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4459A - 쇼크 업소버 - Google Patents

쇼크 업소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4459A
KR20230114459A KR1020220010630A KR20220010630A KR20230114459A KR 20230114459 A KR20230114459 A KR 20230114459A KR 1020220010630 A KR1020220010630 A KR 1020220010630A KR 20220010630 A KR20220010630 A KR 20220010630A KR 20230114459 A KR20230114459 A KR 202301144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member
piston valve
hole
shock absorber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0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상연
Original Assignee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10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4459A/ko
Priority to US17/871,172 priority patent/US20230235806A1/en
Publication of KR20230114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44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1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liquid only; using a fluid of which the nature is immaterial
    • F16F9/103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moving linearly to and fro in chambers, any throttling effect being immaterial, i.e. damping by viscous shear effect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0Special means providing automatic damping adjustment, i.e. self-adjustment of damping by particular sliding movements of a valve element, other than flexions or displacement of valve discs; Special means providing self-adjustment of spring characteristics
    • F16F9/512Means responsive to load action, i.e. static load on the damper or dynamic fluid pressure changes in the damper, e.g. due to changes in velocity
    • F16F9/5126Piston, or piston-like val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3/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 B60G13/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having dampers dissipating energy, e.g. frictionally
    • B60G13/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having dampers dissipating energy, e.g. frictionally of fluid type
    • B60G13/08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having dampers dissipating energy, e.g. frictionally of fluid type hydraul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3/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 B60G13/14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having dampers accumulating utilisable energy, e.g. compressin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4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 F16F9/348Throttling passages in the form of annular discs or other plate-like elements which may or may not have a spring action, operating in opposite directions or singly, e.g. annular discs positioned on top of the valve or piston bod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48Arrangements for providing different damping effects at different parts of the stroke
    • F16F9/49Stops limiting fluid passage, e.g. hydraulic stops or elastomeric elements inside the cylinder which contribute to changes in fluid dam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20Type of damper
    • B60G2202/24Fluid dam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40Constructional features of dampers and/or springs
    • B60G2206/41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2/00Special physical effects, e.g. nature of damping effects
    • F16F2222/12Fluid damping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크 업소버는 튜브 내에 승강 가능하게 마련된 피스톤 밸브와, 상기 튜브의 하부에 설치된 바디 밸브와, 상기 피스톤 밸브와 상기 바디 밸브 사이에 설치되며 유체가 통과하는 로어 관통공과 상기 로어 관통공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유량의 유체를 통과시키도록 형성된 로어 통과 슬릿을 포함하는 로어 가이드 부재와, 유체가 통과하는 미드 가이드 홀을 가지고 상기 피스톤 밸브와 상기 로어 가이드 부재에 사이에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로어 가이드 부재와 접하면 상기 로어 관통공을 막는 미드 가이드 부재와, 상기 로어 가이드 부재와 상기 미드 가이드 부재 사이에 개재된 제1 탄성 부재, 그리고 상기 피스톤 밸브와 상기 미드 가이드 부재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1 탄성 부재보다 상대적으로 탄성 계수가 큰 제2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쇼크 업소버{SHOCK ABSORBER}
본 발명은 쇼크 업소버(shock absorber)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서스펜션 시스템(suspension system)에 사용되는 쇼크 업소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쇼크 업소버(shock absorber)는 댐퍼(damper)라고도 불리우며, 차량에 설치되어 주행 시 차축이 노면으로부터 받는 충격이나 진동을 흡수 및 완충하기 위한 장치이다.
쇼크 업소버는 오일이 충전된 실린더와, 차체 측에 연결되어 왕복하는 피스톤 로드와, 피스톤 로드의 하단에 결합되어 실린더 내에서 슬라이딩하고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피스톤 밸브, 그리고 실린더의 하단에 설치되어 피스톤 밸브와 마주하는 바디 밸브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실린더 내부는 피스톤 밸브에 의해서 압축 챔버와 인장 챔버로 구획되고, 피스톤 밸브에는 압축 유로 및 인장 유로가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이에 피스톤 밸브는 압축 및 인장 행정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면서 유체의 저항력에 의한 감쇠력이 발생시키게 된다. 또한 피스톤 밸브의 압축 및 인장 행정 시 유체가 바디 밸브를 통과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쇼크 업소버는 차체 각부의 동적 응력을 저감시켜 내구 수명을 증가시키고, 질량의 운동을 억제하여 타이어의 접지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관성력에 의한 자세 변화 등을 억제하여 차량의 운동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지만, 쇼크 업소버가 유체의 압력만을 이용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키게 되면 감쇠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쇼크 업소버의 크기를 크게 키워야만 하므로, 쇼크 업소버의 크기를 컴팩트하게 유지하면서 감쇠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간소한 구성으로 감쇠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쇼크 업소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쇼크 업소버는 내부에 유체가 충진된 튜브(tube)와, 튜브 내에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며 유체가 이동하기 위한 유로를 갖는 피스톤 밸브와, 상기 튜브의 하부에 설치되며 유체가 이동하기 위한 유로를 갖는 바디 밸브와, 상기 피스톤 밸브와 상기 바디 밸브 사이에 설치되며 유체가 통과하는 로어 관통공과 상기 로어 관통공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유량의 유체를 통과시키도록 형성된 로어 통과 슬릿을 포함하는 로어 가이드(lower guide) 부재와, 유체가 통과하는 미드 가이드 홀을 가지고 상기 피스톤 밸브와 상기 로어 가이드 부재에 사이에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로어 가이드 부재와 접하면 상기 로어 관통공을 막는 미드 가이드(mid guide) 부재와, 상기 로어 가이드 부재와 상기 미드 가이드 부재 사이에 개재된 제1 탄성 부재, 그리고 상기 피스톤 밸브와 상기 미드 가이드 부재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1 탄성 부재보다 상대적으로 탄성 계수가 큰 제2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피스톤 밸브가 압축 행정 시 하강하면 상기 피스톤 밸브와 상기 바디 밸브 사이의 유체가 상기 피스톤 밸브의 유로로 이동하거나 상기 로어 가이드 부재의 상기 로어 관통공 및 상기 로어 통과 슬릿을 통해 상기 바디 밸브의 유로로 이동하고, 상기 피스톤 밸브의 하강으로 상기 제1 탄성 부재가 상기 제2 탄성 부재 보다 먼저 압축되면서 상기 미드 가이드 부재가 상기 로어 가이드 부재와 접하면, 상기 로어 가이드 부재의 상기 로어 관통공이 막히면서 상기 바디 밸브의 유로로 이동하는 유체는 상기 로어 통과 슬릿을 통해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피스톤 밸브가 인장 행정 시 상승하면서 상기 제1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로어 가이드 부재에 접촉된 상기 미드 가이드 부재가 상기 로어 가이드 부재로부터 이격되면, 상기 로어 가이드 부재의 상기 로어 관통공이 열리면서 상기 로어 관통공 및 상기 로어 통과 슬릿을 통해 유체가 이동할 수 있다.
