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4290A - Manufacturing method of connected body and connected body - Google Patents

Manufacturing method of connected body and connected bod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4290A
KR20230114290A KR1020237022829A KR20237022829A KR20230114290A KR 20230114290 A KR20230114290 A KR 20230114290A KR 1020237022829 A KR1020237022829 A KR 1020237022829A KR 20237022829 A KR20237022829 A KR 20237022829A KR 20230114290 A KR20230114290 A KR 202301142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substrate
conductive
connected body
adhesive layer
conductive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28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다이스케 시바타
마사키 오와키
마사타카 모치즈키
히로시 모로즈미
Original Assignee
파나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파나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14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429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20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 H01B1/22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the conductive material comprising metals or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01/00Adhesive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9/00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e.g. glue sticks
    • C09J9/02Electrically-conducting adhesiv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14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rising conductive layers or films on insulating-suppo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50Assembly of semiconductor devic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the subgroups H01L21/06 - H01L21/326, e.g. sealing of a cap to a base of a container
    • H01L21/60Attaching or detaching leads or other conductive member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to or from the device in ope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01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arrangement of the conductive interconnection between the connecting lo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Abstract

제조 효율이 우수한 접속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하기의 공정 1 내지 2를 갖는 접속체의 제조 방법. 공정 1: 제1 금속 기재 상에, 접착제와, 수지 코어의 표면에 도전층을 갖는 도전성 입자를 포함하는 도전성 접착제층용 도포액을 도포, 건조시켜서, 도전성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공정. 공정 1에서는, 상기 도전성 접착제층의 평균 두께를 T1[㎛], 상기 도전성 입자의 평균 입자경을 D1[㎛]로 정의한 때에, T1<D1의 관계를 만족시키도록 한다. 공정 2: 상기 도전성 접착제층 상에, 제2 금속 기재를 라미네이트하여, 상기 제1 금속 기재, 상기 도전성 접착제층 및 상기 제2 금속 기재를 이 순서대로 갖는, 접속체를 얻는 공정.A manufacturing method of a connected body having excellent manufacturing efficiency is provided. A manufacturing method of a connected body having the following steps 1 to 2. Step 1: A step of forming a conductive adhesive layer by applying an adhesive and a coating liquid for a conductive adhesive layer containing conductive particles having a conductive layer on the surface of a resin core on a first metal substrate and drying the coating liquid. In Step 1, when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is defined as T1 [μm] and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conductive particles is defined as D1 [μm], the relationship of T1 < D1 is satisfied. Process 2: The process of laminating a 2nd metal substrate on the said conductive adhesive layer, and obtaining the connection body which has the said 1st metal substrate, the said conductive adhesive layer, and the said 2nd metal substrate in this order.

Description

접속체의 제조 방법 및 접속체Manufacturing method of connected body and connected body

본 발명은, 접속체의 제조 방법 및 접속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nnected body and a connected body.

전기 및 전자 기기 등의 재료로서, 2개의 금속 기재를 접착제층을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한 접속체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As a material for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s and the like, a connector electrically connecting two metal substrates via an adhesive layer may be used.

접속체에 사용되는 접착제는, 등방 도전성 접착제 및 이방 도전성 접착제를 들 수 있다.An isotropic conductive adhesive and an anisotropic conductive adhesive are mentioned as the adhesive used for a connection body.

등방 도전성 접착제의 대표예로서, 도전제로서 카본 블랙을 사용한 접착제를 들 수 있다. 등방 도전성 접착제는,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서, 접착제 중에 도전제를 다량으로 포함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등방 도전성 접착제를 사용한 접속체는, 층간 밀착성이 저하되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등방 도전성 접착제를 사용한 접속체는, 저항값을 충분히 낮출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Representative examples of isotropically conductive adhesives include adhesives using carbon black as a conductive agent. An isotropically conductive adhesive needs to contain a large amount of a conductive agent in the adhesive for electrical connection. For this reason, the connection body using an isotropically conductive adhesive has a problem that interlayer adhesiveness tends to fall. In addition, a connection body using an isotropically conductive adhesive has a problem that the resistance value cannot be sufficiently lowered.

이방 도전성 접착제를 사용한 접속체의 대표예로서, 이방 도전 필름(ACF: Anisotropically Conductive Film)을 사용한 접속체를 들 수 있다. ACF는, 금속 입자 및 금속 도금 수지 입자 등의 도전 입자를 균일하게 분산시킨 접착 필름이다.A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a connection body using an anisotropically conductive adhesive, a connection body using an anisotropically conductive film (ACF) is exemplified. ACF is an adhesive film in which conductive particles such as metal particles and metal plating resin particles are uniformly dispersed.

ACF는, 예를 들어 회로 기판 사이에 배치한 후, 가열 및 가압함으로써, 회로 기판 사이의 가압 방향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한편, 가압 방향의 수직 방향에서는 절연성을 확보하는 접속 재료이다.ACF is a connecting material that electrically connects the pressing direction between circuit boards by heating and pressurizing after being disposed between circuit boards, while ensuring insulatio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ressing direction.

ACF를 사용한 접속체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내지 2가 제안되어 있다.As a connection body using ACF, for example, Patent Literatures 1 and 2 are proposed.

일본 특허 공개 제2016-1562호 공보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16-1562 일본 특허 공개 제2019-179647호 공보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19-179647

특허문헌 1 및 2 등의 ACF를 사용한 접속체는, 가압 방향을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이 때문에, ACF를 사용한 접속체는, 접착제 중에 도전 입자를 다량으로 포함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층간 밀착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The connection body using ACF, such as patent document 1 and 2, electrically connects the pressing direction. For this reason, since a connection body using ACF does not need to contain a large amount of conductive particles in the adhesive, an improvement in interlayer adhesion can be expected.

그러나, ACF를 사용한 접속체는, 상면 판과 하면 판의 위치를 맞추는 얼라인먼트 공정 및 얼라인먼트 공정 후의 가열 압착 공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연속적으로 제조할 수 없어, 제조 효율이 떨어지는 것이었다.However, since the connection body using ACF requires an alignment process for aligning the positions of the upper surface plate and the lower surface plate and a heat-pressing process after the alignment process, it cannot be continuously manufactured, and the production efficiency is poor.

본 발명은, 제조 효율이 우수한 접속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간이한 구성에 의해 2개의 금속 기재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접속체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This invention makes it a subject to provide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nnected body excellent in manufacturing efficiency. Moreover,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a subject to provide a connection body capable of electrically connecting two metal substrates with a simple configura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하 [1] 내지 [17]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1] to [17].

[1] 하기의 공정 1∼2를 갖는 접속체의 제조 방법.[1]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nnected body comprising steps 1 to 2 below.

공정 1: 제1 금속 기재 상에, 접착제와, 수지 코어의 표면에 도전층을 갖는 도전성 입자를 포함하는 도전성 접착제층용 도포액을 도포, 건조시켜서, 도전성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공정. 공정 1에서는, 상기 도전성 접착제층의 평균 두께를 T1[㎛], 상기 도전성 입자의 평균 입자경을 D1[㎛]로 정의한 때에, T1<D1의 관계를 만족시키도록 한다.Step 1: A step of forming a conductive adhesive layer by applying an adhesive and a coating liquid for a conductive adhesive layer containing conductive particles having a conductive layer on the surface of a resin core on a first metal substrate and drying the coating liquid. In Step 1, when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is defined as T1 [μm] and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conductive particles is defined as D1 [μm], the relationship of T1 < D1 is satisfied.

공정 2: 상기 도전성 접착제층 상에, 제2 금속 기재를 라미네이트하여, 상기 제1 금속 기재, 상기 도전성 접착제층 및 상기 제2 금속 기재를 이 순으로 갖는, 접속체를 얻는 공정.Process 2: The process of laminating a 2nd metal base material on the said conductive adhesive layer, and obtaining the connection body which has the said 1st metal base material, the said conductive adhesive layer, and the said 2nd metal base material in this order.

[2] 상기 수지 코어의 압축 회복률이 5% 이상 55% 이하인, [1]에 기재된 접속체의 제조 방법.[2] The method for producing a connected body according to [1], wherein the resin core has a compression recovery rate of 5% or more and 55% or less.

[3] 상기 접착제 100질량부에 대하여, 상기 도전성 입자를 0.1질량부 이상 2.0질량부 이하 포함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접속체의 제조 방법.[3] The method for producing a connected body according to [1] or [2], wherein the conductive particles are contained in an amount of 0.1 part by mass or more and 2.0 parts by mass or less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mass of the adhesive.

[4] 공정 1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가, 주제와 경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주제의 유리 전이 온도가 -5℃ 이상인, [1] 내지 [3]의 어느 것에 기재된 접속체의 제조 방법.[4] In Step 1, the method for producing a connected body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3], wherein the adhesive contains a base material and a curing agent, and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base material is -5°C or higher.

[5] 상기 접착제가, 주제와 경화제를 포함하고, 공정 2의 라미네이트 온도를, 상기 주제의 유리 전이 온도 이상으로 하는, [1] 내지 [4]의 어느 것에 기재된 접속체의 제조 방법.[5] The method for producing a connected body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4], wherein the adhesive contains a main agent and a curing agent, and the lamination temperature in step 2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main subject.

[6] 또한, 하기의 공정 3을 갖는, [1] 내지 [5]의 어느 것에 기재된 접속체의 제조 방법.[6]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nnected body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5], which further includes step 3 below.

공정 3: 접속체를 에이징 처리하는 공정.Step 3: A step of aging the connected body.

[7] 공정 3에 있어서, 에이징 처리의 온도를 55℃ 이하로 하는, [6]에 기재된 접속체의 제조 방법.[7] The method for producing a connected body according to [6], wherein in step 3, the temperature of the aging treatment is set to 55°C or less.

[8] 공정 3의 후의 상기 접착제의 유리 전이 온도가 -1℃ 이상인, [6] 또는 [7]에 기재된 접속체의 제조 방법.[8] The method for producing a connected body according to [6] or [7], wherei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adhesive after step 3 is -1°C or higher.

[9] 공정 3의 후의 도전성 접착제층의 평균 두께를 Tn[㎛], 도전성 입자의 두께 방향의 직경의 평균을 Dn[㎛]으로 정의한 때에, Tn≤Dn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6] 내지 [8]의 어느 것에 기재된 접속체의 제조 방법.[9] When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after step 3 is defined as Tn [μm] and the average diameter of the conductive particles in the thickness direction is defined as Dn [μm], the relationship of Tn ≤ Dn is satisfied, [6] to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nnected body according to any one of [8].

[10] 상기 제1 금속 기재의 롤상물로부터 상기 제1 금속 기재를 연속적으로 송출함으로써, 상기 공정 1을 행함과 함께, 상기 제2 금속 기재의 롤상물로부터 상기 제2 금속 기재를 연속적으로 송출함으로써, 상기 공정 2를 행하는, [1] 내지 [9]의 어느 것에 기재된 접속체의 제조 방법.[10] By continuously sending out the first metal substrate from the roll-like product of the first metal substrate, the above step 1 is performed, and by continuously feeding the second metal substrate from the roll-like product of the second metal substrate. ,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nnected body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9], in which step 2 is performed.

[11] 제1 금속 기재, 도전성 접착제층 및 제2 금속 기재를 이 순서대로 갖고, 상기 도전성 접착제층은, 접착제와, 수지 코어의 표면에 도전층을 갖는 도전성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도전성 접착제층의 평균 두께를 Tn[㎛], 상기 도전성 입자의 두께 방향의 직경의 평균을 Dn[㎛]으로 정의한 때에, Dn/Tn이 1.00 초과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접속체.[11] a first metal substrate, a conductive adhesive layer, and a second metal substrate in this order,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including an adhesive and conductive particles having a conductive layer on the surface of a resin core,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A connection body in which Dn/Tn satisfies a relationship of greater than 1.00 when the average thickness of is defined as Tn [μm] and the average of the diameters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conductive particles is defined as Dn [μm].

[12] Dn/Tn이 1.01 이상 1.50 이하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11]에 기재된 접속체.[12] The connected body according to [11], wherein Dn/Tn satisfies the relationship of 1.01 or more and 1.50 or less.

[13] 접속체를 평면에서 본 때의 접속체의 면적을 S, 접속체를 평면에서 본 때의 제1 금속 기재의 면적을 S1, 접속체를 평면에서 본 때의 제2 금속 기재의 면적을 S2로 한 때에, 하기 식 (1) 및 (2)를 만족시키는, [11] 또는 [12]에 기재된 접속체.[13] The area of the connected body when viewed from a plane is S, the area of the first metal substrate when the connected body is viewed from a plane is S1, and the area of the second metal substrate when the connected body is viewed from a plane is The connected body according to [11] or [12], which satisfies the following formulas (1) and (2) when set to S2.

0.99≤S1/S≤1.01 (1)0.99≤S1/S≤1.01 (1)

0.99≤S2/S≤1.01 (2)0.99≤S2/S≤1.01 (2)

[14] 접속체를 평면에서 본 때의 제1 금속 기재의 면적을 S1, 접속체를 평면에서 본 때의 제2 금속 기재의 면적을 S2, 접속체를 평면에서 본 때의 도전성 접착제층의 면적을 S3으로 한 때에, 하기 식 (3) 및 (4)를 만족시키는, [11] 내지 [13]의 어느 것에 기재된 접속체.[14] S1 is the area of the first metal substrate when the connecting body is viewed from a plane, S2 is the area of the second metal substrate when the connecting body is viewed from a plane, and the area of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when the connecting body is viewed from a plane The connected body according to any one of [11] to [13], which satisfies the following formulas (3) and (4) when is set to S3.

