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0088A - 헤모글로빈 및 빌리루빈에 의한 간섭효과의 제거를 통한 측정 오차 방지법 - Google Patents

헤모글로빈 및 빌리루빈에 의한 간섭효과의 제거를 통한 측정 오차 방지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0088A
KR20230110088A KR1020220006168A KR20220006168A KR20230110088A KR 20230110088 A KR20230110088 A KR 20230110088A KR 1020220006168 A KR1020220006168 A KR 1020220006168A KR 20220006168 A KR20220006168 A KR 20220006168A KR 20230110088 A KR20230110088 A KR 202301100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mple
bilirubin
hemoglobin
value
measur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6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하
이창석
박형숙
이경화
Original Assignee
인천재능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천재능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천재능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06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0088A/ko
Publication of KR20230110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008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27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using photo-electric detection ; circuits for computing concentration
    • G01N21/274Calibration, base line adjustment, drift corr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G01N21/314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with comparison of measurements at specific and non-specific wavelength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72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blood pigments, e.g. haemoglobin, bilirubin or other porphyrins; involving occult blood

Abstract

본 발명은 광학분석기기를 이용한 시료의 정량분석에서 헤모글로빈 및 빌리루빈으로 인한 간섭 효과를 제거하여 측정 오차를 방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측정 오차 방지법을 이용하는 경우, 혈액 시료 내의 용혈반응 및 황달에 의한 헤모글로빈 및 빌리루빈 물질로 인한 간섭 효과를 제거하여 바이오분석법에서 혈액측정 오차를 방지함으로써 분석하고자 하는 물질의 정확한 정량 분석이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헤모글로빈 및 빌리루빈에 의한 간섭효과의 제거를 통한 측정 오차 방지법{Method for preventing measurement errors by eliminating hemoglobin and bilirubin interference effect}
본 발명은 광학분석기기를 이용한 분석하고자 하는 시료의 정량분석에서 헤모글로빈 및 빌리루빈으로 인한 간섭 효과를 제거하여 측정 오차를 방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임상 검사에 있어서 생체 시료를 혈액으로 하는 경우, 혈액 시료 내의 여러 물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것은, 의학적 상태를 진단하고 치료 경과를 판단하며, 임상 실험실의 경우 약물 요법의 모니터링을 가능케 함으로써, 질병의 진단 및 치료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혈액 시료 중에는 빌리루빈(bilirubin), 헤모글로빈(hemoglobin),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 등의 환원 물질이 존재하고, 이들 물질의 존재에 의해 상기 혈액 시료 중의 분석하고자 하는 물질을 정확한 측정함에 있어서 오차를 발생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헤모글로빈은 혈액 내의 용혈(hemolysis)작용에서 축적되며, 이는 혈액을 너무 세게 흔들거나 응고가 완료되기 전에 원심분리할 때, 혈액 시료의 채취 시 헤모글로빈이 혈장으로 방출되거나 전혈의 동결-해동 주기 동안, 또는 정맥 캐뉼러를 통해 혈액을 채취할 때 발생한다. 상기 빌리루빈은 적혈구 분해의 부산물로서, 비정상적으로 높은 수준의 빌리루빈이 축적되어 황달(icterus)를 유발한다고 알려져있다. 이러한 헤모글로빈 및 빌리루빈은 색소로서도 작용하여 측정 파장에 따라서 측정의 오차를 유발하는 원인이 되고, 빛 및 측정 시약 중의 성분 등에 의해 이들 색소 자체의 흡수가 측정 중 시간에 따라 변화되어, 측정 결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물질들로 인한 혈액 시료 검사에서 나타나는 간섭은 검사하고자 하는 표적 물질을 감지하는데 영향을 주어 결과의 오류를 증가시키고, 위양성을 유발하여 진단 정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혈액 시료에서의 상기 헤모글로빈 또는 빌리루빈에 의한 간섭 효과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측정용 시약에 양성계면활성제 또는 과산화산물 및 비이온계면활성제, 또는 양성이온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측정을 수행하는 방법이 알려져있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계면활성제에 대하여 추가적인 처리가 필요하거나, 과산화물 농도가 일정량이 되도록 조정하는 등의 추가적인 실험 절차가 필요하고, 이는 시료 측정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일반적인 종래 기술들은 시료를 희석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혈액 시료 내의 용혈 반응과 축적된 빌리루빈 물질에 의한 측정 오류를 개선하고자 하였지만, 이러한 희석처리로 인해 방해물질 뿐만 아니라 검출하고자 하는 표적물질에 대한 측정 감도를 감소시키는 부정적인 효과를 유발하였다.
그러므로, 바이오분석법에서의 시료의 정량분석에 있어서, 시료 내 방해 물질로 인한 간섭 효과를 용이하게 개선하고 이에 따른 오류를 제거하여 진단을 위해 보다 정확한 측정을 제공하는 방법이 중요한 실정이다.
미국특허 제10809246호 (2020.10.20. 등록)
본 발명자들은 혈액 시료의 측정 시, 측정의 오류를 야기할 수 있는 방해 물질에 의한 간섭 효과를 용이하게 제거하고 정확한 측정을 수행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혈액 시료 내의 헤모글로빈 및 빌리루빈의 높은 상관성의 파장영역대를 분석하고 상기 파장대에서 측정된 흡광도 값을 차감하여, 분석하고자 하는 물질의 정량 분석에서의 간섭 효과를 제거하며 측정 정확도를 높이는 방법을 규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광학분석기기를 이용한 시료의 정량 분석에서 측정의 오류를 야기할 수 있는 방해 물질에 의한 간섭 효과를 제거하여 측정 오차를 방지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혈액 시료의 측정 시, 측정의 오류를 야기할 수 있는 방해 물질에 의한 간섭 효과를 용이하게 제거하고 정확한 측정을 수행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혈액 시료 내의 헤모글로빈 및 빌리루빈의 높은 상관성의 파장영역대를 분석하고 상기 파장대에서 측정된 흡광도 값을 차감하여, 분석하고자 하는 물질의 정량 분석에서의 간섭 효과를 제거하며 측정 정확도를 높이는 방법을 규명하였다.
