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2907A - 편의용 제어 장치 및 그를 가지는 차량 - Google Patents

편의용 제어 장치 및 그를 가지는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2907A
KR20230112907A KR1020220009091A KR20220009091A KR20230112907A KR 20230112907 A KR20230112907 A KR 20230112907A KR 1020220009091 A KR1020220009091 A KR 1020220009091A KR 20220009091 A KR20220009091 A KR 20220009091A KR 20230112907 A KR20230112907 A KR 202301129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wash
control signal
information
sensor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9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기연
윤연성
곽규섭
김상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09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2907A/ko
Priority to US18/080,278 priority patent/US20230234551A1/en
Publication of KR20230112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29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occupant comfort, e.g. for automatic adjustment of appliances according to personal settings, e.g. seats, mirrors, steering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 B60S3/06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with rotary bodies contacting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3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auxiliary equipment, e.g. air-conditioning compressors or oil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0Longitudinal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6Ratio selector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215Selection or confirmation of op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4/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bjects
    • B60W2554/80Spatial relation or speed relative to objects
    • B60W2554/802Longitudinal di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5/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exterior conditions, not covered by groups B60W2552/00, B60W2554/00
    • B60W2555/20Ambient conditions, e.g. wind or ra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1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710/30Auxiliary equip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3Speed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의용 제어 장치 및 그를 가지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편의용 제어 장치는, 주변 환경을 인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세차 모드 중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의 주변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세차 완료 여부를 판단하고 세차 완료라고 판단되면 세차 모드의 수행 전에 동작 상태가 변경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에 대한 복귀 제어 신호를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편의용 제어 장치 및 그를 가지는 차량{Control device for convenience, and Vehicl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세차 전, 세차 중, 세차 후, 차량의 상태를 안전하고 편리하게 제어하기 위한 편의용 제어 장치 및 그를 가지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기본적인 주행 기능 외에도 라디오 기능, 오디오 기능, 비디오 기능, 길 안내 기능(내비게이션 기능), 공조 기능, 시트 열선 기능, 외부 영상 획득 기능(블랙박스 기능), 장애물 충돌 방지 기능, 외부의 사용자용 단말기와의 통신 기능 등 사용자 편의를 위한 부가적인 기능을 더 수행한다.
여기서 외부 영상 획득 기능의 예로, 주차 중 후방 시야의 영상을 획득하는 기능과, 주행 중 전방 시야의 영상을 획득하는 기능과, 운전자의 시야가 확보되지 않는 사각지대의 시야의 영상을 획득하는 기능 등이 있다.
이러한 차량의 원활한 사용을 위해, 세차가 필요하다.
차량의 세차 중 물, 세제 및 청소 도구 등에 의한 차량의 외장, 내장 및 전자 장치들이 손상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이는 안전 상의 문제로 직결되는 문제가 있었다.
기존에는, 외장, 내장 및 전자 장치를 보호하기 위해, 세차 전에 조작해야 할 각종 전자 기기의 조작 정보를 사용자가 모두 기억하고, 이 기억을 기반으로 세차 전에 사용자가 직접 각종 전자 기기들을 조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야 하는 전자기기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가 미조작되면, 세차 중 청소 도구들에 의해 미조작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가 손상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세차 후 조작된 전자 기기들을 사용자가 직접 다시 조작해야 하는 번거로움도 있었다. 이 때에도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가 미조작되면 주행에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일 측면은 세차 중에 획득된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세차 완료 여부를 판단하고 세차 완료 판단에 대응하여 주행 준비 모드를 자동으로 수행하기 위한 동작 상태의 복귀 제어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에 전송하는 편의용 제어 장치 및 그를 가지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다른 측면은 세차 모드의 온 명령에 대응하여 세차 준비 모드를 자동으로 수행하기 위한 동작 상태의 변경 제어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에 전송하고, 세차 모드의 오프 명령에 대응하여 주행 준비 모드를 자동으로 수행하기 위한 동작 상태의 복귀 제어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에 전송하는 편의용 제어 장치 및 그를 가지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편의용 제어 장치는, 주변 환경을 인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세차 모드 중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의해 인지된 주변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세차 완료 여부를 판단하고 세차 완료라고 판단되면 세차 모드의 수행 전에 동작 상태가 변경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에 대한 복귀 제어 신호를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편의용 제어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이미지 센서의 영상 정보를 통해 신호등의 색상 정보 또는 텍스트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신호등의 색상 정보 또는 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세차 완료 여부를 판단한다.
일 측면에 따른 편의용 제어 장치의 프로세서는, 통신부를 통해 서버로부터 세차 완료 정보가 수신되면 세차 완료로 판단한다.
일 측면에 따른 편의용 제어 장치의 프로세서는,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세차 모드의 온 명령에 대응하여 미리 저장된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의 동작 상태의 변경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동작 상태의 변경 제어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에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한다.
일 측면에 따른 편의용 제어 장치의 프로세서는,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세차 모드의 오프 명령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에 복귀 제어 신호를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한다.
일 측면에 따른 편의용 제어 장치의 프로세서는, 통신부에 수신된 현재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세차 모드의 온 명령을 생성한다.
