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9996A - 슬러지로부터의 건식 수소 생산 방법 - Google Patents

슬러지로부터의 건식 수소 생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9996A
KR20230109996A KR1020220005952A KR20220005952A KR20230109996A KR 20230109996 A KR20230109996 A KR 20230109996A KR 1020220005952 A KR1020220005952 A KR 1020220005952A KR 20220005952 A KR20220005952 A KR 20220005952A KR 20230109996 A KR20230109996 A KR 202301099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xide
sludge
solid
hydrogen production
dry hydrog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5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우재
정혜민
박지은
홍웅기
안형찬
김태협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가스 주식회사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가스 주식회사,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에스케이가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05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9996A/ko
Priority to PCT/KR2023/000716 priority patent/WO2023136684A1/ko
Publication of KR20230109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9996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3/00Production of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rom solid carbonaceous fuels
    • C10J3/57Gasification using molten salts or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DCOMPOUNDS OF ALKALI METALS, i.e. LITHIUM, SODIUM, POTASSIUM, RUBIDIUM, CAESIUM, OR FRANCIUM
    • C01D7/00Carbonates of sodium, potassium or alkali metals in general
    • C01D7/07Preparation from the hydr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3/00Production of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rom solid carbonaceous fuels
    • C10J3/72Other fea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2300/00Details of gasification processes
    • C10J2300/09Details of the feed, e.g. feeding of spent catalyst, inert gas or halogens
    • C10J2300/0903Feed preparation
    • C10J2300/0909Dry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2300/00Details of gasification processes
    • C10J2300/09Details of the feed, e.g. feeding of spent catalyst, inert gas or halogens
    • C10J2300/0913Carbonaceous raw material
    • C10J2300/0916Biomass
    • C10J2300/0923Sludge, e.g. from water treatment plant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2300/00Details of gasification processes
    • C10J2300/09Details of the feed, e.g. feeding of spent catalyst, inert gas or halogens
    • C10J2300/0983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2300/00Details of gasification processes
    • C10J2300/12Heating the gasifier
    • C10J2300/1207Heating the gasifier using pyrolysis gas as fue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2300/00Details of gasification processes
    • C10J2300/16Integration of gasification processes with another plant or parts within the plant
    • C10J2300/1625Integration of gasification processes with another plant or parts within the plant with solids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2300/00Details of gasification processes
    • C10J2300/16Integration of gasification processes with another plant or parts within the plant
    • C10J2300/1696Integration of gasification processes with another plant or parts within the plant with phase separation, e.g. after condens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건식 수소 생산 기술은 수증기나 물의 공급없이 건식 슬러리로부터 수소를 생산하는 청정기술을 제공하며, 장치 부하가 적고, 에너지 소비가 적으며, 불필요한 유해한 부산물 없이 청정 에너지인 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슬러지로부터의 건식 수소 생산 방법 {DRY METHOD FOR PRODUCING HYDROGEN FROM SLUDGE}
본 발명은 수증기나 물의 공급없이 건조 슬러지로부터 수소를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온실가스 배출과 지구온난화 문제로 인하여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신재생에너지 개발 및 확산의 필요성이 증가하며, 청정에너지원으로 평가되는 수소가 주목을 받고 있다. 수소는 지구상에서 가장 많이 존재하는 원소이며, 화석연료, 바이오매스 및 물 등의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이와 같은 수소를 연료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경제적이면서도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방법으로 생산하는 것이 중요하다.
수소생산방법에는 전통방식인 화석연료 개질 반응을 통한 생산과 재생가능한 방법인 바이오매스와 물을 이용한 생산이 있다. 이 중 전통 개질 방식은 습윤개질 반응(steam reforming), 부분산화 반응(partial oxidation), 자열개질 반응(autothermal reforming) 그리고 가스화 반응(gasification)이 있다.
