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9281A - 효율이 향상된 방파판 및 저장탱크 - Google Patents

효율이 향상된 방파판 및 저장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9281A
KR20230119281A KR1020220015213A KR20220015213A KR20230119281A KR 20230119281 A KR20230119281 A KR 20230119281A KR 1020220015213 A KR1020220015213 A KR 1020220015213A KR 20220015213 A KR20220015213 A KR 20220015213A KR 20230119281 A KR20230119281 A KR 202301192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tank
panels
panel
breakwater
improved effici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5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형
스테피엔피오트르
송수용
정동영
홍동희
김서영
정재환
김건우
김현석
Original Assignee
하이리움산업(주)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이리움산업(주), 한국해양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하이리움산업(주)
Priority to KR1020220015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9281A/ko
Priority to PCT/KR2022/003830 priority patent/WO2023149595A1/ko
Publication of KR20230119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928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52Anti-slosh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B65D88/128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tank containers, i.e. containers provided with supporting devices for hand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04Contents retaining means
    • B65D90/0066Partition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23Modular panels
    • B65D90/024Modular panels with features of cylindrical curv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2590/22Safety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효율이 향상된 방파판 및 저장탱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효율이 향상된 방파판은, 유체가 저장되는 저장탱크의 내부에 구비되는 방파판에 있어서, 상기 방파판은, 상기 저장탱크의 높이방향으로 각각 배치되며, 양 단이 상기 저장탱크의 내벽에 고정결합되는 복수 개의 패널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패널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단 및 하단이 각각 이웃한 다른 패널 또는 상기 저장탱크의 내벽과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Description

효율이 향상된 방파판 및 저장탱크{Breakwater board with improved efficiency and strage tank}
본 발명은 효율이 향상된 방파판 및 저장탱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정의 유체를 운송하기 위한 소정의 운송수단(예컨대, 탱크로리, 선박 등)에 탑재되는 저장탱크에서, 운송수단의 운행과정이나 노면(또는 수면)의 상태에 따라 저장된 극저온 유체의 급격한 출렁임을 억제하기 위한 방파판의 성능은 물론 설치 및 관리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에 관한 것이다.
화석 연료 사용에 따른 에너지 문제들에 대한 심각성이 대두되면서, 대체 연료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 중 수소를 연료로 하는 기술적 사상이 친환경적이면서 높은 효율을 가져 대체 연료로 각광받고 있으며, 휘발유나 경유 등이 아닌 수소를 연료로 하는 수소 차량은 물론, 드론 등의 소형 장치에도 그 활용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이러한 수소는 액화된 상태에서 보급되고 저장되고 있는데, 액화된 상태의 수소는 극저온 상태로 저장되어 액화수소와 같은 극저온 유체의 상태로 저장탱크에 저장된다. 이는 액화수소뿐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기체(예컨대, 질소, 천연가스 등)의 저장과 운송이 기체를 액화한 극저온 유체의 상태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극저온 유체의 단순 보관은 물론, 극저온 유체의 운송을 위해 극저온 유체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탱크가 필요하다.
특히, 극저온 유체의 운송을 위해 소정의 운송수단(예컨대, 탱크로리, 선박 등)에 탑재되는 저장탱크의 경우, 운송과정에서 내부에 저장된 극저온 유체를 가급적 안정적인 상태로 운송할 필요가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상기 운송수단이 탱크로리 또는 선박인 경우, 운송 과정에서 탱크로리나 선박의 급정거, 급출발, 급커브 등과 같은 상황이나, 노면의 상태, 해수면의 상태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저장탱크 내에 저장된 극저온 유체에 급격한 출렁임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급격한 출렁임이 극저온 유체의 안정적인 운송에 바람직하지 못하다는 것은 널리 알려져 있다.