본 발명은 광학분석기기를 이용한 시료의 정량 분석에서 측정의 오류를 야기할 수 있는 방해 물질에 의한 간섭 효과를 용이하게 제거하여 측정 오차를 방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다음을 포함하는 광학분석기기를 이용한 시료의 정량분석에서의 헤모글로빈, 빌리루빈, 또는 이들의 조합의 간섭으로 인한 측정 오차 방지 방법을 제공한다.
(a) 시료 내 측정오차를 야기하는 헤모글로빈, 빌리루빈, 또는 이들의 조합의 정량적 검출을 위한 소정의 파장영역대를 확인하는 단계;
(b) 상기 확인된 헤모글로빈 또는 빌리루빈의 정량적 검출을 위한 파장영역대에서 분석하고자 하는 시료의 흡광도를 측정하는, 1차 측정 단계;
(c) 상기 시료에서 측정 대상 물질의 정량적 검출을 위한 파장대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는, 2차 측정 단계; 및
(d) 2차 측정값에서 1차 측정값을 차감하여 상기 시료 내에서의 헤모글로빈, 빌리루빈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인한 측정 오차를 제거하는 단계.
본 발명의 측정 오차 방지 방법은 광학분석기기를 이용한 바이오분석법(bioassay)에 적용 할 수 있다. 상기 "바이오분석법"은 살아있는 동물 또는 식물(in vivo), 또는 살아있는 세포 또는 조직(in vitro)에서 어떠한 물질의 함량, 또는 존재 여부를 생물학적 반응을 통한 생물의 활성을 이용하여 정량, 또는 정성평가 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바이오분석법"은 일반적으로 시료를 채취한 후, 채취된 시료 내 분석하고자 하는 물질에 적합한 소정의 시약과 반응시킨 후 일어나는 변화를 측정하는 정량 분석을 의미한다.
상기 "측정"은 광학분석기기를 이용한 흡광도의 측정을 의미하고, 흡광도를 측정하여 시료 내 분석하고자 하는 물질의 농도를 추정할 수 있다.
상기 흡광도를 측정하여 시료 내 분석하고자 하는 물질의 농도를 추정하는 방법은 당업자라면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적용 하는 것임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용어 "헤모글로빈(hemoglobin)"은 용혈(hemolysis)반응에 의해 적혈구로부터 유출된 혈액 내 헤모글로빈을 의미한다. 상기 용혈반응은 혈액이 용해(lysis)됨으로써 적혈구막이 파열되거나 다수의 구멍이 생기거나 극도로 팽창함으로써 붕괴되어 헤모글로빈이 혈구 밖으로 용출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용어 "빌리루빈(bilirubin)"은 적혈구가 분해될 때 구성 성분인 헤모글로빈이 대사되면서 생성되는 발리베르딘의 환원에 의해 생성되는 물질로서, 혈액 내 높은 수준으로 축적되어 황달(icterus)를 유발하는 빌리루빈을 의미한다. 상기 황달은 혈증의 빌리루빈양이 이상하게 증가한 병적상태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헤모글로빈 및 빌리루빈은 분석하고자 하는 시료의 정량 분석에 있어서 측정의 오차를 유발하는 간섭 효과를 일으키는 저해 인자를 의미한다. 이러한 저해 인자들은 시료 자체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도 있고, 시료를 채취하는 과정에서 비정상적으로 발생할 수도 있다. 혈액 시료의 검사에 있어서 정확성과 신뢰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상기 저해 인자로 인한 간섭 효과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측정 오차 방지 방법은 분석하고자 하는 시료의 정량 분석에서의 측정 오차를 유발하는 간섭 효과를 제거하기 위하여 저해 인자로서의 헤모글로빈 또는 빌리루빈의 정량적 검출을 위한 소정의 파장영역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시료 내 헤모글로빈의 정량적 검출을 위한 소정의 파장영역대는 다음 단계로부터 도출되는 파장대이다.
(a) 헤모글로빈 검출용 키트(Hemoglobin reagent kit)를 이용하여 헤모글로빈 대조군(hemoglobin control) 및 시료 내 헤모글로빈 농도를 측정하여 헤모글로빈의 정량적 검출을 위한 표준 농도를 산출하는 단계;
(b) 상기 헤모글로빈 대조군 및 시료를 희석하여 파장대별로 측정하는 단계; 및
(c) 회귀분석을 적용하여 상기 파장대별 측정된 헤모글로빈 대조군 및 시료 내 헤모글로빈의 흡광도에 대한 R2값을 비교하여 파장대별 상관성을 분석함으로써 가장 높은 상관성을 보이는 파장대를 도출하는 단계.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시료 내 빌리루빈의 정량적 검출을 위한 소정의 파장영역대는 다음 단계로부터 도출되는 파장대이다.
(a) 빌리루빈 검출용 키트(Bilirubin reagent kit)를 이용하여 빌리루빈 대조군(bilirubin control) 및 시료 내 빌리루빈 농도를 측정하여 빌리루빈의 정량적 검출을 위한 표준 농도를 산출하는 단계;
(b) 상기 빌리루빈 대조군 및 시료를 희석하여 파장대별로 측정하는 단계; 및
(c) 회귀분석을 적용하여 상기 파장대별 측정된 빌리루빈 대조군 및 시료 내 빌리루빈의 흡광도에 대한 R2값을 비교하여 파장대별 상관성을 분석함으로써 가장 높은 상관성을 보이는 파장대를 도출하는 단계.