또한, 재생 가능한 방식으로는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열화학적 방법과 생물학적 방법으로 나뉘고, 물을 이용한 방법은 전기분해법, 열분해 법 그리고 광분해법으로 나뉜다.
현재까지는 수소 수요의 약 96%가 화석연료를 이용한 개질 반응을 통해 생산하고,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수소생산은 그 양이 매우 미미한 수준에 그치고 있다. 하지만, 바이오매스는 지구상에서 탄소가 순환된다는 점에서 청정 에너지원으로 평가되고 있는 만큼, 보다 효율적으로 수소를 생산하고 산업에 적용함으로써 수요를 충족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최근 음식물 쓰레기(슬러지)를 귀찮은 폐기물에서 에너지 자원으로서 재검토하려는 움직임이 있지만, 효과적인 방안을 찾지 못하는 실정이다.
구체적으로, US 4,822,497에서는 초임계 수중에서 유해 물질을 산화하기 위한 반응기로서 압력조가 개시되어 있고 상기 압력조에 있어서 반응 조건 하에서의 소금 형성 및 -제거에 관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Y. Raja, Gasification of waste to produce low-BTU gas by Molten Salt Technique, J. Institution of Engineers India, 제70권, 파트 T2, 제15 페이지, 1989에 의하면 건조염 용융물 중에서의 바이오매스의 기화 시에 높은 변환율이 발생하지만, 단, 이 경우, 많은 일산화탄소가 발생한다. 또한 수소를 발생시키기 위한 시프트 컨버터를 후속 해야 한다. 또한 건조염 용융물 중에서의 변환 시 목탄 또는 코크스의 형성은 완전하게는 회피되지 않는다.
DE 202 20 307 Ul에는 초임계 수중에서 유동성 재료를 취급하기 위한 장치가 개시되어 있고 이 경우, 이 장치는 출발 재료 공급관로 및 생성물 도출관로를 위한 압력 관을 구비한 원통형 반응기로 구성되고 그 때, 생성물 도출관로는 직립관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이 경우, 이 관은 위에서 반응실 중에 돌출되어 있고 반응기하 3분의 1에서 종료해 있고 반응기의 하단에 바닥부 배출을 설치해 이것은 가장 좁은 부분에 있고 냉각기 및 연속적(또는 단속적)인 바닥부 배출을 위한 밸브의 배치를 가진다.
US 6,878,479 B2에는 연료를 전기 에너지에 직접 변환 하기 위한 장치가 개시되어 있고 그 때, 그 때마다 융해 한 전해질이 존재하는 전기 화학적 전지는 양극성의 경사진(gekippten) 구조로 전지 간의 전기 저항이 최소한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G. Lee, T. Nunoura, Y. Matsumura 및 K. Yamamoto,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the addition of NaOH on the decomposition of 2- chlorophenol and phenol in supercritical water and under supercritical water oxidation conditions, J. Supercritical Fluids, 제24권, 제239페이지~250페이지, 2002년부터 최적화된 반응 조건 및 최적화된 반응기 디자인의 결정시에는 유기 화합물의 분해상에서의 NaOH의 영향을 고려해야 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M. D. Bermejo, A. Martin, L. J. Florusse, C. J. Peters 및 M. J. Cocero, Bubble points of the Systems isopropanol-water, isopropanol-water-sodium acetate and isopropanol-water-sodium oleate at high pressure, Fluid Phase Equilibria, 제 244권, 제78 페이지~85 페이지, 2006년부터 초임계 수중에서의 산화가 높은 수율을 포함한 유기성 폐기물의 분해를 위한 효과적인 기술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KR2002-0055346에는 바이오매스 원료에 의한 메탄올 제조방법 및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보 다 구체적으로, 해당 특허는 바이오매스를 가스화시켜 생성되는 생성 가스 중에서 반응에 필요한 수소 가스를 연속 공급하기 위하여 수소가스 공급수단을 포함하는 바이오매스 원료에 의한 메탄올 제조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KR10-2138897에는 수소연료전지자동차용 바이오매스 연료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필터를 포함하여 반응조건을 유지할 수 있는 수소연료전지자동차용 바이오매스 연료 처리 시스템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종래 음식물 쓰레기(슬러지)의 처리를 위해 상기와 같이 여러 방법들이 제안되어 있지만,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방안이 없다는 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증기나 물의 공급없이 건식 슬러리로부터 수소를 생산하는 청정기술을 제공하여, 불필요한 유해한 부산물 없이 청정 에너지인 수소를 생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로부터의 건식 수소 생산 방법은,
상기 건조된 슬러지를 수산화물 수용액과 혼합하여 건조시키거나 수산화물 분말과 혼합하여 슬러지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슬러지 혼합물을 반응기로 도입시키는 단계;