1.00≤S1/S3≤1.02 (3)1.00≤S1/S3≤1.02 (3)

1.00≤S2/S3≤1.02 (4)1.00≤S2/S3≤1.02 (4)

[15] 상기 수지 코어의 압축 회복률이 5% 이상 55% 이하인, [11] 내지 [14]의 어느 것에 기재된 접속체.[15] The connected body according to any one of [11] to [14], wherein the resin core has a compression recovery rate of 5% or more and 55% or less.

[16] 상기 접착제 100질량부에 대하여, 상기 도전성 입자를 0.1질량부 이상 2.0질량부 이하 포함하는, [11] 내지 [15]의 어느 것에 기재된 접속체.[16] The connection body according to any of [11] to [15], wherein the conductive particles are contained in an amount of 0.1 part by mass or more and 2.0 parts by mass or less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mass of the adhesive.

[17] 상기 접착제의 유리 전이 온도가 -1℃ 이상인, [11] 내지 [16]의 어느 것에 기재된 접속체.[17] The connected body according to any one of [11] to [16], wherein the adhesive has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1°C or higher.

본 발명의 접속체의 제조 방법은, 접속체를 연속적으로 제조할 수 있고, 제조 효율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접속체는, 간이한 구성에 의해 2개의 금속 기재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nnected body of this invention can manufacture connected bodies continuously and can improve manufacturing efficiency. Further, the connection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lectrically connect two metal substrates with a simple configur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접속체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공정 1의 후의 상태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접속체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공정 2의 후의 상태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접속체의 제조 방법의 일 실시 형태인, 롤 투 롤에서의 제조 방법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one embodiment of a state after step 1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a connected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state after Step 2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a connected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one embodiment of a manufacturing method in roll-to-roll, which is one embodiment of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nnected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접속체의 제조 방법의 실시 형태 및 본 발명의 접속체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nnected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embodiment of a connected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접속체의 제조 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connection body]

본 발명의 접속체의 제조 방법은, 하기의 공정 1∼2를 갖는다.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nnected body of this invention has the following steps 1-2.

공정 1: 제1 금속 기재 상에, 접착제와, 수지 코어의 표면에 도전층을 갖는 도전성 입자를 포함하는 도전성 접착제층용 도포액을 도포, 건조시켜서, 도전성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공정. 공정 1에서는, 상기 도전성 접착제층의 평균 두께를 T1[㎛], 상기 도전성 입자의 평균 입자경을 D1[㎛]로 정의한 때에, T1<D1의 관계를 만족시키도록 한다.Step 1: A step of forming a conductive adhesive layer by applying an adhesive and a coating liquid for a conductive adhesive layer containing conductive particles having a conductive layer on the surface of a resin core on a first metal substrate and drying the coating liquid. In Step 1, when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is defined as T1 [μm] and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conductive particles is defined as D1 [μm], the relationship of T1 < D1 is satisfied.

공정 2: 상기 도전성 접착제층 상에, 제2 금속 기재를 라미네이트하여, 상기 제1 금속 기재, 상기 도전성 접착제층 및 상기 제2 금속 기재를 이 순서대로 갖는, 접속체를 얻는 공정.Process 2: The process of laminating a 2nd metal substrate on the said conductive adhesive layer, and obtaining the connection body which has the said 1st metal substrate, the said conductive adhesive layer, and the said 2nd metal substrate in this order.

<공정 1><Process 1>

공정 1은, 제1 금속 기재 상에, 접착제와, 수지 코어의 표면에 도전층을 갖는 도전성 입자를 포함하는 도전성 접착제층용 도포액을 도포, 건조시켜서, 도전성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공정이다. 공정 1에서는, 상기 도전성 접착제층의 평균 두께를 T1[㎛], 상기 도전성 입자의 평균 입자경을 D1[㎛]로 정의한 때에, T1<D1의 관계를 만족시키도록 하는 것을 요한다.Step 1 is a step of forming a conductive adhesive layer by applying and drying a coating liquid for a conductive adhesive layer containing an adhesive and conductive particles having a conductive layer on the surface of a resin core on a first metal substrate. In Step 1, when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is defined as T1 [μm] and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conductive particles is defined as D1 [μm], it is required to satisfy the relationship of T1 < D1.

도 1은, 공정 1의 후의 상태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state after Step 1.

도 1의 적층체(50)는, 제1 금속 기재(10) 상에 도전성 접착제층(30)을 갖고 있다. 도 1에 있어서, 도전성 접착제층(30)은, 접착제(31) 및 수지 코어의 표면에 도전층을 갖는 도전성 입자(32)를 갖고 있다.The laminate 50 in FIG. 1 has a conductive adhesive layer 30 on the first metal substrate 10 . In FIG. 1 ,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30 has an adhesive 31 and conductive particles 32 having a conductive layer on the surface of a resin core.

공정 1에서는, T1<D1의 관계를 만족시키도록 하는 것을 요한다.In step 1, it is required to satisfy the relationship of T1<D1.

T1<D1의 관계를 만족시킴으로써, 종래의 ACF를 사용한 접속체와 같이, 제조 시에 고온 및 고압에서 처리를 하지 않아도, 간이한 라미네이트 공정에 의해, 제1 금속 기재와 제2 금속 기재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By satisfying the relationship of T1<D1, the first metal substrate and the second metal substrate are electrically electrically bonded by a simple lamination process without processing at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during manufacture, as in conventional ACF-using connectors. can connect

D1과 T1의 비(D1/T1)는, 1.0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5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10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비를 1.03 이상으로 함으로써, 제1 금속 기재와 제2 금속 기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쉽게 할 수 있다.The ratio of D1 to T1 (D1/T1) is preferably 1.03 or more, more preferably 1.05 or more, and still more preferably 1.10 or more. By making the said ratio into 1.03 or more, it can make it easy to electrically connect a 1st metal substrate and a 2nd metal substrate.

D1과 T1의 비(D1/T1)는, 1.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3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2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비를 1.50 이하로 함으로써, 접속체의 층간 밀착성을 쉽게 양호하게 할 수 있다.The ratio of D1 to T1 (D1/T1) is preferably 1.50 or less, more preferably 1.30 or less, and still more preferably 1.20 or less. By making the said ratio into 1.50 or less, the interlayer adhesiveness of a connection body can be easily made good.

D1과 T1의 차(D1-T1)는, 0.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3㎛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4㎛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차를 0.1㎛ 이상으로 함으로써, 제1 금속 기재와 제2 금속 기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쉽게 할 수 있다.The difference between D1 and T1 (D1-T1) is preferably 0.1 μm or more, more preferably 0.3 μm or more, and still more preferably 0.4 μm or more. By making the said difference into 0.1 micrometer or more, it can make it easy to electrically connect a 1st metal substrate and a 2nd metal substrate.

D1과 T1의 차(D1-T1)는,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7㎛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차를 2.0㎛ 이하로 함으로써, 접속체의 층간 밀착성을 쉽게 양호하게 할 수 있다.The difference between D1 and T1 (D1-T1) is preferably 2.0 μm or less, more preferably 1.0 μm or less, and still more preferably 0.7 μm or less. By making the said difference into 2.0 micrometers or less, the interlayer adhesiveness of a connection body can easily be made good.

T1 및 D1의 범위는, T1<D1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이하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ranges of T1 and D1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relationship of T1 < D1 is satisfied, but are preferably within the following ranges.

도전성 접착제층의 평균 두께를 나타내는 T1은, 1.0㎛ 이상 10.0㎛ 이하가 바람직하고, 2.0㎛ 이상 8.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3.0㎛ 이상 6.0㎛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T1을 1.0㎛ 이상으로 함으로써, 접속체의 층간 밀착성을 쉽게 양호하게 할 수 있음과 함께, 제1 금속 기재와 제2 금속 기재가 도전성 입자를 통하지 않고 접촉하는 것을 쉽게 억제할 수 있다. T1을 10.0㎛ 이하로 함으로써, 도전성 접착제층의 도공 안정성을 쉽게 양호하게 할 수 있다.T1 representing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is preferably 1.0 μm or more and 10.0 μm or less, more preferably 2.0 μm or more and 8.0 μm or less, and still more preferably 3.0 μm or more and 6.0 μm or less. By setting T1 to 1.0 μm or more, the interlayer adhesion of the connection body can be easily improved, and contact between the first metal substrate and the second metal substrate without passing through the conductive particles can be easily suppressed. By setting T1 to 10.0 μm or less, the coating stability of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can be easily improved.

도전성 입자의 평균 입자경을 나타내는 D1은, 1.5㎛ 이상 12.0㎛ 이하가 바람직하고, 2.5㎛ 이상 9.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3.5㎛ 이상 7.0㎛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D1 representing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conductive particles is preferably 1.5 μm or more and 12.0 μm or less, more preferably 2.5 μm or more and 9.0 μm or less, and still more preferably 3.5 μm or more and 7.0 μm or less.

본 명세서에 있어서, 도전성 접착제층의 평균 두께를 나타내는 T1은, 랜덤하게 선택한 30군데의 도전성 접착제층의 두께의 평균값으로 한다. 전술한 30군데의 두께의 측정은, 공정 1이 완료된 후이며, 공정 2의 개시 전에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전술한 30군데의 두께는, 예를 들어 SEM 등에서 촬영한 도전성 접착제층의 단면 사진으로부터 측정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T1 representing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is the average value of the thickness of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at 30 randomly selected locations. The measurement of the thickness of the above-mentioned 30 places shall be performed after the process 1 is completed and before the start of the process 2. The thickness of the above-mentioned 30 locations can be measured from a cross-sectional photograph of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taken with, for example, an SEM or the like.

본 명세서에 있어서, 도전성 입자의 평균 입자경을 나타내는 D1은, 예를 들어 하기 A1 및 A2의 수순에서 측정할 수 있다. 하기 A1 및 A2는, 공정 1이 완료된 후이며, 공정 2의 개시 전에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In this specification, D1 which shows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electroconductive particle can be measured, for example in the procedure of following A1 and A2. The following A1 and A2 shall be performed after process 1 is completed and before the start of process 2.

A1: SEM 등으로 도전성 접착제층의 단면 사진을 촬영한다.A1: A cross-sectional photograph of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is taken with a SEM or the like.

A2: 상기 단면 사진에 찍힌 도전성 입자의 최대 직경을 측정한다. 합계 30개의 도전성 입자의 최대 직경 평균을, D1로 한다.A2: Measure the maximum diameter of the conductive particles in the cross-sectional photograph. Let the maximum diameter average of 30 electroconductive particles in total be D1.

《금속 기재》<< metal substrate >>

공정 1에서 사용하는 제1 금속 기재 및 공정 2에서 사용하는 제2 금속 기재를 구성하는 금속으로서는, 구리, 스테인리스, 황동, 은, 알루미늄 및 니켈 등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metal constituting the first metal substrate used in Step 1 and the second metal substrate used in Step 2 include one or two or more selected from copper, stainless steel, brass, silver, aluminum, and nickel.

제1 금속 기재 및 제2 금속 기재를 구성하는 금속은, 동일 종류여도 되고, 다른 종류여도 된다.The metal constituting the first metal substrate and the second metal substrate may be of the same type or may be of different types.

제1 금속 기재 및 제2 금속 기재는, 밀착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서, 기재 표면을 요철화하거나, 기재 표면의 잔유를 제거하는 처리를 하거나 해도 된다.The first metal substrate and the second metal substrate may be subjected to a process of roughening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or removing residual oil from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in order to improve adhesion.

제1 금속 기재 및 제2 금속 기재의 두께는, 1㎛ 이상 2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 이상 10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 이상 5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The thickness of the first metal substrate and the second metal substrate is preferably 1 μm or more and 200 μm or less, more preferably 3 μm or more and 100 μm or less, and still more preferably 6 μm or more and 50 μm or less.

두께를 1㎛ 이상으로 함으로써, 제1 금속 기재 및 제2 금속 기재에 소정의 강도를 부여할 수 있고, 기재에 텐션이 걸린 때에 기재가 파손되는 것을 쉽게 억제할 수 있다.By setting the thickness to 1 μm or more, predetermined strength can be imparted to the first metal substrate and the second metal substrate, and breakage of the substrate when tension is applied to the substrate can be easily suppressed.

두께를 200㎛ 이하로 함으로써, 제1 금속 기재 및 제2 금속 기재가 권취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접속체를 롤 투 롤로 쉽게 제조할 수 있다.Since it becomes easy to wind up a 1st metal base material and a 2nd metal base material by making thickness into 200 micrometers or less, a connection body can be easily manufactured by roll-to-roll.

제1 금속 기재 및 제2 금속 기재는, 매엽상이어도 되지만, 롤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금속 기재 및 제2 금속 기재를 롤상으로 함으로써, 후술하는 롤 투 롤에서의 제조가 가능하게 되고, 제조 효율을 비약적으로 높일 수 있다.Although the 1st metal substrate and the 2nd metal substrate may be sheet|leaf shape, it is preferable that they are roll shape. By forming the first metal substrate and the second metal substrate into a roll shape, production by roll-to-roll described later becomes possible, and production efficiency can be dramatically increased.

《도전성 접착제층》<<Conductive adhesive layer>>

공정 1에 있어서, 도전성 접착제층은, 접착제와, 수지 코어의 표면에 도전층을 갖는 도전성 입자를 포함하는 도전성 접착제층용 도포액을 도포, 건조함으로써, 형성한다.In Step 1,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is formed by applying an adhesive and a coating liquid for a conductive adhesive layer containing conductive particles having a conductive layer on the surface of a resin core and drying.

