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8685A - 보조 리소스 세트 결정 방법, 장치 및 저장 매체(resourceset determining method an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 Google Patents

보조 리소스 세트 결정 방법, 장치 및 저장 매체(resourceset determining method an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8685A
KR20230118685A KR1020237024590A KR20237024590A KR20230118685A KR 20230118685 A KR20230118685 A KR 20230118685A KR 1020237024590 A KR1020237024590 A KR 1020237024590A KR 20237024590 A KR20237024590 A KR 20237024590A KR 20230118685 A KR20230118685 A KR 202301186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resource set
resource
resources
determ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4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웬수 자오
Original Assignee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118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868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5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between terminals via a wireless link, e.g. side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40Resource management for direct mode communication, e.g. D2D or sidelin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보조 리소스 세트 결정 방법, 장치 및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제1 기기에 의해 실행되는 보조 리소스 세트 결정 방법은 보조 리소스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리소스 세트는 상기 제1 기기에 의해 감지된 후보 보조 리소스 세트 내의 일부 시간 주파수 리소스를 포함한다. 본 개시에 따르면, 상기 제2 기기에 보고된 리소스 수를 감소시키고, 나아가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보조 리소스 세트 결정 방법, 장치 및 저장 매체(RESOURCE SET DETERMINING METHOD AN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본 개시는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조 리소스 세트 결정 방법, 장치 및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이래, 제3세대 파트너십(Third Generation Partnership, 3GPP)은 단말에서 단말로 직접 통신하는 표준으로 하는 사이드링크(Sidelink, SL, 다이렉트링크라고도 불린다)의 표준을 제정하고 있다. 2020년 7월, 새로운 무선(New Radio, NR) Sidelink의 첫 번째 표준은 이미 버전(Release) 16(이하 Rel-16으로 약칭한다)으로 완성되고, NR Sidelink의 해결 방안은 주로차량부터 모든 것까지(Vehicle to Everything, V2X)와 공공 안전에 사용된다. V2X와 공공 안전에 대해 시간적 제약으로 인해 Release 16은 서비스 요구와 운용 방안을 완전히 지원하지 않으며, 서비스와 시스템(Service and System Aspects, SA)은 Release 17 NR Sidelink에서 일부 확장을 수행하고, 예를 들어 3GPP에 대해 고급 V2X 서비스를 지원하는 아키텍처의 확장과 시스템의 확장이다. 또한 SA 워크 그룹에서, NR Sidelink와 관련된 다른 비즈니스 사용 사례, 예를 들어 네트워크 제어 인터랙티브 서비스, 강화 에너지 효율 릴레이, 광범위한 커버 범위, 시청각 서비스 제작을 연구하고 있다. 따라서, 3GPP 제86차 총회에서는, Release17의 프로젝트에서, NR Sidelink 확장을 작업 항목으로 하며, Sidelink 전송의 신뢰성을 강화하고 지연을 줄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NR Sidelink 확장에서, 사이드 통신의 사용자 기기 A에 대해 리소스 선택 방식이 mode 2인 사용자 기기 B에 하나의 보조 리소스 세트를 송신할 수 있고, 사용자 기기 B는 자신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리소스 선택을 수행할 때 고려한다. 그러나, 관련 기술에서, 사용자 기기 A가 보조 리소스 세트를 송신할 때, 감지되는 보조 리소스 세트의 리소스 수가 많기 때문에, 사용자 기기 A가 보조 리소스 세트를 송신하는 시그널링 오버헤드가 크다.
관련 기술에 존재하는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본 개시는 보조 리소스 세트 결정 방법, 장치 및 저장 매체를 제공하여 리소스 이용률을 높이고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제1 측면에 따르면, 보조 리소스 세트 결정 방법을 제공하고, 제1 기기에 의해 실행되며, 상기 방법은 보조 리소스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이고, 상기 보조 리소스 세트는 상기 제1 기기에 의해 감지된 후보 보조 리소스 세트 내의 일부 시간 주파수 리소스를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 리소스 세트는 제1 리스트 길이를 가진 리소스 리스트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 리소스 세트는 상기 후보 보조 리소스 세트에서 랜덤으로 선택된, 상기 제1 리스트 길이에 적합한 시간 주파수 리소스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 리소스 세트는 참조 신호 수신 전력에 기반하여 상기 후보 보조 리소스 세트에서 선택된, 상기 제1 리스트 길이에 적합한 시간 주파수 리소스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 리소스 세트는 참조 신호 수신 전력 값이 작은 순서에서 큰 순서로, 상기 후보 보조 리소스 세트에서 선택된, 상기 제 1 리스트 길이에 적합한 시간 주파수 리소스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리스트 길이는 미리 설정된 고정 리스트 길이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리스트 길이는 제1 비율에 대한 비율 오프셋 값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1 비율은 상기 후보 보조 리소스 세트 내의 리소스와 제2 기기의 리소스 선택 창 내의 리소스의 비율이 만족하는 가장 작은 비율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리스트 길이는 제2 기기의 리소스 선택 창 내의 리소스 수, 제1 비율 및 제1 비율에 대한 비율 오프셋 값에 기반하여 결정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 리소스 세트는 제2 기기의 리소스 선택 창 내에 있는 제1 슬롯 길이를 가진 시간 주파수 리소스이고, 상기 제1 슬롯 길이가 제2 기기의 리소스 선택 창 내의 슬롯 길이보다 작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 리소스 세트는 제1 시간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제1 슬롯 길이를 가진 연속 시간 주파수 리소스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시간은 상기 리소스 선택 창의 시작 시간 또는 종료 시간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 리소스 세트 결정 방법은, 상기 보조 리소스 세트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제2 측면에 따르면, 보조 리소스 세트 결정 방법을 제공하고, 제2 기기에 의해 실행되며, 상기 보조 리소스 세트 결정 방법은 보조 리소스 세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리소스 세트는 제1 기기에 의해 감지된 후보 보조 리소스 세트 내의 일부 시간 주파수 리소스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 리소스 세트는 제1 리스트 길이를 가진 리소스 리스트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 리소스 세트는 상기 후보 보조 리소스 세트에서 랜덤으로 선택된, 상기 제1 리스트 길이에 적합한 시간 주파수 리소스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 리소스 세트는 참조 신호 수신 전력에 기반하여 상기 후보 보조 리소스 세트에서 선택된, 상기 제1 리스트 길이에 적합한 시간 주파수 리소스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 리소스 세트는 참조 신호 수신 전력 값이 작은 순서에서 큰 순서로, 상기 후보 보조 리소스 세트에서 선택된, 상기 제 1 리스트 길이에 적합한 시간 주파수 리소스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리스트 길이는 미리 설정된 고정 리스트 길이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리스트 길이는 제1 비율에 대한 비율 오프셋 값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1 비율은 상기 후보 보조 리소스 세트 내의 리소스와 제2 기기의 리소스 선택 창 내의 리소스의 비율이 만족하는 가장 작은 비율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리스트 길이는 제2 기기의 리소스 선택 창 내의 리소스 수, 제1 비율 및 제1 비율에 대한 비율 오프셋 값에 기반하여 결정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 리소스 세트는 제2 기기의 리소스 선택 창 내에 있는 제1 슬롯 길이를 가진 시간 주파수 리소스이고, 상기 제1 슬롯 길이가 제2 기기의 리소스 선택 창 내의 