상기 반응기 내에서 물 또는 수증기의 공급없이 가열하여 반응생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반응 생성물을 기체-고체 분리시켜 기체유출물 및 고체유출물로 분리시키는 단계; 및
상기 기체유출물로부터 기체생성물을 생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산화물은 알칼리 또는 알칼리토류의 수산화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칼리 수산화물은 수산화나트륨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기체생성물을 생산하는 단계가 기체 분리 수단을 사용하여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식 수소 생산 방법은 고체유출물로부터 고체생성물을 생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체생성물은 미반응 수산화물과; 알칼리 또는 알칼리토류의 탄산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칼리 탄산염은 탄산나트륨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고체유출물로부터 고체생성물을 생산하는 단계가 상기 고체유출물을 물에 용해시키는 단계; 미반응 슬러지를 분리하는 단계; 중금속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고체생성물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반응 슬러지를 분리하는 단계 및 중금속을 제거하는 단계가 서로 는 독립적으로 필터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고체생성물로 분리하는 단계가 용해도 차이를 이용하여 수산화물용액, 고체수산화물 또는 고체탄산염으로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식 수소 생산 방법은 고체생성물 중 미반응 수산화물을 상기 슬러지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로 재순환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산화물용액 및 상기 고체수산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슬러지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로 재순환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기체유출물 및 상기 고체유출물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슬러지 혼합물을 가열하는 열원의 연료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러지 혼합물을 가열하는 열원으로부터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상기 수산화물을 탄산염으로 전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러지:수산화물의 중량비가 1:1~3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생성물을 제조하는 단계(4)가 200~600℃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식 수소 생산 방법의 캐리어 가스가 공기 또는 질소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건식 수소 생산 기술은 수증기나 물의 공급없이 건식 슬러지로부터 수소를 생산하는 청정기술로서, 장치 부하가 적고, 에너지 소비가 적으며, 불필요한 유해한 부산물 없이 청정 에너지인 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사용한 반응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건조 슬러지에 NaOH 없이 스팀을 공급한 비교예의 실험 결과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건조 슬러지에 NaOH와 스팀을 공급한 비교예의 실험 결과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캐리어 가스로서 공기를 사용하며, 물 및 스팀 공급없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실험 결과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캐리어 가스로서 질소를 사용하며, 물 및 스팀 공급없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실험 결과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캐리어 가스로서 질소를 사용하며, 건조 슬러지와 NaOH 분말을 혼합하고, 물 및 스팀 공급없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실험 결과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라 중복되는 부가적인 설명은 아래에서 생락된다.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더불어,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이들 경우들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단수 형태를 지시하는 것으로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본 명세서와 청구범위에서 단수는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로부터의 건식 수소 생산 방법은, 건조 슬러지와 (수산화물 수용액을 건조시킨) 수산화물 분말로부터 청정 수소를 생산하는 것이다.
