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9606A - 쇽업소버 - Google Patents

쇽업소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9606A
KR20200109606A KR1020190028883A KR20190028883A KR20200109606A KR 20200109606 A KR20200109606 A KR 20200109606A KR 1020190028883 A KR1020190028883 A KR 1020190028883A KR 20190028883 A KR20190028883 A KR 20190028883A KR 20200109606 A KR20200109606 A KR 202001096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rod guide
disk
tension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8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90028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09606A/ko
Publication of KR20200109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96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207Constructional features
    • F16F9/3235Constructional features of cylinders
    • F16F9/3257Constructional features of cylinders in twin-tube type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4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6Special sealings, including sealings or guides for piston-rods
    • F16F9/362Combination of sealing and guide arrangements for piston r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는 내부관과 외부관 사이에 리저버실을 갖는 실린더와, 상기 내부관에 삽입되어 상기 내부관을 인장실과 압축실로 구분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에 연결된 피스톤 로드와, 상기 피스톤 로드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실린더 상부에 결합되는 로드 가이드를 포함하고, 로드 가이드에는, 상기 리저버실과 상기 인장실을 상호 연통시키기 위한 연결유로, 및 압축행정 시에는 상기 압축실의 유체가 상기 리저버실을 거쳐 상기 인장실로 유입되도록 허용하고, 인장행정 시에는 상기 인장실의 유체가 상기 연결유로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키도록 상기 연결유로의 개폐를 제어하는 로드 가이드 체크밸브가 마련되고, 상기 로드 가이드 체크밸브는, 상기 연결유로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도록 설치된 디스크와, 상기 디스크가 상기 연결유로를 밀폐하는 방향으로 상기 디스크를 탄력 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크에는 상기 연결유로가 형성된 로드 가이드의 몸체와의 접촉면 쪽에 마련되는 탄력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탄력부재는 상기 몸체에 접촉시 상기 탄성체에 의해 변형되어 상기 리저버실과 상기 인장실 사이의 기밀을 수행한다.

Description

쇽업소버{SHOCK ABSORBER}
본 발명은 현가장치에 이용되는 쇽업소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쇽업소버는 차체 중량을 지지함과 동시에 노면으로부터 차체로 전해지는 진동을 억제, 감쇄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자동차 현가시스템의 주요 구성요소를 이룬다.
이러한 쇽업소버는 노면불규칙 등에 의한 차륜(바퀴)의 상하 방향 진동에너지를 흡수하여 완화함으로써, 진동이 차체에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쇽업소버는 실린더와 실린더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용되는 피스톤 로드를 포함하며, 실린더는 현가 암 등을 통해 차륜 측에 연결되고 피스톤 로드는 차체 측에 연결되며, 피스톤 로드의 하단에는 피스톤이 연결된다. 이에 따라, 쇽업소버는 차량이 불규칙한 노면을 주행할 때 연속적으로 압축행정(Compression stroke)과 인장행정(Rebound stroke)을 반복적으로 하면서 노면에서 차체로 전해지는 진동을 억제 감쇄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피스톤은 실린더의 내측을 압축실과 인장실로 구획하여 쇽업소버의 신장 및 수축에 따라 작동 유체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는 유로들과 그 유로들의 유량을 제어한다. 피스톤은 디스크의 가압력에 의해 일방향으로 유체가 이동되도록 하되, 쇽업소버의 신장 또는 수축에 따른 챔버 간 압력 차이에 의해 디스크가 유로에 대해 열리거나 닫히게 되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6-0102691호(2006.09.28 공개)
