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3198A - 마감재 시공구조 - Google Patents

마감재 시공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3198A
KR20230113198A KR1020230019451A KR20230019451A KR20230113198A KR 20230113198 A KR20230113198 A KR 20230113198A KR 1020230019451 A KR1020230019451 A KR 1020230019451A KR 20230019451 A KR20230019451 A KR 20230019451A KR 20230113198 A KR20230113198 A KR 202301131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ishing material
rainwater
construction structure
wall
fl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9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순범
Original Assignee
김순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범 filed Critical 김순범
Priority to KR1020230019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3198A/ko
Publication of KR20230113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31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07Outer coverings for walls with ventilat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7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specially adapted,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7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specially adapted,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or lining elements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or impac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conduits for fl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마감재로 건축물의 외벽을 마감해주면서, 제1마감재의 사이에 형성된 배수공간 또는 제1마감재에 형성된 배수구멍과, 고정부재의 배수구멍을 통해 빗물을 배출하고, 제1빗물 차단부재로 역류하는 빗물을 막아주며, 고정부재 및 제1빗물 차단부재 및 빗물 안내부재의 설치에 의해 형성되는 제1,2,3,4,5,6이동통로를 통해서 제1마감재와 외벽의 사이에서 환기를 할 수 있는 마감재 시공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마감재 시공구조{Building finishing material construction structure}
본 발명은 마감재로 건축물의 외벽을 마감해주는 마감재 시공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감재는 건축물의 외벽에 부착시공되어 건축물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였고, 동시에 비바람 등의 자연환경으로부터 건축물을 효과적으로 보호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특허문헌1은 콘크리트 벽면의 외부로 상·하 및 좌·우 일정간격으로 나란히 위치한 고정철물이 앙카볼트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어 설치되고,
받침부에 도포된 접착제의 상부에 얹혀진 일체형 마감재는 마감석재와 단열부가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어 일체로 형성된 것을 사용하며, 단열부의 상부면은 윗열에 위치한 고정철물의 받침부에 형성된 고정못홀을 관통하는 형태로 고정못에 형성된 압입부를 삽입하여 고정되도록 하고, 하부면은 하부에 위치한 고정못홀에 삽입된 고정못의 고정못헤드를 삽입하여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고정못헤드의 상부에는 테이퍼부를 형성하여 단열부의 하부면을 쉽게 파고들 수 있도록 하고, 일체형 마감재 사이에 형성된 틈새의 내부로 탄성력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백업재를 삽입하여 틈새 내부에서 팽창된 백업재가 일체형 마감재의 면에 밀착되어 한기와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여 단열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며, 백업재의 외부에 실리콘을 도포하여 백업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기밀성을 보다 크게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철물을 이용한 일체형 마감재 시공구조를 제공하였다.
하지만, 현재에는 특허문헌1과 다른 마감재 시공구조를 원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허문헌1 : 국내공개실용신안 제20-2017-0003454호(2017.10.12.공개.)
이에 본 발명은, 마감재로 건축물의 외벽을 마감해주고, 빗물을 마감재의 밖으로 배출해주면서 역류하는 빗물을 막아주며, 마감재와 건축물의 외벽의 사이에서 환기를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종래와 다른 마감재 시공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벽의 수직 및 수평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다수 설치되는 고정철물; 외벽과의 사이에 제1이동통로가 형성되도록 고정철물에 설치되되, 고정철물에 격자 형태를 이루도록 설치되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고정부재; 공간을 폐쇄하도록 고정부재에 설치되어 외벽을 마감하는 제1마감재를 포함하되, 고정부재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제1마감재가 설치되는 외면 일부가 개방되어 공간과 연결되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지지몸체; 외벽을 향하는 지지몸체의 외면에 형성되어 외벽과의 사이에 제1이동통로가 형성되도록 고정철물에 설치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시공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벽의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몸체는 고정부의 주변으로 공간에서 낙하하는 빗물을 관통구멍을 향해 배출하는 배수구멍을 외면에 형성하고, 배수구멍에 이웃한 제1마감재는 사이에 배수공간이 형성되도록 지지몸체에 설치되며, 배수공간은 관통구멍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시공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배수구멍에 이웃한 제1마감재가 관통구멍을 폐쇄하도록 지지몸체에 설치되면, 제1마감재의 외면에는 관통구멍과 연결되는 배수구멍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시공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역류하는 빗물을 차단해주는 제1빗물 차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시공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부재 및 제1빗물 차단부재 및 빗물 안내부재를 통해서, 제1마감재와 외벽의 사이에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제1,2,3,4,5,6이동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시공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고정철물에 설치된 고정부재에 제1마감재가 설치되면서 건축물의 외벽을 마감해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고정부재의 배수구멍 및 관통구멍과, 제1마감재의 사이에 형성된 배수공간을 통해, 빗물을 제1마감재의 밖으로 배출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마감재에 형성되는 제1배수구멍을 통해, 빗물을 제1마감재의 밖으로 배출해주는 효과가 있다.
즉, 배수 기능이 발휘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1빗물 차단부재의 제1경사부와 지지부재의 경사부를 통해, 빗물을 고정부재의 배수구멍으로 안내하여 배출해주는 효과가 있다.
즉, 배수 기능이 발휘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1마감재의 밖에서 고정부재의 배수구멍을 통해 유입되는 역류하는 빗물 및, 고정부재의 배수구멍을 통해서 배출되지 못하고 역류하는 빗물을, 제1빗물 차단부재의 빗물 차단부로 차단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빗물 차단부로 타고 올라오는 빗물을, 제1빗물 차단부재의 제2경사부로 안내하여 낙하시키는 효과가 있다.
즉, 차수 기능이 발휘되면서 외벽이 빗물에 의해 얼룩지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고정부재 및 제1빗물 차단부재 및 빗물 안내부재에 의해, 제1마감재와 건축물의 외벽의 사이에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제1,2,3,4,5,6이동통로가 형성되는 효과가 있다.
즉, 제1마감재와 건축물의 외벽의 사이에서 환기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강한 바람 등의 공기가 제1,2,3,4,5,6이동통로로 유입되면, 제4,6이동통로에서 공기가 흐르는 방향을 전환시키는 효과가 있다.
즉, 공기가 흐르는 방향을 전환시켜 강한 바람 등의 세기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해, 제1마감재와 건축물의 외벽의 사이에서 강한 바람 등에 의한 소음 발생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빗물 안내부재의 수직부가 지지부재의 제1지지부에 지지되면서, 제1빗물 차단부재의 빗물 차단부 및 지지돌기가 지지부재의 제2지지부에 지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빗물 안내부재의 수직부 및 끼움돌기가 제1,2지지부의 끼움홈에 각각 끼워지기 때문에, 빗물 안내부재와 지지부재의 결합이 견고한 효과가 있다.
즉, 빗물 안내부재 및 제1빗물 차단부재가 강한 바람 등의 공기 이동에 의해, 흔들리는 것을 지지부재로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빗물 안내부재와 외벽의 사이로 빗물이 흐르지 못하도록 가스켓으로 밀폐해주는 효과가 있다.
즉, 외벽이 빗물에 의해 얼룩지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1마감재의 밖에서 고정부재의 배수구멍을 통해 유입되는 역류하는 빗물을, 고정부재의 배수구멍을 막아주는 스펀지로 미리 차단해주는 효과가 있다.
즉, 차수 기능이 발휘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강한 바람 등의 공기가 고정부재의 배수구멍을 통과하는 것을 스펀지로 차단해주는 효과가 있다.
즉, 강한 바람 등의 공기가 고정부재의 배수구멍을 통과하면서 발생되는 소음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1후레싱의 경사부 및 수직부로 빗물을 실외 방향으로 유도해주면서, 제1마감재를 향해 흐르지 않도록 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후레싱을 따라 빗물이 역류하지 못하도록 빗물 차단부로 차단해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2후레싱의 경사부 또는, 수평부 및 수직부로 빗물을 실외 방향으로 유도해주면서, 제1마감재를 향해 흐르지 않도록 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2후레싱을 따라 빗물이 역류하지 못하도록 경사부 또는 빗물 차단부로 차단해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창호가 설치되면서 남겨진 제1개구부의 내면을 제2마감재로 마감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2마감재가 외벽을 마감하는 제1마감재보다 더 돌출되기 때문에, 빗물을 실외 방향으로 유도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개구부의 내면의 하부에서 제2마감재가 지면을 향해 기울어져서 설치되기 때문에, 빗물을 실외 방향으로 더 유도해주는 효과가 있다.
즉, 빗물이 제1마감재를 향해 흐르는 것을 막아서, 제1마감재가 빗물에 의해 얼룩지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2마감재의 끼움구, 몸체의 길이가 실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창호와 제1개구부의 내면의 사이로 더 깊게 삽입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끼움구의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창호보다 실내를 향해 더 돌출되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창호에서 배출되어 창호와 제1개구부의 내면의 사이로 유입되는 빗물을 실외 방향으로 안내해주는 효과가 있다.
즉, 창호에서 배출되는 빗물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1고정부재에 의해 제1마감재가 제1개구부에 설치된 제2마감재에 더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즉, 강한 바람 등에 의해 제1,2마감재가 흔들리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2개구부의 내면 상부 즉, 건축물의 1층 천장을 제3마감재로 마감해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공간에서 낙하하는 빗물을 제3마감재의 배수구멍을 통해 배수관으로 배출해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2고정부재에 의해 제1마감재가 제2개구부에 설치된 제3마감재에 더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3고정부재에 의해 제3마감재가 외벽에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즉, 강한 바람 등에 의해 제1,3마감재가 흔들리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2,3고정부재의 사이에 형성된 배수공간을 통해, 빗물이 배수구멍에서 배출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3마감재가 외벽을 마감하는 제1마감재보다 더 돌출되기 때문에, 빗물을 실외 방향으로 유도해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지면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길이가 긴 제3고정부재의 제1고정부로 역류하는 빗물을 차단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3고정부재의 제1고정부를 따라 타고 올라오는 빗물을 빗물 차단부로 차단해주는 효과가 있다.