상기 슬러지는 음식물 쓰레기와 같이 글루코오스가 포함된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산화물은 금속 원소와 음전하를 띤 수산화 이온(OH- )으로 이루어진 화합물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산화물은 알칼리 금속이 수산화 이온(OH-)과 결합된 알칼리 금속 화합물이나, 알칼리토류 금속이 수산화 이온(OH-)과 결합된 알칼리토류 금속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산화물은 수산화칼륨(KOH), 수산화나트륨(NaOH), 수산화리튬(LiOH), 수산화칼슘(Ca(OH)2), 수산화마그네슘(Mg(OH)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하나 이상의 수산화물이 조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실시예에 따라 수산화물은 건조 분말 형태로 또는 다른 용매(예컨대, 물)과 함께 용액의 형태로 반응기에 투입될 수 있다. 전술한 수산화물의 기재는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알칼리 수산화물은 수산화나트륨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라 촉매를 포함할 수 있다. 촉매는 슬러지 및 수산화물의 반응을 도와 수소로의 가스화 반응을 용이하게 도와주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촉매는 니켈(Ni) 및 철(Fe) 중 적어도 하나의 원소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촉매는 슬러지 및 수산화물에 사전에 혼합되어 반응기로 투입될 수 있다. 또한, 촉매는 실리카, 알루미나, 지르코니아, 카본 등의 무기 나노섬유 구조 속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건식 수소 생산 방법은,
슬러지를 건조시키는 단계(1);
상기 건조된 슬러지를 수산화물 수용액과 혼합하여 건조시키거나 수산화물 분말과 혼합하여 슬러지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2);
상기 슬러지 혼합물을 반응기로 도입시키는 단계(3);
상기 반응기 내에서 물 또는 수증기의 공급없이 가열하여 반응생성물을 제조하는 단계(4);
상기 반응 생성물을 기체-고체 분리시켜 기체유출물 및 고체유출물로 분리시키는 단계(5); 및
상기 기체유출물로부터 기체생성물을 생산하는 단계(6);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러지를 건조시키는 단계(1)는 오물이나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세척된 슬러지를 수분을 거의 함유하지 않은 상태로 건조시키는 것이다. 건조 방법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범위에서 다양할 것이며, 특정 방법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상기 건조된 슬러지를 수산화물 분말과 혼합하여 슬러지 혼합물을 제조하거나, 상기 건조된 슬러지를 수산화물 수용액과 혼합하여 건조시켜 슬러지 혼합물을 제공하는 단계(2)를 수행한다. 종래 기술에서는 수분의 유지 또는 공급이 중요한 특징이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그러한 수분(물)의 존재 없이 그리고 추가 공급없이 반응은 진행시키므로, 에너지 효율이나 부반응의 측면에서 보다 효과적이다. 상기 혼합 수단은 회전하며 슬러지, 수산화물, 필요에 따라 촉매를 기계적으로 혼합할 수 있다. 건식 반응이므로 균일한 혼합이 특히 중요하다.
상기 슬러지와 수산화물의 혼합비는 충분한 반응을 확보하기 위하여 중량비로 1:1~3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러지 혼합물은 이후 반응기로 도입되어 반응이 이루어지는데, 물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반응물로부터 생성물까지 공정 전반에 걸쳐 캐리어 가스가 필요하며, 상기 캐리어 가스는 본 발명의 목적 범위내에서 특정 기체에 제한되지 않으나, 공기 또는 질소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슬러지나 수산화물에 수분(물)이 존재하지도 않고, 상기 반응기 내에서 물 또는 수증기의 공급없이 가열하여 반응생성물을 제조하는 단계(4)가 이루어진다.