특히, 상기 유체가 액화수소와 같은 극저온 유체일 경우, 저장탱크 내부에서 유체의 출렁임은 보일 오프 가스(boil off gas)의 발생을 유발할 수 있어 보다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예를 들어, 극저온 유체의 경우 극저온 유체가 차 있지 않은 저장탱크의 상부의 온도가 극저온 유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아질 수밖에 없는데, 저장탱크 내부에서 극저온 유체가 과도하게 출렁이는 경우 극저온 유체가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의 저장탱크 상부 구간을 반복적으로 지나면서, 결과적으로 극저온 유체의 온도가 상승하여 기화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보일 오프 가스가 보다 용이하게 발생할 수 있어 저장, 운송 효율은 물론 안전상의 위험까지 야기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저장탱크 내에서 이러한 극저온 유체의 급격한 출렁임을 억제하기 위한 방파판(혹은 슬로시 배플)에 대한 기술적 사상이 이미 공지된 바 있다. 이러한 예가 도 1에 도시된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저장탱크(10) 내에 소정 간격으로 적어도 하나의 방파판(20)들을 설치함으로써, 운송수단(예컨대, 탱크로리)의 급격한 움직임에도 저장탱크(10) 내 극저온 유체의 출렁임을 억제할 수 있음이 나타나 있다.
이러한 종래의 방파판(20)들은 저장탱크(10)의 내부 지름에 맞는 하나의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이러한 플레이트에 타공을 실시하여 복수 개의 구멍들이 형성된 형태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방파판(20)들이 저장탱크(10) 내부 유체의 출렁임 억제에 어느 정도 효과가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하나의 플레이트 형상인 방파판(20)의 테두리를 저장탱크(10)의 내벽에 고르게 설치하는 데에도 비교적 어렵고, 이후 관리나 교체에 있어서도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결국, 운송수단에 탑재되는 유체의 저장탱크에서, 운송 중 저장된 유체의 급격한 출렁임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하면서도, 방파판의 설치 및 관리가 용이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이 요구된다.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공개번호 10-2017-0057393, "보일 오프 가스의 재액화 설비")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운송수단에 탑재되는 저장탱크의 내부에서, 저장된 유체의 과도한 출렁임을 방지하기 위한 방파판을 복수 개의 패널들의 조합으로 구현하여, 유체의 출렁임 억제 효과는 물론 설치, 관리의 용이함까지 기대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효율이 향상된 방파판은, 유체가 저장되는 저장탱크의 내부에 구비되는 방파판에 있어서, 상기 방파판은, 상기 저장탱크의 높이방향으로 각각 배치되며, 양 단이 상기 저장탱크의 내벽에 고정결합되는 복수 개의 패널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패널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단 및 하단이 각각 이웃한 다른 패널 또는 상기 저장탱크의 내벽과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패널은, 상단 또는 하단 중 적어도 하나가 소정 길이만큼 절곡되어 형성되는 보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부는, 상기 저장탱크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절곡면과 반대방향으로 절곡되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패널들 중 어느 하나인 제1패널은, 양 단이 소정 길이만큼 절곡된 절곡면을 포함하며, 상기 절곡면을 통해 상기 저장탱크의 내벽에 고정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곡면은, 적어도 1회 이상 절개되어 복수 개의 파트들로 구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패널들 중 어느 하나인 제1패널은, 상단 또는 하단 중 적어도 하나의 일부가 상기 저장탱크의 높이방향으로 적어도 한 번 절곡되어 형성되는 보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효율이 향상된 방파판은, 유체가 저장되는 저장탱크의 내부에 구비되는 방파판에 있어서, 상기 방파판은, 상기 저장탱크의 높이방향으로 각각 배치되어, 양 단이 상기 저장탱크의 내벽에 고정결합되는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패널은, 상단 및 하단이 각각 상기 저장탱크의 내벽과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널은, 소정의 높이를 가지며 저장탱크의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홀은, 양 단부가 상기 패널의 양 측단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로 근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저장탱크는, 유체가 저장되는 저장탱크, 및 상기 저장탱크 내부에 구비되는 방파판을 포함하며, 상기 방파판은, 상기 저장탱크의 높이방향으로 각각 배치되며, 양 단이 상기 저장탱크의 내벽에 고정결합되는 복수 개의 패널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패널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단 및 하단이 