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4485A - 루테늄 선택적 성장을 통한 캐핑층 형성 및 이를 통한 다층막 구조의 euv 펠리클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루테늄 선택적 성장을 통한 캐핑층 형성 및 이를 통한 다층막 구조의 euv 펠리클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4485A
KR20230114485A KR1020220010710A KR20220010710A KR20230114485A KR 20230114485 A KR20230114485 A KR 20230114485A KR 1020220010710 A KR1020220010710 A KR 1020220010710A KR 20220010710 A KR20220010710 A KR 20220010710A KR 20230114485 A KR20230114485 A KR 202301144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n film
layer
film layer
etching
ruthen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0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희
안치원
이용희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220010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4485A/ko
Priority to PCT/KR2023/000675 priority patent/WO2023146179A1/ko
Publication of KR20230114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448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1/00Originals for 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masks, photo-masks, reticles; Mask blanks or pellicles therefor;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Preparation thereof
    • G03F1/62Pellicles, e.g. pellicle assemblies, e.g. having membrane on support frame; Preparation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1/00Originals for 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masks, photo-masks, reticles; Mask blanks or pellicles therefor;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Preparation thereof
    • G03F1/22Masks or mask blanks for imaging by radiation of 100nm or shorter wavelength, e.g. X-ray masks, extreme ultraviolet [EUV] masks; Preparation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eparing Plates And Mask In Photomechanical Proc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열적 특성 및 내구성 특성을 구비하부면서도, 광원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펠리클 멤브레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루테늄 선택적 성장을 통한 캐핑층 형성 및 이를 통한 다층막 구조의 EUV 펠리클 제조방법은, 실리콘 웨이퍼가 준비되고, 제1박막층이 웨이퍼의 상부면에 형성되고 제2박막층이 웨이퍼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제1단계; 극자외선이 투과 가능하도록 투명하게 형성되는 코어층이 제1박막층 상부면에 형성되는 제2단계; 제3박막층이 코어층 상부면에 형성되고, 제4박막층이 제2박막층 하부면에 형성되는 제3단계; 제3박막층 상부면에 산화물 입자가 증착되어 형성된 볼록부와 볼록부 사이의 오목부를 구비하는 증착용패턴층이 형성되는 제4단계; 오목부로 인입된 금속입자가 제3박막층 상부면에 소정의 패턴으로 증착되어 금속패턴층이 형성되고, 증착용패턴층이 제거되는 제5단계; 코어층으로 입사되는 극자외선의 반사율을 감소시키는 캐핑층이 금속패턴층 상부에 형성되는 제6단계; 제5박막층이 캐핑층 상부면에 형성되고, 제6박막층이 제4박막층 하부면에 형성되는 제7단계; 제2박막층과 제4박막층 및 제6박막층의 결합체인 박막층결합체에 대해 패터닝이 수행되는 제8단계; 박막층결합체의 패터닝 형상을 따라 웨이퍼에 대한 식각이 수행되는 제9단계; 및 웨이퍼 하부면의 식각 부위 형상을 따라 제1박막층의 일 부위가 식각되고, 식각에 의해 제5박막층과 제6박막층이 제거되어 펠리클 멤브레인이 형성되는 제10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루테늄 선택적 성장을 통한 캐핑층 형성 및 이를 통한 다층막 구조의 EUV 펠리클 제조방법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EUV PELLICLE BASED ON A CAPPING LAYER CONTAINING RUTHENIUM STRUCTURE AND A MULTILAYER MEMBRANE STRUCTURE}
본 발명은 루테늄 선택적 성장을 통한 캐핑층 형성 및 이를 통한 다층막 구조의 EUV 펠리클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적 특성 및 내구성 특성을 구비하부면서도, 광원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펠리클 멤브레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펠리클은 포토공정 중 포토마스크를 오염물질로부터 보호하여 불량률을 개선하기 위한 보호막으로 기존 불화아르곤 등의 노광장비에서 EUV로 광원이 바뀜에 따라 펠리클도 새로운 소재와 공정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기존 렌즈 투과방식에서는 빛이 한 번만 펠리클을 투과하면 되었으나, 반사 구조인 EUV 장비에서는 빛이 들어왔다가 다시 반사되어 빠져나가 광원 손실이 커질 수 있어, EUV 펠리클은 빛이 2번 통과된 후에도 초기 광량의 88% 이상을 보존할 수 있어야 하고 높은 내구적 특성도 요구된다.
EUV 노광과정에서 펠리클은 빛이 통과 시 순간적으로 가열, 냉각이 반복되기 때문에 열적 특성이 우수해야 하며, 압력 차이 또는 고속이송 과정에서 발생하는 기계적인 충격도 모두 견딜 수 있어야 하는 기술적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26125호(발명의 명칭: EUV 펠리클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에서는, EUV(Extreme Ultraviolet) 투과층; 상기 EUV 투과층의 제1 면 상에 배치된 제1 OoB(out-of-band) 필터층; 상기 EUV 투과층의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 상에 배치된 제2 OoB(out-of-band) 필터층; 상기 EUV 투과층과 상기 제1 OoB 필터층 사이에 지르코늄(Zr)을 포함하는 제3 OoB 필터층; 및 상기 EUV 투과층과 상기 제2 OoB 필터층 사이에 지르코늄(Zr)을 포함하는 제4 OoB 필터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OoB 필터층은 산화지르코늄을 포함하는 EUV 펠리클 구조체가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26125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열적 특성 및 내구성 특성을 구비하부면서도, 광원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펠리클 멤브레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이 목적은, 펠리클 멤브레인에 안정적으로 결합된 루테늄 구조체를 형성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실리콘 웨이퍼가 준비되고, 제1박막층이 상기 웨이퍼의 상부면에 형성되고 제2박막층이 웨이퍼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제1단계; 극자외선이 투과 가능하도록 투명하게 형성되는 코어층이 상기 제1박막층 상부면에 형성되는 제2단계; 제3박막층이 상기 코어층 상부면에 형성되고, 제4박막층이 상기 제2박막층 하부면에 형성되는 제3단계; 상기 제3박막층 상부면에 산화물 입자가 증착되어 형성된 볼록부와 상기 볼록부 사이의 오목부를 구비하는 증착용패턴층이 형성되는 제4단계; 상기 오목부로 인입된 금속입자가 상기 제3박막층 상부면에 소정의 패턴으로 증착되어 금속패턴층이 형성되고, 상기 증착용패턴층이 제거되는 제5단계; 상기 코어층으로 입사되는 극자외선의 반사율을 감소시키는 캐핑층이 상기 금속패턴층 상부에 형성되는 제6단계; 제5박막층이 상기 캐핑층 상부면에 형성되고, 제6박막층이 상기 제4박막층 하부면에 형성되는 제7단계; 상기 제2박막층과 상기 제4박막층 및 상기 제6박막층의 결합체인 박막층결합체에 대해 패터닝이 수행되는 제8단계; 상기 박막층결합체의 패터닝 형상을 따라 상기 웨이퍼에 대한 식각이 수행되는 제9단계; 및 상기 웨이퍼 하부면의 식각 부위 형상을 따라 상기 제1박막층의 일 부위가 식각되고, 식각에 의해 상기 제5박막층과 상기 제6박막층이 제거되어 펠리클 멤브레인이 형성되는 제10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는, 상기 제3박막층 상부면에 상기 산화물 입자를 증착시켜 산화물입자층을 형성시키는 제4-1단계; 및 포토리소그래피(photolithography) 공정으로 상기 산화물입자층에 대한 패터닝을 수행하여 상기 증착용패턴층을 형성시키는 제4-2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는, 상기 증착용패턴층 상에 상기 금속입자를 이용하여 증착을 수행하여 상기 금속패턴층을 형성시키는 제5-1단계; 및 상기 증착용패턴층에 대한 습식식각을 수행하여 상기 증착용패턴층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금속패턴층을 노출시키는 제5-2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산화물 