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9853A - 전류센서 진단 방법, 그 방법을 제공하는 전류센서 진단 시스템 및 배터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류센서 진단 방법, 그 방법을 제공하는 전류센서 진단 시스템 및 배터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9853A
KR20230119853A KR1020220016120A KR20220016120A KR20230119853A KR 20230119853 A KR20230119853 A KR 20230119853A KR 1020220016120 A KR1020220016120 A KR 1020220016120A KR 20220016120 A KR20220016120 A KR 20220016120A KR 20230119853 A KR20230119853 A KR 202301198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value
current sensor
section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6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220016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9853A/ko
Priority to PCT/KR2022/019973 priority patent/WO2023153608A1/ko
Publication of KR20230119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985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5/00Testing or calibrating of apparatus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 G01R15/20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galvano-magnetic devices, e.g. Hall-effect devices, i.e. measuring a magnetic field via the interaction between a current and a magnetic field, e.g. magneto resistive or Hall effect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 G01R15/20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galvano-magnetic devices, e.g. Hall-effect devices, i.e. measuring a magnetic field via the interaction between a current and a magnetic field, e.g. magneto resistive or Hall effect devices
    • G01R15/202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galvano-magnetic devices, e.g. Hall-effect devices, i.e. measuring a magnetic field via the interaction between a current and a magnetic field, e.g. magneto resistive or Hall effect devices using Hall-effect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0038Circuits for comparing several input signal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of this comparison, e.g. equal, different, greater, smaller (comparing pulses or pulse trains according to amplitud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0Measuring sum, difference or ratio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30Measuring the maximum or the minimum value of current or voltage reached in a time interv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71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with remote indication, e.g. on external charg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6Acquisition or processing of data for testing or for monitoring individual cells or groups of cells within a batte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08C19/02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he signal transmitted is magnitude of current or volt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Measurement Of Current Or Volt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류센서 진단 방법, 그 방법을 제공하는 전류센서 진단 시스템 및 배터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전류센서 진단 시스템은, 제1 전류센서, 상기 제1 전류센서와 직렬 연결되어 있는 제2 전류센서, 상기 제1 전류센서에서 측정된 제1 전류 값 및 상기 제2 전류센서에서 측정된 제2 전류 값을 수신하는 통신부, 그리고 전류의 크기로 구별되는 복수의 전류구간 중 상기 제1 전류값 및 상기 제2 전류값이 속하는 전류구간을 선택하고, 상기 제1 전류 값과 상기 제2 전류 값의 차이값을 산출하며, 상기 선택한 전류구간에 대응하는 구간 기준값과 상기 차이값을 비교하여 상기 제1 전류센서 및 상기 제2 전류센서의 상태를 진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류센서 진단 방법, 그 방법을 제공하는 전류센서 진단 시스템 및 배터리 시스템{CURRENT SENSOR DIAGNOSIS METHOD AND SYSTEM PROVID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류센서 진단 방법, 그 방법을 제공하는 전류센서 진단 시스템 및 배터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류센서(current sensor)는, 홀 센서나 센스 저항 등을 이용하여 직류 전류나 교류 전류를 감지하는 센서이다. 최근, 휴대폰이나 태블릿 PC 등의 모바일 기기는 물론, 전기로 구동되는 차량(EV, HEV, PHEV)이나 대용량 전력 저장 장치(ESS) 등의 분야까지 이차 전지 셀의 용도가 확장되면서, 이차 전지 셀의 충/방전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 센서의 에러 발생 여부를 정확하게 진단하는 기술에 대한 관심과 요청이 급증하고 있다.
한편, 전류센서가 고장 상태이거나 정밀하지 못한 경우, 측정된 전류값을 신뢰할 수 없고, 전류값에 기반하여 산출되는 데이터(예를 들어, 전압값 등) 또한 신뢰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종래에는 시스템 내에 같은 전류 라인에 전류센서가 두 개 이상 사용될 때, 측정된 두 전류값의 차이값을 기준값과 비교하여 전류 센서의 하자(error)를 진단하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측정되는 전류의 크기와 상관없이 기 설정된(고정된) 기준값을 사용하는 경우, 전류센서의 하자(error) 진단이 정밀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큰 전류량에 기초하여 기준값이 산출된 경우, 측정되는 전류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실제 기준범위를 벗어난 전류센서의 상태를 정상 상태로 오진단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반대로, 작은 전류량에 기초하여 기준값이 산출된 경우, 측정되는 전류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실제 기준범위 내에 있는 전류센서의 상태를 결함 상태로 오진단 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고정된 기준값이 아닌 전류센서가 측정한 전류의 크기에 대응하는 기준값을 사용하여, 전류센서의 고장을 정밀하게 진단하는 전류센서 진단 방법, 그 방법을 제공하는 전류센서 진단 시스템 및 배터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전류센서 진단 시스템은, 제1 전류센서, 상기 제1 전류센서와 직렬 연결되어 있는 제2 전류센서, 상기 제1 전류센서에서 측정된 제1 전류 값 및 상기 제2 전류센서에서 측정된 제2 전류 값을 수신하는 통신부, 그리고
전류의 크기로 구별되는 복수의 전류구간 중 상기 제1 전류값 및 상기 제2 전류값이 속하는 전류구간을 선택하고, 상기 제1 전류 값과 상기 제2 전류 값의 차이값을 산출하며, 상기 선택한 전류구간에 대응하는 구간 기준값과 상기 차이값을 비교하여 상기 제1 전류센서 및 상기 제2 전류센서의 상태를 진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구간 기준값은, 상기 전류구간에 속하는 복수의 전류값 중 소정의 전류값에 기 설정된 오차 비율을 곱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구간 기준값은, 상기 전류구간의 최대 전류값에 기 설정된 오차 비율을 곱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전류센서 진단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전류구간 각각의 최소 전류값, 최대 전류값, 및 구간 기준값이 저장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이값이 상기 구간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제1 전류센서 및 상기 제2 전류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고장 상태로 진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시스템은, 복수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와 외부장치 간의 전류 경로에 직렬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의 충전전류 또는 방전전류를 측정하는 제1 전류센서, 상기 제1 전류센서와 직렬 연결되어, 상기 충전전류 또는 상기 방전전류를 측정하는 제2 전류센서, 그리고 상기 제1 전류센서에서 측정된 제1 전류 값 및 상기 제2 전류센서에서 측정된 제2 전류 값을 수신하고, 전류의 크기로 구별되는 복수의 전류구간 중 상기 제1 전류값 및 상기 제2 전류값이 속하는 전류구간을 선택하며, 상기 제1 전류 값과 상기 제2 전류 값의 차이값을 산출하고, 상기 선택한 전류구간에 대응하는 구간 기준값과 상기 차이값을 비교하여 상기 제1 전류센서 및 상기 제2 전류센서의 상태를 진단하는 BMS(Battery Management System)를 포함한다.