즉, 빗물에 의해 제2개구부의 외벽이 얼룩지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3후레싱의 수직부로 빗물을 실외 방향으로 유도해주면서, 제3마감재로 흐르지 않도록 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3후레싱을 따라 빗물이 역류하지 못하도록 빗물 차단부로 차단해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옥상의 외벽의 상부면을 제4마감재로 마감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4마감재가 외벽을 마감하는 제1마감재보다 더 돌출되기 때문에, 빗물을 실외 방향으로 유도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옥상의 외벽의 상부면에 제4마감재가 옥상을 향해 기울어져서 설치되기 때문에, 빗물을 옥상의 배수구멍으로 유도해주는 효과가 있다.
즉, 빗물이 제1마감재를 향해 흐르는 것을 막아서, 제1마감재가 빗물에 의해 얼룩지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4후레싱의 수직부로 빗물을 실외 방향으로 유도해주면서, 제1,4마감재로 흐르지 않도록 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4후레싱을 따라 빗물이 역류하지 못하도록 빗물 차단부로 차단해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1고정부의 배수구멍과 제1마감재의 제2배수구멍을 통해 공간에서 낙하한 빗물이 실외로 배출되기 때문에, 제1개구부의 내면의 상부에 설치된 제2마감재에 빗물이 고이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개구부의 내면의 상부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5후레싱의 수직부로 빗물을 실외 방향으로 유도해주면서, 제1,4마감재로 흐르지 않도록 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5후레싱을 따라 빗물이 역류하지 못하도록 빗물 차단부로 차단해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5후레싱의 관통구멍을 통해 공기가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제1마감재와 건축물의 외벽의 사이에서 환기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공기가 제5후레싱의 경사부에 안내되기 때문에, 공기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강한 바람 등에 의한 충격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강한 바람 등을 제5후레싱이 전달받으면, 제5후레싱의 걸림부가 제1마감재에 걸리는 효과가 있다.
즉, 강한 바람 등에 의해 제5후레싱이 흔들리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2빗물 차단부재의 경사면을 통해, 빗물을 고정부재의 배수구멍으로 안내하여 배출해주는 효과가 있다.
즉, 배수 기능이 발휘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1마감재의 밖에서 고정부재의 배수구멍을 통해 유입되는 역류하는 빗물 및, 고정부재의 배수구멍을 통해서 배출되지 못하고 역류하는 빗물을, 제2빗물 차단부재의 빗물 차단부로 차단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빗물 차단부로 타고 올라오는 빗물을, 제2빗물 차단부재의 경사부로 안내하여 낙하시키는 효과가 있다.
즉, 차수 기능이 발휘되면서 외벽이 빗물에 의해 얼룩지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1빗물 차단부재를 대신하여 제2빗물 차단부재로, 제1마감재와 건축물의 외벽의 사이에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제1,2,3,4,5,6이동통로를 형성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2빗물 차단부재의 빗물 차단부 및 지지돌기가 지지부재의 제2지지부에 지지되는 효과가 있다.
즉, 제2빗물 차단부재가 강한 바람 등의 공기 이동에 의해, 흔들리는 것을 지지부재로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1이동통로로 빗물이 흐르지 못하도록 밀폐부재로 밀폐해주는 효과가 있다.
즉, 외벽이 빗물에 의해 얼룩지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옥상의 주변에서 제1마감재와 제4,5후레싱의 사이가 제1개폐부재에 의해 개폐되기 때문에, 환기를 위해 공기의 이동 및 공기의 이동량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마감재와 제4,5후레싱의 사이를 제1개폐부재로 폐쇄하여, 겨울철 찬 공기가 제1마감재와 외벽의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즉, 겨울철 난방 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지면에 이웃한 제2개구부의 주변에서 제1마감재의 관통구멍이 제2개폐부재에 의해 개폐되기 때문에, 환기를 위해 공기의 이동 및 공기의 이동량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마감재의 관통구멍을 제2개폐부재로 폐쇄하여, 겨울철 찬 공기가 제1마감재와 외벽의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즉, 겨울철 난방 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마감재 시공구조를 보여주는 설치상태도,
도 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마감재 시공구조의 부분확대도 및 사용상태도 및 상세도,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변형예를 따른 마감재 시공구조의 부분확대도,
도 18 및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2변형예를 따른 마감재 시공구조의 부분확대도,
도 20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3변형예를 따른 마감재 시공구조의 부분확대도,
도 23 및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4변형예를 따른 마감재 시공구조의 부분확대도,
도 25 내지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5변형예를 따른 마감재 시공구조의 부분확대도,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6변형예를 따른 마감재 시공구조의 부분확대도,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7변형예를 따른 마감재 시공구조의 부분확대도,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8변형예를 따른 마감재 시공구조의 부분확대도,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9변형예를 따른 마감재 시공구조의 부분확대도,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0변형예를 따른 마감재 시공구조의 부분확대도,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1변형예를 따른 마감재 시공구조의 부분확대도,
도 34 및 도 3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2변형예를 따른 마감재 시공구조의 부분확대도,
도 36 및 도 37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3변형예를 따른 마감재 시공구조의 부분확대도,
도 38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4변형예를 따른 마감재 시공구조의 부분확대도이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마감재 시공구조(1000)는 건축물의 외벽(1)의 수직 및 수평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다수 설치되는 고정철물(100)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철물(100)은 앵커부재 등과 같은 체결부재를 통해 외벽(1)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마감재 시공구조(1000)는 외벽(1)과의 사이에 제1이동통로(2)가 형성되도록 고정철물(100)에 설치되되, 상기 고정철물(100)에 격자 형태를 이루도록 설치되어 사이에 공간(210)이 형성되는 고정부재(20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200)는 외벽(1)의 수직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고정철물(100)에 나사못, 볼트와 너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로 체결되고, 미리 설치된 상기 고정부재(200)의 사이로 외벽(1)의 수평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고정철물(100)에 나사못, 볼트와 너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로 체결되면서, 상기 고정부재(200)의 사이에는 공간(21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200)는 금속 재질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마감재 시공구조(1000)는 공간(210)을 폐쇄하도록 고정부재(200)에 설치되어 외벽(1)을 마감하는 제1마감재(30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1마감재(300)는 나사못 등과 같은 체결부재, 실리콘 테이프, 양면테이프, 두께가 얇은 테이프 등과 같은 접착부재 등을 통해, 테두리 및 안쪽을 지지하는 고정부재(200)에 설치된다.
즉, 다수의 상기 제1마감재(300)는 실외를 향하는 각각의 고정부재(200)의 외면에 테두리 및 안쪽이 지지되게 설치되면서, 서로 이웃하게 위치된다.
또한, 상기 제1마감재(300)는 금속 재질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200)는 내부에 공간(221)이 형성되고, 제1마감재(300)가 설치되는 외면 일부가 개방되어 상기 공간(221)과 연결되는 관통구멍(222)이 형성된 지지몸체(220); 외벽(1)을 향하는 상기 지지몸체(220)의 외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외벽(1)과의 사이에 제1이동통로(2)가 형성되도록 고정철물(100)에 설치되는 고정부(23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200)는 전체적으로 'T'와 유사한 형태로 형성되며, 고정부(230)와 수직을 이루는 방향의 지지몸체(220)의 외면 양쪽에는 양면테이프 등이 끼워지는 끼움홈을 가진 돌출부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외벽(1)의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몸체(220)는 고정부(230)의 주변으로 공간(210)에서 낙하하는 빗물을 관통구멍(222)을 향해 배출하는 배수구멍(223)이 외면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배수구멍(223)은 고정부(230)보다 상부에 위치되도록 지지몸체(220)의 외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마감재(300)는 사이에 배수공간(301)이 형성되도록 지지몸체(220)에 설치되며, 상기 배수공간(301)은 관통구멍(222)과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마감재 시공구조(1000)는 고정부재(200)에 설치되어 빗물이 외벽(1)을 향해 흐르는 것을 차단해주는 제1빗물 차단부재(40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1빗물 차단부재(400)는 금속 재질 등으로 이루어지며, 고정부재(200)의 고정부(230)에 나사못, 볼트와 너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로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1빗물 차단부재(400)는 고정부재(200)의 고정부(230)에 설치되어 배수구멍(223)을 향해 기울어지며, 공간(210)에서 낙하하는 빗물을 상기 배수구멍(223)으로 안내하는 제1경사부(410); 상기 제1경사부(410)의 외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외벽(1)을 마주보게 되며, 상기 외벽(1)과의 사이에 제2이동통로(2a)를 형성되게 해주고, 빗물이 상기 외벽(1)을 향해 흐르는 것을 차단해주는 빗물 차단부(42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마감재 시공구조(1000)는 제1빗물 차단부재(400)의 길이 방향의 길이보다 길이가 짧도록 형성되며, 지지몸체(220)에 이웃하도록 상기 제1빗물 차단부재(400)의 제1경사부(410)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지지부재(50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재(500)는 금속 재질 등으로 이루어지며, 제1경사부(410)의 길이 방향의 양쪽에 각각 위치되어 나사못, 볼트와 너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로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마감재 시공구조(1000)는 지지부재(500)에 지지되게 설치되어 공간(210)에서 낙하하는 빗물을 배수구멍(223)으로 안내하는 빗물 안내부재(60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빗물 안내부재(600)는 금속 재질 등으로 이루어지며, 한쪽이 지지부재(500)에 지지되면서 반대편 한쪽이 외벽(1)에 가깝게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500)는 제1빗물 차단부재(400)의 제1경사부(410)에 설치되어 배수구멍(223)을 향해 기울어지며, 빗물을 상기 배수구멍(223)으로 안내하는 경사부(510); 상기 경사부(510)의 외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배수구멍(223)을 마주보게 되며, 끼움홈(521)이 외면에 형성된 제1지지부(52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빗물 안내부재(600)는 끼움홈(521)에 끼워져서 제1마감재(300)와의 사이에 빗물이 배수구멍(223)을 향해 낙하하는 제3이동통로(2b)를 형성되게 해주며, 제1지지부(520)의 주변으로 제1빗물 차단부재(400)의 제1경사부(410)와의 사이에 제4이동통로(2c)를 형성되게 해주고, 상기 제1빗물 차단부재(400)의 빗물 차단부(420)와의 사이에 제5이동통로(2d)를 형성되게 해주는 수직부(610); 상기 수직부(610)의 외면에서 기울어지게 돌출 형성되어 빗물을 제3이동통로(2b)로 안내하며, 제1빗물 차단부재(400)의 빗물 차단부(420)와의 사이에 제6이동통로(2e)를 형성되게 해주는 경사부(62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4이동통로(2c)는 제1지지부(520)의 사이로 제1경사부(410)와 수직부(610)의 사이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500)는 제1지지부(520)의 끼움홈(521)의 주변에서 돌출 형성되어 빗물 차단부(420)를 지지하는 제2지지부(53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2지지부(530)는 빗물 안내부재(600)의 경사부(620)와 유사하게 기울어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5이동통로(2d)는 제2지지부(530)의 사이로 빗물 차단부(420)와 수직부(610)의 사이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지지부(530)의 외면에는 끼움홈(531)이 제1지지부(520)의 끼움홈(521)에 이웃하게 형성되고, 수직부(610)의 외면에는 상기 끼움홈(531)에 끼워지는 끼움돌기(611)가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지지부(520)의 끼움홈(521)과 제2지지부(530)의 끼움홈(531)은 수직을 이룬다.
