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3202A - 사물 인터넷 기반의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사물 인터넷 기반의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3202A
KR20170063202A KR1020150169301A KR20150169301A KR20170063202A KR 20170063202 A KR20170063202 A KR 20170063202A KR 1020150169301 A KR1020150169301 A KR 1020150169301A KR 20150169301 A KR20150169301 A KR 20150169301A KR 20170063202 A KR20170063202 A KR 201700632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gateway
data
sensing
sensing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9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2225B1 (ko
Inventor
이송범
송호섭
장봉규
김광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Priority to KR1020150169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2225B1/ko
Publication of KR20170063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32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2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2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2Standardisation; Integ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2Capturing of monitoring data
    • H04L43/028Capturing of monitoring data by filt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Abstract

센서의 증가에 따른 데이터 처리 서버의 부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사물 인터넷 제어 시스템은, 센서에 의해 생성된 센싱 데이터 및 센서 상태정보가 통합된 센싱 로우(Raw) 데이터를 상기 센서로부터 수신하는 복수개의 디바이스; 상기 복수개의 다바이스들 중 관리 대상이 되는 하나 이상의 타겟 디바이스들과 무선링크를 형성하여 상기 타겟 디바이스들부터 상기 센싱 로우 데이터를 수신하고, 미리 정해진 파싱 룰(Parsing Rule)을 상기 센싱 로우 데이터에 적용하여 상기 센싱 로우 데이터로부터 상기 센싱 데이터 및 상기 센서 상태정보를 분리하며, 상기 타겟 디바이스들로부터 획득되는 상기 센싱 데이터들을 하나의 패킷으로 통합하는 복수개의 게이트웨이; 및 상기 게이트웨이 별로 할당되어 있는 타겟 디바이스 리스트가 포함된 게이트웨이 프로파일 및 상기 파싱룰을 상기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물 인터넷 기반의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ternet of Things}
본 발명은 사물 인터넷 기반의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스마트센서, 스마트TV, 또는 스마트 자동차와 같은 다양한 스마트 장치들을 통해 인터넷 연결이 가능해 지면서 스마트 장치들이 실생활과 더욱 밀접해 지고 있다. 이로 인해, 1인당 스마트 장치 소유 개수는 지금보다 더욱 증가하여 2015년에는 최소 7개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약 250억 개의 장치들이 무선 인터넷을 기반으로 연결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 장치들의 발달에 힘입어 최근에는 M2M(Machine to Machine), IoT(Internet of Things), I2oT(Intuitive Internet of Things), 및 WoT(Web of Things) 등과 같은 사물 인터넷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사물 인터넷은 각 센서들을 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해 외부의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센서에 의해 센싱된 센싱결과를 실시간으로 처리하고 관리한다. 이러한 사물 인터넷의 궁극적인 목적은 모든 사물에 컴퓨팅 및 통신 기능을 부여하여 언제 어디서나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서비스에 관계없이 통신이 가능한 환경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사물 인터넷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의 구성이 도 1에 도시되어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사물 인터넷 기반의 제어 시스템은, 복수개의 센서(110), 게이트웨이(120), 및 데이터 처리 서버(130)를 포함한다.
복수개의 센서(110)는 사물에 대한 인식 정보 또는 주변의 환경 정보를 실시간으로 센싱하고, 센싱 데이터를 내부에 구비된 통신모듈을 통해 유선으로 게이트웨이(120)로 전달한다. 게이트웨이(120)는 복수개의 센서(110)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센싱 데이터를 라우팅(Routing)하여 광대역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 처리 서버(130)로 전송한다. 데이터 처리 서버(130)는 게이트웨이(120)로부터 전송되는 센싱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처리한다. 도 1에서, 복수개의 센서(110)는 게이트웨이(120)를 통하여 위성통신, 무선랜, 블루투스, 및 유선 인터넷과 같은 기존의 인프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게이트웨이(120)는 이기종 네트워크를 연결하여 주는 것으로서, 라우팅(Routing) 및 리피터(Repeater) 기능을 사용하여 하위의 데이터를 단지 프로토콜 변환하여 상위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하므로, 센서(110)의 상태 모니터링 및 서로 다른 포맷을 갖는 센싱 데이터의 포맷 변환 및 처리는 모두 데이터 처리 서버(130)에서 수행되기 때문에, 센서(110)의 증가시 데이터 처리 서버(130)의 부하가 증가하게 되고, 통신망의 부하로 인하여 실시간으로 발생되는 데이터의 수신시 지연이 발생되고, 실시간으로 발생되는 데이터의 수신시간이 불규칙적으로 변동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95751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센서의 증가에 따른 데이터 처리 서버의 부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는 사물 인터넷 기반의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게이트웨이가 복수개의 센서들로부터 수신되는 센싱 데이터들을 직접 처리할 수 있는 사물 인터넷 