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4035A - 공중 중계기의 위치 결정 장치, 위치 결정 방법, 위치 결정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공중 중계기의 위치 결정 장치, 위치 결정 방법, 위치 결정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4035A
KR20230114035A KR1020220010043A KR20220010043A KR20230114035A KR 20230114035 A KR20230114035 A KR 20230114035A KR 1020220010043 A KR1020220010043 A KR 1020220010043A KR 20220010043 A KR20220010043 A KR 20220010043A KR 20230114035 A KR20230114035 A KR 202301140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eater
location
base station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0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6867B1 (ko
Inventor
박재돈
박종성
박용우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220010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6867B1/ko
Priority to US18/157,396 priority patent/US20230239035A1/en
Publication of KR20230114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40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6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6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85Space-based or airborne stations; Stations for satellite systems
    • H04B7/18502Airborne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85Space-based or airborne stations; Stations for satellite systems
    • H04B7/18502Airborne stations
    • H04B7/18504Aircraft used as relay or high altitude atmospheric platfor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41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using analysis of echo signal for target characterisation; Target signature; Target cross-section
    • G01S7/411Identification of targets based on measurements of radar refle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36Signal-to-interference ratio [SIR] or carrier-to-interference ratio [CI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32Channel quality parameters, e.g. channel quality indicator [CQ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6Airborne or Satellite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중 중계기 위치 결정 장치는 공중 중계기의 높이, 소스 노드 및 이동통신 기지국의 위치를 획득하는 송수신부; 및 소스 노드의 위치, 이동통신 기지국의 위치 및 공중 중계기의 높이에 기초하여 지면과 평행하고 공중 중계기를 포함하는 제1 평면상에서 이동통신 기지국에 수신되는 신호의 SNR(Signal to Noise Ratio)이 최대가 되는 위치를 공중 중계기의 초기 위치로서 결정하는 초기 위치 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중 중계기의 위치 결정 장치, 위치 결정 방법, 위치 결정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DEVICE OF POSITIONING AERIAL REPEATER, METHOD FOR POSITIONING AERIAL REPEATER, COMPUTER PROGRAM FOR PERFORMING METHOD THEREFOR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SAME}
본 발명은 공중 백홀 시스템에서 공중 중계기의 위치를 결정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4G 및 5G 이동통신은 사용자에게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기지국 철탑에 이동통신 기지국을 설치하고, 휴대 단말에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이동통신 기지국은 통신 서비스 네트워크에 연결되기 위해서 소스 노드에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다.
한편, 이동통신 기지국이 지상 철탑에 설치되지 않고 공중 무인기에 탑재되어 지상 등에 위치한 개인의 휴대전화에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도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경우, 공중 무인기에 탑재된 이동통신 기지국은 소스 노드와 연결된 백본(backbone)이 지상의 소스 노드를 통해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어야 통신 사업자 서비스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휴대 단말에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지상에 위치한 소스 노드와 공중 무인기에 탑재된 이동통신 기지국 사이에 지형지물에 의한 차폐가 발생되는 경우, 소스 노드를 통해 이동통신 기지국에 연결된 백본 링크는 LoS(Line of Sight)가 만족되지 않으므로, 이동통신 기지국은 개인의 휴대 단말에게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다. 