본 발명은 단순한 구조의 체크밸브를 구비하고, 적은 압력에서도 큰 힘을 발생시킬 수 있는 쇽업소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관과 외부관 사이에 리저버실을 갖는 실린더와, 상기 내부관에 삽입되어 상기 내부관을 인장실과 압축실로 구분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에 연결된 피스톤 로드와, 상기 피스톤 로드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실린더 상부에 결합되는 로드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로드 가이드에는, 상기 리저버실과 상기 인장실을 상호 연통시키기 위한 연결유로, 및 압축행정 시에는 상기 압축실의 유체가 상기 리저버실을 거쳐 상기 인장실로 유입되도록 허용하고, 인장행정 시에는 상기 인장실의 유체가 상기 연결유로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키도록 상기 연결유로의 개폐를 제어하는 로드 가이드 체크밸브가 마련되고, 상기 로드 가이드 체크밸브는, 상기 연결유로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도록 설치된 디스크와, 상기 디스크가 상기 연결유로를 밀폐하는 방향으로 상기 디스크를 탄력 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크에는 상기 연결유로가 형성된 로드 가이드의 몸체와의 접촉면 쪽에 마련되는 탄력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탄력부재는 상기 몸체에 접촉시 상기 탄성체에 의해 변형되어 상기 리저버실과 상기 인장실 사이의 기밀을 수행하는 쇽업소버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디스크에는 상기 연결유로의 내면에 끼워지는 돌출부가 마련되어, 상기 디스크가 상기 연결유로가 개방된 상태에서 폐쇄될 때 상기 돌출부에 의해 정위치로 안내되고, 상기 연결유로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크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디스크는 상기 탄성체의 힘을 전달받기 위한 금속재의 환형 디스크몸체가 마련되고, 상기 탄력부재는 상기 디스크몸체의 상기 연결유로 대향면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로드 가이드 체크밸브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로드 가이드에 결합되는 로드 가이드 캡을 포함하고, 상기 로드 가이드 캡에는 상기 인장실과 상기 수용공간을 연통시키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드 가이드는 상기 내부관에 결합되는 소경부와, 상기 외부관에 결합되는 상부 캡에 결합되도록 상기 소경부보다 확장된 직경을 갖는 대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유로는 일단이 상기 리저버실과 연통되도록 상기 대경부에 형성된 수평통로와, 일단이 상기 수평통로의 타단과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인장실과 연통하도록 상기 소경부에 형성된 수직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쇽업소버는 상기 내부관과 상기 외부관 사이에 설치된 세퍼레이트 튜브와, 상기 세퍼레이트 튜브에 결합되어 상기 세퍼레이터 튜브에 의해 형성된 중간실과 연결되는 리바운드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내부관에 결합되어 상기 압축실과 연결되는 컴프레션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한 세미 엑티브 서스펜션(semi-active suspension)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쇽업소버는 상기 쇽업소버는 상기 내부관과 상기 외부관 사이에 설치된 세퍼레이트 튜브와, 상기 세퍼레이트 튜브에 결합되어 상기 세퍼레이터 튜브에 의해 형성된 중간실과 연결되는 리바운드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내부관에 결합되어 상기 압축실과 연결되는 컴프레션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중간실과 연통되는 제1 토출구와 상기 압축실과 연통되는 제2 토출구를 구비한 펌프를 포함한 엑티브 서스펜션(active suspension)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쇽업소버의 인장행정 또는 압축행정 시 피스톤의 수압면적이 증대되어 적은 압력에서 큰 힘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로드 가이드 체크밸브는 로드 가이드와 접촉하는 디스크에 탄성체에 의해 가압 변형되어 접촉면적이 커지는 탄력부재가 마련됨으로써, 리저버실과 인장실 사이의 기밀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디스크에는 연결유로에 끼워지는 돌출부가 마련되어, 연결유로 폐쇄시 돌출부에 의해 디스크가 정위치로 안내될 뿐만 아니라, 연결유로가 폐쇄된 상태에서 진동 등의 환경변화에 의해 디스크가 연결유로 개구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쇽업소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드 가이드 부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쇽업소버의 인장행정 시 유체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쇽업소버의 압축행정 시 유체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쇽업소버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드 가이드 부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쇽업소버(10)는 내부관(21)과 외부관(22)의 이중 구조를 가지며 유체가 채워지는 실린더(20)와, 내부관(21) 내에서 상하로 슬라이딩할 수 있게 설치되며 내부관(21) 내부공간을 인장실(24)과 압축실(25)로 구분하는 피스톤(30)과, 일단이 피스톤(30)에 연결되며 타단이 실린더(20) 외부로 돌출되는 피스톤 로드(40)와, 내부관(21)의 하측에 설치되는 베이스 밸브 조립체(50)와, 실린더(20)의 상측에서 피스톤 로드(4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로드 가이드(60)를 포함한다. 이때, 실린더(20)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상부 캡(11)과 베이스 캡(12)이 결합된다.
외부관(22)과 내부관(21) 사이에는 중간실(26)을 형성하는 세퍼레이트 튜브(23)가 설치된다. 세퍼레이트 튜브(23)에는 피스톤(30)의 인장 행정 시 감쇠력을 가변하기 위한 리바운드 솔레노이드 밸브(13)가 연결된다. 여기서, 중간실(26)은 세퍼레이트 튜브(23)와 내부관(21) 사이 공간을 말한다.