기반의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개의 센서들이 게이트웨이에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는 사물 인터넷 기반의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미리 정해진 단위 섹터 별로 게이트웨이가 각각 할당되는 분산 구조의 사물 인터넷 기반의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반의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은, 센서에 의해 생성된 센싱 데이터 및 센서 상태정보가 통합된 센싱 로우(Raw) 데이터를 상기 센서로부터 수신하는 복수개의 디바이스; 상기 복수개의 다바이스들 중 관리 대상이 되는 하나 이상의 타겟 디바이스들과 무선링크를 형성하여 상기 타겟 디바이스들부터 상기 센싱 로우 데이터를 수신하고, 미리 정해진 파싱 룰(Parsing Rule)을 상기 센싱 로우 데이터에 적용하여 상기 센싱 로우 데이터로부터 상기 센싱 데이터 및 상기 센서 상태정보를 분리하며, 상기 타겟 디바이스들로부터 획득되는 상기 센싱 데이터들을 하나의 패킷으로 통합하는 복수개의 게이트웨이; 및 상기 게이트웨이 별로 할당되어 있는 타겟 디바이스 리스트가 포함된 게이트웨이 프로파일 및 상기 파싱룰을 상기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반의 디바이스 제어 방법은, 복수개의 게이트웨이가 관리서버 및 데이터 처리 서버에 연결되어 있는 사물 인터넷의 제어 방법으로서, 센서들과 연결된 복수개의 디바이스들 중 관리 대상이 되는 타겟 디바이스 리스트가 포함된 게이트웨이 프로파일을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타겟 디바이스들과 무선링크를 형성하여 상기 타겟 디바이스들로부터 센싱 데이터 및 센서 상태정보가 통합된 센싱 로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미리 정해진 파싱 룰에 따라 상기 센싱 로우 데이터를 상기 센싱 데이터 및 상기 센서 상태정보로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각 타겟 디바이스 별로 획득되는 센싱 데이터를 하나의 패킷으로 통합하여 데이터 처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게이트웨이가 복수개의 센서들로부터 수신되는 센싱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직접 처리하여 데이터 처리 서버로 제공하기 때문에, 센서의 개수가 증가하더라도 데이터 처리 서버가 처리해야 하는 데이터는 증가하지 않아 데이터 처리 서버의 부하가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개의 센서들이 게이트웨이에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어 센서의 설치 위치에 대한 제약을 완화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미리 정해진 단위 섹터 별로 게이트웨이가 각각 할당되는 분산 구조로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기 때문에, 센서가 증가하는 경우 기존 게이트웨이에 센서를 추가하거나 새로운 게이트웨이를 추가함으로써 센서 증가에 따라 시스템을 재구성할 필요가 없어 시스템 관리의 효율성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시스템 유지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반의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반의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반의 디바이스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차트이다.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항목, 제2 항목 및 제 3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 항목, 제2 항목 또는 제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1 항목, 제2 항목 및 제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반의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반의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200)은 복수개의 센서(210), 복수개의 디바이스(220), 복수개의 게이트웨이(230), 관리서버(240), 및 데이터 처리 서버(250)를 포함한다.
먼저, 센서(210)는 사물에 대한 인식 정보 또는 주변의 환경 정보를 실시간으로 센싱하여 센싱 데이터를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센서(210)는 각 설비 별로 부착되어 각 설비의 특성을 센싱할 수 있다. 예컨대, 센서(210)는 공장에 설치된 다양한 종류의 설비에 부착되어 각 설비의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센서이거나, 압력을 센싱하는 압력센서이거나, 설비의 진동을 센싱하는 진동센서 일 수 있다.
센서(210)는 센싱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센싱 데이터를 센서(210)의 상태정보와 통합하여 아날로그 형태의 센싱 로우(Raw)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아날로그 형태의 센싱 로우 데이터를 센서(210)와 매칭되어 있는 디바이스(220)로 전달한다. 이때, 센서(210)와 디바이스(220)는 유선으로 연결되고, 센서(210)는 유선을 통해 아날로그 형태의 센싱 로우 데이터를 디바이스(220)로 전달한다.
디바이스(220)는 각 센서(210)로부터 아날로그 형태의 센싱 로우 데이터를 유선으로 수신한다. 이때, 디바이스(2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센서(210)와 매칭되어 복수개의 센서(210)로부터 아날로그 형태의 센싱 로우 데이터를 수신한다.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 디바이스(220)는 하나의 센서(210)와 매칭되어 하나의 센서(210)로부터 아날로그 형태의 센싱 로우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디바이스(220)는 센서(210)로부터 수신한 아날로그 형태의 센싱 로우 데이터를 디지털 형태로 변환한 후, 디지털 형태의 센싱 로우 데이터를 게이트웨이(230)로 전달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디바이스(220)와 게이트웨이(230)는 무선 링크를 통해 연결되고, 디바이스(220)는 디지털 형태의 센싱 로우 데이터를 무선 링크를 통해 게이트웨이(230)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디바이스(220)는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eebee), 와이파이(Wifi) 등과 같은 무선 링크를 통해 디지털 형태의 센싱 로우 데이터를 게이트웨이(2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게이트웨이(230)와 무선으로 연결 가능한 디바이스(220)가 센서(210)에 연결되기 때문에, 디바이스(220)와 게이트웨이(230) 간의 무선 통신이 가능한 범위 내이기만 하면 센서(210)가 설치되는 위치에 제약이 없게 된다.