상기한 쇼크 업소버는 상기 피스톤 밸브와 상기 제2 탄성 부재 사이에 승강 가능하게 마련된 어퍼 가이드(upper guide)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퍼 가이드 부재는 중심부에 어퍼 가이드 홀이 관통 형성된 상기 어퍼 가이드 바디와, 상기 어퍼 가이드 바디의 일측에 상기 피스톤 밸브와 접촉 가능하도록 상기 피스톤 밸브를 향해 돌출 형성된 복수의 어퍼 가이드 돌기, 그리고 상기 복수의 어퍼 가이드 돌기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어퍼 가이드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쇼크 업소버는 상기 피스톤 밸브를 지지하며 상기 피스톤 밸브를 관통하여 일단부가 돌출된 피스톤 로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가이드 바디의 상기 어퍼 가이드 홀은 상기 피스톤 로드의 일단부가 적어도 일부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스톤 밸브가 압축 행정 시 하강하면 상기 피스톤 밸브와 상기 바디 밸브 사이의 유체가 상기 피스톤 밸브 및 상기 바디 밸브의 유로로 이동하고, 상기 피스톤 밸브의 하강으로 상기 어퍼 가이드 돌기가 상기 피스톤 밸브와 접촉하고 상기 피스톤 로드의 일단부가 상기 어퍼 가이드 홀에 삽입되면, 상기 피스톤 밸브의 유로로 이동하는 유체는 상기 어퍼 가이드 유로를 통해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쇼크 업소버는 내부에 유체가 충진된 제1 튜브와, 상기 제1 튜브 내에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제1 튜브의 내부를 하부의 컴프레션 챔버와 상부의 리바운드 챔버로 구획하며 상기 컴프레션 챔버와 상기 리바운드 챔버 간의 유체 이동을 조절하는 피스톤 밸브와, 상기 제1 튜브를 둘러싸며 상기 제1 튜브와의 사이에서 리저브 챔버를 형성하는 제2 튜브와, 상기 제1 튜브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컴프레션 챔버와 상기 리저브 챔버 간의 유체 이동을 조절하는 바디 밸브와, 상기 피스톤 밸브와 상기 바디 밸브 사이에 설치되며 유체가 통과하는 로어 관통공과 상기 로어 관통공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유량의 유체를 통과시키도록 형성된 로어 통과 슬릿을 포함하는 로어 가이드(lower guide) 부재와, 유체가 통과하는 미드 가이드 홀을 가지고 상기 피스톤 밸브와 상기 로어 가이드 부재 사이에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로어 가이드 부재와 접하면 상기 로어 관통공을 막는 미드 가이드(mid guide) 부재와, 상기 로어 가이드 부재와 상기 미드 가이드 부재 사이에 개재된 제1 탄성 부재, 그리고 상기 피스톤 밸브와 상기 미드 가이드 부재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1 탄성 부재보다 상대적으로 탄성 계수가 큰 제2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피스톤 밸브가 압축 행정 시 하강하면 상기 컴프레션 챔버의 유체가 상기 피스톤 밸브를 거쳐 상기 리바운드 챔버로 이동하거나 상기 로어 가이드 부재의 상기 로어 관통공 및 상기 로어 통과 슬릿을 통해 상기 바디 밸브를 거쳐 상기 리저브 챔버로 이동하고, 상기 피스톤 밸브의 하강으로 상기 제1 탄성 부재가 상기 제2 탄성 부재 보다 먼저 압축되면서 상기 미드 가이드 부재가 상기 로어 가이드 부재와 접하면, 상기 로어 가이드 부재의 상기 로어 관통공이 막히면서 상기 리저브 챔버로 이동하는 유체는 상기 로어 통과 슬릿을 통해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피스톤 밸브가 인장 행정 시 상승하면서 상기 제1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로어 가이드 부재에 접촉된 상기 미드 가이드 부재가 상기 로어 가이드 부재로부터 이격되면, 상기 로어 가이드 부재의 상기 로어 관통공이 열리면서 상기 로어 관통공 및 상기 로어 통과 슬릿을 통해 유체가 이동할 수 있다.
