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8022A - 미세 기포 발생 장치 - Google Patents

미세 기포 발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8022A
KR20230118022A KR1020230001806A KR20230001806A KR20230118022A KR 20230118022 A KR20230118022 A KR 20230118022A KR 1020230001806 A KR1020230001806 A KR 1020230001806A KR 20230001806 A KR20230001806 A KR 20230001806A KR 20230118022 A KR20230118022 A KR 202301180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liquid level
liquid
water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1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지로 나카지마
Original Assignee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18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802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1Measuring
    • B01F35/214Measuring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meas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05Electrical circui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2Bathing devices for use with gas-containing liquid, or liquid in which gas is led or generated, e.g. carbon dioxide ba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60Components specifically designed for the therapeutic baths of groups A61H33/00
    • A61H33/601Inlet to the bath
    • A61H33/6021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by bubbling
    • B01F23/23105Arrangement or manipulation of the gas bubbling devices
    • B01F23/2312Diffusers
    • B01F23/23126Diffus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diffuser element
    • B01F23/231265Diffus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diffuser element being tubes, tubular elements, cylindrical elements or set of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2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using flow-mixing means for introducing the gases, e.g. baff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66Parts;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66Parts; Accessories
    • B01F23/2368Mixing receptacles, e.g. tanks, vessels or reactors, being completely closed, e.g. hermetically clo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7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 B01F23/237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for obtaining fine bubbles, i.e. bubbles with a size below 100 µ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9Mixing systems, i.e. flow charts or diagr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1Measuring
    • B01F35/211Measuring of the operational parameters
    • B01F35/2112Level of material in a container or the position or shap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2Control or reg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1Feed mechanisms for feeding a mixture of components, i.e. solids in liquid, solids in a gas str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7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 B01F35/7176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using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5Discharge mechanisms
    • B01F35/754Discharge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discharging the components from the mixer
    • B01F35/7543Discharge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discharging the components from the mixer using pneumatic pressure, overpressure or gas pressure in a closed receptacle or circuit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05Electrical circuits therefor
    • A61H2033/0054Electrical circuits therefor with liquid level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30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an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ement Of Levels Of Liquids Or Fluent Solid Materials (AREA)
  • Accessories For Mixers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과제] 본 명세서에서는, 하나 또는 복수의 액위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액위 전극에 대한 액체 방울의 부착을 적절히 억제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본 명세서가 개시하는 미세 기포 발생 장치는, 공급구 및 배출구를 구비하는 탱크와, 액체에 기체를 가압 용해시키는 혼합 케이스와, 공급로와, 도입로와, 액체를 액조에 배출하는 배출로와, 미세 기포 발생 노즐과, 탱크 내의 액위를 검출할 수 있는 하나 또는 복수의 액위 전극과, 그 중 적어도 하나의 액위 전극을 덮도록 설치되는 전극 커버를 구비한다. 혼합 케이스는 유출부를 구비한다. 공급구에 공급되는 액체는 도입로를 통해 혼합 케이스의 내부에 도입되고, 유출부로부터 혼합 케이스의 외부로 유출됨으로써, 탱크 내에 저류된다. 전극 커버를 하나 또는 복수의 액위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액위 전극의 연장 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전극 커버는 액위 전극의 전체 둘레를 덮고 있다.

Description

미세 기포 발생 장치{FINE BUBBLE GENERATING DEVICE}
[0001] 본 명세서는, 미세 기포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0002] 특허문헌 1에는, 공급구 및 배출구를 구비하는 탱크와, 상기 탱크에 수용되어 있으며, 관통 구멍을 구비하는 타깃(target) 부재와, 상기 공급구에 상기 액체를 공급하는 공급로와, 상기 탱크 내에 저류(貯留)된 상기 액체를 상기 배출구로부터 액조(液槽)로 배출하는 배출로와, 상기 배출로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기체가 가압 용해된 상기 액체를 감압함으로써 미세 기포를 발생시키는 미세 기포 발생 노즐과, 상기 탱크의 내부이며 상기 타깃 부재의 외부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탱크 내의 액위(液位)가 소정의 액위 이상인지의 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하나 또는 복수의 액위 전극과,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액위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액위 전극을 덮도록 설치되는 전극 커버를 구비하는 미세 기포 발생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급로로부터 상기 공급구로 공급되는 상기 액체는, 상기 타깃 부재에 충돌하고, 상기 관통 구멍 또는 상기 타깃 부재의 외측을 통해 상기 탱크 내에 저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극 커버를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액위 전극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위 전극의 연장 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상기 전극 커버는,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액위 전극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위 전극의 전체 둘레를 덮고 있지 않다.
[0003] 1.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13-111504호
[0004] 미세 기포 발생 장치에서는, 탱크 내의 액체에 포함되는 기체가 액중(液中)에서 상승함으로써, 액면에서는, 포말이 생긴다. 이 때문에, 포말의 파열 등에 의해, 액면의 상방으로 액체 방울(液滴)이 비산(飛散)되는 경우가 있다. 액면으로부터 비산된 액체 방울이 액위 전극에 부착되면, 액위 전극에 점액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 액위 전극에 점액이 생기면, 탱크의 액위를 오검출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특허문헌 1의 미세 기포 발생 장치에서는, 액면으로부터 비산된 액체 방울이 액위 전극에 부착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하나 또는 복수의 액위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액위 전극을 덮는 전극 커버를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전극 커버에서는, 하나 또는 복수의 액위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액위 전극의 전체 둘레 중, 전극 커버가 덮고 있지 않는 부분에 있어서, 액면으로부터 비산된 액체 방울이 액위 전극에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없다. 이 때문에, 하나 또는 복수의 액위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액위 전극에 대한 액체 방울의 부착을 적절히 억제할 수 없다. 본 명세서에서는, 하나 또는 복수의 액위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액위 전극에 대한 액체 방울의 부착을 적절히 억제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0005] 본 명세서가 개시하는 미세 기포 발생 장치는, 공급구 및 배출구를 구비하는 탱크와, 상기 탱크에 수용되어 있으며, 내부로 유입되는 액체에 상기 탱크 내의 기체를 가압 용해시키는 혼합 케이스와, 상기 공급구에 상기 액체를 공급하는 공급로와, 상기 공급구에 공급되는 상기 액체를 상기 혼합 케이스의 내부에 도입하는 도입로와, 상기 탱크 내에 저류된 상기 액체를 상기 배출구로부터 액조로 배출하는 배출로와, 상기 배출로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기체가 가압 용해된 상기 액체를 감압함으로써 미세 기포를 발생시키는 미세 기포 발생 노즐과, 상기 탱크의 내부이며 상기 혼합 케이스의 외부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탱크 내의 액위가 소정의 액위 이상인지의 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하나 또는 복수의 액위 전극과,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액위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액위 전극을 덮도록 설치되는 전극 커버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혼합 케이스에는, 상기 액체가 유출되는 유출부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공급로로부터 상기 공급구로 공급되는 상기 액체는, 상기 도입로를 통해 상기 혼합 케이스의 내부에 도입되고, 상기 유출부로부터 상기 혼합 케이스의 외부로 유출됨으로써, 상기 탱크 내에 저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극 커버를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액위 전극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위 전극의 연장 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상기 전극 커버는,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액위 전극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위 전극의 전체 둘레를 덮고 있다.
[0006]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전극 커버는, 하나 또는 복수의 액위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액위 전극의 전체 둘레에 있어서, 액면으로부터 비산된 액체 방울이 액위 전극에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하나 또는 복수의 액위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액위 전극에 대한 액체 방울의 부착을 적절히 억제할 수 있다.
[0007]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미세 기포 발생 장치는, 상기 공급로에 설치된 가압 펌프와, 상기 탱크에 기체를 도입할 수 있는 기체 도입 기구(機構)와, 제어 장치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가압 펌프를 구동시켜 상기 공급로로부터 상기 공급구로 상기 액체를 가압하여 공급하는 동시에, 상기 배출구로부터 상기 배출로를 통해 상기 액조로 상기 기체가 가압 용해된 상기 액체를 공급하는, 가압 급액(給液) 운전과, 상기 기체 도입 기구를 동작시킴으로써, 상기 탱크에 상기 기체를 도입하는, 기체 도입 운전을 포함하는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을 실행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액위 전극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소정의 액위 중 가장 낮은 액위를 하한 액위로 하였을 때, 상기 미세 기포 발생 운전에 있어서, 상기 기체 도입 운전이 실행되는 중에, 상기 탱크 내의 액위가 상기 하한 액위보다 낮은 것을 검출하는 경우,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기체 도입 운전을 정지시키고, 상기 가압 급액 운전만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탱크 내의 액위를 상승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전극 커버의 하단(下端)은, 상기 하한 액위보다 낮은 위치에 있어도 된다.
[0008] 전극 커버의 하단이 탱크 내의 액위보다 낮은 위치에 있는 경우, 전극 커버에 의해, 탱크 내의 액체에 포함되는 기체가 액중에서 상승하여 전극 커버의 내측으로 들어가는 것이 억제된다. 이 경우, 전극 커버의 내측에서는, 액면에 있어서의 포말의 발생이 억제되어, 액면의 상방으로의 액체 방울의 비산이 억제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이 실행되는 중에, 전극 커버의 하단은 항상 탱크 내의 액위보다 낮은 위치에 있다. 이 때문에,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이 실행되는 중에, 전극 커버의 내측에서는, 액면에 있어서의 포말의 발생이 항상 억제되어, 액면의 상방으로의 액체 방울의 비산이 항상 억제된다. 따라서,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하나 또는 복수의 액위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액위 전극에 대한 액체 방울의 부착을 보다 적절히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전극 커버의 내측」은, 전극 커버의 액위 전극을 덮고 있는 측을 의미한다.
[0009]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액위 전극은, 상기 탱크 내의 액위가 제1 액위 이상인지의 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제1 액위 전극과, 상기 탱크 내의 액위가 상기 제1 액위보다 높은 제2 액위 이상인지의 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제2 액위 전극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하한 액위는, 상기 제1 액위여도 된다. 상기 미세 기포 발생 운전에 있어서, 상기 기체 도입 운전이 정지되어 있는 동안에, 상기 탱크 내의 액위가 상기 제2 액위 이상인 것을 검출하는 경우,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기체 도입 운전을 개시함으로써, 상기 탱크 내의 액위를 하강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0010]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제어 장치는, 제1 액위 전극과 제2 액위 전극을 사용하여, 탱크의 액위가 제1 액위와 제2 액위 사이에서 추이하도록 기체 도입 기구의 동작을 제어한다. 그리고, 하나 또는 복수의 액위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액위 전극을 덮는 전극 커버의 하단은, 제1 액위보다 낮은 위치에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2개의 액위 전극을 사용하여 탱크의 액위를 제어하는 미세 기포 발생 장치에 있어서, 전극 커버의 내측에 있어서의 액체 방울의 비산이 항상 억제된다. 이 때문에, 2개의 액위 전극을 사용하여 탱크의 액위를 제어하는 미세 기포 발생 장치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액위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액위 전극에 대한 액체 방울의 부착을 적절히 억제할 수 있다.
[0011]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전극 커버는,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액위 전극 중 상기 제2 액위 전극을 덮도록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0012] 제어 장치가, 탱크의 액위가 제1 액위와 제2 액위 사이에서 추이하도록 기체 도입 기구의 동작을 제어하는 경우, 제1 액위 전극은 빈번하게 액체에 담가지기 때문에, 제1 액위 전극에 있어서의 점액은 비교적 생기기 어렵다. 한편, 제2 액위 전극은 거의 액체에 담가지지 않기 때문에, 제2 액위 전극에 있어서의 점액은 비교적 생기기 쉽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전극 커버는, 제2 액위 전극을 덮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점액이 비교적 생기기 쉬운 제2 액위 전극에 대한 액체 방울의 부착을 적절히 억제할 수 있다.
[0013]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액위 전극은, 상기 탱크 내의 액위가 제3 액위 이상인지의 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제3 액위 전극만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전극 커버는, 상기 제3 액위 전극을 덮도록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하한 액위는, 상기 제3 액위여도 된다.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미세 기포 발생 운전에 있어서, 상기 탱크 내의 액위가 상기 하한 액위보다 낮은 것을 검출하여 상기 기체 도입 운전을 정지시키는 경우, 상기 기체 도입 운전을 정지시키고 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하기까지의 동안에, 상기 기체 도입 운전이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소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 상기 기체 도입 운전을 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0014]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제어 장치는, 제3 액위 전극을 사용하여, 탱크의 액위가 제3 액위 이상을 유지하도록 기체 도입 기구의 동작을 제어한다. 그리고, 하나 또는 복수의 액위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액위 전극을 덮는 전극 커버의 하단은, 제3 액위보다 낮은 위치에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하나의 액위 전극을 사용하여 탱크의 액위를 제어하는 미세 기포 발생 장치에 있어서, 전극 커버의 내측에 있어서의 액체 방울의 비산이 항상 억제된다. 이 때문에, 하나의 액위 전극을 사용하여 탱크의 액위를 제어하는 미세 기포 발생 장치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액위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액위 전극에 대한 액체 방울의 부착을 적절히 억제할 수 있다.
[0015]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3 액위는, 상기 혼합 케이스의 하단보다 높은 위치에 있어도 된다. 상기 전극 커버의 상기 하단은, 상기 혼합 케이스의 하단보다 낮은 위치에 있어도 된다.
