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2015A - 모발의 갈변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모발의 갈변화 방법 - Google Patents

모발의 갈변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모발의 갈변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2015A
KR20230112015A KR1020220027377A KR20220027377A KR20230112015A KR 20230112015 A KR20230112015 A KR 20230112015A KR 1020220027377 A KR1020220027377 A KR 1020220027377A KR 20220027377 A KR20220027377 A KR 20220027377A KR 20230112015 A KR20230112015 A KR 202301120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browning
composition
gallic acid
ascorbyl phosph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7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봉규
셀바라즈 카르티케얀
유동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앱스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앱스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앱스바이오
Priority to US17/813,112 priority Critical patent/US11672745B1/en
Priority to CN202210901752.XA priority patent/CN116492236A/zh
Publication of KR20230112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201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8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with carboxyl groups directly bound to carbon atoms of aromat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6Ascorbic acid, i.e. vitamin 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6Preparations for styling the hair, e.g. by temporary shaping or colouring
    • A61Q5/065Preparations for temporary colouring the hair, e.g. direct d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0Preparations for permanently dye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30Characterized by the absence of a particular group of ingredi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칼리제, 산화제 및 방향족 아민계열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아 두피 및 모발 손상 없이 갈변화가 가능하며, 또한 갈변 효과 및 이의 지속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모발의 갈변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갈산(gallic acid), 마그네슘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magnesium ascorbyl phosphate) 및 트로메타민(tromethamine)을 포함하는, 모발의 갈변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모발의 갈변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모발의 갈변화 방법{HAIR BROWNING COMPOSITION AND HAIR BROWN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모발의 갈변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모발의 갈변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산화제, 알칼리제 및 방향족 아민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아 독성 없이 모발의 갈변화가 가능하며, 또한 갈변 효과 및 이의 지속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모발의 갈변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모발은 스트레스, 노화 등에 의해 색이 서서히 옅어지거나 흰색으로 변화되어 외모적인 측면에서의 자신감은 물론 심리적으로도 위축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모발의 원래 색을 유지하거나 원하는 다른 색으로 보이도록 하기 위해 수많은 염모제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염모제가 모발의 색을 바꾸기 위해서는 모발의 큐티클(Cuticle)을 통과하여 피질(Cortex) 까지 스며들어야 한다. 그러나 모발의 큐티클은 물고기의 비늘과 비슷한 구조로써 모발을 보호하는 강력한 껍질이기 때문에 염모제가 피질까지 스며들기가 매우 어렵다.
이에 시중에서 판매되는 염모제는 강알칼리제 및 산화제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다.
강알칼리제는 비늘 구조로 닫혀 있는 큐티클을 개방하여 염모제가 피질에 스며들도록 한다. 여기서 강알칼리제는 암모니아 또는 모노에탄올아민이 주로 사용되며, 이러한 강알칼리제는 두피와 주변의 피부에 자극성이 있어 염증을 일으키는 경우가 많다.
또한 산화제는 염모제에 포함되어 있는 색소 전구체를 산화시켜 발색시킨다. 여기서 산화제는 과산화수소가 주로 사용되며, 이러한 산화제는 강한 산화력으로 인해 모발의 큐티클을 손상시키며, 두피와 주변 피부에 자극성이 있다.
또한 염모제의 주요 성분인 색소전구체는 대부분 방향족 아민계열 화합물이기 때문에 사람의 체질에 따라서 두드러기와 같은 알레르기반응을 일으키는 경우도 많은 문제점이 있다.
특히 페닐렌디아민으로 대표되는 방향족 아민계열 화합물은 피부독성, 생식독성, 유전독성 등 인체에 대한 해로운 영향이 많기 때문에, 각국의 식약처는 이를 염모제로 분류하여 용도 및 사용량에 대하여 엄격한 제한을 두고 있다.
