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2312A - 모바일 단말기용 마그넷 어셈블리 및 이와 결합되는 무선 충전장치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기용 마그넷 어셈블리 및 이와 결합되는 무선 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2312A
KR20230112312A KR1020220008425A KR20220008425A KR20230112312A KR 20230112312 A KR20230112312 A KR 20230112312A KR 1020220008425 A KR1020220008425 A KR 1020220008425A KR 20220008425 A KR20220008425 A KR 20220008425A KR 20230112312 A KR20230112312 A KR 202301123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wireless charging
magnetic
magnet assembly
magne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8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재
남재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노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노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노바텍
Priority to KR1020220008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2312A/ko
Priority to PCT/KR2023/000961 priority patent/WO2023140654A1/ko
Priority to US18/278,468 priority patent/US20240136863A1/en
Priority to CN202380009936.8A priority patent/CN116802964A/zh
Publication of KR20230112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231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7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reduction of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leakage fiel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2Permanent magnets [P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75Magnetic shielding materia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81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용 마그넷 어셈블리 및 이와 자력에 의해 결합되는 무선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마그넷 어셈블리는 모바일 단말기 내부에 결합되는 베이스부재; 및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면에 제공되며, 적어도 하나의 슬릿이 형성된 마그네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바일 단말기용 마그넷 어셈블리 및 이와 결합되는 무선 충전장치{Magnet assembly for mobile terminal and wireless charging device combined therewith}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용 마그넷 어셈블리 및 이와 자력에 의해 결합되는 무선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바일 단말기(Mobile terminal)는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이동하면서 자유로이 사용할 수 있는 단말기로서, 대표적으로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이 있다.
이러한 모바일 단말기는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와,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을 위한 회로를 포함한다. 이러한 전자 기기의 배터리가 충전되려면, 외부의 충전기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야 한다.
종래에는 케이블(cable)을 이용하여 배터리에 전력을 충전시켰으나, 이러한 방법은 케이블의 정리가 곤란하고 외관상 좋지 않다. 또한, 최근 환경규제로 인하여 입출력 단자가 없는 포트리스(Port-less) 방식의 단말기의 개발 및 생산이 늘어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방식을 이용한 무선 충전 시스템에 대한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일 예로, 스마트폰을 충전패드에 올려두기만 하면 충전이 되는 무선 충전장치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무선 충전장치의 경우 무선 충전을 하면서 모바일 단말기를 사용하기가 쉽지 않고, 충전시 모바일 단말기가 무선 충전장치로부터 이탈하여 충전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 등의 문제가 있다.
공개특허공보 10-2020-0032576(2020.03.26 공개)
본 발명의 과제는 자력에 의해 모바일 단말기를 거치하면서 무선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마그넷 어셈블리 및 이와 결합되는 무선 충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마그넷 어셈블리는 모바일 단말기 내부에 결합되는 베이스부재; 및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면에 제공되며, 적어도 하나의 슬릿이 형성된 마그네틱 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 부재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원형의 판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재와 상기 마그네틱 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마그네틱 부재에서 발생하는 자력이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전자페이(MST), NFC, 무선 충전 코일 안테나의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차폐하는 차폐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마그네틱 부재와 동일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부재는 철, 규소, 아연 중 선택된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전자페이(MST), NFC, 무선 충전 코일 안테나와 간섭되지 않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그네틱 부재에 형성된 슬릿의 폭은 적어도 1 ~ 10mm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그네틱 부재는 사이마다 슬릿이 형성된 복수의 슬라이스 부재를 포함하여,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원형의 판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슬릿은 상기 마그네틱 부재의 원주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그네틱 