슬롯 길이보다 작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 리소스 세트는 제1 시간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제1 슬롯 길이를 가진 연속 시간 주파수 리소스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시간은 상기 리소스 선택 창의 시작 시간 또는 종료 시간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제3 측면에 따르면, 보조 리소스 세트 결정 장치를 제공하고, 제1 기기에 의해 실행되며, 상기 장치는 보조 리소스 세트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처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 리소스 세트는 상기 제1 기기에 의해 감지된 후보 보조 리소스 세트 내의 일부 시간 주파수 리소스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 리소스 세트는 제1 리스트 길이를 가진 리소스 리스트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 리소스 세트는 상기 후보 보조 리소스 세트에서 랜덤으로 선택된, 상기 제1 리스트 길이에 적합한 시간 주파수 리소스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 리소스 세트는 참조 신호 수신 전력에 기반하여 상기 후보 보조 리소스 세트에서 선택된, 상기 제1 리스트 길이에 적합한 시간 주파수 리소스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 리소스 세트는 참조 신호 수신 전력 값이 작은 순서에서 큰 순서로, 상기 후보 보조 리소스 세트에서 선택된, 상기 제 1 리스트 길이에 적합한 시간 주파수 리소스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리스트 길이는 미리 설정된 고정 리스트 길이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리스트 길이는 제1 비율에 대한 비율 오프셋 값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1 비율은 상기 후보 보조 리소스 세트 내의 리소스와 제2 기기의 리소스 선택 창 내의 리소스의 비율이 만족하는 가장 작은 비율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리스트 길이는 제2 기기의 리소스 선택 창 내의 리소스 수, 제1 비율 및 제1 비율에 대한 비율 오프셋 값에 기반하여 결정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 리소스 세트는 제2 기기의 리소스 선택 창 내에 있는 제1 슬롯 길이를 가진 시간 주파수 리소스이고, 상기 제1 슬롯 길이가 제2 기기의 리소스 선택 창 내의 슬롯 길이보다 작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 리소스 세트는 제1 시간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제1 슬롯 길이를 가진 연속 시간 주파수 리소스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시간은 상기 리소스 선택 창의 시작 시간 또는 종료 시간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 리소스 세트 결정 장치는 상기 보조 리소스 세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유닛을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제4 측면에 따르면, 보조 리소스 세트 결정 장치를 제공하고, 제2 기기에 의해 실행되며, 상기 보조 리소스 세트 결정 장치는 보조 리소스 세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 리소스 세트는 제1 기기에 의해 감지된 후보 보조 리소스 세트 내의 일부 시간 주파수 리소스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 리소스 세트는 제1 리스트 길이를 가진 리소스 리스트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 리소스 세트는 상기 후보 보조 리소스 세트에서 랜덤으로 선택된, 상기 제1 리스트 길이에 적합한 시간 주파수 리소스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 리소스 세트는 참조 신호 수신 전력에 기반하여 상기 후보 보조 리소스 세트에서 선택된, 상기 제1 리스트 길이에 적합한 시간 주파수 리소스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 리소스 세트는 참조 신호 수신 전력 값이 작은 순서에서 큰 순서로, 상기 후보 보조 리소스 세트에서 선택된, 상기 제 1 리스트 길이에 적합한 시간 주파수 리소스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리스트 길이는 미리 설정된 고정 리스트 길이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리스트 길이는 제1 비율에 대한 비율 오프셋 값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1 비율은 상기 후보 보조 리소스 세트 내의 리소스와 제2 기기의 리소스 선택 창 내의 리소스의 비율이 만족하는 가장 작은 비율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리스트 길이는 제2 기기의 리소스 선택 창 내의 리소스 수, 제1 비율 및 제1 비율에 대한 비율 오프셋 값에 기반하여 결정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 리소스 세트는 제2 기기의 리소스 선택 창 내에 있는 제1 슬롯 길이를 가진 시간 주파수 리소스이고, 상기 제1 슬롯 길이가 제2 기기의 리소스 선택 창 내의 슬롯 길이보다 작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 리소스 세트는 제1 시간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제1 슬롯 길이를 가진 연속 시간 주파수 리소스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시간은 상기 리소스 선택 창의 시작 시간 또는 종료 시간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제5 측면에 따르면, 보조 리소스 세트 결정 장치를 제공하고,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 중 어느 하나의 실시 방식에 기재된 보조 리소스 세트 결정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제6 측면에 따르면, 보조 리소스 세트 결정 장치를 제공하고,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2 측면 또는 제2 측면 중 어느 하나의 실시 방식에 기재된 보조 리소스 세트 결정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제7 측면에 따르면,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고, 상기 저장 매체에서의 명령이 이동 단말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 이동 단말이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 중 어느 하나의 실시 방식에 기재된 상기 보조 리소스 세트 결정 방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제8 측면에 따르면,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고, 상기 저장 매체에서의 명령이 이동 단말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 이동 단말이 제2 측면 또는 제2 측면 중 어느 하나의 실시 방식에 기재된 보조 리소스 세트 결정 방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제9 측면에 따르면,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더 제공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중의 명령이 실행될 경우, 본 출원의 임의의 실시예에 기재된 보조 리소스 세트 결정 방법을 수행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기술 방안은 하기와 같은 유익한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기에 의해 감지된 후보 보조 리소스 세트 내의 일부 시간 주파수 리소스를 보조 리소스 세트로 결정함으로써, 제2 기기에 보고하는 리소스 수를 감소시키고, 나아가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위의 일반 설명과 후술한 세부 설명은 예시적이고 해석적일 뿐 본 개시의 실시예를 제한할 수 없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의 도면은 명세서에 통합되고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여, 본 개시에 부합되는 실시예를 나타내고, 명세서와 함께 본 개시의 원리를 해석한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보조 리소스 세트 결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보조 리소스 세트 결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보조 리소스 세트 결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의 제 1 기기가, 제 1 기기에 의해 감지된 후보 보조 리소스 세트에서, 제 1 리스트 길이에 적합한 시간 주파수 리소스를 보조 리소스 세트로서 랜덤으로 선택하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의 제 1 기기가 RSRP에 기반하여 감지된 후보 보조 리소스 세트에서 제 1 리스트 길이에 적합한 시간 주파수 리소스를 보조 리소스 세트로 랜덤으로 선택하는 개략도이다.
도 7은 기존 기술로 결정된 후보 보조 리소스 세트의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의 제 1 기기가 제 2 기기의 리소스 선택 창 내의 리소스 수, 제 1 비율 및 제 1 비율에 대한 비율 오프셋 값에 기반하여 제 1 리스트 길이를 결정하고, 보조 리소스 세트의 결정을 수행하는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의 제 1 기기가 제 2 기기의 리소스 선택 창에 기반하여 보조 리소스 세트를 결정할 수 있는 개략도이다.
