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5807A - 복합 와이어 커넥터 - Google Patents

복합 와이어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5807A
KR20230115807A KR1020220012715A KR20220012715A KR20230115807A KR 20230115807 A KR20230115807 A KR 20230115807A KR 1020220012715 A KR1020220012715 A KR 1020220012715A KR 20220012715 A KR20220012715 A KR 20220012715A KR 20230115807 A KR20230115807 A KR 202301158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ion hole
connector
wire
diameter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2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수
하보현
박동헌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20012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5807A/ko
Publication of KR20230115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58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복합 와이어 커넥터가 개시된다. 복합 와이어 커넥터는, 와이어가 삽입되는 제1 삽입홀이 내부에 형성되는 제1 커넥터와, 제1 커넥터의 측면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제1 삽입홀을 통과한 와이어가 삽입되는 제2 삽입홀이 형성된 제2 커넥터와, 제2 삽입홀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와이어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복합 와이어 커넥터{COMPLEX WIRE CONNECTOR}
본 발명은 저압인류개소 등의 대상체에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한 복합 와이어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저압접속개소로서, 특히, 인장력이 많이 필요로 하고, 도전성이 필요치 않은 인류개소 등의 경우, 저압인류애자와 바인드 시공을 하고 있다.
이러한 바인드 작업시에 상대적으로 작업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바, 바인드 시공 기준에 준한 바인드의 적정 처리 여부의 확인이 어려워 시공 품질이 확인에 어려움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바인드 작업은 데드앤드클램프나 쐐기형 인장클림프 사용시 부속자재가 추가됨으로써, 추가적인 자재비와 시공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저압인류개소 등의 대상체에 안정적인 고정 작용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저압인류개소 등의 대상체에 안정적인 고정 작용이 가능하고, 고정 작동을 위한 클램프 등의 추가 설비가 필요 없이 와이어의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한 복합 와이어 커넥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와이어가 삽입되는 제1 삽입홀이 내부에 형성되는 제1 커넥터와, 제1 커넥터의 측면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제1 삽입홀을 통과한 와이어가 삽입되는 제2 삽입홀이 형성된 제2 커넥터와, 제2 삽입홀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와이어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제1 삽입홀과 제2 삽입홀의 각각의 직경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제1 삽입홀은 제1 커넥터의 내부에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삽입홀은, 와이어가 삽입되는 제1 개구부와 상기 와이어가 인출되는 제2 개구부를 포함하고, 제1 개구부와 상기 제2 개구부의 개구된 크기는 상이할 수 있다.
제1 개구부의 크기는 제2 개구부의 크기 보다 작을 수 있다.
제2 삽입홀은 제2 커넥터의 내부에 원추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는, 제2 삽입홀의 내부에 삽입되며, 제2 삽입홀의 내부에 삽입된 와이어가 통과되는 관통홀이 내부에 형성되며, 외표면은 제2 삽입홀의 내벽면에 면접촉되는 원추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는 제2 삽입홀의 내벽면에 마찰 접촉되는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는, 내부에 와이어가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원추형의 고정바디와, 고정바디의 외표면에 부착되는 마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찰부재는 고정바디의 외표면에 부착되는 고무부재일 수 있다.
마찰부재는 고정바디의 외표면에 부착되는 우레탄부재일 수 있다.
고정부재는, 제1 측면은 제1 직경으로 형성되고, 제1 측면에 대향하는 제2 측면은 제2 직경으로 형성된 원추형일 수 있다.
고정부재의 제1 직경은 제2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고, 제2 직경은 제2 삽입홀의 중앙 위치의 직경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의 제1 직경은 제2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고, 제2 직경은 제2 삽입홀의 중앙 위치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와이어를 제1 커넥터의 제1 삽입홀을 통과하여 제2 커넥터의 제2 삽입홀에 삽입한 상태에서 와이어의 일부분을 제2 삽입홀의 내부에 삽입된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 가능하다. 이에 따라 고정부재를 이용한 와이어의 고정시 제2 커넥터의 제2 삽입홀의 내부에 고정부재를 압입 고정하여 와이어의 고정이 가능한 바, 와이어가 저압접속개소 등의 소정의 연결 대상체에 종래 클램프의 사용없이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합 와이어 커넥터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복합 와이어 커넥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2 커넥터의 내부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합 와이어 커넥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합 와이어 커넥터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복합 와이어 커넥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와이어 커넥터(100)는, 와이어가 삽입되는 제1 삽입홀(11)이 내부에 형성되는 제1 커넥터(10)와, 제1 커넥터(10)의 측면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제1 삽입홀을 통과한 와이어(12)가 삽입되는 제2 삽입홀(21)이 형성된 제2 커넥터(20)와, 제2 삽입홀(21)의 내부에 삽입되어 와이어(12)를 고정하는 고정부재(30)를 포함한다.
