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5574A - 냉매분배부의 소음차단 및 단열을 위한 차단유닛과 이의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냉매분배부의 소음차단 및 단열을 위한 차단유닛과 이의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5574A
KR20230115574A KR1020220012196A KR20220012196A KR20230115574A KR 20230115574 A KR20230115574 A KR 20230115574A KR 1020220012196 A KR1020220012196 A KR 1020220012196A KR 20220012196 A KR20220012196 A KR 20220012196A KR 20230115574 A KR20230115574 A KR 202301155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noise
blocking
refrigerant distribution
refriger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2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영동
설재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이디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이디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이디산업
Priority to KR1020220012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5574A/ko
Publication of KR20230115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55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02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2Evaporators
    • F25B39/028Evaporators having distribu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24F2013/242Sound-absorbing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12Sou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13Vib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매분배부의 소음차단 및 단열을 위한 차단유닛과 이의 제조장치를 게시한다.
상기 차단유닛은 공기조화장치의 증발기들에 냉매를 분배하기 위해 모세관들 또는 팽창밸브로 이루어진 냉매분배부를 감싸 진동 및 소음의 발생을 저감시키는 것으로, 금형에 설치되는 발열히터와 열풍에 의해 경화된 발포부재로 이루어진 진다.

Description

냉매분배부의 소음차단 및 단열을 위한 차단유닛과 이의 제조 장치 {Blocking unit for noise blocking and insulation of refrigerant distribution device and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of}
본 발명 냉매분배부 소음저감 및 단열을 위한 차단유닛과 이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공기조화장치, 냉장고에 설치되어 증발기 측으로 냉매를 분배하기 위한 냉매분배장치의 소음을 차단함과 아울러 단열을 위한 냉매분배장치의 소음차단 및 단열을 위한 차단유닛과 이의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건물 내에 설치되는 실내기와 건물 외부에 설치되는 실외기로 구성된다. 실내기에는 통상 냉기의 생성을 위한 증발기, 실내공기의 강제 순환을 위한 순환팬, 증발기로 냉매의 유입을 제어하는 냉매분배장치가 설치되고, 실외기에는 압축기, 응축기, 외기의 강제 송풍을 통해 응축기를 냉각시키는 송풍팬이 설치된다. 그리고 실내기와 실외기 사이에는 상호 냉매의 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냉매순환관이 설치된다.
냉매의 순환은 실외기에 설치된 압축기의 구동에 의해 냉매가 고온고압으로 압축되고, 압축된 냉매가 응축기로 유입되어 액상으로 응축된다. 또 응축된 냉매는 실외기와 실내기 사이의 냉매순환관을 통해 실내기 쪽으로 흐르며 실내기의 냉매분배장치를 통해 증발기로 유입되어 팽창된다. 그리고 증발기로 유입된 냉매는 기상으로 증발되면서 실내공기를 열교환 시킨 후 다시 실외기의 압축기 쪽으로 흐름으로써 순환이 반복된다.
이러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냉매를 저압으로 팽창시키는 냉매분배장치는 모세관 또는 열교환기의 온도에 따라 냉매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팽창밸브가 이용된다. 이러한 구성은 실외기의 응축기를 거쳐 실내기로 유입된 고압의 액냉매가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모세관 또는 팽창밸브를 통과하면서 압력이 강하된 후 증발기로 유입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공기조화장치의 액냉매가 모세관 또는 팽창밸브를 거치면서 생기는 냉매소음과, 냉매의 급격한 압력강하에 떨림 즉, 모세관과 팽창밸브의 벨로우즈 등의 떨림 현상으로 인해 실내기에 소음, 공명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 20-0248032호에는 공기조화기용 전동팽창밸브의 소음저감장치가 게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504851호에는 소음저감 전자팽창밸브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의 실내유니트가 게시되어 있다.
게시된 소음저감전자팽창밸브는 전자팽창밸브의 하우징의 외면을 감싸도록 폴리우레탄을 발포하여 이루어진 소음억제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소음억제부는 폴리우레탄이 발포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폴리우레탄의 발포 후 경화시간이 길어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504852호에는 소음저감기능을 구비한 공기조화기의 실내유니트가 게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03-0054498호에는 공기조화기가 게시되어 있다.