본 명세서의 용어 "표준 농도"는 헤모글로빈 또는 빌리루빈의 정량적 검출을 위한 파장대별 상관성 분석에 사용되는 헤모글로빈 또는 빌리루빈의 농도를 의미한다. 상기 표준 농도는 각각의 헤모글로빈 검출용 키트(Hemoglobin reagent kit) 또는 빌리루빈 검출용 키트(Bilirubin reagent kit)를 이용하여 시료 내 헤모글로빈 또는 빌리루빈, 및 각각의 대조군의 농도를 측정하여 산출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파장대별 상관성 분석을 위한 흡광도의 측정은 측정에 사용되는 시료 내 헤모글로빈 또는 빌리루빈, 및 각각의 대조군을 1:100으로 희석하여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희석배수는 1:100이고, 예를 들어, 1:20, 1:30, 1:50, 1:75, 1:150, 1:200, 1:300, 1:400 또는 1:500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희석배수는 분석하고자 하는 시료에 따라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헤모글로빈 및 빌리루빈 흡광도의 파장영역대별 상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한 파장영역대는 200 내지 800 nm, 예를 들어, 200 내지 400 nm, 200 내지 450 nm, 200 내지 500 nm, 200 내지 550 nm, 200 내지 600 nm, 200 내지 650 nm, 200 내지 700 nm, 200 내지 750 nm, 250 내지 450 nm, 250 내지 500 nm, 250 내지 550 nm, 250 내지 600 nm, 250 내지 650 nm, 250 내지 700 nm, 250 내지 750 nm, 250 내지 800 nm, 300 내지 500 nm, 300 내지 550 nm, 300 내지 600 nm, 300 내지 650 nm, 300 내지 700 nm, 300 내지 750 nm, 300 내지 800 nm, 350 내지 550 nm, 350 내지 600 nm, 350 내지 650 nm, 350 내지 700 nm, 350 내지 750 nm, 350 내지 800 nm, 400 내지 600 nm, 400 내지 650 nm, 400 내지 700 nm, 400 내지 750 nm, 400 내지 800 nm, 450 내지 650 nm, 450 내지 700 nm, 450 내지 750 nm, 450 내지 800 nm, 500 내지 700 nm, 500 내지 750 nm, 500 내지 800 nm, 550 내지 750 nm, 550 내지 800 nm, 또는 600 내지 800 nm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의 용어 "회귀 분석(regression analysis)"은 매개변수 모델(parametric model)을 이용하여 통계적으로 변수들 사이의 관계를 추정하는 분석방법을 의미하고, 다른 독립변수들을 고정시키고 한 가지 독립변수만을 변화시킬 때 종속변수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확인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회귀분석은 상기 파장영역대에서 측정된 헤모글로빈 및 빌리루빈의 흡광도 값이 상응하는 파장영역대와 상관성을 가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데 사용되고, 여기에서 파장영역대별 상관성의 판단은 각 파장영역대별 측정된 흡광도 값으로부터 도출된 R2값을 비교하여 수행된다.
상기 R2은 종속변수의 예측값 및 종속변수의 실제값의 상관 계수 R의 제곱인 결정계수(coefficient of determination)이고, 이는 전체 제곱합 중에서 회귀 제곱합이 설명하는 비중, 즉 모형의 설명력을 의미한다. 여기에서 각 파장영역대에서 측정된 흡광도의 R2이 1에 가까울수록 상응하는 파장영역대와 상관성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R2은 상기 산출된 표준 농도에서 헤모글로빈 및 빌리루빈의 흡광도 값이 가장 높은 상관성을 보이는 파장영역대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출된 파장영역대는 시료 내 분석하고자 하는 물질의 정량 분석에 있어서 간섭효과를 일으키는 저해 인자로서의 헤모글로빈, 빌리루빈 및 이들의 조합을 제거하기 위한 흡광도 측정에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검사하는 시료에 대한 흡광도 측정은 총 2번 수행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시료의 흡광도 측정 순서는 1차 측정이 시료를 첨가한 후 바로 수행되고, 2차 측정이 반응이 모두 종결된 후 수행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1차 측정은 시료를 첨가한 직후 수행되고, 여기에서 측정 파장대는 상기 도출된 헤모글로빈 및 빌리루빈의 표준 농도에서의 흡광도와 높은 상관성을 보이는 파장대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2차 측정은 모든 반응이 완료된 후 수행되고, 여기에서 측정 파장대는 시료 내 분석하고자 하는 물질을 측정할 수 있는 고유한 파장대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흡광도의 측정이 Microplate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경우, 시료를 첨가하고 반응 시약과의 최종 반응 전에 1차 측정을 수행하고, 시약과의 반응이 종결될 후 시약 반응 산출물에 대해 2차 측정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흡광도의 측정이 cuvette, tube 또는 별도의 well을 포함하는 sampler를 이용하는 분석 장치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경우, 1st sampler에는 시료만 포함하고, 2nd sampler에는 시료에 각각의 분석법에 적합한 반응액이 첨가되도록 구성하여 각각의 sampler에 대해 흡광도 측정을 수행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반응"은 시료 내의 정량 분석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항원-항체 또는 효소 반응이고, 이의 반응에 대한 측정값은 광학분석기기를 이용하여 흡광도로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반응을 포함하는 바이오 분석법은 광학분석기기에 의해 분석하고자 하는 시료 내 분석물을 검출 또는 정량할 수 있는 방법으로써, 예를 들어, 표지물질에 의해 발생하는 신호의 검출 원리 및 방법에 따라 응집반응에 의한 신호를 검출하는 면역혼탁측정법(turbidimetric immunoassay; TIA) 및 라텍스비탁법(latex nephelometry; LIA), 방사성 동위원소를 사용하여 신호를 검출하는 방사면역분석법 (radio immunoassay; RIA), 효소에 의한 신호증폭을 사용하는 효소면역측정법(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또는 enzyme immunoassay; EIA), 형광을 이용하여 검출하는 형광항체법(fluorescence antibody technique; FA), 및 화학발광을 사용하는 화학발광면역측정법(chemiluminescence immunoassay; CLIA)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바이오 분석법은 ELISA, clinical chemistry immunoassay, particle based immunoassay, electrolyte, 또는 enzyme immunoassay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시약"은 시료에 포함된 분석물의 정량 분석을 위해 시료와 혼합되어 사용되는 물질로서, 구체적 분석물의 종류에 따라 상이하며, 예를 들어, 반응 완충액 또는 버퍼, 희석 버퍼, 검출 버퍼, 세척 버퍼 또는 시료 내의 다양한 물질 예를 들어 항원 등과 반응을 일으키는 소정의 항체, 효소 또는 기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반응 활성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별도의 인핸서(enhancer), 계면활성제 및 간섭 효과 감소제(interference effect reducer)와 같은 첨가제(additive)를 추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있어서, 시료 내 분석하고자 하는 물질의 최종 농도는 하기 식에 따라 계산된다:
[식]
최종 농도 = 2차 OD값 - 1차 OD값;
여기에서 1차 OD값은 파장 410 nm에서 측정된 헤모글로빈의 흡광도 값 및/또는 파장 450 내지 550 nm에서의 빌리루빈 흡광도 값이고; 2차 OD값은 시료 내 분석하고자 하는 소정의 물질의 고유 파장대에서 측정된 흡광도 값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있어서, 시료 내 분석하고자 하는 물질의 최종 농도를 산출할 때 1차 측정값이 2차 측정값보다 큰 경우에는 하기 식에 따라 계산된다.