입자는 이산화규소(SiO2)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금속패턴층은 상기 금속입자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그물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금속입자는 루테늄(Ru)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박막층, 상기 제2박막층, 상기 제3박막층 및 상기 제4박막층 각각은, LSN(Low-Stress nitirde) 박막층으로써 LPCVD를 이용하여 증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코어층은 CVD를 이용하여 증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코어층은 SiC 또는 poly-Si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6단계에서, 상기 캐핑층은 ALD(Atomic Layer Deposition) 또는 Sputtering을 이용하여 증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캐핑층은 Metal silicide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8단계에서, 상기 박막층결합체에 대한 패터닝은 포토리소그래피(photolithography) 공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9단계에서, 상기 웨이퍼에 대한 식각은 습식식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0단계는, 상기 제1박막층의 일 부위에 대한 식각이 수행되는 제10-1단계; 및 상기 제5박막층과 상기 제6박막층에 대한 식각이 수행되는 제10-2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0-1단계에서, 상기 제1박막층의 일 부위에 대한 식각을 위한 습식식각은 인산(H3PO4)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0-2단계에서, 상기 제5박막층 및 상기 제6박막층에 대한 식각은 습식식각 또는 건식식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실리콘 웨이퍼가 준비되고, 제1박막층이 상기 웨이퍼의 상부면에 형성되고 제2박막층이 웨이퍼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제1단계; 극자외선이 투과 가능하도록 투명하게 형성되는 코어층이 상기 제1박막층 상부면에 형성되는 제2단계; 제3박막층이 상기 코어층 상부면에 형성되고, 제4박막층이 상기 제2박막층 하부면에 형성되는 제3단계; 상기 제3박막층 상부면에 그래핀이 전사되어 그래핀층이 형성되는 제4단계; 상기 그래핀층 상부면에 금속입자가 소정의 패턴으로 증착되어 금속패턴층이 형성되는 제5단계; 상기 코어층으로 입사되는 극자외선의 반사율을 감소시키는 캐핑층이 상기 금속패턴층 상부에 형성되는 제6단계; 제5박막층이 상기 캐핑층 상부면에 형성되고, 제6박막층이 상기 제4박막층 하부면에 형성되는 제7단계; 상기 제2박막층과 상기 제4박막층 및 상기 제6박막층의 결합체인 박막층결합체에 대해 패터닝이 수행되는 제8단계; 상기 박막층결합체의 패터닝 형상을 따라 상기 웨이퍼에 대한 식각이 수행되는 제9단계; 및 상기 웨이퍼 하부면의 식각 부위 형상을 따라 상기 제1박막층의 일 부위가 식각되고, 식각에 의해 상기 제5박막층과 상기 제6박막층이 제거되어 펠리클 멤브레인이 형성되는 제10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금속패턴층은 상기 금속입자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그물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금속입자는 루테늄(Ru)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효과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펠리클 멤브레인이 극자외선 초기 광량의 88% 이상을 보존하부면서도 다층막으로 형성되어 높은 내구적, 열적 특성을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대면적의 웨이퍼를 이용하여 펠리클을 복수 개 제조할 수 있음으로써, 웨이퍼를 이용한 펠리클 대량 생산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펠리클 멤브레인에 소정의 패턴을 구비하는 루테늄(Ru)의 층을 형성시켜 열방사율을 향상시켜, 고온에 대한 펠리클 멤브레인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조방법의 공정 순서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조방법의 각 단계의 생성물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조방법의 공정 순서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9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조방법의 각 단계의 생성물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한 그래핀층 표면에 대한 AFM 분석 이미지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조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조방법의 공정 순서에 대한 모식도이고,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조방법의 각 단계의 생성물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2의 (a)는 제1단계 수행 후 생성물의 단면도이고, 도 2의 (b)는 제2단계 수행 후 생성물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의 (a)는 제3단계 수행 후 생성물의 단면도이고, 도 3의 (b)는 제4-1단계 수행 후 생성물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4의 (a)는 제4-2단계 수행 후 생성물의 단면도이고, 도 4의 (b)는 제5-1단계 수행 후 생성물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의 (a)는 제5-2단계 수행 후 생성물의 단면도이고, 도 5의 (b)는 제6단계 수행 후 생성물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6의 (a)는 제7단계 수행 후 생성물의 단면도이고, 도 6의 (b)는 제8단계 수행 후 생성물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의 (a)는 제9단계 수행 후 생성물의 단면도이고, 도 7의 (b)는 제10단계 수행 후 생성물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조방법에서는, 도 1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먼저, 제1단계에서, 실리콘 웨이퍼(130)가 준비되고, LSN(Low-Stress nitirde) 박막층인 제1박막층(210)이 웨이퍼(130)의 상부면에 형성되고 LSN(Low-Stress nitirde) 박막층인 제2박막층(220)이 웨이퍼(130)의 하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웨이퍼(130)는 실리콘(Si)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웨이퍼(130)는 원판형으로 직경이 8인치(in)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한 펠리클 멤브레인은 상기와 같은 웨이퍼(130)를 이용하여 복수 개 형성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하나의 웨이퍼(130)로 복수 개의 펠리클 멤브레인을 제조함으로써, 펠리클의 대량 생산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제1박막층(210)과 제2박막층(220) 각각은 LPCVD(Low Pressure Chemical Vapor Deposition)를 이용하여 증착될 수 있다. 저압력에서 진행하는 화학기상 증착방법인 LPCVD 공정은 CVD 공정에 비해 고온에서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박막층(210)은, 하기된 제7단계에서 웨이퍼(130)에 대한 습식식각 중 코어층(110)의 손상을 방지하는 stop layer(식각저지층)로써 작용할 수 있다. 즉, LSN(Low-Stress nitirde) 박막층은 KOH에 대해 식각내성이 있어서 KOH로 실리콘(코어층(110))만 식각이 되고 LSN 박막층을 만나면 식각이 멈추게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박막층(210)과 제2박막층(220) 각각은 박막층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박막층(210)의 두께는 20nm이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박막층(210)의 두께는 20nm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박막층(210)과 제2박막층(220) 각각의 두께가 형성됨으로써, 각각의 박막층의 EUV 투과율이 증대될 수 있다. 그리고, 하기된 바와 같이 제1박막층(210)의 일 부위에 대한 습식식각 시 인산(H3PO4)에 의한 식각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된 제1단계 수행 후 제2단계에서, 극자외선이 투과 가능하도록 투명하게 형성되는 코어층(core layer)(110)이 제1박막층(210) 상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코어층(110)은 CVD를 이용하여 증착될 수 있다.
CVD(chemical vapor deposition)는 화학기상증착법으로, 형성하고자 하는 박막 재료를 구성하는 원소를 포함하는 가스를 기판 위에 공급하여 기상 또는 기판 표면에서의 산화환원반응, 열분해, 광분해 또는 치환 중 어느 하나의 화학적 반응으로 박막을 기판 표면에 형성할 수 있다.
코어층(110)은 SiC(탄화규소) 또는 poly-Si(폴리규소, polysilicon)로 형성될 수 있다. 코어층(110)은 본 발명의 펠리클 멤브레인의 주요 지지층으로써, 극자외선(EUV)에 대한 고투과율을 구비하고, 고내구성을 구비하며, 인산(phosphoric acid) 선택비를 구비할 수 있다.
