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3319A - 응급 상황 관리를 위한 웨어러블 장치와 이를 이용한 응급 상황 관리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응급 상황 관리를 위한 웨어러블 장치와 이를 이용한 응급 상황 관리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3319A
KR20210073319A KR1020190164020A KR20190164020A KR20210073319A KR 20210073319 A KR20210073319 A KR 20210073319A KR 1020190164020 A KR1020190164020 A KR 1020190164020A KR 20190164020 A KR20190164020 A KR 20190164020A KR 20210073319 A KR20210073319 A KR 202100733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emergency
subject
wearable devic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4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영호
공대식
박찬영
조영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씨앤에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씨앤에이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씨앤에이치
Priority to KR1020190164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3319A/ko
Publication of KR20210073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33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53Sensor means for detecting worn on the body to detect health condition by physiological monitoring, e.g. electrocardiogram, temperature, breath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25Monitoring making use of different thresholds, e.g. for different alarm level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Alarm System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응급 상황 관리를 위한 웨어러블 장치와 이를 이용한 응급 상황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되며,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응급 상황 관리 방법은, 대상자의 신체에 부착되거나 착용되는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기 설정된 모니터링 주기마다 상기 대상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상기 생체 신호를 기 설정된 사용자 단말이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상기 대상자에 대한 생체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생체 신호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생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자의 신체 상태를 평가하는 단계 및 상기 평가 결과에 기초하여 응급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응급 상태와 연계된 응급 신호를 기 설정된 방재 관리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응급 상황 관리를 위한 웨어러블 장치와 이를 이용한 응급 상황 관리 방법 및 시스템{WEARABLE DEVICE FOR MANAGING EMERGENCY,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EMERGENCY USING THE SAME}
본원은 응급 상황 관리를 위한 웨어러블 장치와 이를 이용한 응급 상황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우리나라는 빠르게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는 전세계적의 국가들과 비교하여 보더라도 상당히 빠른 속도를 보이고 있으며, 점차 가속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보다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선진국형 노인복지서비스와 응급 상황 관리 시스템의 도입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독거노인이나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등의 고독사가 사회적인 이슈로 부각되고 있으나, 지자체 담당자의 민원 업무 처리로 인한 관리의 어려움, 사회복지사 및 방문간호사의 인력 부족 등으로 인하여 적절한 응급 상황 관리 서비스가 마련되지 못한 실정이다.
이러한 사회취약계층을 위한 건강 상태 및 활동 상태에 대한 점검을 위하여 원격 진료 시스템을 마련하거나 대상자가 측정 센서를 소지하고 다니면서 혈압, 혈당, 심박수 등을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원격 진료기관에 통신망을 통해 주기적으로 통지하고 이를 원격 진료 기관에서 관리하는 시스템을 고려할 수 있으나, 현재의 원격 진료 시스템은 특정 질환에 대한 관리를 위한 용도에 집중되어 있어, 대상자에게 발생 가능한 급성 심혈관 질환, 뇌혈관 질환에 대한 신속한 대처 방안을 제공하는 데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독거 노인 구호용 장치에는 주거 공간 내에 설치된 긴급연락용 버튼이나 노인이 몸에 지닌 기기의 버튼을 조작하는 경우 응급 상황에 대한 통보가 이루어지는 방식이 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거주자인 노인이 이상을 자각하여 스스로 버튼 등을 조작하지 않으면 전혀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것이므로 실제 긴급 상황에서 필요한 조치가 신속하게 이루어지기 어려우며, 특히 사용상 번거로움이 있어 신체 움직임에 제약이 크고 신체 능력이 저하된 독거노인 등의 특성에 맞지 않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00657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웨어러블 장치를 통해 대상자의 생체 신호를 주기적으로 획득하고, 획득된 생체 신호에 기초하여 대상자의 신체 상태를 복수의 등급으로 평가하여 해당 등급에 따른 신속한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응급 상황 관리를 위한 웨어러블 장치와 이를 이용한 응급 상황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응급 상황 관리 방법은, 대상자의 신체에 부착되거나 착용되는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기 설정된 모니터링 주기마다 상기 대상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상기 생체 신호를 기 설정된 사용자 단말이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상기 대상자에 대한 생체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생체 신호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생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자의 신체 상태를 평가하는 단계 및 상기 평가 결과에 기초하여 응급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응급 상태와 연계된 응급 신호를 기 설정된 방재 관리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체 상태를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생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자의 상기 신체 상태를 정상 상태, 제1위험 상태, 제2위험 상태 및 상기 응급 상태 중 하나로 평가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응급 상황 관리 방법은, 상기 제1위험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웨어러블 장치가 제1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응급 상황 관리 방법은, 상기 제2위험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웨어러블 장치가 제2경고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2경고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 및 기 설정된 