[0016] 탱크에 공급되는 액체는, 혼합 케이스의 외측면의 형상과 탱크의 내측면의 형상을 따라 저류된다. 이 때문에, 탱크 내에 저류되는 액체의 수평 방향의 단면적은, 혼합 케이스의 하단보다 낮은 위치에서는 비교적 크고, 혼합 케이스의 하단보다 높은 위치에서는 비교적 작다. 따라서, 액중에서 상승하는 기체의 단위 면적당 양은, 혼합 케이스의 하단보다 낮은 위치에서는 비교적 적고, 혼합 케이스의 하단보다 높은 위치에서는 비교적 많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전극 커버는, 액중에서 상승하는 기체의 단위 면적당 양이 비교적 작은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전극 커버에 의해, 탱크 내의 액체에 포함되는 기체가 액중에서 상승하여 전극 커버의 내측으로 들어가는 것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0017]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미세 기포 발생 운전에 있어서, 상기 가압 급액 운전이 실행되는 중에 상기 기체 도입 운전을 실행하는 경우, 상기 기체 도입 운전을 개시할 때, 상기 가압 급액 운전을 중단하고, 상기 기체 도입 운전을 정지시킬 때, 중단한 상기 가압 급액 운전을 재개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0018] 기체 도입 운전을 실행할 때 가압 급액 운전을 중단하지 않는 경우, 기체 도입 운전에 의해 탱크에 공급되는 기체의 양이 가압 급액 운전에 의해 탱크로부터 소비되는 기체의 양을 웃돌도록 조정할 필요가 있어, 처리가 복잡해질 가능성이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기체 도입 운전을 실행할 때 가압 급액 운전을 중단하기 때문에, 기체 도입 운전에 의해 탱크에 공급되는 기체의 양과 가압 급액 운전에 의해 탱크로부터 소비되는 기체의 양을 조정할 필요가 없어, 처리를 간단하고 쉽게 할 수 있다.
[0019]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미세 기포 발생 운전에 있어서, 상기 가압 급액 운전이 실행되는 중에 상기 기체 도입 운전을 실행하는 경우, 상기 가압 급액 운전을 중단하는 일 없이, 상기 기체 도입 운전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0020] 기체 도입 운전을 실행하기 위해 가압 급액 운전을 중단하는 경우, 가압 급액 운전에 의해 액조의 액체에 발생시킨 미세 기포가 기체 도입 운전이 실행되는 중에 소실되어 버려, 액조의 액체에 미세 기포를 안정적으로 계속 발생시키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기체 도입 운전을 실행하기 위해 가압 급액 운전을 중단할 필요가 없어, 가압 급액 운전을 계속해서 실행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액조의 액체에 미세 기포를 안정적으로 계속 발생시킬 수 있다.
[0021]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전극 커버는, 상기 혼합 케이스의 일부와 이음매 없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0022] 미세 기포 발생 장치의 제조 공정에서는, 부품의 수(數)를 삭감하고자 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전극 커버와 혼합 케이스를 별개로 설치하는 경우에 비해, 부품의 수를 삭감할 수 있다.
[0023]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액체가, 물이어도 된다. 상기 액조는, 사용자가 입욕에 사용하는 욕조여도 된다.
[0024]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가 입욕에 사용하는 욕조의 물에 미세 기포를 발생시키는 미세 기포 발생 장치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액위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액위 전극에 대한 액체 방울의 부착을 적절히 억제할 수 있다.
[0025] 도 1은, 실시예 1의 온수 장치(2)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 1의 온수 장치(2)가 구비하는 탱크(52)의 분해도이다.
도 3은, 실시예 1 또는 2의 탱크 하부(522)를 축(A)을 따라 상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4는, 실시예 1 또는 2의 탱크 하부(522)와 케이스 본체(40)를 축(A)을 따라 상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5는, 실시예 1의 탱크(52) 내에 있어서의 물의 흐름의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실시예 1 또는 3의 전극 유닛(54)과 혼합 케이스(4)를 후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7은, 실시예 1 또는 3의 전극 유닛(54)과 케이스 덮개(44)를 하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8은, 실시예 1 내지 3의 제1 유출부(404a)로부터 유출되는 물의 흐름의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실시예 1 내지 3의 욕조 어댑터(132)에 있어서의 물의 흐름의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예 1 내지 3의 욕조 어댑터(132)에 있어서의 물의 흐름의 다른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실시예 1의 온수 장치(2)에 있어서의 물의 흐름의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실시예 1의 온수 장치(2)에 있어서의 물의 흐름의 다른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실시예 1의 온수 장치(2)의 미세 기포 발생 운전에 있어서 제어 장치(150)가 실행하는 처리의 플로차트이다.
도 14는, 실시예 1의 온수 장치(2)에 있어서의 물의 흐름의 또 다른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실시예 2의 온수 장치(2A)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실시예 2의 온수 장치(2A)가 구비하는 탱크(72)의 분해도이다.
도 17은, 실시예 2의 전극 유닛(754)과 혼합 케이스(4)를 후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8은, 실시예 2의 전극 유닛(754)과 케이스 덮개(44)를 하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9는, 실시예 2의 온수 장치(2A)의 미세 기포 발생 운전에 있어서 제어 장치(150)가 실행하는 처리의 플로차트이다.
도 20은, 실시예 3의 온수 장치(2B)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실시예 3의 온수 장치(2B)의 미세 기포 발생 운전에 있어서 제어 장치(150)가 실행하는 처리의 플로차트이다.
도 22는, 실시예 3의 온수 장치(2B)에 있어서의 물의 흐름의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0026] (실시예)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온수 장치(2)는, 열원 유닛(10)과, 공기 가압 용해 유닛(50)과, 욕조 어댑터(132)와, 제어 장치(150)를 구비한다. 온수 장치(2)는, 수도 등의 급수원(200)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여, 원하는 온도까지 가열된 물을, 부엌 등에 설치된 수도꼭지(250)나, 욕실에 설치된 욕조(130)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온수 장치(2)는, 사용자가 입욕에 사용하는 욕조(130)의 물에, 미세 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다.
[0027] (열원 유닛(10)의 구성)
열원 유닛(10)은, 제1 열원기(12)와, 제2 열원기(14)와, 급수로(16)와, 출탕로(出湯路)(18)와, 바이패스로(20)와, 바이패스 서보(22)와, 주탕로(注湯路)(24)와, 욕조용 온수 공급 밸브(26)와, 수량(水量) 센서(28)와, 순환 진행로(往路)(30)와, 순환 복귀로(復路)(32)와, 욕조 순환 펌프(34)와, 수류 스위치(36)를 구비하고 있다.
[0028] 급수로(16)의 상류단은, 급수원(200)에 접속되어 있으며, 급수로(16)의 하류단은, 제1 열원기(12)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출탕로(18)의 상류단은, 제1 열원기(12)에 접속되어 있으며, 출탕로(18)의 하류단은, 수도꼭지(250)에 접속되어 있다. 제1 열원기(12)는, 예컨대 가스의 연소에 의해 물을 가열하는 연소 열원기이다. 제1 열원기(12)는, 급수로(16)로부터 흘러 들어가는 물을 가열하여, 가열된 물을 출탕로(18)로 내보낸다.
[0029] 바이패스로(20)의 상류단은, 급수로(16)에 접속되어 있으며, 바이패스로(20)의 하류단은, 출탕로(18)에 접속되어 있다. 바이패스 서보(22)는, 바이패스로(20)가 급수로(16)에 접속되는 부분(個所)에 설치되어 있다. 바이패스 서보(22)는, 내장된 밸브체의 개방도를 조정함으로써, 급수로(16)로부터 제1 열원기(12)를 경유하여 출탕로(18)로 흐르는 물의 유량과, 급수로(16)로부터 바이패스로(20)를 경유하여 출탕로(18)로 흐르는 물의 유량의 비율을 조정할 수 있다. 바이패스 서보(22)의 개방도를 조정함으로써, 바이패스로(20)가 접속되는 부분보다 하류측의 출탕로(18)에는, 제1 열원기(12)로부터 흘러 들어가는 고온의 물과, 바이패스로(20)로부터 흘러 들어가는 저온의 물이 원하는 비율로 혼합되어, 원하는 온도로 온도 조절된 물이 공급된다. 바이패스로(20)가 접속되는 부분보다 하류측의 출탕로(18)에는, 출탕로(18)의 물의 온도를 검출하는 출탕 온도 서미스터(18a)가 설치되어 있다.
[0030] 주탕로(24)의 상류단은, 바이패스로(20)가 접속되는 부분보다 하류측의 출탕로(18)에 접속되어 있으며, 주탕로(24)의 하류단은, 순환 복귀로(32)에 접속되어 있다. 욕조용 온수 공급 밸브(26)는, 주탕로(24)에 설치되어 있으며, 주탕로(24)를 개폐한다. 욕조용 온수 공급 밸브(26)는, 통상시에는 폐쇄 상태로 되어 있다. 수량 센서(28)는, 주탕로(24)에 설치되어 있으며, 주탕로(24)를 흐르는 물의 수량을 검출한다.
[0031] 순환 복귀로(32)의 상류단은, 공기 가압 용해 유닛(50)의 열원 복귀로(60)(상세한 내용은 후술함)에 접속되어 있으며, 순환 복귀로(32)의 하류단은, 제2 열원기(14)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순환 진행로(30)의 상류단은, 제2 열원기(14)에 접속되어 있으며, 순환 진행로(30)의 하류단은, 공기 가압 용해 유닛(50)의 열원 진행로(68)(상세한 내용은 후술함)에 접속되어 있다. 제2 열원기(14)는, 예컨대 가스의 연소에 의해 물을 가열하는 연소 열원기이다. 제2 열원기(14)는, 순환 복귀로(32)로부터 흘러 들어가는 물을 가열하여, 가열된 물을 순환 진행로(30)로 내보낸다. 순환 복귀로(32)의 상류단 근방에는, 순환 복귀로(32)의 물의 온도를 검출하는 순환 복귀로 서미스터(32a)가 설치되어 있다. 순환 진행로(30)의 하류단 근방에는, 순환 진행로(30)의 물의 온도를 검출하는 순환 진행로 서미스터(30a)가 설치되어 있다.
[0032] 욕조 순환 펌프(34)는, 주탕로(24)의 접속 부분보다 하류측의 순환 복귀로(32)에 설치되어 있으며, 순환 복귀로(32)의 물을 제2 열원기(14)를 향해 내보낸다. 수류 스위치(36)는, 순환 복귀로(32)에 있어서 욕조 순환 펌프(34)와 제2 열원기(14)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순환 복귀로(32)에 물이 흐르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0033] (공기 가압 용해 유닛(50)의 구성)
공기 가압 용해 유닛(50)은, 탱크(52)와, 열원 복귀로(60)와, 열원 진행로(68)와, 탱크 복귀로(74)와, 탱크 진행로(64)와, 연통로(66)와, 제1 삼방 밸브(80)와, 제2 삼방 밸브(82)와, 체크 밸브(check valve)(84)와, 탱크 급수 밸브(86)와, 제1 가압 펌프(88)와, 제2 가압 펌프(90)와, 탱크 순환로(92)와, 탱크 순환 펌프(94)와, 기체 도입 기구(96)를 구비하고 있다.
[0034] (탱크(52)의 구성)
탱크(52)는, 내부에 물을 저류할 수 있다. 또한, 탱크(52)는, 물에 공기를 가압 용해하여 공기 용해수를 생성하기 위해 이용된다.
[0035]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탱크(52)는, 탱크 상부(520)와 탱크 하부(522)를 구비한다. 탱크 상부(520)는, 전극 설치부(540)와, 제1 급수구(74a)와, 제2 급수구(74b)를 구비한다. 탱크 하부(522)는, 케이스 설치부(550)와, 배수구(64a)와, 순환용 개구(92a)(도 3 참조)를 구비한다. 탱크 상부(520)와 탱크 하부(522)는, 나사(도시 생략)에 의해 서로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 탱크 상부(520)와 탱크 하부(522)는, 상하 방향을 따른 축(A)을 중심으로 한 대략 원통 형상의 내측면을 갖고 있다. 그리고, 탱크(52)의 내부에는, 혼합 케이스(4)가 수용된다. 혼합 케이스(4)는, 케이스 본체(40)와, 교반부(42)와, 케이스 덮개(44)와, 도입관(46)을 구비한다. 또한, 전극 설치부(540)에는, 전극 유닛(54)이 설치된다.