코어층(110)의 극자외선 투과율은 88%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고내구성을 구비하기 위하여 코어층(110)의 두께는 50nm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코어층(110) EUV 투과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의 (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된 제2단계 수행 후 제3단계에서, LSN(Low-Stress nitirde) 박막층인 제3박막층(230)이 코어층(110) 상부면에 형성되고, LSN(Low-Stress nitirde) 박막층인 제4박막층(240)이 제2박막층(220) 하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3박막층(230)과 제4박막층(240) 각각은 LPCVD(Low Pressure Chemical Vapor Deposition)를 이용하여 증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3박막층(230)과 제4박막층(240)이 형성됨으로써, 극자외선의 환경으로부터 코어층(110)이 보호되며, 본 발명의 펠리클 멤브레인 내 잔류 응력이 제3박막층(23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제3박막층(230)에서 규소(Si)와 질소(N)의 비율을 제어하여 상기된 잔류 응력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3박막층(230)과 제4박막층(240) 각각은 박막층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3박막층(230)의 두께는 20nm이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4박막층(240)의 두께는 20nm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3박막층(230)과 제4박막층(240) 각각의 두께가 형성됨으로써, 각각의 박막층의 EUV 투과율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의 (d)와 (e)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된 제3단계 수행 후 제4단계에서, 제3박막층(230) 상부면에 산화물 입자가 증착되어 형성된 볼록부와 볼록부 사이의 오목부를 구비하는 증착용패턴층(152)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산화물 입자는 이산화규소(SiO2)일 수 있다. 다만, 산화물 입자의 종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산화규소 물질이나, 하기와 같은 패터닝에 용이한 다른 물질이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구체적으로, 제4단계는, 제3박막층(230) 상부면에 산화물 입자를 증착시켜 산화물입자층(151)을 형성시키는 제4-1단계; 및 포토리소그래피(photolithography) 공정으로 산화물입자층(151)에 대한 패터닝을 수행하여 증착용패턴층(152)을 형성시키는 제4-2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d)와 도 3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4-1단계에서는, CVD(chemical vapor deposition)를 이용하여 제3박막층(230) 상부면에 산화물 입자를 증착시켜 산화물입자층(151)을 형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산화물입자층(151)의 형성을 위하여 CVD가 이용된다고 설명하고 있으나, sperttering 등의 PVD(Physical Vapor Deposition)가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제4-2단계에서는,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에 의하여, 산화물입자층(151) 가공용 마스크 상에 설계된 패턴을 산화물입자층(151)에 구현하게 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먼저, 산화물입자층(151)의 상부면에 감광제를 코팅하는 제4-1a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제4-1a단계 수행 후, 패턴이 형성된 산화물입자층(151) 가공용 마스크를 감광제 코팅면 상에 배치시키는 제4-1b단계가 수행될 수 있고, 다음으로, 산화물입자층(151) 가공용 마스크의 패턴에 따라 노출된 감광제 코팅면을 광에 노출시키는 제4-1c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그 후, 감광제가 필요없는 부분을 제거하는 과정인 제4-1d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박막층결합체는 광을 받은 부분과 받지 않은 부분으로 구분되는데, 포지티브 레지스트를 감광제로 사용한 경우 광을 받은 부분은 제거되고 광을 받지 않은 부분은 그래도 남게 되며, 네거티브 레지시트를 감광제로 사용한 경우에는 그 반대일 수 있다.
다음으로, 건식식각 또는 습식식각을 이용하여 박막층결합체에 대한 패터닝을 위한 식각을 수행하는 제4-1e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4-1e단계 이 후, 박막층결합체의 표면에 남아 있는 감광제를 제거하는 제4-1f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감광제의 제거를 위해 황산(H2SO4) 용액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제4-1a단계 내지 제4-1f단계가 수행됨으로써, 산화물입자층(151)에 패터닝이 수행되게 되고, 이에 따라, 패터닝에 의한 볼록부와 오목부가 생성되며, 이와 같은 볼록부와 오목부에 의해 증착용패턴층(152)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의 (f)와 (g)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된 제4단계 수행 후 제5단계에서, 오목부로 인입된 금속입자가 제3박막층(230) 상부면에 소정의 패턴으로 증착되어 금속패턴층(140)이 형성되고, 증착용패턴층(152)이 제거될 수 있다. 여기서, 루테늄(Ru)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5단계는, 증착용패턴층(152) 상에 금속입자를 이용하여 증착을 수행하여 금속패턴층(140)을 형성시키는 제5-1단계; 및 증착용패턴층(152)에 대한 습식식각을 수행하여 증착용패턴층(152)을 제거함으로써 금속패턴층(140)을 노출시키는 제5-2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5-1단계에서, 금속패턴층(140)은 증착용패턴층(152) 상에 ALD(Atomic Layer Deposition)를 이용하여 증착될 수 있다. 그리고, 금속패턴층(140)의 형성을 위한 ALD 공정의 cycle, 공정 온도, 기판 표면처리 방법 또는 전구체 종류와 같은 ALD 공정 조건을 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금속패턴층(140)은 증착용패턴층(152) 상에 ALD(Atomic Layer Deposition)를 이용하여 증착된다고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금속패턴층(140)은 기타 PVD(sputter, evaporator 등)와 같이 루테늄(Ru)을 증착할 수 있는 공정으로 증착될 수 있다.
여기서, 전구체로는 루테늄(Ru)을 포함하는 물질이 이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전구체로써 Ru(EtCp)2, Ru-2 및 Ru-4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이 cycle 수를 제어할 수 있으며, cycle 수는 전구체의 종류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금속패턴층(140)의 형성을 위한 ALD 공정의 공정 온도를 제어할 수 있으며, 공정 온도는 상기와 같은 전구체의 종류 또는 cycle 수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제5-2단계에서, 증착용패턴층(152)의 제거를 위하여 습식식각이 수행될 수 있고, 이 때 식각을 위해 플루오르화수소(HF), 염산(HCl), 질산(HNO3) 등의 식각액이 이용될 수 있다.
제5단계의 수행으로 금속패턴층(140)이 제3박막층(230) 상부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금속패턴층(140)은 상기와 같은 오목부의 패턴을 따라 형성된 것으로써, 금속패턴층(140)은 금속입자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그물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그물구조는 루테늄(Ru) 입자가 선형으로 연결되어 그물의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그물구조는 복수 개의 직선이 교차되는 형상이거나, 또는 직선과 곡선의 조합으로 된 그물의 형상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금속패턴층(140)이 그물구조로 형성됨으로써, 본 발명의 펠리클 멤브레인이 루테늄(Ru) 입자가 구비되면서도 우수한 투과율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금속패턴층(140)의 형상이 그물구조라고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증착용패턴층(152)의 패턴 형상에 따라 다양한 구조의 금속패턴층(14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그물구조로 형성되는 루테늄(Ru)의 너비가 100nm이하인 경우, 루테늄(Ru)의 열방사율은 급격히 증가하게 되며, 루테늄(Ru)의 두께가 3nm로 적용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펠리클 멤브레인의 온도를 1,000℃ 이상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펠리클 멤브레인의 열방사 효율이 증대되어 열에 대한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의 (h)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된 제5단계 수행 후 제6단계에서, 코어층(110)으로 입사되는 극자외선의 반사율을 감소시키는 캐핑층(120)이 금속패턴층(140)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캐핑층(120)은 극자외선에 대해 고방사율 및 저반사율의 광학적 특성을 구비하고, 인산(phosphoric acid) 선택비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캐핑층(120)은 극자외선에 대해 0.1 이상의 방사율을 구비하고 0.05 이하의 반사율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캐핑층(120)은 EUV투과율 88%이상 등의 성능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펠리클 멤브레인으로 조사되는 극자외선의 이용률이 현저히 증가되어 극자외선의 손실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캐핑층(120)은 ALD(Atomic Layer Deposition) 또는 Sputtering을 이용하여 증착될 수 있다. 캐핑층(120)을 형성하기 위하여 Sputtering 외 다른 PVD(Physical Vapor Deposition) 공정을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캐핑층(120)은 Metal silicide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캐핑층(120)은 MoSi2(이산화규소몰리브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캐핑층(120)을 형성하는 소재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EUV 고투과율, 고방사율, 저반사율 성능을 만족하고 수소플라즈마에 내성이 있는 소재중에 인산에 선택비를 갖는 소재는 모두 이용될 수 있다.