병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체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대상자의 인적 사항 정보, 질병 이력 정보 및 병원 진료 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응급 상황 관리 방법은, 상기 평가 결과에 기초하여 제2위험 상태 또는 응급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제2경고 신호 또는 상기 응급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생체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인적 사항 정보, 상기 질병 이력 정보 및 상기 병원 진료 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병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체 신호는, 상기 대상자의 심박수 정보, 맥박 정보 및 산소 포화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생체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상기 정상 상태, 상기 제1위험 상태, 상기 제2위험 상태 및 상기 응급 상태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심박수 정보, 상기 맥박 정보 및 상기 산소 포화도 정보에 대한 임계 범위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응급 상황 관리 방법은, 상기 웨어러블 장치에 구비된 운동 감지 센서의 센싱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자의 운동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된 상기 운동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임계 범위 및 상기 모니터링 주기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응급 상황 관리 방법은, 상기 대상자의 상기 웨어러블 장치 부착 시간 또는 착용 시간을 카운트하는 단계, 상기 부착 시간 또는 착용 시간에 기초하여 리워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리워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급 상황 관리를 위한 웨어러블 장치는, 기 설정된 모니터링 주기마다 상기 웨어러블 장치가 부착 또는 착용된 대상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생체 신호 획득부, 상기 생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자의 신체 상태를 평가하는 상태 판단부 및 측정된 상기 생체 신호를 기 설정된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평가 결과에 기초하여 응급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응급 상태와 연계된 응급 신호를 기 설정된 방재 관리 단말에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태 판단부는, 상기 생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자의 상기 신체 상태를 정상 상태, 제1위험 상태, 제2위험 상태 및 상기 응급 상태 중 하나로 평가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급 상황 관리를 위한 웨어러블 장치는, 상기 제1위험 상태로 판단되면, 제1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경고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위험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경고 출력부는 제2경고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2경고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 및 기 설정된 병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체 신호는, 상기 대상자의 심박수 정보, 맥박 정보 및 산소 포화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상태 판단부는, 기 구축된 상기 대상자에 대한 생체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상기 정상 상태, 상기 제1위험 상태, 상기 제2위험 상태 및 상기 응급 상태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심박수 정보, 상기 맥박 정보 및 상기 산소 포화도 정보에 대한 임계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급 상황 관리를 위한 웨어러블 장치는, 운동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운동 감지 센서의 센싱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자의 운동 상태를 판단하는 운동 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태 판단부는, 판단된 상기 운동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임계 범위 및 상기 모니터링 주기를 갱신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급 상황 관리를 위한 웨어러블 장치는, 상기 대상자의 상기 웨어러블 장치에 대한 부착 시간 또는 착용 시간을 측정하는 카운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응급 상황 관리 시스템은, 기 설정된 모니터링 주기마다 대상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고, 상기 생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자의 신체 상태를 정상 상태, 제1위험 상태, 제2위험 상태 및 응급 상태 중 하나로 평가하고, 상기 평가 결과에 기초하여 응급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응급 상태와 연계된 응급 신호를 기 설정된 방재 관리 단말에 전송하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 상기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상기 생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대상자에 대한 인적 사항 정보, 질병 이력 정보 및 병원 진료 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생체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생체 신호를 저장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제2위험 상태 또는 상기 응급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인적 사항 정보, 상기 질병 이력 정보 및 상기 병원 진료 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병원 단말 및 상기 응급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상기 응급 신호를 수신하는 방재 관리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웨어러블 장치를 통해 대상자의 생체 신호를 주기적으로 획득하고, 획득된 생체 신호에 기초하여 대상자의 신체 상태를 복수의 등급으로 평가하여 해당 등급에 따른 신속한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응급 상황 관리를 위한 웨어러블 장치와 이를 이용한 응급 상황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대상자의 생체 신호를 누적하여 저장하고 대상자의 인적 사항, 질병 이력 등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생체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대상자의 상태가 소정 수준 이상 위험한 상태로 평가되는 경우, 기 구축된 생체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인접 병원에 전송되도록 하여, 대상자에 대한 치료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대상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모니터링 주기와 대상자 상태 판별의 기준이 되는 생체 신호 각각에 대한 임계 범위를 대상자의 생체 정보를 기반으로 설정할 수 있어 대상자 맞춤형의 정확한 상태 판단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대상자가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하거나 부착하는 시간에 따라 리워드를 지급하도록 하여 대상자가 웨어러블 장치를 지속적으로 착용 또는 부착하도록 하는 유인을 제공하여 대상자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 및 모니터링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할 수 있다.