이 경우, 소스 노드 및 이동통신 기지국 모두에 LoS가 만족되는 위치에 다른 무인기 및 공중 중계기가 배치되어, 소스 노드에서부터 공중 중계기를 거쳐 이동통신 기지국까지 2-홉(2-hop)으로 지상의 소스 노드에 연결된 백본 링크가 만족되어야 이동통신 기지국이 휴대단말에게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소스 노드 및 이동통신 기지국 모두에 LoS가 만족되는 최적의 위치에 공중 중계기의 위치를 결정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중 중계기 위치 결정 장치는 공중 중계기의 높이, 소스 노드 및 이동통신 기지국의 위치를 획득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소스 노드의 위치, 상기 기지국의 위치 및 상기 공중 중계기의 높이에 기초하여 지면과 평행하고 상기 공중 중계기를 포함하는 제1 평면상에서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에 수신되는 신호의 SNR(Signal to Noise Ratio)이 최대가 되는 위치를 상기 공중 중계기의 초기 위치로서 결정하는 초기 위치 결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에 수신되는 신호의 SNR이 최대가 되는 위치는, 상기 제1 평면에 수직하고 상기 소스 노드로부터 연장되는 제1 직선과 상기 제1 평면이 교차하는 제1 지점을, 상기 제1 평면에 수직하고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직선과 상기 제1 평면이 교차하는 제2 지점과 연결한 제3 직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초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소스 노드를 공간 좌표계(x,y,z)의 원점(0,0,0)에 위치시키고, 상기 획득된 소스 노드 및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을 상기 공간좌표계의 (w1,w2,h)에 위치시키며, 상기 획득된 소스 노드 및 상기 획득된 공중 중계기의 높이에 기초하여 연산된 공간 좌표계에서 제1 평면의 z좌표가 H인 경우, 상기 공중 중계기의 초기 위치의 x좌표는 , y좌표는 로 상기 공중 중계기의 초기 위치를 결정하되, 상기 이고, 여기서 a는 이며, b는 일 수 있다.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결정된 공중 중계기의 초기 위치와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의 위치 사이의 지형지물 정보를 더 획득하고, 상기 공중 중계기 위치 결정 장치는, 상기 획득된 지형지물 정보,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 위치 및 상기 결정된 공중 중계기의 초기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초기 위치에 위치하는 상기 공중 중계기와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 사이의 LoS(Line Of Sight)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LoS 판단부; 및 상기 초기 위치에 위치하는 상기 공중 중계기와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 사이의 LoS가 만족되지 않은 경우, 상기 결정된 공중 중계기의 초기 위치를 중심으로 하고 소정의 제1 반지름을 갖는 제1 구 내부에서 랜덤하게 선정된 제1 후보 위치와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의 사이의 LoS가 만족되는 후보 위치를 탐색하고, 상기 탐색된 후보 위치를 기초로 상기 공중 중계기의 최종 위치를 결정하며, 상기 공중 중계기와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 사이의 LoS가 만족되는 경우, 상기 공중 중계기의 초기 위치를 최종 위치로서 결정하는 최종 위치 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최종 위치 결정부는, 상기 LoS가 만족되는 후보 위치중에서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에 수신되는 신호의 SNR이 최대가 되는 위치를 상기 공중 중계기의 최종 위치로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LoS 판단부는, 상기 제1 후보 위치와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 사이의 LoS가 만족되는 위치가 존재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최종 위치 결정부는, 상기 제1 후보 위치와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 사이의 LoS가 만족되는 위치가 없는 경우, 상기 결정된 공중 중계기의 초기 위치를 중심으로 하고 상기 제1 반지름보다 큰 제2 반지름을 갖는 제2 구 내부에서 랜덤하게 선정된 제2 후보 위치와 상기 공중 중계기와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 사이의 LoS가 만족되는 위치를 재 탐색하고, 상기 재 탐색에 의해 결정된 상기 공중 중계기와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 사이의 LoS가 만족되는 후보 위치를 기초로 상기 공중 중계기의 최종 위치를 다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2 후보 위치는, 상기 제2 구 내부이면서, 상기 제1 구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공중 중계기 위치 결정 방법은 상기 공중 중계기의 높이, 소스 노드 및 이동통신 기지국의 위치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소스 노드의 위치, 상기 기지국의 위치 및 상기 공중 중계기의 높이에 기초하여 지면과 평행하고 상기 공중 중계기를 포함하는 제1 평면상에서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에 수신되는 신호의 SNR(Signal to Noise Ratio)이 최대가 되는 위치를 상기 공중 중계기의 초기 위치로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에 수신되는 신호의 SNR이 최대가 되는 위치는, 상기 제1 평면에 수직하고 상기 소스 노드로부터 연장되는 제1 직선과 상기 제1 평면이 교차하는 제1 지점을, 상기 제1 평면에 수직하고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직선과 상기 제1 평면이 교차하는 제2 지점과 연결한 제3 직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SNR이 최대가 되는 위치를 상기 공중 중계기의 초기 위치로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소스 노드를 xyz 공간 좌표계의 원점(0,0,0)에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획득된 소스 노드 및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을 상기 공간 좌표계의 (w1,w2,h)에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소스 노드 및 상기 획득된 공중 중계기의 높이에 기초하여 연산된 상기 공중 중계기의 공간 좌표계에서 제1 평면 상 z좌표가 H인 경우, 상기 공중 중계기의 초기 위치의 x좌표는 , y좌표는 로 상기 공중 중계기의 초기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이고, 여기서 a는 이며, b는 일 수 있다.
