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2657A - 호박 종자로부터 생산된 단백질 제조물 및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호박 종자로부터 생산된 단백질 제조물 및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2657A
KR20230112657A KR1020237019983A KR20237019983A KR20230112657A KR 20230112657 A KR20230112657 A KR 20230112657A KR 1020237019983 A KR1020237019983 A KR 1020237019983A KR 20237019983 A KR20237019983 A KR 20237019983A KR 20230112657 A KR20230112657 A KR 202301126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less
pumpkin seeds
particularly preferably
prote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9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피터 아이스너
안드레아스 스테블러
스테파니 미터마이어
도미닉 위머
클라우스 슈라이버
이사벨 무라니
Original Assignee
프라운호퍼 게젤샤프트 쭈르 푀르데룽 데어 안겐반텐 포르슝 에. 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라운호퍼 게젤샤프트 쭈르 푀르데룽 데어 안겐반텐 포르슝 에. 베. filed Critical 프라운호퍼 게젤샤프트 쭈르 푀르데룽 데어 안겐반텐 포르슝 에. 베.
Publication of KR20230112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265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JPROTEIN COMPOSITIONS FOR FOODSTUFFS; WORKING-UP PROTEINS FOR FOODSTUFFS; PHOSPHATIDE COMPOSITIONS FOR FOODSTUFFS
    • A23J1/00Obtaining protein compositions for foodstuffs; Bulk opening of eggs and separation of yolks from whites
    • A23J1/14Obtaining protein compositions for foodstuffs; Bulk opening of eggs and separation of yolks from whites from leguminous or other vegetable seeds; from press-cake or oil-bearing see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JPROTEIN COMPOSITIONS FOR FOODSTUFFS; WORKING-UP PROTEINS FOR FOODSTUFFS; PHOSPHATIDE COMPOSITIONS FOR FOODSTUFFS
    • A23J1/00Obtaining protein compositions for foodstuffs; Bulk opening of eggs and separation of yolks from whites
    • A23J1/14Obtaining protein compositions for foodstuffs; Bulk opening of eggs and separation of yolks from whites from leguminous or other vegetable seeds; from press-cake or oil-bearing seeds
    • A23J1/142Obtaining protein compositions for foodstuffs; Bulk opening of eggs and separation of yolks from whites from leguminous or other vegetable seeds; from press-cake or oil-bearing seeds by extracting with organic solv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JPROTEIN COMPOSITIONS FOR FOODSTUFFS; WORKING-UP PROTEINS FOR FOODSTUFFS; PHOSPHATIDE COMPOSITIONS FOR FOODSTUFFS
    • A23J1/00Obtaining protein compositions for foodstuffs; Bulk opening of eggs and separation of yolks from whites
    • A23J1/14Obtaining protein compositions for foodstuffs; Bulk opening of eggs and separation of yolks from whites from leguminous or other vegetable seeds; from press-cake or oil-bearing seeds
    • A23J1/142Obtaining protein compositions for foodstuffs; Bulk opening of eggs and separation of yolks from whites from leguminous or other vegetable seeds; from press-cake or oil-bearing seeds by extracting with organic solvents
    • A23J1/144Desolventiz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JPROTEIN COMPOSITIONS FOR FOODSTUFFS; WORKING-UP PROTEINS FOR FOODSTUFFS; PHOSPHATIDE COMPOSITIONS FOR FOODSTUFFS
    • A23J3/00Working-up of proteins for foodstuffs
    • A23J3/14Vegetable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42Amino acids; Derivatives thereof
    • A23K20/147Polymeric derivatives, e.g. peptides or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58Fatty acids; Fats; Products containing oils or fa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Physiology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Bakery Product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박 종자로부터 생산된 단백질 제조물 및 이의 비용-효과적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백질 제조물은 60 질량% 초과의 단백질 함량, 6 질량% 미만의 지방 함량 및 70 초과의 휘도 L*을 갖는다. 단백질 제조물은 중성의 맛을 갖고, 밝고 우수한 품질을 가지므로, 이는 음료 및 요거트 및 케이크와 같은 고급 베이커리 제품과 같은 높은 색상 요구를 갖는 식료품 적용 및 또는 또한 크림 및 충전물과 같은 에멀젼에 적합하다.

Description

호박 종자로부터 생산된 단백질 제조물 및 제조 방법
본 발명은 감각적으로 매력적인 호박 종자로부터 생산된 식료품, 애완동물 사료 및 동물 사료용 단백질 제조물, 및 이러한 부류의 호박 종자 단백질 구성성분을 수득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농경지 및 인 및 다른 자원이 점점 부족해짐에 따라, 식물-기반 단백질 제조물은 인간에게 공급하고 동물 사료에 사용하는 데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우수한 품질의 식료품에 대한 수요 증가는 간단하고 비용 효율적으로 제공될 수 있는 영양학적으로 및 기술기능적으로 최적화된 단백질 제조물에 대한 요구를 증가시킨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러한 콩과 식물 단백질의 메티오닌 결핍을 보상하기 위해 대두 및 완두콩 단백질과 블렌드 성분으로서 혼합될 수 있는 식물성 단백질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이는, 예를 들어, 호박 종자로부터 생산된 단백질로 달성될 수 있는데, 왜냐하면 호박 종자로부터 생산된 단백질이 높은 메티오닌 함량을 갖기 때문이다.
식료품, 동물 사료 및 애완동물 사료용 단백질의 비용 효율적인 공급원은 호박 종자로부터 식용유를 생산할 때 부산물로서 수득되는 압착 및 추출 잔류물이다. 껍질을 벗긴 후, 호박 종자는 얇고, 옅은 내지 짙은 녹색 외피를 갖는데, 이는 떡잎으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불가능하지는 않지만 어렵다. 이러한 미가공 물질에서, 오일을 회수하기 전에 외피를 분리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은데, 왜냐하면, 이러한 외피가 오일에서 녹색 색상을 생성시키도록 능동적으로 의도되기 때문이다. 이것이 종래 기술에 따라 호박 종자 오일을 얻기 위해 압착할 때, 로스팅 향미를 얻기 위해 오일을 제거하기 전에 종자를 열처리한 다음 압착하는 이유이다. 100℃ 초과의 고온에서, 이후 15 질량% 미만, 대체로 10 질량% 미만의 오일 함량을 갖는 압착 케이크(press cake)가 수득된다. 이들은 분말로 그라인딩되고, 식료품 및 동물 사료에 첨가될 수 있다. 고온에서의 가혹한 처리로 인해, 이러한 부류의 압착 케이크는 가장 흔히 짙은 갈색 빛이 도는 녹색(brownish-green)을 갖는다. 또한, 외피 함량은 압착 케이크의 녹색 색상을 초래하여, 식품 적용에서 이들의 수용(acceptance)을 감소시킨다. 이의 불포화 지방산 함량으로 인해, 오일-함유 압착 케이크의 잔류 지방은 또한 산화되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저장 동안 매우 빠르게 감각 특성(sensory characteristic)을 손상시킨다. 대두(단백질 함량 > 90%) 또는 완두콩(단백질 함량 > 80%)으로부터의 분리물과 비교하여, 이러한 부류의 호박 종자 제조물은 또한 60 질량% 미만의 단백질 농도를 가지므로, 많은 식료품 적용에서 사용하기 어렵거나 불가능하다.