각각 이웃한 다른 패널 또는 상기 저장탱크의 내벽과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운송수단에 탑재되는 저장탱크의 내부에서, 저장된 유체의 과도한 출렁임을 방지하기 위한 방파판을 복수 개의 패널들의 조합으로 구현하여, 유체의 출렁임 억제 효과는 물론 설치, 관리가 용이한 유리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방파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효율이 향상된 방파판의 구현 예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효율이 향상된 방파판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효율이 향상된 방파판의 절곡면 및 보강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효율이 향상된 방파판의 구현 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효율이 향상된 방파판의 구현 예를 나타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효율이 향상된 방파판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효율이 향상된 방파판(100)은 소정의 유체가 저장되는 저장탱크(10)의 내벽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패널들(예컨대, 110, 120, 1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 상기 효율이 향상된 방파판(100)은 복수 개의 패널들(예컨대, 110, 120, 130)이 아닌, 하나의 패널만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인 y축을 저장탱크(10)의 높이방향, 지면과 수평을 이루는 방향인 x축을 저장탱크(10)의 폭 방향, 지면과 수평을 이루며 저장탱크(10)를 관통하는 방향인 z축을 저장탱크(10)의 길이방향으로 정의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기 유체는 소정의 가스가 액화된 상태의 액화 가스인 극저온 유체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유체가 수소가 액화된 액화수소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유체는 액화질소, 액화헬륨, 액화 천연가스 등과 같이 다양한 종류의 기체가 액화된 극저온 유체일 수 있으며, 또는 휘발유, 경유 등과 같은 유류나 기타 다양한 종류의 액체류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이러한 유체의 종류에 무관하게 후술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평균적인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상기 유체가 액화수소와 같은 극저온 유체일 경우, 저장탱크(10) 내부에서 유체의 출렁임은 보일 오프 가스(boil off gas)의 발생을 유발할 수 있어 보다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예컨대, 극저온 유체의 경우 극저온 유체가 차 있지 않은 저장탱크(10)의 상부의 온도가 극저온 유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아질 수밖에 없는데, 저장탱크(10) 내부에서 극저온 유체가 과도하게 출렁이는 경우 극저온 유체가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의 저장탱크(10) 상부 구간을 반복적으로 지나면서, 결과적으로 극저온 유체의 온도가 상승하여 기화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보일 오프 가스의 발생이 보다 용이하게 될 수 있어 극저온 유체의 운송 및/또는 저장 효율이 크게 저하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저장탱크(10)는 유체가 저장되는 내조탱크와, 상기 내조탱크와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상기 내조탱크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외조탱크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별다른 설명이 없는 한 본 명세서에서 상기 저장탱크(10)라고 함은 상기 유체가 직접 저장되는 내조탱크를 의미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저장탱크(10)가 단일 탱크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기 내조탱크 및 상기 외조탱크의 물리적인 구분이 사실상 어려운 경우가 존재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탱크(10)는 극저온 유체를 운송하는 소정의 운송수단에 탑재될 수 있다. 상기 운송수단은 예컨대, 탱크로리, 선박 등과 같이 각종 액체류를 운송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운송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후술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되는 경우 유체의 보다 안정적인 운송이 가능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저장탱크(10)가 운송수단에 탑재되어 운송되는 경우 노면 또는 수면의 상태나 운송수단의 운행 과정(예컨대, 급정지, 급출발, 급커브 등)에서 상기 저장탱크(10) 내부에 저장된 유체의 과도한 출렁임이 발생할 수 있다. 이처럼 운송 중인 유체의 과도한 출렁임을 억제하기 위해 운송수단에 탑재되는 저장탱크들의 경우 다양한 형태의 방파판(슬로시 배플)들이 사용되고 있음은 널리 알려져 있다. 이러한 방파판들은 저장탱크(10)의 부피나 기타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다양한 개수가 적용되고 있다.
