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5082A - 미세물질 포집용 필터 - Google Patents

미세물질 포집용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5082A
KR20230115082A KR1020220011624A KR20220011624A KR20230115082A KR 20230115082 A KR20230115082 A KR 20230115082A KR 1020220011624 A KR1020220011624 A KR 1020220011624A KR 20220011624 A KR20220011624 A KR 20220011624A KR 20230115082 A KR20230115082 A KR 202301150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case
unit
inspection assembly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1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혜린
봉이선
김영훈
박형상
Original Assignee
옴니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옴니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옴니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11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5082A/ko
Priority to PCT/KR2022/003983 priority patent/WO2023146020A1/ko
Publication of KR20230115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50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2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involving separation of sample components during sampling
    • G01N1/2205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involving separation of sample components during sampling with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273Atmospheric sampl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01N15/027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with screening; with classification by filter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2015/0096Investigating consistence of powders, dustability, dustin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01N2015/0288Sorting the particles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중에 포함된 바이러스를 검출할 수 있는 미세물질 포집용 필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바이러스의 유무를 판단하기 위한 스트립부, 상기 스트립부의 일측부를 커버하게 마련되고,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포집할 수 있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 일단의 둘레부에 마련되고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워터 포켓부를 포함하는 검사 조립체, 상기 검사 조립체의 일단의 둘레부 외측에 마련되고, 상기 검사 조립체를 내부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하는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의 내부에 볼록하게 마련되고, 상기 검사 조립체가 상기 케이스부의 내부로 슬라이드 이동할 경우 상기 워터 포켓부를 절개하는 커터부 및 상기 검사 조립체의 양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검사 조립체가 상기 케이스부의 내부에 수용될 경우 상기 검사 조립체와 상기 케이스부의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미세물질 포집용 필터{FILTER FOR COLLECTING FINE DUST}
본 발명은 미세물질 포집용 필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공기 중에 포함된 바이러스를 검출할 수 있는 미세물질 포집용 필터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는 자동차 배기가스, 각종 산업 폐기물의 방류, 다량의 생활 쓰레기 배출 및 소각 시 발생하는 오염물질 등으로 인해 인간에게 유해한 미세입자들이 공기 중에 다량 분포하고 있다.
또한, 최근 들어 중국과 몽골의 사막지대에서는 크기 20μm 이하의 미세한 모래나 먼지가 우리나라로 들어와 이를 흡입하는 경우 호흡기 질환, 알레르기, 눈병, 면역 기능 약화 등의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고, 그 미세입자 속에는 마그네슘이나 규소와 같은 중금속 물질들도 포함되어 있어 인간 및 자연에게 큰 피해를 유발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미세입자로부터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공기 중에 존재하는 미세입자를 수시로 포집하여 미세입자의 양이나 구성 성분 등에 대해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국 공개특허 제2011-0124427호에 개시된 미세입자 포집장치는 미세입자가 포함된 공기를 포집장치 내부로 흡입하기 위하여 진공펌프를 이용하고 있고, 또한 진공펌프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포집장치 내부로 유도하는 유입관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한국 공개특허 제2013-0001446호에 개시된 미세입자 포집장치도 공기가 유입되는 입경분립장치와 입경분립장치를 통해 공기를 흡입시키기 위한 펌프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먼지 또는 미세분진 측정기의 경우에도 장치 내에 흡입식 펌프가 내장되어 있어 이를 통해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여지에 필터링하여 여지에 존재하는 물질의 무게를 측정하거나 각종 센서와 반응시킴으로써 미세입자를 포집 및 분석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먼지 또는 미세분진 측정기는 공기 속에 포함되어 사람에게 질병을 옮길 수 있는 바이러스 등과 같은 미세물질을 검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코로나 바이러스는 공기 중에 포함되어 사람들의 호흡기를 통해 감염 및 전파되기 때문에 공기 중에 포함된 바이러스를 미리 검출하여 바이러스의 감염 및 전파를 사전에 차단해야 할 필요성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필터에 포집하고 필터를 케이스에 수용하면 오염물질이 물에 용해되어 바이러스 검출 스트립을 통해 바이러스 감염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하는 미세물질 포집용 필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물질 포집용 필터는 바이러스의 유무를 판단하기 위한 스트립부, 상기 스트립부의 일측부를 커버하게 마련되고,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포집할 수 있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 일단의 둘레부에 마련되고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워터 포켓부를 포함하는 검사 조립체, 상기 검사 조립체의 일단의 둘레부 외측에 마련되고, 상기 검사 조립체를 내부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하는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의 내부에 볼록하게 마련되고, 상기 검사 조립체가 상기 케이스부의 내부로 슬라이드 이동할 경우 상기 워터 포켓부를 절개하는 커터부 및 상기 검사 조립체의 양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검사 조립체가 상기 케이스부의 내부에 수용될 경우 상기 검사 조립체와 상기 케이스부의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워터 포켓부는 연성의 수지 소재일 수 있다.
