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9341A - 가스터빈용 액츄에이터 - Google Patents

가스터빈용 액츄에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9341A
KR20230119341A KR1020220015342A KR20220015342A KR20230119341A KR 20230119341 A KR20230119341 A KR 20230119341A KR 1020220015342 A KR1020220015342 A KR 1020220015342A KR 20220015342 A KR20220015342 A KR 20220015342A KR 20230119341 A KR20230119341 A KR 202301193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piston rod
auxiliary
housing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5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천규
김수철
임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네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네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네스지
Priority to KR1020220015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9341A/ko
Publication of KR20230119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9341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17/00Regulating or controlling by varying flow
    • F01D17/10Final actu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other grou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8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 F15B15/14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of the straight-cylinder type
    • F15B15/1404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of the straight-cylinder type in clusters, e.g. multiple cylinders in one blo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20/00Application
    • F05D2220/30Application in turbines
    • F05D2220/32Application in turbines in gas turb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ctu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터빈용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스터빈의 운전 중 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베어링의 마모 및 손상을 방지하고 응동불량을 해결할 수 있는 가스터빈용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단부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단부는 하방을 좁아지는 형상의 하우징 몸체(10)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 몸체(10)의 내측부에는 중간부분에 세로방향으로 격막부(14)가 형성되어 좌측부에는 제1 수납실(18)이 형성되고 우측부에는 제2 수납실(20)이 형성되는 하우징부(102)와; 상기 하우징부(102)의 상기 제1 수납실(18)에는 주피스톤로드(28)가 위치하고 상기 제2 수납실(20)에는 보조피스톤 로드(36)가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상하 동작이 이루어지는 피스톤 유닛부(104)와; 상기 하우징부(102)의 상부면에 고절 설치되는 중간 커버부(106)와; 상기 중간 커버부(106)의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하우징부(102)의 좌측 상부면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제1 실린더부(108)와; 상기 중간 커버부(106)의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하우징부(102)의 우측 상부면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제2 실린더부(110)와; 상기 주피스톤로드(28)과 상기 보조피스톤 로드(36)의 하단부를 다수의 고정핀들과 제 1 내지 제4 링크부들을 이용하여 상기 하우징 몸체(10)의 하부 위치에서 내측면과의 접촉 간섭없이 상호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는 링크 유닛부(112)를 포함하되, 상기 피스톤 유닛부(104)는, 수직하게 설치되는 주피스톤로드(28)와 상기 주피스톤로드(28)의 타측부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보조피스톤 로드(36)가 설치되고 상기 주피스톤로드(28)의 하단부와 상기 보조피스톤 로드(36)의 하단부를 연결하여 상호 동작이 이루어지는 제1 링크부(113), 상기 제2 링크부(114), 상기 제3 링크부(116) 및 제4 링크부(11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가스터빈용 액츄에이터는, 가스터빈의 운전 중 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베어링의 마모 및 손상을 방지하고 응동불량을 해결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스터빈용 액츄에이터{ACTUATOR FOR GAS TURBIN}
본 발명은 가스터빈용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스터빈의 운전 중 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베어링의 마모 및 손상을 방지하고 응동불량을 해결할 수 있는 가스터빈용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력발전소는 연료의 화학적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변환시설로서 크게 보일러와 터빈 및 발전기로 구성되어 있다.
이중 터빈은 증기, 가스와 같은 압축성 유체의 흐름을 이용하여 충동력 또는 반동력으로 회전력을 얻는 장치이며, 증기를 이용하면 증기터빈, 가스를 이용하면 가스터빈이라고 한다.
이러한 가스터빈은 성능을 감시하여 성능이 저하되는 경우 정비를 필요로 한다.