도 10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보조 리소스 세트 결정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보조 리소스 세트 결정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2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보조 리소스 세트 결정을 위한 장치의 블록도이다.
아래에서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당해 예시는 도면에서 나타나고, 하기의 설명이 도면에 관한 것일 경우, 다른 표시가 없으면, 상이한 도면에서 동일한 수자는 동일한 또는 비슷한 요소를 표시한다. 하기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설명한 실시 형태는 본 개시과 일치한 모든 실시 형태를 대표하는 것은 아니다. 반면, 그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본 개시의 일부 측면과 일치한 장치 및 방법의 예일 뿐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보조 리소스 세트 결정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사이드 통신 시스템에 적용 가능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링크 통신 기기 사이에서 사이드 통신을 수행하는 시나리오에서, 네트워크 기기는 사이드 링크 통신 기기 1에 데이터 전송을 위한 다양한 전송 파라미터를 설정한다. 사이드 링크 통신 기기 1, 사이드 링크 통신 기기 2 및 사이드 링크 통신 기기 3은 사이드 통신을 수행한다. 사이드 링크 통신 기기 2와 사이드 링크 통신 기기 3 사이에 장애물이 존재할 수 있다. 네트워크 기기와 사이드 링크 통신 기기 사이에 통신하는 링크는 업링크 다운링크이고, 사이드 링크 통신 기기와 사이드 링크 통신 기기 사이의 링크는 사이드 링크(sidelink)이다.
본 개시에서 사이드 링크 통신 기기 사이에서 직접 통신하는 통신 시나리오는 차량용 무선 통신 기술(Vehicle to Everything, V2X) 서비스 시나리오일 수 있다. 여기서 V는 차량 탑재 기기를 나타내고 X는 차량 탑재 기기와 인터랙션을 하는 임의의 객체를 나타낸다. 현재 X는 주로 차량 탑재 기기, 핸드헬드 기기, 교통 도로측 인프라 및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V2X 인터랙션의 정보 패턴은 차량 탑재 기기와 차량 탑재 기기 사이(Vehicle to Vehicle, V2V), 차량 탑재 기기와 도로측 기기 사이(Vehicle to Infrastructure, V2I), 차량 탑재 기기와 핸드헬드 기기 사이(Vehicle to Pedestrian, V2P), 차량 탑재 기기와 네트워크 사이(Vehicle to Network, V2N)의 인터렉션을 포함한다.
차세대 5G 이동 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3GPP Rel-16에서 5G NR 기술을 이용함으로써 차량 관리(Vehicles Platooning), 감지 확장(Extended Sensors), 첨단 운전(Advanced Driving) 및 원격 운전(Remote Driving) 등 새로운 V2X 통신 서비스와 시나리오에 대한 지원을 구현한다. 전체적으로 말하면, 5G V2X sidelink는 더 높은 통신 속도, 더 짧은 통신 지연, 더 신뢰성 높은 통신 품질을 제공할 수 있다.
사이드 링크 통신 기기 사이의 직접 통신의 통신 시나리오는 단말 사이(Device to Device, D2D)의 통신 시나리오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사이드 링크 통신 기기는 다양한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핸드헬드 기기, 차량 탑재 기기, 장착 가능 기기, 컴퓨팅 기기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되는 다른 처리 기기 및 다양한 형식의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 UE), 모바일 스테이션(Mobile Station, MS), 단말(Terminal), 단말 기기(Terminal Equipmen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쉽게 설명하기 위해, 본 개시의 실시예는 하기의 사이드 링크 통신 기기를 사용자 기기로 하는 예로 설명한다.
NR Sidelink의 확장은 전송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시간 지연을 줄일 수 있다. NR Sidelink 확장에서, mode2 리소스 할당을 확장한다는 점에서, 3GPP 워킹 그룹은 사용자 기기 간 리소스 선택을 보조하는 방식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결론 내렸다. 이러한 방식에서, 2개의 사용자 기기가 규정되고, 예를 들어 사용자 기기 A는 사용자 기기 B의 보조 사용자 기기이고, 사용자 기기 B는 자신이 송신되는 데이터를 위해 리소스 선택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 사용자 기기를 가리킨다.
사용자 기기 A는 하나의 리소스 세트를 결정하고, mode 2의 방식으로 사용자 기기 B에 송신하고, 사용자 기기 B는 리소스 선택을 수행할 때 사용자 기기 A에 의해 송신된 보조 리소스 세트를 고려하고, 즉 사용자 기기 B가 보조 리소스 세트 협력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리소스 선택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사용자 기기 B는 사용자 기기 A 및/또는 다른 사용자 기기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 기기 A가 보조 리소스 세트를 송신할 때, 사용자 기기 A가 감지한 모든 후보 보조 리소스 세트를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 사용자 기기 B에 송신할 경우, 감지한 후보 보조 리소스 세트 내의 리소스 수가 클 경우, 큰 제어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초래한다.
제어 시그널링의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해, 본 개시의 실시예는 보조 리소스 세트 결정 방법을 제공하고, 사용자 기기 A가 감지된 후보 보조 리소스 세트에서 일부 시간 주파수 리소스를 보조 리소스 세트로 선택하고, 당해 보조 리소스 세트를 사용자 기기 B에 보고하여, 사용자 기기 A가 사용자 기기 B에 보고하는 리소스의 수를 줄이고, 사용자 기기 B가 리소스 선택을 수행하도록 보조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쉽게 설명하기 위해, 보조 리소스를 제공하는 장치를 제1 기기라고 부르고, 보조 리소스 세트 협력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리소스 선택을 수행하는 장치를 제2 기기라고 부른다.
도 2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보조 리소스 세트 결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리소스 세트 결정 방법은 제 1 기기에 의해 실행되며, 하기의 단계 S11을 포함한다.
단계 S11에서, 보조 리소스 세트를 결정한다.
보조 리소스 세트는 제1 기기에 의해 감지된 후보 보조 리소스 세트 내의 일부 시간 주파수 리소스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보조 리소스 세트 결정 방법은, 제1 기기에 의해 감지된 후보 보조 리소스 세트 내의 일부 시간 주파수 리소스를 보조 리소스 세트로 결정함으로써, 제2 기기에 보고하는 리소스 수를 감소시키고, 나아가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도 3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보조 리소스 세트 결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리소스 세트 결정 방법은 제 1 기기에 의해 실행되며, 하기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S21에서, 보조 리소스 세트를 결정한다.
보조 리소스 세트는 제1 기기에 의해 감지된 후보 보조 리소스 세트 내의 일부 시간 주파수 리소스를 포함한다.
단계 S22에서, 보조 리소스 세트를 송신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보조 리소스 세트 결정 방법은, 제1 기기에 의해 감지된 후보 보조 리소스 세트 내의 일부 시간 주파수 리소스를 보조 리소스 세트로 결정하고, 당해 보조 리소스 세트를 제2 사용자 기기에 송신함으로써, 제2 기기에 보고하는 리소스 수를 감소시키고, 나아가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2 기기는 제1 기기로부터 송신된 보조 리소스 세트를 수신하고, 리소스 선택을 수행할 때, 제1 기기로부터 송신된 보조 리소스 세트를 고려하여 보조 리소스 세트 협력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리소스 선택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보조 리소스 세트 결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리소스 세트 결정 방법은 제 2 기기에 의해 실행되며, 하기의 단계 S31을 포함한다.
