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6828B1 - 연속적인 모니터링을 위해 생체 신호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디바이스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연속적인 모니터링을 위해 생체 신호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디바이스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6828B1
KR102576828B1 KR1020210118489A KR20210118489A KR102576828B1 KR 102576828 B1 KR102576828 B1 KR 102576828B1 KR 1020210118489 A KR1020210118489 A KR 1020210118489A KR 20210118489 A KR20210118489 A KR 20210118489A KR 102576828 B1 KR102576828 B1 KR 1025768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mode
data
subject
bio
transm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8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35911A (ko
Inventor
김주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이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이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이노
Priority to KR1020210118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6828B1/ko
Publication of KR20230035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5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6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68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0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hysiological signal transmitted
    • A61B5/0006ECG or EEG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Monitoring the patient using a local or closed circuit, e.g. in a room or buil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2Monitoring a patient using a global network, e.g. telephone networks, intern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2Global tracking of patients, e.g. by using G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3Local tracking of patients, e.g. in a hospital or private ho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2Operational features
    • A61B2560/0204Operational features of power management
    • A61B2560/0209Operational features of power management adapted for power sav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연속적인 모니터링을 위해 생체 신호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으로서, 피측정자로부터 생체 신호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생체 신호 데이터를 획득한 시점에서의 상기 피측정자의 위치를 참조하여 상기 생체 신호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모드를 동적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연속적인 모니터링을 위해 생체 신호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디바이스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METHOD,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TRANSMITTING DATA OF BIO-SIGNAL FOR SEAMLESS MONITORING}
본 발명은 연속적인 모니터링을 위해 생체 신호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디바이스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과학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하여 인류 전체의 삶의 질이 향상되고 있으며, 의료 환경에서도 많은 변화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근래에 들어, 생체 신호 데이터를 원격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웨어러블 모니터링 디바이스가 대중들에게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모니터링 디바이스는 장시간에 걸쳐 연속적으로 생체 신호 데이터를 측정해야 하므로, 저전력 블루투스(BLE), 앤트플러스(ANT+), 지그비(Zigbee) 등과 같은 저전력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이 적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저전력 블루투스는 전력을 매우 적게 소모하면서도 별도의 기기 장착 없이 생체 신호 데이터를 외부 디바이스(예를 들어,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전송할 수 있다는 점에서 웨어러블 모니터링 디바이스에 널리 적용되고 있다.