다만, 본원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효과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응급 상황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급 상황 관리를 위한 웨어러블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대상자의 신체 상태 각각에 대응되는 생체 신호의 임계 범위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표이다.
도 4는 대상자의 운동 상태에 기초하여 갱신된 생체 신호의 임계 범위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표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응급 상황 관리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은 대상자의 신체 상태가 제2위험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응급 상황 관리 방법의 세부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은 대상자의 신체 상태가 응급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응급 상황 관리 방법의 세부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은 응급 상황 관리를 위한 웨어러블 장치와 이를 이용한 응급 상황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응급 상황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응급 상황 관리 시스템(10)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급 상황 관리를 위한 웨어러블 장치(100)(이하, '웨어러블 장치(100)'라 함.), 사용자 단말(200), 방재 관리 단말(300) 및 병원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100), 사용자 단말(200), 방재 관리 단말(300) 및 병원 단말(400) 상호간은 네트워크(20)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20)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20)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wifi 네트워크,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사용자 단말(200), 방재 관리 단말(300) 및 병원 단말(400)은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패드(SmartPad), 태블릿 PC등과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기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통신 장치일 수 있다.
특히,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웨어러블 장치(100)를 부착하거나 착용하게 되는 대상자 소유의 단말 또는 해당 대상자의 기 설정된 보호자(가족, 친지, 이웃 등) 소유의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하나의 웨어러블 장치(100)에 대하여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이 매칭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에서, 방재 관리 단말(300)은, 대상자가 주거하는 행정 구역 또는 대상자의 주거지와 인접한 관공서(시청, 군청, 주민센터 등)에 마련되는 단말 또는 서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재 관리 단말(300)은 관공서의 복지 관련, 보건 관련 부서에 구비되는 단말일 수 있다. 다른 예로, 방재 관리 단말(300)은 대상자의 주거지와 인접한 소방서에 마련되는 출동 정보 제공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출동 정보 제공 단말 유형의 방재 관리 단말(300)의 경우, 기 등록된 웨어러블 장치(100)의 대상자의 주소 정보, 인적 사항 정보 등을 미리 보유하고, 후술하는 응급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신속한 출동을 위하여 기 구축된 소방 시스템 또는 구급 시스템과 연계하여 해당 방재 관리 단말(300)에 출동 지령이 자동으로 할당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에서, 병원 단말(400)은, 대상자가 주거하는 행정 구역 내 또는 대상자의 주거지와 인접한 위치에 존재하는 병원에 마련되는 단말 또는 서버일 수 있다. 다른 예로, 병원 단말(400)은 대상자의 방문 이력, 검진 및 수술 이력 등에 기초하여 선택된 소정의 병원에 구비되는 단말 또는 서버일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100)는, 기 설정된 모니터링 주기마다 대상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고, 측정된 생체 신호에 기초하여 대상자의 신체 상태를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장치(100)는 평가 결과에 기초하여 응급 상태로 판단되면, 응급 상태와 연계된 응급 신호를 기 설정된 방재 관리 단말(300)에 전송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100)는 대상자의 손목에 착용되는 시계 형태(예를 들면, 스마트 워치 등)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대상자의 피부에 부착되거나 대상자가 입는 의복에 내장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웨어러블 장치(100)로부터 생체 신호를 수신하고, 대상자에 대한 인적 사항 정보, 질병 이력 정보 및 병원 진료 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생체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수신된 생체 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00)은 생체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생체 신호가 측정된 시간 정보를 함께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200)에 기 탑재된 통계 분석 알고리즘을 통해 누적된 생체 신호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여, 대상자의 시간에 따른 건강 상태 변화 패턴을 도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도출된 건강 상태 변화 패턴을 기초로 하여 대상자에게 발생 가능한 응급 상황의 발생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다. 