단계 S31에서, 보조 리소스 세트를 수신한다.
보조 리소스 세트는 제1 기기에 의해 감지된 후보 보조 리소스 세트 내의 일부 시간 주파수 리소스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2 기기는 보조 리소스 세트를 수신하고, 당해 보조 리소스 세트는 제1 기기에 의해 감지된 후보 보조 리소스 세트 내의 일부 시간 주파수 리소스를 포함하고, 제2 기기가 보조 리소스 세트를 수신하는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하기의 상기 제1 기기로부터 송신된 보조 리소스 세트 및/또는 제2 기기에 의해 수신된 보조 리소스 세트를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보조 리소스 세트 결정 방법에서, 보조 리소스 세트는 리소스 리스트(ist)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보조 리소스 세트로 하는 리소스 리스트는 리스트 길이를 가지며, 이하는 제1 리스트 길이라고 부른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보조 리소스 세트 결정 방법에서, 제1 기기는 리소스 리스트 방식을 사용하여 보조 리소스 세트를 보고하고, 제1 리스트 길이의 리소스 리스트를 보고할 수 있다. 제1 리스트 길이가 L이라고 가정한다. 제1 기기는 리소스 리스트 방식을 사용하여 보조 리소스 세트를 보고하고 리스트 길이가 L인 보조 리소스 세트를 보고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보조 리소스 세트 결정 방법에서, 제2 기기는 리스트 길이가 L인 리소스 리스트를 수신하고, 당해 리소스 리스트에 기반하여 보조 리소스 세트를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보조 리소스 세트 결정 방법에서, 리소스 리스트 형식의 보조 리소스 세트의 제1 리스트 길이는 고정 리스트 길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리스트 길이는 미리 설정된 고정 리스트 길이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1 기기는 보조 리소스 세트를 결정할 때, 제2 기기의 리소스 선택 창에 기반하여 결정할 수 있다. 제2 기기는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 제1 기기에 송신되는 보조 요청에 제2 기기의 리소스 선택 창를 휴대한다. 제1 기기는 감지된 후보 보조 리소스 세트, 제2 기기의 리소스 선택 창에 있는 리소스를 번호화하여 리소스 리스트을 형성한다. 여기서 리소스 리스트 번호 매기기 방식은 제1 기기와 제2 기기가 사전에 약정한 것이다. 다시 말해, 제1 기기와 제2 기기 모두 리소스 리스트 및 리소스 리스트의 번호를 결정할 수 있다. 리소스 리스트 번호는 주파수 영역에서 주파수 영역 유닛, 시간 영역에서 시간 영역 유닛을 입도로 번호 매긴다. 주파수 영역 유닛은 채널(channel), 서브 채널(subchannel, sub-channel), 서브 밴드(subband), 대역폭(band) 등일 수 있다. 시간 영역 유닛은 슬롯(slot), 무선프레임(radio frame), 서브프레임(subframe), 미니 슬롯(mini-slot, minislot), 심볼(symbol), 전송 시간 간격(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 등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리소스 리스트 번호는 주파수 영역에서 서브 채널, 시간 영역에서 슬롯을 입도로 번호를 매기지만, 본 개시에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보조 리소스 세트 결정 방법에서, 보조 리소스 세트는 후보 보조 리소스 세트에서 랜덤으로 선택된, 제1 리스트 길이에 적합한 시간 주파수 리소스일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1 기기는 후보 보조 리소스 세트에서 제1 리스트 길이에 적합한 시간 주파수 리소스를 보조 리소스 세트로 랜덤으로 선택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의 제 1 기기가 제 1 기기에 의해 감지된 후보 보조 리소스 세트에서 제 1 리스트 길이에 적합한 시간 주파수 리소스를 보조 리소스 세트로서 랜덤으로 선택하는 개략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기기에 의해 감지된 후보 보조 리소스 세트는 주파수 영역에서 subchannel, 시간 영역에서 slot을 입도로 하여, 리소스 리스트 번호를 매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소스 리스트 내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는 제 1 기기에 의해 감지된 후보 보조 리소스 세트이다. 제1 리스트 길이 L=8이 미리 설정된다고 가정할 경우, 제1 기기는 후보 보조 리소스 세트에서 리스트 길이가 8인 리소스 리스트을 랜덤으로 보고한다. 예를 들어 번호가 {2, 4, 5, 7, 8, 10, 12, 20}인 시간 주파수 리소스를 랜덤으로 선택하여 보조 리소스 세트로 하고, 제2 기기에 송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보조 리소스 세트 결정 방법에서, 보조 리소스 세트는 후보 보조 리소스 세트에서 참조 신호 수신 전력(Reference Signal Receiving Power, RSRP)에 기반하여 선택된 제1 리스트 길이에 적합한 시간 주파수 리소스일 수 있다. 즉, 제1 기기는 RSRP를 기반으로 감지된 후보 보조 리소스 세트에서 제1 리스트 길이에 적합한 시간 주파수 리소스를 보조 리소스 세트로 선택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기기는 참조 신호 수신 전력 값이 작은 순서에서 큰 순서로, 후보 보조 리소스 세트에서 제1 리스트 길이에 적합한 시간 주파수 리소스를 선택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 1 기기가 RSRP를 기반으로 감지된 후보 보조 리소스 세트에서 제 1 리스트 길이에 적합한 시간 주파수 리소스를 보조 리소스 세트로 선택하는 개략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기기에 의해 감지된 후보 보조 리소스 세트의 기간 Tproc, 0의 시간내에, 감시된 리소스에서, 측정된 물리 사이드 링크 제어 채널(Physical Sidelink Control Channel, PSCCH)의 복조 참조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의 RSRP 값을 작은 순서에서 큰 순서로 정렬하고, RSRP 값이 낮은 리소스를 우선적으로 선택한다. 미리 설정하여 보고된 리소스 리스트의 리스트 길이 L에 따라, 제1 기기는 리스트 길이가 8이고 RSRP 값이 낮은 리소스, 예를 들어 {5, 7, 8, 10, 12, 20, 22, 25}를 선택하며, 이러한 시간 주파수 리소스는 제2 기기를 사용하여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는 간섭이 최소이다. 번호가 {5, 7, 8, 10, 12, 20, 22, 25}인 시간 주파수 리소스를 보조 리소스 세트로서 제2 기기에 송신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리소스 세트 결정 방법은, 보고된 리소스 리스트의 제1 리스트 길이 L을 미리 설정하고, 제1 기기는 제1 기기에 의해 감지된 후보 보조 리소스 세트에 속하며, 길이가 L인 보조 리소스 세트를 보조 리소스 세트로 보고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보조 리소스 세트 결정 방법에서, 리소스 리스트의 제1 리스트 길이는 미리 설정된 고정 리스트 길이일 수 있다. 한편 유연하고 동적으로 변화하는 리스트 길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1 리스트 길이는 후보 보조 리소스 세트 내의 리소스와 제2 기기의 리소스 선택 창 내의 리소스의 비율이 만족하는 최소 비율에 기반하여 결정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쉽게 설명하기 위해, 후보 보조 리소스 세트 내의 리소스와 제2 기기의 리소스 선택 창 내의 리소스의 비율이 만족하는 최소 비율을 제1 비율이라고 부른다. 통신 프로토콜 R16에 기반하여, 리소스 선택의 랜덤성을 확보하기 위해, 리소스 감지의 step 1에서 결정된 후보 보조 리소스 세트 내의 리소스와 리소스 선택 창의 리소스의 비율이 ≥X% (제1 비율)인 요구를 만족시킬 필요가 있다. 여기서 X%는 프로토콜에 의해 규정되며, 이러면 리소스가 더 많고 리소스 선택의 랜덤성을 만족시키는 것을 확보한다.
