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0002A - 외부 전자 장치와의 통화 유형을 판단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외부 전자 장치와의 통화 유형을 판단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0002A
KR20230110002A KR1020220005970A KR20220005970A KR20230110002A KR 20230110002 A KR20230110002 A KR 20230110002A KR 1020220005970 A KR1020220005970 A KR 1020220005970A KR 20220005970 A KR20220005970 A KR 20220005970A KR 20230110002 A KR20230110002 A KR 202301100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response
response time
message
request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5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정일
박우진
서재우
이충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05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0002A/ko
Priority to US18/154,377 priority patent/US20230231889A1/en
Priority to PCT/KR2023/000691 priority patent/WO2023136672A1/ko
Publication of KR20230110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00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6Networks other than PSTN/ISDN providing telephone service, e.g.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including next generation networks with a packet-switched transport layer
    • H04M7/0078Security; Fraud detection; Fraud preven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101Session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36Arrangements for screening incoming calls, i.e. evaluating the characteristics of a call before deciding whether to answer 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12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for working between exchanges having different types of switching equipment, e.g. power-driven and step by step or decimal and non-decimal
    • H04M7/1205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for working between exchanges having different types of switching equipment, e.g. power-driven and step by step or decimal and non-decimal where the types of switching equipement comprises PSTN/ISDN equipment and switching equipment of networks other than PSTN/ISDN, e.g. Internet Protocol networks
    • H04M7/126Interworking of session control protocols
    • H04M7/127Interworking of session control protocols where the session control protocols comprise SIP and SS7

Abstract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통신 모듈, 및 상기 통신 모듈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와 콜 셋업(call setup)을 설정하고,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제1 프로토콜에 기반한 적어도 하나의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요청 메시지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하울링 생성 음원을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하울링 생성 음원에 상응하는 하울링 응답을 수신하고,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전자 장치 사이의 통화가 정상 통화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외부 전자 장치와의 통화 유형을 판단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ELECTRONIC DEVICE FOR DETERMINING CALL TYPE WITH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THEREOF}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외부 전자 장치와의 통화 유형을 판단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 및 전자 기술의 발전으로 무선 인터넷망의 가입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네트워크를 통한 다양한 서비스들이 제공되고 있다.
네트워크를 통한 서비스 중 통화 요금이 저렴하고, 멀티미디어 통화가 가능한 인터넷 전화 서비스, 즉 VoIP(voice of IP) 서비스가 개발되어 제공되고 있다. VoIP 서비스는 H.323, SIP, MGCP, MEGACO 등과 같은 시그널링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통화 호(call)를 설정하고, RTP 등과 같은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실시간으로 음성 및 화상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RTP 패킷)을 교환하여 통화 서비스를 제공한다.
VoIP 서비스는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다양한 IP 단말(예를 들어, SIP 지원 단말, 개인용 컴퓨터 등)간 통화 호를 설정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RTP 패킷이 교환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전자 장치가 외부 전자 장치와의 통화 유형을 확인하고, 전자 장치와 외부 전자 장치 간 통화가 정상 통화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통신 모듈, 및 상기 통신 모듈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와 콜 셋업(call setup)을 설정하고,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제1 프로토콜에 기반한 적어도 하나의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요청 메시지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요청 메시지의 전송 시간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응답 메시지의 수신 시간에 기반하여 제1 응답 시간을 확인하고,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하울링 생성 음원을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하울링 생성 음원에 상응하는 하울링 응답을 수신하고, 상기 하울링 생성 음원의 전송 시간과 상기 하울링 응답의 수신 시간에 기반하여 제2 응답 시간을 확인하고, 상기 제1 응답 시간 및 상기 제2 응답 시간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전자 장치 사이의 통화가 정상 통화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 방법은, 외부 전자 장치와 콜 셋업(call setup)을 설정하는 과정; 제1 프로토콜에 기반한 적어도 하나의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요청 메시지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요청 메시지의 전송 시간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응답 메시지의 수신 시간에 기반하여 제1 응답 시간을 확인하는 과정; 하울링 생성 음원을 전송하고, 상기 하울링 생성 음원에 상응하는 하울링 응답을 수신하는 과정; 상기 하울링 생성 음원의 전송 시간과 상기 하울링 응답의 수신 시간에 기반하여 제2 응답 시간을 확인하는 과정; 및 상기 제1 응답 시간 및 상기 제2 응답 시간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전자 장치 사이의 통화가 정상 통화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와 외부 전자 장치 간 통화가 정상 통화인지 여부를 쉽게 판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해외에서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보이스 피싱 시 이를 효율적으로 탐지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이 정상 통화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a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과 게이트웨이 간 SIP 시그널링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의 일 예이다.
도 3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과 게이트웨이 간 SIP 시그널링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의 다른 예이다.
도 3c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과 게이트웨이 간 SIP/RTP 시그널링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의 일 예이다.
도 3d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과 게이트웨이 간 SIP/ RTP 시그널링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의 다른 예이다.