그리고, 상기 제1빗물 차단부재(400)는 제2지지부(530)의 상부에서 제1경사부(410)를 향해 빗물 차단부(420)의 외면에서 기울어지게 돌출 형성되는 제2경사부(43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2경사부(430)의 외면에는 제2지지부(530)에 지지되는 지지돌기(431)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외벽(1)에 이웃한 경사부(620)의 외면에는 끼움홈(621)이 형성되고, 마감재 시공구조(1000)는 상기 끼움홈(621)에 끼워져서 외벽(1)에 밀착되는 가스켓(700)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가스켓(700)과 외벽(1)의 사이에는 실리콘 등이 도포된다.
그리고, 상기 외벽(1)에 제1개구부(1a)가 형성되고, 상기 제1개구부(1a)에 창호(3)가 설치되며, 마감재 시공구조(1000)는 상기 창호(3)가 설치되면서 남겨진 제1개구부(1a)의 내면에 설치되어 마감하는 제2마감재(31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2마감재(310)는 금속 재질 등으로 이루어지며, 나사못 등과 같은 체결부재, 실리콘 등을 통해 제1개구부(1a)의 내면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마감재(310)는 창호(3)와 제1개구부(1a)의 내면의 사이로 삽입되는 끼움구(311); 상기 끼움구(311)가 끼워지는 끼움홈(312a)이 외면에 형성되고, 제1개구부(1a)의 내면에 설치되어 외벽(1)에서 제1마감재(300)보다 더 돌출되는 몸체(312)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312)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단면이 사각형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개구부(1a)의 내면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2마감재(310)는 지면을 향해 기울어지도록 상기 제1개구부(1a)의 내면의 하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마감재 시공구조(1000)는 공간(210)에 삽입되어 제1,2마감재(300)(310)에 설치되는 제1고정부재(32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1고정부재(320)는 금속 재질 등으로 이루어지며, 나사못 등과 같은 체결부재, 실리콘 테이프, 양면테이프 등과 같은 접착부재 등을 통해, 제2마감재(310)와, 상기 제2마감재(310)에 이웃한 제1마감재(300)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고정부재(320)는 제1마감재(300)에 설치되는 제1고정부(321); 상기 제1고정부(321)의 외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제2마감재(310)에 설치되는 제2고정부(322)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1고정부재(320)는 전체적으로 'ㄱ' 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면에 이웃한 외벽(1)에 제2개구부(1b) 즉, 건축물의 1층의 외벽(1)에 상기 제2개구부(1b)가 형성되며, 마감재 시공구조(1000)는 상기 제2개구부(1b)의 내면의 상부에 설치되어 마감하면서, 외벽(1)에서 제1마감재(300)보다 더 돌출되는 제3마감재(33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3마감재(330)는 금속 재질 등으로 이루어지며, 나사못 등과 같은 체결부재, 고정브라켓, 실리콘 등을 통해, 제2개구부(1b)의 내면의 상부 즉, 건축물의 1층의 천장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3마감재(33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단면이 사각형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마감재 시공구조(1000)는 외벽(1)에서 돌출되는 제3마감재(330)의 한쪽에 설치되는 제3후레싱(820)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3후레싱(820)은 금속 재질 등으로 이루어지며, 실리콘 등에 의해 제3마감재(330)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3후레싱(820)은 제3마감재(330)가 끼워지는 끼움홈(821a)이 외면에 형성된 몸체(821); 지면을 향하도록 상기 몸체(821)의 외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수직부(822)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3후레싱(820)은 수직부(822)의 한쪽 끝과 몸체(821)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수직부(822)의 외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빗물 차단부(823)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빗물 차단부(823)는 실내 방향을 향하도록 수직부(822)의 외면에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3마감재(330)의 외면에는 공간(210)에서 낙하하는 빗물을 지면을 향해 낙하시켜서 배출하는 배수구멍(33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배수구멍(331)은 배수관(1c)과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마감재 시공구조(1000)는 공간(210)에 삽입되어 제1,3마감재(300)(330)에 설치되는 제2고정부재(34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2고정부재(340)는 금속 재질 등으로 이루어지며, 나사못 등과 같은 체결부재, 실리콘 테이프, 양면테이프 등과 같은 접착부재 등을 통해, 제3마감재(330)와, 상기 제3마감재(330)와 이웃한 제1마감재(300)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고정부재(340)는 제1마감재(300)에 설치되는 제1고정부(341); 상기 제1고정부(341)의 외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제3마감재(330)에 설치되는 제2고정부(342)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2고정부재(340)는 전체적으로 'ㄱ'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마감재 시공구조(1000)는 공간(210)에 삽입되어 제2고정부재(340)와의 사이에 배수구멍(331)과 연결되는 배수공간(350)이 형성되도록 외벽(1)과 제3마감재(330)에 설치되는 제3고정부재(36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3고정부재(360)는 금속 재질 등으로 이루어지며, 나사못, 앵커부재 등과 같은 체결부재, 실리콘 테이프, 양면테이프 등과 같은 접착부재 등을 통해, 제3마감재(330)와, 상기 제3마감재(330)와 이웃한 외벽(1)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3고정부재(360)는 외벽(1)에 설치되는 제1고정부(361); 상기 제1고정부(361)의 외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제3마감재(330)에 설치되면서 제2고정부재(340)의 제2고정부(342)와의 사이에 배수공간(350)을 형성되게 해주는 제2고정부(362)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배수공간(350)은 제3마감재(330)의 배수구멍(331)과 연결된다.
또한, 제3고정부재(360)는 전체적으로 'ㄱ'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되며, 제1고정부(361)와 외벽(1)의 사이에는 실리콘 등이 도포된다.
그리고, 상기 제1고정부(361)는 지면과 수직을 이루는 수직 방향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3고정부재(360)는 제1고정부(361)의 외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빗물 차단부(363)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빗물 차단부(363)는 실외를 향하도록 제1고정부(361)의 외면에서 'ㄱ' 형태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마감재 시공구조(1000)는 건축물의 옥상(4)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외벽(1)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상기 외벽(1)의 양쪽으로 돌출되되, 한쪽이 상기 외벽(1)에서 제1마감재(300)보다 더 돌출되는 제4마감재(37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4마감재(370)는 금속 재질 등으로 이루어지며, 나사못 등과 같은 체결부재, 고정브라켓, 실리콘 등을 통해, 건축물의 옥상(4)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외벽(1)의 상부면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4마감재(370)는 옥상(4)을 향해 기울어지도록 외벽(1)의 상부면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마감재 시공구조(1000)는 외벽(1)에서 제1마감재(300)보다 더 돌출되는 제4마감재(370)의 한쪽에 설치되는 제4후레싱(830)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4후레싱(830)은 금속 재질 등으로 이루어지며, 실리콘 등에 의해 제4마감재(370)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4후레싱(830)은 제4마감재(370)가 끼워지는 끼움홈(831a)이 외면에 형성된 몸체(831); 상기 몸체(831)의 외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제1마감재(300)를 마주보는 수직부(832)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4후레싱(830)은 수직부(832)의 한쪽 끝과 몸체(831)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수직부(832)의 외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빗물 차단부(833)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빗물 차단부(833)는 실내를 향하도록 수직부(832)의 외면에서 돌출 형성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상기 마감재 시공구조(1000)에 의한 시공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축물의 외벽(1)의 수직 및 수평 방향을 따라 다수의 고정철물(100)을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설치한 후, 다수의 고정부재(200)를 상기 외벽(1)과의 사이에 제1이동통로(2)가 형성되도록 다수의 고정철물(100)에 격자 형태를 이루도록 설치한다.
여기서, 다수의 상기 고정부재(200)의 사이에는 공간(210)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200)의 고정부(230)는 외벽(1)과의 사이에 제1이동통로(2)가 형성되도록 고정철물(100)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배수구멍(223)이 형성된 고정부재(200)는 외벽(1)의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면서 건축물의 층과 층 사이, 옥상(4)의 주변에 각각 위치된다.
또한, 상기 배수구멍(223)이 형성되지 않은 나머지 고정부재(200)는 상기 배수구멍(223)이 형성된 고정부재(200)의 사이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배수구멍(223)의 주변으로, 제1빗물 차단부재(400)의 제1경사부(410)를 고정부재(200)의 고정부(230)에 적층되도록 설치하고, 지지부재(500)의 경사부(510)를 상기 제1빗물 차단부재(400)의 제1경사부(410)에 적층되도록 설치하며, 빗물 안내부재(600)의 수직부(610) 및 끼움돌기(611)를 지지부재(500)의 끼움홈(521)(531)에 각각 끼운다.