세퍼레이트 튜브(23)에 의해 형성된 중간실(26)은 인장실(24)과 세퍼레이트 튜브(23)에 결합된 리바운드 솔레노이드 밸브(13)를 상호 연통시킨다. 이를 위해, 내부관(21)의 상측에는 인장실(24)과 중간실(26) 사이에서의 유체 흐름을 허용하기 위한 인장실 연통홀(27)이 형성된다.
세퍼레이트 튜브(23) 외측으로는 외부관(22)과 세퍼레이트 튜브(23) 사이에 형성되어, 피스톤(30)의 왕복 운동에 따른 인장실(24)과 압축실(25)의 내부 체적 변화를 보상하는 리저버실(28)이 형성된다.
내부관(21)에는 피스톤(30)의 압축 행정 시 감쇠력을 가변하기 위한 컴프레션 솔레노이드 밸브(14)가 연결되는데, 압축실(25)은 내부관(21) 하측에 형성된 압축실 연통홀(29)을 통해 컴프레션 솔레노이드 밸브(14)와 상호 연통된다.
피스톤(30)은 내부관(21) 안쪽에 배치되어 내부관(21)의 상하를 인장실(24)과 압축실(25)로 구분하고, 피스톤(30)에 결합되어 내부관(21)의 상부로 연장된 피스톤 로드(40)는 로드 가이드(60)를 관통하여 상부 캡(11) 외부로 돌출된다. 여기서, 리저버실(28)은 어큐뮬레이터와 연결된 상태로 유체가 채워지고, 인장실(24), 압축실(25) 및 중간실(26)에도 유체가 채워진다.
피스톤(30)은 실린더(20)의 내부에서 왕복 이동하면서 압축실(25) 또는 인장실(24)에 채워진 유체를 가압한다. 이러한 피스톤(30)에는 피스톤(30)의 왕복 이동 시 인장실(24) 또는 압축실(25) 사이에서의 유체의 유체의 유동을 허용하기 위한 기존 체크밸브 구조를 제거하여 체크밸브를 형성하는 유로에 의한 피스톤(30)의 수압면적 감소를 해소하여 적은 압력에서 큰 힘을 발생하도록 구성한다.
한편, 피스톤(30)에는 피스톤(30)의 급작스런 왕복 이동에 따라 인장실(24) 또는 압축실(25)에서 과도한 압력이 발생하여 허용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인장실(24)과 압축실(25) 사이에서의 유체의 유동을 허용하기 위한 피스톤 인장유로(31)와 피스톤 압축유로(32)가 형성된다.
피스톤 인장유로(31)와 피스톤 압축유로(32)는 각각 입구가 피스톤(30)의 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먼 위치에 위치되고, 출구가 피스톤(30)의 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가까이 위치되도록 피스톤(30)에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때, 피스톤 인장유로(31)의 입구는 인장실(24)과 연통되도록 개구되며 출구는 인장 디스크(33)에 의해 닫힌 상태로 마련되고, 피스톤 압축유로(32)의 입구는 압축실(25)과 연통되도록 개구되며 출구는 압축 디스크(34)에 의해 닫힌 상태로 마련된다.
인장 디스크(33)와 압축 디스크(34)는 각각 링형 디스크가 복수개 적층된 형태로 마련되고, 피스톤 인장유로(31) 또는 피스톤 압축유로(32)를 통해 유입된 유체의 압력에 의해 탄성 변형함에 의해 유체의 유동을 허용한다. 이 경우, 인장 디스크(33)와 압축 디스크(34)는 인장실(24) 또는 압축실(25)에 과도한 압력이 발생한 경우에 변형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이를 통해, 피스톤(30)에는 기존 체크밸브의 구조가 제거됨에 따라 피스톤(30)의 왕복 이동 시 내부관(21)의 내경 전체가 수압면적으로 작용하여 적은 압력에서도 큰 힘을 발생하게 되고, 피스톤(30)의 왕복 이동 시 인장실(24)과 압축실(25) 사이에서의 유체 유동은 로드 가이드(60)에 체크밸브의 기능을 추가함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베이스 캡(12)의 하단으로는 차축과 연결되는 하부 브래킷(15)이 연결되고, 피스톤 로드(40)의 상단에는 차체와 연결되는 상부 브래킷이 구비된다. 그리고 피스톤 로드(40)의 상부측에는 오일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오일씰(16)이 설치된다.
