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5745A - 전기 자동차 충전 제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 자동차 충전 제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5745A
KR20230115745A KR1020220012577A KR20220012577A KR20230115745A KR 20230115745 A KR20230115745 A KR 20230115745A KR 1020220012577 A KR1020220012577 A KR 1020220012577A KR 20220012577 A KR20220012577 A KR 20220012577A KR 20230115745 A KR20230115745 A KR 202301157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driving
electric vehicle
stat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2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대영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12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5745A/ko
Publication of KR20230115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57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0Driver interactions by al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8Electric sensors
    • B60Y2400/3084Electric currents sens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충전을 제어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제어 장치는, 복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발광부;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에 각각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구동부; 상기 발광부의 출력 전류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한 출력 전류에 대응하는 전류 데이터를 출력하는 전류 감지부; 및 상기 전기 자동차의 충전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부의 구동 조건 및 상기 발광부의 구동 상태의 감지를 위한 전류 임계 범위를 설정하고, 상기 구동 조건 및 상기 전류 임계 범위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의 구동 조건은,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 중 온(On) 상태의 발광 소자의 개수 및 상기 온 상태의 발광 소자의 점멸 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On) 상태의 발광 소자의 개수 및 점멸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전류 임계 범위를 설정하고, 상기 전류 임계 범위와 상기 전류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발광부의 구동 상태를 감지한다.

Description

전기 자동차 충전 제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CHARGING CONTROL APPARATUS FOR ELECTRIC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실시 예는 전기 자동차 충전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충전 상태에 대응하게 복수의 발광부를 제어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제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 자동차(Electric Vehicle, EV) 또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PHEV)와 같은 친환경 자동차는 배터리 충전을 위하여 충전소에 설치된 전기 자동차 충전 설비(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EVSE)를 이용한다.
즉,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상용 전원의 배전망(grid)이나 에너지 저장 장치의 전력을 이용하여 전기 자동차에 탑재된 배터리를 충전하는 시스템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은 전기차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차 충전 시스템은 케이블을 이용한 전도성 충전 시스템이나 비접촉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은, 커넥터가 연결된 충전 케이블을 사용하여 차량의 인렛과 충전 스탠드(charging stand)를 연결하고, 충전 스탠드의 교류(AC) 전력을 차량의 온보드 충전기를 통해 배터리에 충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은, 커넥터가 연결된 고속 충전 케이블을 사용하여 차량의 인렛과 오프 보드 충전기를 연결하고, 오프보드 충전기의 직류(DC) 전력을 차량에 배터리에 충전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전기 자동차 충전 제어 장치(Electric Vehicle Charging Controller, EVCC)는 전기 자동차 내에 탑재된다.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 제어 장치는 전기 자동차와 통신하여, 이에 따라 상기 전기 자동차의 충전을 제어한다.
그러나, 종래의 전기 자동차 충전 제어 장치는 전기 자동차의 다양한 충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 중에, 상기 전기 자동차의 충전 상태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실시 예는 복수의 발광부를 이용하여 전기 자동차의 다양한 충전 상태에 대응하는 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는 전기 자동차 충전 제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실시 예는 전기 자동차의 다양한 충전 상태에 대응하게 서로 다른 조건으로 복수의 발광부를 구동시킬 수 있는 전기 자동차 충전 제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실시 예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 상태에 대응하게 복수의 발광부의 구동이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확인이 가능한 전기 자동차 충전 제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서 이루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제안되는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충전을 제어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제어 장치는, 복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발광부;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에 각각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구동부; 상기 발광부의 출력 전류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한 출력 전류에 대응하는 전류 데이터를 출력하는 전류 감지부; 및 상기 전기 자동차의 충전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부의 구동 조건 및 상기 발광부의 구동 상태의 감지를 위한 전류 임계 범위를 설정하고, 상기 구동 조건 및 상기 전류 임계 범위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의 구동 조건은,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 중 온(On) 상태의 발광 소자의 개수 및 상기 온 상태의 발광 소자의 점멸 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On) 상태의 발광 소자의 개수 및 점멸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전류 임계 범위를 설정하고, 상기 전류 임계 범위와 상기 전류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발광부의 구동 상태를 감지한다.
또한, 상기 발광부는 제1 및 제2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발광 소자에 연결된 제1 구동부 및 상기 제2 발광 소자에 연결된 제2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발광 소자는, 상기 제1 및 제2 구동부로부터 각각 공급되는 구동 전원에 기초하여 발광 동작한다.
또한,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발광 소자와 상기 제1 구동부 사이에 배치된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발광 소자와 상기 제2 구동부 사이에 배치된 제2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광부의 구동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의 스위칭 상태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전류 감지부는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의 출력단에 공통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를 통해 출력되는 전류를 감지한다.
또한, 상기 구동 조건은 상기 전기 자동차의 제1 충전 상태에 대응되는 제1 구동 조건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구동 조건에서, 제1 전류 임계 범위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부의 구동 상태를 감지한다.
또한, 상기 제1 구동 조건은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 중 1개의 발광 소자가 일반 발광 동작을 하기 위한 조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류 임계 범위는 17mA 내지 23mA이다.
또한, 상기 구동 조건은 상기 전기 자동차의 제2 충전 상태에 대응되는 제2 구동 조건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구동 조건에서, 상기 제1 전류 임계 범위보다 작은 제2 전류 임계 범위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부의 구동 상태를 감지한다.
또한, 상기 제2 구동 조건은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 중 1개의 발광 소자가 점멸 발광 동작을 하기 위한 조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전류 임계 범위는 8mA 내지 12mA이다.
또한, 상기 구동 조건은 상기 전기 자동차의 제3 충전 상태에 대응되는 제3 구동 조건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구동 조건에서, 상기 제1 전류 임계 범위보다 큰 제3 전류 임계 범위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부의 구동 상태를 감지한다.
또한, 상기 제3 구동 조건은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 중 2개의 발광 소자가 일반 발광 동작을 하기 위한 조건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전류 임계 범위는 35mA 내지 45mA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류 데이터가 상기 전류 임계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발광부의 구동 조건을 변경하거나, 상기 발광부의 구동을 중지시킨다.