디바이스(220)는 복수개의 게이트웨이(230)들 중 어느 하나와 무선링크로 연결되고, 무선링크로 연결되어 있는 게이트웨이(230)로만 디지털 형태의 센싱 로우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디바이스(220)는 복수개의 게이트웨이(230)들 중 자신을 관리하는 것으로 결정된 게이트웨이(230)와의 연결(Connection)을 통해 무선링크를 형성한 후, 자신과 연결된 게이트웨이(230)로 무선링크를 통해 디지털 형태의 센싱 로우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디바이스(220)는 게이트웨이(230)로부터 센서(210)의 설정을 위한 센서 프로파일(Profile)을 수신하고, 수신된 센서 프로파일에 따라 자신과 연결된 센서(210)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 디바이스(220)를 설정하거나 자신과 연결된 센서(210)를 설정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센서 프로파일에는 센싱 데이터의 획득 주기가 포함될 수 있고, 디바이스(220)는 센서 프로파일에 포함된 센싱 데이터의 획득 주기 마다 센서(210)의 센싱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디바이스(220)를 설정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센서 상태정보가 센서(210)에 의해 생성되어 센싱 로우 데이터에 포함되어 디바이스(220)로 전송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 센서 상태정보는 디바이스(220)에 의해 생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 디바이스(220)는 센서(210)로부터 센싱 데이터만이 포함된 센싱 로우 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게 되고, 이를 다시 자신이 생성한 센서 상태정보와 통합함으로써 게이트웨이(230)로 전송할 디지털 형태의 센싱 로우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
또한, 도 2에서는 디바이스(220)와 센서(210)가 별개의 구성인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 디바이스(220)는 센서(21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게이트웨이(230)는 복수개의 디바이스들(220) 중 관리 대상이 되는 타겟 디바이스(220)들로부터 디지털 형태의 센싱 로우 데이터를 무선으로 수신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게이트웨이(230)는 미리 정해진 단위 섹터 별로 할당되어 있고, 타겟 디바이스는 자신에게 할당된 단위 섹터에 포함되어 있는 센서(210)들에 연결된 디바이스(220)들로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각 단위 섹터 별로 게이트웨이(230)를 할당하여, 각 게이트웨이(230)가 해당 섹터의 센서(210)들에 연결된 디바이스들(220)을 관리할 수 있는 분산 구조로 네트워크를 구성함으로써, 센서(210)의 개수가 증가하더라도 각 게이트웨이(230)에 새롭게 추가된 센서(210)에 연결된 디바이스(220)를 추가하거나, 센서(210)가 새로운 섹터에 배치된 경우 새로운 섹터에 새로운 게이트웨이(230)만을 배치하면 되므로 시스템을 재구성할 필요가 없어 시스템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게이트웨이(230)는 각 타겟 디바이스(220)들로부터 수신한 센싱 로우 데이터로부터 센싱 데이터 및 센서 상태정보를 분리하고, 센싱 데이터는 데이터 처리 서버(250)로 전송하고, 센서 상태정보는 관리서버(240)로 전송한다.
또한, 게이트웨이(230)는 관리서버(240)로부터 각 게이트웨이(230) 별로 할당된 타겟 디바이스 리스트를 포함하는 게이트웨이 프로파일(Profile) 및 센서(210)또는 디바이스(220)들의 설정을 위한 센서 프로파일을 수신하고, 타겟 디아비스 리스트에 따라 해당 게이트웨이(230)가 관리해야 할 타겟 디바이스(220)들을 정의하며 정의된 타겟 디바이스(220)들에 연결된 센서(210)에 센서 프로파일 적용함으로써, 센서 프로파일에 따라 센싱 데이터를 추출하거나 센서(210)및 디바이스(220)를 제어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웨이(230)의 구성을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230)는 게이트웨이 매니저(310), 센서 매니저(320), 어플리케이션 매니저(330), 제1 연결모듈(340), 제2 연결모듈(350), 제3 연결모듈(360), 및 제4 연결모듈(370)을 포함한다.
먼저, 게이트웨이 매니저(310)는 제1 연결모듈(340)을 통해 관리서버(240)로부터 게이트웨이 프로파일 및 제어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게이트웨이 프로파일에 따라 게이트웨이(230)를 설정하거나 제어정보에 따라 게이트웨이(230)를 제어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정보란 게이트웨이(230)의 부팅이나 재부팅 등의 명령을 포함한다.
한편, 게이트웨이 매니저(310)는 게이트웨이(230)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게이트웨이(230)에 장애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감시하고, 게이트웨이 상태의 모니터링 결과를 기초로 게이트웨이(230)의 상태정보를 생성하여 제1 연결모듈(340)을 통해 관리서버(240)로 전달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웨이 매니저(310)는 게이트웨이 프로파일에 포함된 타겟 디바이스 리스트에 따라 해당 게이트웨이에게 할당된 타겟 디바이스(220)들과 게이트웨이(230)를 연결시켜 타겟 디바이스(220)와 게이트웨이(230)간에 무선링크를 형성할 수 있도록 설정 정보를 관리한다.
센서 매니저(320)는 제1 연결모듈(340)을 통해 관리서버(240)로부터 센서 프로파일을 수신하고, 수신된 센서 프로파일에 따라 특정 센서에 연결된 디바이스(220)를 설정한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센서 매니저(320)가 디바이스(220)를 설정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지만, 센서 매니저(320)가 센서 프로파일에 따라 디바이스(220)를 통해 센서(220)를 직접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센서 매니저(320)는 제1 연결모듈(340)을 통해 관리서버(240)로부터 파싱 룰(Parsing Rule)을 수신하고, 제2 연결모듈(350)을 통해 타겟 디바이스(220)로부터 센싱 로우데이터를 수신하며, 수신된 센싱 로우 데이터에 파싱 룰을 적용함으로써 센싱 로우 데이터를 센싱 데이터 및 센서 상태정보로 분리한다.