도 4a 내지 4c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하울링 생성 음원 및 하울링 응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SIMBOX)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SIMBOX)와 기지국 간 통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801)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개시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동작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동작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동작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에 따른 다양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는, 첨부된 도면은 본 개시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개시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에 유의하여야만 한다. 본 개시의 사상은 첨부된 도면들 외에 모든 변경들, 균등물들 내지 대체물들에 까지도 확장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시스템(100)은 공격자(110)가 사용하는 공격자 PC(personal computer)(120), VPN(virtual private network) 장치(130), 게이트웨이(예: 심박스(SIMBOX))(140), 기지국(150), 및 전자 장치(예: 사용자 단말(16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보이스 피싱과 같은 범죄 행위를 하는 공격자(110)는 해외에 위치하는 공격자 PC(120) 및 VPN 장치(130)와, 국내에 위치하는 게이트웨이(140)를 이용하여 국내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160)로 전화(예: 인터넷 전화)를 발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공격자(110)는 통신 장비(예를 들어, 헤드셋)를 이용하여 인터넷 전화(또는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를 위한 음성 신호를 공격자 PC(120)로 입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VPN 장치(130)는 인터넷 망과 같은 공중망을 사설망처럼 이용하도록 중개하는 장치를 의미하며, 공격자(110)로 하여금 자신의 망 구성을 정의하고 임의의 전화번호 체계를 구축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VPN 장치(130)는 구축된 임의의 전화번호 체계를 통해 공격자(110)의 인터넷 전화 음성을 게이트웨이(140)로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게이트웨이(140)는 심박스(SIMBOX)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발신 번호를 변작하는 장치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게이트웨이(140)는 해외에서 공격자 PC(120)로부터 발신된 인터넷 전화(또는 VoIP)를 국내 전화(예컨대, 전화 번호가 '010'으로 시작하는 전화)처럼 보이도록 처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게이트웨이(140)는 변작된 010으로 시작하는 전화 번호(이하, 설명의 편의상 '010 전화 번호'라 지칭하기로 한다)를 이용하여 공격자(110)의 인터넷 전화(또는 VoIP) 음성을 기지국(150)으로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에에 따라, 기지국(150)은 사용자 단말(160)의 무선 자원 할당을 수행하는 주체로서, RAN(Radio Access Network), eNode B, gNode B, Node B, BS(Base Station), NG-RAN(NextGeneration Radio Access Network), 5G-AN, 무선 접속 유닛, 기지국 제어기, 또는 네트워크 상의 노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150)은 게이트웨이(140)에 의해 변작된 010 전화 번호를 통해 공격자(110)의 인터넷 전화(또는 VoIP) 음성을 사용자 단말(160)로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150)은 사용자 단말(160)과 공격자 PC(120) 간 인터넷 전화(또는 VoIP)를 중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에에 따라, 사용자 단말(160)은 UE(User Equipment), NG UE(NextGeneration UE), MS(Mobile Station), 셀룰러폰, 스마트폰 또는 컴퓨터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에에 따라, 사용자 단말(160)은 통신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이 정상 통화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정상 통화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시스템(200)은 사용자 단말(210), 게이트웨이(SIMBOX)(220), 및 공격자 PC(23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10)은 도 1의 사용자 단말(160)로 구현되고, 게이트웨이(220)는 도 1의 게이트웨이(SIMBOX)(140)로 구현되고, 공격자 PC(230)는 도 1의 공격자 PC(120)로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210)과 게이트웨이(SIMBOX)(220) 간 콜 셋업(call setup)은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SIP는 세션 개시 프로토콜로도 불릴 수 있으며, 세션은 멀티미디어와 관련된 세션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SIP는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에 대한 연결을 설정하고, 그 이후의 데이터 전송은 다른 프로토콜(예를 들어,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RTP를 통한 데이터 전송 완료 후 SIP는 VoIP에 대한 연결 종료를 설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공격자 PC(230)가 발신한 인터넷 전화(또는 VoIP)는 게이트웨이(SIMBOX)(220)에 의해 국내 전화(예컨대, 전화 번호가 '010'으로 시작하는 전화)로 변작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게이트웨이(SIMBOX)(220)는 콜 셋업(call setup)을 위해 SIP INVITE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210)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210)은 SIP INVITE 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 메시지를 게이트웨이(SIMBOX)(22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SIP를 통한 콜 셋업(call setup) 이후 사용자 단말(210)은 게이트웨이(SIMBOX)(220)로 SIP request 메시지(①)를 전송할 수 있다(201).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SIP request 메시지(①)는 SIP option 메시지로 구현될 수 있고, SIP option 메시지는 상대 단말의 능력(capability)을 확인하기 위해 전송하는 메시지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SIP request 메시지(①)가 SIP option 메시지로 구현되는 경우, SIP request 메시지(①)는 SIP를 통한 콜 셋업(call setup) 전에 게이트웨이(SIMBOX)(220)로 전송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SIP request 메시지(①)는 SIP를 통해 전송되는 더미(dummy) 메시지로 구현되며, 사용자 단말(210)과 게이트웨이(SIMBOX)(220) 간 SIP 메시지가 송수신되는 총 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메시지로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게이트웨이(SIMBOX)(220)는 SIP request 메시지(①)에 대한 응답 메시지(SIP response 메시지)(②)를 사용자 단말(210)로 전송할 수 있다(202).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SIP request 메시지(①)가 SIP option 메시지로 구현되는 경우, SIP response 메시지(②)는 SIP option response 메시지로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SIP request 메시지(①)가 더미(dummy) 메시지로 구현되는 경우, SIP response 메시지(②)는 dummy response 메시지로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210)은 SIP request 메시지(①)를 전송한 이후 SIP response 메시지(②)를 수신할 때까지의 시간인 제1 응답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203).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210)은 제1 응답 시간 확인에 기반하여 사용자 단말(210)과 게이트웨이(SIMBOX)(220) 간 SIP 메시지가 송수신되는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210)은 SIP request 메시지(①)를 대신하여 RTP를 통한 RTP request 메시지를 게이트웨이(SIMBOX)(220)로 전송하고, 게이트웨이(SIMBOX)(220)는 SIP response 메시지(②)를 대신하여 RTP를 통한 RTP response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21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210)은 RTP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한 이후 RTP response 메시지를 수신할 때까지의 시간인 제1 응답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210)은 제1 응답 시간 확인에 기반하여 사용자 단말(210)과 게이트웨이(SIMBOX)(220) 간 RTP 메시지가 송수신되는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210)은 인터넷 전화(또는 VoIP)를 발신한 공격자 PC(230)로 하울링(howling) 생성 음원(③)을 전송할 수 있다(204).