[0036]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수구(64a) 및 순환용 개구(92a)는, 탱크 하부(522)의 하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하방으로 개구되어 있다. 이 때문에, 탱크(52) 내에 저류된 물은, 탱크(52)의 내측면을 따라 배수구(64a) 및 순환용 개구(92a)로 유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탱크 하부(522)를 축(A)을 따라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때, 배수구(64a) 및 순환용 개구(92a)는, 각각 축(A)과 서로 겹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0037]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탱크 하부(522)와 케이스 본체(40)를 축(A)을 따라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때, 배수구(64a)(도 3 참조)는 케이스 본체(40)에 가려지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탱크 하부(522)와 케이스 본체(40)를 축(A)을 따라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때, 순환용 개구(92a)의 일부는, 탱크 하부(522)의 내측면과 후술하는 제1 측벽부(402)의 외측면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0038] (케이스 본체(40)의 구성)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40)는, 수평 방향으로 넓어지는 대략 원판 형상의 제1 바닥판부(400)와, 제1 바닥판부(400)의 둘레 가장자리부(周緣部)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1 측벽부(402)와, 제1 측벽부(402)의 상단부(上端部)를 잘라내어 형성되는 복수의 유출부(404)와, 제1 측벽부(402)에 설치된 판 형상 부재(406) 및 복수의 재치(載置) 부재(408)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바닥판부(400)와, 제1 측벽부(402)와, 판 형상 부재(406)와, 복수의 재치 부재(408)는, 이음매 없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측벽부(402)는, 축(A)을 중심으로 한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0039]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 형상 부재(406) 및 복수의 재치 부재(408)는, 탱크 하부(522)의 케이스 설치부(550)에 대해 상방으로부터 접촉하고 있다. 이 때문에, 케이스 본체(40)는, 판 형상 부재(406) 및 복수의 재치 부재(408)를 통해 탱크 하부(522)에 지지되어 있다.
[0040]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유출부(404)는 4개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유출부(404)를, 제1 유출부(404a)와, 제2 유출부(404b)와, 제3 유출부(404c)와, 제4 유출부(404d)로 구별하는 경우가 있다.
[0041] 복수의 재치 부재(408)는, 축(A)의 둘레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각도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재치 부재(408)는 3개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재치 부재(408)를, 제1 재치 부재(408a)와, 제2 재치 부재(408b)와, 제3 재치 부재(408c)로 구별하는 경우가 있다. 제1 재치 부재(408a)와, 제2 재치 부재(408b)와, 제3 재치 부재(408c)는, 축(A)의 둘레 방향을 따라 90°마다 설치되어 있다.
[0042] 판 형상 부재(406)는, 축(A)을 중심으로 한 대략 부채꼴(扇形) 형상을 갖는 평판이다. 판 형상 부재(406)는, 수평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판 형상 부재(406)는, 축(A)의 둘레 방향을 따라, 제1 측벽부(402)의 전체 둘레 중 소정의 각도 범위 내(예컨대, 70°의 각도 범위 내)에 설치되어 있다. 판 형상 부재(406)는, 제1 측벽부(402)의 외측면으로부터 축(A)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 본체(40)를 축(A)을 따라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때, 제1 측벽부(402) 중 판 형상 부재(406)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은, 제1 측벽부(402) 중 제1 유출부(404a)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의 전부와 겹쳐 있다. 또한, 케이스 본체(40)를 축(A)을 따라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때, 판 형상 부재(406)의 도심(圖心)으로부터 제1 유출부(404a)의 도심까지의 축(A)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거리는, 판 형상 부재(406)의 도심으로부터 배수구(64a)의 도심까지의 축(A)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거리보다 작은 데다가, 판 형상 부재(406)의 도심으로부터 순환용 개구(92a)의 도심까지의 축(A)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거리보다 작다.
[0043]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 형상 부재(406)는, 제1 유출부(404a)보다 하방이며, 배수구(64a) 및 순환용 개구(92a)보다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판 형상 부재(406)로부터 제1 유출부(404a)까지의 상하 방향의 거리는, 판 형상 부재(406)로부터 배수구(64a)까지의 상하 방향의 거리보다 작은 데다가, 판 형상 부재(406)로부터 순환용 개구(92a)까지의 상하 방향의 거리보다 작다.
[0044] (교반부(42)의 구성)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교반부(42)는, 수평 방향으로 넓어지는 대략 원판 형상의 제2 바닥판부(420)와, 제2 바닥판부(420)의 둘레 가장자리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2 측벽부(422)와, 제2 측벽부(422)의 접선 방향을 따라 설치된 삽입관(424) 및 끼움결합(嵌合) 부재(426)와, 제2 측벽부(422)의 상부에 있어서, 제2 측벽부(422)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플랜지부(428)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바닥판부(420)와, 제2 측벽부(422)와, 삽입관(424)과, 끼움결합 부재(426)와, 플랜지부(428)는, 이음매 없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측벽부(422)는, 축(A)을 중심으로 한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0045]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랜지부(428)는, 케이스 본체(40)의 제1 측벽부(402)의 상단부에 대해 상방으로부터 접촉하고 있다. 이 때문에, 교반부(42)는, 플랜지부(428)를 통해, 케이스 본체(40)에 지지되어 있다. 교반부(42)가 케이스 본체(40)에 지지된 상태에서는, 삽입관(424)이 케이스 본체(40)의 제4 유출부(404d)의 일부에 끼움결합되는 동시에, 끼움결합 부재(426)가 제1 유출부(404a)의 일부에 끼움결합된다.
[0046] 교반부(42)는, 제2 바닥판부(420)에 형성된 분출구(425)를 더 구비한다. 제2 바닥판부(420)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케이스 본체(40)의 제1 바닥판부(400)로부터 이격(離間)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2 측벽부(422)의 외경은, 케이스 본체(40)의 제1 측벽부(402)의 내경보다 작다. 이에 따라, 교반부(42)와 케이스 본체(40) 사이에는, 분출구(425)와 복수의 유출부(404)를 연통시키는 틈새가 형성되어 있다.
[0047] (케이스 덮개(44)의 구성)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 덮개(44)는, 수평 방향으로 넓어지는 대략 원판 형상의 상판부(440)와, 상판부(440)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접속되어 있으며, 하방을 향함에 따라 축(A)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넓어지는 직경 확대(擴徑)부(442)와, 직경 확대부(442)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측판부(444)와, 측판부(444)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극 커버(446)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판부(440)와, 직경 확대부(442)와, 측판부(444)와, 전극 커버(446)는, 이음매 없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극 커버(446)는, 탱크 상부(520) 및 탱크 하부(522)의 내측면을 따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판부(440)에는, 연통 공기 구멍(도시 생략)이 형성되어 있다.
[0048]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 덮개(44)는, 케이스 본체(40)와 교반부(42)의 상방을 덮도록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 덮개(44)와 교반부(42) 사이는, 시일(seal) 부재(도시 생략)에 의해 밀봉(封止)되어 있다. 이 때문에, 케이스 덮개(44)는, 교반부(42)의 내부에 도입되는 물이 케이스 덮개(44)와 교반부(42) 사이를 통과하여 혼합 케이스(4)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또한, 케이스 덮개(44)는, 케이스 본체(40)의 복수의 유출부(404)로부터 물이 유출될 때, 탱크(52)의 상방으로 물이 비산되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0049] (도입관(46)의 구성)
도입관(46)은, 교반부(42)의 삽입관(424)에 삽입됨으로써, 교반부(42)에 부착되어 있다. 도입관(46)은, 탱크 상부(520)의 제1 급수구(74a) 및 제2 급수구(74b)와, 교반부(42)의 내부를 연통시키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입관(46)은, 탱크 상부(520)의 제1 급수구(74a) 및 제2 급수구(74b)에 공급되는 물을 교반부(42)의 내부에 도입할 수 있다.
[0050] (전극 유닛(54)의 구성)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극 유닛(54)은, 고수위 전극(54a)과, 저수위 전극(54b)과, 접지 전극(54c)을 구비한다. 고수위 전극(54a)과, 저수위 전극(54b)과, 접지 전극(54c)은, 탱크(52)의 내부이며 혼합 케이스(4)의 외부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고수위 전극(54a) 및 저수위 전극(54b)은, 탱크(52) 내에 저류되어 있는 물의 수면에 접촉하면, 접지 전극(54c)과의 사이에서 전류가 흘러, 제어 장치(150)에 ON 신호를 출력한다. 즉, 고수위 전극(54a)과 저수위 전극(54b) 각각은, 탱크(52) 내의 수위가 소정 수위 이상인지의 여부를 검출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저수위 전극(54b)에 의해 검출되는 탱크(52) 내의 수위를 「제1 수위」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고수위 전극(54a)에 의해 검출되는 탱크(52) 내의 수위를 「제2 수위」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고수위 전극(54a)의 하단은, 저수위 전극(54b)의 하단보다 높은 위치에 있다. 이 때문에, 제2 수위는 제1 수위보다 높다.
[0051]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수위 전극(54a)은, 전극 커버(446)에 덮여 있다. 한편, 저수위 전극(54b)과 접지 전극(54c)은, 전극 커버(446)에는 덮여 있지 않다. 전극 커버(446)의 하단은, 고수위 전극(54a)의 하단, 저수위 전극(54b)의 하단, 및 접지 전극(54c)의 하단보다 낮은 위치에 있다. 또한, 전극 커버(446)의 하단은, 혼합 케이스(4)의 하단보다 낮은 위치에 있다.
[0052]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극 커버(446)를 하방으로부터 보았을 때, 전극 커버(446)는, 고수위 전극(54a)의 전체 둘레를 덮고 있다.
[0053] (탱크(52) 내에 있어서의 물의 흐름)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급수구(74a) 및 제2 급수구(74b)로부터 공급되는 물은, 도입관(46)을 통해 교반부(42)의 내부로 도입된다. 교반부(42)의 내부로 도입된 물은, 교반부(42)의 내부에 있어서 나선형으로 선회하면서, 하방으로 흐른다. 교반부(42)의 내부에서 물이 선회하면, 교반부(42)의 중심 부근에서, 큰 음압(negative pressure, 負壓)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탱크(52)의 상부에 모여 있는 공기가, 케이스 덮개(44)의 연통 공기 구멍(도시 생략)을 통해, 교반부(42)의 내부로 도입된다. 교반부(42)의 내부로 도입된 공기는, 교반부(42)의 내부에서 선회하고 있는 물에 휩쓸려 들어간다. 이에 따라, 공기가 물에 용해되어, 공기 용해수가 생성된다. 교반부(42)의 내부에서 생성된 공기 용해수는, 분출구(425)로부터 케이스 본체(40)의 제1 바닥판부(400)를 향해 분출된다. 분출구(425)로부터 분출된 공기 용해수는, 제1 바닥판부(400)에 충돌하여 방향이 전환되고, 제2 측벽부(422)와 제1 측벽부(402)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상방을 향해 흘러, 케이스 본체(40)의 복수의 유출부(404)로부터 혼합 케이스(4)의 외부로 유출된다. 복수의 유출부(404)로부터 유출된 공기 용해수는, 탱크(52)의 내측면과 제1 측벽부(402)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하방을 향해 흘러, 탱크(52) 내에 저류된다. 또한, 도 5의 실선 화살표는, 물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0054]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유출부(404)로부터 유출되는 공기 용해수 중, 제1 유출부(404a)로부터 유출되는 공기 용해수는, 탱크(52)의 내측면과 제1 측벽부(402)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하방을 향해 흐를 때, 판 형상 부재(406)에 충돌한다. 판 형상 부재(406)에 충돌한 공기 용해수는, 판 형상 부재(406)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흐르도록 방향이 전환된다. 판 형상 부재(406)에 의한 공기 용해수의 방향 전환 시에, 공기 용해수는 감속된다. 이 때문에, 공기 용해수에 미(未)용해 공기가 혼입되어 있는 경우, 공기 용해수의 감속에 의해, 미용해 공기는 공기 용해수로부터 분리된다. 그리고, 공기 용해수로부터 분리된 공기는, 탱크(52)의 상부로 되돌아간다. 이상으로부터, 본 실시예의 온수 장치(2)에서는, 배수구(64a)(도 3 참조) 및 순환용 개구(92a)(도 3 참조)로 유도되는 공기 용해수에 포함되는 미용해 공기의 양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도 8의 실선 화살표는, 물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0055] (공기 가압 용해 유닛(50)에 있어서의 각 수로의 구성)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원 복귀로(60)의 일단(一端)은, 연통로(66)에 접속되어 있으며, 열원 복귀로(60)의 타단(他端)은, 열원 유닛(10)의 순환 복귀로(32)에 접속되어 있다. 연통로(66)는, 제1 삼방 밸브(80)와 제2 삼방 밸브(82)를 접속한다. 제1 삼방 밸브(80)에는, 연통로(66), 제1 욕조 수로(62), 및, 탱크 진행로(64)가 접속되어 있다. 제1 삼방 밸브(80)는, 탱크 진행로(64)와 제1 욕조 수로(62)가 연통되어 있는 제1 연통 상태(도 14 참조)와, 탱크 진행로(64)와 연통로(66)가 연통되어 있는 제2 연통 상태(도 1 참조)와, 제1 욕조 수로(62), 탱크 진행로(64), 및, 연통로(66)가 연통되어 있는 제3 연통 상태(도 11, 도 12 참조) 간의 전환이 가능하다. 탱크 진행로(64)의 상류단은, 배수구(64a)를 통해 탱크(52)에 접속되어 있으며, 탱크 진행로(64)의 하류단은, 제1 삼방 밸브(80)에 접속되어 있다. 탱크 진행로(64)에는, 탱크(52)로부터 제1 삼방 밸브(80)를 향해 물이 흐르는 것을 허용하고, 제1 삼방 밸브(80)로부터 탱크(52)를 향해 물이 흐르는 것을 금지하는 체크 밸브(84)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욕조 수로(62)의 일단은, 제1 삼방 밸브(80)에 접속되어 있으며, 제1 욕조 수로(62)의 타단은, 욕조 어댑터(132)에 접속되어 있다.