도전성 접착제층용 도포액은, 용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제로서는, 케톤류(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 등), 지방족 탄화수소류(헥산 등), 지환식 탄화수소류(시클로헥산 등), 방향족 탄화수소류(톨루엔, 크실렌 등), 에스테르류(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등), 알코올류(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시클로헥산올 등), 셀로솔브류(메틸셀로솔브, 에틸셀로솔브 등), 글리콜에테르류(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등), 등의 유기 용제를 들 수 있다. 또한, 용제로서는, 상기 유기 용제와 물의 혼합 용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용제는, 1종류로 이루어지는 용제여도 되고, 2종류 이상의 혼합 용제여도 된다.It is preferable that the coating liquid for conductive adhesive layers contains a solvent. As the solvent, ketones (acetone, methyl ethyl ketone, methyl isobutyl ketone, cyclohexanone, etc.), aliphatic hydrocarbons (hexane, etc.), alicyclic hydrocarbons (cyclohexane, etc.), aromatic hydrocarbons (toluene, xylene, etc.), Esters (methyl acetate, ethyl acetate, butyl acetate, etc.), alcohols (isopropanol, butanol, cyclohexanol, etc.), cellosolves (methyl cellosolve, ethyl cellosolve, etc.), glycol ethers (propylene glycol mono) organic solvents such as methyl ether acetate), and the like. Moreover, as a solvent, the mixed solvent of the said organic solvent and water can also be used. The solvent may be one type of solvent or a mixed solvent of two or more types.

도포 수단으로서는, 그라비아 코팅, 바 코팅, 롤 코팅, 리버스 롤 코팅, 콤마 코팅, 다이 코팅 등의 범용의 도포 수단을 들 수 있다.As the application means, general-purpose application means such as gravure coating, bar coating, roll coating, reverse roll coating, comma coating, and die coating are exemplified.

건조 조건은, 금속 기재의 특성, 도전성 접착제층용 도포액을 구성하는 재료, 도포액의 도포량 등에 의해 조정하면 된다. 예를 들어, 건조 온도는 80℃ 이상 120℃ 이하, 건조 시간은 30초 이상 90초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온도 범위라면, 금속 기재의 팽창 등을 쉽게 억제할 수 있고, 접속체의 품질을 쉽게 양호하게 할 수 있다.What is necessary is just to adjust drying condition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a metal substrate, the material which comprises the coating liquid for conductive adhesive layers, the coating amount of a coating liquid, etc. 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o set the drying temperature to 80°C or more and 120°C or less, and the drying time to be 30 seconds or more and 90 seconds or less. Within the above temperature range, expansion and the like of the metal substrate can be easily suppressed, and the quality of the connection body can be easily improved.

-접착제--glue-

접착제는, 우레탄계 접착제, 아크릴계 접착제, 에폭시계 접착제, 폴리에스테르계 접착제, 올레핀계 접착제 및 고무계 접착제 등의 접착제를 들 수 있다. 이들 접착제 중에서도, 우레탄계 접착제 및 아크릴계 접착제가 바람직하고, 우레탄 변성된 아크릴계 접착제가 보다 바람직하다. 접착제는, 열경화계의 접착제가 바람직하다.Examples of the adhesive include adhesives such as urethane-based adhesives, acrylic adhesives, epoxy-based adhesives, polyester-based adhesives, olefin-based adhesives, and rubber-based adhesives. Among these adhesives, urethane-based adhesives and acrylic adhesives are preferred, and urethane-modified acrylic adhesives are more preferred. The adhesive is preferably a thermosetting adhesive.

접착제는, 저항값을 경시적으로 안정시키기 위해서, 주제와 경화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dhesive preferably contains a main agent and a curing agent in order to stabilize the resistance value over time.

접착제의 주제는, 범용의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주제의 구체예로서는, 아크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에테르 폴리올,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및 아크릴폴리올 등의 폴리올 화합물; 에폭시계 수지 등의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 올레핀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올 화합물은, 변성된 것이어도 된다. 변성된 폴리올 화합물로서는, 우레탄 변성된 아크릴폴리올을 들 수 있다.As the main material of the adhesive, a general-purpose compound can be used. Specific examples of the main subject include acrylic resins; polyester-based resin; polyimide-based resin; polyol compounds such as polyether polyol, polyester polyol and acrylic polyol; compounds having an epoxy group such as an epoxy resin; Olefin type resin; etc. can be mentioned. The polyol compound may be modified. Examples of the modified polyol compound include urethane-modified acrylic polyol.

접착제의 주제 유리 전이 온도는, -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30℃ 이상인 것이 보다 더욱 바람직하다. 주제의 유리 전이 온도를 -5℃ 이상으로 함으로써, 공정 2의 후에, 도전성 입자가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하려고 하는 것을 접착제가 억제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경시적으로 접속체의 저항값이 상승하는 것을 쉽게 억제할 수 있다. 접착제의 주제 유리 전이 온도는, -5℃ 미만이어도 된다. 주제의 유리 전이 온도를 -5℃ 미만으로 함으로써, 공정 2의 라미네이트 온도를 낮출 수 있기 때문에, 가공성을 쉽게 양호하게 할 수 있다.The main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adhesive is preferably -5°C or higher, more preferably 10°C or higher, still more preferably 20°C or higher, and still more preferably 30°C or higher. By setting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main material to -5°C or higher, it is easier for the adhesive to suppress the restoration of the conductive particles to their original shape after step 2, so that the resistance value of the connecting body increases with time. can be suppressed The main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adhesive may be less than -5°C. Since the lamination temperature in step 2 can be lowered by setting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main material to less than -5°C, workability can be easily improved.

접착제의 주제의 유리 전이 온도는, 1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8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7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주제의 유리 전이 온도를 100℃ 이하로 함으로써, 공정 2의 라미네이트 시의 열로 접착제가 연화되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접착제층과 제2 금속 기재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기 쉬워지고, 밀착성을 쉽게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공정 2의 라미네이트 시의 열로 접착제가 연화되기 쉬워짐으로써, 도전성 입자의 상방에 존재하는 접착제(도 1의 도전성 입자(32)의 상측에 존재하는 접착제(31))가, 라미네이트 시의 압력으로 얇게 퍼지기 쉬워지고, 도전성 입자와 제2 금속 기재를 쉽게 접촉시킬 수 있다.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main material of the adhesive is preferably 100°C or less, more preferably 80°C or less, and still more preferably 70°C or less. By setting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main material to 100° C. or less, the adhesive is easily softened by heat during lamination in Step 2. For this reason,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adhesive layer and the second metal substrate tends to increase, and adhesion can be easily improved. In addition, since the adhesive is easily softened by the heat during lamination in Step 2, the adhesive present above the conductive particles (the adhesive 31 present above the conductive particles 32 in Fig. 1) is affected by the pressure during lamination. It becomes easy to spread thinly, and the conductive particles and the second metal substrate can be easily brought into contact.

주제의 유리 전이 온도는, 중량 평균 분자량 등의 범용의 수단으로 조정할 수 있다.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main material can be adjusted by general-purpose means such as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접착제의 경화제는, 범용의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경화제의 구체예로서는,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경화제의 다른 구체예로서, 아민계 화합물, 페놀계 화합물, 활성 에스테르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As the curing agent for the adhesive, a general-purpose compound can be used. Specific examples of the curing agent include isocyanate compounds such as aromatic polyisocyanates such as tolylene diisocyanate, diphenylmethane diisocyanate and xylylene diisocyanate, and aliphatic polyisocyanates such as hexamethylene diisocyanate and isophorone diisocyanate. Further, as other specific examples of the curing agent, amine-based compounds, phenol-based compounds, active ester-based compounds, and the like can be cited.

경화제로서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 주제의 수산기에 대한, 이소시아네이트의 이소시아네이트기의 당량비를, 0.1 이상 2.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5 이상 1.0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When an isocyanate-based compound is used as the curing agent, the equivalent ratio of the isocyanate group of the isocyanate to the hydroxyl group of the main agent is preferably 0.1 or more and 2.0 or less, and more preferably 0.5 or more and 1.0 or less.

상기 비를 0.1 이상으로 함으로써, 접속체의 완성 후의 접착제의 유리 전이 온도를 -1℃ 이상으로 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상기 비를 2.0 이하로 함으로써, 라미네이트 시에 예기하지 않고 포함되어 버린 수분과의 반응에서 발생한 이산화탄소에 의한 팽창을 억제할 수 있다.By making the said ratio into 0.1 or more,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adhesive after completion of a connected body can be made easy to be -1 degreeC or more. By making the said ratio into 2.0 or less, expansion by the carbon dioxide generated by reaction with the water|moisture content unexpectedly contained at the time of lamination can be suppressed.

-도전성 입자--Conductive Particles-

본 발명에서는, 도전성 입자로서, 수지 코어의 표면에 도전층을 갖는 입자를 사용한다. 이러한 도전성 입자는, 표면에 도전층을 갖기 때문에, 제1 금속 기재와 제2 금속 기재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도전성 입자는, 코어가 수지이기 때문에, 공정 2의 라미네이트 시의 압력에 의해, 두께 방향의 입자경이 작아진다. 그리고, 도전성 입자의 두께 방향의 입자경이 작아짐으로써, 도전성 접착제층과 제2 금속 기재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고, 밀착성을 쉽게 양호하게 할 수 있다(도 1 및 도 2 참조).In the present invention, as conductive particles, particles having a conductive layer on the surface of a resin core are used. Since these conductive particles have a conductive layer on the surface, the first metal substrate and the second metal substrate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In addition, since the core of these conductive particles is a resin, the particle size in the thickness direction is reduced by the pressure during lamination in Step 2. In addition, when the particle size of the conductive particles in the thickness direction decreases,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and the second metal substrate increases, and adhesion can be easily improved (see FIGS. 1 and 2).

수지 코어의 표면에 도전층을 갖는 입자는, 예를 들어 수지 코어에 금속을 도금 또는 증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Particles having a conductive layer on the surface of the resin core can be obtained, for example, by plating or depositing a metal on the resin core.

도전성 입자는, 표면에 돌기를 갖는 입자가 바람직하다. 제1 금속 기재 및 제2 금속 기재의 표면에 산화물 막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표면에 돌기를 갖는 도전성 입자는, 상기 돌기에 의해 산화물 막을 찢기 쉽기 때문에, 제1 금속 기재와 제2 금속 기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쉽게 할 수 있다.The conductive particles are preferably particles having protrusions on the surface. Oxide films may be formed on the surfaces of the first metal substrate and the second metal substrate. In such a case, since the oxide film is easily torn by the conductive particles having projections on the surface, it is possible to easily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metal substrate and the second metal substrate.

표면에 돌기를 갖는 입자는, 예를 들어 수지 코어의 표면에, 돌기를 형성하는 코어 물질을 복수 배치한 후, 금속을 도금 또는 증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Particles having projections on the surface can be obtained, for example, by arranging a plurality of core substances that form projections on the surface of a resin core, and then plating or depositing metal.

수지 코어 입자의 표면에 코어 물질을 부착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수지 코어의 분산액 중에, 코어 물질을 첨가하고, 반데르발스힘 등에 의해, 수지 코어 입자의 표면에 코어 물질을 집적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As a method for adhering the core substance to the surface of the resin core particles, for example, a method in which the core substance is added to a resin core dispersion and accumulated on the surface of the resin core particles by van der Waals force or the like. can be heard

수지 코어를 구성하는 수지로서는, 벤조구아나민 수지, 아크릴 수지, 스티렌 수지, 실리콘 수지 및 폴리부타디엔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수지 코어를 구성하는 수지로서는, 전술한 수지를 구성하는 모노머의 2종 이상을 조합한 공중합체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resin constituting the resin core include benzoguanamine resin, acrylic resin, styrene resin, silicone resin, and polybutadiene resin. Moreover, as resin which comprises a resin core, the copolymer which combined 2 or more types of monomer which comprises the above-mentioned resin is also mentioned.

수지 코어는, 압축 회복률이 5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7%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8%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압축 회복률을 55% 이하로 함으로써, 공정 2의 라미네이트 시의 압력에 의해, 도전성 입자의 두께 방향의 입자경이 작아지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도전성 접착제층과 제2 금속 기재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고, 접속체의 층간 밀착성을 쉽게 양호하게 할 수 있다.The resin core preferably has a compression recovery factor of 55% or less, more preferably 47% or less, more preferably 40% or less, more preferably 30% or less, and more preferably 18% or less. By setting the compression recovery rate to 55% or less, the particle diameter of the conductive particles in the thickness direction tends to be reduced due to the pressure at the time of lamination in step 2. For this reason,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and the second metal substrate increases, and the interlayer adhesion of the connected body can be easily improved.

수지 코어는, 압축 회복률이 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6%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7%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압축 회복률을 5% 이상으로 함으로써, 공정 2의 라미네이트 시의 압력에 의해, 도전성 입자의 두께 방향의 입자경이 극단적으로 작아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1 금속 기재와 제2 금속 기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쉽게 할 수 있다.The resin core preferably has a compression recovery rate of 5% or more, more preferably 6% or more, and still more preferably 7% or more. By setting the compression recovery factor to 5% or more, it can be suppressed that the particle diameter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conductive particles becomes extremely small due to the pressure at the time of lamination in step 2. For this reason, it is possible to easily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metal substrate and the second metal substrate.

수지 코어의 압축 회복률은, 예를 들어 수지 코어를 구성하는 수지의 성분, 수지 코어를 구성하는 수지의 가교도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수지의 가교도를 높게 하면 압축 회복률은 커지고, 수지의 가교도를 낮게 하면 압축 회복률은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The compression recovery rate of the resin core can be adjusted by, for example, the component of the resin constituting the resin core and the degree of crosslinking of the resin constituting the resin core. Specifically, when the degree of crosslinking of the resin is increased, the compression recovery rate tends to increase, and when the degree of crosslinking of the resin is decreased, the compression recovery rate tends to decrease.