최종 농도 = 2차 OD값 - 1차 OD값 x 인덱스 요소(Index factor); 및
인덱스 요소(index factor): 1차 플레이트 판독값의 기울기 ÷ 2차 플레이트 판독값의 기울기;
여기에서 인덱스 요소(index factor)는 스파이킹된 헤모글로빈 또는 빌리루빈 농도에 따른 1차 OD값의 기울기를 2차 OD값의 기울기로 나눈 값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상기 인덱스 요소(index factor)는 1차 OD값을 보정하여 시료 내 분석하고자 하는 물질의 최종 농도를 산출하는데 이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2 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1차 측정값이 2차 측정값보다 큰 경우에 상기 식의 인덱스 요소(index factor)를 적용하여 1차 측정값을 보정함으로써, 시료 내 분석물질에 대한 헤모글로빈 또는 빌리루빈으로 인한 간섭 효과가 제거되어 정확한 농도 측정값이 산출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시료는 혈장, 혈청, 및 전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혈액, 조직액, 흉수, 눈물, 뇨, 침, 정액, 방수액, 림프액, 뇌척수액, 양수, 장액, 위액, 또는 담즙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시료는 분석물을 포함하는 분석 대상 화합물 또는 조성물을 가리키며,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시료는 액체상 또는 액체와 유사한 유동성 있는 물질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시료는 헤모글로빈 및 빌리루빈으로 인한 간섭 효과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혈장, 혈청, 및 전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혈액 시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시료 내 측정대상 물질은 항원, 항체, 효소, 단백질, DNA, RNA, 및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의 용어 "측정대상 물질"은 광학분석기기에 의해 측정할 수 있는 시료 내 분석하고자 하는 표적물질을 의미한다.
상기 측정대상 물질, 또는 표적물질은 이의 검출 신호를 확인하기 위한 라벨물질에 의해해 발생하는 신호에 의하여 존재 여부 및 존재 수준이 측정될 수 있다.
상기 라벨물질은 예를 들어 형광 다이, 효소, 표면 증감 라만 산란 나노 프로브, 라텍스 입자, 퀀텀닷 또는 금 나노 입자와 같은 발광이나 발색을 나타내는 물질 등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라벨물질이 형광 다이(fluorescent dye)인 경우, 내재된 형광 발현 단백질 또는 유기화합물 형태의 형광물질이 될 수 있으며, 내재된 형광 발현 단백질은 GFP(green fluorescent protein), EGFP(enhanced GFP), EYFP(enhanced yellow fluorescent protein), mCitrine, Venus, mECFP(monomeric enhanced cyan fluorescent protein), Cerulean, EBFP(enhanced blue fluorescent protein), Azurite, DSRed(Discosoma sp. red fluorescent protein), mOrange(monomeric orange fluorescent proteins), mStrawberry(monomeric strawberry fluorescent proteins), mCherry(monomeric cherry fluorescent proteins), Alexa,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임의의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유기화합물 형태의 형광물질은 FITC(fluorescein isothiocyanate), TRITC(tetramethylrhodamine), FAM(fluorescein amidite), Rhodamine, TAMRA (Carboxytetramethylrhodamine), CyTM, CFTM (Cyanine-based fluorescent dye), Quantum Dot (Quantum square 포함)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임의의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라벨물질이 효소인 경우, 효소의 기질과 반응하여 색소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페록시다아제(peroxidase) 또는 알칼리 포스파타아제(alkaline phosphatase) 일 수 있다. 효소로서 페록시다아제를 사용하는 경우, 페록시다아제와 반응하여 광을 생성하는 페록시다아제의 기질의 예는 과산화수소와 발광 화합물 (예를 들어, 루미놀 화합물 또는 루시게닌 화합물) 의 조합을 포함하고, 효소로서 알칼리 포스파타아제를 사용하는 경우, 알칼리 포스파타아제와 반응하여 광을 생성하는 알칼리 포스파타아제의 기질의 예는 이나트륨 3- (2'-스피로아다만틸)-4-메톡시-4-(3"-포스포릴옥시)-페닐-1,2-디옥세탄(disodium 3-(2'-spiroadamantyl)-4-methoxy-4-(3"-phosphoryloxy)-phenyl-1,2-dioxetane, AMPPD), 이나트륨 2-클로로-5-(4-메톡시스피로{1,2-디옥세탄-3,2'-(5'-클로로)트리시클로[3.3.1.13,7]데칸}-4-일)-1-페닐 포스페이트(disodium 2-chloro-5-(4-methoxyspiro{1,2-dioxetane-3,2'-(5'-chloro)tricyclo[3.3.1.13,7]decan}-4-yl)-1-phenyl phosphate, CDPStarTM), 이나트륨 3-(4-메톡시스피로){1,2-디옥세탄-3,2'-(5'-클로로)트리시클로[3.3.1.13,7]데칸}-4-일}페닐 포스페이트(disodium 3-(4-methoxyspiro){1,2-dioxetane-3,2'-(5'-chloro)tricyclo[3.3.1.1.13,7]decan}-4-yl)-phenyl phosphate CSPDTM), 이나트륨 [(4-클로로페닐)설파닐](10-메틸-9(10H)-아크리디닐리덴)메틸 포스페이트(disodium [(4-chlorophenyl)sulfanyl](10-methyl-9(10H)-acridinylidene)methyl phosphate, Lumigen APS-5), 또는 9-(4-클로로페닐티오포스포릴옥시메틸리덴)-10-메틸아크리단 이나트륨염(9-(4-Chlorophenylthiophosphoryloxymethylidene)-10-methylacridan disodium salt)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측정 오차 방지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 혈액 시료 내의 용혈반응 및 황달에 의한 헤모글로빈 및 빌리루빈 물질로 인한 간섭 효과를 제거하여 바이오분석법에서 혈액 측정 오차를 방지함으로써 분석하고자 하는 물질의 정확한 정량 분석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료 내 분석물질의 정확한 측정의 오류를 유발하는 저해 인자에 의한 간섭효과를 제거하는 측정 오차 방비 방법에 대한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2는 IgG assay에서 시료 내 헤모글로빈으로 인한 간섭효과 제거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소량 시료(2a) 및 대량 시료(2b).