제6단계에서, 캐핑층(120)에 대해 열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캐핑층(120)은 열처리 없이 이용될 수도 있으나, 내구성 및 EUV 광학 특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열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캐핑층(120)에 대해 열처리가 수행되는 경우, 열처리 온도는 800℃ 이상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금속패턴층(140) 상부 및 금속패턴층(140)이 형성되지 않은 제3박막층(230) 상부면 일 부위에 캐핑층(120)이 형성된 후에 캐핑층(120)에 대한 열처리가 수행될 수 있으며, 캐핑층(120)에 대한 열처리는 상기와 같은 캐핑층(120)의 증착 공정(ALD, Sputtering 등)이 수행된 장비 내에서 수행될 수도 있고, 외부의 히터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금속패턴층(140)으로 루테늄(Ru) 패턴을 형성시킴으로써, Metal silicide과 루테늄(Ru) 층을 결합시켜, EUVL환경에서 주석(Tin)과 수소 확산(hydrogen diffusion)에 의한 루테늄(Ru) 층의 부풀림(blistering) 현상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펠리클 멤브레인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의 (i)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된 제6단계 수행 후 제7단계에서, 제5박막층(250)이 캐핑층(120) 상부면에 형성되고, 제6박막층(260)이 제4박막층(240) 하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5박막층(250)과 제6박막층(260)이 형성됨으로써, 하기된 제7단계에서의 박막층결합체에 대한 패터닝 또는 하기된 제8단계에서의 습식식각 중에 캐핑층(120)을 보호하기 위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5박막층(250)과 제6박막층(260) 각각은 LSN(Low-Stress nitirde) 박막층, 은(Ag) 코팅층 또는 Parylene(패럴린)같은 고분자막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5박막층(250)과 제6박막층(260)이 LSN(Low-Stress nitirde) 박막층으로 형성되는 경우, 제5박막층(250)과 제6박막층(260) 각각은 LPCVD(Low Pressure Chemical Vapor Deposition)를 이용하여 증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5박막층(250)과 제6박막층(260) 각각은 박막층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5박막층(250)의 두께는 20nm이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6박막층(260)의 두께는 20nm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5박막층(250)과 제6박막층(260) 각각의 두께가 형성됨으로써, 제5박막층(250)과 제6박막층(260)에 대한 습식식각 또는 건식식각 시 식각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의 (j)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된 제7단계 수행 후 제8단계에서, 제2박막층(220)과 제4박막층(240) 및 제6박막층(260)의 결합체인 박막층결합체에 대해 패터닝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박막층결합체에 대한 패터닝은 포토리소그래피(photolithography) 공정으로 수행될 수 있다.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에 의하여, 마스크 상에 설계된 패턴을 박막층결합체에 구현하게 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먼저, 박막층결합체의 하부면에 감광제를 코팅하는 감광제 코팅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감광제 코팅 단계 수행 후, 패턴이 형성된 마스크를 감광제 코팅면 상에 배치시키는 마스크 배치 단계가 수행될 수 있고, 다음으로, 마스크의 패턴에 따라 노출된 감광제 코팅면을 광에 노출시키는 노광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그 후, 감광제가 필요없는 부분을 제거하는 과정인 현상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박막층결합체는 광을 받은 부분과 받지 않은 부분으로 구분되는데, 포지티브 레지스트를 감광제로 사용한 경우 광을 받은 부분은 제거되고 광을 받지 않은 부분은 그래도 남게 되며, 네거티브 레지시트를 감광제로 사용한 경우에는 그 반대일 수 있다.
다음으로, 건식식각 또는 습식식각을 이용하여 박막층결합체에 대한 패터닝을 위한 식각을 수행하는 식각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식각 단계 이 후, 박막층결합체의 표면에 남아 있는 감광제를 제거하는 감광제 제거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감광제의 제거를 위해 황산(H2SO4) 용액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의 (k)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된 제8단계 수행 후 제9단계에서, 박막층결합체의 패터닝 형상을 따라 웨이퍼(130)에 대한 식각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9단계에서, 웨이퍼(130)에 대한 식각은 습식식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웨이퍼(130)에 대한 습식식각은 수산화칼륨(KOH)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8단계의 수행에 따라, 박막층결합체의 패터닝을 따라 웨이퍼(130)의 일 부위가 노출되게 되며, 이와 같은 노출된 웨이퍼(130)의 패턴에 대해 식각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박막층결합체의 패터닝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인 웨이퍼(130)의 일 부위에 대한 식각이 수산화칼륨(KOH)을 이용한 습식식각이라고 설명하고 있으나, 습식식각에 이용되는 물질이 수산화칼륨(KOH)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염산(HCl), 질산(HNO3), 플루오르화수소(HF) 등도 이용될 수 있다.
웨이퍼(130)의 일 부위에 대한 식각에 수산화칼륨(KOH)이 이용되는 경우, 온도 80℃의 물인 용매에 칼륨 30wt%를 용해시켜 식각액을 제조하고, 이와 같은 식각액과 상기된 웨이퍼(130)의 일 부위를 접촉시켜 습식식각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의 (l)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된 제9단계 수행 후 제10단계에서, 웨이퍼(130) 하부면의 식각 부위 형상을 따라 제1박막층(210)의 일 부위가 식각되고, 식각에 의해 제5박막층(250)과 제6박막층(260)이 제거되어, 금속패턴층(140)이 노출되게 형성된 펠리클 멤브레인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0단계는, 제1박막층(210)의 일 부위에 대한 식각이 수행되는 제10-1단계; 및 제5박막층(250) 및 제6박막층(260)에 대한 식각이 수행되는 제10-2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된 제10-1단계와 제10-2단계는, 동시 또는 별도로 수행될 수 있다.
제10-1단계와 제10-2단계가 동시에 수행되는 경우, 제1박막층(210)의 일 부위에 대한 식각과 제5박막층(250) 및 제6박막층(260)의 식각 제거는 습식식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제1박막층(210)의 일 부위에 대한 식각과 제5박막층(250) 및 제6박막층(260)의 식각 제거를 위한 습식식각은 인산(H3PO4)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인산의 농도는 80~90wt%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인산의 농도는 85wt%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인산을 이용한 습식식각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와 같이 캐핑층(120)의 상부면과 코어층(110)의 하부면 각각이 인산에 선택비를 가지기 때문에 stop layer로 사용될 수 있다.