본 명세서에 있어서, 압축 회복률은, 이하와 같이 측정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compression recovery rate can be measured as follows.

시료대 상에 수지 코어를 살포한다. 살포된 수지 코어 1개에 대해서, 미소 압축 시험기를 사용하여, 수지 코어의 중심 방향으로, 수지 코어가 30% 압축 변형될 때까지 부하(반전 하중값)를 부여한다. 그 후, 원점용 하중값(0.40mN)까지 제하를 행한다. 이 사이의 하중-압축 변위를 측정하고, 하기 식으로부터 압축 회복률을 구할 수 있다. 또한, 부하 속도는 0.33mN/초로 한다. 미소 압축 시험기로서, 예를 들어 피셔사제 「피셔 스코프 H-100」 등이 사용된다.A resin core is spread on the sample table. A load (reverse load value) is applied to one sprayed resin core in the center direction of the resin core using a micro compression tester until the resin core is compressed by 30%. Then, unloading is performed to the load value for origin (0.40 mN). The load-compression displacement between these is measured, and the compression recovery factor can be obtained from the following formula. In addition, the load speed is 0.33 mN/sec. As a micro compression tester, "Fisher Scope H-100" by Fischer, etc. is used, for example.

압축 회복률(%)=[(L1-L2)/L1]×100Compression recovery rate (%)=[(L1-L2)/L1]×100

L1: 부하를 부여할 때의 원점용 하중값으로부터 반전 하중값에 이르기까지의 압축 변위L1: Compression displacement from the load value for the origin when the load is applied to the reverse load value

L2: 부하를 해방할 때의 반전 하중값으로부터 원점용 하중값에 이르기까지의 제하 변위L2: Unloading displacement from the reverse load value at the time of unloading to the origin load value

코어 물질은, 모스 경도가 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7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The core substance preferably has a Mohs hardness of 5 or more, more preferably 7 or more, and still more preferably 9 or more.

코어 물질의 재질로서는, 니켈(모스 경도 5), 지르코니아(모스 경도 8 내지 9), 알루미나(모스 경도 9), 탄화텅스텐(모스 경도 9) 및 다이아몬드(모스 경도 10) 등을 들 수 있다. 코어 물질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Examples of the material of the core substance include nickel (Mohs hardness 5), zirconia (Mohs hardness 8-9), alumina (Mohs hardness 9), tungsten carbide (Mohs hardness 9) and diamond (Mohs hardness 10). A core substance may be used individually or may be used in combination of 2 or more types.

코어 물질의 평균 입자경은, 바람직하게는 50nm 이상 250n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nm 이상 200nm 이하이다. 또한, 수지 코어의 표면에 형성하는 돌기의 수는, 바람직하게는 1개 이상 500개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개 이상 200개 이하이다.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core substance is preferably 50 nm or more and 250 nm or less, more preferably 100 nm or more and 200 nm or less. The number of projection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resin core is preferably 1 or more and 500 or less, more preferably 30 or more and 200 or less.

도전층은, 금속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전층을 구성하는 금속으로서는, 금, 팔라듐, 니켈, 구리, 은, 주석 및 알루미늄 등을 들 수 있다. 도전층을 구성하는 금속은 합금이어도 된다.The conductive layer is preferably made of metal. Examples of the metal constituting the conductive layer include gold, palladium, nickel, copper, silver, tin and aluminum. The metal constituting the conductive layer may be an alloy.

도전층의 두께는, 도전성 및 경제성과의 밸런스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50nm 이상 250n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0nm 이상 150nm 이하이다.The thickness of the conductive layer is preferably 50 nm or more and 250 nm or less, and more preferably 80 nm or more and 150 nm or less, from the viewpoint of balance between conductivity and economy.

상기 도전성 입자의 함유량은, 상기 접착제 100질량부에 대하여, 0.1질량부 이상 2.0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15질량부 이상 1.8질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2질량부 이상 1.7질량부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The content of the conductive particles is preferably 0.1 parts by mass or more and 2.0 parts by mass or less, more preferably 0.15 parts by mass or more and 1.8 parts by mass or less, and still more preferably 0.2 parts by mass or more and 1.7 parts by mass or less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mass of the adhesive. desirable.

도전성 입자의 함유량을 0.1질량부 이상으로 함으로써, 접속체의 저항값을 쉽게 낮출 수 있다. 도전성 입자의 함유량을 2.0질량부 이하로 함으로써, 도전성 입자의 응집을 쉽게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접속체의 저항값을 쉽게 낮출 수 있다.By setting the content of the conductive particles to 0.1 part by mass or more, the resistance value of the connected body can be easily lowered. Since aggregation of electroconductive particle can be easily suppressed by content of electroconductive particle being 2.0 mass part or less, the resistance value of a connected body can be easily lowered.

<공정 2><Process 2>

공정 2는, 상기 도전성 접착제층 상에 제2 금속 기재를 라미네이트하여, 상기 제1 금속 기재, 상기 도전성 접착제층 및 상기 제2 금속 기재를 이 순서대로 갖는 접속체를 얻는 공정이다.Step 2 is a step of laminating a second metal substrate on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to obtain a connection body having the first metal substrate,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and the second metal substrate in this order.

도 2는, 공정 2의 후의 상태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state after Step 2.

도 2의 접속체(100)는, 제1 금속 기재(10) 상에, 도전성 접착제층(30) 및 제2 금속 기재(20)를 이 순서대로 갖고 있다. 도 2에 있어서, 제1 금속 기재(10)와 제2 금속 기재(20)는, 도전성 입자(30)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The connection body 100 of FIG. 2 has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30 and the second metal substrate 20 on the first metal substrate 10 in this order. In FIG. 2 , the first metal substrate 10 and the second metal substrate 20 are electrically connected via conductive particles 30 .

도 1과 도 2를 대비하면, 도 2의 도전성 입자(30)는, 두께 방향으로 찌부러뜨려짐으로써, 두께 방향의 입자경이 작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도전성 입자가 두께 방향으로 찌부러뜨려짐으로써, 도전성 입자의 상방에 존재하는 접착제(도 1의 도전성 입자(32)의 상측에 존재하는 접착제(31))는, 라미네이트 시의 압력으로 폭 방향으로 퍼지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도전성 접착제층과 제2 금속 기재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기 쉬워지고, 접속체의 층간 밀착성을 쉽게 양호하게 할 수 있다.Contrasting FIG. 1 and FIG. 2, the particle diameter of the thickness direction becomes small because the electroconductive particle 30 of FIG. 2 is crush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In this way, by crushing the conductive particles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e adhesive present above the conductive particles (adhesive 31 present above the conductive particles 32 in Fig. 1) is reduced in the width direction by the pressure during lamination. easier to spread with For this reason,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and the second metal substrate easily increases, and the interlayer adhesion of the connected body can be easily improved.

도 2의 좌우 양단은, 도전성 접착제층(30)과 제2 금속 기재(20)가 접촉하고 있지 않다. 이러한 개소는, 라미네이트 시에 혼입한 기포이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라미네이트 시의 온도를 조정함으로써, 기포를 쉽게 저감시킬 수 있다.At both left and right ends in FIG. 2 ,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30 and the second metal substrate 20 are not in contact. These locations are air bubbles mixed at the time of lamination. As will be described later, air bubbles can be easily reduced by adjusting the temperature during lamination.

공정 2에서 사용하는 제2 금속 기재의 실시 형태는 상술한 바와 같다.Embodiment of the 2nd metal substrate used in process 2 is as above-mentioned.

상기 접착제가, 주제와 경화제를 포함하고, 공정 2의 라미네이트 온도를, 상기 주제의 유리 전이 온도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공정 2의 라미네이트 온도와, 접착제의 주제의 유리 전이 온도는, 하기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기의 관계를 만족시킴으로써, 초기의 저항값을 쉽게 낮출 수 있음과 함께, 접속체의 저항값의 경시적인 상승을 쉽게 억제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adhesive contains a base material and a curing agent, and the lamination temperature in step 2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base material.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lamination temperature of Step 2 and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main material of the adhesive satisfy the following relationship. By satisfying the following relationship, the initial resistance value can be easily lowered, and the temporal increase in the resistance value of the connecting body can be easily suppressed.

접착제의 주제의 유리 전이 온도≤공정 2의 라미네이트 온도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subject of the adhesive ≤ the laminate temperature of step 2

공정 2에 있어서, 라미네이트 온도는 5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6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70℃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특히, 접착제의 주제 유리 전이 온도가 실온 이상인 경우에, 라미네이트 온도를 55℃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Step 2, the lamination temperature is preferably 55°C or higher, more preferably 60°C or higher, and still more preferably 70°C or higher. In particular, when the main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adhesive is room temperature or higher, it is preferable to set the lamination temperature to 55°C or higher.

라미네이트 온도를 55℃ 이상으로 함으로써, 라미네이트 시의 기포의 혼입을 억제하고, 저항값을 쉽게 낮출 수 있다. 라미네이트 시에 기포가 혼입되면, 도전성 입자가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하려고 하는 것을 접착제가 억제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접속체의 저항값이 경시적으로 상승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라미네이트 온도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초기의 저항값을 낮출 수 있음과 함께, 접속체의 저항값의 경시적인 상승을 쉽게 억제할 수 있다.By setting the lamination temperature to 55°C or higher, mixing of air bubbles during lamination can be suppressed, and the resistance value can be easily lowered. When air bubbles are mixed during lamination, since it becomes difficult for the adhesive to suppress the restoration of the conductive particles to their original shapes, the resistance value of the connected body may increase with time. For this reason, while being able to lower initial resistance value by making lamination temperature into the said range, the temporal rise of the resistance value of a connection body can be suppressed easily.

라미네이트 온도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11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이하이다.The upper limit of the lamination temperatur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110°C or lower, more preferably 100°C or lower, still more preferably 90°C or lower.

공정 2의 라미네이트의 압력은, 0.1MPa 이상 1.0MPa 이하가 바람직하고, 0.2MPa 이상 0.7MPa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3MPa 이상 0.5MPa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The pressure of the laminate in step 2 is preferably 0.1 MPa or more and 1.0 MPa or less, more preferably 0.2 MPa or more and 0.7 MPa or less, and still more preferably 0.3 MPa or more and 0.5 MPa or less.

압력을 0.1MPa 이상으로 함으로써, 도전성 입자를 두께 방향으로 찌부러뜨리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압력을 0.1MPa 이상으로 함으로써, 도전성 입자의 상방에 존재하는 접착제(도 1의 도전성 입자(32)의 상측에 존재하는 접착제(31))는, 라미네이트 시의 압력으로 폭 방향으로 퍼지기 쉽게 할 수 있다.By setting the pressure to 0.1 MPa or more, it is possible to easily crush the conductive particles in the thickness direction. In addition, by setting the pressure to 0.1 MPa or more, the adhesive present above the conductive particles (adhesive 31 present above the conductive particles 32 in Fig. 1) can be easily spread in the width direction by the pressure during lamination. can

압력을 1.0MPa 이하로 함으로써, 높은 압력을 부가하는 것이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접속체의 제조를 간이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접속체의 제조가 안정되고, 또한, 접속체를 연속적으로 쉽게 제조할 수 있다.By setting the pressure to 1.0 MPa or less, it becomes unnecessary to apply a high pressure, so that the production of the connected body can be simplified, the production of the connected body is stable, and the connected body can be easily and continuously manufactured. there is.

공정 2의 라미네이트 속도는, 0.2m/min 이상 30m/min 이하가 바람직하고, 0.4m/min 이상 20.0m/min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0m/min 이상 15.0m/min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The lamination speed of step 2 is preferably 0.2 m/min or more and 30 m/min or less, more preferably 0.4 m/min or more and 20.0 m/min or less, and still more preferably 1.0 m/min or more and 15.0 m/min or less.

<롤 투 롤><Roll to Roll>

본 발명의 접속체의 제조 방법은, 상기 제1 금속 기재의 롤상물로부터 상기 제1 금속 기재를 연속적으로 송출함으로써, 상기 공정 1을 행함과 함께, 상기 제2 금속 기재의 롤상물로부터 상기 제2 금속 기재를 연속적으로 송출함으로써, 상기 공정 2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nnected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1 is performed by continuously feeding the first metal substrate from the rolled product of the first metal substrate, and the second metal substrate is removed from the rolled product of the second metal substrate. It is preferable to perform the said process 2 by sending out a metal substrate continuously.

상기 수단을 채용함으로써, 접속체를 연속적으로 제조할 수 있고, 제조 효율을 비약적으로 높일 수 있다.By adopting the above means,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manufacture connected bodies, and the manufacturing efficiency can be dramatically increased.

또한, 공정 1의 후에, 제1 금속 기재 상에 도전성 접착제층을 형성한 적층체를 일단 권취해도 된다. 그리고, 권취한 롤상의 적층체로부터 적층체를 연속적으로 송출함과 함께, 상기 제2 금속 기재의 롤상물로부터 상기 제2 금속 기재를 연속적으로 송출함으로써, 공정 2를 행해도 된다. 이와 같이, 공정 1과 공정 2 사이에, 적층체를 권취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있어도, 롤 투 롤에서의 제조이기 때문에, 제조율을 비약적으로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you may once wind up the laminated body in which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was formed on the 1st metal substrate after the process 1. And you may perform process 2 by sending out continuously the said 2nd metal base material from the roll-like object of the said 2nd metal base material, while continuously sending out a laminated body from the roll-shaped laminated body which rolled up. Thus, even if it includes the process of winding up a laminated body between process 1 and process 2, since it is manufacture by roll-to-roll, a manufacturing rate can be raised remarkably.

