 제2 단자는 전자기 LC 필터 회로(00)의 입력 단자로 기능한다.
도 2는 하나의 음향 공진 유닛(10)이 하나의 음향 공진기(11)를 포함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상기 음향 공진기(11)는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제2 단자와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00)의 상기 제2 단자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입력 단자로 기능하고,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00)의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00)의 상기 입력 단자로 기능한다. 상기 음향 공진기(11)는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00)의 상기 입력 측면 상에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 통과 대역의 오른쪽 인접 대역에 전송 제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00)의 상기 통과 대역에서의 최대 주파수와 상기 오른쪽 인접 대역(상기 오른쪽 인접 대역 내의 주파수가 상기 통과 대역 내의 주파수보다 크다) 사이의 롤-오프 기울기가 증가하고, 상기 오른쪽 인접 대역 안의 잡음 신호의 출력 진폭이 감소하며,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인접 대역의 억제 효과가 향상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음향 공진기(11)는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제2 단자와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00)의 상기 제2 단자 사이에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출력 단자로 기능하고,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00)의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00)의 상기 출력 단자로 기능한다. 이때,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00)의 상기 통과 대역의 상기 롤-오프 기울기가 증가하고,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인접 대역의 상기 억제 효과가 향상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하나의 음향 공진기(11)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음향 공진 유닛들(10)이 존재한다. 상기 복수의 음향 공진 유닛들(10) 중 일부는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00)의 상기 입력 측면 상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음향 공진 유닛들(10) 중 다른 일부는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00)의 상기 출력 측면 상에 연결된다. 상술한 효과는 본 실시예에서도 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반복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3을 참조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음향 공진기(11)는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제2 단자와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00)의 제2 단자 사이에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입력 단자로 기능하고,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00)의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00)의 입력 단자로 기능한다. 상기 음향 공진기(11)는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00)의 상기 입력 측면 상에 병렬로 연결되어, 왼쪽 인접 대역 안에 전송 제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00)의 상기 통과 대역 안의 최소 주파수와 상기 왼쪽 인접 대역(상기 왼쪽 인접 대역 내의 주파수가 상기 통과 대역의 주파수보다 작다) 사이의 롤-오프 기울기가 증가하고, 상기 왼쪽 인접 대역 안의 잡음 신호의 출력 진폭이 감소하며,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인접 대역의 억제 효과가 향상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음향 공진기(11)는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제2 단자와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00)의 상기 제2 단자 사이에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출력 단자로 기능하고,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00)의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00)의 상기 출력 단자로 기능한다. 이때,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00)의 상기 통과 대역의 상기 롤-오프 기울기가 증가하고,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인접 대역의 상기 억제 효과가 향상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하나의 음향 공진기(11)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음향 공진 유닛들(10)이 존재한다. 상기 복수의 음향 공진 유닛들(10) 중 일부는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00)의 상기 입력 측면 상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음향 공진 유닛들(10) 중 다른 일부는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00)의 상기 출력 측면 상에 연결된다. 상술한 효과는 본 실시예에서도 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반복하지 않는다.
상기 음향 공진기(11)가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제2 단자와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00)의 상기 제2 단자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는 경우, 상기 음향 공진기(11)의 단자는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에 연결되지 않고, 다른 회로 또는 접지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에 연결되지 않은 상기 음향 공진기(11)의 상기 단자는 커패시터, 인덕터 등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4를 참조한다. 적어도 하나의 음향 공진 유닛(10)은 각각 하나의 제1 포트(C1), 하나의 제2 포트(C2) 및 3개의 음향 공진기들(11)을 포함한다. 상기 3개의 음향 공진기들(11)은 2개의 제1 음향 공진기들(111)과 하나의 제2 음향 공진기(112)로 구성된다. 상기 2개의 제1 음향 공진기들(111)은 상기 제1 포트(C1)와 상기 제2 포트(C2)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다. 상기 제2 음향 공진기(112)는 상기 2개의 제1 음향 공진기(111)의 각각의 단자에 연결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 공진 유닛(10)은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제1 단자와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의 제1 단자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다.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입력 단자로 기능하고,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의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의 입력 단자로 기능한다. 또는,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출력 단자로 기능하고,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의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의 출력 단자로 기능한다.