제10-1단계와 제10-2단계가 각각 별도로 수행되는 경우, 먼저, 제10-1단계에서, 상기된 바와 같이 인산(H3PO4)을 이용한 습식식각으로 제1박막층(210)의 일 부위에 대한 식각이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0-2단계에서, 제5박막층(250)과 제6박막층(260)에 대한 습식식각 또는 건식식각이 수행될 수 있다. 제5박막층(250)과 제6박막층(260)은 제9단계에서의 습식식각의 식각액(ex. KOH)에 내성이 있으면서 건식식각 또는 습식식각으로 제거 가능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5박막층(250)과 제6박막층(260) 각각은 은(Ag) 코팅으로 형성되어 제10-2단계에서 질산(HNO3)에 의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또는, 제5박막층(250)과 제6박막층(260) 각각은 Parylene(패럴린)같은 고분자막으로 형성되고, 제10-2단계에서 DRIE 방법으로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박막층(210)의 일 부위에 대한 식각과 제5박막층(250) 및 제6박막층(260)의 식각 제거가 수행됨으로써, 최종적으로 펠리클 멤브레인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본 발명의 펠리클 멤브레인이 형성되는 경우, 캐핑층(120)의 내부에 금속입자(Ru)로 형성된 그물구조가 형성되는 형태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조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조방법의 공정 순서에 대한 모식도이고, 도 9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조방법의 각 단계의 생성물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9의 (a)는 제1단계 수행 후 생성물의 단면도이고, 도 9의 (b)는 제2단계 수행 후 생성물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0의 (a)는 제3단계 수행 후 생성물의 단면도이고, 도 10의 (b)는 제4단계 수행 후 생성물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11의 (a)는 제5단계 수행 후 생성물의 단면도이고, 도 11의 (b)는 제6단계 수행 후 생성물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2의 (a)는 제7단계 수행 후 생성물의 단면도이고, 도 12의 (b)는 제8단계 수행 후 생성물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13의 (a)는 제9단계 수행 후 생성물의 단면도이고, 도 13의 (b)는 제10단계 수행 후 생성물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조방법에서는, 도 8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먼저, 제1단계에서, 실리콘 웨이퍼(130)가 준비되고, LSN(Low-Stress nitirde) 박막층인 제1박막층(210)이 상기 웨이퍼(130)의 상부면에 형성되고 LSN(Low-Stress nitirde) 박막층인 제2박막층(220)이 웨이퍼(130)의 하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웨이퍼(130)는 실리콘(Si)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웨이퍼(130)는 원판형으로 직경이 8인치(in)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한 펠리클 멤브레인은 상기와 같은 웨이퍼(130)를 이용하여 복수 개 형성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하나의 웨이퍼(130)로 복수 개의 펠리클 멤브레인을 제조함으로써, 펠리클의 대량 생산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제1박막층(210)과 제2박막층(220) 각각은 LPCVD(Low Pressure Chemical Vapor Deposition)를 이용하여 증착될 수 있다. 저압력에서 진행하는 화학기상 증착방법인 LPCVD 공정은 CVD 공정에 비해 고온에서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박막층(210)은, 하기된 제7단계에서 웨이퍼(130)에 대한 습식식각 중 코어층(110)의 손상을 방지하는 stop layer(식각저지층)로써 작용할 수 있다. 즉, LSN(Low-Stress nitirde) 박막층은 KOH에 대해 식각내성이 있어서 KOH로 실리콘(코어층(110))만 식각이 되고 LSN 박막층을 만나면 식각이 멈추게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박막층(210)과 제2박막층(220) 각각은 박막층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박막층(210)의 두께는 20nm이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박막층(210)의 두께는 20nm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박막층(210)과 제2박막층(220) 각각의 두께가 형성됨으로써, 각각의 박막층의 EUV 투과율이 증대될 수 있다. 그리고, 하기된 바와 같이 제1박막층(210)의 일 부위에 대한 습식식각 시 인산(H3PO4)에 의한 식각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도 8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된 제1단계 수행 후 제2단계에서, 극자외선이 투과 가능하도록 투명하게 형성되는 코어층(110)이 상기 제1박막층(210) 상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코어층(110)은 CVD를 이용하여 증착될 수 있다.
CVD(chemical vapor deposition)는 화학기상증착법으로, 형성하고자 하는 박막 재료를 구성하는 원소를 포함하는 가스를 기판 위에 공급하여 기상 또는 기판 표면에서의 산화환원반응, 열분해, 광분해 또는 치환 중 어느 하나의 화학적 반응으로 박막을 기판 표면에 형성할 수 있다.
코어층(110)은 SiC(탄화규소) 또는 poly-Si(폴리규소, polysilicon)로 형성될 수 있다. 코어층(110)은 본 발명의 펠리클 멤브레인의 주요 지지층으로써, 극자외선(EUV)에 대한 고투과율을 구비하고, 고내구성을 구비하며, 인산(phosphoric acid) 선택비를 구비할 수 있다.
코어층(110)의 극자외선 투과율은 88%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고내구성을 구비하기 위하여 코어층(110)의 두께는 50nm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코어층(110) EUV 투과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도 8의 (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된 제2단계 수행 후 제3단계에서, LSN(Low-Stress nitirde) 박막층인 제3박막층(230)이 상기 코어층(110) 상부면에 형성되고, LSN(Low-Stress nitirde) 박막층인 제4박막층(240)이 상기 제2박막층(220) 하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3박막층(230)과 제4박막층(240) 각각은 LPCVD(Low Pressure Chemical Vapor Deposition)를 이용하여 증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3박막층(230)과 제4박막층(240)이 형성됨으로써, 극자외선의 환경으로부터 코어층(110)이 보호되며, 본 발명의 펠리클 멤브레인 내 잔류 응력이 제3박막층(23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제3박막층(230)에서 규소(Si)와 질소(N)의 비율을 제어하여 상기된 잔류 응력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3박막층(230)과 제4박막층(240) 각각은 박막층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3박막층(230)의 두께는 20nm이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4박막층(240)의 두께는 20nm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3박막층(230)과 제4박막층(240) 각각의 두께가 형성됨으로써, 각각의 박막층의 EUV 투과율이 증대될 수 있다.
도 8의 (d)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된 제3단계 수행 후 제4단계에서, 제3박막층(230) 상부면에 그래핀이 전사되어 그래핀층(160)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4단계에서는, 먼저, 구리 호일(Cu foil)에 그래핀을 성장시키는 그래핀 성장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그래핀 성장 단계 이 후, 그래핀이 성장한 구리 호일에 PMMA(polymethyl methacrylate)를 스핀코팅하여 PMMA층을 형성하는 PMMA층 형성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PMMA층 형성 단계 이후에는, 구리 호일을 습식식각을 통해 제거하는 구리 제거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식각액으로는 과황산암모늄(APS, Ammonium Persulfate)이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구리 제거 단계 수행 후, 제3박막층(230) 상부면에 그래핀을 전사시킴으로써, 제3박막층(230) 상부면에 그래핀층(160)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공정으로 제3박막층(230) 상부면에 그래핀을 전사시켜 그래핀층(160)을 형성시킨다고 설명하고 있으나, 종래기술의 다른 공정에 의해 제3박막층(230) 상부면에 그래핀을 코팅하여 그래핀층(160)을 형성시킬 수도 있다.
도 8의 (e)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된 제4단계 수행 후 제5단계에서, 그래핀층(160) 상부면에 금속입자가 소정의 패턴으로 증착되어 금속패턴층(140)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5단계에서, 금속패턴층(140)은 금속입자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그물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금속입자는 루테늄(Ru)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래핀층(160)에는, 그래핀 결정립의 경계인 결정 결함으로써 그래핀 결정립계(Grain boundary)가 형성되고, 그래핀층(160)에 대한 루테늄(Ru) 입자의 증착에 의해 그래핀 결정립계의 결함 공간에 루테늄(Ru) 입자가 결합되고, 이와 같은 결정립계에서 루테늄(Ru) 입자가 성장하여 서로 연결되면서 상기와 같은 그물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그래핀층(160)에 대한 금속입자(Ru)의 증착을 위해서, 상기와 같은 금속패턴층(140)은 제3박막층(230) 상부면에 ALD(Atomic Layer Deposition)를 이용하여 증착될 수 있다.
그리고, 금속패턴층(140)의 형성을 위한 ALD 공정의 cycle, 공정 온도, 기판 표면처리 방법 또는 전구체 종류와 같은 ALD 공정 조건을 변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전구체로는 루테늄(Ru)을 포함하는 물질이 이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전구체로써 Ru(EtCp)2, Ru-2 및 Ru-4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이 cycle 수를 제어할 수 있으며, cycle 수는 전구체의 종류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금속패턴층(140)의 형성을 위한 ALD 공정의 공정 온도를 제어할 수 있으며, 공정 온도는 상기와 같은 전구체의 종류 또는 cycle 수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그물구조는 루테늄(Ru) 입자가 선형으로 연결되어 그물의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금속패턴층(140)이 그물구조로 형성됨으로써, 본 발명의 펠리클 멤브레인이 루테늄(Ru) 입자가 구비되면서도 우수한 투과율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그물구조로 형성되는 루테늄(Ru)의 너비가 100nm이하인 경우, 루테늄(Ru)의 열방사율은 급격히 증가하게 되며, 루테늄(Ru)의 두께가 3nm로 적용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펠리클 멤브레인의 온도를 1,000℃ 이상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펠리클 멤브레인의 열방사 효율이 증대되어 열에 대한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8의 (f)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된 제5단계 수행 후 제6단계에서, 코어층(110)으로 입사되는 극자외선의 반사율을 감소시키는 캐핑층(120)이 금속패턴층(140)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캐핑층(120)은 극자외선에 대해 고방사율 및 저반사율의 광학적 특성을 구비하고, 인산(phosphoric acid) 선택비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캐핑층(120)은 극자외선에 대해 0.1 이상의 방사율을 구비하고 0.05 이하의 반사율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캐핑층(120)은 EUV투과율 88%이상 등의 성능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펠리클 멤브레인으로 조사되는 극자외선의 이용률이 현저히 증가되어 극자외선의 손실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캐핑층(120)은 ALD(Atomic Layer Deposition) 또는 Sputtering을 이용하여 증착될 수 있다. 캐핑층(120)을 형성하기 위하여 Sputtering 외 다른 PVD(Physical Vapor Deposition) 공정을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캐핑층(120)은 Metal silicide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캐핑층(120)은 MoSi2(이산화규소몰리브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캐핑층(120)을 형성하는 소재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EUV 고투과율, 고방사율, 저반사율 성능을 만족하고 수소플라즈마에 내성이 있는 소재중에 인산에 선택비를 갖는 소재는 모두 이용될 수 있다.