상기한 쇼크 업소버는 상기 피스톤 밸브와 상기 제2 탄성 부재 사이에 승강 가능하게 마련된 어퍼 가이드(upper guide)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퍼 가이드 부재는 중심부에 어퍼 가이드 홀이 관통 형성된 상기 어퍼 가이드 바디와, 상기 어퍼 가이드 바디의 일측에 상기 피스톤 밸브와 접촉 가능하도록 상기 피스톤 밸브를 향해 돌출 형성된 복수의 어퍼 가이드 돌기, 그리고 상기 복수의 어퍼 가이드 돌기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어퍼 가이드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쇼크 업소버는 상기 피스톤 밸브를 지지하며 상기 피스톤 밸브를 관통하여 일단부가 돌출된 피스톤 로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가이드 바디의 상기 어퍼 가이드 홀은 상기 피스톤 로드의 일단부가 적어도 일부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스톤 밸브가 압축 행정 시 하강하면 상기 컴프레션 챔버의 유체가 상기 리바운드 챔버 및 상기 리저브 챔버로 이동하고, 상기 피스톤 밸브의 하강으로 상기 어퍼 가이드 돌기가 상기 피스톤 밸브와 접촉하고 상기 피스톤 로드의 일단부가 상기 어퍼 가이드 홀에 삽입되면, 상기 리바운드 챔버로 이동하는 유체는 상기 어퍼 가이드 유로를 통해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퍼 가이드 부재에는 상기 제2 탄성 부재의 일단을 지지하는 제1 어퍼 지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미드 가이드 부재에는 상기 제2 탄성 부재의 타단을 지지하는 제2 어퍼 지지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어 가이드 부재에는 상기 제1 탄성 부재의 일단을 지지하는 제1 로어 지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미드 가이드 부재에는 상기 제1 탄성 부재의 타단을 지지하는 제2 로어 지지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 부재와 상기 제2 탄성 부재는 서로 직렬로 배치된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 부재는 상기 로어 가이드 부재에 접촉하는 일단에서 상기 미드 가이드 부재에 접촉하는 타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한 쇼크 업소버는 상기 미드 가이드 부재의 외주면에 마련된 피스톤 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드 가이드 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피스톤 링이 삽입되도록 링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쇼크 업소버는 상기 로어 가이드 부재와 상기 바디 밸브 간의 이격 거리를 유지하는 베이스 튜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어 통과 슬릿은 상기 로어 관통공의 일면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어 가이드 부재의 상기 로어 관통공은 원호 형상의 장공(長孔)으로 형성되고, 상기 로어 통과 슬릿은 상기 로어 관통공의 원호의 중심 방향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쇼크 업소버는 간소한 구성으로 감쇠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구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크 업소버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쇼크 업소버의 내부 부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쇼크 업소버의 압축 행정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 5는 도 4의 쇼크 업소버의 감쇠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도 1의 쇼크 업소버의 인장 행정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척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가진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을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발명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복수의 구성 요소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또는 중요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크 업소버(shock absorber)(101)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크 업소버(101)는 댐퍼(damper)라고도 불리우며, 예를 들어 차량에 설치되어 주행 시 차축이 노면으로부터 받는 충격이나 진동을 흡수 및 완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크 업소버(101)는 튜브(200), 피스톤 밸브(300), 바디 밸브(600), 로어 가이드(lower guide) 부재(700), 미드 가이드(mid guide) 부재(500), 제1 탄성 부재(810), 및 제2 탄성 부재(82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크 업소버(101)는 어퍼 가이드(upper guide) 부재(400), 피스톤 로드(310), 피스톤 링(550), 및 베이스 튜브(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쇼프 업소버(101)는 피스톤 너트(320), 바디핀(630), 및 리테이너(64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튜브(200)의 내부에는 유체가 충진된다. 예를 들어, 튜브(200)는 제1 튜브(210)와 제2 튜브(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튜브(210)의 내부에는 후술할 피스톤 밸브(300)가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며, 제1 튜브(210)의 내부는 피스톤 밸브(500)에 의해 컴프레션 챔버(compression chamber)와 리바운드 챔버(rebound chamber)로 구획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스톤 밸브(500)를 기준으로 제1 튜브(210)의 상부는 리바운드 챔버가 되고, 제1 튜브(210)의 하부는 컴프레션 챔버가 될 수 있다. 제2 튜브(220)는 제1 튜브(210)를 이격 공간을 두고 둘러싸며 제1 튜브(210)와의 사이에서 리저브 챔버(reserve chamber)를 형성할 수 있다.
피스톤 밸브(3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튜브(210) 내에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며 제1 튜브(210)의 내부를 하부의 컴프레션 챔버와 상부의 리바운드 챔버로 구획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피스톤 밸브(300)의 내부에는 컴프레션 챔버와 리바운드 챔버 간에 유체가 이동할 수 있도록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즉, 피스톤 밸브(300)는 유체가 통과하기 위한 유로를 가지고 컴프레션 챔버와 리바운드 챔버 간의 유체 이동을 조절할 수 있다.
피스톤 로드(310)는 피스톤 밸브(300)를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스톤 로드(310)의 일단부는 피스톤 밸브(300)를 관통하여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돌출된 피스톤 로드(310)의 일단부는 피스톤 너트(320)에 의해 피스톤 밸브(300)와 결합될 수 있다. 즉, 피스톤 너트(320)는 피스톤 로드(310)로부터 피스톤 밸브(3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피스톤 로드(310)의 돌출된 일단부의 적어도 일부는 후술할 어퍼 가이드 부재(400)의 어퍼 가이드 홀(411)에 삽입될 수 있다.