센서 매니저(320)는 센서(210)의 상태정보를 미리 저장된 기준값과 비교함으로써 센서(210)의 상태에 대한 이벤트 정보를 생성한다. 예컨대, 센서(210)의 상태정보가 기준값과 대비하여 오차범위를 벗어난는 경우 센서(210)에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센서 매니저(320)는 해당 센서(210)의 오류발생을 나타내는 이벤트 정보를 생성한다. 센서 매니저(320)는 생성된 이벤트 정보를 센서 상태정보와 함께 제1 연결모듈(340)을 통해 관리서버(240)로 전달한다.
한편, 센서 매니저(320)는 센싱 로우 데이터로부터 획득된 센싱 데이터를 어플리케이션 매니저(330)로 제공한다.
다음으로, 어플리케이션 매니저(330)는 제1 연결모듈(340)을 통해 관리서버(240)로부터 어플리케이션 패치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어플리케이션 패치정보에 따라 게이트웨이(23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펌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업데이터를 수행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매니저(330)는 관리서버(240)로부터 수신된 각종 데이터 및 타겟 디바이스(220)로부터 수신된 각종 데이터의 포맷 변환을 수행하고, 타겟 디바이스(220)로부터 수신된 센싱 로우 데이터에 포함된 센싱 데이터를 필터링하여 유효한 센싱 데이터를 획득한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 매니저(3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포맷 변환부(332), 리포팅부(334), 필터링부(336), 및 암호화부(338)를 포함한다.
먼저, 데이터 포맷 변환부(332)는 제1 연결모듈(340)을 통해 관리서버(240)로부터 수신되는 게이트웨이 프로파일, 센서 프로파일, 파싱 룰, 어플리케이션 패치정보, 및 제어 명령의 데이터 포맷을 게이트웨이(230)가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한다.
데이터 포맷 변환부(332)는 데이터 포맷이 변환된 게이트웨이 프로파일 및 제어 명령을 게이트웨이 매니저(310)로 전달하고, 데이터 포맷이 변환된 센서 프로파일 및 파싱 룰을 센서 매니저(320)로 전달하며, 데이터 포맷이 변환된 어플리케이션 패치정보를 어플리케이션 매니저(330)에 포함된 프로세서(미도시)로 전달한다.
또한, 데이터 포맷 변환부(332)는 제1 연결모듈(350)을 통해 타겟 디바이스(220)로부터 수신된 센싱 로우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을 게이트웨이(230)가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고, 데이터 포맷이 변환된 센싱 로우 데이터를 센서 매니저(320)로 전달한다.
또한, 데이터 포맷 변환부(332)는 센싱 로우 데이터로부터 분리된 센싱 데이터를 데이터 처리 서버(250)가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여 제3 연결모듈(360)을 통해 데이터 처리 서버(250)로 전달한다.
또한, 데이터 포맷 변환부(332)는 게이트웨이의 상태정보, 센서 상태정보, 및 센서 상태정보에 따라 생성된 이벤트 정보를 관리서버(240)가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여 제1 연결모듈(340)을 통해 관리서버(240)로 전송한다.
또한, 데이터 포맷 변환부(332)는 센서 프로파일의 데이터 포맷을 타겟 디바이스(220)가 처리할 수 있는 형태의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여 제2 연결모듈(350)을 통해 타겟 디바이스(220)로 전달한다.
한편, 데이터 포맷 변환부(332)는 타 게이트웨이(230)와 센싱 로우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해 타겟 디바이스(220)로부터 수신된 센싱 로우 데이터를 제4 연결모듈(350)을 통해 타 게이트웨이(230)로 전달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데이터 포맷 변환부(332)를 통해 각 게이트웨이(230)들이 센싱 로우 데이터들을 서로 공유할 수 있어 특정 게이트웨이(230)에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오류가 발생된 게이트웨이(230)에서 처리되어야 하는 센싱 데이터를 해당 게이트웨이(230)와 센싱 로우 데이터를 공유하는 타 게이트웨이(230)가 대신하여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리포팅부(334)는 게이트웨이(230)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으로 인해 발생되는 다양한 이벤트 정보들을 로깅(Logging)하고, 게이트웨이 매니저(310)에 의해 생성된 게이트웨이의 상태정보, 센서 매니저(320)에 의해 생성된 센서 상태정보 및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 포맷 변환부(332)로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리포팅부(334)는 필터링부(336)에 의해 각 타겟 디바이스(220) 별로 생성된 유효한 센싱 데이터를 하나의 패킷으로 통합하고, 하나의 패킷으로 통합된 유효한 센싱 데이터를 데이터 포맷 변환부(332) 및 제3 연결모듈(360)을 통해 데이터 처리 서버(250)로 전달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리포팅부(334)가 복수개의 타겟 디바이스(220)에서 생성된 센싱 데이터를 하나로 통합하여 데이터 처리 서버(250)로 전송함으로써 게이트웨이(230)와 데이터 처리 서버(250)간의 데이터 송수신 횟수를 감소시킴으로써 과도한 데이터 송수신으로 인한 시스템 자원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필터링부(336)는 센서 매니저(320)에 의해 분리된 각 타겟 디바이스(220) 별 센싱 데이터에 미리 정해진 필터링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센싱 데이터들의 유효성을 검증함으로써 각 타겟 디바이스(220) 별로 유효한 센싱 데이터를 획득한다. 일 예로, 필터링부(336)는 각 타겟 디바이스(220) 별 센싱 데이터 중 미리 정해진 상한값 및 하한값을 제외함으로써 유효한 센싱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필터링부(336)는 각 타겟 디바이브(220) 별로 획득된 유효한 센싱 데이터들을 리포팅부(334)로 전달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필터링부(336)가 복수개의 타겟 디바이스(220)들로부터 수신되는 센싱 데이터를 직접 처리하여 유효한 센싱 데이터를 선별하고, 선별된 유요한 센싱 데이터를 데이터 처리 서버(250)로 제공하기 때문에, 센서(210)의 개수가 증가하더라도 데이터 처리 서버(250)가 처리해야 하는 데이터는 증가하지 않아 데이터 처리 서버(250)의 부하가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암호화부(338)는 게이트웨이(230)에서 외부장치로 송신되는 각종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암호화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암호화하고, 외부장치로부터 게이트웨이(230)로 수신되는 데이터가 암호화되어 있는 경우 미리 정해진 복호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복호화한다.