일 실시예에서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후보 보조 리소스 세트 결정 방법에서는 제1 비율에 대한 비율 오프셋 값(Y%)을 설치할 수 있다. 제1 비율에 대한 비율 오프셋 값에 기반하여 제1 리스트 길이를 결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제2 기기의 리소스 선택 창 내의 리소스 수, 제1 비율 및 제1 비율에 대한 비율 오프셋 값에 기반하여 제1 리스트 길이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기는 L=S*(X%+Y%)를 통해 제1 리스트 길이를 결정한다. S는 UEB 리소스 선택 창에 있는 리소스 수이고, X%는 제1 비율이며, Y%는 제1 비율에 대한 비율 오프셋 값이고, L은 제1 리스트 길이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1 비율에 대한 비율 오프셋 값 Y%는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에 의해 미리 설정된다. UEB 리소스 선택 창 내의 리소스 수 S는 리소스 선택 창 내의 위치에 기반하여 리소스 수를 계산한다. 제1 기기는 제2 기기의 보조 요청을 통해 리소스 선택 창의 위치를 획득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1 기기는 리소스 리스트의 제1 리스트 길이를 계산하여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 결정된 리소스 리스트를 제2 기기에 통지한다. 제1 기기는 감지된 후보 보조 리소스 세트에서 하나의 리소스 리스트의 리스트 길이가 L인 보조 리소스 세트를 랜덤으로 선택하여 제2 기기에 보고한다. 제2 기기의 리소스 선택 창 내의 리소스 수, 제1 비율 및 제1 비율에 대한 비율 오프셋 값에 기반하여 제1 리스트 길이를 결정함으로써, 보고되는 제1 리스트 길이가 제1 기기에 의해 감지된 후보 보조 리소스 세트 내의 리소스 수에 따라 변화되어, 방안이 보다 유연해진다.
가능한 실시예에서, 제1 비율 X%가 40%라고 가정하면, 제1 기기가 후보 보조 리소스 세트 감지를 수행할 경우, 최종적으로 결정된 리소스 비율이 X%보다 크다는 것을 만족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후보 보조 리소스 세트의 비율을 75%로 설치한다. 도 7은 기존 기술로 결정된 후보 보조 리소스 세트의 개략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기기는 28개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중 21개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를 선택하여 보조 리소스하여 제 2 기기에 송신해야 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 1 기기가 제 2 기기의 리소스 선택 창 내의 리소스 수, 제 1 비율 및 제 1 비율에 대한 비율 오프셋 값에 기반하여 제 1 리스트 길이를 결정하고 보조 리소스 세트 결정을 수행하는 개략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제 1 기기가 보조 리소스 세트를 결정할 때 선택된 리소스가 제 1 비율 X %보다 크고, (X % + Y %) 보다 작다는 것을 만족해야 한다. 제1 비율 X%가 40%이고, (X%+Y%)가 50%라고 가정하면, 제1 기기는 28개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에서 12개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를 선택하여 보조 리소스하여 제2 기기에 송신할 수 있다.
제1 기기는 28개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에서 12개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를 선택하여 보조 리소스로 하여 제2 기기에 송신할 수 있고, 28개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에서 21개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를 선택하여 보조 리소스로 하여 제2 기기에 송신하는 것에 비해 보고된 보조 리소스 수를 감소시키고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보조 리소스 결정 방법에서, 제1 기기는 제2 기기의 리소스 선택 창에 기반하여 보조 리소스 세트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조 리소스 세트는 제2 기기의 리소스 선택 창 내에 있는 제1 슬롯 길이를 가진 시간 주파수 리소스이다. 제1 슬롯 길이는 제2 기기의 리소스 선택 창 내의 슬롯 길이보다 작다.
일 실시예에서, 보조 리소스 세트는 제1 시간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제1 슬롯 길이를 가진 연속 시간 주파수 리소스이다. 제 1 시간은 제 2 기기의 리소스 선택 창의 시작 시간 또는 종료 시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제 1 기기가 제 2 기기의 리소스 선택 창에 기반하여 보조 리소스 세트를 결정할 수 있는 개략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기기 A는 사용자 기기 B의 리소스 선택 창의 종료 위치 슬롯 n+T2보다 앞에 있고, 슬롯 길이가 고정치 L(L?Q사용자 기기 B의 리소스 선택 창의 slot 개수, L의 값은 RRC에 의해 미리 설정됨)개인 slot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를 선택하여 보조 리소스 세트로 하여 사용자 기기 B에 보고한다.
사용자 기기 B의 리소스 선택 창의 종료 위치 슬롯 n+T2의 위치는 사용자 기기 B가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 보조 요청으로 사용자 기기 A에 통지한다. 여기서 슬롯 길이 L의 값은 RRC 시그널링을 통해 미리 설정된다.
이해 가능한 바로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사용자 기기 A는, 사용자 기기 B의 리소스 선택 창[n+T1, n+T2]을 미리 알고 있다. 사용자 기기 A는 사용자 기기 B의 리소스 선택 창 내에 있는 시간 주파수 리소스를 감지하지만, 보고 슬롯 길이가 L인 시간 주파수 리소스를 선택하여 보조 리소스 세트로 하여 사용자 기기 B에 보고한다. 즉, 사용자 기기 B의 리소스 선택 창 내에 있는 시간 주파수 리소스 중 하나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서브 세트를 보고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보조 리소스 세트 결정 방법은, 제1 기기가, 제2 기기의 리소스 선택 창 내에 있고, 제2 기기의 리소스 선택 창 내의 슬롯 길이보다 작은 리소스를 선택하여 보조 리소스 세트로 하여, 제2 기기에 송신함으로써, 송신되는 보조 리소스의 수를 감소시키고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이해 가능한 바로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보조 리소스 세트 결정 방법은 제1 기기와 제2 기기가 보조 리소스 세트의 송수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랙션 과정에 응용될 수 있다. 제1 기기와 제2 기기가 인터랙션하여 보조 리소스 세트의 송수신을 구현하는 과정에 대해, 제1 기기와 제2 기기는 상기 실시예와 관련된 보조 리소스 세트 결정 방법을 구현하는 대응 기능을 구비하며, 본 개시의 실시예는 여기서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동일한 구상에 기반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는 보조 리소스 세트 결정 장치를 더 제공한다.
