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4976A - 디바이스의 무선 연동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디바이스의 무선 연동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4976A
KR20230114976A KR1020220011371A KR20220011371A KR20230114976A KR 20230114976 A KR20230114976 A KR 20230114976A KR 1020220011371 A KR1020220011371 A KR 1020220011371A KR 20220011371 A KR20220011371 A KR 20220011371A KR 20230114976 A KR20230114976 A KR 202301149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mode
devices
present
management unit
p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1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0503B1 (ko
Inventor
김주민
차완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이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이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이노
Priority to KR1020220011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0503B1/ko
Priority to PCT/KR2023/001134 priority patent/WO2023146270A1/ko
Publication of KR20230114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49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0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05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디바이스의 무선 연동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무선 연동을 위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것에 대응하여 어드버타이징 모드에서 트리거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이 전송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트리거 정보에 대한 검증 결과에 기초하여 커넥션 모드가 활성화되도록 하고, 상기 커넥션 모드에서 상기 이벤트와 연관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이 전송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디바이스의 무선 연동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SUPPORTING WIRELESS INTERWORKING OF DEVICES}
본 발명은 디바이스의 무선 연동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과학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하여 인류 전체의 삶의 질이 향상되고 있으며, 의료 환경에서도 많은 변화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근래에 들어, 생체 신호 데이터를 원격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웨어러블 모니터링 디바이스가 대중들에게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모니터링 디바이스는 병원 등의 의료 기관 내에서 환자의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웨어러블 모니터링 디바이스와 병원 내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사이의 통신을 중계하기 위한 게이트웨이를 의료 기관의 곳곳에 배치할 것이 요구된다.
위와 같이 의료 기관 내에 배치되는 게이트웨이는, 일반적으로, 게이트웨이 한 개당 연결이 가능한 웨어러블 모니터링 디바이스의 수에 한계가 존재한다. 종래에는 웨어러블 모니터링 디바이스의 수가 증가할 것에 대비하여 많은 수의 게이트웨이를 미리 확충하는 방식으로 웨어러블 모니터링 디바이스와 게이트웨이의 연결 안정성을 보장하여 왔으나, 이러한 방식은 무선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저전력 블루투스의 통신 방법이 구현되는 통신망에서 웨어러블 모니터링 디바이스와 게이트웨이의 연결이 간헐적으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게이트웨이 한 개당 연결이 가능한 웨어러블 모니터링 디바이스의 수를 극대화하고, 나아가 의료 기관 내에서 게이트웨이의 설치 효율을 극대화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디바이스의 무선 연동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무선 연동을 위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것에 대응하여 어드버타이징 모드에서 트리거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이 전송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트리거 정보에 대한 검증 결과에 기초하여 커넥션 모드가 활성화되도록 하고, 상기 커넥션 모드에서 상기 이벤트와 연관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이 전송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디바이스의 무선 연동을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무선 연동을 위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것에 대응하여 어드버타이징 모드에서 트리거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이 전송되도록 하는 어드버타이징 모드 관리부, 및 상기 트리거 정보에 대한 검증 결과에 기초하여 커넥션 모드가 활성화되도록 하고, 상기 커넥션 모드에서 상기 이벤트와 연관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이 전송되도록 하는 커넥션 모드 관리부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저전력 블루투스의 통신 방법이 구현되는 통신망에서 웨어러블 모니터링 디바이스와 게이트웨이의 연결이 간헐적으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게이트웨이 한 개당 연결이 가능한 웨어러블 모니터링 디바이스의 수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되고, 나아가 의료 기관 내에서 게이트웨이의 설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의 무선 연동을 지원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원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연동의 결과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러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전체 시스템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300)의 무선 연동을 지원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은 통신망(100), 지원 시스템(200) 및 디바이스(3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00)은, 유선 통신이나 무선 통신과 같은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통신망(100)은, 개인 영역 통신망(PAN; Personal Area Network)으로서 블루투스 통신(더 구체적으로는, 저전력 블루투스(BLE; Bluetooth Low Energy)), 앤트플러스(ANT+), 지그비(Zigbee) 등과 같은 통신 방법을 적어도 그 일부분에 있어서 구현하는 것일 수 있다.