상기 구간 기준값은, 상기 전류구간에 속하는 복수의 전류값 중 소정의 전류값에 기 설정된 오차 비율을 곱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구간 기준값은, 상기 전류구간의 최대 전류값에 기 설정된 오차 비율을 곱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BMS는, 상기 차이값이 상기 구간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제1 전류센서 및 상기 제2 전류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고장 상태로 진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류센서 진단 방법은, 제1 전류센서가 측정한 제1 전류값 및 상기 제1 전류센서와 직렬 연결되어 있는 제2 전류센서가 측정한 제2 전류값을 수신하는 단계, 전류의 크기로 구별되는 복수의 전류구간 중 상기 제1 전류값 및 상기 제2 전류값이 속하는 전류구간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전류구간에 대응하는 구간 기준값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전류 값과 상기 제2 전류 값의 차이값과 상기 구간 기준값을 비교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전류센서 및 상기 제2 전류센서의 상태를 진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구간 기준값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전류구간에 속하는 복수의 전류값 중 소정의 전류값에 기 설정된 오차 비율을 곱하여 상기 구간 기준값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구간 기준값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전류구간의 최대 전류값에 기 설정된 오차 비율을 곱하여 상기 구간 기준값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상태를 진단하는 단계는, 상기 차이값이 상기 구간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제1 전류센서 및 상기 제2 전류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고장 상태로 진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고정된 기준값이 아니라 전류센서가 측정한 전류의 크기에 대응하는 기준값을 사용함으로써, 전류센서의 오진단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은, 두 전류 센서의 전류값 만을 이용하여 전류 센서의 고장(error)를 진단함으로써, 전류 센서를 사용하는 시스템의 종류, 전류원의 타입이나 전압 특성 등과 무관하게 동일한 방식으로 전류 센서의 에러를 진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전류 센서를 포함하는 다양한 시스템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동시에 두 전류 센서가 측정한 전류값들을 상호 비교하여 전류 센서의 고장(error) 발생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전류 센서가 전혀 작동하지 않는 경우의 고장 상태는 물론, 전류 센서의 응답 속도 저하나 위상 지연 등에 따라 전류값에 측정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의 고장 케이스도 정확히 진단해낼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전류센서 진단 방법을 제공하는 전류센서 진단 시스템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라 기준값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은 고정 기준값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고정 기준값을 적용한 경우 고장 진단의 정확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간 기준값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구간 기준값을 적용한 경우 고장 진단의 정확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전류센서 진단 방법을 제공하는 배터리 시스템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전류센서 진단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 유사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또는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전류센서 진단 방법을 제공하는 전류센서 진단 시스템을 설명하는 블록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라 기준값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며, 전류센서 진단 시스템은, 제1 전류센서(1), 제2 전류센서(3), 그리고 진단장치(5)를 포함한다.
전류센서 진단 시스템은, 동일 전류를 측정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전류 센서(1, 3) 중 적어도 어느 한 전류 센서에 발생한 에러를 진단할 수 있다. 도 1 및 이하 도 7에는, 두 개의 전류센서(1, 3)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전류센서 진단 시스템은, 동일한 전류를 센싱하는 두 개 이상의 복수의 전류센서를 포함하고, 이 중 특정 두 개의 전류센서가 센싱한 제1 전류값 및 제2 전류값에 기초하여 전류센서의 고장을 진단할 수 있다.
제1 전류센서(1) 및 제2 전류센서(3)는, 동일 전류를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1 전류센서(1) 및 제2 전류센서(3)를 직렬로 연결한 직렬회로가 전류가 흐르는 전류 경로 상에 직렬로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전류센서(1) 및 제2 전류센서(3)가 동일한 등가 저항을 가지도록 설계된다면, 제1 전류센서(1) 및 제2 전류센서(3)를 상호 병렬로 연결한 병렬 회로가 전류가 흐르는 선로 상에 직렬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이하 도 7과 같은 배터리 시스템에서, 제1 전류센서(1) 및 제2 전류센서(3)가 배터리(10)의 충전 전류 또는 방전 전류가 흐르는 전류 라인에 직렬 연결될 수 있다.