압착 후 초임계 CO2를 이용하여 지방 함량이 2 질량% 미만의 값까지 감소되-어, 저장 안정성을 개선시키는, 호박 종자 제조물이 또한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매우 높은 비용을 수반한다. 추가적으로, 추출은 매우 고가의 반응기에서 수백 bar의 고압에서 이루어지며, 이이의 제작 및 작동은 높은 CO2 방출과 관련이 있다. 공정이 많은 에너지를 필요로 하고, 이완(relaxation) 후 많은 양의 CO2가 오일 제거된 가루(flour)로부터 방출되기 때문에, 초임계 CO2에 의해 추출된 단백질 가루는 동물성 단백질에 비해 명확한 생태학적 이점이 없고 또한 이의 제조를 위해 유사하게 높은 비용을 수반한다. 또한, 이러한 제조물의 색상은 여전히 짙은 녹색이며, 이는 또한 식료품 적용에서 이의 수용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중성 맛, 대체로 밝은 색상 및 우수한 품질을 갖는 식물성 단백질 제조물, 및 음료 및 요거트, 및 케이크와 같은 고급 베이커리 제품과 같은 향미 요구가 높은 식료품 적용에 사용하기에 또는 크림 및 충전물과 같은 에멀젼에 적합한, 비용-효율적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구성되었다. 제조물의 단백질 함량은 유리하게는 가능한 한 높아야 하며, 이에 따라, 소량으로도 이는 식료품에서 단백질 농축에 기여하거나, 심지어 더 적은 용량으로도 이는 콩과 식물 단백질과 혼합될 때 메티오닌 결핍을 보상하는 데 도움이 된다.
상기 목적은 제1항에 따른 단백질 제조물 및 제14항에 따른 이의 제조 방법에 의해 해결된다. 방법 및 단백질 제조물의 유리한 변형예는 종속항뿐만 아니라 하기 설명 및 예시적인 구현예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백질 제조물을 제조하기에 적합한 원료는 천연 종자에 함유된 건조 외피에 대해 100 질량% 이하, 유리하게는 75 질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미만의 건조 외피 함량을 갖는 세정되고 껍질이 벗겨진 호박 종자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물은 하기 특성을 특징으로 한다(결정 방법은 설명의 마지막에 열거됨):
● 제조물의 지방 함량은 각각의 경우에 제조물의 건조물(DM)에 대해, 6 질량% 미만, 유리하게는 4 질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3 질량% 미만, 특히 유리하게는 2 질량% 미만이다.
● 제조물의 단백질 함량은 (TS에 대해) 60 질량% 초과, 유리하게는 70 질량% 초과, 바람직하게는 75 질량% 초과, 특히 유리하게는 78 질량% 초과이다.
● 제조물은 밝은 색상을 가지며, 여기서 250 ㎛ 미만의 입자 크기 d90(d90: 명시된 값 미만의 모든 입자의 질량의 90%의 분율)까지 그라인딩 후 L* 값은 70 초과, 유리하게는 80 초과, 특히 유리하게는 90 초과이다. 10% 수성 현탁액에서 L* 값은 70 초과, 유리하게는 80 초과, 특히 유리하게는 85 초과이다(표 1 참조).
제조물의 바람직한(각 경우에 선택적인) 추가 특성:
● 제조물은 10 질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6 질량% 미만, 유리하게는 3 질량%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1 질량% 미만의 호박 종자 외피의 잔류 함량을 함유한다.
● 제조물은 소량의 수용성 탄수화물을 함유한다. 수크로스가 수용성 탄수화물의 가장 큰 부분을 구성하기 때문에, 하기에서 이들은 수크로스 함량으로 표시될 것이다. 수크로스 함량은 4 질량% 미만, 유리하게는 2 질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1.5 질량% 미만, 특히 유리하게는 1 질량% 미만이다.
● 제조물의 입자 크기는 유리하게는 500 ㎛ 미만, 바람직하게는 250 ㎛ 미만, 유리하게는 150 ㎛ 미만, 특히 유리하게는 100 ㎛ 미만의 d90 값을 갖는다.
● 제조물은 우수한 내지 매우 우수한 기술기능적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예를 들어, 특히 수분 결합 용량은 1 ㎖/g 초과, 유리하게는 2 ㎖/g 초과, 특히 유리하게는 3 ㎖/g 초과이며, 오일 결합 용량은 1 ㎖/g 초과, 유리하게는 2 ㎖/g, 특히 유리하게는 2.5 ㎖/g 초과이다. 제조물은 250 ㎖/g 초과, 유리하게는 350 ㎖/g 초과, 바람직하게는 400 ㎖/g 초과, 특히 유리하게는 500 ㎖/g 초과의 유화 용량을 갖는다. 놀랍게도, 이들의 낮은 용해도, 일부 경우에 15% 미만의 용해도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에 따른 제조물은 유제품 대체물을 위한 구성성분으로서 이상적으로 적합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 제조물은 0.001 질량% 초과, 바람직하게는 > 0.01 질량%, 유리하게는 > 0.1 질량%, 특히 유리하게는 > 0.5 질량%, 그러나 모든 경우에 1 질량% 미만의 알코올, 특히 에탄올의 분획을 함유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제조물의 기능적 특성은 0.5 질량%의 함량을 갖는 경우에도 매우 높은 수준인 것으로 밝혀졌다.
● 제조물은 0.0005 질량% 초과, 바람직하게는 > 0.001 질량% 내지 0.005 질량% 미만의 헥산 분획을 함유한다. 이러한 차수의 헥산 함량을 갖는 제조물은 더 낮은 헥산 함량을 갖는 제조물과 비교하여 더 양호한 기능적 특성을 나타낸다.
본 특허 출원에서 제조물의 특성과 관련하여, 질량%로 언급된 값은 각각의 경우에 용매 분율을 제외하고, 단백질 제조물의 건조물 또는 건조 물질을 지칭하며, 이는 절대 질량 분율로서 명시된다.
표 1: 그라인딩된 가루로서 및 10% 현탁액에서 예시적인 구현예의 호박 종자 단백질 제조물에 대한 색 값
놀랍게도, 언급된 용매 함량을 갖는 용매-함유 제조물은 고체 겔 구조의 형성과 함께 압출기에서 텍스처링되는 능력과 같은 기술기능성 측면에서 여전히 매우 우수한 특성을 여전히 나타내지만, 단백질 함량은 에탄올과 같은 용매의 존재 하에 기능성의 상당한 손실을 나타내는, 단백질 분리물(예를 들어, 완두콩 단백질 분리물)에 대한 것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다.
유리한 변형예에서, 제조물은 다양한 식품 적용에서 큰 이점을 가질 수 있는, 추가 특성을 갖는다. 예를 들어, 종자에 원래 함유된 수크로스의 양은 적합한 방법의 도움으로 단백질 함량에 비해 감소될 수 있어서, 수크로스에 대한 단백질의 비율은 외피를 갖는 껍질이 벗겨진 호박 종자에서보다 단백질 제조물에서 유의하게 더 크다. 이는 메일라드 생성물이 단백질과 함께 생산되는 식품의 색상을 변화시켜 식품에 더 어두운 외관 및 메일라드 향미를 부여하기 때문에, 식품을 제조할 때 바람직하지 않은 메일라드 반응(Maillard reaction)의 개시를 피한다는 점에서 이점을 가져올 수 있다. 이는 특히 우유 또는 요커트 대체물과 같은 식료품 또는 고급의 구워진 및 달콤한 제품 또는 델리카트슨 제품(delicatessen product)에 대해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탄수화물-감소된 호박 종자 단백질 제조물은 소량의 메일라드 제품만을 함유해야 하는 높은 감각 표준을 갖는 식료품의 제조에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하다.