그러나, 통신망(100)은, 굳이 이에 국한될 필요 없이, 공지의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공지의 전화망 또는 공지의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을 그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통신망(100)은, 무선 데이터 통신망으로서, 무선주파수(RF; Radio Frequency) 통신, 와이파이(WiFi) 통신, 셀룰러(LTE 등) 통신, 적외선 통신, 초음파 통신 등과 같은 종래의 통신 방법을 적어도 그 일부분에 있어서 구현하는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원 시스템(200)은, 통신망(100)을 통하여 후술할 디바이스(300)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무선 연동을 위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것에 대응하여 어드버타이징 모드(advertising mode)에서 트리거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이 전송되도록 하고, 위의 트리거 정보에 대한 검증 결과에 기초하여 커넥션 모드(connection mode)가 활성화되도록 하고, 위의 커넥션 모드에서 위의 이벤트와 연관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이 전송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지원 시스템(200)은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통신망(100)상에서 운영되는 서버 시스템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원 시스템(200)의 구성과 기능에 관하여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자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300)는, 지원 시스템(200)에 접속한 후 통신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는 디지털 기기로서, 스마트 패치, 스마트 워치, 스마트 밴드, 스마트 글래스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로서 인체로부터 소정의 생체 신호(예를 들어, 심전도(ECG; electrocardiogram), 근전도(EMG; electromyogram), 뇌전도(EEG; electroencephalogram), 맥파(PPG; photoplethysmogram) 등)를 측정하기 위한 센싱 수단(예를 들면, 접촉 전극, 영상 촬영 장치 등) 및 생체 신호의 측정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표시 수단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모니터링 디바이스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300)는, 사용자가 지원 시스템(200)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연동 지원과 연관되는 기능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애플리케이션(미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애플리케이션은 지원 시스템(200) 또는 외부의 애플리케이션 배포 서버(미도시됨)로부터 다운로드된 것일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의 성격은 후술할 바와 같은 지원 시스템(200)의 어드버타이징 모드 관리부(210), 커넥션 모드 관리부(220), 통신부(230) 및 제어부(240)와 전반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은 그 적어도 일부가 필요에 따라 그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균등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 장치나 펌웨어 장치로 치환될 수도 있다.
지원 시스템의 구성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하여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지원 시스템(200)의 내부 구성과 각 구성요소의 기능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원 시스템(200)의 내부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원 시스템(200)은 어드버타이징 모드 관리부(210), 커넥션 모드 관리부(220), 통신부(230) 및 제어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원 시스템(200)의 어드버타이징 모드 관리부(210), 커넥션 모드 관리부(220), 통신부(230) 및 제어부(240)는 그 중 적어도 일부가 외부의 시스템(미도시됨)과 통신하는 프로그램 모듈일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운영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지원 시스템(200)에 포함될 수 있고, 물리적으로는 여러 가지 공지의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지원 시스템(200)과 통신 가능한 원격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본 발명에 따라 후술할 특정 업무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실행하는 루틴, 서브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괄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한편, 지원 시스템(200)에 관하여 위와 같이 설명되었으나, 이러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이고, 지원 시스템(200)의 구성요소 또는 기능 중 적어도 일부가 필요에 따라 디바이스(300) 또는 서버(미도시됨) 내에서 실현되거나 외부 시스템(미도시됨) 내에 포함될 수도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드버타이징 모드 관리부(210)는, 무선 연동을 위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것에 대응하여 어드버타이징 모드에서 트리거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이 전송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연동을 