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하울링 생성 음원(③)은 16,000Hz이상의 고유한 주기를 가지는 음원일 수 있으나, 상기 수치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하울링 생성 음원(③)은 공격자 PC(230)에서 에코(echo)를 발생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공격자 PC(230)는 하울링 생성 음원(③)에 대한 응답 메시지(하울링 응답 메시지)(④)를 사용자 단말(210)로 전송할 수 있다(205).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하울링 응답 메시지(④)는 공격자 PC(230) 측으로 전달된 16,000Hz이상의 고유한 주기를 가지는 하울링 생성 음원(③)이 다시 사용자 단말(210)로 돌아오는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울링 응답 메시지(④)는 공격자 PC(230)에 구비되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어 사용자 단말(210)로 전달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210)은 하울링 생성 음원(③)을 전송한 이후 하울링 응답 메시지(④)를 수신할 때까지의 시간인 제2 응답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206).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210)은 제2 응답 시간 확인에 기반하여 사용자 단말(210)과 공격자 PC(230) 간 음원이 송수신되는 총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2 응답 시간은 하울링 생성 음원(③) 특성에 따른 딜레이 및 VoLTE에서 사용하는 코덱 딜레이를 고려하여 조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210)은 203 과정에서 확인한 제1 응답 시간과 206 과정에서 확인한 제2 응답 시간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콜(call)이 정상 통화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207).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③-④ 간 제2 응답 시간이 ①-② 간 제1 응답 시간보다 임계값 이상 큰 경우, 사용자 단말(210)은 사용자 단말(210)과 공격자 PC(230) 간 수행되는 콜(call)을 정상 통화가 아닌 것(예를 들어, 보이스 피싱에 의한 콜)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임계값은 네트워크 상에서의 전송 딜레이에 기반하여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③-④ 간 제2 응답 시간과 ①-② 간 제1 응답 시간 차이가 임계값 보다 작은 경우, 사용자 단말(210)은 사용자 단말(210)과 공격자 PC(230) 간 수행되는 콜(call)을 정상 통화로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임계값은 네트워크 상에서의 전송 딜레이에 기반하여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공격자 PC(230)가 사용자 단말(210)로 인터넷 전화(또는 VoIP)를 발신한 경우, ③-④ 간 제2 응답 시간이 ①-② 간 제1 응답 시간보다 임계값 이상 클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공격자 PC(230)가 사용자 단말(210)로 인터넷 전화(또는 VoIP)를 발신한 경우, ①-② 간 제1 응답 시간이 소요되는 연결 구간은 모두 국내에 존재하는 반면, ③-④ 간 제2 응답 시간이 소요되는 연결 구간 일부는 해외에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10)이 제1 응답 시간과 제2 응답 시간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콜(call)이 정상 통화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은 다음의 알고리즘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If 통화 셋업이 완료되면,
// SIP 딜레이 측정
Msg = Create(SIP Option 메시지)
Sip_time1 = Send(Msg)
Sip_time2 = Receive(SIP Option Response)
SIPDelay = Sip_time2 - Sip_time1
// howling 사운드 딜레이 측정
Snd = Create(저주파+주기적인 소리)
Snd_time1 = Send(Snd)
Snd_time2 = Receive(하울링 사운드)
SndDelay = Snd_time2 - Snd_time1 - mEchoDelay -mCodecDelay
if (SndDelay - SIPDelay > Threshold)
보이스 피싱
else
정상통화
상기 Msg는 SIP request 메시지(①)이고, 상기 Sip_time1은 상기 Msg의 전송 시간일 수 있다. 상기 SIP Option Response는 SIP response 메시지(②)이고, 상기 Sip_time2는 상기 SIP Option Response의 수신 시간일 수 있다. 상기 SIPDelay는 상기 Sip_time2과 상기 Sip_time1 간 차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Snd는 howling 생성 음원(③)이고, 상기 Snd_time1은 howling 생성 음원(③)의 전송 시간일 수 있다. 상기 Snd_time2는 하울링 응답 메시지(④)의 수신 시간일 수 있다. 상기 mEchoDelay는 하울링 유발 음원에 따라 달리 설정되고, 상기 mCodecDelay는 VoLTE에서 사용하는 Codec 딜레이(예를 들어, 25ms)일 수 있다. 상기 Threshold는 네트워크 단의 전송 딜레이(예를 들어, 32ms)에 기반하여 설정될 수 있다.
도 3a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과 게이트웨이 간 SIP 시그널링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의 일 예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SIP 시그널링을 위한 시스템(300a)은 사용자 단말(310) 및 게이트웨이(SIMBOX)(3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310)은 도 1의 사용자 단말(160) 또는 도 2의 사용자 단말(210)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웨이(SIMBOX)(320)는 도 1의 게이트웨이(SIMBOX)(140) 또는 도 2의 게이트웨이(SIMBOX)(220)로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시스템(300a)은 사용자 단말(310)과 게이트웨이(SIMBOX)(320)를 중개하는 SIP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310)은 게이트웨이(SIMBOX)(320)로부터 SIP를 통해 INVITE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301).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310)은 INVITE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콜(call)을 수신함을 나타내는 200 OK 메시지를 게이트웨이(SIMBOX)(320)로 전송할 수 있다(302).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310)은 게이트웨이(SIMBOX)(320)로부터 200 OK 메시지에 ACK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303).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310)은 사용자 단말(310)과 게이트웨이(SIMBOX)(320) 간 SIP 메시지 송수신 시간을 결정하기 위해 SIP request 메시지를 게이트웨이(SIMBOX)(320)로 전송할 수 있다(304).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SIP request 메시지는 도 2의 SIP request 메시지(①)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도 3a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SIP request 메시지가 303 과정 이후에 전송되는 것으로 도시되나, SIP request 메시지는 콜 셋업(call setup) 이전에(즉, 301 과정 이전에) 전송될 수 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310)은 SIP request 메시지에 대한 응답인 SIP response 메시지를 게이트웨이(SIMBOX)(3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305).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310)은 SIP request 메시지 송신 이후 SIP response 메시지 수신까지의 응답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310)과 게이트웨이(SIMBOX)(320)는 세션을 설립(session established)할 수 있다(306).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310)은 세션 설립 이후 RTP를 통해 게이트웨이(SIMBOX)(320)와 통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310)은 통화를 종료한 경우 SIP를 통해 BYE 메시지를 게이트웨이(SIMBOX)(320)로 전송할 수 있다(307).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게이트웨이(SIMBOX)(320)는 BYE 메시지에 응답으로 200 OK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31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a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자 단말(310)이 통화를 종료하고 BYE 메시지를 게이트웨이(SIMBOX)(320)로 전송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게이트웨이(SIMBOX)(320)가 통화를 종료하고 BYE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310)로 전송할 수 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게이트웨이(320)는 BYE 메시지를 수신하고, BYE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200 OK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310)로 전송할 수 있다(308).