제6단계에서, 캐핑층(120)에 대해 열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캐핑층(120)은 열처리 없이 이용될 수도 있으나, 내구성 및 EUV 광학 특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열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캐핑층(120)에 대해 열처리가 수행되는 경우, 열처리 온도는 800℃ 이상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금속패턴층(140) 상부 및 금속패턴층(140)이 형성되지 않은 그래핀층(160) 상부면 일 부위에 캐핑층(120)이 형성된 후에 캐핑층(120)에 대한 열처리가 수행될 수 있으며, 캐핑층(120)에 대한 열처리는 상기와 같은 캐핑층(120)의 증착 공정(ALD, Sputtering 등)이 수행된 장비 내에서 수행될 수도 있고, 외부의 히터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금속패턴층(140)으로 루테늄(Ru) 패턴을 형성시킴으로써, Metal silicide과 루테늄(Ru) 층을 결합시켜, EUVL환경에서 주석(Tin)과 수소 확산(hydrogen diffusion)에 의한 루테늄(Ru) 층의 부풀림(blistering) 현상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펠리클 멤브레인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의 (g)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된 제6단계 수행 후 제7단계에서, 제5박막층(250)이 캐핑층(120) 상부면에 형성되고, 제6박막층(260)이 제4박막층(240) 하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5박막층(250)과 제6박막층(260)이 형성됨으로써, 하기된 제7단계에서의 박막층결합체에 대한 패터닝 또는 하기된 제8단계에서의 습식식각 중에 캐핑층(120)을 보호하기 위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5박막층(250)과 제6박막층(260) 각각은 LSN(Low-Stress nitirde) 박막층, 은(Ag) 코팅층 또는 Parylene(패럴린)같은 고분자막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5박막층(250)과 제6박막층(260)이 LSN(Low-Stress nitirde) 박막층으로 형성되는 경우, 제5박막층(250)과 제6박막층(260) 각각은 LPCVD(Low Pressure Chemical Vapor Deposition)를 이용하여 증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5박막층(250)과 제6박막층(260) 각각은 박막층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5박막층(250)의 두께는 20nm이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6박막층(260)의 두께는 20nm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5박막층(250)과 제6박막층(260) 각각의 두께가 형성됨으로써, 제5박막층(250)과 제6박막층(260)에 대한 습식식각 또는 건식식각 시 식각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도 8의 (h)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된 제7단계 수행 후 제8단계에서, 제2박막층(220)과 제4박막층(240) 및 제6박막층(260)의 결합체인 박막층결합체에 대해 패터닝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박막층결합체에 대한 패터닝은 포토리소그래피(photolithography) 공정으로 수행될 수 있다.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에 의하여, 마스크 상에 설계된 패턴을 박막층결합체에 구현하게 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먼저, 박막층결합체의 하부면에 감광제를 코팅하는 감광제 코팅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감광제 코팅 단계 수행 후, 패턴이 형성된 마스크를 감광제 코팅면 상에 배치시키는 마스크 배치 단계가 수행될 수 있고, 다음으로, 마스크의 패턴에 따라 노출된 감광제 코팅면을 광에 노출시키는 노광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그 후, 감광제가 필요없는 부분을 제거하는 과정인 현상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박막층결합체는 광을 받은 부분과 받지 않은 부분으로 구분되는데, 포지티브 레지스트를 감광제로 사용한 경우 광을 받은 부분은 제거되고 광을 받지 않은 부분은 그래도 남게 되며, 네거티브 레지시트를 감광제로 사용한 경우에는 그 반대일 수 있다.
다음으로, 건식식각 또는 습식식각을 이용하여 박막층결합체에 대한 패터닝을 위한 식각을 수행하는 식각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식각 단계 이 후, 박막층결합체의 표면에 남아 있는 감광제를 제거하는 감광제 제거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감광제의 제거를 위해 황산(H2SO4) 용액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8의 (i)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된 제8단계 수행 후 제9단계에서, 박막층결합체의 패터닝 형상을 따라 웨이퍼(130)에 대한 식각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9단계에서, 웨이퍼(130)에 대한 식각은 습식식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웨이퍼(130)에 대한 습식식각은 수산화칼륨(KOH)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8단계의 수행에 따라, 박막층결합체의 패터닝을 따라 웨이퍼(130)의 일 부위가 노출되게 되며, 이와 같은 노출된 웨이퍼(130)의 패턴에 대해 식각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박막층결합체의 패터닝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인 웨이퍼(130)의 일 부위에 대한 식각이 수산화칼륨(KOH)을 이용한 습식식각이라고 설명하고 있으나, 습식식각에 이용되는 물질이 수산화칼륨(KOH)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염산(HCl), 질산(HNO3), 플루오르화수소(HF) 등도 이용될 수 있다.
웨이퍼(130)의 일 부위에 대한 식각에 수산화칼륨(KOH)이 이용되는 경우, 온도 80℃의 물인 용매에 칼륨 30wt%를 용해시켜 식각액을 제조하고, 이와 같은 식각액과 상기된 웨이퍼(130)의 일 부위를 접촉시켜 습식식각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의 (j)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된 제9단계 수행 후 제10단계에서, 웨이퍼(130) 하부면의 식각 부위 형상을 따라 제1박막층(210)의 일 부위가 식각되고, 식각에 의해 제5박막층(250)과 제6박막층(260)이 제거되어 펠리클 멤브레인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0단계는, 제1박막층(210)의 일 부위에 대한 식각이 수행되는 제10-1단계; 및 제5박막층(250) 및 제6박막층(260)에 대한 식각이 수행되는 제10-2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된 제10-1단계와 제10-2단계는, 동시 또는 별도로 수행될 수 있다.
제10-1단계와 제10-2단계가 동시에 수행되는 경우, 제1박막층(210)의 일 부위에 대한 식각과 제5박막층(250) 및 제6박막층(260)의 식각 제거는 습식식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제1박막층(210)의 일 부위에 대한 식각과 제5박막층(250) 및 제6박막층(260)의 식각 제거를 위한 습식식각은 인산(H3PO4)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인산의 농도는 80~90wt%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인산의 농도는 85wt%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인산을 이용한 습식식각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와 같이 캐핑층(120)의 상부면과 코어층(110)의 하부면 각각이 인산에 선택비를 가지기 때문에 stop layer로 사용될 수 있다.
