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0382A - 환자 정보 확인 방법 - Google Patents

환자 정보 확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0382A
KR20230110382A KR1020220005605A KR20220005605A KR20230110382A KR 20230110382 A KR20230110382 A KR 20230110382A KR 1020220005605 A KR1020220005605 A KR 1020220005605A KR 20220005605 A KR20220005605 A KR 20220005605A KR 20230110382 A KR20230110382 A KR 202301103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information
terminal
management server
body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5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병길
박정희
Original Assignee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05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0382A/ko
Publication of KR20230110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03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65Matching; Class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72Classification, e.g. identific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ultimedia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환자 정보 확인 방법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정보 확인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가 환자의 신체정보를 획득하여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신체정보 전송 단계; 관리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전송된 신체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신체정보와 대응되는 환자 전화번호 정보를 선정하는 신체정보 분석 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환자 정보에 대해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환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요청 메시지 전송 단계; 및 상기 환자 단말기가 환자 정보를 출력하는 환자 정보 출력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환자 정보 확인 방법{METHOD FOR IDENTIFYING INFORMATION ABOUT PATIENT}
본 개시는 환자 정보 확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서구화된 식습관의 증가와 함께 운동부족, 업무 스트레스 등의 원인으로 인해 현재 고혈압 환자의 수는 급속도로 늘어나고 있으며, 심장 질환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평소 지병이나 기저질환이 있던 환자가 길에서 의식을 잃고 갑자기 쓰러지는 경우가 발생하면, 환자를 발견한 목격자가 환자에 대한 사전 정보가 전혀 없는 상태에서 환자의 신원을 확인하고 환자에게 적합한 응급처치를 시행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39743호(이하, '종래기술'이라 함)에는 마우스 리테이너를 이용한 신원 정보 확인 방법에 대한 기술이 제시된 바 있다.
그런데, 종래기술은 사용자 단말기 내에 미아 방지 어플리케이션이 사전에 설치되어 있어야만 이를 이용하여 신원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목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기 내에 신원 확인을 위한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환자 관련 정보를 신속하게 파악하기가 어려운 측면이 있었다.
따라서, 신원 미상의 환자를 발견한 목격자가 신속하게 환자의 신상 정보를 파악하고 환자에게 적합한 응급처치를 시행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환자를 발견한 사용자가 환자의 신원 확인을 위한 별도의 프로그램이나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 단말기 내에 설치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환자의 신상 정보를 신속하게 파악하고 환자에게 적합한 응급처치를 시행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전술한 과제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아니한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후술할 내용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로서, 환자 정보 확인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가 환자의 신체정보를 획득하여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신체정보 전송 단계; 관리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전송된 신체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신체정보와 대응되는 환자 전화번호 정보를 선정하는 신체정보 분석 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환자 정보에 대해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환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요청 메시지 전송 단계; 및 상기 환자 단말기가 환자 정보를 출력하는 환자 정보 출력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신체정보 전송 단계에서 상기 신체정보는 상기 환자의 지문을 촬영하여 생성된 지문 이미지와 상기 환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생성된 얼굴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서버 내에는 지문 이미지와 얼굴 이미지와 환자 전화번호가 맵핑된 환자 식별정보가 환자별로 사전에 저장되며, 상기 신체정보 분석 단계에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환자 식별정보 내에 포함된 지문 이미지 및 얼굴 이미지를 상기 신체정보 내에 포함된 지문 이미지 및 얼굴 이미지와 비교하여 이미지 유사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이미지 유사도가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환자 식별정보의 환자 전화번호를 선정할 수 있다.