도 4는 상기 음향 공진 유닛(10)이 상기 제1 포트(C1), 상기 제2 포트(C2) 및 상기 3개의 음향 공진기들(11)을 포함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상기 3개의 음향 공진기들(11)은 T자 형상의 패턴으로 연결된다. 상기 2개의 제1 음향 공진기들(111)은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의 상기 제1 단자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다. 상기 제1 음향 공진기(111)의 각각의 직렬 공진 주파수는 상기 통과 대역 내에 있고, 상기 통과 대역의 오른쪽 인접 대역 내의 전송 제로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통과 대역 상기 오른쪽 측면 상의 롤-오프 기울기가 증가하고,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인접 대역의 억제 효과가 향상된다. 또한, 상기 제2 음향 공진기(112)는 상기 제1 음향 공진기(111)의 각각의 단자에 연결된다. 상기 제2 음향 공진기(112)의 직렬 공진 주파수는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통과 대역 밖에 설정되거나, 상기 제2 음향 공진기(112)의 병렬 공진 주파수는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통과 상기 대역 안에 설정된다. 따라서, 상기 제2 음향 공진기(112)로부터 다른 회로 또는 접지로 상기 통과 대역 안의 신호가 출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신호 손실이 감소되고, 상기 통과 대역의 왼쪽 인접 대역 안에 전송 제로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인접 대역의 상기 억제 효과가 향상된다. 상기 제2 음향 공진기(112)의 단자는 상기 제1 음향 공진기(111)에 연결되지 않고, 상기 접지 또는 다른 회로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음향 공진기(112)로부터 다른 회로 또는 접지로 상기 인접 대역 안의 잡음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인접 대역 안의 상기 잡음 신호가 효과적으로 억제되고,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필터링 효과가 향상된다.
도 4는 상기 음향 공진 유닛(10)이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의 상기 제1 단자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출력 단자로 기능하고,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의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00)의 출력 단자로 기능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음향 공진 유닛(10)은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의 상기 제1 단자 사이에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입력 단자로서 기능하고,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의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00)의 입력 단자로서 기능한다.
또한, 상기 제1 음향 공진기(111)에 연결되지 않은 상기 제2 음향 공진기(112)의 상기 단자는 접지 또는 다른 회로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음향 공진기(111)에 연결되지 않은 상기 음향 공진기(11)의 상기 단자는 커패시터 또는 인덕터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음향 공진기(112)와 다른 회로들의 전체 공진 주파수는 상기 제2 음향 공진기(112)가 위치하는 브랜치의 상기 직렬 공진 주파수가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통과 대역 밖에 있도록 조정될 수 있고, 또는 상기 제2 음향 공진기(112)가 위치하는 상기 브랜치의 상기 병렬 공진 주파수가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통과 대역 안에 있도록 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주파수가 상기 통과 대역 안에 있는 신호가 제2 음향 공진기(112)에서 다른 회로로 출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00)의 일 측면에 복수의 음향 공진 유닛(10)이 연결된다. 각각의 음향 공진 유닛들(10)은 3개의 음향 공진기들(11)을 포함한다. 상기 음향 공진 유닛(10)은 서로 직렬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음향 공진 유닛들(10)의 인접한 음향 공진 유닛들은 하나의 제1 음향 공진기(111)를 공유하여 복수의 T-형상의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음향 공진 유닛들(10)을 통해, 상기 음향 공진 유닛들(10)의 필터링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음향 공진 유닛(10)은 인접한 주파수 대역 안에 복수의 전송 제로들을 포함한다.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가 복수의 음향 공진 유닛들(10)을 가지는 경우,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는 상기 인접한 주파수 대역 안에 더 많은 전송 제로들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인접한 주파수 대역 안의 잡음 신호의 상기 출력 진폭을 더욱 줄일 수 있고,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인접한 대역의 상기 억제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음향 공진 유닛(10)이 각각 음향 공진기(11)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 공진 유닛(10)은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의 입력 측면 및 출력 측면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고, 3개의 음향 공진기들(11)을 포함하는 상기 음향 공진 유닛(10)은 각각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00)의 상기 입력 측면 및 상기 출력 측면 중 다른 하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는 여기서 반복되지 않는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회로 소자(20)를 추가 포함한다. 각각의 제1 회로 소자에 대해, 상기 제1 회로 소자(20)의 제1 단자는 음향 공진 유닛의 제1 포트(C1)에 연결되고, 상기 제1 회로 소자(20)의 제2 단자는 상기 음향 공진 유닛의 제2 포트(C2)에 연결된다. 이와 달리 또는 추가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회로 소자(20)는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00)의 상기 제1 단자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다.