여기서, 상기 제1빗물 차단부재(400)의 빗물 차단부(420) 및 지지돌기(431)는 지지부재(500)의 제2지지부(530)에 지지되며, 빗물 안내부재(600)의 수직부(610)는 상기 지지부재(500)의 제1지지부(520)에 지지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500)의 경사부(510)는 제1빗물 차단부재(400)의 제1경사부(410)에 적층되도록 설치되지 않고, 배수구멍(223)과 제1경사부(410)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고정부재(200)의 고정부(230)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빗물 안내부재(600)의 끼움홈(621)에 가스켓(700)을 끼워서 외벽(1)에 밀착시킨다.
한편, 상기 옥상(4)의 주변에는 지지부재(500) 및 빗물 안내부재(600)가 설치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다수의 상기 제1마감재(300)를 공간(210)을 폐쇄하도록 고정부재(200)에 설치하여 건축물의 외벽(1)을 마감한다.
여기서, 다수의 상기 제1마감재(300)는 사이에 배수공간(301)이 형성되도록 고정부재(200)의 지지몸체(220)에 테두리가 밀착되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배수공간(301)은 관통구멍(222)과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1마감재(300)의 안쪽은 외벽(1)의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면서 배수구멍(223)이 형성되지 않은 지지몸체(220)에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빗물 차단부(420)와 외벽(1)의 사이에는 제2이동통로(2a)가 형성되고, 수직부(610)와 제1마감재(300)의 사이에는 제3이동통로(2b)가 형성되며, 제1지지부(520)의 주변으로 상기 수직부(610)와 제1경사부(410)의 사이에는 제4이동통로(2c)가 형성되고, 제2지지부(530)의 주변으로 상기 수직부(610)와 빗물 차단부(420)의 사이에는 제5이동통로(2d)가 형성되며, 상기 빗물 차단부(420)와 경사부(620)의 사이에는 제6이동통로(2e)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제1,2,3,4,5,6이동통로(2)(2a)(2b)(2c)(2d)(2e)는 공기가 흐를 수 있도록 서로 연결된다.
그래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200)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210)에서 빗물이 낙하하면, 상기 빗물은 빗물 안내부재(600)의 경사부(620)에 안내되어 제3이동통로(2b)를 통해서 배수구멍(223)을 향해 낙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빗물은 제1빗물 차단부재(400)의 제1경사부(410) 및 지지부재(500)의 경사부(510)에 의해 배수구멍(223)으로 안내된 후, 관통구멍(222)과 연결된 배수공간(301)을 통해 제1마감재(300)의 밖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제1빗물 차단부재(400)의 빗물 차단부(420)는 제1마감재(300)의 밖에서 배수공간(301) 및 관통구멍(222) 및 배수구멍(223)을 통해 유입되는 역류하는 빗물 및, 상기 배수구멍(223)을 통해 배출되지 못하고 역류하는 빗물을 차단하게 된다.
또한, 상기 빗물 차단부(420)를 타고 올라오는 빗물은 제2경사부(430)에 안내되어 제1경사부(410)를 향해 낙하하게 된다.
즉, 상기 제1빗물 차단부재(400)는 건축물의 외벽(1)을 향해 역류하는 빗물을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가 고정철물(100)의 사이로 유입되면, 상기 공기는 제1,2이동통로(2)(2a)를 따라 상승했다가 제6이동통로(2e)에서 방향이 전환되어 제5이동통로(2d)를 따라 하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5이동통로(2d)를 따라 하강한 공기는 제4이동통로(2c)에서 방향이 전환되어 제3이동통로(2b)를 따라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가 제3이동통로(2b)로 유입되면, 상기 공기는 제3이동통로(2b)를 따라 하강했다가 제4이동통로(2c)에서 방향이 전환되어 제5이동통로(2d)를 따라 상승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5이동통로(2d)를 따라 상승한 공기는 제6이동통로(2e)에서 방향이 전환되어 제1,2이동통로(2)(2a)를 따라 하강하게 된다.
즉, 상기 공기는 제1,2,3,4,5,6이동통로(2)(2a)(2b)(2c)(2d)(2e)에 의해서 공간(210)에서 이웃한 공간(210)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벽(1)에 제1개구부(1a)를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한 후, 상기 제1개구부(1a)에 창호(3)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창호(3)가 설치되면서 남겨진 제1개구부(1a)의 내면에는 제2마감재(310)를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제2마감재(310)의 끼움구(311)는 창호(3)와 제1개구부(1a)의 내면의 사이로 삽입되며, 상기 제2마감재(310)의 몸체(312)는 제1개구부(1a)의 내면에 설치되어 외벽(1)에서 제1마감재(300)보다 더 돌출된다.
또한, 상기 제1개구부(1a)의 내면의 하부에 설치된 제2마감재(310)는 지면을 향해 기울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고정부재(320)를 공간(210)에 삽입시켜, 상기 제1고정부재(320)의 제1,2고정부(321)(322)를 제1,2마감재(300)(310)에 각각 설치한다.
그러면, 상기 제2마감재(310)는 창호(3)가 설치되면서 남겨진 제1개구부(1a)의 내면을 마감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개구부(1a)의 내면의 하부에 설치된 제2마감재(310)는 외벽(1)에서 제1마감재(300)보다 더 돌출되기 때문에, 빗물을 실외 방향으로 유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창호(3)의 배수구멍에서 배출되는 빗물은 제1개구부(1a)의 내면의 하부에 기울어지게 설치된 제2마감재(310)에 의해 실외 방향으로 안내된다.
그리고,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면에 이웃한 외벽(1)에 제2개구부(1b)를 형성한다.
즉, 상기 건축물의 1층에 제2개구부(1b)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3마감재(330)를 제2개구부(1b)의 내면의 상부에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제3마감재(330)는 외벽(1)에서 제1마감재(300)보다 더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외벽(1)에서 제1마감재(300)보다 더 돌출된 제3마감재(330)의 한쪽에 제3후레싱(820)을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제3마감재(330)는 제3후레싱(820)의 끼움홈(821a)에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제2고정부재(340)를 공간(210)에 삽입시켜, 상기 제2고정부재(340)의 제1,2고정부(341)(342)를 제1,3마감재(300)(330)에 각각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3고정부재(360)를 공간(210)에 삽입시켜, 상기 제3고정부재(360)의 제1,2고정부(361)(362)를 외벽(1) 및 제3마감재(330)에 각각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제2고정부재(340)의 제2고정부(342)와 제3고정부재(360)의 제2고정부(362)의 사이에는 제3마감재(330)의 배수구멍(331)과 연결되는 배수공간(350)이 형성된다.
그러면, 상기 제3마감재(330)는 제2개구부(1b)의 내면의 상부 즉, 건축물의 1층 천장을 마감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3마감재(330)는 외벽(1)에서 제1마감재(300)보다 더 돌출되기 때문에, 빗물을 실외 방향으로 유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빗물은 제3후레싱(820)의 수직부(822)에 의해 지면으로 하강 안내된다.
그리고, 상기 제3후레싱(820)의 수직부(822)를 타고 올라오는 빗물은 빗물 차단부(823)에 의해 차단되면서 지면을 향해 낙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공간(210)에서 낙하하는 빗물은 배수공간(350) 및 배수구멍(331)을 통해 배수관(1c)으로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빗물은 제2개구부(1b)를 향해 낙하하지 않고, 제2,3고정부재(340)(360)를 따라 상기 제2개구부(1b)의 양쪽으로 흘러서 연결된 다른 배수관, 배수통 등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고정부(361)는 지면과 수직을 이루는 수직 방향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되기 때문에, 빗물이 외벽(1)을 향해 흐르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3고정부재(360)의 제1고정부(361)를 타고 올라오는 빗물은 빗물 차단부(363)에 의해 차단되면서 배수공간(350)을 향해 낙하하게 된다.
그리고,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4마감재(370)를 건축물의 옥상(4)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외벽(1)의 상부면에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제4마감재(370)는 외벽(1)의 양쪽으로 돌출되되, 한쪽이 상기 외벽(1)에서 제1마감재(300)보다 더 돌출된다.
또한, 상기 제4마감재(370)는 옥상(4)을 향해 기울어지도록 외벽(1)의 상부면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외벽(1)에서 제1마감재(300)보다 더 돌출되는 제4마감재(370)의 한쪽에 제4후레싱(830)을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제4후레싱(830)의 끼움홈(831a)에는 제4마감재(370)가 끼워지며, 상기 제4후레싱(830)의 수직부(832)는 제1,4마감재(300)(370)의 사이를 가리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4마감재(370)는 옥상(4)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외벽(1)의 상부면을 마감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4마감재(370)는 외벽(1)에서 제1마감재(300)보다 더 돌출되기 때문에, 빗물을 실외 방향으로 더 유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빗물은 제4후레싱(830)의 수직부(832)에 의해 지면으로 하강 안내된다.
그리고, 상기 제4후레싱(830)의 수직부(832)를 타고 올라오는 빗물은 빗물 차단부(833)에 의해 차단되면서 지면을 향해 낙하하게 된다.
그리고, 제4마감재(370)는 옥상(4)을 향해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빗물은 상기 옥상(4)에 형성된 배수구로 안내되어 배출된다.
그리고,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변형예를 따른 상기 마감재 시공구조(1000)는 배수구멍(223)에 이웃한 제1마감재(300)가 관통구멍(222)을 폐쇄하도록 지지몸체(220)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마감재(300)의 외면에는 관통구멍(222)과 연결되는 제1배수구멍(302)이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빗물은 지지몸체(220)의 배수구멍(223) 및 관통구멍(222)을 통과하면서, 제1마감재(300)의 제1배수구멍(302)을 통해 상기 제1마감재(300)의 밖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마감재 시공구조(1000)에서, 배수구멍(223)에 이웃한 제1마감재(300) 중 일부만 관통구멍(222)을 폐쇄하도록 지지몸체(220)에 설치되면, 상기 배수구멍(223)에 이웃한 나머지 제1마감재(300)는 사이에 배수공간(301)이 형성되도록 지지몸체(220)에 설치된다.