또한, 웨어러블 모니터링 디바이스는 피측정자의 생체 신호 데이터를 끊김없이 전송함으로써 의료 기관(예를 들어, 병원 등)이 그 피측정자의 생체 신호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술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그런데, 의료 기관 외부에서는 피측정자가 상시적으로 착용하고 있는 웨어러블 모니터링 디바이스에서 측정되는 생체 신호 데이터가 모바일 네트워크를 통해 의료 기관에 전송되는 것이 통상적이고, 의료 기관 내부에서는 환자의 민감 정보 등의 보호를 위하여 고도로 제한된 내부 네트워크를 통해 생체 신호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이 통상적이다. 이처럼 원외와 원내에서 서로 다른 네트워크가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피측정자가 동일한 디바이스를 착용한 상태에서 원외 및 원내 모두에서 피측정자의 생체 신호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공백 없이 모니터링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면, 피측정자가 의료 기관에 내원하거나 입원하였을 때, 원외에서 피측정자의 생체 신호 데이터를 모니터링하던 웨어러블 모니터링 디바이스를 원내에서 더 이상 사용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피측정자의 생체 신호 데이터에 대한 연속적인 모니터링이 단절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피측정자의 위치에 따라 피측정자의 생체 신호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모드를 동적으로 결정(또는 전환)함으로써, 원내와 원외 사이에서의 피측정자의 위치 변동에 관계없이 피측정자의 생체 신호 데이터를 공백 없이 연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바이스가 의료 기관의 내부 네트워크와 연동되는 경우에 의료 기관에 구비되는 게이트웨이가 피측정자의 위치를 측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의료 기관 내부에서 피측정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연속적인 모니터링을 위해 생체 신호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으로서, 피측정자로부터 생체 신호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생체 신호 데이터를 획득한 시점에서의 상기 피측정자의 위치를 참조하여 상기 생체 신호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모드를 동적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연속적인 모니터링을 위해 생체 신호 데이터를 전송하는 디바이스로서, 피측정자로부터 생체 신호 데이터를 획득하는 데이터 획득부, 및 상기 생체 신호 데이터를 획득한 시점에서의 상기 피측정자의 위치를 참조하여 상기 생체 신호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모드를 동적으로 결정하는 송신 모드 관리부를 포함하는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디바이스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피측정자의 위치에 따라 피측정자의 생체 신호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모드를 동적으로 결정(또는 전환)함으로써, 원내와 원외 사이에서의 피측정자의 위치 변동에 관계없이 피측정자의 생체 신호 데이터를 공백 없이 연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디바이스가 의료 기관의 내부 네트워크와 연동되는 경우에 의료 기관에 구비되는 게이트웨이가 피측정자의 위치를 측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의료 기관 내부에서 피측정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내부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러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전체 시스템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은 통신망(100), 디바이스(200) 및 모니터링 시스템(30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00)은, 유선 통신이나 무선 통신과 같은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통신망(100)은, 개인 영역 통신망(PAN; Personal Area Network)으로서 블루투스 통신(더 구체적으로는, 저전력 블루투스(BLE; Bluetooth Low Energy)), 앤트플러스(ANT+), 지그비(Zigbee) 등과 같은 통신 방법을 적어도 그 일부분에 있어서 구현하는 것일 수 있다.
그러나, 통신망(100)은, 굳이 이에 국한될 필요 없이, 공지의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공지의 전화망 또는 공지의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을 그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통신망(100)은, 무선 데이터 통신망으로서, 무선주파수(RF; Radio Frequency) 통신, 와이파이(WiFi) 통신, 셀룰러(LTE 등) 통신, 적외선 통신, 초음파 통신 등과 같은 종래의 통신 방법을 적어도 그 일부분에 있어서 구현하는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200)는, 피측정자로부터 생체 신호 데이터를 획득하고, 피측정자의 생체 신호 데이터를 획득한 시점에서의 피측정자의 위치를 참조하여 피측정자의 생체 신호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모드를 동적으로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200)는, 스마트 워치, 스마트 패치, 스마트 밴드, 스마트 글래스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로서 인체로부터 소정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센싱 수단(예를 들면, 접촉 전극, 영상 촬영 장치 등) 및 생체 신호의 측정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표시 수단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200)의 구성과 기능에 관하여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자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300)은, 병원, 보건소 등의 의료 기관 내부에 구비되는 시스템으로서, 디바이스(200)에 의해 송신되는 피측정자의 생체 신호 데이터를 통신망(100)을 통해 수집(또는 수신)하고 그 수집된 생체 신호 데이터를 모니터링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300)은, 피측정자의 생체 신호 데이터에 대하여 원격 모니터링을 수행함으로써 피측정자의 건강 상태에 대한 이상 여부를 분석 또는 감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300)은 클라우드에 구비될 수도 있다.