상기 반응기에서 슬러지 혼합물을 사전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가열함으로써 가스화 반응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반응기에 슬러지 혼합물이 위치한 경우, 반응기는 반응기 내부의 온도를 사전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가열함으로써 슬러지의 가스화 반응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실시예에 따라, 반응기는 슬러지 혼합물에서 더 이상 가스화 반응이 일어나지 않을 때까지 상기 온도 조건을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반응기의 온도는 표준압 기준 200~600℃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반응기는 반응이 완료될 때까지 탄산염 및 수소가 생성되는 온도 조건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응기는 슬러지 혼합물의 가스화 반응이 완료되기 전에 추가적인 슬러지 혼합물이 공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추가되는 슬러지 혼합물은 반응기 내의 반응 조건이 유지될 수 있는 양이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가스화 반응은 슬러지 및 수산화물을 포함하는 슬러지 혼합물을 반응물로 하고, 수소 및 탄산염을 생성물로 하는 화학 반응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반응기는 슬러지 혼합물을 가열하여 가스화 반응을 발생시킴으로써 기체 상태의 수소와 애쉬(ash) 상태의 탄산염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슬러지 혼합물의 가스화 반응을 통해 주산물인 수소와 부산물인 탄산염 등이 생성될 수 있다. 물론, 미반응 수산화물 등의 불순물이 애쉬 상태로 존재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탄산염(M2CO3)은 슬러지와 수산화물의 가스화 반응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탄산염은 탄산이온(CO3 2-)을 포함하는 이온 결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기 탄산염은 알칼리 또는 알칼리토류의 탄산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수산화물로 수산화나트륨이 사용되는 경우, 슬러지와 수산화나트륨의 가스화 반응을 통해 수소와 탄산나트륨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반응 생성물 중 수소를 포함한 기체는 반응기 상부로부터 유출되어 기체유출물이 되며, 탄산염을 포함하는 애쉬 상태의 고체는 반응기 하부로부터 유출되어 고체유출물이 되는 기체-고체 분리 단계(5)가 수행된다.
상기 기체-고체 분리된 기체유출물 및 고체유출물은 후속 공정으로 유도된다.
즉, 상기 기체유출물로부터 기체생성물(수소)를 생산하는 단계(6)가 기체-기체 분리수단으로 수행된다. 이러한 기체-기체 분리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에서는 기체 분리 수단을 사용하여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체분리수단으로는 멤브레인, PSA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당업자에게 자명한 범위내에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기체유출물에 미량의 고체생성물이 포함될 수 있으므로, 필터 등을 이용하여 기체유출물로부터 고체생성물을 제거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단은 본 발명의 목적 범위내에서 당업자에게 자명한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건식 수소 생산 방법은 미반응 슬러지, 미반응 수산화물, 불순물, 탄산염 등을 포함하는 고체유출물로부터 고체생성물(탄산염)을 생산하는 단계(7)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리 방법으로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고체유출물로부터 고체생성물을 생산하는 단계(7)가 고체유출물을 물에 용해시키는 단계(7-1); 미반응 슬러지를 분리하는 단계(7-2); 중금속을 제거하는 단계(7-3); 및 고체생성물로 분리하는 단계(7-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반응 슬러지를 분리하는 단계(7-2) 및 중금속을 제거하는 단계(7-3)가 서로 독립적으로 필터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당업자에게 자명한 범위내에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중금속을 제거하는 단계(7-3)는 환경 문제로 인해 필요하며, 특히 크롬 등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고체생성물로 분리하는 단계(7-4)는 물에 용해시킨 단계(7-1)에 의한 용해도 차이를 이용하여 수산화물용액, 고체수산화물 또는 고체탄산염으로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리를 위해서, 용액을 냉각; 가열; 냉각 및 가열;의 수단을 조합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목적 범위내에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건식 수소 생산 방법은 상기 고체유출물로부터 고체생성물을 생산하는 단계(7)로부터 분리된 미반응 수산화물 또는 그 용액을 상기 슬러지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2)로 재순환시키는 단계(8 또는 8-1)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제적 측면을 고려하여 재순환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반응기의 반응 조건을 유지할 수 있도록 신규 수산화물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체유출물, 고체유출물 또는 모두를 필요에 따라 상기 슬러지 혼합물을 가열하는 열원의 연료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러지 혼합물을 가열하는 열원으로부터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상기 수산화물을 탄산염으로 전환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게 얻어진 탄산염은 전체 공정의 수율 증대에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반응기를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비교예 1)
캐리어 가스는 질소를 50 cc/min로 공급하였고, 반응기내의 온도는 100℃에서 700℃까지 증가시켜 유지시켰다. 건조 슬러지 50~500mg과 수증기만 공급(23 ㎕/min)하고 실험하여 그 결과를 도 2에 도시하였다.
