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1411A - 시공 편의성이 향상된 안테나 위장 장치 - Google Patents

시공 편의성이 향상된 안테나 위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1411A
KR20230111411A KR1020220007223A KR20220007223A KR20230111411A KR 20230111411 A KR20230111411 A KR 20230111411A KR 1020220007223 A KR1020220007223 A KR 1020220007223A KR 20220007223 A KR20220007223 A KR 20220007223A KR 20230111411 A KR20230111411 A KR 202301114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ouflage
antenna
pole
concave
improved co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7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윤성
Original Assignee
폴그린테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폴그린테크(주) filed Critical 폴그린테크(주)
Priority to KR1020220007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1411A/ko
Publication of KR20230111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14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07Supports; Mounting means for fastening a rigid aerial element

Landscapes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공 편의성이 향상된 안테나 위장 장치에 있어서, 안테나가 설치되는 설치 영역 중 일 영역에 설치 및 고정되는 복수 개의 지주; 상기 복수 개의 지주의 상단 일 영역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상부 프레임; 상기 복수 개의 지주의 하단 일 영역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되, 상면 및 하면에 상기 안테나를 위장하기 위한 위장 폴대가 삽입되는 복수 개의 홀(hole)을 포함하는 하부 프레임; 및 상기 상부 프레임의 일 영역에 소정의 거리마다 설치되는 브라켓(bracket) 구조로, 상기 복수 개의 홀 각각에 수직 방향으로 삽입되는 상기 위장 폴대의 상단 일 영역이 상기 브라켓 구조의 내부 면에 의해 그립(grip)됨으로써, 상기 위장 폴대를 상기 상부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그립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외에도 본 문서를 통해 파악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시공 편의성이 향상된 안테나 위장 장치{ANTENNA CAMOUFLAGE DEVICE WITH IMPROVED CONSTRUCTION CONVENIENCE}
본 발명은 시공 편의성이 향상된 안테나 위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안테나가 설치되는 설치 영역 중 일 영역에 설치 및 고정되는 복수 개의 지주의 상단 일 영역에 설치되는 상부 프레임과 하단 일 영역에 설치되는 하부 프레임에 안테나를 위장하기 위한 위장 폴대가 설치되는 경우, 상단 프레임에 형성된 그립 고정부의 내부 공간으로 위장 폴대를 삽입해 그립 고정부로 하여금 삽입된 위장 폴대를 그립(grip)하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안테나는 통신 인프라의 핵심 부품으로서, 최근 모바일 통신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됨에 따라 안테나에 대한 설치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안테나는 중형 설치물에 포함되는 크기를 가지고 있고, 형태마저 익숙하지 않아, 도심 내에 설치되는 경우, 도심의 미관을 지저분하게 만드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심에 설치되는 안테나의 인근 영역에는 외부에 안테나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한 위장재가 함께 설치된다. 다만, 도심 내에 설치되는 안테나는 송수신에 문제가 되지 않도록 주로 건물의 옥상에 설치되는데, 안테나와 위장재를 작은 건물의 옥상에 설치하는 경우, 작업자의 작업 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안테나 설치 업종에 종사하고 있는 업체들은 작업자의 능률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을 개발하고 있다.