도 3은 IgG assay에서 시료 내 빌리루빈으로 인한 간섭효과 제거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소량 시료(3a) 및 대량 시료(3b).
도 4는 HbA1c Turbidimetric assay에서 시료 내 헤모글로빈으로 인한 간섭효과 제거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소량 시료(4a) 및 대량 시료(4b).
도 5는 HbA1c Turbidimetric assay에서 시료 내 빌리루빈으로 인한 간섭효과 제거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소량 시료(5a) 및 대량 시료(5b).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특정 물질의 농도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 고체/고체는 (중량/중량) %, 고체/액체는 (중량/부피) %, 그리고 액체/액체는 (부피/부피) %이다.
실시예
준비예 1. 헤모글로빈 농도에 따른 파장별 상관성 분석
헤모글로빈 검출용 키트(Hemoglobin reagent kit)를 이용하여 헤모글로빈 대조군(control)과 분석하고자 하는 임상 시료 내 헤모글로빈 농도를 측정하여 헤모글로빈의 정량적 검출을 위한 표준 농도를 산출하였다.
표준 농도를 산출하고자 사용된 헤모글로빈 대조군의 농도는 0 mg/dL, 40 mg/dL, 80 mg/dL, 120 mg/dL, 160 mg/dL 및 200 mg/dL이고, 분석시료로써 0.9 내지 120 mg/dL의 헤모글로빈을 함유한 동물 임상혈액(canine)이 사용되었다.
상기 산출된 표준 농도의 헤모글로빈 대조군과 임상 시료를 1:100으로 희석하여 410 nm, 450 nm, 550 nm, 660 nm 및 450 nm 내지 550 nm의 파장대별로 흡광도(OD값)를 측정하였다. 회귀분석을 적용하여 상기 파장대별 헤모글로빈의 흡광도에 대한 파장별 상관성 분석을 수행하였고,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각 파장대에서의 측정된 흡광도의 R2값이 1에 가까울수록 측정 파장대와 상관성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각각의 R2값을 비교하여 하기 나타낸 그래프의 기울기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헤모글로빈의 흡광도 측정에 있어서, 400 nm대의 파장 영역에서 가장 높은 상관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헤모글로빈 농도에 따른 파장별 상관성[R2]
파장(Wavelength) 410 nm 450 nm 550 nm 660 nm 450 ~ 550 nm
헤모글로빈
대조군 [R2]
0.9959 0.9934 0.9926 0.1549 0.9961
임상시료 내 헤모글로빈[R2] 0.8464 0.7912 0.5640 0.2853 0.7503
준비예 2. 빌리루빈 농도에 따른 파장별 상관성 분석
빌리루빈 검출용 키트(Bilirubin reagent kit)를 이용하여 빌리루빈 대조군(control)과 분석하고자 하는 임상 시료 내 빌리루빈 농도를 측정하여 빌리루빈의 정량적 검출을 위한 표준 농도를 산출하였다.
표준 농도를 산출하고자 사용된 빌리루빈 대조군의 농도는 0 mg/dL, 0.5 mg/dL, 9 mg/dL, 16 mg/dL, 24 mg/dL, 32 mg/dL 및 40 mg/dL이고, 분석시료로써 0.08 내지 34.1 mg/dL의 빌리루빈을 함유한 동물임상혈액(canine)이 사용되었다.
상기 산출된 표준 농도의 빌리루빈 대조군과 임상 시료를 1:100으로 희석하여 410 nm, 450 nm, 550 nm, 660 nm 및 450 nm 내지 550 nm의 파장대별로 흡광도(OD값)를 측정하였다. 회귀분석을 적용하여 상기 파장대별 빌리루빈의 흡광도에 대한 파장별 상관성 분석을 수행하였고,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각 파장대에서의 빌리루빈 대조군및 시료 내 빌리루빈의 R2값이 1에 가까울수록 측정된 파장대와 상관성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각각의 R2값을 비교하여 하기 나타낸 그래프의 기울기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빌리루빈의 흡광도 측정에 있어서, 450 ~ 550 nm대의 파장 영역에서 가장 높은 상관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빌리루빈 농도에 따른 파장별 상관성[R2]
파장(Wavelength) 410 nm 450 nm 550 nm 660 nm 450 ~ 550 nm
빌리루빈
대조군[R2]
0.9946 0.9973 0.9929 0.0182 0.9971
임상시료 내
빌리루빈[R2]
0.6391 0.9198 0.3621 0.1145 0.9804
실시예 1. IgG ELISA assay
본 발명의 혈액 시료에서 헤모글로빈 및 빌리루빈 물질의 축적에 의한 간섭 효과를 제거하는 방법을 적용하여 IgG ELISA assay를 수행하였고, 하기 식 1을 이용하여 실험 시료에서의 IgG의 농도를 산출하였다.
본 실험예의 ELISA assay는 일반적인 ELISA assay 실험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본 발명을 적용하여 일부 변형되어 수행되었다.