바디 밸브(600)는 제1 튜브(2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컴프레션 챔버와 리저브 챔버 간의 유체 이동을 조절할 수 있다. 즉, 바디 밸브(600)의 내부에는 컴프레션 챔버와 리저브 챔버 간에 유체가 이동할 수 있도록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디 밸브(600)의 컴프레션 챔버와 대향하는 밑면에는 컴프레션 챔버와 연결되는 바디 밸브 유로(61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바디 밸브(600)의 하부의 리저브 챔버와 대향하는 측면에는 리저브 챔버와 연결되는 바디 연결홀(61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바디 밸브 유로(611)는 바디 연결홀(612)과 연통될 수 있다. 즉, 유체는 바디 밸브 유로(611)와 바디 연결홀(612)을 거쳐 컴프레션 챔버에서 리저브 챔버로 또는 리저브 챔버에서 컴프레션 챔버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바디 밸브 유로(611) 및 바디 연결홀(612)은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리테이너(retainer)(640)는 후술할 로어 가이드 부재(700)와 대향하는 바디 밸브(600)의 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테이너(640)는 바디 밸브(600)의 바디 밸브 유로(611)와 연결되는 관통 구멍을 갖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디핀(630)은 바디 밸브(600)와 리테이너(640)를 관통하여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디핀(630)은 리벳(rivet)일 수 있으며, 리벳팅(riveting) 방법으로 바디 밸브(600)와 리테이너(640)에 체결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바디핀(630)의 일단부에는 헤드가 형성되고 바디핀(630)의 타단부에는 너트가 결합되는 방식으로 체결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압축 행정 시 컴프레션 챔버 내부의 유체가 피스톤 밸브(300)를 통해 리바운드 챔버로 이동하거나 바디 밸브(600)를 통해 리저브 밸브로 이동하면서 충격 또는 진동에 대한 기본적인 감쇠력이 발생될 수 있다.
로어 가이드(lower guide) 부재(700)는 피스톤 밸브(300)와 바디 밸브(60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로어 가이드 부재(700)는 유체가 통과하는 로어 관통공(711)과, 로어 관통공(711)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유량의 유체를 통과시키도록 형성된 로어 통과 슬릿(71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로어 통과 슬릿(712)은 로어 관통공(711)의 일면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어 가이드 부재(700)의 로어 관통공(711)은 원호 형상의 장공(長孔)으로 형성되고, 로어 통과 슬릿(712)은 로어 관통공(711)의 원호의 중심 방향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후술할 미드 가이드 부재(500)가 로어 가이드 부재(700)와 접하면 로어 관통공(711)은 막히게 되고, 로어 관통공(711)의 일 영역에 형성된 로어 통과 슬릿(712)을 통해 소량의 유체가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로어 통과 슬릿(712)으로 이동 가능한 유체의 유량은 로어 관통공(711)으로 이동 가능한 유체의 유량 보다 매우 작다. 즉, 로어 통과 슬릿(712)은 오리피스와 유사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일례로, 로어 관통공(711)과 로어 통과 슬릿(712)은 각각 한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로어 가이드 부재(700)의 후술할 제1 탄성 부재(810)와 대향하는 일면에는 제1 탄성 부재(810)의 일단을 지지하기 위한 제1 로어 지지홈(781)이 형성될 수 있다.
미드 가이드(mid guide) 부재(500)는 유체가 통과하는 미드 가이드 홀(511)을 가지고 피스톤 밸브(300)와 로어 가이드 부재(700) 사이에 승강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미드 가이드 부재(500)는 컴프레션 챔버 내에서 승강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미드 가이드 부재(500)는 후술할 제1 탄성 부재(810)와 후술할 제2 탄성 부재(8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미드 가이드 부재(500)의 외주면에는 후술할 피스톤 링(550)이 삽입되도록 링 수용홈(585)이 형성될 수 있다.
피스톤 링(550)은 미드 가이드 부재(500)의 외주면에 마련되어 미드 가이드 부재(500)의 외주면과 제1 튜브(210)의 내주면 사이의 틈으로 유체가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여 미드 가이드 홀(511)로만 유체가 이동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스톤 링(550)에 의해 제2 탄성 부재(820)가 배치된 영역의 유체는 미드 가이드 부재(500)의 미드 가이드 홀(511)을 통해서만 제1 탄성 부재(510)가 배치된 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피스톤 링(550)은 미드 가이드 부재(500)의 피스톤 링(585)에 수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미드 가이드 부재(500)가 로어 가이드 부재(700)와 접하면 로어 가이드 부재(700)의 로어 관통공(711)을 막게 된다. 이와 같이, 미드 가이드 부재(500)가 로어 가이드 부재(700)의 로어 관통공(711)을 막게 되면, 유체는 로어 통과 슬릿(712)을 통해서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미드 가이드 부재(500)의 후술할 제1 탄성 부재(810)와 대향하는 일면에는 제1 탄성 부재(810)의 타단을 지지하는 제2 로어 지지홈(58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미드 가이드 부재(500)의 후술할 제2 탄성 부재(820)와 대향하는 타면에는 제2 탄성 부재(820)의 타단을 지지하는 제2 어퍼 지지홈(58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후술할 제1 탄성 부재(810)의 일단은 로어 가이드 부재(700)의 제1 로어 지지홈(781)에 지지되고, 제1 탄성 부재(810)의 타단은 미드 가이드 부재(500)의 제2 로어 지지홈(581)에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후술할 제2 탄성 부재(820)의 일단은 후술할 어퍼 가이드 부재(400)의 제1 어퍼 지지홈(482)에 지지되고, 제2 탄성 부재(820)의 타단은 미드 가이드 부재(500)의 제2 어퍼 지지홈(582)에 지지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제1 로어 지지홈(781), 제2 로어 지지홈(581), 제2 어퍼 지지홈(582), 그리고 후술할 제1 어퍼 지지홈(482)은 후술할 제1 탄성 부재(810) 및 제2 탄성 부재(820)가 반복적으로 압축 및 인장되는 과정에서 정위치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탄성 부재(810)는 로어 가이드 부재(700)와 미드 가이드 부재(50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제2 탄성 부재(820)는 피스톤 밸브(300)와 미드 가이드 부재(50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제2 탄성 부재(820)는 후술할 어퍼 가이드 부재(400)와 미드 가이드 부재(500) 사이에 개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탄성 부재(810)와 제2 탄성 부재(820)는 모두 제1 튜브(210) 내의 컴프레션 챔버에 배치되며, 미드 가이드 부재(500)를 사이에 두고 직렬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컴프레션 챔버는 미드 가이드 부재(500)를 기준으로 제1 탄성 부재(810)가 배치된 영역과 제2 탄성 부재(820)가 배치된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제1 탄성 부재(810)와 제2 탄성 부재(820)는 서로 직렬로 배치된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그리고 제2 탄성 부재(820)는 제1 탄성 부재(810)보다 상대적으로 탄성 계수가 클 수 있다. 즉, 제2 탄성 부재(820)의 스프링 상수가 제1 탄성 부재(810)의 스프링 상수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제2 탄성 부재(820)와 제1 탄성 부재(810)에 동시에 압력이 가해지면, 제1 탄성 부재(810)가 먼저 압축된 후에 제2 탄성 부재(820)가 압축될 수 있다.