아울러, 환자 정보 출력 단계에서 상기 환자 정보는 이름, 나이, 혈액형, 치료 중인 질환명, 응급처치 요령 및 보호자 연락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의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하면, 환자를 발견한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기(일 예로, 스마트폰)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환자의 지문과 얼굴을 촬영하고 환자의 지문 이미지와 얼굴 이미지를 관리서버로 전송하면, 관리서버에서 이미지 유사도 분석을 통해 환자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알아내고 해당 전화번호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환자 단말기는 환자의 신상, 병력 및 응급처치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환자를 발견한 사용자는 환자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된 정보를 통해 신속하게 환자의 신원을 확인하고, 환자에게 필요한 응급처치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환자의 생명을 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 관리서버 및 환자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 관리서버 및 환자 단말기 간에 수행되는 환자 정보 확인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환자 단말기에 환자 정보가 출력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일" 또는 "하나의" 실시예에 대한 언급들은 반드시 동일한 실시예에 대한 것은 아니며, 이들은 적어도 하나를 의미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른 의미를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은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즉, 본원 명세서에 기술된 방법의 각 단계는 명세서 상에서 달리 언급되거나 문맥상 명백히 상충되지 않는 한 임의의 순서로 적절하게 실시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 관리서버 및 환자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단말기(일 예로, 스마트폰)로서, 제어부(110), 통신부(120) 및 메모리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10)는 통신부(120)와 메모리부(130)의 작동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시키는 CPU 또는 반도체 소자로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부(120)는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20)는 무선 네트워크(일 예로, 이동통신망)를 통해 후술될 관리서버(200)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모리부(130)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수단이며, 메모리부(130)에는 사용자 단말기(100) 내에서 실행 가능한 명령어,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모리부(130)는 플래시 메모리 형태, 하드디스크 형태, 카드 타입의 메모리(일 예로, SD 메모리), 램(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등으로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관리서버(200)는 서버 제어부(210), 서버 통신부(220) 및 서버 메모리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버 제어부(210)는 서버 통신부(220)와 서버 메모리부(230)의 작동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 제어부(210)는 서버 메모리부(230)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시키는 CPU 또는 반도체 소자로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버 통신부(220)는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 통신부(220)는 무선 네트워크(일 예로, 이동통신망)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 및 후술될 환자 단말기(300)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버 메모리부(230)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수단이며, 서버 메모리부(230)에는 관리서버(200) 내에서 실행 가능한 명령어,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 메모리부(230)에는 제1프로그램, 제2프로그램, 제3프로그램 및 제4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프로그램은 특정 이미지 파일 내에 위치정보가 결합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프로그램이며, 제2프로그램은 지문 이미지에 포함된 위치정보와 얼굴 이미지에 포함된 위치정보가 동일한지를 분석하는 프로그램이며, 제3프로그램은 관리서버(200)가 신체정보(예를 들어, 환자의 지문 이미지와 얼굴 이미지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시점의 날짜와, 신체정보 내에 포함된 촬영날짜가 동일한지를 분석하는 프로그램이다.
또한, 서버 메모리부(230)에는 환자의 지문 이미지와 얼굴 이미지와 환자 단말기(300)의 전화번호가 맵핑된 환자 식별정보가 환자별로 사전에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4프로그램은 환자 식별정보 내에 포함된 지문 이미지 및 얼굴 이미지를 신체정보 내에 포함된 지문 이미지 및 얼굴 이미지와 비교하여 이미지 유사도를 산출하는 프로그램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버 제어부(210)는 서버 메모리부(230)에 저장된 복수개의 환자 식별정보 중에서 이미지 유사도가 기설정된 기준값(일 예로, 90%) 이상인 환자 식별정보를 선정하고, 해당 환자 식별정보 내에 포함된 환자 전화번호를 확인하여 환자 단말기(300)로 환자 정보를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환자 단말기(300)는 환자가 휴대하는 단말기(일 예로, 스마트폰)로서, 프로세서(310), 저장부(320), 단말 통신부(330) 및 디스플레이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310)는 저장부(320), 단말 통신부(330) 및 디스플레이부(340)의 작동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10)는 저장부(320)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시키는 CPU 또는 반도체 소자로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저장부(320)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수단이며, 저장부(320)에는 환자 단말기(300) 내에서 실행 가능한 명령어,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320)에는 환자 정보(예를 들어, 환자의 이름, 나이, 혈액형, 치료중인 질환명, 응급처치 요령, 보호자 연락처 등)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320)에는 잠금화면 상에서 환자 정보를 팝업 메시지(350) 형태로 출력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말 통신부(330)는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통신부(330)는 무선 네트워크(일 예로, 이동통신망)를 통해 관리서버(200)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340)는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장치로서, 환자정보를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아울러, 일 실시예에서 환자 단말기(300)에는 경고음을 출력하는 스피커(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 관리서버 및 환자 단말기 간에 수행되는 환자 정보 확인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환자 단말기에 환자 정보가 출력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환자 정보 확인 방법에 대해 도1 및 도3을 참조하고 도2에 도시된 흐름도를 따라 설명하되, 편의상 순서를 붙여 설명하기로 한다.