상기 케이스부는 양단부를 개구하는 통체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물질 포집용 필터는 상기 검사 조립체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케이스부의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케이스부의 외측까지 연장된 손잡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터부에 의해 절개된 상기 워터 포켓부로부터 유출되는 물은 상기 필터부를 거쳐 상기 스트립부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물질 포집용 필터는 공기 중의 바이러스를 미리 검출하여 사람으로의 감염 및 전파를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물질 포집용 필터는 케이스에 보관과 동시에 바이러스 감염 판단을 가능하게 하여 감염 검사 시간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물질 포집용 필터는 보관 및 이동 시에 바이러스의 유출 차단을 쉽고 확실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물질 포집용 필터를 좌측면에서 도시한 좌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검사 조립체를 케이스부의 내부로 삽입한 것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검사 조립체와 손잡이부만을 좌측면에서 도시한 좌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을 A-A' 절단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서 케이스부만을 좌측면에서 도시한 좌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를 정면에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물질 포집용 필터를 내부에 설치하여 미세물질을 포집하게 하는 공기 포집 장치를 정면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공기 포집 장치의 게이트를 열어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물질 포집용 필터를 좌측면에서 도시한 좌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검사 조립체를 케이스부의 내부로 삽입한 것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 검사 조립체와 손잡이부만을 좌측면에서 도시한 좌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을 A-A' 절단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에서 케이스부만을 좌측면에서 도시한 좌측면도이고, 도 6은 도 5를 정면에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물질 포집용 필터는 검사 조립체(100), 케이스부(200) 및 손잡이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검사 조립체(100)는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포집하고, 포집된 오염물질에서 바이러스를 검출할 수 있다.
검사 조립체(100)는 스트립부(110), 필터부(120) 및 워터 포켓부(130)를 형성할 수 있다.
필터부(120)는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포집할 수 있다.
필터부(120)는 백 필터(back filter), 멤브레인 필터(membrane filter), ULPA 필터(ultra low penetration air filter), HEPA 필터(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filter)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백 필터는 필터(filter) 천에 분진을 함유한 기류를 통과시키고, 이 여과 천에 분진을 포착하는 원리에 입각한 집진장치일 수 있다.
멤브레인 필터는 막상의 필터로 막에 균일한 미세 구멍이 있어서, 이것의 구멍의 지름보다 큰 입자를 완전히 포집할 수 있다.
ULPA 필터는 입경 0.12 ~ 0.17 um의 입자를 99.9995% 이상 포집할 수 있는 초고성능 유리 섬유 소재의 필터일 수 있다.
HEPA 필터는 유리 섬유나 아스베스트(asbest) 섬유 등의 소재를 접어서 통과 표면적을 크게 한 유닛형 일 수 있다.
워터 포켓부(130)는 필터부(120)의 일단측 둘레부에 형성될 수 있다.
워터 포켓부(130)는 내부에 물 등과 같은 액체를 수용하고, 비닐(vinyl) 또는 연성의 플라스틱 등과 같은 수밀성이 높은 연성의 수지 소재로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스트립부(110)는 바이러스 등과 같은 미세물질을 검출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스트립부(110)는 필터부(120)를 일측부에 결합하고, 필터부(120)가 스트립부(110)의 일측부를 커버하게 형성될 수 있다.
스트립부(110)는 바이러스 등에 반응하는 항체를 마련하고 바이러스 항원이 바이러스 항체와 결합하는 지 여부에 따라 바이러스 검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검사 조립체(100)는 실링부(150) 및 가이드 판(160)을 포함할 수 있다.
실링부(150)는 검사 조립체(100)와 케이스부(200)의 사이를 실링(sealing) 하여 외부로부터 밀봉되게 할 수 있다.
실링부(150)는 검사 조립체(100)의 필터부(120)와 스트립부(110)를 케이스부(200)의 내부로 삽입할 시 케이스(200)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밀봉되게 실링 할 수 있다.