또한, 제1 탄성 부재(810)는 로어 가이드 부재(700)에 접촉하는 일단에서 미드 가이드 부재(500)에 접촉하는 타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형상의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즉, 제1 탄성 부재(810)는 최대로 압축된 상태의 두께, 즉 최대로 압축된 상태에서 일단부터 타단까지의 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제1 탄성 부재(810)가 미드 가이드 부재(500)와 로어 가이드 부재(700) 사이에 개재됨에도, 미드 가이드 부재(500)와 로어 가이드 부재(700)가 접촉할 수 있는 형상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크 업소버(101)는 제1 탄성 부재(810)와 제2 탄성 부재(820)를 제1 튜브(210)의 컴프레션 챔버의 내부에 배치하여 압축 행정 시 컴프레션 챔버 내부의 유체에 의한 감쇠력 뿐만 아니라 제1 탄성 부재(810)와 제2 탄성 부재(820)에 의한 감쇠력도 활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쇼크 업소버(101)의 압축 행정 시, 제1 탄성 부재(810)와, 제2 탄성 부재(820), 그리고 제1 튜브(210)의 컴프레션 챔버 내부의 유체로부터 감쇠력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쇼크 업소버(101)의 동작 조건 및 쇼크 업소버(101)가 제공해야 할 감쇠력 및 응답 감도 등을 고려하여, 쇼크 업소버(101)의 설계 시 제1 탄성 부재(810)와 제2 탄성 부재(820)의 탄성 계수를 선택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별도의 복잡한 부품의 교체 및 추가 없이 제1 탄성 부재(810) 및 제2 탄성 부재(820)의 변경만으로도 쇼크 업소버(101)의 감쇠력을 조절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크 업소버(101)가 차량에 적용되는 경우, 특정 차고에서 유압력을 발생하여 차량 자세를 효과적으로 안정화시킬 수 있다. 특히 차량이 덜컹거리거나 움푹 패인 지면을 주행할 때, 차량의 자세를 제어하고, 급격한 조향 시 차량의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베이스 튜브(900)는 제1 튜브(210)의 하부에 설치되어 로어 가이드 부재(700)와 바디 밸브(600) 간의 이격 거리를 유지할 수 있다. 즉, 베이스 튜브(900)는 로어 가이드 부재(700)를 바디 밸브(600)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으로 이격시킬 수 있다.
어퍼 가이드(upper guide) 부재(400)는 피스톤 밸브(300)와 제2 탄성 부재(820) 사이에 승강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어퍼 가이드 부재(400)는 피스톤 밸브(300)의 하부와 제2 탄성 부재(820)의 일단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어퍼 가이드 부재(400)는 쇼크 업소버(101)의 압축 행정 시 피스톤 밸브(300)에 의해 가압되면 하방, 즉 바다 밸브(600)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2 탄성 부재(820)를 가압하게 된다. 즉, 어퍼 가이드 부재(400)는 피스톤 밸브(300)의 이동에 따른 압력을 제2 탄성 부재(520)에 전달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어퍼 가이드 부재(400)는 어퍼 가이드 바디(410), 어퍼 가이드 돌기(450), 어퍼 가이드 유로(460)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 가이드 바디(410)는 중심부에 어퍼 가이드 홀(411)이 관통 형성된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어퍼 가이드 바디(410)의 어퍼 가이드 홀(411)은 피스톤 로드(310)의 일단부가 적어도 일부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어퍼 가이드 바디(410)는 외주면이 제1 튜브(210) 내주면을 따라 컴프레션 챔버 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어퍼 가이드 돌기(450)는 어퍼 가이드 바디(410)의 일측에 피스톤 밸브(300)와 접촉 가능하도록 피스톤 밸브(300)를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어퍼 가이드 돌기(450)는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어퍼 가이드 돌기(450)는 어퍼 가이드 홀(411)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피스톤 밸브(300)가 어퍼 가이드 부재(400)를 가압할 때, 어퍼 가이드 돌기(450)의 상부면이 피스톤 밸브(300)와 접촉하게 된다. 이에, 피스톤 밸브(300)와 어퍼 가이드 부재(400)의 접촉 시 접촉 면적으로 줄일 수 있다.
쇼크 업소버(101)의 특성 상 피스톤 밸브(300)의 상하 운동으로 인해 피스톤 밸브(300)와 어퍼 가이드 부재(400)는 빈번하게 접촉하게 되는데, 피스톤 밸브(300)와 어퍼 가이드 부재(400) 간의 접촉 면적을 줄임으로써, 피스톤 밸브(300)와 어퍼 가이드 부재(900) 간의 접촉으로 인해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어퍼 가이드 유로(460)는 복수의 어퍼 가이드 돌기(45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어퍼 가이드 유로(460)는 어퍼 가이드 돌기(450)가 어퍼 가이드 바디(410)로부터 돌출된 높이 차와 복수의 어퍼 가이드 돌기(450) 간의 이격 거리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즉, 어퍼 가이드 돌기(450)가 복수개 형성되면 어퍼 가이드 유로(460)도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어퍼 가이드 유로(460)는 어퍼 가이드 돌기(450) 사이에 형성되어 유체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스톤 밸브(300)의 하강으로 어퍼 가이드 돌기(450)가 피스톤 밸브(300)와 접촉하고 피스톤 로드(310)의 일단부가 어퍼 가이드 홀(411)에 삽입되면, 컴프레션 챔버에서 리바운드 챔버로 이동하는 유체는 어퍼 가이드 유로(460)를 통해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어퍼 가이드 부재(400)의 어퍼 가이드 바디(410)의 타면에는 제2 탄성 부재(820)의 일단을 지지하는 제1 어퍼 지지홈(482)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크 업소버(101)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쇼크 업소버(101)의 압축 행정의 초기 상태를 나타내고, 도 4는 쇼크 업소버(101)의 압축 행정의 후기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크 업소버(101)의 감쇠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그리고 도 6는 쇼크 업소버(101)의 인장 행정 상태를 나타낸다.