수용성 탄수화수분 함량에 비해 50% 미만의 값까지의 단백질 제조물 중 수크로스 함량의 감소는, 예를 들어, 압출 동안, 또는 단백질이 130℃ 초과의 온도에서 베이킹될 때 이미 메일라드 반응을 상당히 감소시키고, 최종 생성물은 제조물이 종자에 원래 함유된 수크로스의 양으로 가공되는 경우보다 더 가볍고 감각에 더 중성으로 유지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놀랍게도, 종래 기술에 따라 단백질 분리물을 제조할 때 필요한 바와 같은, 사전에 물에 단백질을 용해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수행 후 본 발명에 따른 제조물에서 76 질량% 초과의 단백질 함량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압착 케이크 매트릭스로부터 단백질을 용해하지 않으면서 매우 간단하고 비용 효율적이고 매우 지속 가능한 방법을 이용하여, 80% 약간 초과의 수준으로, 완두콩 단백질 분리물과 거의 동일한 크기로 존재하는 단백질 함량이 수득될 수 있다.
단백질 제조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의 설명: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다수의 하위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종자에 원래 부착된 외피의 0 내지 100%의 외피 분획을 함유하는 껍질이 벗겨지고 세정된 호박 종자가 제공된다. 이러한 호박 종자는 바람직하게는 스크류 프레스, 압출기와 같은 연속 프레스, 또는 다중 단일 프레스의 통합 시스템에서 유리하게는 준-연속적으로 작동되는 불연속 유압 프레스와 같은 연속 프레스에서 기계적 오일 제거 공정으로 처리되며, 압착 케이크 또는 일부 오일 제거된 호박 종자가 수득되고, 이에 의해 유리하게는, 압착 케이크 또는 일부 오일 제거된 호박 종자에서 규정된 수분 함량을 설정하고 규정된 입자 크기를 설정한 후, 용매 추출에 의해 제거되는 대부분의 이의 오일 및 수크로스 함량을 갖는다. 이후, 하나 이상의 용매(들)가 제조물로부터 분리된다. 결론적으로, 제조물은 바람직하게는 규정된 입자 크기 분포를 달성하기 위해 그라인딩된다.
공정은 유리하게는 시빙(sieving) 및 시프팅(sifting) 공정을 수반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외피를 함유하는 분획은 종자의 가공 전, 동안 및 후에 분리될 수 있다. 다음 섹션은 제안된 방법의 하위 단계를 더 상세히 설명하며, 그 중 일부는 선택 사항이다.
세정: 제1 단계에서, 세정된 호박 종자가 제공되거나, 기계적 방법에 의해 호박 종자로부터 불순물 또는 오염물이 제거된다. 따라서, 오염물의 분율은 0.5 질량% 미만, 유리하게는 0.2 질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미만, 특히 유리하게는 0.05 질량% 미만까지 감소되고/되거나, 상응하는 낮은 오염물 분율을 갖는 호박 종자가 제공된다.
외피의 부분적 분리: 선택적 후속 단계에서, 외피는 호박 종자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리된다. 이를 위해, 호박 종자의 표면을 그레이팅(grating), 전단(shearing) 또는 스크레이핑(scraping)함으로써 외피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는 연마 방법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공정에서 제거되는 부착된 떡잎의 일부를 갖는 외피 분획은 바람직하게는 별도의 오일 회수 공정에 공급되며, 외피의 일부 또는 전부가 제거된 호박 종자는 본 발명에 따른 추가 가공을 위해 이송된다. 외피 분획을 감소시키기 위한 대안적인 방법으로서, 분리는 보습 또는 습윤 조건 하에서, 유리하게는 상승된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호박 종자는 경질 껍질이 제거되기 전에 가열되거나 비등되며, 경질 껍질이 제거된 후 외피는 기계적으로 그레이팅된다. 이는 또한 이전에 껍질이 벗겨진 호박 종자를 물에서 연화시키고, 비등시킨 다음, 껍질이 벗겨진 아몬드로부터 공지된 바와 같이, 외피를 분리하는 경우 유사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유리하게는, 원료로서, 외피가 부분적으로, 대부분 또는 완전히 제거된 호박 종자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유리하게는 외피 함량이 거의 또는 전혀 없는 종자가 더 많은 외피를 갖는 종자로부터 분리 또는 분류되는 공정이 미리 수행된다. 그러나, 수득된 완전한 호박 종자를 사용하여 방법을 수행하고, 예를 들어, 나중에(예를 들어, 오일 제거 후) 시브를 사용하여 외피의 일부만을 분리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컨디셔닝: 변형예에서, 종자의 온도 및 수분의 조정에 의한 종자의 컨디셔닝은 기계적 부분적 오일 제거 전에, 선택적으로 종자가 파쇄된 후에 수행된다. 이를 위해, 종자 내의 수분 함량은 2 내지 8 질량%, 바람직하게는 3 내지 6 질량%, 특히 유리하게는 4 내지 5.5 질량%로 조정된다. 0.5 내지 7 mm, 유리하게는 0.5 내지 5 mm, 특히 유리하게는 0.5 내지 2 mm의 에지 길이로의 종자의 거친 파쇄는 또한 유리하게는 기계적 부분적 오일 제거 전에 수행된다. 거친 파쇄에 의해, 예를 들어, 충격 밀 또는 과립기에서, 외피의 관련 분획이 플레이킹될 수 있고, 이는 유리하게는 시프팅 또는 다른 분리 공정에 의해 종자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는 호박 종자 단백질 제조물의 색상을 개선시킨다. 또한, 파쇄 전 또는 후에 및 압착 전에 종자를 40℃ 초과, 유리하게는 50℃ 초과, 바람직하게는 60℃ 초과, 특히 유리하게는 75℃ 초과의 온도까지 가온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부류의 컨디셔닝 후, 호박 종자는 연속 프레스에서의 가공을 위해 특히 잘 준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계적 부분적 오일 제거를 위한 압착 또는 다른 기술은 외피가 여전히 완전히 온전한 호박 종자, 또는 외피가 적합한 사전-처리에 의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분리된 종자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기계적 부분적 오일 제거: 호박 종자를 사용하여, 유리하게는 연속 오일 제거를 위한 장치로 종자로부터 오일의 기계적 분리가 수행된다. 이러한 기계의 예는 스크류 프레스, 압출기 또는 준-연속 유압 프레스이지만, 원심 분리 기술과 같은 오일을 분리하기 위한 다른 기계적 장치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스크류 프레스 또는 압출기를 사용하여 압착 케이크 및 오일을 산출하기 위한 종자의 특히 유리한 압축의 경우, 압착 후 잔류 오일 함량이 8 질량% 초과 내지 40 질량% 미만이 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압착이 수행되며, 잔류 오일 함량은 유리하게는 8 내지 30 질량%, 바람직하게는 8 내지 25 질량%, 및 특히 유리하게는 8 내지 20 질량%이다. 8 질량%의 잔류 오일 함량의 하한의 정의는 추가 오일 분리가 단백질을 손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상당히 더 높은 온도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선택된다. 이러한 값은 프레스가 사용되지 않고, 대신 다른 유형의 기계적 부분적 오일 제거가 사용되는 경우에도 유효하다.