가스터빈은 그 부품들중 고가인 부품들의 관리가 중요시되고 있고 연소기와 터빈 내부에 설치된 부품들의 수명관리를 필요로하며 연소가스가 직접 접촉하는 경우 고온의 조건에서 운전되므로 고온부품은 일정시간 사용 후 주기적으로 교체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가스터빈에 사용되는 가스터빈용 액츄에이터에는 무급유 베어링(DU BEARING)을 사용하고 있는바, 무급유 베어링의 경우, 링크 부위와 링크 샤프트 부위에 주로 설치되고 있으나, 액츄에이터의 동작시 동력 전달 부위에 설치된 무급유 베어링(DU BEARING)의 고무시일이 마모되거나 손상되고 고온으로 인하여 고착됨으로써 응동불량이 발생하고, 히스테리시스가 발생하거나 RVDT 절손 및 RVDT 피드백 데비에이션이 발생하여 발전설비의 효율을 저하시키고 장치를 손상시켜서 이로 인하여 설비효율이 저하되거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59622호(2017.07.13 등록)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833657호(2018.02.22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가스터빈의 운전 중 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베어링의 마모 및 손상을 방지하고 응동불량을 해결하기 위한 가스터빈용 액츄에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단부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단부는 하방을 좁아지는 형상의 하우징 몸체(10)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 몸체(10)의 내측부에는 중간부분에 세로방향으로 격막부(14)가 형성되어 좌측부에는 제1 수납실(18)이 형성되고 우측부에는 제2 수납실(20)이 형성되는 하우징부(102)와; 상기 하우징부(102)의 상기 제1 수납실(18)에는 주피스톤로드(28)가 위치하고 상기 제2 수납실(20)에는 보조피스톤 로드(36)가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상하 동작이 이루어지는 피스톤 유닛부(104)와; 상기 하우징부(102)의 상부면에 고절 설치되는 중간 커버부(106)와; 상기 중간 커버부(106)의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하우징부(102)의 좌측 상부면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제1 실린더부(108)와; 상기 중간 커버부(106)의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하우징부(102)의 우측 상부면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제2 실린더부(110)와; 상기 주피스톤로드(28)과 상기 보조피스톤 로드(36)의 하단부를 다수의 고정핀들과 제 1 내지 제4 링크부들을 이용하여 상기 하우징 몸체(10)의 하부 위치에서 내측면과의 접촉 간섭없이 상호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는 링크 유닛부(112)를 포함하되, 상기 피스톤 유닛부(104)는, 수직하게 설치되는 주피스톤로드(28)와 상기 주피스톤로드(28)의 타측부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보조피스톤 로드(36)가 설치되고 상기 주피스톤로드(28)의 하단부와 상기 보조피스톤 로드(36)의 하단부를 연결하여 상호 동작이 이루어지는 제1 링크부(113), 상기 제2 링크부(114), 상기 제3 링크부(116) 및 제4 링크부(11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링크부(113)는 브이자 형상의 메인링크(24)가 상방향으로 세로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메인링크(24)의 상단부에는 연결 브라켓(26)이 위치하고 고정핀에 의해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연결 브라켓(26)의 상부에는 상기 주피스톤로드(28)이 수직 상방으로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메인링크(24)를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4 링크부(118)는 판형상의 보조링크(32)가 상방향을 향하여 세로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보조링크(32)의 상단부에는 연결 브라켓(34)이 위치하고 고정핀에 의해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연결 브라켓(34)의 상부에는 상기 보조피스톤 로드(36)이 수직 상방으로 설치되어 상기 보조링크(32)를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링크부(114) 및 제3 링크부(118)는 상기 메인링크(24)의 하단부에 고정핀에 의해 연결 설치되는 하부링크(22)와, 상기 하부링크(22)의 우측단부가 상기 보조링크(32)의 하단부와 고정핀에 의해 연결 설치되되, 상기 하부링크(22)의 좌측단부가 우측단부에 비하여 더 높게 설치되고 중앙부를 기준으로 회동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가스터빈용 액츄에이터는, 가스터빈의 운전 중 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베어링의 마모 및 손상을 방지하고 응동불량을 해결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가스터빈용 액츄에이터 구조를 보여주는 조립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가스터빈용 액츄에이터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가스터빈용 액츄에이터의 링크 유닛부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4는 도3의 일부 확대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제4 링크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확대도
도 6은 도4의 회전 중심축의 구조를 보여주는 확대도