베이스 밸브 조립체(50)는 내부관(21)의 하부에 결합된다. 베이스 밸브 조립체(50)는 외부관(22)과 내부관(21) 사이에 형성되는 리저버실(28)과 내부관(21) 내부를 분리 구획하면서 리저버실(28)과 내부관(21) 내부로의 유체의 유동을 허용하는 유로가 형성된 베이스 밸브바디를 포함한다.
로드 가이드(60)는 피스톤 로드(4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도록 중공(61)을 갖는 원통형상의 몸체(62)를 포함하고, 중공(61) 내주에는 피스톤 로드(40)의 이동 시 마찰을 저감하기 위한 부시(63)가 설치된다. 여기서, 부시(63)는 마찰계수가 적은 재질로 형성된 중공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로드 가이드(60)의 중공(61) 내주에 결합된다.
로드 가이드(60)의 몸체(62)는 단차를 갖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로드 가이드(60)는 내부관(21)의 상측에 결합되는 소경부(62b)와, 소경부(62b)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상부 캡(11)과 결합되는 대경부(62a)로 구성된 몸체(62)를 포함하고, 소경부(62b)의 하측으로는 로드 가이드 캡(66)이 소경부(62b)의 하부를 덮도록 결합된다. 이러한 로드 가이드(60)의 몸체(62)에는 리저버실(28)과 인장실(24)을 연통시키기 위한 연결유로(67)가 형성된다.
연결유로(67)는 로드 가이드(60)의 대경부(62a) 내부에서 로드 가이드(60)의 반경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수평통로(67a)와, 로드 가이드(60)의 소경부(62b) 내부에 형성되되 수평통로(67a)의 단부에서 몸체(62)의 축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수직통로(67b)를 포함한다. 수평통로(67a)는 일단이 외부관(22)과 내부관(21) 사이에 형성된 리저버실(28)과 연통되고, 수직통로(67b)는 일단이 수평통로(67a)의 타단과 연통되며 타단은 인장실(24)과 연통되게 된다. 그리고 수직통로(67b)의 타단에는 수직통로(67b)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유체의 일방향 흐름을 허용하기 위한 로드 가이드 체크밸브(64)가 설치된다.
로드 가이드 체크밸브(64)는 쇽업소버의 압축행정 시 리저버실(28)의 유체가 연결유로(67)를 통해 인장실(24)로 유입되는 것을 허용하고, 쇽업 소버의 인장행정 시에는 인장실(24)의 유체가 연결유로(67)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킨다. 로드 가이드 체크밸브(64)는 탄성 변형 가능한 디스크(64a)와, 디스크(64a)를 지지하면서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체(64b)를 포함한다.
디스크(64a)는 피스톤 로드(40)를 둘러싸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수직통로(67b)의 개구를 폐쇄한다. 이러한 디스크(64a)에는 로드 가이드(60)의 몸체(62)와의 접촉면 쪽에 마련되는 탄력부재(64ab)가 구비되는데, 탄력부재(64ab)는 몸체(62)에 접촉시 탄성체(64b)에 의해 가압 및 변형되어 리저버실(28)과 인장실(24) 사이의 기밀을 수행한다.
디스크(64a)는 탄성체(64b)의 힘을 전달받기 위한 금속재의 환형 디스크몸체(64aa)가 마련되고, 상술한 탄력부재(64ab)는 연결유로(67) 대향면 쪽에서 디스크몸체(64aa)를 둘러싸는 형태로 체결된다. 따라서, 로드 가이드 체크밸브(64)는 로드 가이드(60)와 접촉하는 디스크(64a)에 탄력부재(64ab)가 마련됨으로써, 탄력부재(64ab)의 변형에 의해 리저버실(28)과 인장실(24) 사이의 기밀을 효과적으로 수행한다. 즉, 로드 가이드(60)와 탄력부재(64ab)가 메탈-러버 접촉하므로 탄력부재(64ab)의 변형에 의해 접촉 면적이 증대 되어 연결유로(67)를 안정적으로 밀폐한다.
한편, 탄력부재(64ab)에는 연결유로(67)의 개구에 끼워지는 복수개의 돌출부(64ac)가 탄력부재(64ab) 상부면 가장자리에 소정 간격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돌출부(64ac)는 로드 가이드(60)의 원주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연결유로(67)의 개구와 대응되는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64ac)는 연결유로(67)를 폐쇄할 때 연결유로(67)를 형성하는 로드 가이드(60)의 내면 일측에 접하도록 끼워지므로 디스크(64a)를 정위치로 안내할 뿐만 아니라, 연결유로(67)가 폐쇄된 상태에서 연결유로(67)에 쇽업소버에 가해지는 진동에 의해 디스크(64a)가 연결유로(67)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탄성체(64b)는 디스크(64a)의 하부에 배치되어, 디스크(64a)가 수직통로(67b)를 밀폐하는 방향으로 디스크(64a)를 탄성 가압한다. 탄성체(64b)는 일단이 디스크(64a)에 지지되고, 타단이 로드 가이드 캡(66)에 지지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한다.