[식 1]
{2차 측정 OD값 - 1차 측정 OD값 = 최종 농도}
1차 측정(1차 OD 값): 파장 450 nm-550 nm(빌리루빈) 및/또는 파장 410 nm(헤모글로빈)
2차 측정(2차 OD 값): 파장 405 nm(IgG)
실시예 1-1. 분석 시료 내 헤모글로빈으로 인한 간섭 효과 제거 확인
시료의 양에 관계없이, 본 발명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동일한 IgG 농도를 갖는 소량(LQC: 0.5 mg/mL)의 시료 및 대량(HQC: 8 mg/mL)의 시료를 각각 준비하였다. 먼저, 상기 동일한 IgG 농도를 가진 각각의 시료에 헤모글로빈을 0 내지 500 mg/dL, 즉, 0 mg/dL, 100 mg/dL, 200 mg/dL, 300 mg/dL, 400 mg/dL 및 500 mg/dL로 스파이킹하였다. 그런 다음, IgG ELISA Kit를 이용한 ELISA assay를 수행하여 각 시료에서의 IgG에 대한 흡광도(OD값)를 총 2번 측정하였다. 1차 OD값은 시료를 첨가한 뒤, 준비예에서 확인한 헤모글로빈의 정량분석에 있어서 가장 높은 상관성을 보였던 파장대 영역(410 nm)에서 수행하였다. 모든 반응이 종료된 후, 2차 OD값의 측정이 IgG에 대한 고유 파장대(405 nm)에서 수행되었고, 상기 1차 및 2차 측정값을 상기 식1에 대입하여 분석 시료 내 IgG에 대한 최종 농도를 산출하였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료 내 헤모글로빈 및 빌리루빈으로 인한 간섭 효과를 제거하는 방법을 적용하여 스파이크된 헤모글로빈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동일 농도의 IgG 시료에서 OD값이 증가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IgG의 농도를 측정함에 있어서 헤모글로빈으로 인한 간섭효과가 제거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미적용된 경우, 동일 IgG 농도의 시료에서 스파이크된 헤모글로빈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측정된 IgG의 OD값이 함께 증가하는 헤모글로빈에 의한 간섭효과가 관찰되었다. 도 2a는 소량의 시료에 대한 결과이고, 도 2b는 대량의 시료에 대한 결과이다.
실시예 1-2. 분석 시료 내 빌리루빈으로 인한 간섭 효과 제거 확인
시료의 양에 관계없이, 본 발명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동일한 IgG 농도를 갖는 소량(LQC: 0.5 mg/mL)의 시료 및 대량(HQC: 8 mg/mL)의 시료를 각각 준비하였고, 상기 동일한 IgG 농도를 가진 각각의 시료에 빌리루빈을 다음의 농도로 스파이킹하였다: 0 내지 50 mg/dL, 즉, 0 mg/dL, 10 mg/dL, 20 mg/dL, 30 mg/dL, 40 mg/dL 및 50 mg/dL. 그런 다음, IgG ELISA Kit를 이용한 ELISA assay를 수행하여 각 시료에서의 IgG에 대한 흡광도(OD값)를 총 2번 측정하였다. 1차 OD값의 측정은 시료를 첨가한 직후, 준비예에서 확인된 빌리루빈의 정량분석에 있어서 가장 높은 상관성을 보였던 파장대 영역(450 nm 내지 550 nm)에서 수행하였다. 2차 OD값의 측정은 모든 반응이 종료된 후, IgG에 대한 고유 파장대(405 nm)에서 수행하였으며, 상기 1차 및 2차 측정값을 상기 식1에 대입하여 분석 시료 내 IgG에 대한 최종 농도를 산출하였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료 내 헤모글로빈 및 빌리루빈으로 인한 간섭 효과를 제거하는 방법을 적용하여, 동일 IgG 농도의 시료에서 스파이크된 빌리루빈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각 시료에서 측정된 OD값이 증가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IgG 농도를 측정함에 있어서 빌리루빈으로 인한 간섭효과가 제거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반면, 본 발명이 미적용된 경우, 동일 IgG 농도에서 스파이크된 빌리루빈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측정된 IgG의 OD값이 함께 증가하는 빌리루빈에 의한 간섭효과가 관찰되었다. 도 3a는 소량의 시료에 대한 결과이고, 도 3b는 대량의 시료에 대한 결과이다.
실시예 2. HbA1c Turbidimetric assay
본 발명의 용혈반응 및 황달에서의 헤모글로빈 및 빌리루빈 물질의 축적에 의한 간섭 효과를 제거하는 방법을 적용하여 HbA1c Turbidimetric assay를 수행하였고, 하기 식 2를 적용하여 실험 시료에서의 HbA1c의 농도를 산출하였다.
본 실험예의 Turbidimetric assay는 일반적인 Turbidimetric assay 실험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본 발명을 적용하여 일부 변형되어 수행되었다.
[식 2]
{2차 측정 OD값 - 1차 측정 OD값 x *인덱스 요소(Index factor) = 최종 농도}
1차 측정(1차 OD 값): 파장 450 nm-550 nm(빌리루빈) 및/또는 파장 410 nm(헤모글로빈)
2차 측정(2차 OD 값): 파장 405 nm(HbA1c)
*인덱스 요소(Index factor): 1차 플레이트 판독값의 기울기 ÷ 2차 플레이트 판독값의 기울기
실시예 2-1. 분석 시료 내 헤모글로빈으로 인한 간섭 효과 제거 확인
시료의 양에 관계없이, 본 발명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동일한 HbA1c의 농도를 갖는 소량(LQC: 5%)의 시료 및 대량(HQC: 8 %)의 시료를 각각 준비하였다. 먼저, 각각의 동일한 HbA1c의 농도를 가진 시료에 헤모글로빈을 0 내지 500 mg/dL, 즉, 0 mg/dL, 10 mg/dL, 100 mg/dL, 200 mg/dL, 300 mg/dL, 400 mg/dL 및 500 mg/dL로 스파이킹하였으며, HbA1c Turbidimetric assay Kit를 이용한 Turbidimetric assay을 수행하여 각 시료에서의 HbA1c의 농도에 대한 흡광도(OD값)를 총 2번 측정하였다. 1차 OD값의 측정은 시료를 추가한 후, 준비예에서 확인한 헤모글로빈의 정량분석에 있어서 가장 높은 상관성을 보였던 파장대 영역(410 nm)에서 수행하였다. 2차 OD값의 측정은 모든 반응이 종료된 후, HbA1c에 대한 고유 파장대(405 nm)에서 수행하였으며, 상기 1차 및 2차 측정값을 상기 식2에 대입하여 분석 시료 내 HbA1c에 대한 최종 농도를 산출하였다. 여기에서 2차 OD값이 1차 OD값보다 작은 경우, 하기 그래프에서 나타낸 스파이킹된 헤모글로빈 농도에 따른 1차 및 2차 측정값들의 기울기로부터 도출된 Index factor로 1차 OD값을 보정함으로써, 상기 식 2을 이용하여 HbA1c에 대한 최종 농도를 산출하였다. 본 실험예에 적용된 인덱스 요소(Index factor)는 하기 표 3에 나타나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료에서의 헤모글로빈 및 빌리루빈으로 인한 간섭 효과를 제거하는 방법을 적용하여, 스파이크된 헤모글로빈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동일 HbA1c 농도의 시료에서의 OD값이 증가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HbA1c의 정량분석에 있어서 헤모글로빈에 의한 간섭효과가 제거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미적용된 경우, 동일한 농도의 HbA1c 시료에서 스파이크된 헤모글로빈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HbA1c의 OD값이 함께 증가하는 헤모글로빈으로 인한 간섭효과가 관찰되었다. 도 4a는 소량의 시료에 대한 결과이고, 도 4b는 대량의 시료에 대한 결과이다.