상기 공중 중계기 위치 결정 방법은, 상기 결정된 공중 중계기의 초기 위치와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의 위치 사이의 지형지물 정보를 더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지형지물 정보,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 위치 및 상기 결정된 공중 중계기의 초기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초기 위치에 위치하는 상기 공중 중계기와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 사이의 LoS(Line Of Sight)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초기 위치에 위치하는 상기 공중 중계기와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 사이의 LoS가 만족되지 않은 경우, 상기 결정된 공중 중계기의 초기 위치를 중심으로 하고 소정의 제1 반지름을 갖는 제1 구 내부에서 랜덤하게 선정된 제1 후보 위치와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의 사이의 LoS가 만족되는 후보 위치를 탐색하고 탐색하고, 상기 탐색된 후보 위치를 기초로 상기 공중 중계기의 최종 위치를 결정 하는 단계; 및공중 중계기와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 사이의 LoS가 만족되는 경우, 상기 공중 중계기의 초기 위치를 최종 위치로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중 중계기 위치 결정 방법은, 상기 제1 후보 위치와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 사이의 LoS가 만족되는 위치가 존재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후보 위치와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 사이의 LoS가 만족되는 위치가 없는 경우, 상기 결정된 공중 중계기의 초기 위치를 중심으로 하고 상기 제1 반지름보다 큰 제2 반지름을 갖는 제2 구 내부에서 랜덤하게 선정된 제2 후보 위치와 상기 공중 중계기와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 사이의 LoS가 만족되는 위치를 재 탐색하는 단계; 및 상기 재 탐색에 의해 결정된 상기 공중 중계기와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 사이의 LoS가 만족되는 후보 위치를 기초로 상기 공중 중계기의 최종 위치를 다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후보 위치는, 상기 제2 구 내부이면서, 상기 제1 구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공중 중계기 위치 결정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공중 중계기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을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공중 중계기의 높이, 소스 노드 및 이동통신 기지국의 위치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소스 노드의 위치, 상기 기지국의 위치 및 상기 공중 중계기의 높이에 기초하여 지면과 평행하고 상기 공중 중계기를 포함하는 제1 평면상에서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에 수신되는 신호의 SNR(Signal to Noise Ratio)이 최대가 되는 위치를 상기 공중 중계기의 초기 위치로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공중 중계기 위치 결정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공중 중계기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을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공중 중계기의 높이, 소스 노드 및 이동통신 기지국의 위치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소스 노드의 위치, 상기 기지국의 위치 및 상기 공중 중계기의 높이에 기초하여 지면과 평행하고 상기 공중 중계기를 포함하는 제1 평면상에서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에 수신되는 신호의 SNR(Signal to Noise Ratio)이 최대가 되는 위치를 상기 공중 중계기의 초기 위치로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소스 노드와 무인기에 탑재된 이동통신 기지국 사이에 장애물에 의한 차폐로 LoS가 형성되지 않는 경우, 공중 중계기를 이용하는 시스템에서 안정적으로 백본 링크가 휴대 단말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중 중계기를 이용하는 시스템에서 공중 중계기의 최적 위치를 제공함으로써, 효율적인 소스 노드와 휴대 단말간의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중 중계기 위치 결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공중 중계기를 이용하여 소스 노드로부터 이동통신 기지국까지 생성된 백본 링크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중 중계기의 최적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중 중계기의 LoS를 만족하는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공중 중계기의 위치 보정 방법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중 중계기의 LoS를 만족하는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공중 중계기의 위치를 추가 보정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6은 공중 중계기 위치 결정 장치를 하드웨어적 측면에서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중 중계기 위치 결정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중 중계기 위치 결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공중 중계기를 이용하여 소스 노드로부터 이동통신 기지국까지 생성된 백본 링크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공중 중계기 위치 결정 장치(100)는 송수신부(110), 초기 위치 결정부(120), LoS 판단부(130) 및 최종 위치 결정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 기지국(30)에 소스 노드(20)에 연결된 백본 링크를 제공하려는 경우, 소스 노드(20)로부터 공중 무인기에 탑재된 이동통신 기지국(30)까지 지형 지물 및 기타 장애물에 의해 LoS(Line of Sight)가 만족되지 않는 경우가 가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또 다른 공중 무인기에 탑재된 공중 중계기(10)를 이용하여 소스 노드(20)에서부터 공중 중계기(10)를 거쳐 이동통신 기지국(30)까지 2 홉(hop)으로 소스 노드에 연결된 백본 링크가 이동통신 기지국(30)을 통해 사용자의 휴대 단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공중 중계기 위치 결정 장치(100)는 이동통신 기지국(30)에 수신되는 신호의 SNR이 최대가 되는 공중 중계기(10)의 최적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공중 중계기 위치 결정 장치(100)는 공중 중계기(10)와 이동통신 기지국(30)사이의 LoS가 만족되는 공중 중계기(1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동통신 기지국(30)에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는 거리가 작을수록 세지므로, 이동통신 기지국(30)에 수신되는 신호의 SNR의 크기는 2홉에 이르는 거리가 짧을수록 커진다. 