예컨대, 암호화부(338)는 관리서버(240)로부터 수신되는 게이트웨이 프로파일, 센서 프로파일, 파싱 룰, 어플리케이션 패치정보, 및 제어 명령이 암호화되어 있는 경우 미리 정해진 복호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관리서버(240)로부터 수신되는 게이트웨이 프로파일, 센서 프로파일, 파싱 룰, 어플리케이션 패치정보, 및 제어 명령을 복호화한 후 이를 데이터 포맷 변환부(332)로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암호화부(338)는 리포팅부(334)에 의해 하나의 패킷으로 통합된 유효한 센싱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암호화 알고리즘으로 암호화한 후 제3 연결모듈(360)을 통해 데이터 처리 서버(25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암호화부(338)가 필수적인 구성인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암호화부(338)는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생략 가능할 것이다.
제1 연결모듈(340)은 게이트웨이(230)를 관리서버(240)와 연결시키는 것으로서, 관리서버(240)로부터 게이트웨이 프로파일, 센서 프로파일, 파싱 룰, 어플리케이션 패치정보, 및 제어 명령 등을 수신하고, 관리서버(240)로 게이트웨이의 상태정보, 센서 상태정보, 및 이벤트 정보 등을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연결모듈(340)은 유선망을 통해 게이트웨이(230)를 관리 서버(240)에 연결시킬 수 있다.
제2 연결모듈(350)은 게이트웨이(230)를 복수개의 타겟 디바이스(220)와 연결시킨다. 이때, 제2 연결모듈(350)은 무선링크를 통해 복수개의 타겟 디바이스(220)와 연결된다. 제2 연결모듈(350)은 무선링크를 통해 타겟 디바이스(220)로부터 센싱 로우 데이터를 수신하고, 센서 설정 정보를 타겟 디바이스(220)로 전송한다.
제3 연결모듈(360)은 게이트웨이(230)를 데이터 처리 서버(250)와 연결시켜 하나의 패킷으로 통합된 유효한 센싱 데이터를 데이터 처리 서버(250)로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3 연결모듈(360)은 유선망을 통해 게이트웨이(230)를 데이터 처리 서버(250)에 연결시킬 수 있다.
제4 연결모듈(370)은 게이트웨이(230)를 타 게이트웨이(230)와 연결시킴으로써 게이트웨이(230)간에 센싱 로우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4 연결모듈(370)은 TCP/UDP를 통해 타 게이트웨이(230)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웨이(230)는 시간 동기화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시간 동기화부(미도시)는 관리서버(240), 데이터 처리 서버(250), 및 타겟 디바이스(220)들과의 시간을 동기화시킨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관리서버(240)는 각 게이트웨이(230)별로 게이트웨이 프로파일을 생성하여 각 게이트웨이(230)로 전달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각 게이트웨이(230)로 전송될 게이트웨이 프로파일에는 각 게이트웨이(230)가 관리해야 하는 타겟 디바이스 리스트가 포함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타겟 디바이스 리스트는 타겟 디바이스의 맥 주소(MAC Address), 타겟 디바이스의 일련번호(Serial Number), 또는 각 타겟 다바이스의 UUID(Unique User Identifier)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관리서버(240)는 각 게이트웨이(230) 별로 관리 대상이 되는 타겟 디바이스들을 할당할 때 모든 게이트웨이(230)들이 동일한 부하를 갖도록 각 게이트웨이(230)에 동일한 개수의 타겟 디바이스들(220)가 할당되게 타겟 디바이스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240)는 각 게이트웨이(230)로부터 전송되는 게이트웨이 상태정보, 센서 상태정보, 및 이벤트 정보를 기초로 각 게이트웨이(230) 및 센서(210)들의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이하, 본 발명에 다른 관리서버(240)의 구성을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관리서버(240)는 UI 생성부(410), 프로파일 생성부(420), 패치 관리부(430), 상태 관리부(440), 데이터 처리부(450), 이벤트 알림부(460), 제5 연결모듈(470), 및 제6 연결모듈(480)을 포함한다.
UI 생성부(410)는, 사용자가 데이터베이스(490)에 저장된 정보를 열람/삭제/편집/추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UI(User Interface)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센서(210), 타겟 디바이스(220), 게이트웨이(230), 및 관리서버(240)의 제어나 설정을 위한 정보를 UI를 통해 수신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UI 생성부(410)는 Web을 기반으로 UI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프로파일 생성부(420)는 UI생성부(410)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기초로 각 센서(210)에 적용될 센서 프로파일 및 각 게이트웨이(230)에 적용될 게이트웨이 프로파일을 생성한다.