1. 신체정보 전송 단계<S201>
본 단계에서는 사용자 단말기(100)가 환자의 신체정보를 획득하여 관리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신체정보는 신원 미상인 환자의 지문을 촬영하여 생성된 지문 이미지와 환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생성된 얼굴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단계에서는 사용자 단말기(100)에 구비된 카메라(미도시)에 의해 촬영되어 생성된 환자의 지문(일 예로, 오른손 엄지 지문) 이미지와 환자의 얼굴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기(100)의 통신부(120)가 관리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사용자 단말기(100)의 통신부(120)는 문자 메시지에 환자의 지문 이미지와 얼굴 이미지를 첨부하여 전송하되, 관리서버(200)와 연계된 전화번호로 문자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2. 신체정보 분석 단계<S202>
본 단계에서 관리서버(200)의 서버 통신부(220)가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전송된 신체정보를 수신하면, 관리서버(200)의 제어부(110)는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전송된 신체정보를 분석하고, 신체정보와 대응되는 환자 전화번호 정보를 선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정보 분석 단계는 위치정보 포함 여부 확인 단계, 설정 안내메시지 전송 단계, 위치정보 동일 여부 확인 단계, 전송 날짜 동일 여부 확인 단계 및 이미지 유사도 판단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2-1. 위치정보 포함 여부 확인 단계<S2021>
본 단계에서 관리서버(200)의 서버 제어부(210)는 단계 S201에서 전송된 지문 이미지와 얼굴 이미지를 각각 분석하고, 각 이미지 내에 위치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2-2. 설정 안내메시지 전송 단계<S20211>
단계 S2021에서 이미지를 분석한 결과, 지문 이미지와 얼굴 이미지에 위치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면, 본 단계에서 관리서버(200)의 서버 제어부(210)는 사진파일 내에 위치정보가 함께 포함되도록 카메라 설정을 변경하라는 설정 안내메시지를 생성하고, 서버 통신부(220)를 제어하여 사용자 단말기(100)로 설정 안내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2-3. 위치정보 동일 여부 확인 단계<S2022>
단계 S2021에서 이미지를 분석한 결과, 지문 이미지와 얼굴 이미지에 위치정보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 본 단계에서 관리서버(200)의 서버 제어부(210)는 지문 이미지에 포함된 위치정보와 얼굴 이미지에 포함된 위치정보가 동일한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문 이미지에 포함된 위치정보와 얼굴 이미지에 포함된 위치정보가 기지정된 거리(일 예로, 2m) 이내일 경우에는 관리서버(200)의 서버 제어부(210)는 각 이미지 내에 포함된 위치정보가 동일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2-4. 전송 날짜 동일 여부 확인 단계<S2023>
단계 S2022에서 위치정보가 동일하다고 판단된 경우, 본 단계에서 관리서버(200)의 서버 제어부(210)는 지문 이미지 내에 저장된 촬영날짜와 얼굴 이미지 내에 저장된 촬영날짜를 확인하고, 지문 이미지와 얼굴 이미지를 관리서버(200)가 수신한 날짜를 비교하여 서로 동일한지를 판단할 수 있다.