게시된 실내유니트는 전자팽창밸브 및 분배기를 감싸는 소음차단케이스를 설치하여 소음을 저감시키게 되는데, 케이스에 의해 소음의 차단효율이 좋지 않고, 진동을 크게 감쇄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 20-024803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50485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504852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03-0054498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공기조화장치의 냉매분배장치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을 차단하며 단열을 위한 단열유닛의 성형 시 경화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진동을 감쇠시킬 수 있는 냉매분배부의 소음차단 및 단열을 위한 차단유닛과 이의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열유닛을 성형하기 위한 금형에 발포된 단열재를 짧은 시간 내에 경화시킬 수 있어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냉매분배부의 소음차단 및 단열을 위한 차단유닛과 이의 제조 장치를 제공하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냉매분배부의 소음차단 및 단열을 우한 차단유닛은 공기조화장치의 증발기들에 냉매를 분배하기 위해 모세관들 또는 팽창밸브로 이루어진 냉매분배부를 감싸 진동 및 소음의 발생을 저감시키는 것으로, 발열히터와 열풍에 의해 경화된 발포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발포부재는 폴리우레탄이 발포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발포부재에 의해 감싸여진 모세관들에는 이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을 상호 감쇄시킬 수 있도록 모세관들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진동감쇄부재를 더 구비한다.
상기 진동감쇄부재는 양단부가 인접하는 모세관에 지지되는 결합부를 가지며 고무재가 피복된 댐핑부를 가지는 판상의 본체를 구비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냉매분배부의 소음차단 및 단열을 위한 차단유닛의 제조장치는 공기조화장치의 증발기들에 냉매를 분배하는 냉매분배부의 소음 및 진동발생부를 감싸는 발포부재를 성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냉매분배부의 소음 및 진동발생부가 삽입되는 캐비티를 가지는 제 1,2성형금형과, 상기 제1,2금형중 적어도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캐비티에 발포재를 주입하기 주입수단과, 상기 제1,2금형에 설치되어 경화를 축시키기 위한 제 1경화유닛과, 상기 제1,2금형과 인접되게 설치되어 상기 제1,2금형의 형분리되어 성형이 완료된 발포부재를 경화를 촉진시키기 위한 제 2경화유닛을 구비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경화유닛은 상기 1,2금형에 설치되는 히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2금형에 각각 스팀공급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스팀공급통로와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캐비티의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기 위한 분사노즐들을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경화유닛은 제 1,2금형과 인접되게 설치되어 제 1,2금형의 형분리 시 상기 소음 및 진동발생부를 감싸는 발포부재에 냉풍과 온풍을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발열히터를 구비한 송풍기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매분배부의 소음차단 및 단열을 위한 차단유닛과 이의 제조장치는 공기조화 장치에 있어서, 증축기로부터 응축된 냉매를 증발기에 분배하기 위한 분배공급부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의 차단할 수 있으며, 특히, 모세관 또는 팽창밸브를 통과하는 냉매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감쇄시킬 수 있다. 또한 냉매를 분배하기 위한 분배공급부의 단열에 따른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공기조화장치의 상품적 가치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 장치의 냉매분배부에 소음차단 및 단열유닛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일부절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진동감쇄부재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매분배장치의 소음차단 및 단열유닛의 성장치를 나타내 보인 평면도,
도 4는 제 1경화유닛의 일 실시예가 금형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본 발명은 냉매분배부의 소음차단 및 단열을 위한 차단유닛과 이의 성형상치에 관한 것으로, 도 1 내지 제 2에는 소음차단 및 단열유닛을 나타내 보였으며, 도 3은 냉매분배부의 소음차단 및 단열을 위한 차단유닛의 성형장치를 나타내 보인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냉매분배부로부터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을 소음과 진동을 차단하기 위한 소음차단 및 단열을 위한 차단유닛(10)은 공기조화장치의 응축기에 의해 응축된 냉매를 증발기들에 분배하기 위한 냉매분배부(20)로부터 발생되는 진동과 소음을 줄이기 위힌 냉매분배부(20)의 진동 및 소음발생부(21)를 감싸는 발포부재(30)를 포함한다.