일 측면에 따른 편의용 제어 장치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는, 와이퍼, 사이드 미러, 윈도우 글라스, 선루프, 핸들, 제1센서, 제2센서, 공기 조화기, 테일 게이트, 도어 및 충전 도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편의용 제어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이미지 센서의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세차 모드의 온 명령을 생성하고, 미리 저장된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의 동작 상태의 변경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동작 상태의 변경 제어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에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은, 주변 환경을 인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 및 세차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의해 인지된 주변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세차 완료 여부를 판단하고 세차 완료라고 판단되면 세차 모드의 수행 전에 동작 상태가 변경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를 확인하고 확인한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에 동작 상태의 복귀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마이크로폰을 더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폰을 통해 수신된 사운드 정보에 기초하여 세차 완료 여부를 판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은, 속도 검출부; 및 변속 레버를 더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프로세서는, 변속 레버의 신호에 기초하여 변속 레버의 위치가 드라이브 단 또는 후진 단인지를 판단하고, 변속 레버의 위치가 드라이브 단 또는 후진 단이라고 판단되면 속도 검출부에 검출된 주행 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주행속도가 기준 속도 이상인지를 판단하고 주행 속도가 기준 속도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세차 완료라고 판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거리 센서를 더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프로세서는, 거리 센서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세차 완료 여부를 판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이미지 센서의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위치가 세차장의 입구인지를 판단하고, 현재 위치가 세차장의 입구라고 판단되면 거리 센서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세차장의 입구까지의 거리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에 동작 상태의 변경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이미지 센서의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인식하고 인식한 오브젝트의 정보에 기초하여 신호등의 색상 정보, 세차장의 출구 정보 또는 텍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고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기초하여 세차 완료 여부를 판단한다.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의 동작 상태의 변경 제어 신호는, 사이드 미러의 폴딩 제어 신호, 윈도우 글라스의 폐쇄 제어 신호, 선루프의 폐쇄 제어 신호, 핸들의 인입 제어 신호, 제1센서의 비활성화 제어 신호, 제2센서의 비활성화 제어 신호, 공기 조화기의 내기 순환 제어 신호, 테일 게이트의 잠금 제어 신호, 도어의 잠금 제어 신호 및 충전 도어의 잠금 제어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은, 입력부를 더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프로세서는, 입력부를 통해 수신된 세차 모드의 온 명령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에 동작 상태의 변경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프로세서는, 입력부를 통해 수신된 세차 모드의 오프 명령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에 복귀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은, 통신부를 더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프로세서는 통신부를 통해 세차장의 서버로부터 세차 완료 정보가 수신되면 세차 완료로 판단한다.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의 동작 상태의 복귀 제어 신호는, 사이드 미러의 언폴딩 제어 신호, 윈도우 글라스의 개방 제어 신호, 선루프의 개방 제어 신호, 핸들의 인출 제어 신호, 제1센서의 활성화 제어 신호, 제2센서의 활성화 제어 신호, 공기 조화기의 외기 순환 제어 신호, 테일 게이트의 잠금 해제 제어 신호, 도어의 잠금 해제 제어 신호 및 충전 도어의 잠금 해제 제어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세차 중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세차 후 주행 준비 모드를 자동으로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주행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세차 모드의 온 명령에 대응하여 세차 전에 세차 준비 모드를 자동으로 수행함으로써 세차 중 외장, 내장 및 전자 기기의 손상 및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나아가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품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외장 예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의 도어의 핸들의 예시도이다.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내장 예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세차 설정 모드의 화면 예시도이다.
도 5는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6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세차 상태의 예시도이다.
도 7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세차 모드의 수행 전의 예시도이다
도 8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세차 모드의 온, 오프 시의 전자 기기의 동작 상태 정보의 예시도이다.
도 9는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순서도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 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 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장치'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 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장치'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장치'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 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외장 예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의 도어의 핸들의 예시도이며,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내장 예시도이다.
차량(1)은 내장과 외장을 갖는 차체(Body)와, 차체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으로 주행에 필요한 기계 장치가 설치되는 차대(Chassis)를 포함한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의 외장은 프론트 패널(111), 본네트(112), 루프 패널(113), 리어 패널(114), 테일 게이트(115), 전후좌우 도어(116) 및 전후좌우 도어(116)에 각각 개폐 가능하게 마련된 윈도우 글라스(117), 사용자에게 차량(1)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 미러(118)와, 프런트 윈드 글라스에 마련되고 비 또는 눈이 오는 날씨에 전방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프런트 윈드 글라스 상에서 좌우로 움직이면서 빗방울 또는 눈을 닦는 와이퍼(119)를 더 포함한다.
도어는 슬라이딩 방식의 슬라이딩 도어일 수도 있다.
차량이 전지 차량인 경우, 차체의 외장은, 충전구를 개폐하기 위한 충전 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의 전후좌우의 각각의 도어(116)는 사용자에 의해 그립되는 핸들(116a)을 포함하고, 도어(116)의 잠금 및 잠금 해제를 위한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는 제1센서(123)를 포함한다.
도어의 핸들(116b)은 도어(1166)의 패널 표면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도어의 패널 표면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116b)은 이동 부재(미도시)에 의해 도어(116)의 패널 표면과 동일 면 상에 위치되는 인입 상태가 될 수 있다.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116b)은 이동 부재(미도시)에 의해 도어(116)의 패널 표면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돌출되는 인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인출 및 인입이 가능한 핸들(116b)에도 도어(116)의 잠금 및 잠금 해제를 위한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는 제1센서(123)가 마련될 수 있다.
즉, 핸들(116b)은 제1센서(123)를 통한 사용자 입력 및 사용자 인증에 대응하여 도어(116)의 패널 표면으로부터 인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다.
차량(1)은 루프 패널(113)에 마련되되, 루프 패널(113)의 일부 영역을 개방하도록 마련된 선루프(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루프 패널(113)의 일부 영역에는 개구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루프 패널(113)의 일부 영역은 루프 패널(113)의 영역 중 운전석과 조수석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의 영역일 수 있다.
루프 패널(113)의 일부 영역은 루프 패널의 영역 중 운전석과 조수석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의 영역과, 뒷좌석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선루프(120)의 영역은 루프 패널(113)의 영역 중 운전석과 조수석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의 영역에서 뒷좌석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의 영역까지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선루프(120)는 루프 패널(113)의 개구에 마련된 차폐 패널을 포함할 수 있고, 차폐 패널이 개구 영역 내에서 이동되도록 하되 차량의 내부 혹은 외부 슬라이딩 형태로 이동되도록 하는 슬라이딩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차폐 패널은 강화 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선루프(120)는 차폐 패널이 개구 영역 내에서 이동되도록 하되, 상하로 이동되도록 하는 개폐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고, 틸트 방향으로 회전 이동하도록 하는 개폐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선루프(120)는 바깥의 빛이나 공기가 차 안으로 들어오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선루프(120)는 내부 채광이나 탁한 공기의 환기에 용이하도록 한다.