디바이스의 구성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하여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디바이스(200)의 내부 구성과 각 구성요소의 기능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200)의 내부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200)는 데이터 획득부(210), 송신 모드 관리부(220), 통신부(230) 및 제어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200)의 데이터 획득부(210), 송신 모드 관리부(220), 통신부(230) 및 제어부(240)는 그 중 적어도 일부가 외부의 시스템(미도시됨)과 통신하는 프로그램 모듈일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운영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디바이스(200)에 포함될 수 있고, 물리적으로는 여러 가지 공지의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디바이스(200)와 통신 가능한 원격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본 발명에 따라 후술할 특정 업무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실행하는 루틴, 서브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괄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한편, 디바이스(200)에 관하여 위와 같이 설명되었으나, 이러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이고, 디바이스(200)의 구성요소 또는 기능 중 적어도 일부가 필요에 따라 서버(미도시됨) 내에서 실현되거나 외부 시스템(미도시됨) 내에 포함될 수도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획득부(210)는, 피측정자로부터 생체 신호 데이터를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획득부(210)는, 피측정자의 신체 부위와 접촉되는 센싱 수단으로부터 피측정자의 생체 신호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획득부(210)가 획득하는 피측정자의 생체 신호 데이터는, 심전도(ECG; electrocardiogram), 근전도(EMG; electromyogram), 뇌전도(EEG; electroencephalogram), 맥파(PPG; photoplethysmogram) 등을 상정할 수 있지만, 반드시 위의 열거된 생체 신호 데이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 모드 관리부(220)는, 데이터 획득부(210)가 피측정자로부터 생체 신호 데이터를 획득한 시점에서의 피측정자의 위치를 참조하여 피측정자로부터 획득한 생체 신호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모드를 동적으로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 모드 관리부(220)는, 위의 결정된 송신 모드를 이용하여 피측정자로부터 획득한 생체 신호 데이터를 모니터링 시스템(300)에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 모드 관리부(220)는, 피측정자로부터 생체 신호 데이터를 획득한 시점에서 특정된 피측정자의 위치를 참조하여, 피측정자로부터 획득한 생체 신호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모드를 동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 모드는, 트리거 신호에 의하여 동적으로 결정(또는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측정자는 자신의 위치를 스스로 특정하고 그 특정된 위치에 따라 위의 송신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트리거 신호를 송신 모드 관리부(220)에 입력할 수 있으며, 송신 모드 관리부(220)는 그 입력 받은 트리거 신호를 이용하여 위의 송신 모드를 동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송신 모드 관리부(220)는 GPS 기능을 가진 외부 디바이스(예를 들어, 피측정자의 개인 통신 디바이스)와 연동될 수 있고, 외부 디바이스(또는 외부 디바이스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는 GPS 기능에 의하여 특정된 외부 디바이스의 위치를 피측정자의 위치로서 특정하고 그 특정된 위치에 따라 위의 송신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트리거 신호를 송신 모드 관리부(220)에 입력(또는 전송)할 수 있으며, 송신 모드 관리부(220)는 그 입력 받은 트리거 신호를 이용하여 위의 송신 모드를 동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피측정자의 위치를 특정하기 위한 방식이 반드시 위의 예시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 모드 관리부(220)는, 위의 특정된 피측정자의 위치가 제1 영역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참조하여, 피측정자의 생체 신호 데이터를 모니터링 시스템(300)에 송신하기 위한 송신 모드를 동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영역은, 의료 기관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웨이의 신호 범위에 포함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의 특정된 피측정자의 위치가 제1 영역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 모드 관리부(220)는, 피측정자의 생체 신호 데이터를 획득한 시점에서의 피측정자의 위치가 제1 영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을 참조하여, 제1 송신 모드를 피측정자의 생체 신호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모드로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송신 모드는, 송신 모드 관리부(220)에서 모니터링 시스템(300)으로 피측정자의 생체 신호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하여 마련된 복수의 통신 방식 중 제1 영역 밖에서도 상시적으로 송신 가능한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송신 모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송신 모드는, 저전력 블루투스의 커넥티드 모드(connected mode)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 