상기 냉매분배부(20)는 응축기와 연결된 냉매순환관(22)에 설치되는 어큐뮬레이터(23)와 상기 어큐뮬레이터(23)와 제1연결관(24)에 의해 연결되는 제어밸브(25)와 상기 제어밸브(25)와, 제 2연결관(26)에 의해 연결되는 메니폴더(27)와, 상기 메니폴더(27)와 연결되는 복수개의 모세관(28)들을 포함한다. 그리고 각각의 모세관(28)들은 증발기와 연결을 위한 제 3연결관(29)들과 연결된다.
상기 냉매분배부(20)에 있어서, 상기 팽창밸브(25), 매니폴더(27) 및 매니폴더와 제 3연결관(29)를 연결하는 모세관(28)들은 냉매분배부(20)의 소음 및 진동발생부(22)를 이룬다.
상기와 같이 소음 및 진동발생부(22)에 설치되는 냉매분배부(20)에 설치되는 발포부재(30)는 전원이 공급되는 제어밸브(25)를 제외하고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밸브는 별도의 발포부재 또는 단열테이프에 의해 감싸여질 수 있다.
상기 소음 및 진동발생부(22)을 감싸는 발포부재(30)는 폴리우레탄이 발포되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상기 소음 및 진동발생부(22)에는 냉매의 분배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냉매가 교축된 상태로 흐르는 모세관(28)들이 진동하게 되는데, 모세관들에는 이러한 진동을 감쇄시키기 위한 진동감쇄부재(40)를 더구비한다.
상기 진동감쇄부재(40)는 양단부가 인접하는 모세관에 지지되는 결합부(41)를 가지는 판상의 본체(42)를 구비하는데, 판상의 본체(42)에는 진동을 감쇄시키기 위한 댐핑부(43)가 설치된다. 상기 댐핑부(43)은 본체(42)의 외주면에 고무재가 코팅되어 이루어지는데,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돌기(44)들이 설치된다.
상기 진동감쇄부재(40)는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모세관들의 진동을 서로 상쇄시킬 수 있는 구조이면 가능하다.
한편, 냉매분배부의 소음차단 및 단열유닛을 성형하기 위한 성형장치(50)는 공기조화장치의 증발기들에 냉매를 분배하는 냉매분배부(20)의 소음 및 진동발생부를 감싸는 발포부재(30)를 성형함과 아울러 경화시간을 단축하여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성형장치(50)는 상기 냉매분배부(20)의 소음 및 진동발생부(22)가 삽입되는 캐비티(50a)를 가지는 제 1,2성형금형(51)(55)을 구비하며, 상기 제 1,2성형금형(51)(55)의 적어도 일측에는 상기 성형공간에 발포재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가 형성된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주입구에 발포재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제 1,2금형(51)(55)은 별도의 이송수단 예컨대, 실린더 등에 의해 결합 및 분리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2금형(51)(55)에는 캐비티에 주입된 발포부재(30)를 경화시키기 위한 제 1경화유닛(60)과, 상기 제1,2금형(51)(55)에 인접되게 설치되어 상기 제1,2금형(51)(55)이 형분리되어 성형이 완료된 발포부재를 경화를 촉진시키기 위한 제 2경화유닛(70)을 구비한다.
