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2949A - 치과용 톱 - Google Patents

치과용 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2949A
KR20230112949A KR1020220009196A KR20220009196A KR20230112949A KR 20230112949 A KR20230112949 A KR 20230112949A KR 1020220009196 A KR1020220009196 A KR 1020220009196A KR 20220009196 A KR20220009196 A KR 20220009196A KR 20230112949 A KR20230112949 A KR 202301129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saw
saw blade
coupling
safet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9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훈
유우상
이찬중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09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2949A/ko
Publication of KR20230112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29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12Tooth saw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082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14Tool-holders, i.e. operating tool holders, e.g. burr holder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일단부에 톱날을 구비하는 자루, 및 상기 자루에 장착되어 상기 톱날의 주위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안전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장치는, 상기 자루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 상기 장착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톱날의 뒷면을 가리는 후면 가림부, 및 상기 후면 가림부와 연결되며, 상기 톱날의 앞면을 가리는 전면 가림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치과용 톱 {DENDAL SAW}
본 발명은 안전장치가 부착된 치과용 톱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치아의 결손이 있는 부위에 대하여, 생체 적합 소재인 타이타늄 재질의 인공치아를 식립하여 자연치의 기능을 회복시켜주는 치과 치료가 주로 이루어진다. 이때 사용되는 인공치아를 치아 임플란트 또는 단순히 임플란트라고 부른다.
임플란트를 성공적으로 식립하기 위해서는 환자의 구강 내에 충분한 골량과 치조골이 필수적이다. 임플란트가 식립되어 안정적으로 자리잡기 위해 일정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환자의 구강상태는 항상 이상적이지 않으며 임플란트 식립에 있어 많은 악조건의 상황을 마주하게 된다. 특히 장기간 지속된 무치악 부위는 치아의 상실과 함께 골흡수가 진행되어 잔존골의 순설측 혹은 협설측의 수평적 골량이 초기 치조골보다 부족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보다 안정적으로 임플란트를 식립하기 위해서는 골 결손부에 자가골, 동종골, 이종골, 합성골 등을 이용한 골이식을 하거나 구강 또는 신체 내 일부인 덩어리 뼈(block bone)를 채취해서 골 결손부에 덧대는 등의 시술 방법이 시행하여야 한다.
근래에는 좁은 치조능(narrow ridge)에 치과용 엔진으로 원형 톱을 고속으로 회전시켜 뼈를 절개시킨 후 치조골을 확장하는 시술방법이 주로 사용된다. 원형 톱을 사용하는 시술방법은 빠르게 뼈를 삭제할 수 있고, 환자에 충격을 가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고속으로 회전하는 원형 톱이 뼈를 삭제하는 과정에서 뼈조각이 튀어올라 인접치나 혀, 잇몸 등과 같은 구강 내부에 상처를 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인접치가 있는 경우에는 원형 톱을 인접치에 바짝 붙여 치조골 절개를 해야만 치조골이 원활하게 확장될 수 있지만, 시술의 위험성으로 원형 톱을 인접치에 쉽게 접근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미국 공개특허공보 제2007-0042324호 (2007.02.22)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골의 절개를 위해 사용되는 톱의 자루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장작 후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는 갖는 안전장치가 부착된 치과용 톱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일단부에 톱날을 구비하는 자루, 및 상기 자루에 장착되어 상기 톱날의 주위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안전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장치는, 상기 자루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 상기 장착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톱날의 뒷면을 가리는 후면 가림부, 및 상기 후면 가림부와 연결되며, 상기 톱날의 앞면을 가리는 전면 가림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자루에 수직 방향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하단 일부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는 적어도 2개의 단의 단차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부와 정합되는 상기 제2 결합부는 적어도 2개의 단의 단차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는 적어도 2개의 단의 길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부와 정합되는 상기 제2 결합부는 적어도 2개의 단의 길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는 음각으로 패인 형상이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양각으로 돌출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는 양각으로 돌출된 형상이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음각으로 패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와 상기 자루는 탄성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와 상기 자루는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가 아닌 영역에서 탄성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자루는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안전장치 체결 시 상기 장착부의 일단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후면 가림부와 상기 전면 가림부 사이는 상기 톱날의 상방으로 개방되어 있고, 상기 후면 가림부와 상기 전면 가림부는 측방에서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 상기 후면 가림부, 및 상기 전면 가림부는 상기 자루의 길이 방향으로 순서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톱날을 