일 예로서, 한국공개특허 10-2019-0011025(건물 옥상 안테나 위장용 펜스 조립모듈 및 이를 이용하여 설치된 안테나 위장 펜스)에는 제1 체결부재 및 제2 체결 부재를 통해 프레임과 패널을 연결하여, 안테나를 위장하기 위한 펜스를 설치하는 기술만이 개시되어 있을 뿐, 안테나가 설치되는 설치 영역 중 일 영역에 설치 및 고정되는 복수 개의 지주의 상단 일 영역에 설치되는 상부 프레임과 하단 일 영역에 설치되는 하부 프레임에 안테나를 위장하기 위한 위장 폴대가 설치되는 경우, 상단 프레임에 형성된 그립 고정부의 내부 공간으로 위장 폴대를 삽입해 그립 고정부로 하여금 삽입된 위장 폴대를 그립(grip)함으로써, 안테나 설치에 있어서 시공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지 않아,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시공 편의성이 향상된 안테나 위장 장치를 통하여, 안테나가 설치되는 설치 영역 중 일 영역에 설치 및 고정되는 복수 개의 지주의 상단 일 영역에 설치되는 상부 프레임과 하단 일 영역에 설치되는 하부 프레임에 안테나를 위장하기 위한 위장 폴대가 설치되는 경우, 상단 프레임에 형성된 그립 고정부의 내부 공간으로 위장 폴대를 삽입해 그립 고정부로 하여금 삽입된 위장 폴대를 그립(grip)하도록 함으로써, 안테나 설치 및 회수 작업에 있어서, 작업자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공 편의성이 향상된 안테나 위장 장치에 있어서, 안테나가 설치되는 설치 영역 중 일 영역에 설치 및 고정되는 복수 개의 지주; 상기 복수 개의 지주의 상단 일 영역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상부 프레임; 상기 복수 개의 지주의 하단 일 영역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되, 상면 및 하면에 상기 안테나를 위장하기 위한 위장 폴대가 삽입되는 복수 개의 홀(hole)을 포함하는 하부 프레임; 및 상기 상부 프레임의 일 영역에 소정의 거리마다 설치되는 브라켓(bracket) 구조로, 상기 복수 개의 홀 각각에 수직 방향으로 삽입되는 상기 위장 폴대의 상단 일 영역이 상기 브라켓 구조의 내부 면에 의해 그립(grip)됨으로써, 상기 위장 폴대를 상기 상부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그립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 프레임은, 지정된 길이를 가지는 복수 개의 모듈로 형성되어, 상기 복수 개의 모듈 구조 각각의 양 측단이 서로 맞물려 조립되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지주의 하단 일 영역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 가능한 상기 하부 프레임의 구조를 형성하는 조립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립 부재는, 상기 조립 부재의 양 측단 중 하나의 측단인 제1 측단에 형성되되, 상기 제1 측단에서 일정 깊이로 패인 레일 형태의 내부 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면에 제1 요철 구조를 포함하는 수용부; 및 상기 조립 부재의 양 측단 중 상기 제1 측단의 반대 방향에 위치한 제2 측단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돌출부가 상기 수용부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제1 요철 구조와 맞물려 체결되는 제2 요철 구조를 포함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조립 부재는, 상기 수용부의 내부 공간에 상기 삽입부의 돌출부를 삽입 시, 상기 제1 요철 구조와 상기 제2 요철 구조 간의 맞물리는 높낮이를 조절해 상기 복수 개의 모듈 간의 높이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하부 프레임의 형태를 변경 가능하다.
상기 위장 폴대는, 상기 복수 개의 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위장 폴대의 상단 일 영역이 상기 브라켓 구조의 내부 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브라켓 구조와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요철부를 통해 상기 그립 고정부에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그립 고정부는, 상기 그립 고정부의 내부 면에 형성되는 고무 재질로, 상기 위장 폴대의 상단 일 영역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요철부와 접촉됨으로써, 상기 그립 고정부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위장 폴대가 흔들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상부 프레임은, 상기 설치 영역에 설치된 안테나의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안테나의 상단 일 영역에 연결된 상단 고정부가 체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인 시공 편의성이 향상된 안테나 위장 장치를 통해 작업자는 안테나가 설치되는 영역의 구조 및 기타 구성(예: 안테나의 전선, 케이블 선 등)에 제한받지 않고 위장 폴대를 설치 가능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위장 폴대의 설치 외에도, 안테나 설비 철거 시 그립 고정부에 고정된 위장 폴대를 쉽게 탈거 가능하여, 작업에 소모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공 편의성이 향상된 안테나 위장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공 편의성이 향상된 안테나 위장 장치의 그립 고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공 편의성이 향상된 안테나 위장 장치의 하부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공 편의성이 향상된 안테나 위장 장치의 하부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공 편의성이 향상된 안테나 위장 장치의 위장 폴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 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면에 기재된 사항은 본 발명의 각 구성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하여 