제1 전류센서(1) 및 제2 전류센서(3)는, 동일 전류를 동일한 타이밍에 측정하고, 측정된 전류값을 진단장치(5)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류센서(1) 및 제2 전류센서(3)는, 실시간으로 또는 소정의 주기마다 동일 전류를 동일한 타이밍에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진단장치(3)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전류센서(1) 및 제2 전류센서(3)는, 홀 센서 또는 센스 저항으로 구성될 수 있다. 진단장치(5)는 홀 센서에서 출력되는 전압 신호 또는 센스 저항의 양쪽 단자 사이에 인가되는 전압을 수신하고, 전압 신호 또는 측정된 전압을 이용하여 전류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진단장치(5)는 홀 센서에서 출력되는 전압 신호 또는 센스 저항의 양쪽 단자에 인가되는 전압을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기 위해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AD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류센서(1) 및 제2 전류센서(3)가 동일한 종류의 센서로 구성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류센서(1)는 홀 센서로 구성되고, 제2 전류센서(3)는 센스 저항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전류센서(1)는 센스 저항으로 구성되고, 전류센서(3)는 홀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전류센서(1) 및 제2 전류센서(3) 각각은 상기 예시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전류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진단장치(5)는, 통신부(51), 제어부(53), 그리고 저장부(55)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51), 제1 전류센서(1) 및 제2 전류센서(3)가 전달하는 전류 측정 결과를 수신하고, 수신한 전류 측정 결과를 제어부(53)에 전달한다.
제어부(53), 제1 전류값 및 제2 전류값의 차이값을 결정하고, 차이값과 구간 기준값을 비교하여 제1 전류센서(1) 및 제2 전류센서(3) 중 적어도 하나의 고장을 진단할 수 있다.
우선, 제어부(53)는, 제1 전류센서(1)가 측정한 제1 전류값 및 제2 전류센서(3)가 측정한 제2 전류값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3)는, 제1 전류센서(1) 및 제2 전류센서(3) 중 적어도 하나가 홀 센서로 구성되는 경우, 홀 센서가 전달하는 전압 신호에 기초하여 전류값을 추정한다.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53)는, 제1 전류센서(1) 및 제2 전류센서(3) 중 적어도 하나가 센스 저항으로 구성되는 경우, 센스 저항의 양쪽 단자 사이에 인가되는 전압값에 기초하여 전류값을 추정한다. 종래 알려진 방법으로, 제어부(53)는, 제1 전류센서(1)의 제1 전류값 및 제2 전류센서(3)의 제2 전류값을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53)는, 전류의 크기로 구별되는 복수의 전류구간 중 제1 전류값 및 제2 전류값이 속하는 전류구간을 선택한다.
복수의 전류구간은, 소정의 전류의 크기로 구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전류구간은, 50A 크기마다 구별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제1 전류구간(A)은 0A초과 50A 이하, 제2 전류구간(B)은 50A초과 100A 이하, 그리고, 제3 전류구간(C)은 100A초과 150A 이하의 전류 크기의 간격에 대응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제1 전류구간(A)에서 제3 전류구간(C)까지만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에 도시된 구간에 더하여, 제4 구간(D: 150A초과 200A 이하), 제5 구간(D: 200A초과 250A 이하)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53)는, 선택한 전류구간에 대응하는 구간 기준값을 결정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전류센서(1) 및 제2 전류센서(3)의 고장 유무를 진단하기 위한 구간 기준값은 고정된 값이 아니며, 선택한 전류구간의 전류 크기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구간 기준값은, 각 전류구간의 최대 전류값에 기 설정된 오차 비율을 곱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오차 비율은 10%로 가정한다. 제1 전류구간(A)에서 최소 전류값은 0A이고, 최대 전류값은 50A이므로, 제어부(53)는, 제1 전류구간(A)에 대응하는 구간 기준값(TH_A)은 5A(50A×0.1=5A)로 결정할 수 있다. 동일한 방법으로, 제2 전류구간(B)의 구간 기준값(TH_B)은 10A(100A×0.1=10A), 제3 전류구간(C)의 구간 기준값(TH_C은 1A(150A×0.1=15A)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구간 기준값은, 각 전류구간의 최소 전류값에 기 설정된 오차 비율을 곱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구간 기준값은, 각 전류구간의 중앙 전류값에 기 설정된 오차 비율을 곱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정리하면, 구간 기준값은, 복수의 전류구간 각각에 있어서, 소정의 전류구간에 포함되는 소정의 전류값에 기 설정된 오차 비율을 곱하여 결정될 수 있다. 기 설정된 오차 비율은, 전류센서 자체, 또는 회로상 구조적 문제 등 측정 오차를 반영한 것이며, 실험 등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오차 비율은, 10% 이상 15%이하에 속하는 비율로 결정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53)는, 전류 센서의 고장을 진단할 때마다 구간 기준값을 계산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전류구간에 대응하는 복수의 구간 기준값이 기 계산되어 저장부(55)에 저장되고, 제어부(53)는, 전류 센서의 고장을 진달할 때마다 구간 기준값을 저장부(55)에서 추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53)는, 제1 전류값 및 제2 전류값의 차이값을 구간 기준값을 비교하여, 제1 전류센서(1) 및 제2 전류센서(3) 중 적어도 하나의 고장 상태를 진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3)는, 차이값이 기준값 이상이면, 제1 전류센서(1) 및 제2 전류센서(3) 중 적어도 하나를 고장 상태로 진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3)는, 차이값이 기준값 미만이면, 제1 전류센서(1) 및 제2 전류센서(3) 모두를 정상 상태로 진단할 수 있다.
저장부(55)는, 복수의 전류구간 각각에 대한 최소 전류값, 최대 전류값, 대응하는 구간 기준값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55)는, 통신부(51)를 통해 수신한 제1 전류센서(1) 및 제2 전류센서(3)의 전류 측정 결과값이 저장될 수 있다.
도 3은 고정 기준값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고정 기준값을 적용한 경우 고장 진단의 정확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X축은 제1 전류센서(1)가 측정하는 제1 전류값이고, Y축은 제2 전류센서(3)가 측정하는 제2 전류값일 수 있다. 도 3 및 도 7을 참고하면, 배터리 시스템에서, 충전전류는 플러스(+)값, 방전전류는 마이너스(-)값으로 측정될 수 있다.