호박 종자는 55%만큼의 오일 함량을 가지며, 배수를 위한 구조를 제공하는 임의의 성분이 부족하기 때문에, 이들을 기계적으로 오일 제거시키는 것이 쉽지 않다. 그러나, 오일 제거에 필요한 용매의 양을 감소시키기 위해, 목적은 압착 후 압착 케이크 또는 부분적으로 오일 제거된 호박 종자에서 25 질량% 미만의 잔류 오일 함량에 도달하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프레스에서 압착 케이크를 다시 압착하거나 다른 기계적 부분적 오일 제거 공정을 수행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이는 압착 동안, 예를 들어, 압착되지 않은 종자와 함께 제1 압착을 위한 공급물에, 또는 압착 케이크를 추가로 압착하는 데만 사용되는, 또 다른 제2 프레스에 압착 케이크를 첨가함으로써, 압착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압착 케이크의 압착은 또한 원하는 잔류 오일 함량에 도달하기 위해 여러 번 수행될 수 있다. 압착 케이크의 반복된 압착 또는 반복된 기계적 부분적 오일 제거에 의해, 결국, 과도하게 높은 온도를 설정하지 않고도 원하는 낮은 잔류 오일 함량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반복된 기계적 부분적 오일 제거를 통해 단백질을 너무 심하게 손상시키는 것을 피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압착 또는 기계적 부분적 오일 제거는 적당한 온도에서 일어난다. 호박 종자는 100℃ 미만, 특히 유리하게는 80℃ 미만의 평균 온도에서 압착되거나 기계적으로 부분적으로 오일 제거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평균 온도는 흡입구에서 종자의 온도 및 프레스 또는 기계적 부분적 오일 제거 디바이스로부터의 배출 시 압착 케이크 또는 부분적으로 오일 제거된 호박 종자의 온도의 산술 평균인 것으로 이해된다. 이는 제조물에서 임의의 유의한 색상 변화를 예상할 필요 없이, 프레스를 여러 번 통과하더라도 오일을 부드럽게 압착시킬 수 있게 한다.
압착 케이크 또는 부분적으로 오일 제거된 호박 종자의 선택적 컨디셔닝: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유리한 변형예에서, 압착 케이크 또는 부분적으로 오일 제거된 호박 종자의 컨디셔닝은 나머지 오일을 분리하고 임의의 추가 가공 전에 압착 케이크 또는 부분적으로 오일 제거된 호박 종자 중의 수크로스의 분율을 감소시키기 위해 추출 전에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기계적 부분적 오일 제거 후 15 질량%만큼 많을 수 있는 압착 케이크 또는 부분적으로 오일 제거된 호박 종자의 수분이 예를 들어, 건조기를 사용하여 8 질량% 미만, 유리하게는 5 질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3 질량% 미만, 특히 유리하게는 2 질량% 미만의 잔류 수분까지 감소시키는 것이 후속 단계에서 유기 용매에 의한 오일 제거를 더욱 효율적으로 만들어서, 더 많은 오일을 더 낮은 수분을 갖는 더 적은 용매를 사용하여 분리할 수 있게 한다. 이는 비용을 낮추고 단백질의 더 부드러운 처리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추출 전에 압착 케이크 또는 부분적으로 오일 제거된 호박 종자의 입자 크기 및 입자 형상을 변화시키는 것이 추가로 유리할 수 있다. 2 mm 미만, 유리하게는 1 mm 미만, 바람직하게는 0.5 mm 미만, 특히 유리하게는 0.2 mm 미만의 d90 값을 갖는 입자 크기로 압착 케이크 또는 부분적으로 오일 제거된 호박 종자를 파쇄하는 것은 건조 및 추출 공정을 유의하게 촉진시킨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건조기에서의 체류 시간 및 용매와 단백질 간의 접촉 시간이 단축되기 때문에, 이러한 촉진은 제조물에서 기능적 특성의 개선으로 야기시킨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파쇄된 압착 케이크 또는 호박 종자 벌크 물질에서 100 ㎛ 미만의 입자 크기를 갖는 미세 그레인의 분율은 50 질량% 미만, 유리하게는 25 질량% 미만, 특히 유리하게는 10 질량%이어야 한다.
또한, 압착 케이크 또는 부분적으로 오일 제거된 호박 종자가 그라인딩되거나 그라인딩되지 않고 플레이킹되는 경우 삼출 추출이 또한 가능하고, 이러한 추출이 유리하다. 이러한 경우에, 플레이크 두께는 유리하게는 2 mm 미만, 유리하게는 0.5 mm 미만, 특히 유리하게는 0.2 mm 미만으로 조정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플레이크 두께는 롤러 밀 또는 다른 플레이킹 기계로부터의 평균 두께를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평균 두께는, 예를 들어, 캘리퍼 게이지 또는 마이크로미터 스크류를 사용하여 측정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으며, 이는 이후에 50회 측정으로부터의 평균에 상응한다.
프레스를 이용한 기계적 부분적 오일 제거 동안 압착 케이크의 입자 크기 및 입자 형상은 다양한 공정을 사용하여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응하는 시브 인서트를 갖는 밀 또는 파쇄기 또는 규정된 롤러 갭을 갖는 롤러 밀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규정된 크기 스펙트럼을 갖는 입자 크기 분포가 수득될 수 있다. 이들은, 예를 들어, 시빙에 의한, 크기에 따른 분리에 의해 그라인딩 후 또는 동안 입자 크기 분포와 관련하여 균질화될 수 있다. 압력 제트 또는 고체를 함유하는 현탁액 형태의 고속-유동 액체는 또한 압착 케이크 입자를 세분화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액체 노즐 외에, 압착 케이크의 전단 부하를 갖는 컨베이어 유닛, 교반기 또는 혼합기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추출제를 수송하기 위한 공정에서 이미 사용 중인 기계가 또한 이를 위해 유리하게 사용된다. 따라서, 파쇄를 돕기 위해, 펌핑 또는 교반을 위해 실제로 설계된 기계, 예를 들어, 원심 펌프 또는 다른 형태의 수송 또는 교반 기계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유닛에서 적합한 체류 시간을 설정함으로써, 또는 사이클 관리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입자 크기 분포가 수득되도록 상기 디바이스에서 파쇄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용매 추출: 압착 케이크 또는 기계적으로 부분적으로 오일 제거된 호박 종자로부터 잔류 오일 및 수크로스를 분리하기 위해, 용매로서 알코올과 물의 혼합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후, 알코올에 의한 처리 및 물에 의한 처리는 동시에, 동일한 추출 단계(알코올-물 혼합물의 형태로)에서, 또는 연속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헥산은 또한 용매로서 물뿐만 아니라 하나의 용매로서 알코올 또는 헥산 및 또 다른 용매로서 물의 조합의 존재 하에 사용될 수 있다. 알코올로서 예를 들어,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압착 케이크 또는 부분적으로 오일 제거된 호박 종자로부터 오일의 실질적인 분리를 보장하기 위해, 압착 케이크 또는 부분적으로 오일 제거된 호박 종자의 질량 분율에 대한 용매의 질량 분율은 1.5 초과 내지 1, 유리하게는 3 초과 내지 1, 바람직하게는 5 초과 내지 1, 더욱 바람직하게는 7 초과 내지 1, 특히 유리하게는 10 초과 내지 1이도록 선택되어야 한다. 이후에, 2 질량% 미만까지의 오일의 실질적인 감소를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유기 용매 알코올 또는 헥산이 추출에 사용될 때, 유기 용매 외에 일정량의 물이 첨가되거나 규정된 수분 함량을 갖는 유기 용매가 사용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경우에, 오일이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되는 동안 또는 이후까지 추출되지 않는 동안 물이 사용될 수 있다. 유기 용매 및 물의 동시 사용 및 적합한 수분 함량의 선택의 경우, 압착 케이크 또는 호박 종자로부터 매우 많은 비율의 지방을 분리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수크로스가 또한 동시에 제거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추출에서 수분 함량은 유기 용매에 대해, 6 질량% 초과, 유리하게는 7 질량% 초과, 바람직하게는 8 질량% 초과, 특히 유리하게는 10 질량% 초과가 되도록 선택된다. 한편, 알코올이 유기 용매로서 사용되는 경우, 수분 함량은 오일이 더 이상 충분히 용해될 수 없는 상황을 피하기 위해 14 질량% 미만이 되도록 선택되어야 한다. 이러한 제한은 특히 밝은 색상 및 매우 높은 단백질 함량을 갖는 기술기능성 단백질 제조물을 수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유기 용매에 물의 첨가는 수성 용매를 제공함으로써, 촉촉한 압착 케이크 또는 촉촉한 호박 종자를 첨가함으로써, 또는 용매-추출 직전 또는 동안 물을 첨가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기재된 조치들의 조합이 또한 선택될 수 있다. 변형예에서, 헥산이 유기 용매로서 사용되는 경우, 수분 함량은 또한 이것이 헥산에 대해 14 질량% 초과의 분획을 구성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헥산의 경우, 예를 들어, 20 질량% 초과 또는 심지어 30 질량%의 용매에 대한 수분 함량이 사용되는 경우에도 오일에 대한 우수한 용해도가 유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수분 함량은 알코올에서 단지 최대 14 질량%로 제한되며, 용매로서 헥산은 이러한 제한에 적용되지 않는다.