여기서, 응급 상황의 발생 가능성은 예를 들어, 급성 심혈관 질환 또는 뇌혈관 질환의 발생 가능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병원 단말(400)은, 웨어러블 장치(100)에 의해 판단된 대상자의 신체 상태가 제2위험 상태 또는 응급 상태로 판단되면,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인적 사항 정보, 질병 이력 정보 및 병원 진료 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상자의 신체 상태가 비교적 위험도가 높은 제2위험 상태 또는 응급 상태인 경우, 기 설정된 병원으로 해당 대상자가 이송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해당 대상자가 이송되기 이전에 미리 확보된 대상자의 생체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각종 정보들을 해당 병원의 병원 단말(400)로 전송함으로써, 신속한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실제로 대상자가 병원 단말(400)이 구비된 병원으로 이송되는 경우, 병원 단말(400)은 이송 상황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 또는 방재 관리 단말(300)로부터 추가로 수신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방재 관리 단말(300)은, 웨어러블 장치(100)에 의해 판단된 대상자의 신체 상태가 응급 상태로 판단되면, 웨어러블 장치(100)로부터 응급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웨어러블 장치(100)의 동작 및 기능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급 상황 관리를 위한 웨어러블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장치(100)는, 생체 신호 획득부(110), 상태 판단부(120), 통신부(130), 경고 출력부(140), 운동 판단부(150) 및 카운트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생체 신호 획득부(110)는, 기 설정된 모니터링 주기마다 웨어러블 장치(100)가 부착 또는 착용된 대상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생체 신호는 대상자의 심박수 정보, 맥박 정보, 산소 포화도 정보 및 혈당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생체 신호 획득부(110)는 대상자의 건강 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다양한 생체 신호를 측정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달리 말해, 생체 신호 획득부(110)는, 대상자의 심박수 정보, 맥박 정보, 산소 포화도 정보, 혈당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는 각종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태 판단부(120)는 측정된 생체 신호에 기초하여 대상자의 신체 상태를 평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태 판단부(120)는, 생체 신호에 기초하여 대상자의 신체 상태를 정상 상태, 제1위험 상태, 제2위험 상태 및 응급 상태 중 하나로 평가할 수 있다. 상술한 대상자의 신체 상태의 유형 각각에 대한 판단 기준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통신부(130)는, 측정된 생체 신호를 기 설정된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고, 평가 결과에 기초하여 응급 상태로 판단되면, 응급 상태와 연계된 응급 신호를 기 설정된 방재 관리 단말(300)에 전송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응급 신호를 방재 관리 단말(300)에 전송하기 위하여, 통신부(130)는 응급 상태의 경우에만 신호 및 정보를 전송하도록 하는 전용 통신 모듈과 연계될 수 있다. 특히, 전용 통신 모듈은 저용량의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특화된 통신 모듈일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용 통신 모듈은 대상자의 신체 상태가 응급 상태로 판단되고, 특히 사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방재 관리 단말(300)에 응급 신호를 전송하도록 마련되는 것일 수 있다. 즉, 본원의 통신부(130)는 대상자의 상태가 응급 상태에 이르지 않는 경우에는 방재 관리 단말(300)에 별도의 신호가 전송되지 않도록 하여 웨어러블 장치(100)의 전력 소모량 및 데이터 송신에 따른 과금 수준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통신부(130)는, 평가 결과에 기초하여 제2위험 상태 또는 응급 상태로 판단되면, 제2경고 신호 또는 응급 신호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아울러, 제2위험 상태 또는 응급 상태로 판단되어 제2경고 신호 또는 응급 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200)은 병원 단말(400)로 생체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인적 사항 정보, 질병 이력 정보 및 병원 진료 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할 수 있다.
경고 출력부(140)는, 상태 판단부(120)에 의해 대상자의 신체 상태가 제1위험 상태로 판단되면, 제1경고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아울러, 경고 출력부(140)는 대상자의 신체 상태가 제2위험 상태 또는 응급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제2경고 신호 또는 응급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1경고 신호, 제2경고 신호 및 응급 신호는 음성 유형, 진동 유형, 점등 유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출력되되, 제1경고 신호에서 응급 신호로 갈수록 출력 강도가 증대되도록 단계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성 유형의 경고 신호의 경우, 대상자의 신체 상태에 따라 안내되는 문구의 내용이 상이하게 결정될 수 있으며, 대상자의 신체 상태에 대한 판단 결과, 정상 상태에서의 기 설정된 임계 범위를 벗어난 생체 신호의 유형(예를 들면, 심박수, 맥박, 산소 포화도 등)을 포함하도록 상기 안내되는 문구의 내용이 결정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상자의 신체 상태가 응급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경고 출력부(140)는 기 설정된 응급 상황 시 대처 매뉴얼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자의 신체 상태가 심정지 상황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경고 출력부(140)는 심폐 소생술 매뉴얼, 자동 제세동기 사용 요령 등을 포함하는 응급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대상자의 신체 