한편,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제어 방법은 전기 자동차의 충전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한 충전 상태에 기초하여, 복수의 발광 소자 중 온(On) 동작할 발광 소자의 개수 및 상기 온 동작하는 발광 소자의 점멸 여부를 포함하는 구동 조건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한 구동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를 구동하는 단계; 상기 결정한 구동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의 구동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전류 임계 범위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의 출력 전류에 대응하는 전류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전류 데이터와 상기 전류 임계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의 구동 조건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조건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한 충전 상태가 제1 충전 상태이면, 제1 구동 조건을 결정하고, 상기 감지한 충전 상태가 제2 충전 상태이면, 제2 구동 조건을 결정하고, 상기 감지한 충전 상태가 제3 충전 상태이면, 제3 구동 조건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류 임계 범위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구동 조건이 결정되면, 제1 전류 임계 범위를 설정하고, 상기 제2 구동 조건이 결정되면, 상기 제1 전류 임계 범위보다 작은 제2 전류 임계 범위를 설정하고, 상기 제3 구동 조건이 결정되면, 상기 제1 및 제2 전류 임계 범위보다 큰 제3 전류 임계 범위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구동 조건은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 중 1개의 발광 소자가 일반 발광 동작을 하기 위한 조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류 임계 범위는 17mA 내지 23mA이다.
또한, 상기 제2 구동 조건은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 중 1개의 발광 소자가 점멸 발광 동작을 하기 위한 조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전류 임계 범위는 8mA 내지 12mA이다.
또한, 상기 제3 구동 조건은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 중 2개의 발광 소자가 일반 발광 동작을 하기 위한 조건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전류 임계 범위는 35mA 내지 45mA이다.
실시 예의 전기 자동차 충전 제어 장치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 상태를 알리는 발광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발광부는 서로 다른 색상의 복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기 자동차의 충전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 중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가 구동되도록 한다. 이때, 실시 예에서는 상기 발광부의 출력단, 예를 들어, 복수의 발광 소자의 출력 단에 공통 연결되는 전류 감지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전류 감지부는 상기 발광부의 출력단의 전류를 감지한다. 그리고, 제어부는 상기 감지한 전류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부의 구동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실시 예에서는 서로 다른 색상의 복수의 발광 소자를 이용하여 전기 자동차의 충전 상태에 대응하는 알림 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다. 이에 의해,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는 상기 발광부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전류 감지부를 이용하여 상기 발광부의 구동 상태를 감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과전류로부터 상기 발광부를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이때,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전기 자동차의 충전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구동 조건으로 상기 발광부의 복수의 발광 소자를 구동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조건에는 구동되는 발광 소자의 수, 발광 소자의 색상 및 점멸 발광 여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 조건에 따라 상기 발광부에 구동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전류 임계 범위를 다르게 설정한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전기 자동차의 충전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전류 임계 범위를 설정하고, 상기 서로 다른 전류 임계 범위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부의 구동 상태를 감지한다. 이를 통해 실시 예에서는 하나의 전류 감지부를 이용하여 상기 발광부의 구동 상태를 정확히 감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동작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제1 상태에서의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제2 상태에서의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제3 상태에서의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설명에 앞서, 비교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설명에 앞서,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상용 전원의 그리드(grid)이나 에너지 저장 장치의 전력을 이용하여 전기차에 탑재된 배터리를 충전하는 시스템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은 전기 자동차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은 케이블을 이용한 유선 충전 시스템과 비접촉 방식의 무선 충전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의 전기 자동차(Electric Vehicle, EV)는 49 CFR(code of federal regulations) 523.3 등에서
정의된 자동차(automobile)를 지칭할 수 있다. 전기차는 고속도로 이용 가능하고, 차량 외부의 전원공급원으로부터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 등의 차량 탑재 에너지 저장 장치에서 공급되는 전기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의 전원 공급원은 가정이나 공용 전기 서비스 또는 차량 탑재 연료를 이용하는 발전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의 전기 자동차(electric vehicle, EV)는 일렉트릭 카(electric car), 일렉트릭 오토모바일(electric automobile), ERV(electric road vehicle), PV(plug-in vehicle), xEV(plug-in vehicle) 등으로 지칭될 수 있고, xEV는 BEV(plug-in all-electric vehicle 또는 battery electric vehicle), PEV(plug-in electric vehicle), HEV(hybrid electric vehicle), HPEV(hybrid plug-in electric vehicle), PHEV(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등으로 지칭되거나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의 플러그인 전기 자동차(Plug-in Electric Vehicle, PEV)는 전력 그리드에 연결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전기 자동차로 지칭될 수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도 1은 유선으로 전기 자동차의 충전을 위한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을 나타낸 것일 수 있다. 또한, 도 1은 가정과 같은 공간에서 상용 전원을 이용하여 전기 자동차를 충전하기 위한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을 나타낸 것일 수 있다.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은 충전 케이블(100), 전기 자동차(200) 및 전력 공급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 공급부(300)는 가정이나, 공용 건물 또는 충전 스탠드에 설치된 전력 공급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력 공급부(300)는 전력 공급 소켓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기 자동차(200)는 배터리와 같은 충전 가능한 에너지 저장장치로부터 유도된 전류를 동력장치인 전기 모터의 에너지원으로 공급하는 차량(automobile)으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200)는 전기 모터와 일반적인 내연기관(internal combustion engine)을 함께 갖는 하이브리드 자동차를 포함할 수 있고, 자동차(automobile) 뿐만 아니라 모터 사이클(motocycle), 카트(cart), 스쿠터(scooter) 및 전기 자전거(electric bicycl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200)는 유선으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플러그 접속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유선으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전기 자동차(200)를 플러그인 전기차(Plug-in Electric Vehicle, PEV)로 지칭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200)에 구비된 플러그 접속구는 제1 방식의 충전을 지원하거나, 제2 방식의 충전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200)에 구비된 플러그 접속구는 제1 방식의 완속 충전을 지원하거나, 제2 방식의 급속 충전을 지원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기 자동차(200)는 하나의 플러그 접속구를 통해 제1 방식의 충전 및 제2 방식의 충전을 모두 지원하는 각각의 플러그 접속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 자동차(200)는 외부의 다른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전기 자동차 충전 제어 장치(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 제어 장치(210)는 EVCC(Electric vehicle communication controller)라고도 할 수 있다.