도 3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과 게이트웨이 간 SIP 시그널링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의 다른 예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SIP 시그널링을 위한 시스템(300b)은 사용자 단말(310) 및 게이트웨이(SIMBOX)(3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310)은 도 1의 사용자 단말(160) 또는 도 2의 사용자 단말(210)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웨이(SIMBOX)(320)는 도 1의 게이트웨이(SIMBOX)(140) 또는 도 2의 게이트웨이(SIMBOX)(220)로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시스템(300b)은 사용자 단말(310)과 게이트웨이(SIMBOX)(320)를 중개하는 SIP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b에서 도시하는 301 내지 303 과정, 306 내지 308 과정은 도 3a에서 전술한 내용과 동일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a에서 사용자 단말(310)과 게이트웨이(SIMBOX)(320)는 SIP 메시지 송수신 시간을 결정하기 위해 하나의 SIP request 메시지 및 하나의 SIP response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반면, 도 3b에서 사용자 단말(310)과 게이트웨이(SIMBOX)(320)는 SIP 메시지 송수신 시간을 결정하기 위해 복수의 SIP request 메시지들 및 복수의 SIP response 메시지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310)은 제1 SIP request 메시지를 게이트웨이(SIMBOX)(320)로 전송하고(304-1), 제1 SIP request 메시지에 대한 응답인 제1 SIP response 메시지를 게이트웨이(SIMBOX)(3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305-1).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310)은 제n SIP request 메시지(여기서, n은 2 이상의 자연수)를 게이트웨이(SIMBOX)(320)로 전송하고(304-n), 제n SIP request 메시지에 대한 응답인 제n SIP response 메시지를 게이트웨이(SIMBOX)(3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305-n).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1 SIP request 메시지 및 제n SIP request 메시지 각각은 도 2의 SIP request 메시지(①)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도 3b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SIP request 메시지 및 제n SIP request 메시지가 303 과정 이후에 전송되는 것으로 도시되나, 제1 SIP request 메시지 및 제n SIP request 메시지는 콜 셋업(call setup) 이전에(즉, 301 과정 이전에) 전송될 수 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1 SIP response 메시지 및 제n SIP response 메시지 각각은 도 2의 SIP response 메시지(②)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도 3b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SIP response 메시지 및 제n SIP response 메시지가 303 과정 이후에 전송되는 것으로 도시되나, 제1 SIP response 메시지 및 제n SIP response 메시지는 콜 셋업(call setup) 이전에(즉, 301 과정 이전에) 전송될 수 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310)은 제1 SIP request 메시지 송신 이후 제1 SIP response 메시지 수신까지의 제1 응답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310)은 제n SIP request 메시지 송신 이후 제n SIP response 메시지 수신까지의 제n 응답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310)은 제1 응답 시간 내지 제n 응답 시간의 평균을 계산하고, SIP 평균 응답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310)은 하울링 생성 음원(예를 들어, 도 2의 하울링 생성 음원(③))을 전송한 이후 하울링 응답(예를 들어, 도 2의 하울링 응답 메시지(④))를 수신할 때까지의 시간인 하울링 응답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310)은 SIP 평균 응답 시간과 하울링 응답 시간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콜(call)이 정상 통화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SIP 평균 응답 시간과 하울링 응답 시간 간 차이가 임계값 이상 큰 경우, 사용자 단말(310)은 사용자 단말(310)과 게이트웨이(SIMBOX)(320) 간 콜(call)을 정상 통화가 아닌 것(예를 들어, 보이스 피싱에 의한 콜)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SIP 평균 응답 시간과 하울링 응답 시간 간 차이가 임계값 보다 작은 경우, 사용자 단말(310)은 사용자 단말(310)과 게이트웨이(SIMBOX)(320) 간 콜(call)을 정상 통화로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310)은 SIP 평균 응답 시간과 하울링 응답 시간을 비교하여 전화 중 또는 전화 종료 후에도 사용자 단말(310)과 게이트웨이(SIMBOX)(320) 간 콜(call)이 정상 통화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3c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과 게이트웨이 간 SIP/RTP 시그널링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의 일 예이다.
도 3c를 참조하면, SIP/RTP 시그널링을 위한 시스템(300c)은 사용자 단말(310) 및 게이트웨이(SIMBOX)(3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310)은 도 1의 사용자 단말(160) 또는 도 2의 사용자 단말(210)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웨이(SIMBOX)(320)는 도 1의 게이트웨이(SIMBOX)(140) 또는 도 2의 게이트웨이(SIMBOX)(220)로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시스템(300c)은 사용자 단말(310)과 게이트웨이(SIMBOX)(320)를 중개하는 SIP 서버 및 RTP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310)은 게이트웨이(SIMBOX)(320)로부터 SIP를 통해 INVITE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311).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310)은 INVITE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콜(call)을 수신함을 나타내는 200 OK 메시지를 게이트웨이(SIMBOX)(320)로 전송할 수 있다(312).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310)은 게이트웨이(SIMBOX)(320)로부터 200 OK 메시지에 ACK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313).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310)과 게이트웨이(SIMBOX)(320)는 세션을 설립(session established)할 수 있다(314).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310)은 세션 설립 이후 RTP를 통해 게이트웨이(SIMBOX)(320)와 통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310)은 사용자 단말(310)과 게이트웨이(SIMBOX)(320) 간 RTP 메시지 송수신 시간을 결정하기 위해 RTP request 메시지를 게이트웨이(SIMBOX)(320)로 전송할 수 있다(315).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310)은 RTP request 메시지에 대한 응답인 RTP response 메시지를 게이트웨이(SIMBOX)(3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316).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310)은 RTP request 메시지 송신 이후 SIP response 메시지 수신까지의 RTP 응답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310)은 RTP request 메시지 송신 이후 RTP response 메시지 수신까지의 RTP 응답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310)은 하울링 생성 음원(예를 들어, 도 2의 하울링 생성 음원(③))을 전송한 이후 하울링 응답(예를 들어, 도 2의 하울링 응답 메시지(④))를 수신할 때까지의 시간인 하울링 응답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310)은 RTP 응답 시간과 하울링 응답 시간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콜(call)이 정상 통화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RTP 응답 시간과 하울링 응답 시간 간 차이가 임계값 이상 큰 경우, 사용자 단말(310)은 사용자 단말(310)과 게이트웨이(SIMBOX)(320) 간 콜(call)을 정상 통화가 아닌 것(예를 들어, 보이스 피싱에 의한 콜)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RTP 응답 시간과 하울링 응답 시간 간 차이가 임계값 보다 작은 경우, 사용자 단말(310)은 사용자 단말(310)과 게이트웨이(SIMBOX)(320) 간 콜(call)을 정상 통화로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310)은 RTP 응답 시간과 하울링 응답 시간을 비교하여 전화 중 또는 전화 종료 후에도 사용자 단말(310)과 게이트웨이(SIMBOX)(320) 간 콜(call)이 정상 통화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310)은 통화를 종료한 경우 SIP를 통해 BYE 메시지를 게이트웨이(SIMBOX)(320)로 전송할 수 있다(317).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게이트웨이(SIMBOX)(320)는 BYE 메시지에 응답으로 200 OK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31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c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자 단말(310)이 통화를 종료하고 BYE 메시지를 게이트웨이(SIMBOX)(320)로 전송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게이트웨이(SIMBOX)(320)가 통화를 종료하고 BYE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310)로 전송할 수 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게이트웨이(320)는 BYE 메시지를 수신하고, BYE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200 OK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310)로 전송할 수 있다(318).