종래의 방파판들 특히, 운송수단에 탑재되는 저장탱크(10)에 구비되는 방파판들은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저장탱크(10)의 내부 지름에 맞는 하나의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하나의 플레이트 테두리가 저장탱크(10)의 내벽에 용접 등의 방식으로 빈틈없이 결합되는 형태가 주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플레이트에 타공을 실시하여, 복수 개의 구멍들이 형성된 형태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방파판들은 물론 저장탱크(10) 내부에서 유체의 과도한 출렁임을 어느 정도 억제할 수 있는 것이 사실이나, 본 발명은 종래의 방파판들에 비해 보다 효율적이면서 유체의 출렁임을 잘 억제할 수 있는 방파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효율이 향상된 방파판(100)은, 종래의 일반적인 방파판들과 달리, 전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폭을 가진 복수 개의 패널들(예컨대, 110, 120, 130)이 하나의 방파판(100)을 형성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패널들(예컨대, 110, 120, 130)은 각각 상기 저장탱크(10)의 높이방향(예컨대, 도 2의 y축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며, 양 단이 상기 저장탱크(10)의 내벽에 고정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패널들(예컨대, 110, 120, 130)은 각각 소정의 간격만큼 서로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 개의 패널들(예컨대, 110, 120, 130) 중 제1패널(예컨대, 110)은 상단 및 하단이 각각 이웃한 나머지 패널(예컨대, 120, 130) 및/또는 상기 저장탱크(10)의 내벽과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상기 복수 개의 패널들(예컨대, 110, 120, 130) 각각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 개의 패널들(예컨대, 110, 120, 130) 중 제1패널(예컨대, 110)과 제2패널(예컨대, 120)이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있을 때, 제2패널(예컨대, 120)과 제3패널(예컨대, 130)은 동일한 간격만큼 이격되어 있을 수도 있고, 다른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있을 수도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제1패널(예컨대, 110)과 상기 제2패널(예컨대, 120)은 서로 이격되어 있으나 상기 제2패널(예컨대, 120)과 상기 제3패널(예컨대, 130)은 이격되지 않고 각각의 상단 및/또는 하단이 맞붙어 있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어떠한 경우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상기 복수 개의 패널들(예컨대, 110, 120, 130) 중 적어도 하나의 패널이 이웃한 다른 패널 및/또는 저장탱크(10)의 내벽과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가장 상단에 위치한 패널(110)을 제1패널로 설명하지만, 제1패널이 반드시 복수 개의 패널들(예컨대, 110, 120, 130) 중 가장 상단에 위치하는 패널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효율이 향상된 방파판(100)이 3개의 패널들(예컨대, 110, 120, 130)로 이루어진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패널들의 개수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효율이 향상된 방파판(100)은 하나의 패널로만 구성될 수도 있고, 2개의 패널들로 구성되거나, 구현 예에 따라서는 4개, 혹은 그 이상의 패널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처럼 상기 복수 개의 패널들(예컨대, 110, 120, 130) 및/또는 상기 저장탱크(10)의 내벽과 이격된 간격을 통해 상기 저장탱크(10) 내부에 저장된 유체가 이동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 개의 패널들(예컨대, 110, 120, 130) 간에 이격된 틈이 종래 방파판에 타공된 구멍들과 동일 또는 유사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종래와 같이 하나의 방파판이 저장탱크(10)의 내부 지름에 맞는 하나의 플레이트로 구성되어 테두리가 모두 저장탱크(10)의 내벽과 결합되지 않고 본 발명과 같이 복수 개의 패널들(예컨대, 110, 120, 130)로 구성되는 경우, 설치와 관리가 보다 용이해질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복수 개의 패널들(예컨대, 110, 120, 130) 중 가장 상단에 위치하는 패널(예컨대, 제1패널(예컨대, 110))의 상부와 가장 하단에 위치하는 패널(예컨대, 제3패널(예컨대, 130))의 하부가 각각 저장탱크(10)의 내벽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유체를 저장하는 저장탱크(10)는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가 많고, 이에 따라 저장탱크(10)의 내벽으로부터 가장 상단에 위치하는 패널(예컨대, 제1패널(예컨대, 110))의 상부와 가장 하단에 위치하는 패널(예컨대, 제3패널(예컨대, 130))의 하부가 각각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적 넓은 간격을 두고 이격될 수 있다.