위한 이벤트는, 디바이스(300)에서 후술할 게이트웨이(미도시됨) 또는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미도시됨)으로 소정의 정보의 전송이 요구되는 이벤트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무선 연동을 위한 이벤트에는 디바이스(300)(또는 디바이스(300)의 센싱 수단)가 피측정자로부터 비정상(abnormal)적인 생체 신호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에 관한 이벤트가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드버타이징 모드 관리부(210)는, 위의 무선 연동을 위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것에 대응하여, 디바이스(300)가 게이트웨이와 무선으로 연동(또는 연결)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드버타이징 모드 관리부(210)는, 디바이스(300)와 게이트웨이가 저전력 블루투스의 통신 방법이 구현되는 통신망(100)을 통해 서로 연동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는, 병원, 보건소 등의 의료 기관 내부에 구비되어, 해당 의료 기관에 방문한 피측정자(또는 환자)가 착용한 디바이스(300)와 해당 의료 기관 내부에 구비되는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이러한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은 디바이스(300)가 피측정자로부터 획득한 정보에 대한 원격 모니터링을 수행함으로써 피측정자의 건강 상태에 대한 이상 여부를 분석 또는 감지하는 시스템일 수 있음) 사이의 통신을 중계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드버타이징 모드 관리부(210)는, 위의 무선 연동을 위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것에 대응하여, 디바이스(300)(또는 디바이스(300)에 포함되는 저전력 블루투스 모듈(미도시됨))가 저전력 블루투스의 어드버타이징 모드에서 트리거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을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의 패킷은 어드버타이징 패킷(advertising packet) 또는 스캔 응답 패킷(scan response packet)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의 트리거 정보에는 무선 연동을 위한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을 나타내는 제1 정보 및 무선 연동을 위한 이벤트의 속성(예를 들어, 무선 연동을 위한 이벤트의 유형 등)에 관한 제2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의 트리거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은 디바이스(300)에서 게이트웨이로 전송될 수 있고, 해당 패킷을 수신한 게이트웨이는 해당 패킷에 포함되는 트리거 정보에 대한 검증(예를 들어, 제1 정보 및 제2 정보 각각의 유효성 또는 무결성에 대한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드버타이징 모드 관리부(210)는, 무선 연동을 위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것에 대응하여, 어드버타이징 패킷에 트리거 정보가 포함되도록 하고, 해당 어드버타이징 패킷이 디바이스(300)에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그 다음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는, 디바이스(300)에서 전송되는 어드버타이징 패킷을 수신하고, 해당 어드버타이징 패킷에 포함되는 트리거 정보에 대한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드버타이징 모드 관리부(210)는, 어드버타이징 패킷이 디바이스(300)에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그 다음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는, 디바이스(300)에서 전송되는 어드버타이징 패킷을 수신하고, 해당 어드버타이징 패킷에 대응하는 스캔 요청 패킷(scan request packet)을 디바이스(300)에 전송할 수 있다. 그 다음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드버타이징 모드 관리부(210)는, 무선 연동을 위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것에 대응하여, 스캔 요청 패킷에 대응하는 스캔 응답 패킷에 트리거 정보가 포함되도록 하고, 해당 스캔 응답 패킷이 디바이스(300)에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그 다음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는, 디바이스(300)에서 전송되는 스캔 응답 패킷을 수신하고, 해당 스캔 응답 패킷에 포함되는 트리거 정보에 대한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션 모드 관리부(220)는, 트리거 정보에 대한 검증 결과에 기초하여 커넥션 모드가 활성화되도록 하고, 커넥션 모드에서 무선 연동을 위한 이벤트와 연관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이 전송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션 모드 관리부(220)는, 트리거 정보에 대한 검증(여기서, 트리거 정보에 대한 검증은 전술한 바와 같이 게이트웨이에서 수행될 수 있다.)이 통과되는 것에 기초하여, 저전력 블루투스의 커넥션 모드가 활성화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션 모드 관리부(220)는, 위와 같이 활성화되는 커넥션 모드에서, 디바이스(300)(또는 디바이스(300)에 포함되는 저전력 블루투스 모듈)가 무선 연동을 위한 이벤트와 연관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을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의 무선 연동을 위한 이벤트와 연관되는 정보는, 전술한, 게이트웨이 또는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전송이 요구되는 소정의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300)(또는 디바이스(300)의 센싱 수단)가 피측정자로부터 비정상적인 파형의 심전도(예를 들면, 빈맥, 서맥 등)를 획득한 것을 무선 연동을 위한 이벤트로 상정하여 본다면, 해당 심전도를 기록한 정보가 무선 연동을 위한 이벤트와 연관되는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드버타이징 패킷 또는 스캔 응답 패킷에 포함된 트리거 정보가 검증을 통과한 경우를 상정하여 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는, 위의 트리거 정보에 대한 검증 결과에 기초하여, 디바이스(300)에게 연결 요청 패킷(connection request packet)을 전송할 수 있다. 