모드 관리부(220)는, 제1 송신 모드를 피측정자의 생체 신호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모드로서 결정한 경우, 의료 기관의 외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중계 포인트(예를 들어, 피측정자의 개인 통신 디바이스, 클라우드 서버 등)를 포함하는 제1 통신 채널을 통해, 모니터링 시스템(300)에 피측정자의 생체 신호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피측정자의 생체 신호 데이터는, 송신 모드 관리부(220)에 의해 송신되고, 의료 기관의 외부에 위치하는 피측정자의 개인 통신 디바이스(예를 들어, 스마트폰 등) 및 클라우드 서버를 차례로 거친 다음, 의료 기관의 내부에 구비되는 방화벽을 통과함으로써 모니터링 시스템(300)에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 모드 관리부(220)는, 위의 의료 기관의 외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중계 포인트 중 피측정자의 개인 통신 디바이스와 일 대 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 모드 관리부(220)는, 피측정자의 생체 신호 데이터를 송신할 피측정자의 개인 통신 디바이스를 특정(또는 지정)하고 그 특정된 피측정자의 개인 통신 디바이스에게만 피측정자의 생체 신호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송신 모드 관리부(220)가 제1 송신 모드를 피측정자의 생체 신호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모드로서 결정한 경우, 피측정자의 생체 신호 데이터는 송신 모드 관리부(220)와 피측정자의 개인 통신 디바이스 사이에 형성되는 보안이 유지된 통신 방식에 의하여 송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피측정자의 생체 신호 데이터는 암호화 알고리즘(예를 들어, AES 암호화 알고리즘)이 적용된 커넥티드 모드 방식에 의하여 송신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의 특정된 피측정자의 위치가 제1 영역에 해당하는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 모드 관리부(220)는, 피측정자의 생체 신호 데이터를 획득한 시점에서의 피측정자의 위치가 제1 영역에 해당하는 것을 참조하여, 제2 송신 모드를 피측정자의 생체 신호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모드로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송신 모드는, 송신 모드 관리부(220)에서 모니터링 시스템(300)으로 피측정자의 생체 신호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하여 마련된 복수의 통신 방식 중 제1 영역 내에서 송신 가능한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송신 모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송신 모드는, 저전력 블루투스의 어드버타이징 모드(advertising mode)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 모드 관리부(220)는, 제2 송신 모드를 피측정자의 생체 신호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모드로서 결정한 경우, 의료 기관의 내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중계 포인트(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웨이, 의료 기관 내부 서버 등)를 포함하는 제2 통신 채널을 통해, 모니터링 시스템(300)에 피측정자의 생체 신호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피측정자의 생체 신호 데이터는, 송신 모드 관리부(220)에 의해 송신되고, 의료 기관 내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웨이 및 의료 기관 내부 서버를 차례로 거친 다음 모니터링 시스템(300)에 전송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의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웨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영역을 확정 짓기 위하여 이용될 수도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 모드 관리부(220)는, 위의 의료 기관의 내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중계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웨이에게 피측정자의 생체 신호 데이터를 어드버타이징하는 방식으로 송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 모드 관리부(220)는, 피측정자의 생체 신호 데이터를 송신할 타겟 게이트웨이를 특정(또는 지정)하지 않고, 무작위로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웨이에게 피측정자의 생체 신호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웨이는, 위의 어드버타이징되는 방식으로 송신되는 피측정자의 생체 신호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스캐닝(또는 감지)하고, 피측정자의 생체 신호 데이터가 스캐닝되는 경우 그 생체 신호 데이터를 송신 모드 관리부(2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송신 모드 관리부(220)가 제2 송신 모드를 피측정자의 생체 신호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모드로서 결정한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송신 모드 관리부(220)는 의료 기관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웨이에게 피측정자의 생체 신호 데이터를 송신하게 된다. 다만, 의료 기관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웨이는 의료 기관 내부의 보안 네트워크와 연결되기 때문에, 제2 송신 모드에서는 아래와 같은 별도의 보안화 과정을 통해 송신 모드 관리부(220)(또는 디바이스(200))를 의료 기관 내부의 보안 네트워크에 연동하여야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송신 모드 관리부(220)(또는 디바이스(200))를 의료 기관 내부 서버에 등록하고(예를 들어, 디바이스(200)의 일련 번호를 의료 기관 내부 서버에 등록할 수 있다.) 