[0056] 열원 진행로(68)의 일단은, 열원 유닛(10)의 순환 진행로(30)에 접속되어 있으며, 열원 진행로(68)의 타단은, 제2 삼방 밸브(82)에 접속되어 있다. 제2 삼방 밸브(82)에는, 연통로(66)와, 열원 진행로(68)와, 제2 욕조 수로(70)가 접속되어 있다. 제2 삼방 밸브(82)는, 제2 욕조 수로(70)와 연통로(66)가 연통되는 제4 연통 상태(도 14 참조)와, 열원 진행로(68)와 제2 욕조 수로(70)가 연통되는 제5 연통 상태(도 1, 도 11, 도 12 참조) 간의 전환이 가능하다. 제2 욕조 수로(70)의 일단은, 제2 삼방 밸브(82)에 접속되어 있으며, 제2 욕조 수로(70)의 타단은, 욕조 어댑터(132)에 접속되어 있다.
[0057] 탱크 복귀로(74)의 상류단은, 열원 진행로(68)에 접속되어 있으며, 탱크 복귀로(74)의 하류단은, 제1 급수구(74a)를 통해 탱크(52)에 접속되어 있다. 탱크 급수 밸브(86)는, 탱크 복귀로(74)에 설치되어 있으며, 탱크 복귀로(74)를 개폐한다. 탱크 급수 밸브(86)는, 통상시에는 폐쇄 상태로 되어 있다. 제1 가압 펌프(88)와 제2 가압 펌프(90)는, 탱크 복귀로(74)에 있어서, 탱크 급수 밸브(86)와 탱크(52)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제1 가압 펌프(88)와 제2 가압 펌프(90)는, 탱크 복귀로(74)의 물을 가압하여 탱크(52)를 향해 내보낸다. 탱크 복귀로(74)에 있어서, 제1 가압 펌프(88)는 제2 가압 펌프(90)보다 상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0058] 탱크 순환로(92)의 상류단은, 순환용 개구(92a)를 통해 탱크(52)에 접속되어 있으며, 탱크 순환로(92)의 하류단은, 제2 급수구(74b)를 통해 탱크(52)에 접속되어 있다. 탱크 순환 펌프(94)는, 탱크 순환로(92)에 설치되어 있다. 탱크 순환 펌프(94)는, 탱크(52) 내의 물을, 순환용 개구(92a)를 통해 탱크 순환로(92)로 흡입하는 동시에, 탱크 순환로(92)의 물을, 제2 급수구(74b)를 통해 탱크(52) 내로 토출한다.
[0059] (기체 도입 기구(96)의 구성)
기체 도입 기구(96)는, 탱크 순환 펌프(94)보다 상류측의 탱크 순환로(92)에 설치되어 있다. 기체 도입 기구(96)는, 입수관(98)과, 출수관(100)과, 벤투리관(102)과, 기체 도입로(104)와, 기체 도입 밸브(106)를 구비하고 있다. 입수관(98)에는, 탱크 순환로(92)의 상류측으로부터 물이 유입된다. 출수관(100)은, 탱크 순환로(92)의 하류측으로 물을 유출시킨다. 벤투리관(102)은, 입수관(98)과 출수관(100)을 연통시키고 있다. 벤투리관(102)의 직경은, 입수관(98) 및 출수관(100)의 직경보다 작다. 기체 도입 기구(96)를 흐르는 물은, 입수관(98)으로부터 벤투리관(102)으로 흐를 때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까지 감압되고, 벤투리관(102)으로부터 출수관(100)으로 흐를 때 원래의 압력까지 증압된다. 기체 도입로(104)의 상류단(이하에서는, 기체 도입구(104a)라고도 함)은, 대기에 개방되어 있으며, 하류단은 벤투리관(102)에 접속되어 있다. 기체 도입 밸브(106)는, 기체 도입로(104)에 설치되어 있으며, 기체 도입로(104)를 개폐한다. 기체 도입 기구(96)에 물이 흐를 때, 기체 도입 밸브(106)가 열려 있는 경우에는, 기체 도입구(104a)로부터 기체 도입로(104)로 공기가 흡입되어, 벤투리관(102)을 흐르는 물에 공기가 혼합된다. 기체 도입로(104)로 도입된 공기는, 탱크 순환로(92)를 흐르는 물과 함께, 탱크(52)로 유입된다. 기체 도입 밸브(106)는, 통상시에는 폐쇄 상태로 되어 있다.
[0060] (욕조 어댑터(132)의 구성)
계속해서, 도 9, 도 10을 참조하여, 욕조(130)의 벽부(130a)에 설치된 욕조 어댑터(132)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제1 욕조 수로(62)로부터 욕조(130)를 향해 물이 흐르고, 욕조(130)로부터 제2 욕조 수로(70)를 향해 물이 흐르는 상태(예컨대, 도 14의 상태)인 경우의 욕조 어댑터(132)에서의 물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도 10은, 욕조(130)로부터 제1 욕조 수로(62)를 향해 물이 흐르고, 제2 욕조 수로(70)로부터 욕조(130)를 향해 물이 흐르는 상태(예컨대, 도 12의 상태)인 경우의 욕조 어댑터(132)에서의 물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0061] 욕조 어댑터(132)는, 제1 수로(136)와, 제2 수로(138)를 구비한다. 제1 수로(136)는, 제1 욕조 수로(62)와 연통되어 있으며, 제2 수로(138)는, 제2 욕조 수로(70)와 연통되어 있다. 제1 수로(136)는, 제1 토출로(136a)와, 제1 흡입로(136b)로 분기되어 있다. 제1 토출로(136a)는, 욕조 어댑터(132)의 전면(前面)(132a)에 형성된 제1 토출구(134a)와 연통되어 있다. 제1 토출구(134a)로부터 욕조(130)로 토출되는 물은, 욕조(130)의 벽부(130a)의 전방, 즉, 욕조(130)의 벽부(130a)에 수직인 방향으로 토출된다. 제1 토출로(136a)에는, 욕조(130)로부터 제1 욕조 수로(62)로 향하는 물의 흐름을 방지하는 역류 방지부(140a)와, 역류 방지부(140a)보다 상류측(제1 욕조 수로(62)측)에 배치된 미세 기포 발생 노즐(142)이 설치되어 있다. 미세 기포 발생 노즐(142)은, 미세 기포 발생 노즐(142)을 통과하는 물을 감압시킨다. 제1 흡입로(136b)는, 욕조 어댑터(132)의 전면(132a)에 형성된 제1 흡입구(134b)와 연통되어 있다. 제1 흡입로(136b)에는, 제1 욕조 수로(62)로부터 욕조(130)로 향하는 물의 흐름을 방지하는 역류 방지부(140b)가 설치되어 있다.
[0062] 제2 수로(138)는, 제2 토출로(138a)와, 제2 흡입로(138b)로 분기되어 있다. 제2 흡입로(138b)는, 욕조 어댑터(132)의 전면(132a)에 형성된 제2 흡입구(134c)와 연통되어 있다. 제2 흡입로(138b)에는, 제2 욕조 수로(70)로부터 욕조(130)로 향하는 물의 흐름을 방지하는 역류 방지부(140c)가 설치되어 있다. 제2 토출로(138a)는, 욕조 어댑터(132)의 하면(132b)에 형성된 제2 토출구(134d)와 연통되어 있다. 제2 토출구(134d)로부터 토출되는 물은, 하방, 즉, 욕조(130)의 벽부(130a)에 평행한 방향으로 토출된다. 제2 토출로(138a)에는, 욕조(130)로부터 제2 욕조 수로(70)로 향하는 물의 흐름을 방지하는 역류 방지부(140d)가 설치되어 있다.
[0063] (제어 장치(150)의 구성)
도 1에 나타낸 제어 장치(150)는, 열원 유닛(10), 공기 가압 용해 유닛(50)의 각 구성 요소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 장치(150)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 가능한 리모컨(154)과 통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어 장치(150)는, 메모리(152)를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입력한 욕조용 온수 공급 운전에 있어서의 설정 온도나 설정 수량, 재가열(데우기; reheating) 운전에 있어서의 설정 온도 등의 각종 설정을 기억할 수 있다. 사용자는, 리모컨(154)을 통해, 후술하는 욕조용 온수 공급 운전이나 재가열 운전,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의 개시나 종료를 지시할 수 있다.
[0064] (욕조용 온수 공급 운전)
욕조용 온수 공급 운전은, 사용자가 리모컨(154)을 통해 욕조용 온수 공급 운전의 개시를 지시한 경우에 개시한다. 혹은, 욕조용 온수 공급 운전은, 사용자가 리모컨(154)을 통해 욕조용 온수 공급 운전의 개시 시각을 설정해 두고, 제어 장치(150)가 욕조용 온수 공급 운전의 개시 시각이 도래하였다고 판단한 경우에 개시해도 된다. 제어 장치(150)는, 욕조용 온수 공급 운전을 개시할 때, 제1 삼방 밸브(80), 제2 삼방 밸브(82)를, 각각, 제3 연통 상태, 제5 연통 상태로 한다(도 11, 도 12 참조). 제어 장치(150)는, 욕조용 온수 공급 운전이 개시되면, 욕조용 온수 공급 밸브(26)를 여는 동시에, 제1 열원기(12)에 의한 가열을 개시한다. 이에 따라,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정 온도로 온도 조절된 물이, 출탕로(18)로부터 주탕로(24)를 통해 순환 복귀로(32)로 흘러 들어간다. 순환 복귀로(32)로 흘러 들어간 물은, 상류측(즉 열원 복귀로(60))을 향하는 흐름과 하류측(즉 제2 열원기(14))을 향하는 흐름으로 분기된다. 순환 복귀로(32)로부터 열원 복귀로(60)로 흐르는 물은, 연통로(66), 제1 삼방 밸브(80), 제1 욕조 수로(62), 욕조 어댑터(132)를 경유하여, 욕조(130)로 흘러 들어간다. 순환 복귀로(32)로부터 제2 열원기(14)로 흐르는 물은, 순환 진행로(30), 열원 진행로(68), 제2 삼방 밸브(82), 제2 욕조 수로(70), 욕조 어댑터(132)를 경유하여, 욕조(130)로 흘러 들어간다. 제어 장치(150)는, 수량 센서(28)가 검출하는 적산(積算) 수량이, 욕조용 온수 공급 운전에 있어서의 설정 수량에 도달할 때까지 대기한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적산 수량이란, 욕조용 온수 공급 운전이 개시되고 나서 수량 센서(28)가 검출한 적산 수량을 의미한다. 적산 수량이 설정 수량에 도달하면 제어 장치(150)는, 욕조용 온수 공급 밸브(26)를 닫는 동시에, 제1 열원기(12)에 의한 물의 가열을 종료한다. 그 후, 제어 장치(150)는, 욕조용 온수 공급 운전이 완료되었음을, 리모컨(154)을 통해 사용자에게 통지하고, 욕조용 온수 공급 운전을 종료한다.
[0065] (재가열 운전)
재가열 운전은, 사용자가 리모컨(154)을 통해 재가열 운전의 개시를 지시한 경우에 개시한다. 혹은, 재가열 운전은, 욕조용 온수 공급 운전에 있어서 제1 열원기(12)에 의한 물의 가열을 종료한 후에, 제어 장치(150)가 순환 복귀로 서미스터(32a)에서 검출되는 온도가 설정 온도를 충족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개시해도 된다. 제어 장치(150)는, 재가열 운전을 개시할 때, 제1 삼방 밸브(80)를 제3 연통 상태로 하고, 또한, 제2 삼방 밸브(82)를 제5 연통 상태로 한다(도 11, 도 12 참조). 이 상태로부터, 제어 장치(150)는, 욕조 순환 펌프(34)를 구동시키는 동시에, 제2 열원기(14)에 의한 물의 가열을 개시한다. 이에 따라,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욕조(130)의 물이, 욕조 어댑터(132), 제1 욕조 수로(62), 제1 삼방 밸브(80), 연통로(66), 열원 복귀로(60), 순환 복귀로(32)를 경유하여 제2 열원기(14)로 보내진다. 제2 열원기(14)에서 가열된 물은, 순환 진행로(30), 열원 진행로(68), 제2 삼방 밸브(82), 제2 욕조 수로(70), 욕조 어댑터(132)를 경유하여, 욕조(130)로 돌려보내진다. 순환 복귀로 서미스터(32a)에서 검출되는 온도가 설정 온도 이상이 되면, 제어 장치(150)는, 욕조 순환 펌프(34)를 정지시키는 동시에, 제2 열원기(14)에 의한 물의 가열을 종료한다. 그 후, 제어 장치(150)는, 재가열 운전이 완료되었음을, 리모컨(154)을 통해 사용자에게 통지하고, 재가열 운전을 종료한다.
[0066] (미세 기포 발생 운전)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은, 사용자가 리모컨(154)을 통해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의 개시를 지시한 경우에 개시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온수 장치(2)에서는, 상술한 욕조용 온수 공급 운전이 완료된 후에, 자동적으로 미세 기포 발생 운전도 개시한다. 즉, 욕조용 온수 공급 운전의 실행에 연동하여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이 실행된다. 제어 장치(150)는,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을 개시할 때, 제1 삼방 밸브(80), 제2 삼방 밸브(82)를, 각각, 제3 연통 상태, 제5 연통 상태로 한다(도 11, 도 12 참조). 또한, 제어 장치(150)는, 탱크 급수 밸브(86)를 열린 상태로 한다. 이 상태로부터, 제어 장치(150)는, 도 13에 나타낸 처리를 실행한다.