실링부(150)는 검사 조립체(100)의 일측부와 타측부의 둘레에 각각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실링부(150)는 고무, 실리콘, 연성의 플라스틱 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판(160)은 워터 포켓부(130)를 일측부에 결합하고 필터부(120) 및 스트립부(110)를 타측부에 결합하여 워터 포켓부(130)와 필터부(120) 및 스트립부(110)의 사이를 가로막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판(160)은 가이드 홈(161)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워터 포켓부(130)의 절개 시 워터 포켓부(130)로부터 유출된 물 등과 같은 액체가 가이드홈(161)을 통해 필터부(120)로 유입되고 스트립부(110)로는 흐르지 않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가이드 홈(161)은 가이드 판(160) 중에서 워터 포켓부(130)와 필터부(120)의 사이의 가이드 판(160)의 중앙부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워터 포켓부(130)로부터 유출된 물 등과 같은 액체를 필터부(120)로만 흐르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즉 가이드 판(160)은 워터 포켓부(130)와 필터부(120) 및 스트립부(110)의 사이를 가로 막게 형성되되 가이드 홈(161)을 통해 워터 포켓부(130)와 필터부(120)의 사이를 소통하게 하여 워터 포켓부(130)로부터 유출된 물 등과 같은 액체가 스트립부(110)로 먼저 유입되지 않고 가이드 홈(161)을 통해 필터부(120)로만 유입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손잡이부(300)는 검사자가 손으로 잡고 검사 조립체(100)를 케이스부(200)의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손잡이부(300)는 검사 조립체(100)의 일단부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부(300)는 케이스부(200)를 관통하여 케이스부(200)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케이스부(200)는 내부에 검사 조립체(100)를 보관할 수 있다.
케이스부(200)는 검사 조립체(100)의 일단의 둘레부 외측에 연결되어 검사 조립체(100)를 내부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부(200)는 일단에서 타단까지 관통하게 형성된 원통형을 형성할 수 있다.
케이스부(200)는 투명한 플라스틱 또는 유리 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부(200)는 커터부(210)와 스토퍼를 형성할 수 있다.
커터부(210)는 워터 포켓부(130)를 절개하여 워터 포켓부(130) 내부의 물을 외부로 유출시킬 수 있다.
커터부(210)는 케이스부(200)의 내부 일측 둘레부에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커터부(210)는 검사 조립체(100)가 케이스부(200)의 내부로 진입할 시 케이스부(200)의 내부에서 워터 포켓부(130)의 이동로에 위치하여 검사 조립체(100)의 이동력에 의해 커터부(210)가 워터 포켓부(130)를 절개할 수 있다. 이때 커터부(210)는 필요에 따라 단부를 첨예하게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워터 포켓부(130)로부터 유출되는 물 등의 액체는 워터 포켓부(130)의 인근에 위치하고 커터부(210)의 이동 위치에 위치한 필터부(120)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검사 조립체(100)가 케이스부(200)의 내부로 진입할 시 커터부(210)는 가이드 홈(161)을 통과하게 하여 가이드 판(160)에 걸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판(160)은 워터 포켓부(130)와 스트립부(110)와의 사이를 차단하여 워터 포켓부(130)로부터 유출된 물 등의 액체가 스트립부(110)로 직접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커터부(210)는 워터 포켓부(130)를 지나 가이드 판(160)의 가이드 홈(161)을 통과하도록 케이스부(200)의 내부에 위치함에 따라 커터부(210)에 의해 절개된 워터 포켓부(130)의 내부 물 등과 같은 액체는 커터부(210)를 따라서 워터 포켓부(130)의 외부로 유출되어 가이드 홈(161)으로 흐를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 홈(161)은 물 등과 같은 액체를 필터부(120)로 흐르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즉 검사 조립체(100)가 케이스부(200)의 내부에 슬라이드 이동함과 함께 워터 포켓부(130)는 절개되어 물 등의 액체가 필터부(120)로 흘러 필터부(120)를 적시게 할 수 있다. 또한 워터 포켓부(130)로부터 유출된 물 등의 액체가 스트립부(110)로 직접 흐르지 않고 필터부(120)를 거쳐 스트립부(110)로 흐르도록 가이드 판(160)과 가이드 홈(161)이 가이드하여 필터부(120)에 포집된 미세 물질로부터 스트립부(110)가 바이러스 등을 검출하게 할 수 있다.
스토퍼는 검사 조립체(100)를 케이스부(200)의 내부에 슬라이딩 이동할 때 검사 조립체(100)가 케이스부(200)의 내부에서 이동을 멈추도록 이동을 차단할 수 있다.