상기 제1 회로 소자(20)는 인덕터 또는 커패시터를 포함한다. 도 6은 상기 제1 회로 소자(20)가 커패시터인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제1 회로 소자(20)는 상기 제1 포트(C1)와 상기 제2 포트(C2) 사이에 연결되고, 즉 상기 커패시터는 2개의 제1 음향 공진기들(111)에 병렬로 연결된다. 상기 제1 음향 공진기들(111)의 공진 주파수는 상기 커패시터를 통해 제어될 수 있어, 상기 커패시터와 상기 제1 음향 공진기(111)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병렬 구조의 공진 주파수가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통과 대역 밖에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통과 대역 밖의 잡음 신호가 억제되고,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필터링 효과가 향상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회로 소자(20)는 인덕터이다. 상기 제1 회로 소자(20)는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의 상기 제1 단자 사이에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필터링 기능이 구현된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제1 회로 소자들(20)이 포함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7은 2개의 제1 회로 소자들(20)이 포함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제1 회로 소자들(20) 중 하나는 커패시터이다. 상기 커패시터는 제1 포트(C1)와 제2 포트(C2) 사이에 병렬로 연결된다. 상기 제1 회로 소자(20) 중 다른 하나는 인덕터이다. 상기 인덕터는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00)의 상기 제1 단자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다. 상기 복수의 제1 회로 소자들(20)이 배치되어, 상기 대역-통과 필터의 상기 필터링 기능이 더 향상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8을 참조한다. 적어도 하나의 음향 공진 유닛(10)은 각각 하나의 제1 포트(C1), 하나의 제2 포트(C2) 및 적어도 3개의 음향 공진기들(11)을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3개의 음향 공진기들(11)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음향 공진기(111) 및 적어도 2개의 제2 음향 공진기들(112)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음향 공진기(111)는 상기 제1 포트(C1)와 상기 제2 포트(C2)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다. 상기 제2 음향 공진기들(112)은 상기 제1 음향 공진기(111)의 단자에 연결된다. 상기 음향 공진 유닛(10)은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제2 단자와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00)의 상기 제2 단자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다.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출력 단자로서 기능하고,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의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00)의 출력 단자로서 기능하고,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입력 단자로서 기능하고,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의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00)의 입력 단자로서 기능한다. 또는,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입력 단자로 기능하고,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00)의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의 입력 단자로 기능하고,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00)의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출력 단자로 기능하고,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00)의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의 출력 단자로 기능한다.
도 8은 상기 음향 공진기 유닛(10)이 3개의 음향 공진기들(11)을 포함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3개의 음향 공진기들(11)은
Figure pct00001
-형 패턴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 음향 공진기(111)는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제2 단자와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00)의 상기 제2 단자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다. 상기 제1 음향 공진기(111)의 직렬 공진 주파수는 상기 통과 대역 안에 있고, 투과 제로는 상기 통과 대역의 인접 대역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통과 대역의 양쪽 측면들 상의 롤-오프 기울기가 증가하고,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인접 대역의 상기 억제 효과가 향상된다. 또한, 상기 제2 음향 공진기들(112) 중 하나는 상기 제1 음향 공진기(111)의 단자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제1 음향 공진기(111)의 다른 단자에 연결된다. 따라서, 투과 제로는 상기 통과 대역의 상기 왼쪽 인접 대역에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인접 대역의 상기 억제 효과가 추가 향상된다. 각각의 상기 제2 음향 공진기(112)에 대해, 상기 제2 음향 공진기(112)의 단자는 상기 제1 음향 공진기(111)에 연결되지 않고, 상기 접지 또는 다른 회로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음향 공진기(112)의 직렬 공진 주파수는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통과 대역 밖에 설정될 수도 있고, 상기 제2 음향 공진기(112)의 병렬 공진 주파수는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통과 대역 안에 설정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통과 대역 내의 신호가 상기 제2 음향 공진기(112)로부터 다른 회로 또는 상기 접지로 출력되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신호 손실이 감소된다. 상기 제2 음향 공진기(112)의 상기 직렬 공진 주파수가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통과 대역 밖에 있는 경우, 예를 들어, 상기 제2 음향 공진기(112)의 상기 직렬 공진 주파수는 상기 인접 대역 안에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인접 대역 안의 잡음 신호가 상기 제2 음향 공진기(112)로부터 다른 회로 또는 상기 접지로 출력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인접 대역 안의 상기 잡음 신호가 효과적으로 억제되고,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필터링 효과가 향상된다.
도 8은 상기 음향 공진 유닛(10)이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제2 단자와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00)의 상기 제2 단자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여기서,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출력 단자로 기능하고,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00)의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00)의 출력 단자로 기능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음향 공진 유닛(10)은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제2 단자와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00)의 상기 제2 단자 사이에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입력 단자로 기능하고,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00)의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00)의 입력 단자로 기능한다.
또한, 상기 제1 음향 공진기(11)에 연결되지 않은 상기 제2 음향 공진기(112)의 상기 단자는 접지 단자 또는 다른 회로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음향 공진기(111)에 연결되지 않은 상기 음향 공진기(11)의 상기 단자는 커패시터 또는 인덕터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음향 공진기(112)와 다른 회로들의 전체 공진 주파수는 상기 제2 음향 공진기(112)가 위치하는 브랜치의 상기 직렬 공진 주파수가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통과 대역 밖에 있도록 조정되거나, 상기 제2 음향 공진기(112)가 위치하는 상기 브랜치의 상기 병렬 공진 주파수가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통과 대역 안에 있도록 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주파수가 상기 통과 대역 안에 있는 상기 신호가 상기 제2 음향 공진기(112)에서 다른 회로로 출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음향 공진 유닛(10)은 각각 제2 회로 소자(30)를 추가 포함한다. 상기 제2 회로 소자(30)는 제1 포트(C1)와 제2 포트(C2)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다. 상기 제2 회로 소자(30)는 인덕터 또는 커패시터를 포함한다.
