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6333A - 친환경 레진 생산 및 이를 통한 제품 사출 제작 시스템 - Google Patents

친환경 레진 생산 및 이를 통한 제품 사출 제작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6333A
KR20230116333A KR1020220013127A KR20220013127A KR20230116333A KR 20230116333 A KR20230116333 A KR 20230116333A KR 1020220013127 A KR1020220013127 A KR 1020220013127A KR 20220013127 A KR20220013127 A KR 20220013127A KR 20230116333 A KR20230116333 A KR 202301163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waste
composite resin
intermediate core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3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도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엔텍
Priority to KR1020220013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6333A/ko
Publication of KR20230116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633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01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53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ombined with a final operation, e.g. sha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7/00Compositions of lignin-containing materials
    • C08L97/02Lignocellulosic material, e.g. wood, straw or bagas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53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ombined with a final operation, e.g. shaping
    • B29C2045/0079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ombined with a final operation, e.g. shaping applying a coating or cov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친환경 레진 생산 및 이를 통한 제품 사출 제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S1) 폐커피재를 가공가능하도록 준비하는 폐커피재 준비단계; (S2) 폐커피재에 액상레진을 혼합하여 복합레진을 생성하는 복합레진 생성단계; (S3) 상기 복합레진이 접합되는 중간심재를 준비하는 중간심재 준비단계; (S4) 상기 복합레진을 주입 및 경화하기 위하여 중간심재의 테두리에 테두리 몰드부를 장착하는 테두리 몰드부 장착단계; (S5) 상기 테두리 몰드부에 복합레진을 주입 및 경화시켜 중간심재와 일체화된 테두리를 형성하는 복합레진 주 입 및 경화단계; (S6) 상기 테두리와 중간심재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표면재가 부착되는 표면재 부착단계; (S7) 상기 표면재가 부착된 테두리를 가공하여 중간심재와 테두리 및 표면재가 일체로 형성되게 하는 테두리 가 공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폐커피재는 커피박 또는, 커피빈 또는, 커피박과 커피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폐커피재 중 커피빈은, 중간심재의 두께에 맞도록 재단된 천에 소정 간격으로 접착되어 준비되거나, 테두리 몰드부에 소량의 액상레진을 주입한 다음 커피빈을 투입한 후 경화시켜 준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친환경 레진 생산 및 이를 통한 제품 사출 제작 시스템{Resin production system}
본 발명은 친환경 레진 생산 및 이를 통한 제품 사출 제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커피 관련 시장이 증가하면서 커피의 생산량과 수요량이 크게 증가하고, 이로 인하여 커피의 제조 후 에 생기는 폐커피재의 양 또한 매년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커피빈의 로스팅 전 과정에서 정선작업을 거치며 폐기되는 원두는, 그 부피로 인해 재활용이 불가 능하여 일반 쓰레기와 같이 소각되거나 매립되고 있다.
또한 분쇄되어 커피 추출이 완료된 커피박은, 유기질 비료의 원료로 사용되고, 대부분의 커피박은 역시 일반 쓰 레기와 같이 소각되거나 매립되고 있다.
그러나 커피박은 통상 80% 내지 85%의 함수율을 가지기 때문에, 일반적인 방법으로 소각하는 데 어려움이 있고 매연이 많이 발생되며 매립 폐기시 높은 함수율에 따라 발생되는 폐액이 수질이나 토양을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 점이 있다.
이러한 기존의 폐커피재의 대량 폐기에 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종래기술 로서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05-277460가 있다. 이 기술에 의하면 커피박에 폴리머를 배합하고 고무 혹은 플라스 틱의 각종 성형법에 따라 성형하여 가공함으로서, 폐기되는 폐커피재의 양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그 활용이 커피박에 한정되어, 액상에서 불균일하게 뜨고 가라앉는 특징을 가진 커피빈의 경우 그 활용 도가 낮으며 여전히 대량으로 폐기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기존의 복합판재의 테두리를 제조하는 공법에는, 테두리 부분에 플라스틱 재질로 압출하여 제작된 띠 형 태의 에지밴드를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하는 방법과, 테두리 부분에 각종 수지들을 사출기와 금형을 사용하여 액상수지를 분사 후 경화시켜 테두리에 에지를 형성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에지의 박리현상, 설비비용의 과다발생, 내구성의 문제, 사출기와 금형의 크기, 용량의 제한 등의 단점 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기존의 판재공법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본 발명자 또 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14774호(2015.04.17.)에서 복합판재의 테두리를 제조하는 새로운 개념의 공법을 제시한 바 있다.