구비하는 자루에 장착되는 안전장치로서, 상기 자루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 상기 장착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톱날의 뒷면을 가리는 후면 가림부, 및 상기 후면 가림부와 연결되며, 상기 톱날의 앞면을 가리는 전면 가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자루의 길이 방향으로 다단 구조의 제2 결합부가 형성되는, 안전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톱날을 구비하는 자루로서, 상기 톱날의 주위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안전장치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자루의 외주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다단 구조의 제1 결합부가 형성되는, 자루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안전장치와 자루의 장착 부위가 다단 구조를 포함하여 길게 형성되되, 탄성 체결되는 영역은 부분적으로 제한되어, 안전장치 장착 시 기울어짐 및 유동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탈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단 구조에서 각 단의 단차 및 길이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안전장치의 불완전 체결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루는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여 안전장치의 정위치 체결 인지성을 보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톱의 사시도이다.
도 2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루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3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의 (a) 내지 (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장치의 정면도, 후면도, 측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톱의 단면도이다.
도 7의 (a) 및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루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장치의 측면도 및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9의 (a) 및 (b)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루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톱의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톱의 사시도이고, 도 2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루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며, 도 3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의 (a) 내지 (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장치의 정면도, 후면도, 측면도 및 배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톱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치과용 톱(1000)은 자루(100) 및 안전장치(20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치과용 톱(1000)은 일단부에 톱날(110)을 구비하는 자루(100), 및 상기 자루(100)에 장착되어 상기 톱날(110)의 주위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안전장치(200)를 포함한다.
자루(100)는 원통형으로 길게 형성되며, 일단부에는 톱날(110)을 구비하고, 타단부에는 핸드피스와 같은 구동장치에 장착되는 척이 형성된다.
톱날(110)은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하면서 치조골 등을 절삭 또는 연마하도록 구성되며,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톱날(110)은 원판 형상 이외에도, 원통 형상 등 절삭 또는 연마에 적합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안전장치(200)는 자루(100)에 장착되어 톱날(110)의 주위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며, 장착부(210), 후면 가림부(220), 및 전면 가림부(330)를 포함한다.
종래의 안전장치의 체결방법은 자루가 아닌 핸드피스와 같은 구동장치에 장착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구동장치의 형상에 따라 장착부의 형상을 다르게 형성해야 했다. 즉, 구동장치가 달라지면 안전장치의 호환이 불가한 문제가 있었다. 반면에, 본 발명의 안전장치(200)는 자루(10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구동장치가 다르더라도 호환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장착부(210)는 중공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원통 형상의 자루(10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때, 장착부(210)는 하단 일부가 개방되어 자루(100)에 수직 방향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장착부(210)에는 한 쌍의 결합 가이드(21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한 쌍의 결합 가이드(211)는 장착부(210)의 자유 단부에 각각 형성되며, 끝단으로 갈수록 서로 벌어지는 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즉, 한 쌍의 결합 가이드(211)는 장착부(210)와 자루(100)의 결합 시, 자루(100)를 장착부(210)의 하단 개방부와 연통된 중공으로 안내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안전장치(200)를 자루(100)에 장착할 때, 장착부(210)의 중공과 자루(100)의 결합 위치가 정확히 맞지 않은 상황에서도 장착부(210)를 자루(100)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안전장치(200)와 자루(100)가 어느정도 정렬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장착부(210)를 밀어 넣으면, 자루(100)는 결합 가이드(211)에 의해 안내되면서 장착부(210)의 하단 개방부를 통해 장착부(210)의 중공으로 진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장착부(210)에는 결합 가이드(211)가 구비됨에 따라 자루(100)와 장착부(210)의 결합이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2, 도5 및 도 6을 참조하면, 자루(100)의 외주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다단 구조의 제1 결합부(120)가 형성되고, 장착부(210)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 결합부(120)와 정합되는 다단 구조의 제2 결합부(212)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결합부(120) 또는 제2 결합부(212)의 각 단은 주변부에 비해 돌출되거나 패이도록 형성되어, 주변부와 단차를 형성하는 부분을 의미한다.