한편, 도면상에는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 제어 장치(210)가 상기 전기 자동차(200)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 제어 장치(210)는 상기 전기 자동차(200)의 외부에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 제어 장치(210)는 외부의 충전 스탠드 또는 충전 케이블(100)과 통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전기 자동차 충전 제어 장치(210)는 통신을 통해 획득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상기 전기 자동차(200)의 충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전기 자동차(200)는 제1 방식의 충전 또는 일반적인 전력 계통에서 공급되는 교류 전원을 통한 충전을 지원하기 위한 OBC(On Board Charg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OBC는 제1 방식의 충전시, 외부에서 공급되는 교류 전원을 승압하고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전기 자동차(200)에 구비된 배터리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전기 자동차(200)의 플러그 접속구에 제1 방식의 충전을 위한 교류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상기 공급되는 교류 전원은 상기 OBC를 거쳐 배터리에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기 자동차(200)의 플러그 접속부에 제2 방식의 충전을 위한 직류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상기 공급되는 직류 전원을 상기 OBC를 거치지 않고 상기 배터리에 바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충전 케이블(100)은 제1 커넥터(110), 제어박스(120) 및 제2 커넥터(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커넥터(110)은 상기 충전 케이블(100)과 상기 전기 자동차(2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접속부일 수 있다.
상기 제어박스(120)는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 제어 장치(210)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전기 자동차(200)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거나, 상기 전기 자동차(200)로의 전력 충전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박스(120)는 상기 충전 케이블(100)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어박스(120)는 충전 케이블(100)이 아닌 다른 구성에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제2 커넥터(120)는 상기 충전 케이블(100)과 전력 공급부(3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접속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커넥터(120)는 플러그 또는 코드 셋 등의 전기 접속 수단일 수 있으며, 상기 전력 공급부(300)의 콘센트 등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공급부(300)는 전기 자동차(200)가 위치한 장소, 예를 들어 가정, 주유소의 주차 구역, 마트나 쇼핑 센터 등의 주차 구역 등에 설치된 콘센트를 지칭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력 공급부(300)가 설치된 장소에는, 상기 충전 케이블(100)의 제어박스(120) 또는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 제어 장치(210)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력 공급부(300)가 설치된 장소에는 상기 제어박스(120) 및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 제어 장치(210)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을 수행하여 충전 동작 또는 충전 상태를 제어하는 통신 장치인 SECC(Supply Equipment Communication Controller)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SECC는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 전력망 또는 전력망을 관리하는 인프라 관리 시스템, 관리 서버 또는 인프라 서버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전력 공급부(300)는 전력 계통의 교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력 공급부(300)는 단상 2선식의 교류 전원 또는 3상 4선식의 교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충전 케이블(100)은 제1 방식의 충전을 위하여, 상기 제1 방식의 충전 지원에 따른 전력을 상기 전기 자동차(200)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 케이블(100)은 제2 방식의 충전을 위하여, 상기 제2 방식의 충전 지원에 따른 전력을 상기 전기 자동차(200)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전기 자동차 충전 제어 장치(210)는 상기 충전 케이블(100)의 제어박스(120), 상기 전력 공급부(300)의 통신장치(예를 들어, SECC), 전기 자동차(200)에 구비된 ECU(Electronic Control Unit)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 제어 장치(210)는 통신 결과에 기초하여, 충전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획득하거나, 획득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 충전 제어 장치(210)는 국가별로 서로 다른 충전 규격에 기초하여, 상기 연결된 충전 케이블(100)의 규격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전기 자동차(200)의 ECU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 충전 제어 장치(210)는 충전 동작 중 또는 충전 대기 중에 다양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 제어 장치(210)는 전기 자동차(200)의 충전 도어의 열림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 제어 장치(210)는 제1 방식으로 충전 중인지, 아니면 제2 방식으로 충전 중인지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 제어 장치(210)는 교류 전력에 기초하여 완속 충전을 진행 중인지, 아니면 교류 전력에 기초하여 급속 충전을 진행 중인지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 제어 장치(210)는 예약 충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 제어 장치(210)는 예약 충전이 설정됨에 따라, 상기 설정된 예약 충전 시간에 상기 전기 자동차(200)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 제어 장치(210)는 예약 충전 설정 및 예약 충전 동작 등을 제어 및/또는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 제어 장치(210)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 충전이 불가한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 충전 제어 장치(210)는 고전압의 작동을 감지하고, 이에 따른 고전압 작동 경고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전기 자동차 충전 제어 장치(210)는 충전 대기 중 및 충전 동작 중에 다양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 제어 장치(210)는 상기 획득한 다양한 정보에 기초하여, 전기 자동차(200)의 충전 상태에 대응하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 제어 장치(210)의 구성 및 이의 동작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기 자동차 충전 제어 장치는 발광부(410), 구동부(420), 스위치부(430), 전류 감지부(440) 및 제어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부(410)는 전기 자동차(200)의 충전 상태에 대응하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부(410)는 충전 상태에 대응하는 색상으로 발광하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발광부(410)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발광부(410)는 서로 다른 색상의 광을 조사하기 위한 복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발광부(410)는 상기 전기 자동차(200)의 충전 상태를 구분하고, 각각의 구분된 충전 상태에 기초하여 서로 다른 색상의 광을 조사할 수 있는 복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발광부(410)는 제1 내지 제4 발광 소자(411, 412, 413, 4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 발광 소자(411, 412, 413, 414)는 서로 개별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내지 제4 발광 소자(411, 412, 413, 414)는 상기 구동부(420)를 통해 개별적으로 구동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 발광 소자(411, 412, 413, 414)는 서로 다른 색상의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발광 소자(411)는 화이트(white) 색상의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발광 소자(412)는 그린(green) 색상의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제3 발광 소자(413)는 레드(red) 색상의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발광 소자(414)는 엘로우(yellow) 색상의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발광 소자(411)는 화이트 LED(LED 1)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발광 소자(412)는 그린 LED(LED 2)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발광 소자(413)는 레드 LED(LED 3)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4 발광 소자(414)는 엘로우 LED(LED 4)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 발광 소자(411, 412, 413, 414)를 포함하는 발광부(410)는 제어부(450)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후술할 구동부(420)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따라 구동될 수 있다.