그리고,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2변형예를 따른 상기 마감재 시공구조(1000)는 지지몸체(220)의 외면에 설치되어 배수구멍(223)을 막는 스펀지(71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스펀지(710)는 외벽(1)을 향하는 지지몸체(220)의 외면에 부착되어 배수구멍(223)을 막게 된다.
그래서, 상기 스펀지(710)는 강한 바람 등의 공기가 제1마감재(300)의 밖에서 배수구멍(223)을 통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스펀지(710)는 제1마감재(300)의 밖에서 배수구멍(223)을 통해 유입되는 역류하는 빗물을 흡수하여, 외벽(1)을 향해 흐르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도 20 내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3변형예를 따른 상기 마감재 시공구조(1000)는 지지몸체(220)의 공간(221)에 설치되어 관통구멍(222) 및 배수공간(301)에서 돌출되는 제1후레싱(800)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1후레싱(800)은 금속 재질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지지몸체(220)의 내면에는 끼움돌기(224)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후레싱(800)은 끼움돌기(224)가 끼워지는 끼움홈(801a)이 외면에 형성된 몸체(801); 상기 몸체(801)의 외면에서 지면을 향해 기울어지게 돌출 형성되어 관통구멍(222) 및 배수공간(301)에서 돌출되며, 배수구멍(223)에서 배출되는 빗물을 실외로 안내하는 경사부(802)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1후레싱(800)은 경사부(802)의 외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제1마감재(300)를 마주보는 수직부(803)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1후레싱(800)은 수직부(803)의 한쪽 끝과 경사부(802)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수직부(803)의 외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빗물 차단부(804)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빗물 차단부(804)는 제1마감재(300)를 향하도록 수직부(803)의 외면에서 돌출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지지몸체(220)의 끼움돌기(224)를 제1후레싱(800)의 끼움홈(801a)에 끼운다.
그러면, 상기 지지몸체(220)의 배수구멍(223)에서 배출되는 빗물은 제1후레싱(800)의 경사부(802)를 따라 실외 방향으로 안내되면서, 관통구멍(222) 및 배수공간(301)을 통과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빗물은 제1후레싱(800)의 수직부(803)에 의해 지면으로 하강 안내된다.
그리고, 상기 제1후레싱(800)의 수직부(803)를 타고 올라오는 빗물은 빗물 차단부(804)에 의해 차단되면서 지면을 향해 낙하하게 된다.
그리고,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4변형예를 따른 상기 마감재 시공구조(1000)는 배수구멍(223)에 이웃한 제1마감재(300)에 설치되는 제2후레싱(810)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2후레싱(810)은 나사못 등과 같은 체결부재, 실리콘 테이프, 양면테이프 등과 같은 접착부재 등을 통해, 제1마감재(300)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후레싱(810)은 실외를 향하는 제1마감재(300)의 외면에 설치되는 몸체(811); 상기 몸체(811)의 외면에서 지면을 향해 기울어지게 돌출 형성되는 경사부(812)가 포함된다.
그래서,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후레싱(810)의 몸체(811)는 배수공간(301)에서 하부에 위치된 제1마감재(300)에 설치된다.
또한,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후레싱(810)의 몸체(811)는 옥상(4)의 주변으로 제4마감재(370)에 이웃한 제1마감재(300)의 상부에 설치된다.
그러면, 상기 지지몸체(220)의 배수구멍(223)에서 배출되는 빗물 및 제4마감재(370)에서 하강하는 빗물은 제2후레싱(810)의 경사부(812)를 따라 실외 방향으로 안내된다.
그리고, 도 25 내지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5변형예를 따른 상기 마감재 시공구조(1000)는 배수구멍(223)에 이웃한 제1마감재(300)에 설치되는 제4변형예의 제2후레싱(810)과 다른 제2후레싱(810)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2후레싱(810)은 나사못 등과 같은 체결부재 등을 통해, 제1마감재(300)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후레싱(810)은 제1마감재(300)가 끼워지는 끼움홈(813a)이 외면에 형성된 몸체(813); 상기 몸체(813)의 외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지면을 마주보는 수평부(814); 상기 수평부(814)의 외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제1마감재(300)를 마주보는 수직부(815)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2후레싱(810)은 수직부(815)의 한쪽 끝과 수평부(814)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수직부(815)의 외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빗물 차단부(816)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빗물 차단부(816)는 제1마감재(300)를 향하도록 수직부(815)의 외면에서 돌출 형성된다.
그래서,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후레싱(810)의 몸체(813)의 끼움홈(813a)에는 배수공간(301)에서 하부에 위치된 제1마감재(300)의 상부가 끼워진다.
또한, 도 26 및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후레싱(810)의 몸체(813)의 끼움홈(813a)에는 옥상(4)의 주변으로 제4마감재(370)에 이웃한 제1마감재(300)의 상부가 끼워진다.
그러면, 상기 지지몸체(220)의 배수구멍(223)에서 배출되는 빗물 및 제4마감재(370)에서 하강하는 빗물은 제2후레싱(810)의 수평부(814)를 따라 실외 방향으로 안내된다.
그리고, 상기 빗물은 제2후레싱(810)의 수직부(815)를 따라 지면을 향해 하강 안내된다.
그리고, 상기 제2후레싱(810)의 수직부(815)를 타고 올라오는 빗물은 빗물 차단부(816)에 의해 차단되면서 지면을 향해 낙하하게 된다.
그리고,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6변형예를 따른 상기 마감재 시공구조(1000)의 끼움구(311)는 실내를 향해 길이가 길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2마감재(310)의 끼움구(311)는 창호(3)와 제1개구부(1a)의 내면의 사이로 더 깊게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끼움구(311)는 창호(3)보다 실내를 향해 더 돌출되어 설치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빗물이 창호(3)의 배수구멍이 아닌, 창호(3)와 제1개구부(1a)의 내면의 사이로 배출되더라도, 길이가 길게 형성된 제2마감재(310)의 끼움구(311)에 의해 실외 방향으로 안내된다.
그리고, 상기 외벽(1)과 창호(3)의 사이에 실리콘, 우레탄 등이 충전되면, 상기 실리콘, 우레탄 등에 빗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배수구멍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배수구멍을 개폐할 수 있도록 커버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7변형예를 따른 상기 마감재 시공구조(1000)의 몸체(312)는 창호(3)와 제1개구부(1a)의 내면의 사이로 끼움구(311)와 함께 삽입되도록 실내를 향해 길이가 길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2마감재(310)의 몸체(312)는 끼움구(311)와 함께, 창호(3)와 제1개구부(1a)의 내면의 사이로 더 깊게 삽입된다.
그러면, 상기 빗물이 창호(3)의 배수구멍이 아닌, 창호(3)와 제1개구부(1a)의 내면의 사이로 배출되더라도, 길이가 길게 형성된 제2마감재(310)의 몸체(312)에 의해 실외 방향으로 안내된다.
그리고,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8변형예를 따른 상기 마감재 시공구조(1000)의 끼움구(311)는 실내를 향해 길이가 길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2마감재(310)의 끼움구(311)는 몸체(312)보다 창호(3)와 제1개구부(1a)의 내면의 사이로 더 깊게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끼움구(311)는 창호(3)보다 실내를 향해 더 돌출되어 설치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빗물이 창호(3)의 배수구멍이 아닌, 창호(3)와 제1개구부(1a)의 내면의 사이로 배출되더라도, 길이가 길게 형성된 제2마감재(310)의 끼움구(311)에 의해 실외 방향으로 안내된다.
그리고,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9변형예를 따른 상기 마감재 시공구조(1000)는 제1개구부(1a)의 내면의 상부에 설치된 제2마감재(310)에 이웃한 제1고정부(321)의 외면에, 공간(210)에서 낙하하는 빗물을 실외를 향해 배출하는 배수구멍(321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고정부(321)에 이웃한 제1마감재(300)의 외면에는 배수구멍(321a)과 연결되는 제2배수구멍(303)이 형성된다.
그러면, 상기 제1개구부(1a)의 내면의 상부에 설치된 제2마감재(310)를 향해 공간(210)에서 낙하한 빗물은 제1고정부(321)의 배수구멍(321a)과 제1마감재(300)의 제2배수구멍(303)을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그리고,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0변형예를 따른 상기 마감재 시공구조(1000)는 외벽(1)에서 제1마감재(300)보다 더 돌출되는 제4마감재(370)의 한쪽에 설치되는 제5후레싱(840)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5후레싱(840)은 금속 재질 등으로 이루어지며, 실리콘 등에 의해 제4마감재(370)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5후레싱(840)은 제4마감재(370)가 끼워지는 끼움홈(841a)이 외면에 형성된 몸체(841); 상기 몸체(841)의 외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제1마감재(300)를 마주보는 수직부(842); 상기 제1마감재(300)를 마주보는 수직부(842)의 외면에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는 경사부(843); 상기 경사부(843)의 외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제1마감재(300)의 한쪽 끝에 올려지는 수평부(844)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경사부(843)의 외면에는 관통구멍(843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5후레싱(840)은 수평부(844)의 외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제1마감재(300)에 밀착되는 걸림부(845)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부(845)는 실외를 향해 걸리도록 수평부(844)의 외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5후레싱(840)은 수직부(842)의 한쪽 끝과 몸체(841)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수직부(842)의 외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빗물 차단부(846)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빗물 차단부(846)는 실내를 향하도록 수직부(842)의 외면에서 돌출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외벽(1)에서 제1마감재(300)보다 더 돌출되는 제4마감재(370)의 한쪽에 제5후레싱(840)을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제5후레싱(840)의 끼움홈(841a)에는 제4마감재(370)가 끼워지며, 상기 제5후레싱(840)의 수직부(842)는 제1,4마감재(300)(370)의 사이를 가리게 된다.