이에 따라, 두피 및 모발에 대한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모발의 갈변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에 대한 연구가 널리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은 알칼리제, 산화제 및 방향족 아민계열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아 두피 및 모발 손상 없이 갈변화가 가능하며, 또한 갈변 효과 및 이의 지속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모발의 갈변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갈산(gallic acid), 마그네슘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magnesium ascorbyl phosphate), 트로메타민(tromethamine) 및 물을 포함하는, 모발의 갈변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모발의 갈변용 조성물은 산화제 및 알칼리제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모발의 갈변용 조성물은 방향족 아민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모발의 갈변용 조성물은 물 100중량% 기준으로 갈산 0.5~1.5중량%, 마그네슘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 0.1~15.0중량% 및 트로메타민 0.5~1.5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발의 갈변용 조성물은 pH 조절제, 팽윤제, 완충제, 방부제, 항산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발의 갈변용 조성물의 제형은 헤어컨디셔너, 헤어토닉, 헤어 크림, 헤어 로션, 헤어 페이스, 헤어 겔, 헤어 팩, 헤어 마사지, 헤어 리퀴드, 헤어 스프레이, 헤어무스, 트리트먼트, 에어로졸 무스, 에어로졸 스프레이, 파마제, 샴푸, 린스, 샴푸와 린스 혼합형, 비누, 파우더 및 오일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상기 모발의 갈변용 조성물을 이용하는 모발의 갈변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모발의 갈변화 방법은 상기 모발의 갈변용 조성물을 모발에 도포한 후 1~30분 동안 방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발의 갈변용 조성물에 의하면, 산화제 및 알칼리제를 포함하지 않아 이에 의해 유발되는 독성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발의 갈변용 조성물에 의하면, 방향족 아민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아 이에 의해 유발되는 독성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발의 갈변용 조성물에 의하면, 헤어컨디셔너, 헤어토닉, 헤어 크림, 헤어 로션, 헤어 페이스, 헤어 겔, 헤어 팩, 헤어 마사지, 헤어 리퀴드, 헤어 스프레이, 헤어무스, 트리트먼트, 에어로졸 무스, 에어로졸 스프레이, 파마제, 샴푸, 린스, 샴푸와 린스 혼합형, 비누, 파우더 및 오일 등의 다양한 모발용 제품에 포함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발의 갈변용 조성물에 의하면, 모발 흡착 효과가 우수하여 ㅂ샴보다 우수한 갈변 효과의 지속성을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갈산의 모발에 대한 흡착량을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마그네슘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 첨가량에 따른 색채값을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마그네슘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 첨가량에 따른 흰머리 갈변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마그네슘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 첨가량에 따른 색채값 지속력을 나타낸 도이다.
일반적으로, 여기에서 사용된 용어 및 문구는 기술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를 가지고, 표준 텍스트, 저널 참조 및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문헌을 참조함으로써 알 수 있다. 아래 정의들은 이 설명의 문맥에서 그것들의 특정 용도를 명확히 하기 위해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서 "모발"이란, 사람 또는 동물의 표피에서 자라는 털을 포함하는 의미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사람의 두피에서 자라는 털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갈산(gallic acid)"란, C6H2(OH)3COOH의 화학식을 갖는 화합물이다. 갈산은 식물계에 널리 존재하는 폴리페놀의 일종으로써 산성에서는 서서히 녹두색 내지 옅은 갈색으로 변하는 특성이 있다. 갈산은 또한 중성 내지 알칼리성에서는 갈색 내지 적갈색으로 변한다. 그러나 갈산은 모발에 흡착되는 양이 매우 적을 뿐 아니라 흡착(adsorption)이 되어도 세제 등에 의해 쉽게 탈착(desorption)되는 문제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마그네슘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magnesium ascorbyl phophate)"란, C12H12Mg3O18P2의 화학식을 갖는 화합물이다. 마그세슘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는 안정한 비타민 C 전구체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모발에 대한 갈산의 흡착력을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본 명세서에서 "트로메타민(tromethamine)"이란, C4H11NO3의 화학식을 갖는 화합물이다. 트로메타민은 화장품에 주로 포함되는 성분으로 향료 또는 pH 조절제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는 갈산의 물에 대한 용해도를 높이기 위한 성분으로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갈변"이란, 산화 작용에 의해 갈색으로 변하는 현상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는 갈산에 존재하는 반응기가 산소를 흡수하여 점점 더 진한 색을 띠게 되어 황색, 갈색, 진한 갈색, 검정색으로 변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산화제"란, 산화 환원 반응에서 다른 물질을 산화시키는 물질로서, 주로 염색제에 사용되는 산화제, 예를 들어 과산화수소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염색제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산화제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모발을 갈색으로 변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알칼리제"란, 물의 알칼리도를 높이기 위한 물질로서, 주로 염색제에 사용되는 알칼리제, 예를 들어 암모니아 또는 모노에탄올아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염색제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알칼리제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모발을 갈색으로 변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방향족 아민 화합물"이란, 아미노기를 갖는 방향족 화합물로서, 주로 염색제에 사용되는 방향족 아민 화합물, 예를 들어 페닐렌디아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염색제에 주로 사용되는 방향족 아민 화합물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모발을 갈색으로 변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 조성물은 제형화하는데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나, 헤어컨디셔너, 헤어토닉, 헤어 크림, 헤어 로션, 헤어 페이스, 헤어 겔, 헤어 팩, 헤어 마사지, 헤어 리퀴드, 헤어 스프레이, 헤어무스, 트리트먼트, 에어로졸 무스, 에어로졸 스프레이, 파마제, 샴푸, 린스, 샴푸와 린스 혼합형, 비누, 파우더 및 오일 등의 제형을 갖는 조성물일 수 있다. 이들 각 제형의 조성물은 상기한 각종 제형에 따라 또는 최종 목적에 적합하게 통상의 조성물에 배합되는 각종 성분들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의 종류와 양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선정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 갈산, 마그네슘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 및 트로메타민 혼합 조성물의 제조
갈산, 마그네슘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 및 트로메타민을 시중에서 구입하여, 아래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으로 혼합하였다.