따라서, 공중 중계기 위치 결정 장치(100)는 상기 2홉의 거리가 최단거리가 되도록 공중 중계기(1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송수신부(110)는 소스 노드(20)의 3차원 좌표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이동통신 기지국(30)의 3차원 좌표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및 공중 중계기(10)의 높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송수신부(110)가 획득하는 소스 노드(20) 및 이동통신 기지국(30)의 위치 정보, 공중 중계기(10)의 높이 정보는 다른 장치로부터 획득될 수 있고, 소스 노드(20), 이동통신 기지국(30) 및 공중 중계기(1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될 수도 있다. 송수신부(110)가 소스 노드(20) 및 이동통신 기지국(30)의 위치 정보, 공중 중계기(10)의 높이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중 중계기의 최적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초기 위치 결정부(120)는 소스 노드(20)의 위치, 이동통신 기지국(30)의 위치 및 공중 중계기(10)의 높이에 기초하여, 지면과 평행하고 공중 중계기(10)를 포함하는 평행한 제1 평면(40)상에서 공중 중계기(1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초기 위치 결정부(120)는 상기 제1 평면(40) 상에서 이동통신 기지국에 수신되는 신호의 SNR(Signal to Noise Ratio)이 최대가 되는 공중 중계기(1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초기 위치 결정부(120)가 결정하는 이동통신 기지국(30)에 수신되는 신호의 SNR이 최대가 되는 위치는, 제1 평면(40)에 수직하고 소스 노드(20)로부터 연장되는 제1 직선과 상기 제1 평면(40)이 교차하는 제1 지점(21)을 제1 평면(40)에 수직하고 이동통신 기지국(30)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직선과 상기 제1 평면(40)이 교차하는 제2 지점(31)과 연결한 제3 직선(50) 상에 위치하도록 공중 중계기(10)의 초기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초기 위치 결정부(120)는 송수신부(110)에 의해 획득된 소스 노드(20) 및 이동통신 기지국(30)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x,y,z)로 구성된 공간 좌표계에 소스 노드(20)와 이동통신 기지국(30)을 배치하고, 이동통신 기지국(30)에 수신되는 신호의 SNR이 최대가 되도록 공중 중계기(1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먼저 초기 위치 결정부(120)는 연산의 편의를 위하여, 소스 노드(20)를 상기 공간 좌표계 상에서 원점(0,0,0)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초기 위치 결정부(120)는 소스 노드(20)의 위치 정보와 이동통신 기지국(3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통신 기지국(30)의 소스 노드(20)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연산하고, 상기 공간 좌표계의 연산된 위치에 이동통신 기지국(30)을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초기 위치 결정부(120)는 획득된 소스 노드(20) 및 이동통신 기지국(30)의 위치와 공중 중계기(10)의 높이에 기초하여, 공중 중계기(10)의 상대적인 높이를 연산할 수 있고, 상기 공간 좌표계에 연산된 높이에 공중 중계기(10)를 배치할 수 있다.
이동통신 기지국(30)이 공간 좌표계 상에 배치된 좌표가 (w1,w2,h)이고, 상기 공중 중계기(10)를 포함하는 제1 평면(40)의 공간 좌표계 상에 배치된 z좌표가 H인 경우, 초기 위치 결정부(120)는 상기 제1 지점(21)의 좌표를 제1 좌표 (0,0,H), 상기 제2 지점(31)의 좌표를 제2 좌표(w1,w2,H)로 연산할 수 있다. 또한, 초기 위치 결정부(120)는 제1 지점(21)과 제2 지점(31)을 연결한 제3 직선(50)을 생성할 수 있다. 이어서, 초기 위치 결정부(120)는 제1 평면(40)상에 있으며, 상기 생성된 제3 직선(50)상에서 공중 중계기(10)의 초기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공중 중계기(10)가 초기 위치 결정부(120)에 의해 결정될 제1 평면(40)상의 평면 좌표(x,y)를 (q1, q2)라고 가정하는 경우,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초기 위치 결정부(120)는 상기 q1,q2를 연산할 수 있다.
여기서, 은 상기 직선 상의 특정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계수이다. 이어서, 초기 위치 결정부(120)는 이동통신 기지국(30)에서 수신되는 수신 신호의 SNR이 최대가 되는 을 하기의 수학식 2와 같이 연산할 수 있다.
여기서, 계수 a는 이고, 계수 b는 이다. 계수 은 백홀 레이트(backhaul rate)는 프런트 홀 링크(fronthaul link)의 처리량 이상인 조건하에서 패시브 빔포밍 이득(passive beamforming gain)을 최대화시키는 조건으로 연산된 계수이다.
공중 중계기 위치 결정 장치(100)는 SNR이 최대가 되는 위치로, 연산된 (x,y)좌표 및 연산된 공중 중계기(10)의 z좌표 H로 공간 좌표계에서 공중 중계기(10)의 초기 위치(q1,q2,H)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초기 위치 결정부(120)에 의해 결정된 공중 중계기(10)의 초기 위치는 공중 중계기(10)와 이동통신 기지국(30) 사이의 LoS가 만족되지 않는 위치일 수 있다. 따라서, 공중 중계기(10)와 이동통신 기지국(30) 사이의 LoS가 만족되는 위치를 찾기 위해 공중 중계기 위치 결정 장치(100)는 결정된 초기 위치를 기초로 공중 중계기(10)의 최종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도 4를 더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라, 송수신부(110)는 공중 중계기(10)의 결정된 초기 위치에서 공중 중계기(10)와 이동통신 기지국(30) 사이의 지형지물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LoS 판단부(130)는 획득된 지형지물 정보에 기초하여, 초기 위치에 위치하는 공중 중계기(10)와 이동통신 기지국(30) 사이의 LoS의 만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송수신부(110)가 획득하는 지형지물 정보는 별개의 장치에 의해 측정된 지형지물 정보 또는 미리 측정된 지형지물 정보를 포함하는 지도를 포함할 수 있다.