이하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구체화되고 명확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보통의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으로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기술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터빈용 액츄에이터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가스터빈용 액츄에이터 구조를 보여주는 조립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가스터빈용 액츄에이터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가스터빈용 액츄에이터의 링크 유닛부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3의 일부 확대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제4 링크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확대도이며, 도 6은 도4의 회전 중심축의 구조를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스터빈용 액츄에이터(100)는,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우징부(102), 피스톤 유닛부(104), 중간 커버부(106), 제1 실린더부(108) 및 제2 실린더부(110)와 링크 유닛부(11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링크 유닛부(112)는 제1 링크부(113), 제2 링크부(114), 제3 링크부(116), 제4 링크부(118)을 더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부(102)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단부가 하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원뿔형태로 이루어지고 상방에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내측부에는 상기 피스톤 유닛부(104)가 결합 설치되어 상하방향으로 탄력적으로 동작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부면에는 중간커버부(106)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 중간커버부(106)의 상부에는 제1 실린더부(108)가 결합 설치되고 상기 제1 실린더부(108)의 내측부에는 주피스톤 로드(28)와 스프링(54)이 내삽되어 탄력적으로 상하 작용하며 상기 제1 실린더부(108)의 우측부에는 제2 실린더부(11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실린더부(108)의 내측부에는 보조 피스톤로드(36)가 내삽되어 있으며 상기 링크 유닛부(112)에 의해 연결 설치되어 상하로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상호 링크동작이 이루어지도록 결합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링크 유닛부(112)의 제1 내지 제4링크부들에 상기 주피스톤 로드(28)와 상기 보조 피스톤 로드(36)이 상호 연결동작에 의해 상하 동작되도록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을 도2를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상기 하우징부(102)는 상부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부는 하향하면서 좁아지는 형태의 하우징 몸체(10)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몸체(10)의 내측부 중앙에는 결합부(12)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12)의 상부에는 종방향으로 격막부(14)가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부(12)와 격막부(14)에 의해 좌우가 분리 구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격막부(14)의 상단에는 상기 하우징 몸체(10) 보다 상방으로 더 돌출되도록 지지부(1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16)는 우측방향으로 단차부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 결합부(12)와 격막부(14)에 의해 구획된 좌측부에는 제1 수납실(18)이 형성되고, 그 우측부에는 상기 제2 수납실(20)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12)는 상단부는 반원형상으로 둥그렇게 형성되고 하단부는 수직으로 하향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바닥판(11)에 의해 하단부가 막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 수납실(18) 및 제2 수납실(20)에는 전술된 피스톤 유닛부(104)가 결합되어 상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된다.
상기 피스톤 유닛부(104)는 하단부에 소정의 경사각도를 갖도록 하부링크(22)가 설치되고 상기 하부링크(22)의 좌측단부가 우측단부보다 더 높게 설치되며 상기 좌측상단부에는 메인링크(24)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상기 메인링크(24)는 부메랑 형상으로 형성되고 좌측 중앙부가 브이자형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메인링크(24)의 상단부에는 연결브라켓(26)의 하단부가 연결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메인링크(24)의 상단에 고정된 연결브라켓(26)의 상단부에는 주피스톤로드(28)의 하단부가 수직하게 결합 고정된다.
상기 주피스톤로드(28)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단부는 전술된 연결 브라켓(26)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연결 브라켓(26)에 의해 상기 메인링크(24)와 연동되어 상하로 이동하면서 동작이 이루어진다.
상기 주피스톤로드(28)는 상기 제1 수납실918)에 위치하도록 결합 설치되고, 상기 주피스톤로드(28)의 상단부 중앙에는 하방으로 체결공(30)이 형성되어서 후술되는 고정수단(62)이 체결 고정된다.