일부의 구성이 생략되거나, 과하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되어 있으나, 해당 도시 사항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 및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이해됨이 당연할 것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하나의 기술적 특징 또는 발명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하여 다수의 도면이 동시에 참조되어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공 편의성이 향상된 안테나 위장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시공 편의성이 향상된 안테나 위장 장치는 복수 개의 지주(101), 상부 프레임(103), 하부 프레임(105), 위장 폴대(107) 및 그립 고정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 개의 지주(101)는, 안테나(110)가 설치되는 설치 영역 중 일 영역에 설치 및 고정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상기 복수 개의 지주(101)는 상기 설치 영역 중 일 영역에 삽입됨으로써, 지지력을 확보하는 구성으로써, 상기 상부 프레임(103), 상기 하부 프레임(105) 및 상기 위장 폴대(107)가 설치되는 구성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 프레임(103)은 상기 복수 개의 지주(101)의 하단 일 영역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프레임(103)은 상기 설치 영역에 설치된 안테나의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안테나의 상단 일 영역에 연결된 상단 고정부가 체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 프레임(103)은 상기 안테나의 상단 일 영역에 연결된 상단 고정부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설치 영역에서의 안테나에 대한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 프레임(105)은 상기 복수 개의 지주(101)의 하단 일 영역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되, 상면 및 하면에 상기 안테나(110)를 위장하기 위한 위장 폴대(107)가 삽입되는 복수 개의 홀(hol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프레임(105)은 복수 개의 모듈 각각이 조립됨에 따라 형성되는 구조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그립 고정부는 상기 상부 프레임(103)의 일 영역에 소정의 거리마다 설치되는 브라켓(bracket) 구조로, 상기 복수 개의 홀 각각에 수직 방향으로 삽입되는 상기 위장 폴대(107)의 상단 일 영역이 상기 브라켓 구조의 내부 면에 의해 그립(grip)됨으로써, 상기 위장 폴대(107)를 상기 상부 프레임(103)에 고정시킬 수 있다. 즉, 상기 그립 고정부는 브라켓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그립 고정부의 내무 면에 의해 그립(grip)되는 상기 위장 폴대(107)는 작업자에 의해 쉽게 상기 그립 고정부로부터 탈거될 수 있다.
종래에는 상기 위장 폴대(107)를 상기 상부 프레임(103) 및 상기 하부 프레임(105)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앵커 볼트를 통해 상기 위장 폴대(107)를 상기 상부 프레임(103) 및 상기 하부 프레임(105)에 결합하였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위장 폴대(107)의 설치 작업에 있어, 작업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고, 안테나(110) 철거 시, 상기 앵커 볼트에 녹이 생성되어 있어, 철거 작업에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인 시공 편의성이 향상된 안테나 위장 장치는 상기 그립 고정부를 통해 상기 위장 폴대(107)를 쉽게 설치 및 철거할 수 있어, 작업자의 작업 효율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공 편의성이 향상된 안테나 위장 장치의 그립 고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의 (a)를 참조하면, 시공 편의성이 향상된 안테나 위장 장치는 그립 고정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그립 고정부(200)는 상부 프레임(예: 도 1의 상부 프레임(103))의 일 영역에 소정의 거리마다 설치되는 브라켓(bracket) 구조로, 하부 프레임(예: 도 1의 하부 프레임(105))에 형성된 복수 개의 홀 각각에 수직 방향으로 삽입되는 위장 폴대(예: 도 1의 위장 폴대(107))의 상단 일 영역이 상기 브라켓 구조의 내부 면(203)에 의해 그립(grip)됨으로써, 상기 위장 폴대를 상기 상부 프레임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그립 고정부(200)는 별도의 홈(20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별도의 홈(201)은 상기 상부 프레임에 상기 그립 고정부(200)를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예: 나사, 앵커 볼트 등)이 체결되는 영역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그립 고정부(200)는 상기 내부 면(203)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205)에 상기 위장 폴대가 삽입되는 경우, 상기 위장 폴대를 그립하여, 상기 상부 프레임에 상기 위장 폴대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그립 고정부(200)는 상기 브라켓 구조의 내부 면에 형성되는 고무 재질로, 상기 위장 폴대의 상단 일 영역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요철부가 접촉됨으로써, 상기 그립 고정부(200)의 내부 면(예: 브라켓 구조의 내부 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상기 위장 폴대의 상단 일 영역이 삽입되는 경우, 상기 상단 일 영역에 위치한 요철부와 맞닿을 수 있다.