선루프(120)는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여 개방되거나, 폐쇄되거나,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는 개방도로 개방될 수 있다.
차량(1)은 강수 여부 및 강수량을 검출하는 제2센서(124)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은 와이퍼(119) 또는 프런트 윈드 쉴드 글래스에 마련되고, 강수 여부 및 강수량(빗물의 양)에 대응하는 검출 정보(즉 강수 여부 정보와 검출된 강수량 정보)를 각각 출력하는 제2센서(1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량(1)의 외장에는 주변의 환경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121)가 마련될 수 있다. 차량(1)의 외장에는 장애물과의 거리를 검출하는 거리센서(122)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차량 주변의 도로 영상을 실시간으로 획득한다.
카메라(121)는 차량의 전후좌우 방향의 영상, 즉 서로 다른 방향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카메라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카메라는 시야각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카메라(121)는 CCD 또는 CMOS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KINECT(RGB-D 센서), TOF(Structured Light Sensor), 스테레오 카메라(Stereo Camera) 등과 같은 3차원 공간 인식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카메라(121)는 블랙박스에 마련된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고, 자율 주행을 위한 자율 주행 제어 장치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장애물 검출을 위한 카메라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주변 모니터링 장치(SVM: Surround View Monitor, 또는 AVM)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도 있다.
카메라(121)는 번호판, 그릴, 엠블럼, 프런트 패널 또는 루프 패널의 마련되되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카메라(121)는 차량의 전면의 프런트 윈드쉴드 글래스에 마련되되 차량 내부의 창문에 마련되어 차량의 외부를 향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고, 차량 내부의 룸미러에 마련되되 차량의 외부를 향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카메라(121)는 차량 주변의 물체에 대한 형상 정보를 전기적인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것으로, 자 차량의 현재 위치에서 자 차량 외부의 환경, 특히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 및 그 주변의 자 차량의 전방의 물체의 형상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를 프로세서에 전송한다.
거리 센서(122)는 차량의 프론트 패널(111) 및 리어 패널(114) 중 적어도 하나의 패널에 마련될 수 있다. 거리 센서(122)는 복수 개일 수 있다.
거리 센서(122)는 라이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라이다(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센서는 레이저 레이다(Laser Radar) 원리를 이용한 비접촉식 거리 검출 센서이다.
거리 센서(122)는 초음파 센서 또는 레이더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거리 센서(122)는 자 차량의 외부에 위치하는 장애물, 예를 들면 자 차량의 전방에서 주행하는 전방 차량과, 도로 주변에 설치된 구조물 등과 같은 정지물체와, 반대 차선에서 다가오는 타 차량 및 보행자 등과의 거리를 검출하고, 자 차량(1)의 전방, 후방, 좌우의 측방에 위치한 장애물의 검출 정보를 출력한다.
거리 센서(122)에서 출력된 검출 정보에 의해, 차량은 전방 방향의 장애물의 존재 여부 및 장애물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는 거리와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의 내장은 탑승자가 앉는 시트(131)와, 대시 보드(132)와, 대시 보드 상에 배치되고 타코미터, 속도계, 냉각수 온도계, 연료계, 방향전환 지시등, 상향등 표시등, 경고등, 안전벨트 경고등, 주행 거리계, 주행 기록계, 변속 레버 표시등, 도어 열림 경고등, 엔진 오일 경고등, 연료부족 경고등이 배치된 계기판(즉 클러스터, 133)과, 공기조화기의 송풍구와 조절판이 배치된 센터 페시아와, 센터 페시아에 마련되고 오디오 기기와 공기 조화기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 헤드 유닛(134)을 포함한다.
이러한 헤드 유닛에는 각종 기능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135)와, 차량에서 수행 중인 기능에 대한 정보 및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136)가 마련될 수 있다.
입력부(135)는 버튼, 키, 스위치 및 조작 레버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고, 사용자 인터페이스(140)에 표시된 커서의 이동 명령 및 선택 명령 등을 입력하기 위한 조그 다이얼(미도시) 또는 터치 패드(미도시)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입력부(135)는 세차 모드의 온 명령 및 오프 명령을 수신하는 세차 버튼(135a)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1)은 센터페시아에 마련되고 조작 위치를 입력받는 변속 레버(137)와, 변속 레버(137)의 주변 또는 헤드 유닛(134)에 위치하고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미도시)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 주차 버튼(EPB 버튼)을 더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는 오디오 모드, 비디오 모드, 내비게이션 모드, DMB 모드 및 라디오 모드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는 사용자 설정 모드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대한 설정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는 사용자 설정 모드의 온 명령이 수신되면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는 항목들을 표시할 수 있다.이를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4a 및 도 4b는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세차 설정 모드의 화면 예시도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는 사용자 설정 모드의 항목 중 세차 설정 모드의 항목이 선택되면 세차 준비에 대해 세차 준비 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리스트들을 표시한다.
세차 준비 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리스트들에는, 사이드 미러의 폴딩, 제2 센서의 비활성화, 와이퍼의 오프, 리어 와이퍼의 오프, 선루프의 자동 폐쇄, 윈도우 글라스의 자동 폐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세차 준비 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리스트들에는, 제1센서의 비활성화, 핸들의 인입, 도어의 자동 잠금, 테일 게이트의 잠금 및 외기 순환 모드의 자동 전환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된 리스트들과 미선택된 리스트들을 선택 마크(v)와 미선택 마크(x)로 구분지어 표시할 수 있다.