상기 제2 회로 소자(30)는 음향 공진기 유닛(10)의 상기 제1 포트(C1)와 상기 제2 포트(C2)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2 회로 소자(30)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음향 공진기(111)와 병렬로 연결된다. 상기 제2 회로 소자(30)는 인덕터 또는 커패시터를 포함한다. 상기 제2 회로 소자(30)와 상기 제1 음향 공진기(111)의 병렬 구조의 전기적 파라미터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통과 대역을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음향 공진기(111)와 상기 제2 회로 소자(30)의 일체형 구조의 상기 전기적 파라미터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음향 공진 유닛의 전송 제로의 위치를 최적화할 수 있고, 인접한 주파수 대역 안의 잡음 신호의 출력 진폭을 줄일 수 있으며,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인접한 주파수 대역의 억제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성능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0에서 가로축은 주파수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삽입 손실이다. 곡선 1은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의 주파수 대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의 삽입 손실을 나타낸다. 곡선 2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주파수 대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삽입 손실을 나타낸다. 도 10을 참조한다. 상기 곡선 2는 200MHz보다 훨씬 큰 통과 대역을 나타낸다. 곡선 2의 주파수 감쇠 영역의 롤-오프 기울기는 곡선 1의 주파수 감쇠 영역의 롤-오프 기울기보다 크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는 넓은 통과 대역과 가파른 롤-오프 기울기를 모두 가지므로,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필터링 효과가 향상된다. 또한, 제1 음향 공진기(111)는 인덕터와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음향 공진기(111)와 상기 인덕터는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00)의 상기 입력 측면에 직렬로 연결된다. 제1 음향 공진기(111)는 커패시터와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음향 공진기(111)와 상기 커패시터는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00)의 출력 측면에 직렬로 연결된다. 복수의 제2 음향 공진기들(112)은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00)의 상기 입력 측면과 상기 출력 측면에 병렬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통과 대역의 양족 측면 상에 인접 대역 안에 전송 제로들(101)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인접 대역 안의 잡음 신호의 상기 출력 진폭이 감소되고,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인접 대역의 상기 억제 효과가 향상되며,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필터링 효과가 효과적으로 향상된다. 상기 제2 음향 공진기(112)의 병렬 공진기 주파수가 상기 통과 대역 안에 있는 경우, 상기 제2 음향 공진기(112)는 주파수가 상기 통과 대역 안에 있는 신호를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주파수가 상기 통과 대역 안에 있는 상기 신호의 감쇠가 감소되고,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필터링 효과가 향상된다. 도 10을 더 참조한다. 곡선 1과 비교하여, 곡선 2로 표시된 상기 인접 대역은 광대역이며, 즉, 상기 인접 대역의 주파수 억제를 위한 곡선 2의 대역폭은 200MHz보다 크다. 따라서, 상기 인접 대역의 광대역 억제가 실현되고,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필터링 효과가 향상된다.
상기 기술적 해결 수단에 기초하여, 적어도 2개의 음향 공진 유닛들(10)이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제2 단자와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00)의 상기 제2 단자 사이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음향 공진 유닛(10) 중 인접한 음향 공진 유닛들은 하나의 제2 음향 공진기(11)를 공유한다.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00)의 일 측면 상에 복수의 음향 공진 유닛들(10)이 배치되고, 각각의 상기 음향 공진 유닛들(10)이 3개의 음향 공진기들(11)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음향 공진 유닛들(10)은 직렬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음향 공진 유닛들(10) 중 인접한 음향 공진 유닛들은 하나의 제2 음향 공진기(11)를 공유하여 복수의
Figure pct00002
-형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음향 공진 유닛들(10)이 배치되어, 상기 음향 공진 유닛(10)의 상기 필터링 효과가 추가 향상된다. 또한, 각각의 상기 음향 공진 유닛(10)은 복수의 인접 대역들에 전송 제로들을 포함한다. 복수의 음향 공진 유닛들(10)을 이용하면,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는 인접 대역들에 더 많은 전송 제로들을 가진다. 따라서, 인접 대역 안의 잡음 신호의 출력 진폭이 추가 감소되고,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인접 대역의 상기 억제 효과가 향상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는 기판(40) 및 적어도 하나의 칩(60)을 추가 포함한다.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00)는 적어도 하나의 인덕터(L1) 및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Cs1)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칩(60)은 상기 기판(40)의 일 측면 상에 배치된다. 상기 칩(60) 상에 적어도 하나의 음향 공진기(11)와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Cs1) 모두가 배치된다. 상기 기판(40) 내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덕터(L1)가 배치된다.