이해 가능한 바로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보조 리소스 세트 결정 장치는 상기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구조 및/또는 소프트웨어 모듈을 포함하고, 본 개시에서 개시된 각 실시예의 유닛 및 알고리즘 단계와 결합하고, 본 개시의 실시예는 하드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특정한 기능은 어떻게 하드웨어나 컴퓨터 소프트웨어가 하드웨어를 구동하는 방식으로 수행하는지는 기술 방안의 특정 응용과 설계 제약 조건에 달려 있다. 당업자는 각 특정 응용에 대해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설명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지만, 이러한 구현은 본 개시의 실시예의 기술 방안 범위를 넘었다고 생각해서는 안된다.
도 10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 표시되는 보조 리소스 세트 결정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당해 보조 리소스 세트 결정 장치(100)는 제 1 기기에 의해 실행되며 처리 유닛(101)을 포함한다.
처리 유닛(101)은 보조 리소스 세트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보조 리소스 세트는 제1 기기에 의해 감지된 후보 보조 리소스 세트 내의 일부 시간 주파수 리소스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보조 리소스 세트는 제1 리스트 길이를 가진 리소스 리스트이다.
일 실시예에서, 보조 리소스 세트는 후보 보조 리소스 세트에서 랜덤으로 선택된, 제1 리스트 길이에 적합한 시간 주파수 리소스이다.
일 실시예에서, 보조 리소스 세트는 참조 신호 수신 전력에 기반하여 상기 후보 보조 리소스 세트에서 선택된, 제1 리스트 길이에 적합한 시간 주파수 리소스이다.
일 실시예에서, 보조 리소스 세트는 참조 신호 수신 전력 값이 작은 순서에서 큰 순서로, 상기 후보 보조 리소스 세트에서 선택된, 제1 리스트 길이에 적합한 시간 주파수 리소스이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리스트 길이는 미리 설정된 고정 리스트 길이이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리스트 길이는 제1 비율에 대한 비율 오프셋 값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제1 비율은 후보 보조 리소스 세트 내의 리소스와 제2 기기의 리소스 선택 창 내의 리소스의 비율이 만족하는 가장 작은 비율이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리스트 길이는 제2 기기의 리소스 선택 창 내의 리소스 수, 제1 비율 및 제1 비율에 대한 비율 오프셋 값에 기반하여 결정된다.
일 실시예에서, 보조 리소스 세트는 제2 기기의 리소스 선택 창 내에 있는 제1 슬롯 길이를 가진 시간 주파수 리소스이고, 제1 슬롯 길이는 제2 기기의 리소스 선택 창 내의 슬롯 길이보다 작다.
일 실시예에서, 보조 리소스 세트는 제1 시간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제1 슬롯 길이를 가진 연속 시간 주파수 리소스이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시간은 리소스 선택 창의 시작 시간 또는 종료 시간이다.
일 실시예에서, 보조 리소스 세트 결정 장치(100)는 송신 유닛(102)을 더 포함하고, 송신 유닛(102)은 보조 리소스 세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도 1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보조 리소스 세트 결정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당해 보조 리소스 세트 결정 장치(200)는 제 2 기기에 의해 실행되며 수신 유닛(201)을 포함한다.
수신 유닛(201)은 보조 리소스 세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보조 리소스 세트는 제1 기기에 의해 감지된 후보 보조 리소스 세트 내의 일부 시간 주파수 리소스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보조 리소스 세트는 제1 리스트 길이를 가진 리소스 리스트이다.
일 실시예에서, 보조 리소스 세트는 후보 보조 리소스 세트에서 랜덤으로 선택된, 제1 리스트 길이에 적합한 시간 주파수 리소스이다.
일 실시예에서, 보조 리소스 세트는 참조 신호 수신 전력에 기반하여 상기 후보 보조 리소스 세트에서 선택된, 제1 리스트 길이에 적합한 시간 주파수 리소스이다.
일 실시예에서, 보조 리소스 세트는 참조 신호 수신 전력 값이 작은 순서에서 큰 순서로, 상기 후보 보조 리소스 세트에서 선택된, 제1 리스트 길이에 적합한 시간 주파수 리소스이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리스트 길이는 미리 설정된 고정 리스트 길이이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리스트 길이는 제1 비율에 대한 비율 오프셋 값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제1 비율은 후보 보조 리소스 세트 내의 리소스와 제2 기기의 리소스 선택 창 내의 리소스의 비율이 만족하는 가장 작은 비율이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리스트 길이는 제2 기기의 리소스 선택 창 내의 리소스 수, 제1 비율 및 제1 비율에 대한 비율 오프셋 값에 기반하여 결정된다.
일 실시예에서, 보조 리소스 세트는 제2 기기의 리소스 선택 창 내에 있는 제1 슬롯 길이를 가진 시간 주파수 리소스이고, 제1 슬롯 길이는 제2 기기의 리소스 선택 창 내의 슬롯 길이보다 작다.
일 실시예에서, 보조 리소스 세트는 제1 시간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제1 슬롯 길이를 가진 연속 시간 주파수 리소스이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시간은 리소스 선택 창의 시작 시간 또는 종료 시간이다.
상기 실시예의 장치에 대해, 각 모듈이 조작을 수행하는 구체적인 방식은 당해 방법에 관한 실시예에서 이미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으나, 여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출원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더 제공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중의 명령이 실행될 경우, 본 출원의 임의의 실시예의 보조 리소스 세트 결정 방법을 수행한다.
도 12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리소스 세트 결정을 위한 장치(300)의 블록도이다. 예를 들면, 장치(300)는, 휴대폰, 컴퓨터, 디지털 방송 단말, 메시징 기기, 게임 콘솔, 태블릿 기기, 의료 기기, 피트니스 기기, 개인 휴대 단말기 등일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장치(300)는 처리 컴포넌트(302), 메모리(304), 전원 컴포넌트(306), 멀티미디어 컴포넌트(308), 오디오 컴포넌트(310), 입력/출력(I/O) 인터페이스(312), 센서 컴포넌트(314) 및 통신 컴포넌트(316) 중 하나 또는 복수의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처리 컴포넌트(302)는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전화 통화, 데이터 통신, 카메라 동작 및 기록 동작과 관련되는 장치(30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한다. 처리 컴포넌트(302)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320)를 포함하여 명령을 수행하여, 상기 데이터 전송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완료한다. 이외에, 처리 컴포넌트(302)는 하나 또는 복수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어, 처리 컴포넌트(302)와 기타 컴포넌트 사이의 인터랙션을 용이하게 한다. 예를 들면, 처리 컴포넌트(302)는 멀티미디어 모듈을 포함하여, 멀티미디어 컴포넌트(308)와 처리 컴포넌트(302) 사이의 인터랙션을 용이하게 한다.