제10-1단계와 제10-2단계가 각각 별도로 수행되는 경우, 먼저, 제10-1단계에서, 상기된 바와 같이 인산(H3PO4)을 이용한 습식식각으로 제1박막층(210)의 일 부위에 대한 식각이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0-2단계에서, 제5박막층(250)과 제6박막층(260)에 대한 습식식각 또는 건식식각이 수행될 수 있다. 제5박막층(250)과 제6박막층(260)은 제9단계에서의 습식식각의 식각액(ex. KOH)에 내성이 있으면서 건식식각 또는 습식식각으로 제거 가능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5박막층(250)과 제6박막층(260) 각각은 은(Ag) 코팅으로 형성되어 제10-2단계에서 질산(HNO3)에 의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또는, 제5박막층(250)과 제6박막층(260) 각각은 Parylene(패럴린)같은 고분자막으로 형성되고, 제10-2단계에서 DRIE 방법으로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박막층(210)의 일 부위에 대한 식각과 제5박막층(250) 및 제6박막층(260)의 식각 제거가 수행됨으로써, 최종적으로 펠리클 멤브레인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본 발명의 펠리클 멤브레인이 형성되는 경우, 캐핑층(120)의 내부에 금속입자(Ru)로 형성된 그물구조가 형성되는 형태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 또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조방법에 따른 공정에 의해 형성된 펠리클 멤브레인; 및 펠리클 멤브레인과 결합하고 펠리클 멤브레인을 지지하는 펠리클 프레임을 포함하는 펠리클을 제조할 수 있다. 펠리클 프레임은 펠리클 멤브레인의 가장자리 형상을 따라 형성되어 펠리클 멤브레인을 고정 지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본 발명의 펠리클 멤브레인은 극자외선 초기 광량의 88% 이상을 보존하면서도 다층막으로 형성되어 높은 내구적, 열적 특성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대면적의 웨이퍼(130)를 이용하여 펠리클을 복수 개 제조할 수 있음으로써, 웨이퍼(130)를 이용한 펠리클 대량 생산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한 그래핀층(160) 표면에 대한 AFM 분석 이미지이다.
구체적으로, 도 14의 (a)는, 그래핀층(160) 상부면에 대한 증착 공정으로써, 전구체를 Ru(EtCp)2로 하고, cycle 수를 100cycle로 하며, 공정 온도를 350℃로 하여 ALD 공정을 수행한 후 그래핀층(160)에 대해 촬상한 AFM이미지이다.
도 14의 (a)에서, a는 그래핀의 결정립계에 증착된 루테늄(Ru)을 지시하고 있으며, b는 그래핀층(160) 일 부위에 대한 라인을 지시하고 있다. 그리고, 도 14의 (b)는, 도 14의 (a)에 표시된 b라인에 대한 그래핀층(160) 단면의 두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또한, 도 15는, 그래핀층(160) 상부면에 대한 증착 공정으로써, 전구체를 Ru(EtCp)2로 하고, cycle 수를 200cycle로 하며, 공정 온도를 350℃로 하여 ALD 공정을 수행한 후 그래핀층(160)에 대해 촬상한 AFM이미지이다.
그리고, 도 16은, 그래핀층(160) 상부면에 대한 증착 공정으로써, 전구체를 Ru(EtCp)2로 하고, cycle 수를 200cycle로 하며, 공정 온도를 300℃로 하여 ALD 공정을 수행한 후 그래핀층(160)에 대해 촬상한 AFM이미지이다.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래핀의 결정립계(Grain Boundary)에서는 결함 공간을 제공하여 그물구조의 패턴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그물구조의 패턴에 의한 공간에 금속입자(Ru)가 증착되어 그물구조의 금속패턴층(140)이 형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5에서, a는 그래핀의 결정립계에 위치한 루테늄(Ru) 입자를 나타내고 b는 그래핀 결정 표면에 위치한 루테늄(Ru) 입자를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도 16에서 a는 그래핀의 결정립계에 위치한 루테늄(Ru) 입자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5와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ALD의 공정 조건 중 온도 조건에 따라 그래핀의 결정립계를 따라 루테늄(Ru) 입자가 성장하면서 그물구조를 형성하는 공정이 불완전할 수 있으며, ALD의 공정 조건을 제어하여 금속패턴층(140)의 그물구조에 대한 형상을 제어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 코어층
120 : 캐핑층
130 : 웨이퍼
140 : 금속패턴층
151 : 산화물입자층
152 : 증착용패턴층
160 : 그래핀층
210 : 제1박막층
220 : 제2박막층
230 : 제3박막층
240 : 제4박막층
250 : 제5박막층
260 : 제6박막층

Claims (19)

  1. 실리콘 웨이퍼가 준비되고, 제1박막층이 상기 웨이퍼의 상부면에 형성되고 제2박막층이 웨이퍼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제1단계;
    극자외선이 투과 가능하도록 투명하게 형성되는 코어층이 상기 제1박막층 상부면에 형성되는 제2단계;
    제3박막층이 상기 코어층 상부면에 형성되고, 제4박막층이 상기 제2박막층 하부면에 형성되는 제3단계;
    상기 제3박막층 상부면에 산화물 입자가 증착되어 형성된 볼록부와 상기 볼록부 사이의 오목부를 구비하는 증착용패턴층이 형성되는 제4단계;
    상기 오목부로 인입된 금속입자가 상기 제3박막층 상부면에 소정의 패턴으로 증착되어 금속패턴층이 형성되고, 상기 증착용패턴층이 제거되는 제5단계;
    상기 코어층으로 입사되는 극자외선의 반사율을 감소시키는 캐핑층이 상기 금속패턴층 상부에 형성되는 제6단계;
    제5박막층이 상기 캐핑층 상부면에 형성되고, 제6박막층이 상기 제4박막층 하부면에 형성되는 제7단계;
    상기 제2박막층과 상기 제4박막층 및 상기 제6박막층의 결합체인 박막층결합체에 대해 패터닝이 수행되는 제8단계;
    상기 박막층결합체의 패터닝 형상을 따라 상기 웨이퍼에 대한 식각이 수행되는 제9단계; 및
    상기 웨이퍼 하부면의 식각 부위 형상을 따라 상기 제1박막층의 일 부위가 식각되고, 식각에 의해 상기 제5박막층과 상기 제6박막층이 제거되어 펠리클 멤브레인이 형성되는 제10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테늄 선택적 성장을 통한 캐핑층 형성 및 이를 통한 다층막 구조의 EUV 펠리클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는,
    상기 제3박막층 상부면에 상기 산화물 입자를 증착시켜 산화물입자층을 형성시키는 제4-1단계; 및
    포토리소그래피(photolithography) 공정으로 상기 산화물입자층에 대한 패터닝을 수행하여 상기 증착용패턴층을 형성시키는 제4-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테늄 선택적 성장을 통한 캐핑층 형성 및 이를 통한 다층막 구조의 EUV 펠리클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는,
    상기 증착용패턴층 상에 상기 금속입자를 이용하여 증착을 수행하여 상기 금속패턴층을 형성시키는 제5-1단계; 및
    상기 증착용패턴층에 대한 습식식각을 수행하여 상기 증착용패턴층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금속패턴층을 노출시키는 제5-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테늄 선택적 성장을 통한 캐핑층 형성 및 이를 통한 다층막 구조의 EUV 펠리클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산화물 입자는 이산화규소(SiO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테늄 선택적 성장을 통한 캐핑층 형성 및 이를 통한 다층막 구조의 EUV 펠리클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금속패턴층은 상기 금속입자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그물 구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테늄 선택적 성장을 통한 캐핑층 형성 및 이를 통한 다층막 구조의 EUV 펠리클 제조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금속입자는 루테늄(Ru)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테늄 선택적 성장을 통한 캐핑층 형성 및 이를 통한 다층막 구조의 EUV 펠리클 제조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박막층, 상기 제2박막층, 상기 제3박막층 및 상기 제4박막층 각각은, LSN(Low-Stress nitirde) 박막층으로써 LPCVD를 이용하여 증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테늄 선택적 성장을 통한 캐핑층 형성 및 이를 통한 다층막 구조의 EUV 펠리클 제조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코어층은 CVD를 이용하여 증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테늄 선택적 성장을 통한 캐핑층 형성 및 이를 통한 다층막 구조의 EUV 펠리클 제조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코어층은 SiC 또는 poly-Si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테늄 선택적 성장을 통한 캐핑층 형성 및 이를 통한 다층막 구조의 EUV 펠리클 제조방법.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6단계에서, 상기 캐핑층은 ALD(Atomic Layer Deposition) 또는 Sputtering을 이용하여 증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테늄 선택적 성장을 통한 캐핑층 형성 및 이를 통한 다층막 구조의 EUV 펠리클 제조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캐핑층은 Metal silicide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테늄 선택적 성장을 통한 캐핑층 형성 및 이를 통한 다층막 구조의 EUV 펠리클 제조방법.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8단계에서, 상기 박막층결합체에 대한 패터닝은 포토리소그래피(photolithography) 공정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테늄 선택적 성장을 통한 캐핑층 형성 및 이를 통한 다층막 구조의 EUV 펠리클 제조방법.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9단계에서, 상기 웨이퍼에 대한 식각은 습식식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테늄 선택적 성장을 통한 캐핑층 형성 및 이를 통한 다층막 구조의 EUV 펠리클 제조방법.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0단계는,
    상기 제1박막층의 일 부위에 대한 식각이 수행되는 제10-1단계; 및
    상기 제5박막층과 상기 제6박막층에 대한 식각이 수행되는 제10-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테늄 선택적 성장을 통한 캐핑층 형성 및 이를 통한 다층막 구조의 EUV 펠리클 제조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10-1단계에서, 상기 제1박막층의 일 부위에 대한 식각을 위한 습식식각은 인산(H3PO4)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테늄 선택적 성장을 통한 캐핑층 형성 및 이를 통한 다층막 구조의 EUV 펠리클 제조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10-2단계에서, 상기 제5박막층 및 상기 제6박막층에 대한 식각은 습식식각 또는 건식식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테늄 선택적 성장을 통한 캐핑층 형성 및 이를 통한 다층막 구조의 EUV 펠리클 제조방법.