이때, 자루(100)의 제1 결합부(120)는 음각으로 패인 형상이고, 장착부(210)의 제2 결합부(212)는 양각으로 돌출된 형상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결합부(120)는 자루(10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음각으로 패인 제1 단(121), 및 상기 제1 단(121)과 길이 방향으로 일정 거리 떨어져 위치하며, 자루(10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음각으로 패인 제2 단(12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결합부(212)는 장착부(210)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양각으로 돌출된 제1 단(212a), 및 상기 제1 단(212a)과 길이 방향으로 일정 거리 떨어져 위치하며, 장착부(210)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양각으로 돌출된 제2 단(212b)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결합부(120)의 제1단(121)은 제2 결합부(212)의 제1 단(212a)과 정합되고, 제1 결합부(120)의 제2단(122)은 제2결합부(212)의 제2단(212b)과 정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반대로 자루(100)의 제1 결합부(120)는 양각으로 돌출된 형상이고, 장착부(210)의 제2 결합부(212)는 음각으로 패인 형상일 수도 있다.
한편, 안전장치(200)의 장착부(210)와 자루(100)는 서로 탄성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안전장치(200)의 장착부(210)와 자루(100)는 제1 결합부(120)와 제2 결합부(212)가 아닌 영역, 즉 각 단(121, 122, 212a, 212b)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서 탄성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이처럼, 안전장치(200)는 장착부(210)가 다단 구조를 포함하여 길게 형성되되, 탄성 체결되는 영역은 부분적으로 제한되어, 자루(100)에 체결 시 기울어짐 및 유동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탈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후면 가림부(220)는 장착부(210)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톱날(110)의 뒷면을 가리도록 구성된다. 전면 가림부(230)는 상기 후면 가림부(220)와 연결되며, 톱날(110)의 앞면을 가리도록 구성된다.
후면 가림부(220) 및 전면 가림부(230)는 톱날(110)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사용자는 다양한 크기를 갖는 톱날들 중에서 적절한 크기, 즉 직경을 갖는 톱날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선택된 톱날의 크기에 맞춰 다양한 크기의 후면 가림부(220) 및 전면 가림부(230)를 갖는 안전장치(200)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자루(100)에 장착시킬 수 있다.
후면 가림부(220)와 전면 가림부(230)로 인해, 치과 시술 중 절삭 또는 연마되어지는 뼈 등의 가루들이 사방으로 비산하지 않고, 작업 공간 가까이에 모이게 할 수 있다.
한편, 후면 가림부(220)에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221)가 형성될 수 있거나 전면 가림부(230)에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231)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시술 도중에도 후면 가림부(220) 또는 전면 가림부(230)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개구(221, 231)를 통해 톱날(110)을 육안 관찰할 수 있다. 
후면 가림부(220)는 장착부(210)와의 결합을 견고히 할 수 있도록 장착부(210)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부(222)가 더 형성될 수 있다.
후면 가림부(220)와 전면 가림부(230) 사이는 톱날(110)의 상방으로 개방되어 있고, 상기 후면 가림부(220)와 상기 전면 가림부(230)는 측면 연결부(240)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즉, 톱날(110)의 상방이 개방됨에 따라, 사용자는 시술 도중에 개방된 부분을 통해 골 폭이 좁은 치조골을 보면서(open technique) 절개할 수 있어 육안 시인성이 우수하다.