상태가 응급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통신부(130)는 대상자 주변(예를 들면, 웨어러블 장치(100)와 인접한 위치)의 전자 기기에 응급 신호를 전송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통신부(130)로부터 응급 신호를 수신하는 전자 기기는 기존에 웨어러블 장치(100)와 페어링된 전자 기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기기는 대상자의 주거 공간에 구비되는 컴퓨터, 스마트 TV 등의 IoT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운동 판단부(150)는, 운동 감지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운동 판단부(150)는 운동 감지 센서(미도시)의 센싱 결과에 기초하여 대상자의 운동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상태 판단부(120)는 판단된 운동 상태에 기초하여 대상자의 신체 상태에 대한 평가를 위한 기준이 되는 임계 범위와 생체 신호 획득부(110)를 통한 생체 신호 측정의 주기인 모니터링 주기를 갱신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동 감지 센서는 근전도 센서, 가속도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동 판단부(150)에 의해 파악된 대상자의 운동 상태에 기초하여 대상자가 운동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태 판단부(120)는 신체 상태에 대한 평가를 위한 기준이 되는 임계 범위를 강화하고 생체 신호 측정 주기가 짧아지도록 임계 범위 및 모니터링 주기를 갱신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운동 판단부(150)에 의해 파악된 대상자의 운동 상태에 기초하여 대상자가 수면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태 판단부(120)는 신체 상태에 대한 평가를 위한 기준이 되는 임계 범위를 완화하고 생체 신호 측정 주기가 길어지도록 임계 범위 및 모니터링 주기를 갱신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니터링 주기와 관련하여, 상태 판단부(120)에 의해 획득된 대상자의 신체 상태가 기 설정된 임계 시간 이상 정상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모니터링 주기가 길어지도록 갱신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기 설정된 임계 시간은 복수의 값(레벨)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복수의 값 각각에 해당하는 시간 이상 정상 상태를 유지할수록 모니터링 주기가 더욱 길어지도록 갱신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획득된 대상자의 신체 상태가 정상 상태 외의 상태(예를 들면, 제1위험 상태, 제2위험 상태 및 응급 상태 중 어느 하나)로 판별되는 경우, 모니터링 주기가 짧아지도록 갱신될 수 있다. 다만,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계 범위 및 모니터링 주기에 대한 갱신 유형은 상술한 방식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카운트부(160)는, 대상자의 웨어러블 장치(100)에 대한 부착 시간 또는 착용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운트부(160)에 의해 측정된 부착 시간 또는 착용 시간은 통신부(130)에 의해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카운트부(160)는 부착 시간 정보 또는 착용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리워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리워드 정보는 통신부(130)에 의해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리워드 정보는 웨어러블 장치(100)의 카운트부(160)에 의해 생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에 따라 부착 시간 정보 또는 착용 시간 정보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200)에 의해 리워드 정보가 생성되어 저장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에서의 리워드는 대상자의 웨어러블 장치(100)에 대한 부착 또는 착용을 유도하기 위하여, 소정 수준 이상 대상자가 웨어러블 장치(100)를 지속적으로 부착하였거나 착용한 경우, 부착 시간 또는 착용 시간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리워드(예를 들면, 포인트, 마일리지, 캐시백, 적립금, 할인금 등)를 지급하여 대상자가 웨어러블 장치(100)를 꾸준히 부착 또는 착용하도록 유도하여, 해당 대상자가 지속적으로 관리 상태에 놓이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실시예에 따라 기 설정된 사용자 단말(200)로 지급된 리워드는 소정 수준 이상 누적되어 헬스 케어 관련 용품 또는 서비스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재화의 구매에 활용되는 것일 수 있다.
도 3은 대상자의 신체 상태 각각에 대응되는 생체 신호의 임계 범위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표이다.
도 3의 (a)는 대상자의 인적 사항 정보 중 연령이 20대 내지 50대의 범주에 속하는 경우의 구간별 임계 범위이고, 도 3의 (b)는 대상자의 인적 사항 정보 중 연령이 60대 내지 80대의 범주에 속하는 경우의 구간별 임계 범위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대상자의 신체 상태가 정상 상태로 판단되기 위하여 생체 신호 유형(심박수, 맥박, 산소 포화도) 각각의 임계 범위는 AND 조건으로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달리, 대상자의 신체 상태가 제1위험 상태, 제2위험 상태 또는 응급 상태로 판단되기 위한 생체 신호 유형 각각의 임계 범위는 OR 조건으로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생체 신호 유형 각각의 임계 범위에 대한 수치값(횟수, % 등)은 복수의 대상자에 대하여 획일적으로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 단말(200)에 기 생성된 생체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인적 사항 정보, 질병 이력 정보 및 병원 진료 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구체적인 수치값이 정해지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생체 신호 유형 각각에 대한 임계 범위는 웨어러블 장치(100)에 대한 사용 개시 시점(최초 부착 또는 착용 시)에 소정의 시간 구간 동안 확보된 테스트 측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일 수 있다.