호박 종자로부터 생산된 단백질-풍부 압착 케이크를 물-알코올 혼합물을 사용하여 처리하는 동안, 오일과 수크로스가 분리됨에 따라 단백질이 변성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주로 이러한 효과를 피하기 위해, 이러한 동시 분리 단계에 대해 작은 공정 윈도우만이 이용 가능하다. 이것은 규정된 수분 함량뿐만 아니라 온도 및 체류 시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추출 동안 용매의 온도는 30℃ 내지 75℃, 유리하게는 45℃ 내지 65℃, 특히 유리하게는 50℃ 내지 65℃일 것이다. 이러한 온도에서, 물과 유기 용매의 선택된 혼합물은 단백질의 과도한 변성을 일으키지 않음과 동시에 호박 종자로부터 오일 및 가용성 탄수화물 둘 모두를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45℃ 초과의 온도에서 유기 용매와 압착 케이크 또는 단백질 제조물 간의 접촉 기간은 30분 내지 12시간, 유리하게는 1시간 내지 5시간, 특히 유리하게는 1 내지 2시간이다. 그러나, 상기 언급된 온도 범위는 또한 헥산이 용매로서 사용되는 경우, 가능한 정도까지의 단백질에 대한 열 손상을 피하기 위해 선택되어야 한다.
추출을 위해, 용매를 입자 크기/형상 또는 수분의 면에서 벌크 양의 압착 케이크 입자 또는 컨디셔닝된 입자에 통과시켜, 오일 및 수크로스가 유기 용매 및/또는 물에 용리될 수 있는, 통상적인 삼출 추출이 수행될 수 있다. 미세 입자가 이러한 공정에서 호박 종자 압착 케이크로부터 탈착되고 용매를 사용하여 세척될 수 있기 때문에, 펌프 및 파이프라인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거나 생성물 손실을 피하기 위해 광범위한 여과 장치가 제공되어야 한다. 이러한 공정을 억제하거나 이를 적어도 제한하기 위해, 추출 동안 상당히 적은 미세 입자가 이들로부터 탈착되기 때문에, 추출 전에 컨디셔닝된 또는 컨디셔닝되지 않은 압착 케이크를 펠렛으로 압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여과 비용이 상당히 감소될 수 있다.
미세 입자의 손실이 삼출 추출 동안 완전히 방지될 수 없기 때문에,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혼합-침강 공정에서 침지 추출을 수행하는 것이 유리하다. 다단계 침지 추출이 이에 특히 적합하다. 이러한 공정에서, 압착 케이크 또는 컨디셔닝된 압착 케이크는 용매에 완전히 침지된다. 침지 추출기에서, 추출과 동시에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교반기를 사용하여 입자를 세분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하나가 다른 것 뒤에 배열된 여러 추출 용기에서 압착 케이크의 증분 파쇄를 수행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제1 추출 단계 후에, 용매 및 라피네이트는 유리하게는 침강에 의해 기계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상청액에서 오일-함유 미셀라(miscella)는 후속하여 증류될 수 있으며, 회수된 용매는 더 미세한 입자 크기 분포를 갖는 압착 케이크 입자의 추출을 위해 재사용될 수 있다. 용매에 의해 분리된 압착 케이크(라피네이트)는 새로운 용매와 반응될 수 있고, 따라서 다시 오일 제거될 수 있다. 용매의 총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더 적은 오일로 충전된 라피네이트의 처리로부터의 용매 상청액을 더 많은 오일로 충전된 라피네이트의 처리로부터의 용매 상청액은 더 많은 오일, 등으로 충전된 라피네이트의 추출울 위해 다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교반 용기를 사용하여 역류 추출이 확립된다. 대안적으로, 역류 추출은 또한 스크류, 챔버 또는 벨트 추출기에서 생성될 수 있다.
침강 사용의 특정 이점은 고체-액체 분리를 위한 분리 정도를 조정하기 위해 침강 기간을 지정할 수 있는 능력으로부터 유래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규정된 입자 크기로 수행된 추출 이후에, 교반기가 정지된 후, 라피네이트 및 상청액의 규정된 부피 비율에 도달할 때까지 지구의 중력장에서 침강이 일어난다. 이러한 공정은 유리하게는 위에서부터 입자의 침강을 가속화하거나 지연시키는 필터 바닥 또는 체 바닥에 의해, 또는 침강 층 아래의 필터 아래에 진공의 발생(예를 들어, 스트레이너(strainer))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침강 동안, 예를 들어, 적어도 50%, 유리하게는 60% 초과, 특히 유리하게는 70% 초과의 상청액의 미리 규정된 부피 분율에 도달할 때, 흡입에 의해, 라피네이트로부터 상청액을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역류에서, 라피네이트는 용매로 재충전될 수 있고, 현탁액은 교반 동안 생성된 전단력에 의해 새로운 입자 크기 분포가 확립될 때까지 교반될 수 있다. 이후, 침강 공정이 다시 일어난다. 라피네이트의 혼합 및 침강 공정은 여러 번 반복될 수 있고, 유리하게는 공정은 2회 초과, 바람직하게는 3회 초과, 특히 유리하게는 4회 초과 수행되며, 그 결과 추출은 특히 유리하게는 역류에서의, 다단계 추출로서 수행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방법의 변형예에서, 다단계 추출의 상이한 단계에서 유기 용매 및 물의 상이한 혼합 비율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예를 들어, 더 높은 수분 함량은 수용성 성분을 선택적으로 분리하기 위해 제1 추출 단계에서 사용될 수 있고, 후속 추출 단계에서, 예를 들어, 에탄올 또는 프로판올과 같은 용매가 더 낮은 물 분율로 더 많은 오일을 용해시킬 수 있기 때문에, 오일 제거를 더욱 효율적으로 만드는 데 수분 함량이 더 낮을 수 있다. 이러한 접근법은 또한, 예를 들어, 용매로서 에탄올을 사용할 때, 수분 함량이 제1 추출 단계에서 단지 짧은 시간 동안만 높고, 결과적으로 단백질 변성이 최소화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이는 놀랍게도, 상이한 극성을 갖는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이 상이한 추출 단계에서 사용되는 경우 호박 종자의 경우 단백질의 변성이 감소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추출 단계에서 물과 에탄올과 같은 유기 용매를 혼합하는 것과 별개로, 초기에 친지성 용매를 사용한 다음, 용매의 부분적 분리 또는 라피네이트의 완전한 탈용매화 후에 친수성 또는 물-함유 용매를 도입하는 것이 또한 유리할 수 있다. 이는 물의 존재로 인해 단백질에 대한 응력을 추가로 감소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조물의 후처리 및 탈용매화: 유기 용매 및 물로 추출한 후, 이의 기능적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제조물은 선택적으로 효소 수용액으로의 추가 처리, 또는 발효를 거칠 수 있거나, 직접 건조될 수 있다. 건조는 단백질에 대한 응력을 최소화하고 제조물에서 가능한 가장 밝은 색상을 보존하기 위해, 유리하게는 120℃ 미만, 바람직하게는 100℃ 미만, 특히 유리하게는 80℃ 미만의, 저온에서 수행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유리하게는 진공에서 작동될 수 있고 용매 잔류물을 분리하기 위한 건조 공정의 마지막에 다시 압력이 낮아지는 건조기가 사용된다. 압력은 유리하게는 500 mbar 미만, 바람직하게는 200 mbar 미만, 특히 유리하게는 100 mbar 미만의 값까지 감소된다. 건조 공정의 마지막에 이러한 압력 감소는 건조-후 기간 동안 온도를 추가로 낮추는 역할을 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단백질의 추가 온화한 처리를 제공할 수 있다.