[0067] S2에서는, 제어 장치(150)는, 탱크 순환 펌프(94)를 구동시킨다. 이에 따라, 탱크(52)와 탱크 순환로(92) 사이에서 물이 순환한다.
[0068] S4에서는, 제어 장치(150)는, 제1 공기 도입 운전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장치(150)는, 기체 도입 밸브(106)를 연다. 제1 공기 도입 운전이 실행되는 중에는, 탱크 순환로(92)의 기체 도입 기구(96)를 흐르는 물에 공기가 도입된다.
[0069] S6에서는, 제어 장치(150)는, 가압 급수 운전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 장치(150)는, 제1 삼방 밸브(80)를 제1 연통 상태로 하고, 제2 삼방 밸브(82)를 제4 연통 상태로 한 후에, 욕조 순환 펌프(34)와, 제1 가압 펌프(88)와, 제2 가압 펌프(90)를 구동시킨다. 가압 급수 운전이 실행되는 중에는, 욕조(130)의 물이, 욕조 어댑터(132), 제2 욕조 수로(70), 제2 삼방 밸브(82), 연통로(66), 열원 복귀로(60), 순환 복귀로(32), 제2 열원기(14), 순환 진행로(30), 열원 진행로(68), 탱크 복귀로(74)를 경유하여, 탱크(52)로 공급된다. 이때, 탱크 복귀로(74)로부터 탱크(52)로는, 제1 가압 펌프(88)와 제2 가압 펌프(90)에 의해 가압된 물이 공급된다. 이에 따라, 탱크(52)의 내부에 있어서, 물에 공기가 가압 용해된다. 그리고, 공기가 가압 용해된 물은, 탱크(52)로부터, 탱크 진행로(64), 제1 삼방 밸브(80), 제1 욕조 수로(62), 욕조 어댑터(132)를 경유하여, 욕조(130)로 공급된다. 이때, 공기가 가압 용해된 물은, 욕조 어댑터(132)의 제1 토출로(136a)의 미세 기포 발생 노즐(142)을 통과할 때, 대기압 이하까지 감압되고, 욕조(130)로 분출될 때, 대기압까지 증압되어, 욕조(130)의 물에 미세 기포가 발생한다.
[0070] S8에서는, 제어 장치(150)는, 저수위 전극(54b)으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근거하여, 탱크(52)의 수위가 제1 수위를 밑도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체 도입 기구(96)에 있어서, 기체 도입 밸브(106)를 열어 놓았을 때 도입되는 공기량은, 욕조(130)의 물에 있어서 발생하는 미세 기포의 공기량보다 많다. 이 때문에, 기체 도입 밸브(106)를 연 상태에서는, 탱크(52) 내의 공기량이 증대해 가고, 탱크(52)의 수위는 하강해 간다. 탱크(52)의 수위가 제1 수위 이상인 경우(NO인 경우), 처리는 S12로 진행된다. 탱크(52)의 수위가 제1 수위를 밑도는 경우(YES인 경우), 처리는 S10으로 진행된다.
[0071] S10에서는, 제어 장치(150)는, 제1 공기 도입 운전이 실행 중인 경우에는, 제1 공기 도입 운전을 정지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장치(150)는, 기체 도입 밸브(106)를 닫는다. 이에 따라, 탱크 순환로(92)의 기체 도입 기구(96)를 흐르는 물에 대한 공기의 도입이 정지된다. 기체 도입 밸브(106)를 닫은 상태에서는, 탱크(52)에 공기가 공급되지 않으므로, 탱크(52) 내의 공기량이 감소해 가고, 탱크(52)의 수위는 상승해 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기체 도입 밸브(106)를 닫아 놓은 동안에도, 탱크 순환 펌프(94)의 구동은 그대로 계속한다. 이에 따라, 탱크(52) 내에서의 물의 유동이 촉진되어, 탱크(52)에 있어서의 물에 대한 공기의 가압 용해가 촉진된다.
[0072] S12에서는, 제어 장치(150)는, 고수위 전극(54a)으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근거하여, 탱크(52)의 수위가 제2 수위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탱크(52)의 수위가 제2 수위를 밑도는 경우(NO인 경우), 처리는 S16으로 진행된다. 탱크(52)의 수위가 제2 수위 이상인 경우(YES인 경우), 처리는 S14로 진행된다.
[0073] S14에서는, 제어 장치(150)는, 제1 공기 도입 운전이 정지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1 공기 도입 운전을 개시한다. 이에 따라, 탱크 순환로(92)의 기체 도입 기구(96)를 흐르는 물에 대한 공기의 도입이 재개된다.
[0074] S16에서는, 제어 장치(150)는,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의 운전 시간이, 설정 시간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의 운전 시간은,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을 개시하고 나서의 경과 시간이다. 본 실시예의 온수 장치(2)에서는, 욕조용 온수 공급 운전의 실행과 연동하지 않고,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이 단독으로 실행되는 경우, 설정 시간은 예컨대 10분간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와는 달리, 욕조용 온수 공급 운전의 실행과 연동하여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이 실행되는 경우, 설정 시간은 예컨대 30분간으로 설정되어 있다. 운전 시간이 설정 시간에 도달해 있지 않은 경우(NO인 경우), 처리는 S8로 되돌아간다. 운전 시간이 설정 시간에 도달하면(YES가 되면), 처리는 S18로 진행된다.
[0075] S18에서는, 제어 장치(150)는, 가압 급수 운전을 정지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장치(150)는, 욕조 순환 펌프(34)와, 제1 가압 펌프(88)와, 제2 가압 펌프(90)를 정지시킨다.
[0076] S20에서는, 제어 장치(150)는, 제1 공기 도입 운전이 실행 중인 경우에는, 제1 공기 도입 운전을 정지시킨다.
[0077] S22에서는, 제어 장치(150)는, 탱크 순환 펌프(94)를 정지시킨다. 이에 따라, 탱크(52)와 탱크 순환로(92) 사이에서의 물의 순환이 정지된다. S22 후에, 도 13의 처리는 종료된다.
[0078]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온수 장치(2)에서는, 제어 장치(150)는, 미세 기포 발생 운전에 있어서, 고수위 전극(54a)과 저수위 전극(54b)을 사용하여, 탱크(52)의 수위가 제1 수위와 제2 수위 사이에서 추이하도록 기체 도입 기구(96)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어 장치(150)는, 미세 기포 발생 운전에 있어서, 가압 급수 운전이 실행되는 중에 제1 기체 도입 운전을 실행하는 경우, 가압 급수 운전을 중단하는 일 없이, 제1 기체 도입 운전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0079] (실시예 2)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온수 장치(2A)는, 실시예 1의 온수 장치(2)와 거의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온수 장치(2A)에서는, 공기 가압 용해 유닛(50)이, 탱크(52)를 구비하는 대신에, 탱크(72)를 구비한다. 또한, 온수 장치(2A)에서는,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을 실행할 때, 제어 장치(150)가, 도 13에 나타낸 처리를 실행하는 대신에, 도 19에 나타낸 처리를 실행한다. 이하에서는, 탱크(72)에 있어서의 탱크(52)와의 상이점 및 도 19에 나타낸 처리에 있어서의 도 13에 나타낸 처리와의 상이점에 대해 설명한다.
[0080] (탱크(72)에 있어서의 탱크(52)와의 상이점)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탱크(72)는, 탱크 상부(520) 대신에 탱크 상부(720)를 구비한다. 그리고, 탱크 상부(720)는, 전극 설치부(540) 대신에 전극 설치부(740)를 구비한다. 전극 설치부(740)에는, 전극 유닛(54) 대신에 전극 유닛(754)이 설치된다.
[0081] 전극 유닛(754)은, 단일의 수위 전극(754a)과 접지 전극(754b)을 구비한다. 단일의 수위 전극(754a)과 접지 전극(754b)은, 탱크(72)의 내부이며 혼합 케이스(4)의 외부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단일의 수위 전극(754a)은, 탱크(72) 내에 저류되어 있는 물의 수면에 접촉하면, 접지 전극(754b)과의 사이에서 전류가 흘러, 제어 장치(150)에 ON 신호를 출력한다. 즉, 단일의 수위 전극(754a)은, 탱크(72) 내의 수위가 소정 수위 이상인지의 여부를 검출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단일의 수위 전극(754a)에 의해 검출되는 탱크(72) 내의 수위를 「제3 수위」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단일의 수위 전극(754a)의 하단은, 혼합 케이스(4)의 하단보다 높은 위치에 있다. 이 때문에, 제3 수위는, 혼합 케이스(4)의 하단보다 높은 위치에 있다.
[0082]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일의 수위 전극(754a)은, 전극 커버(446)에 덮여 있다. 한편, 접지 전극(754b)은, 전극 커버(446)에는 덮여 있지 않다. 전극 커버(446)의 하단은, 단일의 수위 전극(754a)의 하단, 및 접지 전극(754b)의 하단보다 낮은 위치에 있다. 또한, 전극 커버(446)의 하단은, 혼합 케이스(4)의 하단보다 낮은 위치에 있다.
[0083]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극 커버(446)를 하방으로부터 보았을 때, 전극 커버(446)는, 단일의 수위 전극(754a)의 전체 둘레를 덮고 있다.
[0084] (도 19에 나타낸 처리에 있어서의 도 13에 나타낸 처리와의 상이점)
도 19에 나타낸 처리에서는, S6 후에, 처리는 S32로 진행된다. S32에서는, 제어 장치(150)는, 단일의 수위 전극(754a)으로부터 출력되는 ON 신호의 유무에 근거하여, 탱크(72)의 수위가 제3 수위를 밑도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탱크(72)의 수위가 제3 수위 이상인 경우(NO인 경우), 처리는 S32를 반복한다. 탱크(72)의 수위가 제3 수위를 밑도는 경우(YES인 경우), 처리는 S10으로 진행된다. 그리고 S10 후에, 처리는 S34로 진행된다.
[0085] S34에서는, 제어 장치(150)는, 내장된 타이머(도시 생략)를 사용하여, 수위 상승 시간의 계측(計時)을 개시한다. S34 후에, 처리는 S36으로 진행된다.
[0086] S36에서는, 제어 장치(150)는, S34에서 계측을 개시한 수위 상승 시간이, 제1 소정 시간(예컨대 90초)을 웃도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수위 상승 시간이 제1 소정 시간 이하인 경우(NO인 경우), 처리는 S36을 반복한다. 수위 상승 시간이 제1 소정 시간을 웃도는 경우(YES인 경우), 처리는 S38로 진행된다.
[0087] S38에서는, 제어 장치(150)는, 내장된 타이머(도시 생략)에 의한, 수위 상승 시간의 계측을 종료한다. S38 후에, 처리는 S14로 진행된다.
[0088] 이와 같이, 온수 장치(2A)에서는, 제어 장치(150)는, 미세 기포 발생 운전에 있어서, 단일의 수위 전극(754a)을 사용하여, 탱크(72)의 수위가 제3 수위 이상을 유지하도록 기체 도입 기구(96)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어 장치(150)는, 미세 기포 발생 운전에 있어서, 가압 급수 운전이 실행되는 중에 제1 기체 도입 운전을 실행하는 경우, 가압 급수 운전을 중단하는 일 없이, 제1 기체 도입 운전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0089] (실시예 3)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온수 장치(2B)는, 실시예 1의 온수 장치(2)와 거의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온수 장치(2B)에서는, 공기 가압 용해 유닛(50)이, 탱크(52)를 구비하는 대신에, 탱크(352)를 구비한다. 탱크(352)는, 탱크(52)에 있어서의 순환용 개구(92a)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 탱크(352)는, 탱크(52)에 있어서의 제1 급수구(74a)와 제2 급수구(74b)를 구비하는 대신에, 제3 급수구(374)를 구비한다. 제3 급수구(374)에는, 탱크 복귀로(74)의 하류단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온수 장치(2B)에서는, 공기 가압 용해 유닛(50)이, 탱크 순환로(92)와, 탱크 순환 펌프(94)와, 기체 도입 기구(96)를 구비하는 대신에, 기체 도입로(300)와, 에어 펌프(302)를 구비한다. 기체 도입로(300)의 상류단(이하에서는, 기체 도입구(300a)라고도 함)은, 대기에 개방되어 있으며, 하류단은 탱크(52)에 접속되어 있다. 에어 펌프(302)는, 기체 도입로(300)에 설치되어 있다. 에어 펌프(302)가 구동되면, 기체 도입로(300)를 통해 탱크(52)의 내부에 공기가 도입된다.
[0090] 또한, 온수 장치(2B)에서는,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을 실행할 때, 제어 장치(150)가, 도 13에 나타낸 처리를 실행하는 대신에, 도 21에 나타낸 처리를 실행한다.
[0091]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S52에서는, 제어 장치(150)는, 제2 공기 도입 운전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장치(150)는, 제1 삼방 밸브(80), 제2 삼방 밸브(82)를, 각각, 제2 연통 상태, 제5 연통 상태(도 20 참조)로 한 후에, 에어 펌프(302)를 구동시킨다. 제2 공기 도입 운전이 실행되는 중에는, 기체 도입로(300)를 통해 탱크(352)의 내부에 공기가 도입된다.