먼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 행정 시 피스톤 밸브(300)가 하강을 시작하면 컴프레션 챔버의 유체가 피스톤 밸브(300)를 거쳐 리바운드 챔버로 이동하거나 바디 밸브(600)를 거쳐 리저브 챔버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2 탄성 부재(820)가 배치된 영역의 유체는 어퍼 가이드 부재(400)의 어퍼 가이드 홀(411)을 통해 피스톤 밸브(300)를 거쳐 리바운드 챔버로 이동하다가 피스톤 밸브(300)의 하강으로 피스톤 로드(310)의 일단부가 어퍼 가이드 홀(411)에 삽입되면 어퍼 가이드 돌기(450)가 피스톤 밸브(300)와 접촉하게 되고, 이후 제2 탄성 부재(820)가 배치된 영역의 유체는 어퍼 가이드 부재(400)의 어퍼 가이드 유로(460)를 통해 이동하게 된다.
또한, 제2 탄성 부재(820)가 배치된 영역의 유체는 로어 가이드 부재(700)의 로어 관통공(711) 및 로어 통과 슬릿(712)을 통해 바디 밸브(600)를 거쳐 리저브 챔버로 이동하게 된다.
다음,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 행정 시 피스톤 밸브(300)의 하강이 계속되면 상대적으로 탄성 계수, 즉 스프링 상수가 낮은 제1 탄성 부재(810)가 제2 탄성 부재(820) 보다 먼저 압축되면서 미드 가이드 부재(500)가 로어 가이드 부재(700)와 접촉하게 된다.
이와 같이 미드 가이드 부재(500)가 로어 가이드 부재(700)와 접촉하게 되면 로어 가이드 부재(700)의 로어 관통공(711)이 미드 가이드 부재(500)에 의해 막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피스톤 밸브(300)의 하강이 계속되면, 제2 탄성 부재(820)도 압축되면서, 제2 탄성 부재(820)가 배치된 영역의 유체가 로어 가이드 부재(700)의 로어 통과 슬릿(712)을 통해서만 바디 밸브(600)를 거쳐 리저브 챔버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동작 과정 중에서는, 로어 가이드 부재(700)가 유체를 통과시키는 유로의 면적이 크게 작아지므로, 컴프레션 챔버에 작용하는 유압력이 커지게 되고, 압축 행정 시 해당 스트로크에서의 감쇠력이 크게 상승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크 업소버(101)에서 피스톤 밸브(300)의 변위에 따른 감쇠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구체적으로, 도 5의 A구간이, 앞서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탄성 부재(810)가 압축되고 미드 가이드 부재(500)와 로어 가이드 부재(700)가 접촉하여 로어 가이드 부재(700)의 로어 통과 슬릿(712)을 통해서 유체가 이동하는 동작 상태에 해당된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미드 가이드 부재(500)와 로어 가이드 부재(700)가 접촉된 상태를 나타내는 A구간에서는 감쇠력이 크게 증가됨 확인할 수 있다.
다음,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스톤 밸브(300)가 인장 행정 시 상승하면서 제1 탄성 부재(810)의 탄성력에 의해 미드 가이드 부재(500)가 로어 가이드 부재(700)로부터 이격되면, 로어 가이드 부재(700)의 로어 관통공(711)이 열리면서 로어 관통공(711) 및 로어 통과 슬릿(712)을 통해 유체가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인장 행정 시 제1 탄성 부재(810)가 복원되어 로어 가이드 부재(700)의 로어 관통공(711)이 열리면서 자연스럽게 유체가 유입될 수 있게 되므로, 부압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쇼크 업소버(101)는 간소한 구성으로 감쇠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구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쇼크 업소버(101)는 피스톤 밸브(300), 바디 밸브(600), 로어 가이드 부재(700), 미드 가이드 부재(500), 제1 탄성 부재(810), 및 제2 탄성 부재(820)를 포함한 간소한 구성으로 향상된 감쇠력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쇼크 업소버(101)의 전체적인 구성이 간소화됨에 따라 내구성도 향상되고 높은 생산성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쇼크 업소버(101)의 설계 시 제1 탄성 부재(810)와 제2 탄성 부재(820)의 탄성 계수를 선택적으로 결정할 수 있으므로, 제1 탄성 부재(810) 및 제2 탄성 부재(820)의 변경만으로도 쇼크 업소버(101)의 감쇠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1: 쇼크 업소버 200: 튜브
210: 제1 튜브 220: 제2 튜브
300: 피스톤 밸브 310: 피스톤 로드
400: 어퍼 가이드 부재 410: 어퍼 가이드 바디
411: 어퍼 가이드 홀 450: 어퍼 가이드 돌기
460: 어퍼 가이드 유로 482: 제1 어퍼 지지홈
500: 미드 가이드 부재 511: 미드 가이드 홀
550: 피스톤 링 581: 제2 로어 지지홈
582: 제2 어퍼 지지홈 585: 링 수용홈
600: 바디 밸브 611: 바디 밸브 유로
612: 바디 연결홀 630: 바디핀
640: 리테이너 700: 로어 가이드 부재
711: 로어 관통공 712: 로어 통과 슬릿
781: 제1 로어 지지홈 810: 제1 탄성 부재
820: 제2 탄성 부재 900: 베이스 튜브

Claims (23)

  1. 내부에 유체가 충진된 튜브(tube);
    상기 튜브 내에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며 유체가 이동하기 위한 유로를 갖는 피스톤 밸브;
    상기 튜브의 하부에 설치되며 유체가 이동하기 위한 유로를 갖는 바디 밸브;
    상기 피스톤 밸브와 상기 바디 밸브 사이에 설치되며, 유체가 통과하는 로어 관통공과 상기 로어 관통공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유량의 유체를 통과시키도록 형성된 로어 통과 슬릿을 포함하는 로어 가이드(lower guide) 부재;
    유체가 통과하는 미드 가이드 홀을 가지고 상기 피스톤 밸브와 상기 로어 가이드 부재에 사이에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로어 가이드 부재와 접하면 상기 로어 관통공을 막는 미드 가이드(mid guide) 부재;