초기 위치에 위치하는 공중 중계기(10)와 이동통신 기지국(30) 사이의 LoS가 만족되는 경우, 최종 위치 결정부(140)는 공중 중계기(10)의 초기 위치를 최종 위치로서 결정할 수 있다.
초기 위치에 위치하는 공중 중계기(10)와 이동통신 기지국(30) 사이의 LoS가 만족되지 않은 경우, 최종 위치 결정부(140)는 초기 위치 결정부(120)에 의해 결정된 초기 위치를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 R1을 갖는 제1 구(60) 내부에서 랜덤하게 선정된 제1 후보 위치와 이동통신 기지국(30) 사이의 LoS가 만족되는 후보 위치를 탐색할 수 있다. 이어서, 최종 위치 결정부(140)는 탐색된 후보 위치를 기초로 공중 중계기(10)의 최종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LoS 판단부(130)가 공중 중계기(10)와 이동통신 기지국(30) 사이의 LoS가 만족된다고 판단하는 경우, 최종 위치 결정부(140)는 초기 위치 결정부(120)가 결정한 공중 중계기(10)의 초기 위치를 최종 위치로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구(60) 내부에서 공중 중계기(10)와 이동통신 기지국(30) 사이의 LoS가 만족되는 위치가 복수 개 존재할 수 있으므로, 최종 위치 결정부(140)는 공중 중계기(10)와 이동통신 기지국(30) 사이의 LoS가 만족되는 위치 중에서 이동통신 기지국(30)에 수신되는 신호의 SNR이 최대가 되는 위치를 공중 중계기(10)의 최종 위치로서 결정할 수 있다.
LoS 판단부(130)는 제1 구(60) 내부에서도 공중 중계기(10)와 이동통신 기지국(30) 사이의 LoS가 만족되는 위치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공중 중계기 위치 결정 장치(100)는 공중 중계기(10)와 이동통신 기지국(30) 사이의 LoS가 만족되는 최종 공중 중계기(10)의 위치를 추가로 보정할 필요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중 중계기의 LoS를 만족하는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공중 중계기의 위치를 추가 보정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5를 더 참조하면, 최종 위치 결정부(140)는 초기 위치 결정부(120)가 결정한 공중 중계기(10)의 초기 위치(q1,q2,H)를 중심으로 제1 반지름 R1보다 큰 제2 반지름 R2을 갖는 제2 구(70)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2 구(70) 내부에서 랜덤하게 선정된 제2 후보 위치와 이동통신 기지국(30) 사이의 LoS가 만족되는 후보 위치를 재 탐색할 수 있다. 이어서, 최종 위치 결정부(140)는 재 탐색된 공중 중계기(10)와 이동통신 기지국(30) 사이의 LoS가 만족되는 후보 위치 중에서 공중 중계기(10)의 최종 위치로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최종 위치 결정부(140)가 생성하는 제2 구(70)의 반지름은 2R1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최종 위치 결정부(140)가 재 탐색하는 후보 위치는 제2 구(70) 내부이면서, 상기 제1 구(60)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최종 위치 결정부(140)는 생성된 제2 구(70)내부 중에서, 상기 제1 구(60) 내부에서는 공중 중계기(10)와 이동통신 기지국(30) 사이의 LoS가 만족되는 위치를 탐색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최종 위치 결정부(140)는 이미 LoS가 만족하는 지 탐색된 위치를 제외하고 다시 후보 위치를 탐색할 수 있어, 연산의 효율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2 구(70) 내부에서 공중 중계기(10)와 이동통신 기지국(30) 사이의 LoS가 만족되는 위치가 복수 개 존재할 수 있으므로, 최종 위치 결정부(140)는 제2 구(70) 내부에서 공중 중계기(10)와 이동통신 기지국(30) 사이의 LoS가 만족되는 위치 중에서 이동통신 기지국(30)에 수신되는 신호의 SNR이 최대가 되는 위치를 공중 중계기(10)의 최종 위치로서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 중 송수신부(110), 초기 위치 결정부(120), LoS 판단부(130) 및 최종 위치 결정부(140)는,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수신부(110)는 3G, 4G, 5G, 6G, LTE망을 이용해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 인터페이스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초기 위치 결정부(120), LoS 판단부(130) 및 최종 위치 결정부(140)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도 6은 공중 중계기 위치 결정 장치를 하드웨어적 측면에서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6을 더 참조하면, 공중 중계기 위치 결정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저장하는 저장장치(151) 및 상기 저장장치(151)의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실행하는 프로세서(152), 송수신 장치(153),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154) 및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155)를 포함할 수 있다.