[0092] S54에서는, 제어 장치(150)는, 저수위 전극(54b)으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근거하여, 탱크(352)의 수위가 제1 수위를 밑도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후술하는 가압 급수 운전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제2 공기 도입 운전을 실행하는 경우, 탱크(352) 내의 공기량이 증대하기 때문에, 탱크(352)의 수위는 하강해 간다. 탱크(352)의 수위가 제1 수위 이상인 경우(NO인 경우), 처리는 S60으로 진행된다. 탱크(352)의 수위가 제1 수위를 밑도는 경우(YES인 경우), 처리는 S56으로 진행된다.
[0093] S56에서는, 제어 장치(150)는, 제2 공기 도입 운전이 실행 중인 경우에는, 제2 공기 도입 운전을 정지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장치(150)는, 에어 펌프(302)를 정지시킨다. 이에 따라, 탱크(352)의 내부로의 공기의 도입이 정지된다.
[0094] S58에서는, 제어 장치(150)는, 가압 급수 운전이 정지되어 있는 경우에는, 가압 급수 운전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 장치(150)는, 제1 삼방 밸브(80), 제2 삼방 밸브(82)를, 각각, 제1 연통 상태, 제4 연통 상태로 한 후에, 욕조 순환 펌프(34)와, 제1 가압 펌프(88)와, 제2 가압 펌프(90)를 구동시킨다. 이에 따라, 탱크(352)에 있어서의 물에 대한 공기의 가압 용해가 촉진되는 동시에, 탱크(352)로부터 욕조(130)로의 공기 용해수의 공급이 개시된다. 또한, 제2 공기 도입 운전을 정지시킨 상태에서는, 탱크(352)에 공기가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탱크(352) 내의 공기량이 감소해 가고, 탱크(352)의 수위는 상승해 간다.
[0095] S60에서는, 제어 장치(150)는, 고수위 전극(54a)으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근거하여, 탱크(352)의 수위가 제2 수위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탱크(352)의 수위가 제2 수위를 밑도는 경우(NO인 경우), 처리는 S66으로 진행된다. 탱크(352)의 수위가 제2 수위 이상인 경우(YES인 경우), 처리는 S62로 진행된다.
[0096] S62에서는, 제어 장치(150)는, 제2 공기 도입 운전이 정지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2 공기 도입 운전을 개시한다. 이에 따라, 탱크(352)의 내부로의 공기의 도입이 재개된다.
[0097] S64에서는, 제어 장치(150)는, 가압 급수 운전이 실행 중인 경우에는, 가압 급수 운전을 정지시킨다. 이에 따라, 탱크(352)로부터 욕조(130)로의 공기 용해수의 공급이 정지된다. 또한, 가압 급수 운전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제2 공기 도입 운전이 실행되기 때문에, 탱크(352)의 수위는 하강해 간다.
[0098] S66에서는, 제어 장치(150)는,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의 운전 시간이, 설정 시간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운전 시간이 설정 시간에 도달해 있지 않은 경우(NO인 경우), 처리는 S54로 되돌아간다. 운전 시간이 설정 시간에 도달하면(YES가 되면), 처리는 S68로 진행된다.
[0099] S68에서는, 제어 장치(150)는, 가압 급수 운전이 실행 중인 경우에는 가압 급수 운전을 정지시킨다.
[0100] S70에서는, 제어 장치(150)는, 제2 공기 도입 운전이 실행 중인 경우에는, 제2 공기 도입 운전을 정지시킨다. S70 후에, 도 21의 처리는 종료된다.
[0101] 이와 같이, 온수 장치(2B)에서는, 제어 장치(150)는, 미세 기포 발생 운전에 있어서, 고수위 전극(54a)과 저수위 전극(54b)을 사용하여, 탱크(352)의 수위가 제1 수위와 제2 수위 사이에서 추이하도록 에어 펌프(302)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어 장치(150)는, 미세 기포 발생 운전에 있어서, 가압 급수 운전이 실행되는 중에 제2 공기 도입 운전을 실행하는 경우, 제2 공기 도입 운전을 개시할 때 가압 급수 운전을 중단하고, 제2 공기 도입 운전을 정지시킬 때 중단한 가압 급수 운전을 재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0102] 또한, 온수 장치(2B)에 있어서, 탱크(352)가, 전극 유닛(54) 대신에, 실시예 2의 전극 유닛(754)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제어 장치(150)는, 미세 기포 발생 운전에 있어서, 단일의 수위 전극(754a)을 사용하여, 탱크(352)의 수위가 제3 수위 이상을 유지하도록 에어 펌프(302)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도, 제어 장치(150)는, 미세 기포 발생 운전에 있어서, 가압 급수 운전이 실행되는 중에 제2 공기 도입 운전을 실행하는 경우, 제2 공기 도입 운전을 개시할 때 가압 급수 운전을 중단하고, 제2 공기 도입 운전을 정지시킬 때 중단한 가압 급수 운전을 재개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0103] (변형예)
상기의 온수 장치(2)(또는, 온수 장치(2A), 온수 장치(2B))에서는, 탱크(52)(또는, 탱크(72), 탱크(352))에 공기가 도입되고 있지만, 공기 대신에, 탄산 가스, 수소, 산소 등의 기체가 탱크(52)(또는, 탱크(72), 탱크(352))에 도입되어도 된다. 이 경우, 기체가 충전되어 있는 기체 충전 탱크(도시 생략)를 기체 도입로(104)의 기체 도입구(104a)(또는, 기체 도입로(300)의 기체 도입구(300a))에 접속하는 구성으로 하면 된다.
[0104] 상기의 온수 장치(2)(또는, 온수 장치(2A), 온수 장치(2B))에서는, 열원 유닛(10)이 수도꼭지(250)에 접속되고, 공기 가압 용해 유닛(50)이 욕조(130)에 접속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열원 유닛(10)이 다른 온열 이용 부분에 접속되어 있어도 되고, 공기 가압 용해 유닛(50)이 다른 액조에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0105] 상기의 온수 장치(2)(또는, 온수 장치(2A))에서는, 배수구(64a)와 순환용 개구(92a)는, 탱크 하부(522)의 하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하방으로 개구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배수구(64a)와 순환용 개구(92a) 각각은, 탱크 하부(522)의 하면에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되고, 하방으로 개구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예컨대, 배수구(64a)와 순환용 개구(92a) 중 적어도 한쪽(一方)은, 탱크 하부(522)의 측면에 형성되어도 되고, 수평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어도 된다.
[0106] 상기의 온수 장치(2)(또는, 온수 장치(2A), 온수 장치(2B))에서는, 판 형상 부재(406)가 제1 측벽부(402)와 이음매 없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판 형상 부재(406)는, 제1 측벽부(402)와 별개로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0107] 상기의 온수 장치(2)(또는, 온수 장치(2A), 온수 장치(2B))에서는, 판 형상 부재(406)가 수평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판 형상 부재(406)는 수평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예컨대, 판 형상 부재(406)는, 수평 방향에 대해 경사진 평면을 따라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0108] 상기의 온수 장치(2)(또는, 온수 장치(2A), 온수 장치(2B))에서는, 판 형상 부재(406)가 축(A)을 중심으로 한 대략 부채꼴 형상을 갖는 평판이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판 형상 부재(406)는, 축(A)을 중심으로 한 대략 부채꼴 형상을 갖지 않아도 되고, 평판이 아니어도 된다. 예컨대, 판 형상 부재(406)는, 축(A)을 중심으로 한 대략 원형 형상을 갖는 평판이어도 되고, 축(A)을 중심으로 한 대략 부채꼴 형상을 갖는 동시에, 축(A)의 둘레 방향 단부를 향함에 따라 상방을 향하도록 만곡된 판이어도 된다.
[0109] 상기의 온수 장치(2)(또는, 온수 장치(2A), 온수 장치(2B))에서는, 판 형상 부재(406)가, 탱크 하부(522)의 케이스 설치부(550)에 대해 상방으로부터 접촉하고 있다. 즉, 판 형상 부재(406)가, 탱크 하부(522)의 내측면보다 축(A)의 직경 방향 외측까지 돌출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판 형상 부재(406)는, 탱크 하부(522)의 내측면보다 축(A)의 직경 방향 외측까지 돌출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0110] 상기의 온수 장치(2)(또는, 온수 장치(2A), 온수 장치(2B))에서는, 전극 커버(446)가, 상판부(440)와, 직경 확대부(442)와, 측판부(444)와 이음매 없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전극 커버(446)는, 상판부(440)와, 직경 확대부(442)와, 측판부(444)와 별개로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전극 커버(446)의 일부는, 탱크(52)(또는, 탱크(72), 탱크(352))의 내측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전극 커버(446)의 잔부(殘部)는, 상판부(440)와, 직경 확대부(442)와, 측판부(444)와 이음매 없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도, 전극 커버(446)를 하방으로부터 보았을 때, 전극 커버(446)는, 고수위 전극(54a)(또는, 단일의 수위 전극(754a))의 전체 둘레를 덮고 있어도 된다.
[0111] 상기의 온수 장치(2)(또는, 온수 장치(2B))에서는, 전극 커버(446)가 고수위 전극(54a)만을 덮고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전극 커버(446)는, 고수위 전극(54a)과, 저수위 전극(54b)과, 접지 전극(54c) 중 적어도 하나의 수위 전극을 덮고 있어도 된다. 예컨대, 전극 커버(446)는, 고수위 전극(54a)과 저수위 전극(54b) 양쪽 모두를 덮고 있어도 된다.
[0112] 상기의 온수 장치(2A)에서는, 전극 커버(446)가 단일의 수위 전극(754a)만을 덮고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전극 커버(446)는, 단일의 수위 전극(754a)과 접지 전극(754b) 양쪽 모두를 덮고 있어도 된다.
[0113] 상기의 온수 장치(2)(또는, 온수 장치(2A), 온수 장치(2B))에 있어서, 탱크(52)(또는, 탱크(72), 탱크(352)) 내의 수위를 검출하기 위한 수위 전극이, 고수위 전극(54a)과 저수위 전극(54b)(또는, 단일의 수위 전극(754a)) 이외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0114] 상기의 온수 장치(2)(또는, 온수 장치(2A), 온수 장치(2B))에 있어서의 고수위 전극(54a)이나 저수위 전극(54b)(또는, 단일의 수위 전극(754a))의 길이는, 적당히 변경되어도 된다. 즉, 상기의 온수 장치(2)에 있어서의 제1 수위나 제2 수위(또는, 제3 수위)는, 적당히 변경되어도 된다.
[0115] 상기의 온수 장치(2)(또는, 온수 장치(2A))에서는, 탱크 순환로(92)에 있어서, 기체 도입 기구(96)가 탱크 순환 펌프(94)보다 상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탱크 순환로(92)에 있어서, 기체 도입 기구(96)가 탱크 순환 펌프(94)보다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0116] 상기의 온수 장치(2)(또는, 온수 장치(2A))에서는, 탱크 순환로(92)의 하류단이, 제2 가압 펌프(90)보다 하류측의 탱크 복귀로(74)에 접속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탱크 순환로(92)의 하류단은, 탱크 복귀로(74)에 접속되어 있지 않아도 되고, 탱크(52)(또는, 탱크(72))에 대해 탱크 복귀로(74)와는 별개로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0117] 상기의 온수 장치(2)(또는, 온수 장치(2A), 온수 장치(2B))에서는, 욕조용 온수 공급 운전에 있어서, 수량 센서(28)에서 검출되는 적산 수량에 근거하여, 욕조(130)에 설정 수량의 물을 받고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온수 장치(2)(또는, 온수 장치(2A), 온수 장치(2B))는, 예컨대 욕조(130)의 수위를 검출할 수 있는 수위 센서를 설치해 두고, 욕조용 온수 공급 운전에 있어서, 수위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욕조(130)의 수위에 근거하여, 욕조(130)에 설정 수위의 물을 받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0118] 상기의 온수 장치(2)(또는, 온수 장치(2A), 온수 장치(2B))에 있어서, 욕조용 온수 공급 운전의 실행에 연동하여,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을 실행할지의 여부를, 사용자가 리모컨(154)을 통해 전환할 수 있게 해도 된다.
[0119] 상기의 온수 장치(2)(또는, 온수 장치(2A), 온수 장치(2B))에서는, 제어 장치(150)가,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의 운전 시간이 설정 시간에 도달하는 경우(도 13의 S16에서 YES인 경우, 도 19의 S16에서 YES인 경우, 또는 도 21의 S66에서 YES인 경우)에,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을 종료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어 장치(150)는,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의 운전 시간이 설정 시간에 도달해 있지 않은 경우여도,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을 종료해도 된다. 예컨대, 제어 장치(150)는, 리모컨(154)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의 종료를 지시받는 경우에,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을 종료해도 된다.
[0120] 상기의 온수 장치(2A)에 있어서의 제1 소정 시간이나, 상기의 온수 장치(2)(또는, 온수 장치(2A), 온수 장치(2B))에 있어서의 미세 기포 운전을 정지시키기 위한 설정 시간은, 적당히 변경되어도 된다.