  17. 실리콘 웨이퍼가 준비되고, 제1박막층이 상기 웨이퍼의 상부면에 형성되고 제2박막층이 웨이퍼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제1단계;
    극자외선이 투과 가능하도록 투명하게 형성되는 코어층이 상기 제1박막층 상부면에 형성되는 제2단계;
    제3박막층이 상기 코어층 상부면에 형성되고, 제4박막층이 상기 제2박막층 하부면에 형성되는 제3단계;
    상기 제3박막층 상부면에 그래핀이 전사되어 그래핀층이 형성되는 제4단계;
    상기 그래핀층 상부면에 금속입자가 소정의 패턴으로 증착되어 금속패턴층이 형성되는 제5단계;
    상기 코어층으로 입사되는 극자외선의 반사율을 감소시키는 캐핑층이 상기 금속패턴층 상부에 형성되는 제6단계;
    제5박막층이 상기 캐핑층 상부면에 형성되고, 제6박막층이 상기 제4박막층 하부면에 형성되는 제7단계;
    상기 제2박막층과 상기 제4박막층 및 상기 제6박막층의 결합체인 박막층결합체에 대해 패터닝이 수행되는 제8단계;
    상기 박막층결합체의 패터닝 형상을 따라 상기 웨이퍼에 대한 식각이 수행되는 제9단계; 및
    상기 웨이퍼 하부면의 식각 부위 형상을 따라 상기 제1박막층의 일 부위가 식각되고, 식각에 의해 상기 제5박막층과 상기 제6박막층이 제거되어 펠리클 멤브레인이 형성되는 제10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테늄 선택적 성장을 통한 캐핑층 형성 및 이를 통한 다층막 구조의 EUV 펠리클 제조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금속패턴층은 상기 금속입자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그물 구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테늄 선택적 성장을 통한 캐핑층 형성 및 이를 통한 다층막 구조의 EUV 펠리클 제조방법.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금속입자는 루테늄(Ru)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테늄 선택적 성장을 통한 캐핑층 형성 및 이를 통한 다층막 구조의 EUV 펠리클 제조방법.
KR1020220010710A 2022-01-25 2022-01-25 루테늄 선택적 성장을 통한 캐핑층 형성 및 이를 통한 다층막 구조의 euv 펠리클 제조방법 KR2023011448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0710A KR20230114485A (ko) 2022-01-25 2022-01-25 루테늄 선택적 성장을 통한 캐핑층 형성 및 이를 통한 다층막 구조의 euv 펠리클 제조방법
PCT/KR2023/000675 WO2023146179A1 (ko) 2022-01-25 2023-01-13 루테늄 선택적 성장을 통한 캐핑층 형성 및 이를 통한 다층막 구조의 euv 펠리클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0710A KR20230114485A (ko) 2022-01-25 2022-01-25 루테늄 선택적 성장을 통한 캐핑층 형성 및 이를 통한 다층막 구조의 euv 펠리클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4485A true KR20230114485A (ko) 2023-08-01

Family

ID=87471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0710A KR20230114485A (ko) 2022-01-25 2022-01-25 루테늄 선택적 성장을 통한 캐핑층 형성 및 이를 통한 다층막 구조의 euv 펠리클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14485A (ko)
WO (1) WO2023146179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6125B1 (ko) 2016-02-04 2017-04-13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Euv 펠리클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0937B1 (ko) * 2014-04-17 2016-11-3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Euv 리소그래피용 펠리클 및 그 제조방법
JP6518801B2 (ja) * 2017-03-10 2019-05-22 エスアンドエス 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極紫外線リソグラフィ用ペリクル及びその製造方法
EP3404486B1 (en) * 2017-05-15 2021-07-14 IMEC vzw A method for forming a pellicle
KR20190053766A (ko) * 2018-08-24 2019-05-20 주식회사 에스앤에스텍 극자외선 리소그래피용 펠리클 및 그의 제조방법
CA3116145A1 (en) * 2018-10-15 2020-04-23 Asml Netherlands B.V. Method of manufacturing a membrane assembly
KR20200126216A (ko) * 2019-04-29 2020-11-06 주식회사 에스앤에스텍 극자외선 리소그래피용 펠리클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6125B1 (ko) 2016-02-04 2017-04-13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Euv 펠리클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46179A1 (ko) 2023-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30364B2 (ja) 極紫外線リソグラフィ用ペリク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4521753B2 (ja) 反射型マスクの製造方法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TWI776597B (zh) 極紫外線遮罩以及形成極紫外線遮罩之方法
JP6082385B2 (ja) 多層反射膜付き基板、euvリソグラフィー用反射型マスクブランク、euvリソグラフィー用反射型マスクの製造方法、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TW201829310A (zh) 石墨烯膜之製造方法及利用此石墨烯膜之防護薄膜組件之製造方法
US20210096458A1 (en) Pellicle for euv lithograph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O2020175354A1 (ja) 反射型マスクブランク、反射型マスク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20220269165A1 (en) Pellicle membrane
JP4390418B2 (ja) Euv露光用反射型マスクブランクおよびeuv露光用反射型マスク並びに半導体の製造方法
KR102610659B1 (ko) 펠리클
JP2010109336A (ja) 反射型マスクの製造方法
JP2003249434A (ja) 露光用反射型マスクブランク及び露光用反射型マスク
TW202121052A (zh) 用於極紫外光微影的使用氮化硼奈米管之護膜以及其製造方法
JP3806711B2 (ja) 反射型マスクブランク及び反射型マスクの製造方法、並びに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20230114485A (ko) 루테늄 선택적 성장을 통한 캐핑층 형성 및 이를 통한 다층막 구조의 euv 펠리클 제조방법
KR101933739B1 (ko) Euv 리소그래피용 펠리클 제조 방법
KR20230114484A (ko) 금속 나노섬이 포함된 캐핑층을 함유하는 다층막 멤브레인 구조 기반의 euv 펠리클 제조방법
TWI785417B (zh) 用於極紫外光微影的護膜
KR20230114481A (ko) 다층막 멤브레인 구조 기반의 euv 펠리클 제조방법
TW202230019A (zh) Euv微影用反射型光罩基底、euv微影用反射型光罩、及該等之製造方法
KR102514088B1 (ko) 1차원 나노물질을 사용하는 극자외선 리소그래피용 펠리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52908A (ko) 마스크 블랭크, 위상 시프트 마스크 및 반도체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KR20210036770A (ko) 극자외선 리소그래피용 펠리클 및 그의 제조방법
JP7480927B2 (ja) 反射型マスクブランク、反射型マスク、反射型マスクの製造方法
KR20240061663A (ko) Euv 펠리클 제조시 캐핑층을 보호하기 위한 상온공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euv 펠리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