즉, 상기 그립 고정부(200)는 그립 고정부(200)의 내부 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상기 위장 폴대의 요철부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위장 폴대를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공간(예: 내부 면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서 상기 위장 폴대가 흔들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그립 고정부(200)의 형태는 도 2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위장 폴대를 고정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의 (b)를 참조하면, 상기 그립 고정부(200)는 하나의 구성에 복수 개의 위장 폴대가 고정되는 영역을 복수 개 포함할 수 있다. 도 2의 (b)에 도시된 그립 고정부(200)는 하나의 구성으로 복수 개의 위장 폴대를 구성할 수 있어, 위장 폴대가 지정된 간격으로 설치되는 설치 영역에서 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2의 (a)에 도시된 그립 고정부(200)의 구조는 하나의 상부 프레임에 하나씩 설치됨에 따라, 설치 영역의 크기, 구조 및 안테나의 구조에 따라 위장 폴대를 지정된 간격이 아닌 가변적 간격으로 설치해야 되는 상황에 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공 편의성이 향상된 안테나 위장 장치의 하부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시공 편의성이 향상된 안테나 위장 장치는 하부 프레임(예: 도 1의 하부 프레임(105))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프레임은 조립 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립 부재(300)는 지정된 길이를 가지는 복수 개의 모듈로 형성되어, 상기 복수 개의 모듈 구조 각각의 양 측단이 서로 맞물려 조립되는 경우, 복수 개의 지주(예: 도 1의 복수 개의 지주(101))의 하단 일 영역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 가능한 하부 프레임의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하부 프레임은 상기 조립 부재(300)가 복수 개 조립됨에 따라 형성되는 구조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립 부재(300)는 수용부(303) 및 삽입부(305)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용부(303)는 상기 조립 부재(300)의 양 측단 중 하나의 측단인 제1 측단에 형성되되, 상기 제1 측단에서 일정 깊이로 패인 레일 형태의 내부 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면에 제1 요철 구조(303a)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요철 구조(303a)는 상기 수용부(303)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면에 위치한 구성으로써, 상기 조립 부재(300) 간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되는 구성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삽입부(305)는 상기 조립 부재(300)의 양 측단 중 상기 제1 측단의 반대 방향에 위치한 제2 측단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303)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돌출부가 상기 수용부(303)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제1 요철 구조(303a)와 맞물려 체결되는 제2 요철 구조(305a)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 프레임은, 상기 복수 개의 모듈 구조인 조립 부재(300)가 조립됨에 따라 형성되는 구성일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상기 조립 부재(300)는 상기 수용부(303)의 내부 공간에 상기 삽입부(305)의 돌출부가 삽입되는 경우, 상기 수용부(303)의 제1 요철 구조(303a)와 상기 돌출부의 제2 요철 구조(305a) 간의 맞물리는 높낮이를 조절해 상기 복수 개의 모듈 간의 높이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하부 프레임의 형태를 변경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요철 구조(303a) 및 상기 제2 요철 구조(305a)는 상호 호환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되, 상기 제1 요철 구조(303a) 및 상기 제2 요철 구조(305a) 체결 시, 상기 제1 요철 구조(303a) 및 상기 제2 요철 구조(305a) 중 적어도 하나의 높낮이를 변경함으로써, 다양한 하부 프레임의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인 시공 편의성이 향상된 안테나 위장 장치는 제1 요철 구조(303a) 및 제2 요철 구조(305a) 간에 맞물리는 높이를 변경함으로써, 안테나가 설치되는 설치 영역의 구조(예: 절곡된 구조) 및 안테나의 구성(예: 케이블 선 또는 전선의 굵기) 등에 의해 제한 받지 않고 설치 가능하여, 작업자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고, 작업 시간을 절감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공 편의성이 향상된 안테나 위장 장치의 하부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시공 편의성이 향상된 안테나 위장 장치는 하부 프레임(400)(예: 도 1의 하부 프레임(105))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 프레임(400)은 복수 개의 모듈 구조로 형성되는 구조체일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상기 복수 개의 모듈 각각은 조립 부재(예: 도 3의 조립 부재(300))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 프레임(400)은 제1 조립 부재(401), 제2 조립 부재(403) 및 제3 조립 부재(405)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하부 프레임(400)은 제1 조립 부재(401), 제2 조립 부재(403) 및 제3 조립 부재(405)의 양 