그 다음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션 모드 관리부(220)는, 해당 연결 요청 패킷에 대응하는 연결 요청 확인(acknowledgment) 정보(또는 해당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가 디바이스(300)에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의 과정을 거쳐 디바이스(300)와 게이트웨이가 서로 연결이 완료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션 모드 관리부(220)는 커넥션 모드가 활성화되도록 할 수 있다. 그 다음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션 모드 관리부(220)는, 위와 같이 활성화되는 커넥션 모드에서, 디바이스(300)가 게이트웨이에게 무선 연동을 위한 이벤트와 연관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을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그 다음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션 모드 관리부(220)는, 위의 무선 연동을 위한 이벤트와 연관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의 전송이 완료되면, 디바이스(300)와 게이트웨이 사이의 연결이 중단(disconnection)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상에서 설명한 어드버타이징 모드 관리부(210)와 커넥션 모드 관리부(220)의 기능에 의해, 무선 연동을 위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에만, 디바이스(300)와 게이트웨이 사이에 간헐적으로 커넥션 모드가 유지(또는 연결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게이트웨이 한 개당 연결이 가능한 디바이스(300)의 수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되고, 나아가 의료 기관 내에서 게이트웨이의 설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300)에서 커넥션 모드가 간헐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디바이스(300)에서 커넥션 모드가 상시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300)에서 커넥션 모드가 상시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경우에, 피측정자의 건강 상태를 연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면서 응급 상황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300)에서 커넥션 모드가 간헐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기본값(default value)으로 설정하면서, 경우에 따라 디바이스(300)에서 커넥션 모드가 상시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위의 기본값이 변경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어떠한 디바이스(300)를 커넥션 모드가 상시적으로 유지되는 디바이스(300)로 결정할 것인지는, 해당 디바이스(300)를 착용한 피측정자에 의해 결정되거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션 모드가 상시적으로 유지되는 디바이스(300)는, 전술한 어드버타이징 모드 관리부(210)와 커넥션 모드 관리부(220)의 기능이 지원되는 것이 아닌, 일반적인 저전력 블루투스의 통신 방법(구체적으로, 일반적인 저전력 블루투스의 통신 방법은 전술한 트리거 정보가 어드버타이징 패킷 또는 스캔 응답 패킷에 포함되지 않음)에 기초하여 커넥션 모드가 활성화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션 모드 관리부(220)는, 커넥션 모드가 상시적으로 유지되는 디바이스(300) 및 커넥션 모드가 간헐적으로 유지되는 디바이스(300)를 참조하여, 운용의 대상이 되는 게이트웨이의 수(또는 필요한 게이트웨이의 수)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션 모드 관리부(220)는, 커넥션 모드가 상시적으로 유지되는 디바이스(300)의 수가 적어도 하나의 임계값을 초과하는 것에 대응하여 운용의 대상이 되는 게이트웨이의 수가 증가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임계값은 하나의 게이트웨이에 최대로 연결될 수 있는 디바이스(300)의 수의 배수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게이트웨이에 최대로 연결될 수 있는 디바이스(300)의 수가 10개인 것으로 상정하여 본다면, 위의 적어도 하나의 임계값은 10의 배수에 해당하는 10, 20, 30, 40 등에 해당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션 모드 관리부(220)는, 아래의 수학식 1에 따라 운용의 대상이 되는 게이트웨이의 수(NoG_ah1)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a는 커넥션 모드가 상시적으로 유지되는 디바이스(300)의 수, N은 하나의 게이트웨이에 최대로 연결될 수 있는 디바이스(300)의 수(N)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션 모드 관리부(220)는, 커넥션 모드가 상시적으로 유지되는 디바이스(300)의 수와 함께, 커넥션 모드가 간헐적으로 유지되는 디바이스(300)에 의한 트래픽에 기초하여 운용의 대상이 되는 게이트웨이의 수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션 모드 관리부(220)는, 커넥션 모드가 간헐적으로 유지되는 디바이스(300)의 절대적인 수와는 관계없이, 해당 디바이스(300)에 의한 트래픽(예를 들어, 커넥션 모드가 유지되는 빈도에 따라 