도 3은, 롤 투 롤에서의 제조 방법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3에서는, 제1 금속 기재의 롤상물(11)로부터, 제1 금속 기재(10)를 연속적으로 송출함으로써, 공정 1을 행하고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제2 금속 기재의 롤상물21로부터, 제2 금속 기재(20)를 연속적으로 송출함으로써, 공정 2를 행하고 있다. 도 3에서는, 공정 1과 공정 2를, 하나의 라인에서 연속하여 실시하고 있다.Fig.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roll-to-roll manufacturing method. In FIG. 3 , step 1 is performed by continuously sending out the first metal substrate 10 from the roll-shaped object 11 of the first metal substrate. In addition, in FIG. 3, process 2 is performed by continuously sending out the 2nd metal substrate 20 from the roll-shaped object 21 of a 2nd metal substrate. In FIG. 3 , steps 1 and 2 are performed continuously on one line.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공정 1의 후에, 제1 금속 기재 상에 도전성 접착제층을 형성한 적층체를 일단 권취해도 된다. 즉, 공정 1과 공정 2 사이에는, 소정의 시간이 비어도 된다.In addition, as mentioned above, you may once wind up the laminated body in which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was formed on the 1st metal substrate after the process 1. That is, between the process 1 and the process 2, a predetermined time may be vacant.

도 3에서는, 도전성 접착제층(30) 상에 제2 금속 기재(20)를 라미네이트하여, 접속체(100)를 얻은 후의 공정이 기재되어 있지 않다. 도전성 접착제층(30) 상에 제2 금속 기재(20)를 라미네이트하여 접속체(100)를 얻은 후에는, 접속체(100)를 롤상으로 권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FIG. 3, the process after laminating the 2nd metal substrate 20 on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30 and obtaining the connection body 100 is not described. After laminating the second metal substrate 20 on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30 to obtain the connected body 100, it is preferable to wind the connected body 100 into a roll shape.

접속체를 평면에서 본 때의 접속체의 면적을 S, 접속체를 평면에서 본 때의 제1 금속 기재의 면적을 S1, 접속체를 평면에서 본 때의 제2 금속 기재의 면적을 S2로 한 때에, 하기 식 (1) 및 (2)를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기 식 (1) 및 (2)를 만족시킴으로써, 위치 정렬을 불필요로 할 수 있다. 또한, 하기 식 (1) 및 (2)를 만족시킴으로써, 제1 금속 기재와 제2 금속 기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쉽게 할 수 있다.The area of the connected body when viewed from a plane is S, the area of the first metal base when the connected body is viewed from a plane is S1, and the area of the second metal base when the connected body is viewed from a plane is S2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satisfy the following formulas (1) and (2). By satisfying the following formulas (1) and (2), positional alignment can be made unnecessary. Further, by satisfying the following formulas (1) and (2), it is possible to easily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metal substrate and the second metal substrate.

0.99≤S1/S≤1.01 (1)0.99≤S1/S≤1.01 (1)

0.99≤S2/S≤1.01 (2)0.99≤S2/S≤1.01 (2)

접속체를 평면에서 본 때의 도전성 접착제층의 면적을 S3으로 한 때에, 상술한 S1 및 S2와, S3이, 하기 식 (3) 및 (4)를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기 식 (3) 및 (4)를 만족시킴으로서, 위치 정렬을 불필요로 할 수 있다. 또한, 하기 식 (3) 및 (4)를 만족시킴으로써, 제1 금속 기재와 제2 금속 기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쉽게 할 수 있다.When the area of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when the connection body is viewed in a plan view is S3, it is preferable that the above-described S1 and S2 and S3 satisfy the following formulas (3) and (4). By satisfying the following equations (3) and (4), positional alignment can be made unnecessary. Further, by satisfying the following formulas (3) and (4), it is possible to easily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metal substrate and the second metal substrate.

1.00≤S1/S3≤1.02 (3)1.00≤S1/S3≤1.02 (3)

1.00≤S2/S3≤1.02 (4)1.00≤S2/S3≤1.02 (4)

<공정 3><Process 3>

본 발명의 접속체의 제조 방법은, 또한, 하기의 공정 3을 갖고 있어도 된다.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nnected body of this invention may further have the following process 3.

공정 3: 접속체를 에이징 처리하는 공정.Step 3: A step of aging the connected body.

공정 3의 에이징 처리를 행함으로써, 도전성 접착제층 중의 접착제의 경화를 진행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공정 3을 실시한 접속체는, 도전성 입자가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하려고 하는 것을 접착제가 억제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접속체의 저항값의 경시적인 변화를 쉽게 억제할 수 있다.By performing the aging treatment in step 3, the adhesive in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can be cured. For this reason, in the connected body subjected to Step 3, since the adhesive easily suppresses the restoration of the conductive particles to their original shape, the change in the resistance value of the connected body with time can be easily suppressed.

공정 3에 있어서, 에이징 처리의 온도 및 시간은, 사용하는 접착제의 종류 등에 의해 적절히 조정할 수 있지만, 이하의 범위가 바람직하다.In step 3, the temperature and time of the aging treatment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depending on the type of adhesive to be used, but the following ranges are preferable.

에이징 처리의 온도는, 5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7℃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에이징 처리의 온도를 55℃ 이하로 함으로써, 에이징 처리 중에 도전성 입자가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하는 것을 쉽게 억제할 수 있다.The temperature of the aging treatment is preferably 55°C or lower, more preferably 50°C or lower, and still more preferably 47°C or lower. By setting the temperature of the aging treatment to 55° C. or less, restoration of the conductive particles to their original shapes during the aging treatment can be easily suppressed.

에이징 처리의 온도의 하한은, 접착제의 경화를 촉진하기 위해서, 25℃ 이상이 바람직하고, 3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40℃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The lower limit of the temperature of the aging treatment is preferably 25°C or higher, more preferably 30°C or higher, and still more preferably 40°C or higher, in order to promote curing of the adhesive.

에이징 처리의 시간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1일 이상 9일 이하가 바람직하고, 3일 이상 7일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에이징 처리의 온도가 고온인 경우, 에이징 처리의 시간은, 1일 미만이 바람직하다.The time of the aging treatm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1 day or more and 9 days or less, and more preferably 3 days or more and 7 days or less. When the temperature of the aging treatment is high, the time of the aging treatment is preferably less than one day.

<여러 물성><multiple properties>

공정 3의 후의 접착제는, 유리 전이 온도가 -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3℃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이상,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이상이다. 에이징 처리 후의 접착제 유리 전이 온도를 높게 함으로써, 도전성 입자가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하려고 하는 것을 접착제가 쉽게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접속체의 저항값의 경시적인 변화를 쉽게 억제할 수 있다. 공정 3의 후의 접착제의 유리 전이 온도는, -1℃ 미만이어도 된다. 에이징 처리 후의 접착제 유리 전이 온도를 -1℃ 미만으로 함으로써, 제1 금속 기재와 제2 금속 기재의 초기 접착력을 높게 할 수 있다.The adhesive after Step 3 preferably has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1°C or higher, more preferably 23°C or higher, still more preferably 30°C or higher, still more preferably 40°C or higher. By increasing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adhesive after the aging treatment, the adhesive can easily suppress the restoration of the conductive particles to their original shape, so that the change in the resistance value of the connected body over time can be easily suppressed.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adhesive after Step 3 may be less than -1°C. By setting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adhesive after the aging treatment to less than -1°C, the initial adhesive force between the first metal substrate and the second metal substrate can be increased.

공정 3의 후의 접착제의 유리 전이 온도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1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9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7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upper limit of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adhesive after step 3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100°C or lower, more preferably 90°C or lower, more preferably 70°C or lower, and more preferably 50°C or lower.

공정 3의 후의 도전성 접착제층의 평균 두께를 Tn[㎛], 도전성 입자의 두께 방향의 직경 평균을 Dn[㎛]으로 정의한다. 이때, Tn 및 Dn은, Tn≤Dn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verage thickness of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after step 3 is defined as Tn [μm], and the average diameter of the conductive particles in the thickness direction is defined as Dn [μm].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n and Dn satisfy the relationship of Tn≤Dn.

Tn≤Dn의 관계를 만족시킴으로써, 제1 금속 기재와 제2 금속 기재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By satisfying the relationship of Tn≤Dn, the first metal substrate and the second metal substrate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Dn과 Tn의 비(Dn/Tn)는, 1.00 초과인 것이 바람직하고, 1.01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3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Dn/Tn을 1.00 초과로 함으로써, 제1 금속 기재와 제2 금속 기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쉽게 할 수 있다.The ratio of Dn to Tn (Dn/Tn) is preferably more than 1.00, more preferably 1.01 or more, and still more preferably 1.03 or more. By setting Dn/Tn to more than 1.00, it is possible to easily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metal substrate and the second metal substrate.

Dn과 Tn의 비(Dn/Tn)는, 1.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4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3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비를 1.50 이하로 함으로써, 접속체의 층간 밀착성을 쉽게 양호하게 할 수 있다.The ratio of Dn to Tn (Dn/Tn) is preferably 1.50 or less, more preferably 1.40 or less, and still more preferably 1.30 or less. By making the said ratio into 1.50 or less, the interlayer adhesiveness of a connection body can be easily made good.

Dn과 Tn의 차(Dn-Tn)는, 0㎛ 초과인 것이 바람직하고, 0.01㎛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3㎛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0.05㎛ 이상인 것이 보다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차를 0㎛ 초과로 함으로써, 제1 금속 기재와 제2 금속 기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쉽게 할 수 있다.The difference between Dn and Tn (Dn-Tn) is preferably more than 0 μm, more preferably 0.01 μm or more, still more preferably 0.03 μm or more, and still more preferably 0.05 μm or more. By setting the difference to more than 0 µm, it is possible to easily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metal substrate and the second metal substrate.

Dn과 Tn의 차(Dn-Tn)는,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8㎛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7㎛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차를 1.0㎛ 이하로 함으로써, 접속체의 층간 밀착성을 쉽게 양호하게 할 수 있다.The difference between Dn and Tn (Dn-Tn) is preferably 1.0 μm or less, more preferably 0.8 μm or less, and still more preferably 0.7 μm or less. By making the said difference into 1.0 micrometer or less, the interlayer adhesiveness of a connection body can easily be made good.

본 명세서에 있어서, Tn은, 랜덤하게 선택한 30군데의 도전성 접착제층의 두께의 평균값으로 한다. 전술한 30군데의 두께의 측정은, 공정 3이 완료된 후에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전술한 30군데의 두께는, 예를 들어 SEM 등으로 촬영한 도전성 접착제층의 단면 사진으로부터 측정할 수 있다. Tn은, 상술한 T1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경우가 많다.In this specification, Tn is the average value of the thickness of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at 30 randomly selected locations. The measurement of the thickness at the above 30 locations shall be performed after Step 3 is completed. The thickness of the above-mentioned 30 locations can be measured from a cross-sectional photograph of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taken by, for example, an SEM or the like. In many cases, Tn substantially coincides with T1 described above.

본 명세서에 있어서, Dn은, 예를 들어 하기 B1 및 B2의 수순에서 측정할 수 있다. 하기 B1 및 B2는, 공정 3이 완료된 후에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Dn은, 상술한 D1보다도 작아진다.In this specification, Dn can be measured, for example, in the following B1 and B2 procedures. The following B1 and B2 shall be performed after step 3 is completed. Dn is smaller than the above-mentioned D1.

B1: SEM 등으로 도전성 접착제층의 단면 사진을 촬영한다.B1: A cross-sectional photograph of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is taken by SEM or the like.

B2: 상기 단면 사진에 찍힌 도전성 입자의 두께 방향의 직경을 측정한다. 합계 30개의 도전성 입자의 두께 방향의 직경 평균을, Dn으로 한다.B2: Measure the diameter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conductive particles taken in the cross-sectional photograph. Let the diameter average of the thickness direction of a total of 30 electroconductive particles be Dn.

<저항값><resistance value>

접속체는, 저항값이 10.0m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8.0m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0m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접속체의 저항값의 하한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1.0m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0m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connection body preferably has a resistance value of 10.0 mΩ or less, more preferably 8.0 mΩ or less, and still more preferably 6.0 mΩ or less. The lower limit of the resistance value of the connected body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1.0 mΩ or more, and more preferably 2.0 mΩ or more.

상기의 저항값은, 공정 2의 후에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공정 2 및 공정 3의 후에 만족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satisfy the above resistance value after Step 2, and it is more preferable to satisfy after Steps 2 and 3.

접속체의 저항값은, 한쪽의 단자를 제1 금속 기재에 설치하고, 다른 쪽의 단자를 제2 금속 기재에 설치하여, 4 단자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The resistance value of the connected body can be measured by the four-terminal method by attaching one terminal to the first metal substrate and attaching the other terminal to the second metal substrate.

[접속체][Connection body]

본 발명의 접속체는, 제1 금속 기재, 도전성 접착제층 및 제2 금속 기재를 이 순서대로 갖고, 상기 도전성 접착제층은, 접착제와, 수지 코어의 표면에 도전층을 갖는 도전성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도전성 접착제층의 평균 두께를 Tn[㎛], 상기 도전성 입자의 두께 방향의 직경 평균을 Dn[㎛]으로 정의한 때에, Tn≤Dn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이다.The connection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rst metal substrate, a conductive adhesive layer, and a second metal substrate in this order, and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includes an adhesive and conductive particles having a conductive layer on the surface of a resin core, When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is defined as Tn [μm] and the average diameter of the conductive particles in the thickness direction is defined as Dn [μm], the relationship of Tn≤Dn is satisfied.