2-5. 이미지 유사도 판단 및 번호 선정 단계<S2024>
단계 S2023에서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촬영된 각 이미지의 촬영날짜와, 관리서버(200)가 수신한 각 이미지의 수신 날짜가 서로 동일하다고 판단된 경우, 본 단계에서 관리서버(200)의 서버 제어부(210)는 환자 식별정보 내에 포함된 지문 이미지 및 얼굴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지문 이미지 및 얼굴 이미지와 비교하여 이미지 유사도를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 제어부(210)는 서버 메모리부(230)에 기저장된 복수개의 환자 식별정보 중에서 이미지 유사도가 기설정된 기준값(일 예로, 90%) 이상인 환자 식별정보를 선정하고, 해당 환자 식별정보 내에 포함된 환자 전화번호를 확인할 수 있다.
3. 위치정보 요청 단계<S203>
단계 S2024에서 환자 전화번호가 확인되면, 본 단계에서는 서버 제어부(210)가 서버 통신부(220)를 제어하여 환자 단말기(300)로 위치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즉, 단계 S2024에서 확인된 환자 전화번호를 갖는 환자 단말기(300)에게 단말기의 현재 위치정보를 요청하는 위치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4. 위치정보 전송 단계<S204>
본 단계에서 환자 단말기(300)의 단말 통신부(330)가 관리서버(200)로부터 전송된 위치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환자 단말기(300)의 프로세서(310)는 단말 통신부(330)를 제어하여 환자 단말기(300)의 현재 위치정보를 관리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5. 위치정보 수신 단계<S205>
본 단계에서 관리서버(200)의 서버 통신부(220)는 환자 단말기(3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6. 환자 단말기 및 사용자 단말기의 근접 여부 판단 단계<S206>
본 단계에서는 관리서버(200)의 서버 제어부(210)가 환자 단말기(300)의 위치와 사용자 단말기(100)의 위치를 확인하고 환자 단말기(300) 및 사용자 단말기(100) 간의 근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리서버(200)의 서버 제어부(21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지문 이미지에 포함된 위치정보 및 얼굴 이미지에 포함된 위치정보를 환자 단말기(300)의 현재 위치정보와 비교하고, 사용자 단말기(100)가 환자 단말기(300)와 기지정된 거리(일 예로, 1m) 이내에 있다고 확인될 경우에는 환자 단말기(300)와 사용자 단말기(100)가 서로 근접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7. 요청 메시지 전송 단계<S207>
본 단계에서는 관리서버(200)의 서버 제어부(210)가 서버 통신부(220)를 제어하여 요청 메시지를 환자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리서버(200)의 서버 제어부(210)는 환자 단말기(300)의 화면에 환자정보를 출력하라는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며, 서버 통신부(220)는 해당 요청 메시지를 환자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8. 잠금화면 설정 여부 확인 단계<S208>
본 단계에서 환자 단말기(300)의 단말 통신부(330)가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환자 단말기(300)의 프로세서(310)는 잠금화면이 설정된 상태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9. 잠금화면 설정 단계<S209>
단계 S208에서 잠금화면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본 단계에서 환자 단말기(300)의 프로세서(310)는 잠금화면을 설정할 수 있다.
10. 환자 정보 출력 단계<S210>
단계 S208에서 잠금화면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본 단계에서 환자 단말기(300)의 프로세서(310)는 디스플레이부(340)를 제어하여 환자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이름, 나이, 혈액형, 치료중인 질환명, 응급처치 요령, 보호자 연락처 등의 환자정보가 팝업 메시지(350)의 형태로 잠금화면 상에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본 단계에서 프로세서(310)는 스피커를 제어하여 경보음을 출력함으로써, 환자 주변에 있는 사용자가 환자 단말기(300)를 신속하게 발견할 수 있도록 돕는다.