도 3d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과 게이트웨이 간 SIP/ RTP 시그널링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의 다른 예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SIP/RTP 시그널링을 위한 시스템(300d)은 사용자 단말(310) 및 게이트웨이(SIMBOX)(3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310)은 도 1의 사용자 단말(160) 또는 도 2의 사용자 단말(210)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웨이(SIMBOX)(320)는 도 1의 게이트웨이(SIMBOX)(140) 또는 도 2의 게이트웨이(SIMBOX)(220)로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시스템(300d)은 사용자 단말(310)과 게이트웨이(SIMBOX)(320)를 중개하는 SIP 서버 및 RTP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d에서 도시하는 311 내지 314 과정, 317 내지 318 과정은 도 3c에서 전술한 내용과 동일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c에서 사용자 단말(310)과 게이트웨이(SIMBOX)(320)는 RTP 메시지 송수신 시간을 결정하기 위해 하나의 RTP request 메시지 및 하나의 RTP response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반면, 도 3d에서 사용자 단말(310)과 게이트웨이(SIMBOX)(320)는 RTP 메시지 송수신 시간을 결정하기 위해 복수의 RTP request 메시지들 및 복수의 RTP response 메시지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310)은 제1 RTP request 메시지를 게이트웨이(SIMBOX)(320)로 전송하고(315-1), 제1 RTP request 메시지에 대한 응답인 제1 RTP response 메시지를 게이트웨이(SIMBOX)(3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316-1).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310)은 제n RTP request 메시지(여기서, n은 2 이상의 자연수)를 게이트웨이(SIMBOX)(320)로 전송하고(315-n), 제n RTP request 메시지에 대한 응답인 제n RTP response 메시지를 게이트웨이(SIMBOX)(3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316-n).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310)은 제1 RTP request 메시지 송신 이후 제1 RTP response 메시지 수신까지의 제1 RTP 응답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310)은 제n RTP request 메시지 송신 이후 제n RTP response 메시지 수신까지의 제n RTP 응답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310)은 제1 RTP 응답 시간 내지 제n RTP 응답 시간의 평균을 계산하고, RTP 평균 응답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310)은 하울링 생성 음원(예를 들어, 도 2의 하울링 생성 음원(③))을 전송한 이후 하울링 응답(예를 들어, 도 2의 하울링 응답 메시지(④))를 수신할 때까지의 시간인 하울링 응답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310)은 RTP 평균 응답 시간과 하울링 응답 시간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콜(call)이 정상 통화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RTP 평균 응답 시간과 하울링 응답 시간 간 차이가 임계값 이상 큰 경우, 사용자 단말(310)은 사용자 단말(310)과 게이트웨이(SIMBOX)(320) 간 콜(call)을 정상 통화가 아닌 것(예를 들어, 보이스 피싱에 의한 콜)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RTP 평균 응답 시간과 하울링 응답 시간 간 차이가 임계값 보다 작은 경우, 사용자 단말(310)은 사용자 단말(310)과 게이트웨이(SIMBOX)(320) 간 콜(call)을 정상 통화로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310)은 RTP 평균 응답 시간과 하울링 응답 시간을 비교하여 전화 중 또는 전화 종료 후에도 사용자 단말(310)과 게이트웨이(SIMBOX)(320) 간 콜(call)이 정상 통화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
도 4a 내지 4c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하울링 생성 음원 및 하울링 응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예를 들어, 도 1의 사용자 단말(160), 도 2의 사용자 단말(210), 또는 도 3의 사용자 단말(310))에서 생성되는 하울링 생성 음원(예를 들어, 도 2의 하울링 생성 음원(③))은 사람의 가청 주파수 범위(20~20,000Hz) 내에서 특정 주파수(예컨대: 16,000Hz) 이상의 주파수에 대응하는 고유한 주기를 갖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람의 가청 주파수 범위(20~20,000Hz) 내에서 16,000Hz이상의 주파수는 사람이 잘 듣기 어려우나, 사용자 단말의 리시버와 마이크는 16,000Hz이상의 주파수를 통한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400)은 멀티 마이크(multi-mic)를 포함하고, ANC(active noise cancelling) 기능 및/또는 cVc(clear voice capture)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400)은 하울링 생성 음원(401) 수신 시 ANC 기능 및/또는 cVc 기능을 통해 통화 주변 잡음 및/또는 하울링을 제거한 하울링 응답(403)을 상대 단말로 전달할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헤드셋(410)을 착용한 채 통신하는 경우, 헤드셋(410)은 싱글 마이크(single-mic)를 포함하고, ANC(active noise cancelling) 기능 및/또는 cVc(clear voice capture) 기능을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헤드셋(410)을 통해 하울링 생성 음원(411) 수신 시 헤드셋(410)과 연결된 장치(예를 들어, 도 1의 공격자 PC(120))는 하울링이 제거되지 않은 하울링 생성 음원(411)과 유사한 하울링 응답(411)을 상대 단말로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보이스 피싱과 같은 범죄 행위를 하는 공격자가 헤드셋(410)을 착용한 채 해외에 위치하는 공격자 PC(예를 들어, 도 1의 공격자 PC(120))를 통해 사용자 단말(예를 들어, 도 1의 사용자 단말(160))로 인터넷 전화를 발신하는 경우, 공격자 PC(예: 도 1의 공격자 PC(120))는 하울링이 제거되지 않은 하울링 생성 음원(411)과 유사한 하울링 응답(411)을 사용자 단말로 전달할 수 있다.