Tn≤Dn의 관계를 만족시킴으로써, 제1 금속 기재와 제2 금속 기재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By satisfying the relationship of Tn≤Dn, the first metal substrate and the second metal substrate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본 발명의 접속체에 있어서의, 제1 금속 기재, 제2 금속 기재, 도전성 접착제층, 접착제 및 수지 코어의 표면에 도전층을 갖는 도전성 입자의 실시 형태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접속체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제1 금속 기재, 제2 금속 기재, 도전성 접착제층, 접착제 및 수지 코어의 표면에 도전층을 갖는 도전성 입자의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In the connected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mbodiment of the conductive particles having a conductive layer on the surface of the first metal substrate, the second metal substrate,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the adhesive and the resin core is the production of the above-described connected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he same as embodiment of the conductive particle which has a conductive layer on the surface of the 1st metal substrate in a method, a 2nd metal substrate, a conductive adhesive layer, an adhesive agent, and a resin core.

예를 들어, Dn과 Tn의 비(Dn/Tn)는, 1.00 초과인 것이 바람직하고, 1.01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3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Dn과 Tn의 비(Dn/Tn)는, 1.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4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3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For example, the ratio of Dn to Tn (Dn/Tn) is preferably more than 1.00, more preferably 1.01 or more, and still more preferably 1.03 or more. Further, the ratio of Dn to Tn (Dn/Tn) is preferably 1.50 or less, more preferably 1.40 or less, and still more preferably 1.30 or less.

또한, Dn과 Tn의 차(Dn-Tn)는, 0㎛ 초과인 것이 바람직하고, 0.01㎛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3㎛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0.05㎛ 이상인 것이 보다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Dn과 Tn의 차(Dn-Tn)는,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8㎛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7㎛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The difference between Dn and Tn (Dn-Tn) is preferably greater than 0 µm, more preferably greater than 0.01 µm, still more preferably greater than 0.03 µm, and even more preferably greater than 0.05 µm. Further, the difference between Dn and Tn (Dn-Tn) is preferably 1.0 µm or less, more preferably 0.8 µm or less, and still more preferably 0.7 µm or less.

또한, S1/S는 0.99 이상 1.0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S2/S는 0.99 이상 1.0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S1/S is 0.99 or more and 1.01 or less. It is preferable that S2/S is 0.99 or more and 1.01 or less.

또한, S1/S3은 1.00 이상 1.0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S2/S3은 1.00 이상 1.0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S1/S3 is 1.00 or more and 1.02 or less. It is preferable that S2/S3 is 1.00 or more and 1.02 or less.

또한, 도전성 입자는, 표면에 돌기를 갖는 입자가 바람직하다.Moreover, the particle|grains which have a processus|protrusion on the surface of electroconductive particle are preferable.

또한, 도전성 입자의 수지 코어는, 압축 회복률이 5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7%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8%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수지 코어는, 압축 회복률이 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6%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7%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resin core of the conductive particles preferably has a compression recovery rate of 55% or less, more preferably 47% or less, more preferably 40% or less, more preferably 30% or less, more preferably 18% or less. . The resin core preferably has a compression recovery rate of 5% or more, more preferably 6% or more, and still more preferably 7% or more.

또한, 도전성 입자의 함유량은, 접착제 100질량부에 대하여, 0.1질량부 이상 2.0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15질량부 이상 1.0질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2질량부 이상 0.8질량부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The content of the conductive particles is preferably 0.1 part by mass or more and 2.0 parts by mass or less, more preferably 0.15 part by mass or more and 1.0 part by mass or less, and further preferably 0.2 part by mass or more and 0.8 part by mass or less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mass of the adhesive. desirable.

또한, 접착제의 유리 전이 온도는, -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3℃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이상,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이상이다.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adhesive is preferably -1°C or higher, more preferably 23°C or higher, still more preferably 30°C or higher, and still more preferably 40°C or higher.

실시예Example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specifically described by exampl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1. 측정1. Measure

1-1. 평균 입자경 및 두께1-1. Average particle size and thickness

명세서 본문의 기재에 따라, 공정 1의 후의 도전성 접착제층의 평균 두께를 나타내는 T1, 공정 1의 후의 도전성 입자의 평균 입자경을 나타내는 D1, 공정 3의 후의 도전성 접착제층의 평균 두께를 나타내는 Tn, 공정 3의 후의 도전성 입자의 두께 방향의 직경 평균을 나타내는 Dn을 측정하였다. 비교예 1의 도전성 입자는, 입자경이 나노 레벨이기 때문에, 측정은 생략하였다.According to the description in the text of the specification, T1 represents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after step 1, D1 represents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conductive particles after step 1, Tn represents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after step 3, step 3 Dn representing the diameter average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conductive particles after was measured. Since the electroconductive particle of Comparative Example 1 had a nano-level particle diameter, measurement was abbreviate|omitted.

1-2. 유리 전이 온도1-2.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접착제의 주제 유리 전이 온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접착제에 대해서, 공정 3의 에이징 처리 후의 유리 전이 온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장치는 히타치 하이테크 사이언스사의 상품명 「DSC7000X」를 사용하였다. 측정 온도 조건은 승온 속도 20℃/min으로 하였다.The main glass transition temperatures of the adhesives us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measured. Moreover, about the adhesive used in the Example and the comparative example,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after the aging process of process 3 was measured. As the measuring device, Hitachi High-Tech Science Co., Ltd. trade name "DSC7000X" was used. Measurement temperature conditions were set at a heating rate of 20°C/min.

1-3. 저항값1-3. resistance value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작한 접속체의 저항값을 측정하였다. 한쪽의 한 쌍의 단자를 제1 금속 기재에 설치하고, 다른 쪽의 한 쌍의 단자를 제2 금속 기재에 설치하고, 4 단자법에 의해 저항값을 측정하였다. 측정 장치는 히오키 덴키사의 상품명 「저항계 RM3544」를 사용하였다. 저항값은, 공정 2의 직후 및 공정 3의 후에 측정하였다. 비교예 1은, 공정 2의 직후의 저항값이 극히 높았기 때문에, 공정 3의 후의 저항값의 측정은 생략하였다.Resistance values of the connected bodies prepar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measured. One pair of terminals were attached to the first metal substrate, and the other pair of terminals were attached to the second metal substrate, and the resistance value was measured by the four-terminal method. As the measuring device, "Resistance Meter RM3544", a trade name of Hioki Denki Co., Ltd., was used. The resistance value was measured immediately after step 2 and after step 3. In Comparative Example 1, since the resistance value immediately after step 2 was extremely high, measurement of the resistance value after step 3 was omitted.

1-4. 밀착성(박리력)1-4. Adhesion (peel force)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작한 접속체를, 폭 15mm, 길이 10cm로 절단한 샘플을 2개 제작하였다. 한쪽의 샘플의 선단 10mm의 제2 금속 기재를 박리하고, 박리한 제2 금속 기재를 척으로 쥐고, 시마즈 세이사쿠쇼사의 상품명 「AUTOGRAPH AGS-50D」를 사용하여, 박리 각도 180° 박리 속도 200mm/min의 조건에서 박리하고, 박리력 1을 측정하였다.Two samples were produced by cutting the connected body fabricat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into a width of 15 mm and a length of 10 cm. The second metal substrate of 10 mm from the tip of one sample was peeled off, the peeled second metal substrate was held in a chuck, and using Shimadzu Corporation's trade name "AUTOGRAPH AGS-50D", a peel angle of 180 ° and a peel speed of 200 mm / It peeled under conditions of min, and peel force 1 was measured.

다른 한쪽의 샘플 선단 10mm의 제1 금속 기재를 박리하고, 박리한 제1 금속 기재를 척으로 쥐고, 시마즈 세이사쿠쇼사의 상품명 「AUTOGRAPH AGS-50D」를 사용하여, 박리 각도 180° 박리 속도 200mm/min의 조건에서 박리하고, 박리력 2를 측정하였다.The first metal substrate having a length of 10 mm from the tip of the other sample was peeled off, and the peeled first metal substrate was held by a chuck, using Shimadzu Corporation's trade name "AUTOGRAPH AGS-50D", a peeling angle of 180° and a peeling speed of 200 mm/min. It peeled under conditions of min, and the peel force 2 was measured.

박리력 1 및 박리력 2 중, 약한 쪽의 박리력을 표 1에 나타낸다. 약한 쪽의 박리력이 0.10N/mm 이상이 합격 레벨이다.Among peel force 1 and peel force 2, the peel force of the weaker side is shown in Table 1. The peel force of the weak side is a pass level of 0.10 N/mm or more.

2. 수지 코어의 표면에 도전층을 갖는 도전성 입자의 제작2. Production of conductive particles having a conductive layer on the surface of the resin core

2-1. 도전성 입자 1의 제작2-1. Preparation of conductive particle 1

(1) 중합체 시드 입자 분산액의 제작(1) Production of Polymer Seed Particle Dispersion

세퍼러블 플라스크에 이온 교환수 2500g, 스티렌 250g, 옥틸머캅탄 50g 및 염화나트륨 0.5g을 넣고, 질소 분위기 하에서 교반하였다. 그 후, 70℃로 가열하고, 과황산칼륨 2.5g을 첨가하고, 24시간 반응을 행함으로써, 중합체 시드 입자를 얻었다.2500 g of ion-exchanged water, 250 g of styrene, 50 g of octyl mercaptan, and 0.5 g of sodium chloride were placed in a separable flask, followed by stirring under a nitrogen atmosphere. After that, polymer seed particles were obtained by heating at 70°C, adding 2.5 g of potassium persulfate, and reacting for 24 hours.

얻어진 중합체 시드 입자 5g과, 이온 교환수 500g과, 폴리비닐알코올 5중량% 수용액 100g을 혼합하고, 초음파에 의해 분산시킨 후, 세퍼러블 플라스크에 넣고 교반하여, 중합체 시드 입자 분산액을 얻었다.5 g of the obtained polymer seed particles, 500 g of ion-exchanged water, and 100 g of a 5% by weight aqueous solution of polyvinyl alcohol were mixed and dispersed by ultrasonic waves, then placed in a separable flask and stirred to obtain a dispersion of polymer seed particles.

(2) 수지 코어의 제작(2) Production of resin core

디메틸올-트리시클로데칸디메타크릴레이트 100g과, 메틸메타크릴레이트 90g과, 과산화벤조일 2.6g과, 라우릴황산트리에탄올아민 10g과, 에탄올 130g을 이온 교환수 1000g에 첨가하여, 교반하고, 유화액을 얻었다. 얻어진 유화액을 수회로 나누어서 중합체 시드 입자 분산액에 첨가하고, 12시간 교반하였다. 그 후, 폴리비닐알코올 5중량% 수용액 500g을 첨가하고, 85℃의 질소 분위기 하에서, 9시간 반응을 행하여, 수지 코어(평균 입자경 4.4㎛)를 얻었다. 수지 코어의 압축 회복률은 46%였다.100 g of dimethylol-tricyclodecane dimethacrylate, 90 g of methyl methacrylate, 2.6 g of benzoyl peroxide, 10 g of triethanolamine lauryl sulfate, and 130 g of ethanol were added to 1000 g of ion-exchanged water, stirred, and the emulsion was got it The obtained emulsion was divided into several times, added to the polymer seed particle dispersion, and stirred for 12 hours. Thereafter, 500 g of a 5% by weight polyvinyl alcohol aqueous solution was added, and the mixture was reacted in a nitrogen atmosphere at 85°C for 9 hours to obtain a resin core (average particle diameter: 4.4 µm). The compression recovery rate of the resin core was 46%.

(3) 도전성 입자의 제작(3) Production of conductive particles

(3-1) 팔라듐 부착 공정(3-1) Palladium Attachment Step

얻어진 수지 코어를 에칭하고, 수세하였다. 다음으로, 팔라듐 촉매를 8중량% 포함하는 팔라듐 촉매화 액 100mL 중에 수지 코어를 첨가하고, 교반하였다. 그 후, 여과하고, 세정하였다. pH6의 0.5중량% 디메틸아민보란액에 수지 코어를 첨가하고, 팔라듐이 부착된 수지 코어를 얻었다.The obtained resin core was etched and washed with water. Next, the resin core was added and stirred in 100 mL of a palladium-catalyzed liquid containing 8% by weight of a palladium catalyst. After that, it was filtered and washed. The resin core was added to a 0.5% by weight dimethylamine borane solution at pH 6 to obtain a resin core to which palladium adhered.

(3-2) 코어 물질 부착 공정(3-2) Core material attachment process

팔라듐이 부착된 수지 코어를 이온 교환수 300mL 중에서 3분간 교반하고, 분산시켜서, 분산액을 얻었다. 다음으로, 금속 니켈 입자 슬러리(평균 입자경 100nm) 1g을 3분간 걸쳐서 상기 분산액에 첨가하고, 코어 물질이 부착된 수지 코어를 얻었다.The resin core to which palladium adhered was stirred and dispersed for 3 minutes in 300 mL of ion-exchanged water to obtain a dispersion liquid. Next, 1 g of metal nickel particle slurry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100 nm) was added to the dispersion over 3 minutes to obtain a resin core with a core substance attached thereto.