(비교예 2)
상기 비교예 1에서 슬러지와 수산화나트륨의 혼합비가 중량비로 1:3이 되도록 (건식 또는 습식) 슬러지 50~500mg과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혼합하여 건조시킨 것을 건조 슬러지 대비 1~3배 무게로 공급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하게 실험하여 수소 및 부산물을 측정하여 도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캐리어 가스는 공기를 50 cc/min로 공급하였고, 반응기내의 온도는 100℃에서 700℃까지 증가시켜 유지시켰다. 슬러지 50~500mg과 수산화나트륨의 혼합비가 건조 슬러지 대비 1~3배 중량비가 되도록 (건식 또는 습식) 슬러지와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혼합하여 건조시킨 것을 공급하고, 물 및 수증기의 공급없이 실험하여 수소 및 부산물을 측정하여 도 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캐리어 가스를 질소로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험하여 수소 및 부산물을 측정하여 도 5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2에서 건조 슬러지와 NaOH 분말을 균일하게 혼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실험하여 수소 및 부산물을 측정하여 도 6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응기에 수산화나트륨을 공급하지 않으며 수증기만 공급하는 비교예 1의 경우에, 수소 생산량이 적고, 생성물의 생산 시작 온도가 700℃를 초과하였으며, 이산화탄소 등과 같은 부산물의 생성이 커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도 3에 개시된 바와 같이, NaOH 및 수증기를 모두 사용하는 경우에 바람직한 온도 범위에서 수소 생산이 가능하였으나, 소비되는 에너지가 지나치게 과량이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도 4~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3의 경우에는 저온에서 수소 생산이 가능하며, 캐리어 가스가 공기 및 질소인 경우 모두 가능하였고, 물 또는 수증기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장치에 부하가 적고 소비되는 에너지가 적으므로 바람직하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Claims (17)

  1. 슬러지를 건조시키는 단계;
    상기 건조된 슬러지를 수산화물 수용액과 혼합하여 건조시키거나 수산화물 분말과 혼합하여 슬러지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슬러지 혼합물을 반응기로 도입시키는 단계;
    상기 반응기 내에서 물 또는 수증기의 공급없이 가열하여 반응생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반응 생성물을 기체-고체 분리시켜 기체유출물 및 고체유출물로 분리시키는 단계; 및
    상기 기체유출물로부터 기체생성물을 생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식 수소 생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산화물이 알칼리 또는 알칼리토류의 수산화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수소 생산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 수산화물이 수산화나트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수소 생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생성물을 생산하는 단계가 기체 분리 수단을 사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수소 생산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유출물로부터 고체생성물을 생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수소 생산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생성물이 미반응 수산화물과; 알칼리 또는 알칼리토류의 탄산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수소 생산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 탄산염이 탄산나트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수소 생산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유출물로부터 고체생성물을 생산하는 단계가 상기 고체유출물을 물에 용해시키는 단계; 미반응 슬러지를 분리하는 단계; 중금속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고체생성물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수소 생산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미반응 슬러지를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중금속을 제거하는 단계가 서로 독립적으로 필터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수소 생산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생성물로 분리하는 단계가 용해도 차이를 이용하여 수산화물용액, 고체수산화물 또는 고체탄산염으로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수소 생산 방법.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생성물 중 미반응 수산화물을 상기 슬러지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로 재순환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수소 생산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산화물용액 및 상기 고체수산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슬러지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로 재순환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수소 생산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유출물 및 상기 고체유출물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슬러지 혼합물을 가열하는 열원의 연료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수소 생산 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혼합물을 가열하는 열원으로부터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상기 수산화물을 탄산염으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수소 생산 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혼합물의 슬러지:수산화물의 중량비가 1:1~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수소 생산 방법.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생성물을 제조하는 단계가 200~600℃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수소 생산 방법.