프로파일 생성부(420)는 생성된 센서 프로파일 및 게이트웨이 프로파일을 데이터베이스(490)에 저장한다.
또한, 프로파일 생성부(420)는 UI 생성부(410)로부터의 전송 명령 또는 게이트웨이(230)로부터 프로파일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해당 게이트웨이(230)에 매칭되어 있는 게이트웨이 프로파일 및 센서 프로파일을 데이터베이스(490)에서 서치하여 해당 게이트웨이(230)로 전달한다.
또한, 프로파일 생성부(420)는 UI 생성부(410)로부터 프로파일 수정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해당 게이트웨이(230)에 매칭되어 있는 게이트웨이 프로파일 및 센서 프로파일을 데이터베이스(490)에서 서치하여 프로파일의 수정을 위해 서치된 게이트웨이 프로파일 및 센서 프로파일을 데이터 처리부(450)로 전달한다.
패치 관리부(430)는 게이트웨이(230)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의 패치가 요구되는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패치를 위한 패치 파일(Patch File)을 데이터베이스(490)에서 서치하여 패치 파일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패치정보를 해당 게이트웨이(230)로 전송한다.
상태 관리부(440)는 게이트웨이 상태정보, 센서 상태정보, 및 이벤트 정보를 게이트웨이(230)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게이트웨이 상태정보, 센서 상태정보, 및 이벤트 정보를 그 내용에 따라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490)에 저장한다.
데이터 처리부(450)는 관리서버(240)에 의해 송수신되는 모든 데이터들을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490)에 저장하고, 프로파일의 수정이 요구되는 경우 프로파일 생성부(420)로부터 전달되는 게이트웨이 프로파일 및 센서 프로파일을 수정하고, 수정된 게이트웨이 프로파일 및 센서 프로파일을 데이터베이스(490)에 저장한다.
이벤트 알림부(460)는 게이트웨이의 상태정보, 센서 상태정보, 및 이벤트 정보를 게이트웨이(230)로부터 게이트웨이나 센서에 에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UI를 통해 에러 발생을 사용자에게 알린다.
제5 연결모듈(470)은 관리서버(240)를 게이트웨이(230)와 연결시키는 것으로서, 게이트웨이(230)로 게이트웨이 프로파일, 센서 프로파일, 파싱 룰, 어플리케이션 패치정보, 및 제어 명령 등을 전송하고, 게이트웨이(230)로부터 게이트웨이 상태정보, 센서 상태정보, 및 이벤트 정보 등을 수신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5 연결모듈(470)은 유선망을 통해 관리서버(240)를 게이트웨이(230)에 연결시킬 수 있다.
제6 연결모듈(480)은 관리서버(240)를 데이터 처리 서버(250)와 연결시키는 것으로서, 데이터 처리 서버(250)로 게이트웨이 상태정보, 센서 상태정보, 및 이벤트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하거나 데이터 처리 서버(250)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6 연결모듈(480)은 유선망을 통해 관리서버(240)를 데이터 처리 서버(250)에 연결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관리서버(240)는 시간 동기화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시간 동기화부는 게이트웨이(230) 및 데이터 처리 서버(250)들과의 시간을 동기화시킨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데이터 처리 서버(250)는 게이트웨이(230)로부터 하나의 패킷 형태로 전송되는 유효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센싱 데이터를 빅 데이터 분석을 위해 미리 정해진 처리 기법에 따라 실시간으로 처리한다.
도 2에서는 데이터 처리 서버(250)가 게이트웨이(230)로부터 하나의 패킷 형태로 전송되는 유효한 센싱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처리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 처리 서버(250)는 게이트웨이(230)를 다른 외부 네트워크로 연동시키는 미들웨어(Middleware)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반의 디바이스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반의 디바이스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5에 도시된 사물 인터넷 기반의 디바이스 제어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물 인터넷 기반의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먼저, 사물 인터넷 기반의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에 포함된 관리 서버가 각 게이트웨이가 관리해야 하는 타겟 디바이스 리스트가 포함된 게이트웨이 프로파일, 타겟 디바이스에 연결된 센서의 설정을 위한 센서 프로파일, 및 파싱 룰을 생성한다(S500). 일 실시예에 있어서, 관리서버는 미리 정해진 단위 섹터 별로 게이트웨이를 할당하고, 각 단위 섹터 내에 배치되어 있는 센서들에 연결된 디바이스들을 해당 섹터에 할당된 게이트웨이의 타겟 디바이스들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관리 서버는 게이트웨이 프로파일, 센서 프로파일, 및 파싱 룰을 게이트웨이로 전달한다(S510)
이후, 게이트웨이는 게이트웨이 프로파일에 포함된 타겟 디바이스 리스트에 해당하는 타겟 디바이스들과 무선 링크를 형성한다(S520).
이후, 게이트웨이는 무선 링크를 통해 센서 프로파일을 타겟 디바이스로 전달하여 타겟 디바이스가 센서 프로파일에 따라 센서 및 타겟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도록 한다(S530).