디스크(64a)와 탄성체(64b)는 소경부(62b)에 결합되는 로드 가이드 캡(66) 내부 수용공간(65)에 수용된다. 여기서, 수용공간(65)은 로드 가이드 캡(66)의 헤드(66a)와 소경부(62b)의 하단 사이 공간을 의미한다.
로드 가이드 캡(66)은 로드 가이드(60)의 소경부(62b)에 결합되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탄성체(64b)는 양단이 각각 디스크(64a)와 로드 가이드 캡(66)의 헤드(66a)에 지지된다. 이러한 로드 가이드 캡(66)은 측벽(66b) 내주가 소경부(62b)의 외주에 나사결합, 코킹, 압입 등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로드 가이드 캡(66)의 헤드(66a) 중앙에는 피스톤 로드(40)가 관통하는 관통홀(66c)이 형성되고, 로드 가이드 캡(66)의 헤드(66a)에는 로드 가이드 캡(66)의 내부 수용공간(65)과 인장실(24)의 상호 연통을 위해 홀(66d)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피스톤 로드(40)의 외주면에는 피스톤 로드(40)의 상측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피스톤 로드(40)의 이동폭을 제한하는 스토퍼(41)가 구비된다. 스토퍼(41)는 로드 가이드 캡(66)과 충돌 시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쇽업소버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을 참조하면, 쇽업소버의 인장행정 시에는 피스톤 로드(40)가 상승함에 따라 피스톤(30)도 상승한다. 그러면, 인장실(24)에 채워진 유체는 인장실 연통홀(27)을 통해 중간실(26)로 유입되고, 중간실(26)에 유입된 유체는 리바운드 솔레노이드 밸브(13)를 거쳐 리저버실(28)로 유출된 후 베이스 밸브 조립체(50)를 통과하여 압축실(25)로 유입된다. 이때 로드 가이드(60)에 형성된 연결유로(67)는 탄성체(64b)가 가압하는 디스크(64a)에 의해 막혀진 상태이므로 인장실(24) 내의 유체는 연결유로(67)를 통해 리저버실(28)로 유입되지 않는다.
그리고 쇽업소버의 압축행정 시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 로드(40)가 하강함에 따라 피스톤(30)도 하강한다. 그러면, 압축실(25)에 채워진 유체는 압축실 연통홀(29)을 통해 컴프레션 솔레노이드 밸브(14)로 유입된 후 리저버실(28)을 거쳐 로드 가이드(60)에 형성된 연결유로(67)에 유입된다. 그리고, 연결유로(67)에 유입된 유체는 디스크(64a)를 가압하여 하방으로 밀어 열면서 수용공간(65)에 배출된 후 로드 가이드 캡(66)의 홀(66d)을 통해 인장실(24)로 유입된다.