[0121] (대응 관계)
이상과 같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온수 장치(2)(또는, 온수 장치(2A), 온수 장치(2B))(미세 기포 발생 장치의 예)는, 제1 급수구(74a)(또는, 제3 급수구(374))(공급구의 예) 및 배수구(64a)(배출구의 예)를 구비하는 탱크(52)(또는, 탱크(72), 탱크(352))와, 탱크(52)(또는, 탱크(72), 탱크(352))에 수용되어 있으며, 내부로 유입되는 물(액체의 예)에 탱크(52)(또는, 탱크(72), 탱크(352)) 내의 공기(기체의 예)를 가압 용해시키는 혼합 케이스(4)와, 제1 급수구(74a)(또는, 제3 급수구(374))에 물을 공급하는 탱크 복귀로(74)(공급로의 예)와, 제1 급수구(74a) 및 제2 급수구(74b)(또는, 제3 급수구(374))에 공급되는 물을 혼합 케이스(4)의 내부에 도입하는 도입관(46)(도입로의 예)과, 탱크(52)(또는, 탱크(72), 탱크(352)) 내에 저류된 물을 배수구(64a)로부터 욕조(130)(액조의 예)로 배출하는 탱크 진행로(64)(배출로의 예)와, 탱크 진행로(64)에 설치되어 있으며, 공기가 가압 용해된 물을 감압함으로써 미세 기포를 발생시키는 미세 기포 발생 노즐(142)과, 탱크(52)(또는, 탱크(72), 탱크(352))의 내부이며 혼합 케이스(4)의 외부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탱크(52)(또는, 탱크(72), 탱크(352)) 내의 수위가 소정의 수위 이상인지의 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고수위 전극(54a)과 저수위 전극(54b)(또는, 단일의 수위 전극(754a))(하나 또는 복수의 액위 전극의 예)과, 고수위 전극(54a)(또는, 단일의 수위 전극(754a))(하나 또는 복수의 액위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액위 전극의 예)을 덮도록 설치되는 전극 커버(446)를 구비하고 있다. 혼합 케이스(4)에는, 물이 유출되는 복수의 유출부(404)가 설치되어 있다. 탱크 복귀로(74)로부터 제1 급수구(74a)(또는, 제3 급수구(374))로 공급되는 물은, 도입관(46)을 통해 혼합 케이스(4)의 내부에 도입되고, 복수의 유출부(404)로부터 혼합 케이스(4)의 외부로 유출됨으로써, 탱크(52)(또는, 탱크(72), 탱크(352)) 내에 저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극 커버(446)를 하방으로부터 보았을 때(하나 또는 복수의 액위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액위 전극의 연장 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의 예), 전극 커버(446)는, 고수위 전극(54a)(또는, 단일의 수위 전극(754a))의 전체 둘레를 덮고 있다.
[0122]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전극 커버(446)는, 고수위 전극(54a)(또는, 단일의 수위 전극(754a))의 전체 둘레에 있어서, 수면(액면의 예)으로부터 비산된 물방울(水滴)(액체 방울의 예)이 고수위 전극(54a)(또는, 단일의 수위 전극(754a))에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고수위 전극(54a)(또는, 단일의 수위 전극(754a))에 대한 물방울의 부착을 적절히 억제할 수 있다.
[0123]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온수 장치(2)(또는, 온수 장치(2A), 온수 장치(2B))는, 탱크 복귀로(74)에 설치된 제1 가압 펌프(88)와 제2 가압 펌프(90)(가압 펌프의 예)와, 탱크(52)(또는, 탱크(72), 탱크(352))에 공기를 도입할 수 있는 기체 도입 기구(96)(또는, 에어 펌프(302))(기체 도입 기구의 예)와, 제어 장치(150)를 더 구비하고 있다. 제어 장치(150)는, 제1 가압 펌프(88)와 제2 가압 펌프(90)를 구동시켜 탱크 복귀로(74)로부터 제1 급수구(74a)(또는, 제3 급수구(374))로 물을 가압하여 공급하는 동시에, 배수구(64a)로부터 탱크 진행로(64)를 통해 욕조(130)로 공기가 가압 용해된 물을 공급하는, 가압 급수 운전(가압 급액 운전의 예)과, 기체 도입 기구(96)(또는, 에어 펌프(302))를 동작시킴으로써, 탱크(52)(또는, 탱크(72), 탱크(352))에 공기를 도입하는, 제1 기체 도입 운전(또는, 제2 기체 도입 운전)을 포함하는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을 실행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고수위 전극(54a)과 저수위 전극(54b)(또는, 단일의 수위 전극(754a))에 의해 검출되는 소정의 수위 중 가장 낮은 제1 수위(또는, 경계 수위)를 하한 수위로 하였을 때, 미세 기포 발생 운전에 있어서, 제1 기체 도입 운전(또는, 제2 기체 도입 운전)의 실행 중에, 탱크(52)(또는, 탱크(72), 탱크(352)) 내의 수위가 하한 수위보다 낮은 것을 검출하는 경우, 제어 장치(150)가 제1 기체 도입 운전(또는, 제2 기체 도입 운전)을 정지시켜, 가압 급수 운전만을 실행함으로써, 탱크(52)(또는, 탱크(72), 탱크(352)) 내의 수위를 상승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극 커버(446)의 하단은, 저수위 전극(54b)의 하단(또는, 단일의 수위 전극(754a)의 하단)보다 낮은 위치에 있다. 즉, 전극 커버(446)의 하단은, 하한 수위보다 낮은 위치에 있다.
[0124] 전극 커버(446)의 하단이 탱크(52)(또는, 탱크(72), 탱크(352)) 내의 수위보다 낮은 위치에 있는 경우, 전극 커버(446)에 의해, 탱크(52)(또는, 탱크(72), 탱크(352)) 내의 물에 포함되는 공기가 수중에서 상승하여 전극 커버(446)의 내측으로 들어가는 것이 억제된다. 이 경우, 전극 커버(446)의 내측에서는, 수면에 있어서의 포말의 발생이 억제되어, 수면의 상방으로의 물방울의 비산이 억제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이 실행되는 중에, 전극 커버(446)의 하단은 항상 탱크(52)(또는, 탱크(72), 탱크(352)) 내의 수위보다 낮은 위치에 있다. 이 때문에,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이 실행되는 중에, 전극 커버(446)의 내측에서는, 수면에 있어서의 포말의 발생이 항상 억제되어, 수면의 상방으로의 물방울의 비산이 항상 억제된다. 따라서,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고수위 전극(54a)(또는, 단일의 수위 전극(754a))에 대한 물방울의 부착을 보다 적절히 억제할 수 있다.
[0125]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수위 전극은, 탱크(52)(또는, 탱크(352)) 내의 수위가 제1 수위(제1 액위의 예) 이상인지의 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저수위 전극(54b)(제1 액위 전극의 예)과, 탱크(52)(또는, 탱크(352)) 내의 수위가 하한 수위보다 높은 제2 수위(제2 액위의 예) 이상인지의 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고수위 전극(54a)(제2 액위 전극의 예)을 구비하고 있다. 하한 수위는, 제1 수위이다. 미세 기포 발생 운전에 있어서, 제1 기체 도입 운전(또는, 제2 기체 도입 운전)이 정지되어 있는 동안에, 탱크(52)(또는, 탱크(352)) 내의 수위가 제2 수위 이상인 것을 검출하는 경우, 제어 장치(150)가 제1 기체 도입 운전(또는, 제2 기체 도입 운전)을 개시함으로써, 탱크(52)(또는, 탱크(352)) 내의 수위를 하강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0126]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제어 장치(150)는, 저수위 전극(54b)과 고수위 전극(54a)을 사용하여, 탱크(52)(또는, 탱크(352))의 수위가 제1 수위와 제2 수위 사이에서 추이하도록 기체 도입 기구(96)(또는, 에어 펌프(302))의 동작을 제어한다. 그리고, 고수위 전극(54a)을 덮는 전극 커버(446)의 하단은, 저수위 전극(54b)의 하단보다 낮은 위치에 있다(제1 액위보다 낮은 위치에 있는 것의 예).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저수위 전극(54b)과 고수위 전극(54a)(2개의 액위 전극의 예)을 사용하여 탱크(52)(또는, 탱크(352))의 수위를 제어하는 온수 장치(2)(또는, 온수 장치(2B))에 있어서, 전극 커버(446)의 내측에 있어서의 물방울의 비산이 항상 억제된다. 이 때문에, 저수위 전극(54b)과 고수위 전극(54a)을 사용하여 탱크(52)(또는, 탱크(352))의 수위를 제어하는 온수 장치(2)(또는, 온수 장치(2B))에 있어서, 고수위 전극(54a)에 대한 액체 방울의 부착을 적절히 억제할 수 있다.
[0127]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극 커버(446)는, 저수위 전극(54b)과 고수위 전극(54a) 중 고수위 전극(54a)을 덮도록 설치되어 있다.
[0128] 제어 장치(150)가, 탱크(52)(또는, 탱크(352))의 수위가 제1 수위와 제2 수위 사이에서 추이하도록 기체 도입 기구(96)(또는, 에어 펌프(302))의 동작을 제어하는 경우, 저수위 전극(54b)은 빈번하게 물에 담가지기 때문에, 저수위 전극(54b)에 있어서의 점액은 비교적 생기기 어렵다. 한편, 고수위 전극(54a)은 거의 물에 담가지지 않기 때문에, 고수위 전극(54a)에 있어서의 점액은 비교적 생기기 쉽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전극 커버(446)는, 고수위 전극(54a)을 덮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점액이 비교적 생기기 쉬운 고수위 전극(54a)에 대한 물방울의 부착을 적절히 억제할 수 있다.
[0129]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수위 전극은, 탱크(72)(또는, 탱크(352)) 내의 수위가 제3 수위(제3 액위의 예) 이상인지의 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단일의 수위 전극(754a)(제3 액위 전극의 예)만을 구비하고 있다. 전극 커버(446)는, 단일의 수위 전극(754a)을 덮도록 설치되어 있다. 하한 수위는, 제3 수위이다. 제어 장치(150)는, 미세 기포 발생 운전에 있어서, 탱크(72)(또는, 탱크(352)) 내의 수위가 하한 수위보다 낮은 것을 검출하여 제1 기체 도입 운전(또는, 제2 기체 도입 운전)을 정지시키는 경우, 제1 기체 도입 운전(또는, 제2 기체 도입 운전)을 정지시키고 나서 제1 소정 시간이 경과하기까지의 동안에, 제1 기체 도입 운전(또는, 제2 기체 도입 운전)이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고, 제1 소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 제1 기체 도입 운전(또는, 제2 기체 도입 운전)을 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0130]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제어 장치(150)는, 단일의 수위 전극(754a)을 사용하여, 탱크(72)(또는, 탱크(352))의 수위가 제3 수위 이상을 유지하도록 기체 도입 기구(96)(또는, 에어 펌프(302))의 동작을 제어한다. 그리고, 단일의 수위 전극(754a)을 덮는 전극 커버(446)의 하단은, 단일의 수위 전극(754a)의 하단보다 낮은 위치에 있다(제3 액위보다 낮은 위치에 있는 것의 예).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단일의 수위 전극(754a)(하나의 액위 전극의 예)을 사용하여 탱크(72)(또는, 탱크(352))의 수위를 제어하는 온수 장치(2B)에 있어서, 전극 커버(446)의 내측에 있어서의 물방울의 비산이 항상 억제된다. 이 때문에, 단일의 수위 전극(754a)을 사용하여 탱크(72)(또는, 탱크(352))의 수위를 제어하는 온수 장치(2A)(또는, 온수 장치(2B))에 있어서, 단일의 수위 전극(754a)에 대한 물방울의 부착을 적절히 억제할 수 있다.
[0131]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3 수위는, 혼합 케이스(4)의 하단보다 높은 위치에 있다. 전극 커버(446)의 하단은, 혼합 케이스(4)의 하단보다 낮은 위치에 있다.
[0132] 탱크(72)(또는, 탱크(352))에 공급되는 물은, 혼합 케이스(4)의 외측면의 형상과 탱크(72)(또는, 탱크(352))의 내측면의 형상을 따라 저류된다. 이 때문에, 탱크(72)(또는, 탱크(352)) 내에 저류되는 물의 수평 방향의 단면적은, 혼합 케이스(4)의 하단보다 낮은 위치에서는 비교적 크고, 혼합 케이스(4)의 하단보다 높은 위치에서는 비교적 작다. 따라서, 수중에서 상승하는 공기의 단위 면적당 양은, 혼합 케이스(4)의 하단보다 낮은 위치에서는 비교적 적고, 혼합 케이스(4)의 하단보다 높은 위치에서는 비교적 많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전극 커버(446)는, 수중에서 상승하는 공기의 단위 면적당 양이 비교적 작은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전극 커버(446)에 의해, 탱크(72)(또는, 탱크(352)) 내의 물에 포함되는 공기가 수중에서 상승하여 전극 커버(446)의 내측으로 들어가는 것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0133]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어 장치(150)는, 미세 기포 발생 운전에 있어서, 가압 급수 운전이 실행되는 중에 제2 기체 도입 운전을 실행하는 경우, 제2 기체 도입 운전을 개시할 때, 가압 급수 운전을 중단하고, 제2 기체 도입 운전을 정지시킬 때, 중단한 가압 급수 운전을 재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0134] 기체 도입 운전을 실행할 때 가압 급수 운전을 중단하지 않는 경우, 기체 도입 운전에 의해 탱크(352)에 공급되는 공기의 양이 가압 급수 운전에 의해 탱크(352)로부터 소비되는 공기의 양을 웃돌도록 조정할 필요가 있어, 처리가 복잡해질 가능성이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제2 기체 도입 운전을 실행할 때 가압 급수 운전을 중단하기 때문에, 제2 기체 도입 운전에 의해 탱크(352)에 공급되는 공기의 양과 가압 급수 운전에 의해 탱크(352)로부터 소비되는 공기의 양을 조정할 필요가 없어, 처리를 간단하고 쉽게 할 수 있다.