도 4는 대상자의 운동 상태에 기초하여 갱신된 생체 신호의 임계 범위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표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100)는 대상자의 운동 상태에 기초하여 대상자가 소정 수준 이상의 강도를 가지는 운동 중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1위험 상태로 판단하기 위한 심박수 정보에 대한 임계 범위를 갱신하되, 갱신되는 임계 범위의 구체적인 수치는 대상자의 연령대에 따라 상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임계 범위를 초과하는 생체 신호가 측정되는 경우, 웨어러블 장치(100)는 운동 강도 수준을 낮추도록 유도하는 내용을 포함하는 경고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에 자세히 설명된 내용을 기반으로, 본원의 동작 흐름을 간단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응급 상황 관리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응급 상황 관리 방법은 앞서 설명된 응급 상황 관리 시스템(1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응급 상황 관리 시스템(1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응급 상황 관리 방법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S510에서 웨어러블 장치(100)의 생체 신호 획득부(110)는, 기 설정된 모니터링 주기마다 대상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520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웨어러블 장치(100)에 의해 측정된 생체 신호를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200)에 포함된(달리 말해, 기 생성된) 대상자에 대한 생체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생체 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생체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대상자의 인적 사항 정보, 질병 이력 정보 및 병원 진료 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생체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웨어러블 장치(100)와 기 설정된 사용자 단말(200)의 최초 연동 시 대상자 또는 대상자의 보호자에게 인적 사항 정보 등과 연계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200)에 표시하고 대상자 또는 대상자의 보호자가 해당 정보를 입력하면, 생체 정보 데이터베이스 내에 저장되는 방식으로 구축될 수 있다. 이후, 대상자의 심박수 정보, 맥박 정보, 산소 포화도 정보, 혈당 정보 등을 포함하는 생체 정보가 웨어러블 장치(100)에 의해 측정되어 전송되면, 기 구축된 생체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수신된 생체 정보가 누적하여 저장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530에서 웨어러블 장치(100)의 상태 판단부(120)는, 측정된 생체 신호에 기초하여 대상자의 신체 상태를 평가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S530에서 상태 판단부(120)는, 측정된 생체 신호에 기초하여 대상자의 신체 상태를 정상 상태, 제1위험 상태, 제2위험 상태 및 응급 상태 중 하나로 평가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S530에 선행하여, 사용자 단말(200)에 포함된 생체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정상 상태, 제1위험 상태, 제2위험 상태 및 응급 상태 각각에 대응되는 심박수 정보, 맥박 정보 및 산소 포화도 정보에 대한 임계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관련하여, 도 5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웨어러블 장치(100)의 운동 판단부(150)는 운동 감지 센서(미도시)의 센싱 결과에 기초하여 대상자의 운동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판단된 대상자의 운동 상태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임계 범위 및 모니터링 주기가 갱신될 수 있다.
단계 S530에서의 상태 판단부(120)의 대상자의 신체 상태 평가 결과, 대상자의 신체 상태가 비교적 위험도가 낮은 제1위험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웨어러블 장치(100)에 의해 제1경고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달리 말해, 대상자의 신체 상태가 정상 상태에서 소정 이상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지만 비교적 위험도 낮은 것으로 판단되는 제1위험 상태의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200), 방재 관리 단말(300) 및 병원 단말(400)을 포함하는 외부 기기로 별도의 신호 또는 정보가 전송되지 않으나, 웨어러블 장치(100)의 경고 출력부(140)에 의해 제1경고 신호가 출력됨으로써 대상자가 휴식을 취하는 등의 조치를 자체적으로 취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대상자의 신체 상태 평가 결과, 제1위험 상태보다 상대적으로 위험도가 높은 제2위험 상태의 경우의 동작 흐름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단계 S540에서 웨어러블 장치(100)의 통신부(130)는, 평가 결과에 기초하여 대상자의 신체 상태가 응급 상태로 판단되면, 응급 상태와 연계된 응급 신호를 기 설정된 방재 관리 단말(300)에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510 내지 S540은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6은 대상자의 신체 상태가 제2위험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응급 상황 관리 방법의 세부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대상자의 신체 상태가 제2위험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응급 상황 관리 방법은 앞서 설명된 응급 상황 관리 시스템(1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응급 상황 관리 시스템(1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도 6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S610에서 웨어러블 장치(100)의 경고 출력부(140)는, 제2경고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620에서 웨어러블 장치(100)의 통신부(130)는, 제2경고 신호를 사용자 단말(200) 및 기 설정된 병원 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630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생체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인적 사항 정보, 질병 이력 정보 및 병원 진료 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병원 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610 내지 S630은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7은 대상자의 신체 상태가 응급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응급 상황 관리 방법의 세부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대상자의 신체 상태가 응급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의 응급 상황 관리 방법은 앞서 설명된 응급 상황 관리 시스템(1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응급 상황 관리 시스템(1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도 7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단계 S710에서 웨어러블 장치(100)의 경고 출력부(140)는, 응급 상태와 연계된 응급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720에서 웨어러블 장치(100)의 통신부(130)는, 응급 신호를 사용자 단말(200), 방재 관리 단말(300) 및 기 설정된 병원 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730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생체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인적 사항 정보, 질병 이력 정보 및 병원 진료 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병원 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710 내지 S730은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본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응급 상황 관리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전술한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응급 상황 관리 방법은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응급 상황 관리 시스템