측단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체결됨으로써 형성되는 조립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 개의 모듈 각각은 제1 요철 구조(예: 도 3의 제1 요철 구조(303a) 및 제2 요철 구조(예: 도 3의 제2 요철 구조(305a))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 개의 모듈 각각을 서로 체결 시, 상기 제1 요철 구조 및 상기 제2 요철 구조의 높낮이 조절하여, 상기 하부 프레임(400)의 형태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테나가 설치되는 영역 중 일 영역에 설치된 복수 개의 지주(예: 도 1의 복수 개의 지주(101))의 하단 일 영역에 하부 프레임(400)을 설치 시, 상기 제2 조립 부재(403)의 높이를 상승시켜 상기 하부 프레임(400)의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조립 부재(403)의 높이를 상승시키는 이유는 상기 제2 조립 부재(403)의 하단부에 위치한 안테나의 일부 구성(예: 전선 또는 케이블 선) 또는 설치 영역의 구조로 하부 프레임(400)의 형태를 일자로 형성할 수 없기 때문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 프레임(400)은 마감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감 모듈은 상기 조립 부재가 조립되어 형성된 구조체인 하부 프레임(400)의 양 측단에 조립되는 구성으로써, 상기 하부 프레임(400)의 양 측단을 마감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마감 모듈은 상기 제1 요철 구조 및 상기 제2 요철 구조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 프레임(400)의 구조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모듈 각각은 설치 영역의 크기, 구조 및 안테나의 구조에 따라 다양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 개의 모듈 각각은 1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도면에서는 복수 개의 모듈 각각에 형성된 복수 개의 홀이 2개로 도시되어 있으나, 1m의 길이를 가지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홀의 개수는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 개의 모듈 각각은 설치 영역의 크기, 구조 및 안테나의 구조에 따라 다양한 길이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공 편의성이 향상된 안테나 위장 장치의 위장 폴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시공 편의성이 향상된 안테나 위장 장치는 위장 폴대(500)(예: 도 1의 위장 폴대(107))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위장 폴대(500)는 하부 프레임(예: 도 1의 하부 프레임(105))의 복수 개의 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위장 폴대(500)의 상단 일 영역이 브라켓 구조의 그립 고정부(200)(예: 도 2의 그립 고정부(200))의 내부 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브라켓 구조와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요철부(501)를 통해 상기 그립 고정부(200)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요철부(501)는 상기 위장 폴대(500)의 상단 일 영역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됨으로써, 상기 그립 고정부(200)의 내부 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내부 면에 체결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그립 고정부(200)는 상기 그립 고정부(200)의 내부 면에 형성되는 고무 재질로, 상기 위장 폴대(500)의 상단 일 영역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요철부(501)와 접촉됨으로써, 상기 그립 고정부(200)의 내부 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서 상기 위장 폴대(500)가 흔들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그립 고정부(200)는 상기 위장 폴대(500)가 삽입 및 고정되는 경우, 상기 위장 폴대(500)의 적어도 하나의 요철부(501)를 통해 상기 위장 폴대(500)의 설치 및 고정되는 높이를 변경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상기 위장 폴대(50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요철부(501) 중 제2 요철부가 상기 그립 고정부(200)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제1 요철부보다 높은 높이에서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위장 폴대(500)는 상기 요철부(501) 및 하부 프레임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모듈 각각을 통해 높이가 조절되어,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시공 편의성이 향상된 안테나 위장 장치에 있어서,
    안테나가 설치되는 설치 영역 중 일 영역에 설치 및 고정되는 복수 개의 지주;
    상기 복수 개의 지주의 상단 일 영역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상부 프레임;
    상기 복수 개의 지주의 하단 일 영역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되, 상면 및 하면에 상기 안테나를 위장하기 위한 위장 폴대가 삽입되는 복수 개의 홀(hole)을 포함하는 하부 프레임; 및
    상기 상부 프레임의 일 영역에 소정의 거리마다 설치되는 브라켓(bracket) 구조로, 상기 복수 개의 홀 각각에 수직 방향으로 삽입되는 상기 위장 폴대의 상단 일 영역이 상기 브라켓 구조의 내부 면에 의해 그립(grip)됨으로써, 상기 위장 폴대를 상기 상부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그립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 편의성이 향상된 안테나 위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은,