제1 커넥터(10)는 내부에 고정하고자 하는 와이어(12)가 삽입되는 제1 삽입홀(1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커넥터(1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와이어가 삽입되는 원통형의 제1 삽입홀(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커넥터(10)의 내부에 원통형의 제1 삽입홀(11)에 길이 방향의 내부에 형성되는 바, 고정하고자 하는 와이어(12)가 내부에 안정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제1 커넥터(10)의 제1 삽입홀(11)에 삽입된 와이어(12)는 제1 커넥터(10)를 통과하여 제2 커넥터(2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제2 커넥터(20)는 제1 커넥터(10)의 측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1 커넥터(10)와 동일 또는 유사 길이의 동일 또는 유사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커넥터(20)는 제1 커넥터(10)틀 통과한 와이어(12)가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 가능하도록 제1 커넥터(10)의 측면에 연결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와이어(12)는 제1 커넥터(10)와 제2 커넥터(20)를 통과한 상태에서 소정의 저압접속개소 등의 소정의 연결 대상체(14)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저압접속개소는 인장력이 많이 필요하고 도전성이 필요치 않는 인류개소를 말한다.
제2 커넥터(20)의 내부에는 와이어(12)가 삽입 고정되는 제2 삽입홀(2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삽입홀(21)은 제2 커넥터(20)의 길이 방향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고정부재(30)를 이용한 와이어의 삽입 고정을 위해 원추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커넥터(20)의 양단에는 와이어(12)의 삽입 및 인출을 위한 제1 개구부(20a)와 제2 개구부(20b)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삽입홀(21)은 원추형으로 형성되는 바, 제1 개구부(20a)의 개구된 크기는 제2 개구부(20b)의 개구된 크기 보다 작은 크기로 개구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와이어(12)는 제1 커넥터(10)를 통과하여 연결 대상체(14)에 연결되어 제2 커넥터(20)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제2 커넥터(20)의 제2 삽입홀(21)의 내부에는 와이어의 고정을 위한 고정부재(30)가 설치될 수 있다.
고정부재(30)는 제2 커넥터(20)의 제2 삽입홀(21)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는 것으로, 원추형으로 형성되는 제2 삽입홀(21)의 내부에 압입에 의해 삽입 고정되는 바, 와이어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도록 제2 삽입홀(21)의 내부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2 커넥터의 내부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고정부재(30)는 내부에 와이어(12)가 삽입되는 관통홀(32)이 형성된 원추형의 고정바디(31)와, 고정바디(31)의 외표면에 부착되는 마찰부재(32)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바디(31)는 제2 커넥터(20)의 제2 삽입홀(21)의 형상에 대응하여 원추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와이어(12)가 삽입되는 관통홀(3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바디(31)는 제2 삽입홀(21)의 형상에 대응하는 원추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제2 삽입홀(21)의 내부에 삽입 고정되는 과정에서 외표면에 제2 삽입홀(21)의 내벽면에 면접촉된 상태로 압입 고정될 수 있다.
고정바디(31)는 외표면의 전체가 제2 삽입홀(21)의 내벽면에 면접촉되는 원추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외표면의 일부분이 제2 삽입홀(21)의 내벽면에 면접촉되어 압입 고정되는 것으로 변경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고정부재(30)의 제1 직경의 제1 측면과 제1 측면에 대향하는 제2 직경의 제2 측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재(30)는 제1 측면의 제1 직경이 제2 측면의 제2 직경 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 원추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재(30)는 제2 커넥터(20)의 제2 삽입홀(21)에 압입에 의해 삽입 고정되는 것으로, 제1 측면의 제2 직경은, 원추형의 제2 삽입홀(21)의 길이 방향의 대략 중앙 위치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고정바디(31)의 외표면에는 제2 삽입홀(21)의 내부에 압입 고정되는 과정에서 마찰력이 부여되는 마찰부재(32)가 부착될 수 있다.
마찰부재(32)는 고정바디(31)의 외표면 전체를 덮도록 부착되는 것으로, 원추형의 고정부재(30)가 제2 커넥터(20)의 제2 삽입홀(21)의 내부에 면접촉된 상태로 압입되는 과정에서 마찰 작용에 의해 더욱 안정적인 압입 고정이 가능하도록 부착될 수 있다.
마찰부재(32)는 본 실시예에서 고정바디(31)의 외표면 전체를 덮도록 부착되는 고무부재로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마찰부재는 고무부재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우레탄 등의 마찰력의 부여가 가능한 소정의 재질로 적절하게 변경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복합 와이어 커넥터(100)는, 와이어(12)를 제1 커넥터(10)의 제1 삽입홀(11)을 통과하여 제2 커넥터(20)의 제2 삽입홀(21)에 삽입한 상태에서 고정부재(30)에 의해 고정 가능하다. 여기서 고정부재(30)는 제2 커넥터(20)의 제2 삽입홀(21)의 내부에 압입 고정되는 바, 와이어(12)가 저압접속개소 등의 소정의 연결 대상체(14)에 안정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합 와이어 커넥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와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합 와이어 커넥터(200)의 고정부재(30)의 제1 직경의 제1 측면과 제1 측면에 대향하는 제2 직경의 제2 측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재(30)는 제1 측면의 제1 직경이 제2 측면의 제2 직경 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 원추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재(30)는 제2 커넥터(20)의 제2 삽입홀(21)에 압입에 의해 삽입 고정되는 것으로, 제2 측면의 제2 직경은, 원추형의 제2 삽입홀(21)의 길이 방향의 대략 중앙 위치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부재(30)는 제2 삽입홀(21)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2 개구부(20b)에 근접 위치에서 제2 삽입홀(21)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부재(30)는 와이어의 규격의 변경에 대응하여 제2 커넥터(20)의 내부에서 보다 안정적인 와이어 고정이 가능하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제1 커넥터 11...제1 삽입홀
12...와이어 20...제2 커넥터
20a..제1 개구부 20b..제2 개구부
21...제2 삽입홀 30...고정부재
30a..제1 측면 30b..제2 측면
31...고정바디 32...관통홀
33...마찰부재