안전장치(200)의 장착부(210), 후면 가림부(220), 및 전면 가림부(230)는 자루(100)의 길이 방향으로 순서대로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즉, 자루(100)에 결합되는 장착부(210)의 위치와 후면 가림부(220) 및 전면 가림부(230)의 위치가 길이 방향으로 각기 다른 위치에 있게 되어, 시술 후 사용자가 장착부(210)를 지점으로 후면 가림부(220) 및 전면 가림부(230)를 상측으로 들어올려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도 7의 (a) 및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루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장치의 측면도 및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자루(100)의 제1 결합부(120)는 적어도 2개의 단의 단차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부(120)와 정합되는 장착부(210)의 제2 결합부(212)도 적어도 2개의 단의 단차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결합부(120)는 자루(10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음각으로 패인 제1 단(121), 및 상기 제1 단(121)과 길이 방향으로 일정 거리 떨어져 위치하며, 자루(10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음각으로 패인 제2 단(122)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단(121)의 단차(H1)와 상기 제2 단(122)의 단차(H2)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결합부(212)는 장착부(210)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양각으로 돌출된 제1 단(212a), 및 상기 제1 단(212a)과 길이 방향으로 일정 거리 떨어져 위치하며, 장착부(210)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양각으로 돌출된 제2 단(212b)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단(212a)의 단차와 상기 제2 단(212b)의 단차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계속,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자루(100)의 제1 결합부(120)는 적어도 2개의 단의 길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부(120)와 정합되는 장착부(210)의 제2 결합부(212)도 적어도 2개의 단의 길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결합부(120)는 자루(10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음각으로 패인 제1 단(121), 및 상기 제1 단(121)과 길이 방향으로 일정 거리 떨어져 위치하며, 자루(10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음각으로 패인 제2 단(122)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단(121)의 길이(L1)와 상기 제2 단(122)의 길이(L2)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결합부(212)는 장착부(210)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양각으로 돌출된 제1 단(212a), 및 상기 제1 단(212a)과 길이 방향으로 일정 거리 떨어져 위치하며, 장착부(210)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양각으로 돌출된 제2 단(212b)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단(212a)의 길이와 상기 제2 단(212b)의 길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제1 단(121, 212a)과 제2 단(122, 212b)의 단차 및 길이 중 적어도 하나를 다르게 형성하여, 제1 결합부(120)의 제1 단(121)은 제2 결합부(212)의 제1 단(212a)에만 체결되고, 제2 결합부(120)의 제2 단(122)은 제2 결합부(212)의 제2 단(212b)에만 체결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제1 결합부(120)의 제1 단(121)이 제2 결합부(212)의 제2 단(212b)에 체결되는 경우와 같은 자루(100)와 안전장치(200)의 불완전 체결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의 (a) 및 (b)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루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고,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톱의 측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자루(100)는 스토퍼(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자루(100)는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며, 안전장치(200) 체결 시 장착부(210)의 일단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스토퍼(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130)는 자루(10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방사상으로 돌출된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고 상기 장착부(210)의 접촉 여부를 인지할 수 있는 형상이면 무엇이든 적용 가능하다.
즉, 자루(100)에 스토퍼(130)가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가 안전장치(200)를 자루(100)에 체결할 때, 사용자는 스토퍼(130)와 장착부(210)의 일단부 사이의 거리 또는 접촉에 따른 안전장치(200)의 정위치 체결 여부를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0 치과용 톱
100 자루
110 톱날
120 제1 결합부
121 제1 단
122 제2 단
130 스토퍼
200 안전장치
210 장착부
211 결합 가이드
212 제2 결합부
212a 제1 단
212b 제2 단
220 후면 가림부
230 전면 가림부
240 측면 연결부

Claims (14)

  1. 일단부에 톱날을 구비하는 자루; 및
    상기 자루에 장착되어 상기 톱날의 주위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안전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장치는, 상기 자루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 상기 장착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톱날의 뒷면을 가리는 후면 가림부, 및 상기 후면 가림부와 연결되며, 상기 톱날의 앞면을 가리는 전면 가림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자루에 수직 방향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하단 일부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톱.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루는 외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다단 구조의 제1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는 내주면에 상기 제1 결합부와 정합되는 다단 구조의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톱.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는 적어도 2개의 단의 단차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부와 정합되는 상기 제2 결합부는 적어도 2개의 단의 단차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톱.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는 적어도 2개의 단의 길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부와 정합되는 상기 제2 결합부는 적어도 2개의 단의 길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톱.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는 음각으로 패인 형상이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양각으로 돌출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톱.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는 양각으로 돌출된 형상이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음각으로 패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톱.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와 상기 자루는 탄성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톱.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와 상기 자루는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가 아닌 영역에서 탄성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톱.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루는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안전장치 체결 시 상기 장착부의 일단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톱.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가림부와 상기 전면 가림부 사이는 상기 톱날의 상방으로 개방되어 있고, 상기 후면 가림부와 상기 전면 가림부는 측방에서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톱.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 상기 후면 가림부, 및 상기 전면 가림부는 상기 자루의 길이 방향으로 순서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톱.