도 5a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SIMBOX)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5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SIMBOX)와 기지국 간 통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게이트웨이(SIMBOX)(500)(예를 들어, 도 1의 게이트웨이(140), 도 2의 게이트웨이(220), 또는 도 3의 게이트웨이(230))는 VoIP(또는 인터넷 전화)를 지원하는 VoIP 모듈(510) 및 기지국(예를 들어, 도 1의 기지국(150))과의 통신을 지원하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모듈(52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VoIP 모듈(510)은 Web UI(511), VoIP 소프트웨어(512), 스위치 매니저(switch manager)(513), 임베디드 리눅스(embedded linux)(514), 및 RJ45 커넥터(515)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VoIP 모듈(510)은 RJ45 커넥터(515)를 통해 VPN 장치(예를 들어, 도 1의 VPN 장치(130))로부터 전송되는 VoIP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VoIP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GSM 모듈(520)은 제1 서브 GSM 모듈(521-1), 제1 SIM 카드(522-1), 제1 GSM 모뎀(523-1), 제1 안테나(524-1), 제2 서브 GSM 모듈(521-2), 제2 SIM 카드(522-2), 제2 GSM 모뎀(523-2), 및 제2 안테나(524-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GSM 모듈(520)이 2 개의 서브 GSM 모듈들(521-1, 521-2)을 포함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GSM 모듈(520)에 포함되는 서브 GSM 모듈들의 개수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GSM 모듈(520)은 VoIP 소프트웨어(512), 스위치 매니저(513)를 통해 처리된 VoIP 신호를 제1 서브 GSM 모듈(521-1)을 통해 수신 및 처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GSM 모듈(520)은 제1 SIM 카드(522-1)에 구현된 가입자 식별 모듈 내 정보에 기반하여 제1 GSM 모뎀(523-1) 및 제1 안테나(524-1)을 거쳐 VoLTE 신호를 기지국(예: 도 1의 기지국(15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GSM 모듈(520)은 VoIP 소프트웨어(512), 스위치 매니저(513)를 통해 처리된 VoIP 신호를 제2 서브 GSM 모듈(521-2)을 통해 수신 및 처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GSM 모듈(520)은 제2 SIM 카드(522-2)에 구현된 가입자 식별 모듈 내 정보에 기반하여 제2 GSM 모뎀(523-2) 및 제2 안테나(524-2)을 거쳐 VoLTE 신호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VoIP 모듈(510)은 VPN 장치(예를 들어, 도 1의 VPN 장치(130))로부터 전송되는 VoIP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VoIP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1 서브 GSM 모듈(521-1)은 제1 SIM 카드(522-1)에 포함되는 제1 가입자 정보에 기반하여 VoIP 연결 및/또는 종료를 위한 SIP 메시지를 제1 안테나(524-1)를 통해 기지국(53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1 서브 GSM 모듈(521-1)은 상기 SIP 메시지에 상응하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SIP 응답 메시지를 제1 안테나(524-1)를 통해 기지국(530)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1 서브 GSM 모듈(521-1)은 상기 SIP 응답 메시지를 처리 및/또는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2 서브 GSM 모듈(521-2)은 제2 SIM 카드(522-2)에 포함되는 제2 가입자 정보에 기반하여 VoIP 연결 및/또는 종료를 위한 SIP 메시지를 제2 안테나(524-2)를 통해 기지국(53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2 서브 GSM 모듈(521-2)은 상기 SIP 메시지에 상응하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SIP 응답 메시지를 제2 안테나(524-1)를 통해 기지국(530)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2 서브 GSM 모듈(521-2)은 상기 SIP 응답 메시지를 처리 및/또는 저장할 수 있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와 콜 셋업(call setup)을 설정할 수 있다(601).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는 제1 프로토콜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콜 셋업을 설정하고, 제2 프로토콜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전자와 통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는 제1 프로토콜에 기반한 적어도 하나의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요청 메시지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603). 여기서, 제1 프로토콜은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또는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프로토콜이 상기 SIP인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요청 메시지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능력(capability)을 확인하기 위한 SIP 옵션 메시지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응답 메시지는 SIP 옵션 응답 메시지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프로토콜이 상기 SIP인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요청 메시지는 더미(dummy) 메시지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응답 메시지는 더미 응답 메시지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요청 메시지의 전송 시간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응답 메시지의 수신 시간에 기반하여 제1 응답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605).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는 제2 프로토콜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전자와 통신할 수 있다(607).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프로토콜은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이고 상기 제2 프로토콜이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프로토콜 및 상기 제2 프로토콜이 RTP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는 인터넷 전화의 발신 번호를 변작하는 게이트웨이로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는 하울링 생성 음원을 전송하고, 상기 하울링 생성 음원에 상응하는 하울링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609).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가청 주파수 범위 내에서 미리 설정된 주파수 이상의 주파수에 대응하는 고유한 주기를 갖도록 상기 하울링 생성 음원을 생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는 상기 하울링 생성 음원의 전송 시간과 상기 하울링 응답의 수신 시간에 기반하여 제2 응답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611).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는 상기 하울링 생성 음원의 특성에 따른 딜레이 및 VoLTE에서 사용하는 코덱 딜레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응답 시간을 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응답 시간 및 상기 제2 응답 시간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전자 장치 사이의 통화가 정상 통화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613). 613 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7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프로토콜에 기반한 제1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요청 메시지에 상응하는 제1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프로토콜에 기반한 제2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요청 메시지에 상응하는 제2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요청 메시지의 전송 시간과 상기 제1 응답 메시지의 수신 시간에 기반한 응답 시간, 및 상기 제2 요청 메시지의 전송 시간과 상기 제2 응답 메시지의 수신 시간에 기반한 응답 시간 사이의 평균 응답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는 상기 평균 응답 시간을 상기 제1 응답 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는 제1 응답 시간과 제2 응답 시간을 비교할 수 있다(701).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응답 시간과 상기 제2 응답 시간 간 차이가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703). 여기서, 상기 임계값은 네트워크 상에서의 전송 딜레이에 기반하여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응답 시간과 상기 제2 응답 시간 간 차이가 임계값 이상이면 전자 장치와 외부 전자 장치 사이의 통화가 정상 통화가 아니라고 판단할 수 있다(705).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응답 시간과 상기 제2 응답 시간 간 차이가 임계값 미만이면 전자 장치와 외부 전자 장치 사이의 통화가 정상 통화라고 판단할 수 있다(707).