상기 기판(40) 안에 상기 인덕터(L1)를 형성하기 위한 도전 층(50)이 배치된다. 상기 도전 층(50)이 복수의 층들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인덕터(L1)는 3차원 인덕터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덕터(L1)의 인덕턴스 및 상기 인덕터의 품질 계수를 확보하면서 상기 인덕터(L1)의 면적을 줄일 수 있으며, 이는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에 의해 점유되는 면적을 줄이는 데 유리하다. 상기 음향 공진기(11)는 상기 제1 음향 공진기(111) 또는 상기 제2 음향 공진기(112)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음향 공진기(11)는 칩 집적 공정을 통해 상기 칩(60) 상에 집적되어, 상기 음향 공진기(11)의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칩(60) 상의 상기 음향 공진기(11)와 상기 기판(40) 내의 상기 인덕터(L1) 사이의 전기적 연결은 솔더 볼, 구리 필러, 금속 본딩 및 다른 방법들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칩(60) 상에 상기 커패시터(Cs1)가 배치되어, 상기 커패시터(Cs1)가 높은 품질 계수 및 일관성을 가지게 되며, 이는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필터링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유리하다. 상기 일관성은 서로 다른 배치들(batches)로부터의 커패시터들(Cs1)이 전기적 성능 측면에서 동일하거나 약간 다르거나, 동일한 웨이퍼 상의 서로 다른 위치들의 커패시터들(Cs1)이 상기 전기적 성능 측면에서 동일하거나 약간 다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대적으로 작은 점유 공간으로 상대적으로 큰 커패시턴스가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커패시터(Cs1)의 점유 공간을 줄이면서 상기 커패시터(Cs1)의 상기 품질 계수를 확보하며, 이는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점유 공간을 줄이는 데 유리하다. 도 11은 상기 커패시터(Cs1)와 상기 음향 공진기(11)가 동일한 칩(60) 상에 배치된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는 기판(40) 및 적어도 2개의 칩들(60)을 추가 포함한다.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00)는 인덕터(L1) 또는 커패시터(Cs1)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2개의 칩들(60)은 상기 기판(40)의 일 측면 상에 배치된다. 상기 칩들(60) 중 하나의 칩 상에 적어도 하나의 음향 공진기(11)가 배치된다. 상기 음향 공진기(11)가 배치되는 상기 칩 이외의 상기 칩들(60) 중 하나 칩 상에 상기 커패시터(Cs1) 또는 인덕터(L1) 중 적어도 하나가 배치된다.
도 12는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00)가 2개의 칩들(60)과 하나의 커패시터(Cs1)를 포함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상기 칩들(60) 중 하나의 칩 상에 상기 음향 공진기(11)가 배치된다. 상기 칩들(60) 중 다른 하나 칩 상에 상기 커패시터(Cs1)가 배치된다. 서로 다른 칩들(60) 상에 서로 다른 소자들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소자의 수율을 더 잘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음향 공진기(11)와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00)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수율이 향상되며, 이는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비용을 줄이는 데 유리하다.
도 12는 상기 칩(60) 상에 상기 커패시터(Cs1)만 배치된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 내의 인덕터는 상기 기판(40) 내의 상기 인덕터의 제공을 줄이기 위해 상기 칩(6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는 기판(40) 및 적어도 하나의 칩(60)을 추가 포함하고,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00)는 인덕터(L1) 또는 커패시터(Cs1)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칩(60)은 상기 기판(40)의 일 측면 상에 배치된다. 적어도 하나의 음향 공진기(11)는 상기 칩(60) 상에 배치되고, 상기 커패시터(Cs1) 또는 인덕터(L1)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기판(40) 내에 배치된다.
도 13은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가 하나의 칩(60)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00)가 하나의 인덕터(L1) 및 하나의 커패시터(Cs1)를 포함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상기 음향 공진기(11)는 제1 음향 공진기(111) 또는 제2 음향 공진기(112)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음향 공진기(11)는 상기 칩(60) 상에 배치되어 상기 음향 공진기(11)의 성능을 보장한다. 상기 기판(40)에는 다층 도전 층(50)이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도전 층(50)의 층들 사이에는 유전체 층이 채워진다. 상기 인덕터(L1) 및 상기 커패시터(Cs1)가 상기 기판(40) 내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인덕터(L1)는 상기 다층 도전 층(50)을 통해 3차원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덕터(L1)의 인덕턴스 및 상기 인덕터의 품질 계수를 보장하면서 상기 인덕터(L1)에 대한 면적을 줄일 수 있으며, 이는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점유 면적을 줄이는 데 유익하다. 또한, 복수의 커패시터들(Cs1)은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는 캡슐화 층(70), 도전 층(80) 및 적어도 2개의 칩들(90)을 추가 포함한다.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00)는 적어도 하나의 인덕터(L1) 및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Cs1)를 포함한다. 상기 도전 층(80)은 적어도 하나의 인덕터(L1) 및 커넥터(T1)로서 형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음향 공진기(11)는 상기 칩(90) 상에 배치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Cs1)는 다른 칩(90) 상에 배치된다. 상기 캡슐화 층(70)은 상기 칩들(90) 및 상기 도전 층(80)을 커버하고, 커넥터(T1)를 노출시킨다.