건조 후, 건조된 단백질 제조물은 유리하게는 그라인딩되어 이들의 기능성을 조정하는데, 이는 상이한 정도의 미세도로 그라인딩된 제조물이 용해도와 같은 기술기능적 특성에서 상당한 차이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라인딩은 500 ㎛ 미만, 유리하게는 250 ㎛ 미만, 바람직하게는 150 ㎛ 미만, 특히 유리하게는 100 ㎛ 미만의 d90 입자 크기에 대한 적용에 따라 일어난다.
제조물의 용도에 대한 설명:
본 발명에 따른 호박 종자로부터 생산된 제조물이 사용될 때, 2 질량% 초과의 비교적 높은 메티오닌 함량의 아미노산으로 인해 식료품 또는 애완동물 사료용 단백질 혼합물의 제조에 대한 특정 이점이 나타난다. 완두콩, 렌틸콩, 콩, 잠두콩, 땅콩 또는 대두의 군으로부터의 콩과 식물 단백질로부터의 단백질 분획과 본 발명에 따른 제조물의 혼합물이 유리하고, 단지 완두콩 및 대두의 군으로부터 특히 유리하고, 단지 완두콩이 특히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혼합물은 > 60 질량%, 유리하게는 > 70 질량%, 특히 유리하게는 > 80 질량%의 단백질 함량을 함유해야 한다. 혼합물의 총 질량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단백질의 비율은 5 질량% 초과 및 95 질량% 미만, 유리하게는 10 질량% 초과 및 90 질량% 미만, 특히 유리하게는 25 질량% 초과 및 75 질량% 미만, 이상적으로는 40 질량% 초과 및 60 질량% 미만이다. 이러한 값에서, 콩과 식물 단백질의 기능성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물의 우수한 감각적 매력 및 색상과 특히 성공적으로 조합될 수 있다.
하기 텍스트에서, 생산된 단백질 제조물의 정량적 특성규명을 제시하기 위해 하기 결정 방법이 사용된다:
- 단백질 함량:
단백질 함량은 Dumas에 따라 질소를 측정하고 이에 6.25의 인자를 곱하여 계산된 함량으로 규정된다. 본 특허 출원에서, 단백질 함량은 건조물(DM), 즉, 무수 샘플에 대한 질량 백분율로 표현된다.
- 색상:
지각 가능한 색상은 CIE-L*a*b* 색상 측정을 사용하여 정의된다. L*-축은 휘도를 나타내며, 여기서, 흑색은 값 0을 갖고, 백색은 값 100을 갖는다. a*-축은 녹색 또는 적색 성분을 나타내고, b*-축은 청색 또는 황색 성분을 나타낸다.
- 단백질 용해도:
단백질 용해도는 Morr 등 1985, 잡지 기사(Morr C. V., German, B., Kinsella, J.E., Regenstein, J. M., Van Buren, J. P., Kilara, A., Lewis, B. A., Mangino, M.E, "A Collaborative Study to Develop a Standardized Food Protein Solubility Procedure. Journal of Food Science", Volume 50 (1985) pages 1715-1718)에 따른 결정 방법을 이용하여 결정된다. 단백질 용해도는 규정된 pH 값에 대해 언급될 수 있고, pH 값이 제공되지 않는 경우, 데이터는 7의 pH 값을 지칭한다.
- 유화 용량:
유화 용량은, 수중유 에멀젼의 상 역전이 일어날 때까지 옥수수유를 pH 7의 단백질 제조물의 1% 현탁액 100 ml에 첨가하는 결정 방법(하기에서 EC 결정 방법으로 지칭됨)을 사용하여 정의된다. 유화 용량은 상 역전 시 전도도의 자발적인 저하를 통해 결정되는, 이러한 현탁액의 최대 오일 흡수 용량으로 정의되고(잡지 기사[Waesche, A., Mueller, K., Knauf, U., "New processing of lupin protein isolates and functional properties". Nahrung/Food, 2001, 45, 393-395] 참조), 예를 들어 ml 오일/g 단백질 제조물, 즉, 단백질 제조물 그램 당 유화된 오일의 밀리리터로 표현된다.
- 지방 함량:
지방 함량은 용매로서 헥산을 사용하여 Soxhlet 방법으로 결정된다.
- 수크로스:
수크로스 함량은 HPLC 방법과 함께 DIN 10758:1997-05(incl. amendment 1 of Sep. 2018)에 따른 변형된 측정에 의해 결정된다. 샘플을 제조하기 위해, 뜨거운 물을 사용하여 샘플 매트릭스로부터 당을 추출한다. 오염물을 분리한 후, 추출물을 규정된 부피까지 물로 충전하고, 여과하고, 여액을 HPLC 측정을 위해 이송한다.
- 수분 결합:
수분 결합 능력은 문헌[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Approved methods of the AACC". 10th ed., AACC. St. Paul, MN, 2000b; Method 56-20. "Hydration capacity of pregelatinized cereal products"]에 기술된 바와 같이 결정된다. 수분 결합 능력은, 예를 들어, ㎖/g, 즉, 제조물의 그램 당 결합된 물의 밀리리터로 표현될 수 있고, 10분 동안 2 g 단백질 제조물을 약 40 ml 물과 혼합하고 20℃에서 1000 g에서 15분 동안 원심분리한 후 건조 제조물의 초기 샘플 중량 미만의 물-포화된 침강물의 중량을 기초로 하는 AACC 결정 방법에 따라 결정된다.