송신 모드 관리부(220)와 의료 기관 내부 서버 사이에 암호화 키를 서로 교환하는 별도의 보안화 과정을 통해, 송신 모드 관리부(220)(또는 디바이스(200))를 의료 기관 내부의 보안 네트워크에 연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 모드 관리부(220)는, 위의 의료 기관 내부 서버와 미리 교환한 암호화 키를 이용하여 피측정자의 생체 신호 데이터를 암호화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송신 모드 관리부(220)에 의해 암호화된 피측정자의 생체 신호 데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웨이를 거쳐 의료 기관 내부 서버에 전송되고, 의료 기관 내부 서버는 송신 모드 관리부(220)와 미리 교환한 암호화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피측정자의 생체 신호 데이터를 복호화하고, 복호화된 생체 신호 데이터는 의료 기관 내부 서버에서 모니터링 시스템(300)으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의료 기관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웨이는, 송신 모드 관리부(220)에 의해 송신되는 피측정자의 생체 신호 데이터를 모니터링 시스템(300)(또는 의료 기관 내부 서버)에 전달하는 통신 중계 포인트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과 동시에, 의료 기관의 내부에서 피측정자의 위치를 측위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의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웨이에 의하여 수행되는 피측정자에 대한 위치 측위 결과는, 의료 기관에 내원한 피측정자에 대한 정보 수집의 용도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의료 기관 내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피측정자의 응급 상황에 대한 대응을 위한 용도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송신 모드는, 저전력 블루투스의 커넥티드 모드 방식으로 생체 신호 데이터를 송신하면서 어드버타이징 모드 방식으로 어드버타이징 패킷을 더 송신하는 모드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어드버타이징 모드로 생체 신호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에 데이터 손실(loss)이 커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커넥티드 모드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과 함께 주기적으로(또는 비주기적으로) 어드버타이징 모드로 어드버타이징 패킷을 송신하게 되면, 데이터 손실을 줄이면서 디바이스(또는 피측정자)의 제1 영역(예를 들면, 의료기관) 내에서의 위치 파악도 여전히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피측정자의 생체 신호 데이터를 획득한 시점에서의 피측정자의 위치를 참조하여 피측정자의 생체 신호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모드를 동적으로 결정하고, 피측정자의 생체 신호 데이터를 획득한 시점에서의 피측정자의 위치가 의료 기관(즉, 제1 영역)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의료 기관 내부의 보안 네트워크와 별도의 보안화 과정을 거쳐 연동함으로써, 피측정자가 의료 기관에 내원하는 경우에도(즉, 피측정자의 위치에 관계없이) 피측정자의 생체 신호 데이터를 공백 없이 연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230)는 데이터 획득부(210) 및 송신 모드 관리부(220)로부터의/로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40)는 데이터 획득부(210), 송신 모드 관리부(220) 및 통신부(230) 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40)는 디바이스(200)의 외부로부터의/로의 데이터 흐름 또는 디바이스(200)의 각 구성요소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데이터 획득부(210), 송신 모드 관리부(220) 및 통신부(230)에서 각각 고유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통신망
200: 디바이스
210: 데이터 획득부
220: 송신 모드 관리부
230: 통신부
240: 제어부
300: 디바이스

Claims (15)

  1. 연속적인 모니터링을 위해 생체 신호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으로서,
    피측정자로부터 생체 신호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생체 신호 데이터를 획득한 시점에서의 상기 피측정자의 위치를 참조하여 상기 생체 신호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모드를 동적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 단계에서, 상기 생체 신호 데이터를 획득한 시점에서의 상기 피측정자의 위치가 제1 영역에 해당하는 것을 참조하여, 상기 생체 신호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하여 마련된 복수의 통신 방식 중 상기 제1 영역 내에서 송신 가능한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생체 신호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2 송신 모드를 상기 송신 모드로서 결정하고,
    상기 제2 송신 모드에서 상기 생체 신호 데이터는 커넥티드 모드 방식으로 송신되는 것과 함께 상기 제1 영역 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웨이에게 어드버타이징 패킷이 송신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단계에서, 상기 생체 신호 데이터를 획득한 시점에서의 상기 피측정자의 위치가 제1 영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을 참조하여, 상기 생체 신호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하여 마련된 복수의 통신 방식 중 상기 제1 영역 밖에서도 상시적으로 송신 가능한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생체 신호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1 송신 모드를 상기 송신 모드로서 결정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신 모드에서 상기 생체 신호 데이터는 커넥티드 모드 방식으로 송신되는
    방법.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송신 모드에서 상기 생체 신호 데이터는 미리 교환된 암호화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되어 송신되는
    방법.