상기 도전 층(80)은 인덕터(L1)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도전 층(80)이 복수의 층들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인덕터(L1)는 3차원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덕터(L1)의 인덕턴스 및 상기 인덕터의 품질 계수를 보장하면서 상기 인덕터(L1)에 대한 면적을 줄일 수 있으며, 이는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점유 면적을 줄이는 데 유익하다. 상기 캡슐화 층(70)은 상기 도전 층(80)을 커버하여, 상기 인덕터(L1)가 상기 캡슐화 층(70) 안에 매립된다. 따라서, 상기 인덕터(L1)의 고품질 계수가 보장된다. 도 14는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가 2개의 칩들(90)을 포함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칩들(90) 중 하나는 상기 음향 공진기(11)와 함께 배치되어, 상기 음향 공진기(11)의 성능을 보장한다. 상기 칩들(90) 중 다른 하나의 칩은 상기 커패시터(Cs1)와 함께 배치되어, 상기 커패시터(Cs1)는 높은 품질 계수 및 더 나은 일관성을 가지고, 이는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필터링 성능을 개선하는 데 유익하다. 상대적으로 작은 점유 공간을 가지고 상대적으로 큰 커패시턴스가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커패시터(Cs1)의 점유 공간은 감소되는 한편, 커패시터(Cs1)의 품질 인자를 보장하고, 이는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점유 공간을 감소시키는 데 유익하다. 상기 캡슐화 층(70)은 상기 칩들(90) 및 상기 도전 층(80)을 커버하여,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는 통합 캡슐화 층(70)을 가진다. 상기 커넥터(T1)가 노출되어, 팬-아웃 패키징을 형성한다. 이에 의해,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모듈들의 집적 및 신뢰성이 향상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커패시터(Cs1) 및 상기 음향 공진기(11)는 동일한 칩(9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00)는 2개의 커패시터들(Cs1)을 포함한다. 하나의 커패시터(Cs1)는 칩(90) 상에 독립적으로 배치된다. 다른 커패시터(Cs1) 및 상기 음향 공진기(11)는 둘 다 다른 칩(90) 상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00)가 복수의 커패시터들(Cs1)을 포함하고,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가 다수의 음향 공진기들(11)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는 복수의 칩들(90)을 포함할 수 있다. 칩들(90) 각각에 대해, 상기 칩은 커패시터 칩을 형성하는 커패시터(Cs1)만으로 배치될 수 있고; 또는 상기 칩은 음향 공진기 칩을 형성하는 음향 공진기(11)만으로 배치될 수 있고; 또는 상기 칩은 요건에 의존하고 여기에 제한되지 않는 하이브리드 칩을 형성하는 상기 커패시터(Cs1) 및 상기 음향 공진기(11) 모두와 함께 배치되어 하이브리드 칩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는 요구 사항에 따라 다르며 여기서 제한되지 않습니다.
멀티플렉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추가로 제공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플렉서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멀티플렉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에 따른 대역-통과 필터 회로(210)를 포함한다.
도 16을 추가로 참조한다. 상기 멀티플렉서는 제1 단자(IN) 및 적어도 2개의 제2 단자들을 포함한다. 각각의 대역-통과 필터 회로(210)는 상기 멀티플렉서의 상기 제1 단자(IN)와 상기 제2 단자들 중 하나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다.
도 16은 상기 멀티플렉서가 하나의 제1 단자(IN) 및 n개의 제2 단자들을 포함한다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제2 단자들은 각각 OUT1, OUT2, ... OUTn으로 표시된다. 각각의 대역-통과 필터 회로(210)는 상기 제1 단자(IN)와 상기 제2 단자들 중 하나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제1 대역-통과 필터 회로(210)는 상기 제1 단자(IN)와 상기 제2 단자들 중 제1 단자(OUT1)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고; 제2 대역-통과 필터 회로(210)는 상기 제1 단자(IN)와 상기 제2 단자들 중 제2 단자(OUT2)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고, 기타 단자도 마찬가지이다. 상기 멀티플렉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210)를 포함하고, 따라서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효과를 가진다. 상기 멀티플렉서는 높은 롤-오프 기울기를 가지므로, 가파른 천이 대역의 억제가 실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인접 대역의 상기 억제 효과가 개선될 수 있으므로, 상기 인접 대역의 광대역 억제가 실현된다. 따라서,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필터링 효과가 개선된다.