이는 방파판(100)의 하부 및 상부에서 각각 유체와 기체(예컨대, 유체가 기화된 기체)의 유동이 종래의 방파판에 비해 비교적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 유체의 표면부는 각 패널들(예컨대, 110, 120, 130)과 그 사이 간격에 의해 출렁임이 억제될 수 있도록 하는 유리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효율이 향상된 방파판의 절곡면 및 보강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효율이 향상된 방파판(100)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패널들(예컨대, 110, 120, 130) 중 제1패널(예컨대, 110)은 양 단이 저장탱크(10)의 길이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면(111)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패널(예컨대, 110)은 양 단이 절곡되며 형성되는 절곡면(111)을 통해 상기 저장탱크(10)의 내벽에 고정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저장탱크(10)는 단면이 원형인 경우가 많으므로, 곡면인 저장탱크(10)의 내벽에 고정결합되기 위해 상기 절곡면(111)은 적어도 한 군데 이상 절개되어 2개 이상의 파트(예컨대, 111a, 111b)로 나뉘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패널(예컨대, 110)은 하나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테두리가 저장탱크(10)의 내벽에 모두 고정되는 종래의 방파판과 달리, 양 단의 절곡면(111) 부분만 저장탱크(10)의 내벽에 고정결합되기 때문에, 유체의 유동이나 출렁임 등에 의한 충격이나 쏠림에 의해 상단부나 하단부의 크랙이나 휘어짐과 같은 파손 위험이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파손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패널(예컨대, 110)은 보강부(예컨대, 112-1, 112-2)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예컨대, 112-1, 112-2)는 상기 제1패널(예컨대, 110)의 상단 및/또는 하단부의 일부가 저장탱크(10)의 높이방향으로 적어도 한 번 절곡되며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패널(예컨대, 110)의 상단부의 일부를 하단부를 향해 저장탱크(10)의 높이방향으로 소정 각도만큼(예컨대, 직각 또는 직각에 가까운 각도) 절곡하고, 절곡된 부분 중 일부가 다시 소정 각도만큼(예컨대, 직각 또는 직각에 가까운 각도)로 절곡하여 보강부(예컨대, 112-1)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직각에 가까운 각도라 함은, 절곡되는 각도가 반드시 직각(즉, 90도)은 아니더라도 소정 범위 내에서 직각에 가까운 각도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효율이 향상된 방파판(100)은 복수 개의 패널들(예컨대, 110, 120, 130)이 아닌, 하나의 패널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대해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효율이 향상된 방파판의 구현 예를 나타낸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효율이 향상된 방파판(100)은 하나의 패널(110-1)이 저장탱크(10)의 내부에 구비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패널(110-1)은 상단부 및 하단부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저장탱크(10)의 내벽과 이격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홀들(예컨대, 111-1, 111-2)이 타공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홀들(예컨대, 111-1, 111-2)은 소정의 너비를 가지고 상기 저장탱크(10)의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홀들(예컨대, 111-1, 111-2)의 양단부는 상기 패널(110-1)의 양 측단에 소정 거리 이내로 근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패널(110-1)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홀들(예컨대, 111-1, 111-2)에 의해 완전히 나뉘어지지는 않지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홀들(예컨대, 111-1, 111-2)이 전술한 실시 예에서 복수 개의 패널들(예컨대, 110, 120, 130)이 각각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며 발생하는 틈과 동일 또는 유사한 효과를 가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효율이 향상된 방파판(100)은 도 5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하나의 패널(110-1)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저장탱크(10)의 폭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홀들(예컨대, 111-1, 111-2)이 길게 형성되는 도 5의 실시 예와 달리,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는 패널(110-1)에 별도의 홀이 형성되지 않거나, 또는 종래의 방파판들과 유사하게 소정 크기의 제2홀(예컨대, 111-3)이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홀(예컨대, 