공중 중계기 위치 결정 장치(1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 요소들(151, 152, 153, 154, 155)은 데이터 버스(bus, 156)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저장장치(151)는 메모리 또는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장치(151)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장치(151)는 후술될 프로세서(152)에 의해 실행될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52)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MCU(micro controller unit)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152)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저장장치(151)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명령에 의해 초기 위치 결정부(120), LoS 판단부(130) 및 최종 위치 결정부(14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의 형태로 메모리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송수신 장치(153)은 내부 장치 또는 통신으로 연결된 외부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송신할 수 있고, 송수신부(11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수신 장치(153)는 외부 장치, 소스 노드(20) 및 이동통신 기지국(3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된 소스 노드(20)의 위치, 이동통신 기지국(30)의 위치 및 공중 중계기(10)의 높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154)는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신호 또는설정 수치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154)는 제1 구(60)의 반지름 R1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을 받을 수 있다.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155)는 프로세서(152)의 동작에 의해 최종 결정된 공중 중계기(10)의 위치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출력하여 가시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중 중계기 위치 결정 장치(100)는 소스 노드(20)와 이동통신 기지국(30) 사이에 장애물에 의한 차폐로 LoS가 형성되지 않는 경우, 안정적으로 백본 링크를 휴대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중 중계기 위치 결정 장치(100)를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중 중계기 위치 결정 장치 내 프로세서 동작에 의해 실행되는 공중 중계기 위치 결정 방법을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중 중계기 위치 결정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 도 6 및 도 7을 더 참조하면, 먼저, 송수신 장치(153)는 공중 중계기의 높이, 소스 노드 및 이동통신 기지국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S100).
이어서, 프로세서(152)는 상기 소스 노드의 위치, 상기 기지국의 위치 및 상기 공중 중계기의 높이에 기초하여 지면과 평행하고 상기 공중 중계기를 포함하는 제1 평면상에서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에 수신되는 신호의 SNR(Signal to Noise Ratio)이 최대가 되는 위치를 상기 공중 중계기의 초기 위치로서 결정할 수 있다(S200).
본 발명에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인코딩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인코딩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법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품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공중 중계기
20 : 소스 노드
30 : 이동통신 기지국
100 : 공중 중계기 위치 결정 장치

Claims (16)

  1. 공중 중계기의 높이, 소스 노드 및 이동통신 기지국의 위치를 획득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소스 노드의 위치,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의 위치 및 상기 공중 중계기의 높이에 기초하여 지면과 평행하고 상기 공중 중계기를 포함하는 제1 평면상에서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에 수신되는 신호의 SNR(Signal to Noise Ratio)이 최대가 되는 위치를 상기 공중 중계기의 초기 위치로서 결정하는 초기 위치 결정부를 포함하는
    공중 중계기 위치 결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에 수신되는 신호의 SNR이 최대가 되는 위치는,
    상기 제1 평면에 수직하고 상기 소스 노드로부터 연장되는 제1 직선과 상기 제1 평면이 교차하는 제1 지점을, 상기 제1 평면에 수직하고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직선과 상기 제1 평면이 교차하는 제2 지점과 연결한 제3 직선 상에 위치하는,
    공중 중계기 위치 결정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소스 노드를 3차원 공간 좌표계(x,y,z)의 원점(0,0,0)에 위치시키고, 상기 획득된 소스 노드 및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을 상기 공간 좌표계의 제1 좌표(w1,w2,h)에 위치시키며, 상기 획득된 소스 노드 및 상기 획득된 공중 중계기의 높이에 기초하여 연산된 공간 좌표계에서 제1 평면의 z좌표가 H인 경우, 상기 공중 중계기의 초기 위치의 x좌표는 , y좌표는 로 상기 공중 중계기의 초기 위치를 결정하되,
    상기 이고, 여기서 a는 이며, b는 인,
    공중 중계기 위치 결정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결정된 공중 중계기의 초기 위치와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의 위치 사이의 지형지물 정보를 더 획득하고,
    상기 공중 중계기 위치 결정 장치는,
    상기 획득된 지형지물 정보,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 위치 및 상기 결정된 공중 중계기의 초기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초기 위치에 위치하는 상기 공중 중계기와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 사이의 LoS(Line Of Sight)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LoS 판단부; 및
    상기 초기 위치에 위치하는 상기 공중 중계기와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 사이의 LoS가 만족되지 않은 경우, 상기 결정된 공중 중계기의 초기 위치를 중심으로 하고 소정의 제1 반지름을 갖는 제1 구 내부에서 랜덤하게 선정된 제1 후보 위치와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의 사이의 LoS가 만족되는 후보 위치를 탐색하고, 상기 탐색된 후보 위치를 기초로 상기 공중 중계기의 최종 위치를 결정하며, 상기 최기 위치에 위치하는 공중 중계기와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 사이의 LoS가 만족되는 경우, 상기 공중 중계기의 초기 위치를 최종 위치로서 결정하는 최종 위치 결정부;
    를 더 포함하는 공중 중계기 위치 결정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위치 결정부는,
    상기 LoS가 만족되는 후보 위치중에서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에 수신되는 신호의 SNR이 최대가 되는 위치를 상기 공중 중계기의 최종 위치로서 결정하는,
    공중 중계기 위치 결정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LoS 판단부는,
    상기 제1 후보 위치와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 사이의 LoS가 만족되는 위치가 존재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최종 위치 결정부는,
    상기 제1 후보 위치와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 사이의 LoS가 만족되는 위치가 없는 경우, 상기 결정된 공중 중계기의 초기 위치를 중심으로 하고 상기 제1 반지름보다 큰 제2 반지름을 갖는 제2 구 내부에서 랜덤하게 선정된 제2 후보 위치와 상기 공중 중계기와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 사이의 LoS가 만족되는 위치를 재 탐색하고, 상기 재 탐색에 의해 결정된 상기 공중 중계기와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 사이의 LoS가 만족되는 후보 위치를 기초로 상기 공중 중계기의 최종 위치를 다시 결정하는,
    공중 중계기 위치 결정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후보 위치는,
    상기 제2 구 내부이면서, 상기 제1 구 외부에 위치하는,
    공중 중계기 위치 결정 장치.