상기 제 1경화유닛(60)은 제 1,2금형(51)(55)에 의해 냉매분배부(20)의 소음 및 진동발생부(22)의 발포가 이루어진 발포부재(30)가 형분리 시 간섭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1차 경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2금형(51)(55)에 설치된 히터를 포함한다. 상기 히터의 설치는 상기 제 1,2금형(51)(52)에 매립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경화유닛(60)은 제1,2금형(51)(55)에 발포부재(30)를 성형하기 위한 캐비티를 형성하는 제 1,2커버부재(61)(65)가 설치되고, 상기 제 1,2커버부재(61)(65)에는 각각 제 1,2스팀통로(62)(66)들이 발포부재(30)를 가열하기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1,2스팀통로(62)(66)는 스팀공급수단의 공급관과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1,2스팀통로(62)(66)에는 상기 제1,2커버부재(61)(66)에 의해 형성되는 캐비티(50a)의 내부로 분사하기 위한 제1,2분사노즐(63)(67)들이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분사노즐(63)(67)은 발포재에 의한 발포부재(30)의 발포 시 발포재에 의해 노즐이 막히지 않는 구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노즐을 다공성기체로 이루어지거나 발포가 이루어지는 동안 노즐에 소정의 스팀압이 가하여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경화유닛(7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부배부재(20)의 소음 및 진동발생부(22)에 발포부재(30)의 성형이 이루어진 후 제1,2금형(51)(55)로부터 분리된 발포부재(30)를 2차 경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분리된 발포부재(30)에 냉풍 또는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송풍기(7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송풍기(71)에는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히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경화유닛(70)을 이루는 송풍기(71)은 발포부재(30)가 제 1,2금형(51)(55)으로부터 분리되면서 경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 1,2금형(51)(55)에 인접되도록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냉매분배부의 소음차단 및 단열을 위한 차단유닛은 이를 구성하는 발포부재(30)가 냉매분배부(20)의 소음 및 진동발생부(22)를 감싸고 있으므로 냉매분배부에 의해 액냉매가 증발기 측으로 공급되면서 발생되는 진동과 소음을 줄일 수 있게 된다. 특히, 발포부재(30)의 내부측에는 모세관(28)들 또는 팽창밸브를 지지하는 상기 진동감쇄부재(4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모세관(28)의 진동을 인한 소음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 즉, 진동감쇄부재(40)의 결합부(41)은 인접하는 모세관(28)들을 상호 연결한 상태에서 발포부재(30)에 매립되고, 이 진동감쇄부재(40)에는 댐핑부(43)를 구비되어 있으므로 모세관(28)의 진동이 진동감쇄부재(40)에 의해 감쇄되며, 나아가서는 소음의 발생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소음차단 및 단열을 위한 차단유닛을 이루는 발포부재(30)를 성형하기 위해서는 먼저 냉매분배부(20)의 모세관(28)들에 진동감쇄부재(40)들을 설치한다.
그리고 제1,2금형(51)(55)가 형분리 된 냉매분배부(20)의 소음 및 진동발생부(22)를 상기 캐비티(50)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도록 삽입한 후, 제 1,2금형을 형합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발포재 공급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캐비티(50a)에 발포재를 공급하여 발포시킨다.
상기 발포가 완료되면, 상기 제1경화유닛(60)에 의해 제 1,2금형(51)(55)과 제1,2커버부재(61)(65)가 히터에 의해 가열되어 발포부재(3)가 경화된다. 이러한 경화는 제1,2금형(51)(55)가 형분리되고, 이로부터 냉매분배부재(30)가 제1,2금형(51)(55)로부터 분리 될 때까지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2금형(51)(55)로부터 냉매분배부(20)가 발포부재(30)과 같이 분리되면, 상기 제 2경화유닛(70)에 의해 상기 발포부재(30)에 열풍 또는 냉풍 즉, 상온의 공기를 분사하여 2차 경화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소음차단 및 단열유닛이 성형된 냉매분배부재는 경화시간에 따른 성형지연을 줄일 수 있으므로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매분배장치의 소음차단 및 단열유닛과 이의 제조 장치는 증발기로의 냉매 분배에 따른 소음 및 진동발생부로부터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을 차단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발포부재의 성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4)

  1. 공기조화장치의 증발기들에 냉매를 분배하기 위해 모세관들 또는 팽창밸브로 이루어진 냉매분배부를 감싸 진동 및 소음의 발생을 저감시키는 것으로, 금형에 설치되는 발열히터와 열풍에 의해 경화된 발포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분배부의 소음차단 및 단열을 위한 차단유닛.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부재는 폴리우레탄이 발포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발포부재에 의해 감싸여진 모세관들에는 이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을 상호 감쇄시킬 수 있도록 모세관들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진동감쇄부재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분배부의 소음차단 및 단열을 위한 차단유닛.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감쇄부재는 양단부가 인접하는 모세관에 지지되는 결합부를 가지는 판상의 본체를 구비하며, 판상의 본체에는 진동을 감쇄시키기 위한 댐핑부가 설치되며, 상기 댐핑부는 본체의 외주면에 고무재가 코팅되어 이루어지며,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돌기들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분배부의 소음차단 및 단열을 위한 차단유닛.