  13. 톱날을 구비하는 자루에 장착되는 안전장치로서,
    상기 자루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
    상기 장착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톱날의 뒷면을 가리는 후면 가림부; 및
    상기 후면 가림부와 연결되며, 상기 톱날의 앞면을 가리는 전면 가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자루의 길이 방향으로 다단 구조의 제2 결합부가 형성되는, 안전장치.
  14. 톱날을 구비하는 자루로서,
    상기 톱날의 주위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안전장치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자루의 외주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다단 구조의 제1 결합부가 형성되는, 자루.
KR1020220009196A 2022-01-21 2022-01-21 치과용 톱 KR202301129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9196A KR20230112949A (ko) 2022-01-21 2022-01-21 치과용 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9196A KR20230112949A (ko) 2022-01-21 2022-01-21 치과용 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2949A true KR20230112949A (ko) 2023-07-28

Family

ID=87427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9196A KR20230112949A (ko) 2022-01-21 2022-01-21 치과용 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294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42324A1 (en) 2005-08-22 2007-02-22 Florman Michael J Grinder guar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42324A1 (en) 2005-08-22 2007-02-22 Florman Michael J Grinder guar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62663B2 (ja) 上顎洞膜挙上用ドリル
US505709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xtracting cataract tissue
KR100619145B1 (ko) 상악동 거상술을 위한 임플란트 드릴
AU2007215700B2 (en) An implant drill
EP2012722B1 (en) Multi-purpose phacoemulsification needle
US20100266984A1 (en) Bur for maxillary sinus augmentation
KR101128730B1 (ko) 치과용 드릴
EP0962192B8 (de) Medizinisches oder dentalmedizinisches Instrument zur spanabhebenden Bearbeitung von Körpergewebe und Werkzeug für ein solches Instrument
TW201000065A (en) Piezotome for maxillary sinus operation
EP1742601A1 (en) Surgical knife blade attachment and method for using same
US7744614B2 (en) Corneal excision or scoring device
KR101113306B1 (ko) 상악동 거상술용 드릴 유닛
US20100196849A1 (en) Flapless dental implant punch
KR20230112949A (ko) 치과용 톱
KR101810972B1 (ko) 치과용 드릴
US20100035203A1 (en) Dental Treatment Instrument with Coupling Device for Transmission of Motion and for Releasable Attachment of a Treatment Tool
KR101430935B1 (ko) 임플란트용 잇몸 제거장치
KR101627516B1 (ko) 치과용 톱 안전장치
KR101500126B1 (ko) 잇몸의 조직을 뚫는 잇몸펀치
JPH05501667A (ja) 組織の除去
JP3182420U (ja) 歯科根管治療用ドリル
KR200323647Y1 (ko) 임플란트 수술용 드릴
KR101741071B1 (ko) 치근용 탈구기구
KR101566457B1 (ko) 어버트먼트 제거 드릴 및 이를 구비하는 어버트먼트 제거 장치
KR200488611Y1 (ko) 서지컬 가이드를 이용한 플랩리스 임플란트 수술 시 사용하는 치조골 트리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