상기 멀티플렉서는 상술한 대역-통과 필터 회로 이외의 필터 회로를 추가 포함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상기 필터 회로는 상기 제1 단자(IN)와 상기 제2 단자 중 어느 하나의 단자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다. 상기 필터 회로는 저역 통과 필터 회로, 고역 통과 필터 회로, 또는 대역-통과 필터 회로일 수 있으며, 이는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Claims (12)

  1. 대역-통과 필터 회로(band-pass filter circuit)로서,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는 전자기 LC 필터 회로(electromagnetic LC filter circuit) 및 음향 공진 유닛들(acoustic resonance units)을 포함하고,
    상기 음향 공진 유닛들 중 적어도 하나의 음향 공진 유닛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제1 음향 공진기와 적어도 하나의 제2 음향 공진기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음향 공진기는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제1 단자와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의 제1 단자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음향 공진기 각각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음향 공진기의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입력 단자 또는 출력 단자로서 기능하고;
    상기 음향 공진 유닛들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의 입력 측면 상에 연결되고; 그리고
    상기 음향 공진 유닛들 중 나머지 하나 이상은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의 출력 측면 상에 연결되는, 대역-통과 필터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 공진 유닛 이외의 음향 공진 유닛 각각은 하나의 음향 공진기만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 공진 유닛 이외의 음향 공진 유닛 내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음향 공진기들은 모두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제2 단자와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의 제2 단자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고,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 공진 유닛 이외의 음향 공진 유닛 내에 포함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음향 공진기들은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제2 단자와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의 상기 제2 단자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며,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입력 단자로서 기능하고,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의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의 입력 단자로서 기능하고, 또는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출력 단자로서 기능하고,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의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의 출력 단자로서 기능하는, 대역-통과 필터 회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 공진 유닛은 각각 제1 포트, 제2 포트, 및 3개의 음향 공진기들을 포함하고;
    상기 3개의 음향 공진기들은 2개의 제1 음향 공진기들 및 하나의 제2 음향 공진기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제1 음향 공진기들은 상기 제1 포트와 상기 제2 포트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음향 공진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음향 공진기의 단자에 연결되고;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 공진 유닛은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의 상기 제1 단자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입력 단자로서 기능하고,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의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의 입력 단자로서 기능하고; 또는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출력 단자로서 기능하고,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의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의 출력 단자로서 기능하는, 대역-통과 필터 회로.
  4. 제3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제1 회로 소자 - 상기 제1 회로 소자 각각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 공진 유닛 중 하나의 음향 공진 유닛의 상기 제1 포트에 연결되는 제1 단자 및 상기 음향 공진 유닛의 상기 제2 포트에 연결되는 제2 단자를 포함함 -; 및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의 상기 제1 단자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회로 소자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를 추가 포함하는, 대역-통과 필터 회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 공진 유닛 이외의 적어도 하나의 음향 공진 유닛 각각은 하나의 제1 포트, 하나의 제2 포트, 및 적어도 3개의 음향 공진기들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3개의 음향 공진기들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음향 공진기 및 적어도 2개의 제2 음향 공진기들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음향 공진기는 상기 제1 포트와 상기 제2 포트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제2 음향 공진기들 각각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음향 공진기의 단자에 연결되고;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 공진 유닛은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제2 단자와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의 상기 제2 단자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출력 단자로서 기능하고,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의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의 출력 단자로서 기능하고,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입력 단자로서 기능하고,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의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의 입력 단자로서 기능하고; 또는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입력 단자로서 기능하고,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의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의 입력 단자로서 기능하고,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출력 단자로서 기능하고,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의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의 출력 단자로서 기능하는, 대역-통과 필터 회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 공진 유닛 이외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 공진 유닛은 각각 제2 회로 소자를 추가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2 회로 소자는 상기 제1 포트와 상기 제2 포트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2 회로 소자는 인덕터 또는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대역-통과 필터 회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의 상기 제2 단자와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의 상기 제2 단자 사이에 연결되는 음향 공진 유닛들의 개수는 2개 이상이고, 그리고
    상기 음향 공진 유닛들 중 인접한 음향 공진 유닛들은 상기 적어도 2개의 제2 음향 공진기들 중 하나를 공유하는, 대역-통과 필터 회로.
  8. 제1항에 있어서,
    기판 및 하나의 칩을 추가 포함하고,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인덕터 및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를 포함하고;
    상기 칩은 상기 기판의 측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음향 공진 유닛들 내의 모든 음향 공진기들은 상기 칩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는 상기 칩 상에 배치되고,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덕터는 상기 기판 내에 배치되는, 대역-통과 필터 회로.
  9. 제1항에 있어서,
    기판 및 적어도 2개의 칩들을 추가 포함하고,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인덕터 또는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칩들은 상기 기판의 측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음향 공진 유닛들 내의 모든 음향 공진기들은 상기 적어도 2개의 칩들 중 하나의 칩 상에 배치되고,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덕터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칩들 중 다른 하나의 칩 상에 배치되는, 대역-통과 필터 회로.
  10. 제1항에 있어서,
    기판 및 적어도 하나의 칩을 추가 포함하고,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인덕터 또는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칩은 상기 기판의 측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음향 공진 유닛들 내의 모든 음향 공진기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칩 상에 배치되고,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덕터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는 상기 기판 내에 배치되는, 대역-통과 필터 회로.