(3-3) 무전해 니켈 도금 공정(3-3) Electroless nickel plating process

황산니켈 0.23mol/L, 디메틸아민보란 0.92mol/L 및 시트르산나트륨 0.5mol/L을 포함하는 니켈 도금액(pH8.5)을 준비하였다. 코어 물질이 부착된 수지 코어에 이온 교환수 500mL를 첨가하고, 얻어진 현탁액을 60℃에서 교반하면서, 상기 니켈 도금액을 현탁액에 서서히 적하하고, 무전해 니켈 도금을 행하였다. 수지 코어의 표면에, 두께 0.1㎛ 정도의 도전층(니켈과 보론을 포함하는 니켈-보론 도전층)이 형성된 때에, 무전해 도금액의 적하를 종료하였다. 그 후, 현탁액을 여과함으로써, 입자를 빼내고, 수세하고, 건조함으로써, 수지 코어의 표면에 니켈-보론 도전층(두께 96.4nm)이 마련되어 있고, 니켈-보론 도전층의 표면에 돌기를 갖는 도전성 입자 1을 얻었다(평균 입자경 4.5㎛).A nickel plating solution (pH 8.5) containing 0.23 mol/L of nickel sulfate, 0.92 mol/L of dimethylamine borane, and 0.5 mol/L of sodium citrate was prepared. 500 mL of ion-exchanged water was added to the resin core with the core substance attached, and the nickel plating solution was gradually added dropwise to the suspension while stirring the obtained suspension at 60°C to perform electroless nickel plating. When a conductive layer (nickel-boron conductive layer containing nickel and boron) having a thickness of about 0.1 μm wa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resin core, dripping of the electroless plating solution was finished. Thereafter, by filtering the suspension to remove particles, washing with water and drying, a nickel-boron conductive layer (96.4 nm in thickness) is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resin core, and conductive particles having protrusions on the surface of the nickel-boron conductive layer. 1 was obtained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4.5 µm).

2-2. 도전성 입자 2의 제작2-2. Production of conductive particles 2

일본 특허 공개 제2020-97739호 공보의 실시예 3의 기재에 준하여, 수지 코어(압축 회복률: 9.8%)의 표면에, 두께 0.1㎛ 정도의 도전층(니켈층)이 형성된 도전성 입자 2를 얻었다(평균 입자경 3.1㎛).In accordance with the description of Example 3 of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20-97739, conductive particles 2 in which a conductive layer (nickel layer) having a thickness of about 0.1 μm was formed on the surface of a resin core (compression recovery rate: 9.8%) were obtained ( Average particle diameter 3.1 μm).

3. 접속체의 제작3. Fabrication of connecting body

[실시예 1][Example 1]

하기의 공정 1 내지 3에 의해, 실시예 1의 접속체를 제작하였다.Through the following steps 1 to 3, the connected body of Example 1 was produced.

공정 1: 제1 금속 기재(두께 50㎛의 알루미늄) 상에 하기의 도전성 접착제층용 도포액 1을 그라비아 코팅법에 의해 도포하였다. 이어서, 100℃에서 1분간 건조시켜서, 평균 두께 4.0㎛의 도전성 접착제층을 형성하였다. 공정 1은, 제1 금속 기재의 롤상물로, 제1 금속 기재를 연속적으로 송출함으로써, 연속적으로 실시하였다.Step 1: On a first metal substrate (aluminum having a thickness of 50 μm), the following coating liquid 1 for a conductive adhesive layer was applied by a gravure coating method. Then, it was dried at 100°C for 1 minute to form a conductive adhesive layer having an average thickness of 4.0 µm. Step 1 was performed continuously by sending out the first metal substrate continuously as a roll-shaped article of the first metal substrate.

<도전성 접착제층용 도포액 1><Coating liquid 1 for conductive adhesive layer>

·상기 「2-1」에서 제작한 도전성 입자 1 0.54질량부・0.54 parts by mass of the conductive particles 1 prepared in “2-1” above

·접착제의 주제 31.3질량부31.3 parts by mass of the main adhesive

(폴리에스테르계 수지)(Polyester-based resin)

(도요보사, 상품명: 바이런 GK810, 고형분 100질량%)(Toyobo Co., Ltd., brand name: Byron GK810, solid content 100% by mass)

·접착제의 경화제 2.64질량부・ 2.64 parts by mass of the curing agent for the adhesive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Isocyanate-based compound)

(도소사, 상품명: 코로네이트 HX, 고형분 100질량%)(Tosoh Corporation, brand name: Coronate HX, solid content 100% by mass)

·희석 용제 적량・Appropriate amount of diluted solvent

공정 2: 도전성 접착제층 상에 제2 금속 기재를 라미네이트하여, 제1 금속 기재, 도전성 접착제층 및 제2 금속 기재를 이 순으로 갖는 접속체를 얻었다. 라미네이트 조건은 하기 대로 하였다.Process 2: The 2nd metal substrate was laminated on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and the connection body which had the 1st metal substrate,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and the 2nd metal substrate in this order was obtained. The lamination conditions were as follows.

공정 2는, 제2 금속 기재의 롤상물로부터, 제2 금속 기재를 연속적으로 송출함으로써, 연속적으로 실시하였다. 공정 1 및 공정 2는, 하나의 라인에서 연속적으로 실시하였다.Step 2 was performed continuously by continuously sending out the second metal substrate from the roll-shaped object of the second metal substrate. Process 1 and process 2 were implemented continuously in one line.

<라미네이트 조건><Laminate conditions>

·라미네이트 롤의 온도: 60℃・Temperature of lamination roll: 60°C

·라미네이트의 압력: 0.4MPaLaminate pressure: 0.4 MPa

·라미네이트 속도: 0.8m/minLaminate speed: 0.8 m/min

공정 3: 공정 2에서 얻어진 접속체를 권취하고, 45℃에서 5일간 에이징 처리하였다.Step 3: The connected body obtained in Step 2 was wound up and subjected to aging treatment at 45°C for 5 days.

[실시예 2][Example 2]

도전성 접착제층용 도포액 1 중의 도전성 입자의 첨가량을 0.20질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실시예 2의 접속체를 제작하였다.A connected body of Example 2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addition amount of the conductive particles in the coating liquid for conductive adhesive layers 1 was changed to 0.20 parts by mass.

[실시예 3][Example 3]

도전성 접착제층용 도포액 1을, 하기의 도전성 접착제층용 도포액 2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실시예 3의 접속체를 제작하였다.A connected body of Example 3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coating liquid 1 for conductive adhesive layers was changed to the following coating liquid for conductive adhesive layers 2.

<도전성 접착제층용 도포액 2><Coating liquid 2 for conductive adhesive layer>

·상기 「2-1」에서 제작한 도전성 입자 1 1.1질량부・1.1 parts by mass of the conductive particles 1 produced in “2-1” above

·접착제의 주제 100질량부100 parts by mass of the main adhesive

(폴리에스테르계 수지)(Polyester-based resin)

(도아 고세사, 상품명: 알폰 UH2170, 고형분 52질량%)(Doagosei Co., Ltd., brand name: Alpon UH2170, solid content 52% by mass)

·접착제의 경화제 12.3질량부12.3 parts by mass of the curing agent for the adhesive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Isocyanate-based compound)

(도소사, 상품명: 코로네이트 HX, 고형분 100질량%)(Tosoh Corporation, brand name: Coronate HX, solid content 100% by mass)

·희석 용제 적량・Appropriate amount of diluted solvent

[실시예 4][Example 4]

도전성 접착제층용 도포액 1을, 하기의 도전성 접착제층용 도포액 3으로 변경하고, 도전성 접착제층의 평균 두께를 2.9㎛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실시예 4의 접속체를 제작하였다.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coating liquid 1 was changed to the following conductive adhesive layer coating liquid 3, and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was changed to 2.9 μm. did

<도전성 접착제층용 도포액 3><Coating liquid for conductive adhesive layer 3>

·상기 「2-2」에서 제작한 도전성 입자 2 0.24질량부・0.24 parts by mass of the conductive particles 2 prepared in “2-2” above

·접착제의 주제 100질량부100 parts by mass of the main adhesive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유리 전이 온도: 0℃)(Polyester-based resin,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0°C)

(도요 모톤사, 상품명: AD76P1, 고형분 51질량%)(Toyo Moton Co., Ltd., brand name: AD76P1, solid content 51% by mass)

·접착제의 경화제 10.0질량부・10.0 parts by mass of the curing agent for the adhesive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Isocyanate-based compound)

(도요 모톤사, 상품명: CAT10L, 고형분 53질량%)(Toyo Moton Co., Ltd., trade name: CAT10L, solid content 53% by mass)

·희석 용제 적량・Appropriate amount of diluted solvent

[실시예 5][Example 5]

도전성 접착제층용 도포액 1을, 하기의 도전성 접착제층용 도포액 4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실시예 5의 접속체를 제작하였다.A connected body of Example 5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coating liquid 1 for conductive adhesive layers was changed to the following coating liquid 4 for conductive adhesive layers.

<도전성 접착제층용 도포액 4><Coating liquid 4 for conductive adhesive layer>

·상기 「2-1」에서 제작한 도전성 입자 1 0.24질량부・0.24 parts by mass of the conductive particles 1 prepared in “2-1” above

·접착제의 주제 100질량부100 parts by mass of the main adhesive

(폴리에스테르계 수지)(Polyester-based resin)

(도요 모톤사, 상품명: AD76P1, 고형분 51질량%)(Toyo Moton Co., Ltd., brand name: AD76P1, solid content 51% by mass)

·접착제의 경화제 10.0질량부・10.0 parts by mass of the curing agent for the adhesive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Isocyanate-based compound)

(도요 모톤사, 상품명: CAT10L, 고형분 53질량%)(Toyo Moton Co., Ltd., trade name: CAT10L, solid content 53% by mass)

·희석 용제 적량・Appropriate amount of diluted solvent

[실시예 6][Example 6]

도전성 접착제층용 도포액 1을, 하기의 도전성 접착제층용 도포액 5로 변경하고, 공정 3의 에이징 조건을 하기의 조건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실시예 6의 접속체를 제작하였다.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coating liquid 1 was changed to the following conductive adhesive layer coating liquid 5, and the aging conditions in step 3 were changed to the following conditions. did

<도전성 접착제층용 도포액 5><Coating liquid 5 for conductive adhesive layer>

·상기 「2-1」에서 제작한 도전성 입자 1 0.20질량부・0.20 parts by mass of the conductive particles 1 prepared in “2-1” above

·접착제의 주제 1 30질량부・Subject 1 of adhesive 30 parts by mass

(폴리이미드계 수지)(Polyimide resin)

(아라까와 가가꾸 고교사, 상품명: PIAD200, 고형분 30질량%)(Arakawa Chemical High School, product name: PIAD200, solid content 30% by mass)

·접착제의 주제 2 70질량부・Subject 2 of adhesive 70 parts by mass

(폴리이미드계 수지)(Polyimide resin)

(아라까와 가가꾸 고교사, 상품명: PIAD150H, 고형분 30질량%)(Arakawa Chemical High School, brand name: PIAD150H, solid content 30% by mass)

·접착제의 주제 3 2.3질량부・Subject 3 of adhesive 2.3 parts by mass

(에폭시계 수지)(epoxy resin)

(미쓰비시 케미컬사, 상품명: jER630, 고형분 100질량%)(Mitsubishi Chemical Co., Ltd., trade name: jER630, solid content 100% by mass)

·접착제의 경화제 8.0질량부・ 8.0 parts by mass of the curing agent for the adhesive

(활성 에스테르계 화합물)(active ester compound)

(DIC사, 상품명: HPC-8000, 고형분 65질량%)(DIC company, brand name: HPC-8000, solid content 65% by mass)

·경화 촉진제 0.0025질량부・Curing accelerator 0.0025 parts by mass

(시코쿠 가세이사, 상품명; 큐어졸 2E4MZ-a)(Shikoku Kasei, trade name; Curesol 2E4MZ-a)

·희석 용제 적량・Appropriate amount of diluted solvent

<공정 3><Process 3>

공정 2에서 얻어진 접속체를 권취하고, 160℃에서 1시간 에이징 처리하였다.The connected body obtained in step 2 was wound up and subjected to aging treatment at 160°C for 1 hour.

[실시예 7][Example 7]

도전성 접착제층용 도포액 1을, 하기의 도전성 접착제층용 도포액 6으로 변경하고, 공정 3의 에이징 조건을 하기의 조건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실시예 7의 접속체를 제작하였다.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coating liquid 1 was changed to the following conductive adhesive layer coating liquid 6, and the aging conditions in step 3 were changed to the following conditions. did

<도전성 접착제층용 도포액 6><Coating liquid 6 for conductive adhesive layer>

·상기 「2-1」에서 제작한 도전성 입자 1 0.10질량부・0.10 parts by mass of the conductive particles 1 prepared in “2-1” above

·접착제의 주제 1 100질량부100 parts by mass of subject 1 of adhesive

(폴리이미드계 수지)(Polyimide resin)

(아라까와 가가꾸 고교사, 상품명: PIAD152H, 고형분 42질량%)(Arakawa Chemical High School, brand name: PIAD152H, solid content 42% by mass)

·접착제의 주제 2 11.5질량부・Subject 2 of adhesive 11.5 parts by mass

(에폭시계 수지)(epoxy resin)

(미쓰비시 케미컬사, 상품명: YL980, 고형분 100질량%)(Mitsubishi Chemical Co., Ltd., trade name: YL980, solid content 100% by mass)

·접착제의 경화제 12.8질량부・ 12.8 parts by mass of the curing agent for the adhesive

(페놀계 화합물)(phenolic compounds)

(아라까와 가가꾸 고교사, 상품명: 타마놀 759, 고형분 100질량%)(Arakawa Chemical High School, brand name: Tamanol 759, solid content 100% by mass)

·경화 촉진제 0.24질량부・Curing accelerator 0.24 parts by mass

(시코쿠 가세이사, 상품명; 큐어졸 2E4MZ)(Shikoku Kasei, trade name: Curesol 2E4MZ)

·희석 용제 적량・Appropriate amount of diluted solvent

<공정 3><Process 3>

공정 2에서 얻어진 접속체를 권취하고, 120℃에서 2시간 에이징 처리하였다.The connected body obtained in step 2 was wound up and subjected to aging treatment at 120°C for 2 hours.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도전성 접착제층용 도포액 1을, 하기의 도전성 접착제층용 도포액 7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비교예 1의 접속체를 제작하였다.A connected body of Comparative Example 1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coating liquid 1 for conductive adhesive layers was changed to the following coating liquid 7 for conductive adhesive layers.