스토퍼는 제1 스토퍼(220a), 제2 스토퍼(220b)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스토퍼(220a)는 케이스부(200)의 일단부 내부에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스토퍼(220a)는 검사 조립체(100)를 케이스부(200)의 내부로 진입시킬 때 검사 조립체(100)의 일측부에 형성된 실링부(150)에 걸려서 검사 조립체(100)가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도록 차단할 수 있다.
제2 스토퍼(220b)는 케이스부(200)의 타측부 내부에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스토퍼(220b)는 검사 조립체(100)를 케이스부(200)의 내부로 진입시킬 때 검사 조립체(100)의 타측부에 형성된 실링부(150)에 걸려서 검사 조립체(100)가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도록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제1 스토퍼(220a)와 제2 스토퍼(220b)는 검사 조립체(100)의 실링부(150)와 밀착되어 실링부(150)의 밀봉력을 높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검사 조립체(100)가 케이스부(200)의 내부에 슬라이드 이동하여 삽입되면 실링부(150)가 케이스부(200)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밀봉하여 워터 포켓부(130)로부터 유출된 물 등과 같은 액체가 케이스부(200)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검사 조립체(100)에 포집된 미세물질 중에 바이러스 등이 포함될 경우 케이스부(200)의 내부에 삽입된 검사 조립체(100)로부터 외부로 바이러스 등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검사 조립체(100)를 케이스부(200)의 내부에 삽입하면 내부의 액체나 바이러스의 유출을 걱정하지 않고 검사자가 케이스부(200)를 휴대하여 이동하거나 보관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물질 포집용 필터를 내부에 설치하여 미세물질을 포집하게 하는 공기 포집 장치를 정면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서 공기 포집 장치의 게이트를 열어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물질 포집용 필터는 공기 포집 장치(1)의 내부에 설치되어 공기 중의 미세물질을 포집할 수 있다.
공기 포집 장치(1)는 공기 흡입부(2), 게이트(3a), 내부 공간(3b) 및 설치부(4)를 형성할 수 있다.
공기 흡입부(2)는 주변 외부의 공기를 공기 포집 장치(1)의 내부로 흡입하게 할 수 있다.
공기 흡입부(2)는 공기 포집 장치(1)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공기 흡입부(2)는 공기 포집 장치(1)의 외부와 소통하게 형성되고, 공기 포집장치(1)의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 공기 흡입을 위한 동력을 발생하는 공기 흡입기(미도시)와 연통할 수 있다.
게이트(3a)는 공기 포집 장치(1)의 내부를 개폐하게 할 수 있다.
게이트(3a)는 공기 포집 장치(1)의 전방부에 힌지 연결될 수 있다.
게이트(3a)는 힌지부를 중심으로 선회 이동하여 공기 포집 장치(1)의 내부를 개구하거나 공기 포집 장치(1)의 내부를 폐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물질 포집용 필터는 게이트(3a)를 통해 공기 포집 장치(1)의 내부에 설치되거나 공기 포집 장치(1)의 내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내부 공간(3b)은 공기 포집 장치(1)를 작동하기 위한 각종 부품 및 장치들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물질 포집용 필터를 설치 및 보관하기 위한 공간일 수 있다.
설치부(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물질 포집용 필터를 설치할 수 있다.
설치부(4)는 내부 공간(3b)의 상부에 공기 흡입부(2)와 연통하게 형성될 수 있다.
설치부(4)는 오복하게 형성된 설치홈(4a)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물질 포집용 필터를 삽입 설치할 수 있다. 설치홈(4a)에 삽입 설치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물질 포집용 필터는 외부로부터 포집되는 공기의 유로에 위치하여 필터부(120)가 공기로부터 미세물질을 포집할 수 있다.