- 오일 결합:
오일 결합 능력은 ㎖/g, 즉, 제조물 그램 당 결합된 오일의 밀리리터로 표현될 수 있고, 1분 동안 1.5 g의 단백질 제조물을 15 ml의 옥수수유와 혼합하고 20℃에서 15분 동안 700 g에서 원심분리한 후 오일-결합 침강물의 부피로서 원심분리 결정 방법에 따라 측정된다.
예시적인 구현예:
프레스를 통해 2회 통과하면서 75℃의 평균 온도에서 프레스의 도움으로 수득된, 23 질량%의 오일 함량을 갖는 200 g의 호박 종자 압착 케이크를 건조기에서 건조시켜 2.5 질량%의 물 수분 함량을 수득하고, 압착 케이크를 몰타르에서 거칠게 그라인딩하였다. 매회 600 mL 용매(7 질량의 수분 함량을 갖는 에탄올-물 혼합물)를 사용하여, 파쇄된 압착 케이크를 5회 추출하였다. 이를 위해, 제1 단계에서 600 mL를 200 g의 압착 케이크에 첨가하고, 50℃에서 5분 동안 교반한 다음, 교반기를 껐다. 고체를 30분 동안 침강시킨 다음, 300 mL의 상청액을 제거하고, 600 mL 용매를 여기에 다시 첨가하였다. 하기 추출 단계를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하고, 매회 600 mL를 첨가하고 600 mL를 제거하였다. 이후, 최종 라피네이트 또는 침강물을 건조 캐비넷에서 24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1 mm 메쉬 크기의 시브를 통해 시빙하였다. 시빙에 의해, 압착 전에 제거될 수 없는 수득된 외피의 분획의 약 50%를 분리할 수 있었다. 이러한 방식으로, 녹색 색상이 감소될 수 있고, 제조물의 휘도가 개선되었다. 시빙 후 250 ㎛ 미만으로 그라인딩하였다.
제조물은 기분 좋은 견과류 향미 및 76.4%의 단백질 함량, pH 7에서 13.3%의 단백질 용해도 및 160 ㎖/g의 유화 용량을 가졌다. L*a*b 측정은 91.9의 L* 값을 반환하였다. 하기 표 2 및 표 3은 이러한 제조물의 조성 및 기능적 특성을 제시한다.
표 2: 처리 전 호박 종자와 비교한 호박 종자 단백질 제조물의 조성
표 3: 에탄올을 사용하여 추출된 단백질 제조물의 기능적 특성
적용예:
예시적인 구현예로부터의 호박 종자 제조물 20 g을 머핀 레시피에서 계란으로 대체하였다. 기능성은 매우 매력적이었고, 머핀은 느슨한 크럼(loose crumb), 갈색 크러스트(brown crust) 및 매우 좋은 맛을 가졌다. 제조물은 너트 또는 초콜릿 케이크와 같은 적용에 특히 매우 적합하다.

Claims (32)

  1. 호박 종자로부터 생산된 단백질 제조물로서,
    상기 단백질 제조물은, 용매로서 헥산을 사용하는 Soxhlet 방법에 따라 결정된,
    - 건조물에 대해 60 질량% 초과의 단백질 함량, 및
    - 건조물에 대해 6 질량% 미만의 지방 함량을 가지며,
    - 상기 단백질 제조물은 250 ㎛ 미만의 단백질 제조물의 d90 입자 크기를 사용하여, 또는 250 ㎛ 미만의 d90 입자 크기까지의 상기 단백질 제조물의 그라인딩 후, CIE-L*a*b* 색 측정에 따라 결정된, 70 초과의 휘도(brightness) L*를 갖는, 단백질 제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80 초과, 바람직하게는 90 초과의 휘도 L*을 갖는, 단백질 제조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물의 건조물에 대해, 10 질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6 질량% 미만, 유리하게는 3 질량%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1 질량% 미만의 호박 종자의 외피(integument)의 잔류 함량을 갖는, 단백질 제조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백질 함량이 70 질량% 초과, 바람직하게는 75 질량% 초과, 특히 바람직하게는 78 질량% 초과인, 단백질 제조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방 함량이 4 질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3 질량%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2 질량% 미만인, 단백질 제조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크로스 분율이 건조물에 대해 4 질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2 질량%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질량% 미만 또는 1 질량% 미만인, 단백질 제조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EC 결정 방법에 따라 결정된, 유화 용량(emulsifying capacity)이 250 ㎖/g 초과, 바람직하게는 350 ㎖/g 초과, 특히 바람직하게는 400 ㎖/g 초과 또는 500 ㎖/g 초과인, 단백질 제조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ACC 결정 방법에 따라 결정된, 1 ㎖/g 초과, 바람직하게는 2 ㎖/g 초과, 특히 바람직하게는 3 ㎖/g 초과의 수분 결합 용량(water binding capacity)을 가지고/가지거나, 원심분리 결정 방법을 사용하여 결정된, 1 ㎖/g 초과, 바람직하게는 2 ㎖/g 초과, 특히 바람직하게는 2.5 ㎖/g 초과의 오일 결합 용량을 갖는, 단백질 제조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0.001 질량%, 바람직하게는 > 0.01 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 0.1 질량% 또는 > 0.5 질량%의 알코올, 특히 에탄올의 분율을 가지지만, 이러한 분율은 1 질량% 미만인, 단백질 제조물.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0.0005 질량%, 바람직하게는 > 0.001 질량%의 헥산 분율을 가지지만, 이러한 분율은 0.005 질량% 미만인, 단백질 제조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500 ㎛ 미만, 바람직하게는 250 ㎛ 미만, 유리하게는 150 ㎛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 ㎛ 미만의 d90 입자 크기를 갖는, 단백질 제조물.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백질 제조물에 추가로 완두콩, 렌틸콩, 콩, 잠두콩, 땅콩 또는 대두의 군으로부터의, 바람직하게는 단지 완두콩 및 대두의 군으로부터의, 특히 바람직하게는 단지 완두콩으로부터의 군으로부터의 콩과 식물 단백질(leguminous protein)이 첨가된, 단백질 제조물.
  13. 식료품, 애완동물 사료 및 동물 사료에서의 구성성분으로서의,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조물의 용도.
  14. 특히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호박 종자로부터 단백질 제조물을 수득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적어도,
    - 상기 호박 종자의 껍질을 벗기거나 껍질이 벗겨진 호박 종자를 제공하는 단계;
    - 상기 껍질이 벗겨진 호박 종자를 기계적 부분적 오일 제거하는 단계로서, 여기서, 상기 껍질이 벗겨진 호박 종자의 평균 온도는 100℃ 미만으로 유지되는, 단계;
    - 선택적으로 그라인딩(grinding) 또는 플레이킹(flaking) 후, 6 질량% 미만의 잔류 오일 함량까지 상기 부분적으로 오일 제거된 호박 종자를 추가로 오일 제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추출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로서, 여기서 수크로스의 분획은 또한 분리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추출 단계는 하나 이상의 알코올-물 혼합물을 사용하여 또는 물의 존재 하에서 용매로서 알코올 또는 헥산을 사용하여 수행되며, 각각은 알코올의 경우 > 6 질량% 내지 < 14 질량%, 또는 헥산의 경우 > 6 질량% 내지 < 14 질량% 범위의 수분 함량을 갖거나,
    상기 다수의 추출 단계는 제1 용매로서 알코올 또는 헥산을 및 제2 용매로서 물을 사용하여 수행되는 단계; 및
    - 상기 하나 이상의 추출 단계의 수행 후에 수득된 라피네이트를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호박 종자에는 상기 호박 종자에 원래 함유된 건조 외피에 대해 100 질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75 질량% 미만, 특히 50 질량%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미만의 잔여 분율의 건조 외피가 제공되거나,
    이러한 잔류 분율이 남을 때까지 상기 외피가 제거되는, 방법.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껍질이 벗겨진 호박 종자의 평균 온도가 기계적 부분적 오일 제거 동안 80℃ 미만으로 유지되는, 방법.