이후, 타겟 디바이스는 센서로부터 센싱 데이터 및 센서 상태정보가 통합된 아날로그 형태의 센싱 로우 데이터를 수신하고(S540), 수신된 아날로그 형태의 센싱 로우 데이터를 디지털 형태로 변환한다(S550).
이후, 타겟 디바이스는 디지털 형태의 센싱 로우 데이터를 게이트웨이로 전송하고(S555), 게이트웨이는 수신된 센싱 로우 데이터에 파싱 룰을 적용하여 센싱 로우 데이터로부터 센싱 데이터 및 센서 상태정보를 분리한다(S560).
이후, 게이트웨이는 센싱 데이터에 미리 정해진 필터링 알고리즘을 적용함으로써 센싱 데이터로부터 유효한 센싱 데이터를 획득하고(S570), 각 타겟 디바이스 별로 획득된 유효한 센싱 데이터를 하나의 패킷으로 통합하고(S580), 하나의 패킷으로 통합된 유효한 센싱 데이터를 데이터 처리 서버로 전송한다(S590). 이후, 데이터 처리 서버는 하나의 패킷 형태로 수신된 유효한 센싱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처리한다(S600).
한편, S570과 동시에 게이트웨이는 센서 상태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이벤트 정보를 된 게이트웨이 상태정보 및 센서 상태정보와 함께 관리서버로 전달한다(S610).
본 발명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반의 디바이스 제어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는데,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반의 디바이스 제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하드 디스크, CD-ROM, DVD, 롬(ROM), 램, 또는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컴퓨터로 판독할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되거나, 인터넷을 통해 내려 받기 가능한 형태로 웹서버나 클라우드 서버 등의 스토리지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상술한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00: 사물 인터넷 기반의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210: 센서
220: 디바이스 230: 게이트웨이
240: 관리서버 250: 데이터 처리 서버
310: 게이트웨이 매니저 320: 센서 매니저
330: 어플리케이션 매니저 340: 제1 연결모듈
350: 제2 연결모듈 360: 제3 연결모듈
370: 제4 연결모듈

Claims (14)

  1. 센서에 의해 생성된 센싱 데이터 및 센서 상태정보가 통합된 센싱 로우(Raw) 데이터를 상기 센서로부터 수신하는 복수개의 디바이스;
    상기 복수개의 다바이스들 중 관리 대상이 되는 하나 이상의 타겟 디바이스들과 무선링크를 형성하여 상기 타겟 디바이스들부터 상기 센싱 로우 데이터를 수신하고, 미리 정해진 파싱 룰(Parsing Rule)을 상기 센싱 로우 데이터에 적용하여 상기 센싱 로우 데이터로부터 상기 센싱 데이터 및 상기 센서 상태정보를 분리하며, 상기 타겟 디바이스들로부터 획득되는 상기 센싱 데이터들을 하나의 패킷으로 통합하는 복수개의 게이트웨이; 및
    상기 게이트웨이 별로 할당되어 있는 타겟 디바이스 리스트가 포함된 게이트웨이 프로파일 및 상기 파싱룰을 상기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반의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는,
    미리 정해진 단위 섹터 별로 할당되고, 상기 타겟 디바이스 리스트에 포함된 타겟 디바이스들은 각 게이트웨이에 할당된 단위 섹터의 센서들에 연결된 디바이스들인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반의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파싱 룰에 따라 상기 센싱 로우 데이터로부터 상기 센싱 데이터 및 상기 센서 상태정보를 분리하고, 상기 센서 상태정보를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센서에 대한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는 센서 매니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반의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센서 상태정보, 상기 이벤트 정보, 및 상기 게이트웨이의 상태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센서 상태정보, 상기 이벤트 정보, 및 상기 게이트웨이의 상태정보를 기초로 상기 센서 및 상기 게이트웨이의 상태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반의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센서 매니저에 의해 분리된 상기 센싱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필터링 알고리즘에 따라 필터링하여 상기 센싱 데이터로부터 유효한 센싱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각 타겟 디바이스들로부터 획득되는 유효한 센싱 데이터들을 하나의 패킷으로 통합하는 어플리케이션 매니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반의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매니저에 의해 하나의 패킷으로 통합된 유효한 센싱 데이터들을 수신하여 실시간으로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반의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매니저는,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센서 및 상기 센서에 연결된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설정을 위한 센서 프로파일을 수신하고, 상기 센서 프로파일을 상기 타겟 디바이스로 전송하여 상기 센서 및 상기 타겟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센서 프로파일에 따라 설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반의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디바이스 리스트에 따라 상기 타겟 디바이스들과 상기 게이트위에간의 무선링크를 형성하고, 상기 게이트웨이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게이트웨이의 상태정보를 생성하는 게이트웨이 매니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반의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각 게이트웨이가 동일한 부하를 갖도록 상기 타겟 디바이스들을 각 게이트웨이에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반의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스템.