즉 설치부(4)에 설치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물질 포집용 필터는 공기 흡입부(2)로부터 흡입되는 공기의 유로에 위치하고, 흡입되는 공기로부터 미세물질을 포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물질 포집용 필터는 공기 중의 바이러스를 미리 검출하여 사람으로의 감염 및 전파를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물질 포집용 필터는 케이스에 보관과 동시에 바이러스 감염 판단을 가능하게 하여 감염 검사 시간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물질 포집용 필터는 보관 및 이동 시에 바이러스의 유출 차단을 쉽고 확실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공기 포집 장치
2: 공기 흡입부
3a: 게이트
3b: 내부 공간
4: 설치부
4a: 설치홈
100: 검사 조립체
110: 스트립부
120: 필터부
130: 워터 포켓부
300: 손잡이부
150: 실링부
160: 가이드 판
161: 가이드 홈
200: 케이스부
210: 커터부
220a: 제1 스토퍼
220b: 제2 스토퍼

Claims (5)

  1. 바이러스의 유무를 판단하기 위한 스트립부;
    상기 스트립부의 일측부를 커버하게 마련되고,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포집할 수 있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 일단의 둘레부에 마련되고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워터 포켓부; 를 포함하는 검사 조립체;
    상기 검사 조립체의 일단의 둘레부 외측에 마련되고, 상기 검사 조립체를 내부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하는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의 내부에 볼록하게 마련되고, 상기 검사 조립체가 상기 케이스부의 내부로 슬라이드 이동할 경우 상기 워터 포켓부를 절개하는 커터부; 및
    상기 검사 조립체의 양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검사 조립체가 상기 케이스부의 내부에 수용될 경우 상기 검사 조립체와 상기 케이스부의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물질 포집용 필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워터 포켓부는 연성의 수지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물질 포집용 필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는 양단부를 개구하는 통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물질 포집용 필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검사 조립체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케이스부의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케이스부의 외측까지 연장된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물질 포집용 필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터부에 의해 절개된 상기 워터 포켓부로부터 유출되는 물은 상기 필터부를 거쳐 상기 스트립부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물질 포집용 필터.
KR1020220011624A 2022-01-26 2022-01-26 미세물질 포집용 필터 KR2023011508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1624A KR20230115082A (ko) 2022-01-26 2022-01-26 미세물질 포집용 필터
PCT/KR2022/003983 WO2023146020A1 (ko) 2022-01-26 2022-03-22 미세물질 포집용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1624A KR20230115082A (ko) 2022-01-26 2022-01-26 미세물질 포집용 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5082A true KR20230115082A (ko) 2023-08-02

Family

ID=87472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1624A KR20230115082A (ko) 2022-01-26 2022-01-26 미세물질 포집용 필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15082A (ko)
WO (1) WO2023146020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34243B1 (en) * 2002-01-14 2003-10-21 Rapid Medical Diagnostics Corporation Sample testing device
JP6424666B2 (ja) * 2014-03-11 2018-11-21 ニプロ株式会社 検査キットおよびこれに具備される調製用容器
CN115430471A (zh) * 2018-09-05 2022-12-06 英雄科学有限公司 微粒测试的设备及方法
KR20210121672A (ko) * 2020-03-31 2021-10-08 김진방 초간편 바이러스 자가 검체 채취 및 확인 스루 키트
KR102333308B1 (ko) * 2020-05-07 2021-12-0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바이러스 또는 미세 입자 검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46020A1 (ko) 2023-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710159U (zh) 一种便捷式空气采集检测装置
TR200600885A2 (tr) Bir elektrik süpürgesi için nüfuz eden toz giderici cihaz.
CN104661755B (zh) 随需应变式蒸气发生器
CN208383518U (zh) 一种带多孔板的高效型气泡吸收管
CN212621742U (zh) 一种便携式土壤气体采样装置
CN210953548U (zh) 一种自动气体采样器
KR20230115082A (ko) 미세물질 포집용 필터
EP3163299A1 (en) Gas detection using gas modulation
JP2019513435A5 (ko)
CN208465463U (zh) 具有快速接头的水气分离装置
CN209340158U (zh) 具有防错功能的水泵气密性检测装置
JP4377070B2 (ja) 総合テストガス漏洩検出するための装置並びに該装置のための運転方法
CN109738428A (zh) 一种空气中甲醛含量的显色滴定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CN205844302U (zh) 一种现场应急快速检测箱
CN108026688A (zh) 特别用于对洁净室服装和配件进行干燥的干燥机
CN218295359U (zh) 一种氢气安全检测装置
FI124333B (fi) Laitteisto ja menetelmä tuhkan keräämiseksi savukaasuista
CN105877614A (zh) 一种吸尘器
KR0134473Y1 (ko) 환자용 체액 흡인기
KR102299153B1 (ko) 악취포집기의 포집백 자동 세척장치
JP7323216B2 (ja) 圧縮空気用異物検知器
JPH0994425A (ja) 水分除去装置
CN109540603A (zh) 用于皮肤表层化学污染物采集的采样装置
CN213901387U (zh) 空气净化装置
CN218444623U (zh) 一种简易式空气取样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