도 8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800) 내의 전자 장치(801)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의 전자 장치(801)는 도 1의 사용자 단말(160), 도 2의 사용자 단말(210), 또는 도 3a 내지 도 3d의 사용자 단말(310)과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800)에서 전자 장치(801)는 제 1 네트워크(8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8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8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804) 또는 서버(8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801)는 서버(808)를 통하여 전자 장치(8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801)는 프로세서(820), 메모리(830), 입력 모듈(850), 음향 출력 모듈(855), 디스플레이 모듈(860), 오디오 모듈(870), 센서 모듈(876), 인터페이스(877), 연결 단자(878), 햅틱 모듈(879), 카메라 모듈(880), 전력 관리 모듈(888), 배터리(889), 통신 모듈(890), 가입자 식별 모듈(896), 또는 안테나 모듈(897)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8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연결 단자(878))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예: 센서 모듈(876), 카메라 모듈(880), 또는 안테나 모듈(897))은 하나의 구성요소(예: 디스플레이 모듈(860))로 통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8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8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820)에 연결된 전자 장치(8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8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876) 또는 통신 모듈(8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832)에 저장하고, 휘발성 메모리(8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 휘발성 메모리(8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820)는 메인 프로세서(8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8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신경망 처리 장치(NPU: neural processing unit),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801)가 메인 프로세서(821) 및 보조 프로세서(823)를 포함하는 경우, 보조 프로세서(823)는 메인 프로세서(8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823)는 메인 프로세서(8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8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8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8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8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821)와 함께, 전자 장치(8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디스플레이 모듈(860), 센서 모듈(876), 또는 통신 모듈(8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8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요소(예: 카메라 모듈(880) 또는 통신 모듈(8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823)(예: 신경망 처리 장치)는 인공지능 모델의 처리에 특화된 하드웨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인공지능 모델은 기계 학습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학습은, 예를 들어, 인공지능이 수행되는 전자 장치(801) 자체에서 수행될 수 있고, 별도의 서버(예: 서버(808))를 통해 수행될 수도 있다. 학습 알고리즘은, 예를 들어, 지도형 학습(supervised learning), 비지도형 학습(unsupervised learning), 준지도형 학습(semi-supervised learning) 또는 강화 학습(reinforcement learning)을 포함할 수 있으나,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공지능 모델은, 복수의 인공 신경망 레이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인공 신경망은 심층 신경망(DNN: deep neural network),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RNN(recurrent neural network), RBM(restricted boltzmann machine), DBN(deep belief network), BRDNN(bidirectional recurrent deep neural network), 심층 Q-네트워크(deep Q-networks) 또는 상기 중 둘 이상의 조합 중 하나일 수 있으나,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공지능 모델은 하드웨어 구조 이외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소프트웨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830)는, 전자 장치(8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820) 또는 센서 모듈(8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8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830)는, 휘발성 메모리(832) 또는 비 휘발성 메모리(8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840)은 메모리(8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842), 미들웨어(844) 또는 어플리케이션(8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모듈(850)은, 전자 장치(8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8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8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모듈(850)은,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키(예: 버튼), 또는 디지털 펜(예: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855)은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8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855)은,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860)은 전자 장치(8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86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860)은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센서,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8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870)은, 입력 모듈(850)을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모듈(855), 또는 전자 장치(8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802))(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876)은 전자 장치(8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8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877)는 전자 장치(8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8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8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8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8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8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878)는,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8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8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8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8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888)은 전자 장치(8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8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889)는 전자 장치(8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배터리(8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890)은 전자 장치(8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802), 전자 장치(804), 또는 서버(808)) 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890)은 프로세서(8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890)은 무선 통신 모듈(8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8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898)(예: 블루투스, 와이파이(Wi-Fi: wireless fidelity)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와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899)(예: 레거시 셀룰러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차세대 통신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의 전자 장치(804)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요소(예: 단일 칩)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892)은 가입자 식별 모듈(8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898) 또는 제 2 네트워크(8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801)를 확인 또는 인증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892)은 4G 네트워크 이후의 5G 네트워크 및 차세대 통신 기술, 예를 들어, NR 접속 기술(new radio access technology)을 지원할 수 있다. NR 접속 기술은 고용량 데이터의 고속 전송(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단말 전력 최소화와 다수 단말의 접속(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또는 고신뢰도와 저지연(URLLC(ultra-reliable and low-latency communications))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892)은, 예를 들어, 높은 데이터 전송률 달성을 위해, 고주파 대역(예: mmWave 대역)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892)은 고주파 대역에서의 성능 확보를 위한 다양한 기술들, 예를 들어,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전차원 다중입출력(FD-MIMO: full dimensional 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또는 대규모 안테나(large scale antenna)와 같은 기술들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892)은 전자 장치(801),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804)) 또는 네트워크 시스템(예: 제 2 네트워크(899))에 규정되는 다양한 요구사항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모듈(892)은 eMBB 실현을 위한 Peak data rate(예: 20Gbps 이상), mMTC 실현을 위한 손실 Coverage(예: 164dB 이하), 또는 URLLC 실현을 위한 U-plane latency(예: 다운링크(DL) 및 업링크(UL) 각각 0.5ms 이하, 또는 라운드 트립 1ms 이하)를 지원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8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의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897)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897)은 복수의 안테나들(예: 어레이 안테나)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1 네트워크(898) 또는 제 2 네트워크(8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890)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890)과 외부의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897)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897)은 mmWave 안테나 모듈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mmWave 안테나 모듈은 인쇄 회로 기판,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제 1 면(예: 아래 면)에 또는 그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지정된 고주파 대역(예: mmWave 대역)을 지원할 수 있는 RFIC, 및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제 2 면(예: 윗면 또는 측 면)에 또는 그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지정된 고주파 대역의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는 복수의 안테나들(예: 어레이 안테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899)에 연결된 서버(808)를 통해서 전자 장치(801)와 외부의 전자 장치(8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외부의 전자 장치(802, 또는 804) 각각은 전자 장치(8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8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의 전자 장치들(802, 804, 또는 8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의 전자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8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8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의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의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8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8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모바일 에지 컴퓨팅(MEC: mobile edge computing),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전자 장치(801)는, 예를 들어, 분산 컴퓨팅 또는 모바일 에지 컴퓨팅을 이용하여 초저지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의 전자 장치(804)는 IoT(internet of things)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808)는 기계 학습 및/또는 신경망을 이용한 지능형 서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의 전자 장치(804) 또는 서버(808)는 제 2 네트워크(899)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전자 장치(801)는 5G 통신 기술 및 IoT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지능형 서비스(예: 스마트 홈,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또는 헬스 케어)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 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와 같은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8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836) 또는 외장 메모리(8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8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8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8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 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 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 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개체 중 일부는 다른 구성요소에 분리 배치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160, 210, 310: 사용자 단말
140, 220, 320: 게이트웨이
120, 230: 공격자 PC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통신 모듈; 및
    상기 통신 모듈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와 콜 셋업(call setup)을 설정하고,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제1 프로토콜에 기반한 적어도 하나의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요청 메시지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요청 메시지의 전송 시간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응답 메시지의 수신 시간에 기반하여 제1 응답 시간을 확인하고,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하울링 생성 음원을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하울링 생성 음원에 상응하는 하울링 응답을 수신하고,
    상기 하울링 생성 음원의 전송 시간과 상기 하울링 응답의 수신 시간에 기반하여 제2 응답 시간을 확인하고,
    상기 제1 응답 시간 및 상기 제2 응답 시간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전자 장치 사이의 통화가 정상 통화인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토콜은 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또는 RTP (real-time transport protocol)인, 전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토콜이 상기 SIP인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요청 메시지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능력(capability)을 확인하기 위한 SIP 옵션 메시지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응답 메시지는 SIP 옵션 응답 메시지인, 전자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토콜이 상기 SIP인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요청 메시지는 더미(dummy) 메시지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응답 메시지는 더미 응답 메시지인, 전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응답 시간과 상기 제2 응답 시간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응답 시간과 상기 제2 응답 시간 간 차이가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전자 장치 사이의 통화가 정상 통화가 아니라고 판단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응답 시간과 상기 제2 응답 시간 간 차이가 상기 임계값 미만이면,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전자 장치 사이의 통화가 정상 통화라고 판단하는, 전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값은 네트워크 상에서의 전송 딜레이에 기반하여 설정되는, 전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하울링 생성 음원의 특성에 따른 딜레이 및 VoLTE에서 사용하는 코덱 딜레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응답 시간을 조정하는, 전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제1 프로토콜에 기반한 제1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요청 메시지에 상응하는 제1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제1 프로토콜에 기반한 제2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요청 메시지에 상응하는 제2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전자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요청 메시지의 전송 시간과 상기 제1 응답 메시지의 수신 시간에 기반한 응답 시간, 및 상기 제2 요청 메시지의 전송 시간과 상기 제2 응답 메시지의 수신 시간에 기반한 응답 시간 사이의 평균 응답 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평균 응답 시간을 상기 제1 응답 시간으로 결정하는, 전자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프로토콜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콜 셋업을 설정하고,
    제2 프로토콜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전자와 통신하는, 전자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사용자의 가청 주파수 범위 내에서 미리 설정된 주파수 이상의 주파수에 대응하는 고유한 주기를 갖도록 상기 하울링 생성 음원을 생성하는, 전자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자 장치는 인터넷 전화의 발신 번호를 변작하는 게이트웨이로 구현되는, 전자 장치.