도 3에서, 제1 전류센서(1) 및 제2 전류센서(3)가 측정 가능한 최대 전류값(Max Current)은 200A, 최소 전류값(Min Current)은 -200A, 이고, 기 설정된 오차 비율이 15%이라고 가정하자. 예를 들어, 고정 기준값은 최대 전류값(Max Current, 200A)에 오차 비율(15%)을 곱하여 결정할 수 있다. 즉, 고정 기준값은 30A(200A×0.15=30A)이다. 이 경우, 이하 설명하는 방법에 따라, 고정 기준값은 제1 전류센서(1) 및 제2 전류센서(3)가 측정하는 전류의 크기와 무관하게 일정하다.
소정의 전류값에서, 정상범위는, 고정 기준값을 마이너스하여 계산되는 하한값과 소정의 전류값에서 고정 기준값을 플러스하여 계산되는 상한값 사이의 전류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전체 전류구간에서, 복수의 전류값에 대응하는 복수의 상한값을 계산하고, 계산한 복수의 상한값을 연결하면, 도 3의 상한선(C_max)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전류값에 대응하는 복수의 하한값을 계산하고, 계산한 복수의 하한값을 연결하면, 도 3의 하한선(C_min)이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3을 참고하면, 복수의 상한값은 각 전류값(예를 들어, -200A, -150A, -100A, -50A, 0A, 50A, 100A, 150A, 200A)에 고정 기준값(30A)을 동일하게 더하는 계산으로 결정될 수 있다(-170A, -120A, -70A, -20A, 30A, 80A, 130A, 180A, 230A). 이때, 상한선(C_max)은 복수의 상한값(I_max: (-170A, -120A, -70A, -20A, 30A, 80A, 130A, 180A, 230A)을 연결하여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고하면, 복수의 하한값은, 각 전류값(예를 들어, -200A, -150A, -100A, -50A, 0A, 50A, 100A, 150A, 200A 등)에 고정 기준값(30A)을 동일하게 빼는 계산으로 결정될 수 있다(-230A, -180A, -130A, -80A, -30A, 20A, 70A, 120A, 170A). 이때, 하한선(C_min)은 복수의 하한값 (I_min: -230A, -180A, -130A, -80A, -30A, 20A, 70A, 120A, 170A)을 연결하여 결정할 수 있다.
도 3에서, 상한선(C_max) 및 하한선(C_min) 사이의 영역(D1)이 정상범위일 수 있다. 정상범위(D1)를 벗어나는 외부 영역은 고장 범위일 수 있다. 이론적 관점에서, 제1 전류 센서(1)와 제2 전류 센서(3)가 동일 전류를 측정하기 때문에, 제1 전류값 및 제2 전류값을 나타낸 점은 기울기가 1인 직선상에 위치해야 정상 상태인 것으로 진단할 수 있다. 하지만, 전류 센서들의 허용 오차 등을 고려하여 제1 전류값 및 제2 전류값에 대응되는 점이 정상 상태 영역(D)에 속하면 해당 전류센서들(1, 3)을 정상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도 3과 같은 방법으로, 전류 센서(1)와 제2 전류 센서(3)를 진단하는 경우, 낮은 전류구간에서는 오진단이 많이 발생할 수 있다. 왜냐하면, 고정 기준값(30A)은, 최대 전류값(Max Current, 200A)에 기 설정된 오차 비율(15%)을 곱하여 계산되고, 이렇게 계산된 고정 기준값(30A)이 모든 전류 구간에서 동일하게 적용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전류 크기가 작은 구간(예를 들어, 0A 초과 50A이하)에서, 제1 전류값 및 제2 전류값의 차이값이 고정 기준값(30A)보다 현저히 낮을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53)는, 전류 센서(1)와 제2 전류 센서(3)가 실제 고장 상태임에도 정상 상태로 오진단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X축은 제1 전류값 및 제2 전류값이고, Y1축은 고정 기준값이고, Y2축은 백분위(%)로 나타낸 고장 진단의 정확도이다. 전류값이 양수 및 음수인 영역 모두에서 고정 기준값(Th_1, Th_2)을 사용하여 전류센서를 진단하는 경우, 고장 진단의 정확성이 현저하게 변동하는 것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류센서 진단 방법(그리고, 그 방법을 제공하는 전류센서 진단 시스템 및 배터리 시스템)의 경우,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한 설명은 이하 도 5 및 도 6과 함께 설명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간 기준값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구간 기준값을 적용한 경우 고장 진단의 정확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X축은 제1 전류센서(1)가 측정하는 제1 전류값이고, Y축은 제2 전류센서(3)가 측정하는 제2 전류값일 수 있다. 도 5 및 도 7을 참고하면, 배터리 시스템에서, 충전전류는 플러스(+)값, 방전전류는 마이너스(-)값으로 측정될 수 있다.
도 5에서, 제1 전류센서(1) 및 제2 전류센서(3)가 측정 가능한 최대 전류값(Max Current)은 200A, 최소 전류값(Min Current)은 -200A, 이고, 기 설정된 오차 비율이 15%이고, 복수의 전류구간은 50A 간격으로 구별될 수 있다고 가정하자.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구간 기준값은 각 구간의 최대 전류값에 오차 비율을 곱하여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이하 설명하는 방법에 따라, 구간 기준값은 각 전류구간마다 상이할 수 있다.