  10. 복수개의 게이트웨이가 관리서버 및 데이터 처리 서버에 연결되어 있는 사물 인터넷의 제어 방법으로서,
    센서들과 연결된 복수개의 디바이스들 중 관리 대상이 되는 타겟 디바이스 리스트가 포함된 게이트웨이 프로파일을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타겟 디바이스들과 무선링크를 형성하여 상기 타겟 디바이스들로부터 센싱 데이터 및 센서 상태정보가 통합된 센싱 로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미리 정해진 파싱 룰에 따라 상기 센싱 로우 데이터를 상기 센싱 데이터 및 상기 센서 상태정보로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각 타겟 디바이스 별로 획득되는 센싱 데이터를 하나의 패킷으로 통합하여 데이터 처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반의 디바이스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센싱 데이터에 미리 정해진 필터링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유효한 센싱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처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각 타겟 디바이스들로부터 획득되는 유효한 센싱 데이터들을 하나의 패킷으로 통합하여 상기 데이터 처리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반의 디바이스 제어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상태정보를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센서에 대한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센서 상태정보, 상기 게이트웨이의 상태정보, 및 상기 이벤트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반의 디바이스 제어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는 미리 정해진 단위 섹터 별로 할당되고, 상기 타겟 디바이스 리스트에 포함된 타겟 디바이스들은 각 게이트웨이에 할당된 단위 섹터의 센서들에 연결된 디바이스들인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반의 디바이스 제어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센서 및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설정을 위한 센서 프로파일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센서 프로파일을 상기 타겟 디바이스로 전송하여 상기 센서 및 타겟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센서 프로파일에 따라 설정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반의 디바이스 제어 방법.
KR1020150169301A 2015-11-30 2015-11-30 사물 인터넷 기반의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101782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9301A KR101782225B1 (ko) 2015-11-30 2015-11-30 사물 인터넷 기반의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9301A KR101782225B1 (ko) 2015-11-30 2015-11-30 사물 인터넷 기반의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3202A true KR20170063202A (ko) 2017-06-08
KR101782225B1 KR101782225B1 (ko) 2017-09-26

Family

ID=59221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9301A KR101782225B1 (ko) 2015-11-30 2015-11-30 사물 인터넷 기반의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222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42741B2 (en) 2017-11-03 2020-08-11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IoT devices interlocked with vehicle
KR20200129625A (ko) * 2019-05-09 2020-11-18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록체인 기반의 사물인터넷 데이터 전송 방법
CN113556380A (zh) * 2021-06-07 2021-10-26 广东东华发思特软件有限公司 物联网设备的边缘分布式多副本处理方法、装置及介质
KR20220072046A (ko) * 2020-11-23 2022-06-0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가스 아토마이저 공정에서의 실시간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14976A (ko) * 2022-01-26 2023-08-02 주식회사 휴이노 디바이스의 무선 연동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N116915501A (zh) * 2023-09-06 2023-10-20 深圳市潼芯传感科技有限公司 一种物联网信息安全管理方法及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4559B1 (ko) * 2017-12-19 2020-04-24 김양수 데이터 처리 기능이 포함된 사물인터넷 기반의 시설물에 대한 원격 통합 관제 및 제어용 게이트웨이 단말장치
KR102027431B1 (ko) * 2019-02-25 2019-10-01 김양수 데이터 처리 기능이 포함된 사물인터넷 기반의 시설물에 대한 원격 통합 관제 및 제어용 게이트웨이 단말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42741B2 (en) 2017-11-03 2020-08-11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IoT devices interlocked with vehicle
KR20200129625A (ko) * 2019-05-09 2020-11-18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록체인 기반의 사물인터넷 데이터 전송 방법
KR20220072046A (ko) * 2020-11-23 2022-06-0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가스 아토마이저 공정에서의 실시간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3556380A (zh) * 2021-06-07 2021-10-26 广东东华发思特软件有限公司 物联网设备的边缘分布式多副本处理方法、装置及介质
KR20230114976A (ko) * 2022-01-26 2023-08-02 주식회사 휴이노 디바이스의 무선 연동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N116915501A (zh) * 2023-09-06 2023-10-20 深圳市潼芯传感科技有限公司 一种物联网信息安全管理方法及系统
CN116915501B (zh) * 2023-09-06 2023-12-19 深圳市潼芯传感科技有限公司 一种物联网信息安全管理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2225B1 (ko) 2017-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2225B1 (ko) 사물 인터넷 기반의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US9772623B2 (en) Securing devices to process control systems
KR101605968B1 (ko) 가상 객체의 동적 인스턴스 호스팅 서비스 변경 방법 및 시스템
EP3618353B1 (en) Dynamic, endpoint configuration-based deployment of network infrastructure
EP1693812A1 (en) Method of controlling plurality of home devices using single controller and system thereof
WO2009075455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a piconet coordinator,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nd a mobile apparatus for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ing the method
WO2014017309A1 (ja) ゲートウェイ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US20220109980A1 (en) Template-based registration
KR20090012775A (ko) 센서네트워크용 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245567B2 (en) Electronic message adaptation
AU2021230848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program, communication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mmunication system
JP2014060636A (ja) 通信インタフェース変換装置
CN112651518A (zh) 产品交互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US20090210556A1 (en) Time division address management device and time division routing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JP5907669B2 (ja) 家電管理システム
JP5895043B1 (ja) クラスタシステム、クラスタ管理サーバおよびクラスタ管理用プログラム
US11750696B2 (en) Commissioning distributed control nodes
US11438230B2 (en) Template-based registration of devices
KR20130000025A (ko)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이기종 장비를 통합 관리하는 방법
KR20170038961A (ko)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센서 노드 관리 방법
EP3223460B1 (en) Automatic server dispatch according to a status and upper limits.
JP6334476B2 (ja) 通信システム
JP2017059868A (ja) アドレス管理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WO2014079500A1 (en) Address allocation for m2m communications
KR102284299B1 (ko) 사물인터넷 기반의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