하지만 이 방법 또한 신속성을 위해 4면에 한 번에 복합레진을 주입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는 바, 4면에 주입되 는 시간차로 인한 첨가물의 침전으로 인한 불량이 야기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주입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며, 원재료 비용이 증가하여 생산원가가 증가되고, 침전과 크랙으로 인해 미관상 아름답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복합판재의 테두리를 건조시키기 위해 복합판재 전체를 가열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는 바, 이로 인한 판재 의 밴딩현상을 야기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넓은 면적의 건조실이나 대형 히터장치, 고가의 장치를 요한 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간심재의 테두리 1면씩 외측으로부터 복합레진을 주입하는 방식을 취함으로써, 중간심재 테 두리의 4면에 복합레진을 한 번에 주입하게 되어 발생하는 첨가물의 침전으로 인한 불량 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커피빈과 커피박이 액상레진에 고르게 분포되게 할 수 있으며, 빠른 시간에 원하는 부위에 복합레진을 부 분 충전할 수 있어 생산원가를 낮추고, 다양한 소재의 각재 및 에지(Edge)와 어우러질 수 있도록 하고,
커피빈을 천에 접착한 상태로 중간심재와 접합시키거나 소량의 액상레진을 주입한 상태에서 커피빈을 투입하여 경화시킨 후, 그 위에 액상레진을 주입하는 방식을 취함으로써 커피빈이 불균일하게 뜨고 가라앉는 것을 방지하고,
복합레진에 광물질, 광촉매 등의 항균물질을 투입하여 사용자의 손이 높은 빈도로 접촉되는 테두리에 항균성을 부여하고,
복합레진에 축광안료, 형광안료를 투입하여 야간에도 손쉽게 복합판재를 식별할 수 있으며 인테리어적 기능을 높이고,
복합레진에 합성커피향을 투입하여 시각적 효과 외에도 후각적 효과를 나타낼 수 있고,
복합레진을 주입 및 경화시키는 틀인 테두리 몰드부에 히터를 장착시켜 대량양산에 적합하고, 넓은 면적의 건조 실이나 대형 히터장치, 고가의 장치가 필요하지 않으며, 중간심재와 테두리를 동시에 가열했을 때 나타나는 판 재의 밴딩현상을 방지하고,
테두리 몰드부를 직선 또는 곡선으로 구비하여 보다 다양한 종류의 테두리를 양산할 수 있고,
전적으로 수입에 의존하는 커피원두의 대량 폐기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해결하고,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친환경 레진 생산 및 이를 통한 제품 사출 제작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S1) 폐커피재를 가공가능하도록 준비하는 폐커피재 준비단계; (S2) 폐커피재에 액상레진을 혼합하여 복합레진을 생성하는 복합레진 생성단계; (S3) 상기 복합레진이 접합되는 중간심재를 준비하는 중간심재 준비단계; (S4) 상기 복합레진을 주입 및 경화하기 위하여 중간심재의 테두리에 테두리 몰드부를 장착하는 테두리 몰드부 장착단계; (S5) 상기 테두리 몰드부에 복합레진을 주입 및 경화시켜 중간심재와 일체화된 테두리를 형성하는 복합레진 주 입 및 경화단계; (S6) 상기 테두리와 중간심재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표면재가 부착되는 표면재 부착단계; (S7) 상기 표면재가 부착된 테두리를 가공하여 중간심재와 테두리 및 표면재가 일체로 형성되게 하는 테두리 가 공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폐커피재는 커피박 또는, 커피빈 또는, 커피박과 커피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폐커피재 중 커피빈은, 중간심재의 두께에 맞도록 재단된 천에 소정 간격으로 접착되어 준비되거나, 테두 리 몰드부에 소량의 액상레진을 주입한 다음 커피빈을 투입한 후 경화시켜 준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중간심재의 테두리 1면씩 외측으로부터 복합레진을 주입하는 방식을 취함으로써, 중간심재 테두리의 4면에 복합레진을 한 번에 주입하게 되어 발생하는 첨가물의 침전으로 인한 불량 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커피 빈과 커피박이 액상레진에 고르게 분포되게 할 수 있으며, 빠른 시간에 원하는 부위에 복합레진을 부분 충전할 수 있어 생산원가를 낮추고, 다양한 소재의 각재 및 에지(Edge)와 어우러진 복합판재를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피빈을 천에 접착한 상태로 중간심재와 접합시킨 후 그 위에 액상레진을 주입하는 방식 또는 1차적으로 레진을 소량 주입하고 커피빈을 투입하여 레진을 경화시키는 것으로 바닥에 접착되는 효과를 취한 후, 테두리 몰드부의 깊이에 맞도록 2차적으로 남은 레진을 모두 주입하는 방식을 취함으로써 커피빈이 불균일 하게 뜨고 가라앉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복합레진에 광물질, 광촉매 등의 항균물질을 투입하여 사용자의 손이 높은 빈도로 접촉 되는 테두리에 항균성을 부여한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복합레진에 축광안료, 형광안료를 투입하여 야간에도 손쉽게 복합판재를 식별할 수 있으며 인테리어적 기능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합레진이 합성커피향을 투입하여 시각적인 효과 외에도 후각적인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복합레진을 주입 및 경화시키는 틀인 테두리 몰드부에 히터를 장착시켜 대량양산에 적 합하고, 넓은 면적의 건조실이나 대형 히터장치, 고가의 장치가 필요하지 않으며, 중간심재와 테두리를 동시에 가열했을 때 나타나는 판재의 밴딩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테두리 몰드부를 직선 또는 곡선으로 구비하여 보다 다양한 종류의 테두리를 양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적으로 수입에 의존하는 커피원두의 대량 폐기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해결하고,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레진 생산 및 이를 통한 제품 사출 제작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한편,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10. 친환경 레진 생산 및 이를 통한 제품 사출 제작 방법