  8. 공중 중계기 위치 결정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공중 중계기의 위치 결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중 중계기의 높이, 소스 노드 및 이동통신 기지국의 위치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소스 노드의 위치, 상기 기지국의 위치 및 상기 공중 중계기의 높이에 기초하여 지면과 평행하고 상기 공중 중계기를 포함하는 제1 평면상에서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에 수신되는 신호의 SNR(Signal to Noise Ratio)이 최대가 되는 위치를 상기 공중 중계기의 초기 위치로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중 중계기 위치 결정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에 수신되는 신호의 SNR이 최대가 되는 위치는,
    상기 제1 평면에 수직하고 상기 소스 노드로부터 연장되는 제1 직선과 상기 제1 평면이 교차하는 제1 지점을, 상기 제1 평면에 수직하고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직선과 상기 제1 평면이 교차하는 제2 지점과 연결한 제3 직선 상에 위치하는,
    공중 중계기 위치 결정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SNR이 최대가 되는 위치를 상기 공중 중계기의 초기 위치로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소스 노드를 xyz 공간 좌표계의 원점(0,0,0)에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획득된 소스 노드 및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을 상기 공간 좌표계의 (w1,w2,h)에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소스 노드 및 상기 획득된 공중 중계기의 높이에 기초하여 연산된 상기 공중 중계기의 공간 좌표계에서 제1 평면 상 z좌표가 H인 경우, 상기 공중 중계기의 초기 위치의 x좌표는 , y좌표는 로 상기 공중 중계기의 초기 위치를 결정하되,
    상기 이고, 여기서 a는 이며, b는 인,
    공중 중계기 위치 결정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 중계기 위치 결정 방법은,
    상기 결정된 공중 중계기의 초기 위치와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의 위치 사이의 지형지물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지형지물 정보,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 위치 및 상기 결정된 공중 중계기의 초기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초기 위치에 위치하는 상기 공중 중계기와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 사이의 LoS(Line Of Sight)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초기 위치에 위치하는 상기 공중 중계기와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 사이의 LoS가 만족되지 않은 경우, 상기 결정된 공중 중계기의 초기 위치를 중심으로 하고 소정의 제1 반지름을 갖는 제1 구 내부에서 랜덤하게 선정된 제1 후보 위치와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의 사이의 LoS가 만족되는 후보 위치를 탐색하고 탐색하고, 상기 탐색된 후보 위치를 기초로 상기 공중 중계기의 최종 위치를 결정 하는 단계; 및
    상기 초기 위치에 위치하는 공중 중계기와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 사이의 LoS가 만족되는 경우, 상기 공중 중계기의 초기 위치를 최종 위치로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중 중계기 위치 결정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 중계기의 최종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LoS가 만족되는 후보 위치중에서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에 수신되는 신호의 SNR이 최대가 되는 위치를 상기 공중 중계기의 최종 위치로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중 중계기 위치 결정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 중계기 위치 결정 방법은,
    상기 제1 후보 위치와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 사이의 LoS가 만족되는 위치가 존재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후보 위치와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 사이의 LoS가 만족되는 위치가 없는 경우, 상기 결정된 공중 중계기의 초기 위치를 중심으로 하고 상기 제1 반지름보다 큰 제2 반지름을 갖는 제2 구 내부에서 랜덤하게 선정된 제2 후보 위치와 상기 공중 중계기와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 사이의 LoS가 만족되는 위치를 재 탐색하는 단계; 및
    상기 재 탐색에 의해 결정된 상기 공중 중계기와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 사이의 LoS가 만족되는 후보 위치를 기초로 상기 공중 중계기의 최종 위치를 다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중 중계기 위치 결정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후보 위치는,
    상기 제2 구 내부이면서, 상기 제1 구 외부에 위치하는,
    공중 중계기 위치 결정 방법.