실험예 1. 갈산의 모발 표면 흡착량 분석
갈산이 모발 표면에 흡착되는 양은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조성물에 모발을 담근 다음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그 조성물 중에 있는 갈산의 농도를 HPLC로 분석하여 측정하였다. 이 때 갈산의 농도는 1.0%(w/v)로 고정하고 마그네슘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의 농도는 0, 0.1, 1.0, 10.0%로 변화를 주었다. 갈산의 흡착량 q는 아래의 식으로 계산하였다.
q= {(Ci-Ce)/m}×V
Ci: 최초상태의 갈산 농도 (mg/mL)
Ce: 흡착평형 상태의 갈산 농도 (mg/mL)
m: 모발의 중량 (mg)
V: 시험용액의 부피 (mL)
갈산의 HPLC 분석은 Inertsil ODS-3 (5 ㎛, 4.6×250 mm) 컬럼을 사용하여 자외선 검출기(265 nm)로 측정하였다. 이동상은 아세토니트릴과 1%v/v 증류수 내 인산의 50:50 혼합액, 유동 속도는 0.4 ml/min, 주입 부피는 30 ㎕, 컬럼 온도는 30℃로 하였다. 갈산의 농도는 유지시간 6.8분에 나타난 피크의 넓이를 미리 작성해 둔 검량선식 (y = 203592x+ 3496, R² = 1.0000)으로 계산하였다.
실험 결과 마그네슘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를 첨가하지 않으면 갈산의 모발에 대한 흡착량이 매우 적었으나 마그네슘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를 첨가하면 흡착량이 현저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용액 중 마그네슘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의 농도가 0.1%w/v일 때는 흡착평형에 도달하는 시간이 20분 이상 걸리는데 비하여 마그네슘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의 농도가 1%w/v 이상에서는 3분만에 흡착평형에 도달하였다. 또한 갈산의 모발에 대한 흡착량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그네슘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의 농도에 따라서 비례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갈산, 마그네슘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 및 트로메타민의 조성물의 흰머리 갈변효과
상기 실시예 1 내지 4의 조성물에 대하여 흰머리 갈변효과를 아래와 같이 측정하였다. 각각의 조성물이 담긴 10 ml 용량 바이알에 탈색된 모발을 넣고 서서히 흔들어 주었다. 약 3분 경과 후 모발을 꺼내어 흐르는 물에 충분히 씻어내고 헤어드라이어를 이용하여 건조한 다음 색차계(CR-400, Konica Minolta)를 이용하여 색채값 (L*, a*, b*)을 측정하고 색채값(E)은 아래의 식으로 계산하였다.
색채값 (E) = {(100-L*)2 + (a*)2 + (b*)2}1/2
그 결과 마그네슘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를 첨가하지 않은 비교예 1에서는 모발의 갈변효과가 적은 것에 비해, 실시에 1 내지 3의 조성물은 마그네슘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의 첨가량에 따라서 비례적으로 현저하게 갈변효과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2, 도 3). 특히 실시예 3의 경우에는 갈산이 흰머리에 강력하게 흡착되어 흰머리를 진한 흑갈색으로 착색시켜주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3. 색채값 지속력 측정
비교예 1의 조성물 및 실시예 1 내지 3의 조성물을 흰머리에 3분간 적용한 다음 색채값이 얼마나 오래 지속되는지 아래와 같이 측정하였다. 각각의 조성물로 처리된 모발을 디소듐 라우레스 술포숙시네이트와 소듐 C14-16 올레핀술포네이트가 각각 5%, 15% 함유된 증류수에 담가 5분간 비비면서 세척한 후 헤어드라이어로 건조하였으며 이 과정을 10회 반복 실시하였다. 마그네슘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 첨가량에 따른 색채값 지속력은 매회 세척 후 색차계(CR-400, Konica Minolta)를 이용하여 색채값 (L*, a*, b*)을 측정하여 정량적으로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마그네슘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를 첨가하지 않은 비교예 1에서는 1회 세척시 갈변효과가 거의 사라지고 색채값이 대조 모발과 같은 수준으로 저하되었다. 이에 반해 마그네슘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가 1%w/v 이상 첨가된 실시예 3 및 4의 조성물의 경우에는 1회 세척으로는 색채값에 변화가 거의 없고 10회 세척한 후에도 세척 전에 비해 큰 차이가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그네슘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 첨가량에 따른 색채값 지속력은 도 4에 나타내었다.