따라서, 쇽업소버의 인장행정 또는 압축행정 시 피스톤(30)을 통한 인장실(24)과 압축실(25) 사이로 유체의 유동이 이루어지지 않아 피스톤(30)의 수압면적이 증대하여 적은 압력에서 큰 힘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쇽업소버, 13: 리바운드 솔레노이드 밸브,
14: 컴프레션 솔레노이드 밸브, 20: 실린더,
21: 내부관, 22: 외부관,
23: 세퍼레이트 튜브, 24: 인장실,
25: 압축실, 26: 중간실,
28: 리저버실, 30: 피스톤,
40: 베이스 밸브 조립체, 60: 로드 가이드,
62: 몸체, 64: 로드 가이드 체크밸브,
64a: 디스크, 64aa: 디스크 몸체
64ab: 탄력부재, 64ac: 돌출부,
64b: 탄성체, 65: 수용공간,
66: 로드 가이드 캡, 67: 연결유로,
67a: 수평통로, 67b: 수직통로,
70: 펌프

Claims (5)

  1. 내부관과 외부관 사이에 리저버실을 갖는 실린더와, 상기 내부관에 삽입되어 상기 내부관을 인장실과 압축실로 구분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에 연결된 피스톤 로드와, 상기 피스톤 로드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실린더 상부에 결합되는 로드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로드 가이드에는, 상기 리저버실과 상기 인장실을 상호 연통시키기 위한 연결유로, 및 압축행정 시에는 상기 압축실의 유체가 상기 리저버실을 거쳐 상기 인장실로 유입되도록 허용하고, 인장행정 시에는 상기 인장실의 유체가 상기 연결유로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키도록 상기 연결유로의 개폐를 제어하는 로드 가이드 체크밸브가 마련되고,
    상기 로드 가이드 체크밸브는, 상기 연결유로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도록 설치된 디스크와, 상기 디스크가 상기 연결유로를 밀폐하는 방향으로 상기 디스크를 탄력 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크에는 상기 연결유로가 형성된 로드 가이드의 몸체와의 접촉면 쪽에 마련되는 탄력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탄력부재는 상기 몸체에 접촉시 상기 탄성체에 의해 변형되어 상기 리저버실과 상기 인장실 사이의 기밀을 수행하는 쇽업소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에는 상기 연결유로의 내면에 끼워지는 돌출부가 마련되어, 상기 디스크가 상기 연결유로가 개방된 상태에서 폐쇄될 때 상기 돌출부에 의해 정위치로 안내되고, 상기 연결유로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크의 이탈이 방지되는 쇽업소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는 상기 탄성체의 힘을 전달받기 위한 금속재의 환형 디스크몸체가 마련되고,
    상기 탄력부재는 상기 디스크몸체의 상기 연결유로 대향면에 체결되는 쇽업소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 가이드 체크밸브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로드 가이드에 결합되는 로드 가이드 캡을 포함하고,
    상기 로드 가이드 캡에는 상기 인장실과 상기 수용공간을 연통시키는 홀이 형성되는 쇽업소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 가이드는 상기 내부관에 결합되는 소경부와, 상기 외부관에 결합되는 상부 캡에 결합되도록 상기 소경부보다 확장된 직경을 갖는 대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유로는 일단이 상기 리저버실과 연통되도록 상기 대경부에 형성된 수평통로와, 일단이 상기 수평통로의 타단과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인장실과 연통하도록 상기 소경부에 형성된 수직통로를 포함하는 쇽업소버.
KR1020190028883A 2019-03-13 2019-03-13 쇽업소버 KR202001096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883A KR20200109606A (ko) 2019-03-13 2019-03-13 쇽업소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883A KR20200109606A (ko) 2019-03-13 2019-03-13 쇽업소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9606A true KR20200109606A (ko) 2020-09-23

Family

ID=72708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8883A KR20200109606A (ko) 2019-03-13 2019-03-13 쇽업소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0960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2691A (ko) 2005-03-24 2006-09-28 주식회사 만도 쇽 업소버의 피스톤 밸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2691A (ko) 2005-03-24 2006-09-28 주식회사 만도 쇽 업소버의 피스톤 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5804B1 (ko) 주파수 및 압력 감응형 쇽업소버
KR101288612B1 (ko) 쇽업소버의 밸브 구조
US5810130A (en) Suspension damper with rebound cut-off
US10030735B2 (en) Pressure damping device
US8418820B2 (en) Shock absorber and its hydraulic stopper
JP2009505024A (ja) 非対称吸込減衰弁
JP2007522418A (ja) ショックアブソーバ用の空気圧比例ダンパ
EP3040577B1 (en) Hydraulic shock-absorbing device
EP2518364A1 (en) Shock absorber
US20020063024A1 (en) Hydraulic shock absorber
TWM575838U (zh) 具有液壓碰撞止動件的減震器
JP2009156418A (ja) 油圧緩衝器の減衰力調整構造
JP2017003017A (ja) 緩衝器
KR101942556B1 (ko) 변위 가변형 댐퍼
JP7109293B2 (ja) 緩衝器
KR102614825B1 (ko) 쇽업소버
US20030015382A1 (en) Hydraulic rebound cut-off for monotube damper
JP5878807B2 (ja) 緩衝装置
KR20200109606A (ko) 쇽업소버
KR101760904B1 (ko) 쇽업소버
JP5136780B2 (ja) 流体圧緩衝器
JP2015197141A (ja) 緩衝器
KR20220159112A (ko) 쇽업소버
KR101276868B1 (ko) 쇽업소버의 바디 밸브 조립체
KR100511623B1 (ko) 자동차용 쇽업소버의 로드가이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