또한, 상기 제5후레싱(840)의 수평부(844)는 제1마감재(300)의 한쪽 끝에 올려지게 되고, 상기 제5후레싱(840)의 걸림부(845)는 제1마감재(300)에 밀착된다.
그러면, 상기 빗물은 제5후레싱(840)의 수직부(842)에 의해 지면으로 하강 안내된다.
그리고, 상기 제5후레싱(840)의 수직부(842)를 타고 올라오는 빗물은 빗물 차단부(846)에 의해 차단되면서 지면을 향해 낙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마감재(300)와 제5후레싱(840)의 사이로 공기가 유입되면, 상기 공기는 제5후레싱(840)의 관통구멍(843a)을 통해 공간(210)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공기는 제5후레싱(840)의 경사부(843)에 안내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가 공간(210)을 따라 옥상(4)을 향해 이동하면, 상기 공기는 제5후레싱(840)의 관통구멍(843a)을 통해 실외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1변형예를 따른 상기 마감재 시공구조(1000)는 고정부재(200)에 설치되어 빗물이 외벽(1)을 향해 흐르는 것을 차단해주는 제2빗물 차단부재(440)가 제1빗물 차단부재(400)를 대신하여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2빗물 차단부재(440)는 고정부(230)가 끼워지는 끼움홈(441a)이 외면에 형성되며, 상기 외면에 빗물을 배수구멍(223)을 향해 안내하는 경사면(441b)이 형성된 몸체(441); 상기 몸체(441)의 외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외벽(1)을 마주보게 되며, 상기 외벽(1)과의 사이에 제2이동통로(2a)를 형성되게 해주고, 수직부(610)와의 사이에 제5이동통로(2d)를 형성되게 해주며, 경사부(620)와의 사이에 제6이동통로(2e)를 형성되게 해주고, 제2지지부(530)에 지지되며, 빗물이 상기 외벽(1)을 향해 흐르는 것을 차단해주는 빗물 차단부(442); 상기 제2지지부(530)의 상부에서 상기 제2지지부(530)를 향해 빗물 차단부(442)의 외면에서 기울어지게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2지지부(530)에 지지되는 지지돌기(443a)가 외면에서 돌출 형성된 경사부(443)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4이동통로(2c)는 고정부(230)와 수직부(610)의 사이에 형성되며, 지지부재(500)는 고정부재(200)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230)의 외면에는 다수의 톱니가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몸체(441)의 끼움홈(441a)에 고정부(230)를 끼우면, 제2빗물 차단부재(440)가 고정부재(200)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외벽(1)과의 빗물 차단부(442)의 사이에는 제2이동통로(2a)가 형성되고, 상기 빗물 차단부(442)와 수직부(610)의 사이에는 제5이동통로(2d)가 형성되며, 상기 빗물 차단부(442)와 경사부(620)의 사이에는 제6이동통로(2e)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제1,2,3,4,5,6이동통로(2)(2a)(2b)(2c)(2d)(2e)는 공기가 흐를 수 있도록 서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빗물 차단부(442)는 제2지지부(530)에 지지되며, 경사부(443)의 지지돌기(443a)는 상기 제2지지부(530)에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빗물은 경사면(441b)에 의해 배수구멍(223)으로 안내된다.
그리고, 상기 빗물 차단부(442)는 제1마감재(300)의 밖에서 배수구멍(223)을 통해 유입되는 역류하는 빗물 및, 상기 배수구멍(223)을 통해 배출되지 못하고 역류하는 빗물을 차단하게 된다.
또한, 상기 빗물 차단부(442)를 타고 올라오는 빗물은 경사부(443)에 안내되어 고정부(230)를 향해 낙하하게 된다.
즉, 상기 제2빗물 차단부재(440)는 건축물의 외벽(1)을 향해 역류하는 빗물을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는 제1,2,3,4,5,6이동통로(2)(2a)(2b)(2c)(2d)(2e)에 의해서 공간(210)에서 이웃한 공간(210)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도 34 및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2변형예를 따른 상기 마감재 시공구조(1000)는 고정부재(200)에 설치되어 제1이동통로(2)를 폐쇄하는 밀폐부재(72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밀폐부재(720)는 금속 재질 등으로 이루어지거나, 고무 등의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밀폐부재(720)는 고정부(230)가 끼워지는 끼움홈(721a)이 외면에 형성된 몸체(721); 상기 몸체(721)의 외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외벽(1)에 밀착되는 밀착부(722)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끼움홈(721a)에는 고정부(230)의 다수의 톱니와 맞물리는 다수의 톱니가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몸체(721)의 끼움홈(721a)에 고정부(230)를 끼우면, 밀착부(722)는 외벽(1)에 밀착되면서 상부 방향으로 휘어진다.
여기서, 상기 밀착부(722)과 외벽(1)의 사이에는 실리콘 등이 도포된다.
즉, 상기 밀폐부재(720)는 고정부재(200)에 설치되면서 제1이동통로(2)를 폐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밀폐부재(720)에 의해 제1이동통로(2)가 폐쇄되었기 때문에, 공기는 공간(210)에서 이웃한 공간(210)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된다.
한편, 상기 밀폐부재(720)의 주변에는 제1빗물 차단부재(400) 및 지지부재(500) 및 빗물 안내부재(600)가 설치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빗물은 상부 방향으로 휘어진 밀착부(722)에 의해 배수구멍(223)으로 안내된다.
그리고, 도 36 및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3변형예를 따른 상기 마감재 시공구조(1000)는 제1마감재(300)와 제4후레싱(830)의 사이 또는 상기 제1마감재(300)와 제5후레싱(840)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마감재(300)와 제4후레싱(830)의 사이 또는 제1마감재(300)와 제5후레싱(840)의 사이를 개폐해주는 제1개폐부재(85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1개폐부재(850)는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마감재(300) 또는 제4후레싱(830)에 설치되거나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마감재(300) 또는 제5후레싱(840)에 설치되며, 한쪽이 개방되면서 내부에 슬라이딩 구멍(851a)이 형성된 몸체(851); 상기 슬라이딩 구멍(851a)에 슬라이딩 안내되어 제1마감재(300)와 제4후레싱(830)의 사이 또는 상기 제1마감재(300)와 제5후레싱(840)의 사이를 개폐해주는 개폐구(852)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개폐구(852)는 손잡이 등이 구비된다.
그래서,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개폐부재(850)를 제1마감재(300)와 제4후레싱(830)의 사이에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851)는 빗물 차단부(833)의 하부로 수직부(832)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구멍(851a)에 삽입되어 있던 개폐구(852)를 슬라이딩 안내하여, 상기 슬라이딩 구멍(851a)에서 돌출시켜 제1마감재(300)에 밀착시킨다.
그러면, 상기 제1마감재(300)와 제4후레싱(830)의 사이는 제1개폐부재(850)에 의해 폐쇄된다.
즉, 상기 공기는 공간(210)에서 실외, 상기 실외에서 공간(210)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구멍(851a)에서 돌출되어 있던 개폐구(852)를 슬라이딩 안내하여, 상기 슬라이딩 구멍(851a)에 삽입시킨다.
그러면, 상기 제1마감재(300)와 제4후레싱(830)의 사이는 제1개폐부재(850)에 의해 개방된다.
즉, 상기 공기는 공간(210)에서 실외, 상기 실외에서 공간(210)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개폐부재(850)를 제1마감재(300)와 제5후레싱(840)의 사이에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851)는 빗물 차단부(846)의 하부로 수직부(842)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구멍(851a)에 삽입되어 있던 개폐구(852)를 슬라이딩 안내하여, 상기 슬라이딩 구멍(851a)에서 돌출시켜 제1마감재(300)에 밀착시킨다.
그러면, 상기 제1마감재(300)와 제5후레싱(840)의 사이는 제1개폐부재(850)에 의해 폐쇄된다.
즉, 상기 공기는 공간(210)에서 실외, 상기 실외에서 공간(210)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구멍(851a)에서 돌출되어 있던 개폐구(852)를 슬라이딩 안내하여, 상기 슬라이딩 구멍(851a)에 삽입시킨다.
그러면, 상기 제1마감재(300)와 제5후레싱(840)의 사이는 제1개폐부재(850)에 의해 개방된다.
즉, 상기 공기는 공간(210)에서 실외, 상기 실외에서 공간(210)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4변형예를 따른 상기 마감재 시공구조(1000)는 제2개구부(1b)에 이웃한 제1마감재(300)의 외면에 관통구멍(30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마감재 시공구조(1000)는 제1마감재(300)에 설치되어 관통구멍(304)을 개폐해주는 제2개폐부재(86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2개폐부재(860)는 관통구멍(304)의 양쪽으로 제1마감재(300)에 각각 설치되며, 서로 마주보는 한쪽이 개방되면서 내부에 슬라이딩 구멍(861a)이 형성되고, 실외를 향하는 상기 슬라이딩 구멍(861a)의 한쪽이 개방된 한 쌍의 몸체(861); 상기 슬라이딩 구멍(861a)에 슬라이딩 안내되어 관통구멍(304)을 개폐해주는 개폐구(862)가 포함된다.
여기서, 하나의 상기 몸체(861)의 길이 방향의 길이는 다른 하나의 몸체(861)보다 길게 형성되며, 개폐구(862)의 길이 방향의 길이는 길이가 긴 상기 몸체(861)와 유사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개폐구(862)는 손잡이 등이 구비된다.
그래서, 상기 제2개폐부재(860)를 제1마감재(300)에 설치한 후, 하나의 몸체(861)의 슬라이딩 구멍(861a)에 삽입되어 있던 개폐구(862)를 슬라이딩 안내하여 상기 슬라이딩 구멍(861a)에서 돌출시키면서 반대편에 있던 다른 하나의 몸체(861)의 슬라이딩 구멍(861a)에 삽입시킨다.
그러면, 상기 개폐구(862)는 양쪽이 한 쌍의 몸체(861)의 슬라이딩 구멍(861a)에 각각 삽입된 상태로 관통구멍(304)을 폐쇄하게 된다.