이어서, 상기 하부링크(22)의 우측하단부에는 보조링크(32)가 연결되는바, 상기 보조링크(32)의 하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기 보조링크(32)의 상단은 연결 브라켓(34)의 하단부와 연결 설치된다.
상기 연결 브라켓(34)에는 보조피스톤 로드(36)가 결합 설치되고 상기 보조피스톤 로드(36)의 하단부는 보조링크(32)와 상기 연결 브라켓(34)에 의해 연결되어 연동하여 상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연결 브라켓(34)의 상부에서 수직하게 설치되는 보조피스톤 로드(36)의 상부면 중앙부에는 하방으로 체결공(38)이 형성되어 후술되는 중단 고정구 및 상단 고정구를 고정한다.
이와 같이 설치된 상기 주피스톤로드(28)의 하단부에 연결 설치되어 회동하는 메인링크(24)는 상기 제1 수납실(18)에 위치되도록 수납되어 회동 동작이 이루어지고 상기 보조피스톤 로드(36)의 하단부에 연결 설치되어 회동하는 보조링크(32)는 상기 제2 수납실(20)에 위치되도록 수납되어 회동 동작이 이루어지며 이때 상기 메인링크(24)와 보조링크(32)는 상기 하우징 몸체(10)의 하단부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상기 하우징부(102)의 하우징 몸체(10)의 상면부에는 중간 커버부(106)가 설치되는바, 상기 중간 커버부(106)는 원판형상의 중간버커몸체(40)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간커버 몸체(40)의 내측 중앙부 좌측에는 주피스톤로드 결합공(42)가 형성되고, 상기 중간커버 몸체(40)의 내측 중앙부 우측에는 보조피스톤로드 결합공(4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주피스톤로드 결합공(42)에는 상기 주피스톤 로드(28)와 결합 고정된 연결 브라켓(26)이 끼워져서 설치되고 상기 보조피스톤로드 결합공(44)에는 상기 보조피스톤 로드(36)와 결합 고정된 하단 고정구(72) 및 중단 고정구(80)가 끼워져서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주피스톤로드(28)의 외측부에는 제1 실린더부(108)가 결합 설치되고 상기 주피스톤로드(28)가 상기 제1 실린더부(108)내부를 상하로 이동하면 동작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실린더부(108)는 고정구(46)와, 상기 고정구(46)의 내측부에 끼워지는 부싱(50)과, 상기 부싱(50)의 외측부에 결합되는 스프링(54)과 상기 스프링(54)의 외측부에 결합되는 실린더 몸체(56)와, 상기 스프링(54)의 상면부를 탄력적으로 가압하도록 결합되는 누름구(60)와, 상기 실린더 몸체(56)의 상면부에 고정 결합되는 커버(64)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구(46)는, 원판형상의 고정구 몸체(48)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 몸체(48)의 상부에는 요철형상의 캡부(49)가 형성되어 모자 형태로 이루어지며 중앙부에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구(46)에는 부싱(50)이 결합 설치되고, 상기 부싱(50)은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단부에는 결합구(5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단부의 결합구(52)가 상기 고정구(46)의 중앙에 수직하게 끼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부싱(50)의 내측부에는 상기 주피스톤로드(28)가 끼움 결합되어 진다.
상기 부싱(50)의 외측부에는 상기 스프링(54)이 탄력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스프링(54)의 하단 밑면부는 상기 고정구(46)의 고정구 몸체(48)의 상면과 접촉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스프링(54)의 외측부에는 실린더 몸체(56)가 결합되는바, 상기 실린더 몸체(56)의 내측부에는 결합실(58)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54)이 내삽된다.
상기 실린더 몸체(56)의 내측 상단부에는 누름구(60)가 결합설치된다.
상기 누름구(60)는 모자를 거꾸로 돌려 놓은 형태로 이루어지고 중앙부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프링(54)의 상면부와 접촉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주피스톤로드(28)의 상하 동작에 따라 함께 이동하도록 주피스톤로드(28)의 체결공에 체결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실린더 몸체(56)의 상부에는 원판형상의 커버(64)가 고정되어 상기 실린더 몸체(56)를 밀폐시킨다.