소정의 전류값에 대응하는 정상범위는, 전류값에서 구간 기준값을 마이너스하여 계산되는 하한값과 전류값에서 구간 기준값을 플러스하여 계산되는 상한값 사이의 전류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복수의 전류구간 각각에서, 소정의 전류값에 대응하는 상한값을 계산하고, 전체 전류구간(이하, 제1 내지 제4 전류구간)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상한값을 연결하면, 도 5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상한선(C_max)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전류구간 각각에서, 소정의 전0류값에 대응하는 하한값을 계산하고, 전체 전류구간(이하, 제1 내지 제4 전류구간)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하한값을 연결하면, 도 5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하한선(C_min)이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5의 제1 전류구간(0A 초과 50A 이하)에서, 구간 기준값은 7.5A(50A×0.15=7.5A)이다. 예를 들어, 제1 전류구간(0A 초과 50A 이하)의 최대 전류값(I_max)인 50A에 대응하는 상한값은 57.5A(50A+7.5A=47.5A)고, 하한값은 42.5A(50A-7.5A=42.5A)이다.
또한, 도 5의 제2 전류구간(50A 초과 100A 이하)에서, 구간 기준값은 15A(100A×0.15=15A)이다. 예를 들어, 제2 전류구간(50A 초과 100A 이하)의 최대 전류값(I_max)인 100A에 대응하는 상한값은 115A(100A+15A=115A)이고, 하한값은 85A(100A-15A=85A)이다.
또한, 도 5의 제3 전류구간(100A 초과 150A 이하)에서 구간 기준값은 22.5A(150A×0.15=22.5A)이다. 예를 들어, 제3 전류구간(100A 초과 150A 이하)의 최대 전류값(I_max)인 150A에 대응하는 상한값은 172.5A(150A+22.5A=172.5A)이고, 하한값은 127.5A(150A-22.5A=85A) 이다.
또한, 도 5의 제4 전류구간(150A 초과 200A 이하)에서 구간 기준값은 30A(200A×0.15=30A)이다. 예를 들어, 제4 전류구간(150A 초과 200A 이하)의 최대 전류값(I_max)인 200A에 대응하는 상한값은 230A(200A+30A=230A)이고, 하한값은 170A(200A-30A=170A) 이다.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양의 복수의 전류구간(제1 내지 제4 전류구간)과 절대값의 크기가 같은 음의 복수의 전류구간 각각에서, 상한값 및 하한값을 계산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상한선(C_max)은, 앞서 설명한 복수의 상한값(-170A, -127.5A, -85A, -42.5A, 0, 57.5A, 115A, 172.5A, 230A)을 연결하여 결정할 수 있다. 하한선(C_min)은, 앞서 설명한 복수의 하한값(-230A, -172.5A, -115A, -57.5A, 0, 42.5A, 85A, 127.5A, 170A)을 연결하여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상한선(C_max) 및 하한선(C_min) 사이의 영역(D2)이 정상범위일 수 있다. 정상범위(D1)를 벗어난 외부 영역은 고장 범위일 수 있다. 도 5의 경우, 측정되는 전류의 크기(절대값 크기)가 작을수록 구간 기준값이 작고, 측정되는 전류의 크기(절대값 크기)가 클수록 구간 기준값이 커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X축은 제1 전류값 및 제2 전류값이고, Y1축은 고정 기준값이고, Y2축은 백분위(%)로 나타낸 고장 진단의 정확도이다. 전류값이 양수 및 음수인 영역 모두에서 구간 기준값(Th_1, Th_2)을 사용하여 전류센서를 진단하는 경우, 고장 진단의 정확성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즉, 도 4의 경우와 비교하면, 고정 기준값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구간 기준값을 사용하여 전류센서의 고장을 진단하는 경우, 정밀도가 현저하게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전류센서 진단 방법을 제공하는 배터리 시스템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7의 배터리 시스템은, 전류센서 진단 방법을 제공하는 시스템의 일 예시로서 이에 제한되지 않고, 도 1의 전류센서 진단 시스템은, 전류센서의 고장 진단이 필요한 다양한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
도 7에서, 배터리 시스템은, 배터리(10), 릴레이(20), 전류센서(30), 메모리(40), 그리고 배터리 관리 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 이하 ‘BMS’로 기재함)(50)을 포함한다.
배터리(10)는, 전기적으로 직렬 및 병렬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배터리 셀(Cell1-Celln)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배터리 셀(Cell1-Celln) 각각은 배선을 통해 BMS(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BMS(50)는 복수의 배터리 셀(Cell1-Celln)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배터리 셀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취합 및 분석하여 배터리 셀의 충전 및 방전, 보호 동작 등을 제어하고, 릴레이(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배터리(10)는 배터리 시스템의 두 출력단(OUT1, OUT2) 사이에 연결되어 있으며, 배터리 시스템의 양극과 제1 출력단(OUT1) 사이에 릴레이(20)가 연결되어 있고, 배터리 시스템의 음극과 제2 출력단(OUT2) 사이에 전류센서(30)가 연결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들 및 구성들 간의 연결 관계는 일 예로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릴레이(20)는 배터리 시스템과 외부장치 간의 전기적 연결을 제어한다. 릴레이(20)가 온 되면, 배터리 시스템과 외부장치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충전 또는 방전이 수행되고, 릴레이(20)가 오프 되면, 배터리 시스템과 외부장치가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이때, 외부장치는 배터리(10)에 전력을 공급하여 충전하는 충전 사이클에서는 충전기이고, 배터리(10)가 외부장치로 전력을 방전하는 방전 사이클에서는 부하일 수 있다.
전류센서(30)는 배터리(10)와 외부장치간 전류 경로에 직렬 연결되어 있다. 전류센서(30)는 배터리(10)에 흐르는 배터리 전류 즉, 충전 전류 및 방전 전류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BMS(50)에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류센서(30)는 직렬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전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류센서(30)는 직렬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두 개의 전류센서, 즉, 제1 전류센서(31) 및 제2 전류센서(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류센서(31) 및 제2 전류센서(33)는 앞서 도 1에서 설명한 제1 전류센서(1) 및 제2 전류센서(3)과 동일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도 1의 설명으로 갈음한다.