구동부(420)는 상기 발광부(410)에 구동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420)는 제어부(450)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온 동작할 발광 소자에 구동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구동부(420)는 제1 내지 제4 구동부(421, 422, 423, 4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동부(421)는 제1 발광 소자(411)에 구동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제2 구동부(422)는 제2 발광 소자(412)에 구동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제3 구동부(423)는 제3 발광 소자(413)에 구동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제4 구동부(424)는 제4 발광 소자(414)에 구동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구동부(421, 422, 423, 424)를 포함하는 구동부(420)는 상기 발광부(410)의 각각의 발광 소자에 정전류를 공급하는 정전류 회로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부(420)는 상기 발광부(410)의 정전류 제어를 위한 정전류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정전류 제어 회로는 선형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실시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부(420)는 입력 전원을 상기 발광부(410)의 구동에 필요한 구동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컨버터는 직류-직류 컨버트일 수 있다.
스위치부(430)는 상기 발광부(410)과 상기 구동부(420)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단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위치부(430)는 제어부(45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스위칭되어, 상기 구동부(420)와 발광부(410)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상기 구동부(420)와 발광부(410) 사이를 전기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스위치부(430)는 구동부(420)의 각각의 구동부와 상기 발광부(410)의 각각의 발광 소자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부(430)는 상기 제1 구동부(421)와 상기 제1 발광 소자(411)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스위치(4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위치(431)는 제어부(450)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구동부(421)와 상기 제1 발광 소자(411)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온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스위치(431)는 제어부(450)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구동부(421)와 상기 제1 발광 소자(411) 사이를 전기적으로 분리시키는 오프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부(430)는 상기 제2 구동부(422)와 상기 제2 발광 소자(412)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스위치(4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스위치(432)는 제어부(450)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2 구동부(422)와 상기 제2 발광 소자(412)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온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스위치(432)는 제어부(450)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2 구동부(422)와 상기 제2 발광 소자(412) 사이를 전기적으로 분리시키는 오프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부(430)는 상기 제3 구동부(423)와 상기 제3 발광 소자(413) 사이에 배치되는 제3 스위치(4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스위치(433)는 제어부(450)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3 구동부(423)와 상기 제3 발광 소자(413)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온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스위치(433)는 제어부(450)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3 구동부(423)와 상기 제3 발광 소자(413) 사이를 전기적으로 분리시키는 오프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부(430)는 상기 제4 구동부(424)와 상기 제4 발광 소자(414) 사이에 배치되는 제4 스위치(4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스위치(434)는 제어부(450)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4 구동부(424)와 상기 제4 발광 소자(414)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온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스위치(434)는 제어부(450)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4 구동부(424)와 상기 제4 발광 소자(414) 사이를 전기적으로 분리시키는 오프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전류 감지부(440)는 상기 발광부(410)의 출력단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류 감지부(440)는 상기 발광부(410)의 출력전류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류 감지부(440)는 전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류 감지부(440)는 상기 발광부(410)의 출력 전류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발광부(410)에 과전류가 흐르는지, 아니면 저전류가 흐르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실시 예는 상기 발광부(410)의 출력단에 전류 감지부(440)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전류 감지부(440)에 정상 범위의 전압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상기 발광부(410)의 오픈으로 인해 상기 발광부(410)가 정상 발광 동작을 하지 않는 상황도 감지할 있다.
제어부(450)는 전기 자동차 충전 제어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50)는 전기 자동차(200)의 충전을 위해, 상기 전기 자동차(200)의 ECU, 상기 충전 케이블(100)의 제어 박스(120) 및 상기 SECC 등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50)는 충전 대기 중이나 충전 동작 중에서, 상기 전기 자동차(200)의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50)는 충전 상태에 대응하는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부(41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50)는 상기 충전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부(410)의 복수의 발광 소자 중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를 구동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450)는 전기 자동차(200)의 충전 동작 중에 발생하는 이벤트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이벤트에 대응하게 복수의 발광부(410) 중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감지되는 이벤트는 다음과 같다.
(1) 전기 자동차(200)의 충전 도어의 열림 감지 이벤트
(2) 전기 자동차가 제1 방식으로 충전 중임을 알리는 이벤트
(3) 전기 자동차가 제2 방식으로 충전 중임을 알리는 이벤트
(4) 충전 예약 설정을 알리는 이벤트
(5) 충전 불가를 알리는 이벤트
(6) 고전압 작동 경고를 알리는 이벤트
그리고 상기 제어부(450)는 상기와 같은 이벤트들을 감지하고, 이들의 이벤트에 대응하는 전기 자동차(200)의 충전 상태에 대응하는 정보를 알리기 위하여 상기 발광부(41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벤트에 따라 상기 제어부(450)는 서로 다른 조건으로 상기 발광부(41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450)는 상기 전기 자동차의 충전 도어의 열림 감지 이벤트가 감지되면, 상기 발광부(410) 중 제1 발광 소자(411)가 발광 동작을 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450)는 상기 전기 자동차가 제1 방식으로 충전 중임을 알리는 이벤트가 감지되면, 상기 발광부(410) 중 제2 발광 소자(412)가 발광 동작을 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450)는 상기 전기 자동차가 제2 방식으로 충전 중임을 알리는 이벤트가 감지되면, 상기 발광부(410) 중 제3 발광 소자(413)가 발광 동작을 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450)는 충전 예약 설정을 알리는 이벤트가 감지되면, 상기 발광부(410) 중 제2 발광 소자(412)가 점멸 발광 동작을 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450)는 충전 불가를 알리는 이벤트가 감지되면, 상기 발광부(410) 중 제3 발광 소자(413)가 점멸 발광 동작을 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450)는 고전압 작동 경고를 알리는 이벤트가 감지되면, 상기 발광부(410) 중 제3 발광 소자(413) 및 제4 발광 소자(414)가 동시 발광 동작을 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어부(450)는 상기 전기 자동차(200)의 충전 상태에 대응하게, 구동될 발광부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발광부의 점멸 동작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450)는 상기 구동부(420)와 각각 연결되는 GPIO((general-purpose input/output, GPIO )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450)는 상기 제1 구동부(421)와 연결되는 제1 GPIO(GPIO #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450)는 상기 제2 구동부(422)와 연결되는 제2 GPIO(GPIO #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450)는 상기 제3 구동부(423)와 연결되는 제3 GPIO(GPIO #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450)는 상기 제4 구동부(424)와 연결되는 제4 GPIO(GPIO #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450)는 상기 발광부(410)의 동작 중에, 상기 전류 감지부(440)를 통해 감지된 전류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전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발광부(410)의 동작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450)는 상기 전류 감지부(440)와 연결되는 ADC(Analog Digital Converter)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감지된 이벤트 및 이에 대응하는 상기 전기 자동차(200)의 충전 상태에 기초하여 구동되는 발광부의 수 및 발광 동작에 있어 차이가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450)는 상기 전기 자동차(200)의 충전 상태에 기초하여 서로 다른 전류 임계 범위를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설정한 전류 임계 범위와 상기 전류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발광부(410)가 정상 동작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기 자동차(200)의 충전 상태에 대응하는 발광부의 동작 및 이에 대응하는 정상 구동 전류 및 전류 임계 범위를 설명하면 다음의 표 1과 같다.