계속해서, 상기 하우징부(102)의 하우징 몸체(10)의 우측 상면부에는 제2 실린더부(110)가 설치된다.
상기 제2 실린더부(110)에는 전술된 보조피스톤 로드(36)가 결합되어 상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2 실린더부(110)는 하단 고정구(72)와, 상기 하단 고정구(72)의 상부에 결합되는 중단 고정구(80)와, 상기 중단 고정구(80)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단 고정구(86)를 포함하고, 상기 하단 고정구(72), 중단 고정구(80) 및 상단 고정구(86)의 외측에 결합되는 실린더 몸체(88) 및 상기 실린더 몸체(88)의 상부에 결합 고정되는 커버(84)를 포함한다.
상기 하단 고정구(72)는 상기 중간 커버부(106)의 보조피스톤로드 결합공(44)에 삽입된다.
상기 하단 고정구(72)는 원통형상의 하부고정몸체(66)와 상기 하부고정몸체(66)의 내측부에 형성되는 결합공(68)과, 상기 하부고정몸체(66)의 우측 하방에서 상방으로 형성되는 체결공(70)을 포함한다.
상기 체결공(70)에는 볼트, 피스, 핀 등의 고정수단(200)이 체결되고 상기 고정수단(200)에 의해 상기 중단 고정구(80)와 연결되어 상호 고정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중단 고정구(80)는 고정구 몸체(74)와, 상기 고정구 몸체(74)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결합몸체(76)와, 상기 고정구 몸체(74)의 중앙부에 상하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결합공(78)을 포함한다.
상기 결합몸체(76)는 플랜지 형태로 이루어져서 상기 하단 고정구(72)와 맞물리도록 결합된 후, 상기 고정수단(200)에 의해 상호 체결 고정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단 고정구(80)와 상기 하단 고정구(72)에는 상기 보조피스톤 로드(36)가 상방에서 하방으로 관통 결합되어져서 설치된다.
상기 상단 고정구(86)는 원통형상의 고정구 몸체(82)로 형성되고 중앙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결합공(8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공(84)에는 전술된 보조피스톤 로드(36)의 상단부가 끼워지고 고정수단(200)에 의해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하단 고정구(72)와 중단 고정구(80)와, 상단 고정구(86)의 외측부에는 실린더 몸체(88)가 결합 설치된다.
상기 실린더 몸체(88)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측부는 결합실(90)이 형성되어 상기 하단, 중단, 상단 고정구가 상기 결합실(90)에 삽입 설치된다.
한편, 상기 피스톤 유닛부(104)의 하단부 즉, 주피스톤로드(28)와 보조피스톤 로드(36)을 연결하는 상기 링크 유닛부(112)는 제1 링크부(113)와 제2 링크부(114)와 제3 링크부(116)와 제4 링크부(118)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링크부(113)는 상기 메인링크(24)와 연결 브라켓(26)이 고정핀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연결 브라켓(26)에 주피스톤로드(28)가 연결된 후 상기 주피스톤로드(28)의 탄력적인 상하 동작에 의하여 상기 메인링크(24)가 하향 작용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2 링크부(114)는 상기 메인링크(24)와 하부링크(22)가 고정핀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메인링크(24)가 하향 동작함에 따라 상기 하부링크(22)의 좌측단부를 하향으로 회동 동작시키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3 링크부(116)는 하부링크(22)와 보조링크(32)가 고정핀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하부링크(22)가 회동 동작함에 따라 상기 보조링크(32)가 상방으로 이동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하부링크(22)의 중간부분에는 회전 중심축(120)이 결합 설치되어 상기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상기 하부링크(22)가 상하로 회동 동작이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링크(22)의 좌측단부가 상하로 회동함에 따라 상기 주피스톤로드(28)가 상하로 이동하고 상기 하부링크(22)의 우측단부가 상하로 회동함에 따라 상기 보조피스톤 로드(36)가 항하로 이동된다.