본 단계에서 환자 단말기(300)의 잠금화면은 저장부(320)에 미리 저장되어 있던 비밀번호를 비밀번호 입력창(360)에 입력해야만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환자를 제외한 타인이 환자 단말기(300)를 임의로 조작하지 못하므로 보안성이 강화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단계에서 출력되는 응급처치 요령은 환자 정보를 확인하는 사용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동영상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의학적 전문지식을 가진 의료인이 아니더라도 동영상을 통해 신속한 응급처치가 가능하다.
11. 출력 완료 메시지 전송 단계<S211>
본 단계에서 환자 단말기(300)의 프로세서(310)는 단말 통신부(330)를 제어하여 환자정보의 출력이 완료되었다는 출력 완료 메시지를 관리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12. 확인 안내 메시지 전송 단계<S212>
본 단계에서 관리서버(200)의 서버 제어부(210)는 서버 통신부(220)를 제어하여 환자 단말기(300)에 출력된 환자정보를 확인하라는 확인 안내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기(100)를 휴대한 사용자가 환자 단말기(300)를 보다 신속하게 발견하여 환자에게 필요한 응급처치를 수행할 수 있다.
13. 팝업 소멸 단계<S213>
본 단계에서 환자 단말기(300)의 프로세서(310)는 단계 S210에서 환자 정보가 디스플레이부(340)에 출력된 시점부터 일정한 시간(일 예로, 10분)이 경과하면, 출력된 팝업 메시지(350)를 소멸시켜 팝업 메시지(350)가 화면에서 사라지도록 디스플레이부(34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출력된 팝업 메시지(350)가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는 자동으로 사라지도록 제어함으로써, 보안성이 강화되므로 팝업 메시지(350)에 포함된 환자 정보를 타인이 악용하거나 부정한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정보 확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로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환자를 발견한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환자의 지문과 얼굴을 촬영하고 환자의 지문 이미지와 얼굴 이미지를 관리서버(200)로 전송하면, 관리서버(200)에서 이미지 유사도 분석을 통해 환자 단말기(300)의 전화번호를 알아내고 해당 전화번호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환자 단말기(300)는 환자의 신상, 병력 및 응급처치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환자를 발견한 사용자는 환자 단말기(300)의 화면에 출력된 정보를 통해 신속하게 환자의 신원을 확인하고, 환자에게 필요한 응급처치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환자의 생명을 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하면, 관리서버(200) 내에 저장된 환자 식별정보는 환자의 지문 이미지, 얼굴 이미지 및 환자 전화번호에 국한되며, 환자의 신상이나 병력과 관계된 정보는 환자 단말기(300) 내에 저장되므로 관리서버(200)가 해킹되더라도 환자의 민감한 개인정보가 유출될 위험이 적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단말기 내에 환자의 신원을 확인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나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지 않아도 환자와 관련된 정보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기(100)에 기본적으로 탑재되어 있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지문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환자의 신원을 파악하기 위한 지문인식 센서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도 환자의 신원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하면, 환자 단말기(300)에 출력된 환자 정보는 응급 상황시에만 사용되고 일정 시간 이후에는 소멸되어 환자 단말기(300)의 화면에서 사라지므로 타인이 환자 정보를 부정하게 사용할 우려가 적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환자 단말기(300)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환자 정보를 화면에 출력하되, 잠금화면의 설정 여부를 확인하고 환자 단말기(300)가 잠금화면으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잠근화면으로 설정한 후에 잠근화면 상에 팝업 메시지(350) 형태로 환자 정보를 출력함으로써, 타인이 환자 단말기(300)를 임의로 조작하지 못하도록 조치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기(100)는 단말기에 자체적으로 구비된 카메라로 환자의 지문 이미지와 얼굴 이미지를 전송하되, 문자 메시지 형태로 전송하기 때문에 환자 신원확인을 위한 별도의 프로그램이나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 단말기(100) 내에 미리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상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정보 포함 여부 확인 단계, 위치정보 동일 여부 확인 단계, 전송 날짜 동일 여부 확인 단계 등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가 환자 단말기(300)와 근거리에 있는지를 확인하고, 근거리에 존재할 경우에 한해 환자 단말기(300)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기 때문에 환자 단말기(300)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균등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0 : 사용자 단말기
110 : 제어부
120 : 통신부
130 : 메모리부
200 : 관리서버
210 : 서버 제어부
220 : 서버 통신부
230 : 서버 메모리부
300 : 환자 단말기
310 : 프로세서
320 : 저장부