부재는 영구자석 또는 네오디뮴 자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무선 충전장치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용 마그넷 어셈블리와 자력에 의해 결합 가능한 모바일 단말기용 무선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무선 충전장치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충전하기 위한 유도 전류를 발생시키며, 상기 마그네틱 부재와 자력에 의해 결합되는 충전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모듈은 상기 마그네틱 부재와 동일 구조의 자성체를 포함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에 마그넷 어셈블리를 설치해 줌으로써 자성체가 구비된 무선 충전장치와 자력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무선 충전시 모바일 단말기가 무선 충전장치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무선 충전시 접촉 불량으로 인한 무선 충전 효율의 저하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마그네틱 부재에 복수의 슬릿을 형성해 줌으로써, 마그네틱 부재에서 발생하는 자력에 의한 모바일 단말기의 전자페이(MST), NFC, 무선 충전 코일 안테나의 전파의 방해를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페이(MST), NFC, 무선 충전 코일 안테나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발열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마그네틱 부재를 통해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위치를 정확하게 위치시켜줄 수 있으므로, 무선 충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무선 충전장치를 통해 모바일 단말기를 지면에 세워둔 상태로 충전이 가능해지므로, 무선으로 충전하면서 동영상을 시청하는 등 사용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마그넷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마그넷 어셈블리의 정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틱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마그넷 어셈블리가 모바일 단말기에 부착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마그넷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무선 충전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무선 충전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마그넷 어셈블리가 설치된 모바일 단말기와 무선 충전장치가 자력에 의해 결합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마그넷 어셈블리 및 이와 결합되는 무선 충전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마그넷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마그넷 어셈블리의 정면도이고, 도 3 내지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틱 부재의 정면도이며, 도 7은 도 1의 마그넷 어셈블리가 모바일 단말기에 부착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기용 마그넷 어셈블리(10)는 모바일 단말기(M)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베이스 부재(11) 및 마그네틱 부재(1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모바일 단말기(M)는 무선 전력 수신부를 구비하여 내장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스마트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바일 단말기(M)는 전자페이(MST), NFC, 무선 충전 코일 안테나 등의 안테나 모듈(1)이 구비된 스마트 폰일 수 있다. 그러나, 모바일 단말기(M)의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테블릿 PC, 스마트 워치, PDA, 이어폰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베이스 부재(11)는 마그네틱 부재(12)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모바일 단말기(M)의 내부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부재(11)는 내부에 중공(11a)이 형성된 원형의 판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모바일 단말기(M)의 전자페이(MST), NFC, 무선 충전 코일 안테나 측에서 발생하는 신호와 간섭하지 않도록 플라스틱 필름과 같은 유전체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마그네틱 부재(12)는 베이스 부재(11)의 일면에 제공되며, 적어도 하나의 슬릿(12a)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그네틱 부재(12)는 베이스 부재(1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테두리 부위가 베이스 부재(11)의 테두리 부위를 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마그네틱 부재(12)에 형성된 슬릿(12a)은 복수로 구비된 경우, 원주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마그네틱 부재(12)는 영구자석 또는 네오디뮴 자석으로 제공될 수 있다. 특히, 네오디뮴 자석은 25~50MGOe의 강한 자력을 지니고 있으며, 가공성이 양호하고 사마륨-코발트 자석이나 알니코 자석에 비해 가격이 저렴한 이점으로 인해 마그네틱 부재(12)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그러나 녹이 잘 슬어 그 표면을 니켈로 도금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모바일 단말기(M)의 내부에 마그네틱 부재(12)가 구비되는 경우 모바일 단말기(M)에 자력을 부여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해 별도의 부착 도구 없이도 자성체가 구비된 장치에 자력에 의해 탈부착될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전자페이(MST), NFC, 무선 충전 코일 안테나 등의 안테나 모듈(1)이 구비된 스마트폰이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이 경우, 안테나 모듈(1)과 마그네틱 부재(12)가 간섭되는 경우 마그네틱 부재(12)에서 발생하는 자력에 의해 안테나 모듈(1)의 전파가 방해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전파 방해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마그네틱 부재(12)는 상호 이격 배치된 복수의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그네틱 부재(12)는 사이마다 슬릿(12a)이 형성된 복수의 슬라이스 부재를 포함하여, 내부에 중공(11a)이 형성된 원형의 판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즉, 마그네틱 부재(12)에 슬릿(12a)을 형성해 줌으로써 마그네틱 부재(12)의 자계가 슬릿(12a)을 통해 발산되도록 하여 해당 자계가 전자페이(MST), NFC, 무선 충전 코일 안테나 등의 안테나 모듈(1)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마그네틱 부재(12)에 형성된 슬릿(12a)의 폭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슬릿(12a)의 폭은 적어도 1 ~ 10mm로 제공될 수 있다. 