  7. 삭제
  8. 제1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9. 연속적인 모니터링을 위해 생체 신호 데이터를 전송하는 디바이스로서,
    피측정자로부터 생체 신호 데이터를 획득하는 데이터 획득부, 및
    상기 생체 신호 데이터를 획득한 시점에서의 상기 피측정자의 위치를 참조하여 상기 생체 신호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모드를 동적으로 결정하는 송신 모드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 모드 관리부는, 상기 생체 신호 데이터를 획득한 시점에서의 상기 피측정자의 위치가 제1 영역에 해당하는 것을 참조하여, 상기 생체 신호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하여 마련된 복수의 통신 방식 중 상기 제1 영역 내에서 송신 가능한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생체 신호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2 송신 모드를 상기 송신 모드로서 결정하고,
    상기 제2 송신 모드에서 상기 생체 신호 데이터는 커넥티드 모드 방식으로 송신되는 것과 함께 상기 제1 영역 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웨이에게 어드버타이징 패킷이 송신되는
    디바이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드 관리부는, 상기 생체 신호 데이터를 획득한 시점에서의 상기 피측정자의 위치가 제1 영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을 참조하여, 상기 생체 신호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하여 마련된 복수의 통신 방식 중 상기 제1 영역 밖에서도 상시적으로 송신 가능한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생체 신호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1 송신 모드를 상기 송신 모드로서 결정하는
    디바이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신 모드에서 상기 생체 신호 데이터는 커넥티드 모드 방식으로 송신되는
    디바이스.
  12. 삭제
  13. 삭제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송신 모드에서 상기 생체 신호 데이터는 미리 교환된 암호화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되어 송신되는
    디바이스.
  15. 삭제
KR1020210118489A 2021-09-06 2021-09-06 연속적인 모니터링을 위해 생체 신호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디바이스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576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8489A KR102576828B1 (ko) 2021-09-06 2021-09-06 연속적인 모니터링을 위해 생체 신호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디바이스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8489A KR102576828B1 (ko) 2021-09-06 2021-09-06 연속적인 모니터링을 위해 생체 신호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디바이스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5911A KR20230035911A (ko) 2023-03-14
KR102576828B1 true KR102576828B1 (ko) 2023-09-11

Family

ID=85502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8489A KR102576828B1 (ko) 2021-09-06 2021-09-06 연속적인 모니터링을 위해 생체 신호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디바이스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682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7052B1 (ko) * 2016-05-17 2017-09-1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Ble 통신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5761B1 (ko) * 2015-10-13 2017-11-08 김태평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를 이용하여 환자를 통제하거나 알람을 제공하는 방법, 모니터링 서버, 컴퓨터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7052B1 (ko) * 2016-05-17 2017-09-1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Ble 통신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5911A (ko) 2023-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dhaffar et al. IoT-based health monitoring via LoRaWAN
Touati et al. U-healthcare system: State-of-the-art review and challenges
US10861318B2 (en) Wearable smart router
CN104011764B (zh) 用于远程监控系统中的患者识别的系统和方法
Sawand et al. Multidisciplinary approaches to achieving efficient and trustworthy eHealth monitoring systems
Bouazizi et al. Wireless body area network for e-health applications: Overview
Malik et al. A survey of research in WBAN for biomedical and scientific applications
US20220232298A1 (en) Activity monitoring
Selem et al. E-Health applications over 5G networks: Challenges and state of the art
US20140089007A1 (en) Device to user association in physiological sensor systems
CN116997975A (zh) 多种部分冗余的生物识别感测装置
Keränen et al. IEEE802. 15.6-based multi-accelerometer WBAN system for monitoring Parkinson's disease
Guizani et al. IoT healthcare monitoring systems overview for elderly population
Mkongwa et al. Reliability and quality of service issues in wireless body area networks: a survey
WO2012163864A1 (en) Ecg data monitor
US8461980B2 (en) Wellbeing transponder system
KR102576828B1 (ko) 연속적인 모니터링을 위해 생체 신호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디바이스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vvenuti et al. Non-intrusive patient monitoring of Alzheimer's disease subjects using wireless sensor networks
Shah et al. Recent research on wireless body area networks: a survey
Quarto et al. IoT and CPS applications based on wearable devices. A case study: Monitoring of elderly and infirm patients
KR101717216B1 (ko) 저전력 기반의 바이오 데이터 수집 및 관리 시스템
US20220095992A1 (en) Brain activity monitoring
KR102610503B1 (ko) 디바이스의 무선 연동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Maji et al. An IoT-Based Remote Health Monitoring System for Smart Healthcare: Cardiac Health Monitoring-Based Approach
Manoharan et al. Secured Communication for Remote Bio-Medical Monitoring System Using LoR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