즉, 상기 공기는 관통구멍(304)을 통해 공간(210)에서 실외, 상기 실외에서 공간(210)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구멍(861a)에서 개폐구(862)를 슬라이딩 안내하여 길이가 긴 하나의 몸체(861)의 슬라이딩 구멍(861a)에 삽입시킨다.
그러면, 상기 관통구멍(304)은 개방된다.
즉, 상기 공기는 관통구멍(304)을 통해 공간(210)에서 실외, 상기 실외에서 공간(210)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마감재 시공구조(1000)는 밀폐, 접착 등을 위해 실리콘 등이 구석구석 사용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0 : 고정철물 200 : 고정부재
210 : 공간 220 : 지지몸체
221 : 공간 222 : 관통구멍
223 : 배수구멍 224 : 끼움돌기
230 : 고정부 300 : 제1마감재
301 : 배수공간 302 : 제1배수구멍
303 : 제2배수구멍 304 : 관통구멍
310 : 제2마감재 311 : 끼움구
312 : 몸체 312a : 끼움홈
320 : 제1고정부재 321 : 제1고정부
321a : 배수구멍 322 : 제2고정부
330 : 제3마감재 331 : 배수구멍
340 : 제2고정부재 341 : 제1고정부
342 : 제2고정부 350 : 배수공간
360 : 제3고정부재 361 : 제1고정부
362 : 제2고정부 363 : 빗물 차단부
370 : 제4마감재 400 : 제1빗물 차단부재
410 : 제1경사부 420 : 빗물 차단부
430 : 제2경사부 431 : 지지돌기
440 : 제2빗물 차단부재 441 : 몸체
441a : 끼움홈 442 : 빗물 차단부
443 : 경사부 443a : 지지돌기
500 : 지지부재 510 : 경사부
520 : 제1지지부 521 : 끼움홈
530 : 제2지지부 531 : 끼움홈
600 : 빗물 안내부재 610 : 수직부
611 : 끼움돌기 620 : 경사부
621 : 끼움홈 700 : 가스켓
710 : 스펀지 720 : 밀폐부재
721 : 몸체 721a : 끼움홈
722 : 밀착부 800 : 제1후레싱
801 : 몸체 801a : 끼움홈
802 : 경사부 803 : 수직부
804 : 빗물 차단부 810 : 제2후레싱
811 : 몸체 812 : 경사부
813 : 몸체 813a : 끼움홈
814 : 수평부 815 : 수직부
816 : 빗물 차단부 820 : 제3후레싱
821 : 몸체 821a : 끼움홈
822 : 수직부 823 : 빗물 차단부
830 : 제4후레싱 831 : 몸체
831a : 끼움홈 832 : 수직부
833 : 빗물 차단부 840 : 제5후레싱
841 : 몸체 841a : 끼움홈
842 : 수직부 843 : 경사부
843a : 관통구멍 844 : 수평부
845 : 걸림부 846 : 빗물 차단부
850 : 제1개폐부재 860 : 제2개폐부재
1000 : 마감재 시공구조

Claims (51)

  1. 건축물의 외벽(1)의 수직 및 수평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다수 설치되는 고정철물(100);
    상기 외벽(1)과의 사이에 제1이동통로(2)가 형성되도록 고정철물(100)에 설치되되, 상기 고정철물(100)에 격자 형태를 이루도록 설치되어 사이에 공간(210)이 형성되는 고정부재(200);
    상기 공간(210)을 폐쇄하도록 고정부재(200)에 설치되어 외벽(1)을 마감하는 제1마감재(300)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재(200)는 내부에 공간(221)이 형성되고, 제1마감재(300)가 설치되는 외면 일부가 개방되어 상기 공간(221)과 연결되는 관통구멍(222)이 형성된 지지몸체(220); 외벽(1)을 향하는 상기 지지몸체(220)의 외면에 형성되어 외벽(1)과의 사이에 제1이동통로(2)가 형성되도록 고정철물(100)에 설치되는 고정부(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시공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1)의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몸체(220)는 고정부(230)의 주변으로 공간(210)에서 낙하하는 빗물을 관통구멍(222)을 향해 배출하는 배수구멍(223)을 외면에 형성하고,
    상기 제1마감재(300)는 사이에 배수공간(301)이 형성되도록 지지몸체(220)에 설치되며,
    상기 배수공간(301)은 관통구멍(222)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시공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멍(223)에 이웃한 제1마감재(300)가 관통구멍(222)을 폐쇄하도록 지지몸체(220)에 설치되면,
    상기 제1마감재(300)의 외면에는 관통구멍(222)과 연결되는 제1배수구멍(302)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시공구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200)에 설치되어 빗물이 외벽(1)을 향해 흐르는 것을 차단해주는 제1빗물 차단부재(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시공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빗물 차단부재(400)는 고정부재(200)에 설치되어 배수구멍(223)을 향해 기울어지며, 공간(210)에서 낙하하는 빗물을 상기 배수구멍(223)으로 안내하는 제1경사부(410); 상기 제1경사부(410)의 외면에 형성되어 외벽(1)을 마주보게 되며, 상기 외벽(1)과의 사이에 제2이동통로(2a)를 형성되게 해주고, 빗물이 상기 외벽(1)을 향해 흐르는 것을 차단해주는 빗물 차단부(4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시공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빗물 차단부재(400)의 길이 방향의 길이보다 길이가 짧도록 형성되며, 지지몸체(220)에 이웃하도록 상기 제1빗물 차단부재(400)의 제1경사부(410)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지지부재(500);
    상기 지지부재(500)에 지지되게 설치되어 공간(210)에서 낙하하는 빗물을 배수구멍(223)으로 안내하는 빗물 안내부재(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시공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500)는 제1빗물 차단부재(400)의 제1경사부(410)에 설치되어 배수구멍(223)을 향해 기울어지며, 빗물을 상기 배수구멍(223)으로 안내하는 경사부(510); 상기 경사부(510)의 외면에 형성되어 배수구멍(223)을 마주보게 되며, 끼움홈(521)이 외면에 형성된 제1지지부(520)를 포함하며,
    상기 빗물 안내부재(600)는 끼움홈(521)에 끼워져서 제1마감재(300)와의 사이에 빗물이 배수구멍(223)을 향해 낙하하는 제3이동통로(2b)를 형성되게 해주며, 제1지지부(520)의 주변으로 제1빗물 차단부재(400)의 제1경사부(410)와의 사이에 제4이동통로(2c)를 형성되게 해주고, 상기 제1빗물 차단부재(400)의 빗물 차단부(420)와의 사이에 제5이동통로(2d)를 형성되게 해주는 수직부(610); 상기 수직부(610)의 외면에 기울어지게 형성되어 빗물을 제3이동통로(2b)로 안내하며, 제1빗물 차단부재(400)의 빗물 차단부(420)와의 사이에 제6이동통로(2e)를 형성되게 해주는 경사부(6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시공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500)는 제1지지부(520)의 끼움홈(521)의 주변에 형성되어 빗물 차단부(420)를 지지하는 제2지지부(5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시공구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부(530)의 외면에는 끼움홈(531)을 제1지지부(520)의 끼움홈(521)에 이웃하게 형성하고,
    상기 수직부(610)의 외면에는 끼움홈(531)에 끼워지는 끼움돌기(611)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시공구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빗물 차단부재(400)는 제2지지부(530)의 상부에서 제1경사부(410)를 향해 빗물 차단부(420)의 외면에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제2경사부(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시공구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경사부(430)의 외면에는 제2지지부(530)에 지지되는 지지돌기(431)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시공구조.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1)에 이웃한 경사부(620)의 외면에는 끼움홈(621)을 형성하고,
    상기 끼움홈(621)에 끼워져서 외벽(1)에 밀착되는 가스켓(7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시공구조.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몸체(220)의 외면에 설치되어 배수구멍(223)을 막는 스펀지(7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시공구조.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몸체(220)의 공간(221)에 설치되어 관통구멍(222) 및 배수공간(301)에서 돌출되는 제1후레싱(8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시공구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몸체(220)의 내면에는 끼움돌기(224)를 형성하고,
    상기 제1후레싱(800)은 끼움돌기(224)가 끼워지는 끼움홈(801a)이 외면에 형성된 몸체(801); 상기 몸체(801)의 외면에 지면을 향해 기울어지게 형성되어 관통구멍(222) 및 배수공간(301)에서 돌출되며, 배수구멍(223)에서 배출되는 빗물을 실외로 안내하는 경사부(80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시공구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후레싱(800)은 경사부(802)의 외면에 형성되어 제1마감재(300)를 마주보는 수직부(80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시공구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후레싱(800)은 수직부(803)의 한쪽 끝과 경사부(802)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수직부(803)의 외면에 형성되는 빗물 차단부(80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시공구조.
  1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멍(223)에 이웃한 제1마감재(300)에 설치되는 제2후레싱(8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시공구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후레싱(810)은 실외를 향하는 제1마감재(300)의 외면에 설치되는 몸체(811); 상기 몸체(811)의 외면에 지면을 향해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경사부(8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시공구조.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후레싱(810)은 제1마감재(300)가 끼워지는 끼움홈(813a)이 외면에 형성된 몸체(813); 상기 몸체(813)의 외면에 형성되어 지면을 마주보는 수평부(814); 상기 수평부(814)의 외면에 형성되어 제1마감재(300)를 마주보는 수직부(8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시공구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후레싱(810)은 수직부(815)의 한쪽 끝과 수평부(814)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수직부(815)의 외면에 형성되는 빗물 차단부(8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시공구조.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1)에 제1개구부(1a)가 형성되고,
    상기 제1개구부(1a)에 창호(3)가 설치되며,
    상기 창호(3)가 설치되면서 남겨진 제1개구부(1a)의 내면에 설치되어 마감하는 제2마감재(310)를 포함하되,
    상기 제2마감재(310)는 창호(3)와 제1개구부(1a)의 내면의 사이로 삽입되는 끼움구(311); 상기 끼움구(311)가 끼워지는 끼움홈(312a)이 외면에 형성되고, 제1개구부(1a)의 내면에 설치되어 외벽(1)에서 제1마감재(300)보다 더 돌출되는 몸체(3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시공구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구부(1a)의 내면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2마감재(310)는 지면을 향해 기울어지도록 상기 제1개구부(1a)의 내면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시공구조.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구(311)는 실내를 향해 길이를 길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시공구조.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312)는 창호(3)와 제1개구부(1a)의 내면의 사이로 끼움구(311)와 함께 삽입되도록 실내를 향해 길이를 길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시공구조.