    상기 로어 가이드 부재와 상기 미드 가이드 부재 사이에 개재된 제1 탄성 부재; 및
    상기 피스톤 밸브와 상기 미드 가이드 부재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1 탄성 부재보다 상대적으로 탄성 계수가 큰 제2 탄성 부재
    를 포함하는 쇼크 업소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밸브가 압축 행정 시 하강하면 상기 피스톤 밸브와 상기 바디 밸브 사이의 유체가 상기 피스톤 밸브의 유로로 이동하거나 상기 로어 가이드 부재의 상기 로어 관통공 및 상기 로어 통과 슬릿을 통해 상기 바디 밸브의 유로로 이동하고,
    상기 피스톤 밸브의 하강으로 상기 제1 탄성 부재가 상기 제2 탄성 부재 보다 먼저 압축되면서 상기 미드 가이드 부재가 상기 로어 가이드 부재와 접하면, 상기 로어 가이드 부재의 상기 로어 관통공이 막히면서 상기 바디 밸브의 유로로 이동하는 유체는 상기 로어 통과 슬릿을 통해 이동하는 쇼크 업소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밸브가 인장 행정 시 상승하면서 상기 제1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로어 가이드 부재에 접촉된 상기 미드 가이드 부재가 상기 로어 가이드 부재로부터 이격되면, 상기 로어 가이드 부재의 상기 로어 관통공이 열리면서 상기 로어 관통공 및 상기 로어 통과 슬릿을 통해 유체가 이동하는 쇼크 업소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밸브와 상기 제2 탄성 부재 사이에 승강 가능하게 마련된 어퍼 가이드(upper guide) 부재를 더 포함하는 쇼크 업소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가이드 부재는,
    중심부에 어퍼 가이드 홀이 관통 형성된 상기 어퍼 가이드 바디;
    상기 어퍼 가이드 바디의 일측에 상기 피스톤 밸브와 접촉 가능하도록 상기 피스톤 밸브를 향해 돌출 형성된 복수의 어퍼 가이드 돌기; 및
    상기 복수의 어퍼 가이드 돌기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어퍼 가이드 유로
    를 포함하는 쇼크 업소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밸브를 지지하며 상기 피스톤 밸브를 관통하여 일단부가 돌출된 피스톤 로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어퍼 가이드 바디의 상기 어퍼 가이드 홀은 상기 피스톤 로드의 일단부가 적어도 일부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된 쇼크 업소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밸브가 압축 행정 시 하강하면 상기 피스톤 밸브와 상기 바디 밸브 사이의 유체가 상기 피스톤 밸브 및 상기 바디 밸브의 유로로 이동하고,
    상기 피스톤 밸브의 하강으로 상기 어퍼 가이드 돌기가 상기 피스톤 밸브와 접촉하고 상기 피스톤 로드의 일단부가 상기 어퍼 가이드 홀에 삽입되면, 상기 피스톤 밸브의 유로로 이동하는 유체는 상기 어퍼 가이드 유로를 통해 이동하는 쇼크 업소버.
  8. 내부에 유체가 충진된 제1 튜브;
    상기 제1 튜브 내에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제1 튜브의 내부를 하부의 컴프레션 챔버와 상부의 리바운드 챔버로 구획하며 상기 컴프레션 챔버와 상기 리바운드 챔버 간의 유체 이동을 조절하는 피스톤 밸브;
    상기 제1 튜브를 둘러싸며 상기 제1 튜브와의 사이에서 리저브 챔버를 형성하는 제2 튜브;
    상기 제1 튜브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컴프레션 챔버와 상기 리저브 챔버 간의 유체 이동을 조절하는 바디 밸브;
    상기 피스톤 밸브와 상기 바디 밸브 사이에 설치되며, 유체가 통과하는 로어 관통공과 상기 로어 관통공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유량의 유체를 통과시키도록 형성된 로어 통과 슬릿을 포함하는 로어 가이드(lower guide) 부재;
    유체가 통과하는 미드 가이드 홀을 가지고 상기 피스톤 밸브와 상기 로어 가이드 부재 사이에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로어 가이드 부재와 접하면 상기 로어 관통공을 막는 미드 가이드(mid guide) 부재;
    상기 로어 가이드 부재와 상기 미드 가이드 부재 사이에 개재된 제1 탄성 부재; 및
    상기 피스톤 밸브와 상기 미드 가이드 부재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1 탄성 부재보다 상대적으로 탄성 계수가 큰 제2 탄성 부재
    를 포함하는 쇼크 업소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밸브가 압축 행정 시 하강하면 상기 컴프레션 챔버의 유체가 상기 피스톤 밸브를 거쳐 상기 리바운드 챔버로 이동하거나 상기 로어 가이드 부재의 상기 로어 관통공 및 상기 로어 통과 슬릿을 통해 상기 바디 밸브를 거쳐 상기 리저브 챔버로 이동하고,
    상기 피스톤 밸브의 하강으로 상기 제1 탄성 부재가 상기 제2 탄성 부재 보다 먼저 압축되면서 상기 미드 가이드 부재가 상기 로어 가이드 부재와 접하면, 상기 로어 가이드 부재의 상기 로어 관통공이 막히면서 상기 리저브 챔버로 이동하는 유체는 상기 로어 통과 슬릿을 통해 이동하는 쇼크 업소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밸브가 인장 행정 시 상승하면서 상기 제1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로어 가이드 부재에 접촉된 상기 미드 가이드 부재가 상기 로어 가이드 부재로부터 이격되면, 상기 로어 가이드 부재의 상기 로어 관통공이 열리면서 상기 로어 관통공 및 상기 로어 통과 슬릿을 통해 유체가 이동하는 쇼크 업소버.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밸브와 상기 제2 탄성 부재 사이에 승강 가능하게 마련된 어퍼 가이드(upper guide) 부재를 더 포함하는 쇼크 업소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가이드 부재는,
    중심부에 어퍼 가이드 홀이 관통 형성된 상기 어퍼 가이드 바디;
    상기 어퍼 가이드 바디의 일측에 상기 피스톤 밸브와 접촉 가능하도록 상기 피스톤 밸브를 향해 돌출 형성된 복수의 어퍼 가이드 돌기; 및
    상기 복수의 어퍼 가이드 돌기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어퍼 가이드 유로