차량의 차대는 차체를 지지하는 틀로, 전후좌우에 각 배치된 차륜과, 차량의 주행에 필요한 구동력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구동력을 조절하며 조절된 구동력을 전후좌우의 차륜에 인가하기 위한 동력 장치, 조향 장치, 전후좌우의 차륜에 제동력을 인가하기 위한 제동 장치 및 현가 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차량(1)은 주행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조향 장치의 스티어링 휠과, 사용자의 제동 의지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는 브레이크 페달과, 사용자의 가속 의지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는 엑셀러레이터 페달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1)은 탑승자의 안전 및 편의를 위한 여러 가지 안전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의 안전 장치로는 자 차량 주변의 장애물과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장애물의 존재 및 장애물의 위치에 대한 장애물 정보를 알리는 충돌 경고 장치와, 차량 충돌 시 운전자 등 탑승자의 안전을 목적으로 하는 에어백 제어 장치와, 차량의 가속 또는 코너링 시 차량의 자세를 제어하는 차량자세 안정 제어 장치(ESC: Electronic Stability Control), 급제동 시 차륜이 잠기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ABS(Anti-lock Brake System) 등 여러 종류의 안전장치들이 있다.
도 5는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구성도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세차 상태의 예시도이고, 도 7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세차 모드의 수행 전의 예시도이며, 도 8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세차 모드의 온, 오프 시의 전자 기기의 동작 상태 정보의 예시도이다.
차량(1)은 카메라(121), 제1센서(123), 제2센서(124), 속도 검출부(125), 레버 신호 수신부(126), 위치 수신부(127), 사용자 인터페이스(140), 공기 조화기(150), 복수 개의 구동부(161-165), 프로세서(171), 메모리(172) 및 통신부(173)를 포함한다.
카메라(121)는 차량 주변의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한 영상에 대한 영상 정보를 프로세서(171)에 전송한다.
제1센서(123)는 사용자 인증을 위한 사용자 정보를 검출한다. 여기서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제1센서(123)는 차량의 외장에 마련되되 외부로 노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2센서(124)는 강수 여부 및 강수량을 검출한다.
속도 검출부(125)는 차량의 주행 속도를 검출하고 검출한 주행 속도에 대응하는 주행 속도 정보를 출력한다.
속도 검출부(125)는 전후좌우 차륜에 각각 마련되어 각 차륜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는 휠 속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차량의 가속도를 검출하는 가속도 검출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레버 신호 수신부(126)는 변속 레버(137)의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레버 신호 수신부(126)는 변속 레버(137)의 조작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조작 신호에 대응하는 변속 레버의 조작 신호를 프로세서(171)에 전송한다.
변속 레버의 조작 신호는, 파킹 단(P단), 중립 단(N단), 드라이브 단(D단), 후진 단(R단)에 대응하는 신호를 포함한다.
위치 수신부(127)는 차량의 현재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위치 수신부(127)는 복수 개의 위성과 통신을 수행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일 수 있다. 여기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는 복수의 GPS 위성의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모듈을 포함하고, 복수의 GPS위성의 위치 신호에 대응하는 거리 및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의 위치를 획득하는 소프트웨어와, 획득된 차량의 위치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는 오디오 모드, 비디오 모드, 내비게이션 모드, DMB 모드 및 라디오 모드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는 내비게이션 기능 수행 시 내비게이션 정보를 프로세서(171)에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는 표시부(142)를 포함할 수 있고, 입력부(1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41)와 표시부(142)가 모두 마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는 터치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이 일체화된 터치 스크린으로 마련될 수 있다.
헤드유닛, 센터페시아 또는 스티어링 휠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된 입력부를 제1입력부로 기재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입력부를 제2입력부로 기재하도록 한다.
헤드유닛, 센터페시아 또는 스티어링 휠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된 표시부를 제1표시부로 기재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부를 제2표시부로 기재하도록 한다.
제2입력부(141)는 차량에서 수행 가능한 각종 기능의 동작 명령을 수신한다.
제2입력부(141)는 세차 모드의 온 명령, 오프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제2입력부(141)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대한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2표시부(142)는 자율 주행 모드나 내비게이션 모드의 수행 시 목적지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경로 정보가 매칭된 지도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경로 정보 및 지도 정보에 기초하여 내비게이션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내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제2표시부(142)는 자율 주행 모드 시 자율 주행 제어 정보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고 자율 주행 모드 시 차량 주변의 영상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표시부(142)는 사용자 설정 모드의 온 명령에 대응하여 사용자 설정 창을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 설정 창 내에 사용자가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항목들을 표시할 수 있다.
제2표시부(142)는 세차 모드의 온 정보 및 오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제2표시부(142)는 세차 모드의 수행 전에, 세차 준비 모드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에 대한 동작 상태의 변경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제2표시부(142)는 세차 모드의 수행 중에, 세차 준비 모드에 대응하여 동작 중인 전자 기기에 대한 동작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제2표시부(142)는 세차 모드의 완료 후에, 주행 준비 모드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에 대한 동작 상태의 복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제2표시부(142)는 차량이 세차장에 도달하였을 때, 프로세서(171)의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세차 안내 정보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공기 조화기(150)는 차량 내부의 공기의 온도가 사용자가 설정한 목표 온도에 도달하도록 프로세서(171)의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차량 내부의 공기의 열교환을 수행한다.
공기 조화기(150)는 수신된 공기 순환 설정 모드에 기초하여 공기 순환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공기 순환 설정 모드는 차량의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도입되도록 하는 외기 순환 모드와, 차량의 외부의 공기가 도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차량 내부의 공기만을 순환시키는 내기 순환 모드를 포함한다.
제1입력부(135)에는 내기 순환 모드와 외기 순환 모드가 자동으로 변경되도록 하는 자동 순환 버튼이 마련될 수 있다.
제1구동부(161)는 프로세서(171)의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윈도우 글라스(117)를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킬 수 있고, 프로세서(171)의 제어 명령에 윈도우 글라스(117)의 개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2구동부(162)는 프로세서(171)의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사이드 미러(118)를 폴딩시키거나 언폴딩시킬 수 있고, 프로세서(171)의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요, 롤, 피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3구동부(163)는 프로세서(17!)의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테일 게이트(115)의 잠금, 잠금 해제, 개방 및 폐쇄를 제어할 수 있고, 프로세서(171)의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테일 게이트(115)의 개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4구동부(164)는 프로세서(171)의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선루프(120)를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킬 수 있고, 프로세서(171)의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선루프(120)의 개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5구동부(165)는 프로세서(171)의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핸들(116b)의 인입시키거나 인출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71)는 자동 순환 버튼으로부터 온 명령이 수신되면 자동 순환 모드의 수행을 제어하여 공기 순환 모드가 자동으로 변경되도록 하고, 자동 순환 버튼으로부터 오프 명령이 수신되면 자동 순환 모드가 오프되도록 제어한다.