Claims (14)

  1. 와이어가 삽입되는 제1 삽입홀이 내부에 형성되는 제1 커넥터;
    상기 제1 커넥터의 측면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상기 제1 삽입홀을 통과한 와이어가 삽입되는 제2 삽입홀이 형성된 제2 커넥터; 및
    상기 제2 삽입홀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와이어를 고정하는 고정부재;
    를 포함하는, 복합 와이어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삽입홀과 상기 제2 삽입홀의 각각의 직경은 서로 상이한, 복합 와이어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삽입홀은 상기 제1 커넥터의 내부에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복합 와이어 커넥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삽입홀은, 상기 와이어가 삽입되는 제1 개구부와 상기 와이어가 인출되는 제2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개구부와 상기 제2 개구부의 개구된 크기는 상이한, 복합 와이어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부의 크기는 상기 제2 개구부의 크기 보다 작은, 복합 와이어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삽입홀은 상기 제2 커넥터의 내부에 원추형으로 형성되는, 복합 와이어 커넥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2 삽입홀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제2 삽입홀의 내부에 삽입된 와이어가 통과되는 관통홀이 내부에 형성되며, 외표면은 상기 제2 삽입홀의 내벽면에 면접촉되는 원추형으로 형성되는, 복합 와이어 커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2 삽입홀의 내벽면에 마찰 접촉되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복합 와이어 커넥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내부에 와이어가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원추형의 고정바디; 및
    상기 고정바디의 외표면에 부착되는 마찰부재;
    를 포함하는, 복합 와이어 커넥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고정바디의 외표면에 부착되는 고무부재인, 복합 와이어 커넥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고정바디의 외표면에 부착되는 우레탄부재인, 복합 와이어 커넥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제1 측면은 제1 직경으로 형성되고, 제1 측면에 대향하는 제2 측면은 제2 직경으로 형성된 원추형인, 복합 와이어 커넥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상기 제1 직경은 상기 제2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직경은 상기 제2 삽입홀의 중앙 위치의 직경 보다 작게 형성되는, 복합 와이어 커넥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상기 제1 직경은 상기 제2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직경은 상기 제2 삽입홀의 중앙 위치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되는, 복합 와이어 커넥터.
KR1020220012715A 2022-01-27 2022-01-27 복합 와이어 커넥터 KR202301158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2715A KR20230115807A (ko) 2022-01-27 2022-01-27 복합 와이어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2715A KR20230115807A (ko) 2022-01-27 2022-01-27 복합 와이어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5807A true KR20230115807A (ko) 2023-08-03

Family

ID=87568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2715A KR20230115807A (ko) 2022-01-27 2022-01-27 복합 와이어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580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35097B2 (en) Canted coil spring with longitudinal component within and related methods
US5295859A (en) Electric connector
KR100468289B1 (ko) 스트레인 릴리프 및 이를 적용한 공구
US2907978A (en) Electrical connector
US20030139087A1 (en) Flexible interconnect cable strain relief facility
US7251409B2 (en) Cable strain relief design for limited space through-hole applications
US10141686B2 (en) Grommet for a cable connector and a strain relief cable fitting having an insert
JP2010517220A (ja) 電気組継ぎ(splice)コネクタ
US20120217062A1 (en) Automatic Splice with Integral Center Stop
FI66097C (fi) Kontaktdon foer elektrisk saekringspatron
KR20230115807A (ko) 복합 와이어 커넥터
US6485196B2 (en) Optical fiber cord fixing component
JP2003070143A (ja) 外装ケーブルの外装線の端末部引留め装置
KR970004151A (ko) 전선들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나사 터미널
US4306760A (en) Cable connector assembly
GB1591845A (en) Tensioning device
US9590351B2 (en) Cable strain relief
US20090075528A1 (en) 90-Degree ferrule and pin terminals
KR20150146243A (ko) 케이블 고정용 홀더 장치
GB2037495A (en) Electrical Plug Pins
GB2264819A (en) Gripping device
US3181113A (en) Rolled metal wire pin
KR102228479B1 (ko) 접속용 커넥팅 장치
DE102013007815A1 (de) Schwenkbarer Verbinder und Kontaktierungsverfahren
JPH0818253A (ja) ケーブル固定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