100: 웨어러블 장치
110: 생체 신호 획득부
120: 상태 판단부
130: 통신부
140: 경고 출력부
150: 운동 판단부
160: 카운트부
200: 사용자 단말
300: 방재 관리 단말
400: 병원 단말

Claims (15)

  1.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응급 상황 관리 방법에 있어서,
    대상자의 신체에 부착되거나 착용되는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기 설정된 모니터링 주기마다 상기 대상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상기 생체 신호를 기 설정된 사용자 단말이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상기 대상자에 대한 생체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생체 신호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생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자의 신체 상태를 평가하는 단계; 및
    상기 평가 결과에 기초하여 응급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응급 상태와 연계된 응급 신호를 기 설정된 방재 관리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응급 상황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 상태를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생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자의 상기 신체 상태를 정상 상태, 제1위험 상태, 제2위험 상태 및 상기 응급 상태 중 하나로 평가하고,
    상기 제1위험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웨어러블 장치가 제1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응급 상황 관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위험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웨어러블 장치가 제2경고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2경고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 및 기 설정된 병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응급 상황 관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대상자의 인적 사항 정보, 질병 이력 정보 및 병원 진료 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고,
    상기 평가 결과에 기초하여 제2위험 상태 또는 응급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제2경고 신호 또는 상기 응급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생체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인적 사항 정보, 상기 질병 이력 정보 및 상기 병원 진료 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병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응급 상황 관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신호는,
    상기 대상자의 심박수 정보, 맥박 정보 및 산소 포화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응급 상황 관리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생체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상기 정상 상태, 상기 제1위험 상태, 상기 제2위험 상태 및 상기 응급 상태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심박수 정보, 상기 맥박 정보 및 상기 산소 포화도 정보에 대한 임계 범위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응급 상황 관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장치에 구비된 운동 감지 센서의 센싱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자의 운동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된 상기 운동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임계 범위 및 상기 모니터링 주기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응급 상황 관리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자의 상기 웨어러블 장치 부착 시간 또는 착용 시간을 카운트하는 단계;
    상기 부착 시간 또는 착용 시간에 기초하여 리워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리워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응급 상황 관리 방법.
  9. 응급 상황 관리를 위한 웨어러블 장치에 있어서,
    기 설정된 모니터링 주기마다 상기 웨어러블 장치가 부착 또는 착용된 대상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생체 신호 획득부;
    상기 생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자의 신체 상태를 평가하는 상태 판단부; 및
    측정된 상기 생체 신호를 기 설정된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평가 결과에 기초하여 응급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응급 상태와 연계된 응급 신호를 기 설정된 방재 관리 단말에 전송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판단부는,
    상기 생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자의 상기 신체 상태를 정상 상태, 제1위험 상태, 제2위험 상태 및 상기 응급 상태 중 하나로 평가하고,
    상기 제1위험 상태로 판단되면, 제1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경고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웨어러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위험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경고 출력부는 제2경고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2경고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 및 기 설정된 병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인, 웨어러블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신호는,
    상기 대상자의 심박수 정보, 맥박 정보 및 산소 포화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상태 판단부는,
    기 구축된 상기 대상자에 대한 생체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상기 정상 상태, 상기 제1위험 상태, 상기 제2위험 상태 및 상기 응급 상태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심박수 정보, 상기 맥박 정보 및 상기 산소 포화도 정보에 대한 임계 범위를 설정하는 것인, 웨어러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운동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운동 감지 센서의 센싱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자의 운동 상태를 판단하는 운동 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태 판단부는,
    판단된 상기 운동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임계 범위 및 상기 모니터링 주기를 갱신하는 것인, 웨어러블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자의 상기 웨어러블 장치에 대한 부착 시간 또는 착용 시간을 측정하는 카운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웨어러블 장치.