  17. 제 1 항에 있어서, 캐리어 가스가 공기 또는 질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수소 생산 방법.
KR1020220005952A 2022-01-14 2022-01-14 슬러지로부터의 건식 수소 생산 방법 KR2023010999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5952A KR20230109996A (ko) 2022-01-14 2022-01-14 슬러지로부터의 건식 수소 생산 방법
PCT/KR2023/000716 WO2023136684A1 (ko) 2022-01-14 2023-01-16 슬러지로부터의 건식 수소 생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5952A KR20230109996A (ko) 2022-01-14 2022-01-14 슬러지로부터의 건식 수소 생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9996A true KR20230109996A (ko) 2023-07-21

Family

ID=87279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5952A KR20230109996A (ko) 2022-01-14 2022-01-14 슬러지로부터의 건식 수소 생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09996A (ko)
WO (1) WO2023136684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06471B2 (ja) * 1999-07-07 2002-07-24 住友大阪セメント株式会社 セメントキルン排ガスダストの処理方法
JP4284829B2 (ja) * 2000-05-09 2009-06-24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水素ガス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5225972A (ja) * 2004-02-12 2005-08-25 Maywa Co Ltd バイオマスのガス化法
JP4662338B2 (ja) * 2005-02-02 2011-03-30 三菱重工環境・化学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廃棄物複合ガス化処理システム及び方法
JP5333646B2 (ja) * 2011-12-28 2013-11-06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水素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36684A1 (ko) 2023-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i et al. Review and comparison of various hydrogen production methods based on costs and life cycle impact assessment indicators
RU2479558C2 (ru) Электрохимический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азотных удобрений
US20100129691A1 (en) Enhanced product gas and power evolution from carbonaceous materials via gasification
WO2011029283A1 (zh) 煤的综合利用方法及系统
CA2624510A1 (en) Process for generating methane and/or methane hydrate from biomass
EP2978732B1 (en) Method and plant for the production of methane
KR101178831B1 (ko) 이산화탄소 동시 분리를 위한 유동층 수성가스 분리막 반응기 및 이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리방법
KR20160045698A (ko) 물 공존하에서의 유기물의 처리 방법, 접촉 반응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그리고 저온원으로부터의 폐열 회수 방법
CA3052504A1 (en)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s, biofuels and uncontaminated co2 from gaseous feedstock
Wang et al. Hydrogen production
KR101771131B1 (ko) 고온형 연료전지 발전용 바이오가스 전처리 융합 자원화 공정 시스템
CN111971418B (zh) 产生用于合成反应的包含co和co2的气体混合物的方法
US20190039890A1 (en) High purity hydrogen production device and high purity hydrogen production method
Brunetti et al. CO2 conversion by membrane reactors
CN109095438B (zh) 一种生物质多级转换联合制氢装置及其工作方法
KR20230109996A (ko) 슬러지로부터의 건식 수소 생산 방법
KR102399818B1 (ko) 수열가스화(htg) 및 전기메탄화셀(emc) 기술을 활용한 고농도 수소-메탄 가스 생산 반응로 시스템
KR20230110000A (ko) 건식 수소 생산 장치 및 방법
WO2010068979A1 (en) Production of methanol or methanol derivatives
AU2005205757B2 (en) Process for the treatment of water and thermal treatment system
JP2021530620A (ja) 生物学的メタン生成を使用した、再生可能電力からの再生可能天然ガス
Samanta et al. Advanced Hydrogen Production through Methane Cracking: A Review
CN203429142U (zh) 一种生物质制取可燃气的装置
US20240018082A1 (en) Metal formate production
WO2024014499A1 (ja) 発電又は水素の製造方法及びエネルギー変換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