Claims (8)

  1. 갈산(gallic acid), 마그네슘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magnesium ascorbyl phosphate), 트로메타민(tromethamine) 및 물을 포함하는, 모발의 갈변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산화제 및 알칼리제를 포함하지 않는, 모발의 갈변용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방향족 아민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는, 모발의 갈변용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의 갈변용 조성물은 물 100중량% 기준으로 갈산 0.5~1.5중량%, 마그네슘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 0.1~15.0중량% 및 트로메타민 0.5~1.5중량%를 포함하는, 모발의 갈변용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의 갈변용 조성물은 pH 조절제, 팽윤제, 완충제, 방부제, 항산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모발의 갈변용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의 갈변용 조성물의 제형은 헤어컨디셔너, 헤어토닉, 헤어 크림, 헤어 로션, 헤어 페이스, 헤어 겔, 헤어 팩, 헤어 마사지, 헤어 리퀴드, 헤어 스프레이, 헤어무스, 트리트먼트, 에어로졸 무스, 에어로졸 스프레이, 파마제, 샴푸, 린스, 샴푸와 린스 혼합형, 비누, 파우더 및 오일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모발의 갈변용 조성물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의 모발의 갈변용 조성물을 이용하는 모발의 갈변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의 갈변용 조성물을 모발에 도포한 후 1~30분 동안 방치하는, 모발의 갈변화 방법.
KR1020220027377A 2022-01-19 2022-03-03 모발의 갈변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모발의 갈변화 방법 KR2023011201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813,112 US11672745B1 (en) 2022-01-19 2022-07-18 Hair browning composition and hair browning method using same
CN202210901752.XA CN116492236A (zh) 2022-01-19 2022-07-28 毛发褐变组合物及使用其的毛发褐变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07794 2022-01-19
KR1020220007794 2022-01-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2015A true KR20230112015A (ko) 2023-07-26

Family

ID=87427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7377A KR20230112015A (ko) 2022-01-19 2022-03-03 모발의 갈변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모발의 갈변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201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42637B1 (en) Keratin treatment formulations and methods
US4840639A (en) Agent for dyeing hair
US4620850A (en) Composition and process for the oxidative dyeing of hair
JPH06287110A (ja) 毛髪化粧料
US20120141398A1 (en) Hair dye containing one or more edible or cosmetic colors
EP2196182A2 (fr) Procédé de coloration capillaire a partir d'une composition comprenant au moins un orthodiphénol, un sel métallique, du péroxyde d'hydrogène, du (bi)carbonate et un agent alcalinisant
RU2095011C1 (ru) Способ окраски кератиновых волокон
US11311468B2 (en) Hair coloring composition and related coloring kit
JP2003171248A (ja) 染毛剤組成物および染毛剤
US5782933A (en) Ascorbic and isoascorbic acids to remove or adjust oxidative color in hair
KR20230112015A (ko) 모발의 갈변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모발의 갈변화 방법
US11672745B1 (en) Hair browning composition and hair browning method using same
CA2139017C (fr) Composition de teinture d'oxydation des fibres keratiniques comprenant un derive de paraphenylenediamine et le 2-methyl 5-aminophenol, et procede de teinture utilisant une telle composition
CN116492236A (zh) 毛发褐变组合物及使用其的毛发褐变方法
KR20180108266A (ko) 염색용 조성물
KR101459086B1 (ko) 5,6-디히드록시인돌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염모제 조성물
KR20220074223A (ko) 모발 염색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모발 염색 방법
Zviak et al. Hair bleaching
US8999301B2 (en) Bleaching methods and compositions
KR20230169870A (ko) 폴리페놀 함유 조성물과 2가 철화합물 함유 조성물을 순차적으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발염색 방법
TWI414315B (zh) 毛髮的染色及再染色方法
DE60207823T2 (de) Haarfärbemittel
FR2996125A1 (fr) Procede de coloration capillaire mettant en oeuvre au moins un derive de naphtol, un sel de manganese ou de zinc, du peroxyde d'hydrogene et du (bi)carbonate
KR102169115B1 (ko) 포스포세린을 포함하는 염색모의 물 빠짐 방지용 조성물
KR101835475B1 (ko) 얼룩제거 염모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