이는 슬릿(12a)의 폭이 1mm 미만이면 마그네틱 부재(12)의 자계가 슬릿(12a)을 통해 발산되기 어려워 안테나 모듈(1)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10mm를 초과하는 경우 자력의 세기가 약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마그네틱 부재(12)에 형성된 슬릿(12a)의 개수 또한 한정되지 않으며,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하게 구현 가능하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릿(12a)이 마그네틱 부재(12)의 상부에만 형성되거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에 형성되거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 및 좌우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마그넷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기용 마그넷 어셈블리(20)는 베이스부재(11)와 마그네틱 부재(12) 사이에 배치되고, 마그네틱 부재(12)에서 발생하는 자력이 전자페이(MST), NFC, 무선 충전 코일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안테나 모듈(1)의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차폐하는 차폐부재(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폐부재(13)는 마그네틱 부재(12)와 동일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차폐부재(13) 또한 사이마다 슬릿이 형성된 원형의 판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는, 차폐부재(13)를 통해 마그네틱 부재(12)의 자력은 차폐하면서도 슬릿 사이로 안테나 모듈(1)로부터의 신호가 원활히 전달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차폐부재(13)는 투자율이 높으면서 자력을 차폐 및 반사시킬 수 있는 철, 규소, 아연 중 선택된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폐부재(13)를 통해 마그네틱 부재(12)에서 발생하는 자력이 안테나 모듈(1) 측으로 발산하는 것을 차폐할 수 있으며, 그 반대측 방향으로 자력을 집중 및 강화시켜 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차폐부재(13)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차폐 효과는 우수하지만, 경량화 및 박형화에 반하는 이유로 차폐부재(13)의 두께를 약 1 ~ 10mm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차폐부재(13)가 안테나 모듈(1)과 간섭되는 경우, 안테나 모듈(1)의 전파가 방해될 수 있으므로 베이스 부재(11)는 전자페이(MST), NFC, 무선 충전 코일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안테나 모듈(1)과 간섭되지 않도록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베이스 부재(11)의 중공(11a)을 안테나 모듈(1)과 같거나 크게 형성하여 중공(11a) 내부에 안테나 모듈(1)이 배치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차폐부재(13)와 안테나 모듈(1) 사이의 간섭을 해결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무선 충전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무선 충전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기용 무선 충전장치(100)는 전술한 모바일 단말기용 마그넷 어셈블리(10)와 자력에 의해 결합 가능한 것으로서, 모바일 단말기(M)를 충전하기 위한 유도 전류를 발생시키며, 마그네틱 부재(12)와 자력에 의해 결합되는 충전모듈(110A)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모듈(110A) 마그네틱 부재(12)와 동일 구조의 자성체(120)를 포함하여 모바일 단말기(M)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충전모듈(110A)은 본체부(110)와, 자성체(120), 및 송신 코일(1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10)는 내부에 수용공간(110a)이 형성되고, 모바일 단말기(M)에 결합된 상태에서 모바일 단말기(M)를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부(110)는 내부에 자성체(120) 및 송신 코일(130)을 수용하여, 자력에 의해 모바일 단말기(M)에 결합되는 베이스부(111)와, 베이스부(111)의 일면에 결합되어 자성체(120) 및 송신 코일(130)을 커버하는 커버부(112)와, 베이스부(111)에 힌지 결합되어 베이스부(111)의 일면을 선택적으로 노출시키며, 베이스부(111)가 자력에 의해 모바일 단말기(M)에 결합되었을 때 베이스부(111)와 함께 모바일 단말기(M)를 지지하는 지지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베이스부(111)가 자성체(120)를 통해 모바일 단말기(M)의 일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지지부(113)를 회동시키는 경우 베이스부(111)와 지지부(113)는 "∧"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베이스부(111) 및 지지부(113)는 모바일 단말기(M)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를 형성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충전시 모바일 단말기(M)를 지면에 세워둘 수 있다. 이때, 지지부(113)를 회동시킬 때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지지부(113)는 베이스부(111)와 힌지결합된 부위의 반대 측으로 돌출된 파지부(113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성체(120)는 본체부(110)의 수용공간(110a)에 배치되고, 마그네틱 부재(12)와 자력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성체(120)는 기설정된 두께 및 폭을 갖는 원호(arc) 형상으로 형성되고,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어 내부에 안착 공간(120a)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성체(120)는 N극과 S극이 좌우 상하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된 다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측 및 외측 직경은 마그네틱 부재(12)의 내측 및 외측 직경과 동일하게 제공될 수 있다. 즉, 자성체(120)는 마그네틱 부재(12)와 동일한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무선 충전장치(100) 내부에 자성체(120)가 구비됨에 따라 그네틱 부재(12)가 내장된 모바일 단말기(M)의 배면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게 된다.