최종 농도를 산출하기 위한 인덱스 요소(Index factor).
1차 플레이트
판독값의 기울기
2차 플레이트
판독값의 기울기
인덱스
요소
LQC 0.0030 0.0003 10
HQC 0.0029 0.0004 7
Index Facor 적용 구간: 7 내지 10 중 택 1
실시예 2-2. 분석 시료 내 빌리루빈으로 인한 간섭 효과 제거 확인
시료의 양에 관계없이, 본 발명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동일한 HbA1c 농도를 갖는 소량(LQC: 5%)의 시료 및 대량(HQC: 8 %)의 시료를 각각 준비하였고, 상기 동일한 HbA1c 농도를 가진 각각의 시료에 빌리루빈을 다음의 농도로 스파이킹하였다: 0 내지 50 mg/dL, 즉, 0 mg/dL, 1 mg/dL, 10 mg/dL, 20 mg/dL, 30 mg/dL, 40 mg/dL 및 50 mg/dL. 그런 다음, HbA1c Turbidimetric assay Kit를 이용한 Turbidimetric assay를 수행하여 각 시료에서의 HbA1c의 흡광도(OD값)를 총 2번 측정하였다. 1차 OD값의 측정은 시료를 첨가한 직후 준비예에서 확인한 빌리루빈의 정량분석에 있어서 가장 높은 상관성을 보였던 파장대 영역(450 nm 내지 550 nm)에서 수행하였다. 2차 OD값은 모든 반응이 종료된 후, HbA1c에 대한 고유 파장대(405 nm)에서 측정하였고, 상기 1차 및 2차 측정값을 상기 식 2에 대입하여 최종 농도를 도출하였다. 여기에서, 2차 OD값이 1차 OD값보다 작은 경우, 하기 그래프에서 나타낸 스파이킹된 빌리루빈 농도에 따른 1차 및 2차 측정값들의 기울기로부터 도출된 Index factor로 1차 OD값을 보정함으로써 상기 식 2를 이용하여 HbA1c에 대한 최종 농도를 산출하였다. 본 실험예에 적용된 인덱스 요소(Index factor)는 하기 표 4에 나타나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료 내 헤모글로빈 및 빌리루빈으로 인한 간섭 효과를 제거하는 방법을 적용하여, 동일 HbA1c 농도의 시료에서 스파이크된 빌리루빈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OD값이 증가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HbA1c의 정량분석에 있어서 빌리루빈으로 인한 간섭효과가 제거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미적용된 경우, 동일한 HbA1c 농도의 시료에서 스파이크된 빌리루빈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HbA1c의 OD값이 함께 증가하는 빌리루빈으로 인한 간섭효과가 관찰되었다. 도 5a는 소량의 시료에 대한 결과이고, 도 5b는 대량의 시료에 대한 결과이다.
최종 농도를 산출하기 위한 인덱스 요소(Index factor).
1차 플레이트
판독값의 기울기
2차 플레이트
판독값의 기울기
인덱스
요소
LQC 0.0277 0.002 14
HQC 0.0273 0.0019 14
Index Facor 적용 구간: 14

Claims (8)

  1. 다음을 포함하는 광학분석기기를 이용한 시료의 정량분석에서의 헤모글로빈, 빌리루빈, 또는 이들의 조합의 간섭으로 인한 측정 오차 방지 방법:
    (a) 시료 내 측정오차를 야기하는 헤모글로빈, 빌리루빈, 또는 이들의 조합의 정량적 검출을 위한 소정의 파장영역대를 확인하는 단계;
    (b) 상기 확인된 헤모글로빈 또는 빌리루빈의 정량적 검출을 위한 파장영역대에서 분석하고자 하는 시료의 흡광도를 측정하는, 1차 측정 단계;
    (c) 상기 시료에서 측정 대상 물질의 정량적 검출을 위한 파장대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는, 2차 측정 단계; 및
    (d) 2차 측정값에서 1차 측정값을 차감하여 상기 시료 내에서의 헤모글로빈, 빌리루빈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인한 측정 오차를 제거하는 단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시료 내 헤모글로빈의 정량적 검출을 위한 소정의 파장영역대는 다음 단계로부터 도출되는 파장대인, 방법:
    (a1) 헤모글로빈 검출용 키트를 이용하여 헤모글로빈 대조군(hemoglobin control) 및 시료 내 헤모글로빈 농도를 측정하여 헤모글로빈의 정량적 검출을 위한 표준 농도를 산출하는 단계;
    (a2) 상기 헤모글로빈 대조군 및 시료를 희석하여 파장대별로 흡광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a3) 회귀분석을 적용하여 상기 파장대별 측정된 헤모글로빈 대조군 및 시료 내 헤모글로빈의 흡광도에 대한 R2값을 비교하여 파장대별 상관성을 분석함으로써 가장 높은 상관성을 보이는 파장대를 도출하는 단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시료 내 빌리루빈의 정량적 검출을 위한 소정의 파장영역대는 다음 단계로부터 도출되는 파장대인, 방법:
    (aa) 빌리루빈 검출용 키트를 이용하여 빌리루빈 대조군(bilirubin control) 및 시료 내 빌리루빈 농도를 측정하여 빌리루빈의 정량적 검출을 위한 표준농도를 산출하는 단계;
    (ab) 상기 빌리루빈 대조군 및 시료를 희석하여 파장대별로 측정하는 단계; 및
    (ac) 회귀분석을 적용하여 상기 파장대별 측정된 빌리루빈 대조군 및 시료 내 빌리루빈의 흡광도에 대한 R2값을 비교하여 파장대별 상관성을 분석함으로써 가장 높은 상관성을 보이는 파장대를 도출하는 단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의 흡광도 측정 순서는 1차 측정은 시료를 첨가한 후 바로 수행되고, 2차 측정은 측정대상 물질의 측정을 위한 반응이 모두 종결된 후 수행되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의 측정값 차감은 하기 식에 따라 계산되는 것인, 방법:
    최종 농도 = 2차 OD값 - 1차 OD값;
    여기에서 1차 OD값은 파장 410 nm에서 측정된 헤모글로빈의 흡광도 값, 파장 450 nm-550 nm에서의 빌리루빈의 흡광도 값, 또는 이들의 합이고; 2차 OD값은 시료 내 분석하고자 하는 소정의 물질의 고유 파장대에서 측정된 흡광도 값임.