Claims (1)

  1. (S1) 폐커피재를 가공가능하도록 준비하는 폐커피재 준비단계;
    (S2) 폐커피재에 액상레진을 혼합하여 복합레진을 생성하는 복합레진 생성단계; (S3) 상기 복합레진이 접합되는 중간심재를 준비하는 중간심재 준비단계;
    (S4) 상기 복합레진을 주입 및 경화하기 위하여 중간심재의 테두리에 테두리 몰드부를 장착하는 테두리 몰드부 장착단계;
    (S5) 상기 테두리 몰드부에 복합레진을 주입 및 경화시켜 중간심재와 일체화된 테두리를 형성하는 복합레진 주 입 및 경화단계;
    (S6) 상기 테두리와 중간심재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표면재가 부착되는 표면재 부착단계;
    (S7) 상기 표면재가 부착된 테두리를 가공하여 중간심재와 테두리 및 표면재가 일체로 형성되게 하는 테두리 가 공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폐커피재는 커피박 또는, 커피빈 또는, 커피박과 커피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폐커피재 중 커피빈은, 중간심재의 두께에 맞도록 재단된 천에 소정 간격으로 접착되어 준비되거나, 테두 리 몰드부에 소량의 액상레진을 주입한 다음 커피빈을 투입한 후 경화시켜 준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레진 생산 및 이를 통한 제품 사출 제작 시스템.
KR1020220013127A 2022-01-28 2022-01-28 친환경 레진 생산 및 이를 통한 제품 사출 제작 시스템 KR202301163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3127A KR20230116333A (ko) 2022-01-28 2022-01-28 친환경 레진 생산 및 이를 통한 제품 사출 제작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3127A KR20230116333A (ko) 2022-01-28 2022-01-28 친환경 레진 생산 및 이를 통한 제품 사출 제작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6333A true KR20230116333A (ko) 2023-08-04

Family

ID=87568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3127A KR20230116333A (ko) 2022-01-28 2022-01-28 친환경 레진 생산 및 이를 통한 제품 사출 제작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633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58269B1 (en) Mat with over-molded web
CA1246109A (en) Artificial grass
EP0026236A1 (en) Top covering plate with sink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CA2769492C (en) Method for manufacturing non-flat agglomerated stone products
CN109627799A (zh) 一种可降解排水板、材料组合物及其制备工艺
EP2556940A3 (d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Formteils und Formteil
KR101763148B1 (ko) 폐커피재를 이용한 테두리를 형성하는 복합판재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복합판재
KR20230116333A (ko) 친환경 레진 생산 및 이를 통한 제품 사출 제작 시스템
US20020088143A1 (en) Footwear sole with integral display element
KR101470789B1 (ko) 인조잔디형 고무블럭과 그 제조방법
US6656561B1 (en) Composite solid surface article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CN202081611U (zh) 复合塑胶地板
KR101916521B1 (ko) 디자인과 기능성이 우수한 복합판재 및 그 제조방법
IE34008L (en) Plastics coated concrete article.
KR200200816Y1 (ko) 싱크볼과 상판의 경계부위 접합 어셈블리
JPS5856585B2 (ja) 漆器素地
CN205558164U (zh) 一种装饰持久的木塑强化地板
US20060033229A1 (en) Pumice stones and methods for making them
CN108485296A (zh) 用废弃谷壳制作的可降解花盆
FI69002C (fi)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en plastprodukt
KR100909091B1 (ko) 자석단추의 제조방법
KR100472016B1 (ko) 인조석을 접착, 경화하여 제조한 건축용 타일
US20080006960A1 (en) Melamine utensi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S5826456B2 (ja) シンク付き天板の製造法
JPH10315258A (ja) 床用複合材とその製造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