송신 코일(130)은 전류의 공급시 유도 전류를 발생시켜 모바일 단말기(M)의 안테나 모듈(1) 측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 코일(130)은 권선되어 자성체(120)의 안착 공간(120a)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송신 코일(130)에 전류가 흐르는 동안 충전모듈(110A)의 중심부 상에 유도 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발생된 유도 전류는 커버부(112)에 의해 차폐되어 모바일 단말기(M)가 부착되는 베이스부(111) 측으로 유도될 수 있다. 이러한 전자기장의 형성 및 유도로 인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무선충전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마그넷 어셈블리가 설치된 모바일 단말기와 무선 충전장치가 자력에 의해 결합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무선 충전장치의 사용 예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마그네틱 부재(12)가 설치된 모바일 단말기(M)의 배면에 충전모듈(110A)의 자성체(120)를 이용하여 무선 충전장치(100)를 결합시킨다. 그러면, 자력에 의하여 무선 충전장치(100)는 마그네틱 부재(12)에 결합되고, 송신 코일(130)에 의해 발생하는 유도 전류에 의해 모바일 단말기(M)는 무선 충전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파지부(113a)를 잡고 지지부(113)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지지부(113)는 베이스부(111)로부터 벌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지지부(113)를 지면에 안착시키면 모바일 단말기(M)를 세워둔 상태로 무선 충전이 가능해지며, 이로 인해 무선 충전을 수행하며 동영상 등의 시청이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기(M)에 마그넷 어셈블리(10)를 설치해 줌으로써 자성체(120)가 구비된 무선 충전장치(100)와 자력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무선 충전시 모바일 단말기(M)가 무선 충전장치(10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무선 충전시 접촉 불량으로 인한 무선 충전 효율의 저하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마그네틱 부재(12)에 복수의 슬릿(12a)을 형성해 줌으로써, 마그네틱 부재(12)에서 발생하는 자력에 의한 모바일 단말기(M)의 전자페이(MST), NFC, 무선 충전 코일 안테나의 전파의 방해를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페이(MST), NFC, 무선 충전 코일 안테나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발열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마그네틱 부재(12)를 통해 모바일 단말기(M)의 충전위치를 정확하게 위치시켜줄 수 있으므로, 무선 충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무선 충전장치(100)를 통해 모바일 단말기(M)를 지면에 세워둔 상태로 충전이 가능해지므로, 무선으로 충전하면서 동영상을 시청하는 등 사용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모바일 단말기용 마그넷 어셈블리
11: 베이스 부재
12: 마그네틱 부재
12a: 슬릿
13: 차폐부재
100: 모바일 단말기용 무선 충전장치
110A: 충전모듈

Claims (12)

  1. 모바일 단말기 내부에 결합되는 베이스부재; 및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면에 제공되며, 적어도 하나의 슬릿이 형성된 마그네틱 부재;
    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마그넷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원형의 판 형상으로 제공되는 모바일 단말기용 마그넷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와 상기 마그네틱 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마그네틱 부재에서 발생하는 자력이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전자페이(MST), NFC, 무선 충전 코일 안테나의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차폐하는 차폐부재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마그넷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마그네틱 부재와 동일한 형상으로 제공되는 모바일 단말기용 마그넷 어셈블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재는 철, 규소, 아연 중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마그넷 어셈블리.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전자페이(MST), NFC, 무선 충전 코일 안테나와 간섭되지 않도록 제공되는 모바일 단말기용 마그넷 어셈블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 부재에 형성된 슬릿의 폭은 적어도 1 ~ 10mm로 제공되는 모바일 단말기용 마그넷 어셈블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 부재는 사이마다 슬릿이 형성된 복수의 슬라이스 부재를 포함하여,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원형의 판 형상으로 제공되는 모바일 단말기용 마그넷 어셈블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슬릿은 상기 마그네틱 부재의 원주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모바일 단말기용 마그넷 어셈블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 부재는 영구자석 또는 네오디뮴 자석으로 제공되는 모바일 단말기용 마그넷 어셈블리.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마그넷 어셈블리와 자력에 의해 결합 가능한 모바일 단말기용 무선 충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장치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충전하기 위한 유도 전류를 발생시키며, 상기 마그네틱 부재와 자력에 의해 결합되는 충전모듈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무선 충전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모듈은 상기 마그네틱 부재와 동일 구조의 자성체를 포함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모바일 단말기용 무선 충전장치.