발생하는 트래픽)에 기초하여서만, 해당 디바이스(300)에 따른 운용의 대상이 되는 게이트웨이의 수를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션 모드 관리부(220)는, 위의 수학식 1에 간헐적으로 유지되는 디바이스(300)에 의한 트래픽에 기초하여 요구되는 게이트웨이의 수를 합산하여, 운용의 대상이 되는 게이트웨이의 수를 결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션 모드 관리부(220)는, 아래의 수학식 2에 따라 운용의 대상이 되는 게이트웨이의 수(NoG_ah2)를 최종적으로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a는 커넥션 모드가 상시적으로 유지되는 디바이스(300)의 수, N은 하나의 게이트웨이에 최대로 연결될 수 있는 디바이스(300)의 수(N), b는 커넥션 모드가 간헐적으로 유지되는 디바이스(300)에 의한 트래픽에 기초하여 요구되는 게이트웨이의 수에 해당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230)는 어드버타이징 모드 관리부(210) 및 커넥션 모드 관리부(220)로부터의/로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40)는 어드버타이징 모드 관리부(210), 커넥션 모드 관리부(220) 및 통신부(230) 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40)는 지원 시스템(200)의 외부로부터의/로의 데이터 흐름 또는 지원 시스템(200)의 각 구성요소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어드버타이징 모드 관리부(210), 커넥션 모드 관리부(220) 및 통신부(230)에서 각각 고유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연동의 결과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All connected”에서, 모든 디바이스(300)가 커넥션 모드가 상시적으로 유지되는 디바이스(300)에 해당하고, 하나의 게이트웨이에 최대로 연결될 수 있는 디바이스(300)의 수가 10개이며, 커넥션 모드가 간헐적으로 유지되는 디바이스(300)에 의한 트래픽에 기초하여 요구되는 게이트웨이의 수가 0개인 경우의 운용의 대상이 되는 게이트웨이의 수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const. conn”에서, 커넥션 모드가 상시적으로 유지되는 디바이스(300)의 수가 각각 1개, 16개 및 21개이고, 하나의 게이트웨이에 최대로 연결될 수 있는 디바이스(300)의 수가 10개이며, 커넥션 모드가 간헐적으로 유지되는 디바이스(300)에 의한 트래픽에 기초하여 요구되는 게이트웨이의 수가 0개인 경우의 운용의 대상이 되는 게이트웨이의 수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const. conn”에서, 커넥션 모드가 간헐적으로 유지되는 디바이스(300)의 절대적인 수가 증가한다고 하더라도, 운용의 대상이 되는 게이트웨이의 수는 증가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통신망
200: 지원 시스템
210: 어드버타이징 모드 관리부
220: 커넥션 모드 관리부
230: 통신부
240: 제어부
300: 디바이스

Claims (11)

  1. 디바이스의 무선 연동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무선 연동을 위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것에 대응하여 어드버타이징 모드에서 트리거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이 전송되도록 하는 단계, 및
    (b) 상기 트리거 정보에 대한 검증 결과에 기초하여 커넥션 모드가 활성화되도록 하고, 상기 커넥션 모드에서 상기 이벤트와 연관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이 전송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은 어드버타이징 패킷 또는 스캔 응답 패킷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커넥션 모드가 상시적으로 유지되는 디바이스 및 상기 커넥션 모드가 간헐적으로 유지되는 디바이스를 참조하여 운용의 대상이 되는 게이트웨이의 수를 결정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커넥션 모드가 상시적으로 유지되는 디바이스의 수가 적어도 하나의 임계값을 초과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운용의 대상이 되는 게이트웨이의 수가 증가되도록 하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커넥션 모드가 간헐적으로 유지되는 디바이스에 의한 트래픽에 기초하여 상기 운용의 대상이 되는 게이트웨이의 수를 결정하는
    방법.
  6. 제1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7. 디바이스의 무선 연동을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무선 연동을 위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것에 대응하여 어드버타이징 모드에서 트리거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이 전송되도록 하는 어드버타이징 모드 관리부, 및
    상기 트리거 정보에 대한 검증 결과에 기초하여 커넥션 모드가 활성화되도록 하고, 상기 커넥션 모드에서 상기 이벤트와 연관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이 전송되도록 하는 커넥션 모드 관리부를 포함하는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은 어드버타이징 패킷 또는 스캔 응답 패킷인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션 모드 관리부는, 상기 커넥션 모드가 상시적으로 유지되는 디바이스 및 상기 커넥션 모드가 간헐적으로 유지되는 디바이스를 참조하여 운용의 대상이 되는 게이트웨이의 수를 결정하는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션 모드 관리부는, 상기 커넥션 모드가 상시적으로 유지되는 디바이스의 수가 적어도 하나의 임계값을 초과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운용의 대상이 되는 게이트웨이의 수가 증가되도록 하는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션 모드 관리부는, 상기 커넥션 모드가 간헐적으로 유지되는 디바이스에 의한 트래픽에 기초하여 상기 운용의 대상이 되는 게이트웨이의 수를 결정하는
    시스템.