330 : 단말 통신부
340 : 디스플레이부
350 : 팝업 메시지
360 : 비밀번호 입력창

Claims (4)

  1. 사용자 단말기가 환자의 신체정보를 획득하여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신체정보 전송 단계;
    관리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전송된 신체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신체정보와 대응되는 환자 전화번호 정보를 선정하는 신체정보 분석 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환자 정보에 대해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환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요청 메시지 전송 단계; 및
    상기 환자 단말기가 환자 정보를 출력하는 환자 정보 출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정보 확인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정보 전송 단계에서 상기 신체정보는 상기 환자의 지문을 촬영하여 생성된 지문 이미지와 상기 환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생성된 얼굴 이미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정보 확인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 내에는 지문 이미지와 얼굴 이미지와 환자 전화번호가 맵핑된 환자 식별정보가 환자별로 사전에 저장되며,
    상기 신체정보 분석 단계에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환자 식별정보 내에 포함된 지문 이미지 및 얼굴 이미지를 상기 신체정보 내에 포함된 지문 이미지 및 얼굴 이미지와 비교하여 이미지 유사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이미지 유사도가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환자 식별정보의 환자 전화번호를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정보 확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 정보 출력 단계에서 상기 환자 정보는 이름, 나이, 혈액형, 치료 중인 질환명, 응급처치 요령 및 보호자 연락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정보 확인 방법.
KR1020220005605A 2022-01-14 2022-01-14 환자 정보 확인 방법 KR202301103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5605A KR20230110382A (ko) 2022-01-14 2022-01-14 환자 정보 확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5605A KR20230110382A (ko) 2022-01-14 2022-01-14 환자 정보 확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0382A true KR20230110382A (ko) 2023-07-24

Family

ID=87428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5605A KR20230110382A (ko) 2022-01-14 2022-01-14 환자 정보 확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038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9202631B2 (en) Toggling biometric authentication
US11017406B2 (en) Multi factor authentication rule-based intelligent bank cards
KR102042129B1 (ko) 본인 인증 방법 및 그 장치
EP3142079A2 (en) Identity assurance
KR101282824B1 (ko) 만남 인증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2361770B1 (ko) 보안 강화 방법 및 보안 강화 장치
US7478436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ast log-in screen shots for security confirmation
KR20220136963A (ko) 보안성이 우수한 비대면 본인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US10958661B2 (en) Multi-layer authentication system with selective level access control
JP5317596B2 (ja) 本人認証サーバ及び本人認証方法
KR20220016217A (ko) 디바이스들의 네트워크에서 사람 인식가능성을 사용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10382A (ko) 환자 정보 확인 방법
JP6369324B2 (ja)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946592B1 (ja) 認証システム、認証装置、認証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442768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TWM574283U (zh) 利用活體及人臉辨識進行無卡交易開通的交易系統及自動櫃員機
CN109165490A (zh) 一种信息输入方法及装置
EP3270313A1 (en) Optical authorization method for programs and files
KR102480453B1 (ko) 개인정보 수집주체를 통한 개인정보 공유장치
US2020029609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uthentic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7215637B1 (ja) 認証装置、認証システム、画面生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266071B2 (ja) オンライン認証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631662B2 (ja)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129029B1 (ko) 보안대상 프로그램 실행 제어 방법 및 모바일기기
JP6979979B2 (ja) アカウント管理装置、アカウント管理方法およびアカウント管理プログラ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