메모리(304)는 장치(300)에서의 동작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데이터의 예시에는 장치(300)에서 작동되는 모든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또는 방법의 명령, 연락처 데이터, 전화 번호부 데이터, 메시지, 이미지, 비디오 등이 포함된다. 메모리(304)는 모든 유형의 휘발성 또는 비 휘발성 메모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스태틱 랜덤 액세스 메모리(SRAM), 전기적으로 지울 수 있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읽기 전용 메모리(EEPROM), 지울 수 있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읽기 전용 메모리(EPROM), 프로그래밍 가능한 읽기 전용 메모리(PROM), 읽기 전용 메모리(ROM), 자기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과 같은 것들이다.
전원 컴포넌트(306)는 장치(300)의 다양한 컴포넌트에 전력을 제공한다. 전원 컴포넌트(306)는 전원 관리 시스템, 하나 또는 복수의 전원 및 장치(300)에 전력을 생성, 관리 및 분배하는 것과 관련되는 기타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컴포넌트(308)는 상기 장치(300)과 사용자 사이에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스크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스크린은 액정 디스플레이(LCD) 및 터치 패널 (TP)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스크린이 터치 패널을 포함하면, 스크린은 사용자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패널에는 터치 패널의 터치, 슬라이딩 및 제스처를 감지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터치 센서가 포함된다. 터치 센서는 터치 또는 슬라이드 동작의 경계를 감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터치 또는 슬라이드 동작과 관련된 지속 시간 및 압력도 감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멀티미디어 컴포넌트(308)는 전면 카메라 및/또는 후면 카메라를 포함한다. 기기(800)이 촬영 모드 또는 비디오 모드와 같은 작동 모드에 있을 경우, 전면 카메라 및/또는 후면 카메라는 외부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각 전면 카메라 및 후면 카메라는 고정 광학 렌즈 시스템이거나 초점 거리 및 광학 줌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오디오 컴포넌트(310)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 및/또는 입력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오디오 컴포넌트(310)는 마이크(MIC)를 포함하고, 장치(300)이 통화 모드, 녹음 모드, 음성 인식 모드와 같은 동작 모드인 경우, 마이크는 외부의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수신된 오디오 신호는 메모리(304)에 저장되거나 통신 컴포넌트(316)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오디오 컴포넌트(310)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를 더 포함한다.
I/O 인터페이스(312)는 처리 컴포넌트(302)와 주변 인터페이스 모듈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상기 주변 인터페이스 모듈은 키보드, 클릭 휠, 버튼 등일 수 있다. 이러한 버튼에는 홈 버튼, 볼륨 버튼, 시작 버튼 및 잠금 버튼이 포함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센서 컴포넌트(314)는 하나 또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여, 장치(300)에 다양한 측면의 상태 평가를 제공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면, 센서 컴포넌트(314)는 기기(800)의 온/오프 상태, 상기 장치(300)의 디스플레이 및 키패드와 같은 컴포넌트의 상대적 위치를 검출할 수 있고, 센서 컴포넌트(314)는 장치(300) 또는 장치(300)의 컴포넌트의 위치 변화, 사용자와 장치(300) 사이의 접촉 유무, 장치(300)의 방향 및 위치 또는 가속/감속, 장치(300)의 온도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센서 컴포넌트(314)는 근접 센서를 포함하는데 이는 물리적 접촉이 없을 경우 주변 물체의 존재를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센서 컴포넌트(314)는 CMOS 또는 CCD 이미징 센서와 같은 광 센서를 더 포함하여 이미징 응용에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센서 컴포넌트(314)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자기 센서, 압력 센서 또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컴포넌트(316)는 장치(300)과 기타 기기 사이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장치(300)장치(300)는 통신 표준을 기반으로 하는 Wi-Fi, 2G 또는 3G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통신 컴포넌트(316)는 방송 채널을 통해 외부 방송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방송 신호 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통신 컴포넌트(316)는 근거리 통신(NFC) 모듈을 더 포함하여 단거리 통신을 촉진한다. 예를 들면, NFC 모듈은 무선 주파수 식별 (RFID) 기술, 적외선 데이터 협회 (IrDA) 기술, 초 광주파수 대역 (UWB) 기술, 블루투스 (BT) 기술 및 기타 기술을 기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장치(300)장치(300)는 하나 또는 복수의 주문형 집적 회로 (ASIC),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 (DSPD), 프로그래밍 가능 논리 장치 (PLD), 필드 프로그래밍 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기타 전자 부품에 의해 상기 방법을 수행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명령을 포함하는 비 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한다. 예를 들면, 명령을 포함하는 메모리(304)이고, 상기 명령은 장치(300)의 프로세서(320)에 의해 수행되어 상기 방법을 완료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 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시디롬(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및 광학 데이터 저장 기기 등일 수 있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의 "복수”는 2개 또는 2개 이상을 가리키고 기타 양사도 유사하다. "및/또는”은, 관련 대상의 관련 관계를 설명하고, 3종 관계가 존재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A 및/또는 B는, A가 단독 존재하거나, A 및 B가 동시에 존재하거나, B가 단독으로 존재하는 3종 상황을 나타낸다. 문자 부호 "/"는 일반적으로 전후 관련 대상이 "또는”의 관계임을 나타낸다. 콘텍스트에서 기타 함의를 명확히 나타낸 경우 외에, 홀수 형식의 "하나”, "상기” 및 "당해”도 다수 형식을 포함한다.
더 이해해야 할 것은, 용어 "제1", "제2" 등으로 각 정보를 설명할 수 있으나, 당해 정보들은 당해 용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지 동일한 유형의 정보를 구분하기 위한 것이고, 특정 순서 또는 중요도를 나타내지 않는다. 실제적으로, "제1", "제2" 등 설명은 호환하여 사용될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상황에서, 제1 정보는 제2 정보로 불릴 수도 있고, 유사하게, 제2 정보도 제1 정보로 불릴 수 있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발명 실시예의 도면에서 특정 순서로 동작을 설명하였지만, 도시된 바와 같은 특정 순서 또는 직렬 순서로 당해 동작을 수행하도록 요구하, 또는 모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여 예측하는 결과를 획득하도록 요구하는 것은 아니다. 특정 환경에서, 멀티태스크와 병렬 처리는 유리한 것일 수도 있다.
당업자는 본 명세서를 고려하고 여기서 개시한 발명을 실시한 후, 본 개시 실시예의 기타 실시예를 쉽게 생각해낼 수 있다. 본 개시 실시예는 본 개시 실시예의 임의의 변형, 용도 또는 적응적 변경을 포괄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변형, 용도 또는 적응적 변경은 본 개시 실시예의 일반적인 원리를 따르며 본 개시에 공개되지 않은 본 기술 분야의 공지 상식 또는 통상적인 기술적 수단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 및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본 개시 실시예의 진정한 범위 및 사상은 하기의 청구 범위에 의해 결정된다.