[0135]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어 장치(150)는, 미세 기포 발생 운전에 있어서, 가압 급수 운전이 실행되는 중에 제1 기체 도입 운전을 실행하는 경우, 가압 급수 운전을 중단하는 일 없이, 제1 기체 도입 운전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0136] 기체 도입 운전을 실행하기 위해 가압 급수 운전을 중단하는 경우, 가압 급수 운전에 의해 욕조(130)의 물에 발생시킨 미세 기포가 기체 도입 운전이 실행되는 중에 소실되어 버려, 욕조(130)의 물에 미세 기포를 안정적으로 계속 발생시키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제1 기체 도입 운전을 실행하기 위해 가압 급수 운전을 중단할 필요가 없어, 가압 급수 운전을 계속해서 실행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욕조(130)의 물에 미세 기포를 안정적으로 계속 발생시킬 수 있다.
[0137]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극 커버(446)는, 케이스 덮개(44)(혼합 케이스의 일부의 예)와 이음매 없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0138] 온수 장치(2)(또는, 온수 장치(2A), 온수 장치(2B))의 제조 공정에서는, 부품의 수를 삭감하고자 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전극 커버(446)와 혼합 케이스(4)를 별개로 설치하는 경우에 비해, 부품의 수를 삭감할 수 있다.
[0139]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액체는, 물이다. 액조는, 사용자가 입욕에 사용하는 욕조(130)이다.
[0140]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가 입욕에 사용하는 욕조(130)의 물에 미세 기포를 발생시키는 온수 장치(2)(또는, 온수 장치(2A), 온수 장치(2B))에 있어서, 고수위 전극(54a)(또는, 단일의 수위 전극(754a))에 대한 물방울의 부착을 적절히 억제할 수 있다.
[0141] 이상,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이들은 예시에 지나지 않고, 특허 청구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기술에는, 이상에 예시한 구체적인 예를 여러 가지로 변형, 변경한 것이 포함된다. 본 명세서 또는 도면에 설명한 기술 요소는, 단독으로 혹은 각종 조합에 의해 기술적 유용성을 발휘하는 것이며, 출원시 청구항에 기재된 조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 또는 도면에 예시한 기술은 복수의 목적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것이며, 그 중 하나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 자체로 기술적 유용성을 갖는 것이다.
[0142] 2, 2A, 2B : 온수 장치
4 : 혼합 케이스
10 : 열원 유닛
12 : 제1 열원기
14 : 제2 열원기
16 : 급수로
18 : 출탕로
18a : 출탕 온도 서미스터
20 : 바이패스로
22 : 바이패스 서보
24 : 주탕로
26 : 욕조용 온수 공급 밸브
28 : 수량 센서
30 : 순환 진행로
30a : 순환 진행로 서미스터
32 : 순환 복귀로
32a : 순환 복귀로 서미스터
34 : 욕조 순환 펌프
36 : 수류 스위치
40 : 케이스 본체
42 : 교반부
44 : 케이스 덮개
46 : 도입관
50 : 공기 가압 용해 유닛
52, 72, 352 : 탱크
54, 754 : 전극 유닛
54a : 고수위 전극
54b : 저수위 전극
54c, 754b : 접지 전극
60 : 열원 복귀로
62 : 제1 욕조 수로
64 : 탱크 진행로
64a : 배수구
66 : 연통로
68 : 열원 진행로
70 : 제2 욕조 수로
74 : 탱크 복귀로
74a : 제1 급수구
74b : 제2 급수구
80 : 제1 삼방 밸브
82 : 제2 삼방 밸브
84 : 체크 밸브
86 : 탱크 급수 밸브
88 : 제1 가압 펌프
90 : 제2 가압 펌프
92 : 탱크 순환로
92a : 순환용 개구
94 : 탱크 순환 펌프
96 : 기체 도입 기구
98 : 입수관
100 : 출수관
102 : 벤투리관
104 : 기체 도입로
104a : 기체 도입구
106 : 기체 도입 밸브
130 : 욕조
130a : 벽부
132 : 욕조 어댑터
132a : 전면
132b : 하면
134a : 제1 토출구
134b : 제1 흡입구
134c : 제2 흡입구
134d : 제2 토출구
136 : 제1 수로
136a : 제1 토출로
136b : 제1 흡입로
138 : 제2 수로
138a : 제2 토출로
138b : 제2 흡입로
140a, 140b, 140c, 140d : 역류 방지부
142 : 미세 기포 발생 노즐
150 : 제어 장치
152 : 메모리
154 : 리모컨
200 : 급수원
250 : 수도꼭지
300 : 기체 도입로
300a : 기체 도입구
302 : 에어 펌프
374 : 제3 급수구
400 : 제1 바닥판부
402 : 제1 측벽부
404 : 복수의 유출부
404a : 제1 유출부
404b : 제2 유출부
404c : 제3 유출부
404d : 제4 유출부
406 : 판 형상 부재
408 : 복수의 재치 부재
408a : 제1 재치 부재
408b : 제2 재치 부재
408c : 제3 재치 부재
420 : 제2 바닥판부
422 : 제2 측벽부
424 : 삽입관
425 : 분출구
426 : 끼움결합 부재
428 : 플랜지부
440 : 상판부
442 : 직경 확대부
444 : 측판부
446 : 전극 커버
520, 720 : 탱크 상부
522 : 탱크 하부
540, 740 : 전극 설치부
550 : 케이스 설치부
754a : 단일의 수위 전극

Claims (10)

  1. 공급구 및 배출구를 구비하는 탱크와,
    상기 탱크에 수용되어 있으며, 내부로 유입되는 액체에 상기 탱크 내의 기체를 가압 용해시키는 혼합 케이스와,
    상기 공급구에 상기 액체를 공급하는 공급로와,
    상기 공급구에 공급되는 상기 액체를 상기 혼합 케이스의 내부에 도입하는 도입로와,
    상기 탱크 내에 저류(貯留)된 상기 액체를 상기 배출구로부터 액조(液槽)로 배출하는 배출로와,
    상기 배출로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기체가 가압 용해된 상기 액체를 감압함으로써 미세 기포를 발생시키는 미세 기포 발생 노즐과,
    상기 탱크의 내부이며 상기 혼합 케이스의 외부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탱크 내의 액위(液位)가 소정의 액위 이상인지의 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하나 또는 복수의 액위 전극과,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액위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액위 전극을 덮도록 설치되는 전극 커버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혼합 케이스에는, 상기 액체가 유출되는 유출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공급로로부터 상기 공급구로 공급되는 상기 액체는, 상기 도입로를 통해 상기 혼합 케이스의 내부에 도입되고, 상기 유출부로부터 상기 혼합 케이스의 외부로 유출됨으로써, 상기 탱크 내에 저류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극 커버를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액위 전극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위 전극의 연장 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상기 전극 커버는,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액위 전극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위 전극의 전체 둘레를 덮고 있는, 미세 기포 발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로에 설치된 가압 펌프와,
    상기 탱크에 기체를 도입할 수 있는 기체 도입 기구와,
    제어 장치를 더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가압 펌프를 구동시켜 상기 공급로로부터 상기 공급구로 상기 액체를 가압하여 공급하는 동시에, 상기 배출구로부터 상기 배출로를 통해 상기 액조로 상기 기체가 가압 용해된 상기 액체를 공급하는, 가압 급액(給液) 운전과,
    상기 기체 도입 기구를 동작시킴으로써, 상기 탱크에 상기 기체를 도입하는, 기체 도입 운전을 포함하는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을 실행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액위 전극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소정의 액위 중 가장 낮은 액위를 하한 액위로 하였을 때,
    상기 미세 기포 발생 운전에 있어서, 상기 기체 도입 운전이 실행되는 중에, 상기 탱크 내의 액위가 상기 하한 액위보다 낮은 것을 검출하는 경우,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기체 도입 운전을 정지시키고, 상기 가압 급액 운전만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탱크 내의 액위를 상승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극 커버의 하단(下端)은, 상기 하한 액위보다 낮은 위치에 있는, 미세 기포 발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액위 전극은, 상기 탱크 내의 액위가 제1 액위 이상인지의 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제1 액위 전극과, 상기 탱크 내의 액위가 상기 제1 액위보다 높은 제2 액위 이상인지의 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제2 액위 전극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하한 액위는, 상기 제1 액위이며,
    상기 미세 기포 발생 운전에 있어서, 상기 기체 도입 운전이 정지되어 있는 동안에, 상기 탱크 내의 액위가 상기 제2 액위 이상인 것을 검출하는 경우,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기체 도입 운전을 개시함으로써, 상기 탱크 내의 액위를 하강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미세 기포 발생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커버는,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액위 전극 중 상기 제2 액위 전극을 덮도록 설치되어 있는, 미세 기포 발생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액위 전극은, 상기 탱크 내의 액위가 제3 액위 이상인지의 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제3 액위 전극만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전극 커버는, 상기 제3 액위 전극을 덮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하한 액위는, 상기 제3 액위이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미세 기포 발생 운전에 있어서, 상기 탱크 내의 액위가 상기 하한 액위보다 낮은 것을 검출하여 상기 기체 도입 운전을 정지시키는 경우, 상기 기체 도입 운전을 정지시키고 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하기까지의 동안에, 상기 기체 도입 운전이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소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 상기 기체 도입 운전을 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미세 기포 발생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액위는, 상기 혼합 케이스의 하단보다 높은 위치에 있으며,
    상기 전극 커버의 상기 하단은, 상기 혼합 케이스의 하단보다 낮은 위치에 있는, 미세 기포 발생 장치.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미세 기포 발생 운전에 있어서, 상기 가압 급액 운전이 실행되는 중에 상기 기체 도입 운전을 실행하는 경우, 상기 기체 도입 운전을 개시할 때, 상기 가압 급액 운전을 중단하고, 상기 기체 도입 운전을 정지시킬 때, 중단한 상기 가압 급액 운전을 재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미세 기포 발생 장치.
  8.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미세 기포 발생 운전에 있어서, 상기 가압 급액 운전이 실행되는 중에 상기 기체 도입 운전을 실행하는 경우, 상기 가압 급액 운전을 중단하는 일 없이, 상기 기체 도입 운전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미세 기포 발생 장치.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커버는, 상기 혼합 케이스의 일부와 이음매 없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미세 기포 발생 장치.
  10.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가, 물이며,
    상기 액조가, 사용자가 입욕에 사용하는 욕조인, 미세 기포 발생 장치.
KR1020230001806A 2022-02-02 2023-01-05 미세 기포 발생 장치 KR2023011802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2015045A JP2023112985A (ja) 2022-02-02 2022-02-02 微細気泡発生装置
JPJP-P-2022-015045 2022-02-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8022A true KR20230118022A (ko) 2023-08-10

Family

ID=87447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1806A KR20230118022A (ko) 2022-02-02 2023-01-05 미세 기포 발생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23112985A (ko)
KR (1) KR20230118022A (ko)
CN (1) CN11653197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1504A (ko) 2013-09-22 2013-10-10 이재근 염모기의 중개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1504A (ko) 2013-09-22 2013-10-10 이재근 염모기의 중개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112985A (ja) 2023-08-15
CN116531979A (zh) 2023-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54337B1 (en) Sanitary washing apparatus
JP4815032B2 (ja) マイクロバブル発生装置と気液混合タンク
JP2008237956A (ja) マイクロバブル・炭酸泉発生装置と気液混合タンク
JP5692259B2 (ja) 気液混合装置および風呂給湯装置
JP2007289903A (ja) マイクロバブル発生装置及び風呂システム
JP5788645B2 (ja) 加圧容器
JP4470936B2 (ja) 薬液混入水吐出装置および水洗便器装置
KR20230118022A (ko) 미세 기포 발생 장치
KR20220079443A (ko) 미세 기포 발생 장치
JP2014168778A (ja) 気液混合装置および風呂給湯装置
JP2008272632A (ja) 微細気泡発生装置及び加圧溶解方法
KR20230118023A (ko) 미세 기포 발생 장치
JP4872459B2 (ja) 気体溶解装置
JP5905131B2 (ja) 加圧容器
KR101739408B1 (ko) 위생 세정 장치
JP4228990B2 (ja) 微細気泡発生装置
JP7228442B2 (ja) 気液混合装置
JP5001320B2 (ja) 気体溶解装置
JP2015120100A (ja) 気液混合装置および風呂給湯装置
JP5177550B2 (ja) 消泡装置及び泡入浴装置
JP2002330885A (ja) 浴槽システム
KR20230112534A (ko) 미세 기포 발생 장치
JP5905132B2 (ja) 加圧容器
JP5878343B2 (ja) 加圧容器
EP3009574B1 (en) Sanitary washing apparat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