프로세서(171)는 자동 순환 모드가 오프 상태일 때, 내기 순환 모드에 대응하여 내기 순환을 수행하도록 공기 조화기(150)를 제어하고, 외기 순환 모드에 대응하여 외기 순환을 수행하도록 공기 조화기(15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71)는 제1센서(123)를 통해 사용자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사용자 인증에 성공하면 도어(116)의 잠금 해제를 제어할 수 있고 또한 테일 게이트(115)의 잠금 해제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71)는 사용자 인증에 성공하면 도어(116)의 핸들(116b)의 인출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71)는 제2센서(124)를 통해 검출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강수량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강수량 정보에 기초하여 와이퍼(119)의 동작을 온 제어할 수 있고, 와이퍼(119)의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71)는 레버 신호 수신부(126)를 통해 수신된 변속 레버(137)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주행, 주차, 중립 및 후진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71)는 제1입력부(135)를 통해 수신된 윈도우 글라스(117)의 개방 명령에 기초하여 윈도우 글라스(117)의 개방을 제어할 수 있고, 제1입력부(135)를 통해 수신된 윈도우 글라스(117)의 폐쇄 명령에 기초하여 윈도우 글라스(117)의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71)는 제1입력부(135)를 통해 수신된 사이드 미러(118)의 폴딩 명령에 기초하여 사이드 미러(118)의 폴딩을 제어할 수 있고, 제1입력부(135)를 통해 수신된 사이드 미러(118)의 언폴딩 명령에 기초하여 사이드 미러(118)의 언폴딩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71)는 제1입력부(135)를 통해 수신된 테일 게이트(115)의 개방 명령에 기초하여 테일 게이트(115)의 개방을 제어할 수 있고, 제1입력부(135)를 통해 수신된 테일 게이트(115)의 폐쇄 명령에 기초하여 테일 게이트(115)의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테일 게이트(115)는 파워 테일게이트일 수 있다.
프로세서(171)는 제1입력부(135)를 통해 수신된 선루프(120)의 개방 명령에 기초하여 선루프(120)의 개방을 제어할 수 있고, 제1입력부(135)를 통해 수신된 선루프(120)의 폐쇄 명령에 기초하여 선루프(120)의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71)는 제1입력부(135) 또는 제2입력부(141)를 통해 수신된 세차 모드의 온 명령에 대응하여 세차 준비 모드를 수행한다.
프로세서(171)는 세차 준비 모드의 수행 시에 메모리(172)에 저장된 세차 준비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에 대한 동작 상태의 변경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동작 상태의 변경 제어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에 전송한다.
프로세서(171)는 제1입력부(135) 또는 제2입력부(141)를 통해 수신된 세차 모드의 오프 명령에 대응하여 주행 준비 모드를 수행한다.
프로세서(171)는 주행 준비 모드의 수행 시에 메모리(172)에 저장된 주행 준비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의 동작 상태의 복귀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동작 상태의 복귀 제어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에 전송한다.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의 동작 상태의 변경 제어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의 동작 상태의 복귀 제어 신호와 상반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신호일 수 있다.
프로세서(171)는 세차 모드의 수행 중 카메라(121)의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세차 완료 여부를 판단하고 세차가 완료된 상태라고 판단되면 세차 모드의 수행 전에 동작 상태가 변경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에 대한 복귀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복귀 제어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
세차 모드의 수행 전에 동작 상태가 변경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는, 세차 모드의 수행 전에 사용자에 의해 동작 상태가 수동으로 조작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세차 모드의 수행 전에 동작 상태가 변경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는, 세차 설정 모드에 의해 세차 준비 모드를 수행할 대상으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71)는 세차 모드의 수행 중 카메라(121)의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인식하고, 인식한 오브젝트가 신호등인지를 판단하고 인식한 오브젝트가 신호등이라고 판단되면 오브젝트의 색상을 인식하고 인식한 색상이 미리 설정된 색상이라고 판단되면 세차가 완료된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색상은, 주행을 지시하는 색상으로, 녹색일 수 있다.
프로세서(171)는 세차 모드의 수행 중 카메라(121)의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인식하고, 인식한 오브젝트가 텍스트인지를 판단하고 인식한 오브젝트가 텍스트라고 판단되면 인식한 오브젝트의 텍스트가 미리 설정된 텍스트인지를 판단하고, 인식한 오브젝트의 텍스트가 미리 설정된 텍스트라고 판단되면 세차가 완료된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텍스트는, 주행을 지시하는 텍스트 또는 세차 완료를 의미하는 텍스트일 수 있다.
프로세서(171)는 세차 모드의 수행 중 카메라(121)의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인식하고, 인식한 오브젝트가 세차장 출구에 대응하는 오브젝트인지를 판단하고 인식한 오브젝트가 세차장 출구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라고 판단되면 세차가 완료된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세차장 출구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는, 학습을 통해 획득된 오브젝트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71)는 마이크로폰을 통해 수신된 사운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운드를 인식하고 인식한 사운드가 미리 설정된 사운드라고 판단되면 세차가 완료된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사운드는, 세차 완료를 지시하는 사운드 또는 주행을 지시하는 사운드일 수 있다.