충전 상태 동작 제1
발광
소자
제2
발광
소자
제3
발광
소자
제4
발광
소자
정상 구동
전류
전류
임계 범위
충전 도어 열림
(충전 대기)
제1
발광부
켜짐
On Off Off Off 18mA ~
22mA
17mA ~
23mA
완속 충전 제2
발광부
켜짐
Off On Off Off 18mA ~
22mA
17mA ~
23mA
급속 충전 제3
발광부
켜짐
Off Off On Off 18mA ~
22mA
17mA~
23mA
예약 충전
설정
제3
발광부
점멸
Off Off On
(blink)
Off 9mA ~
11mA
8mA~
12mA
충전 불가 제4
발광부
점멸
Off Off off On
(blink)
9mA ~
11mA
8mA~
12mA
고전압 작동
경고
제3 및 제4
발광부
동시 켜짐
Off Off On On 36mA ~
44mA
35mA~
45mA
표 1에서와 같이, 상기 전기 자동차(200)의 충전 상태에 따라 동작하는 발광부의 종류의 차이, 수의 차이 및 동작의 차이가 있다.
상기 발광부의 종류의 차이에 있어서, 충전 도어 열림 시에는 제1 발광 소자가 동작하고, 완속 충전 시에는 제2 발광 소자가 동작하고, 급속 충전이나 예약 충전 설정 상태에서는 제3 발광 소자가 동작하고, 충전 불가 상태에서는 제4 발광 소자가 동작하며, 고전압 작동 경고 상태에서는 제3 및 제4 발광 소자가 동작한다.
상기 발광부의 수의 차이에 있어서, 충전 도어 열림 상태, 완속 충전 상태, 급속 충전 상태, 예약 충전 설정 상태, 충전 불가 상태에서는 1개의 발광 소자가 동작하고, 고전압 작동 경고 상태에서는 2개의 발광 소자가 동작한다.
상기 발광부의 동작의 차이에 있어, 충전 도어 열림 상태, 완속 충전 상태, 급속 충전 상태 및 고전압 작동 경고 상태에서는 발광부가 정상 발광 동작을 하고, 예약 충전 설정 상태나 충전 불가 상태에서는 상기 발광부가 점멸 발광 동작을 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450)는 상기 전류 감지부(440)를 통해 수신한 전류 데이터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구분된 3가지 상태에서 서로 다른 전류 임계 범위를 설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450)는 상기 전기 자동차의 상태가 제1 상태인 경우, 제1 전류 임계 범위를 설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450)는 1개의 발광 소자만이 정상 발광 동작을 하는 제1 상태에서는 제1 전류 임계 범위를 설정한다. 상기 제1 전류 임계 범위는 17mA 내지 23mA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450)는 충전 도어가 열린 상태, 완속 충전 상태 및 급속 충전 상태와 같은 제1 상태에서는 17mA 내지 23mA의 제1 전류 임계 범위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부(410)의 과전류 상태 또는 저전류 상태를 감지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450)는 상기 전기 자동차의 상태가 제2 상태인 경우, 제2 전류 임계 범위를 설정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450)는 1개의 발광 소자만이 점멸 동작을 하는 제2 상태에서는 상기 제1 전류 임계 범위와 다른 제2 전류 임계 범위를 설정한다. 상기 제2 전류 임계 범위는 8mA 내지 12mA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450)는 예약 충전 설정 상태 또는 충전 불가 상태와 같은 제2 상태에서는 8mA 내지 12mA의 제2 전류 임계 범위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부(410)의 과전류 상태 또는 저전류 상태를 감지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450)는 상기 전기 자동차의 상태가 제3 상태인 경우, 제3 전류 임계 범위를 설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450)는 2개의 발광 소자가 동시 동작하는 제3 상태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전류 임계 범위와 다른 제3 전류 임계 범위를 설정한다. 상기 제3 전류 임계 범위는 35mA 내지 45mA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450)는 고전압 작동 경고 상태에서는 35mA 내지 45mA의 제3 전류 임계 범위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부(410)의 과전류 상태 또는 저전류 상태를 감지한다.