BMS(50)는 제1 전류값 및 제2 전류값의 차이값을 결정하고, 차이값과 구간 기준값을 비교하여 제1 전류센서(31) 및 제2 전류센서(33) 중 적어도 하나의 고장을 진단할 수 있다.
우선, BMS(50)는, 제1 전류센서(31)가 측정한 제1 전류값 및 제2 전류센서(33)가 측정한 제2 전류값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BMS(50)는, 제1 전류센서(31) 및 제2 전류센서(33) 중 적어도 하나가 홀 센서로 구성되는 경우, 홀 센서가 전달하는 전압 신호에 기초하여 전류값을 추정한다. 다른 예를 들어, BMS(50)는, 제1 전류센서(31) 및 제2 전류센서(33) 중 적어도 하나가 센스 저항으로 구성되는 경우, 센스 저항의 양쪽 단자 사이에 인가되는 전압값에 기초하여 전류값을 추정한다. 종래 알려진 방법으로, BMS(50)는, 제1 전류센서(31)의 제1 전류값 및 제2 전류센서(33)의 제2 전류값을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BMS(50)는, 전류의 크기로 구별되는 복수의 전류구간 중 제1 전류값 및 제2 전류값이 속하는 전류구간을 선택한다.
복수의 전류구간은, 소정의 전류의 크기로 구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전류구간은, 50A 크기마다 구별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제1 전류구간(A)은 0A초과 50A 이하, 제2 전류구간(B)은 50A초과 100A 이하, 그리고, 제3 전류구간(C)은 100A초과 150A 이하의 전류 크기의 간격에 대응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제1 전류구간(A)에서 제3 전류구간(C)까지만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에 도시된 구간에 더하여, 제4 구간(D: 150A초과 200A 이하), 제5 구간(D: 200A초과 250A 이하)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BMS(50)는, 선택한 전류구간에 대응하는 구간 기준값을 결정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전류센서(31) 및 제2 전류센서(33)의 고장 유무를 진단하기 위한 구간 기준값은 고정된 값이 아니며, 선택한 전류구간의 전류 크기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구간 기준값은, 각 전류구간의 최대 전류값에 기 설정된 오차 비율을 곱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오차 비율은 10%로 가정한다. 제1 전류구간(A)에서 최소 전류값은 0A이고, 최대 전류값은 50A이므로, BMS(50)는, 제1 전류구간(A)에 대응하는 구간 기준값(TH_A)은 5A(50A×0.1=5A)로 결정할 수 있다. 동일한 방법으로, 제2 전류구간(B)의 구간 기준값(TH_B)은 10A(100A×0.1=10A), 제3 전류구간(C)의 구간 기준값(TH_C은 1A(150A×0.1=15A)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구간 기준값은, 각 전류구간의 최소 전류값에 기 설정된 오차 비율을 곱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구간 기준값은, 각 전류구간의 중앙 전류값에 기 설정된 오차 비율을 곱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정리하면, 구간 기준값은, 복수의 전류구간 각각에 있어서, 소정의 전류구간에 포함되는 소정의 전류값에 기 설정된 오차 비율을 곱하여 결정될 수 있다. 기 설정된 오차 비율은, 전류센서 자체, 또는 회로상 구조적 문제 등 측정 오차를 반영한 것이며, 실험 등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오차 비율은, 10% 이상 15%이하에 속하는 비율로 결정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BMS(50)는, 전류 센서의 고장을 진단할 때마다 구간 기준값을 계산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전류구간에 대응하는 복수의 구간 기준값은 기 계산되어 메모리(40)에 저장되고, BMS(50)는, 전류 센서의 고장을 진달할 때마다 구간 기준값을 메모리(40)에서 추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BMS(50)는, 제1 전류값 및 제2 전류값의 차이값을 구간 기준값을 비교하여, 제1 전류센서(31) 및 제2 전류센서(33) 중 적어도 하나의 고장 상태를 진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BMS(50)는, 차이값이 기준값 이상이면, 제1 전류센서(31) 및 제2 전류센서(33) 중 적어도 하나를 고장 상태로 진단할 수 있다. 또한, BMS(50)는, 차이값이 기준값 미만이면, 제1 전류센서(31) 및 제2 전류센서(33) 모두를 정상 상태로 진단할 수 있다.
메모리(40)는, 복수의 전류구간 각각에 대한 최소 전류값, 최대 전류값, 대응하는 구간 기준값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40)는, 제1 전류센서(31) 및 제2 전류센서(3)의 전류 측정 결과값이 저장될 수 있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전류센서 진단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전류센서 진단 방법, 그 방법을 제공하는 전류센서 진단 시스템 및 배터리 시스템을 설명한다.
이하, 전류센서 진단을 수행하는 주체를 BMS(50)로 설명하나, 전류센서 진단 시스템(5)의 제어부(53)가 전류센서 진단을 수행하는 것과 동일하다. 이하, 전류센서 진단 시스템 및 배터리 시스템의 차이점 점은, 별도로 부연 설명한다.
우선, BMS(50)는, 제1 전류센서(31)가 측정한 제1 전류값 및 제2 전류센서(33)가 측정한 제2 전류값을 수신한다(S100).