프로세서(171)는 마이크로폰을 통해 수신된 사운드 정보에 기초하여 음성을 인식하고 인식한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고 변환한 텍스트가 세차 완료에 대응하는 텍스트라고 판단되면 세차가 완료된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마이크로 폰은, 차량의 외장에 마련될 수도 있고, 차량의 내장에 마련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71)는 레버 신호 수신부(126)에 수신된 변속 레버(137)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변속 레버의 위치가 드라이브 단 또는 후진 단인지를 판단하고, 변속 레버의 위치가 드라이브 단(D ) 또는 후진 단(R )이라고 판단되면 속도 검출부(125)에 검출된 주행 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주행 속도가 기준 속도 이상인지를 판단하고 주행 속도가 기준 속도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세차가 완료된 상태라고 판단한다.
프로세서(171)는 세차 모드의 수행 중 거리 센서(122)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세차 완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1)는 프런트 패널에 마련된 거리 센서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과 인접한 전방 장애물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리어 패널에 마련된 거리 센서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과 인접한 후방 장애물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설정 거리 내에 전방 장애물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설정 거리 내에 후방 장애물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세차가 완료된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171)는 세차 모드의 수행 중 주차용 운전자 보조 장치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주변 장애물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주변 장애물의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세차 완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주변 장애물은, 세차장의 청소 도구일 수 있다. 주차용 운전자 보조 장치는 후방 카메라 및 리어 패널에 마련된 거리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71)는 카메라(171)의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인식하고 인식한 오브젝트가 세차장 입구에 대응하는 오브젝트인지를 판단하고, 인식한 오브젝트가 세차장 입구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라고 판단되면 현재 위치가 세차장의 입구라고 판단하여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의 동작 상태의 변경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동작 상태의 변경 제어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71)는 카메라(121)의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인식하고 인식한 오브젝트가 세차장 입구에 대응하는 오브젝트인지를 판단하고, 인식한 오브젝트가 세차장 입구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라고 판단되면 현재 위치가 세차장의 입구라고 판단하고, 거리 센서(122)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세차장 입구까지의 거리가 기준 거리인지를 판단하고, 세차장 입구까지의 거리가 기준 거리라고 판단되면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의 동작 상태의 변경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동작 상태의 변경 제어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71)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의 동작 상태의 변경 제어 신호를 생성할 때, 미리 저장된 세차 준비 모드에 대응하는 세차 준비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의 동작 상태의 변경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71)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의 동작 상태의 변경 제어 신호를 생성할 때, 미리 저장된 세차 준비 모드에 대응하는 세차 준비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의 동작 상태의 유지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71)는 위치 수신부(127)에 수신된 현재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위치가 세차장인지를 판단하고 현재 위치가 세차장이라고 판단되면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에 동작 상태의 변경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의 동작 상태의 변경 제어 신호는, 세차 모드의 온 시에 출력되는 신호로, 사이드 미러의 폴딩 제어 신호, 윈도우 글라스(또는 도어 글라스라고도 함)의 폐쇄 제어 신호, 선루프의 폐쇄 제어 신호, 핸들의 인입 제어 신호, 제1센서(핸들 터치 센서)의 비활성화 제어 신호, 제2센서(레인센서)의 비활성화 제어 신호, 공기 조화기의 내기 순환 제어 신호, 테일 게이트의 잠금 제어 신호, 핸들의 잠금 신호, 도어(또는 슬라이딩 도어)의 잠금 제어 신호 및 충전 도어의 잠금 제어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잠금 기능이 마련된 차량인 경우, 프로세서(171)는 세차 모드의 온 시에 개폐와 관련된 장치의 외부 잠금 유지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개폐와 관련된 장치는, 핸들, 테일 게이트, 파워 트렁크(또는 파워 테일 게이트라고도 함), 슬라이딩 도어, 도어, 및 충전 도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71)는 목적지 정보에 기초하여 목적지가 세차장인지를 판단하고 목적지가 세차장이라고 판단되면 위치 수신부(127)에 수신된 현재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위치가 세차장인지를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프로세서(171)는 통신부(173)를 통해 세차장의 서버(미도시)와 통신을 수행하고, 서버와 통신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현재 위치를 세차장으로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171)는 현재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위치가 세차장인지를 판단하고, 현재 위치가 세차장이라고 판단되면 세차 모드의 온 명령을 생성할 수 있고, 세차 모드의 온 명령에 대응하여 세차 준비 모드의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71)는 카메라(121)의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위치가 세차장인지를 판단하고, 현재 위치가 세차장이라고 판단되면 세차 모드의 온 명령을 생성할 수 있고, 세차 모드의 온 명령에 대응하여 세차 준비 모드의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
세차 준비 모드는, 세차 설정 모드를 통해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의 동작 상태의 변경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의 동작 상태를 변경하는 것을 포함한다.
세차 준비 모드를 수행하는 것은, 세차 설정 모드의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에 동작 상태의 변경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프로세서(171)는 통신부(173)를 통해 세차장의 서버로부터 세차 완료 정보가 수신되면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에 동작 상태의 복귀 제어 신호 또는 유지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의 동작 상태의 복귀 제어 신호는, 세차 모드의 오프 시에 출력되는 신호로, 사이드 미러의 세차 전 상태로의 제어 신호, 레인 센서의 활성화 제어 신호, 핸들 터치 센서의 활성화 제어 신호 및 공기 조화기의 세차 전 모드의 제어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세차 전에 사이드 미러가 폴딩 상태였다면, 세차 후에 사이드 미러를 언폴딩 상태로 변경할 수 있고, 세차 전에 사이드 미러가 언폴딩 상태였다면 세차 후에 사이드 미러를 언폴딩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는 세차 전에 공기 순환 모드가 외기 모드였다면 세차 후에 공기 순환 모드를 외기 모드로 변경할 수 있고, 세차 전에 공기 순환 모드가 내기 모드였다면, 세차 후에 공기 순환 모드를 내기 모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의 동작 상태의 유지 제어 신호는, 도어 글라스의 폐쇄 유지 제어 신호, 선루프의 폐쇄 유지 제어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에 외부 잠금 기능이 마련된 경우, 프로세서는 세차 모드가 오프되면, 개폐와 관련된 장치의 외부 잠금 해제를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개폐와 관련된 장치는, 핸들, 테일 게이트, 파워 트렁크(또는 파워 테일 게이트), 슬라이딩 도어 및 충전 도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71)는 카메라(121)의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세차가 완료된 상태라고 판단되면 주행 준비 모드의 수행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프로세서(171)는 세차장의 서버와의 통신에 기초하여 세차 완료를 판단하고 세차 완료라고 판단되면 주행 준비 모드의 수행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프로세서(171)는 마이크로폰의 사운드 정보에 기초하여 세차 완료를 판단하고 세차 완료라고 판단되면 주행 준비 모드의 수행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주행 준비 모드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에 동작 상태의 복귀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세차가 완료된 후에 주행 준비 모드를 자동으로 수행함으로써 주행 시에 안전 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이드 미러만 언폴딩(Unfolding)하고 제2센서를 활성화시키지 않았을 때, 우천 시에 와이퍼가 동작하지 않아 시야가 확보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프로세서(171)는 차량 내 구성부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 또는 알고리즘을 재현한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미도시), 및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각각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메모리(172)는 사용자 설정 모드에서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에 대한 설정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72)는 세차 전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 전자 기기의 동작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정보는, 세차 후 자동으로 삭제 가능하다.