상기 제어부(450)의 동작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상기 제어부(450)는 충전 도어 열림 상태가 감지되면, 상기 제1 구동부(421)에 상기 제1 발광 소자(411)의 구동을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부(450)는 상기 제1 스위치(431)는 온 상태로 제어하고, 제2 내지 제4 스위치(432, 433, 434)는 오프 상태로 제어한다. 이에 따라 상기 발광부(410) 중 제1 발광 소자(411)에만 구동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450)는 제1 전류 임계 범위를 설정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450)는 전류 감지부(440)를 통해 감지된 전류 데이터와 상기 제1 전류 임계 범위를 비교하고, 이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부(410)의 구동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2) 상기 제어부(450)는 완속 충전 상태가 감지되면, 상기 제2 구동부(422)에 상기 제2 발광 소자(412)의 구동을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부(450)는 상기 제2 스위치(432)는 온 상태로 제어하고, 제1, 제3 및 제4 스위치(431, 433, 434)는 오프 상태로 제어한다. 이에 따라, 상기 발광부(410) 중 제2 발광 소자(412)에만 구동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450)는 제1 전류 임계 범위를 설정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450)는 전류 감지부(440)를 통해 감지된 전류 데이터와 상기 제1 전류 임계 범위를 비교하고, 이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부(410)의 구동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3) 상기 제어부(450)는 급속 충전 상태가 감지되면, 상기 제3 구동부(423)에 상기 제3 발광 소자(413)의 구동을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부(450)는 상기 제3 스위치(433)는 온 상태로 제어하고, 제1, 제2 및 제4 스위치(431, 432, 434)는 오프 상태로 제어한다. 이에 따라, 상기 발광부(410) 중 제3 발광 소자(413)에만 구동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450)는 제1 전류 임계 범위를 설정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450)는 전류 감지부(440)를 통해 감지된 전류 데이터와 상기 제1 전류 임계 범위를 비교하고, 이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부(410)의 구동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4) 상기 제어부(450)는 충전 예약 설정 상태가 감지되면, 상기 제2 구동부(422)에 상기 제2 발광 소자(412)의 구동을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부(450)는 상기 제2 스위치(432)는 온 상태로 제어하고, 제1, 제3 및 제4 스위치(431, 433, 434)는 오프 상태로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2 스위치(432)는 상기 제2 발광 소자(412)의 점멸 구동을 위해, 온 동작 및 오프 동작을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발광부(410) 중 제2 발광 소자(412)에만 점멸 구동을 위한 구동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450)는 제2 전류 임계 범위를 설정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450)는 전류 감지부(440)를 통해 감지된 전류 데이터와 상기 제2 전류 임계 범위를 비교하고, 이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부(410)의 구동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4) 상기 제어부(450)는 충전 불가 상태가 감지되면, 상기 제3 구동부(423)에 상기 제3 발광 소자(413)의 구동을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부(450)는 상기 제3 스위치(433)는 온 상태로 제어하고, 제1, 제2 및 제4 스위치(431, 432, 434)는 오프 상태로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3 스위치(433)는 상기 제3 발광 소자(413)의 점멸 구동을 위해, 온 동작 및 오프 동작을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발광부(410) 중 제3 발광 소자(413)에만 점멸 구동을 위한 구동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450)는 제2 전류 임계 범위를 설정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450)는 전류 감지부(440)를 통해 감지된 전류 데이터와 상기 제2 전류 임계 범위를 비교하고, 이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부(410)의 구동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3) 상기 제어부(450)는 고전압 작동 경고 상태가 감지되면, 상기 제3 구동부(423) 및 제4 구동부(424)에 상기 제3 발광 소자(413) 및 제4 발광 소자(414)의 구동을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부(450)는 상기 제3 스위치(433) 및 제4 스위치(434)는 온 상태로 제어하고, 제1 및, 제2 스위치(431, 432)는 오프 상태로 제어한다. 이에 따라, 상기 발광부(410) 중 제3 발광 소자(413) 및 제4 발광 소자(414)에만 구동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450)는 제3 전류 임계 범위를 설정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450)는 전류 감지부(440)를 통해 감지된 전류 데이터와 상기 제3 전류 임계 범위를 비교하고, 이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부(410)의 구동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실시 예의 전기 자동차 충전 제어 장치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 상태를 알리는 발광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발광부는 서로 다른 색상의 복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기 자동차의 충전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 중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가 구동되도록 한다. 이때, 실시 예에서는 상기 발광부의 출력단, 예를 들어, 복수의 발광 소자의 출력 단에 공통 연결되는 전류 감지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전류 감지부는 상기 발광부의 출력단의 전류를 감지한다. 그리고, 제어부는 상기 감지한 전류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부의 구동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실시 예에서는 서로 다른 색상의 복수의 발광 소자를 이용하여 전기 자동차의 충전 상태에 대응하는 알림 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다. 이에 의해,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는 상기 발광부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전류 감지부를 이용하여 상기 발광부의 구동 상태를 감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과전류로부터 상기 발광부를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이때,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전기 자동차의 충전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구동 조건으로 상기 발광부의 복수의 발광 소자를 구동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조건에는 구동되는 발광 소자의 수, 발광 소자의 색상 및 점멸 발광 여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 조건에 따라 상기 발광부에 구동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전류 임계 범위를 다르게 설정한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전기 자동차의 충전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전류 임계 범위를 설정하고, 상기 서로 다른 전류 임계 범위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부의 구동 상태를 감지한다. 이를 통해 실시 예에서는 하나의 전류 감지부를 이용하여 상기 발광부의 구동 상태를 정확히 감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동작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4는 제1 상태에서의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도 5는 제2 상태에서의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6은 제3 상태에서의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실시 예의 제어부(450)는 충전 상태를 감지한다(S100).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450)는 충전 도어 열림 상태, 완속 충전 상태, 급속 충전 상태, 충전 예약 설정 상태, 충전 불가 상태, 고전압 작동 경고 상태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충전 상태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450)는 상기 감지된 충전 상태에 대응하는 발광부(410)의 구동 조건을 설정한다(S110).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450)는 상기 감지된 충전 상태에 기초하여, 발광부 중 발광 동작을 할 발광 소자 및 상기 발광 소자의 점멸 동작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450)는 상기 발광 동작을 할 발광 소자 및 상기 발광 소자의 점멸 동작 여부가 설정되면, 이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구동부(420)의 제어 신호 및 상기 스위치부(430)의 제어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50)를 통해 제어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부(420)의 동작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420)의 동작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에 구동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 전원이 공급된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는 발광 동작을 할 수 있다(S130).
이후, 상기 제어부(450)는 상기 설정된 구동 조건에 대응하게, 전류 임계 범위를 설정한다(S140). 예를 들어, 제어부(450)는 구동될 발광 소자의 개수 및 상기 발광 소자의 점멸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전류 임계 범위를 설정한다. 상기 전류 임계 범위는 제1 내지 제3 전류 임계 범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450)는 상기 구동될 발광 소자의 개수 및 점멸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전류 임계 범위 중 어느 하나의 전류 임계 범위를 설정한다.
다음으로, 전류 감지부(440)는 상기 발광부(410)의 출력단의 전류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한 전류에 대응하는 전류 데이터를 제어부(450)에 전달한다(S150).
제어부(450)는 상기 전달되는 전류 데이터와 상기 설정한 전류 임계 범위를 비교하고, 상기 전류 데이터가 상기 전류 임계 범위를 벗어났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60).