  17.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4 질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3 질량%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2 질량% 미만의 잔류 오일 함량이 남을 때까지, 부분적으로 오일 제거된 호박 종자의 추가 오일 제거가 수행되는, 방법.
  18. 제14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추출 단계가 용매로서 하나 이상의 알코올-물 혼합물을 또는 물의 존재 하에서 용매로서 알코올을 사용하여 수행되며, 물 분율은 각 경우에 > 6 질량% 내지 < 14 질량%, 바람직하게는 > 10 질량% 내지 < 14 질량%의 범위인, 방법.
  19. 제14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물 분율이 다단계 추출의 제1 단계에서 가장 높도록 선택되고, 하나 이상의 후속 단계에서 더 낮은, 방법.
  20. 제14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매의 온도가 하나 이상의 추출 단계의 수행 동안 30℃ 내지 75℃,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65℃,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65℃이도록 선택되는,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 45℃의 용매의 온도에서 용매와 부분적으로 오일 제거된, 선택적으로 그라인딩되거나 플레이킹된 호박 종자 사이의 접촉 기간이 30분 내지 12시간, 바람직하게는 1시간 내지 5시간, 특히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시간이 되도록 선택되는, 방법.
  22. 제14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8 질량% 내지 < 40 질량%, 바람직하게는 > 8 질량% 내지 < 30 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 8 질량% 내지 < 25 질량% 또는 > 8 질량% 내지 < 20 질량%의 잔류 오일 함량이 남을 때까지, 기계적 부분적 오일 제거가 수행되는, 방법.
  23. 제14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껍질이 벗겨진 호박 종자가, 기계적 부분적 오일 제거 전에, 상기 종자의 수분을 2 내지 8 질량%, 바람직하게는 3 내지 6 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4 질량% 내지 5.5 질량%의 종자 중의 수분 함량으로 조정함으로써 컨디셔닝되는, 방법.
  24. 제14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호박 종자가, 기계적 부분적 오일 제거 전에, > 40℃, 바람직하게는 > 50℃, 유리하게는 > 60℃, 특히 바람직하게는 > 75℃의 온도까지 가온되는, 방법.
  25. 제14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호박 종자가, 기계적 부분적 오일 제거 전에, 0.5 내지 7 mm, 유리하게는 0.5 내지 5 mm, 특히 유리하게는 0.5 내지 2 mm의 에지 길이(edge length)까지 거칠게 파쇄되는, 방법.
  26. 제14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오일 제거된, 선택적으로 거칠게 파쇄된, 그라인딩된 또는 플레이킹된 호박 종자가, 하나 이상의 추출 단계가 수행되기 전에, < 8 질량%, 바람직하게는 < 5 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 3 질량% 또는 < 2 질량%의 잔류 수분까지의 수분의 감소에 의해 컨디셔닝되는, 방법.
  27. 제14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오일 제거된 호박 종자의 입자 크기가, 하나 이상의 추출 단계가 수행되기 전에, < 2 mm, 바람직하게는 < 1 mm, 특히 바람직하게는 < 0.5 mm 또는 < 0.2 mm의 d90 값이 되며, 여기서, 100 ㎛ 미만의 입자 크기를 갖는 미세 그레인 분율은 이의 < 50 질량%, 바람직하게는 < 25 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 10 질량%를 구성하는, 방법.
  28. 제14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오일 제거된 호박 종자가, 하나 이상의 추출 단계가 수행되기 전에, < 2 mm, 바람직하게는 < 0.5 mm, 특히 바람직하게는 < 0.2 mm의 플레이크 두께까지 플레이킹되는, 방법.
  29. 제14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라피네이트의 건조가 < 120℃, 바람직하게는 < 100℃, 특히 바람직하게는 < 80℃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방법.
  30. 제14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라피네이트의 건조가 진공 건조기에서 수행되며, 여기서, 건조의 마지막에 압력은 < 500 mbar, 바람직하게는 < 200 mbar, 특히 바람직하게는 < 100 mbar까지 감소되는, 방법.
  31. 제14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효소 수용액으로의 또는 발효에 의한 라피네이트의 처리가, 라피네이트가 건조되기 전에, 수행되는, 방법.
  32. 제14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건조 후에, 라피네이트가 < 500 ㎛, 바람직하게는 < 250 ㎛, 특히 바람직하게는 < 150 ㎛ 또는 < 100 ㎛의 d90 값을 갖는 규정된 입자 크기 분포까지 그라인딩되는, 방법.
KR1020237019983A 2020-11-24 2021-11-18 호박 종자로부터 생산된 단백질 제조물 및 제조 방법 KR2023011265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0131026 2020-11-24
DE102020131026.9 2020-11-24
PCT/EP2021/082077 WO2022112082A1 (de) 2020-11-24 2021-11-18 Proteinpräparat aus kürbiskerne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2657A true KR20230112657A (ko) 2023-07-27

Family

ID=78820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9983A KR20230112657A (ko) 2020-11-24 2021-11-18 호박 종자로부터 생산된 단백질 제조물 및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4250942A1 (ko)
JP (1) JP2023550184A (ko)
KR (1) KR20230112657A (ko)
CN (1) CN116963605A (ko)
CA (1) CA3202559A1 (ko)
WO (1) WO2022112082A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53505A1 (en) * 2012-04-09 2013-10-17 Panic Branislav Technology for production of oil seed pumpkin, cold pressed oil and virgin oil
CN105010719A (zh) * 2015-08-12 2015-11-04 重庆都好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南瓜籽粕蛋白的提取方法
CN110521848A (zh) * 2019-10-14 2019-12-03 河南工业大学 南瓜籽浓缩蛋白超声辅助提取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202559A1 (en) 2022-06-02
EP4250942A1 (de) 2023-10-04
CN116963605A (zh) 2023-10-27
WO2022112082A1 (de) 2022-06-02
JP2023550184A (ja) 2023-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28542B2 (en) Protein preparations from sunflower seeds and production thereof
JP7261225B2 (ja) ヒマワリ及び/又はアブラナの油糧種子からタンパク質調製物を取得する方法並びにタンパク質調製物
US20080069922A1 (en) Oil Seed Processing
CN114449902A (zh) 一种生产植物蛋白质成分的方法
EP3550004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industriellen verarbeitung von rapssaat unter gewinnung von kaltgepresstem raps-kernöl
KR20230112658A (ko) 대마 종자로부터 생산된 단백질 제조물 및 제조 방법
CN117412677A (zh) 由杏仁种子制备的蛋白质制剂及其制备方法
EP1351581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emulgierfähigen proteinprodukten aus einer ölsaat
KR20230112657A (ko) 호박 종자로부터 생산된 단백질 제조물 및 제조 방법
US20230050958A1 (en) Method for obtaining one or more protein preparations and oil fractions from sunflower seeds or rape seeds
RU2804408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белковых препаратов из семян подсолнечника или рапса
EP4098125A1 (en) A soybean protein concentrate and process for its production
AU2001278308B2 (en) Oil seed processing
US20230337697A1 (en) Protein Ingredient and Oil Preparation from The Seeds of Macauba Fruit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AU2001278308A1 (en) Oil seed process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