  15.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공중 중계기 위치 결정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공중 중계기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을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공중 중계기의 높이, 소스 노드 및 이동통신 기지국의 위치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소스 노드의 위치, 상기 기지국의 위치 및 상기 공중 중계기의 높이에 기초하여 지면과 평행하고 상기 공중 중계기를 포함하는 제1 평면상에서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에 수신되는 신호의 SNR(Signal to Noise Ratio)이 최대가 되는 위치를 상기 공중 중계기의 초기 위치로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16.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공중 중계기 위치 결정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공중 중계기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을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공중 중계기의 높이, 소스 노드 및 이동통신 기지국의 위치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소스 노드의 위치, 상기 기지국의 위치 및 상기 공중 중계기의 높이에 기초하여 지면과 평행하고 상기 공중 중계기를 포함하는 제1 평면상에서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에 수신되는 신호의 SNR(Signal to Noise Ratio)이 최대가 되는 위치를 상기 공중 중계기의 초기 위치로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220010043A 2022-01-24 2022-01-24 공중 중계기의 위치 결정 장치, 위치 결정 방법, 위치 결정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586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0043A KR102586867B1 (ko) 2022-01-24 2022-01-24 공중 중계기의 위치 결정 장치, 위치 결정 방법, 위치 결정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US18/157,396 US20230239035A1 (en) 2022-01-24 2023-01-20 Aerial repeater position determination apparatus, aerial repeater position determin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instructions to perform aerial repeater position determination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0043A KR102586867B1 (ko) 2022-01-24 2022-01-24 공중 중계기의 위치 결정 장치, 위치 결정 방법, 위치 결정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4035A true KR20230114035A (ko) 2023-08-01
KR102586867B1 KR102586867B1 (ko) 2023-10-06

Family

ID=87314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0043A KR102586867B1 (ko) 2022-01-24 2022-01-24 공중 중계기의 위치 결정 장치, 위치 결정 방법, 위치 결정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30239035A1 (ko)
KR (1) KR1025868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6595A (ko) * 2022-08-22 2024-02-29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정수 선형 계획법 기반 기지국 배치 방법 및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96543A1 (zh) * 2015-12-08 2017-06-15 深圳大学 基于反向补偿机制的最佳中继位置的搜寻方法及系统
KR102038471B1 (ko) * 2019-06-20 2019-11-26 한화시스템(주) 공중 무인 중계 시스템의 위치 최적화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96543A1 (zh) * 2015-12-08 2017-06-15 深圳大学 基于反向补偿机制的最佳中继位置的搜寻方法及系统
KR102038471B1 (ko) * 2019-06-20 2019-11-26 한화시스템(주) 공중 무인 중계 시스템의 위치 최적화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6595A (ko) * 2022-08-22 2024-02-29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정수 선형 계획법 기반 기지국 배치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6867B1 (ko) 2023-10-06
US20230239035A1 (en) 2023-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60611B2 (en) Dynamic navigation of UAVs using three dimensional network coverage information
US10299078B2 (en) BLE-based positioning method and apparatus
CN105553538B (zh) Mimo卫星服务终端
CN110149690B (zh) 通信控制设备、通信控制方法和终端设备
US10405195B2 (en) Determining the optimum coverage position in a building for externally provided RF signals
US20140243011A1 (en) Location estimation based on adjusted distance values for a wireless device
JP6292296B2 (ja) 周波数割り当て装置、周波数割り当て方法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KR20230114035A (ko) 공중 중계기의 위치 결정 장치, 위치 결정 방법, 위치 결정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1815162B1 (ko) 실내 측위 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CN108259076B (zh) 空中基站数据传输方法、装置、设备及系统
KR101615201B1 (ko)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실내 위치 측위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단말기 및 서버
CN107636983B (zh) 用于无线网络中有效链路发现的系统与方法
US10951273B2 (en) Electronic device, method and storage medium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70053038A (ko) 링크 형 격자 핑거프린트 데이터베이스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0940006B1 (ko) 무선 네트워크의 노드 위치 추정 장치 및 방법
GB2557145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ving network equipment within a communication system
CN107181517B (zh) 波束搜索方法及装置
CN111095974B (zh) 用于分析无线通信系统中的服务可用性的装置和方法
WO2023045748A1 (zh) 定位信息处理方法及装置
JP7005673B2 (ja) 移動基地局を用いて推定地点毎の通信可能指数を推定する装置、プログラム及び方法
KR20160073640A (ko)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JP2019118082A (ja) 通信制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通信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6761254B (zh) 室内定位方法、装置、通信设备和存储介质
JP7395785B1 (ja) 飛行体充電装置、通信エリア構築システム及び設置位置決定方法
WO2023108648A1 (en) Method, devic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wireless commun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