  4. 공기조화장치의 증발기들에 냉매를 분배하는 냉매분배부의 소음 및 진동발생부를 감싸는 발포부재를 성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냉매분배부의 소음 및 진동발생부가 삽입되는 캐비티를 가지는 제 1,2성형금형과, 상기 제1,2금형중 적어도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캐비티에 발포재를 주입하기 주입수단과, 상기 제1,2금형에 설치되어 경화를 축시키기 위한 제 1경화유닛과, 상기 제1,2금형과 인접되게 설치되어 상기 제1,2금형의 형분리되어 성형이 완료된 발포부재를 경화를 촉진시키기 위한 제 2경화유닛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분배부의 소음차단 및 단열을 위한 차단유닛의 제조장치.







KR1020220012196A 2022-01-27 2022-01-27 냉매분배부의 소음차단 및 단열을 위한 차단유닛과 이의 제조 장치 KR202301155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2196A KR20230115574A (ko) 2022-01-27 2022-01-27 냉매분배부의 소음차단 및 단열을 위한 차단유닛과 이의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2196A KR20230115574A (ko) 2022-01-27 2022-01-27 냉매분배부의 소음차단 및 단열을 위한 차단유닛과 이의 제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5574A true KR20230115574A (ko) 2023-08-03

Family

ID=87568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2196A KR20230115574A (ko) 2022-01-27 2022-01-27 냉매분배부의 소음차단 및 단열을 위한 차단유닛과 이의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5574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8032Y1 (ko) 1999-05-29 2001-10-18 윤종용 공기조화기용 전동팽창밸브의 소음저감장치
KR20030054498A (ko) 2001-12-26 2003-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0504852B1 (ko) 2002-07-19 2005-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소음저감기능을 구비한 공기조화기의 실내유니트
KR100504851B1 (ko) 2002-07-19 2005-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소음저감 전자팽창밸브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의 실내유니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8032Y1 (ko) 1999-05-29 2001-10-18 윤종용 공기조화기용 전동팽창밸브의 소음저감장치
KR20030054498A (ko) 2001-12-26 2003-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0504852B1 (ko) 2002-07-19 2005-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소음저감기능을 구비한 공기조화기의 실내유니트
KR100504851B1 (ko) 2002-07-19 2005-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소음저감 전자팽창밸브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의 실내유니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667245A (zh) 用于车辆的热交换器
KR20070052762A (ko) 히트 펌프 급탕기
CN108291669B (zh) 封闭用弹性体、空调装置及封闭方法
RU2395761C2 (ru) Холодильный аппарат
KR20230115574A (ko) 냉매분배부의 소음차단 및 단열을 위한 차단유닛과 이의 제조 장치
US20060070719A1 (en) Air conditioner
JP3326355B2 (ja) 空気調和装置の冷媒分流装置
KR102011737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69222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WO2016151878A1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2575777B1 (ko) 공기조화기
KR101867688B1 (ko) 열교환기
KR20090001455U (ko) 진동저감장치를 가지는 공기조화기
CN207674628U (zh) 一种基于建筑大厦的应急供冷系统
KR100529169B1 (ko) 공기 조화장치용 덕트
CN111365771A (zh) 冷媒管路系统及其制作方法、压缩机、空调室外机及空调器
JPH10238900A (ja) 空気調和装置
KR102641069B1 (ko) 얼음 정수기
CN215638983U (zh) 管路组件及换热设备
KR200275757Y1 (ko) 흡수식냉온수기
KR20180090420A (ko) 냉장고용 열교환장치
KR101105571B1 (ko) 증발기 파이프와 팽창밸브 연결구조
CN109442584B (zh) 室外一体式空调器
KR100696424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S61149743A (ja) 空気調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