    를 포함하는 쇼크 업소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밸브를 지지하며 상기 피스톤 밸브를 관통하여 일단부가 돌출된 피스톤 로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어퍼 가이드 바디의 상기 어퍼 가이드 홀은 상기 피스톤 로드의 일단부가 적어도 일부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된 쇼크 업소버.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밸브가 압축 행정 시 하강하면 상기 컴프레션 챔버의 유체가 상기 리바운드 챔버 및 상기 리저브 챔버로 이동하고,
    상기 피스톤 밸브의 하강으로 상기 어퍼 가이드 돌기가 상기 피스톤 밸브와 접촉하고 상기 피스톤 로드의 일단부가 상기 어퍼 가이드 홀에 삽입되면, 상기 리바운드 챔버로 이동하는 유체는 상기 어퍼 가이드 유로를 통해 이동하는 쇼크 업소버.
  15. 제4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가이드 부재에는 상기 제2 탄성 부재의 일단을 지지하는 제1 어퍼 지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미드 가이드 부재에는 상기 제2 탄성 부재의 타단을 지지하는 제2 어퍼 지지홈이 형성된 쇼크 업소버.
  16.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 가이드 부재에는 상기 제1 탄성 부재의 일단을 지지하는 제1 로어 지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미드 가이드 부재에는 상기 제1 탄성 부재의 타단을 지지하는 제2 로어 지지홈이 형성된 쇼크 업소버.
  17.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 부재와 상기 제2 탄성 부재는 서로 직렬로 배치된 코일 스프링인 쇼크 업소버.
  18.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 부재는 상기 로어 가이드 부재에 접촉하는 일단에서 상기 미드 가이드 부재에 접촉하는 타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코일 스프링인 쇼크 업소버.
  19.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미드 가이드 부재의 외주면에 마련된 피스톤 링을 더 포함하는 쇼크 업소버.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미드 가이드 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피스톤 링이 삽입되도록 링 수용홈이 형성된 쇼크 업소버.
  21.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 가이드 부재와 상기 바디 밸브 간의 이격 거리를 유지하는 베이스 튜브를 더 포함하는 쇼크 업소버.
  22.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 통과 슬릿은 상기 로어 관통공의 일면에 함몰 형성된 쇼크 업소버.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 가이드 부재의 상기 로어 관통공은 원호 형상의 장공(長孔)으로 형성되고,
    상기 로어 통과 슬릿은 상기 로어 관통공의 원호의 중심 방향 일면에 형성된 쇼크 업소버.
KR1020220010630A 2022-01-25 2022-01-25 쇼크 업소버 KR2023011445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0630A KR20230114459A (ko) 2022-01-25 2022-01-25 쇼크 업소버
US17/871,172 US20230235806A1 (en) 2022-01-25 2022-07-22 Shock absorb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0630A KR20230114459A (ko) 2022-01-25 2022-01-25 쇼크 업소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4459A true KR20230114459A (ko) 2023-08-01

Family

ID=87313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0630A KR20230114459A (ko) 2022-01-25 2022-01-25 쇼크 업소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30235806A1 (ko)
KR (1) KR20230114459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235806A1 (en) 2023-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41153B2 (en) Valve structure of shock absorber
US8978845B2 (en) Frequency/pressure sensitive shock absorber
US8695766B2 (en) Shock absorber
KR101254287B1 (ko) 가변유로를 갖는 쇽업소버의 밸브 구조
EP2977643A1 (en) Shock absorber
EP3040577B1 (en) Hydraulic shock-absorbing device
KR20160086175A (ko) 감쇠력 가변형 쇽업소버
US9611915B2 (en) Valve structure of shock absorber
JPH0719642U (ja) 車両用緩衝装置
JP2009156418A (ja) 油圧緩衝器の減衰力調整構造
US20220381314A1 (en) Shock absorber
KR20230114459A (ko) 쇼크 업소버
KR102385442B1 (ko) 주파수 감응형 쇽업소버
KR100489417B1 (ko) 차량용 쇽 업소버
US20230287956A1 (en) Shock absorber
KR101276868B1 (ko) 쇽업소버의 바디 밸브 조립체
KR100320807B1 (ko) 쇽 업소버
KR102603934B1 (ko) 쇽 업소버
US20240019011A1 (en) Body valve assembly and frequency sensitive shock absorber having the same
JP4107850B2 (ja) 自動二輪車のフロントフォーク
KR20090100545A (ko) 쇽업소버
KR20200141797A (ko) 쇽업소버
JPS595246Y2 (ja) 車輛用油圧緩衝装置
KR20200109606A (ko) 쇽업소버
KR20200113808A (ko)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