  15.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응급 상황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기 설정된 모니터링 주기마다 대상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고, 상기 생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자의 신체 상태를 정상 상태, 제1위험 상태, 제2위험 상태 및 응급 상태 중 하나로 평가하고, 상기 평가 결과에 기초하여 응급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응급 상태와 연계된 응급 신호를 기 설정된 방재 관리 단말에 전송하는 제9항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
    상기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상기 생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대상자에 대한 인적 사항 정보, 질병 이력 정보 및 병원 진료 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생체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생체 신호를 저장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제2위험 상태 또는 상기 응급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인적 사항 정보, 상기 질병 이력 정보 및 상기 병원 진료 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병원 단말; 및
    상기 응급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상기 응급 신호를 수신하는 방재 관리 단말,
    을 포함하는, 응급 상황 관리 시스템.
KR1020190164020A 2019-12-10 2019-12-10 응급 상황 관리를 위한 웨어러블 장치와 이를 이용한 응급 상황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2100733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4020A KR20210073319A (ko) 2019-12-10 2019-12-10 응급 상황 관리를 위한 웨어러블 장치와 이를 이용한 응급 상황 관리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4020A KR20210073319A (ko) 2019-12-10 2019-12-10 응급 상황 관리를 위한 웨어러블 장치와 이를 이용한 응급 상황 관리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3319A true KR20210073319A (ko) 2021-06-18

Family

ID=76623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4020A KR20210073319A (ko) 2019-12-10 2019-12-10 응급 상황 관리를 위한 웨어러블 장치와 이를 이용한 응급 상황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7331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82437A1 (ko) * 2021-07-05 2023-01-12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컨텍스트 기반 산소 포화도 측정 방법
WO2024048948A1 (ko) * 2022-08-29 2024-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웨어러블 장치 및 방법
KR102648744B1 (ko) * 2023-08-17 2024-03-19 주식회사 에스지엘 응급 상황에 따른 환자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82437A1 (ko) * 2021-07-05 2023-01-12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컨텍스트 기반 산소 포화도 측정 방법
WO2024048948A1 (ko) * 2022-08-29 2024-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웨어러블 장치 및 방법
KR102648744B1 (ko) * 2023-08-17 2024-03-19 주식회사 에스지엘 응급 상황에 따른 환자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endra et al. Smart system for children's chronic illness monitoring
US20180049675A1 (en) Location, activity, and health compliance monitoring using multidimensional context analysis
Costa et al. Integration of wearable solutions in aal environments with mobility support
Lv et al. iCare: a mobile health monitoring system for the elderly
US10786209B2 (en) Monitoring system for stroke
Bourouis et al. A new architecture of a ubiquitous health monitoring system: a prototype of cloud mobile health monitoring system
Bhagchandani et al. IoT based heart monitoring and alerting system with cloud computing and managing the traffic for an ambulance in India
KR20210073319A (ko) 응급 상황 관리를 위한 웨어러블 장치와 이를 이용한 응급 상황 관리 방법 및 시스템
Parra et al. Multimedia sensors embedded in smartphones for ambient assisted living and e-health
AbdElnapi et al. A survey of internet of things technologies and projects for healthcare services
US20230245767A1 (en) Wearable sensor system configured for monitoring and modeling health data
Kavitha et al. Smart wireless healthcare monitoring for drivers community
Asif et al. Applications of wireless body area network (wban): A survey
Akhtar et al. An ontology-driven IoT based healthcare formalism
Rajamohanan et al. Survey on smart health management using BLE and BLE beacons
Mahmoud et al. A real-time framework for patient monitoring systems based on a wireless body area network
KR20130015476A (ko) 디지털 문진표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2304174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건강 관리 및 출입 관리 시스템
JP2013148996A (ja) 重症度判定装置、及び、重症度判定方法
KR102114638B1 (ko) 수면 중 뇌졸중 모니터링 시스템
KR101626834B1 (ko) 사용자 정보 기반 우울감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JP2014092945A (ja) 身体状況判定システム及び身体状況判定方法
JP2014092946A (ja) 個人情報公開システム及び個人情報公開方法
KR102386438B1 (ko) 심전계를 이용한 실시간 다중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Magjarevic Home care technologies for ambient assisted liv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