111-3)은 도면에 점선으로 도시된 것과 같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필요에 따라 그 형태나 크기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들과 같이, 효율이 향상된 방파판(100)이 하나의 패널(110-1)로 구성되는 경우에도, 상기 패널(110-1)의 상단 및 하단은 각각 저장탱크(10)의 내벽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저장탱크(10)의 내벽과 이격된 공간을 통해 저장탱크(10) 내에 저장된 유체 및/또는 기체가 유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효율이 향상된 방파판(100)이 하나의 패널(110-1)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도 4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저장탱크(10)의 내벽으로부터 이격된 상단 및/또는 하단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부가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처럼 상기 효율이 향상된 방파판(100)은 방파판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패널들(예컨대, 110, 120, 130), 또는 하나의 패널(110-1)의 양 측단만 저장탱크(10)의 내벽에 결합되고, 상단 및 하단이 각각 이웃한 다른 패널 및/또는 저장탱크(10)의 내벽과 이격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저장탱크(10)에 저장된 유체의 출렁임은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하면서도 설치 및 관리가 용이한 유리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효율이 향상된 방파판(100)이 구비된 저장탱크(10)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저장탱크(10)는 유체가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탱크 내부에 구비되는 방파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방파판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저장탱크(10)의 높이방향으로 각각 배치되며, 양 단이 상기 저장탱크의 내벽에 고정결합되는 복수 개의 패널들(예컨대, 110, 120, 130)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복수 개의 패널들(예컨대, 110, 120, 130)들 중 적어도 하나의 상단 및 하단이 각각 이웃한 다른 패널 또는 상기 저장탱크(10)의 내벽과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8)

  1. 유체가 저장되는 저장탱크의 내부에 구비되는 방파판에 있어서,
    상기 방파판은,
    상기 저장탱크의 높이방향으로 각각 배치되며, 양 단이 상기 저장탱크의 내벽에 고정결합되는 복수 개의 패널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패널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단 및 하단이 각각 이웃한 다른 패널 또는 상기 저장탱크의 내벽과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효율이 향상된 방파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패널들 중 어느 하나인 제1패널은,
    상단 또는 하단 중 적어도 하나의 일부가 상기 저장탱크의 높이방향으로 적어도 한 번 절곡되어 형성되는 보강부를 포함하는 효율이 향상된 방파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패널들 중 어느 하나인 제1패널은,
    양 단이 소정 길이만큼 절곡된 절곡면을 포함하며, 상기 절곡면을 통해 상기 저장탱크의 내벽에 고정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율이 향상된 방파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면은,
    적어도 1회 이상 절개되어 복수 개의 파트들로 구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율이 향상된 방파판.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널은,
    상단 또는 하단 중 적어도 하나가 소정 길이만큼 절곡되어 형성되는 보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부는,
    상기 저장탱크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절곡면과 반대방향으로 절곡되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율이 향상된 방파판.
  6. 유체가 저장되는 저장탱크의 내부에 구비되는 방파판에 있어서,
    상기 방파판은,
    상기 저장탱크의 높이방향으로 각각 배치되어, 양 단이 상기 저장탱크의 내벽에 고정결합되는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패널은,
    상단 및 하단이 각각 상기 저장탱크의 내벽과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효율이 향상된 방파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소정의 높이를 가지며 저장탱크의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홀은,
    양 단부가 상기 패널의 양 측단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로 근접하도록 형성되는 효율이 향상된 방파판.