  11. 제1항에 있어서,
    캡슐화 층, 도전 층 및 적어도 두 개의 칩들을 추가 포함하고,
    상기 전자기 LC 필터 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인덕터 및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를 포함하고,
    상기 도전 층은 적어도 하나의 인덕터 및 커넥터로 형성되고,
    상기 음향 공진 유닛들 내의 모든 음향 공진기들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칩들 중 하나의 칩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칩들 중 다른 하나의 칩 상에 배치되고, 그리고
    상기 캡슐화 층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칩들 및 상기 도전 층을 커버하고, 상기 커넥터를 노출시키는, 대역-통과 필터 회로.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대역-통과 필터 회로를 포함하는 멀티플렉서.
KR1020237020699A 2022-02-07 2022-09-07 대역-통과 필터 회로 및 멀티플렉서 KR2023012012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210115860.4 2022-02-07
CN202210115860.4A CN114448382A (zh) 2022-02-07 2022-02-07 带通滤波电路和多工器
PCT/CN2022/117518 WO2023147724A1 (zh) 2022-02-07 2022-09-07 带通滤波电路和多工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0124A true KR20230120124A (ko) 2023-08-16

Family

ID=81370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0699A KR20230120124A (ko) 2022-02-07 2022-09-07 대역-통과 필터 회로 및 멀티플렉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039501A1 (ko)
EP (1) EP4246807A1 (ko)
JP (1) JP2024508075A (ko)
KR (1) KR20230120124A (ko)
CN (1) CN114448382A (ko)
WO (1) WO20231477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48382A (zh) * 2022-02-07 2022-05-06 安徽安努奇科技有限公司 带通滤波电路和多工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87692B2 (ja) * 1995-10-02 2004-01-19 富士通株式会社 分波器
JP2003243966A (ja) * 2001-12-14 2003-08-29 Mitsubishi Electric Corp フィルタ回路
EP1944867B1 (en) * 2005-11-01 2011-08-24 Murata Manufacturing Co., Ltd. Elastic wave filter apparatus
US9762208B2 (en) * 2015-09-30 2017-09-12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Very wide bandwidth composite bandpass filter with steep roll-off
DE102018207825B3 (de) * 2018-05-18 2019-10-24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Acoustic-Wave-Resonator und elektronische Filterschaltung
CN109672421A (zh) * 2019-02-22 2019-04-23 安徽安努奇科技有限公司 滤波电路和多工器
CN109672422B (zh) * 2019-02-22 2023-08-25 安徽安努奇科技有限公司 滤波电路和多工器
CN211830724U (zh) * 2020-05-12 2020-10-30 安徽安努奇科技有限公司 带通滤波电路和多工器
CN111490749A (zh) * 2020-05-12 2020-08-04 安徽安努奇科技有限公司 带通滤波电路和多工器
CN114448382A (zh) * 2022-02-07 2022-05-06 安徽安努奇科技有限公司 带通滤波电路和多工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4508075A (ja) 2024-02-22
EP4246807A1 (en) 2023-09-20
US20240039501A1 (en) 2024-02-01
CN114448382A (zh) 2022-05-06
WO2023147724A1 (zh) 2023-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348442B (zh) 高频模块
CN105453427B (zh) 高频模块
US9461619B2 (en) High-frequency module
WO2020125208A1 (zh) 带通滤波器及提高其抑制水平的方法、双工器和电子设备
CN112350684A (zh) 一种声波滤波器、多工器、通信设备
KR20230120124A (ko) 대역-통과 필터 회로 및 멀티플렉서
CN114785317A (zh) 一种体声波双工器
EP4325722A2 (en) Semiconductor devic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producing method thereof
US7532092B2 (en) Grounding strategy for filter on planar substrate
CN111342789B (zh) 带耦合电感的滤波器单元、滤波器及电子设备
US20230029621A1 (en) Lc filter, and diplexer and multiplexer using same
CN217522815U (zh) 声波芯片装置及射频前端模组
CN111244594B (zh) 一种基于ltcc技术的宽带谐波抑制低通微型滤波器的设计方法
CN114094292A (zh) 高抑制lc带通滤波器
US20210044279A1 (en) Saw filter and duplexer
CN114465601A (zh) 一种滤波器、双工器以及多工器
CN218570206U (zh) 一种交叉耦合滤波器
US11139793B2 (en) Diplexer
CN220652310U (zh) 一种滤波器和电子装置
CN111342788A (zh) 提高电子器件在高频频段内的抑制度或隔离度的结构和方法
US20230208377A1 (en) Filter, multiplexer, and communication module
WO2023145495A1 (ja) Lcフィルタ、マルチプレクサ、高周波モジュール及び通信装置
US20230115011A1 (en) Electronic component
CN216531259U (zh) 一种端口匹配的ltcc带通滤波器
US20240128944A1 (en) Multilayer electronic compon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