메모리(172)는 세차 준비 정보 및 주행 준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세차 준비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의 동작 상태의 변경 제어 정보를 포함하고, 주행 준비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의 동작 상태의 복귀 제어 정보를 포함한다.
메모리(172)는 캐쉬,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및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통신부(173)는 차량 내부의 구성부 들간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 모듈, 유선 통신 모듈 및 무선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모듈, WLAN(Wireless Local Access Network) 통신 모듈,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 직비(Zigbee) 통신 모듈 등 근거리에서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다양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은 지역 통신(Local Area Network; LAN) 모듈, 광역 통신(Wide Area Network; WAN) 모듈 또는 부가가치 통신(Value Added Network; VAN) 모듈 등 다양한 유선 통신 모듈뿐만 아니라,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DVI(Digital Visual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전력선 통신,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다양한 케이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은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와이파이(Wifi) 모듈,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모듈 외에도,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초 광대역 통신(UWB: Ultra Wide Band) 모듈 등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71), 메모리(172) 및 통신부(173)는 편의용 제어 장치(170)의 구성부일 수 있다. 편의와 안전용 제어 장치(170)는 통신부(173)를 통해 차량의 각종 구성부들과 통신을 수행하며 세차 전, 후에 외장, 내장 및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편의용 제어 장치(170)의 구성 요소들의 성능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또한, 구성 요소들의 상호 위치는 시스템의 성능 또는 구조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아울러, 프로세서(171)는 차량(1)에 마련된 프로세서일 수도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각각의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FPGA) 및 주문형 반도체(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한다.
도 5에 도시된 차량의 구성 요소들의 성능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또한, 구성 요소들의 상호 위치는 시스템의 성능 또는 구조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9는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차량은 제1입력부(135) 또는 제2입력부(141)를 통해 세차 모드의 온 명령이 수신되었는지를 판단(301)한다.
차량은 세차 모드의 온 명령이 수신되었다고 판단되면 세차 준비 모드를 수행한다.
차량은 세차 준비 모드의 수행 시에 메모리(172)에 저장된 세차 준비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의 동작 상태를 변경(302)한다.
여기서 세차 준비 정보는, 세차 설정 모드를 통해 세차 준비 정보를 설정함에 의해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의 동작 상태의 변경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세차 설정 모드를 통해 세차 준비 정보를 설정할 때, 사이드 미러의 폴딩 제어, 제1센서의 비활성화 제어, 내기 순환 제어 및 선루프 폐쇄 제어로 설정한 상태라면, 차량은 세차 모드의 온 명령의 수신에 대응하여 사이드 미러를 언폴딩 상태에서 폴딩 상태로 변경 제어하고, 제1센서를 활성화 상태에서 비활성화 상태로 변경 제어한다.
그리고 차량은 외기 순환 모드를 수행 중이라고 판단되면 내기 순환으로 변경 제어하고, 선루프가 개방된 상태라고 판단되면 선루프를 폐쇄 상태로 변경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차량은 내기 순환 모드를 수행 중이라고 판단되면 내기 순환 모드를 유지 제어하고, 선루프가 폐쇄된 상태라고 판단되면 선루프를 폐쇄 상태를 유지 제어할 수 있다.
차량은 세차 모드의 수행 중 카메라(121)를 통해 영상 정보를 획득(303)하고 획득한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세차 완료 여부를 판단(304)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은 세차 모드의 수행 중 카메라(121)의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인식하고, 인식한 오브젝트가 신호등인지를 판단하고 인식한 오브젝트가 신호등이라고 판단되면 오브젝트의 색상을 인식하고 인식한 색상이 미리 설정된 색상이라고 판단되면 세차가 완료된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색상은, 주행을 지시하는 색상으로, 녹색일 수 있다.
아울러 차량은 제1입력부(135) 또는 제2입력부(141)를 통해 수신된 세차 모드의 오프 명령에 대응하여 세차 완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차량은 세차가 완료된 상태라고 판단되면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의 동작 상태를 복귀 제어(305)한다.
차량은 세차 모드의 수행 전에 동작 상태가 변경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의 동작 상태를 복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은 세차 모드의 온 명령의 수신에 대응하여 사이드 미러를 폴딩 상태에서 언폴딩 상태로 변경 제어하고, 제1센서를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차량은 내기 순환 모드를 외기 순환 모드로 변경 제어하고, 선루프를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
아울러 차량은 세차 전 내기 순환 모드를 수행 중이었다고 판단되면 내기 순환 모드를 유지 제어하고, 선루프가 폐쇄된 상태였다고 판단되면 선루프를 폐쇄 상태를 유지 제어할 수 있다.