그리고, 상기 제어부(450)는 상기 전류 데이터가 상기 전류 임계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발광부(410)의 구동 조건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류 데이터가 상기 전류 임계 범위보다 낮은 경우, 상기 제어부(450)는 상기 발광부(410)가 저전류 상태임을 감지하고, 이에 따라 상기 발광부(410)에 공급되는 전원의 세기가 증가하도록 상기 구동부(4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류 데이터가 상기 전류 임계 범위보다 높은 경우, 상기 제어부(450)는 상기 발광부(410)가 고전류 상태임을 감지하고, 이에 따라 상기 발광부(410)에 공급되는 전류의 세기가 감소하도록 상기 구동부(4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제어부(450)는 상기 전류 데이터가 상기 전류 임계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발광부(410)의 발광 동작이 중지되도록 상기 구동부(420)의 동작을 중지시킬 수 있다.
상기 전류 임계 범위 설정 및 이에 따른 발광부(410)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450)는 상기 전기 자동차의 충전 상태가 제1 상태임을 감지한다(S200). 여기에서, 상기 제1 상태는 상기 발광부(410)의 구동 조건을 기준으로, 1개의 발광 소자만이 정상 발광 동작을 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그리고, 제어부(450)는 상기 제1 상태가 감지되면, 상기 복수의 발광부(410) 중 어느 하나의 특정 발광 소자가 발광 동작을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210).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450)는 상기 발광부(410)의 구동 상태를 감지하기 위하여, 제1 내지 제3 전류 임계 범위 중 제1 전류 임계 범위를 설정한다(S220).
그리고, 상기 제어부(450)는 상기 전류 감지부(440)를 통해 전달되는 전류 데이터를 수신한다(S230).
이후, 상기 제어부(450)는 상기 수신한 전류 데이터와 상기 제1 전류 임계 범위를 비교하고, 이에 따라 상기 전류 데이터가 상기 제1 전류 임계 범위를 벗어났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40).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450)는 상기 전류 데이터가 상기 제1 전류 임계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구동되는 특정 발광 소자의 구동 조건을 변경하거나, 상기 발광 소자의 구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S250).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450)는 상기 전기 자동차의 충전 상태가 제2 상태임을 감지한다(S300). 여기에서, 상기 제2 상태는 상기 발광부(410)의 구동 조건을 기준으로, 1개의 발광 소자만이 점멸 발광 동작을 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그리고, 제어부(450)는 상기 제2 상태가 감지되면, 상기 복수의 발광부(410) 중 어느 하나의 특정 발광 소자가 점멸 발광 동작을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310).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450)는 상기 발광부(410)의 구동 상태를 감지하기 위하여, 제1 내지 제3 전류 임계 범위 중 제2 전류 임계 범위를 설정한다(S320).
그리고, 상기 제어부(450)는 상기 전류 감지부(440)를 통해 전달되는 전류 데이터를 수신한다(S330).
이후, 상기 제어부(450)는 상기 수신한 전류 데이터와 상기 제2 전류 임계 범위를 비교하고, 이에 따라 상기 전류 데이터가 상기 제2 전류 임계 범위를 벗어났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40).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450)는 상기 전류 데이터가 상기 제2 전류 임계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구동되는 특정 발광 소자의 구동 조건을 변경하거나, 상기 발광 소자의 구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S350).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450)는 상기 전기 자동차의 충전 상태가 제3 상태임을 감지한다(S400). 여기에서, 상기 제3 상태는 상기 발광부(410)의 구동 조건을 기준으로, 2개의 발광 소자가 동시에 정상 발광 동작을 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그리고, 제어부(450)는 상기 제3 상태가 감지되면, 상기 복수의 발광부(410) 중 어느 하나의 특정 발광 소자가 발광 동작을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410).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450)는 상기 발광부(410)의 구동 상태를 감지하기 위하여, 제1 내지 제3 전류 임계 범위 중 제3 전류 임계 범위를 설정한다(S420).
그리고, 상기 제어부(450)는 상기 전류 감지부(440)를 통해 전달되는 전류 데이터를 수신한다(S430).
이후, 상기 제어부(450)는 상기 수신한 전류 데이터와 상기 제3 전류 임계 범위를 비교하고, 이에 따라 상기 전류 데이터가 상기 제3 전류 임계 범위를 벗어났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40).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450)는 상기 전류 데이터가 상기 제3 전류 임계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구동되는 특정 발광 소자의 구동 조건을 변경하거나, 상기 발광 소자의 구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S450).