<도전성 접착제층용 도포액 7><Coating liquid for conductive adhesive layer 7>

·카본 블랙 분산액 115.3질량부・Carbon black dispersion 115.3 parts by mass

(미쿠니 시키소사, 상품명: RK046, 고형분 26.5질량%)(Mikuni Shikiso Co., Ltd., brand name: RK046, solid content 26.5% by mass)

·접착제의 주제 100질량부100 parts by mass of the main adhesive

(폴리에스테르계 수지)(Polyester-based resin)

(도요 모톤사, 상품명: AD76P1, 고형분 51질량%)(Toyo Moton Co., Ltd., brand name: AD76P1, solid content 51% by mass)

·접착제의 경화제 10질량부・ 10 parts by mass of the curing agent for the adhesive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Isocyanate-based compound)

(도요 모톤사, 상품명: CAT10L, 고형분 53질량%)(Toyo Moton Co., Ltd., trade name: CAT10L, solid content 53% by mass)

·희석 용제 적량・Appropriate amount of diluted solvent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도전성 접착제층의 평균 두께를 7.0㎛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비교예 2의 접속체를 제작하였다.A connected body of Comparative Example 2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was changed to 7.0 µm.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1

표 1의 결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실시예의 접속체의 제조 방법은, 접속체의 제조 직후(공정 2의 직후) 및 접속체의 에이징 처리 후(공정 3의 후)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접속체의 저항값을 낮출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의 접속체의 제조 방법은, 롤 투 롤에서의 제조이기 때문에, 제조 효율을 비약적으로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표 중에는 기재하고 있지 않지만, 명세서 본문의 S1/S, S2/S, S1/S3, S2/S3은, 모두 1.00이다.As is clear from the results of Table 1,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nnected body of the examples, both immediately after manufacturing the connected body (immediately after step 2) and after the aging treatment of the connected body (after step 3), It can be seen that the resistance value can be lowered. Moreover, since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nnected body of an Example is roll-to-roll manufacturing, manufacturing efficiency can be improved remarkably. Although not described in the tables, all of S1/S, S2/S, S1/S3, and S2/S3 in the body of the specification are 1.00.

10: 제1 금속 기재
11: 제1 금속 기재의 롤상물
20: 제2 금속 기재
21: 제2 금속 기재의 롤상물
30: 도전성 접착제층
31: 접착제
32: 수지 코어의 표면에 도전층을 갖는 도전성 입자
50: 적층체
100: 접속체
200: 도포 장치
10: first metal substrate
11: Roll-shaped article of first metal substrate
20: second metal substrate
21: Roll-shaped article of second metal substrate
30: conductive adhesive layer
31: glue
32: conductive particles having a conductive layer on the surface of the resin core
50: laminate
100: connection body
200: application device

Claims (17)

하기의 공정 1∼2를 갖는, 접속체의 제조 방법.
공정 1: 제1 금속 기재 상에, 접착제와, 수지 코어의 표면에 도전층을 갖는 도전성 입자를 포함하는 도전성 접착제층용 도포액을 도포, 건조시켜서, 도전성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공정. 공정 1에서는, 상기 도전성 접착제층의 평균 두께를 T1[㎛], 상기 도전성 입자의 평균 입자경을 D1[㎛]로 정의한 때에, T1<D1의 관계를 만족시키도록 한다.
공정 2: 상기 도전성 접착제층 상에, 제2 금속 기재를 라미네이트하여, 상기 제1 금속 기재, 상기 도전성 접착제층 및 상기 제2 금속 기재를 이 순서대로 갖는, 접속체를 얻는 공정.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nnected body which has the following process 1-2.
Step 1: A step of forming a conductive adhesive layer by applying an adhesive and a coating liquid for a conductive adhesive layer containing conductive particles having a conductive layer on the surface of a resin core on a first metal substrate, followed by drying. In Step 1, when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is defined as T1 [μm] and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conductive particles is defined as D1 [μm], the relationship of T1 < D1 is satisfied.
Process 2: The process of laminating a 2nd metal substrate on the said conductive adhesive layer, and obtaining the connection body which has the said 1st metal substrate, the said conductive adhesive layer, and the said 2nd metal substrate in this ord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코어의 압축 회복률이 5% 이상 55% 이하인, 접속체의 제조 방법.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nnected bod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sin core has a compression recovery rate of 5% or more and 55% or les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100질량부에 대하여, 상기 도전성 입자를 0.1질량부 이상 2.0질량부 이하 포함하는, 접속체의 제조 방법.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nnected bod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ductive particles are contained in an amount of 0.1 part by mass or more and 2.0 parts by mass or less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mass of the adhesive. 제1항에 있어서, 공정 1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가, 주제와 경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주제의 유리 전이 온도가 -5℃ 이상인, 접속체의 제조 방법.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nnected bod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dhesive contains a base material and a curing agent, and the base material has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5°C or higher in step 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가, 주제와 경화제를 포함하고, 공정 2의 라미네이트 온도를, 상기 주제의 유리 전이 온도 이상으로 하는, 접속체의 제조 방법.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nnected bod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dhesive contains a base material and a curing agent, and the lamination temperature in step 2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base material. 제1항에 있어서, 또한, 하기의 공정 3을 갖는, 접속체의 제조 방법.
공정 3: 접속체를 에이징 처리하는 공정.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nnected body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following step 3.
Step 3: A step of aging the connected body.
제6항에 있어서, 공정 3에 있어서, 에이징 처리의 온도를 55℃ 이하로 하는, 접속체의 제조 방법.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nnected body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in step 3, the temperature of the aging treatment is 55°C or lower. 제6항에 있어서, 공정 3의 후의 상기 접착제의 유리 전이 온도가 -1℃ 이상인, 접속체의 제조 방법.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nnected body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adhesive after Step 3 is -1°C or higher. 제6항에 있어서, 공정 3의 후의 도전성 접착제층의 평균 두께를 Tn[㎛], 도전성 입자의 두께 방향의 직경의 평균을 Dn[㎛]으로 정의한 때에, Tn≤Dn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접속체의 제조 방법.The connection according to claim 6, which satisfies the relationship of Tn≤Dn when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after step 3 is defined as Tn [μm] and the average diameter of the conductive particles in the thickness direction is defined as Dn [μm]. How to make a sie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금속 기재의 롤상물로부터 상기 제1 금속 기재를 연속적으로 송출함으로써, 상기 공정 1을 행함과 함께, 상기 제2 금속 기재의 롤상물로부터 상기 제2 금속 기재를 연속적으로 송출함으로써, 상기 공정 2를 행하는, 접속체의 제조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tep 1 is performed by continuously sending out the first metal substrate from the roll-like product of the first metal substrate, and continuously feeding the second metal substrate from the roll-like product of the second metal substrate.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nnected body which performs the said process 2 by sending out to. 제1 금속 기재, 도전성 접착제층 및 제2 금속 기재를 이 순서대로 갖고, 상기 도전성 접착제층은, 접착제와, 수지 코어의 표면에 도전층을 갖는 도전성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도전성 접착제층의 평균 두께를 Tn[㎛], 상기 도전성 입자의 두께 방향의 직경의 평균을 Dn[㎛]으로 정의한 때에, Dn/Tn이 1.00 초과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접속체.A first metal substrate, a conductive adhesive layer and a second metal substrate in this order,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comprising an adhesive and conductive particles having a conductive layer on the surface of a resin core,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A connection body in which Dn/Tn satisfies the relationship of greater than 1.00 when Tn [μm] and the average of the diameters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conductive particles are defined as Dn [μm]. 제11항에 있어서, Dn/Tn이 1.01 이상 1.50 이하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접속체.The connected body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Dn/Tn satisfies a relationship of 1.01 or more and 1.50 or less. 제11항에 있어서, 접속체를 평면에서 본 때의 접속체의 면적을 S, 접속체를 평면에서 본 때의 제1 금속 기재의 면적을 S1, 접속체를 평면에서 본 때의 제2 금속 기재의 면적을 S2로 한 때에, 하기 식 (1) 및 (2)를 만족시키는, 접속체.
0.99≤S1/S≤1.01 (1)
0.99≤S2/S≤1.01 (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area of the connection body when viewed from a plane is S, the area of the first metal substrate when the connection body is viewed from a plane is S1, and the second metal substrate when the connection body is viewed from a plane A connected body that satisfies the following formulas (1) and (2) when the area of is S2.
0.99≤S1/S≤1.01 (1)
0.99≤S2/S≤1.01 (2)
제11항에 있어서, 접속체를 평면에서 본 때의 제1 금속 기재의 면적을 S1, 접속체를 평면에서 본 때의 제2 금속 기재의 면적을 S2, 접속체를 평면에서 본 때의 도전성 접착제층의 면적을 S3으로 한 때에, 하기 식 (3) 및 (4)를 만족시키는, 접속체.
1.00≤S1/S3≤1.02 (3)
1.00≤S2/S3≤1.02 (4)
The conductive adhesive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S1 is the area of the first metal substrate when the connection body is viewed from a plane, and S2 is the area of the second metal substrate when the connection body is viewed from a plane. A connection body that satisfies the following formulas (3) and (4) when the area of the layer is set to S3.
1.00≤S1/S3≤1.02 (3)
1.00≤S2/S3≤1.02 (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코어의 압축 회복률이 5% 이상 55% 이하인, 접속체.The connected body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the resin core has a compression recovery rate of 5% or more and 55% or less.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100질량부에 대하여, 상기 도전성 입자를 0.1질량부 이상 2.0질량부 이하 포함하는, 접속체.The connected body according to claim 11, which contains 0.1 parts by mass or more and 2.0 parts by mass or less of the conductive particles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mass of the adhesiv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의 유리 전이 온도가 -1℃ 이상인, 접속체.The connected body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the adhesive has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1°C or higher.
KR1020237022829A 2021-08-06 2022-07-29 Manufacturing method of connected body and connected body KR20230114290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130260 2021-08-06
JP2021130260 2021-08-06
PCT/JP2022/029230 WO2023013529A1 (en) 2021-08-06 2022-07-29 Method for producing connected body, and connected bod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4290A true KR20230114290A (en) 2023-08-01

Family

ID=85154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2829A KR20230114290A (en) 2021-08-06 2022-07-29 Manufacturing method of connected body and connected body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WO2023013529A1 (en)
KR (1) KR20230114290A (en)
CN (1) CN116171311A (en)
WO (1) WO2023013529A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01562A (en) 2014-06-12 2016-01-07 日立化成株式会社 Circuit connection material and circuit connection structure
JP2019179647A (en) 2018-03-30 2019-10-17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Conductive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of connection body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78338A (en) * 1988-04-30 1989-11-08 Three Bond Co Ltd Vibration damping laminate
JPH02297433A (en) * 1989-05-11 1990-12-07 Kawasaki Steel Corp Composite steel plate
JPH05187998A (en) * 1992-01-16 1993-07-27 Kawasaki Steel Corp Method and device for measuring scattering concentration of conductive filler in manufacturing process of weldable composite vibration damping material
JPH11157006A (en) * 1997-11-27 1999-06-15 Nisshin Steel Co Ltd Polyolefin resin film laminated metal plate
JP6654954B2 (en) * 2016-03-31 2020-02-26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Anisotropic conductive connection structur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01562A (en) 2014-06-12 2016-01-07 日立化成株式会社 Circuit connection material and circuit connection structure
JP2019179647A (en) 2018-03-30 2019-10-17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Conductive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of connection bod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23013529A1 (en) 2023-02-09
CN116171311A (en) 2023-05-26
WO2023013529A1 (en) 2023-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46449B (en) Adhesive composition, circuit connecting material and connecting structure of circuit member
US8932716B2 (en) Conductive particle, and anisotropic conductive film, bonded structure, and bonding method
JP5476280B2 (en) Polymer particles
US8129023B2 (en) Polymer particles, conductive particles, and an anisotropic conductive packaging materials containing the same
KR100924622B1 (en) Wiring-connecting material, and circuit board and film-shaped adhesives for the wiring connecting, with the same
TWI502608B (en) Conducting particle, anisotropic conductive film, and connected structure, and method of connecting
US7851063B2 (en) Polymer particles and conductive particles having enhanced conducting properties, and anisotropic conductive packaging materials containing the same
KR102467618B1 (en) Adhesive composition
TW201219435A (en) Electrical connection material between conductors and a solar cell comprising the same
CN102668251B (en) Anisotropic conductive adhesive film, connection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2012209097A (en) Anisotropic conductive material and connection structure
JP2017509721A (en) Conductive adhesive tape and article made therefrom
KR20230114290A (en) Manufacturing method of connected body and connected body
JP7137251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onnected body and connected body
KR20110095127A (en) Anisotropic conductive film
WO2015093362A1 (en) Mounting body manufacturing method and anisotropic conductive film
KR20230013642A (en) Connection material
KR100722152B1 (en) Monodisperse Polymer Particles and Conductive Particles for Anisotropic Conductive Packaging Applications
JP7358670B1 (en) connection body
JP7193512B2 (en) connecting material
WO2017047389A1 (en) Adhesive film structure, adhesive film accommodating body, and method for temporarily adhering adhesive film structure
JP6285191B2 (en) Anisotropic conductive film,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onnection method and joined body
CN115124943B (en) Bonding sheet for flexible display and flexible display comprising same
JP2001337340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anisotropic conductive film, and external circuit mounting method
JP2018133331A (en) Anisotropic conductive connection structure, manufacturing method of anisotropic conductive connection structure, anisotropic conductive film, and anisotropic conductive pas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