    지정된 길이를 가지는 복수 개의 모듈로 형성되어, 상기 복수 개의 모듈 구조 각각의 양 측단이 서로 맞물려 조립되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지주의 하단 일 영역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 가능한 상기 하부 프레임의 구조를 형성하는 조립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 편의성이 향상된 안테나 위장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 부재는,
    상기 조립 부재의 양 측단 중 하나의 측단인 제1 측단에 형성되되, 상기 제1 측단에서 일정 깊이로 패인 레일 형태의 내부 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면에 제1 요철 구조를 포함하는 수용부; 및
    상기 조립 부재의 양 측단 중 상기 제1 측단의 반대 방향에 위치한 제2 측단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돌출부가 상기 수용부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제1 요철 구조와 맞물려 체결되는 제2 요철 구조를 포함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 편의성이 향상된 안테나 위장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 부재는,
    상기 수용부의 내부 공간에 상기 삽입부의 돌출부를 삽입 시, 상기 제1 요철 구조와 상기 제2 요철 구조 간의 맞물리는 높낮이를 조절해 상기 복수 개의 모듈 간의 높이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하부 프레임의 형태를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 편의성이 향상된 안테나 위장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장 폴대는,
    상기 복수 개의 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위장 폴대의 상단 일 영역이 상기 브라켓 구조의 내부 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브라켓 구조와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요철부를 통해 상기 그립 고정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 편의성이 향상된 안테나 위장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 고정부는,
    상기 그립 고정부의 내부 면에 형성되는 고무 재질로, 상기 위장 폴대의 상단 일 영역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요철부와 접촉됨으로써, 상기 그립 고정부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위장 폴대가 흔들리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 편의성이 향상된 안테나 위장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은,
    상기 설치 영역에 설치된 안테나의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안테나의 상단 일 영역에 연결된 상단 고정부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 편의성이 향상된 안테나 위장 장치.
KR1020220007223A 2022-01-18 2022-01-18 시공 편의성이 향상된 안테나 위장 장치 KR202301114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7223A KR20230111411A (ko) 2022-01-18 2022-01-18 시공 편의성이 향상된 안테나 위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7223A KR20230111411A (ko) 2022-01-18 2022-01-18 시공 편의성이 향상된 안테나 위장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1411A true KR20230111411A (ko) 2023-07-25

Family

ID=87428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7223A KR20230111411A (ko) 2022-01-18 2022-01-18 시공 편의성이 향상된 안테나 위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141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21868B2 (en) Finishing panel fixing device
US7748175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d installing a low profile mounting system
US9810452B2 (en) Wear reduction system for rooftop mounts
KR20230111411A (ko) 시공 편의성이 향상된 안테나 위장 장치
US20240146236A1 (en) Photovoltaic tile and sloped photovoltaic roof
WO2014109194A1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固定装置
KR101942283B1 (ko) 지붕 무타공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체
KR100719466B1 (ko) 건축물 전기 단자함구조
JP2008231665A (ja) 屋根構造
US9182150B2 (en) Cable support structure
KR200174254Y1 (ko) 건축물의 외장재
KR100978389B1 (ko) 내/외장 패널 설치용 어셈블리
KR200381051Y1 (ko) 철책용 와이어로우프 고정구
KR200195414Y1 (ko) 건축물의 내,외벽 연결보강장치
EP2138647A1 (en) Covering panel to assemble photovoltaic modules and method to make said covering panel
JP5530378B2 (ja) 組立建物
CN218508832U (zh) 光伏瓦及具有坡度的光伏屋顶
KR102216159B1 (ko) 태양광발전장치 연결용 기초보강장치 및 그 기초보강장치 시공방법
AU2016102417A6 (en) Improved fascia panel
KR200210139Y1 (ko) 전선 고정용 브라켓트
KR102471574B1 (ko) 내진형 건축 내ㆍ외장재 유니트 패널
CN216428900U (zh) 一种装配式装修架空地面连接基层板
KR200201254Y1 (ko) 건축용 패널
KR200366580Y1 (ko) 천정 마감패널 설치용 채널바
KR20060059620A (ko) 경사와셔를 이용한 건축외장재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