실시 예의 전기 자동차 충전 제어 장치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 상태를 알리는 발광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발광부는 서로 다른 색상의 복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기 자동차의 충전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 중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가 구동되도록 한다. 이때, 실시 예에서는 상기 발광부의 출력단, 예를 들어, 복수의 발광 소자의 출력 단에 공통 연결되는 전류 감지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전류 감지부는 상기 발광부의 출력단의 전류를 감지한다. 그리고, 제어부는 상기 감지한 전류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부의 구동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실시 예에서는 서로 다른 색상의 복수의 발광 소자를 이용하여 전기 자동차의 충전 상태에 대응하는 알림 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다. 이에 의해,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는 상기 발광부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전류 감지부를 이용하여 상기 발광부의 구동 상태를 감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과전류로부터 상기 발광부를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이때,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전기 자동차의 충전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구동 조건으로 상기 발광부의 복수의 발광 소자를 구동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조건에는 구동되는 발광 소자의 수, 발광 소자의 색상 및 점멸 발광 여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 조건에 따라 상기 발광부에 구동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전류 임계 범위를 다르게 설정한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전기 자동차의 충전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전류 임계 범위를 설정하고, 상기 서로 다른 전류 임계 범위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부의 구동 상태를 감지한다. 이를 통해 실시 예에서는 하나의 전류 감지부를 이용하여 상기 발광부의 구동 상태를 정확히 감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동작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 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 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 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은 실시 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실시 예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실시 예가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 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설정하는 실시 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전기 자동차의 충전을 제어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제어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발광부;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에 각각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구동부;
    상기 발광부의 출력 전류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한 출력 전류에 대응하는 전류 데이터를 출력하는 전류 감지부; 및
    상기 전기 자동차의 충전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부의 구동 조건 및 상기 발광부의 구동 상태의 감지를 위한 전류 임계 범위를 설정하고, 상기 구동 조건 및 상기 전류 임계 범위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의 구동 조건은,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 중 온(On) 상태의 발광 소자의 개수 및 상기 온 상태의 발광 소자의 점멸 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On) 상태의 발광 소자의 개수 및 점멸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전류 임계 범위를 설정하고, 상기 전류 임계 범위와 상기 전류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발광부의 구동 상태를 감지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제1 및 제2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발광 소자에 연결된 제1 구동부 및 상기 제2 발광 소자에 연결된 제2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발광 소자는,
    상기 제1 및 제2 구동부로부터 각각 공급되는 구동 전원에 기초하여 발광 동작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 소자와 상기 제1 구동부 사이에 배치된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발광 소자와 상기 제2 구동부 사이에 배치된 제2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광부의 구동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의 스위칭 상태를 제어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제어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감지부는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의 출력단에 공통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를 통해 출력되는 전류를 감지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제어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조건은 상기 전기 자동차의 제1 충전 상태에 대응되는 제1 구동 조건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구동 조건에서, 제1 전류 임계 범위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부의 구동 상태를 감지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제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 조건은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 중 1개의 발광 소자가 일반 발광 동작을 하기 위한 조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류 임계 범위는 17mA 내지 23mA인,
    전기 자동차 충전 제어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조건은 상기 전기 자동차의 제2 충전 상태에 대응되는 제2 구동 조건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구동 조건에서, 상기 제1 전류 임계 범위보다 작은 제2 전류 임계 범위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부의 구동 상태를 감지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제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 조건은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 중 1개의 발광 소자가 점멸 발광 동작을 하기 위한 조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전류 임계 범위는 8mA 내지 12mA인,
    전기 자동차 충전 제어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조건은 상기 전기 자동차의 제3 충전 상태에 대응되는 제3 구동 조건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구동 조건에서, 상기 제1 전류 임계 범위보다 큰 제3 전류 임계 범위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부의 구동 상태를 감지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제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구동 조건은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 중 2개의 발광 소자가 일반 발광 동작을 하기 위한 조건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전류 임계 범위는 35mA 내지 45mA인,
    전기 자동차 충전 제어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류 데이터가 상기 전류 임계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발광부의 구동 조건을 변경하거나, 상기 발광부의 구동을 중지시키는,
    전기 자동차 충전 제어 장치.
  12. 전기 자동차의 충전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한 충전 상태에 기초하여, 복수의 발광 소자 중 온(On) 동작할 발광 소자의 개수 및 상기 온 동작하는 발광 소자의 점멸 여부를 포함하는 구동 조건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한 구동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를 구동하는 단계;
    상기 결정한 구동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의 구동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전류 임계 범위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의 출력 전류에 대응하는 전류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전류 데이터와 상기 전류 임계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의 구동 조건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조건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한 충전 상태가 제1 충전 상태이면, 제1 구동 조건을 결정하고,
    상기 감지한 충전 상태가 제2 충전 상태이면, 제2 구동 조건을 결정하고,
    상기 감지한 충전 상태가 제3 충전 상태이면, 제3 구동 조건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류 임계 범위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구동 조건이 결정되면, 제1 전류 임계 범위를 설정하고,
    상기 제2 구동 조건이 결정되면, 상기 제1 전류 임계 범위보다 작은 제2 전류 임계 범위를 설정하고,
    상기 제3 구동 조건이 결정되면, 상기 제1 및 제2 전류 임계 범위보다 큰 제3 전류 임계 범위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 조건은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 중 1개의 발광 소자가 일반 발광 동작을 하기 위한 조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류 임계 범위는 17mA 내지 23mA인,
    전기 자동차 충전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 조건은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 중 1개의 발광 소자가 점멸 발광 동작을 하기 위한 조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전류 임계 범위는 8mA 내지 12mA인,
    전기 자동차 충전 제어 방법.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구동 조건은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 중 2개의 발광 소자가 일반 발광 동작을 하기 위한 조건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전류 임계 범위는 35mA 내지 45mA인,
    전기 자동차 충전 제어 방법.
KR1020220012577A 2022-01-27 2022-01-27 전기 자동차 충전 제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301157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2577A KR20230115745A (ko) 2022-01-27 2022-01-27 전기 자동차 충전 제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2577A KR20230115745A (ko) 2022-01-27 2022-01-27 전기 자동차 충전 제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5745A true KR20230115745A (ko) 2023-08-03

Family

ID=87567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2577A KR20230115745A (ko) 2022-01-27 2022-01-27 전기 자동차 충전 제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574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50320B (zh) 电动车辆的充电控制装置
US8768533B2 (en)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device
EP3854622B1 (en) Method for identifying operating mode of charging/supplying system between vehicle and exterior, and system for identifying operating mode of the system by the identifying method
US8772961B2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system, and vehicle
US11958409B2 (en) Vehicle and method of notifying charging information of vehicle
CN110416781A (zh) 充放电枪
US20170116805A1 (en) Modular vehicle system, electric vehicle, and module for connection to an electric vehicle
WO2017208740A1 (ja) 管理装置および電源システム
CN109562700B (zh) 包括机动车和连接机构的布置结构,机动车和连接机构
CN110293862A (zh) 车辆充电器电气插座诊断
CN107154564A (zh) 一种交直流通用的充电桩插头、插座及其控制方法
US9656568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error detection during charging of an energy storage system
KR20230115745A (ko) 전기 자동차 충전 제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20200189402A1 (en) Electrically Operated Vehicle And Charging System
CN211032218U (zh) 一种随车直流充电机及汽车
US8994209B2 (en) Electrical-power-feed connector and electrical power source
CN114103672A (zh) 具有内部电源的免手持充电系统
KR20210091000A (ko) 전기 자동차 충전용 컨트롤러 및 이를 이용한 전기 자동차 고장 검출 방법
CN205440018U (zh) 具状态指示的充电设备
CN217213925U (zh) 一种充电机器人报警系统
CN218549543U (zh) 一种新能源汽车的放电与用电装置
US20240051398A1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troller
CN103762639B (zh) 一种电池充电单元的充电方法、控制模块及电池充电单元
CN212905179U (zh) 充电检测装置
US20230083889A1 (en) Charging control box detachable charging cable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