상기 제4 링크부(118)는 상기 하부링크(22)와 연결 브라켓(34)이 고정핀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하부링크(22)의 우측단부가 상하로 회동하면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연결 브라켓(34)가 상하로 이동되며 상기 연결 브라켓(34)의 상부에 끼움 고정된 보조피스톤 로드(36)이 상하로 이동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어서, 도 3은 본 발명의 가스터빈 액츄에이터의 링크 유닛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하우징부(102)의 상측부에 중간커버부(106)가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부(102)의 내측 제2 수납실(20)에는 제3 링크부(116) 및 제4 링크부(118)가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부(102)의 하부에는 횡방향으로 회전중심축(120,121)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부(102)의 상방에서 하방으로 보조피스톤 로드(36)가 설치되고 상기 보조피스톤 로드(36)의 하단부에는 링크 유닛부(112)의 제3 링크부(116)와 제4 링크부(118)가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3 링크부(116)와 제4 링크부(118)에는 니들 윤활부(122)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 중심축(120,121)에 니들 윤활부(12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니들 윤활부(124)는 회전 중심축(120)에 형성된 우측 축단부(96)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 중심축(121)에 형성된 좌측 축단부(98)에 설치된다.
도 4는 도3의 일부 확대 단면도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보조피스톤 로드(36)의 하단부에는 연결 브라켓(34)이 연결 고정되어 있고, 상기 연결 브라켓(34)의 하부에는 보조링크(32,3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보조링크(32,33)의 하부에는 제3 링크부(11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3 링크부(116)는 가로방향으로 고정된 하부 고정핀(71)과, 상기 하부 고정핀(71)의 좌측단부 및 우측단부에 끼워져서 설치되는 고정와셔(73)와, 상기 하부 고정핀(71)의 중간부분에 설치되는 한 쌍의 니들커버(75)와 상기 니들커버(75)의 사이에 설치되는 니들부싱(77)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니들커버(75)의 사이에는 니들 윤활부(122)가 설치되어 상기 보조피스톤 로드(36)의 원할한 동작을 유지시킨다.
상기 보조링크(32,33)의 상부에는 제4 링크부(11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4 링크부(118)는 가로방향으로 고정된 상부 고정핀(81)과, 상기 상부 고정핀(81)의 좌측단부 및 우측단부에 끼워져서 설치되는 고정와셔(83)와, 상기 상부 고정핀(81)의 중간부분에 설치되는 한 쌍의 니들커버(85)와 상기 니들커버(85)의 사이에 설치되는 니들부싱(87)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니들커버(85)의 사이에는 니들 윤활부(122)가 설치되어 상기 보조피스톤 로드(36)의 원할한 동작을 유지시킨다.
도 5는 도 4의 제4 링크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확대도로서, 상기 니들 윤활부(122)는, 니들보호몸체(91)와, 이탈방지부(93)와, 완충부재(95)와, 니들(97)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 고정핀(7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니들보호몸체(91)가 설치되고 상기 니들보호몸체(91)의 양측면부는 상방에서 하방으로 절곡되어 라운드형상으로 이탈방지부(9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니들보호몸체(91)의 이탈방지부(93)의 내측면부에는 완충부재(95)가 좌우측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완충부재(95)의 하부에는 다수의 니들(97)이 마찰을 최소화하면서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한편, 도 6은 도4의 회전 중심축의 구조를 보여주는 확대도로서, 상기 회전중심축(120,121)에는 우측 축단부(96)와 좌측 축단부(98)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우측 축단부(96)와 좌측 축단부(98)에는 니들 윤활부(124)가 좌우측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니들 윤활부(124)는 니들보호몸체(91)와, 이탈방지부(93)와, 완충부재(95)와, 니들(97)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 몸체(10)에는 하우징 결합축부(96)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 결합축부(96)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니들보호몸체(91)가 설치되고 상기 니들보호몸체(91)의 양측면부는 상방에서 하방으로 절곡되어 라운드형상으로 이탈방지부(9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니들보호몸체(91)의 이탈방지부(93)의 내측면부에는 완충부재(95)가 좌우측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완충부재(95)의 하부에는 다수의 니들(97)이 마찰을 최소화하면서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회전 중심축(120)과 하우징 결합축부(96) 사이의 단차부에는 측벽보호구(89)가 위치하고 상기 하우징 몸체(10)에 끼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측벽보호구(89)의 우측면부에 접하도록 상기 니들보호몸체(91)가 결합 설치되어 상기 니들보호몸체(91)의 좌측면부를 보호하도록 끼움 설치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 하우징 몸체 12 : 결합부