예를 들어, BMS(50)는, 제1 전류센서(31) 및 제2 전류센서(33) 중 적어도 하나가 홀 센서로 구성되는 경우, 홀 센서가 전달하는 전압 신호에 기초하여 전류값을 추정한다. 다른 예를 들어, BMS(50)는, 제1 전류센서(31) 및 제2 전류센서(33) 중 적어도 하나가 센스 저항으로 구성되는 경우, 센스 저항의 양쪽 단자 사이에 인가되는 전압값에 기초하여 전류값을 추정한다. 종래 알려진 방법으로, BMS(50)는, 제1 전류센서(31)의 제1 전류값 및 제2 전류센서(33)의 제2 전류값을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BMS(50)는, 제1 전류값 및 제2 전류값에 대응하는 구간 기준값을 결정한다(S100).
S100 단계에서, BMS(50)는, 전류의 크기로 구별되는 복수의 전류구간 중 제1 전류값 및 제2 전류값이 속하는 전류구간을 선택할 수 있다.
복수의 전류구간은, 소정의 전류의 크기로 구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전류구간은, 50A 크기마다 구별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제1 전류구간(A)은 0A초과 50A 이하, 제2 전류구간(B)은 50A초과 100A 이하, 그리고, 제3 전류구간(C)은 100A초과 150A 이하의 전류 크기의 간격에 대응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제1 전류구간(A)에서 제3 전류구간(C)까지만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에 도시된 구간에 더하여, 제4 구간(D: 150A초과 200A 이하), 제5 구간(D: 200A초과 250A 이하)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S100 단계에서, BMS(50)는, 선택한 전류구간에 대응하는 구간 기준값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전류센서(31) 및 제2 전류센서(33)의 고장 유무를 진단하기 위한 구간 기준값은 고정된 값이 아니며, 선택한 전류구간의 전류 크기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간 기준값은, 각 전류구간의 최대 전류값에 기 설정된 오차 비율을 곱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오차 비율은 10%로 가정한다. 제1 전류구간(A)에서 최소 전류값은 0A이고, 최대 전류값은 50A이므로, BMS(50)는, 제1 전류구간(A)에 대응하는 구간 기준값(TH_A)은 5A(50A×0.1 = 5A)로 결정할 수 있다. 동일한 방법으로, 제2 전류구간(B)의 구간 기준값(TH_B)은 10A(100A×0.1=10A), 제3 전류구간(C)의 구간 기준값(TH_C은 1A(150A×0.1=15A)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구간 기준값은, 각 전류구간의 최소 전류값에 기 설정된 오차 비율을 곱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구간 기준값은, 각 전류구간의 중앙 전류값에 기 설정된 오차 비율을 곱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정리하면, 구간 기준값은, 복수의 전류구간 각각에 있어서, 전류구간에 포함되는 소정의 전류값에 기 설정된 오차 비율을 곱하여 결정될 수 있다. 기 설정된 오차 비율은, 전류센서 자체, 또는 회로상 구조적 문제 등 측정 오차를 반영한 것이며, 실험 등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오차 비율은, 10% 이상 15%이하에 속하는 비율로 결정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BMS(50)는, 전류 센서의 고장을 진단할 때마다 구간 기준값을 계산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전류구간에 대응하는 복수의 구간 기준값은 기 계산되어 메모리(40)에 저장되고, BMS(50)는, 전류 센서의 고장을 진달할 때마다 구간 기준값을 메모리(40)에서 추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BMS(50)는, 제1 전류값 및 제2 전류값의 차이값을 구간 기준값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제1 전류센서(31) 및 제2 전류센서(33) 중 적어도 하나의 고장 상태를 진단한다(S300).
S300 단계에서, BMS(50)는, 제1 전류값 및 제2 전류값의 차이값을 계산하고, 차이값과 구간 기준값을 비교한다(S310).
S300 단계에서, 상기 비교결과 차이값이 구간 기준값 미만이면(S310, Yes), BMS(50)는, 제1 전류센서(31) 및 제2 전류센서(33) 모두를 정상 상태로 진단한다(S330).
S300 단계에서, 상기 비교결과 차이값이 구간 기준값 이상이면(S310, No), BMS(50)는, 제1 전류센서(31) 및 제2 전류센서(33) 중 적어도 하나를 고장 상태로 진단한다(S350).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로 변형 및 개량한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Claims (13)

  1. 제1 전류센서,
    상기 제1 전류센서와 직렬 연결되어 있는 제2 전류센서,
    상기 제1 전류센서에서 측정된 제1 전류 값 및 상기 제2 전류센서에서 측정된 제2 전류 값을 수신하는 통신부, 그리고
    전류의 크기로 구별되는 복수의 전류구간 중 상기 제1 전류값 및 상기 제2 전류값이 속하는 전류구간을 선택하고, 상기 제1 전류 값과 상기 제2 전류 값의 차이값을 산출하며, 상기 선택한 전류구간에 대응하는 구간 기준값과 상기 차이값을 비교하여 상기 제1 전류센서 및 상기 제2 전류센서의 상태를 진단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전류센서 진단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 기준값은,
    상기 전류구간에 속하는 복수의 전류값 중 소정의 전류값에 기 설정된 오차 비율을 곱하여 결정되는, 전류센서 진단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 기준값은,
    상기 전류구간의 최대 전류값에 기 설정된 오차 비율을 곱하여 결정되는, 전류센서 진단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류구간 각각의 최소 전류값, 최대 전류값, 및 구간 기준값이 저장되는 저장부
    를 더 포함하는, 전류센서 진단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이값이 상기 구간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제1 전류센서 및 상기 제2 전류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고장 상태로 진단하는, 전류센서 진단 시스템.