즉 세차 모드의 수행 전에 동작 상태가 변경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는, 세차 완료 후에 동작 상태가 복귀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와 동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세차 전에 동작 상태가 변경된 전자 기기의 동작 상태를, 세차 후에 자동으로 복귀시킴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1: 차량 115: 테일 게이트
116: 도어 117: 윈도우 글라스
118: 사이드 미러 119: 와이퍼
120: 선루프121: 카메라

Claims (19)

  1. 주변 환경을 인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세차 모드 중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의해 인지된 주변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세차 완료 여부를 판단하고 세차 완료라고 판단되면 상기 세차 모드의 수행 전에 동작 상태가 변경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에 대한 복귀 제어 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편의용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미지 센서의 영상 정보를 통해 신호등의 색상 정보 또는 텍스트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신호등의 색상 정보 또는 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세차 완료 여부를 판단하는 편의용 제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서버로부터 세차 완료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세차 완료로 판단하는 편의용 제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세차 모드의 온 명령에 대응하여 미리 저장된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의 동작 상태의 변경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동작 상태의 변경 제어 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편의용 제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세차 모드의 오프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에 상기 복귀 제어 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편의용 제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에 수신된 현재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세차 모드의 온 명령을 생성하는 편의용 제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는,
    와이퍼, 사이드 미러, 윈도우 글라스, 선루프, 핸들, 제1센서, 제2센서, 공기 조화기, 테일 게이트, 도어 및 충전 도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편의용 제어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미지 센서의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세차 모드의 온 명령을 생성하고, 미리 저장된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의 동작 상태의 변경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동작 상태의 변경 제어 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편의용 제어 장치.
  9. 주변 환경을 인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 및
    세차 모드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의해 인지된 주변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세차 완료 여부를 판단하고 세차 완료라고 판단되면 상기 세차 모드의 수행 전에 동작 상태가 변경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에 상기 동작 상태의 복귀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차량.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마이크로폰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수신된 사운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세차 완료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
  11. 제 9 항에 있어서,
    속도 검출부; 및
    변속 레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변속 레버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변속 레버의 위치가 드라이브 단 또는 후진 단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변속 레버의 위치가 드라이브 단 또는 후진 단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속도 검출부에 검출된 주행 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주행속도가 기준 속도 이상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주행 속도가 기준 속도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세차 완료라고 판단하는 차량.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거리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거리 센서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세차 완료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미지 센서의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위치가 세차장의 입구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현재 위치가 세차장의 입구라고 판단되면 상기 거리 센서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세차장의 입구까지의 거리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에 동작 상태의 변경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차량.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미지 센서의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한 오브젝트의 정보에 기초하여 신호등의 색상 정보, 세차장의 출구 정보 또는 텍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세차 완료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의 동작 상태의 변경 제어 신호는,
    사이드 미러의 폴딩 제어 신호, 윈도우 글라스의 폐쇄 제어 신호, 선루프의 폐쇄 제어 신호, 핸들의 인입 제어 신호, 제1센서의 비활성화 제어 신호, 제2센서의 비활성화 제어 신호, 공기 조화기의 내기 순환 제어 신호, 테일 게이트의 잠금 제어 신호, 도어의 잠금 제어 신호 및 충전 도어의 잠금 제어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16. 제 9 항에 있어서,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수신된 세차 모드의 온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에 동작 상태의 변경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차량.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수신된 세차 모드의 오프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에 상기 복귀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차량.
  18. 제 9 항에 있어서,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세차장의 서버로부터 세차 완료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세차 완료로 판단하는 차량.
  19.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의 동작 상태의 복귀 제어 신호는,
    사이드 미러의 언폴딩 제어 신호, 윈도우 글라스의 개방 제어 신호, 선루프의 개방 제어 신호, 핸들의 인출 제어 신호, 제1센서의 활성화 제어 신호, 제2센서의 활성화 제어 신호, 공기 조화기의 외기 순환 제어 신호, 테일 게이트의 잠금 해제 제어 신호, 도어의 잠금 해제 제어 신호 및 충전 도어의 잠금 해제 제어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KR1020220009091A 2022-01-21 2022-01-21 편의용 제어 장치 및 그를 가지는 차량 KR2023011290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9091A KR20230112907A (ko) 2022-01-21 2022-01-21 편의용 제어 장치 및 그를 가지는 차량
US18/080,278 US20230234551A1 (en) 2022-01-21 2022-12-13 Device for controlling vehicle convenience equipment, and vehicl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9091A KR20230112907A (ko) 2022-01-21 2022-01-21 편의용 제어 장치 및 그를 가지는 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2907A true KR20230112907A (ko) 2023-07-28

Family

ID=87313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9091A KR20230112907A (ko) 2022-01-21 2022-01-21 편의용 제어 장치 및 그를 가지는 차량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30234551A1 (ko)
KR (1) KR20230112907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234551A1 (en) 2023-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183063B (zh) 用于车辆的侧镜
CN108216032B (zh) 车辆用环视监控装置、车辆运行控制装置以及车辆
CN108230749B (zh) 车辆及其控制方法
EP3300979B1 (en) Vehicle control device mounted o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US11086335B2 (en) Driving assistance system and vehicle comprising the same
CN105807904B (zh) 用于车辆的人机接口设备及其控制方法
KR102565928B1 (ko) 자율 주행 제어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CN104827989B (zh) 离开后的车辆关闭
KR20170108643A (ko) 차량용 도어 제어 장치 및 차량
KR102464607B1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US11628793B2 (en) Vehicle with a plurality of airbag modules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210334564A1 (en) Method for monitoring an occupant and a device therefor
CN107640109B (zh) 用于切断暗电流的装置、包括该装置的车辆及其控制方法
US20200164770A1 (en) Vehicle control apparatus disposed in vehicle and control method of vehicle
KR102486179B1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20200142139A (ko) 자율 주행 제어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US20170275940A1 (en) Door operating apparatus,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apparatus
US20200020235A1 (e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Forward Vehicular Vision
KR101768115B1 (ko) 컨트롤 패드,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005439A (ko) 운전자 보조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US20230234551A1 (en) Device for controlling vehicle convenience equipment, and vehicle having the same
US20230055919A1 (en)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and vehicle having the same
KR102430170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2489963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US20240174177A1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