14 : 격막부 16 : 지지부
18 : 제1 수납실 20 : 제2 수납실
22 : 하부링크 24 : 메인링크
26 : 연결 브라켓 28 : 주피스톤 로드
30 : 체결공 32 : 보조링크
34 : 연결 브라켓 36 : 보ㅈ피스톤 로드
38 : 체결공 40 : 중간커버 몸체
42 : 주피스톤로드 결합공 44 : 보조피스톤로드 결합공
46 : 고정구 48 : 고정구 몸체
50 : 부싱 52 : 결합부
54 : 스프링 56 : 실린더 몸체
58 : 결합실 60 : 누름구
62 : 고정수단 64 : 커버
66 : 하부고정몸체 68 : 결합공
70 : 체결공 72 : 하단 고정구
74 : 고정구 몸체 76 : 결합몸체
78 : 결합공 80 : 중단 고정구
82 : 고정구 몸체 84 : 결합공
86 : 상단 고정구 88 : 실린더 몸체
90 : 결합실 92 : 커버
91 : 니들 보호몸체 93 : 이탈방지부
94 : 아이볼트 95 : 완충부재
96 : 하우징 결합축부 97 : 니들
100 : 가스터빈용 액츄에이터 102 : 하우징부
104 : 피스톤 유닛부 106 : 중간 커버부
108 : 제1 실린더부 110 : 제2 실린더부
112 : 링크 유닛부 113 : 제1 링크부
114 : 제2 링크부 116 : 제3 링크부
118 : 제4 링크부 120 : 회전 중심축
122,124 : 니들 윤활부

Claims (4)

  1. 상단부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단부는 하방을 좁아지는 형상의 하우징 몸체(10)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 몸체(10)의 내측부에는 중간부분에 세로방향으로 격막부(14)가 형성되어 좌측부에는 제1 수납실(18)이 형성되고 우측부에는 제2 수납실(20)이 형성되는 하우징부(102)와;
    상기 하우징부(102)의 상기 제1 수납실(18)에는 주피스톤로드(28)가 위치하고 상기 제2 수납실(20)에는 보조피스톤 로드(36)가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상하 동작이 이루어지는 피스톤 유닛부(104)와;
    상기 하우징부(102)의 상부면에 고절 설치되는 중간 커버부(106)와;
    상기 중간 커버부(106)의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하우징부(102)의 좌측 상부면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제1 실린더부(108)와;
    상기 중간 커버부(106)의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하우징부(102)의 우측 상부면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제2 실린더부(110)와;
    상기 주피스톤로드(28)과 상기 보조피스톤 로드(36)의 하단부를 다수의 고정핀들과 제 1 내지 제4 링크부들을 이용하여 상기 하우징 몸체(10)의 하부 위치에서 내측면과의 접촉 간섭없이 상호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는 링크 유닛부(112)를 포함하되,
    상기 피스톤 유닛부(104)는,
    수직하게 설치되는 주피스톤로드(28)와 상기 주피스톤로드(28)의 타측부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보조피스톤 로드(36)가 설치되고 상기 주피스톤로드(28)의 하단부와 상기 보조피스톤 로드(36)의 하단부를 연결하여 상호 동작이 이루어지는 제1 링크부(113), 상기 제2 링크부(114), 상기 제3 링크부(116) 및 제4 링크부(11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터빈용 액츄에이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부(113)는 브이자 형상의 메인링크(24)가 상방향으로 세로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메인링크(24)의 상단부에는 연결 브라켓(26)이 위치하고 고정핀에 의해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연결 브라켓(26)의 상부에는 상기 주피스톤로드(28)이 수직 상방으로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메인링크(24)를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터빈용 액츄에이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링크부(118)는 판형상의 보조링크(32)가 상방향을 향하여 세로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보조링크(32)의 상단부에는 연결 브라켓(34)이 위치하고 고정핀에 의해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연결 브라켓(34)의 상부에는 상기 보조피스톤 로드(36)이 수직 상방으로 설치되어 상기 보조링크(32)를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터빈용 액츄에이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링크부(114) 및 제3 링크부(118)는 상기 메인링크(24)의 하단부에 고정핀에 의해 연결 설치되는 하부링크(22)와, 상기 하부링크(22)의 우측단부가 상기 보조링크(32)의 하단부와 고정핀에 의해 연결 설치되되,
    상기 하부링크(22)의 좌측단부가 우측단부에 비하여 더 높게 설치되고 중앙부를 기준으로 회동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터빈용 액츄에이터.