KR1020220011371A 2022-01-26 2022-01-26 디바이스의 무선 연동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6105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1371A KR102610503B1 (ko) 2022-01-26 2022-01-26 디바이스의 무선 연동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CT/KR2023/001134 WO2023146270A1 (ko) 2022-01-26 2023-01-25 디바이스의 무선 연동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1371A KR102610503B1 (ko) 2022-01-26 2022-01-26 디바이스의 무선 연동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4976A true KR20230114976A (ko) 2023-08-02
KR102610503B1 KR102610503B1 (ko) 2023-12-06

Family

ID=87472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1371A KR102610503B1 (ko) 2022-01-26 2022-01-26 디바이스의 무선 연동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10503B1 (ko)
WO (1) WO2023146270A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43622A (ko) * 2010-11-30 2013-12-31 오렌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장비와 데이터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위한 기술
KR20140037521A (ko) * 2012-09-19 2014-03-27 주식회사 케이티 게이트웨이 및 이의 자원 할당 방법
KR20150112361A (ko) * 2014-03-27 2015-10-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센서 네트워크에서 센서 노드 설정 방법, 보안 설정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
JP2017017497A (ja) * 2015-06-30 2017-01-19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最適化方法及びネットワーク最適化装置
KR20170055503A (ko) * 2014-10-07 2017-05-19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통신 집약 시스템, 제어 장치, 처리 부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70063202A (ko) * 2015-11-30 2017-06-08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사물 인터넷 기반의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20180065379A (ko) * 2016-12-07 2018-06-18 주식회사 케이티 시간대별 데이터 집중도 기반의 게이트웨이 재할당 방법 및 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20622A1 (en) * 2009-02-27 2010-09-02 Yottaa Inc Adaptive network with automatic scaling
KR101854191B1 (ko) * 2011-12-16 2018-05-04 주식회사 케이티 와이 파이(wifi)시스템의 공유기 오프로딩 활성화 장치 및 방법
KR102022666B1 (ko) * 2013-05-16 2019-09-18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방법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KR102366778B1 (ko) * 2015-10-07 2022-02-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가상화 서버 클러스터의 부하 분배 및 전력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210050390A (ko) * 2019-10-28 2021-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전자 장치와 주변 장치를 공유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43622A (ko) * 2010-11-30 2013-12-31 오렌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장비와 데이터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위한 기술
KR20140037521A (ko) * 2012-09-19 2014-03-27 주식회사 케이티 게이트웨이 및 이의 자원 할당 방법
KR20150112361A (ko) * 2014-03-27 2015-10-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센서 네트워크에서 센서 노드 설정 방법, 보안 설정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
KR20170055503A (ko) * 2014-10-07 2017-05-19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통신 집약 시스템, 제어 장치, 처리 부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2017017497A (ja) * 2015-06-30 2017-01-19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最適化方法及びネットワーク最適化装置
KR20170063202A (ko) * 2015-11-30 2017-06-08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사물 인터넷 기반의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20180065379A (ko) * 2016-12-07 2018-06-18 주식회사 케이티 시간대별 데이터 집중도 기반의 게이트웨이 재할당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0503B1 (ko) 2023-12-06
WO2023146270A1 (ko) 2023-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osta et al. Integration of wearable solutions in aal environments with mobility support
US9792801B2 (en) Enhancing vehicle system control
US10332379B2 (en) Remote health monitoring system
US9375143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US20160262636A1 (en) Health-abnormal condition alarm system using multi bio-signal
US20140340219A1 (en) Physiological monitoring and alerting
CN105380597A (zh) 用于测量生命信号的电子设备和方法
JP2015084797A (ja) 電子機器及び通信制御方法
CN103714249A (zh) 一种用户行为安全的监测方法及设备
CN104243519A (zh) 基于无线体域网的人体生理特征监测方法和系统
US9319129B2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8461980B2 (en) Wellbeing transponder system
KR20210073319A (ko) 응급 상황 관리를 위한 웨어러블 장치와 이를 이용한 응급 상황 관리 방법 및 시스템
Tomtsis et al. Proposed cloud infrastructure of wearable and ubiquitous medical services
KR102114638B1 (ko) 수면 중 뇌졸중 모니터링 시스템
KR101897419B1 (ko) 심전도 기반의 뇌졸중 발병 예측 시스템
CN109074855B (zh) 终端装置、信息处理系统
KR20230114976A (ko) 디바이스의 무선 연동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WO2018096634A1 (ja) データ処理装置、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媒体、データ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8096631A1 (ja) データ処理装置、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媒体、データ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20313137A1 (en) A portable ecg device and an ecg system comprising the portable ecg device
KR102576828B1 (ko) 연속적인 모니터링을 위해 생체 신호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디바이스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WO2018096632A1 (ja) データ処理装置、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媒体、データ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70022579A (ko) 저전력 기반의 바이오 데이터 수집 및 관리 시스템
WO2018096630A1 (ja) データ処理装置、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媒体、データ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