  8. 유체가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탱크 내부에 구비되는 방파판을 포함하며,
    상기 방파판은,
    상기 저장탱크의 높이방향으로 각각 배치되며, 양 단이 상기 저장탱크의 내벽에 고정결합되는 복수 개의 패널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패널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단 및 하단이 각각 이웃한 다른 패널 또는 상기 저장탱크의 내벽과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
KR1020220015213A 2022-02-07 2022-02-07 효율이 향상된 방파판 및 저장탱크 KR2023011928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5213A KR20230119281A (ko) 2022-02-07 2022-02-07 효율이 향상된 방파판 및 저장탱크
PCT/KR2022/003830 WO2023149595A1 (ko) 2022-02-07 2022-03-18 효율이 향상된 방파판 및 저장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5213A KR20230119281A (ko) 2022-02-07 2022-02-07 효율이 향상된 방파판 및 저장탱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9281A true KR20230119281A (ko) 2023-08-16

Family

ID=87552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5213A KR20230119281A (ko) 2022-02-07 2022-02-07 효율이 향상된 방파판 및 저장탱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19281A (ko)
WO (1) WO2023149595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7393A (ko) 2014-09-19 2017-05-24 오사까 가스 가부시키가이샤 보일 오프 가스의 재액화 설비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786533A (zh) * 2009-01-23 2010-07-28 胜狮货柜技术研发(上海)有限公司 一种液体罐式集装箱
US10029848B2 (en) * 2010-05-05 2018-07-24 Victor Yaremenko Flexible liquid transport tank with surge dampening baffles
CN205387298U (zh) * 2016-03-22 2016-07-20 河北昌骅专用汽车有限公司 一种防波板装置
JP7068754B2 (ja) * 2018-06-20 2022-05-17 日本車輌製造株式会社 タンクローリ
CN209905583U (zh) * 2019-02-01 2020-01-07 山东盛润汽车有限公司 一种罐车防波板
CN209739876U (zh) * 2019-04-18 2019-12-06 辽宁陕汽金玺装备制造有限公司 分体式罐式运输车用防波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7393A (ko) 2014-09-19 2017-05-24 오사까 가스 가부시키가이샤 보일 오프 가스의 재액화 설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49595A1 (ko) 2023-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300319A (ja) アンカーを利用した液化天然ガスの保存タンク
KR101670869B1 (ko) Lng 저장 탱크의 슬로싱 저감 장치
KR20230119281A (ko) 효율이 향상된 방파판 및 저장탱크
KR101903089B1 (ko) 슬로싱 저감판 및 이를 갖는 해양 구조물의 액화가스 저장탱크
KR102610803B1 (ko) 운송수단을 위한 극저온 유체 저장탱크
KR101984981B1 (ko) 해양 구조물의 액화가스 저장탱크
KR102469329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
KR102623433B1 (ko) 선박용 액화수소 연료탱크, 이에 이용되는 연결부 서포트 시스템, 효율이 향상된 방파판 및 단열 성능 향상을 위한 증기 냉각 차단막
KR101707179B1 (ko) 다중형 가스 저장용기
KR102445126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0487822Y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490934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
KR102445125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630600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1894946B1 (ko) 해양 구조물의 액화가스 저장탱크
KR20160004755A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KR102132720B1 (ko) 가스 벤트 조립체 및 이를 갖춘 액화가스 저장탱크
KR20170045926A (ko)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180027662A (ko) 저장탱크
KR101372865B1 (ko) 슬로싱 저감형 lng 카고 탱크
KR102281801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280771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280769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180107361A (ko) 독립형 저장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
KR102418133B1 (ko) Lng 캐리어 선형의 해상 부유물 및 그 해상 부유물 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