본 개시 실시예는 상기 첨부된 도면에 도시한 정확한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그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본 개시 실시예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Claims (20)

  1. 제1 기기에 의해 실행되는 보조 리소스 세트 결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보조 리소스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리소스 세트는 상기 제1 기기에 의해 감지된 후보 보조 리소스 세트 내의 일부 시간 주파수 리소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리소스 세트 결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리소스 세트는 제1 리스트 길이를 가진 리소스 리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리소스 세트 결정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리소스 세트는 제2 기기의 리소스 선택 창 내에 있는 제1 슬롯 길이를 가진 시간 주파수 리소스이고, 상기 제1 슬롯 길이는 제2 기기의 리소스 선택 창 내의 슬롯 길이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리소스 세트 결정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간은 상기 리소스 선택 창의 시작 시간 또는 종료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리소스 세트 결정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리소스 세트 결정 방법은,
    상기 보조 리소스 세트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리소스 세트 결정 방법.
  6. 제2 기기에 의해 실행되는 보조 리소스 세트 결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보조 리소스 세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리소스 세트는 제1 기기에 의해 감지된 후보 보조 리소스 세트 내의 일부 시간 주파수 리소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리소스 세트 결정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리소스 세트는 리소스 리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리소스 세트 결정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리소스 세트는 제2 기기의 리소스 선택 창 내에 있는 제1 슬롯 길이를 가진 시간 주파수 리소스이고, 상기 제1 슬롯 길이는 제2 기기의 리소스 선택 창 내의 슬롯 길이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리소스 세트 결정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 길이는 상기 리소스 선택 창의 시작 시간 또는 종료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리소스 세트 결정 방법.
  10. 보조 리소스 세트 결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조 리소스 세트 결정 장치는,
    보조 리소스 세트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처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 리소스 세트는 상기 장치에 의해 감지된 후보 보조 리소스 세트 내의 일부 시간 주파수 리소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리소스 세트 결정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리소스 세트는 리소스 리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리소스 세트 결정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리소스 세트는 제2 기기의 리소스 선택 창 내에 있는 제1 슬롯 길이를 가진 시간 주파수 리소스이고, 상기 제1 슬롯 길이는 제2 기기의 리소스 선택 창 내의 슬롯 길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리소스 세트 결정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롯 길이는 상기 리소스 선택 창의 시작 시간 또는 종료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리소스 세트 결정 장치.
  14.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리소스 세트 결정 장치는 송신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송신 유닛은 상기 보조 리소스 세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리소스 세트 결정 장치.
  15. 보조 리소스 세트 결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조 리소스 세트 결정 장치는,
    보조 리소스 세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 리소스 세트는 제1 기기에 의해 감지된 후보 보조 리소스 세트 내의 일부 시간 주파수 리소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리소스 세트 결정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리소스 세트는 리소스 리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리소스 세트 결정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리소스 세트는 제2 기기의 리소스 선택 창 내에 있는 제1 슬롯 길이를 가진 시간 주파수 리소스이고, 상기 제1 슬롯 길이는 제2 기기의 리소스 선택 창 내의 슬롯 길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리소스 세트 결정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롯 길이는 상기 리소스 선택 창의 시작 시간 또는 종료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리소스 세트 결정 장치.
  19. 통신 장치에 있어서,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보조 리소스 세트 결정 방법을 수행하거나, 또는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보조 리소스 세트 결정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0.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이 실행될 경우,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보조 리소스 세트 결정 방법을 수행하거나, 또는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보조 리소스 세트 결정 방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37024590A 2020-12-21 2020-12-21 보조 리소스 세트 결정 방법, 장치 및 저장 매체(resourceset determining method an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KR202301186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20/138068 WO2022133665A1 (zh) 2020-12-21 2020-12-21 辅助资源集确定方法、装置及存储介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8685A true KR20230118685A (ko) 2023-08-11

Family

ID=75457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4590A KR20230118685A (ko) 2020-12-21 2020-12-21 보조 리소스 세트 결정 방법, 장치 및 저장 매체(resourceset determining method an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049194A1 (ko)
EP (1) EP4266780A4 (ko)
JP (1) JP2023553752A (ko)
KR (1) KR20230118685A (ko)
CN (2) CN115529670A (ko)
WO (1) WO20221336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36613A1 (zh) * 2021-05-10 2022-11-1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确定参考资源的方法及装置、终端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58096B (zh) * 2018-09-27 2021-09-28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资源指示方法及终端
CN111356240B (zh) * 2018-12-20 2023-06-16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处理侧链路反馈与侧链路数据之间的冲突的方法和设备
CN116567707A (zh) * 2019-02-13 2023-08-08 苹果公司 网络辅助的新无线电v2x侧链路资源分配的无线电资源管理
JP6970771B2 (ja) * 2019-03-21 2021-11-24 華碩電腦股▲ふん▼有限公司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デバイス・ツー・デバイスフィードバック送信を処理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20200229171A1 (en) * 2019-04-02 2020-07-16 Intel Corporation Methods of autonomous resource selection in new radio (nr) vehicle-to-everything (v2x) sidelink communication
WO2020209594A1 (ko) * 2019-04-08 2020-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통신 및 피드백에 관련된 ue의 동작 방법
US11895651B2 (en) * 2019-05-02 2024-02-06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Wireless communications for a sidelink
CN111246483A (zh) * 2020-01-21 2020-06-05 北京展讯高科通信技术有限公司 辅链路通信的资源选择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553752A (ja) 2023-12-25
EP4266780A1 (en) 2023-10-25
CN112690035B (zh) 2022-09-02
EP4266780A4 (en) 2024-01-17
WO2022133665A1 (zh) 2022-06-30
CN115529670A (zh) 2022-12-27
CN112690035A (zh) 2021-04-20
US20240049194A1 (en) 2024-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62739A1 (en)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20220209900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feedback information in direct communication and terminal
CN113632582B (zh) 基于物理直连通信数据信道的通信方法、装置及存储介质
WO2022126338A1 (zh) 资源选择方法、资源选择装置及存储介质
US20230413234A1 (en) Method and device for resource selection, and storage medium
CN112438057B (zh) 辅助资源集发送接收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1919415B (zh) 数据传输方法及装置、存储介质
WO2022133826A1 (zh) 资源选择方法、资源选择装置及存储介质
CN110383749B (zh) 控制信道发送、接收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20240155659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device
EP4012946A1 (en) Antenna panel selection metho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CN114846886A (zh) 确定传输方向的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KR20230118685A (ko) 보조 리소스 세트 결정 방법, 장치 및 저장 매체(resourceset determining method an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WO2021226766A1 (zh) 发送数据的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RU2820333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набора вспомогательных ресурсов, а также носитель данных
CN113924810A (zh) 数据传输处理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CN109792619A (zh) 信令检测的实现方法、装置、用户设备及基站
WO2022061734A1 (zh) 资源选择方法、资源选择装置及存储介质
CN110786035B (zh) 控制资源集合的处理方法、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WO2024065126A1 (zh) 一种连续多时隙的传输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5843456A (zh) 一种连续多时隙数据传输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8120195A (zh) 一种上行波形的配置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4946241A (zh) 传输pucch的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CN113396626A (zh) 辅助请求的发送方法、辅助请求的接收方法及其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