  6. 제 5항에 있어서, 1차 측정값이 2차 측정값보다 큰 경우에는 하기 식에 따라 계산되는 것인, 바이오분석법:
    최종 농도 = 2차 OD값 - 1차 OD값 x 인덱스 요소(Index factor); 및
    인덱스 요소(Index factor): 1차 플레이트 판독값의 기울기 ÷ 2차 플레이트 판독값의 기울기;
    여기에서 인덱스 요소(index factor)는 스파이킹된 헤모글로빈 또는 빌리루빈 농도에 따른 1차 OD값의 기울기를 2차 OD값의 기울기로 나눈 값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는 혈장, 혈청, 및 전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혈액, 조직액, 흉수, 눈물, 뇨, 침, 정액, 방수액, 림프액, 뇌척수액, 양수, 장액, 위액, 또는 담즙 인,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대상 물질은 항원, 항체, 효소, 단백질, DNA, RNA, 및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KR1020220006168A 2022-01-14 2022-01-14 헤모글로빈 및 빌리루빈에 의한 간섭효과의 제거를 통한 측정 오차 방지법 KR202301100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6168A KR20230110088A (ko) 2022-01-14 2022-01-14 헤모글로빈 및 빌리루빈에 의한 간섭효과의 제거를 통한 측정 오차 방지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6168A KR20230110088A (ko) 2022-01-14 2022-01-14 헤모글로빈 및 빌리루빈에 의한 간섭효과의 제거를 통한 측정 오차 방지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0088A true KR20230110088A (ko) 2023-07-21

Family

ID=87430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6168A KR20230110088A (ko) 2022-01-14 2022-01-14 헤모글로빈 및 빌리루빈에 의한 간섭효과의 제거를 통한 측정 오차 방지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008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9246B1 (ko) 2006-07-18 2008-02-29 삼성전기주식회사 Rf 루프쓰루의 출력선택 기능을 갖는 디지탈 듀얼 튜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9246B1 (ko) 2006-07-18 2008-02-29 삼성전기주식회사 Rf 루프쓰루의 출력선택 기능을 갖는 디지탈 듀얼 튜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32805B2 (en) Multi-application approach for photometric determination of an analyte in a fluid sample on an automated analyzer
Poulsen et al. A luminescent oxygen channeling immunoassay for the determination of insulin in human plasma
Glick et al. Unreliable visual estimation of the incidence and amount of turbidity, hemolysis, and icterus in serum from hospitalized patients.
EP3033620B1 (en) Method for the detection of the prozone effect of photometric assays
US20220365103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assaying vitamin d
Tecles et al. Analytical validation of commercially available methods for acute phase proteins quantification in pigs
Martínez-Subiela et al. Effects of hemolysis, lipemia, hyperbilirrubinemia, and anticoagulants in canine C-reactive protein, serum amyloid A, and ceruloplasmin assays
CN107643282A (zh) 一种化学发光酶免疫分析法检测尿转铁蛋白的试剂盒及其制备方法
Rindlisbacher et al. Serum free light chain assay: shift toward a higher κ/λ ratio
Marakala et al. Serum creatinine assay: enzymatic vs kinetic Jaffe’s method
CN109563535B (zh) HbA1c的测定法
Srisawasdi et al. Exogenous interferences with Jaffe creatinine assays: addition of sodium dodecyl sulfate to reagent eliminates bilirubin and total protein interference with Jaffe methods
US11327081B2 (en) Calibrators and controls for the determination of percent glycated hemoglobin in a patient's liquid test sample
Muñoz-Prieto et al. A new highly sensitive immunoassay for the detection of adiponectin in serum and saliva of dogs and its application in obesity and canine leishmaniosis
JP7257506B2 (ja) 診断アッセイの実行中のまたはそれに起因する、目的とするアナライトと関連するフック効果を検出する方法
Hasanato et al. Effects of serum indices interference on hormonal results from the Abbott Architect i2000 immunoassay analyser
KR20230110088A (ko) 헤모글로빈 및 빌리루빈에 의한 간섭효과의 제거를 통한 측정 오차 방지법
Shin et al. Hook effect detection and detection-range-controllable one-step immunosensor for inflammation monitoring
Tecles et al. Validation of a commercially available human immunoturbidimetric assay for haptoglobin determination in canine serum samples
Malukar et al. Comparison of modified Jaffe’s kinetic method and enzymatic method of serum creatinine estimation for precision, linearity and effect of interferent
WO2019075471A2 (en) BIOSENSOR DETECTING GLUCOSE LEVELS OF FREE GLUCOSE, HEMOGLOBIN A1C AND GLYCATED BLOOD PROTEINS IN ONE SAME BLOOD SAMPLE
CN110716054A (zh) 一种血清亲细胞性免疫球蛋白e的定量检测试剂盒
US20200400654A1 (en) Reduction of interferences in immunoassays
CN106483297A (zh) 中性粒细胞明胶酶相关脂质运载蛋白测定试剂及制备方法
US20020012952A1 (en) Method for detecting hemoly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