KR1020220008425A 2022-01-20 2022-01-20 모바일 단말기용 마그넷 어셈블리 및 이와 결합되는 무선 충전장치 KR20230112312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8425A KR20230112312A (ko) 2022-01-20 2022-01-20 모바일 단말기용 마그넷 어셈블리 및 이와 결합되는 무선 충전장치
PCT/KR2023/000961 WO2023140654A1 (ko) 2022-01-20 2023-01-19 모바일 단말기용 마그넷 어셈블리 및 이와 결합되는 무선 충전장치
US18/278,468 US20240136863A1 (en) 2022-01-20 2023-01-19 Magnet assembly for mobile terminal and wireless charging device combined therewith
CN202380009936.8A CN116802964A (zh) 2022-01-20 2023-01-19 用于移动终端的磁体组件以及与其结合的无线充电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8425A KR20230112312A (ko) 2022-01-20 2022-01-20 모바일 단말기용 마그넷 어셈블리 및 이와 결합되는 무선 충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2312A true KR20230112312A (ko) 2023-07-27

Family

ID=87348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8425A KR20230112312A (ko) 2022-01-20 2022-01-20 모바일 단말기용 마그넷 어셈블리 및 이와 결합되는 무선 충전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40136863A1 (ko)
KR (1) KR20230112312A (ko)
CN (1) CN116802964A (ko)
WO (1) WO2023140654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2576A (ko) 2018-09-18 2020-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충전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4641B1 (ko) * 2011-08-08 2018-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일 평면에 무선충전 코일과 안테나 소자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1703842B1 (ko) * 2013-03-05 2017-02-08 주식회사 아모센스 자기장 및 전자파 차폐용 복합시트 및 이를 구비하는 안테나 모듈
US10320230B2 (en) * 2014-03-26 2019-06-11 Apple Inc. Temperature management for inductive charging systems
KR20180038281A (ko) * 2016-10-06 2018-04-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 충전을 위한 코일 블록 및 그것의 제조 방법
US11710988B2 (en) * 2019-09-27 2023-07-25 Apple Inc. Magnetic alignment systems with NFC for electronic devices
KR20220068192A (ko) * 2020-11-18 2022-05-25 주식회사 노바텍 휴대 단말기용 자석 어셈블리, 이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 무선 충전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2576A (ko) 2018-09-18 2020-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충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802964A (zh) 2023-09-22
US20240136863A1 (en) 2024-04-25
WO2023140654A1 (ko) 2023-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30107B2 (en) Portable terminal having a wireless charger coil and antenna element
KR101738073B1 (ko) 무선 충전기가 구비된 휴대폰 거치대
US9667085B2 (en) Wireless charger for electronic device
US20120098484A1 (en) Wireless charging system, battery with wireless charging function and electronic devices with the same
US9270797B2 (en) Reducing inductive heating
KR101528722B1 (ko) 수급전 장치 및 휴대 기기
US11349346B2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TW201421849A (zh) 磁場空間之形成方法
JP2012010533A (ja) 電力伝送システム、該電力伝送システムの給電装置及び携帯機器
KR20190070011A (ko) 무선전력 송신장치
US9276645B2 (en) Inductive charger for providing radio frequency (“RF”) signal to a portable electric device
KR20170089687A (ko) 무선 충전용 수신기가 구비된 단말용 케이스
CN212162859U (zh) 一种便携式电子设备保护套
KR20230112312A (ko) 모바일 단말기용 마그넷 어셈블리 및 이와 결합되는 무선 충전장치
KR101522572B1 (ko) 휴대기기용 무선충전 배터리장치
KR101924338B1 (ko) 동일 평면에 무선충전 코일과 안테나 소자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EP4262232A1 (en) Speaker module and earpiece
JP2018153024A (ja) 送電装置
US10141772B2 (en) Communication device
CN214380319U (zh) 一种无线移动电源
CN214479853U (zh) 手机隔磁充电装置
CN211209349U (zh) 无线充电接收装置
US20200076243A1 (en) Wireless charging apparatus for stabilizing wireless charging performance
JP2020096414A (ja) ケース
CN112531921A (zh) 手机隔磁充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