  13.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외부 전자 장치와 콜 셋업(call setup)을 설정하는 과정;
    제1 프로토콜에 기반한 적어도 하나의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요청 메시지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요청 메시지의 전송 시간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응답 메시지의 수신 시간에 기반하여 제1 응답 시간을 확인하는 과정;
    하울링 생성 음원을 전송하고, 상기 하울링 생성 음원에 상응하는 하울링 응답을 수신하는 과정;
    상기 하울링 생성 음원의 전송 시간과 상기 하울링 응답의 수신 시간에 기반하여 제2 응답 시간을 확인하는 과정; 및
    상기 제1 응답 시간 및 상기 제2 응답 시간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전자 장치 사이의 통화가 정상 통화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제2 프로토콜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전자와 통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토콜은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이고 상기 제2 프로토콜이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인,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토콜 및 상기 제2 프로토콜이 RTP인,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응답 시간과 상기 제2 응답 시간을 비교하는 과정;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응답 시간과 상기 제2 응답 시간 간 차이가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전자 장치 사이의 통화가 정상 통화가 아니라고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응답 시간과 상기 제2 응답 시간 간 차이가 상기 임계값 미만이면,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전자 장치 사이의 통화가 정상 통화라고 판단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울링 생성 음원의 특성에 따른 딜레이 및 VoLTE에서 사용하는 코덱 딜레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응답 시간을 조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토콜에 기반한 제1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제1 요청 메시지에 상응하는 제1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제1 프로토콜에 기반한 제2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제2 요청 메시지에 상응하는 제2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청 메시지의 전송 시간과 상기 제1 응답 메시지의 수신 시간에 기반한 응답 시간, 및 상기 제2 요청 메시지의 전송 시간과 상기 제2 응답 메시지의 수신 시간에 기반한 응답 시간 사이의 평균 응답 시간을 계산하는 과정; 및
    상기 평균 응답 시간을 상기 제1 응답 시간으로 결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220005970A 2022-01-14 2022-01-14 외부 전자 장치와의 통화 유형을 판단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23011000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5970A KR20230110002A (ko) 2022-01-14 2022-01-14 외부 전자 장치와의 통화 유형을 판단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US18/154,377 US20230231889A1 (en) 2022-01-14 2023-01-13 Electronic device for determining call type with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thereof
PCT/KR2023/000691 WO2023136672A1 (ko) 2022-01-14 2023-01-13 외부 전자 장치와의 통화 유형을 판단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5970A KR20230110002A (ko) 2022-01-14 2022-01-14 외부 전자 장치와의 통화 유형을 판단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0002A true KR20230110002A (ko) 2023-07-21

Family

ID=87279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5970A KR20230110002A (ko) 2022-01-14 2022-01-14 외부 전자 장치와의 통화 유형을 판단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10002A (ko)
WO (1) WO2023136672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65811A1 (en) * 2006-01-19 2007-07-19 John Reumann System and method for spam detection
KR100894908B1 (ko) * 2007-05-15 2009-04-3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인터넷 기반 음성 서비스에서 비정상 패킷을 탐지하는 방법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WO2010105663A1 (en) * 2009-03-16 2010-09-23 Nokia Siemens Networks Oy Communication connection establishment control for preventing unsolicitated communication
KR101379779B1 (ko) * 2012-07-19 2014-04-01 주식회사 나온웍스 발신 정보가 변조된 보이스 피싱 및 문자 피싱 공격을 탐지 및 차단하는 방법
CN111601007B (zh) * 2020-04-09 2021-04-20 深圳震有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限制呼叫的控制方法及电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36672A1 (ko) 2023-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02492A (ko)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오디오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1916987B2 (en) Electronic device for processing audio data,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11936535B2 (en) Server and electronic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tream data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11818781B2 (en)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multi devices in Bluetooth communication environment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US20220319553A1 (en) Electronic device for processing audio data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US20220225008A1 (en) Electronic device for reducing internal noise and method thereof
KR20230110002A (ko) 외부 전자 장치와의 통화 유형을 판단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220168407A (ko)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US20230231889A1 (en) Electronic device for determining call type with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thereof
US11923981B2 (en) Electronic device for transmitting packets via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20220353330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recording audio data acquired from multiple devices
US20220222036A1 (en) Audio device for processing audio data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11849289B2 (en) Electronic device for outputting sound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20240129300A1 (en) Remote authoriza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same method
US20240056720A1 (en) Method for outputting audio signal, and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same
US20220330119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mmunication service in user equipment using data network
US20220346167A1 (en) Electronic device for operating link and operatiion method thereof
US20220225452A1 (en) Electronic device for transmitting data packets in bluetooth network environment, and method therefor
KR20220102448A (ko) 다중 장치 간 통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KR20220061740A (ko) 통신 연결을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KR20240008221A (ko) 통화 녹음을 수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30043671A (ko) 데이터 패킷 송수신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40066221A (ko) 이웃 셀 정보에 기반한 그룹 호 연결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KR20240050963A (ko) 음향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저장 매체
KR20240026807A (ko) Mcptt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