  2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210)에 삽입되어 제1,2마감재(300)(310)에 설치되는 제1고정부재(320)를 포함하되,
    상기 제1고정부재(320)는 제1마감재(300)에 설치되는 제1고정부(321); 상기 제1고정부(321)의 외면에 형성되어 제2마감재(310)에 설치되는 제2고정부(3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시공구조.
  27. 제1항에 있어서,
    지면에 이웃한 상기 외벽(1)에 제2개구부(1b)가 형성되고,
    상기 제2개구부(1b)의 내면의 상부에 설치되어 마감하면서, 외벽(1)에서 제1마감재(300)보다 더 돌출되는 제3마감재(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시공구조.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1)에서 돌출되는 제3마감재(330)의 한쪽에 설치되는 제3후레싱(8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시공구조.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3후레싱(820)은 제3마감재(330)가 끼워지는 끼움홈(821a)이 외면에 형성된 몸체(821); 지면을 향하도록 상기 몸체(821)의 외면에 형성되는 수직부(8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시공구조.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3후레싱(820)은 수직부(822)의 한쪽 끝과 몸체(821)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수직부(822)의 외면에 형성되는 빗물 차단부(8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시공구조.
  31.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3마감재(330)의 외면에는 공간(210)에서 낙하하는 빗물을 지면을 향해 낙하시켜서 배출하는 배수구멍(331)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시공구조.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210)에 삽입되어 제1,3마감재(300)(330)에 설치되는 제2고정부재(340)를 포함하되,
    상기 제2고정부재(340)는 제1마감재(300)에 설치되는 제1고정부(341); 상기 제1고정부(341)의 외면에 형성되어 제3마감재(330)에 설치되는 제2고정부(3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시공구조.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210)에 삽입되어 제2고정부재(340)와의 사이에 배수구멍(331)과 연결되는 배수공간(350)이 형성되도록 외벽(1)과 제3마감재(330)에 설치되는 제3고정부재(360)를 포함하되,
    상기 제3고정부재(360)는 외벽(1)에 설치되는 제1고정부(361); 상기 제1고정부(361)의 외면에 형성되어 제3마감재(330)에 설치되면서 제2고정부재(340)의 제2고정부(342)와의 사이에 배수공간(350)을 형성되게 해주는 제2고정부(36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시공구조.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361)는 지면과 수직을 이루는 수직 방향으로 길이를 길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시공구조.
  35.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고정부재(360)는 제1고정부(361)의 외면에 형성되는 빗물 차단부(36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시공구조.
  3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물의 옥상(4)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외벽(1)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상기 외벽(1)의 양쪽으로 돌출되되, 한쪽이 상기 외벽(1)에서 제1마감재(300)보다 더 돌출되는 제4마감재(3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시공구조.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4마감재(370)는 옥상(4)을 향해 기울어지도록 외벽(1)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시공구조.
  38.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1)에서 제1마감재(300)보다 더 돌출되는 제4마감재(370)의 한쪽에 설치되는 제4후레싱(8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시공구조.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제4후레싱(830)은 제4마감재(370)가 끼워지는 끼움홈(831a)이 외면에 형성된 몸체(831); 상기 몸체(831)의 외면에 형성되어 제1마감재(300)를 마주보는 수직부(8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시공구조.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제4후레싱(830)은 수직부(832)의 한쪽 끝과 몸체(831)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수직부(832)의 외면에 형성되는 빗물 차단부(8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시공구조.
  41.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구(311)는 실내를 향해 길이를 길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시공구조.
  42.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구부(1a)의 내면의 상부에 설치된 제2마감재(310)에 이웃한 제1고정부(321)의 외면에는 공간(210)에서 낙하하는 빗물을 실외를 향해 배출하는 배수구멍(321a)을 형성하고,
    상기 제1고정부(321)에 이웃한 제1마감재(300)의 외면에는 배수구멍(321a)과 연결되는 제2배수구멍(303)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시공구조.
  43.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1)에서 제1마감재(300)보다 더 돌출되는 제4마감재(370)의 한쪽에 설치되는 제5후레싱(840)을 포함하되,
    상기 제5후레싱(840)은 제4마감재(370)가 끼워지는 끼움홈(841a)이 외면에 형성된 몸체(841); 상기 몸체(841)의 외면에 형성되어 제1마감재(300)를 마주보는 수직부(842); 상기 제1마감재(300)를 마주보는 수직부(842)의 외면에 형성되는 경사부(843); 상기 경사부(843)의 외면에 형성되어 제1마감재(300)의 한쪽 끝에 올려지는 수평부(8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시공구조.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제5후레싱(840)은 수평부(844)의 외면에 형성되어 제1마감재(300)에 밀착되는 걸림부(84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시공구조.
  45.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843)의 외면에는 관통구멍(843a)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시공구조.
  46.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제5후레싱(840)은 수직부(842)의 한쪽 끝과 몸체(841)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수직부(842)의 외면에 형성되는 빗물 차단부(84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시공구조.
  4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200)에 설치되어 빗물이 외벽(1)을 향해 흐르는 것을 차단해주는 제2빗물 차단부재(440)를 제1빗물 차단부재(400)를 대신하여 포함하되,
    상기 제2빗물 차단부재(440)는 고정부(230)가 끼워지는 끼움홈(441a)이 외면에 형성되며, 상기 외면에 빗물을 배수구멍(223)을 향해 안내하는 경사면(441b)이 형성된 몸체(441); 상기 몸체(441)의 외면에 형성되어 외벽(1)을 마주보게 되며, 상기 외벽(1)과의 사이에 제2이동통로(2a)를 형성되게 해주고, 수직부(610)와의 사이에 제5이동통로(2d)를 형성되게 해주며, 경사부(620)와의 사이에 제6이동통로(2e)를 형성되게 해주고, 제2지지부(530)에 지지되며, 빗물이 상기 외벽(1)을 향해 흐르는 것을 차단해주는 빗물 차단부(442); 상기 제2지지부(530)의 상부에서 상기 제2지지부(530)를 향해 빗물 차단부(442)의 외면에 기울어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2지지부(530)에 지지되는 지지돌기(443a)가 외면에 형성된 경사부(4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시공구조.
  4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200)에 설치되어 제1이동통로(2)를 폐쇄하는 밀폐부재(7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시공구조.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720)는 고정부(230)가 끼워지는 끼움홈(721a)이 외면에 형성된 몸체(721); 상기 몸체(721)의 외면에 형성되어 외벽(1)에 밀착되는 밀착부(7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시공구조.
  50. 제38항 또는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마감재(300)와 제4후레싱(830)의 사이 또는 상기 제1마감재(300)와 제5후레싱(840)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마감재(300)와 제4후레싱(830)의 사이 또는 상기 제1마감재(300)와 제5후레싱(840)의 사이를 개폐해주는 제1개폐부재(8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시공구조.
  51.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개구부(1b)에 이웃한 제1마감재(300)의 외면에는 관통구멍(304)을 형성하고,
    상기 제1마감재(300)에 설치되어 관통구멍(304)을 개폐해주는 제2개폐부재(8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시공구조.
KR1020230019451A 2023-02-14 2023-02-14 마감재 시공구조 KR202301131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9451A KR20230113198A (ko) 2023-02-14 2023-02-14 마감재 시공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9451A KR20230113198A (ko) 2023-02-14 2023-02-14 마감재 시공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3198A true KR20230113198A (ko) 2023-07-28

Family

ID=87427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9451A KR20230113198A (ko) 2023-02-14 2023-02-14 마감재 시공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319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454U (ko) 2016-03-29 2017-10-12 박혜경 고정철물을 이용한 일체형 마감재 시공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454U (ko) 2016-03-29 2017-10-12 박혜경 고정철물을 이용한 일체형 마감재 시공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39675B1 (en) Two-piece vented cornice device
US10669721B2 (en) Flashing device assembly
CA3024975A1 (en) Below top of wall ventilation screed device and assembly
US8561367B2 (en) Parapet vent
KR101758296B1 (ko) 창호 개구부용 다목적 벽체 마감재
KR20230113198A (ko) 마감재 시공구조
KR100955875B1 (ko) 에너지 절약을 위한 외벽용 패널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외벽 구조 시스템
KR101650811B1 (ko) 리노베이션 건물의 에너지절약 외피통풍구조
KR200382106Y1 (ko) 창호시스템
WO2020125017A1 (zh) 水平百叶排烟窗
KR20230113199A (ko) 마감재 시공구조
KR102075380B1 (ko) 창호 시스템
KR102277966B1 (ko) 가스켓이 생략된 오픈조인트 패널조립체
KR200360044Y1 (ko) 건물의 외벽 장식몰딩의 누수방지구조
KR200385984Y1 (ko) 누수방지용 창틀마감자재의 설치구조
KR20210130668A (ko) 창호 개구부의 누수방지용 마감재
CN109252623B (zh) 综合性能的建筑盖板的材料构造改善
KR100318006B1 (ko) 외단열 건축물의 창호 후래싱 및 그의 시공방법
KR100919284B1 (ko) 창틀배수장치를 이용한 창틀시공방법
KR20130051327A (ko) 창호용 차수 판
KR20230113214A (ko) 마감재 시공구조
KR100514381B1 (ko) 방충망레일 일체형 공틀
KR20230113213A (ko) 마감재 시공구조
KR200402779Y1 (ko) 창틀 몰딩 마감재
KR102277972B1 (ko) 통기성과 단열성이 향상된 오픈조인트 패널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