KR1020220015342A 2022-02-07 2022-02-07 가스터빈용 액츄에이터 KR202301193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5342A KR20230119341A (ko) 2022-02-07 2022-02-07 가스터빈용 액츄에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5342A KR20230119341A (ko) 2022-02-07 2022-02-07 가스터빈용 액츄에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9341A true KR20230119341A (ko) 2023-08-16

Family

ID=87848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5342A KR20230119341A (ko) 2022-02-07 2022-02-07 가스터빈용 액츄에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9341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9622B1 (ko) 2016-05-26 2017-07-20 주식회사 이지티 가스터빈 유지보수 실시간 관리 시스템
KR101833657B1 (ko) 2014-01-27 2018-02-28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가스터빈의 운전방법 및 운전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3657B1 (ko) 2014-01-27 2018-02-28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가스터빈의 운전방법 및 운전제어장치
KR101759622B1 (ko) 2016-05-26 2017-07-20 주식회사 이지티 가스터빈 유지보수 실시간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63916B2 (ja) 軸受アセンブリ及び軸受配置方法
KR101290922B1 (ko) 다이렉트 드라이브형 풍력 발전 장치 및 베어링 구조
JP5280909B2 (ja) E形シールを用いた燃焼キャップ浮動カラー
CN102356259B (zh) 旋转阀的阀杆组件及方法
JP2007285521A (ja) 蒸気タービンの可変隙間パッキンリングアセンブリ及び蒸気タービン
US9194511B2 (en) Valve stem seal arrangement
KR20230119341A (ko) 가스터빈용 액츄에이터
CA2366840C (en) Self-aligning shaft support
US4202365A (en) Fire tested butterfly valve
CN206072406U (zh) 一种阀杆三级密封耐高压的压力自适应管线球阀
US20050116552A1 (en) Turbine generator vibration damper system
CN208381482U (zh) 一种闸阀油室浮动密封结构
CN210240327U (zh) 一种轴承定位组装定位设备
CA3128533A1 (en) Stator assembly for compressor mid-plane rotor balancing and sealing in gas turbine engine
JP2013174330A (ja) 逆止め弁
CN102221090A (zh) 一种带记忆合金弹簧保护装置机械密封
JP6106439B2 (ja) 軸方向可撓性アームを備える近流路シール
CN216477489U (zh) 一种密封效果好的透平机械蜂窝密封组件
RU173549U1 (ru) Предохранительная муфта с разрушающимися элементами
CN201173290Y (zh) 带有阻挡牺牲环的集装密封圈
CN210344012U (zh) 一种后梁摇臂
EP4030073A1 (en) Bearing unit for a rotor unit of a wind turbine and wind turbine
KR102182337B1 (ko) 트루니언 타입의 볼 밸브
CN109163135B (zh) 一种对空排汽调节阀
CN213711877U (zh) 密封结构和密封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