  6. 복수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와 외부장치 간의 전류 경로에 직렬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의 충전전류 또는 방전전류를 측정하는 제1 전류센서,
    상기 제1 전류센서와 직렬 연결되어, 상기 충전전류 또는 상기 방전전류를 측정하는 제2 전류센서, 그리고
    상기 제1 전류센서에서 측정된 제1 전류 값 및 상기 제2 전류센서에서 측정된 제2 전류 값을 수신하고, 전류의 크기로 구별되는 복수의 전류구간 중 상기 제1 전류값 및 상기 제2 전류값이 속하는 전류구간을 선택하며, 상기 제1 전류 값과 상기 제2 전류 값의 차이값을 산출하고, 상기 선택한 전류구간에 대응하는 구간 기준값과 상기 차이값을 비교하여 상기 제1 전류센서 및 상기 제2 전류센서의 상태를 진단하는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를 포함하는, 배터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 기준값은,
    상기 전류구간에 속하는 복수의 전류값 중 소정의 전류값에 기 설정된 오차 비율을 곱하여 결정되는, 배터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 기준값은,
    상기 전류구간의 최대 전류값에 기 설정된 오차 비율을 곱하여 결정되는, 배터리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BMS는,
    상기 차이값이 상기 구간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제1 전류센서 및 상기 제2 전류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고장 상태로 진단하는, 배터리 시스템.
  10. 제1 전류센서가 측정한 제1 전류값 및 상기 제1 전류센서와 직렬 연결되어 있는 제2 전류센서가 측정한 제2 전류값을 수신하는 단계,
    전류의 크기로 구별되는 복수의 전류구간 중 상기 제1 전류값 및 상기 제2 전류값이 속하는 전류구간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전류구간에 대응하는 구간 기준값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전류 값과 상기 제2 전류 값의 차이값과 상기 구간 기준값을 비교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전류센서 및 상기 제2 전류센서의 상태를 진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류센서 진단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 기준값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전류구간에 속하는 복수의 전류값 중 소정의 전류값에 기 설정된 오차 비율을 곱하여 상기 구간 기준값을 결정하는, 전류센서 진단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 기준값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전류구간의 최대 전류값에 기 설정된 오차 비율을 곱하여 상기 구간 기준값을 결정하는, 전류센서 진단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를 진단하는 단계는,
    상기 차이값이 상기 구간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제1 전류센서 및 상기 제2 전류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고장 상태로 진단하는, 전류센서 진단 방법.


KR1020220016120A 2022-02-08 2022-02-08 전류센서 진단 방법, 그 방법을 제공하는 전류센서 진단 시스템 및 배터리 시스템 KR2023011985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6120A KR20230119853A (ko) 2022-02-08 2022-02-08 전류센서 진단 방법, 그 방법을 제공하는 전류센서 진단 시스템 및 배터리 시스템
PCT/KR2022/019973 WO2023153608A1 (ko) 2022-02-08 2022-12-08 전류센서 진단 방법, 그 방법을 제공하는 전류센서 진단 시스템 및 배터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6120A KR20230119853A (ko) 2022-02-08 2022-02-08 전류센서 진단 방법, 그 방법을 제공하는 전류센서 진단 시스템 및 배터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9853A true KR20230119853A (ko) 2023-08-16

Family

ID=87564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6120A KR20230119853A (ko) 2022-02-08 2022-02-08 전류센서 진단 방법, 그 방법을 제공하는 전류센서 진단 시스템 및 배터리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19853A (ko)
WO (1) WO2023153608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6346B1 (ko) * 2011-07-07 2013-05-27 (주)에프씨언와이어드 개별 태양전지모듈의 발전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고장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
KR102037149B1 (ko) * 2013-09-23 2019-10-2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온도 별 저항 값을 이용한 전류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KR102101908B1 (ko) * 2015-10-21 2020-04-17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보호 회로 및 보호 방법
KR102372874B1 (ko) * 2017-12-12 2022-03-0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 전지 셀의 soc 재조정 장치 및 방법
KR102421368B1 (ko) * 2017-12-18 2022-07-1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류 센서 에러 진단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53608A1 (ko) 2023-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20056B1 (en) Isolation resistance measuring apparatus having fault self-diagnosing function and self-diagnosing method using the same
US10622685B2 (en) Problem detection apparatus
US7746031B2 (en) Monitoring device for power supply system
US9172265B2 (en) Battery charger, voltage monitoring device and self-diagnosis method of reference voltage circuit
CN111886511B (zh) 电流传感器诊断设备、电池管理系统及电池组
US8836341B2 (en) Semiconductor circuit, semiconductor device, method of diagnosing abnormality of wir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EP3882645B1 (en) Detection method and detection device for branch states of battery system
US11846680B2 (en) Battery resistance diagnosis device and method
US20230275276A1 (en) Slave BMS Inspection System and Method
US9091736B2 (en) Systems and methods of battery cell anomaly detection
US20230147606A1 (en) Management device and power supply system
JP6969463B2 (ja) バッテリの監視装置
CN113330288B (zh) 温度测量装置,包括其的电池装置和温度测量方法
JP4048970B2 (ja) フライングキャパシタ式電圧検出回路
KR20230119853A (ko) 전류센서 진단 방법, 그 방법을 제공하는 전류센서 진단 시스템 및 배터리 시스템
KR101907439B1 (ko) 배터리 셀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CN111954824A (zh) 诊断装置和诊断方法
US11796605B2 (en) Battery cell diagnostic device and method
US20210126295A1 (en) Systems and methods involving measurement of battery cells
JP2019028038A (ja) 電池管理システムおよび電池管理装置
CN114981673A (zh) 故障单元诊断方法和使用该方法的电池系统
KR20220045435A (ko) 릴레이 개방 고장 진단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시스템
CN113646648A (zh) 检测并联电池单元的连接故障的方法和系统
KR20210051539A (ko) 배터리 절연 진단 장치
CN118117686A (zh) 电池监控电路、电池包及电池监控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